KR101731585B1 - 통신선로 식별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선로 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585B1
KR101731585B1 KR1020160087845A KR20160087845A KR101731585B1 KR 101731585 B1 KR101731585 B1 KR 101731585B1 KR 1020160087845 A KR1020160087845 A KR 1020160087845A KR 20160087845 A KR20160087845 A KR 20160087845A KR 101731585 B1 KR101731585 B1 KR 101731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cable
light
communication lin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자
오금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틱테크
Priority to KR1020160087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 H01B7/365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being indicia imposed on the insulation or condu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3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36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being groo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ontaining optical and electrical condu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선로 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케이블(1)을 각각 식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을 수용한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고, 절개된 수용홈(11)을 구비하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의 상측에 관통공(21)을 구비하고, 관통공(21) 상에 삽설되어 외부로 빛을 발산하게 전극(22a)(22b)을 갖는 광원소자(22)를 구비하는 수용부(20); 상기 광원소자(22)의 전극(22a)(22b)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전기를 공급하게 전지(32)가 수용되는 삽설홈(31)을 구비하는 공급부(30); 및 상기 수용부(20)와 공급부(30) 상에 공급부(30)를 이동시켜 광원소자(22)의 빛의 발산과 차단을 시행하게 수용부(20)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다수개의 고리(41)와, 공급부(30)의 삽설홈(31) 상에 형성되어 고리(41)를 수용하는 관통공(42)과, 공급부(30)가 고리(41) 상에서 이동함에 따라 전지(32)의 근접으로 광원소자(22)의 빛의 발산과 차단을 시행하는 조절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광케이블, UTP케이블 등의 통신설로를 구성하는 케이블 상에 장착되어 다수개의 통신선로 케이블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별도의 조광기나 전원연결장치의 기구가 없이도 작업이 가능해 편의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통신선로 식별장치{communication line ident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통신선로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케이블, UTP케이블 등의 통신설로를 구성하는 케이블 상에 장착되어 다수개의 통신선로 케이블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별도의 조광기나 전원연결장치의 기구가 없이도 작업이 가능해 편의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통신선로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통신선로는 광섬유 케이블과 UTP케이블과 광단국장치 또는 광중계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을 지닌 함체로서 시설물에 따라서는 다수의 랙(Rack)을 이용하여 적층 상태로 설치되고 시스팀 간의 연결, 절체, 광 감쇠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광분배함은 접속단에서 다양한 규격의 연결케이블(점퍼코드)을 사용하여 연결되고 교체된다. 예컨대, 싱글모드용 케이블은 주로 노란색이며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정보를 장거리로 전송하고, 멀티모드용 케이블은 주로 주황색이며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정보를 단거리로 전송한다.
다만, 이와 같은 광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광선로 상에 수백 내지 수만 가닥의 광케이블이 배치되기 때문에 특정의 케이블에 대한 연결 위치를 찾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투입되는 바, 비록 고도의 전문성과 경험을 지닌 숙련자라 할지라도 각종 검사 장비를 지니고 작업해야 할뿐더러 연결에 오류나 착오가 발생하여 반복적으로 재 작업하는 상황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에 통상 2∼3시간 정도가 소요되는 작업을 8∼9시간 내지 며칠 씩 걸리는 경우도 허다해서 결국 많은 비용부담은 물론, 일반소비자들의 불편으로 이어진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8316호에 따르면, ‘투광성 재질의 중공형 보호튜브 및 상기 보호튜브의 내부에 일정간격의 유격을 갖고 포함되어지는 이엘(EL) 와이어로 이루어진 발광케이블; 수지 절연피복을 포함하는 전자실드 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수지 절연피복의 외면에 추가로 결합하는 도전성 고분자 수지피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 케이블과 나란히 병설되는 전자실드 와이어로 이루어진 신호케이블; 및 상기 발광케이블과 신호케이블을 모두 내부에 포함하여 피복하며,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진 최외각피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마이크 케이블.’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발광 마이크 케이블의 경우 반복적인 굴곡이나 굽힘을 받는 마이크 케이블을 요지로 하고 있어 광분배함과 같이 무수한 다발의 광선로를 지닌 광통신 시스템 상에서 특정의 연결케이블을 식별하는 용도로 활용하기에 부적합하고,
또 다른 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31165호에 따르면, ‘꼬여진 한쌍의 동선으로 이루어진 전화선을 다수개 구비하는 다심케이블에서 전화선의 동일선번 및 동일 선로를 검사하는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심케이블의 일측에서 전화선과 연결되는 전원수단과, 상기 다심케이블의 타측에서 상기 전원수단에 연결된 전화선과 동일한 전화선을 확인하는 검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케이블에서 전화선의 동일선번 및 동일선로를 검사하는 검사장치.’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검사장치는 다수의 LED를 종횡으로 배열시킨 검사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광분배함과 같이 무수한 다발의 광선로를 지닌 광통신 시스템 상에서 특정의 연결케이블을 식별하는 용도로 활용하기에 어려웠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8316호 "발광 마이크 케이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31165호 "다심케이블에서 전화선의 동일선번 및 동일선로를 검사하는 검사장치"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케이블, UTP케이블 등의 통신설로를 구성하는 케이블 상에 장착되어 다수개의 통신선로 케이블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별도의 조광기나 전원연결장치의 기구가 없이도 작업이 가능해 편의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통신선로 식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신선로 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케이블을 각각 식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수용한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고, 절개된 수용홈을 구비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관통공 상에 삽설되어 외부로 빛을 발산하게 전극을 갖는 광원소자를 구비하는 수용부; 상기 광원소자의 전극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전기를 공급하게 전지가 수용되는 삽설홈을 구비하는 공급부; 및 상기 수용부와 공급부 상에 공급부를 이동시켜 광원소자의 빛의 발산과 차단을 시행하게 수용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다수개의 고리와, 공급부의 삽설홈 상에 형성되어 고리를 수용하는 관통공과, 공급부가 고리 상에서 이동함에 따라 전지의 근접으로 광원소자의 빛의 발산과 차단을 시행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의 수용홈은 케이블의 수용과 고정이 용이하게 일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광원소자의 전극이 후단에 노출된 상태로 외부를 감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케이블, UTP케이블 등의 통신설로를 구성하는 케이블 상에 장착되어 다수개의 통신선로 케이블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별도의 조광기나 전원연결장치의 기구가 없이도 작업이 가능해 편의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선로용 식별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선로용 식별장치의 결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선로용 식별장치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선로용 식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선로용 식별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선로용 식별장치의 결합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선로용 식별장치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선로용 식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통신선로 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케이블(1)을 각각 식별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되며, 고정부(10), 수용부(20), 공급부(30), 조절수단(4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10)는 상기 케이블(1)을 수용한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고, 절개된 수용홈(11)을 구비한다. 고정부(10)는 전체적으로 하부에 형성되어 케이블(1) 상에 고정되도록 구비한다. 이러한, 고정부(10)는 수용홈(11)으로 이루어져 있고, 수용홈(11)은 일부 절개된 상태를 유지하여 탄성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케이블(1)은 일반적으로 광케이블과 UTP케이블을 많이 사용하지만, 모든 통신 케이블은 사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10)의 수용홈(11)은 케이블(1)의 수용과 고정이 용이하게 일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용홈(11)은 상술한 케이블(1) 상에 장착되도록 케이블(1)의 크기와 동일 또는 약간 작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케이블(1) 마다 크기의 차이가 있음으로 다양한 크기의 케이블(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20)는 상기 고정부(10)의 상측에 관통공(21)을 구비하고, 관통공(21) 상에 삽설되어 외부로 빛을 발산하게 전극(22a)(22b)을 갖는 광원소자(22)를 구비한다. 수용부(20)는 고정부(10)의 상측으로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술한 고정부(10)가 케이블(1)을 수용하여 고정한다면, 수용부(20)는 내부에 광원소자(22)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수용부(20)는 광원소자(22)를 수용할 수 있도록 관통공(21)이 형성되고, 광원소자(22)의 전기가 공급되는 전극(22a)(22b)이 구비됨에 따라 전기 공급을 통한 광원소자(22)에 빛이 발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20)는 광원소자(22)의 전극(22a)(22b)이 후단에 노출된 상태로 외부를 감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원소자(22)는 통공(21) 상에 억지끼움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광원소자(22)의 노후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을 경우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함으로 삽설된 광원소자(22)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전기를 공급받도록 형성되는 전극(22a)(22b)이 수용부(20)의 외측부분과 고정부(10)의 수용홈(11)을 각각 감싸 고정하게 됨으로 고정력과 함께 교체가 용이해지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30)는 상기 광원소자(22)의 전극(22a)(22b)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전기를 공급하게 전지(32)가 수용되는 삽설홈(31)을 구비한다. 공급부(30)는 삽설홈(31)의 내부에 전지(32)가 삽설된 상태로 후술하는 조절수단(40)에 의해 광원소자(22)의 전극(22a)(22b)으로 전기를 공급하게 되는 바, 이는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공급부(30)에 사용되는 전지(32)의 경우 상술한 광원소자(22)의 전극(22a)(22b) 상하로 감싸 고정되기 때문에 넓적한 형태의 리튬 건전지(Lithuim-)를 사용하여 상부면과 하부면에 전극(22a)(22b)이 각각 근접하여 통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조절수단(40)은 상기 수용부(20)와 공급부(30) 상에 공급부(30)를 이동시켜 광원소자(22)의 빛의 발산과 차단을 시행한다. 조절수단(40)은 광원소자(22)의 빛을 발산시키거나 차단하는 것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케이블(1)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10)를 중심으로 수용부(20)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수단(40)은 수용부(20)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다수개의 고리(41)와, 공급부(30)의 삽설홈(31) 상에 형성되어 고리(41)를 수용하는 관통공(42)과, 공급부(30)가 고리(41) 상에서 이동함에 따라 전지(32)의 근접으로 광원소자(22)의 빛의 발산과 차단을 시행하는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절수단(40)은 수용부(20)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고리(41)가 공급부(30)의 삽설홈(31)을 따라 수용된 상태로 고리(41)의 절곡된 부위가 관통공(42)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럼에 따라 작업자가 공급부(30)를 수용부(20)로 근접시키면 공급부(30)의 전지(32)에 광원소자(22)의 전극(22a)(22b)이 서로 맞닿아 상기 광원소자(22)에는 전기 공급으로 인한 빛이 발산되고, 공급부(30)를 수용부(20)로 멀어지도록 하면 공급부(30)의 전지(32)에 광원소자(22)의 전극(22a)(22b)이 벗어나게 됨으로 전기 공급은 중단하여 빛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급부(30)에 장착된 전지(32)를 통해 전극(22a)(22b)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조광기가 없이도 광원소자(22)의 빛을 밝히는 것이 특징이지만, 특별한 상황 발생 시 외부 전원을 통해 광원소자(22)의 빛을 밝히거나 조광기를 사용하여 빛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블(1) 상에 사용되는 구성임으로 크기가 크게 형성되기 어려워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리튬 건전지를 기준으로 구성하였지만, 사이즈에 따라 AA, AAA, C, D, FC-1, 4FM으로 나누어지는 건전지, 수은 건전지 등이 전극(22a)(22b)의 방향을 달리하여 사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서, 먼저 식별을 용이하도록 작업자는 고정부(10)의 수용홈(11) 상에 케이블(1)을 수용하여 고정시키고, 공급부(30)를 밀어 고정부(10)의 상측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용부(20) 방향으로 밀게되면 공급부(30)에 장착된 전지(32)가 수용부(20)에 장착된 광원소자(21)의 전극(22a)(22b)과 서로 맞물려 상기 광원소자(21)에 빛이 발산하게 된다. 이때, 고리(41)의 절곡부위가 관통공(42)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 공급부(30)는 이탈되지 않으면서 전, 후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케이블, UTP케이블 등의 통신설로를 구성하는 케이블 상에 장착되어 다수개의 통신선로 케이블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별도의 조광기나 전원연결장치의 기구가 없이도 작업이 가능해 편의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케이블 10: 고정부
11: 수용홈 20: 수용부
21: 관통공 22: 광원소자
22a, 22b: 전극 30: 공급부
31: 삽설홈 32: 전지
40: 조절수단 41: 고리
42: 관통공

Claims (4)

  1. 통신선로 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케이블(1)을 각각 식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을 수용한 상태로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고, 절개된 수용홈(11)을 구비하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의 상측에 관통공(21)을 구비하고, 관통공(21) 상에 삽설되어 외부로 빛을 발산하게 전극(22a)(22b)을 갖는 광원소자(22)를 구비하는 수용부(20);
    상기 광원소자(22)의 전극(22a)(22b)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전기를 공급하게 전지(32)가 수용되는 삽설홈(31)을 구비하는 공급부(30); 및
    상기 수용부(20)와 공급부(30) 상에 공급부(30)를 이동시켜 광원소자(22)의 빛의 발산과 차단을 시행하게 수용부(20)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다수개의 고리(41)와, 공급부(30)의 삽설홈(31) 상에 형성되어 고리(41)를 수용하는 관통공(42)과, 공급부(30)가 고리(41) 상에서 이동함에 따라 전지(32)의 근접으로 광원소자(22)의 빛의 발산과 차단을 시행하는 조절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로용 식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의 수용홈(11)은 케이블(1)의 수용과 고정이 용이하게 일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로용 식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0)는 광원소자(22)의 전극(22a)(22b)이 후단에 노출된 상태로 외부를 감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로용 식별장치.
  4. 삭제
KR1020160087845A 2016-07-12 2016-07-12 통신선로 식별장치 KR101731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845A KR101731585B1 (ko) 2016-07-12 2016-07-12 통신선로 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845A KR101731585B1 (ko) 2016-07-12 2016-07-12 통신선로 식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585B1 true KR101731585B1 (ko) 2017-04-28

Family

ID=58701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845A KR101731585B1 (ko) 2016-07-12 2016-07-12 통신선로 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5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944Y1 (ko) * 2003-07-07 2003-10-17 황윤식 케이블 고정용 홀더
JP2004096846A (ja) * 2002-08-30 2004-03-25 Aruze Corp 配線追跡装置
KR100995588B1 (ko) * 2010-03-23 2010-11-19 정명호 사용시 자동발광되는 안전용 발광우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6846A (ja) * 2002-08-30 2004-03-25 Aruze Corp 配線追跡装置
KR200329944Y1 (ko) * 2003-07-07 2003-10-17 황윤식 케이블 고정용 홀더
KR100995588B1 (ko) * 2010-03-23 2010-11-19 정명호 사용시 자동발광되는 안전용 발광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6505B2 (en) Device for visual identification of cables or conduits
US8909013B1 (en) Traceable cable assembly
US9784927B2 (en) Indicating communications components via illumination
US5666453A (en) Fiber optic jumper cables and tracing method using same
US9784926B2 (en) Indicating communications components via illumination
US20180172925A1 (en) Traceable end point cable assembly having a tracing waveguide
US6543941B1 (en) Jack receptacle having optical and electrical ports
EP1199586A2 (en) Optical fiber cable tracing system
US20150205056A1 (en) Tracking jumper cable assembly
EP1199587A1 (en) Optical/electrical plug connector
RU2015112230A (ru) Кабель,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н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US9877090B2 (en) Network cable comprising a visual marking device and a device for visual marking of the end of a network cable
KR102333259B1 (ko) 커넥터 구비 광섬유 코드, 커넥터 및 급전 장치
KR101602621B1 (ko)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 케이블 기구
KR101731585B1 (ko) 통신선로 식별장치
WO2013041024A1 (zh) 连接路由发光指示跳线及其线路
KR101607435B1 (ko) 광섬유 케이블의 광선로 식별기구
US11527338B2 (en) Patch cord inspecting system
KR102078796B1 (ko) 케이블 식별장치
EP2448071A1 (en) Telecommunication connecting device
JP2012243670A (ja) ケーブル識別具、ケーブル識別方法
JP2009069378A (ja) 光ファイバコード
JP2001228341A (ja) 光ケーブルの心線対照器
JP2004096846A (ja) 配線追跡装置
GB2194848A (en) Strain-relief mechanism for fibre-optic termin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