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418A -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 - Google Patents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418A
KR20210049418A KR1020190133698A KR20190133698A KR20210049418A KR 20210049418 A KR20210049418 A KR 20210049418A KR 1020190133698 A KR1020190133698 A KR 1020190133698A KR 20190133698 A KR20190133698 A KR 20190133698A KR 20210049418 A KR20210049418 A KR 20210049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s
head
green
defective
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준희
Original Assignee
유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준희 filed Critical 유준희
Priority to KR1020190133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9418A/ko
Publication of KR20210049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7/00Sorting by hand only e.g. of mail
    • B07C7/04Apparatus or accessories for hand pi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81Sorting of food items

Landscapes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어 생두를 포설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포설부재의 저면에 슬라이드 입출되는 수용부를 갖추어 구성함으로써, 포설부재가 테이블로 인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의자에 앉아 보다 편안하게 생두에 포함된 우량두와 결점두를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손목과 눈의 피로를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Table Workbench for Separating Coffee Beans}
본 발명은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어 생두를 포설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포설부재의 저면에 슬라이드 입출되는 수용부를 갖추어 구성함으로써, 포설부재가 테이블로 인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의자에 앉아 보다 편안하게 생두(커피통)에에 포함된 우량두와 결점두(디펙트 빈;Defects Bean)를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손목과 눈의 피로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피가 대중화되고 커피 애용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애용자들은 직접 원두를 볶거나 주문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원두에 결점두가 일부 포함되어 있는 것을 무시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결점두가 포함되는 경우 커피의 맛과 향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결점두를 분리해낼 필요가 있다.
커피 생산지에서도 결점두를 분리하지만 자동 선별장치를 통해 결점두를 완벽하게 분리하기는 매우 어렵다.
오히려, 결점두는 소량이라도 원두에 포함되어 있으며, 운송 및 유통 과정에서 결점두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결점두의 비율에 따라 원두의 등급을 분류하기도 한다.
커피 애용자는 원두를 볶기 전이나 후에 결점두를 육안으로 선별해서 분리해 내기도 한다.
이 경우, 손으로 원두를 하나씩 돌려가면서 확인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체를 이용하여 원두에서 결점두를 분리할 수도 있는데, 체를 흔들 때 원두의 앞과 뒤를 모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원두를 회전시키기는 매우 어려웠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8-0030868호에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가 특허출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는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박스와, 상기 박스의 내부에 고정되어 원두를 지지하는 포설판과, 상기 포설판 위에서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고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원두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 및 상기 박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박스의 내부 일측에는 인출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포설판 위에서 결점두를 제거한 원두를 받는 수거함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회전기구는, 상기 박스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박스의 일측벽 외측으로 손잡이가 돌출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상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웜과, 상기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웜과 각각 맞물리는 웜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소량의 원두가 회전되고, 그로 인해 결점두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분리해낼 수는 있으나, 회전기구의 회전으로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가 회전됨에 따른 원두가 일자형 와이어 사이에 낄 경우, 일일이 하나씩 빼내야 하는 불편함과 그로 인한 선별 작업시간이 오래걸릴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8-0030868호, 출원일; 2018년03월16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어 생두를 포설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포설부재의 저면에 슬라이드 입출되는 수용부를 갖추어 구성함으로써, 포설부재가 테이블로 인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의자에 앉아 보다 편안하게 생두에 포함된 우량두와 결점두를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손목과 눈의 피로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는, 지면으로부터 상단면이 이격되게 다수의 바를 서로 고정 연결하여 구비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안착되어 우량두와 결점두가 포함된 생두를 포설시킬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단부에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포설부재와, 상기 포설부재의 저면에 고정 설치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각각 슬라이드 입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홀을 통하여 분리된 우량두와 결점두를 각각 분리 저장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테이블은,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전,후단 좌,우측용 수직바와, 상기 전단 좌,우측용 수직바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서로 고정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전단용 연결수평바와, 상기 후단 좌,우측용 수직바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서로 고정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후단용 연결수평바와, 상기 전단 및 후단 좌측용 수직바와 전단 및 후단 후측용 수직바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세워질 수 있는 틀로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좌,우측용연결바로 구성되되, 상기 전단용 연결수평바는 상기 수용부재의 설치에 따른 슬라이드 입출을 위해 공간이 형성되게 전단 좌,우측용 수직바의 중간 상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포설부재는, 상면에 우량두와 결점두가 포함된 생두를 포설시킬 수 있도록 직사각 형성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전단 중앙부는 우량두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우량두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우량두배출홀 좌,우측에는 결점두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결점두배출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포설판과, 상기 포설판의 상면 좌,우측 및 후단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생두 포설시 생두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생두유출방지벽으로 구성되되, 상기 포설판의 저면 모서리부에는 상기 테이블의 상단면에 안착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탈됨 없이 안착될 수 있도록 유동방지편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에 따르면,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어 생두를 포설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포설부재의 저면에 슬라이드 입출되는 수용부를 갖추어 구성함으로써, 포설부재가 테이블로 인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의자에 앉아 보다 편안하게 생두에 포함된 우량두와 결점두를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작업자의 손목과 눈의 피로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는, 생두에 섞여 있는 결점두를 우량두와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손목과 눈의 피로를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100)는, 지면으로부터 상단면이 이격되게 다수의 바를 서로 고정 연결하여 구비되는 테이블(110)과, 상기 테이블(1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우량두(A)와 결점두(B)가 포함된 생두를 포설시킬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단부에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포설부재(120)와, 상기 포설부재(120)의 저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부재(130)와, 상기 가이드부재(130)를 따라 각각 슬라이드 입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홀을 통하여 분리된 우량두(A)와 결점두(B)를 각각 분리 저장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수용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를 첨부된 도면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100)의 테이블(110)은, 우량두(A)와 결점두(B)가 포함된 생두를 포설시킬 수 있는 포설부재(120)를 지면과 이격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테이블(110)은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전,후단 좌,우측용 수직바(111,111',112,112')와, 상기 전단 좌,우측용 수직바(111,111')에 일단과 타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서로 고정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전단용 연결수평바(113)와, 상기 후단 좌,우측용 수직바(112,112')에 일단과 타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서로 고정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후단용 연결수평바(114)와, 상기 전단 및 후단 좌측용 수직바(111,112)와 전단 및 후단 후측용 수직바(111',112')에 일단과 타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세워질 수 있는 틀로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좌,우측용연결바(115,11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전단용 연결수평바(113)는 상기 수용부재(140)의 설치에 따른 슬라이드 입출을 위해 공간이 형성되게 전단 좌,우측용 수직바(111,111')의 중간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한 포설부재(120)는 상기 테이블(110)의 상단부에 복수의 스크류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 또는 안착 설치되어 우량두(A)와 결점두(B)가 포함된 생두를 포설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복수의 수용부재(140)측으로 우량두(A)와 결점두(B)를 분리 배출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홀이 천공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한 포설부재(120)는 상면에 우량두(A)와 결점두(B)가 포함된 생두를 포설시킬 수 있도록 직사각 형성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전단 중앙부는 우량두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우량두배출홀(121a)이 형성되고, 상기 우량두배출홀(121a) 좌,우측에는 결점두(B)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결점두배출홀(121b)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포설판(121)과, 상기 포설판(121)의 상면 좌,우측 및 후단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생두 포설시 생두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생두유출방지벽(12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포설판(121)의 저면 모서리부에는 상기 테이블(110)의 상단면에 안착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탈됨 없이 안착될 수 있도록 유동방지편(123)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포설판(120)의 전단부는 생두로부터 선별된 우량두(A)와 결점두(B)를 우량두배출홀(121a)과 결점두배출홀(121b)측으로 투입시 전단부를 통하여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21c)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가이드부재(130)는 상기 포설부재(120)의 포설판(121) 저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복수의 수용부재(140)가 입출되게 가이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가이드부재(130)는 포설부재(120)의 포설판(121) 저면 양측에 각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각 타단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제1가이드바(131)와, 상기 제1가이드바(131)의 각 일단을 서로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복수의 수용부재(140)가 각각 가이드 삽입될 때, 멈춤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멈춤용연결바(132)와, 상기 멈춤용연결바(132)에 각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타단은 제1가이드바(131)와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수의 수용부재(140)를 가이드가능하게 "ㅗ"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2가이드바(133)로 구성된다.
상기한 수용부재(140)는 상기 포설부재(120)의 포설판(121) 저면에 고정 설치된 상기 가이드부재(130)에 가드되면서 입출가능하게 구비되어 우량두배출홀(121a)과 결점두배출홀(121b)을 통하여 배출되는 우량두(A)와 결점두(B)를 수용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수용부재(140)는 상기 가이드부재(130)의 제2가이드바(133)를 통하여 가이드되면서 입출되도록 양측면 상부에는 우량두수용부용 안착편(141a)이 형성되고, 상면은 개구되는 것에 의해 저장공간부가 형성되어 우량두배출홀(121a)을 통하여 배출되는 우량두(A)를 수용하여 저장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우량두수용부(141)와, 상기 제1가이드바와 제2가이드바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각각 입출되는 것에 의해 상기 우량두수용부(141)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양측면 상부에는 결점두수용부용 안착편(142a)이 각각 형성되고, 상면은 개구되는 것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어 결점두배출홀(121b)을 통하여 배출되는 결점두(B)를 수용하여 저장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결점두수용부(14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우량두수용부(141)와 결점두수용부(142)의 전면 상부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입출시킬 수 있도록 "ㄱ"자 형상의 우량두수용부용 손잡이부(141b)와 결점두수용부용 손잡이부(142b)가 각각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를 이용하여 생두의 우량두와 결점두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우량두(A)와 결점두(B)가 포함된 생두를 테이블(11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포설부재(120)의 포설판(121)에 포설시킨다.
이때, 상기한 포설판(121)의 전단부가 경사진 경사면(121c)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생두 포설시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포설부재(120)의 포설판(121)에 우량두(A)와 결점두(B)가 포함된 생두가 포설되면, 작업자는 생두에 포함된 결점두(B)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우량두(A)로부터 수작업으로 분리시킨다.
상기와 같이 결점두(B)가 분리되면, 분리된 결점두(B)는 우량두배출홀(121a) 좌,우측에 형성된 결점두배출홀(121b)측으로 배출시키고, 상기 결점두(B)가 분리된 우량두(A)는 상기 우량두배출홀(121a)측으로 투입시키는 것에 의해 우량두(A)와 결점두(B)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점두배출홀(121b)과 우량두배출홀(121a)을 통하여 배출된 결점두(B)와 우량두(A)는 가이드부재(130)를 통하여 슬라이드 입출되는 결점두수용부(142)와 우량두수용부(141)에 저장된다.
이후, 일정 이상 결점두(B)와 우량두(A)가 상기 결점두수용부(142)와 우량두수용부(141)에 각각 저장되면, 상기 결점두수용부(142)와 우량두수용부(141)를 슬라이드 인출시켜 저장된 결점두(B)와 우량두(A)를 다른 저장용기에 저장시키는 것에 의해 생두에 포함된 결점두(B)와 우량두(A)를 분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포설부재(120)의 포설판(121)이 테이블(110)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작업자는 의자에 앉아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우량두(A)와 결점두(B)의 분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우량두 B ; 결점두
100 ;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 110 ; 테이블
120 ; 포설부재 130 ; 가이드부재
140 ; 수용부재

Claims (4)

  1.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는,
    지면으로부터 상단면이 이격되게 다수의 바를 서로 고정 연결하여 구비되는 테이블(110)과;
    상기 테이블(1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우량두(A)와 결점두(B)가 포함된 생두를 포설시킬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단부에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포설부재(120)와;
    상기 포설부재(120)의 저면에 고정 설치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부재(130)와;
    상기 가이드부재(130)를 따라 각각 슬라이드 입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홀을 통하여 분리된 우량두(A)와 결점두(B)를 각각 분리 저장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수용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10)은,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전,후단 좌,우측용 수직바(111,111',112,112')와, 상기 전단 좌,우측용 수직바(111,111')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서로 고정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전단용 연결수평바(113)와, 상기 후단 좌,우측용 수직바(112,112')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서로 고정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후단용 연결수평바(114)와, 상기 전단 및 후단 좌측용 수직바(111,112)와 전단 및 후단 후측용 수직바(111',112')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세워질 수 있는 틀로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좌,우측용연결바(115,115')로 구성되되, 상기 전단용 연결수평바(113)는 상기 수용부재(140)의 설치에 따른 슬라이드 입출을 위해 공간이 형성되게 전단 좌,우측용 수직바(111,111')의 중간 상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설부재(120)는, 상면에 우량두(A)와 결점두(B)가 포함된 생두를 포설시킬 수 있도록 직사각 형성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전단 중앙부는 우량두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우량두배출홀(121a)이 형성되고, 상기 우량두배출홀(121a) 좌,우측에는 결점두(B)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결점두배출홀(121b)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포설판(121)과, 상기 포설판(121)의 상면 좌,우측 및 후단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생두 포설시 생두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생두유출방지벽(122)으로 구성되되, 상기 포설판(121)의 저면 모서리부에는 상기 테이블(110)의 상단면에 안착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탈됨 없이 안착될 수 있도록 유동방지편(123)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설판(120)의 전단부는 생두로부터 선별된 우량두(A)와 결점두(B)를 우량두배출홀(121a)과 결점두배출홀(121b)측으로 투입시 전단부를 통하여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21c)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
KR1020190133698A 2019-10-25 2019-10-25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 KR20210049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698A KR20210049418A (ko) 2019-10-25 2019-10-25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698A KR20210049418A (ko) 2019-10-25 2019-10-25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418A true KR20210049418A (ko) 2021-05-06

Family

ID=7591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698A KR20210049418A (ko) 2019-10-25 2019-10-25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941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0868A (ko) 2015-07-13 2018-03-26 지비 부쉐리 엔브이 브러시 제조 방법 및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0868A (ko) 2015-07-13 2018-03-26 지비 부쉐리 엔브이 브러시 제조 방법 및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8100655B4 (de) Kindersicherheitssitz mit einem abnehmbaren gurtpositioniersitz
DE4211311C2 (de) Geldbetätigtes Unterhaltungsgerät
WO2017041902A1 (de) Ausgabevorrichtung
WO2006063900A1 (de) Geschirrkorb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KR20210049418A (ko) 생두의 결점두 분리용 테이블형 작업대
CA2616716C (en) Beverage brewing devices having moveable reservoirs
DE2605760C3 (de) Bordküche für Reiseomnibusse
WO2017157489A1 (de) Getränkezubereitungsvorrichtung sowie betriebsverfahren
KR200483172Y1 (ko) 바둑돌이 분류되는 바둑판
DE60203317T2 (de) Bratrost mit vertikaler mulde, der mit holzkohle, lavagestein, holz, gas und anderen brennstoffen verwendet wird
KR20210049417A (ko) 생두의 결점두 분리 작업대
CA2078630C (en) Denture cleansing device
DE202015005777U1 (de) Ortsfester, wandhängender Klapptisch
DE4034297A1 (de) Stapelbarer drehstuhl
DE3637772A1 (de) Schminkspiegel an der rueckseite eines sitzes
CA2419812C (en) Coin wrapping attachments for a coin sorter
JP2001517517A (ja) グラインダシュラウド
DE202023103076U1 (de) Heißgetränkezubereitungsvorrichtung mit Tassenplattform
CN210276562U (zh) 沙发遮蔽组件的滑移支撑机构
US2166485A (en) Piano bench
FR2978336A1 (fr) Meuble contenant un tiroir a double extension coaxiale
DE2800564C2 (de) Stapelbarer Reihenstuhl
DE744027C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leichzeitigen Fuellen vieler Ampullen in einem luftdicht abschliessbaren Fuellbehaelter
DE102015107154A1 (de) Maschine zur Erzeugung von Warm- oder Heißgetränken
US644836A (en) School-de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