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666A - 다층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6666A KR20210046666A KR1020217004596A KR20217004596A KR20210046666A KR 20210046666 A KR20210046666 A KR 20210046666A KR 1020217004596 A KR1020217004596 A KR 1020217004596A KR 20217004596 A KR20217004596 A KR 20217004596A KR 20210046666 A KR20210046666 A KR 202100466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acid
- polyamide
- mol
- unit deriv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8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2
- 229920006122 polyamide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9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OFOBLEOULBTSOW-UHFFFAOYSA-N Mal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O OFOBLEOULBTSOW-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29920006230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150000004985 diamin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GKXVJHDEWHKBFH-UHFFFAOYSA-N [2-(aminomethyl)phenyl]methanamine Chemical compound NCC1=CC=CC=C1CN GKXVJHDEWHKBFH-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150000001991 dicarboxy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0894 electron beam technolog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9
- KKEYFWRCBNTPAC-UHFFFAOYSA-N Tere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O)=O)C=C1 KKEYFWRCBNTPA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WNLRTRBMVRJNCN-UHFFFAOYSA-N adip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O)=O WNLRTRBMVRJNC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2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4
- 150000002009 diol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10052723 transition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150000003624 transition metal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1361 adip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11037 adip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1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8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150000001408 amide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49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3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5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5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2
- QQVIHTHCMHWDBS-UHFFFAOYSA-N iso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O)=O)=C1 QQVIHTHCMHWDB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7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5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4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0071 blow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150000003254 radic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SDGNNLQZAPXALR-UHFFFAOYSA-N 3-sulfo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S(O)(=O)=O)=C1C(O)=O SDGNNLQZAPXA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125000001142 dicarbox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3
- FDLQZKYLHJJBHD-UHFFFAOYSA-N [3-(aminomethyl)phenyl]methanamine Chemical compound NCC1=CC=CC(CN)=C1 FDLQZKYLHJJBH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6068 polycondens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MTHSVFCYNBDYFN-UHFFFAOYSA-N di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 MTHSVFCYNBDY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KYTZHLUVELPASH-UHFFFAOYSA-N naphthalene-1,2-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C2=C(C(O)=O)C(C(=O)O)=CC=C21 KYTZHLUVELPA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CXMXRPHRNRROMY-UHFFFAOYSA-N sebac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CCCC(O)=O CXMXRPHRNRRO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125000003277 amino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7
- 125000004427 diami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7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YZTJKOLMWJNVFH-UHFFFAOYSA-N 2-sulfobenzene-1,3-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O)=O)=C1S(O)(=O)=O YZTJKOLMWJNV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125000002723 ali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6
- 150000001339 alkali metal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BDJRBEYXGGNYIS-UHFFFAOYSA-N nona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CCC(O)=O BDJRBEYXGGNYI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ZDPHROOEEOARMN-UHFFFAOYSA-N un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O)=O ZDPHROOEEOAR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125000001997 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 0.000 description 5
- XNGIFLGASWRNHJ-UHFFFAOYSA-N 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C(O)=O XNGIFLGASWRNH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435 EP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QMKYBPDZANOJGF-UHFFFAOYSA-N benzene-1,3,5-tr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O)=O)=CC(C(O)=O)=C1 QMKYBPDZANOJ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WPYMKLBDIGXBTP-UHFFFAOYSA-N 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 WPYMKLBDIGXB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VHRGRCVQAFMJIZ-UHFFFAOYSA-N cadaverine Chemical compound NCCCCCN VHRGRCVQAFMJI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JBKVHLHDHHXQEQ-UHFFFAOYSA-N epsilon-caprolactam Chemical compound O=C1CCCCCN1 JBKVHLHDHHXQ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NAQMVNRVTILPCV-UHFFFAOYSA-N hexane-1,6-diamine Chemical compound NCCCCCCN NAQMVNRVTILPC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GLDOVTGHNKAZLK-UHFFFAOYSA-N octadecan-1-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 GLDOVTGHNKAZ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QIQXTHQIDYTFRH-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QIQXTHQIDYTFR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WLJVNTCWHIRURA-UHFFFAOYSA-N pime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C(O)=O WLJVNTCWHIRU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KIDHWZJUCRJVML-UHFFFAOYSA-N putrescine Chemical compound NCCCCN KIDHWZJUCRJVM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CYIDZMCFTVVTJO-UHFFFAOYSA-N pyromelli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O)=O)=C(C(O)=O)C=C1C(O)=O CYIDZMCFTVVT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ARCGXLSVLAOJQL-UHFFFAOYSA-N trimelli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O)=O)C(C(O)=O)=C1 ARCGXLSVLAOJQ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PXGZQGDTEZPERC-UHFFFAOYSA-N 1,4-cyclohexane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O)=O)CC1 PXGZQGDTEZPER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60 1H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KWSLGOVYXMQPPX-UHFFFAOYSA-N 5-[3-(trifluoromethyl)phenyl]-2h-tetrazole Chemical compound FC(F)(F)C1=CC=CC(C2=NNN=N2)=C1 KWSLGOVYXMQPP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MFOQBRAJBCJND-UHFFFAOYSA-M Lith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Li+].[OH-] WMFOQBRAJBCJN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KWYUFKZDYYNOTN-UHFFFAOYSA-M Potass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K+] KWYUFKZDYYNOT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355 Ste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KDYFGRWQOYBRFD-UHFFFAOYSA-N Succin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KDYFGRWQOYBR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KDYFGRWQOYBRFD-NUQCWPJISA-N buta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O[14C](=O)CC[14C](O)=O KDYFGRWQOYBRFD-NUQCWPJI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174 carbonated soft drink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34 carboxylic acid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6213 coff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748 compress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038 crystall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798 dela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1495 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02 injection blow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3
- RXOHFPCZGPKIRD-UHFFFAOYSA-N naphthalene-2,6-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O)=O)C=CC2=CC(C(=O)O)=CC=C21 RXOHFPCZGPKI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QCDKBAXFALNLD-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QCDKBAXFALN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379 sodium hypophos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17 ste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LEBQTCCCNMTXSF-UHFFFAOYSA-N (2,5-dimethylphenyl)methanol Chemical compound CC1=CC=C(C)C(CO)=C1 LEBQTCCCNMTXS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OILWHVDKZOXJZ-ARJAWSKDSA-M (z)-4-oxopent-2-en-2-olate Chemical class C\C([O-])=C\C(C)=O POILWHVDKZOXJZ-ARJAWSKDSA-M 0.000 description 2
- QPFMBZIOSGYJDE-UHFFFAOYSA-N 1,1,2,2-tetrachloro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C(Cl)Cl QPFMBZIOSGYJD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BCKQZAAMUWICA-UHFFFAOYSA-N 1,4-phenylenedi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N)C=C1 CBCKQZAAMUWIC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WGJDPKCLMLPJW-UHFFFAOYSA-N 1,8-diaminooctane Chemical compound NCCCCCCCCN PWGJDPKCLMLPJ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TBFRGCFXZNCOE-UHFFFAOYSA-N 1-methylsulfonylpiperidin-4-one Chemical compound CS(=O)(=O)N1CCC(=O)CC1 RTBFRGCFXZNCO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NETULKMXZVUST-UHFFFAOYSA-N 1-naphth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O)O)=CC=CC2=C1 LNETULKMXZVU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JCVRFUGPWSIIH-UHFFFAOYSA-N 1-naphthol Chemical compound C1=CC=C2C(O)=CC=CC2=C1 KJCVRFUGPWSII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AZZVPKITDJCPV-UHFFFAOYSA-N 10-hydroxyoct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O)CCCCCCCCC(O)=O PAZZVPKITDJCP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BLZLIFKVPJDCO-UHFFFAOYSA-N 12-aminodo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NCCCCCCCCCCCC(O)=O PBLZLIFKVPJD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QXGHZNSUOHCLO-UHFFFAOYSA-N 2,2,4,4-tetramethyl-1,3-cyclo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1(C)C(O)C(C)(C)C1O FQXGHZNSUOHC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LDQAMYCGOIJDV-UHFFFAOYSA-N 2,3-dihydroxy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O)=C1O GLDQAMYCGOIJD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IAFKZKHHVMJGS-UHFFFAOYSA-N 2,4-dihydroxy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O)C=C1O UIAFKZKHHVMJ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XTMDXOMEHJXQO-UHFFFAOYSA-N 2,5-dihydroxy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O)=CC=C1O WXTMDXOMEHJX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ZRHNAFEYMSXRG-UHFFFAOYSA-N 2,5-dimethyl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C)C(C(O)=O)=C1 XZRHNAFEYMSXR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KEUNCKRJATALU-UHFFFAOYSA-N 2,6-dihydroxy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O)C=CC=C1O AKEUNCKRJATAL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SQDURCMBCGCIK-UHFFFAOYSA-N 2-(2,4-dihydroxyphenyl)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1=CC=C(O)C=C1O FSQDURCMBCGCI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WLBGMIXKSTLSX-UHFFFAOYSA-N 2-hydroxyisobutyric acid Chemical compound CC(C)(O)C(O)=O BWLBGMIXKSTLS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OBYKYZJUGYBDK-UHFFFAOYSA-N 2-naphth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C2=CC(C(=O)O)=CC=C21 UOBYKYZJUGYBD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JWAZRIHNYRIHIV-UHFFFAOYSA-N 2-naphthol Chemical compound C1=CC=CC2=CC(O)=CC=C21 JWAZRIHNYRIHI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JSOFNCYXJUNBT-UHFFFAOYSA-N 3,4,5-trimethoxy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COC1=CC(C(O)=O)=CC(OC)=C1OC SJSOFNCYXJUNB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QUVCSBJEUQKSH-UHFFFAOYSA-N 3,4-dihydroxy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O)C(O)=C1 YQUVCSBJEUQK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PVAJFQBSDUNQA-UHFFFAOYSA-N 3,4-dimethyl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C(O)=O)C=C1C OPVAJFQBSDUNQ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HQZJYCNDZAGLW-UHFFFAOYSA-N 3-methoxy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COC1=CC=CC(C(O)=O)=C1 XHQZJYCNDZAG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CEQKAQCUWUNML-UHFFFAOYSA-N 4-hydroxybenzene-1,3-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O)C(C(O)=O)=C1 BCEQKAQCUWUNM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ARJPEPCULYFFP-UHFFFAOYSA-N 5-Sulfo-1,3-benzene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O)=O)=CC(S(O)(=O)=O)=C1 CARJPEPCULYFF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11 Benzo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FERIUCNNQQJTOY-UHFFFAOYSA-N Butyr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FERIUCNNQQJT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LDXJTOLSGUMSJ-JGWLITMVSA-N Isosorbide Chemical compound O[C@@H]1CO[C@@H]2[C@@H](O)CO[C@@H]21 KLDXJTOLSGUMSJ-JGWLITMVSA-N 0.000 description 2
- JHWNWJKBPDFINM-UHFFFAOYSA-N Laurolactam Chemical compound O=C1CCCCCCCCCCCN1 JHWNWJKBPDFI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LZHNIAADXEJJP-UHFFFAOYSA-N Phenylphosphon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C1=CC=CC=C1 QLZHNIAADXEJ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JCCRDAZUWHFQH-UHFFFAOYSA-N Trimethylolpropane Chemical compound CCC(CO)(CO)CO ZJCCRDAZUWHF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RLQHILJRHBSAY-UHFFFAOYSA-N [1-(hydroxymethyl)cyclohexyl]methanol Chemical compound OCC1(CO)CCCCC1 ORLQHILJRHBSA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LBRROYTTDFLDX-UHFFFAOYSA-N [3-(aminomethyl)cyclohexyl]methanamine Chemical compound NCC1CCCC(CN)C1 QLBRROYTTDFL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XIKYYJDTWKERT-UHFFFAOYSA-N [4-(aminomethyl)cyclohexyl]methanamine Chemical compound NCC1CCC(CN)CC1 OXIKYYJDTWKE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SKQADXMHQSTHK-UHFFFAOYSA-N [4-(aminomethyl)phenyl]methanamine Chemical compound NCC1=CC=C(CN)C=C1 ISKQADXMHQST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8044 alkali metal hyd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340 alkali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346 alkyl aryl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907 alkyl est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SCWAEJMTAWNJL-UHFFFAOYSA-K aluminium tr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l](Cl)Cl VSCWAEJMTAWNJL-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112 am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127 amorphous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JFCQEDHGNNZCLN-UHFFFAOYSA-N anhydrous glutar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C(O)=O JFCQEDHGNNZCL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JCFOYOSGPHIOO-UHFFFAOYSA-N antimony pentoxide Chemical compound O=[Sb](=O)O[Sb](=O)=O LJCFOYOSGPHIO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DCOVFLJGNWWNZ-UHFFFAOYSA-N antimony trioxide Chemical compound O=[Sb]O[Sb]=O ADCOVFLJGNWWN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29 atom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405 be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UJMDYLWCYJJYMO-UHFFFAOYSA-N benzene-1,2,3-tr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O)=O)=C1C(O)=O UJMDYLWCYJJYM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233 benz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797 benz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C([H])([H])*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ERYXYBDKMZEQL-UHFFFAOYSA-N butane-1,4-diol Chemical compound OCCCCO WERYXYBDKMZEQ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82 calcium hypophos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40064002 calcium hypophosphi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49 carbon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32 carbox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DRXDBDATOLWSNZ-UHFFFAOYSA-L dilithium;dioxido-oxo-phenyl-$l^{5}-phosphane Chemical compound [Li+].[Li+].[O-]P([O-])(=O)C1=CC=CC=C1 DRXDBDATOLWSNZ-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39 di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BDQKXXYIPTUBI-UHFFFAOYSA-N dimethylselenoniopropionate Natural products CCC(O)=O XBDQKXXYIPTU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VFJNXQOIZKPMG-UHFFFAOYSA-L dipotassium;dioxido-oxo-phenyl-$l^{5}-phosphane Chemical compound [K+].[K+].[O-]P([O-])(=O)C1=CC=CC=C1 CVFJNXQOIZKPM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IIRVGTWONXBBAW-UHFFFAOYSA-M disodium;dioxido(oxo)phosphanium Chemical compound [Na+].[Na+].[O-][P+]([O-])=O IIRVGTWONXBBA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JOQAMSDLZYQHMX-UHFFFAOYSA-L disodium;dioxido-oxo-phenyl-$l^{5}-phosphane Chemical compound [Na+].[Na+].[O-]P([O-])(=O)C1=CC=CC=C1 JOQAMSDLZYQHMX-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TVIDDXQYHWJXFK-UHFFFAOYSA-N dodeca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CCCCCC(O)=O TVIDDXQYHWJX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LNTHITQWFMADLM-UHFFFAOYSA-N gal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O)=C(O)C(O)=C1 LNTHITQWFMADL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79 ge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820 ha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ZSIAUFGUXNUGDI-UHFFFAOYSA-N hexan-1-ol Chemical compound CCCCCCO ZSIAUFGUXNUG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group [H]*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449 isoprop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H]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479 isosorb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951 lactam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83 lithium hypophos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IWYDHOAUDWTVEP-UHFFFAOYSA-N mande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O)C1=CC=CC=C1 IWYDHOAUDWTV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PBNNNQJVZRUHP-UHFFFAOYSA-L manganese(2+);methyl n-[[2-(methoxycarbonylcarbamothioylamino)phenyl]carbamothioyl]carbamate;n-[2-(sulfidocarbothioylamino)ethyl]carbamodithioate Chemical compound [Mn+2].[S-]C(=S)NCCNC([S-])=S.COC(=O)NC(=S)NC1=CC=CC=C1NC(=S)NC(=O)OC WPBNNNQJVZRUH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108 n-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C([H])([H])* 0.000 description 2
- GOQYKNQRPGWPLP-UHFFFAOYSA-N n-heptadecyl alcoh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O GOQYKNQRPGWPL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123 n-prop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 0.000 description 2
- ABMFBCRYHDZLRD-UHFFFAOYSA-N naphthalene-1,4-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O)O)=CC=C(C(O)=O)C2=C1 ABMFBCRYHDZL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PUMVKJOWWJPRK-UHFFFAOYSA-N naphthalene-2,7-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O)=O)=CC2=CC(C(=O)O)=CC=C21 WPUMVKJOWWJP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624 naphth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SLCVBVWXLSEKPL-UHFFFAOYSA-N neopentyl glycol Chemical compound OCC(C)(C)CO SLCVBVWXLSEKP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XJVFQLYZSNZBT-UHFFFAOYSA-N nonane-1,9-diamine Chemical compound NCCCCCCCCCN SXJVFQLYZSNZB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BUKVWPVBMHYJY-UHFFFAOYSA-N non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O)=O FBUKVWPVBMHYJ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WWZKQHOCKIZLMA-UHFFFAOYSA-N oc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O)=O WWZKQHOCKIZL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PNBBFKOUUSUDB-UHFFFAOYSA-N p-tolu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C(O)=O)C=C1 LPNBBFKOUUSUD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EIUXOLGHVXAEO-UHFFFAOYSA-N pentadecan-1-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O REIUXOLGHVXA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XZMFSXDPGVJKK-UHFFFAOYSA-N penta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CO)(CO)CO WXZMFSXDPGVJK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ACVYVLVWPXVTIT-UHFFFAOYSA-M phosphinate Chemical compound [O-][PH2]=O ACVYVLVWPXVTI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ACVYVLVWPXVTIT-UHFFFAOYSA-N phosphinic acid Chemical compound O[PH2]=O ACVYVLVWPXVT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SCVFZCLFOSHCOH-UHFFFAOYSA-M potass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K+].CC([O-])=O SCVFZCLFOSHCO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80 potassium hypophos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CRGPNLUFHHUKCM-UHFFFAOYSA-M potassium phosphinate Chemical compound [K+].[O-]P=O CRGPNLUFHHUKCM-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YPFDHNVEDLHUCE-UHFFFAOYSA-N propane-1,3-diol Chemical compound OCCCO YPFDHNVEDLHU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CPRMKOQKXYSDML-UHFFFAOYSA-M rubi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Rb+] CPRMKOQKXYSDM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TYFQFVWCELRYAO-UHFFFAOYSA-N sube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CC(O)=O TYFQFVWCELRYA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424 substituent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020 sulfo group Chemical group O=S(=O)([*])O[H] 0.000 description 2
- ISIJQEHRDSCQIU-UHFFFAOYSA-N tert-butyl 2,7-diazaspiro[4.5]decane-7-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1N(C(=O)OC(C)(C)C)CCCC11CNCC1 ISIJQEHRDSCQI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999 tert-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C([H])([H])[H])C([H])([H])[H] 0.000 description 2
- CNALVHVMBXLLIY-IUCAKERBSA-N tert-butyl n-[(3s,5s)-5-methylpiperidin-3-yl]carbamate Chemical compound C[C@@H]1CNC[C@@H](NC(=O)OC(C)(C)C)C1 CNALVHVMBXLLIY-IUCAKERB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09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01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83 yel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ALSTYHKOOCGGFT-KTKRTIGZSA-N (9Z)-octadecen-1-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 ALSTYHKOOCGGFT-KTKRTIGZ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78 (C1-C4)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69 (C1-C6)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WRIDQFICGBMAFQ-UHFFFAOYSA-N (E)-8-Octadec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WRIDQFICGBMA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JEPYKJPYRNKOW-REOHCLBHSA-N (S)-m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C(O)=O BJEPYKJPYRNKOW-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ORTVZLZNOYNASJ-UPHRSURJSA-N (z)-but-2-ene-1,4-diol Chemical compound OC\C=C/CO ORTVZLZNOYNASJ-UPHRSURJSA-N 0.000 description 1
- QIGBRXMKCJKVMJ-UHFFFAOYSA-N 1,4-Benzenediol Natural products OC1=CC=C(O)C=C1 QIGBRXMKCJKVM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ROWDOFTCDMQSU-UHFFFAOYSA-N 1-(hydroxymethyl)cyclohexane-1-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C1(C(O)=O)CCCCC1 NROWDOFTCDMQS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BPLFHHGFOOTCA-UHFFFAOYSA-N 1-Octanol Chemical compound CCCCCCCCO KBPLFHHGFOOTC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ITXQNWTFNSHRU-UHFFFAOYSA-N 1-hydroxycyclohexa-3,5-diene-1,3-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O)(C(O)=O)C1 IITXQNWTFNSH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1 1-naphthylace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OSQNAUYHMCRU-UHFFFAOYSA-N 11-Aminoun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NCCCCCCCCCCC(O)=O GUOSQNAUYHMC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FGCFKJIPBRJGM-UHFFFAOYSA-N 12-[(2-methylpropan-2-yl)oxy]-12-oxodo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C(=O)CCCCCCCCCCC(O)=O QFGCFKJIPBRJ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CUZDQXWVYNXHD-UHFFFAOYSA-N 2,2,4-trimethylhexane-1,6-diamine Chemical compound NCCC(C)CC(C)(C)CN JCUZDQXWVYNXH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ZNQSWJZTWOTKM-UHFFFAOYSA-N 2,3,4-trimethoxy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COC1=CC=C(C(O)=O)C(OC)=C1OC HZNQSWJZTWOTK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2044 2,3-dihydroxybenzo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RIZUCYSQUWMQLX-UHFFFAOYSA-N 2,3-dimethyl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C(C(O)=O)=C1C RIZUCYSQUWMQL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PQHRXRAZHNGRU-UHFFFAOYSA-N 2,4,4-trimethylhexane-1,6-diamine Chemical compound NCC(C)CC(C)(C)CCN DPQHRXRAZHNG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ATAKEDDMQNPOQ-UHFFFAOYSA-N 2,4,6-trimethoxy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COC1=CC(OC)=C(C(O)=O)C(OC)=C1 JATAKEDDMQNPO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FFIRKXTFQCCKJ-UHFFFAOYSA-N 2,4,6-trimethyl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C(C(O)=O)C(C)=C1 FFFIRKXTFQCC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KYWPNROPGQIFZ-UHFFFAOYSA-N 2,4-dimethyl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C(O)=O)C(C)=C1 BKYWPNROPGQIF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CBHQDKBSKYGCK-UHFFFAOYSA-N 2,6-dimethyl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C(C)=C1C(O)=O HCBHQDKBSKYG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FGOFGRYDNHJTA-UHFFFAOYSA-N 2-amino-1-(2-fluorophenyl)ethanol Chemical compound NCC(O)C1=CC=CC=C1F MFGOFGRYDNHJ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RQKBLKVPFOOQJ-UHFFFAOYSA-N 2-amino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N)C(O)=O LRQKBLKVPFOOQ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EWFXBUNENSNBQ-UHFFFAOYSA-N 2-hydroxyacr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C)C(O)=O FEWFXBUNENSNB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PHOPMSGKZNELG-UHFFFAOYSA-N 2-hydroxynaphthalene-1-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O)O)=C(O)C=CC2=C1 UPHOPMSGKZNEL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ZUHIOJYCPIVLQ-UHFFFAOYSA-N 2-methylpentane-1,5-diamine Chemical compound NCC(C)CCCN JZUHIOJYCPIVL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IBOGIYPPWLDTI-UHFFFAOYSA-N 2-naphthyl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C2=CC(CC(=O)O)=CC=C21 VIBOGIYPPWLDT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LYSAKHOYBPSPC-UHFFFAOYSA-N 2-phenyl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C1=CC=CC=C1 ILYSAKHOYBPS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RMNZCZEMHIOCP-UHFFFAOYSA-N 2-phenylethanol Chemical compound OCCC1=CC=CC=C1 WRMNZCZEMHIOC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QJBNNIYVWPHFW-UHFFFAOYSA-N 20:1omega9c fatty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LQJBNNIYVWPH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WPZKOJSYQZABD-UHFFFAOYSA-N 3,4,5-trimethoxybenzoic acid Natural products COC1=CC(OC)=CC(C(O)=O)=C1 IWPZKOJSYQZAB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OBWGJURQZVUTK-UHFFFAOYSA-N 3,5-bis(ethoxycarbonyl)benzenesulfonic acid;sodium Chemical compound [Na].CCOC(=O)C1=CC(C(=O)OCC)=CC(S(O)(=O)=O)=C1 BOBWGJURQZVU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MVOQQDNEYOJOK-UHFFFAOYSA-N 3,5-dimethyl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CC(C(O)=O)=C1 UMVOQQDNEYOJO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JBDUOMQLFKVQC-UHFFFAOYSA-N 3-(2-hydroxyphenyl)prop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1=CC=CC=C1O CJBDUOMQLFKVQ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TWZLMBMUOYYFQ-UHFFFAOYSA-N 3-(hydroxymethyl)bicyclo[2.2.1]hept-2-ene-4-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2(C(O)=O)C(CO)=CC1C2 HTWZLMBMUOYY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YOLELPCNDVZKZ-UHFFFAOYSA-N 3-hydroxy-3-phenylpropi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1=CC=CC=C1 AYOLELPCNDVZK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HSXTWFYRGOBGO-UHFFFAOYSA-N 3-methylsalic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C(C(O)=O)=C1O WHSXTWFYRGOBG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SSYVKMJJLDTKZ-UHFFFAOYSA-N 3-phenyl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2C=CC=CC=2)=C1C(O)=O HSSYVKMJJLDTK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LBLWEWZXPIGSM-UHFFFAOYSA-N 4-Aminophenyl ether Chemical compound C1=CC(N)=CC=C1OC1=CC=C(N)C=C1 HLBLWEWZXPIGS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DBZTOMUANOKRT-UHFFFAOYSA-N 4-[2-(4-aminocyclohexyl)propan-2-yl]cyclohexan-1-amine Chemical compound C1CC(N)CCC1C(C)(C)C1CCC(N)CC1 BDBZTOMUANOK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IDAJRNSZSFFCB-UHFFFAOYSA-N 4-amino-5-methoxy-2-methylbenzenesulfonamide Chemical compound COC1=CC(S(N)(=O)=O)=C(C)C=C1N IIDAJRNSZSFFC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ZFMOKQJFYMBGY-UHFFFAOYSA-N 4-hydroxy-TEMPO Chemical compound CC1(C)CC(O)CC(C)(C)N1[O] UZFMOKQJFYMB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JKROLUGYXJWQN-UHFFFAOYSA-N 4-hydroxy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O)C=C1 FJKROLUGYXJW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43 4-hydroxybenzyl group Chemical group [H]C([*])([H])C1=C([H])C([H])=C(O[H])C([H])=C1[H] 0.000 description 1
- SJZRECIVHVDYJC-UHFFFAOYSA-N 4-hydroxybutyric acid Chemical compound OCCCC(O)=O SJZRECIVHVDY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EYHEAKUIGZSGI-UHFFFAOYSA-N 4-methoxy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COC1=CC=C(C(O)=O)C=C1 ZEYHEAKUIGZSG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CYVEMRRCGMTRW-UHFFFAOYSA-N 7553-56-2 Chemical group [I] ZCYVEMRRCGMTR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SBYPNXLFMSGKH-UHFFFAOYSA-N 9-Heptadecensaeur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O)=O QSBYPNXLFMSG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30185605 Bisphen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PELXLSAUQHCOX-UHFFFAOYSA-M Bromide Chemical compound [Br-] CPELXLSAUQHCOX-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WKBOTKDWSSQWDR-UHFFFAOYSA-N Bromine atom Chemical group [Br] WKBOTKDWSSQWD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XDHJXZQYSOELW-UHFFFAOYSA-N Carbamic acid Chemical class NC(O)=O KXDHJXZQYSOE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EWJPZIEWOKRBE-JCYAYHJZSA-N Dextrotart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H](O)C(O)=O FEWJPZIEWOKRBE-JCYAYHJZ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IICEJLVQHRZGT-UHFFFAOYSA-N Ethylenediamine Chemical compound NCCN PIICEJLVQHRZ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1000576320 Homo sapiens Max-binding protein MNT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YHQOLUKZRVURQ-HZJYTTRNSA-N Lin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OYHQOLUKZRVURQ-HZJYTTRNSA-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BHQCJILTOVLHD-YVMONPNESA-N Mirin Chemical compound S1C(N)=NC(=O)\C1=C\C1=CC=C(O)C=C1 YBHQCJILTOVLHD-YVMONPNESA-N 0.000 description 1
- YJLYANLCNIKXMG-UHFFFAOYSA-N N-Methyldioctylam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N(C)CCCCCCCC YJLYANLCNIKXM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IHKGAZZIDXOAT-UHFFFAOYSA-N NCC12CCCCC2(CCCC1)CN Chemical compound NCC12CCCCC2(CCCC1)CN IIHKGAZZIDXOA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LUJQPXNXACGAN-UHFFFAOYSA-N O-methylsalicylic acid Chemical compound COC1=CC=CC=C1C(O)=O ILUJQPXNXACGA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642 O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UHFFFAOYSA-N 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PYHHZQJCSQRJY-UHFFFAOYSA-N Phloroglucin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C1=C(O)C=C(O)C=C1O JPYHHZQJCSQRJ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21 Polyxylylene adip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19 Potassium phosph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MHLLURERBWHNL-UHFFFAOYSA-M Sod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Na+].CC([O-])=O VMHLLURERBWHN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FEWJPZIEWOKRBE-UHFFFAOYSA-N Tartaric acid Natural products [H+].[H+].[O-]C(=O)C(O)C(O)C([O-])=O FEWJPZIEWOKRB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PWNSTTVSOUHRP-UHFFFAOYSA-N [1-(aminomethyl)naphthalen-2-yl]m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N)C(CN)=CC=C21 WPWNSTTVSOUH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IMQCDZDWXUDCA-UHFFFAOYSA-N [4-(hydroxymethyl)cyclohexyl]methanol Chemical compound OCC1CCC(CO)CC1 YIMQCDZDWXUDC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XARBJYWULBDTF-UHFFFAOYSA-N [Ca].OC(=O)c1cc(cc(c1)S(O)(=O)=O)C(O)=O.OC(=O)c1cc(cc(c1)S(O)(=O)=O)C(O)=O Chemical compound [Ca].OC(=O)c1cc(cc(c1)S(O)(=O)=O)C(O)=O.OC(=O)c1cc(cc(c1)S(O)(=O)=O)C(O)=O LXARBJYWULBDT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87 absorbed dos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252 ac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4 alkalin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42 alkaline earth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42 alk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545 alk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14 alkyl thio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BJEPYKJPYRNKOW-UHFFFAOYSA-N alpha-hydroxysuccinic acid Natural products OC(=O)C(O)CC(O)=O BJEPYKJPYRNK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TOSIQBPPRVQHS-PDBXOOCHSA-N alpha-linole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DTOSIQBPPRVQHS-PDBXOOCH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61 alpha-linole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ZDRQVAHHNSJOQ-UHFFFAOYSA-N alumane Chemical class [AlH3] AZDRQVAHHNSJO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CTBMLYLENLHLA-UHFFFAOYSA-N aminomethyl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NCC1=CC=C(C(O)=O)C=C1 QCTBMLYLENLHL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375 aminomethylbenzo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8905 antimony compound for treatment of leishmaniasis and trypanosomiasis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63 antimony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984 aromatic di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110 aryl thio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QFNNDGVVMCZKEY-UHFFFAOYSA-N azacyclododecan-2-one Chemical compound O=C1CCCCCCCCCCN1 QFNNDGVVMCZKE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HIBEYMUALDAQI-UHFFFAOYSA-N benzylphosphinic acid Chemical compound OP(=O)CC1=CC=CC=C1 PHIBEYMUALDAQ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0 bery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TBAMAFKBVZNFJ-UHFFFAOYSA-N beryllium atom Chemical compound [Be] ATBAMAFKBVZNF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14055 beta-resorcy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50011260 betanaphthol Drugs 0.000 description 1
- IHWUGQBRUYYZNM-UHFFFAOYSA-N bicyclo[2.2.1]hept-2-ene-3,4-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2(C(O)=O)C(C(=O)O)=CC1C2 IHWUGQBRUYYZ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8 bifun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267 biph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OAIGCHJWKDIPJ-UHFFFAOYSA-M caes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Cs+].CC([O-])=O ZOAIGCHJWKDIP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HUCVOHYBFXVBRW-UHFFFAOYSA-M caes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OH-].[Cs+] HUCVOHYBFXVBR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309 chloro group Chemical group Cl*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37 co-mo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1182 cobalt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HWVKIRQMNIWOLT-UHFFFAOYSA-L cobalt(2+);octanoate Chemical compound [Co+2].CCCCCCCC([O-])=O.CCCCCCCC([O-])=O HWVKIRQMNIWOLT-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QAHREYKOYSIQPH-UHFFFAOYSA-L cobalt(II) acetate Chemical compound [Co+2].CC([O-])=O.CC([O-])=O QAHREYKOYSIQPH-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34 co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9 coul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093 cyano group Chemical group *C#N 0.000 description 1
- SFVWPXMPRCIVOK-UHFFFAOYSA-N cyclododeca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CCCCCC1 SFVWPXMPRCIVO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YQADNCHXSEGJT-UHFFFAOYSA-N cyclohexane-1,1-dicarboxylate;hydron Chemical compound OC(=O)C1(C(O)=O)CCCCC1 QYQADNCHXSEG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SAWQNUELGIYBC-UHFFFAOYSA-N 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C(O)=O QSAWQNUELGIY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SDSKERRNURGGO-UHFFFAOYSA-N cyclohexane-1,3,5-triol Chemical compound OC1CC(O)CC(O)C1 FSDSKERRNURGG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EQHKFFSPGPGLN-UHFFFAOYSA-N cyclohexane-1,3-di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C(N)C1 GEQHKFFSPGPGL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BZSBBLNHFMTEB-UHFFFAOYSA-N cyclohexane-1,3-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O)=O)C1 XBZSBBLNHFMT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KIRRGRTJUUZHS-UHFFFAOYSA-N cyclohexane-1,4-di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N)CC1 VKIRRGRTJUUZ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EIOBOXBGYWJIT-UHFFFAOYSA-N cyclohexane;methanol Chemical compound OC.OC.C1CCCCC1 VEIOBOXBGYWJ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YQLZOAVZWJBZSY-UHFFFAOYSA-N decane-1,10-diamine Chemical compound NCCCCCCCCCCN YQLZOAVZWJBZS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HVNFZFCNZKVNT-UHFFFAOYSA-N 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O)=O GHVNFZFCNZKVN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4 desic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ZEGPPPCKHRYGO-UHFFFAOYSA-N diethoxyphosphorylbenzene Chemical compound CCOP(=O)(OCC)C1=CC=CC=C1 VZEGPPPCKHRYG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JIPHXXDPROMEF-UHFFFAOYSA-N dihydroxyphosphanyl dihydrogen phosphite Chemical compound OP(O)OP(O)O ZJIPHXXDPROME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EJILVUPOQKKFM-UHFFFAOYSA-L dilithium;5-sulfobenzene-1,3-di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Li+].[Li+].OS(=O)(=O)C1=CC(C([O-])=O)=CC(C([O-])=O)=C1 DEJILVUPOQKKFM-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GOJNABIZVJCYFL-UHFFFAOYSA-N dimethylphosphinic acid Chemical compound CP(C)(O)=O GOJNABIZVJCYF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LZHNIAADXEJJP-UHFFFAOYSA-L dioxido-oxo-phenyl-$l^{5}-phosphane Chemical compound [O-]P([O-])(=O)C1=CC=CC=C1 QLZHNIAADXEJJ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PBOFFNYRKURMFP-UHFFFAOYSA-L dipotassium;5-sulfobenzene-1,3-di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K+].[K+].OS(=O)(=O)C1=CC(C([O-])=O)=CC(C([O-])=O)=C1 PBOFFNYRKURMF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YXXXKCDYKKSZHL-UHFFFAOYSA-M dipotassium;dioxido(oxo)phosphanium Chemical compound [K+].[K+].[O-][P+]([O-])=O YXXXKCDYKKSZH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WCPNHDCBQKJBDD-UHFFFAOYSA-L dipotassium;ethyl-dioxido-oxo-$l^{5}-phosphane Chemical compound [K+].[K+].CCP([O-])([O-])=O WCPNHDCBQKJBD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0 electro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050 ester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86 est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MWQBWSPPTQGZII-UHFFFAOYSA-N ethoxy(phenyl)phosphinic acid Chemical compound CCOP(O)(=O)C1=CC=CC=C1 MWQBWSPPTQGZI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ATNOFPXSDHULC-UHFFFAOYSA-N ethylphosphonic acid Chemical compound CCP(O)(O)=O GATNOFPXSDHU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4391 gal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515 gal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51 gamma r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91 germanium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YBMRDBCBODYGJE-UHFFFAOYSA-N germ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Ge]=O YBMRDBCBODYGJ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843 halogen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60 heat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WSKHLMYTZNYKO-UHFFFAOYSA-N heptane-1,7-diamine Chemical compound NCCCCCCCN PWSKHLMYTZNYK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XMIOPMDWAUFGU-UHFFFAOYSA-N hexane-1,6-diol Chemical compound OCCCCCCO XXMIOPMDWAUFG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AMYCKUDTNLASP-UHFFFAOYSA-N hexane-2,2-diol Chemical compound CCCCC(C)(O)O SAMYCKUDTNLAS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029 hydroxymethyl group Chemical group [H]OC([H])([H])* 0.000 description 1
- 229950006430 hydroxytolu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ZQLCWPXBHUALQC-UHFFFAOYSA-N hydroxytoluic acid Natural products CC1=CC=C(C(O)=O)C=C1O ZQLCWPXBHUALQ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63 impact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03 injection stretch blow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YAQXGBBDJYBXKL-UHFFFAOYSA-N iron(2+);1,10-phenanthroline;dicyanide Chemical compound [Fe+2].N#[C-].N#[C-].C1=CN=C2C3=NC=CC=C3C=CC2=C1.C1=CN=C2C3=NC=CC=C3C=CC2=C1 YAQXGBBDJYBXK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959 iso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H])C([H])([H])* 0.000 description 1
- QXJSBBXBKPUZAA-UHFFFAOYSA-N iso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QXJSBBXBKPUZ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1 light stabilis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8 linole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HQOLUKZRVURQ-IXWMQOLASA-N lin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YHQOLUKZRVURQ-IXWMQOLA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488 linole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KQQKGWQCNNTQJW-UHFFFAOYSA-N linolen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KQQKGWQCNNTQJ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IXADJRWDQXREU-UHFFFAOYSA-M lith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Li+].CC([O-])=O XIXADJRWDQXREU-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PSDUZXPYCFOSQ-UHFFFAOYSA-N m-tolu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C(C(O)=O)=C1 GPSDUZXPYCFOS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30 ma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90 ma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RTWNYYOXLSILQN-UHFFFAOYSA-N methanediamine Chemical compound NCN RTWNYYOXLSIL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372 methylthio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SC([H])([H])C([H])([H])*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8 mo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62 monocarbox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63 monocarboxy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EMHFKXPOCTAIP-UHFFFAOYSA-N n,n-dimethyl-n'-phenylcarbamimido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N(C)C(Cl)=NC1=CC=CC=C1 GEMHFKXPOCTA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QEPLUUGTLDZJY-UHFFFAOYSA-N n-Pentadeca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O)=O WQEPLUUGTLDZJ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HDRADPXNRULGA-UHFFFAOYSA-N naphthalene-1,3-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C2=CC(C(=O)O)=CC(C(O)=O)=C21 CHDRADPXNRULG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LAPPGSPBNVTRF-UHFFFAOYSA-N naphthalene-1,4,5,8-tetra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O)=O)=C2C(C(=O)O)=CC=C(C(O)=O)C2=C1C(O)=O OLAPPGSPBNVT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FFZOPXDTCDZDP-UHFFFAOYSA-N naphthalene-1,5-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O)O)=CC=CC2=C1C(O)=O DFFZOPXDTCDZD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AWFFNJAPKXVPH-UHFFFAOYSA-N naphthalene-1,6-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2=CC(C(=O)O)=CC=C21 VAWFFNJAPKXVP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SKSILUXAHIKNP-UHFFFAOYSA-N naphthalene-1,7-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C(O)=O)C2=CC(C(=O)O)=CC=C21 JSKSILUXAHIK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RRDCWDFRIJIQZ-UHFFFAOYSA-N naphthalene-1,8-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O)=O)=C2C(C(=O)O)=CC=CC2=C1 HRRDCWDFRIJI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HARCSTZAGNHOT-UHFFFAOYSA-N naphthalene-2,3-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C(O)=O)C(C(=O)O)=CC2=C1 KHARCSTZAGNHO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609 naphthenat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23 nit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449 nitro group Chemical group [O-][N+](*)=O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3 nitrogen atom Chemical group N* 0.000 description 1
- ZWLPBLYKEWSWPD-UHFFFAOYSA-N o-tolu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C=C1C(O)=O ZWLPBLYKEWSWP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TLDLKLSNZMTTA-UHFFFAOYSA-N octahydro-1h-4,7-methanoindene-1,5-diyldimethanol Chemical compound C1C2C3C(CO)CCC3C1C(CO)C2 OTLDLKLSNZMT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474 octanoate group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KTKRTIGZSA-N 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KTKRTIGZ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13 ole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55577 oleyl alcohol Drugs 0.000 description 1
- XMLQWXUVTXCDDL-UHFFFAOYSA-N oleyl alcoh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 XMLQWXUVTXCD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524 organometal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VADDRMAFCOOPC-UHFFFAOYSA-N oxogermanium Chemical compound [Ge]=O PVADDRMAFCOO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0 oxygen atom Chemical group O*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VDDGKGOMKODPV-ZQBYOMGUSA-N phenyl(114C)methanol Chemical compound O[14CH2]C1=CC=CC=C1 WVDDGKGOMKODPV-ZQBYOMGUSA-N 0.000 description 1
- QCDYQQDYXPDABM-UHFFFAOYSA-N phloroglucinol Chemical compound OC1=CC(O)=CC(O)=C1 QCDYQQDYXPDA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17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13 phosphor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OJMIONKXNSYLSR-UHFFFAOYSA-N phosphorous acid Chemical class OP(O)O OJMIONKXNSYLS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22 phtha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XUWHAWMETYGRKB-UHFFFAOYSA-N piperidin-2-one Chemical compound O=C1CCCCN1 XUWHAWMETYGRK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51 polyprop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56 potassium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9 potent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60 propio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UVKMZGDUIUOCP-BTNSXGMBSA-N quinbolone Chemical compound O([C@H]1CC[C@H]2[C@H]3[C@@H]([C@]4(C=CC(=O)C=C4CC3)C)CC[C@@]21C)C1=CCCC1 IUVKMZGDUIUOCP-BTNSXGMB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FOGKDYADEBOSPL-UHFFFAOYSA-M rubidium(1+);acetate Chemical compound [Rb+].CC([O-])=O FOGKDYADEBOSP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14 sec-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C([H])([H])[H]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0 silic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32 sodium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281 sodium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UKXIHEBXRGRYQF-UHFFFAOYSA-N sodium;2,2,2-trifluoro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Na].OC(=O)C(F)(F)F UKXIHEBXRGRYQ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LHSEQCZSNZLRI-UHFFFAOYSA-M sodium;3,5-bis(methoxycarbonyl)benzenesulfonate Chemical compound [Na+].COC(=O)C1=CC(C(=O)OC)=CC(S([O-])(=O)=O)=C1 LLHSEQCZSNZLRI-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IYYIUOWKEMQYNV-UHFFFAOYSA-N sodium;ethoxy-oxido-oxophosphanium Chemical compound [Na+].CCO[P+]([O-])=O IYYIUOWKEMQY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0 sol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1 standar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2 stront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CIOAGBVUUVVLOB-UHFFFAOYSA-N strontium atom Chemical compound [Sr] CIOAGBVUUVVLO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054 sulfonate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67 sulfur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75 tart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906 tart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TUNFSRHWOTWDNC-HKGQFRNVSA-N tetr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14C](O)=O TUNFSRHWOTWDNC-HKGQFRNV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96 thiol group Chemical group [H]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48 ti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WKBMOUUGHARTI-UHFFFAOYSA-N tricalcium;diphosphi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P([O-])[O-] XWKBMOUUGHART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DZBKCUKTQZUTL-UHFFFAOYSA-N triethyl phosphite Chemical compound CCOP(OCC)OCC BDZBKCUKTQZUT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VLLSGMXQDNUAL-UHFFFAOYSA-N triphenyl phosphite Chemical compound C=1C=CC=CC=1OP(OC=1C=CC=CC=1)OC1=CC=CC=C1 HVLLSGMXQDNUA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CPXQVVMIXIKTN-UHFFFAOYSA-N trisodium;phosphite Chemical compound [Na+].[Na+].[Na+].[O-]P([O-])[O-] NCPXQVVMIXIK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05 unsaturated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4—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for curing or vulcanising preform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 B32B1/0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04—Sterilising wrappers or receptacle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B65B55/08—Sterilising wrappers or receptacle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by irradi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2/00—Resin or rubber layer comprising scrap, waste or recycl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4—Crystalli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4—Oxygen barri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60—Bott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 수지(X)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층을 갖고, 최내층이 폴리에스테르층이며, 또한,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Y)는,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고, 이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70몰% 이상이 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이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70몰% 이상이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전체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리아미드층이 내표면으로부터 5~35%의 위치부터 존재하고, 또한, 폴리아미드층의 두께가 1~15%인, 다층용기.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층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투명성, 기계적 특성, 용융안정성, 리사이클성 등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갖는 점에서, 현재, 필름, 시트, 중공용기 등의 각종 포장재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보틀용도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만으로 이루어지는 중공용기에서는, 탄산가스, 산소 등에 대한 가스배리어성이 반드시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이에, 종래부터, 외층과 내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고, 상기 외층과 내층의 사이에,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 수지로부터 형성되는 배리어층을 갖는 다층체나 다층용기가 검토되고 있다(특허문헌 1~3).
폴리아미드 수지로서, 메타자일릴렌디아민과 아디프산으로 구성되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이용한 경우, 산소배리어성이 우수한 다층용기가 얻어지는데,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부터 형성되는 내층이나 외층과, 배리어층(중간층)이,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층간박리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산소배리어성을 향상시키면서, 내층간박리성이 우수한 다층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의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층과, 폴리에스테르층을 갖는 다층용기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층의 존재위치, 및 폴리아미드층의 두께를 특정의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의 과제가 해결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하의 〔1〕~〔11〕을 제공한다.
〔1〕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 수지(Y)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층을 갖고, 최내층이 폴리에스테르층이며, 또한,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Y)가,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고, 이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70몰% 이상이 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이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70몰% 이상이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폴리아미드 수지(Y-1)를 포함하고, 전체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리아미드층이 내표면으로부터 5~35%의 위치부터 존재하고, 또한, 폴리아미드층의 두께가 1~15%인, 다층용기.
〔2〕 다층용기의 전체의 두께가 50~500μm인, 〔1〕에 기재된 다층용기.
〔3〕 다층용기가, 폴리아미드층의 내측 및 외측에 적어도 1층씩의 폴리에스테르층을 갖는, 〔1〕 또는 〔2〕에 기재된 다층용기.
〔4〕 다층용기가, 최내층 및 최외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층을 갖고,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는 3층구조인, 〔1〕 또는 〔2〕에 기재된 다층용기.
〔5〕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가,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고, 이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50몰% 이상이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또한, 이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50몰% 이상이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1)를 함유하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층용기.
〔6〕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1)가,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고, 이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90몰% 이상이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또한, 이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90몰% 이상이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5〕에 기재된 다층용기.
〔7〕 폴리아미드 수지(Y-1)가,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고, 이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80몰% 이상이 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또한, 이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80몰% 이상이 아디프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층용기.
〔8〕 폴리아미드층이, 실질적으로 천이금속을 함유하지 않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층용기.
〔9〕 용기내부로부터 전자선조사된,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층용기.
〔10〕 폴리아미드층의 라디칼농도가 1.0×10-7mol/g 이상인,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층용기.
〔11〕 하기 공정1 및 공정2를 이 순으로 포함하는,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공정1: 최내층이 폴리에스테르층이며, 또한,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는 다층용기성형체를 얻는 공정
공정2: 상기 다층용기성형체의 내부로부터 전자선을 조사하는 공정
본 발명에 따르면, 산소배리어성을 향상시키면서, 내층간박리성이 우수한 다층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콜드패리슨성형의 각 공정을 나타내는 개념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B」의 기재는, 「A 이상 B 이하」(A<B인 경우), 또는, 「A 이하 B 이상」(A>B인 경우)을 나타낸다. 즉, 단점(端点)인 A 및 B를 포함하는 수치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질량부 및 질량%는, 각각, 중량부 및 중량%와 동의이다.
[다층용기]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 수지(X)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층을 갖고, 최내층이 폴리에스테르층이며, 또한,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Y)가,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고, 이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70몰% 이상이 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이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70몰% 이상이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폴리아미드 수지(Y-1)를 포함하고, 전체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리아미드층이 내표면으로부터 5~35%의 위치부터 존재하고, 또한, 폴리아미드층의 두께가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 수지(Y)로서, 특정의 폴리아미드 수지(Y-1)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층을 갖고, 최내층이 폴리에스테르층이며, 또한,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는 다층용기에 있어서, 전체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리아미드층이 내표면으로부터 5~35%의 위치부터 존재하고, 또한, 폴리아미드층의 두께가 전체두께의 1~15%이도록 폴리아미드층을 배치함으로써, 우수한 산소배리어성 및 내층간박리성이 우수한 다층용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의 효과가 얻어지는 기구로서, 이하와 같이 추정된다.
종래는, 전체두께의 중앙부부근에, 가스배리어성을 갖는 특정의 폴리아미드 수지(Y-1)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층을 배치하는 것이 행해져 왔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폴리아미드층을 다층용기의 내표면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내용물에 가까운 위치에 배리어층이 존재하게 되고, 그 이유는 명백하지는 않으나, 놀랍게도, 보다 산소배리어성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배리어층을 내측에 가까이 함으로써, 배리어층이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블로우성형시에 두께방향으로 연신거리가 길어지므로, 배리어층의 연신배율이 높아지고, 보다 분자가 배향되어 분자간의 공극이 메워짐으로써, 보다 높은 산소배리어성이 얻어졌다고도 생각된다. 또한, 층간박리는, 외부로부터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야기되는데, 폴리아미드층으로부터 외표면까지의 거리가 길어지는 것의 영향은, 예상을 뛰어넘는 것이며,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층의 계면이, 내표면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흡수되어, 계면에 충격이 전달되기 어렵게 되고, 결과로서 내층간박리성이 향상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상기의 산소배리어성 및 내층간박리성은, 다층용기의 내부로부터 전자선조사함으로써, 보다 향상되는 것도 명백해졌다. 또한, 특정의 라디칼농도를 갖는 다층용기가, 산소배리어성 및 내층간박리성이 우수한 것도 명백해졌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폴리에스테르층>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을 가진다. 폴리에스테르층은, 적어도 다층용기의 최내층이며, 최내층의 폴리에스테르층은, 폴리아미드층과 직접적으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
폴리에스테르층이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이하, 간단히 「폴리에스테르 수지(X)」라고도 한다.)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X)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서도, 열가소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다. 한편,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중에는, 열경화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도 존재한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로는, 디카르본산과 디올과의 중축합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하, 「디카르본산단위」라고도 한다.)로는, 방향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가 바람직하게 예시되고, 또한,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하, 「디올단위」이라고도 한다.)로는, 지방족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가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한편, 디카르본산으로서, 디카르본산에 더하여, 디카르본산의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는, 디카르본산의 탄소수 1~4의 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방향족 디카르본산으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비페닐디카르본산,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본산, 디페닐설폰-디카르본산, 디페닐케톤-디카르본산,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 1,4-나프탈렌디카르본산 및 2,7-나프탈렌디카르본산 등을 들 수 있고,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본산, 및 4,4’-비페닐디카르본산이 바람직하고,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이 보다 바람직하고, 테레프탈산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족 디카르본산으로서, 방향족 디카르본산의 탄소수 1~4의 알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방향족 디카르본산으로서, 설포프탈산, 설포프탈산금속염도 들 수 있다. 설포프탈산 또는 설포프탈산금속염은, 각각, 하기 식(I) 또는 (I’)로 표시된다.
[화학식 1]
상기 식(I’) 중, M은, 금속원자이다. n은 M의 원자가를 나타낸다.
M의 금속원자로는, 예를 들어,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베릴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등의 알칼리토류금속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칼리금속이 바람직하고, 나트륨 또는 리튬이 바람직하고, 나트륨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n이 2 이상인 경우는, M을 개재하여 다른 단위(예를 들어 다른 설포프탈산단위 또는 설포프탈산금속염단위에 있어서의 설포기)와 가교될 수 있다.
상기 식(I) 및 (I’) 중, RA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아릴기이다. m은 0~3의 정수를 나타낸다. 한편, m이 2 또는 3일 때, 각각의 RA는,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t-부틸기, n-옥틸기, 2-에틸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탄소수 1~6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4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아릴기로는, 예를 들어,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탄소수 6~12의 아릴기가 바람직하고, 페닐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기 및 아릴기가 가질 수도 있는 치환기로는, 예를 들어,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원자 등의 할로겐원자,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시아노기, 수산기, 니트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실기, 아미노기, 메르캅토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기 중에서 수소원자를 갖는 것은, 추가로 상술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RA의 구체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t-부틸기, 1-메틸프로필기, 2-메틸프로필기, 하이드록시메틸기, 1-하이드록시에틸기, 메르캅토메틸기, 메틸티오에틸기, 페닐기, 나프틸기, 비페닐기, 벤질기, 4-하이드록시벤질기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메틸기, 에틸기, 벤질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I) 및 (I’) 중, RB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RA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은데, 폴리에스테르 수지(X)에 사용되는 설포프탈산 또는 설포프탈산금속염으로는, m=0, 즉 벤젠환이 RA에 의해 치환되지 않은, 각각 하기 식(Ia) 또는 (I’a)로 표시되는 단위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2]
상기 식(Ia) 중, RB는, 상기 식(I)에 있어서의 RB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식(I’a) 중, RB, M, 및 n은, 상기 식(I’)에 있어서의 RB, M, 및 n과 동일하다.
나아가, 상기 식(Ia)로 표시되는 설포프탈산, 또는 상기 식(I’a)로 표시되는 설포프탈산금속염으로는, 2개의 -CO-가 오르토위치에 결합한 프탈산구조, 메타위치에 결합한 이소프탈산구조 및 파라위치에 결합한 테레프탈산구조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이소프탈산구조가 바람직하다. 즉, 하기 식(Ib)로 표시되는 설포이소프탈산, 및 하기 식(I’b)로 표시되는 설포이소프탈산금속염의 적어도 일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상기 식(Ib) 중, RB는, 상기 식(I)에 있어서의 RB와 동일하다.
상기 식(I’b) 중, RB, M, 및 n은, 상기 식(I’)에 있어서의 RB, M, 및 n과 동일하다.
설포이소프탈산 또는 설포이소프탈산금속염 중의 설포기의 위치로는, 2, 4, 5, 6위치를 취할 수 있는데, 하기 식(Ic) 또는 (I’c)로 표시되는 5위치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
상기 식(Ic) 중, RB는, 상기 식(I)에 있어서의 RB와 동일하다.
상기 식(I’c) 중, RB, M, 및 n은, 상기 식(I’)에 있어서의 RB, M, 및 n과 동일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X) 중, 상기 식(Ic) 또는 식(I’c)로 표시되는 설포이소프탈산 또는 설포이소프탈산금속염으로는, 예를 들어, 5-설포이소프탈산, 5-설포이소프탈산나트륨, 5-설포이소프탈산리튬, 5-설포이소프탈산칼륨, 비스(5-설포이소프탈산)칼슘, 5-설포이소프탈산디메틸나트륨, 5-설포이소프탈산디에틸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X)가 설포프탈산 및 설포프탈산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함유하는 경우, 적어도 설포프탈산금속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의 설포프탈산 및 설포프탈산금속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은,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전체의 바람직하게는 0.01~15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10.0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5.0몰%이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2.0몰%이다.
또한, 지방족 디올로는, 에틸렌글리콜, 2-부텐-1,4-디올,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메틸펜탄디올 및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직쇄 또는 분지구조를 갖는 지방족 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이소소비드, 스피로글리콜, 2,2,4,4-테트라메틸-1,3-시클로부탄디올, 노보넨디메탄올 및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등의 지환식 디올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 바람직하고, 에틸렌글리콜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로서, 지환식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지환식 디올로는,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이소소비드, 스피로글리콜, 및 2,2,4,4-테트라메틸-1,3-시클로부탄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지환식 디올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환식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50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30몰%이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25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로는,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디카르본산단위)의 50몰% 이상이 방향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또한,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디올단위)의 50% 이상이 지방족 디올에서 유래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카르본산단위의 50몰% 이상이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또한, 디올단위의 50몰% 이상이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1)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1)는, 디카르본산단위의 80몰% 이상이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또한, 디올단위의 80몰% 이상이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디카르본산단위의 90몰% 이상이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또한, 디올단위의 90몰% 이상이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디카르본산단위의 50몰% 이상이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또한, 디올단위의 50몰% 이상이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1)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라고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카르본산단위 중에 차지하는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비율을 50몰% 이상으로 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비정질이 되기 어렵고, 그 때문에, 다층용기는, 그 내부에 고온인 것을 충전할 때 등에 열수축되기 어려워지고, 내열성이 양호해진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1))를 사용하는 경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단체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더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외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 전량에 대하여 80~10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00질량% 함유된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스테르 수지(X-1))의 바람직한 태양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 에틸렌글리콜 이외의 이관능성 화합물유래의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는데, 그 이관능성 화합물로는, 테레프탈산 및 에틸렌글리콜 이외의 상기한 방향족 디카르본산 및 지방족 디올, 그리고 방향족 디카르본산, 지방족 디올 이외의 이관능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때, 테레프탈산, 에틸렌글리콜 이외의 이관능성 화합물유래의 구성단위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구성단위의 총몰에 대하여, 20몰%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이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외의 경우에도, 지방족 디올, 방향족 디카르본산, 이외의 이관능성 화합물유래의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지방족 디올, 방향족 디카르본산 이외의 이관능성 화합물로는, 지방족 디올 이외의 지방족 이관능성 화합물, 방향족 디카르본산 이외의 방향족 이관능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디올 이외의 지방족 이관능성 화합물로는, 직쇄 또는 분지의 지방족 이관능성 화합물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말론산, 석신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및 세바스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본산; 10-하이드록시옥타데카노일산, 유산, 하이드록시아크릴산, 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온산 및 하이드록시부틸산 등의 지방족 하이드록시카르본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지방족 이관능성 화합물은, 지환식 이관능성 화합물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노보넨디카르본산 및 트리시클로데칸디카르본산 등의 지환식 디카르본산; 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카르본산, 하이드록시메틸노보넨카르본산 및 하이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데칸카르본산 등의 지환식 하이드록시카르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바람직한 지환식 이관능성 화합물로는, 1,2-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및 1,4-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지환식 이관능성 화합물유래의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제조가 용이하며, 또한, 다층용기의 낙하충격강도나 투명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것 중,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는, 용이하게 입수가능하며 높은 낙하충격강도가 얻어지는 점에서, 1,4-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디카르본산 이외의 방향족 이관능성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구체예로는, 하이드록시안식향산, 하이드록시톨루산, 하이드록시나프토산, 3-(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및 3-하이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 등의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본산; 그리고 비스페놀 화합물 및 하이드로퀴논화합물 등의 방향족 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 이외의 방향족 디카르본산유래의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방향족 디카르본산은,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본산, 및 4,4’-비페닐디카르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비용이 낮고, 또한, 이들 중 1종을 포함하는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제조가 용이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이들 방향족 디카르본산유래의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방향족 디카르본산유래의 구성의 비율은, 디카르본산단위의 1~2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몰%이다.
이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방향족 디카르본산으로는,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본산을 들 수 있고, 이소프탈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소프탈산유래의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성형성이 우수하고, 또한, 결정화속도가 늦어짐으로써, 성형품의 백화를 방지한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나프탈렌디카르본산유래의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수지의 유리전이점을 상승시키고, 내열성이 향상되는데다가, 자외선을 흡수하므로, 자외선에 대하여 내성이 요구되는 다층용기의 제조에 호적하게 사용된다. 한편, 나프탈렌디카르본산으로는,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성분이, 제조가 용이하며 경제성이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에틸렌글리콜성분의 이량체이며,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소량 형성되는 소량의 디에틸렌글리콜부생성물단위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다층용기가 양호한 물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의 디에틸렌글리콜단위의 비율은, 극력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디에틸렌글리콜유래의 구성단위의 비율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전체구성단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몰%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몰% 이하이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는, 상술한 폴리에스테르 수지(X-1)에 더하여, 다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할 수도 있고, 다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디카르본산유래의 구성단위와, 디올유래의 구성단위로 구성되고, 상기 디카르본산유래의 구성단위의 80몰% 이상(바람직하게는 8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이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본산 및 그들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서 유래하고, 상기 디올유래의 구성단위의 5~60몰%(바람직하게는 15~60몰%)가 스피로글리콜에서 유래하고, 95~40몰%(바람직하게는 85~40몰%)가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X-2)를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X-2)는, 바람직하게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또한, 다른 비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다른 일례로는, 디카르본산유래의 구성단위와, 디올유래의 구성단위로 구성되고, 상기 디카르본산유래의 구성단위의 80몰% 이상(바람직하게는 8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이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본산 및 그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서 유래하고, 상기 디올유래의 구성단위의 90~10몰%(바람직하게는 85~40몰%)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에서 유래하고, 10~90몰%(바람직하게는 15~60몰%)가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X-3)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로는, 일본특허공개 2006-111718호 공보의 단락 0010~0021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일본특허공개 2017-105873호 공보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WO2013/168804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참작할 수 있고, 이들 내용은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는, 모노카르본산, 모노알코올 등의 단관능성 화합물유래의 구성단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안식향산, o-메톡시안식향산, m-메톡시안식향산, p-메톡시안식향산, o-메틸안식향산, m-메틸안식향산, p-메틸안식향산, 2,3-디메틸안식향산, 2,4-디메틸안식향산, 2,5-디메틸안식향산, 2,6-디메틸안식향산, 3,4-디메틸안식향산, 3,5-디메틸안식향산, 2,4,6-트리메틸안식향산, 2,4,6-트리메톡시안식향산, 3,4,5-트리메톡시안식향산, 1-나프토에산, 2-나프토에산, 2-비페닐카르본산, 1-나프탈렌아세트산 및 2-나프탈렌아세트산 등의 방향족 단관능성 카르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n-옥탄산, n-노난산, 미리스트산, 펜타데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산 및 리놀렌산 등의 지방족 모노카르본산; 벤질알코올, 2,5-디메틸벤질알코올, 2-페네틸알코올, 페놀, 1-나프톨 및 2-나프톨 등의 방향족 모노알코올; 부틸알코올, 헥실알코올, 옥틸알코올, 펜타데실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올레일알코올 및 시클로도데칸올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모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폴리에스테르제조의 용이성 및 이들의 제조비용의 관점에서, 안식향산, 2,4,6-트리메톡시안식향산, 2-나프토에산, 스테아르산 및 스테아릴알코올이 바람직하다. 단관능성 화합물유래의 구성단위의 비율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전체구성단위의 총몰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단관능성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분자쇄의 말단기 또는 분지쇄의 말단기 봉지로서의 기능하고, 그로 인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과도한 고분자량화를 억제하여, 겔화를 방지한다.
나아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는, 필요한 물성을 얻기 위해, 카르복시기, 하이드록시기 및 그들의 에스테르형성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개의 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을 공중합성분으로 할 수도 있다. 다관능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트리메스산, 트리멜리트산, 1,2,3-벤젠트리카르본산, 피로멜리트산 및 1,4,5,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본산 등의 방향족 폴리카르본산; 1,3,5-시클로헥산트리카르본산 등의 지환식 폴리카르본산; 1,3,5-트리하이드록시벤젠 등의 방향족 다가알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글리세린 및 1,3,5-시클로헥산트리올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다가알코올; 4-하이드록시이소프탈산, 3-하이드록시이소프탈산, 2,3-디하이드록시안식향산, 2,4-디하이드록시안식향산, 2,5-디하이드록시안식향산, 2,6-디하이드록시안식향산, 프로토카테츄산, 갈릭산 및 2,4-디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등의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본산; 주석산 및 사과산 등의 지방족 하이드록시카르본산; 및 그들의 에스테르체를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있어서의 다관능성 화합물유래의 구성단위의 비율은, 폴리에스테르의 전체구성단위의 총몰수에 대하여, 0.5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 중, 바람직한 다관능성 화합물로는, 반응성과 제조비용의 관점에서,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트리메스산,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펜타에리스리톨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제조에는, 공지의 방법인 직접에스테르화법이나 에스테르교환법을 적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시에 사용하는 중축합촉매로는, 공지의 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등의 안티몬 화합물, 산화게르마늄 등의 게르마늄 화합물, 염화알루미늄 등의 알루미늄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는데,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제조방법으로서, 긴 체류시간 및/또는 고온압출과 같은 방법으로, 상이한 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에스테르교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는, 재생폴리에스테르 수지, 혹은 사용완료 폴리에스테르 또는 공업리사이클완료 폴리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재료(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모노머, 촉매 및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수지를 병용할 수도 있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고유점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0.5~2.0dL/g, 보다 바람직하게는 0.6~1.5dL/g이다. 고유점도가 0.5dL/g 이상이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자량이 충분히 높으므로, 다층용기는 구조물로서 필요한 기계적 성질을 발현할 수 있다.
한편, 고유점도는, 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6/4질량비)혼합용매에, 측정대상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해하여 0.2, 0.4 및 0.6g/dL용액을 조제하고, 25℃에서 자동점도측정장치(말번제, Viscotek)에 의해 고유점도를 측정한 것이다.
<폴리아미드층>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폴리아미드 수지(Y)로서, 특정의 폴리아미드 수지(Y-1)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층을 갖는다. 이 폴리아미드층은, 중간층이다. 또한, 전체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리아미드층이 내표면으로부터 5~35%의 위치부터 존재하고, 또한, 폴리아미드층의 두께가 1~15%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층용기가 상기의 특정의 폴리아미드 수지(Y-1)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수지층을 가짐으로써, 다층용기에 높은 가스배리어성을 갖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외부로부터 용기벽을 통과하여 산소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놀랍게도, 특정의 위치에, 특정의 두께의 폴리아미드층을 배치함으로써, 보다 높은 산소배리어성을 발휘함과 함께, 폴리에스테르층과의 층간박리가 억제된다.
폴리아미드층이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수지(Y)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폴리아미드 수지(Y))
폴리아미드 수지(Y)는,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하, 「디아민단위」라고도 한다.)와,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하, 「디카르본산단위」라고도 한다.)를 갖고, 이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디아민단위)의 70몰% 이상이 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이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디카르본산단위)의 70몰% 이상이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폴리아미드 수지(Y-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Y-1)는,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디아민단위) 중, 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70몰% 이상 함유하고, 80~100몰%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100몰%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일릴렌디아민은, 메타자일릴렌디아민, 파라자일릴렌디아민, 또는 그 양방이 바람직하나, 메타자일릴렌디아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폴리아미드 수지를 구성하는 디아민단위는, 메타자일릴렌디아민유래의 구성단위를 50몰%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몰%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100몰%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0~100몰% 함유하는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디아민단위 중의 메타자일릴렌디아민유래의 구성단위가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폴리아미드 수지(Y-1)는 가스배리어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폴리아미드 수지(Y-1)에 있어서의 디아민단위는, 자일릴렌디아민유래의 구성단위만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는데, 자일릴렌디아민 이외의 디아민유래의 구성단위를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자일릴렌디아민 이외의 디아민으로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펜타메틸렌디아민, 2-메틸펜탄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헵타메틸렌디아민, 옥타메틸렌디아민, 노나메틸렌디아민, 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직쇄 또는 분지구조를 갖는 지방족 디아민;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3-디아미노시클로헥산, 1,4-디아미노시클로헥산,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2,2-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프로판, 비스(아미노메틸)데칼린, 비스(아미노메틸)트리시클로데칸 등의 지환식 디아민; 비스(4-아미노페닐)에테르, 파라페닐렌디아민, 비스(아미노메틸)나프탈렌 등의 방향환을 갖는 디아민류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아미드 수지(Y-1)에 있어서,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70몰% 이상이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다. 탄소수 4~20의 α,ω-직쇄상 지방족 디카르본산으로는, 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운데칸이산, 도데칸이산 등이 예시되고, 이들 중에서도, 아디프산, 세바스산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수지(Y-1)는,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 중,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70몰% 이상 함유하고, 80~100몰%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100몰%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수지(Y-1)에 있어서의 디카르본산단위는,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만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는데,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 이외의 구성단위를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 이외의 디카르본산으로는, 1,4-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등의 지환식 디카르본산; 다이머산 등의 기타 지방족 디카르본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자일릴렌디카르본산, 나프탈렌디카르본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본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Y-1)는, 디아민단위의 70몰% 이상이 자일릴렌디아민(바람직하게는, 메타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또한, 디카르본산단위의 70몰% 이상이 아디프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디아민단위의 80몰% 이상이 자일릴렌디아민(바람직하게는 메타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또한, 디카르본산단위의 80몰% 이상이 아디프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단위를 갖는 폴리아미드 수지(Y-1)는, 가스배리어성이 양호한데다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와 성형가공성이 근사하므로, 다층용기의 가공성이 양호하다. 이 폴리아미드 수지(Y-1)에 있어서는, 아디프산 이외의 디카르본산단위를 구성하는 화합물로는, 탄소수 4~20의 α,ω-직쇄상 지방족 디카르본산(단, 아디프산은 제외한다) 중 1종 이상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바람직한 폴리아미드 수지(Y-1)로는, 디아민단위의 70몰% 이상이 자일릴렌디아민(바람직하게는 메타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디카르본산단위의 70~99몰%가 아디프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또한, 1~30몰%가 이소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폴리아미드 수지를 예시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디아민단위의 80몰% 이상이 자일릴렌디아민(바람직하게는 메타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디카르본산단위의 80~99몰%가 아디프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또한, 1~20몰%가 이소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폴리아미드 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디카르본산단위로서 이소프탈산단위를 첨가함으로써 융점이 저하되고, 성형가공온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성형 중의 열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결정시간을 지연함으로써 연신성형성이 향상된다.
폴리아미드 수지(Y-1)의 수평균분자량은, 성형성 및 산소배리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 이상이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00 이하이다. 수평균분자량은, 국제공개 제2017/090556호의 단락 0016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측정된다.
폴리아미드 수지(Y-1)는, 결정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융점은, 성형용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90℃ 이상 3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27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 이상 250℃ 이하이다.
폴리아미드 수지(Y-1)의 유리전이온도는, 성형용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75~95℃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Y) 중의 폴리아미드 수지(Y-1)의 함유량은, 산소배리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이며, 100질량%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Y)는, 폴리아미드 수지(Y-1)에 더하여, 다른 폴리아미드 수지를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다른 폴리아미드 수지로는, 디아민유래의 구성단위와, 디카르본산단위의 구성단위를 포함하고, 디아민유래의 구성단위의 70몰% 이상이 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고, 디카르본산유래의 구성단위의, 30~65몰%가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고, 70~35몰%가 이소프탈산에서 유래하는 폴리아미드 수지(Y-2)가 예시된다(단, 합계가 100몰%를 초과하는 일은 없다).
이러한 폴리아미드 수지(Y-2)를 배합함으로써, 투명성 및 산소배리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폴리아미드 수지(Y-2)는, 통상, 비정성 수지이다. 비정성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다층용기의 투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Y-2)는, 디아민유래의 구성단위의 70몰% 이상이, 바람직하게는 80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이, 한층 바람직하게는 99몰% 이상이 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한다. 자일릴렌디아민은, 메타자일릴렌디아민 및 파라자일릴렌디아민이 바람직하고, 메타자일릴렌디아민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미드 수지(Y-2)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일례는, 디아민유래의 구성단위의 70몰% 이상이 메타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폴리아미드 수지이다.
자일릴렌디아민 이외의 디아민으로는, 파라페닐렌디아민 등의 방향족 디아민,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펜타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옥타메틸렌디아민, 노나메틸렌디아민 등의 지방족 디아민이 예시된다. 이들 다른 디아민은, 1종만일 수도 2종 이상일 수도 있다.
디아민성분으로서, 자일릴렌디아민 이외의 디아민을 이용하는 경우는, 디아민유래의 구성단위의 30몰%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5~20몰%의 비율로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 수지(Y-2)에 있어서의 디카르본산유래의 구성단위의, 30~65몰%가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8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디프산)에서 유래하고, 70~35몰%가 이소프탈산에서 유래한다.
폴리아미드 수지(Y-2)에 있어서의 디카르본산유래의 구성단위를 구성하는 전체디카르본산 중, 이소프탈산의 비율의 하한값은, 35몰% 이상이며, 40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41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프탈산의 비율의 상한값은, 70몰% 이하이며, 67몰% 이하가 바람직하고, 65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2몰%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60몰%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58몰%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층용기의 산소배리어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Y-2)에 있어서의 디카르본산유래의 구성단위를 구성하는 전체디카르본산 중,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8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디프산)의 비율의 하한값은, 30몰% 이상이며, 33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35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8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40몰% 이상이 한층 바람직하고, 42몰% 이상일 수도 있다. 상기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의 비율의 상한값은, 65몰% 이하이며, 60몰% 이하가 바람직하고, 59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층용기의 산소배리어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소수 4~8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수지(Y-2)의 원료디카르본산성분으로서 이용하기에 바람직한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으로는, 예를 들어 석신산, 글루타르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운데칸이산, 도데칸이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본산을 예시할 수 있고,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도 폴리아미드 수지의 융점이 성형가공하기에 적절한 범위가 되는 점에서, 아디프산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수지(Y-2)에 있어서의, 디카르본산유래의 구성단위를 구성하는 전체디카르본산 중, 이소프탈산과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의 합계의 비율은, 9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8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몰%일 수도 있다. 이러한 비율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층용기의 투명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이소프탈산과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 이외의 디카르본산으로는, 테레프탈산, 오르토프탈산 등의 프탈산 화합물, 1,2-나프탈렌디카르본산, 1,3-나프탈렌디카르본산, 1,4-나프탈렌디카르본산, 1,5-나프탈렌디카르본산, 1,6-나프탈렌디카르본산, 1,7-나프탈렌디카르본산, 1,8-나프탈렌디카르본산, 2,3-나프탈렌디카르본산,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 2,7-나프탈렌디카르본산과 같은 이성체 등의 나프탈렌디카르본산 등을 예시할 수 있고,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Y-2)는 테레프탈산유래의 구성단위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폴리아미드 수지(Y-2)에 포함되는 이소프탈산의 몰량의 5몰% 이하이며, 3몰% 이하가 바람직하고, 1몰%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적절한 성형가공성이 유지되고, 가스배리어성이 습도에 의해 보다 변화되기 어려워진다.
한편, 폴리아미드 수지(Y-2)는, 디카르본산유래의 구성단위와 디아민유래의 구성단위로 구성되는데, 디카르본산유래의 구성단위 및 디아민유래의 구성단위 이외의 구성단위나, 말단기 등의 다른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단위로는, ε-카프로락탐, 발레로락탐, 라우로락탐, 운데카락탐 등의 락탐,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등의 아미노카르본산 등 유래의 구성단위를 예시할 수 있는데,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폴리아미드 수지(Y-2)는, 합성에 이용한 첨가제 등의 미량성분이 포함된다. 폴리아미드 수지(Y-2)는, 통상, 95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8질량% 이상이, 디카르본산유래의 구성단위 또는 디아민유래의 구성단위이다.
폴리아미드 수지(Y-2)의 수평균분자량(Mn)은, 8,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Y-2)의 수평균분자량의 상한값은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50,000 이하이며, 더 나아가 30,000 이하, 20,000 이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폴리아미드 수지(Y-2)의 Mn이 폴리아미드 수지(Y-1)의 Mn보다도 작은 형태를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수지(Y-2)의 Mn이 폴리아미드 수지(Y-1)의 Mn보다도, 5,000 이상 작은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0 이상 작은 것이며, 한층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 작은 것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Y-2)의 Mn과 폴리아미드 수지(Y-1)의 Mn의 차의 상한은, 25,000 이하인 것이 예시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폴리아미드 수지(Y-1)와 폴리아미드 수지(Y-2)의 분산성, 상용성이 양호해지고, 투명성과 가스배리어성이 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Y-2)의 유리전이온도는, 90℃ 초과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5~1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1~1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20~135℃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다층용기의 내층간박리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Y) 중의 폴리아미드 수지(Y-2)의 함유량은, 내층간박리성, 투명성 및 배리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이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Y) 중의 폴리아미드 수지(Y-1)와 폴리아미드 수지(Y-2)의 합계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며, 100질량%일 수도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Y-1) 및 폴리아미드 수지(Y-2)는, 각각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디아민 및 디카르본산 이외에도, 폴리아미드 수지(X)를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ε-카프로락탐이나 라우로락탐 등의 락탐류, 아미노카프론산, 아미노운데칸산 등의 지방족 아미노카르본산류; p-아미노메틸안식향산과 같은 방향족 아미노카르본산도 공중합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는, 용융상태에서의 중축합반응(이하, 「용융중축합」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디아민과 디카르본산으로 이루어지는 나일론염을 물의 존재하에, 가압법으로 승온하고, 첨가한 물 및 축합수를 제거하면서 용융상태에서 중합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아민을 용융상태의 디카르본산에 직접 첨가하여, 상압하에서 중축합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반응계를 균일한 액상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디아민을 디카르본산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그 동안, 반응온도가, 생성되는 올리고아미드 및 폴리아미드의 융점보다도 하회하지 않도록 반응계를 승온하면서, 중축합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는, 필요에 따라 용융중축합에 의해 얻어진 것을 더욱 고상중합함으로써 분자량을 높일 수도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인원자함유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중축합할 수도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인원자함유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중축합하면, 용융성형시의 가공안정성이 높아지고, 착색이 억제되기 쉬워진다.
인원자함유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차아인산 화합물(포스핀산 화합물 또는 아포스폰산 화합물이라고도 한다)이나 아인산 화합물(포스폰산 화합물이라고도 한다)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원자함유 화합물은 유기금속염일 수도 있는데, 그 중에서도 알칼리금속염이 바람직하다.
차아인산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차아인산; 차아인산나트륨, 차아인산칼륨, 차아인산리튬, 차아인산칼슘 등의 차아인산금속염; 차아인산에틸, 디메틸포스핀산, 페닐메틸포스핀산, 페닐아포스폰산, 페닐아포스폰산에틸 등의 차아인산 화합물; 페닐아포스폰산나트륨, 페닐아포스폰산칼륨, 페닐아포스폰산리튬 등의 페닐아포스폰산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아인산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아인산, 피로아인산; 아인산수소이나트륨, 아인산나트륨, 아인산칼륨, 아인산칼슘 등의 아인산금속염; 아인산트리에틸, 아인산트리페닐, 에틸포스폰산, 페닐포스폰산, 페닐포스폰산디에틸 등의 아인산 화합물; 에틸포스폰산나트륨, 에틸포스폰산칼륨, 페닐포스폰산나트륨, 페닐포스폰산칼륨, 페닐포스폰산리튬 등의 페닐포스폰산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인원자함유 화합물은, 상기 중 1종류일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중에서도, 폴리아미드 수지의 중합반응을 촉진하는 효과의 관점 및 착색방지효과의 관점에서, 차아인산나트륨, 차아인산칼륨, 차아인산리튬, 차아인산칼슘 등의 차아인산금속염이 바람직하고, 차아인산나트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의 중축합은, 인원자함유 화합물 및 알칼리금속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축합 중의 폴리아미드 수지의 착색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원자함유 화합물을 충분한 양 존재시킬 필요가 있는데, 인원자함유 화합물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아미드화반응속도가 지나치게 촉진되어 폴리아미드 수지의 겔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아미드화반응속도를 조정하는 관점에서, 알칼리금속 화합물을 공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금속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이나 알칼리금속아세트산염을 들 수 있다. 알칼리금속 수산화물로는,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루비듐, 수산화세슘을 들 수 있고, 알칼리금속아세트산염으로는, 아세트산리튬,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륨, 아세트산루비듐, 아세트산세슘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를 중축합할 때에 알칼리금속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알칼리금속 화합물의 사용량은, 겔의 생성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알칼리금속 화합물의 몰수를 인원자함유 화합물의 몰수로 나눈 값이, 바람직하게는 0.5~1,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0.95, 더욱 바람직하게는 0.6~0.9가 되는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Y)의 아미노기농도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리사이클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즉, 재생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황변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50μmol/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μmol/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μmol/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μmol/g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20μmol/g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 수지의 아미노기농도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정칭하고, 페놀/에탄올=4/1용량용액에 20~30℃에서 교반용해시키고, 완전히 용해한 후, 교반하면서, 메탄올 5mL로 용기내벽을 씻어내고, 0.01mol/L 염산수용액으로 중화적정함으로써 구해진다.
폴리아미드 수지의 아미노기농도의 조정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디아민과 디카르본산의 투입비(몰비)를 조정하여 중축합반응을 행하는 방법, 아미노기를 캡하는 모노카르본산류를 디아민과 디카르본산과 함께 투입하여 중축합반응을 행하는 방법, 중축합반응을 행한 후, 아미노기를 캡하는 카르본산과 반응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아미노기농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천이금속)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층은, 폴리아미드 수지(Y)의 산화반응을 유기시켜 산소흡수능을 높이고, 가스배리어성을 더욱 높이는 목적으로, 천이금속을 포함할 수도 있다.
천이금속으로는, 원소주기율표의 제VIII족의 천이금속, 망간, 구리, 및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고, 산소흡수능을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코발트, 철, 망간, 및 니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보다 바람직하고, 코발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천이금속은, 단체 외에, 상기의 금속을 포함하는 저가수의 산화물, 무기산염, 유기산염, 또는 착염의 형태로 사용된다. 무기산염으로는, 염화물이나 브롬화물 등의 할로겐화물, 탄산염, 황산염, 질산염, 인산염, 규산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유기산염으로는, 카르본산염, 설폰산염, 포스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β-디케톤 또는 β-케토산에스테르 등과의 천이금속착체도 이용할 수 있다.
산소흡수능이 양호하게 발현되는 관점에서, 천이금속을 포함하는 카르본산염, 탄산염, 아세틸아세토네이트착체, 산화물 및 할로겐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옥탄산염, 네오데칸산염, 나프텐산염, 스테아르산염, 아세트산염, 탄산염, 및 아세틸아세토네이트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옥탄산코발트, 나프텐산코발트, 아세트산코발트, 스테아르산코발트 등의 코발트카르복실레이트류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천이금속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들은, 천이금속은, 산소흡수능을 높이는 한편, 산소흡수 후에 폴리아미드 수지(Y)의 분자량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분자량의 저하에 의해, 기계적 강도가 예를 들어, 인장탄성률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천이금속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층 중의 천이금속의 함유량은, 폴리아미드 수지(Y)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층이, 실질적으로 천이금속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폴리아미드층이 실질적으로 천이금속을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은, 폴리아미드 수지(Y) 100질량부에 대하여, 천이금속의 함유량이 0.001질량부 이하인 것을 의미하고, 0.0001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천이금속을 포함하는 카르본산염 등을 사용한 경우에, 천이금속의 함유량이란, 해당 천이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 중의 천이금속 자체의 함유량을 의미한다.
(기타 성분)
폴리에스테르층 및 폴리아미드층은, 각종의 첨가제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첨가제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착색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방습제, 방수제, 활제, 전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층 및 폴리아미드층 각각은,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 이외의 수지성분을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폴리에스테르층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X)는, 주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함유량은, 층전체의 수지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80~10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00질량%이다.
폴리아미드층 중의 폴리아미드 수지(Y)의 함유량은, 층전체의 수지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10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10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0~100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0~100질량%이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황변에 대하여 보색으로서 기능하는 점에서, 청색 또는 자색착색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층에 있어서의 청색 또는 자색착색제의 함유량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100pp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0pp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ppm이다.
<다층용기>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중공용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다층용기가 중공용기인 경우, 동부(胴部)가, 적어도 다층적층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폴리에스테르층 및 폴리아미드층을 갖고, 최내층이 폴리에스테르층이며, 또한,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적어도 최내층의 폴리에스테르층과, 이 폴리에스테르층에 직접적으로 접하도록 마련된 폴리아미드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최내층에 더하여, 폴리아미드층의 외측에도, 폴리에스테르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폴리아미드층의 내측 및 외측에 적어도 1층씩의 폴리에스테르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층에 직접적으로 접하도록 폴리아미드층의 외측에 폴리에스테르층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아미드층의 외측의 폴리에스테르층은, 최외층인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폴리에스테르층의 외측에, 추가로 복수의 층이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최내층 및 최외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층을 갖고,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는 3층구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즉, 최내층부터 최외층에, 폴리에스테르층/폴리아미드층/폴리에스테르층의 순으로 구성되는 3층구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3층구조이면, 폴리아미드층으로부터 외표면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흡수되어,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층의 계면에 충격이 전달되기 어려워져, 내층간박리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층 이외의, 기타 층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기타 층으로는, 구체적으는,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층의 사이에 기재되고, 이들 층을 접착시키기 위한 수지층이나 접착제층을 들 수 있다. 단, 성형가공성, 및 리사이클시의 분별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층의 사이에는, 수지층이나 접착제층을 개재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용기의 전체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리아미드층이 내표면으로부터 5~35%의 위치부터 존재한다. 한편, 적어도, 다층용기의 동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의 요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되는데, 동부의 중앙부(다층용기의 높이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층용기가 복수의 폴리아미드층을 갖는 경우, 적어도 1층의 폴리아미드층이, 상기의 요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되는데, 가장 내측에 존재하는 폴리아미드층이 상기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다층용기가 폴리아미드층을 1층만 갖고, 또한, 이 폴리아미드층이 상기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층용기의 전체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리아미드층은, 내표면으로부터 5~35%의 위치부터 존재한다. 폴리아미드층의 위치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내층간박리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산소배리어성도 우수한 다층용기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범위 내에 존재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층용기내부로부터 전자선조사를 행한 경우에도, 폴리아미드층에 전자선이 도달하고, 도달한 전자선이 라디칼을 발생시킴으로써, 보다 산소배리어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전자선에 의해,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층의 계면의 접착성이 향상되고, 내박리성(내층간박리성)이 보다 향상된다.
폴리아미드층은, 상술한 관점에서, 다층용기의 전체두께를 100%로 했을 때, 내표면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이상의 위치부터 존재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3.5%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의 위치부터 존재한다.
최내층 및 최외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층을 갖고,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는 3층구조인 경우, 내층간박리성의 관점에서, 다층용기의 전체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리아미드층은, 외표면으로부터 50% 이상의 위치부터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의 위치부터 존재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9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7% 이하의 위치부터 존재한다.
최내층 및 최외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층을 갖고,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는 3층구조인 경우, 내층간박리성의 관점에서, 최내층의 폴리에스테르층과 최외층의 폴리에스테르층의 두께의 비(최내층/최외층)는, 바람직하게는 2/98~41/59, 보다 바람직하게는 3/97~38/62, 더욱 바람직하게는 4/96~28/72,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95~20/80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전체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리아미드층의 두께가 1~15%이다. 폴리아미드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면, 충분한 산소배리어성이 얻어짐과 함께, 경제적이다. 또한, 다층용기내부로부터 전자선조사를 행한 경우에도, 폴리아미드층에 전자선이 도달하고, 폴리아미드층의 내측계면뿐만 아니라, 외측계면에 대해서도 내박리성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층의 두께는, 상기의 관점에서, 다층용기의 전체두께를 100%로 했을 때,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여기서, 상술한 폴리아미드층의 위치 및 두께, 그리고 폴리에스테르층의 두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한편, 폴리아미드층은, 다층용기의 바닥부나 수부(首部)에는 적층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적어도 동부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동부의 중앙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동부의 길이의 50% 이상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층이 상기의 두께 및 위치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층 및 폴리아미드층의 합계에 대한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12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8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7질량%이다.
다층용기가 중공용기인 경우, 다층용기의 전체의 두께(중공용기의 동부에 있어서의 총두께(즉, 동부의 전층의 합계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5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45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400μm의 범위 내이다.
또한, 다층용기가 중공용기인 경우, 용기내측표면으로부터의 폴리아미드층의 위치(최내층의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층의 계면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5~3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100μm,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0μm,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0μm이다. 폴리아미드층의 위치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특히 다층용기내부로부터 전자선조사를 행한 경우에, 폴리아미드층에 전자선이 도달하고, 도달한 전자선이 라디칼을 발생시킴으로써, 폴리아미드층의 라디칼농도가 상승하여, 보다 산소배리어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전자선에 의해,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층의 계면의 접착성이 향상되고, 내층간박리성이 보다 향상된다.
다층용기의 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산소배리어성 및 내층간박리성, 그리고, 제조 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mL 이상 3,000mL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mL 이상 2,000mL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mL 이상 1,500mL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mL 이상 1,000mL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mL 이상 600mL 이하이다.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층을 갖는 다층용기의 산소흡수성능을 발현할 때까지의 유도기간이나, 산소흡수의 발현기간은, 폴리아미드층의 위치나 다층용기의 용량에 따라서도 상이하다. 통상, 내층간박리성과 산소흡수성능을 밸런스시키는 관점에서는, 폴리아미드층의 위치는, 후술하는 프리폼의 서포트링의 하부로부터, 프리폼의 사출게이트중심에서부터 20~40mm 정도의 위치까지가 바람직하다. 한편, 산소흡수성능을 중시하는 경우는, 폴리아미드층의 위치는, 서포트링의 상부로부터 사출게이트부근까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폴리아미드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산소흡수성능은 다층용기의 용량에 따라서도 상이하다. 다층용기의 질량이 동일하면, 500mL 용량의 다층용기보다도, 280~350mL 용량의 다층용기가, 산소흡수성능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전자선조사 및 라디칼농도)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용기내부로부터 전자선조사된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아미드층의 라디칼농도가, 1.0×10-7mol/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후술하는 프리폼의 내부로부터 전자선조사하고, 그 후, 블로우성형한 것일 수도 있고, 또한, 블로우성형 후의 다층용기성형체의 내부로부터 전자선조사한 것일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블로우성형 후의 다층용기성형체의 내부로부터 전자선조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부터, 용기의 멸균을 목적으로 하여, 전자선조사가 행해지고 있다. 전자선멸균은, γ선이나 X선에 의한 멸균과는 달리, 처리시간이 짧다는 이점을 가진다. 용기에서는, 용기내부만을 멸균하면 되는 점에서, 최근, 용기내표면에만 전자선을 조사하여, 용기내부를 멸균처리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용기내부로부터 전자선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용기외부로부터 전자선조사를 하는 경우에 비해, 낮은 가속전압으로 멸균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에너지절약의 관점에서도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내표면의 근방에 폴리아미드층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용기내부로부터 전자선조사한 경우에도, 폴리아미드층까지 전자선이 도달가능하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다층용기가 용기내부로부터 전자선조사된 경우에는, 다층용기의 산소배리어성능이 보다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상세한 이유는 불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의 다층용기에서는, 폴리아미드층이 내표면 근방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폴리아미드층이 전자선조사되고, 폴리아미드층 중에 라디칼이 발생하고, 이 라디칼이 산소흡수능을 가지므로, 폴리아미드층이 보다 높은 산소배리어성을 가지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용기가 용기내부로부터 전자선조사된 경우에는, 내박리성(내층간박리성)이 보다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상세한 이유는 불명하기는 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용기에서는, 폴리아미드층과 폴리에스테르층의 계면에 전자선이 도달가능하며, 전자선의 조사에 의해, 폴리에스테르층 및 폴리아미드층에 라디칼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층의 계면에, 산소원자, 질소원자, 또는 수산기를 개재하여, 결합이 형성되고, 그 결과, 폴리아미드층과 폴리에스테르층의 접착성이 향상되고, 내박리성(내층간박리성)이 우수한 다층용기가 얻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전자선의 조사조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산소배리어성과 내층간박리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폴리아미드층의 라디칼농도는, 1.0×10-7mol/g 이상이 바람직하고, 3.0×10-7mol/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0×10-7mol/g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0×10-7mol/g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50×10-7mol/g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전자선조사에 드는 에너지를 절약하는 점에서, 200×10-7mol/g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10-7mol/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라디칼농도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중공용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공용기의 내부에 액체를 충전하여 사용되는 액체용 포장용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음료용 포장용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내부에 충전되는 액체로는, 물, 탄산수, 산소수, 수소수, 우유, 유제품, 쥬스, 커피, 커피음료, 탄산소프트드링크류, 차류, 알코올음료 등의 음료; 소스, 간장, 시럽, 미림류, 드레싱 등의 액체조미료; 농약, 살충제 등의 화학품; 의약품; 세제 등, 다양한 물품을 들 수 있다. 특히, 산소존재하에서 열화를 일으키기 쉬운 음료나 탄산음료, 예를 들어, 맥주, 와인, 커피, 커피음료, 후르츠쥬스, 탄산소프트드링크, 탄산수, 차류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산소배리어성이 우수하고, 용기의 산소배리어성(mL/bottle·day·0.21atm)이, 바람직하게는 0.04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0 이하이다. 한편, 상기의 산소배리어성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용기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용기의 산소배리어성은, ASTM D3985에 준하여, MOCON법에 따른 산소투과도시험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측정에는 MOCON사제 OX-TRAN2/61을 사용하고, 얻어진 500mL의 보틀에 100mL의 물을 충전하고, 산소분압 0.21atm의 조건하에서 온도 23℃, 보틀내부습도 100%RH, 외부습도 50%RH로, 보틀내부에 1atm의 질소를 20mL/min로 유통하고, 쿨로메트릭센서로 보틀내부를 유통 후의 질소 중에 포함되는 산소를 검출함으로써 측정한다.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층용기의 제조방법은, 성형품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제조방법이 선택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출성형기로부터 금형 중에 용융한 수지 또는 수지 조성물을 사출하여 프리폼을 제조 후, 블로우연신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인젝션 블로우성형, 인젝션 스트레치 블로우성형).
또한, 압출성형기로부터 금형 중에 용융된 수지 또는 수지 조성물을 압출함으로써 얻어지는 패리슨을 금형 내에서 블로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다이렉트블로우성형).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인젝션 블로우성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프리폼을 이축연신 블로우성형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콜드패리슨성형할 수도 있고, 핫패리슨성형할 수도 있다. 콜드패리슨(2스테이지성형)성형은, 사출성형 후의 프리폼을 실온까지 차게 하여, 보관된 후에, 다른 장치로 재가열하여, 블로우성형에 공급되는 성형방법이다. 한편, 핫패리슨성형(1스테이지성형)은, 패리슨을 실온까지 완전히 냉각하는 일 없이, 사출성형시의 예열과 블로우 전의 온조를 함으로써, 블로우성형하는 방법이다. 핫패리슨성형에서는, 대부분의 경우는, 동일성형기유닛 내에, 사출성형기, 온조존 및 블로우성형기를 구비하고, 프리폼사출성형과 블로우성형이 행해진다.
본 발명의 다층용기의 제조방법의 제1의 실시형태는, 콜드패리슨성형에 의해 성형하는 형태이다.
이하, 도 1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콜드패리슨성형의 각 공정을 나타내는 개념모식도이다. 그러나, 제1의 실시형태가 도 1에 기재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에서는, 우선, 프리폼(1)이 가열된다(도 1(1)). 가열은, 적외선히터(2) 등으로 행해진다.
이어서, 가열된 프리폼(1)에, 이축연신 블로우성형을 행한다. 즉, 금형(3)에 설치되고(도 1의 (2)), 연신로드(4)에 의해 연신하면서, 블로우성형한다(도 1의 (3) 및 (4)).
연신은, 예를 들어, 프리폼의 표면을 가열한 후에 코어로드인서트로 누르는 것과 같은 기계적 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연신하고, 이어서, 통상 2~4MPa의 고압공기를 블로우하여 횡방향으로 연신시켜 블로우성형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용기의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정화도를 높이거나, 잔류변형을 경감하는 블로우성형방법을 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층프리폼의 표면을 가열한 후에 유리전이점 이상의 온도의 금형 내에서 블로우성형하는 방법(싱글블로우성형)이 있다.
나아가, 프리폼을 최종형상보다 크게 이축연신 블로우성형하는 1차블로우성형공정과, 이 1차블로우성형품을 가열하여 열수축시켜 2차중간성형품으로 성형하는 공정과, 마지막으로 이 2차중간성형품을 최종용기형상으로 블로우성형하는 2차블로우성형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소위 더블블로우성형일 수도 있다.
블로우성형된 후, 금형(3)이 분리되고, 다층용기(5)가 얻어진다(도 1의 (5)).
콜드패리슨성형에 있어서, 블로우성형 전의 패리슨온도는, 폴리에스테르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 및 폴리아미드층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 수지(Y)의 유리전이온도(Tg)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블로우성형 전이란, 예를 들어, 예열존을 통과한 후, 블로우되기 직전을 말한다.
패리슨온도는, 본 발명의 다층용기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 및 폴리아미드 수지(Y) 중에서, 가장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max)를 초과하는 온도가 바람직하고, (Tgmax+0.1)℃~(Tgmax+50)℃의 온도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 및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Y) 중에서 가장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min)와 상기 Tgmax의 차는,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블로우성형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나아가,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와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Y)의 적어도 1종이 결정성 수지인 경우, 상기 결정성 수지의 결정화온도(Tc) 중에서, 가장 낮은 온도(Tcmin)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 및 폴리아미드 수지(Y) 중에서, 가장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max)와의 차가 큰 편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Tcmin-Tgmax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cmin-Tgmax의 상한값으로는, 100℃ 이하가 실제적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블로우성형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프리폼의 성형에 앞서, 폴리에스테르층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 이외의, 기타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미리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와, 기타 성분을 혼합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혼합물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혼합은, 드라이블렌드일 수도 있고, 멜트블렌드(용융혼련)일 수도 있다. 즉,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와, 기타 성분을 드라이블렌드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혼합물을 조제할 수도 있고, 또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와, 기타 성분을 멜트블렌드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조제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열이력을 줄이는 관점에서, 드라이블렌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드라이블렌드란, 분입상 또는 펠릿상의 형태로 기계적으로 혼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혼합에는, 텀블러믹서, 리본믹서, 헨셀믹서, 범버리믹서 등의 혼합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혹은, 성형가공에 제공할 때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의 공급피더와는 별도의 피더(혹은 액첨장치)로 기타 성분을 소정량 공급함으로써, 패리슨을 성형 직전에 폴리에스테르 수지혼합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와, 기타 성분을 용융혼련하는 경우에는, 용융혼련에 있어서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가 충분히 용융되고, 기타 성분과 충분히 혼련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0~25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90~26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85~265℃이다. 또한, 용융혼련하는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와, 기타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600초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0초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300초이다. 용융혼련에 사용되는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개방형의 믹싱롤, 비개방형의 범버리믹서, 니더, 연속혼련기(단축혼련기, 이축혼련기, 다축혼련기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프리폼의 성형에 앞서, 폴리아미드층이, 폴리아미드 수지(Y) 이외의, 기타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미리 폴리아미드 수지(Y)와, 기타 성분을 혼합하여, 폴리아미드 수지혼합물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은, 드라이블렌드일 수도 있고, 멜트블렌드(용융혼련)일 수도 있다. 즉, 폴리아미드 수지(Y)와, 기타 성분을 드라이블렌드하여, 폴리아미드 수지혼합물을 조제할 수도 있고,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Y)와, 기타 성분을 멜트블렌드하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조제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열이력을 줄이는 관점에서, 드라이블렌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에는, 상술한 폴리에스테르 수지혼합물과 동일한 혼합장치가 사용된다. 혹은, 성형가공에 제공할 때에, 폴리아미드 수지(Y)의 공급피더와는 별도의 피더(혹은 액첨장치)로 기타 성분을 소정량 공급함으로써, 패리슨을 성형 직전에 폴리아미드 수지혼합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Y)와 기타 성분을 용융혼련하는 경우에는, 용융혼련에 있어서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아미드 수지(Y)가 충분히 용융되고, 기타 성분과 충분히 혼련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0~24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90~2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80~255℃이다. 또한, 용융혼련하는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아미드 수지(Y)와 기타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600초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0초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300초이다. 용융혼련에 사용되는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개방형의 믹싱롤, 비개방형의 범버리믹서, 니더, 연속혼련기(단축혼련기, 이축혼련기, 다축혼련기 등)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폴리에스테르 수지(X)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1의 압출기로부터 압출하고, 폴리아미드 수지(Y)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제2의 압출기로부터 압출하고, 패리슨(다층프리폼)을 성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출성형법, 공사출성형법, 또는, 압축성형법 등에 의해, 다층프리폼을 성형하는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성형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공압출성형하여, 다층프리폼을 성형한다.
또한, 공사출성형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금형에 각각 압출하고, 공사출성형하여, 다층프리폼을 성형한다.
압축성형에서는, 가열용융상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유동되는 압출유로 내에, 가열용융상태의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간헐적으로 압출하여, 압출된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실질상 전체를 둘러싸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압출유로의 압출구로부터 압출하여, 용융수지성형재료로서 적당히 성형금형에 공급하고, 이어서 압축성형해서 다층프리폼을 성형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생산성의 관점에서, 공사출성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다층프리폼은, 최내층 및 최외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층을 갖고,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는 3층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내층으로부터 최외층에, 폴리에스테르층/폴리아미드층/폴리에스테르층의 순으로 구성되는 3층구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체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리아미드층이 내표면으로부터 5~35%의 위치부터 존재하고, 또한, 폴리아미드층의 두께가 전체두께의 1~15%가 되도록, 다층프리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사출실린더유닛으로부터의 사출량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두께로 폴리아미드층을 갖는 다층용기가 얻어진다.
배리어층의 위치를 두께방향으로 변경한 보틀의 제작은, 폴리에스테르내층, 폴리아미드층, 폴리에스테르외층 등의 각 층에 대응하는 각 용융수지의 금형 내로의 사출량의 조정이 가능한 밸브스템기구를 가짐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외에,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층의 합류부에 있어서의 각 층의 유로의 진입각도를 조정하는 것으로도, 폴리아미드층의 두께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폴리아미드층의 두께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은, 상기의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사출성형에 의해, 최내층 및 최외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층을 갖고,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는 3층구조의 다층용기를 얻는 경우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층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사출량은, 전체의 수지의 사출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공사출성형에 의해, 최내층 및 최외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층을 갖고,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는 3층구조의 다층용기를 얻는 경우에 있어서, 최내층의 폴리에스테르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사출량은, 전체의 수지의 사출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이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3.5%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공사출성형에 의해, 최내층 및 최외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층을 갖고,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는 3층구조의 다층용기를 얻는 경우에 있어서, 최내층의 폴리에스테르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사출량과 최외층의 폴리에스테르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사출량의 질량비(최내층용 수지/최외층용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2/98~41/59, 보다 바람직하게는 3/97~38/62, 더욱 바람직하게는 4/96~28/72,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95~20/80이다.
본 발명의 다층용기의 제조방법은, 이하의 공정1 및 공정2를 이 순으로 포함하는 제조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1: 최내층이 폴리에스테르층이며, 또한,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는 다층용기성형체를 얻는 공정
공정2: 상기 다층용기성형체의 내부로부터 전자선을 조사하는 공정
즉,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다층용기성형체에, 추가로 전자선을 조사한 다층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선을 조사함으로써, 폴리아미드층의 라디칼농도가 1.0×10-7mol/g 이상인 다층용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용기성형체의 내부로부터 전자선을 조사함으로써, 보다 낮은 가속전압으로 멸균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에너지절약의 관점에서도 이점을 갖는다.
공정2에 있어서 조사하는 전자선의 가속전압은, 다층용기의 내표면을 멸균하고, 또한, 폴리아미드층에 전자선을 도달시켜, 산소흡수성능 및 내박리성(내층간박리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keV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keV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keV 이상이다. 또한, 에너지절약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0keV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keV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keV 이하이다.
또한, 공정2에 있어서 조사하는 전자선의 조사강도(흡수선량)는, 다층용기의 내표면을 멸균하고, 또한, 폴리아미드층에 전자선을 도달시켜, 산소흡수성능 및 내박리성(내층간박리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kGy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kGy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kGy 이상이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kGy 이상이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0kGy 이상이며, 그리고, 에너지절약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kGy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kGy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kGy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kGy 이하이다.
다층용기의 내부로부터 전자선을 조사하는 방법 및 장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2018-072076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3-129453호 공보 등이 참조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 및 폴리아미드 수지(Y-1)는 이하와 같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
·PET(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고유점도: 0.83dL/g), 상품명: BK2180, 미쯔비시케미칼주식회사제(융점 248℃)
<폴리아미드 수지(Y-1)>
·MXD6(폴리아미드 수지): 폴리(메타자일릴렌아디프아미드)(상대점도: 2.7, 융점=240±5℃), 상품명: MX나일론 S6007, 미쯔비시가스화학주식회사제
[측정·평가방법]
<폴리아미드층의 위치 및 두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보틀에 있어서의 폴리아미드층의 위치 및 두께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보틀바닥부로부터 70mm의 위치에 있어서, 보틀의 수평방향의 4방향(0°, 90°, 180°, 270°)으로, 1.5cm×1.5cm의 샘플을 커터로 잘라내고, 주식회사미츠토요제 퀵마이크로MDQ를 이용하여 전체의 두께(총두께)를 측정하고, 광의 간섭을 이용한 막두께계(DC-8200, 군제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각 층두께의 비율을 측정하여, 얻어진 전체의 두께(총두께)와 각 층두께의 비율로부터 폴리아미드층의 위치 및, 두께를 산출하였다. 한편, 폴리에스테르층의 두께도, 전체의 두께(총두께)와 각 층두께의 비율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각 층의 동정방법>
각 층의 동정은, 하기의 IR측정, 및 1H-NMR측정에 의해 가능하다.
(IR측정)
각 층의 샘플을 가로세로 2cm×2cm로 잘라내고, 이하의 장치를 이용하여 IR측정을 실시한다.
장치: Spectrum100, 퍼킨엘머재팬사제
(1H-NMR)
각 층의 샘플을 취출하고, 중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용매에, 1mg/mL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1H-NMR을 실시한다.
장치: AVANCE III-500, AscendTM500, BRUKER사제
<폴리아미드층의 라디칼농도>
폴리아미드층의 라디칼농도는,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보틀로부터 폴리아미드층만을 취출하고, 시료 질량이 15mg이 되도록 잘라내어, 측정용의 시료로 하였다. 표준물질(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1-옥실 프리라디칼)을 벤젠에 용해하여, 1.0×10-5mol/L와 1.0×10-6mol/L의 2종류의 표준시료를 제작하고, 측정용 시료와 표준시료의 전자스핀공명(ESR)을 측정하였다(사용기기: JES-FR30 프리라디칼모니터, 일본전자주식회사제). 폴리아미드층의 라디칼농도는, 표준물질의 라디칼피크와 시료의 라디칼피크의 강도비로부터 산출하였다. 측정하한값은 1.0×10-11mol/g으로 하였다.
<용기의 산소배리어성>
용기의 산소배리어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ASTM D3985에 준하여, MOCON법에 따른 산소투과도 시험을 행하였다. 측정에는 MOCON사제 OX-TRAN2/61을 사용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500mL의 보틀에 100mL의 물을 충전하고, 산소분압 0.21atm의 조건하에서 온도 23℃, 보틀내부습도 100%RH, 외부습도 50%RH로, 보틀내부에 1atm의 질소를 20mL/min로 유통하고, 쿨로메트릭센서로 보틀내부를 유통 후의 질소 중에 포함되는 산소를 검출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측정개시로부터 3일 경과 후의 산소투과량값에 따라 판단하였다.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다.
S: 0.008mL/(bottle·day·0.21atm) 이하
A: 0.008mL/(bottle·day·0.21atm) 초과, 0.015mL/(bottle·day·0.21atm) 이하
B: 0.015mL/(bottle·day·0.21atm) 초과, 0.020mL/(bottle·day·0.21atm) 이하
C: 0.020mL/(bottle·day·0.21atm) 초과, 0.040mL/(bottle·day·0.21atm) 이하
D: 0.040mL/(bottle·day·0.21atm) 초과
<산소흡수량시험>
다층보틀의 동부를 잘라내고, 폴리아미드층을 박리하고, 알루미늄자루 내에 폴리아미드층을 1g 넣고, 물을 20mL 스며들게 한 면, 200mL의 공기를 넣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봉했다. 23℃에서 보관하고, 2개월 경과 후, 알루미늄자루 내의 공기를 주사기로 발출하고, 산소농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본 시험은, 실시예 5~8, 및 비교예 4~7에 있어서 행하여, 각 다층보틀의 산소흡수량을 평가하였다.
<사이드임팩트시험>
얻어진 다층보틀에 탄산수 500mL를 넣고, 23℃, 50%RH의 환경에서 1주간 보관한 보틀에, 사이드임팩트시험기(진자의 끝에 3kg의 추가 달려 있고, 보틀에 대하여 90°의 위치로부터 진자를 내려뜨려, 보틀의 동부에 충격성을 부여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1주간 보관 후의 탄산수가 들어간 보틀동부에 반복충격을 부여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후에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층이 박리하지 않은 보틀을 합격으로 하였다.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층이 박리하여 불합격이 될 때까지의 시험횟수가 30회 미만인 것을 C, 30회 이상 35회 미만인 것을 B2, 35회 이상 40회 미만인 것을 B1, 40회 이상인 것을 A로 하였다.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층이 박리할 때까지의 시험횟수가 많은 것일수록, 내층간박리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1~8, 및 비교예 1~7
<프리폼의 제조>
각 용융수지의 금형에의 사출량의 조정이 가능한 밸브시스템기구를 갖는 사출성형기, 및 다층핫러너금형을 사용하여, 이하에 나타낸 조건으로, 폴리에스테르층/폴리아미드층/폴리에스테르층으로 이루어지는 3층구조를 갖는 프리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에서는, 폴리아미드층(배리어층)의 개시위치가, 전체두께(총두께)를 100%로 했을 때에, 내표면(내측)으로부터 7%가 되도록, 내층의 폴리에스테르층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사출량을 전체의 7%로 하고, 배리어층(중간층)이 되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사출량을 전체의 10%, 외층의 폴리에스테르층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사출량을 전체의 83%가 되도록 조정하여 사출해서, 캐비티를 채움으로써, 폴리에스테르층/폴리아미드층/폴리에스테르층의 3층구조를 갖는 프리폼(25g)을 얻었다. 프리폼의 형상은, 전장 92mm, 외형 22mm, 두께 3.9mm였다.
또한, 실시예 2~4, 비교예 1, 2 및 3에 대해서도, 각각 폴리아미드층의 내층으로부터의 개시위치와, 폴리아미드층의 두께가 원하는 값이 되도록,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의 사출량을 조정하여, 사출성형을 행하였다.
스킨측 사출실린더온도: 285℃
코어측 사출실린더온도: 265℃
금형내 수지유로온도: 290℃
금형냉각수온도: 15℃
사이클타임: 33초
프리폼 중의 중간층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 수지의 비율: 5질량%
<다층보틀의 제조>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작한 프리폼을 이용하여, 보틀을 성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프리폼을, 이축연신 블로우성형장치(주식회사프론티어제, 형식 EFB1000ET)에 의해 이축연신 블로우성형하여 페탈로이드형 보틀을 얻었다. 보틀의 전장은 223mm, 외경은 65mm, 내용적은 500mL(표면적: 0.04m2, 동부평균두께: 0.35mm)이며, 바닥부는 페탈로이드형상이다. 동부에 딤플은 마련하지 않았다. 이축연신 블로우성형조건은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다. 얻어진 보틀의 총질량에 대한 폴리아미드층의 비율은 5질량%였다. 한편, 얻어진 다층보틀의 수부 부근, 및 바닥부는, 폴리에스테르층만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프리폼가열온도: 110℃
1차블로우압력: 0.9MPa
2차블로우압력: 2.5MPa
1차블로우지연시간: 0.30sec
1차블로우시간: 0.30sec
2차블로우시간: 2.0sec
블로우배기시간: 0.6sec
금형온도: 30℃
<전자선의 조사>
실시예 5~8, 및 비교예 4~7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다층보틀을 제조하고, 얻어진 다층보틀의 내측으로부터, 전자선의 조사를 행하였다.
조사한 전자선의 가속전압은 100keV이며, 표 2에 나타낸 흡수선량이 되도록 조사를 행하였다.
얻어진 다층보틀에 대하여, 상술의 측정 및 평가를 행하였다.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다층용기에 있어서, 동부중앙의 폴리아미드층의 두께는, 전체샘플에 대하여, 전체두께의 10%였다.
표 1 및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실시예 1~8에서는, 모두 높은 산소배리어성 및 내박리성(내층간박리성)을 갖는 다층용기가 얻어졌다. 또한, 전자선을 조사한 실시예 5~8에서는, 특히 우수한 산소배리어성 및 내박리성(내층간박리성)을 갖는 다층용기가 얻어졌다.
한편, 전자선의 조사에 의해, 폴리아미드층이 산소흡수성능을 갖는 것이 구체적으로 나타나고, 실시예 5~8에서는, 전자선의 조사에 의해 산소흡수성능이 부여되고, 이에 따라, 산소배리어성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실시예 5, 6 및 7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폴리아미드층만을 잘라내고, 15mg의 시료 샘플을 얻고, 얻어진 시료 샘플을 이용하여 ESR(전자스핀공명)측정을 행한 결과, 실시예 5, 6 및 7의 폴리아미드층의 라디칼농도는 각각 3.3×10-7mol/g, 8.3×10-7mol/g, 7.2×10-6mol/g이며, 전자선의 조사에 의해, 폴리아미드층에 라디칼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한편, 폴리아미드층이 내표면으로부터 5% 미만의 위치인, 3%의 위치부터 존재하는 비교예 3에서는, 중간층인 폴리아미드층이 내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개소가 있어, 성형이 불량이 되었다. 또한, 폴리아미드층이 내표면으로부터 35%를 초과하는 위치부터 존재하고 있는 비교예 1, 2, 4~7에서는, 모두 산소배리어성능이 불충분하며, 또한, 전자선조사에 의한 산소배리어성 및 내박리성(내층간박리성)의 향상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폴리아미드층이 내표면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먼 위치에 존재하므로, 전자선이 충분히 미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비교예 4 및 5에 있어서, 실시예 5, 6 및 7과 마찬가지로, ESR측정을 행한 결과, 라디칼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이번의 전자선조사조건으로는, 보틀의 내표면으로부터, 약 100μm의 깊이까지, 전자선이 도달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실시예 5~7에서는, 폴리아미드층의 내측 및 외측의 폴리에스테르층과의 계면의 어느 계면에나 전자선이 도달한 것으로 생각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산소배리어성을 향상시키면서, 내층간박리성이 우수한 다층용기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층용기는, 특히, 산소존재하에서 열화를 일으키기 쉬운 음료나 탄산음료, 예를 들어, 맥주, 와인, 커피, 커피음료, 후르츠쥬스, 탄산소프트드링크, 탄산수, 차류 등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프리폼
2 적외선히터
3 금형
4 연신로드
5 다층용기
2 적외선히터
3 금형
4 연신로드
5 다층용기
Claims (11)
-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 수지(X)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층을 갖고,
최내층이 폴리에스테르층이며, 또한,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고,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Y)가,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고, 이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70몰% 이상이 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이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70몰% 이상이 탄소수 4~20의 α,ω-직쇄지방족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폴리아미드 수지(Y-1)를 포함하고,
전체두께를 100%로 했을 때, 폴리아미드층이 내표면으로부터 5~35%의 위치부터 존재하고, 또한, 폴리아미드층의 두께가 1~15%인,
다층용기. - 제1항에 있어서,
다층용기의 전체의 두께가 50~500μm인, 다층용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층용기가, 폴리아미드층의 내측 및 외측에 적어도 1층씩의 폴리에스테르층을 갖는, 다층용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층용기가, 최내층 및 최외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층을 갖고,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는 3층구조인, 다층용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가,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고, 이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50몰% 이상이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또한, 이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50몰% 이상이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1)를 함유하는, 다층용기. - 제5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X-1)가,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고, 이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90몰% 이상이 테레프탈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또한, 이 디올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90몰% 이상이 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다층용기.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수지(Y-1)가,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와,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갖고, 이 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80몰% 이상이 자일릴렌디아민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이며, 또한, 이 디카르본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80몰% 이상이 아디프산에서 유래하는 구성단위인, 다층용기.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층이, 실질적으로 천이금속을 함유하지 않는, 다층용기.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내부로부터 전자선조사된, 다층용기.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층의 라디칼농도가 1.0×10-7mol/g 이상인, 다층용기. - 하기 공정1 및 공정2를 이 순으로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용기의 제조방법.
공정1: 최내층이 폴리에스테르층이며, 또한, 중간층으로서 폴리아미드층을 갖는 다층용기성형체를 얻는 공정
공정2: 상기 다층용기성형체의 내부로부터 전자선을 조사하는 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157226 | 2018-08-24 | ||
JPJP-P-2018-157226 | 2018-08-24 | ||
PCT/JP2019/031409 WO2020039967A1 (ja) | 2018-08-24 | 2019-08-08 | 多層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6666A true KR20210046666A (ko) | 2021-04-28 |
Family
ID=6959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04596A KR20210046666A (ko) | 2018-08-24 | 2019-08-08 | 다층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524490B2 (ko) |
EP (1) | EP3842353A4 (ko) |
JP (1) | JP7268682B2 (ko) |
KR (1) | KR20210046666A (ko) |
CN (1) | CN112585062B (ko) |
WO (1) | WO202003996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3076881A1 (en) * | 2017-10-06 | 2019-04-11 | Kikkoman Corporation | Synthetic resin multilayer bottle |
JP7622396B2 (ja) | 2020-11-06 | 2025-01-28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多層容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32952A (ja) | 1984-05-07 | 1985-11-19 | 三井化学株式会社 | ポリエステル積層成形体およびその用途 |
JP2006111718A (ja) | 2004-10-14 | 2006-04-27 | Mitsubishi Gas Chem Co Inc | 加熱用ポリエステル樹脂構造体 |
JP2016169027A (ja) | 2015-03-12 | 2016-09-23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多層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08542A (ja) * | 1984-10-31 | 1986-05-27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多層容器 |
JPS61259944A (ja) * | 1985-05-15 | 1986-11-18 | 東洋製罐株式会社 | 延伸多層プラスチックびん及びその製法 |
JP2664309B2 (ja) * | 1991-08-27 | 1997-10-15 | 凸版印刷株式会社 | 液体用紙容器 |
JP3049204B2 (ja) * | 1995-05-10 | 2000-06-05 | 日本酸素株式会社 | 合成樹脂製断熱二重壁容器 |
JP4265122B2 (ja) * | 2001-07-26 | 2009-05-20 | 東洋製罐株式会社 | 多層ボトル |
CN1735637A (zh) * | 2002-11-08 | 2006-02-15 | 三菱化学株式会社 | 可辐射固化树脂组合物及其固化产物 |
JP2005088901A (ja) * | 2003-09-12 | 2005-04-07 | Kuraray Co Ltd | 共射出延伸ブロー成形容器 |
EP1902838B1 (en) * | 2005-07-08 | 2016-11-09 |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 Multi-layered bottle |
JP5256742B2 (ja) * | 2006-01-24 | 2013-08-07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多層ボトルの充填方法 |
EP1857270B1 (en) * | 2006-05-17 | 2013-04-17 | Curwood, Inc. | Myoglobin blooming agent, films, packages and methods for packaging |
CN102336959A (zh) * | 2006-10-19 | 2012-02-01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阻隔性良好的注塑成型体 |
EP2130783A4 (en) * | 2007-04-05 | 2015-10-28 | Toyo Seikan Kaisha Ltd | MULTILAYER POLYESTER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US9452592B2 (en) * | 2007-08-28 | 2016-09-27 | Cryovac, Inc. | Multilayer film having an active oxygen barrier layer with radiation enhanced active barrier properties |
EP2291457B1 (de) * | 2008-06-26 | 2017-04-05 | Ems-Patent Ag | Polyamidformmassen, enthaltend teilkristalline, transparente copolyamide, zur herstellung von transparenten formteilen mit hoher flexibilität, hoher kerbschlagzähigkeit, niedriger wasseraufnahme und ausgezeichneter chemikalienbeständigkeit |
JP5303384B2 (ja) * | 2009-07-16 | 2013-10-02 | 石塚硝子株式会社 | ガスバリア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積層体、及びこの積層体からなる延伸ブロー成形用プリフォーム、並びにこのプリフォームを成形してなる包装用容器 |
JP5783169B2 (ja) * | 2010-04-23 | 2015-09-24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多層容器、多層容器用金型及び多層容器の製造方法 |
JP5673010B2 (ja) * | 2010-11-22 | 2015-02-18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多層ボトル |
JP5738168B2 (ja) | 2011-12-22 | 2015-06-17 | 三菱重工食品包装機械株式会社 | 電子線殺菌装置 |
CN104321363A (zh) | 2012-05-11 | 2015-01-28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具有环状缩醛骨架的聚酯树脂的制造方法 |
US10144548B2 (en) * | 2013-02-13 | 2018-12-04 |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 Multi-layer bott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US10035640B2 (en) * | 2013-03-06 | 2018-07-31 | Mitsubishi Has Chemical Company, Inc. | Oxygen-absorbing multilayer body, oxygen-absorbing container, oxygen-absorbing airtight container, oxygen-absorbing push-through pack, and storage method using same |
BR112016002466B8 (pt) * | 2013-08-16 | 2022-09-20 | Mitsubishi Gas Chemical Co | Estrutura multicamada |
JP6076238B2 (ja) * | 2013-11-28 | 2017-02-08 | 日立造船株式会社 | 電子線滅菌装置 |
RU2671332C1 (ru) * | 2013-12-05 | 2018-10-30 | Мицубиси Гэс Кемикал Компани, Инк. | Многослойный контейнер |
JP6305182B2 (ja) * | 2014-04-16 | 2018-04-04 | 三笠産業株式会社 | 多層容器 |
JP6326946B2 (ja) * | 2014-05-08 | 2018-05-23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多層容器 |
EP3199462B1 (en) * | 2014-09-25 | 2022-05-04 | Dai Nippon Printing Co., Ltd. | Method for sterilizing preform and resin container |
KR20170100527A (ko) * | 2014-12-24 | 2017-09-04 | 주식회사 쿠라레 | 약액 수송용 다층 튜브 및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
JP6519289B2 (ja) | 2015-04-08 | 2019-05-29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多層構造体 |
JP6519288B2 (ja) * | 2015-04-08 | 2019-05-29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多層構造体 |
JP6787317B2 (ja) * | 2015-07-15 | 2020-11-18 |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多層プリフォーム及び多層延伸ブロー成形容器 |
JP6791155B2 (ja) * | 2015-10-09 | 2020-11-25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医療用多層容器及び医療用多層容器の製造方法 |
CN108291023B (zh) | 2015-11-27 | 2020-12-04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聚酰胺树脂、成形品及聚酰胺树脂的制造方法 |
JP2017105873A (ja) | 2015-12-07 | 2017-06-15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ポリエステル樹脂 |
JP6829576B2 (ja) | 2016-10-26 | 2021-02-10 |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 電子線照射装置 |
JP6139771B1 (ja) * | 2016-12-22 | 2017-05-31 |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 電子線照射装置 |
-
2019
- 2019-08-08 WO PCT/JP2019/031409 patent/WO2020039967A1/ja unknown
- 2019-08-08 KR KR1020217004596A patent/KR2021004666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9-08-08 EP EP19851516.5A patent/EP3842353A4/en active Pending
- 2019-08-08 CN CN201980054578.6A patent/CN112585062B/zh active Active
- 2019-08-08 US US17/269,243 patent/US11524490B2/en active Active
- 2019-08-08 JP JP2020538310A patent/JP7268682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32952A (ja) | 1984-05-07 | 1985-11-19 | 三井化学株式会社 | ポリエステル積層成形体およびその用途 |
JP2006111718A (ja) | 2004-10-14 | 2006-04-27 | Mitsubishi Gas Chem Co Inc | 加熱用ポリエステル樹脂構造体 |
JP2016169027A (ja) | 2015-03-12 | 2016-09-23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多層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842353A4 (en) | 2021-10-13 |
EP3842353A1 (en) | 2021-06-30 |
CN112585062B (zh) | 2023-03-17 |
JP7268682B2 (ja) | 2023-05-08 |
US20210323289A1 (en) | 2021-10-21 |
WO2020039967A1 (ja) | 2020-02-27 |
JPWO2020039967A1 (ja) | 2021-08-26 |
CN112585062A (zh) | 2021-03-30 |
US11524490B2 (en) | 2022-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19289B2 (ja) | 多層構造体 | |
JP6168261B1 (ja) | 多層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単層容器の製造方法、並びに、再生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 |
US20040013833A1 (en) | Compatibilized polyester/polyamide blends | |
JP2018043773A (ja) | 多層容器及び再生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 |
US20140106103A1 (en) | Multilayer injection-molded body | |
AU2003262246A1 (en) | Biaxial oriented polyester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tainer | |
JP7268682B2 (ja) | 多層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60103004A (ko) |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조성물 및 이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성형체 | |
JP6519288B2 (ja) | 多層構造体 | |
US20230321943A1 (en) | Multilayered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KR102585590B1 (ko) |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마스터배치 | |
JP4133406B2 (ja) | 共射出延伸ブロー成形容器 | |
JP4214359B2 (ja) | 多層容器 | |
EA038240B1 (ru) | Полиэфирные емкости и пленки с пониженной газовой проницаемостью | |
JP7622396B2 (ja) | 多層容器 | |
JP7528748B2 (ja) | 多層容器 | |
JP2004338163A (ja) | 層間剥離の改良された多層容器 | |
JP7528942B2 (ja) | 樹脂積層体 | |
JP2005088901A (ja) | 共射出延伸ブロー成形容器 | |
JP2023177894A (ja) | 多層射出成形体及び容器 | |
JP2023177897A (ja) | 多層体及び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2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