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648A - 유로 이음매 구조 - Google Patents

유로 이음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648A
KR20210046648A KR1020217000736A KR20217000736A KR20210046648A KR 20210046648 A KR20210046648 A KR 20210046648A KR 1020217000736 A KR1020217000736 A KR 1020217000736A KR 20217000736 A KR20217000736 A KR 20217000736A KR 20210046648 A KR20210046648 A KR 20210046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union nut
flow path
male
scre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요타카 오마에
마사시 카타나야
Original Assignee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61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003409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93580A external-priority patent/JP7175701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6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4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additional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6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end surfaces of the pipes or flanges or arranged in recesses in the pipe ends or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제1 및 제2 배관 블록(51, 52)에 각각 형성된 유로구멍(510, 520)들을 접속하는 유로 이음매 구조(1)는 제1 배관 블록(51)의 단부에서 유로구멍(510)의 지름방향 외방에 형성된 제1 수나사부(11)와, 제2 배관 블록(52)의 단부에서 유로구멍(520)의 지름방향 외방에 형성된 제2 수나사부(12)와, 축방향 한쪽 측에 제1 수나사부(11)에 나사 체결되는 제1 암나사부(13a)를 가지면서 축방향 다른 쪽 측에 제2 수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되는 제2 암나사부(13b)를 가지는 유니온 너트(13)와, 유니온 너트(13)의 지름방향 내방에서 유로구멍(510, 520)들의 접속 부분을 씰링하는 개스킷(14)을 구비한다. 제1 수나사부(11) 및 제1 암나사부(13a)는 오른나사이며, 제2 수나사부(12) 및 제2 암나사부(13b)는 왼나사이다.

Description

유로 이음매 구조
본 발명은 유로 이음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액정, 유기 EL 등의 각종 기술분야의 제조 공정에서 취급되는 약액 등의 유체의 배관 경로에서 펌프, 밸브, 어큐뮬레이터, 필터, 유량계, 압력 센서, 및 배관 블록 등의 2개의 유체 디바이스에 형성된 유로구멍들을 최단(最短)으로 접속하는 유로 이음매 구조로서, 도 13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유로 이음매 구조는 필요 최소한의 길이로 형성된 튜브(101)의 양 단 각각에 슬리브(102)와 유니온 너트(103)를 이용하여 유체 디바이스(110)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219060호
반도체, 액정, 유기 EL 등의 제조 공정에서 약액을 송액 및 순환할 때에 사용되는 유로 이음매 구조는 그 설치 스페이스가 공간 절약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13에 나타내는 유로 이음매 구조는 튜브(101) 및 2개의 유니온 너트(103)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유로 이음매 구조를 공간 절약으로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유로 이음매 구조를 공간 절약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유로 이음매 구조는 2개의 유체 디바이스에 각각 형성된 유로구멍들을 접속하는 유로 이음매 구조로서, 상기 2개의 유체 디바이스 중 한쪽 유체 디바이스의 단부(端部)에서, 상기 유체 디바이스의 유로구멍의 지름방향 외방(外方)에 형성된 제1 수나사부와, 상기 2개의 유체 디바이스 중 다른 쪽 유체 디바이스의 단부에서, 상기 유체 디바이스의 유로구멍의 지름방향 외방에 형성된 제2 수나사부와, 축방향 한쪽 측에 상기 제1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제1 암나사부를 가지며, 축방향 다른 쪽 측에 상기 제2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제2 암나사부를 가지는 유니온 너트와, 상기 유니온 너트의 지름방향 내방(內方)에서, 상기 제1 수나사부에 상기 제1 암나사부가 나사 체결됨과 함께 상기 제2 수나사부에 상기 제2 암나사부가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2개의 유체 디바이스에서의 유로구멍들의 접속 부분을 씰링하는 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나사부 및 상기 제1 암나사부는 오른나사 및 왼나사 중 어느 한쪽이며, 상기 제2 수나사부 및 상기 제2 암나사부는 오른나사 및 왼나사 중 어느 다른 쪽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니온 너트의 축방향 한쪽 측의 제1 암나사부가 오른나사 및 왼나사 중 어느 한쪽이며, 유니온 너트의 축방향 다른 쪽 측의 제2 암나사부가 오른나사 및 왼나사 중 어느 다른 쪽이기 때문에, 유니온 너트를 조임으로써 제1 암나사부가 한쪽 유체 디바이스의 제1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고, 제2 암나사부가 다른 쪽 유체 디바이스의 제2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된다. 이로써, 하나의 유니온 너트만으로 2개의 유체 디바이스의 유로구멍들을 접속할 수 있으면서 유니온 너트의 지름방향 내방에서는 유로구멍들의 접속 부분을 개스킷으로 씰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로 이음매 구조는 종래 구조와 같이 튜브 및 2개의 유니온 너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로 이음매 구조를 공간 절약으로 설치할 수 있다.
(2) 상기 제1 수나사부의 나사 개시 위치와 상기 제2 수나사부의 나사 개시 위치가 둘레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설정되고, 상기 제1 암나사부의 나사 개시 위치와 상기 제2 암나사부의 나사 개시 위치가 둘레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니온 너트를 조일 때에, 제1 암나사부의 제1 수나사부로의 나사 체결이 개시되는 타이밍과, 제2 암나사부의 제2 수나사부로의 나사 체결이 개시되는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 이로써, 제1 암나사부의 제1 수나사부에 대한 조임 관리, 및 제2 암나사부의 제2 수나사부에 대한 조임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3) 상기 유로 이음매 구조는 상기 한쪽 유체 디바이스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수나사부의 나사 개시 위치로서 나타내는 제1 표지부와, 상기 다른 쪽 유체 디바이스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수나사부의 나사 개시 위치로서 나타내는 제2 표지부와, 상기 유니온 너트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암나사부 및 상기 제2 암나사부 중 적어도 한쪽의 나사 개시 위치로서 나타내는 제3 표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2개의 유체 디바이스의 제1 표지부 및 제2 표지부와, 유니온 너트의 제3 표지부를 위치 정렬시킴으로써, 제1 수나사부의 나사 개시 위치와 제1 암나사부의 나사 개시 위치의 위치 정렬, 및 제2 수나사부의 나사 개시 위치와 제2 암나사부의 나사 개시 위치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4) 상기 제1 표지부와 상기 제2 표지부가 나타내는 위치, 및 상기 제3 표지부가 나타내는 위치 중 한쪽은 실제 나사 개시 위치이며, 상기 제1 표지부와 상기 제2 표지부가 나타내는 위치, 및 상기 제3 표지부가 나타내는 위치 중 다른 쪽은 실제 나사 개시 위치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2개의 유체 디바이스의 제1 표지부 및 제2 표지부와, 유니온 너트의 제3 표지부를 위치 정렬시켰을 때에, 제1 수나사부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와 제1 암나사부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가 둘레방향으로 어긋남과 함께, 제2 수나사부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와 제2 암나사부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가 둘레방향으로 어긋난다. 이로써, 상기 위치 정렬시킨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를 조였을 때에, 제1 암나사부를 제1 수나사부에 원활하게 나사 체결시킬 수 있으면서 제2 암나사부를 제2 수나사부에 원할하게 나사 체결시킬 수 있다.
(5) 상기 유니온 너트는 상기 제1 수나사부와 상기 제2 수나사부 사이에 형성된 비(非)나사부를 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니온 너트의 제1 수나사부 및 제2 수나사부가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경우, 유니온 너트를 조일 때에, 예를 들면, 제1 암나사부의 제1 수나사부로의 나사 체결이 개시되는 타이밍보다도, 제2 암나사부의 제2 수나사부로의 나사 체결이 개시되는 타이밍이 늦었을 때에, 이하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즉, 제1 암나사부의 제1 수나사부에 대한 조임이 완료된 후에도, 제2 암나사부의 제2 수나사부에 대한 조임이 완료될 때까지 유니온 너트가 조여진다. 이로써, 제1 수나사부는 제2 암나사부의 나사 체결 위치까지 이동하지만, 제1 수나사부와 제2 암나사부는 오른나사와 왼나사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서로 나사 체결될 수 없다. 이 때문에, 유니온 너트를 무리하게 조이면, 제1 수나사부 및 제2 암나사부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상기 (5)의 유로 이음매 구조의 경우,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제1 수나사부가 제2 암나사부를 향해 이동해도, 제1 수나사부는 비나사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수나사부가 제2 암나사부의 나사 체결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유니온 너트를 조일 때에, 제1 암나사부의 제1 수나사부로의 나사 체결이 개시되는 타이밍과, 제2 암나사부의 제2 수나사부로의 나사 체결이 개시되는 타이밍이 어긋나도, 제1 수나사부가 제2 암나사부의 나사 체결 위치까지 이동하거나, 제2 수나사부가 제1 암나사부의 나사 체결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체 디바이스 측의 수나사부 및 유니온 너트 측의 암나사부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6) 상기 2개의 유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유니온 너트의 재조임(retightening)이 한계가 되었을 때에, 상기 유니온 너트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니온 너트의 재조임이 한계가 되었을 때에, 유니온 너트가 유체 디바이스의 접촉부에 접촉하므로, 작업자는 그 접촉에 따른 토크 변동에 의해 유니온 너트의 재조임이 한계가 된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7) 상기 유로 이음매 구조는 상기 유니온 너트에 마련되고 상기 유니온 너트 안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방향을 나타내는 흐름방향 표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작업자는 흐름방향 표지부에 의해, 2개의 유체 디바이스 사이에 배치하는 유니온 너트의 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8) 상기 유로 이음매 구조는 상기 유니온 너트에 마련되고 상기 유니온 너트의 조임방향을 나타내는 조임방향 표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작업자는 조임방향 표지부에 의해, 유니온 너트의 조임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로 이음매 구조를 공간 절약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로 이음매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유로 이음매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유로 이음매 구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유로 이음매 구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유로 이음매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배관 블록에 개스킷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유니온 너트의 조임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유니온 너트의 조임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유니온 너트의 재조임이 한계가 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로 이음매 구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유니온 너트의 조임을 개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유니온 너트의 조임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유로 이음매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유로 이음매 구조]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재하는 복수개의 실시형태 중 적어도 일부를 임의로 조합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로 이음매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는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 사용되는 약액이 흐르는 배관 경로에서 제1 배관 블록(유체 디바이스)(51)에 형성된 유로구멍(510)(도 4 참조)과, 제2 배관 블록(유체 디바이스)(52)에 형성된 유로구멍(520)을 접속하는 접속 구조로서 사용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는 배관 블록(51, 52)의 유로구멍(510, 520)들을 접속하는 접속 구조로서 사용하고 있는데, 펌프, 밸브, 어큐뮬레이터, 필터 등의 다른 유체 디바이스의 유로구멍들을 접속하는 접속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유로 이음매 구조(1)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제1 배관 블록(51)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체로 이루어지는 블록 본체(511)와, 블록 본체(511)의 일단면(一端面)(511a), 및 그 반대 측의 타단면(他端面)(511b)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1 돌출부(512)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1 돌출부(512)의 블록 본체(511) 측의 기단부(基端部)에는 환상 홈(513)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도 2에서는 오른쪽)의 제1 돌출부(512)의 상기 환상 홈(513)을 제외한 바깥둘레에는 수나사로 이루어지는 제1 수나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도 2에서는 왼쪽)의 제1 돌출부(512)의 상기 환상 홈(513)을 제외한 바깥둘레에는 수나사로 이루어지는 제2 수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배관 블록(51)의 유로구멍(510)은 블록 본체(511) 및 한 쌍의 제1 돌출부(512)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수나사부(11) 및 제2 수나사부(12)는 유로구멍(510)의 양 단부의 지름방향 외방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쪽의 제1 돌출부(512)의 선단면(先端面)에는 환상의 제1 씰홈(sealing groove)(15)이 형성되고, 상기 다른 쪽의 제1 돌출부(512)의 선단면에는 환상의 제2 씰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배관 블록(52)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체로 이루어지는 블록 본체(521)와, 블록 본체(521)의 일단면(521a), 및 그 반대 측의 타단면(521b)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2 돌출부(522)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2 돌출부(522)의 블록 본체(521) 측의 기단부에는 환상 홈(523)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도 2에서는 오른쪽)의 제2 돌출부(522)의 상기 환상 홈(523)을 제외한 바깥둘레에는 제1 수나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도 2에서는 왼쪽)의 제2 돌출부(522)의 상기 환상 홈(523)을 제외한 바깥둘레에는 제2 수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배관 블록(52)의 유로구멍(520)은 블록 본체(521) 및 한 쌍의 제2 돌출부(522)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수나사부(11) 및 제2 수나사부(12)는 유로구멍(520)의 양 단부의 지름방향 외방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유로구멍(520)은 유로구멍(510)과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쪽의 제2 돌출부(522)의 선단면에는 환상의 제1 씰홈(15)이 형성되고, 상기 다른 쪽의 제2 돌출부(522)의 선단면에는 환상의 제2 씰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유로 이음매 구조(1)는 주된 구성 요소로서, 제1 배관 블록(51)의 상기 제1 수나사부(11), 제2 배관 블록(52)의 상기 제2 수나사부(12), 유니온 너트(13), 및 개스킷(씰 부재)(14)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수나사부(11)는 오른나사로 되고, 제2 수나사부(12)는 왼나사로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와는 반대로, 제1 수나사부(11)를 왼나사로 하고, 제2 수나사부(12)를 오른나사로 해도 된다.
유니온 너트(13)는 축방향 한쪽 측의 안둘레에 형성된 암나사로 이루어지는 제1 암나사부(13a)와, 축방향 다른 쪽 측의 안둘레에 형성된 암나사로 이루어지는 제2 암나사부(13b)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암나사부(13a) 및 제2 암나사부(13b)는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암나사부(13a)는 제1 배관 블록(51)의 제1 수나사부(11)에 나사 체결된다. 제2 암나사부(13b)는 제2 배관 블록(52)의 제2 수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암나사부(13a)는 오른나사로 되고, 제2 암나사부(13b)는 왼나사로 되어 있다. 한편, 제1 수나사부(11)가 왼나사로 되고, 제2 수나사부(12)가 오른나사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암나사부(13a)는 왼나사로 되고, 제2 암나사부(13b)는 오른나사로 된다.
개스킷(14)은 유니온 너트(13)의 지름방향 내방에서, 제1 수나사부(11)에 제1 암나사부(13a)가 나사 체결됨과 함께 제2 수나사부(12)에 제2 암나사부(13b)가 나사 체결됨으로써, 유로구멍(510, 520)들의 접속 부분을 씰링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개스킷(14)은 축방향 한쪽 측에 형성된 환상의 제1 압입부(14a)와, 축방향 다른 쪽 측에 형성된 환상의 제2 압입부(14b)를 가지고 있다. 제1 압입부(14a)는 제1 돌출부(512)의 제1 씰홈(15)에 압입되고, 제2 압입부(14b)는 제2 돌출부(52)의 제2 씰홈(16)에 압입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로구멍(510, 520)들의 접속 부분을 씰링하는 씰 부재로서 개스킷(14)을 이용하고 있으나, 개스킷(14) 이외의 다른 씰 부재를 이용해도 된다.
[나사 개시 위치와 표지부]
도 4는 유로 이음매 구조(1)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도 4에서는 개스킷(14)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도 5도 동일함). 도 4에서, 제1 수나사부(11)의 나사 개시 위치(11a)와, 제2 수나사부(12)의 나사 개시 위치(12a)는 둘레방향에서 동일한 위치(도면예에서는 12시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제1 암나사부(13a)의 나사 개시 위치(13a1)와 제2 암나사부(13b)의 나사 개시 위치(13b1)는 둘레방향에서 동일한 위치(도 4의 예에서는 유니온 너트(13)를 제2 암나사부(13b) 측에서 보아 대략 10시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유니온 너트(13)를 조일 때에 제1 암나사부(13a)의 제1 수나사부(11)로의 나사 체결이 개시되는 타이밍과, 제2 암나사부(13b)의 제2 수나사부(12)로의 나사 체결이 개시되는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 그 결과, 제1 암나사부(13a)의 제1 수나사부(11)에 대한 조임 관리, 및 제2 암나사부(13b)의 제2 수나사부(12)에 대한 조임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유로 이음매 구조(1)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블록 본체(511)의 일단면(511a) 위쪽에는 제1 수나사부(11)의 나사 개시 위치(11a)로서 나타내는 제1 표지부(61)가 측방(側方)(도 5의 우측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1 표지부(61)는 예를 들면 테이퍼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단면(511a)에 대한 제1 표지부(61)의 돌출량은 환상 홈(513)의 축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수나사부(11)의 둘레방향에 대한 제1 표지부(61)의 최선단 위치는 제1 수나사부(11)의 나사 개시 위치(11a)와 동일한 위치(도면예에서는 12시 위치)로 되어 있다. 즉, 제1 표지부(61)의 최선단 위치는 제1 수나사부(11)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11a)를 나타내고 있다.
블록 본체(521)의 타단면(521b) 위쪽에는 제2 수나사부(12)의 나사 개시 위치(12a)로서 나타내는 제2 표지부(62)가 측방(도 5의 좌측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2 표지부(62)의 돌출 단면(端面)의 중앙부는 예를 들면 V자 형상으로 움푹 패여 있다. 상기 타단면(521b)에 대한 제2 표지부(62)의 돌출량은 환상 홈(523)의 축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수나사부(12)의 둘레방향에 대한 제2 표지부(62)의 가장 움푹 패인 위치는 제2 수나사부(12)의 나사 개시 위치(12a)와 동일한 위치(도면예에서는 12시 위치)로 되어 있다. 즉, 제2 표지부(62)의 가장 움푹 패인 위치는 제2 수나사부(12)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12a)를 나타내고 있다.
유니온 너트(13)의 바깥둘레의 제1 암나사부(13a) 측에는 제1 암나사부(13a)의 나사 개시 위치(13a1)로서 나타내는 제3 표지부(63A)가 마련되어 있다. 제3 표지부(63A)는 예를 들면, 후술할 볼록부(13f)의 긴 쪽 방향의 일단부(一端部)에서 V자 형상으로 움푹 패여서 형성되어 있다.
유니온 너트(13)의 바깥둘레의 제2 암나사부(13b) 측에는 제2 암나사부(13b)의 나사 개시 위치(13b1)로서 나타내는 제3 표지부(63B)가 마련되어 있다. 제3 표지부(63B)는 예를 들면, 상기 볼록부(13f)의 긴 쪽 방향의 타단부(他端部)에서 테이퍼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3 표지부(63B)의 최선단 위치는 제2 암나사부(13b)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b1)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약간 어긋난 위치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니온 너트(13)에서의 제3 표지부(63B)의 최선단 위치는 유니온 너트(13)의 조임방향(도 4의 화살표(A) 방향)으로 소정 각도(α)만큼 어긋난 위치(도 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12시 위치)로 되어 있다. 즉, 제3 표지부(63B)의 최선단 위치는 제2 암나사부(13b)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b1)보다도 소정 각도(α)만큼 상기 조임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3 표지부(63A)의 가장 움푹 패인 위치는 제1 암나사부(13a)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a1)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약간 어긋난 위치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니온 너트(13)에서의 제3 표지부(63A)의 가장 움푹 패인 위치는 유니온 너트(13)의 조임방향으로 상기 소정 각도(α)만큼 어긋난 위치로 되어 있다. 즉, 제3 표지부(63A)의 가장 움푹 패인 위치는 제1 암나사부(13a)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a1)보다도 소정 각도(α)만큼 상기 조임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도 3에서는 제1 표지부(61), 제2 표지부(62) 및 제3 표지부(63A, 63B)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도 6~도 9도 동일함).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1 표지부(61)의 최선단 위치와 제3 표지부(63A)의 가장 움푹 패인 위치를 위치 정렬시킴으로써, 제1 수나사부(11)의 나사 개시 위치(11a)와 제1 암나사부(13a)의 나사 개시 위치(13a1)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표지부(62)의 가장 움푹 패인 위치와 제3 표지부(63B)의 최선단 위치를 위치 정렬시킴으로써, 제2 수나사부(12)의 나사 개시 위치(12a)와 제2 암나사부(13b)의 나사 개시 위치(13b1)의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지부(61) 및 제2 표지부(62)는 실제 나사 개시 위치(11a, 12a)를 나타내고, 제3 표지부(63A) 및 제3 표지부(63B)는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a1, 13b1)보다도 소정 각도(α)만큼 유니온 너트(13)의 조임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유니온 너트(13)를 조일 때에, 제1 표지부(61)와 제3 표지부(63A)를 위치 정렬시킴과 함께, 제2 표지부(62)와 제3 표지부(63B)를 위치 정렬시켰을 때에, 제1 수나사부(11)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11a)와 제1 암나사부(13a)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a1)가 둘레방향으로 소정 각도(α)만큼 어긋남과 함께, 제2 수나사부(12)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12a)와 제2 암나사부(13b)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b1)가 둘레방향으로 소정 각도(α)만큼 어긋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a1)가 실제 나사 개시 위치(11a)와 일치하여 제1 암나사부(13a)가 제1 수나사부(11)에 나사 체결되면서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b1)가 실제 나사 개시 위치(12a)와 일치하여 제2 암나사부(13b)가 제2 수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된다. 이 때문에, 유니온 너트(13)의 조임을 개시할 때에,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a1)와 실제 나사 개시 위치(11a)가 일치하면서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b1)와 실제 나사 개시 위치(12a)가 일치하는 경우에 비해, 제1 암나사부(13a)를 제1 수나사부(11)에 원활하게 나사 체결시킬 수 있으면서 제2 암나사부(13b)를 제2 수나사부(12)에 원활하게 나사 체결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표지부(61) 및 제2 표지부(62)가 실제 나사 개시 위치(11a, 12a)를 나타내고, 제3 표지부(63A, 63B)가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a1, 13b1)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데, 제1 표지부(61) 및 제2 표지부(62)가 실제 나사 개시 위치(11a, 12a)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를 나타내고, 제3 표지부(63A, 63B)가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a1, 13b1)를 나타내도 된다. 이 경우, 제1 표지부(61) 및 제2 표지부(62)는 실제 나사 개시 위치(11a, 12a)에 대하여 유니온 너트(13)의 조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를 나타내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3 표지부(63A, 63B)는 볼록부(13f)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볼록부(13f)와는 별체로 마련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유니온 너트(13)에는 제1 암나사부(13a)의 나사 개시 위치(13a1)로서 나타내는 제3 표지부(63A)와, 제2 암나사부(13b)의 나사 개시 위치(13b1)로서 나타내는 제3 표지부(63B)를 마련하고 있는데, 제3 표지부(63A)만을 마련해도 되고, 제3 표지부(63B)만을 마련해도 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살표(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배관 블록(51)의 유로구멍(510)으로부터 유니온 너트(13)를 통해 제2 배관 블록(52)의 유로구멍(520)을 향해 유체(약액 등)가 흐른다. 유니온 너트(13)에서의 제3 표지부(63A)의 움푹 패인 형상, 및 제3 표지부(63B)의 돌출 형상은 유니온 너트(13) 안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암나사부(13a) 및 제2 암나사부(13b)의 나사 개시 위치(13a1, 13b1)로서 나타내는 제3 표지부(63A) 및 제3 표지부(63B)는 유니온 너트(13) 안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방향을 나타내는 흐름방향 표지부(64)로서도 기능한다. 이로써, 작업자는 유니온 너트(13)의 흐름방향 표지부(64)를 시인(視認)함으로써, 제1 배관 블록(51)과 제2 배관 블록(52) 사이에 배치하는 유니온 너트(13)의 축방향의 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로 오른나사로 이루어지는 제1 수나사부(11)와 제1 암나사부(13a)를 확실하게 나사 체결시킬 수 있으면서 서로 왼나사로 이루어지는 제2 수나사부(12)와 제2 암나사부(13b)를 확실하게 나사 체결시킬 수 있다.
유니온 너트(13)의 외주면(外周面)에는 유니온 너트(13)를 조이는 공구를 걸기 위해, 예를 들면 널링 가공에 의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13f)가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시와 같이, 소정 수의 볼록부(13f)마다, 이들의 축방향의 길이를 서서히 짧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화살표 형상이 둘레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화살표 형상은 유니온 너트(13)의 조임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 수의 볼록부(13f)마다 형성된 복수개의 화살표 형상이 유니온 너트(13)의 조임방향을 나타내는 조임방향 표지부(65)로서 기능한다. 이로써, 작업자는 유니온 너트(13)의 조임방향 표지부(65)를 시인함으로써, 유니온 너트(13)의 조임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흐름방향 표지부(64)는 제3 표지부(63A) 및 제3 표지부(6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데, 제3 표지부(63A) 및 제3 표지부(63B)와는 별체로 마련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흐름방향 표지부(64)는 그 형상에 의해 유체의 흐름방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유니온 너트(13)에 상기 흐름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등을 표기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조임방향 표지부(65)는 유니온 너트(13)의 바깥둘레에 형성된 볼록부(13f)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데, 볼록부(13f)와는 별체로 마련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조임방향 표지부(65)는 볼록부(13f)의 형상에 의해 유니온 너트(13)의 조임방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유니온 너트(13)에 상기 조임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등을 표기한 것이어도 된다.
도 5에서, 제1 배관 블록(51)에서의 블록 본체(511)의 일단면(511a)에는 유니온 너트(13)의 타측면(13d)이 접촉하는 접촉부(66A)가 측방(도 5의 우측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접촉부(66A)는 제1 표지부(61)보다도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환상 홈(513)의 축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66A)의 축방향의 돌출량은 유니온 너트(13)의 재조임이 한계가 되었을 때에, 접촉부(66A)의 선단면에 유니온 너트(13)의 타측면(13d)이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2 배관 블록(52)에서의 블록 본체(521)의 타단면(521b)에는 유니온 너트(13)의 일측면(13e)이 접촉하는 접촉부(66B)가 측방(도 5의 좌측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접촉부(66B)는 제2 표지부(62)보다도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환상 홈(523)의 축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66B)의 축방향의 돌출량은 유니온 너트(13)의 재조임이 한계가 되었을 때에, 접촉부(66B)의 선단면에 유니온 너트(13)의 일측면(13e)이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 배관 블록(51) 및 제2 배관 블록(52)에는 유니온 너트(13)가 접촉하는 접촉부(66A, 66B)를 마련하고 있는데, 제1 배관 블록(51)에만 접촉부(66A)를 마련해도 되고, 제2 배관 블록(52)에만 접촉부(66B)를 마련해도 된다.
한편, 도 1~도 3에서는 접촉부(66A) 및 접촉부(66B)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유로 이음매 구조에 의한 접속 절차]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에 의해 제1 배관 블록(51) 및 제2 배관 블록(52)의 유로구멍(510, 520)들을 접속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1 배관 블록(51)의 제1 씰홈(15)에 개스킷(14)의 제1 압입부(14a)를 압입하고, 제1 배관 블록(51)에 개스킷(14)을 일체로 장착한다.
한편, 개스킷(14)은 제2 배관 블록(52)에 일체로 장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제2 배관 블록(52)의 제2 씰홈(16)에 개스킷(14)의 제2 압입부(14b)를 압입하면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제1 배관 블록(51)과 제2 배관 블록(52) 사이에 유니온 너트(13)를 배치한다. 그 때, 작업자는 유니온 너트(13)의 흐름방향 표지부(64)(도 5 참조)를 시인함으로써, 유니온 너트(13)의 축방향의 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를 조임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표지부(61)와 제3 표지부(63A)를 위치 정렬시킴과 함께, 제2 표지부(62)와 제3 표지부(63B)를 위치 정렬시킨다. 이로써, 제1 수나사부(11)의 나사 개시 위치(11a)와 제1 암나사부(13a)의 나사 개시 위치(13a1)의 위치 정렬이 실시됨과 함께, 제2 수나사부(12)의 나사 개시 위치(12a)와 제2 암나사부(13b)의 나사 개시 위치(13b1)의 위치 정렬이 실시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표지부(63A) 및 제3 표지부(63B)는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a1, 13b1)보다도 소정 각도(α)만큼 유니온 너트(13)의 조임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도 4 참조). 이 때문에, 제1 표지부(61)와 제3 표지부(63A)를 위치 정렬시킴과 함께, 제2 표지부(62)와 제3 표지부(63B)를 위치 정렬시켰을 때에, 제1 수나사부(11)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11a)와 제1 암나사부(13a)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a1)가 둘레방향으로 소정 각도(α)만큼 어긋난 상태에서 위치 정렬됨과 함께, 제2 수나사부(12)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12a)와 제2 암나사부(13b)의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b1)가 둘레방향으로 소정 각도(α)만큼 어긋난 상태에서 위치 정렬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의 축방향 양단에 제1 배관 블록(51)의 제1 돌출부(512)의 선단, 및 제2 배관 블록(52)의 제2 돌출부(522)의 선단을 각각 접촉시킨 후, 공구(도시 생략) 등을 이용하여 유니온 너트(13)의 조임을 개시한다. 그 때, 작업자는 유니온 너트(13)의 조임방향 표지부(65)(도 4 참조)를 시인함으로써, 유니온 너트(13)의 조임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작업자가 유니온 너트(13)의 조임을 개시한 후에 유니온 너트(13)가 소정 각도(α)만큼 회전하면,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a1)가 실제 나사 개시 위치(11a)와 일치함과 함께, 실제 나사 개시 위치(13b1)가 실제 나사 개시 위치(12a)와 일치한다. 이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오른나사 측이 되는 제1 암나사부(13a)가 제1 수나사부(11)에 나사 체결되기 시작하고, 그와 동시에 왼나사 측이 되는 제2 암나사부(13b)가 제2 수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되기 시작한다. 이로써, 제1 암나사부(13a)의 제1 수나사부(11)로의 나사 체결이 개시되는 타이밍과, 제2 암나사부(13b)의 제2 수나사부(12)로의 나사 체결이 개시되는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
작업자가 유니온 너트(13)를 더 조이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암나사부(13a)에 대한 제1 수나사부(11)의 나사 체결이 진행됨으로써, 제1 배관 블록(51)의 제1 돌출부(512)는 유니온 너트(13)의 축방향 한쪽 측(도 7의 우측)으로부터 축방향 중앙을 향해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제2 암나사부(13b)에 대한 제2 수나사부(12)의 나사 체결이 진행됨으로써, 제2 배관 블록(52)의 제2 돌출부(522)는 유니온 너트(13)의 축방향 다른 쪽 측(도 7의 좌측)으로부터 축방향 중앙을 향해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 돌출부(512) 및 제2 돌출부(522)가 유니온 너트(13)의 축방향 양측으로부터 축방향 중앙을 향해 이동하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수나사부(11) 전체 및 제2 수나사부(12) 전체가 유니온 너트(13) 안으로 들어간 상태가 된다. 이로써, 개스킷(14)의 제2 압입부(14b)는 제2 배관 블록(52)의 제2 씰홈(16)에 압입되고, 유로구멍(510, 520)들이 접속됨과 함께, 그 접속 부분이 개스킷(14)에 의해 씰링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상태, 즉 제1 수나사부(11) 전체 및 제2 수나사부(12) 전체가 유니온 너트(13) 안으로 들어간 상태가, 유니온 너트(13)의 조임이 완료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유니온 너트(13)의 외측에서 제1 수나사부(11) 및 제2 수나사부(12)가 보이지 않게 됨으로써, 유니온 너트(13)의 조임이 완료된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조임 완료를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와 같이 유니온 너트(13)의 외측에서 제1 수나사부(11) 및 제2 수나사부(12)가 보이지 않게 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에 따르면, 유니온 너트(13)에는 제1 암나사부(13a) 및 제2 암나사부(13b)에 의해 오른나사 및 왼나사가 형성되기 때문에, 유니온 너트(13)를 조임으로써 제1 암나사부(13a)가 제1 배관 블록(51)의 제1 수나사부(11)에 나사 체결되고, 제2 암나사부(13b)가 제2 배관 블록(52)의 제2 수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된다. 이로써, 하나의 유니온 너트(13)만으로 제1 배관 블록(51) 및 제2 배관 블록(52)의 유로구멍(510, 520)들을 접속할 수 있으면서 유니온 너트(13)의 지름방향 내방에서는 유로구멍(510, 520)들의 접속 부분을 개스킷(14)으로 씰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는 도 13에 나타내는 종래 구조와 같이 튜브(101) 및 2개의 유니온 너트(103)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로 이음매 구조(1)를 공간 절약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에서는 제1 수나사부(11)의 나사 개시 위치(11a)와 제2 수나사부(12)의 나사 개시 위치(12a)가 둘레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설정되면서 제1 암나사부(13a)의 나사 개시 위치(13a1)와 제2 암나사부(13b)의 나사 개시 위치(13b1)가 둘레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니온 너트(13)를 조일 때에, 제1 암나사부(13a)의 제1 수나사부(11)로의 나사 체결이 개시되는 타이밍과, 제2 암나사부(13b)의 제2 수나사부(12)로의 나사 체결이 개시되는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 이로써, 제1 암나사부(13a)의 제1 수나사부(11)에 대한 조임 관리, 및 제2 암나사부(13b)의 제2 수나사부(12)에 대한 조임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제2 실시형태(도 10 참조)와 같이, 유니온 너트(13)의 제1 암나사부(13a)와 제2 암나사부(13b) 사이에 비나사부(13c)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니온 너트(13)를 축방향으로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유로 이음매 구조(1)를 더욱 공간 절약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제1 수나사부(11)의 선단면과 제2 수나사부(12)의 선단면 사이에는 틈(S)이 형성된다. 이 틈(S)은 도 8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의 재조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틈(공간)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유니온 너트(13)의 조임이 완료된 상태(도 8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를 조임방향으로 더 회전시킴으로써, 유니온 너트(13)의 재조임을 실시할 수 있다.
유니온 너트(13)의 재조임이 실시된 경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니온 너트(13)의 재조임이 한계가 되었을 때에 유니온 너트(13)의 타측면(13d)이 제1 배관 블록(51)의 접촉부(66A)에 접촉함과 함께, 유니온 너트(13)의 일측면(13e)이 제2 배관 블록(52)의 접촉부(66B)에 접촉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유니온 너트(13)의 양 접촉부(66A, 66B)로의 접촉에 따른 토크 변동에 의해, 유니온 너트(13)의 재조임이 한계가 된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로 이음매 구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에서의 유니온 너트(13)는 제1 암나사부(13a)와 제2 암나사부(13b) 사이에 형성된 비나사부(13c)를 가지고 있다. 비나사부(13c)는 유니온 너트(13)의 안둘레에서 암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제1 암나사부(13a)의 나사 개시 위치와 제2 암나사부(13b)의 나사 개시 위치가 둘레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설정되고, 제1 수나사부(11)의 나사 개시 위치와 제2 수나사부(12)의 나사 개시 위치가 둘레방향에서 다른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암나사부(13a)의 제1 수나사부(11)로의 나사 체결이 개시되는 타이밍보다도 제2 암나사부(13b)의 제2 수나사부(12)로의 나사 체결이 개시되는 타이밍이 늦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제1 암나사부(13a)의 제1 수나사부(11)에 대한 조임이 완료된 후에도 제2 암나사부(13b)의 제2 수나사부(12)에 대한 조임이 완료될 때까지 유니온 너트(13)를 조인다. 그러면, 오른나사의 제1 수나사부(11)가, 자신과 나사 체결할 수 없는 왼나사의 제2 암나사부(13b)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유니온 너트(13)에는 상기와 같이 제1 암나사부(13a)와 제2 암나사부(13b) 사이에 비나사부(1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암나사부(13b)의 제2 수나사부(12)에 대한 조임이 완료될 때까지 제1 수나사부(11)가 제2 암나사부(13b)를 향해 이동해도, 제1 수나사부(11)는 비나사부(13c)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제1 수나사부(11)가 제2 암나사부(13b)의 나사 체결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나사부(11)가 제2 암나사부(13b)의 나사 체결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기인하여 제1 수나사부(11) 및 제2 암나사부(13b)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기타]
상기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는 반도체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액정·유기 EL 분야, 의료·의약 분야, 또는 자동차 관련 분야 등에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유니온 너트(13)로서 제2 실시형태의 비나사부(13c)를 가지는 유니온 너트(13)를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 유니온 너트(13)를 조일 때에, 작업 미스 등에 의해 가령 제1 암나사부(13a)의 제1 수나사부(11)로의 나사 체결이 개시되는 타이밍과 제2 암나사부(13b)의 제2 수나사부(12)로의 나사 체결이 개시되는 타이밍이 어긋났다고 해도, 유니온 너트(13)의 조임을 완료시킬 수 있으면서 수나사부나 암나사부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금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의미가 아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지고,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유로 이음매 구조
11: 제1 수나사부
11a: 나사 개시 위치
12: 제2 수나사부
12a: 나사 개시 위치
13: 유니온 너트
13a: 제1 암나사부
13a1: 나사 개시 위치
13b: 제2 암나사부
13b1: 나사 개시 위치
13c: 비나사부
14: 개스킷(씰 부재)
51: 제1 배관 블록(유체 디바이스)
52: 제2 배관 블록(유체 디바이스)
61: 제1 표지부
62: 제2 표지부
63A: 제3 표지부
63B: 제3 표지부
64: 흐름방향 표지부
65: 조임방향 표지부
66A: 접촉부
66B: 접촉부
510: 유로구멍
520: 유로구멍

Claims (8)

  1. 2개의 유체 디바이스에 각각 형성된 유로구멍들을 접속하는 유로 이음매 구조로서,
    상기 2개의 유체 디바이스 중 한쪽 유체 디바이스의 단부(端部)에서 상기 유체 디바이스의 유로구멍의 지름방향 외방(外方)에 형성된 제1 수나사부와,
    상기 2개의 유체 디바이스 중 다른 쪽 유체 디바이스의 단부에서 상기 유체 디바이스의 유로구멍의 지름방향 외방에 형성된 제2 수나사부와,
    축방향 한쪽 측에 상기 제1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제1 암나사부를 가지며, 축방향 다른 쪽 측에 상기 제2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제2 암나사부를 가지는 유니온 너트와,
    상기 유니온 너트의 지름방향 내방(內方)에서 상기 제1 수나사부에 상기 제1 암나사부가 나사 체결됨과 함께 상기 제2 수나사부에 상기 제2 암나사부가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2개의 유체 디바이스에서의 유로구멍들의 접속 부분을 씰링하는 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나사부 및 상기 제1 암나사부는 오른나사 및 왼나사 중 어느 한쪽이며,
    상기 제2 수나사부 및 상기 제2 암나사부는 오른나사 및 왼나사 중 어느 다른 쪽인, 유로 이음매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나사부의 나사 개시 위치와 상기 제2 수나사부의 나사 개시 위치가 둘레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설정되고,
    상기 제1 암나사부의 나사 개시 위치와 상기 제2 암나사부의 나사 개시 위치가 둘레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설정되는, 유로 이음매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유체 디바이스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수나사부의 나사 개시 위치로서 나타내는 제1 표지부와,
    상기 다른 쪽 유체 디바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수나사부의 나사 개시 위치로서 나타내는 제2 표지부와,
    상기 유니온 너트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암나사부 및 상기 제2 암나사부 중 적어도 한쪽의 나사 개시 위치로서 나타내는 제3 표지부를 더 구비하는 유로 이음매 구조.
  4.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지부와 상기 제2 표지부가 나타내는 위치, 및 상기 제3 표지부가 나타내는 위치 중 한쪽은 실제 나사 개시 위치이며,
    상기 제1 표지부와 상기 제2 표지부가 나타내는 위치, 및 상기 제3 표지부가 나타내는 위치 중 다른 쪽은 실제 나사 개시 위치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인, 유로 이음매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 너트는 상기 제1 수나사부와 상기 제2 수나사부 사이에 형성된 비(非)나사부를 더 가지는, 유로 이음매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유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유니온 너트의 재조임(retightening)이 한계가 되었을 때에, 상기 유니온 너트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는, 유로 이음매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 너트에 마련되고 상기 유니온 너트 안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방향을 나타내는 흐름방향 표지부를 더 구비하는 유로 이음매 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 너트에 마련되고 상기 유니온 너트의 조임방향을 나타내는 조임방향 표지부를 더 구비하는 유로 이음매 구조.
KR1020217000736A 2018-08-30 2019-06-12 유로 이음매 구조 KR202100466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61495A JP2020034095A (ja) 2018-08-30 2018-08-30 流路継手構造
JPJP-P-2018-161495 2018-08-30
JPJP-P-2018-193580 2018-10-12
JP2018193580A JP7175701B2 (ja) 2018-10-12 2018-10-12 流路継手構造
PCT/JP2019/023293 WO2020044727A1 (ja) 2018-08-30 2019-06-12 流路継手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648A true KR20210046648A (ko) 2021-04-28

Family

ID=69642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736A KR20210046648A (ko) 2018-08-30 2019-06-12 유로 이음매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40066B2 (ko)
KR (1) KR20210046648A (ko)
CN (1) CN112639348B (ko)
DE (1) DE112019004357T5 (ko)
TW (1) TWI807082B (ko)
WO (1) WO20200447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5635242U (zh) * 2021-09-29 2022-01-25 未势能源科技有限公司 减压阀
WO2023096851A2 (en) * 2021-11-24 2023-06-01 Ichor Systems, Inc. Fluid delivery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9060A (ja) 2013-05-08 2014-11-20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086A (en) * 1883-06-05 Albert h
CH482969A (de) * 1967-06-14 1969-12-15 Benteler Werke Ag Mit Rechts- und Linksgewinde versehene Rohrmuffenverbindung
JPS59144088U (ja) 1983-03-14 1984-09-2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油井管用管継手
US6070912A (en) * 1989-08-01 2000-06-06 Reflange, Inc. Dual seal and connection
US5350205A (en) * 1993-05-20 1994-09-27 Ewal Manufacturing Company, Inc. High pressure gas fitting for repeated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US6578876B2 (en) * 2000-12-12 2003-06-17 Good Turns, Llc Plumbing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system and method
US6908121B2 (en) 2001-10-22 2005-06-21 Weatherford/Lamb, Inc. Locking arrangement for a threaded connector
JP2004244062A (ja) 2003-02-13 2004-09-02 Toyo Seikan Kaisha Ltd ネジキャップの巻締方法及びその装置
TW200702582A (en) 2005-05-02 2007-01-16 Nippon Pillar Packing Structure for connection between integrated panel and fluid device
JP4210669B2 (ja) 2005-05-02 2009-01-21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集積パネルと流体デバイスとの接続構造
JP2007029794A (ja) 2005-07-22 2007-02-08 Koganei Corp エアドライヤ
JP3901207B1 (ja) 2005-11-29 2007-04-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管継手
US7677607B2 (en) 2006-09-22 2010-03-16 Eaton Corporation Adjustable fluid coupling assembly
AU2010230801B2 (en) * 2009-03-31 2015-04-09 Mercedes Textiles Ltd. Fire hose coupling with directional indicator
JP5517031B2 (ja) * 2009-03-31 2014-06-1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管のねじ継手の締結状態評価方法、管のねじ継手の締結方法、及び、管のねじ継手の締結状態評価装置
AU2011101101B4 (en) * 2011-08-05 2011-12-22 Zetco Valves Pty Ltd Plumbing Adaptor Fitting
JP3177094U (ja) * 2012-05-08 2012-07-19 イハラサイエンス株式会社 ダイヤフラム弁
GB2504537B (en) 2012-08-02 2015-08-05 Alpha Fry Ltd Connection device
US9201049B2 (en) * 2013-03-13 2015-12-01 Idex Health & Science Llc Connector with structural reinforcement and biocompatible fluid passageway
JP6518034B2 (ja) * 2014-02-28 2019-05-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継手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9060A (ja) 2013-05-08 2014-11-20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4727A1 (ja) 2020-03-05
CN112639348B (zh) 2023-04-25
CN112639348A (zh) 2021-04-09
US20210317932A1 (en) 2021-10-14
TW202016457A (zh) 2020-05-01
DE112019004357T5 (de) 2021-05-12
US11940066B2 (en) 2024-03-26
TWI807082B (zh) 202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817B1 (ko) 합성 수지제 관이음
KR102167325B1 (ko) 합성 수지제 파이프 조인트
US10682506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medical use
US20210054932A1 (en) Gasket and flow passage connector structure
KR20210046648A (ko) 유로 이음매 구조
KR19990024027A (ko) 조절가능한 누출방지 체결시스템
US10571060B2 (en) Structure of resin-made pipe joint
KR20130066496A (ko) 파이프 조인트
KR20140096976A (ko) 관 접속 장치
US11493156B2 (en) Hammerless and torqueless union connection
WO2019009049A1 (ja) 流体機器の接続構造
EP3112735A1 (en) Joint unit
US20230349492A1 (en) Gasket and flow passage joint structure
US20230148383A1 (en) Seal member
CN110735978A (zh) 用于流体管路组件的联接器
US20140007411A1 (en) Adjustable pipe connector
JP7175701B2 (ja) 流路継手構造
US20190170281A1 (en) Locking sleeve apparatus
KR101638835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2519792B1 (ko) 유로 이음매 구조
JP2008019980A (ja) ホース接続管継手
JP2018017401A (ja) 合成樹脂製管継手
US20230039578A1 (en) Sealing member and pipe joint
CN114599907B (zh) 管接头
US12031645B2 (en) Sealing member and pipe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