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792B1 - 유로 이음매 구조 - Google Patents

유로 이음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792B1
KR102519792B1 KR1020200152826A KR20200152826A KR102519792B1 KR 102519792 B1 KR102519792 B1 KR 102519792B1 KR 1020200152826 A KR1020200152826 A KR 1020200152826A KR 20200152826 A KR20200152826 A KR 20200152826A KR 102519792 B1 KR102519792 B1 KR 102519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on nut
protrusion
screw part
female screw
flui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343A (ko
Inventor
키요타카 오마에
마사시 카타나야
Original Assignee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0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6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end surfaces of the pipes or flanges or arranged in recesses in the pipe ends or flan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유로 이음매 구조(1)는 제1 배관 블록(51)에 마련된 제1 수나사부(11)와, 제2 배관 블록(52)에 마련된 제2 수나사부(12)와, 축방향 한쪽 측에 제1 수나사부(11)에 나사 체결되는 제1 암나사부(13a)를 가지면서, 축방향 다른 쪽 측에 제2 수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되는 제2 암나사부(13b)를 가지는 유니온 너트(13)와, 유니온 너트(13)의 지름방향 내방에서 유로구멍(510, 520)들의 접속 부분을 씰링하는 개스킷(14)을 구비한다. 제1 수나사부(11) 및 제1 암나사부(13a)는 오른나사이며, 제2 수나사부(12) 및 제2 암나사부(13b)는 왼나사이다. 유로 이음매 구조(1)는 제1 및 제2 배관 블록(51, 52)에 마련되고, 제1 및 제2 수나사부(11, 12)의 조임 방향을 나타내는 제1 표지부(61, 6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로 이음매 구조{FLOW PASSAGE JOINT STRUCTURE}
본 발명은 유로 이음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액정, 유기 EL 등의 각종 기술 분야의 제조 공정에서 취급되는 약액 등의 유체의 배관 경로에서 펌프, 밸브, 어큐뮬레이터, 필터, 유량계, 압력 센서, 및 배관 블록 등의 2개의 유체 디바이스에 형성된 유로구멍들을 최단으로 접속하는 유로 이음매 구조로서, 도 28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유로 이음매 구조는 필요 최소한의 길이로 형성된 튜브(101)의 양 단 각각에 슬리브(102)와 유니온 너트(103)를 이용하여, 2개의 유체 디바이스(110)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219060호
반도체, 액정, 유기 EL 등의 제조 공정에서 약액을 송액 및 순환할 때에 사용되는 유로 이음매 구조는 그 설치 스페이스가 공간 절약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28에 나타내는 유로 이음매 구조는 튜브(101) 및 2개의 유니온 너트(103)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유로 이음매 구조를 공간 절약으로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유로 이음매 구조를 공간 절약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나의 유니온 너트만으로 2개의 유체 디바이스의 유로구멍들을 접속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니온 너트의 안둘레의 축방향 한쪽 측에 오른암나사를 형성하고, 유니온 너트의 안둘레의 축방향 다른 쪽 측에 왼암나사를 형성한 양 암나사를 가지는 유니온 너트 등이 있다. 이 유니온 너트를 한 방향으로 조이면, 유니온 너트의 오른암나사가 한쪽 유체 디바이스의 오른수나사에 나사 체결됨과 함께, 유니온 너트의 왼암나사가 다른 쪽 유체 디바이스의 왼수나사에 나사 체결된다. 이로써, 2개의 유체 디바이스의 유로구멍들이 개스킷을 통해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유니온 너트를 구비한 유로 이음매 구조에서는 예를 들면, 작업자가 유니온 너트의 오른암나사를, 잘못하여 유체 디바이스의 왼수나사에 나사 체결해 버리면, 그 오른암나사 및 왼수나사의 나사산이 파손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유로 이음매 구조를 공간 절약으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 나사산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유로 이음매 구조는 제1 유체 디바이스 및 제2 유체 디바이스에 각각 형성된 유로구멍들을 접속하는 유로 이음매 구조로서, 상기 제1 유체 디바이스의 일단면(一端面)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유체 디바이스의 유로구멍의 지름방향 외방(外方)에 배치된 제1 수나사부와, 상기 제2 유체 디바이스의 일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 유체 디바이스의 유로구멍의 지름방향 외방에 배치된 제2 수나사부와, 축방향 한쪽 측에 상기 제1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제1 암나사부를 가지며 축방향 다른 쪽 측에 상기 제2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제2 암나사부를 가지는 유니온 너트와, 상기 유니온 너트의 지름방향 내방(內方)에서 상기 제1 수나사부에 상기 제1 암나사부가 나사 체결됨과 함께 상기 제2 수나사부에 상기 제2 암나사부가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유체 디바이스 및 제2 유체 디바이스의 유로구멍들의 접속 부분을 씰링하는 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수나사부 및 상기 제1 암나사부는 오른나사 및 왼나사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수나사부 및 상기 제2 암나사부는 오른나사 및 왼나사 중 어느 다른 쪽이며, 상기 제1 유체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유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한쪽의 유체 디바이스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수나사부 및 상기 제2 수나사부 중 상기 한쪽의 유체 디바이스에 마련된 수나사부의 조임 방향을 나타내는 제1 표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니온 너트의 축방향 한쪽 측의 제1 암나사부가 오른나사 및 왼나사 중 어느 한쪽이고, 유니온 너트의 축방향 다른 쪽 측의 제2 암나사부가 오른나사 및 왼나사 중 어느 다른 쪽이기 때문에, 유니온 너트를 조임으로써, 제1 암나사부가 제1 유체 디바이스의 제1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고, 제2 암나사부가 제2 유체 디바이스의 제2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된다. 이로써, 하나의 유니온 너트만으로 2개의 유체 디바이스의 유로구멍들을 접속할 수 있으면서, 유니온 너트의 지름방향 내방에서는 유로구멍들의 접속 부분을 개스킷으로 씰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로 이음매 구조는 종래 구조와 같이 튜브 및 2개의 유니온 너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로 이음매 구조를 공간 절약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적어도 한쪽의 유체 디바이스에 마련된 제1 표지부에 의해, 상기 유체 디바이스의 수나사부의 조임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나사부와 상이한 조임 방향의 암나사부가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이들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의 나사 체결에 기인하여, 상기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의 나사산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 상기 유로 이음매 구조는 상기 유니온 너트에 마련되고, 상기 유니온 너트의 조임 방향을 나타내는 제2 표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작업자는 제2 표지부에 의해 유니온 너트의 조임 방향, 즉 제1 암나사부 및 제2 암나사부의 조임 방향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수나사부와 상이한 조임 방향의 암나사부가 나사 체결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3) 상기 유로 이음매 구조는 상기 한쪽의 유체 디바이스의 상기 일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된 고정 측 돌기부와, 상기 유니온 너트에 마련되고 상기 유니온 너트로부터 상기 한쪽의 유체 디바이스의 상기 일단면 측으로 돌출되는 가동(可動) 측 돌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가동 측 돌기부는 상기 제1 암나사부 및 상기 제2 암나사부 중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부가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유니온 너트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면, 상기 고정 측 돌기부에 접촉하여 상기 유니온 너트의 조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부가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면, 가동 측 돌기부가 고정 측 돌기부에 접촉하여 유니온 너트의 조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로써, 유니온 너트를 조인 상태에서 유체의 맥동 등에 의해 유체 디바이스가 진동해도, 유니온 너트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상기 제1 표지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 측 돌기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표지부와는 별도로 고정 측 돌기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로 이음매 구조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5) 상기 유로 이음매 구조는 상기 유니온 너트에 마련되고, 상기 유니온 너트의 조임 방향을 나타내는 제2 표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표지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동 측 돌기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표지부와는 별도로 가동 측 돌기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로 이음매 구조의 구성을 더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로 이음매 구조를 공간 절약으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 나사산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로 이음매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유로 이음매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유로 이음매 구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배관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배관 블록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제2 배관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배관 블록을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유니온 너트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유니온 너트를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0은 유니온 너트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1 배관 블록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제1 고정 측 돌기부와 제1 가동 측 돌기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제2 배관 블록을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제2 고정 측 돌기부와 제2 가동 측 돌기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제1 배관 블록에 개스킷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유니온 너트의 조임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유니온 너트의 조임이 완료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유니온 너트의 조임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로 이음매 구조의 제1 배관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제1 배관 블록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로 이음매 구조의 제2 배관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제2 배관 블록을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로 이음매 구조의 유니온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제1 배관 블록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제1 고정 측 돌기부와 제1 가동 측 돌기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3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제2 배관 블록을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제2 고정 측 돌기부와 제2 가동 측 돌기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로 이음매 구조의 유니온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제3 실시형태에서의 제1 배관 블록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제1 고정 측 돌기부와 제1 가동 측 돌기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6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제2 배관 블록을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제2 고정 측 돌기부와 제2 가동 측 돌기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은 씰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종래의 유로 이음매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재하는 복수개의 실시형태 중 적어도 일부를 임의로 조합해도 된다.
[유로 이음매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로 이음매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는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 장치에서 사용되는 약액이 흐르는 배관 경로에서 제1 배관 블록(제1 유체 디바이스)(51)에 형성된 유로구멍(510)(도 2 참조)과, 제2 배관 블록(제2 유체 디바이스)(52)에 형성된 유로구멍(520)을 접속하는 접속 구조로서 사용된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및 우라고 하는 방향은 도 1에 나타내는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는 배관 블록(51, 52)의 유로구멍(510, 520)들을 접속하는 접속 구조로서 사용하고 있는데, 펌프, 밸브, 어큐뮬레이터, 필터, 유량계 등의 다른 유체 디바이스의 유로구멍들을 접속하는 접속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유로 이음매 구조(1)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제1 배관 블록(51)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체로 이루어지는 블록 본체(511)와,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좌우 한 쌍의 제1 돌출부(512)를 구비하고 있다. 우측의 제1 돌출부(512)는 블록 본체(511)의 우측 단면(端面)(일단면)(511a)에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블록 본체(5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제1 돌출부(512)는 블록 본체(511)의 좌측 단면(511b)에서 좌측으로 돌출되어 블록 본체(5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돌출부(512)의 블록 본체(511) 측의 기단부(基端部)에는 환상 홈(513)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의 제1 돌출부(512)의 바깥둘레(환상 홈(513)을 제외함)에는 제1 수나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제1 돌출부(512)의 바깥둘레(환상 홈(513)을 제외함)에는 제2 수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배관 블록(51)의 유로구멍(510)은 블록 본체(511) 및 한 쌍의 제1 돌출부(512)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수나사부(11) 및 제2 수나사부(12)는 유로구멍(510)의 양 단부(端部)의 지름방향 외방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의 제1 돌출부(512)의 선단면에는 환상의 제1 씰홈(15)이 형성되고, 좌측의 제1 돌출부(512)의 선단면에는 환상의 제2 씰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배관 블록(52)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체로 이루어지는 블록 본체(521)와,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좌우 한 쌍의 제2 돌출부(522)를 구비하고 있다. 우측의 제2 돌출부(522)는 블록 본체(521)의 우측 단면(521a)에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블록 본체(5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제2 돌출부(522)는 블록 본체(521)의 좌측 단면(일단면)(521b)에서 좌측으로 돌출되어 블록 본체(5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제2 돌출부(522)의 블록 본체(521) 측의 기단부에는 환상 홈(523)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의 제2 돌출부(522)의 바깥둘레(환상 홈(523)을 제외함)에는 제1 수나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제2 돌출부(522)의 바깥둘레(환상 홈(523)을 제외함)에는 제2 수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배관 블록(52)의 유로구멍(520)은 블록 본체(521) 및 한 쌍의 제2 돌출부(522)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수나사부(11) 및 제2 수나사부(12)는 유로구멍(520)의 양 단부의 지름방향 외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유로구멍(520)은 유로구멍(510)과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의 제2 돌출부(522)의 선단면에는 환상의 제1 씰홈(15)이 형성되고, 좌측의 제2 돌출부(522)의 선단면에는 환상의 제2 씰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유로 이음매 구조(1)는 주로, 제1 배관 블록(51)의 상기 제1 수나사부(11), 제2 배관 블록(52)의 상기 제2 수나사부(12), 유니온 너트(13), 및 개스킷(씰 부재)(14)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배관 블록(51)의 제1 수나사부(11)는 왼나사로 되고, 제2 배관 블록(52)의 제2 수나사부(12)는 오른나사로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와는 반대로, 제1 배관 블록(51)의 제1 수나사부(11)를 오른나사로 하고, 제2 배관 블록(52)의 제2 수나사부(12)를 왼나사로 해도 된다.
유니온 너트(13)는 예를 들면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좌측(축방향 한쪽 측)의 안둘레에 형성된 제1 암나사부(13a)와, 우측(축방향 다른 쪽 측)의 안둘레에 형성된 제2 암나사부(13b)를 가지고 있다. 제1 암나사부(13a) 및 제2 암나사부(13b)는 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암나사부(13a)는 제1 배관 블록(51)의 제1 수나사부(11)에 나사 체결된다. 제2 암나사부(13b)는 제2 배관 블록(52)의 제2 수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암나사부(13a)는 제1 수나사부(11)와 동일한 왼나사로 되고, 제2 암나사부(13b)는 제2 수나사부(12)와 동일한 오른나사로 되어 있다. 한편, 제1 수나사부(11)가 오른나사로 되고, 제2 수나사부(12)가 왼나사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암나사부(13a)는 오른나사가 되고, 제2 암나사부(13b)는 왼나사가 된다.
개스킷(14)은 유니온 너트(13)의 지름방향 내방에서 제1 수나사부(11)에 제1 암나사부(13a)가 나사 체결됨과 함께 제2 수나사부(12)에 제2 암나사부(13b)가 나사 체결됨으로써, 유로구멍(510, 520)들의 접속 부분을 씰링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개스킷(14)은 좌측(축방향 한쪽 측)에 형성된 환상의 제1 압입부(14a)와, 우측(축방향 다른 쪽 측)에 형성된 환상의 제2 압입부(14b)를 가지고 있다. 제1 압입부(14a)는 제1 돌출부(512)의 제1 씰홈(15)에 압입되고, 제2 압입부(14b)는 제2 돌출부(522)의 제2 씰홈(16)에 압입된다.
[제1 표지부와 고정 측 돌기부]
도 4는 제1 배관 블록(51)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배관 블록(51)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제1 배관 블록(51)에서의 블록 본체(511)의 단면(511a)에는 제1 수나사부(11)의 조임 방향(도 5의 시계 반대 방향)을 나타내는 한 쌍의 제1 표지부(61)가 제1 수나사부(11)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우방향으로 약간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단면(511a)에 대한 각 제1 표지부(61)의 돌출량은 환상 홈(513)의 좌우 방향(축방향)의 폭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도 13 참조). 한편, 도 1~도 3에서는 제1 표지부(61)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한 쌍의 제1 표지부(6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돌출부(512)보다도 지름방향 외방에서 제1 돌출부(512)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표지부(61)는 예를 들면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선부(先部)(611)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후부(後部)(612)를 가지고 있다.
선부(611)는 도 5의 시계 반대 방향을 향함에 따라 끝이 가늘어지도록 형성되면서, 지름방향 외방을 향함에 따라 끝이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부(611)에서의 지름방향 외방에 끝이 가늘어지는 부분의 후부(612) 측의 측면(611a)은 단면(511a)을 향함에 따라 돌출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선부(611)의 지름방향 외방에 끝이 가늘어지는 부분에서의, 상기 측면(611a)과 반대 측의 측면(611b)은 단면(511a)에 대하여 수직인 비(非)테이퍼면이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선부(611)는 제1 풀림방지 기구(75)(후술)의 제1 고정 측 돌기부(71)로서 기능한다.
도 6은 제2 배관 블록(52)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배관 블록(52)을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제2 배관 블록(52)에서의 블록 본체(521)의 단면(521b)에는 제2 수나사부(12)의 조임 방향(도 7의 시계 방향)을 나타내는 한 쌍의 제1 표지부(62)가 제2 수나사부(12)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좌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단면(521b)에 대한 제1 표지부(62)의 돌출량은 환상 홈(523)의 좌우 방향(축방향)의 폭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도 13 참조). 한편, 도 1~도 3에서는 제1 표지부(6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한 쌍의 제1 표지부(62)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2 돌출부(522)보다도 지름방향 외방에서, 제2 돌출부(522)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표지부(62)는 예를 들면 제1 표지부(61)와 동일한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선부(621)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후부(622)를 가지고 있다.
선부(621)는 도 7의 시계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끝이 가늘어지도록 형성되면서, 지름방향 외방을 향함에 따라 끝이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부(621)에서의 지름방향 외방으로 끝이 가늘어지는 부분의 후부(622) 측의 측면(621a)은 단면(521b)을 향함에 따라 돌출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선부(621)의 지름방향 외방으로 끝이 가늘어지는 부분에서의, 상기 측면(621a)과 반대 측의 측면(621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선부(621)는 제2 풀림방지 기구(76)(후술)의 제2 고정 측 돌기부(72)로서 기능한다.
[제2 표지부와 가동 측 돌기부]
도 8은 유니온 너트(13)의 정면도이다. 도 8에서 유니온 너트(13)의 바깥둘레에는 좌우방향(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13f)가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이들 복수개의 볼록부(13f)는 유니온 너트(13)를 조이는 공구를 걸기 위한 것이고, 예를 들면 널링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둘레방향으로 연속하는 소정 수(도면예에서는 3개)의 볼록부(13f)마다, 이들의 축방향의 길이를 서서히 짧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화살표의 형상이 둘레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화살표의 형상은 유니온 너트(13)의 조임 방향(제1 암나사부(13a) 및 제2 암나사부(13b)의 조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 수의 볼록부(13f)마다 형성된 복수개의 화살표의 형상이 유니온 너트(13)의 조임 방향을 나타내는 제2 표지부(63)로서 기능한다.
각 제2 표지부(63)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가장 긴 볼록부(13f)의 좌단부는 유니온 너트(13)의 좌측의 한 측면(13d)보다도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1 풀림방지 기구(75)(후술)의 제1 가동 측 돌기부(73)로서 기능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표지부(63)의 일부가 제1 가동 측 돌기부(73)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1 암나사부(13a)를 제1 수나사부(11)에 나사 체결할 때에, 제1 가동 측 돌기부(73)는 유니온 너트(13)로부터 제1 배관 블록(51)의 단면(511a) 측을 향해 돌출된다(도 13 참조).
각 제2 표지부(63)에서의 좌우방향으로 가장 긴 볼록부(13f)의 우단부는 유니온 너트(13)의 우측의 타측면(13e)보다도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 풀림방지 기구(76)(후술)의 제2 가동 측 돌기부(74)로서 기능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표지부(63)의 일부가 제2 가동 측 돌기부(74)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2 암나사부(13b)를 제2 수나사부(12)에 나사 체결할 때에, 제2 가동 측 돌기부(74)는 유니온 너트(13)로부터 제2 배관 블록(52)의 단면(521b) 측을 향해 돌출된다(도 13 참조).
도 9는 유니온 너트(13)를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서, 제1 가동 측 돌기부(73)는 유니온 너트(13)의 바깥둘레 측에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가동 측 돌기부(73)는 볼록부(13f)의 좌단부로부터 유니온 너트(13)의 한 측면(13d)을 따라 유니온 너트(13)의 축심(C)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가동 측 돌기부(73)의 폭방향(유니온 너트(13)의 둘레방향) 양 측의 측면(73a), 측면(73b)은 축심(C) 측을 향함에 따라 제1 가동 측 돌기부(73)가 끝이 가늘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한편, 도 9의 흰색 화살표는 제1 암나사부(13a)의 조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유니온 너트(13)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10에서, 제2 가동 측 돌기부(74)는 유니온 너트(13)의 바깥둘레 측에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2 가동 측 돌기부(74)는 볼록부(13f)의 우단부로부터 유니온 너트(13)의 타측면(13e)을 따라 유니온 너트(13)의 축심(C)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가동 측 돌기부(74)의 폭방향(유니온 너트(13)의 둘레방향) 양 측의 측면(74a), 측면(74b)은 축심(C) 측을 향함에 따라 제2 가동 측 돌기부(74)가 끝이 가늘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한편, 도 10의 흰색 화살표는 제2 암나사부(13b)의 조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풀림방지 기구]
도 11은 제1 배관 블록(51)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제1 고정 측 돌기부(71)와 제1 가동 측 돌기부(73)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암나사부(13a)를 제1 수나사부(11)에 나사 체결하고 있는 도중(유니온 너트(13)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도중)에서(도 15 참조), 제1 가동 측 돌기부(73)는 도 11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가동 측 돌기부(73)의 측면(73b)이 제1 고정 측 돌기부(71)(선부(611))의 측면(611a)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암나사부(13a)가 제1 수나사부(11)에 나사 체결된 상태(도 16 참조)에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면, 제1 가동 측 돌기부(73)는 도 11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가동 측 돌기부(73)의 측면(73a)이 제1 고정 측 돌기부(71)의 측면(611b)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가동 측 돌기부(73)에서의 유니온 너트(13)의 한 측면(13d)에 대한 돌출 높이는 제1 가동 측 돌기부(73)의 측면(73b)이 제1 고정 측 돌기부(71)의 측면(611a)에 접촉한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를 조임 방향으로 더 회전시켰을 때에, 제1 가동 측 돌기부(73)가 제1 고정 측 돌기부(71)를 타고 넘을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가동 측 돌기부(73)의 상기 돌출 높이는 제1 가동 측 돌기부(73)의 측면(73a)이 제1 고정 측 돌기부(71)의 측면(611b)에 접촉한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더 회전해도, 제1 가동 측 돌기부(73)가 제1 고정 측 돌기부(71)를 타고 넘을 수 없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1 배관 블록(51) 측의 제1 고정 측 돌기부(71), 및 유니온 너트(13) 측의 제1 가동 측 돌기부(73)는 제1 암나사부(13a)가 제1 수나사부(11)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1 풀림방지 기구(75)를 구성하고 있다.
도 12는 제2 배관 블록(52)을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제2 고정 측 돌기부(72)와 제2 가동 측 돌기부(74)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암나사부(13b)를 제2 수나사부(12)에 나사 체결하고 있는 도중(유니온 너트(13)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도중)에서(도 15 참조), 제2 가동 측 돌기부(74)는 도 12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가동 측 돌기부(74)의 측면(74b)이 제2 고정 측 돌기부(72)(선부(621))의 측면(621a)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암나사부(13b)가 제2 수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된 상태(도 16 참조)에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면, 제2 가동 측 돌기부(74)는 도 12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가동 측 돌기부(74)의 측면(74a)이 제2 고정 측 돌기부(72)의 측면(621b)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가동 측 돌기부(74)에서의 유니온 너트(13)의 타측면(13e)에 대한 돌출 높이는 제2 가동 측 돌기부(74)의 측면(74b)이 제2 고정 측 돌기부(72)의 측면(621a)에 접촉한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를 조임 방향으로 더 회전시켰을 때에, 제2 가동 측 돌기부(74)가 제2 고정 측 돌기부(72)를 타고 넘을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가동 측 돌기부(74)의 상기 돌출 높이는 제2 가동 측 돌기부(74)의 측면(74a)이 제2 고정 측 돌기부(72)의 측면(621b)에 접촉한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더 회전해도, 제2 가동 측 돌기부(74)가 제2 고정 측 돌기부(72)를 타고 넘을 수 없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2 배관 블록(52) 측의 제2 고정 측 돌기부(72), 및 유니온 너트(13) 측의 제2 가동 측 돌기부(74)는 제2 암나사부(13b)가 제2 수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2 풀림방지 기구(76)를 구성하고 있다.
[유로 이음매 구조에 의한 접속 절차]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에 의해, 제1 배관 블록(51) 및 제2 배관 블록(52)의 유로구멍(510, 520)들을 접속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1 배관 블록(51)의 제1 씰홈(15)에 개스킷(14)의 제1 압입부(14a)를 압입하고, 제1 배관 블록(51)에 개스킷(14)을 일체로 장착한다.
한편, 개스킷(14)은 제2 배관 블록(52)에 일체로 장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제2 배관 블록(52)의 제2 씰홈(16)에 개스킷(14)의 제2 압입부(14b)를 압입하면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제1 배관 블록(51)과 제2 배관 블록(52) 사이에 유니온 너트(13)를 배치한다. 그 때, 작업자는 제1 및 제2 배관 블록(51, 52)의 제1 표지부(61, 62)와, 유니온 너트(13)의 제2 표지부(63)를 시인(視認)함으로써, 제1 수나사부(11)의 조임 방향, 제2 수나사부(12)의 조임 방향, 및 유니온 너트(13)(제1 암나사부(13a)와 제2 암나사부(13b))의 조임 방향이 전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제1 배관 블록(51), 제2 배관 블록(52), 및 유니온 너트(13)를 배치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유니온 너트(13)의 축방향 양 단에 제1 배관 블록(51)의 제1 돌출부(512)의 선단, 및 제2 배관 블록(52)의 제2 돌출부(522)의 선단을 각각 접촉시킨 후, 공구(도시 생략) 등을 이용하여 제2 표지부(63)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유니온 너트(13)를 조인다. 이로써, 서로 왼나사인 제1 수나사부(11)와 제1 암나사부(13a)를 확실하게 나사 체결시킬 수 있고, 서로 오른나사인 제2 수나사부(12)와 제2 암나사부(13b)를 확실하게 나사 체결시킬 수 있다.
작업자가 유니온 너트(13)를 조여 가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암나사부(13a)에 대한 제1 수나사부(11)의 나사 체결이 진행됨으로써, 제1 배관 블록(51)의 제1 돌출부(512)는 유니온 너트(13)의 좌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제2 암나사부(13b)에 대한 제2 수나사부(12)의 나사 체결이 진행됨으로써, 제2 배관 블록(52)의 제2 돌출부(522)는 유니온 너트(13)의 우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 돌출부(512) 및 제2 돌출부(522)가 유니온 너트(13)의 중앙을 향해 이동하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스킷(14)의 제2 압입부(14b)는 제2 배관 블록(52)의 제2 씰홈(16)에 압입되고, 유로구멍(510, 520)들이 접속됨과 함께, 그 접속 부분이 개스킷(14)에 의해 씰링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니온 너트(13)에서의 제1 및 제2 가동 측 돌기부(73, 74)의 측면(73b, 74b)은 유니온 너트(13)의 조임이 완료되기 직전에, 각각 제1 및 제2 고정 측 돌기부(71, 72)의 측면(611a, 621a)에 접촉한다(도 11, 도 12도 참조). 이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를 더 조이면, 제1 및 제2 가동 측 돌기부(73, 74)는 제1 및 제2 고정 측 돌기부(71, 72)를 타고 넘는다. 그 때, 제1 및 제2 가동 측 돌기부(73, 74)는 테이퍼면인 측면(611a, 621a)을 따라 제1 및 제2 고정 측 돌기부(71, 72)를 타고 넘으므로, 유니온 너트(13)의 조임 토크가 상승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및 제2 가동 측 돌기부(73, 74)의 세틀링(settling)이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동 측 돌기부(73, 74)가 제1 및 제2 고정 측 돌기부(71, 72)를 타고 넘었던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를 더 조이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동 측 돌기부(73, 74)의 단면(73c, 74c)이 제1 및 제2 배관 블록(51, 52)의 단면(511a, 521b)에 접촉한다. 이로써, 유니온 너트(13)의 조임이 완료된다.
한편, 도 1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유로구멍(510, 520)을 흐르는 약액의 맥동 등에 의해 제1 및 제2 배관 블록(51, 52)이 진동하면,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풀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동 측 돌기부(73, 74)는 제1 및 제2 고정 측 돌기부(71, 72)의 측면(611b, 621b)에 접촉한다. 이 측면(611b, 621b)은 상술한 바와 같이 비테이퍼면이기 때문에, 제1 및 제2 가동 측 돌기부(73, 74)는 측면(611b, 621b)에 접촉함으로써 제1 및 제2 고정 측 돌기부(71, 72)를 타고 넘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써, 유니온 너트(13)의 조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므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작용 효과]
이상,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에 따르면, 유니온 너트(13)에는 제1 암나사부(13a) 및 제2 암나사부(13b)에 의해 오른나사 및 왼나사가 형성되기 때문에, 유니온 너트(13)를 조임으로써, 제1 암나사부(13a)가 제1 배관 블록(51)의 제1 수나사부(11)에 나사 체결되고, 제2 암나사부(13b)가 제2 배관 블록(52)의 제2 수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된다. 이로써, 하나의 유니온 너트(13)만으로 제1 배관 블록(51) 및 제2 배관 블록(52)의 유로구멍(510, 520)들을 접속할 수 있으면서, 유니온 너트(13)의 지름방향 내방에서는 유로구멍(510, 520)들의 접속 부분을 개스킷(14)으로 씰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는 도 28에 나타내는 종래 구조와 같이 튜브(101) 및 2개의 유니온 너트(103)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로 이음매 구조(1)를 공간 절약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에서는, 제1 배관 블록(51) 및 제2 배관 블록(52)에는 제1 수나사부(11) 및 제2 수나사부(12)의 조임 방향을 나타내는 제1 표지부(61, 62)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제1 표지부(61, 62)를 시인함으로써, 제1 수나사부(11) 및 제2 수나사부(12)의 조임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서로 조임 방향이 다른, 제1 수나사부(11)와 제2 암나사부(13b)가 나사 체결하거나, 제2 수나사부(12)와 제1 암나사부(13a)가 나사 체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로 조임 방향이 다른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의 나사 체결에 기인하여, 상기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의 나사산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니온 너트(13)에 그 조임 방향을 나타내는 제2 표지부(63)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제2 표지부(63)를 시인함으로써, 유니온 너트(13)의 조임 방향, 즉 제1 암나사부(13a) 및 제2 암나사부(13b)의 조임 방향도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서로 조임 방향이 다른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가 나사 체결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암나사부(13a, 13b)가 각각 제1 및 제2 수나사부(11, 12)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면, 유니온 너트(13) 측의 제1 및 제2 가동 측 돌기부(73, 74)가 제1 및 제2 배관 블록(51, 52) 측의 제1 및 제2 고정 측 돌기부(71, 72)에 접촉하고, 유니온 너트(13)의 조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로써, 유니온 너트(13)를 조인 상태에서 유로구멍(510, 520)을 흐르는 약액의 맥동 등에 의해 제1 및 제2 배관 블록(51, 52)이 진동해도,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배관 블록(51, 52)의 제1 표지부(61, 62)의 일부가 제1 및 제2 고정 측 돌기부(71, 72)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제1 표지부(61, 62)와는 별도로 제1 및 제2 고정 측 돌기부(71, 72)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유로 이음매 구조(1)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배관 블록(51, 52)의 제2 표지부(63)의 일부가 제1 및 제2 가동 측 돌기부(73, 74)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제2 표지부(63)와는 별도로 제1 및 제2 가동 측 돌기부(73, 74)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로 이음매 구조(1)의 구성을 더 간소화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로 이음매 구조(1)의 제1 배관 블록(51)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제1 배관 블록(51)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는 제1 배관 블록(51)의 제1 표지부(61)와 제1 고정 측 돌기부(71)가 따로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17 및 도 18에서, 제1 배관 블록(51)에서의 블록 본체(511)의 단면(511a)에는 제1 수나사부(11)의 조임 방향(도 18의 시계 반대 방향)을 나타내는 한 쌍의 제1 표지부(61)가 좌방향으로 움푹 패여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표지부(6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돌출부(512)보다도 지름방향 외방에서 제1 돌출부(512)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표지부(61)는 예를 들면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배관 블록(51)에서의 블록 본체(511)의 단면(511a)에는 제1 풀림방지 기구(75)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 고정 측 돌기부(71)가 우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단면(511a)에 대한 각 제1 고정 측 돌기부(71)의 돌출량은 제1 실시형태의 제1 표지부(61)의 돌출량과 동일하다.
한 쌍의 제1 고정 측 돌기부(7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돌출부(512)보다도 지름방향 외방에서 제1 돌출부(512)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고정 측 돌기부(71)의 폭방향(제1 돌출부(512)의 둘레방향) 양측의 측면(71a, 71b)은 제1 돌출부(512)의 지름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고정 측 돌기부(71)의 상기 지름방향 외방의 단부는 예를 들면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로 이음매 구조(1)의 제2 배관 블록(52)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제2 배관 블록(52)을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는 제2 배관 블록(52)의 제1 표지부(62)와 제2 고정 측 돌기부(72)가 따로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19 및 도 20에서, 제2 배관 블록(52)에서의 블록 본체(521)의 단면(521b)에는 제2 수나사부(12)의 조임 방향(도 20의 시계 방향)을 나타내는 한 쌍의 제1 표지부(62)가 우방향으로 움푹 패여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표지부(62)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2 돌출부(522)보다도 지름방향 외방에서 제2 돌출부(522)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표지부(62)는 예를 들면 제1 표지부(61)와 동일한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배관 블록(52)에서의 블록 본체(521)의 단면(521b)에는 제2 풀림방지 기구(76)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2 고정 측 돌기부(72)가 좌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단면(521b)에 대한 각 제2 고정 측 돌기부(72)의 돌출량은 제1 실시형태의 제1 표지부(62)의 돌출량과 동일하다.
한 쌍의 제2 고정 측 돌기부(72)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2 돌출부(522)보다도 지름방향 외방에서 제2 돌출부(522)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2 고정 측 돌기부(72)는 제1 고정 측 돌기부(71)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제2 고정 측 돌기부(72)의 폭방향(제2 돌출부(522)의 둘레방향) 양측의 측면(72a, 72b)은 제2 돌출부(522)의 지름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제2 고정 측 돌기부(72)의 상기 지름방향 외방의 단부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로 이음매 구조(1)의 유니온 너트(13)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는 유니온 너트(13)의 제2 표지부(63)와 제1 및 제2 가동 측 돌기부(73, 74)가 따로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21에서, 본 실시형태의 유니온 너트(13)의 바깥둘레는 예를 들면 정팔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니온 너트(13)의 바깥둘레의 각 면에는 제1 암나사부(13a) 및 제2 암나사부(13b)의 조임 방향(도 21의 흰색 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 즉 유니온 너트(13)의 조임 방향을 나타내는 제2 표지부(63)가 마련되어 있다. 제2 표지부(63)는 예를 들면, V자 형상의 화살표 형상이 움푹 패여 형성되어 있고, 유니온 너트(13)의 바깥둘레의 각 면에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유니온 너트(13)의 한 측면(13d)의 바깥둘레 측에는 제1 풀림방지 기구(75)의 복수개의 제1 가동 측 돌기부(73)가 좌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유니온 너트(13)의 타측면(13e)의 바깥둘레 측에는 제2 풀림방지 기구(76)의 복수개 제2 가동 측 돌기부(74)가 우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2 가동 측 돌기부(74)는 예를 들면 정육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니온 너트(13)의 타측면(13e)의 바깥둘레 측에서의 8개의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제2 가동 측 돌기부(74)는 유니온 너트(13)의 타측면(13e)의 바깥둘레 측에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2 가동 측 돌기부(74)는 유니온 너트(13)의 둘레방향 양측에 측면(74a, 74b)을 가지고 있다(도 23 참조).
제1 가동 측 돌기부(73)는 제2 가동 측 돌기부(74)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가동 측 돌기부(73)는 정육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도시 생략), 유니온 너트(13)의 한 측면(13d)의 바깥둘레 측에서의 8개의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제1 가동 측 돌기부(73)는 유니온 너트(13)의 한 측면(13d)의 바깥둘레 측에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가동 측 돌기부(73)는 유니온 너트(13)의 둘레방향 양측에 측면(73a, 73b)을 가지고 있다(도 22 참조).
도 22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제1 배관 블록(51)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제1 고정 측 돌기부(71)와 제1 가동 측 돌기부(73)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암나사부(13a)를 제1 수나사부(11)에 나사 체결하고 있는 도중(유니온 너트(13)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도중)에서(도 15 참조) 제1 가동 측 돌기부(73)는 도 22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가동 측 돌기부(73)의 측면(73b)이 제1 고정 측 돌기부(71)의 측면(71a)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암나사부(13a)가 제1 수나사부(11)에 나사 체결된 상태(도 16 참조)에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면, 제1 가동 측 돌기부(73)는 도 22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가동 측 돌기부(73)의 측면(73a)이 제1 고정 측 돌기부(71)의 측면(71b)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가동 측 돌기부(73)에서의 유니온 너트(13)의 한 측면(13d)에 대한 돌출 높이는 제1 가동 측 돌기부(73)의 측면(73b)이 제1 고정 측 돌기부(71)의 측면(71a)에 접촉한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를 조임 방향으로 더 회전시켰을 때에, 제1 가동 측 돌기부(73)가 제1 고정 측 돌기부(71)를 타고 넘을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가동 측 돌기부(73)의 상기 돌출 높이는 제1 가동 측 돌기부(73)의 측면(73a)이 제1 고정 측 돌기부(71)의 측면(71b)에 접촉한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더 회전해도, 제1 가동 측 돌기부(73)가 제1 고정 측 돌기부(71)를 타고 넘을 수 없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1 배관 블록(51) 측의 제1 고정 측 돌기부(71), 및 유니온 너트(13) 측의 제1 가동 측 돌기부(73)는 제1 암나사부(13a)가 제1 수나사부(11)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1 풀림방지 기구(75)를 구성하고 있다.
도 23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제2 배관 블록(52)을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제2 고정 측 돌기부(72)와 제2 가동 측 돌기부(74)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암나사부(13b)를 제2 수나사부(12)에 나사 체결하고 있는 도중(유니온 너트(13)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도중)에서(도 15 참조) 제2 가동 측 돌기부(74)는 도 23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가동 측 돌기부(74)의 측면(74b)이 제2 고정 측 돌기부(72)의 측면(72a)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암나사부(13b)가 제2 수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된 상태(도 16 참조)에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면, 제2 가동 측 돌기부(74)는 도 23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가동 측 돌기부(74)의 측면(74a)이 제2 고정 측 돌기부(72)의 측면(72b)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가동 측 돌기부(74)에서의 유니온 너트(13)의 타측면(13e)에 대한 돌출 높이는 제2 가동 측 돌기부(74)의 측면(74b)이 제2 고정 측 돌기부(72)의 측면(72a)에 접촉한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를 조임 방향으로 더 회전시켰을 때에, 제2 가동 측 돌기부(74)가 제2 고정 측 돌기부(72)를 타고 넘을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가동 측 돌기부(74)의 상기 돌출 높이는 제2 가동 측 돌기부(74)의 측면(74a)이 제2 고정 측 돌기부(72)의 측면(72b)에 접촉한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더 회전해도, 제2 가동 측 돌기부(74)가 제2 고정 측 돌기부(72)를 타고 넘을 수 없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2 배관 블록(52) 측의 제2 고정 측 돌기부(72), 및 유니온 너트(13) 측의 제2 가동 측 돌기부(74)는 제2 암나사부(13b)가 제2 수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2 풀림방지 기구(76)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에서도 제1 배관 블록(51) 및 제2 배관 블록(52)에는 제1 수나사부(11) 및 제2 수나사부(12)의 조임 방향을 나타내는 제1 표지부(61, 62)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제1 표지부(61, 62)를 시인함으로써, 제1 수나사부(11) 및 제2 수나사부(12)의 조임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서로 조임 방향이 다른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가 나사 체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로 조임 방향이 다른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의 나사 체결에 기인하여, 상기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의 나사산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니온 너트(13)에 그 조임 방향을 나타내는 제2 표지부(63)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제2 표지부(63)를 시인함으로써, 유니온 너트(13)의 조임 방향, 즉 제1 암나사부(13a) 및 제2 암나사부(13b)의 조임 방향도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서로 조임 방향이 다른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가 나사 체결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암나사부(13a, 13b)가 각각 제1 및 제2 수나사부(11, 12)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면, 유니온 너트(13) 측의 제1 및 제2 가동 측 돌기부(73, 74)가 제1 및 제2 배관 블록(51, 52) 측의 제1 및 제2 고정 측 돌기부(71, 72)에 접촉하고, 유니온 너트(13)의 조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로써, 유니온 너트(13)를 조인 상태에서 유로구멍(510, 520)을 흐르는 약액의 맥동 등에 의해 제1 및 제2 배관 블록(51, 52)이 진동해도,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로 이음매 구조(1)의 유니온 너트(13)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며, 유니온 너트(13)의 제2 표지부(63)가 제1 및 제2 가동 측 돌기부(73, 74)로 되어 있는 점에서 제2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24에서 본 실시형태의 유니온 너트(13)의 한 측면(13d) 및 타측면(13e)에는 제1 암나사부(13a) 및 제2 암나사부(13b)의 조임 방향(도 24의 흰색 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 즉 유니온 너트(13)의 조임 방향을 나타내는 제2 표지부(63)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제2 표지부(63)는 예를 들면 화살깃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니온 너트(13)의 한 측면(13d)(타측면(13e))의 바깥둘레 측에서 유니온 너트(13)의 바깥둘레의 각 면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좌방향(우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 표지부(63)는 유니온 너트(13)의 한 측면(13d)(타측면(13e))의 바깥둘레 측에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유니온 너트(13)의 한 측면(13d)에 마련된 각 제2 표지부(63)는 제1 풀림방지 기구(75)의 제1 가동 측 돌기부(73)로서 기능한다. 제1 가동 측 돌기부(73)에서의 유니온 너트(13)의 둘레방향 양측에는 V자 형상으로 움푹 패인 측면(73a)과, V자 형상으로 돌출된 측면(73b)이 형성되어 있다(도 25 참조).
유니온 너트(13)의 타측면(13e)에 마련된 각 제2 표지부(63)는 제2 풀림방지 기구(76)의 제2 가동 측 돌기부(74)로서 기능한다. 제2 가동 측 돌기부(74)에서의 유니온 너트(13)의 둘레방향 양측에는 V자 형상으로 움푹 패인 측면(74a)과, V자 형상으로 돌출된 측면(74b)이 형성되어 있다(도 26 참조).
도 25는 제3 실시형태에서의 제1 배관 블록(51)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제1 고정 측 돌기부(71)와 제1 가동 측 돌기부(73)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암나사부(13a)를 제1 수나사부(11)에 나사 체결하고 있는 도중(유니온 너트(13)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도중)에서(도 15 참조) 제1 가동 측 돌기부(73)는 도 25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가동 측 돌기부(73)의 측면(73b)이 제1 고정 측 돌기부(71)의 측면(71a)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암나사부(13a)가 제1 수나사부(11)에 나사 체결된 상태(도 16 참조)에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면, 제1 가동 측 돌기부(73)는 도 25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가동 측 돌기부(73)의 측면(73a)이 제1 고정 측 돌기부(71)의 측면(71b)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26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제2 배관 블록(52)을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제2 고정 측 돌기부(72)와 제2 가동 측 돌기부(74)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암나사부(13b)를 제2 수나사부(12)에 나사 체결하고 있는 도중(유니온 너트(13)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도중)에서(도 15 참조) 제2 가동 측 돌기부(74)는 도 25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가동 측 돌기부(74)의 측면(74b)이 제2 고정 측 돌기부(72)의 측면(72a)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암나사부(13b)가 제2 수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된 상태(도 16 참조)에서 유니온 너트(13)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면, 제2 가동 측 돌기부(74)는 도 25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가동 측 돌기부(74)의 측면(74a)이 제2 고정 측 돌기부(72)의 측면(72b)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다른 구성은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에서도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1 및 제2 배관 블록(51, 52)의 제2 표지부(63)가 제1 및 제2 가동 측 돌기부(73, 74)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제2 표지부(63)와는 별도로 제1 및 제2 가동 측 돌기부(73, 74)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로 이음매 구조(1)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기타]
상기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는 반도체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액정·유기 EL 분야, 의료·의약 분야, 또는 자동차 관련 분야 등에서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유로 이음매 구조(1)는 제1 배관 블록(51) 및 제2 배관 블록(52) 양쪽에 제1 표지부(61, 62)를 마련하고 있지만, 제1 배관 블록(51) 및 제2 배관 블록(52) 중 어느 한쪽에만 제1 표지부를 마련해도 된다. 또한, 제1 표지부(61, 62)의 형상, 개수 및 위치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배관 블록(51) 및 제2 배관 블록(52)에 볼록 형상 또는 오목 형상의 제1 표지부(61, 62)를 마련하고 있지만, 제1 및 제2 수나사부(11, 12)의 조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등을 표기한 것이어도 된다.
제2 표지부(63)의 형상, 개수 및 위치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니온 너트(13)에 볼록 형상 또는 오목 형상의 제2 표지부(63)를 마련하고 있지만, 유니온 너트(13)의 조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등을 표기한 것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배관 블록(51) 및 제2 배관 블록(52) 양쪽에 제1 및 제2 고정 측 돌기부(71, 72)를 마련하고 있지만, 양 배관 블록(51, 52) 중 어느 한쪽에만 고정 측 돌기부를 마련해도 된다. 그 경우, 양 배관 블록(51, 52) 중 어느 한쪽에만 마련한 고정 측 돌기부에 대응하는 가동 측 돌기부만을 유니온 너트(13)에 마련하면 된다.
제1 및 제2 고정 측 돌기부(71, 72)의 형상, 개수 및 위치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및 제2 가동 측 돌기부(73, 74)의 형상, 개수 및 위치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로구멍(510, 520)들의 접속 부분을 씰링하는 씰 부재로서, 개스킷(14)을 이용하고 있지만, 개스킷(14) 이외의 다른 씰 부재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씰 부재(개스킷(14))는 제1 배관 블록(51)의 제1 돌출부(512)에 일체화되어 있어도 되고, 도시를 생략하지만 제2 배관 블록(51)의 제2 돌출부(522)에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금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또한, 제1~제3의 각 실시형태에서 예시되는 구성의 전부 또는 일부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의미가 아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지고,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유로 이음매 구조
11: 제1 수나사부
12: 제2 수나사부
13: 유니온 너트
13a: 제1 암나사부
13b: 제2 암나사부
14: 개스킷(씰 부재)
51: 제1 배관 블록(제1 유체 디바이스)
52: 제2 배관 블록(제2 유체 디바이스)
61: 제1 표지부
62: 제1 표지부
63: 제2 표지부
71: 제1 고정 측 돌기부(고정 측 돌기부)
72: 제2 고정 측 돌기부(고정 측 돌기부)
73: 제1 가동 측 돌기부(가동 측 돌기부)
74: 제2 가동 측 돌기부(가동 측 돌기부)
510: 유로구멍
520: 유로구멍

Claims (5)

  1. 제1 유체 디바이스 및 제2 유체 디바이스에 각각 형성된 유로구멍들을 접속하는 유로 이음매 구조로서,
    상기 제1 유체 디바이스의 일단면(一端面)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유체 디바이스의 유로구멍의 지름방향 외방(外方)에 배치된 제1 수나사부와,
    상기 제2 유체 디바이스의 일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 유체 디바이스의 유로구멍의 지름방향 외방에 배치된 제2 수나사부와,
    축방향 한쪽 측에 상기 제1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제1 암나사부를 가지며 축방향 다른 쪽 측에 상기 제2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제2 암나사부를 가지는 유니온 너트와,
    상기 유니온 너트의 지름방향 내방(內方)에서 상기 제1 수나사부에 상기 제1 암나사부가 나사 체결됨과 함께 상기 제2 수나사부에 상기 제2 암나사부가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유체 디바이스 및 제2 유체 디바이스의 유로구멍들의 접속 부분을 씰링하는 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수나사부 및 상기 제1 암나사부는 오른나사 및 왼나사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제2 수나사부 및 상기 제2 암나사부는 오른나사 및 왼나사 중 어느 다른 쪽이며,
    상기 제1 유체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유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한쪽의 유체 디바이스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수나사부 및 상기 제2 수나사부 중 상기 한쪽의 유체 디바이스에 마련된 수나사부의 조임 방향을 나타내는 제1 표지부와,
    상기 한쪽의 유체 디바이스의 상기 일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된 고정 측 돌기부와,
    상기 유니온 너트에 마련되고 상기 유니온 너트로부터 상기 한쪽의 유체 디바이스의 상기 일단면 측으로 돌출되는 가동(可動) 측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측 돌기부는 상기 제1 암나사부 및 상기 제2 암나사부 중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부가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유니온 너트가 조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면, 상기 고정 측 돌기부에 접촉하여 상기 유니온 너트의 조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고,
    상기 제1 표지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 측 돌기부를 구성하는, 유로 이음매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 너트에 마련되고 상기 유니온 너트의 조임 방향을 나타내는 제2 표지부를 더 구비하는, 유로 이음매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지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동 측 돌기부를 구성하는, 유로 이음매 구조.
  4. 삭제
  5. 삭제
KR1020200152826A 2019-11-18 2020-11-16 유로 이음매 구조 KR102519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07953 2019-11-18
JP2019207953A JP7308727B2 (ja) 2019-11-18 2019-11-18 流路継手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343A KR20210060343A (ko) 2021-05-26
KR102519792B1 true KR102519792B1 (ko) 2023-04-10

Family

ID=7585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826A KR102519792B1 (ko) 2019-11-18 2020-11-16 유로 이음매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08727B2 (ko)
KR (1) KR102519792B1 (ko)
CN (1) CN112815160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7401A (ja) * 2017-11-01 2018-02-01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050A (en) * 1897-04-20 Pipe-coupling
US4150845A (en) * 1976-12-06 1979-04-2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ptured nut coupling
JPS6045915U (ja) * 1983-09-06 1985-04-01 川端 幸由 金属薄板製ゆるみ止めナツト
JPS6077879U (ja) * 1983-10-31 1985-05-30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管用接続器具
JPS6224091A (ja) * 1985-07-24 1987-02-02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管継手
US6070912A (en) * 1989-08-01 2000-06-06 Reflange, Inc. Dual seal and connection
JPH11108277A (ja) * 1997-10-02 1999-04-20 Tomoe Shokai:Kk 容器弁接続継手の袋ナット回動方向表示部材
JP2000205229A (ja) 1999-01-19 2000-07-25 Morio Tanmachi 緩み止めナット及び緩み止めボルト
US6578876B2 (en) * 2000-12-12 2003-06-17 Good Turns, Llc Plumbing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system and method
US6908121B2 (en) * 2001-10-22 2005-06-21 Weatherford/Lamb, Inc. Locking arrangement for a threaded connector
US7677607B2 (en) * 2006-09-22 2010-03-16 Eaton Corporation Adjustable fluid coupling assembly
DE102010004272B4 (de) 2010-01-09 2011-09-22 Norma Germany Gmbh Kupplungselement
JP5878143B2 (ja) 2013-05-08 2016-03-08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管継手
JP6240455B2 (ja) * 2013-10-01 2017-11-29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管継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7401A (ja) * 2017-11-01 2018-02-01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15160B (zh) 2023-03-14
KR20210060343A (ko) 2021-05-26
CN112815160A (zh) 2021-05-18
JP2021080979A (ja) 2021-05-27
JP7308727B2 (ja)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325B1 (ko) 합성 수지제 파이프 조인트
KR102204817B1 (ko) 합성 수지제 관이음
WO2007066452A1 (ja) 管継手ロック装置
JP2002122275A (ja) 取付け具及び取付け組立体
WO2019009049A1 (ja) 流体機器の接続構造
KR102519792B1 (ko) 유로 이음매 구조
KR101887676B1 (ko) 배관 피팅 장치
US20230148383A1 (en) Seal member
WO2020044727A1 (ja) 流路継手構造
TW201537078A (zh) 管接頭
JP7175701B2 (ja) 流路継手構造
KR970028028A (ko) 관 죠인트
JP7337737B2 (ja) シール部材、及び管継手
KR102669499B1 (ko) 슬리브 및 그것을 구비한 이음매
JP2020034095A (ja) 流路継手構造
CN114599907B (zh) 管接头
KR200494271Y1 (ko) 튜브 고정 소켓
US12031645B2 (en) Sealing member and pipe joint
US20230175621A1 (en) Inner ring and pipe joint
KR20160052355A (ko) 조인트
JP2008019914A (ja) 流体デバイスどうしの接続構造
JP2013167305A (ja) 管継手構造および管継手
JP2005273824A (ja) ホースの接続金具、ホースの中間金具及びホース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