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926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926A
KR20210042926A KR1020217005221A KR20217005221A KR20210042926A KR 20210042926 A KR20210042926 A KR 20210042926A KR 1020217005221 A KR1020217005221 A KR 1020217005221A KR 20217005221 A KR20217005221 A KR 20217005221A KR 20210042926 A KR20210042926 A KR 20210042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ound surface
disposed
round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연
김경원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42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23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tilting or inclin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과, 제1 라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과 결합되어 이동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라운드면과 대응하는 제2 라운드면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라운드면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라운드면 사이에 배치된 볼 베어링 및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라운드면의 폭과 높이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라운드면의 폭과 높이보다 클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실시예는 카메라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휴대폰 등의 이동단말기, 노트북, 드론, 차량 등에 장착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디바이스에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내장되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자동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오토포커스(Auto-Focus, AF)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카메라 모듈은 줌 렌즈(zoom lens)를 통해 원거리의 피사체의 배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촬영하는 줌 업(zoom up) 또는 줌 아웃(zoom out)의 주밍(zoom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카메라 모듈은 영상 흔들림 방지(Image Stabilization, IS)기술을 채용하여 불안정한 고정장치 혹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인한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인한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거나 방지하는 기술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IS기술에는 광학적 영상 흔들림 방지(Optical Image Stabilizer, OIS)기술과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흔들림 방지기술 등이 있다.
OIS기술은 빛의 경로를 변화시킴으로써 움직임을 보정하는 기술이며,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흔들림 방지기술은 기계적인 방식과 전자적인 방식으로 움직임을 보정하는 기술인데, OIS기술이 더 많이 채용되고 있다.
한편, 이미지센서는 고화소로 갈수록 해상도가 높아져 화소(Pixel)의 크기가 작아지는데, 화소가 작아지면 동일한 시간에 받아들이는 빛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고화소 카메라일수록 어두운 환경에서는 셔터속도가 느려지면서 나타나는 손떨림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이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어두운 야간이나 특히 동영상에서 고화소 카메라를 이용하여 변형 없는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OIS 기능은 최근 필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한편, OIS 기술은 카메라의 렌즈나 이미지센서를 움직여 광로(Optical path)를 수정함으로써 화질을 보정하는 방식인데, OIS 기술은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통해 카메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렌즈나 이미지 센서가 움직여야 할 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예를 들어, OIS 보정 방식은 렌즈 이동(Shift) 방식과 렌즈 틸팅(Tilting) 방식이 있다.
한편 최근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아프리카 TV(Afreeca TV) 등과 같이 실시간 동영상 촬영을 통한 인터넷 개인방송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동영상 촬영 시 OIS 기능이 작동되는 경우 오히려 동영상의 왜곡이 발생이 심하여 사용자나 시청자에게 울렁거림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a는 종래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 이동 방식을 통한 OIS 개념도이며, 도 1b는 종래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 틸트 방식을 통한 OIS 개념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기존 렌즈 이동방식(Lens Shift) 방식의 경우 렌즈의 이동에 따라 이미지센서에서 공간해상도(SFR) 값이 가장 높은 지점의 기준이 되는 광 축이 Z1에서 Z2로 반복 이동됨에 따라 동영상의 왜곡이 심하고, 사용자 등에게 울렁거림까지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고, 이러한 문제는 센서 이동(Sensor Shift) 방식에서도 발생되고 있다.
또한, 도 1b를 참조하면 기존 렌즈 틸트(Lens Tilt) 방식의 경우 렌즈의 틸팅에 따라 광 축이 Z1에서 Z2로 틀어짐이 반복 발생됨에 따라 렌즈와 이미지 센서간의 거리가 변하게 되고 공간해상도(SFR) 값의 기준이 되는 광 축이 이동됨에 따라 동영상의 왜곡이 더욱 심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센서 틸트(Sensor Tilt) 방식에서도 마찬가지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된 문제에 대한 마땅한 기술적 해결책이 마련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기술의 OIS 기술은 렌즈이동 등을 위해 기계적 구동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며 구동소자나 자이로 센서 등이 장착되어야 하므로 초소형 카메라 모듈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실시예는 동영상 촬영 시에도 영상의 왜곡이 없는 우수한 OIS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구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앞서 기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초소형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는 본 항목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파악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과, 제1 라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과 결합되어 이동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라운드면과 대응하는 제2 라운드면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라운드면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라운드면 사이에 배치된 볼 베어링 및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라운드면의 폭과 높이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라운드면의 폭과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과, 제1 라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과 결합되어 이동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라운드면과 대응하는 제2 라운드면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라운드면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라운드면 사이에 배치된 볼 베어링 및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라운드면은 적어도 두 개의 제1 단위 라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제1 단위 라운드면은 상기 렌즈모듈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라운드면은 적어도 두 개의 제2 단위 라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단위 라운드면 각각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단위 라운드면 각각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과, 제1 라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과 결합되어 이동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라운드면과 대응하는 제2 라운드면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라운드면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라운드면 사이에 배치된 볼 베어링 및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모듈은 광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라운드면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제2 라운드면을 따라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상하로 구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모듈이 광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볼 베어링은 제1 라운드면과 상기 제2 라운드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렌즈모듈이 광축에 수직한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틸트되도록 상기 볼 베어링은 제1 라운드면과 상기 제2 라운드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1 라운드면은 상기 제1 브라켓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라운드면은 상기 제2 브라켓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단은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라운드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리세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2 브라켓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라운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리세스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제2 브라켓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경성 회로기판과 연성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 회로기판의 일부는 상기 제2 브라켓의 제2 리세스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볼 베어링이 배치되는 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 수용부는 상기 제1 리세스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광축방향으로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1코일부와 상기 제2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1마그넷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1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2 코일부와 상기 제2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2 마그넷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볼 베어링이 배치되는 볼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을 지지하고 구동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을 수용하는 제2 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 사이에 배치된 볼; 및 상기 렌즈 모듈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동장치는 소정의 렌즈 모듈을 지지하고 구동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을 수용하는 제2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을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동영상 촬영 시에도 영상의 왜곡이 없는 우수한 OIS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구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앞서 기술한 기술적 효과와 동시에 초소형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한 전체 모듈을 움직이는 방식으로, 렌즈이동 방식에 비해 보정범위가 더 넓으며 렌즈의 광축과 이미지센서의 축이 틀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미지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의 기술적 효과는 본 항목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파악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a는 종래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 이동 방식을 통한 OIS 개념도.
도 1b는 종래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 틸트 방식을 통한 OIS 개념도.
도 2a는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A1-A1'선을 따른 단면 사시도.
도 4b는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A1-A1'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 영역(B1)의 부분 확대도.
도 6a는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A2-A2'선을 따른 단면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 영역(B2)의 부분 확대도.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3 영역(B3)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브라켓과 구동부의 사시도.
도 8a와 도 8b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동 예시도.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스프링 예시도.
도 10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스프링과 제1 브라켓의 결합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
도 2a는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1)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1)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1)의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예에서 빛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을 z축이라고 할 수 있으며, 광축에 수직인 면을 xy평면으로 할 수 있고, xy평면에서 x축과 y축은 상호 수직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x축은 수평좌표축으로, y축은 수직좌표축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 모듈의 움직임은 크게 축을 따라 움직이는 선형 움직임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움직임은, 도 2a에서와 같이, 카메라 모듈의 수평좌표축(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하방향의 회전 움직임을 의미하는 피치(pitch)와, 카메라 모듈의 수직좌표축(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좌우방향의 회전 움직임을 의미하는 요(yaw)와, 카메라 모듈의 전후방향으로 지나는 광축(z축)을 회전축으로 한 회전 움직임을 의미하는 롤(rol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치와 요는 x축 또는 y 방향으로의 회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의 전면 또는 후면, 저면과 후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1)의 분해 사시도이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1)은, 렌즈모듈(200), 제1 브라켓(310), 볼 베어링(316), 제2 브라켓(320), 구동부(340), 및 회로기판(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여 기술적 특징을 상술하기로 한다.
우선 도 2a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1)은, 회로기판(350), 상기 회로기판(350)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센서(미도시),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배치되는 렌즈부(220)와, 상기 렌즈부(220)를 수납하는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 상기 렌즈부(220)와 하우징(210)을 렌즈 모듈(200)이라고 할 수 있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1)은 별도의 AF 구동부, 예를 들어 VCM, MEMS, 피에조, 액체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미지센서 기판은 회로기판(350)과 일체 형성 될 수 있거나 또는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이미지센서의 기판은 회로기판(350)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경우,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1)은, 상기 회로기판(350) 상에 배치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미도시) 및 상기 자이로 센서의 입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200)을 구동하는 모듈 구동부(300) 및 상기 모듈 구동부(300)를 제어하는 구동회로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구동부(300)는 상기 렌즈 모듈(200)을 지지하고 구동하는 제1 브라켓(310)과, 상기 제1 브라켓(310)을 수용하는 제2 브라켓(320) 및 제1 브라켓(310)을 구동하는 구동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구동부(300)는 제1 브라켓(310)에 결합된 렌즈모듈(200)을 x,y,z축을 기준으로 피치, 요, 롤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310)은 렌즈 모듈(200) 및 모듈 구동부(300)의 구성, 예를 들어 코일 등을 지지하고, 렌즈 모듈(200)의 AF 기능과 함께 Pitch, Yaw, Roll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320)은 제1 브라켓(310)을 수용하되 제1 브라켓(310)을 통한 렌즈 모듈(200)의 Pitch, Yaw, Roll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고정부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브라켓(320)은 휴대폰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브라켓(310)은 카메라 모듈에 부착되어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잠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브라켓(310)과 제2 브라켓(320)은 소정의 스프링(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렌즈 모듈(20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00)은 외측 지지부(410)와 스프링부(420), 내측 지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지지부(410)는 제2 브라켓(320)에 지지되거나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내측 지지부(430)는 제1 브라켓(310)에 지지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라켓(310)과 상기 제2 브라켓(320) 사이에는 소정의 자력에 의해 렌즈 모듈(20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0은 실시예에서 스프링(400)과 제1 브라켓(310)의 결합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스프링(400)의 내측 지지부(430)는 제1 브라켓(310)에 지지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1)은, 렌즈 모듈(200), 제1 브라켓(310), 제2 브라켓(320) 바깥쪽 면에 쉴드 캔(미도시)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캔은 커버 하우징으로 칭해질수도 있다. 상기 쉴드 캔은 스틸(SUS) 등의 금속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로 유입 및 유출되는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으며, 또한 카메라 모듈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1)에서 이미지 센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고체촬상 소자와 이 고체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값으로 변환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렌즈부(220)는 소정의 경통(미도시)과 렌즈(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단일 또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액체 렌즈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210)에는 상기 렌즈부(220)를 구동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보이스코일 모터, 마이크로 액츄에이터, 실리콘 액츄에이터, 형상기억합금(SAM) 등일 수 있고, 정전방식, 써멀방식, 바이모프 방식, 정전기력방식, 피에조방식 엑츄에이터 등 여러 가지로 응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터는 렌즈부(220)를 지지하여, 소정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렌즈를 상하로 움직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렌즈모듈(200)은 렌즈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보이스코일모터, 멤스 액츄에이터, 피에조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는 별도 액츄에이터 없이 렌즈 외에 액체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보이스코일모터는 렌즈모듈의 렌즈 전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멤스와 피에조엑츄에이터는 렌즈모듈의 일부 렌즈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액체렌즈는 2개의 액체 사이의 계면의 곡률을 변화시켜 초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자이로 센서는 2차원의 이미지 프레임에서 큰 움직임을 나타내는 피치(pitch)와 요(yaw)의 두 가지 회전 움직임 양을 검출하는 2축 자이로 센서를 채용할 수 있고, 더욱 정확한 손떨림 보정을 위해 피치, 요 및 롤의 움직임 양을 모두 검출하는 3축 자이로 센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해 검출된 피치, 요, 롤에 해당하는 움직임은, 손떨림 보정 방식 및 보정 방향에 따라 적절한 물리량으로 변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a와 도 2b를 함께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회로기판(350)은 경성 인쇄회로기판(Rigid PCB),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CB),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igid Flexible PCB) 등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배선패턴이 있는 모든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를 참조하면, 회로기판(350)은 제1 회로기판(351), 제2 회로기판(352), 제3 회로기판(3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기판(351)은 경성 인쇄회로기판(Rigid PCB)일 수 있으며, 제2 회로기판(352)은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CB) 또는 경연성 인쇄회로기판(Rigid Flexible PCB)일 수 있으며, 상기 제3 회로기판(353)
은 경성 회로기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2 회로기판(352)은 연성회로기판 형태로 굴곡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기판(351)은 상기 제2 브라켓(320)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3 회로기판(353)은 렌즈 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2 브라켓(320)은 제2 리세스(320R2) 영역을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브라켓(320)은 4개면 측면에 각각 제2 리세스(320R2)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는 제2 리세스(320R2) 영역에 회로기판 외에 타부품이 배치될 수 있어 공간의 효율이 높아져서 더욱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한 특유의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제2 회로기판(352)은 제2 브라켓(320)의 제2 리세스(320R2) 영역에 배치되어 제2 회로기판(352)에서 유발되는 텐션(tension)을 분산하는 특유의 효과가 있고, 제2 브라켓(320)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이를 통해 기구적, 전기적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를 참조하면 제2 회로기판(352)이 제2 브라켓(320)의 제2 리세스 영역(320R2) 영역에 각각 분리되어 배치됨으로써 제2 회로기판(352)이 받은 텐션(tension)을 분산하는 특유의 효과가 있어서 기구적, 전기적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2 회로기판(352)이 제2 브라켓(320)의 제2 리세스(320R2) 영역에 배치됨에 따라 제2 회로기판(352)과 구동부(240) 등과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a는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1)의 A1-A1'선을 따른 단면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1)의 A1-A1'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 영역(B1)의 부분 확대도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브라켓(310)은 제1 리세스(310R1) 영역을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브라켓(310)은 4개면 측면에 각각 제1 리세스(310R1)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브라켓(310)은 제1 리세스(310R1)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정밀사출 가능하며,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무게감소에 따라 동작 속도도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영역(310R1)에 볼 베어링(316)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브라켓(320)도 제2 리세스(320R2) 영역을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브라켓(320)은 4개면 측면에 각각 제2 리세스(320R2)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310)은 볼 베어링(316)이 배치되는 볼 수용부(312)를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브라켓(310)은 4개면 측면에 각각 볼 수용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제1 브라켓(310)의 볼 수용부(312)의 상하 제1 폭(W1)은 볼의 직경(D1)에 비해 클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볼 직경(D1)의 1.1 내지 1.5 배의 크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Yaw, Pith 구동시 렌즈모듈의 이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는 제1 브라켓(310)의 볼 수용부(312)의 상하 제1 폭(W1)은 볼 직경(D1)의 1.2 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볼 직경(D1)은 약 0.4mm 내지 0.8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는 볼 직경(D1)이 0.6m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하여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310)은 측단면이 곡면인 제1 라운드면(310S)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320)은 상기 제1 라운드면(310S)에 대응하는 곡면을 구비하는 제2 라운드면(320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라운드면(310S)의 곡률은 상기 제2 라운드면(320S)의 곡률과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브라켓(310)과 제2 브라켓(320)에서, 각각 곡면인 제1 라운드면(310S)과 제2라운드면(320S) 영역은 같은 곡률을 구비함으로써 요, 피치, 롤 구동시에 서로 이격이 유지됨으로써 간섭되지 않고 구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볼 베어링(316)에 의해 제1 브라켓(310)과 제2 브라켓(320)이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으며, 실시예는 0.2mm이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0.2~0.5mm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라운드면(310S)은 상기 제1 브라켓(310)의 외측 측단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라운드면(320S)은 상기 제2 브라켓(320)의 내측 측단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브라켓(310)과 제2 브라켓(320)이 각각 곡면인 제1 라운드면(310S)과 제2라운드면(320S)을 구비함으로써 구동부(340)가 렌즈 모듈(200)을 Roll, Yaw, Pitch 구동을 원할 히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310)의 상단은 제2 브라켓(320)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어 렌즈 모듈(200)의 Roll 구동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310)의 하단은 제2 브라켓(320)의 하단보다 높게 배치되어 렌즈 모듈(200)의 Roll, 요, 피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2 브라켓(320)의 하단은 스토퍼부(320B)를 구비하여 제1 브라켓(310)의 이동을 멈추는 스토퍼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제1 브라켓(310)은 제1 리세스(310R1)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정밀사출 가능하며,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무게감소에 따라 동작 속도도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a는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A2-A2'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 영역(B2)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3 영역(B3)의 부분 확대도이다.
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310)은 볼 베어링(316)이 배치되는 볼 수용부(312)를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브라켓(310)은 4개면 측면에 각각 볼 수용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310)은 측단면이 곡면인 제1 라운드면(310S)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310)의 제1 라운드면(310S)은 적어도 두 개의 제1 단위 라운드면(310SR1, 310SR2, 310SR3, 310SR4)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제1 단위 라운드면(310SR1, 310SR2, 310SR3, 310SR4)은 상기 렌즈모듈(200)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310)은 제1-1 내지 제1-4 단위 라운드면(310SR1, 310SR2, 310SR3, 310SR4)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내지 제1-2 단위 라운드면(310SR1, 310SR2)은 상기 렌즈모듈(200)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3 내지 제1-4 단위 라운드면(310SR3, 310SR4)은 상기 렌즈모듈(200)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 라운드면은 경사 측면기둥으로 칭해질 수 있다.
실시예의 제1 브라켓(310)은 복수의 경사 측면기둥과 각각의 경사 측면기둥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측면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브라켓(310)은 4개면 측면에 제1-1 경사 측면기둥 내지 제1-4 경사 측면기둥(310SR1, 310SR2, 310SR3, 310SR4)과 이들 각각의 경사 측면기둥 사이에 배치되는 제1-1 내지 제1-4 수직 측면기둥(310SVR1, 310SV2, 310SV3, 310SV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경사 측면기둥(310SR1)과 상기 제1-2 경사 측면기둥(310SR2)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3 경사 측면기둥(310SR3)과 상기 제1-4 경사 측면기둥(310SR4)도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2 브라켓(320)도 측단면이 곡면인 제2 라운드면(320S)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브라켓(320)의 제2 라운드면(320S)은 적어도 두 개의 제2 단위 라운드면(320SR1, 320SR2, 320SR3, 320SR4)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제2 단위 라운드면(320SR1, 320SR2, 320SR3, 320SR4)은 상기 렌즈모듈(200)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라켓(320)은 제2-1 내지 제2-4 단위 라운드면(320SR1, 320SR2, 320SR3, 320SR4)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내지 제2-2 단위 라운드면(320SR1, 320SR2)은 상기 렌즈모듈(200)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3 내지 제2-4 단위 라운드면(320SR3, 320SR4)은 상기 렌즈모듈(200)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위 라운드면은 경사 측면기둥으로 칭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브라켓(310)의 제2 라운드면(320S)은 제2-1 경사 측면기둥 내지 제2-4 경사 측면기둥(320SR1, 320SR2, 320SR3, 320SR4)과 이들 각각의 경사 측면기둥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측면기둥(320SV1, 320SV2, 320SV3, 320SV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경사 측면기둥(320SR1)과 상기 제2-2 경사 측면기둥(320SR2)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3 경사 측면기둥(320SR3)과 상기 제2-4 경사 측면기둥(320SR4)도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볼 수용부(312)는 제1 브라켓(310)의 제1 라운드면(310S)과 제2 브라켓(320)의 제2 라운드면(320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 수용부(312)는 제1-1 단위 라운드면 내지 제1-4 단위 라운드면(310SR1, 310SR2, 310SR3, 310SR4)과 이들에 각각 대응되는 제2-1 단위 라운드면 내지 제2-4 단위 라운드면(320SR1, 320SR2, 320SR3, 320SR4)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라켓(310)은 제1-1 단위 라운드면 내지 제1-4 단위 라운드면(310SR1, 310SR2, 310SR3, 310SR4)을 포함하되, 수직 측면기둥(310SV1, 310SV2, 310SV3, 310SV4)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라켓(310)은 제1-1 단위 라운드면 내지 제1-4 단위 라운드면(310SR1, 310SR2, 310SR3, 310SR4)들이 서로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실시예의 제1 브라켓(310)이 수직 측면기둥(310SV1, 310SV2, 310SV3, 310SV4)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렌즈모듈의 하우징과 제1-1 단위 라운드면 내지 제1-4 단위 라운드면(310SR1, 310SR2, 310SR3, 310SR4)들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a와 도 2b를 함께 참조하여 요(yaw), 피치(pitch) 구동을 설명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제1-1 단위 라운드면(310SR1)이 올라가고 상기 제1-2 단위 라운드면(310SR2)이 내려가게 되면 요(yaw)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3 단위 라운드면(310SR3)이 올라가고 상기 제1-4 단위 라운드면(310SR4)이 내려가게 되면 피치(pitch) 기능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 영역(B2)의 부분 확대도이다.
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310)에 구비되는 볼 수용부(312)는 V자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볼 베어링(316)은 제1 브라켓(310)과 제2 브라켓(320)에 전체적으로 3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310)에 구비되는 볼 수용부(312)는 제1 경사면(312S1), 제2 경사면(312S2) 및 바닥면(312B)을 포함함으로써 V자 형태의 레일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310)의 볼 수용부(312)는 z축방향을 V자 형태의 레일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볼 베어링(316)은 제1브라켓(310)과는 2점 접촉하고, 제2 브라켓(320)과는 1점 접촉하여 3점 점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볼 수용부(312)의 수평 단면은 원 형태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310)의 제1-1 단위 라운드면(310SR1)은 볼 수용부(312)에 대응되는 반대 영역에 라운드 돌출부(310SP)를 구비할 수 있다. 제1-2, 제1-3, 제1-4 단위 라운드면들(310SR2, 310SR3, 310SR4)도 볼 수용부(312)에 대응되는 반대 영역에 라운드 돌출부(310SP)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1-1, 제1-2, 제1-3, 제1-4 단위 라운드면들(310SR1, 310SR2, 310SR3, 310SR4)은 볼 수용부(312)에 대응되는 반대 영역인 제1 리세스영역(310R1)으로 돌출되는 라운드 돌출부(310SP)를 구비하여, 볼 수용부(312)가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볼 수용부(312)가 견고한 구조로 형성되어 볼 베어링(316)의 구름 구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3 영역(B3)의 부분 확대도이다.
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310)은 제1-1 단위 라운드면(310SR1)과 제1-1 수직기둥(310SV1) 사이에 제1-2 리세스(310R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2 브라켓(320)은 제2-1 단위 라운드면(320SR1)과 제2-1 수직기둥(320SV1) 사이에 제2-1 돌출부(320SP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돌출부(320SP1)는 제1 브라켓(310)이 상기 제1-2 리세스(310R2)에 배치되면서 Yaw, Pitch 또는 Roll 구동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1 돌출부(320SP1)는 상기 제1 브라켓(310)의 Roll 구동시 스토퍼(stopper) 기능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제1 브라켓(310)과 구동부(340)의 사시도이며, 도 8a와 도 8b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동 예시도이다.
실시예에서 구동부(340)는 제1 구동부(341)와 제2 구동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40)는 렌즈 모듈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구동부(341)는 제1 마그넷(341m)과 제1 코일부(341c)를 구비하여 제1 방향의 힘(F1)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동부(341)는 제1 마그넷(341m)과 도넛 형상의 제1 코일부(341c)를 구비하여 z축 방향의 제1 힘(F1)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마그넷(341m)은 수직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배치된 마그넷으로 수직방향의 전자기력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342)는 제2 마그넷(342m)과 제2 코일부(342c)를 구비하여 제2 방향의 힘(F2)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마그넷(342m)은 제2 코일부(342c)에 n극 또는 s극이 수평 대면하도록 착좌되어 수평 방향(Y축 방향)의 힘(F2)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구동부(342)는 제2 마그넷(342m)과 도넛 형상의 제2 코일부(342c)를 구비하여 y축 방향의 제2 힘(F2)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구동부(340)와 제1 브라켓(310) 사이에 제1 요크(344)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요크(344)는 백 요크 기능을 하여 자속을 균일하게 하고 외부로 자속이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마그넷(342m)과 제2 코일부(342c) 사이에 철 재질의 제2 요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코일부(342c) 내측에 제2 요크 등의 자성부재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코일부(342c) 중심에 제2 요크 구비하여 요크와 제2 코일부(342c)로 솔레노이드 구현 가능하다. 솔레노이드 구현하여 자석을 밀고 당기는 힘이 발생될 수 있다.
도 7에 의하면, 제1, 제2 코일(341c, 342c)이 제1 브라켓(310)에 부착되어 있고, 제1, 제2 자석(341m, 342m)은 코일과 이격되어 있는 구조이나 제1, 제2 자석(341m, 342m)이 제1 브라켓(310)에 부착되고 코일이 이격되는 구조도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oll 구동 또는 Yaw/Pitch 틸팅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의해 Roll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잠시 도 6c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제2-1 돌출부(320SP1)는 제1 브라켓(310)이 상기 제1-2 리세스(310R2)에 배치되면서 Roll 구동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1 돌출부(320SP1)는 상기 제1 브라켓(310)이 Roll 구동 스타퍼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8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의해 Yaw/Pitch 틸팅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잠시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310)은 측단면이 곡면인 제1 라운드면(310S)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320)은 상기 제1 라운드면(310S)에 대응하는 곡면을 구비하는 제2 라운드면(320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라운드면(310S)의 곡률은 상기 제2 라운드면(320S)의 곡률과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브라켓(310)과 제2 브라켓(320)에서, 각각 곡면인 제1 라운드면(310S)과 제2라운드면(320S) 영역은 같은 곡률을 구비함으로써 요, 피치, 롤 구동시에 서로 이격이 유지됨으로써 간섭되지 않고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라운드면(310S)은 상기 제1 브라켓(310)의 외측 측단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라운드면(320S)은 상기 제2 브라켓(320)의 내측 측단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브라켓(310)과 제2 브라켓(320)이 각각 곡면인 제1 라운드면(310S)과 제2라운드면(320S)을 구비함으로써 구동부(340)가 렌즈 모듈(200)을 Roll, Yaw, Pitch 구동을 원할 히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310)의 상단은 제2 브라켓(320)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어 렌즈 모듈(200)의 Roll 구동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1 브라켓(310)의 하단은 제2 브라켓(320)의 하단보다 높게 배치되어 렌즈 모듈(200)의 Roll, Yaw, Pitc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2 브라켓(320)의 하단은 스토퍼부(320B)를 구비하여 제1 브라켓(310)의 이동을 멈추는 스토퍼 기능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Roll 구동 또는 Yaw/Pitch 틸팅 구동에 의해 약 0.8 내지 2.0˚의 회전 각도 (1˚의 회전각도 포함)를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OI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는 동영상 촬영 시에도 화질의 왜곡이 없는 우수한 OIS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구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앞서 기술한 기술적 효과와 동시에 초소형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별도의 AF 구동부, 예를 들어 VCM, MEMS, 피에조, 액체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미지센서 기판은 회로기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분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미도시) 및 상기 자이로 센서의 입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을 구동하는 모듈 구동부 및 상기 모듈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회로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모듈은 렌즈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보이스코일모터, 멤스 액츄에이터, 피에조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는 별도 액츄에이터 없이 렌즈 외에 액체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0)

  1. 렌즈 모듈;
    제1 라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과 결합되어 이동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라운드면과 대응하는 제2 라운드면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라운드면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라운드면 사이에 배치된 볼 베어링;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라운드면의 폭과 높이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라운드면의 폭과 높이보다 큰 카메라 모듈.
  2. 렌즈 모듈;
    제1 라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과 결합되어 이동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라운드면과 대응하는 제2 라운드면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라운드면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라운드면 사이에 배치된 볼 베어링;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라운드면은 적어도 두 개의 제1 단위 라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제1 단위 라운드면은 상기 렌즈모듈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라운드면은 적어도 두 개의 제2 단위 라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단위 라운드면 각각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단위 라운드면 각각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3. 렌즈 모듈;
    제1 라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과 결합되어 이동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라운드면과 대응하는 제2 라운드면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의 상기 제1 라운드면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상기 제2 라운드면 사이에 배치된 볼 베어링;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제2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모듈은 광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라운드면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제2 라운드면을 따라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상하로 구동되는 카메라 모듈.
  4. 제1 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이 광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볼 베어링은 제1 라운드면과 상기 제2 라운드면을 따라 움직이는 카메라모듈
  5. 제1 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이 광축에 수직한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틸트되도록 상기 볼 베어링은 제1 라운드면과 상기 제2 라운드면을 따라 움직이는 카메라모듈
  6. 제1 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운드면은 상기 제1 브라켓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라운드면은 상기 제2 브라켓의 내측면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
  7. 제1 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단은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8. 제1 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라운드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리세스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1 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2 브라켓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라운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리세스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볼 베어링이 배치되는 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 수용부는 상기 제1 리세스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217005221A 2018-09-05 2019-09-05 카메라 모듈 KR202100429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06210 2018-09-05
KR1020180106210 2018-09-05
PCT/KR2019/011484 WO2020050650A1 (ko) 2018-09-05 2019-09-05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926A true KR20210042926A (ko) 2021-04-20

Family

ID=6972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221A KR20210042926A (ko) 2018-09-05 2019-09-05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82934B2 (ko)
EP (1) EP3849167A4 (ko)
JP (1) JP2021535443A (ko)
KR (1) KR20210042926A (ko)
CN (2) CN112655191B (ko)
WO (1) WO20200506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540A (ko) * 2021-11-23 2023-05-3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스펙트럴 카메라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식생정보 취득용 드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1490A1 (de) * 2019-01-22 2020-07-23 Sick Ag Modulare Kamera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optischen Erfassung
JP7267558B2 (ja) * 2019-06-14 2023-05-02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2021120706A (ja) * 2020-01-30 2021-08-19 日本電産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7484192B2 (ja) * 2020-01-30 2024-05-16 ニデック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7431061B2 (ja) * 2020-03-04 2024-02-14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KR20210129454A (ko) * 2020-04-20 2021-10-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20003833A (ko) * 2020-07-02 2022-01-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3286062B (zh) * 2021-04-19 2023-07-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结构和电子设备
CN112954186B (zh) * 2021-04-19 2023-07-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结构及电子设备
CN112954185B (zh) * 2021-04-19 2023-04-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结构及电子设备
CN116045174A (zh) * 2021-10-28 2023-05-02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显示装置、电子装置与伸缩组件
CN114025067A (zh) * 2021-11-05 2022-02-08 昆山联滔电子有限公司 摄像装置
CN114244977A (zh) * 2021-11-22 2022-03-25 昆山联滔电子有限公司 摄像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4447A (ja) 1993-12-28 1995-09-05 Canon Inc 撮影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
JP2000165738A (ja) * 1998-06-17 2000-06-16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2005303490A (ja) 2004-04-08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モジュ−ル
KR101297665B1 (ko) * 2007-10-18 2013-08-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회전형 카메라 모듈
KR101853346B1 (ko) 2011-08-04 2018-05-02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초소형 카메라모듈의 자동초점조절장치
KR101991719B1 (ko) 2012-06-29 2019-06-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14089325A (ja) * 2012-10-30 2014-05-15 Canon Inc 像振れ補正装置、光学機器、および撮像装置
WO2014137102A1 (ko) * 2013-03-07 2014-09-12 자화전자(주)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JP6320044B2 (ja) * 2014-01-08 2018-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EP3926379A1 (en) * 2014-01-28 2021-12-22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1725442B1 (ko) * 2014-03-07 2017-04-11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모듈
KR102494346B1 (ko) * 2015-04-10 2023-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6199776A1 (ja) * 2015-06-12 2016-12-15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筐体、これを備えるレンズ駆動装置、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筐体の製造方法
JP2017015963A (ja) * 2015-07-02 2017-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
US10353216B2 (en) * 2015-07-14 2019-07-16 Nidec Sankyo Corporation Optical unit with shake correction func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460756B1 (ko) 2015-08-11 2022-10-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6507384B2 (ja) 2015-10-14 2019-05-08 新シコー科技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751133B1 (ko) 2015-11-09 2017-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794582B1 (ko) 2016-06-22 2017-11-07 (주)알비케이이엠디 카메라 모듈의 볼 가이드 구조
US10516773B2 (en) * 2016-10-13 2019-12-2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792441B1 (ko) 2016-12-06 2017-10-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0534194B2 (en) * 2017-02-17 2020-01-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eflecting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JP2019113638A (ja) * 2017-12-22 2019-07-11 シーエム・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540A (ko) * 2021-11-23 2023-05-3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스펙트럴 카메라 흔들림 방지 기능을 갖는 식생정보 취득용 드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39366A (zh) 2023-10-24
US11982934B2 (en) 2024-05-14
EP3849167A1 (en) 2021-07-14
CN112655191B (zh) 2023-08-11
WO2020050650A1 (ko) 2020-03-12
CN112655191A (zh) 2021-04-13
EP3849167A4 (en) 2022-06-01
US20210318592A1 (en) 2021-10-14
JP2021535443A (ja)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2934B2 (en) Camera module
US20210080808A1 (en) Anti-shake compensation structure for auto-focus
CN108156367B (zh) 相机模块
JP5453220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モジュールの手ブレ防止傾斜補正構造
US20220221734A1 (en) Camera module
CN212723615U (zh) 相机模块
US20060082659A1 (en) Optical image stabilizer for camera lens assembly
KR101730268B1 (ko) 카메라 모듈
TWI485459B (zh) 成像裝置
KR102568006B1 (ko) 카메라 모듈
KR20130044438A (ko) 손 떨림 보정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213302731U (zh) 相机模块
CN113132610A (zh) 光学防抖的摄像头模组和数码装置
CN114222051B (zh) 摄像组件和电子设备
KR20200139484A (ko) 카메라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30262305A1 (en) Camera module
JP202352291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