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365A - 수하물용 단단할 쉘을 형성하는 방법, 수하물용 쉘 및 수하물 - Google Patents

수하물용 단단할 쉘을 형성하는 방법, 수하물용 쉘 및 수하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365A
KR20210042365A KR1020217007100A KR20217007100A KR20210042365A KR 20210042365 A KR20210042365 A KR 20210042365A KR 1020217007100 A KR1020217007100 A KR 1020217007100A KR 20217007100 A KR20217007100 A KR 20217007100A KR 20210042365 A KR20210042365 A KR 20210042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shell
main
region
str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비에 리구일로
캐슬린 스컬리
Original Assignee
루이비똥 말레띠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비똥 말레띠에 filed Critical 루이비똥 말레띠에
Publication of KR20210042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2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22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forming a two dimensional structure
    • B29C70/222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forming a two dimensional structure the structure being shaped to form a three dimension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70/46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atched moulds, e.g. for deforming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prepregs
    • B29C70/48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atched moulds, e.g. for deforming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prepregs and impregnating the reinforcements in the closed mould, e.g. resin transfer moulding [RTM], e.g. by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8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 B29C51/082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by shaping between complementary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18Suitc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Air Bag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수하물 쉘(4)을 제조하는 방법은: a) 구조물(40)을 포함하는 예비 형성체(3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형성체(30)는 강화재(46)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40)은 메인 영역(31)과, 두 개의 종 방향 영역(32, 33)과, 두 개의 횡 방향 영역(34, 35)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40)은 루프 행들(rows of loops)(44a, 44b, 44c)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루프들(42)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 행들은 서로 연결되고, b) 펀치(62)에 상기 예비 형성체(30)를 설치하는 단계, 및 c) 본체(50)를 포함하는 쉘(4)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예비 형성체(30)의 상기 강화재(46)를 매트릭스재(matrix material)(48)로 함침(impregnating)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50)는 복합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매트릭스재(48)와 강화재(46)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메인 벽(51)과, 두 개의 종 방향 벽(51)과, 두 개의 횡 방향 벽(54, 5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하물용 단단할 쉘을 형성하는 방법, 수하물용 쉘 및 수하물
본 발명은 수하물용 단단한 쉘, 쉘을 포함하는 수하물 및 쉘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힌지로 연결된 두 개의 쉘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하물 품목이 존재하고, 각각의 쉘은 메인 벽과, 두 개의 종 방향 벽과, 두 개의 횡 방향 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매트릭스재와 강화재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의 단단한(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방수의) 본체를 포함하는 쉘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수하물은 특히 특허문헌 WO2017/140982A1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하물이 만족스러움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그 제조를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견고함을 높이고/높이거나 무게를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방법은:
a) 구조물(40)을 포함하는 예비 형성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형성체는 강화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은 메인 영역과, 두 개의 종 방향 영역과, 두 개의 횡 방향 영역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은 루프 행들(rows of loops)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루프들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 행들은 서로 연결되고,
b) 펀치에 상기 예비 형성체를 설치하는 단계; 및
c) 본체 포함하는 쉘(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예비 형성체의 상기 강화재를 매트릭스재(matrix material)로 함침(impregnating)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복합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매트릭스재와 강화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메인 벽과, 두 개의 종 방향 벽과, 두 개의 횡 방향 벽을 포함한다.
예비 형성체의 구조물의 루프들이 존재하면 2차원에서 수십 센티미터에 걸쳐 예비 형성체가 연장되는 경우에도, 구조물을 변형할 수 있는 유연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a)단계동안 구조물은 편평하게 형성되거나, 적어도 수 밀리미터(바람직하게는 1cm미만)의 높이로 편평하게 배치되기에 적합하고, 수 센티미터에서 수십 센티미터의 깊이를 가진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구되는 3차원 형상은 특히 예비 형성체가 내부 볼륨을 정의하는 중공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횡 방향 영역과 종 방향 영역은 일반적으로 메인 영역에 대해 수직하고, 메인 영역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횡 방향 영역은 메인 영역과, 횡 방향 영역과, 종 방향 영역의 사이의 구조물의 연속성을 가지고 종 방향 영역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된다. 즉, 요구되는 3차원 형상은 특히 편평한 구조물에서 시작하여, 두 개의 횡 방향 영역과 두 개의 종 방향 영역의 접힘으로써, 각각의 종 방향 영역의 접힘과 교차하는 횡 방향 부분의 접힘으로써, 그리고 각각의 횡 방향 영역의 접힘과 교차하는 각각의 종 방향 부분의 접힘으로써, 개략적으로 얻어진다. 성취될 수 형상과, 더 일반적으로 미적 가능성의 범위가 증가한다.
반대로, 메인 영역과 횡 방향 영역과 종 방향 영역과, 연속된 에지를 형성하는 횡 방향영역과 종 방향 영역의 사이의 완전한 연속성을 가진 3D 형상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과는 달리, 직조(woven) 구조는 분리된 폴드(fold)만 생성할 수 있고(교차가 아닌), 이는 2.5D라고도 하는 전개 가능한 형상만 허용한다(특히 횡 방형 영역과 종 방향 영역 사이에서 재료의 불연속성이 형성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a)단계에서, 예비 형성체의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편직(knitting)에 의해 형성된다.
편직 기술은 일반적으로 서로를 통과하는 스티치라고 불리는 루프들을 형성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차원의 만족스러운 구조물을 빠르고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예비 형성체의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것을 형성하여 제조된다:
- 메인 가닥(main thread)이 있는 제1 루프 행(a first row of loops),
- 상기 제1 루프 행의 루프들을 통해 상기 메인 가닥을 통과하는 제2 루프 행, 및
- 이전의 루프 행의 루프를 통해 루프 행의 메인 가닥을 통과시키는, 기타 일련의 루프 행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영역에서:
- 상기 루프 행들은 종 방향으로 연장되고,
- 상기 루프 행들은 상기 종 방향에 수직한 횡 방향으로 잇따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 방향 영역에서, 상기 루프 행들이 상기 종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구조물 전체의 제조는 비교적 쉽고, 제조된 쉘의 견고성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횡 방향 영역의 적어도 주요 부분에서, 상기 루프 행들이 상기 횡 방향으로 잇따른다.
따라서, 구조물 전체의 제조는 비교적 쉽고, 제조된 쉘의 견고성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물은 상기 종 방향 영역 중 하나와 상기 횡 방향 영역 중 하나의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연결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a) 단계동안, 루프들의 형상은 미리 결정된 밀도의 영역과 고밀도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기 위해 변화한다.
따라서, 얻어진 쉘의 저항력은 가장 많은 기계적 응력 또는 가장 많은 마찰을 받는 영역에 따라 적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a) 단계동안, 상기 구조물(40)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 상기 미리 결정된 밀도의 영역에서, 상기 루프들은 제1 루프 피치(a first loop pitch)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잇따르고, 상기 루프 행들은 제1 행 피치(a first row pitch)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잇따르고,
- 상기 고밀도 영역에서, 상기 루프들은 제2 루프 피치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잇따르고, 상기 루프 행들은 제2 행 피치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잇따르고,
- 상기 제1 행 피치는 제2 행 피치보다 적어도 50% 더 높게, 바람직하게는 두 배이다.
상기 행 피치의 이러한 변화는 미리 결정된 밀도의 영역과 고밀도 영역의 사이에서 양호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알려진 편직 기술로 쉽게 얻을 수 있으므로, 접합부에서의 상기 쉘의 약점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루프 피치와 제1 루프 피치의 차이는 상기 제1 루프 피치의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제1 루프 피치의 10% 미만이다.
구조물 내의 만족스러운 결합을 유지하면서 상기 루프 피치를 변경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상기 루프 피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구조물 전체에 걸쳐 일정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가닥은 예비 형성체의 상기 구조물 전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쉘의 견고함은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a) 단계동안, 바람직하게는 보조 가닥이 상기 구조물의 상기 루프에 트랩(trap)된다.
따라서, 예비 형성체가 보조 가닥을 더 포함하기 때문에, 보조 가닥이 구조 섬유(fiber) 및/또는 매트릭스재를 포함하는지에 따라, 구조물 내에서 강화재를 분배함으로써, 얻어진 쉘의 강도가 향상되고/향상되거나, 예비 형성체 내에 매트릭스재를 분배함으로써, 쉘의 획득이 단순해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a) 단계동안, 바람직하게는 루프 행들 각각의 상기 루프들은 상기 보조 가닥의 일측과 타측을 교대로 통과한다.
따라서, 보조 가닥은 구조물에 단단히 묶이고, 구조물 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필라멘트로 형성되는 보조 가닥은 예비 형성체 전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된다(보조 가닥은 복수의 분리된 부분을 형성하지 않음).
본 발명의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가닥은 상기 강화재 및/또는 상기 매트릭스재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쉘의 제조가 단순해지고, 매트릭스재와 강화재가 예비 형성체에서 균일하게 분포되고 서로 가깝게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쉘이 강화되거나 품질이 더 좋아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보조 가닥은 강화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고, 코어는 열가소성 중합체 코팅으로 덮이고, 열가소성 중합체인 코어와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공압출(coextruded)된다.
따라서, 보조 가닥은 복합 쉘의 제조를 위해, 강화재 및 매트릭스재로서, 예비 형성체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거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와 상기 코팅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응집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가닥은 제1 가닥 요소와 제2 가닥 요소에서 교대로 나오는 부분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1 가닥 요소와 상기 제2 가닥 요소는 다른 색상을 갖는다.
따라서, 쉘의 견고성에 영향을 미치거나 쉘의 제조를 상당히 복잡하게 하지 않으면서, 적어도 두 가지 색상을 포함하는 장식으로 장식된 쉘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가닥 요소와 상기 제2 요소는 연속적으로 잇따라 상기 구조에서 반복 패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화재는 상기 메인 가닥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c)단계동안, 상기 강화재 함침용 상기 매트릭스재가 상기 예비 형성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쉘의 제조가 단순해지고, 매트릭스재와 화재가 예비 형성체에서 균일하게 분포되고 서로 가깝게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쉘이 강화되거나 품질이 더 좋아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 그리고 독립적일 수 있는 것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c)단계동안, 폴리올레핀(polyolefin)의 매트릭스재(48)가 사용되고, d)단계동안, 폴리올레핀(polyolefin)의 커버링(covering)(56)이 상기 본체에 적용된다.
매트릭스재와 커버링의 재료는 모두 폴리올레핀(polyolefin)이므로, 본체와 커버링 사이의 접착력은 향상되어 접착제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이 특징이 독립적인 경우, 본 발명은 수하물용 쉘의 제조 방법이 다음의 것을 포함하는 또 다른 측면(aspect)에 관한 것이다.
- 본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본체는 메인 벽과, 두 개의 종 방향 벽과, 두 개의 횡 방향 벽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재료를 포함하고, 그 다음
- 상기 본체에 폴리올레핀(polyolefin) 커버링을 접촉한다.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d)단계동안, 상기 커버링(covering) 및/또는 상기 본체는 가열되고, 상기 커버링은 상기 본체에 대해 가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d)단계동안:
- 상기 커버링 및/또는 상기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140도 및 200도 사이로 가열되고,
- 상기 커버링은 1분 내지 30분의 기간동안 10bar에서 20bar 사이의 압력으로 상기 본체에 대해 가열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링은 폼 레이어(foam layer)와 필름을 포함하고(개방 셀이 있는 비-간극, 특히 발포(foam)되지 않음), d)단계동안 상기 폼 레이어가 상기 본체에 접촉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폼 레이어는 250g/m2과 750 g/m2의 사이, 바람직하게는 450g/m2과 500g/m2 사이의 밀도를 갖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d)단계 이전의 d')단계에서:
- 상기 커버링은 중앙 영역과 네 개의 주변 영역를 포함하는 십자 형상으로 절단되고(상기 중앙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직사각 형상), 상기 주변 영역은 각각 상기 중앙 영역에서 연장되는 두 개의 사이드 에지를 포함하고,
-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에 대해 수직하게 접히고(특히 구부러지고), 각각의 사이드 에지는 인접하는 사이드 에지에 접촉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변 영역은 사다리꼴 형상이다.
따라서, 사이드 에지는 쉘의 상기 코너로 연장되지 않고, 쉘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특징에 따르면, d')단계동안,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접하는 사이드 에지들은 가열되고 함께 압착되어 접합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d')단계동안, 롤러가 상기 인접하는 사이드 에지 상에 굴려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특징에 따르면, d')단계동안, 상기 본체에 적용되는 상기 커버링은 대부분(50% 초과), 바람직하게는 필수적으로(적어도 90% 이상), 상기 매트릭스재,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단단하고(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방수(waterproof)되고), 복합 재료로 이루어지고, 매트릭스재와 강화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메인 벽과, 두 개의 종 방향 벽과, 두 개의 횡 방향 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강화재는 루프 행들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루프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 행들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강화재(46)는 상기 매트릭스재 안에 내장되는 수하물용 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화재와 상기 매트릭스재는 각각 상기 메인 벽과, 상기 두 개의 종 방향 벽과, 상기 두 개의 횡 방향 벽내에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벽 내에서, 상기 루프 행들은 각각 종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루프 행들은 상기 종 방향에 수직한 횡 방향으로 인접하는 방식으로 잇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강화재는 메인 가닥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가닥은 편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가닥은 상기 루프들을 형성하고, 상기 루프 행의 루프들은 인접하는 루프 행을 통과한다.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가닥은 상기 메인 벽과, 상기 두 개의 종 방향 벽과, 상기 두 개의 횡 방향 벽 내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상기 본체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매트릭스재는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그리고 독립적일 수 있는 것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트릭스재는 폴리올레핀(polyolefin)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본체, 즉 복합재는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만들어진 커버링으로 덮인다.
이 특징이 독립적인 경우, 본 발명은 다음의 것을 포함하는 수하물용 쉘의 다른 측면에 관련된 것이다: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단단하고(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방수(waterproof)되고), 상기 본체는 메인 벽과, 두 개의 종 방향 벽과, 두 개의 횡 방향 벽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폴리올레핀(polyolefin)(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만들어진 재료를 포함하고, 폴리올레핀(polyolefin)(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만들어진 커버링에 의해 덮인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링은 폼 레이어(foam layer)와 필름을 포함하고(개방 셀이 있는 비-간극, 특히 발포(foam)되지 않음), 상기 폼 레이어는 상기 바디와 상기 필름의 사이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쉘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음 나열한 것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 상기 강화재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T)으로 만들어진다.
- 상기 강화재는 아라미드(aramid), 카본(carbon), 유리 섬유, 또는 린넨(linen)으로 만들어진다.
- 상기 본체는 강화재로서 미리 결정된 밀도의 영역과, 강화재로서 고밀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강화 재료의 비율은 상기 고밀도 영역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밀도의 영역보다 적어도 50% 이상 더 높고, 상기 쉘은 상기 고밀도 영역에서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휠을 포함한다.
- 상기 커버링은 보이는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표면은 상기 두 개의 종 방향 벽과 상기 두 개의 횡 방향 벽 상에서 연장되는 반복 패턴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제1 쉘과, 상술한 특징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쉘은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쉘(2)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폐쇄 포지션에서 폐쇄된 내부 볼륨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포지션에서 접근 오프닝(access opening)을 제공하는 수하물에 관한 것이다.
제1 쉘이 플레이트 형상(특히 안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음)인 경우 및/또는 제1 쉘이 내부 볼륨으로의 접근 도어로 작용하는 경우, 제1 쉘은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이는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수 있다:
- 도 1은 폐쇄 포지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의 일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 2는 개방 포지션에서, 수하물의 일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 3은 수하물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 4는 수하물용 쉘의 제조의 제1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 도 5는 도 4의 V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 도 6은 도 4의 VI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가닥과 보조 가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 도 8은 쉘 제조의 제2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 도 9는 쉘 제조의 제3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 도 10은 제3 단계 이후의 쉘을 도시한 것이다,
- 도 11은 쉘 제조의 제4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 도 12는 쉘 제조의 제5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 도 13은 제5 단계 이후의 쉘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컨테이너(3)와 힌지 장치(20)뿐만 아니라, 지퍼(10)와 잠금 장치(9)(도 3에서)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수하물의 일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하물의 일 부분은 여행 가방(1)을 형성한다. 컨테이너(3)는 힌지 장치(20)에 의해 연결되는 제1 쉘(2)과 제2 쉘(4)을 포함한다. 제1 쉘(20)과 제2 쉘(4)은 비교적 단단하다. 또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30)는 필수적으로 평행육면체(parallelepipedal)이다. 컨테이너(3)는 종 방향(X)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큰 측면(3a, 3b)과, 횡 방향(Y)으로 연장되는 (더 작은 치수의) 두 개의 작은 측면(3c, 3d)과, 하부 메인 면(3e)과, 상부 메인 면(3f)를 포함한다. 하부 메인 면(3e)과 상부 메인 면(3f)은 필수적으로 평면이고 수직 방향(Z)에 수직이고, 수직 방향(Z)은 종 방향(X)과 횡 방향(Y)에 수직이다. 두 개의 큰 측면(3a, 3b)과 두 개의 작은 측면(3c, 3d)은 수직 방향(Z)을 따라 연장된다. 두 개의 큰 측면(3a, 3b)은 보다 구체적으로 횡 방향(Y)에 수직이고, 두 개의 작은 측면(3c, 3d)는 보다 구체적으로 종 방향(X)에 수직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큰 측면(3a, 3b)과 작은 측면(3c, 3d)는 라운드진 코너부(7a, 7b, 7c, 7d)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코너부(7a, 7b, 7c, 7d)의 라운딩은 상기 코너부(7a, 7b, 7c, 7d)가 사라질 때까지 감소할 수 있고, 큰 측면(3a, 3b)과 작은 측면(3c, 3d)는 날카로운 각도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여행 가방(1)은 작은 측면(3c)의 네 개의 코너에 배치된 휠과, 측면(3d)에서 돌출될 수 있는 신축 손잡이(telescoping handle)을 포함한다. 여행 가방(1)은 큰 측면(3a)에 배치된 메인 운반 손잡이(8)를 더 포함한다. 도 1에서, 여행 가방(1)은 이를 열기 위해 바닥에 놓이도록 의도되고, 하부면(3e)이 놓인 포지션이 도시된다.
컨테이너(3)는 물품, 특히 의류가 운반될 수 있도록 수용되는 것이 의도되는 내부 볼륨(6)(특히 도 3에 도시됨)을 형성한다.
제1 쉘(2)과 제2 쉘(4)은 제1 쉘(2)과 제2 쉘(4)이 도 1에 도시된 개방 포지션과 도 2에 도시된 폐쇄 포지션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힌지 장치(20)에 의해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폐쇄 포지션에서, 제2 쉘(4)은 제1 쉘(2)에 대향하고 있다. 제2 쉘(4)은 일반적으로 결합 평면(P)을 따라 제1 쉘(2)의 에지(2a)와 접촉하는 에지(4a)를 포함한다. 개방 포지션에서, 제1 쉘(2)과 제2 쉘(2)의 사이에, 물품이 놓이는 내부 볼륨(6)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오프닝(access opening)(5)(특히 도 2에 도시됨)이 존재한다.
힌지 장치(20)(특히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됨)는 큰 측면(3a)의 레벨에 배치되고, 제1 쉘(2)에 고정되는 제1 지지부(24)와, 제2 쉘(4)에 고정되는 제2 지지부(26)와, 제1 지지부(24)와 제2 지지부(26)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요소(22)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중간 요소(22)는 제1 힌지 축(R2)을 중심으로 제1 지지부(24), 결과적으로는 제1 쉘(2)에 대해 회전하도록 힌지 연결된다. 중간 요소(22)는 제2 힌지 축(R4)을 중심으로 제2 지지부(26), 결과적으로는 제2 쉘(4)에 대해 회전하도록 힌지 연결된다. 제1 힌지 축(R2)과 제2 힌지 축(R4)은 모두 결합 평면(P)에 평행하게, 그리고 실질적으로는 여행 가방(1)의 폐쇄 포지션에서 큰 측면(3a)의 레벨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제1 힌지 축(R2)과 제2 힌지 축(R4)은 서로 평행하고 서로 이격된다.
폐쇄 포지션에서, 지퍼(10)는 제1 종 방향 단부(10a)와 제2 종 방향 단부(10b)의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1 종 방향 단부(10a)와 제2 종 방향 단부(10b)는 모두 큰 측면(3a)의 레벨에 배치된다. 제1 종 방향 단부(10a)와 제2 종 방향 단부(10b)의 사이에서, 지퍼는 측면(3d, 3b, 3c)를 가로질러 결합 평면을 따라 연장된다.
지퍼(10)는 제1 종 방향 에지(11)를 포함하는 제1 스트립(12)과, 제2 종 방향 에지(13)를 포함하는 제2 스트립(14)과, 슬라이더(16)와, 풀러(puller)(18)를 포함한다. 슬라이더(16)는 이것이 제1 종 방향 단부(10a)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폐쇄 포지션과 이것이 제2 종 방향 단부(10b)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개방 포지션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적용된다.
슬라이더(16)가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제1 종 방향 에지(11)는 제2 종 방향 에지(13)에 인접하도록 유지된다. 이를 위해, 제1 종 방향 에지(11)와 제2 종 방향 에지(13)에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제1 종 방향 에지(11)와 제2 종 방향 에지(13)를 따라 교대로 배열되는 상보적인 이(teeth)가 제공된다. 이와 달리, 다른 타입의 지퍼가 사용될 수도 있다.
슬라이더(16)가 개방 포지션에 있을 때, 제1 종 방향 에지(11)는 제1 종 방향 단부(10a)와 제2 종 방향 단부(10b)의 사이에서, 제2 종 방향 에지(13)에 대해 해제된다.
슬라이더(16)가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여행 가방(1)은 폐쇄 포지션에 유지되고, 제2 쉘(4)은 제1 쉘(2)과 접촉하여, 내부 볼륨(6)이 폐쇄되고, 접근을 방지한다. 슬라이더(16)가 개방 포지션에 있을 때, 상술한 힌지 장치(20)에 의해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잠금 장치(9)는 폐쇄 포지션을 유지하기 위해 슬라이더(16)와 협력할 수 있다.
이하, 여행 가방(1), 특히 제2 쉘(4)의 제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4)과 보조 가닥(38)을 포함하는 예비 형성체(30)가 먼저 제조된다. 구조물(4)은 메인 영역(31)과, 제1 종 방향 영역(32)과, 제2 종 방향 영역(33)과, 제1 횡 방향 영역(34)과, 제2 횡 방향 영역(35)과, 네 개의 연결 영역(36)을 포함한다.
메인 영역(31)은 구조물(40)의 중앙에 배치되고, 직사각 형상이다. 메인 영역(31)은 구조물(4)의 주된 영역을 구성하다. 메인 영역(31)은 제2 쉘(4)의 메인 면(3f)을 형성하도록 의도된다.
제1 종 방향 영역(32)과, 제2 종 방향 영역(33)과, 제1 횡 방향 영역(34)과, 제2 횡 방향 영역(35)과, 연결 영역(36)은 메인 영역(31) 주위에 배치된다.
메인 영역(31)과, 제1 종 방향 영역(32)과, 제2 종 방향 영역(33)과, 제1 횡 방향 영역(34)과, 제2 횡 방향 영역(35)과, 연결 영역(36)의 구분은 제조를 위해 쉘의 다른 벽과 대응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의도되지만, 반드시 보이는 것은 아님을 주목해야 한다. 특히, 도시된 실시예에서, 메인 영역(31)과, 제1 종 방향 영역(32)과, 제2 종 방향 영역(33)과, 제1 횡 방향 영역(34)과, 제2 횡 방향 영역(35)의 사이의, 짧고 긴 파선으로 표현된, 경계는 가상의 선이다.
구조물(40)은 유연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편평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종 방향 영역(32)과, 제2 종 방향 영역(33)과, 제1 횡 방향 영역(34)과, 제2 횡 방향 영역(35)은 직사각 형상이다. 이들은 각각 제2 쉘(4)의 큰 측면(3a, 3b)과 작은 측면(3c, 3d)을 형성하도록 의도된다.
연결 영역(36)은 실질적으로 정사각 형상이고, 라운드질 수 있는 외측 에지(36a)를 포함한다. 연결 영역(36)은 쉘(4)의 네 개의 코너에 배치된 라운드진 코너부(7a, 7b, 7c, 7d)를 형성하도록 의도된다(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달리, 제2 쉘(4)이 라운드진 코너부(7a, 7b, 7c, 7d) 대신 날카로운 모서리를 갖는 경우, 예비 형성체(30), 그리고 특히 구조물(40)은,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지만 연결 영역(36)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연결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각각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제1 종 방향 영역(32)과, 제2 종 방향 영역(33)과, 제1 횡 방향 영역(34)과, 제2 횡 방향 영역(35)의 사이에 분포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조물(40)은 메인 가닥(45)을 편직함으로써 제조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40)은 종 방향(X)으로 연장되는 루프 행들(rows of loops)(44a, 44b, 44c)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루프들(42)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달리, 루프 행들(44a, 44b, 44c)은 횡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루프 행(44a)이 형성된 후, 제2 루프 행(44b)은 제1 루프 행(44a)의 루프(42)를 통해 메인 가닥(45)을 통과시키면서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행(44a)이 일 방향으로(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형성된 후, 제1 행(44a)의 단부에서, 메인 가닥(45)이 180도 구부러지고, 제2 루프 행(44b)이 반대 방향으로(도 6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루프 행들(44a, 44b, 44c)이 형성됨과 동시에, 보조 가닥(38)이 예비 형성체(30)에 통합된다. 보조 가닥(38)은 보조 가닥(38)을 루프 행들(44a, 44b, 44c)과 동일한 방향, 다시 말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종 방향(X)(제1 루프 행(44a)에 대해 좌측에서 우측 방향, 그리고 제2 루프 행(44b)에 대해 우측에서 좌측 방향)을 따라 배치하는 것을 통해 구조물(40)이 제조됨에 따라 구조물(4)에 삽입되고, 보조 가닥(38)의 위와 아래에 교대로 루프들(42)이 형성된다. 유사하게, 메인 가닥(45)과, 보조 가닥(38)은 제1 루프 행(44a)의 단부에서 180도 구부러지고, 제2 루프 행(44b)에서는 반대 방향으로 향한다.
이들이 제1 루프 행(44a)의 시작점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제2 루프 행(44b)의 단부에 도달하면, 메인 가닥(45)과 보조 가닥(38)은 다시 180도 구부러지고, 제3 루프 행(44c)이 제1 루프 행(44a)과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형성되고, 메인 가닥(45)은 제2 루프 행(44b)의 루프들(42)과, 루프들(42)의 위와 아래에 교대로 배치되는 보조 가닥(38)을 통과한다. 그리고, 구조물(40)의 모든 루프 행들(44a, 44b, 44c)이 형성될 때까지, 루프 행들(44a, 44b, 44c)은 횡 방향(Y)으로 잇따른다.
따라서, 보조 가닥(38)은 구조물(40)의 범위 내로 제한되는 동안 구조물(40)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다.
메인 가닥(45)과 보조 가닥(38)은 바람직하게는 예비 형성체(30) 전체에 걸쳐 연속적이다. 그러나, 메인 가닥(45)과 보조 가닥(38)은 각각 예비 형성체(40)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복수의 인접하는 필라멘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메인 가닥(45)과 보조 가닥(38)은 각각 상부 쉘(4) 위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색상의 가닥 요소의 세그먼트의 연속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가닥 요소의 세그먼트는 서로 결합되거나 단부끼리 서로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루프 행들(44a, 44b, 44c)은 메인 영역(31)과 제1 종 방향 영역(32)과, 제2 종 방향 영역(33)과, 제1 횡 방향 영역(34)과, 제2 횡 방향 영역(35)과, 연결 영역(36) 내에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와 달리, 구조물(40)의 영역들(31, 32, 33, 34, 35) 중 어느 하나의 루프 행들(44a, 44b, 44c)은 구조물의 다른 영역의 매트릭스재(44a, 44b, 44c)과 수직으로(횡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역(31)에서, 루프들(42)은 종 방향(X)으로 제1 루프 피치(a first loop pitch)(Pb1)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잇따르고, 루프 행들(44a, 44b, 44c)은 횡 방향(Y)으로 제1 행 피치(a first row pitch)(Pl1)를 가지고 잇따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영역(36)에서, 루프들(42)은 종 방향(X)으로 제2 루프 피치(a second loop pitch)(Pb2)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잇따르고, 루프 행들(44a, 44b, 44c)은 횡 방향(Y)으로 제2 행 피치(a second row pitch)(Pl2)를 가지고 잇따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행 피치(Pl1)는 제2 행 피치(Pl2)의 두 배인 반면, 제1 루프 피치(Pb1)는 제2 행 피치(Pl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행 피치의 변화는 메인 가닥(45)의 장력을 변화시키거나, 매 스티치(stitch)마다 편직하거나, 편직 포인트를 변경함으로써, 또는 당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행 피치(Pl1, Pl2)의 변화와, 루프 피치(Pb1, Pb2)의 변화는 예비 형성체의 메인 가닥(45)의 밀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쉘(4)의 코너부(7a, 7b, 7c, 7d), 특히, 휠(70)이 부착되는 코너부(7c, 7d)의 기계적인 강도 및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메인 가닥(45)의 밀도는 연결 영역(36)에서 증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메인 가닥(45)의 밀도는 메인 영역(31)에서와 같이 제1 종 방향 영역(32)과, 제2 종 방향 영역(33)과, 제1 횡 방향 영역(34)과, 제2 횡 방향 영역(35)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구조물(40)의 이들 영역 중 하나 또는 다른 영역에서 메인 가닥(45)의 밀도가 조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메인 가닥(45)과 보조 가닥(38)은 일반적으로 SRP로 불리는 자체 강화 폴리머(self-reinforced polymer) 타입이고, 각각은 강화재(46)를 형성하는 코어와, 매트릭스재(48)를 형성하는 코팅을 포함한다. 코어는 코팅과 동일 재료로 만들어지지만, 코어의 재료는 이것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고 용융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압축되고/압축되거나 코팅에 대해 방향이 변경된다. 메인 가닥(45)과 보조 가닥(38)은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SRPP(Self Reinforced Polypropylene)으로 불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구조물(40)과 보조 가닥(38) 각각은 복합 재료,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를 위한) 강화재(46)와 (코팅을 위한) 매트릭스재(48)를 제공한다.
이와 달리, 메인 가닥(45)과 보조 가닥(38) 중 하나는 복합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강화재만 제공하거나 매트릭스재만 제공한다. 따라서, 특히 메인 가닥(45)과 보조 가닥(38) 중 하나는 강화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라미드(aramid), 카본(carbon), 유리 섬유, 또는 린넨(linen)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메인 가닥(45)과 보조 가닥 중 다른 하나는 매트릭스재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형성체(30)는 일반적으로 커버라고 하는 펀치(62)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수직 방향(Z)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메인 영역(31)과, 제1 종 방향 영역(32)과, 제2 종 방향 영역(33)은 횡 방향(Y)에 수직으로 연장하기 위해 종 방향(X)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지고, 제1 횡 방향 영역(34)과 제2 횡 방향 영역(35)은 종 방향(X)에 수직으로 연장하기 위해 횡 방향(Y)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진다. 연결 영역(36)은 제1 종 방향 영약(32)과, 제1 횡 방향 영역(34)과, 제2 종 방향 영역(33)과, 제2 횡 방향 영역(35)의 연결을 유지하도록 변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일 예비 형성체는 펀치(62) 상에 형성된다. 이와 달리, 여러 개의 예비 형성체(30)는 중첩될 수 있고, 중첩된 예비 형성체의 루프 행들은 내부 응력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쉘을 변형할 수 있는 뒤틀림으로부터 발생하는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런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형성체는, 제1 몰드 요소(62)를 형성하는 펀치에 더불어, 제2 몰드 요소(64)(일반적으로 금형이라고 하는)를 포함하는 몰드(60)에 배치된다. 예비 형성체가 제1 몰드 요소(62)(펀치)와 제2 몰드 요소(53) 사이의 공동(cavity)(63)에 배치된 후, 공동(63)의 온도와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50도와 200도 사이, 그리고 압력은 10bar와 20bar 사이로 증가되고, 그런 다음 온도와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수 분 내지 30분동안 일정하게 유지된다. 온도, 압력 및 지속 시간의 조건은 매트릭스재는 용융되지만 강화 재료는 용융되지 않도록 결정된다. 특히, 메인 가닥(45) 또는 보조 가닥(38)이 일반적으로 SRP라 불리우는 자체 강화 폴리머로 만들어지는 경우, 온도는 메인 가닥(45) 또는 보조 가닥이 표면적으로만 용융되도록 결정된다. 실제로, 강화재(46)를 성능 저하 없이 매트릭스재(48)를 용융시키기 위해 온도, 압력 및 지속 시간의 조건은 반드시 정의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공동(63)은 냉각되고, 몰드(62)는 개방되고, 단단한 본체(50)를 포함하는 쉘(4)이 얻어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는 메인 벽(51)과, 제1 종 방향 벽(52)과, 제2 종 방향 벽(53)과, 제1 횡 방향 벽(54)과, 제2 횡 방향 벽(55)과, 코너 부분(59)을 포함한다. 메인 벽(50)은 메인 영역(31)에 대응하고, 제1 종 방향 벽(52)은 제1 종 방향 영역(32)에 대응하고, 제2 종 방향 벽(53)은 제2 종 방향 영역(33)에 대응하고, 제1 횡 방향 벽(54)은 제1 횡 방향 영역(34)에 대응하고, 제2 횡 방향 벽(55)은 제2 횡 방향 영역(35)에 대응하고, 코너 부분(59)은 코너 영역(36)에 대응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가닥(45)과 보조 가닥(38)의 코어로 구성된 강화재(46)는 메인 벽(51)과, 제1 종 방향 벽(52)과, 제2 종 방향 벽(53)과, 제1 횡 방향 벽(54)과, 제2 횡 방향 벽(55)과, 코너 부분(59) 내에서 연장된다. 또한, 매트릭스재(48)는 공동(83)에서 용융된 메인 가닥(45)과 보조 가닥(38)의 코팅의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강화재(46)는 복합 콤플렉스(composite complex),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를 형성하는 매트릭스재(48)에 내장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십자 형상을 갖는 커버링(56)은 중앙 영역(561)과 네 개의 주변 영역(562, 563, 564, 565)를 포함하는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절단된다. 주변 영역(562, 563, 564, 565)은 각각 중앙 영역(561)에서 연장되는 두 개의 사이드 에지(562a, 562b; 563a, 563b; 564a, 564b; 565a, 565b)를 포함한다. 중앙 영역(561)은 직사각 형상이고, 주변 영역(562, 563, 564, 565)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커버링(56)은 중앙 영역(561)과 주변 영역(562, 563, 564, 565) 내에서 연장되는 반복 장식 패턴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시된 실시예는 바둑판이지만, 검은색 사각형은 바람직하게 사이드 에지(562a, 562b; 563a, 563b; 564a, 564b; 565a, 565b)에 미학적으로 결합되기에 적합한 대칭을 갖는 다른 패턴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링(56)은 폼 레이어(foam layer)(57)와, 필름(58)을 포함한다(비-간극). 폼 레이어(57)와 필름(58)은 폴리올레핀(polyolefin),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만들어진다. 장식 패턴은 필름(58)의 외측면에 존재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56)은 가열 장치(66)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140도와 200도 사이의 온도로 가열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영역(562, 563, 564, 565)은 중앙 영역(561)에 대해 수직하게 접힌다. 중앙 영역(561)과 주변 영역(562, 563, 564, 565)은 메인 벽(51)과, 제1 종 방향 벽(52)과, 제2 종 방향 벽(53)과, 제1 횡 방향 벽(54)과, 제2 횡 방향 벽(55) 각각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1분 내지 30분의 기간동안, 바람직하게는 10bar와 20bar 사이의 압력으로 가압된다. 주변 영역(562, 563, 564, 565)는 또한 본체(50)의 코너 부분(59)을 덮는다.
각각의 사이드 에지(562a, 562b; 563a, 563b; 564a, 564b; 565a, 565b)는 인접하는 사이드 에지와 접촉되고, 인접하는 사이드 에지들은 롤러(65)에 의해 서로에 대해 압착된다.
특히, 화살표(68)는 사이드 에지(562a)와 사이드 에지(566b) 사이의 결합 라인 상에서의 롤러(65)의 움직임을 도시하고, 화살표(69)는 가해지는 압력을 도시한다. 커버링(56)은 커버링(56)으로 덮인 본체(50)를 포함하는 제2 쉘(4)을 형성하기 위해 본체(50)에 부착된다.
반복 장식 패턴을 위해 커버링(56)을 적절하게 커팅하는 것은 사이드 에지(562a)과 사이드 에지(566b) 사이의 결합 라인이 보이지 않는 제2 쉘(4) 위에 장식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본 발명은 예시 목적으로 설명된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에 결코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편직되는 것 대신에, 예비 형성체는 강화재를 형성하는 천공되거나 변형 가능한 구조 요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강화재는 매트릭스재를 형성하는 재료로 오버몰딩(overmolding)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열 가소성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특허문헌 EP0806190A1에 도시된 유형의 두 방향으로 연장되는 루프들을 형성하기 위해, 강화재를 형성하는 구조 요소 안의 오프닝은 레이저 커팅이나 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큰 측면(3a)에 배치되는 대신, 힌지 장치는 두 개의 작은 측면(3c, 3d)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 장치는 다를 수 있고, 특히 하나의 힌지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쉘(2)은 하부 메인 면(3e)을 따라서만 연장되어 도어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제1 쉘(2)은 어떠한 휠도 포함하지 않는다.

Claims (44)

  1. a) 구조물(40)을 포함하는 예비 형성체(3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형성체(30)는 강화재(46)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40)은 메인 영역(31)과, 두 개의 종 방향 영역(32, 33)과, 두 개의 횡 방향 영역(34, 35)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40)은 루프 행들(rows of loops)(44a, 44b, 44c)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루프들(42)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 행들은 서로 연결되고,
    b) 펀치(62)에 상기 예비 형성체(30)를 설치하는 단계; 및
    c) 본체(50)를 포함하는 쉘(4)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예비 형성체(30)의 상기 강화재(46)를 매트릭스재(matrix material)(48)로 함침(impregnating)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50)는 복합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매트릭스재(48)와 강화재(46)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메인 벽(51)과, 두 개의 종 방향 벽(51)과, 두 개의 횡 방향 벽(54, 55)을 포함하는, 수하물용 쉘(4)을 제조하는 방법.
  2.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a)단계에서, 상기 구조물(40)은 편직(knitting)에 의해 제조되는, 방법.
  3.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40)은 다음의 것을 형성하여 제조되는, 방법:
    - 메인 가닥(main thread)(45)이 있는 제1 루프 행(44a),
    - 상기 제1 루프 행(44a)의 루프들(42)을 통해 상기 메인 가닥(45)을 통과하는 제2 루프 행(44b), 및
    - 이전의 루프 행(44b)의 상기 루프를 통해 루프 행(44c)의 메인 가닥(45)을 통과시키는, 기타 일련의 루프 행들(44a, 44b, 44c).
  4.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영역에서:
    - 상기 루프 행들(44a, 44b, 44c)은 종 방향(X)으로 연장되고,
    - 상기 루프 행들(44a, 44b, 44c)은 상기 종 방향(X)에 수직한 횡 방향(Y)으로 잇따르는, 방법.
  5.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종 방향 영역(32, 33)에서, 상기 루프 행들이 상기 종 방향(X)으로 연장되는, 방법.
  6.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 방향 영역(34, 35)의 적어도 주요 부분에서, 상기 루프 행들이 상기 횡 방향(Y)으로 잇따르는, 방법.
  7.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40)은 상기 종 방향 영역(32, 33) 중 하나와 상기 횡 방향 영역(34, 35) 중 하나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 영역(36)을 포함하는, 방법.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단계동안, 상기 루프들(42)의 형상은 미리 결정된 밀도의 영역(31, 32, 33, 34, 35)과 고밀도 영역(36)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기 위해 변화하는, 방법.
  9.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a)단계동안, 상기 구조물(40)은 다음과 같이 형성되는, 방법:
    - 상기 미리 결정된 밀도의 영역(31, 32, 33, 34, 35)에서, 상기 루프들(42)은 제1 루프 피치(a first loop pitch)(Pb1)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잇따르고, 상기 루프 행들은 제1 행 피치(a first row pitch)(Pl2)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잇따르고,
    - 상기 고밀도 영역(36)에서, 상기 루프들(42)은 제2 루프 피치(Pb2)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잇따르고, 상기 루프 행들은 제2 행 피치(Pl2)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잇따르고,
    - 상기 제1 행 피치(Pl1)는 제2 행 피치(Pl2)보다 적어도 50% 더 높고, 바람직하게는 두배이다.
  10.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루프 피치(Pb2)와 제1 루프 피치(Pb1)의 차이는 상기 제1 루프 피치(Pb1)의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제1 루프 피치(Pb1)의 10% 미만인, 방법.
  11.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닥(45)은 상기 구조물(40) 전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방법.
  12.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단계동안, 보조 가닥(38)이 상기 구조물(40)의 상기 루프들에 트랩(trap)되는, 방법.
  13.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a)단계동안, 상기 루프 행들(44a, 44b, 44c) 각각의 상기 루프들(42)은 상기 보조 가닥(38)의 일측과 타측을 교대로 통과하는, 방법.
  14.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닥(38)은 상기 강화재(46) 및/또는 상기 매트릭스재(48)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방법.
  15.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닥(38)은 상기 강화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코어(46)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46)는 열가소성 중합체 코팅(48)으로 덮이는, 방법.
  16.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거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인, 방법.
  17. 제15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46)와 상기 코팅(48)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방법.
  18. 제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닥(45)은 제1 가닥 요소와 제2 가닥 요소에서 교대로 나오는 부분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1 가닥 요소와 상기 제2 가닥 요소는 다른 색상을 갖는, 방법.
  19.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닥 요소와 상기 제2 요소는 연속적으로 잇따라 상기 구조에서 반복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20. 제3항 내지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46)는 상기 메인 가닥(45)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방법.
  21.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단계동안, 상기 강화재(46) 함침용 상기 매트릭스재(48)가 상기 예비 형성체(3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되는, 방법.
  22.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c)단계동안, 폴리올레핀(polyolefin)의 매트릭스재(48)가 사용되고,
    - d)단계동안, 폴리올레핀(polyolefin)의 커버링(covering)(56)이 상기 본체에 적용되는, 방법.
  23.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d)단계에서, 상기 커버링(56) 및/또는 상기 본체(50)는 가열되고(66),
    상기 커버링(56)은 상기 본체(50)에 대해 가압되는, 방법.
  24.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d)단계동안:
    - 상기 커버링(56) 및/또는 상기 본체(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140도와 200도 사이의 온도로 가열되고(66),
    - 상기 커버링(56)은 1분 내지 30분의 기간동안 10bar와 20bar 사이의 압력으로 상기 본체(50)에 대해 가압되는, 방법.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커버링(56)은 폼 레이어(foam layer)(57)와 필름(58)을 포함하고,
    - d)단계동안, 상기 폼 레이어(57)가 상기 본체(50)에 접촉되는, 방법.
  26.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폼 레이어(57)는 250g/m2과 750 g/m2의 사이, 바람직하게는 450g/m2과 500g/m2 사이의 밀도를 갖는, 방법.
  27.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단계 이전의 d')단계에서:
    - 상기 커버링(56)은 중앙 영역(561)과 네 개의 주변 영역(562, 563, 564, 565)을 포함하는 십자 형상으로 절단되고, 상기 주변 영역은 각각 상기 중앙 영역(561)에서 연장되는 두 개의 사이드 에지(562a, 562b; 563a, 563b; 564a, 564b; 565a, 565b)를 포함하고,
    - 상기 주변 영역(562, 563, 564, 565)은 상기 중앙 영역(561)에 대해 수직하게 접히고, 각각의 사이드 에지(562a, 562b; 563a, 563b; 564a, 564b; 565a, 565b)는 인접하는 사이드 에지에 접촉되는, 방법.
  28.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영역(562, 563, 564, 565)은 사다리꼴 형상인, 방법.
  29. 제27항 및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단계에서, 상기 인접하는 사이드 에지들은 가열되고(66) 함께 압착되어 접합되는, 방법.
  30.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d')단계동안, 롤러(59)가 상기 인접하는 사이드 에지 상에 굴려지는(68), 방법.
  31. 제22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단계동안, 상기 본체(50)에 적용되는 상기 커버링(56)은 대부분(50% 초과), 바람직하게는 필수적으로(적어도 90% 이상), 상기 매트릭스재(48),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방법.
  32. 본체(5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50)는 단단하고, 복합 재료로 이루어지고, 매트릭스재(48)와 강화재(46)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50)는 메인 벽(51)과, 두 개의 종 방향 벽(52, 53)과, 두 개의 횡 방향 벽(54, 55)을 포함하고,
    - 상기 강화재(46)는 루프 행들(44a, 44b, 44c)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루프들(42)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 행들(44a, 44b, 44c)은 서로 연결되고,
    - 상기 강화재(46)는 상기 매트릭스재(48) 안에 내장되는, 수화물용 쉘(4).
  33.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46)와 상기 매트릭스재(48)는 각각 상기 메인 벽(51)과, 상기 두 개의 종 방향 벽(52, 53)과, 상기 두 개의 횡 방향 벽(54, 55) 내에서 연장되는, 쉘.
  34. 제32항 및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벽(51) 내에서:
    - 상기 루프 행들(44a, 44b, 44c)은 각각 종 방향(X)으로 연장되고,
    - 상기 루프 행들(44a, 44b, 44c)은 상기 종 방향(X)에 수직한 횡 방향(Y)으로 인접하는 방식으로 잇따르는, 쉘.
  35. 제32항 내지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46)는 메인 가닥(45)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가닥(45)은 편직되는, 쉘.
  36.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닥(45)은 상기 메인 벽(51)과, 상기 두 개의 종 방향 벽(52, 53)과, 상기 두 개의 횡 방향 벽(54, 55) 내에서 연장되는, 쉘.
  37. 제32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재(48)는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만들어지는, 쉘.
  38. 제32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재(48)는 폴리올레핀(polyolefin)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본체(50), 즉 복합재는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만들어진 커버링(56)으로 덮이는, 쉘.
  39.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50)은 폼 레이어(57)과, 필름(58)을 포함하고,
    상기 폼 레이어(57)는 상기 본체(50)와 상기 필름(58)의 사이에 개제되는, 쉘.
  40. 제32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46)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만들어지는, 쉘.
  41. 제32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46)는 아라미드(aramid), 카본(carbon), 유리 섬유, 또는 린넨(linen)으로 만들어지는, 쉘.
  42. 제32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본체(50)는 강화재로서 미리 결정된 밀도의 영역(50a)과, 강화재로서 고밀도 영역(50b)을 포함하고,
    - 상기 강화 재료(46)의 비율은 상기 고밀도 영역(50b)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밀도의 영역(50a)보다 적어도 50% 이상 더 높고,
    - 상기 쉘(4)은 상기 고밀도 영역(50b)에서 상기 본체(50)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휠(70)을 포함하는, 쉘.
  43. 제32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은 보이는 외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표면은 상기 두 개의 종 방향 벽과 상기 두 개의 횡 방향 벽 상에 연장되는 반복 패턴을 포함하는, 쉘.
  44. 제1 쉘(3)과, 제32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2 쉘(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쉘(4)은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쉘(2)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폐쇄 포지션에서 폐쇄된 내부 볼륨(6)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포지션에서 접근 오프닝(access opening)을 제공하는, 수하물.
KR1020217007100A 2018-08-10 2019-08-08 수하물용 단단할 쉘을 형성하는 방법, 수하물용 쉘 및 수하물 KR202100423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7463 2018-08-10
FR1857463 2018-08-10
PCT/EP2019/071377 WO2020030766A1 (fr) 2018-08-10 2019-08-08 Procédé pour réaliser une coque de bagage rigide, coque de bagage et bag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365A true KR20210042365A (ko) 2021-04-19

Family

ID=6762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100A KR20210042365A (ko) 2018-08-10 2019-08-08 수하물용 단단할 쉘을 형성하는 방법, 수하물용 쉘 및 수하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833210A1 (ko)
JP (1) JP2021533876A (ko)
KR (1) KR20210042365A (ko)
CN (1) CN112638196B (ko)
WO (1) WO20200307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3465B2 (en) 2017-06-12 2021-12-21 Yeti Coolers, Llc Container and latching system
CA178734S (en) 2017-06-12 2019-05-31 Yeti Coolers Llc Container
US11976498B2 (en) 2017-06-12 2024-05-07 Yeti Coolers, Llc Container and latching system
US11685573B2 (en) 2017-06-12 2023-06-27 Yeti Coolers, Llc Carry strap for container
USD904829S1 (en) 2018-12-11 2020-12-15 Yeti Coolers, Llc Container accessories
USD907445S1 (en) 2018-12-11 2021-01-12 Yeti Coolers, Llc Container accessories
WO2020142777A2 (en) 2019-01-06 2020-07-09 Yeti Coolers, Llc Luggage system
USD954436S1 (en) 2020-06-30 2022-06-14 Yeti Coolers, Llc Luggage
USD961926S1 (en) 2020-06-30 2022-08-30 Yeti Coolers, Llc Luggage
USD951643S1 (en) 2020-06-30 2022-05-17 Yeti Coolers, Llc Luggage
USD963344S1 (en) 2020-06-30 2022-09-13 Yeti Coolers, Llc Luggage
USD985937S1 (en) 2020-12-16 2023-05-16 Yeti Coolers, Llc Container
USD960648S1 (en) 2020-12-16 2022-08-16 Yeti Coolers, Llc Container accessory
USD994438S1 (en) 2020-12-16 2023-08-08 Yeti Coolers, Llc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67829A (en) * 1963-11-01 1967-05-03 Samuel Joseph Holtzma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lded polypropylene articles
GB1376198A (en) * 1972-08-11 1974-12-04 Sinclair Co Ltd Owen Tray-like shell half for cases
JPH0485337A (ja) * 1990-07-30 1992-03-18 Teijin Ltd 複合材料用中間素材
JP2838643B2 (ja) * 1993-12-21 1998-12-16 東宝繊維株式会社 パップ用メリヤス基布、その製造方法、及びパップ
JPH08109553A (ja) * 1994-10-04 1996-04-30 Toho Seni Kk 三層シート用基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三層基布を用いた自動車座席、靴、鞄、袋物など用の三層シート
EP1354569B1 (en) 1996-05-08 2008-06-18 Sorin Biomedica Cardio S.R.L. An angioplasty stent
JPH10317262A (ja) * 1997-05-15 1998-12-02 Toho Seni Kk 積層材用編布及びこの編布を使用したダイヤフラム
JP2002339200A (ja) * 2001-05-10 2002-11-27 Toho Seni Kk メリヤス基布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メリヤス基布を使用した積層体
DE102004029453A1 (de) * 2004-06-18 2006-06-08 Samsonite Corp., Denv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teiles, insbesondere Gepäckstückschale, aus selbstverstärktem thermoplastischen Material, Kunststoffteil, hergestellt aus selbstverstärktem thermoplastischen Material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teiles, insbesondere Gepäckstückschale
JP2010004926A (ja) * 2008-06-24 2010-01-14 Yamani:Kk 硬質かばん
JP2017532083A (ja) * 2014-08-18 2017-11-02 サムソナイト アイピ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ス.エー.アール.エル. 不織マットで形成された手荷物物品
EP3170422A1 (en) * 2015-11-23 2017-05-24 Samsonite IP Holdings S.à.r.l. Multi-piece hard side luggage shell
FR3047880B1 (fr) 2016-02-19 2020-05-22 Louis Vuitton Malletier Coque de bagage, bagage comprenant une telle coque de bag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la coque de bagage
US20190075897A1 (en) * 2016-03-10 2019-03-14 Composite Solutions S.R.L. Method for forming a shell body and shell body obtained therewith
EP3473129A4 (en) * 2016-06-16 2020-02-19 Carimax Corporation MULTILAYER FILM WITH FABRIC AND RESIN, TRAVEL BAG THEREOF AND DEVICE FOR PRODUC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33876A (ja) 2021-12-09
CN112638196B (zh) 2023-12-12
WO2020030766A1 (fr) 2020-02-13
CN112638196A (zh) 2021-04-09
EP3833210A1 (fr)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2365A (ko) 수하물용 단단할 쉘을 형성하는 방법, 수하물용 쉘 및 수하물
JP2553153B2 (ja) 多層織物をベースとした建築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776582A (en) Load-bearing structures with interlockable edges
US10278462B2 (en) Luggage article formed of a compacted non-woven sheet
KR102069909B1 (ko) 플로어 커버링을 형성하기 위한 플로어 패널, 그러한 플로어 패널들로부터 형성된 플로어 커버링 및 그러한 플로어 패널들의 제작 방법
US20090162579A1 (en) Play surface layer structure
CN103237647A (zh) 行李箱的多材料结构和形成
US1085804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artition panel for vehicles
TWI484077B (zh) 用於編織具交織壁之封閉結構的方法
KR20070052266A (ko) 자기 강화형 열가소성 소재로부터 플라스틱 구성 요소를제조하는 프로세스와 장치, 및 생성된 플라스틱 구성 요소
CN104223607A (zh) 具有防渗结构的夹式扣合元件拉链
BR0116543B1 (pt) artigo reforÇado e mÉtodo de fabricaÇço.
KR101435940B1 (ko) 체결 스트랩, 이를 포함하는 발포체 물품 및 체결 스트랩의 제조 방법
US20220212435A1 (en) Hollow article with optimized internal structural members
CN105564280A (zh) 车门饰板扶手衬底结构
US20190133274A1 (en) Injection-molded cases and method of their manufacture
US20230329402A1 (en) Method for producing a rigid shell for luggage, shell for luggage and luggage
CN217099747U (zh) 儿童汽车座椅
KR101935983B1 (ko) 퀼팅 인조가죽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801700B (zh) 表面零件、用于汽车的遮阳装置和表面零件的制造方法
CN203358482U (zh) 树脂制层叠板
JP7184319B2 (ja) ラゲッジボード
JP3269370B2 (ja) リブ付中空構造体
WO2023167292A1 (ja) 複合ストリンガ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複合ストリンガーのテープ部の製造方法
KR101349090B1 (ko) 수축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스티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