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758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758A
KR20210039758A KR1020190122384A KR20190122384A KR20210039758A KR 20210039758 A KR20210039758 A KR 20210039758A KR 1020190122384 A KR1020190122384 A KR 1020190122384A KR 20190122384 A KR20190122384 A KR 20190122384A KR 20210039758 A KR20210039758 A KR 20210039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communication
unit
outdoor
out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4225B1 (ko
Inventor
안효식
김영혁
장영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2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2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실내기와 연결되는 실외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실외기와 통신하는 실내기 통신 모뎀, 실외기에 연결되어 실내기와 통신하는 실외기 통신 모뎀 및 실내기에 연결되어 실내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실외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실내기 제어기를 포함하고, 실내기는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실내기 통신 모뎀 또는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실외기와 통신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 및 팬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열교환기 및 팬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에 포함된 실내기 및 실외기는 서로 상호 작용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실내기와 실외기는 서로의 운전 모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실내기에는 실내기 통신 모뎀이 연결되고, 실외기에는 실외기 통신 모뎀이 연결되고, 각각의 통신 모뎀을 통하여 실내기와 실외기 간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통신 모뎀을 이용하여 실내기와 실외기 간의 통신을 하는 방법으로 등록 특허 KR 10-1155346과 같은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실내기 통신 모뎀이 고장 나거나, 실내기 통신 모뎀에 오류가 발생하면, 실내기 통신 모뎀을 교체하기 전에는 실내기와 실외기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서로 대응되는 운전 모드로 동작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정상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실내기 통신 모뎀을 통해 실내기와 실외기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실내기 통신 모뎀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실내기 및 실외기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 통신 모뎀이 고장 나거나, 실내기 통신 모뎀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실내기와 실외기 간의 통신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가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실외기와 통신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실내기 제어기가 실외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에 따라서 실내기와 실외기 간의 통신이 서로 다른 2개의 경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실내기 통신 모뎀이 고장 나거나 실내기 통신 모뎀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실내기와 실외기 간의 통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는 실외기,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실내기 통신 모뎀,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와 통신하는 실외기 통신 모뎀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실외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실내기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 또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 상태이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에 통신 불가능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자동 임시 통신 설정이 없었으면, 상기 실내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에게 임시 통신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사용자의 수동 임시 통신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자동 임시 통신 설정이 있었으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가 상기 통신 불가능 상태에서 통신 가능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을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가 통신 가능 상태이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을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가 통신 가능 상태이더라도, 상기 사용자의 항시 임시 통신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기,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는 실외기,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실내기 통신 모뎀 및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와 통신하는 실외기 통신 모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는 실내기 제어기를 상기 실외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단계,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 또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 또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 상태이면,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내기 제어기에 통신 불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자동 임시 통신 설정이 없었으면, 상기 실내기 제어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임시 통신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수동 임시 통신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자동 임시 통신 설정이 있었으면,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은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가 상기 통신 불가능 상태에서 통신 가능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을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 또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가 통신 가능 상태이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을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 또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가 통신 가능 상태이더라도, 상기 사용자의 항시 임시 통신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실내기 통신 모뎀이 고장 나거나, 실내기 통신 모뎀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실내기와 실외기 간의 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실내기가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실외기와 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실외기와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실외기와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사용자의 항시 임시 통신 설정이 있는 경우, 실외기와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기(110), 실내기 통신 모뎀(111), 실내기 제어기(112), 실외기(120) 및 실외기 통신 모뎀(121)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공기조화기(100)가 하나의 실내기(110) 및 하나의 실외기(12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공기조화기(100)가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 및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실내기(110)는 열교환기 및 팬 등으로 구성된다. 실내기(110)는 설치된 공간에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설치된 공간의 온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실내기(110)가 냉방 모드로 동작하면, 실내기(110)는 설치된 공간에 차가운 공기를 토출하고, 실내기(110)가 난방 모드로 동작하면, 실내기(110)는 설치된 공간에 따뜻한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 통신 모뎀(111)은 실내기(110)와 연결된다. 도면에는 실내기 통신 모뎀(111)이 실내기(110)의 외부에서 실내기(110)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내기 통신 모뎀(111)이 실내기(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실내기(11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실내기 통신 모뎀(111)은 실내기(110)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라인(130)을 통해 실외기(120)로 전달한다. 또한 실내기 통신 모뎀(111)은 통신 라인(130)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원래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실내기(110)로 전달한다. 이때 실내기 통신 모뎀(111)은 RS-485 통신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실내기 통신 모뎀(111)은 통신 가능 상태 또는 통신 불가능 상태 일 수 있다. 통신 가능 상태는 실내기 통신 모뎀(111)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실내기(110)와 실외기(120) 간의 통신이 실내기 통신 모뎀(111)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통신 가능 상태일 때, 실내기(110)는 실내기 통신 모뎀(111)을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불가능 상태는 실내기 통신 모뎀(111)이 고장 나거나, 실내기 통신 모뎀(111)에 오류가 발생하는 등의 원인에 의하여, 실내기(110)와 실외기(120) 간의 통신이 실내기 통신 모뎀(111)을 통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통신 불가능 상태일 때, 실내기(110)는 후술될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할 수 있다.
실내기 제어기(112)는 실내기(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실내기 제어기(112)는 실내기(110)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실내기 제어기(112)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실내기(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내기 제어기(112)는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제어기(112)는 통신부를 통해 통신 라인(130)을 통해 신호를 전달하거나, 통신 라인(13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 통신 모뎀(111)이 RS-485 통신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실내기 제어기(112)에 TLV(Type Length Value) 통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통신 라인(130)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실내기 제어기(112)는 통신부를 통해 실내기 통신 모뎀(111)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기 제어기(112)는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실내기(110)와 실외기(120) 간의 통신 경로가 될 수 있다. 실내기 제어기(112)는 실내기 통신 모뎀(111)이 통신 불가능 상태이면서, 사용자의 자동 임시 통신 설정 또는 수동 임시 통신 설정이 있으면, 실내기(110)와 실외기(120) 간의 통신 경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임시 통신 설정은 실내기(110)가 실내기 통신 모뎀(111)을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는 것이 불가능하면, 사용자의 추가적인 지시 없이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도록 하는 설정이다.
그리고 수동 임시 통신 설정은 후술될 임시 통신 설정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실내기(110)가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도록 하는 설정이다.
또한 실내기 제어기(112)는 실내기 통신 모뎀(111)이 통신 가능 상태이면서, 사용자의 항시 임시 통신 설정이 있으면, 실내기(110)와 실외기(120) 간의 통신 경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항시 임시 통신 설정은 실내기(110)가 실내기 통신 모뎀(111)을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와 관계없이,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도록 하는 설정이다.
실내기 제어기(112)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제어기(112)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실내기(110)의 운전 모드, 메시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실외기(120)는 압축기, 열교환기 및 팬 등으로 구성된다. 실외기(120)는 실내기(110)와 냉매배관(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실내기(110)로 냉매를 공급한다. 이때 실외기(120)는 연결된 실내기(110)의 운전 모드에 따라 냉방 모드 또는 난방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 통신 모뎀(121)은 실외기(120)와 연결된다. 도면에는 실외기 통신 모뎀(121)이 실외기(120)의 외부에서 실외기(120)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외기 통신 모뎀(121)이 실외기(120)의 외부에 구비되어 실외기(12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실외기 통신 모뎀(121)은 실외기(120)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라인(130)을 통해 실내기(110)로 전달한다. 또한 실외기 통신 모뎀(121)은 통신 라인(130)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원래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실외기(120)로 전달한다. 이때 실외기 통신 모뎀(121)은 RS-485 통신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공기조화기(100)의 실내기(110), 실내기 통신 모뎀(111), 실내기 제어기(112), 실외기(120) 및 실외기 통신 모뎀(121)은 각각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산, 판단, 요청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리적인 요소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실외기와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내기(110)에 연결되어 실내기(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실내기 제어기(112)를 실외기(12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한다(S200). 이와 같이 실내기 제어기(112)를 실외기(12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실내기(110)가 실외기(120)와 통신할 수 있는 새로운 경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나서 실내기(110)는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를 판단한다(S210). 이때 실내기(110)는 실내기 통신 모뎀(111)을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여 실외기(120)의 제어가 가능하면,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를 통신 가능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110)는 신래기 통신 모뎀(111)을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여 실외기(120)의 제어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연속하여 불가능하면,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를 통신 불가능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실내기(110)는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실내기 통신 모뎀(111) 또는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한다(S220).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 상태이고 사용자가 자동 임시 통신 설정을 하였으면, 실내기(110)는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 상태로 판단되는 즉시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한다.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 상태이고 사용자가 자동 임시 통신 설정을 하지 않았으면, 실내기(110)는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 상태로 판단되고 사용자의 수동 임시 통신 설정이 이루어지면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한다.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가 통신 가능 상태이면, 실내기(110)는 기본적으로 실내기 통신 모뎀(111)을 통해 실외기와 통신한다.
그러나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가 통신 가능 상태이더라도, 사용자의 항시 임시 통신 설정이 있으면, 실내기(110)는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한다.
실내기(110)가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실내기 통신 모뎀(111) 또는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는 단계(S220)는 도 3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실외기와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 상태로 판단되었는지를 확인한다(S300).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가 통신 가능 상태로 판단되었으면, 실내기(110)는 실내기 통신 모뎀(111)을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한다(S370).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 상태로 판단되었으면, 실내기(110)는 실내기 제어기(112)에 통신 불가능 메시지를 전송한다(S310). 이는 실내기(110)가 실내기 통신 모뎀(111)을 통해서 통신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실내기(110)가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나서 실내기(110)는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한 사용자의 자동 임시 통신 설정이 있었는지 확인한다(S320).
자동 임시 통신 설정은 실내기(110)가 실내기 통신 모뎀(111)을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는 것이 불가능하면, 사용자의 추가적인 지시 없이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도록 하는 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자동 임시 통신 설정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면, 실내기 제어기(112)는 즉시 실내기(110)에 실외기(120)와의 통신 주소를 요청한다(S350). 그리고 실내기(110)는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한다(S360). 이때 실내기 제어기(112)는 실외기(120)와의 통신 주소를 이용하여, 실내기(110)가 실외기(120)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자동 임시 통신 설정에 따라 실내기(110)가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을 하는 상황에서,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 상태에서 통신 가능 상태로 변경되면, 실내기(110)는 자동으로 실내기 통신 모뎀(111)을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는 것은 실내기 통신 모뎀(111)이 통신할 수 없는 비상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기 제어기(112)에 과도한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내기 통신 모뎀(111)이 교체되는 등의 이유로 통신 가능 상태로 변경되면, 실내기(110)는 실내기 제어기(112)가 아닌 실내기 통신 모뎀(111)을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자동 임시 통신 설정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면, 실내기 제어기(112)는 사용자에게 임시 통신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S330).
이때 임시 통신 설정 메시지는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이상으로 인하여, 실내기(110)가 실외기(120)와 통신할 수 없는 상황임을 알리면서,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내기(110)가 실외기(120)와 통신하도록 할 지 여부를 묻는 내용을 포함한다.
그리고 실내기(110)는 사용자의 수동 임시 통신 설정에 따라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한다.
보다 상세히, 실내기(110)는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한 사용자의 수동 임시 통신 설정이 있었는지 확인한다(S340).
수동 임시 통신 설정은 임시 통신 설정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실내기(110)가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도록 하는 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수동 임시 통신 설정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의 임시 통신 설정이 있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340)를 반복한다.
사용자의 수동 임시 통신 설정이 확인되면, 실내기 제어기(112)는 실내기(110)에 실외기(120)와의 통신 주소를 요청한다(S350). 그리고 실내기(110)는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한다(S360). 이때 실내기 제어기(112)는 실외기(120)와의 통신 주소를 이용하여, 실내기(110)가 실외기(120)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수동 임시 통신 설정에 따라 실내기(110)가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을 하는 상황에서,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 상태에서 통신 가능 상태로 변경되면, 실내기(110)는 자동으로 실내기 통신 모뎀(111)을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사용자의 항시 임시 통신 설정이 있는 경우, 실외기와 통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내기 통신 모뎀(111)이 통신 가능 상태이더라도,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사용자의 항시 임시 통신 설정이 설정된다(S400).
항시 임시 통신 설정은 실내기(110)가 실내기 통신 모뎀(111)을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와 관계없이,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도록 하는 설정이다. 즉, 사용자의 항시 임시 통신 설정이 있으면, 실내기(110)는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항시 임시 통신 설정이 확인되면, 실내기 제어기(112)는 실내기(110)에 실외기(120)와의 통신 주소를 요청한다(S410).
그리고 실내기(110)는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한다(S420). 이때 실내기 제어기(112)는 실외기(120)와의 통신 주소를 이용하여, 실내기(110)가 실외기(120)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항시 임시 통신 설정에 따라 실내기(110)가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을 하는 상황에서, 실내기 통신 모뎀(111)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 상태에서 통신 가능 상태로 변경되더라도, 실내기(110)는 실내기 통신 모뎀(111)을 통해 실외기(120)와 통신하도록 설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공기조화기(100)를 제어함으로써, 실내기 통신 모뎀(111)이 고장 나거나 실내기 통신 모뎀(111)에 오류가 발생하여 실내기 통신 모뎀(111)이 통신 불가능 상태가 되더라도, 실내기 제어기(112)를 통해 실내기(110)와 실외기(120)간의 통신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공기조화기 110: 실내기
111: 실내기 통신 모뎀 112: 실내기 제어기
120: 실외기 121: 실외기 통신 모뎀
130: 통신 라인

Claims (14)

  1. 실내기;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는 실외기;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실내기 통신 모뎀;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와 통신하는 실외기 통신 모뎀; 및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실외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실내기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 또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 상태이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에 통신 불가능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자동 임시 통신 설정이 없었으면,
    상기 실내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에게 임시 통신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사용자의 수동 임시 통신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공기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자동 임시 통신 설정이 있었으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공기조화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가 상기 통신 불가능 상태에서 통신 가능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을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가 통신 가능 상태이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을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가 통신 가능 상태이더라도, 상기 사용자의 항시 임시 통신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공기조화기.
  8. 실내기,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는 실외기,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실내기 통신 모뎀 및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와 통신하는 실외기 통신 모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실내기 제어기를 상기 실외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단계;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 또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 또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 상태이면,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내기 제어기에 통신 불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자동 임시 통신 설정이 없었으면, 상기 실내기 제어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임시 통신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수동 임시 통신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자동 임시 통신 설정이 있었으면,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가 상기 통신 불가능 상태에서 통신 가능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을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 또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가 통신 가능 상태이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을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 또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내기가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기 통신 모뎀의 통신 상태가 통신 가능 상태이더라도, 상기 사용자의 항시 임시 통신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 제어기를 통해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
KR1020190122384A 2019-10-02 2019-10-0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14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384A KR102314225B1 (ko) 2019-10-02 2019-10-0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384A KR102314225B1 (ko) 2019-10-02 2019-10-0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758A true KR20210039758A (ko) 2021-04-12
KR102314225B1 KR102314225B1 (ko) 2021-10-18

Family

ID=75439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384A KR102314225B1 (ko) 2019-10-02 2019-10-0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22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1081A (ja) * 1998-12-07 2000-06-23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KR20030061198A (ko) * 2002-01-11 2003-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공조기
KR20090129196A (ko) * 2008-06-12 2009-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67703B1 (ko) * 2009-09-07 201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80124399A (ko) * 2017-05-11 2018-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90029368A (ko) * 2017-09-12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979947B1 (ko) * 2018-02-22 2019-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1081A (ja) * 1998-12-07 2000-06-23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KR20030061198A (ko) * 2002-01-11 2003-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공조기
KR20090129196A (ko) * 2008-06-12 2009-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67703B1 (ko) * 2009-09-07 201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80124399A (ko) * 2017-05-11 2018-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90029368A (ko) * 2017-09-12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979947B1 (ko) * 2018-02-22 2019-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225B1 (ko) 202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67004A1 (en) Heat source device
JP2015152192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06250454A (ja)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温度設定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14006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31422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6211825A (ja) 空調システム
RU2671139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температурой в помещении
JP2009030845A (ja) 空調制御システム
JP4493123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46071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6939894B2 (ja) 建築設備の管理システム
KR102318938B1 (ko)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
KR10218454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5555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5024199A (ja) 温水暖房付エアコンの室外機
US20140203089A1 (en)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a cfm setting less than a blower minimum in a zoning application, an hvac system including the controll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controller
JP2015031414A (ja) 空調システム及び空調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050103636A (ko) 원격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공기조화 냉난방장치
JP2015045433A (ja) 温水利用システム
JP6687063B2 (ja) 換気システム
KR2014011275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110115A (ko) 태양열 시스템과 보일러를 연계 제어하는 제어기가 구비된 난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336458B2 (ja) 冷凍システムの接続関係判定装置、冷凍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13254A (ja) 空調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空調システム
JP3549391B2 (ja) 多室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