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368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368A
KR20190029368A KR1020170116824A KR20170116824A KR20190029368A KR 20190029368 A KR20190029368 A KR 20190029368A KR 1020170116824 A KR1020170116824 A KR 1020170116824A KR 20170116824 A KR20170116824 A KR 20170116824A KR 20190029368 A KR20190029368 A KR 20190029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mote controller
indoor units
unit
out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9915B1 (ko
Inventor
김진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6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915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24F11/47Responding to energy c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내기와,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제어기와, 백업데이터를 생성하고, 원격제어기와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백업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전력을 분배하는 전력분배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소비 전력을 합리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제어기와 통신오류 발생 전, 백업데이터를 생성하고, 원격제어기와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백업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전력을 분배하여, 소비 전력을 합리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 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한편, 대형 건물 등에 있어서,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되거나 복수의 실외기가 상호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는, 이른바 멀티형 공기조화기 형태로 구성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전력분배기는, 실외기 및 원격제어기와 통신하며, 복수의 실내기 각각의 전력분배량 정보를 원격제어기로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기는, 전력분배량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전력을 분배한다.
그러나, 종래 공기조화기는, 원격제어기의 오류 등으로, 전력분배기와 원격제어기 사이에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원격제어기가 전력분배량 정보를 수신 받지 못하여,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전력을 합리적으로 분배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전력을 합리적으로 분배하지 못해, 개별 실내기기의 전력요금 산출이 부정확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 전력을 합리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내기와,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제어기와, 백업데이터를 생성하고, 원격제어기와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백업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전력을 분배하는 전력분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원격제어기와 통신오류 발생 전, 백업데이터를 생성하고, 원격제어기와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백업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전력을 분배하여, 소비 전력을 합리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소비 전력을 합리적으로 분배함으로써, 개별 실내기의 전력요금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개별 실내기의 구체적인 운전정보를 기초로 백업데이터를 생성하고, 백업데이터를 기초로, 개별 실내기에 전력을 분배하므로, 전력 분배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전력분배기를 마스터로 설정하며, 전력분배기는, 전력분배량 정보를 기초로 개별 실내기에 전력을 분배하므로, 종래 공기조화기와 달리, 통신오류 복구 후, 현재 가동 중인 실내기에 전력을 적산한다는 문제점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통신오류 복구 후, 전력분배기를 슬레이브로 설정하며, 전력 분배기는, 통신오류 발생 시간 동안의 전력분배량 정보를 원격제어기로 전송하므로, 통신오류 복구 후에도, 개별 실내기의 소비 전력에 대한 정보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전력분배기는, 개별 실내기의 전력분배량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므로, 개별 실내기의 전력 사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로 공급되는 전력선에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 또는 실외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측정기를 더 포함하므로, 공기조화기의 전력 소비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력분배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공기조화기(100)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기(21) 및 실외기(31)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100)는, 대형의 공기조화기(100)로서,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3, 이하 구분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 21이라 한다.), 복수의 실내기(21)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외기(31), 복수의 실내기(21)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리모컨(51 내지 53, 이하 구분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 51이라 한다.), 실외기(31)로 공급되는 전력선(L1)에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21) 또는 실외기(31)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측정기(61), 개별 실내기에 전력을 분배하는 전력 분배기(41), 복수의 실내기(21) 또는 실외기(31)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제어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31)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 (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31)는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21)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31)는 원격제어기(10) 또는 실내기(21)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되는 실내기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 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 된다.
이때, 실외기(31)는 복수의 실외기가, 각각 연결된 실내기로 각각 냉매를 공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나, 실외기 및 실내기의 연결구조에 따라 복수의 실외기가 상호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할 수도 있다.
실내기(21)는 복수의 실외기(31)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21)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 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실외기(31) 및 실내기(21)는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외기 및 실내기는 원격제어기(10)와 별도의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기(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한편, 실외기(31)는 실내기(21) 운전정보 및 실외기(31)와 연결된 실내기 그룹의 그룹주소 데이터가 저장되는 실외기 데이터저장부(미도시)와 전력분배기(41)에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외기 통신모듈(미도시)과, 원격제어기(10)의 요청에 따라 실내기(21)의 운전정보를 제공하고, 원격제어기(10) 및/또는 전력분배기(41)에서 수신된 전력 사용량 정보에 따라 실내기(21)를 제어하는 실외기 마이컴(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실외기 마이컴(미도시)은, 전력분배기(41) 및/또는 원격제어기(10)로부터 할당된 실내기 그룹의 그룹주소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그룹주소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내기 그룹에 해당되는 실내기(21)로부터 수신된 그룹주소 데이터를 전력분배기(41) 및/또는 원격제어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외기 마이컴(미도시)은, 전력분배기(41)로부터 실외기(31)와 연결된 실내기 그룹의 운전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실내기 그룹으로 운전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수신된 실내기 그룹의 운전정보를 전력분배기(41)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21)는 실내기(21)를 제어하는 실내기 마이컴(미도시)을 구비하고, 실내기 마이컴(미도시)은 실외기(31)를 통해 전력분배기(41) 및/또는 원격제어기(10)로부터 할당된 실내기 그룹의 그룹주소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그룹주소 데이터에 따라 실내기(21)의 그룹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21)는 실내기 통신모듈(미도시)을 구비하고, 실내기(21)는 실외기(31)의 요청에 따라 실내기(21)의 운전정보를 실내기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실외기(31)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리모컨(51 내지 53, 이하 구분의 필요가 없을 경우 51이라 한다.)는 실내기(21)에 각각 연결되어, 실내기(21)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21)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51)은 실내기(21)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경우에 따라 복수의 실내기(21)에 하나의 리모컨(51)이 연결되어 하나의 리모컨 입력을 통해 복수의 실내기(21)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리모컨(51)은 내부에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측정기(61)는 실외기(31)로 공급되는 전력선(L1)에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21) 또는 실외기(31)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력량을 실외기(31)로 전송할 수 있다.
전력측정기(61)는 전기요금 부과를 위한 전력량 측정기기로서, 전력 소비 중에 소비전력에 비례하는 속도로 회전원판이 회전되어, 회전한 전(全)회전수를 적산하여 일정 기간 중에 사용한 직류 또는 교류전력의 소비량을 측정하는 적산전력계일 수 있다.
전력측정기(61)는, 실외기(31)로부터 사용 가능한 실내기(21)의 총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총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전력측정기(61)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실외기(31)로부터 사용 가능한 실내기(21)의 총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시간 동안 실외기(31)가 소비하는 누적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은, 일별, 월별, 분기별, 연별 등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설정된 시간은, 시, 분, 초일 수 있다.
전력측정기(61)는, 실외기(31)와 펄스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측정기(61)는 실외기(31)로부터 전력량 정보 송신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소비 전력의 누적값을 펄스 신호로 실외기(31)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31)는, 실내기(21)와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어 실내기(21)의 운전정보, 전력, 전력 사용량 정보 등을 수신 받을 수 있고, 실외기(31)는, 전력분배기(41)와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어, 실외기(31) 및/또는 실내기(21)의 운전정보, 전력, 전력 사용량 정보 등을 전력분배기(41)에 전송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실외기(31) 및/또는 실내기(21)의 운전정보, 전력, 전력 사용량 정보 등을 수신 받아 표시수단에 표시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실외기(31)로부터,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정보 및, 복수의 실내기(21)의 운전정보를 수신하고, 전력분배량 정보를 원격제어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전력분배기(41)가 실외기(31)와 연결되어 실외기(31)로부터 운전정보, 전력, 전력 사용량 정보 등을 직접 수신하고, 산출된 실내기(21)의 총합 전력량을 통해, 개별 실내기(21)의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는 경우, 전력측정기(61)와 전력분배기(41)의 통신선 연결이 필요 없어, 설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전력측정기(61)는, 실내기(21) 및 실외기(3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내기(21) 및 실외기(31)의 유닛 구성은 변경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오류 발생 전, 백업데이터를 생성하고,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백업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실내기(21) 각각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한편, 이에 대해서는 도 3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원격제어기(10)는, 복수의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와 연결되어 그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기(10)는 복수의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에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21)에 대한 운전 설정, 잠금 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기(10)는, 각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기(21)의 개별 운전 및 정지가 가능하고, 각 실내기(21)의 운전상태 및 이상을 파악할 수 있으며, 원격제어기(10)가 컴퓨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인터넷 또는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 환경에서 제어하여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원격제어기(10)는, 공기조화기 네트워크, 빌딩 제어 네트워크에 대한 각 프로토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상이한 프로토콜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위한 변환기를 포함하거나 게이트웨이로써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기(10)가 게이트웨이로써 동작하는 경우, 원격제어기(10)는, 실외기(31)와 RS-485 등의 전용선 통신 방식이나, LAN(Local Area Network) 등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원격제어기(10)는, Lonworks, BACnet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 내의 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거나 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10)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 및 제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10)의 상기 입력 수단에 기계식 버튼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드 등 광의의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10)의 출력수단은 광원(LED: Light Emitting Diode 또는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 빛을 내는 장치)을 포함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10)는 정보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그와 연동하여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 에서 도시된 것처럼 원격제어기(10)는 실외기(31)와 연결될 수 있고, 실내기(21) 및 실외기(31)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원격제어기(10)는, 실내기(21)의 운전 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기(10)는, 실내기(21)를 냉방 모드, 제습 모드, 공기청정 모드, 난방 모드 등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10)는, 실시간으로 실내기(21) 또는 실외기(31)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10)가 실시간으로 실내기(21) 또는 실외기(31)의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원격제어기(10)는, 전력분배기(4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개별 실내기(21)의 소비 전력 요청신호를 전력분배기(41)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력분배기(41)는, 소비 전력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전력 분배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10)는, 전력분배량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실내기(21) 각각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전력분배량 정보에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서 소비되는 누적 전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3)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소비한 누적 전력에 차등이 있는 경우, 원격제어기(10)는, 상기 누적 전력의 비율을 기초로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3) 각각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100)는, 크게 실내기(21)와 실외기(31)로 구분된다.
실내기(21)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8)와, 실내측 열교환기(108)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과 실내팬(10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 등을 포함한다.
실내측 열교환기(108)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는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실내를 냉방 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 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외기(31)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와, 실외 열교환기(10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 시키는 실외팬(105a)과 실외팬(10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0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 등을 포함한다.
한편, 도 2에서는 실내기(21)와 실외기(31)를 각각 1개씩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동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한 개의 실내기와 복수개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등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1의 전력분배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전력분배기(41)는, 입력부(330), 표시부(350), 메모리(370), 통신부(390) 및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입력부(330)는, 버튼, 스위치 또는 터치입력수단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여 전력분배기(41) 동작에 대한 설정 또는 표시부(350)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33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입력부(330)는, 표시부(350)의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다.
표시부(350)는, 문자, 숫자, 심볼 이미지의 출력이 가능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제어부(310)에 의해 산출된 전력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50)는, 제어부(3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지정된 전력정보를 출력하거나, 순시전력, 누적전력, 기간별 누적전력 등을 소정시간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50)는, 실외기(31) 또는 복수의 실내기(21) 중, 입력부(330)를 통해 선택된 특정 유닛에 대한 전력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부(350)는, 개별 실내기(21)의 총 누적 전력량 뿐만 아니라, 기 설정된 기간동안, 개별 실내기(21)가 소비한 누적 전력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10)는 일정 기간동안 누적된 전력량을 초기화 할 수 있다.
표시부(350)는, 실외기(31)에서 소비하는 총 전력 사용량, 복수의 실내기(21), 각각의 전력 분배량, 전력 요금 정보 등을, 실시간, 기간별, 누적 정보 등으로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100)의 전력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력분배기(41)는, 원격제어기(10)의 요청에 실내기(21)에 대한 전력 정보, 요금 정보 등을 원격제어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370)는, 통신부(390)를 통해 수신되는 실내기(21) 및 실외기(31)의 전력 사용량, 실내기(21) 및 실외기(31)의 운전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70)는 실내기(21) 및 실외기(31)의 순시전력, 누적전력, 기간별 누적전력에 대한 데이터, 전력분배에 따른 기준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370)는, 백업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백업데이터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복수의 실내기(21) 각각에서 소비되는 누적 전력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백업데이터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복수의 실내기(21) 각각에 분배되는 전력분배량 정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백업데이터는, 통신 오류 발생 시간 동안, 복수의 실내기(21) 각각에서 소비되는 누적 전력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특히, 메모리(370)는, 복수의 실내기(21) 각각에서 소비되는 누적 전력에 대한 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전력분배기(41)와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오류 발생시, 그 정보를 제어부(31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메모리(370)는, 전력분배기(41)가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통신오류 발생 직전, 기설정된 시간 동안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서 소비되는, 누적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3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70)는, 복수의 실내기(21) 각각에서 소비되는 누적 전력에 대한 정보를, 통신 오류 발생 시간 동안, 저장하고 있다가, 전력분배기(41)와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 오류 발생시, 그 정보를 제어부(3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메모리(370)는, 통신오류 복구 후, 통신오류 발생 시간 동안의 개별 실내기(21)의 전력분배량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310)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37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7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 은 제어부(310)의 동작 중, 제어부(31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전력분배기(41)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부(390)는, 원격제어기(10), 실외기(31), 실내기(21) 및 전력측정기(61)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신부(39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원격제어기(10), 실내기(21), 실외기(31), 전력측정기(610)와의 통신에 있어서 상이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90)는, 실내기(21) 및/또는 실외기(31)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부(390)는, 실외기(31)로부터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정보 및 복수의 실내기(21)의 운전정보를 수신하고, 전력분배량 정보를 실외기(31) 및/또는 개별 실내기(2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90)는 실내기(21)의 대기 전력에 대한 정보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390)는, 전력측정기(61)와 펄스 데이터 통신방식으로 연결되어, 전력측정기(610)로부터 전력 사용량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390)는, 펄스 데이터 통신방식에 따른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390)는, 개별 실내기(21)의 운전정보 및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정보를 기초로 제어부(310)가 연산한 전력분배량 정보를 원격제어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부(390)는, 원격제어기(10)의 전력분배량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전력분배량 정보를 원격제어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390)는, 공기조화기 네트워크 통신방식에 따른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실외기(31)로, 복수의 실내기(21)의 운전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실외기(31)로,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와 전력측정기(61)가 실외기(31)에 공급되는 전력선(L1)에 연결되고, 개별 실내기(21)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총 소비 전력 정보는, 실외기(31) 및 실외기(31)에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3)의 총 소비 전력과 같을 수 있다.
제어부(310)는,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및 복수의 실내기(21)의 운전정보를 기초로 개별 실내기(21)의 전력분배량을 연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310)는, 개별 실내기(21)의 운전정보에 대응하여, 각 실내기(21)에 대한 가중전력을 연산하여,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전체 소비 전력에 대한 비율로 전력분배량을 연산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전체 소비 전력은 순시 전력, 누적 전력, 기간별 전력 등일 수 있다.
또한, 운전정보는, 실내기(21)의 동작, 정지등의 운전상태, 개별 실내기(21)의 용량, 개별 실내기의 풍량, 온도, 팽창밸브의 개도량 등의 운전설정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분배기(41)는, 개별 실내기의 구체적인 운전정보를 기초로 전력을 분배하므로, 전력 분배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제어부(310)는, 원격제어기(10)의 전력분배량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전력분배량 정보를, 통신부(390)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기(1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개별 실내기(21)의 전력분배량 정보를 표시부(35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370)는, 전력분배기(41)가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통신오류 발생 직전, 기설정된 시간 동안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서 소비되는, 누적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310)에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누적 전력에 대한 정보는 통신오류 발생시 백업데이터가 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백업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3) 각각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310)는, 소정 시간 동안, 원격제어기(10)의 전력분배량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오류로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누적 전력에 비례하여,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3) 각각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분배기(41)는, 원격제어기와의 통신 오류 발생 전, 백업 데이터를 생성하고, 원격제어기와의 통신 오류가 발생한 경우, 백업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전력을 분배하여, 소비 전력을 합리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어부(310)는, 전력분배기(41)와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상태에 따라, 전력분배기(41)가 마스터(master) 또는 슬레이브(slave)로 동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전력분배기(41)를 마스터로 동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상태가 정상이거나, 통신오류가 복구된 경우, 전력분배기(41)를 슬레이브로 동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통신오류가 발생한 상태에서, 실외기(31) 또는 원격제어기(10)로부터 수신 받은 데이터 패킷에 따라, 전력분배기(41)가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동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통신오류가 발생한 상태에서, 실외기(31)로부터 실외기 패킷을 수신 받은 경우, 마스터 설정을 유지하고, 원격제어기(10)로부터 원격제어기 패킷을 수신 받은 경우, 마스터 설정을 해제하고, 슬레이브로 동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전력분배기(41)가 마스터로 동작되는 경우, 전력분배기(41)는, 백업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3) 각각에 전력을 분배하고, 전력분배기(41)가 슬레이브로 동작되는 경우, 전력분배기(41)는, 전력분배량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3) 각각에 전력을 분배한다.
한편,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전력분배량 정보가 백업데이터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전력분배기(41)는, 램프의 점등 또는 점멸을 통해 실외기(31) 및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상태를 표시하는 보조표시부(미도시) 및 소정의 효과음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외기(31)는, 실내기(21)와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어, 실내기(21)의 운전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이때, 운전정보는, 실내기(21)의 동작, 정지등의 운전상태, 개별 실내기(21)의 용량, 개별 실내기의 풍량, 온도, 팽창밸브의 개도량 등의 운전설정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실외기(31)는, 전력측정기(61)로부터,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이때,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정보에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실외기가 소비하는 누적 소비 전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실외기(31)는, 전력분배기(41)의 요청 또는 주기적으로,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및 복수의 실내기(21)의 운전정보를 전력분배기(41)로 전송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및 복수의 실내기(21)의 운전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S400).
전력분배기(41)는,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및 복수의 실내기(21)의 운전정보를 기초로 개별 실내기(21)의 전력분배량을 연산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전력분배기(41)는, 개별 실내기(21)의 운전정보에 대응하여, 각 실내기(21)에 대한 가중전력을 연산하여,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전체 소비 전력에 대한 비율로 전력분배량을 연산할 수 있다.
특히 전력분배기(41)는, 전력분배량을 기초로 백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420).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분배기(41)는, 통신 오류 발생 전, 기설된 시간 동안,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분배되는 누적 전력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누적 전력은 백업데이터로서 메모리(370)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누적 전력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및 복수의 실내기(21)의 운전정보에 기초하여 연산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기(10)는, 전력분배량 정보 요청 신호를 전력분배기(41)에 전송할 수 있고, 전력분배기(41)는, 전력분배량 정보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전력분배량 정보를 원격제어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10)는, 전력분배량 정보를 기초로, 개별 실내기(21)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전력분배량 정보는 전력 요금 산출에 이용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원격제어기와의 통신오류를 연산할 수 있다(S430).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분배기(41)는, 소정 시간 동안, 원격제어기(10)의 전력분배량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오류로 연산할 수 있다. 소정 시간은, 제조사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통신오류는, 전력분배기(41)와 원격제어기(10)의 통신선 오결선, 통신선 결함 또는 원격제어기(10) 오류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마스터로 동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S440). 한편, 전력분배기(41)와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이 정상상태인 경우, S470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전력분배기(41)가 마스터로 동작되는 경우, 전력분배기(41)는, 원격제어기(10)와 같이 개별 실내기(21)에 전력을 분배하므로, 종래 공기조화기와 달리, 통신 오류 복구 후, 현재 가동 중인 실내기에 전력을 적산한다는 문제점 해결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백업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실내기(21) 각각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S450).
한편, 백업데이터는, 통신 오류 발생 전, 기설정된 시간 동안, 복수의 실내기(21) 각각에 분배되는 누적 전력일 수 있고, 전력분배기(41)는,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누적 전력에 비례하여, 복수의 실내기(21) 각각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력분배기(41)는, 통신오류가 발생한 상태에서, 실외기(31) 또는 원격제어기(10)로부터 수신 받은 데이터 패킷에 따라, 전력분배기(41)가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동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S460).
이때, 전력분배기(41)는, 실외기(31) 또는 원격제어기(10)를 순차적 또는 주기적으로 점검하기 위해 폴링 기법(polling technique)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럽트 방식에 비해 구현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전력분배기(41)는, 통신오류가 발생한 상태에서, 실외기(31)로부터 실외기 패킷을 수신 받은 경우, 마스터 설정을 유지하며, 전력분배기(41)는, 백업데이터를 기초로, 개별 실내기(21) 각각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통신오류가 발생한 상태에서, 원격제어기(10)로부터 원격제어기 패킷을 수신 받은 경우, 마스터 설정을 해제하고, 슬레이브로 동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S470).
한편, 전력분배기(41)가 슬레이브로 재설정되는 경우, 전력분배기(41)는, 통신오류 발생 시간 동안의 전력분배량 정보를 원격제어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10)는, 통신오류 발생 시간 동안의 전력 분배량 정보를 기초로, 개별 실내기(21)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고, 전력 분배량 정보는 전력 요금 산출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통신 오류 복구 후, 전력분배기(41)를 슬레이브로 설정하며, 전력분배기(41)는, 통신 오류 발생 시간 동안의 전력분배량 정보를 원격제어기(10)로 전송하므로, 통신 오류 복구 후에도, 개별 실내기(21)의 소비 전력에 대한 정보 획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전력분배기(41)가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경우, 원격제어기(10)는 마스터로 동작될 수 있다.
즉, 전력분배기(41)는,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오류가 복구되는 경우 또는,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상태가 정상일때, 슬레이브로 동작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및 복수의 실내기(21)의 운전정보를 기초로 개별 실내기(21)의 전력분배량을 연산하고, 전력분배량 정보를 원격제어기(10)에 전송할 수 있다(S480).
원격제어기(10)는, 전력분배량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실내기(21) 각각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S490). 또한, 원격제어기(10)는, 개별 실내기(21)의 소비 전력을 기초로 전력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동작 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는, 전력분배기(41)와 원격제어기(10)의 통신이 정상 상태일 때, 전력분배기(41) 및 원격제어기(10)의 동작에 따른 개별 실내기(21)의 전력분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외기(31)는, 제1 내지 제3실내기(21 내지 23)와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어, 제1 내지 제3실내기(21 내지 23)의 운전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정보를 전력분배기(41)에 전송할 수 있다.
실외기(31)는, 전력측정기(61)로부터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정보를 수신 받아, 전력분배기(41)에 전송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및 제1 내지 제3실내기(21 내지 23)의 운전정보를 기초로, 제1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 각각의 전력분배량을 연산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의 용량, 설정 풍량, 설정 온도 등에 따라 각 실내기로 전력량을 분배하는 분배 비율은 가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21)의 용량이 크고, 풍량이 강으로 설정된 경우가, 용량이 작고 풍량이 약으로 설정된 실내기(21)에 비해 분배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
도 5에서, 전력분배기(41)는, 제1 시간(T1) 동안, 제1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에서 소비되는, 총 누적 전력량이 9kW라고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전력 분배기(41)는, 각 실내기의 운전정보를 기초로, 각 실내기에 분배되는 전력량이, 제1 실내기(21)는, 2kW, 제2 실내기(22)는 3kW, 제3 실내기(23)는 4kW라고 연산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제1 시간(T1) 동안, 제1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에서 소비되는 누적 적력량을, 원격제어기(10)의 요청에 의해, 원격제어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력분배기(41)는, 제2 시간(T2) 동안, 제1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가 연속 운전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과정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 시간(T2) 동안, 제1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에서 소비되는 총 누적 전력이 6kW인 경우, 각 실내기의 운전정보를 기초로, 각 실내기에 분배되는 전력량이, 제1 실내기(21)는, 1kW, 제2 실내기(22)는, 2kW, 제3 실내기(23)는 3kW라고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제3 시간(T3)동안, 제2 실내기(22) 및 제3 실내기(23)의 전원이 오프(off)될 수 있다. 또한, 제3 시간(T3) 동안, 총 누적 전력은 1kW일 수 있다.
이때, 전력분배기(41)는 제2 실내기(22) 및 제3 실내기(23)의 운전정보를 기초로, 총 누적 전력 1kW를 제1 실내기(21)에 모두 분배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a는, 종래 공기조화기에서, 전력분배기(41)와 원격제어기(10)의 통신오류 발생시, 전력분배기(41) 및 원격제어기(10)의 동작에 따른 개별 실내기(21)의 전력분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전력분배기(41)와 원격제어기(10)의 통신오류 발생시, 전력분배기(41) 및 원격제어기(10)의 동작에 따른 개별 실내기(21)의 전력분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a에서, 전력분배기와 원격제어기의 통신 상태가 정상인 경우, 전력분배기는, 도 5에서와 같이, 제1 시간(T1) 동안, 제1 실내기(21) 내지 제3 실내기(23)의 전력분배량이, 각각 2kW, 3kW, 4kW라고 연산한다.
그러나, 통신오류가 발생하는 제2 시간(T2) 동안, 전력분배기는, 총 누적 전력(6kW)을 각 실내기에 분배하지 못한다.
또한, 통신 오류가 복구되는 제2 시간(T2) 이후, 원격제어기는, 통신 오류가 발생한 시간 동안의 총 누적 전력인 6kW를 제1 실내기(21)에 적산한다.
한편, 전력분배기는 통신 오류가 복구되는 제2 시간(T2) 이후, 제3 시간(T3)동안, 총 누적 전력인 1kW를 제1 실내기(21)에 합산하는 것은 도 5와 같다.
이와 같이, 종래 공기조화기는, 통신오류 복구 후, 현재 가동 중인 실내기에 전력을 적산하여,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전력을 합리적으로 분배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6b에서도, 도 6a에서와 같이, 전력분배기(41)가, 제1 시간(T1) 동안, 제1 실내기(21) 내지 제3 실내기(23)의 전력분배량이, 각각 2kW, 3kW, 4kW라고 연산하는 것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전력분배기(41)는, 통신 오류 발생 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실내기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에 분배되는 누적 전력을 백업데이터로써 메모리(37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은 제1 시간(T1)일 수 있고, 제1 실내기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에 분배되는 누적 전력은 각각, 2kW, 3kW, 4kW일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마스터로 동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분배기(41)가 마스터로 동작되는 경우, 전력분배기(41)는, 통신오류 발생 전, 원격제어기(10)와 같이 제1 실내기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이때, 전력분배기(41)는, 원격제어기(10)와 달리, 전력을 내부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시간(T2) 동안, 제1 실내기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의 분배 비율은, 도 5에서와 같이, 1:2:3일 수 있고, 전력분배기(41)는, 총 누적 전력 6kW를 각 실내기에 1kW, 2kW, 3kW로 내부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력분배기(41)는, 누적 전력에 비례하여 제1 실내기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 각각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즉, 제1 시간(T1) 동안, 누적된 전력에 비례하여, 제2 시간(T2) 동안, 각 실내기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간(T1) 동안, 제1 실내기(21)에서 소비하는 전력이 2kW이고, 제2 실내기(22)에서 소비하는 전력이 3kW이며, 제3 실내기(23)에서 소비하는 전력이 4kW이므로, 전력분배기(41)는, 상기 누적 전력에 비례하여, 제2 시간(T2) 동안, 총 누적 전력 6kW를 각 실내기에 1kW, 2kW, 3kW로 분배 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도, 전력분배기(41)는 전력을 내부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오류가 복구되는 경우, 슬레이브로 동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슬레이브로 재설정되는 경우, 통신오류 발생 시간 동안의 전력분배량 정보를 원격제어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분배기(41)는, 제2 시간(T2) 동안, 내부적으로 분배하였던 제1 실내기(21) 1kW, 제2 실내기(22) 2kW, 제3 실내기(23) 3kW를 원격제어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10)는, 통신오류 발생 시간 동안의 전력분배량 정보를 기초로, 개별 실내기(21)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b에서 제1 실내기(21) 내지 제3 실내기의 총 누적 전력은, 도 5에서와 같이, 각각 3kW, 5kW, 7kW가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종래 공기조화기가 통신 오류 복구 후, 현재 가동 중인 실내기에 전력을 적산한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전력분배기(41)는 통신 오류가 복구되는 제2 시간(T2) 이후, 제3 시간(T3)동안, 총 누적 전력인 1kW를 제1 실내기(21)에 합산하는 것은 도 5 및 도 6a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원격제어기(10), 전력분배기(41 내지 42), 복수의 실외기(31 내지 32), 복수의 전력측정기(61 내지 62),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6)를 포함한다.
도 1과의 차이점은, 전력분배기(41)가 복수의 실외기(31 내지 32)에 연결된다는 점이다.
전력분배기(41)는, 복수의 실외기 입력단자(미도시)가 구비되어, 복수의 입력단자(미도시)를 통해 복수의 실외기(31 내지 3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력측정기(61)는, 제1 실외기(31)에 연결되고, 제2 전력측정기(62)는, 제2 실외기(32)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측정값을 펄스신호로 각 실외기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실외기(31)는, 제1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에 연결되어, 제1 내지 제3 실내기(21 내지 23)의 운전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제2 실외기(32)는, 제4 내지 제6 실내기(24 내지 26)에 연결되어, 제4 내지 제6 실내기(24 내지 26)의 운전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한편, 전력분배기(41)는, 전력분배기(41)와 연결된 복수의 실외기(31 내지 32)의 주소를 할당하고, 할당된 주소에 따라, 각 실외기로, 각 실외기의 소비 전력 정보 및 각 실외기에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의 운전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분배기(41)는, 각 실외기의 주소를 설정하는 설정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설정부(미도시)는, 전력분배기(41)와 연결된 실외기의 주소를 할당하고, 주소 데이터가 메모리(37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각 실외기는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소비 전력 정보 및 운전정보를 전력분배기(41)로 전송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각 실외기로부터, 각 실외기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정보 및 각 실외기에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의 운전정보를 수신하고, 소비 전력 정보 및 운정정보를 기초로, 개별 실내기의 전력분배량을 연산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개별 실내기의 전력분배량 정보 및 실외기의 주소 정보를 원격제어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10)는, 전력분배량 정보 및 주소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실내기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한편, 전력분배기(41)가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오류 발생전, 백업데이터를 생성하고, 통신오류 발생시, 백업데이터를 기초로, 개별 실내기에 전력을 분배하는 것은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원격제어기(10), 전력분배기(41), 복수의 전력측정기(61, 63), 실외기(31),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의 차이점은, 제1 전력측정기(61)가 실외기(31)에 연결되어,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전력을 측정하고, 제2 전력측정기(63)가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3)에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3)가 소비하는 전력을 측정하며, 전력분배기(41)가 제1 전력측정기(61) 및 제2 전력측정기(62)에 연결된다는 점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전력측정기(61)는, 실외기(31)가 소비하는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력측정기(63)는,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3)가 소비하는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전력측정기(61) 및 제2 전력측정기(63)는, 전력분배기(41)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측정값을 펄스신호로 전력분배기(41)에 전송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제1 전력측정기(61) 및 제2 전력측정기(63)의 전력측정값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분배기(41)는, 신호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외기(31)는,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3)의 운전정보를 수신하여, 전력분배기(41)에 전송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3)가 소비하는 총 소비 전력 정보 및 복수의 실내기(21 내지 23)의 운전정보를 수신하고, 소비 전력 정보 및 운전정보를 기초로, 개별 실내기의 전력분배량을 연산할 수 있다.
전력분배기(41)는, 개별 실내기의 전력분배량 정보를 원격제어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10)는, 전력분배량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실내기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한편, 전력분배기(41)가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오류 발생전, 백업데이터를 생성하고, 통신오류 발생시, 백업데이터를 기초로, 개별 실내기에 전력을 분배하는 것은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통신오류 발생 전, 백업데이터를 생성하고, 원격제어기(10)와의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백업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전력을 분배하므로, 소비 전력을 합리적으로 분배함으로써, 개별 실내기의 전력요금을 보다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실내기의 전력 소비상태 및 전력요금을 보다 정확하게 분배함으로써,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원격제어기
21: 실내기
31: 실외기
41: 전력분배기
61: 전력측정기
310: 제어부

Claims (10)

  1. 복수의 실내기;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외기;
    상기 복수의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제어기; 및
    백업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원격제어기와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백업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전력을 분배하는 전력분배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분배기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원격제어기의 전력분배량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 오류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데이터는,
    통신 오류 발생 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분배되는 누적 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전력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실외기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의 운전정보에 기초하여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분배기는,
    상기 원격제어기와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누적 전력에 비례하여 상기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전력을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분배기는,
    상기 원격제어기와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마스터로 동작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분배기는,
    통신오류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실외기로부터 실외기 패킷을 수신 받은 경우, 마스터 설정을 유지하고,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원격제어기 패킷을 수신 받은 경우, 상기 마스터 설정을 해제하고, 슬레이브로 동작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분배기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서 소비되는, 누적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원격제어기와 통신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누적 전력에 비례하여, 상기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전력을 분배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분배기는,
    상기 실외기로부터, 상기 실외기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의 운전정보를 수신하고, 전력분배량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기에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전력분배량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로 공급되는 전력선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측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70116824A 2017-09-12 2017-09-12 공기조화기 KR102399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824A KR102399915B1 (ko) 2017-09-12 2017-09-12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824A KR102399915B1 (ko) 2017-09-12 2017-09-12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368A true KR20190029368A (ko) 2019-03-20
KR102399915B1 KR102399915B1 (ko) 2022-05-18

Family

ID=6603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824A KR102399915B1 (ko) 2017-09-12 2017-09-12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9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758A (ko) * 2019-10-02 2021-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2665133A (zh) * 2021-01-21 2021-04-1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耗电量检测方法、热回收多联机、存储介质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704A (ko) * 2012-01-05 2013-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이의 전력분배방법, 및 전력분배기
KR20140115787A (ko) * 2013-03-22 2014-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704A (ko) * 2012-01-05 2013-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이의 전력분배방법, 및 전력분배기
KR20140115787A (ko) * 2013-03-22 2014-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758A (ko) * 2019-10-02 2021-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2665133A (zh) * 2021-01-21 2021-04-1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耗电量检测方法、热回收多联机、存储介质及装置
CN112665133B (zh) * 2021-01-21 2022-05-17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耗电量检测方法、热回收多联机、存储介质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915B1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7059B2 (ja) エアコンの中央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EP2913598B1 (en) Air condition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725245B1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0751834B1 (ko) 히트펌프식 냉난방 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JP6009586B2 (ja) 空気調和制御システム
AU2016392133A1 (en)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device
KR101994695B1 (ko) 공기조화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9368A (ko) 공기조화기
JPWO2007032065A1 (ja) 空気調和装置
KR2012002637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주소설정방법
KR10157336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58988A (ko) 스탠드 얼론형 에어컨 제어기를 이용한 멀티에어컨 제어방법 및 장치
KR2013003855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05162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3374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0690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4334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43670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06460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11759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80011672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06951B1 (ko) 공기조화시스템
KR20090048791A (ko) 전력 제어 시스템
JP6316363B2 (ja) 空気調和制御システム
KR102143347B1 (ko)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