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796A - 히트덕트 코킹장치 - Google Patents

히트덕트 코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796A
KR20210037796A KR1020190119739A KR20190119739A KR20210037796A KR 20210037796 A KR20210037796 A KR 20210037796A KR 1020190119739 A KR1020190119739 A KR 1020190119739A KR 20190119739 A KR20190119739 A KR 20190119739A KR 20210037796 A KR20210037796 A KR 20210037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ulking
heat duct
mold
cas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702B1 (ko
Inventor
박재완
박종호
이용재
이재호
김원준
박선민
김창덕
Original Assignee
(주)화승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승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화승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19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7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37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5/00Uniting components to form integral members, e.g. turbine wheels and shafts, caulks with inserts, with or without shaping of th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히트덕트 코킹장치는 작업대 상에 배치되며, 제1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2 내부공간을 가지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히트덕트의 하부를 코킹하기 위해 제공된 하부 금형; 상기 제2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히트덕트의 상부를 코킹하기 위해 제공된 상부 금형;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히트덕트를 코킹하기 위해 상기 하부 케이스를 향해 상기 상부 케이스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히트덕트 코킹장치{APPARATUS FOR COCKING HEAT DUCT}
본 발명은 히트덕트 코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무호스의 단열을 위해 고무호스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히트덕트를 코킹 공정에 의해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고무호스로부터 히트덕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히트덕트 코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다양한 편의장치가 갖추어져 있으며, 이러한 편의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자동차의 실내를 적절히 냉방하여 실내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는 에어컨 시스템이 있다.
에어컨 시스템은 엔진의 회전력으로 압축 및 순환되는 냉매의 잠열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크게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의 4가지 주요 구성품으로 구성된다. 즉 자동차용 에어컨 시스템이 가동되면, 가스 상태의 냉매가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흡입 및 압축된 후, 고온고압의 가스 상태로 응축기에 보내지고, 응축기에서 강제 냉각된 냉매는 팽창밸브를 지나면서 저온저압의 습증기 상태로 팽창된 후, 증발기로 보내져 저온저압의 가스 상태로 기화된다.
여기서, 증발기를 지나는 냉매는 기화 시 그 주변을 지나는 공기의 열을 빼앗게 되는데, 이때 냉각된 공기가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면서 냉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에어컨 시스템의 주요 구성품들은 냉매를 이송하기 위한 냉매관로로 연결된다. 자동차용 에어컨의 냉매관로는 자동차의 특성 상 엔진의 진동을 견뎌낼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호스와 금속재질의 파이프가 페럴(Ferrule)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에어컨의 냉매관로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장치와 같이 과열되는 장소에 설치됨에 따라 고무호스는 외부열과 접촉하여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이러한 열변형을 막기 위하여 고무호스에 단열재를 감고 은박지로 덧씌운 다음 철망으로 보호시키고 클램프로 이를 고정해서 사용되었다.
이에 따라, 고무호스를 외부열로부터 단열시키기 위하여 여러번의 조립과정이 필요하고, 철망, 은박지 및 클램프가 사용됨으로써 제조비용이 많이 들고 그 부피가 커져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실용신안공보 실1996-0010300호(공고일:1996.12.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호스의 단열을 위해 고무호스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히트덕트를 코킹 공정에 의해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고무호스로부터 히트덕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히트덕트 코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덕트 코팅장치는 고무호스를 단열시키기 위하여 고무호스 및 상기 고무호스의 양측에 결합된 페럴을 감싸도록 결합된 히트덕트가 상기 고무호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히트덕트를 코킹하는 히트덕트 코킹장치에 있어서, 작업대 상에 배치되며, 제1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2 내부공간을 가지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히트덕트의 하부를 코킹하기 위해 제공된 하부 금형; 상기 제2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히트덕트의 상부를 코킹하기 위해 제공된 상부 금형;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히트덕트를 코킹하기 위해 상기 하부 케이스를 향해 상기 상부 케이스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덕트 코킹장치는 고무호스의 단열을 위해 고무호스를 감싸도록 결합된 히트덕트를 코킹 공정에 의해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고무호스로부터 히트덕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호스에 히트덕트가 설치되기 전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덕트 코킹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에 하부 금형이 설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에 하부 금형이 설치된 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에 상부 금형이 설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에 상부 금형이 설치된 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덕트 코킹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덕트 코킹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호스에 히트덕트가 설치되기 전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덕트 코킹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의 (a)는 고무호스에 히트덕트가 설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의 (b)는 고무호스에 히트덕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덕트 코킹장치(100)는 고무호스(10) 및 고무호스(10)의 양측에 결합된 페럴(20)을 감싸도록 결합된 히트덕트(30)가 고무호스(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히트덕트(30)를 코팅하기 위한 장치인 것으로서, 이러한 히트덕트 코킹장치(100)는 크게 본체(200), 하부 금형(300), 상부 금형(400) 및 승강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작업대(1) 상에 배치되며, 제1 내부공간(미도시)을 가지는 하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10)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2 내부공간(미도시)을 가지는 상부 케이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하부 케이스(210)의 일측과 상부 케이스(220)의 일측을 연결시키고 하부 케이스(210)로부터 상부 케이스(220)가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면서 상부 케이스(22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 플레이트(230) 및 상부 케이스(220)의 상측 즉, 수직 플레이트(230)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승강유닛(500)의 실린더(510)가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에 하부 금형이 설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에 하부 금형이 설치된 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금형(300)은 히트덕트(30)의 하부를 코킹하기 위해 제1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금형(300)은 하부 금형본체(310), 하부 수용홈부(320), 하부 제1 코킹부(321) 및 하부 제2 코킹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금형본체(310)는 하부 케이스(210)의 제1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 금형본체(310)의 상면에는 코킹 공정을 위해 히트덕트(30)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 수용홈부(320)가 마련될 수 있다.
하부 수용홈부(320)는 하부 금형본체(310)의 상면이 함몰되도록 형성되되, 히트덕트(30)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히트덕트(30)의 하부 구조와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고무호스(10)의 형상에 따라 하부 수용홈부(320)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제시하고 있으나, 고무호스(10)의 형상에 따라 하부 수용홈부(320)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하부 제1 코킹부(321)는 하부 수용홈부(320)의 일측에 형성되되 하부 수용홈부(320)보다 더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페럴(20)을 감싼 히트덕트(30)의 하부가 배치된다.
하부 제2 코킹부(322)는 하부 수용홈부(320)의 타측에 형성되되 하부 제1 코킹부(321)와 동일하게 하부 수용홈부(320)보다 더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다른 측 페럴(20)을 감싼 히트덕트(30)의 하부가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제1 코킹부(321)에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제1 코킹돌기(321a)가 마련되고, 하부 제2 코킹부(322)에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제2 코킹돌기(322b)가 마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히트덕트(30)를 코킹하는 과정에서 하부 제1 코킹부(321)에 형성된 하부 제1 코킹돌기(321a) 및 하부 제2 코킹부(322)에 형성된 하부 제2 코킹돌기(322a)가 히트덕트(30)의 하부를 각각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각 코킹돌기(321a,322a)의 가압력에 의해 히트덕트(30)의 하부에는 각각의 페럴(20)의 하부를 행해 돌출되는 하부 제1 가압돌기(31) 및 하부 제2 가압돌기(32)가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하부 가압돌기(31,32)가 각각의 패럴(20)의 하부를 가압한 상태가 되어, 각각의 페럴(20)에 히트덕트(30)의 하부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에 상부 금형이 설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에 상부 금형이 설치된 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금형(400)은 히트덕트(30)의 상부를 코킹하기 위해 제2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 금형(400)은 앞서 상술한 하부 금형(30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금형(400)의 상부 수용홈부(420)이 하부 금형(300)의 하부 수용홈부(320)과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금형(400)은 상부 금형본체(410), 상부 수용홈부(420), 상부 제1 코킹부(421) 및 상부 제2 코킹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금형본체(410)는 상부 케이스(220)의 제2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 금형본체(410)의 하면에는 코킹 공정을 위해 히트덕트(30)의 상부가 수용되는 상부 수용홈부(4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수용홈부(420)는 상부 금형본체(410)의 하면이 함몰되도록 형성되되, 코킹 과정에서 히트덕트(30)의 상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히트덕트(30)의 상부 구조와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제1 코킹부(421)는 상부 수용홈부(420)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부 수용홈부(420)보다 더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페럴(20)을 감산 히트덕트(30)의 상부가 배치된다.
상부 제2 코킹부(422)는 상부 수용홈부(420)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부 제1 코킹부(421)와 동일하게 상부 수용홈부(420)보다 더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다른 측 페럴(20)을 감싼 히트덕트(30)의 상부가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제1 코킹부(421)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제1 코킹돌기(421a)가 마련되고, 상부 제2 코킹부(422)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제2 코킹돌기(421a)가 마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부 제1 코킹부(421)에 형성된 상부 제1 코킹돌기(421a) 및 상부 제2 코킹부(422)에 형성된 상부 제2 코킹돌기(422a)가 히트덕트(30)를 상부를 각각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각 상부 코킹돌기(421a,422a)의 가압력에 의해 히트덕트(30)의 상부에는 각각의 페럴(20)을 행해 돌출되는 상부 제1 가압돌기(33) 및 상부 제2 가압돌기(34)가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상부 가압돌기(33,34)가 각각의 패럴(20)의 상부를 가압한 상태가 되어, 각각의 페럴(10)에 히트덕트(30)의 상부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킹 과정에서 하부 금형(300)과 상부 금형(400) 간의 접촉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하부 금형(300)에는 안내돌기(330)가 형성되고, 상부 금형(400)에는 안내홈(43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히트덕트(30)의 코킹을 위해 상부 금형(400)이 하부 금형(300)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하부 금형(300)에 형성된 안내돌기(330)에 상부 금형(400)에 형성된 안내홈(430)이 끼워지게 되어 하부 금형(300)과 상부 금형(400) 간의 접촉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안내돌기(330) 및 안내홈(430)의 위치를 변경하여, 하부 금형(300)에 안내홈(430)이 형성되고 상부 금형(400)에 안내돌기(330)가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유닛(500)은 상부 케이스(2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부 케이스(220)를 승강 이동시켜, 상부 금형(400)과 하부 금형(300)이 상호 접촉 및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금형(400)과 하부 금형(300) 사이에 배치된 히트덕트(30)를 코킹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승강유닛(500)이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510)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승강유닛(500)의 피스톤(520)이 상부 케이스(220)와 연결되어 상부 케이스(220)를 승강 이동시킨다.
한편, 상부 플레이트(240)에는 일측이 상부 케이스(220)의 상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240)에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상부 케이스(2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60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 금형(300)의 하면과 하부 케이스(210)의 바닥면 사이에는 제1 완충부재(미도시) 설치되고, 상부 금형(400)의 상면과 하부 케이스(210)의 바닥면 사이에는 제2 완충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부 금형(400)과 하부 금형(300)이 접촉되는 과정에서 하부 금형(300)은 제1 완충부재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고, 상부 금형(400)은 제2 완충부재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어 각각의 페럴(20)을 가압하는 각각의 코킹돌기(321a,322a,421a,422a)의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어 각각의 코킹돌기(321a,322a,421a,422a)에 의해 각각의 페럴(20)이 손상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히트덕트의 코킹 공정을 위하여 하부 금형에 히트덕트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승강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부 금형이 하부 금형 측으로 이동되어 상부 금형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히트덕트의 코킹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덕트 코킹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먼저, 고무호스(10) 및 고무호스(10)의 양측에 결합된 페럴(20)을 감싸도록 히트덕트(30)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호스(10)에 결합된 히트덕트(30)의 하부를 하부 금형(300)의 하부 수용홈부(320)에 수용되도록 배치한다. 이때, 히트덕트(30)의 하부 중 고무호스(10)를 감싼 부위의 하부는 하부 수용홈부(320)에 수용되고, 페럴(20)을 각각 감싼 부위의 하부는 하부 제1 코킹부(321) 및 하부 제2 코킹부(322)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유닛(500)을 작동시켜 상부 금형(400)이 하부 금형(300)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부 금형(400)의 상부 수용홈부(420)에는 히트덕트(30)의 상부가 수용되는데, 히트덕트(30)의 상부 중 고무호스(10)의 감싼 부위의 상부가 상부 수용홈부(420)에 수용되고, 페럴(20)을 각각 감싼 부위의 상부는 상부 제1 코킹부(421) 및 상부 제2 코킹부(422)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부 금형(400)이 하부 금형(300) 측으로 이동되면서 안내돌기(330)에 안내홈(430)이 결합됨에 따라, 하부 금형(300)과 상부 금형(400) 간의 접촉 위치가 안내되어 상호간에 틀어짐 없이 정확한 위치로 접촉된다.
계속해서, 상부 금형(400)과 하부 금형(300)이 접촉되는 과정에서 하부 제1 코킹돌기(321a) 및 하부 제2 코킹돌기(322a)가 히트덕트(30)의 하부를 가압함으로써, 히트덕트(30)의 하부 양측에는 하부 제1 가압돌기(31) 및 하부 제2 가압돌기(32)가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하부 가압돌기(31,32)가 각각의 페럴(20)의 하부를 가압한 상태가 되어, 각각의 페럴(20)에 히트덕트(30)의 하부가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 제1 코킹돌기(421a) 및 상부 제2 코킹돌기(422a)가 히트덕트(30)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히트덕트(30)의 상부 양측에는 상부 제1 가압돌기(33) 및 상부 제2 가압돌기(34)가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상부 가압돌기(33,34)가 각각의 페럴(20)의 하부를 가압한 상태가 되어, 각각의 페럴(20)에 히트덕트(30)의 상부가 고정된다.
한편, 상부 금형(400)과 하부 금형(300)이 접촉되는 과정에서 하부 금형(300)은 제1 완충부재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고, 상부 금형(400)은 제2 완충부재에 의해 충격이 완화됨으로써, 각각의 페럴(20)로 전달되는 각각의 코킹돌기(321a,322a,421a,422a)의 가압력이 조절되어 각각의 코킹돌기(321a,322a,421a,422a)에 의해 각각의 페럴(20)이 손상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유닛(500)의 작동에 의해 하부 금형(300)으로부터 상부 금형(400)을 이격시킴으로써, 히트덕트(30)의 코킹과정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트덕트 코킹장치는 고무호스의 단열을 위해 고무호스를 감싸도록 결합된 히트덕트를 코킹 공정에 의해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고무호스로부터 히트덕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고무호스 20: 패럴
30: 히트덕트 31: 하부 제1 가압돌기
32: 하부 제2 가압돌기 33: 상부 제1 가압돌기
34: 상부 제2 가압돌기 100: 히트덕트 코킹장치
200: 본체 210: 하부 케이스
220: 상부 케이스 230: 수직 플레이트
240: 상부 플레이트 300: 하부 금형
310: 하부 금형본체 320: 하부 수용홈부
321: 하부 제1 코킹부 321a: 하부 제1 코킹돌기
322: 하부 제2 코킹부 322a: 하부 제2 코킹돌기
330: 안내돌기 400: 상부 금형
410: 상부 금형본체 420: 상부 수용홈부
421: 상부 제1 코킹부 421a: 상부 제1 코킹돌기
422: 상부 제2 코킹부 422a: 상부 제2 코킹돌기
430: 안내홈 500: 승강유닛
510: 실린더 520: 피스톤
600: 가이드봉

Claims (8)

  1. 고무호스를 단열시키기 위하여 고무호스 및 상기 고무호스의 양측에 결합된 페럴을 감싸도록 결합된 히트덕트가 상기 고무호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히트덕트를 코킹하는 히트덕트 코킹장치에 있어서,
    작업대 상에 배치되며, 제1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2 내부공간을 가지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히트덕트의 하부를 코킹하기 위해 제공된 하부 금형;
    상기 제2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히트덕트의 상부를 코킹하기 위해 제공된 상부 금형;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히트덕트를 코킹하기 위해 상기 하부 케이스를 향해 상기 상부 케이스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히트덕트 코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제1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하부 금형본체;
    상기 하부 금형본체의 상면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히트덕트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 수용홈부;
    상기 하부 수용홈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하부 수용홈부보다 더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페럴을 감싼 상기 히트덕트의 하부가 배치되는 하부 제1 코킹부; 및
    상기 하부 수용홈부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하부 수용홈부보다 더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다른 측 페럴을 감싼 상기 히트덕트의 하부가 배치되는 하부 제2 코킹부;를 포함하는 히트덕트 코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제1 코킹부 및 상기 하부 제2 코킹부에는 상기 히트덕트의 하부를 가압하여 상기 히트덕트의 일부가 상기 페럴 각각의 하부를 가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제1 코킹돌기 및 하부 제2 코킹돌기가 마련되는 히트덕트 코킹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제2 내부공간에 고정되는 상부 금형본체;
    상기 상부 금형본체의 하면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코킹 과정에서 상기 히트덕트의 상부가 수용되는 상부 수용홈부;
    상기 상부 수용홈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 수용홈부보다 더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히트덕트가 감싼 상기 페럴의 상부가 배치되는 상부 제1 코킹부; 및
    상기 상부 수용홈부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 수용홈부보다 더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코킹과정에서 상기 히트덕트가 감싼 다른 측 페럴의 상부가 배치되는 상부 제2 코킹부;를 포함하는 히트덕트 코킹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제1 코킹부 및 상기 상부 제2 코킹부에는 상기 히트덕트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히트덕트의 일부가 상기 페럴 각각의 상부를 가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제1 코킹돌기 및 상부 제2 코킹돌기가 마련되는 히트덕트 코킹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과정에서 상기 하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 간의 접촉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금형에는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금형에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히트덕트 코킹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유닛이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는 일측이 상부 케이스의 상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봉이 구비되는 히트덕트 코킹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이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금형 및 상기 상부 금형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 금형의 하면과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 사이에는 제1 완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금형의 상면과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 사이에는 제2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히트덕트 코킹장치.
KR1020190119739A 2019-09-27 2019-09-27 히트덕트 코킹장치 KR102272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739A KR102272702B1 (ko) 2019-09-27 2019-09-27 히트덕트 코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739A KR102272702B1 (ko) 2019-09-27 2019-09-27 히트덕트 코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796A true KR20210037796A (ko) 2021-04-07
KR102272702B1 KR102272702B1 (ko) 2021-07-05

Family

ID=75469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739A KR102272702B1 (ko) 2019-09-27 2019-09-27 히트덕트 코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7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300A (ko) 1994-09-23 1996-04-20 정몽원 퍼지추론을 이용한 자동차의 현가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8064218A (ja) * 2006-09-08 2008-03-21 Sekisui Chem Co Ltd 配管材の接続構造およびこの配管材の接続構造を得るのに用いるスリーブのかしめ用ダイス
KR101421960B1 (ko) * 2014-04-08 2014-07-23 (주)한서티앤티 금속 파이프와 고무호스 체결용 툴베이스
KR102009004B1 (ko) * 2014-10-14 2019-08-08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화학적 기상 증착법에 의한 정렬된 미세다공성 탄소의 합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300A (ko) 1994-09-23 1996-04-20 정몽원 퍼지추론을 이용한 자동차의 현가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8064218A (ja) * 2006-09-08 2008-03-21 Sekisui Chem Co Ltd 配管材の接続構造およびこの配管材の接続構造を得るのに用いるスリーブのかしめ用ダイス
KR101421960B1 (ko) * 2014-04-08 2014-07-23 (주)한서티앤티 금속 파이프와 고무호스 체결용 툴베이스
KR102009004B1 (ko) * 2014-10-14 2019-08-08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화학적 기상 증착법에 의한 정렬된 미세다공성 탄소의 합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702B1 (ko) 202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27593U (zh) 空调机的室外机
US4268947A (en) Method of securing a capillary tube passing through a wall
KR20210037796A (ko) 히트덕트 코킹장치
SE9500609D0 (sv) Cooled air cycl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ystem
US4231228A (en) Combination process tube and vibration attenuator for a refrigeration circuit
KR20140076383A (ko) 차량용 에어컨 소음 저감 장치
KR101617826B1 (ko)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팽창밸브 구조
KR101387597B1 (ko) 에어컨 냉매관로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KR20070006332A (ko) 공기조화기의 진동 저감장치
KR102204295B1 (ko) 증발기용 헤더 탱크
JP2001062651A (ja) 熱交換器コアの組立装置
JP2009186061A (ja) 室外機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2014129995A (ja) スターリング冷凍機用整流ユニット
KR20140118073A (ko) 관 연결구조
JP2014055748A (ja) 内部熱交換器とその製造方法
KR20210076655A (ko) 에어컨 배관 및 이의 고정방법
KR20140112751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및 그 머플러
KR20090106826A (ko) 차량 공조장치의 응축기용 리시버 드라이어
KR20210076656A (ko) 차량용 에어컨 배관
WO2019090791A1 (zh) 一种冷凝器及其制造工装和制造方法
CN110679208A (zh) 利用管体的薄板型热管及其制造方法
KR102015032B1 (ko) 공기조화기
KR20090119557A (ko)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에어컨 머플러
KR20210079739A (ko) 배관 고정 클립
WO2020202321A1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