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751A -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및 그 머플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및 그 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751A
KR20140112751A KR1020130027197A KR20130027197A KR20140112751A KR 20140112751 A KR20140112751 A KR 20140112751A KR 1020130027197 A KR1020130027197 A KR 1020130027197A KR 20130027197 A KR20130027197 A KR 20130027197A KR 20140112751 A KR20140112751 A KR 20140112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workpiece
refrigerant
refrigerant pipe
muffl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익
김영근
엄세동
고재우
윤길상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7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2751A/ko
Publication of KR20140112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5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using reso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플러 몸체와 동일한 직경의 피가공물을 축관하거나 또는 유입부와 배출부와 동일한 직경의 피가공물을 확관시켜, 머플러 몸체의 양단 각각에 유입부와 배출부가 일체로 구비된 머플러모듈을 제조함으로써, 작업공수를 단축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머플러 몸체(42)와 동일한 직경의 피가공물(100)의 외주연 일측을 고정다이(110)로 고정하고, 상기 피가공물(100)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심압봉(120)을 삽입하는 고정단계(S1)와; 상기 고정단계(S1)를 통해 고정다이(110)로 피가공물(100)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피가공물(100)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이송다이(140)를 진입시켜 상기 피가공물(100)을 축관시키는 가압단계(S2); 상기 가압단계(S2)를 통해 이송다이(140)에 의해 피가공물(100)을 축관한 상태에서, 상기 피가공물(100)의 내측에 구비된 심압봉(120)을 이송수단(130)에 의해 외부로 빼내면서 상기 심압봉(120)이 축관된 피가공물(100)의 내측면을 평탄하도록 가압시켜 머플러 몸체(42)의 양단 각각에 유입부(44)와 배출부(46)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연신단계(S3); 및 상기 연신단계(S3)를 통해 머플러 몸체(42)의 양단 각각에 구비된 유입부(44)와 배출부(46)를 설치하고자 하는 냉매파이프(4) 중 어느 한 구역의 크기에 맞게 절삭하는 절삭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및 그 머플러{MUFFLER MANUFACTURING METHOD FOR CA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UFFLER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및 그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머플러 몸체와 동일한 직경의 피가공물을 축관하거나 또는 유입부와 배출부와 동일한 직경의 피가공물을 확관시켜 머플러 몸체의 양단 각각에 유입부와 배출부가 일체로 구비된 머플러모듈을 제조함으로써, 작업공수 및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및 그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실내의 공기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공조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공조장치는, 기화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가스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고온, 고압의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교축작용에 의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증기로 변화시키는 팽창밸브와, 저온,저압의 냉매가 주변의 공기로부터 증발에 필요한 열(증발잠열)을 흡수하도록 열교환시키는 증발기 및 이들 각각의 장치를 연결하는 냉매파이프들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압축기는 기화된 냉매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많은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압축기의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압축기와 연결되는 냉매파이프에 머플러를 설치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머플러(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와 증발기(2), 및 압축기(1)와 응축기(3)를 연결하는 냉매파이프(4)의 어느 일측을 분할한 다음, 분할된 제1 및 제2냉매파이프(4a)(4b)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머플러(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플러 몸체(52)를 구비한다. 상기 머플러 몸체(52)는, 단조(鍛造)공법에 의해 성형된 큰 직경의 원통형 금속관으로서, 내부에 흠음실(53)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의 흠음실(53)은 입구(54)와 출구(56)가 구비된다.
또한, 머플러(5)는, 머플러 몸체(52)의 입구(54)에 삽입되어 용접되는 도입관(62)과, 출구(56)에 삽입되어 용접되는 배출관(64)이 구비된다.
상기 도입관(62)은 제1냉매파이프(4a)와 연결되며, 상기 제1냉매파이프(4a)로 유입된 냉매는 머플러 몸체(52)의 흠음실(53)로 유입된다. 상기 배출관(64)은 제2냉매파이프(4b)와 연결되며, 상기 머플러 몸체(52)의 흠음실(53)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제2냉매파이프(4b)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도입관(62)으로 유입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는 흡음실(53)을 통과하면서 냉매가스에 포함된 소음과 진동이 점차적으로 감소된 후 배출관(64)을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머플러(5)는, 머플러 몸체(52)를 단조하여 성형한 다음, 도입관(62)과 배출관(64)을 머플러 몸체(52)의 입구(54)와 출구(56)에 각각 삽입한 후 일일이 용접하는 구조이므로, 많은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매파이프(4)는 주변 부품들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차량의 종류 및 설치위치에 따라 다수의 구역으로 나뉘어 연결되어 있는데, 이 중 머플러(5)가 위치되는 어느 한 구역의 냉매파이프(4)를 분할한 후 제1 및 제2냉매파이프(4a)(4b) 각각에 상기 머플러(5)의 도입관(62)과 배출관(64)을 연결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작업공수가 추가되고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머플러 몸체와 동일한 직경의 피가공물을 축관하거나 또는 유입부와 배출부와 동일한 직경의 피가공물을 확관시켜 머플러 몸체의 양단 각각에 유입부와 배출부가 일체로 구비된 머플러모듈을 제조함으로써, 작업공수 및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및 그 머플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머플러 몸체에 유입부와 배출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및 그 머플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화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가스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고온, 고압의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교축작용에 의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증기로 변화시키는 팽창밸브와, 저온,저압의 냉매가 주변의 공기로부터 증발에 필요한 열(증발잠열)을 흡수하도록 열교환시키는 증발기 및 이들 각각의 장치를 연결하는 냉매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파이프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냉매에 포함된 소음과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에 있어서, 머플러 몸체와 동일한 직경의 피가공물의 외주연 일측을 고정다이로 고정하고, 상기 피가공물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심압봉을 삽입하는 고정단계와; 상기 고정단계를 통해 고정다이로 피가공물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피가공물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이송다이를 진입시켜 상기 피가공물을 축관시키는 가압단계; 상기 가압단계를 통해 이송다이에 의해 피가공물을 축관한 상태에서, 상기 피가공물의 내측에 구비된 심압봉을 이송수단에 의해 외부로 빼내면서 상기 심압봉이 축관된 피가공물의 내측면을 평탄하도록 가압시켜 머플러 몸체의 양단 각각에 유입부와 배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연신단계; 및 상기 연신단계를 통해 머플러 몸체의 양단 각각에 구비된 유입부와 배출부를 설치하고자 하는 냉매파이프 중 어느 한 구역의 크기에 맞게 절삭하여, 머플러 몸체의 양단 각각에 유입부와 배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머플러모듈을 제조하는 절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심압봉은, 일정길이를 가지는 축과; 상기 축의 끝단에 구비되어 피가공물의 축관된 내측면을 평탄하도록 가압하는 평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송다이는, 끝단에서 내측으로 구비되어 큰 직경을 작은 직경으로 축관시키도록 안내하는 축관안내부와; 상기 축관안내부의 끝단에서 외부로 연통되도록 구비된 축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화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가스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고온, 고압의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교축작용에 의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증기로 변화시키는 팽창밸브와, 저온,저압의 냉매가 주변의 공기로부터 증발에 필요한 열(증발잠열)을 흡수하도록 열교환시키는 증발기 및 이들 각각의 장치를 연결하는 냉매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파이프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냉매에 포함된 소음과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입부와 배출부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피가공물의 외주연 일측을 고정지그로 고정하는 고정단계와; 상기 고정단계를 통해 고정지그로 고정된 피가공물의 어느 일단에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해 기밀수단을 구비하는 기밀단계; 상기 기밀단계를 통해 일측에 기밀수단이 구비된 피가공물의 타측에서 가압수단을 통해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고정지그로 고정된 피가공물의 부분을 확관시켜 머플러 몸체를 형성하는 가압단계; 및 상기 가압단계를 통해 유입부와 배출부와 동일한 직경의 피가공물을 확관시켜 일측에 머플러 몸체가 형성된 상태에서, 냉매파이프 중 어느 한 구역의 크기에 맞게 상기 유입부와 배출부를 절삭하여, 머플러 몸체의 양단 각각에 유입부와 배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머플러모듈을 제조하는 절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지그는, 내측에 머플러 몸체와 동일한 크기로 구비된 확관부와; 상기 확관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연통되어 피가공물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머플러 몸체와 동일한 직경의 피가공물을 축관하거나 또는 유입부와 배출부와 동일한 직경의 피가공물을 확관시켜 머플러 몸체의 양단 각각에 유입부와 배출부가 일체로 구비된 머플러모듈을 제조함으로써, 작업공수를 단축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머플러 몸체에 유입부와 배출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머플러모듈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모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머플러모듈의 제조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머플러모듈의 제조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와 증발기(2), 및 압축기(1)와 응축기(3)를 연결하는 냉매파이프(4)의 어느 일측에 머플러모듈(40)을 구비한다.
상기 머플러모듈(40)은, 내측에 흠음실(53)이 구비된 머플러 몸체(42)와, 상기 머플러 몸체(42)의 일측에 일정길이 연장된 유입부(44), 및 상기 머플러 몸체(42)의 타측에 일정길이로 연장된 배출부(46)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유입부(44)와 배출부(46)의 연장길이는, 냉매파이프(4)를 분할하지 않고 다른 냉매파이프(4)와 연결 가능한 길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냉매파이프(4)의 일부 구역을 분할하지 않고, 상기 냉매파이프(4)의 한 구역에 패키지형태의 머플러모듈(40)을 연결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공수가 줄어들고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제1실시 예>
제1실시 예에 따른 머플러모듈(40)은, 머플러 몸체(42)와 동일한 직경의 관체를 축관시켜, 머플러 몸체(42)의 양측 각각에 냉매파이프(4)와 연결 가능한 크기와 길이를 가진 유입부(44)와 배출부(46)를 일체로 형성한다.
제1실시 예에 따른 머플러모듈(40)의 제조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단계(S1)는, 고정다이(110)로 피가공물(100)의 외주연 일측을 고정하고, 상기 피가공물(100)의 중앙 내측에 양단에서 삽입된 심압봉(120)을 위치시켜 피가공물(100)을 고정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심압봉(120)은, 일정길이를 가지는 축(122)과 상기 축(122)의 끝단에 형성된 평탄부(124)를 구비한다. 상기 심압봉(120)에는, 심압봉(120)을 피가공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되도록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수단(130)이 구비된다.
가압단계(S2)는, 상기 고정단계(S1)를 통해 고정다이(110)에 의해 고정된 피가공물(100)의 양 끝단에서 이송다이(140)가 내측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피가공물(100)의 양단을 축관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이송다이(140)는, 일단에서 내측으로 피가공물(100)의 큰 직경에서 축관하고자 하는 작은 직경으로 작아지도록 안내하는 축관안내부(142)가 구비되고, 상기 축관안내부(142)의 작은 직경에서 상기 이송다이(140)의 끝단까지 관통되는 축관부(144)가 구비된다.
상기 축관안내부(142)는, 큰 직경에서 작은 직경으로 축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일정각도 기울어진 모따기 형상, 라운딩 형상 또는 유선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100)이 고정다이(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피가공물(100)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이송다이(140)가 진입되면, 상기 이송다이(140)의 축관안내부(142)를 따라 상기 피가공물(100)의 끝단이 작은 직경으로 축소된다.
이어서 상기 이송다이(140)가 상기 피가공물(100)의 내측으로 계속 진입되면, 상기 이송다이(140)의 축관안내부(142)에 의해 피가공물(100)은 계속 축소된다. 또한, 상기 피가공물(100)은 큰 직경에서 작은 직경으로 축소되는 량만큼 상기 이송다이(140)의 축관부(144)로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100)은, 고정다이(110)가 고정된 부분이 큰 직경의 관체가 유지된 상태의 머플러 몸체(42)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다이(140)에 의해 축소된 부분이 유입부(44) 및 배출부(46)로 형성된다.
연신단계(S3)는, 상기 가압단계(S2)를 통해 이송다이(140)가 내측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피가공물(100)의 내측 양단에 구비된 심압봉(120)이 이송수단(130)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100)의 외측으로 빠져나오면서, 상기 유입부(44)와 배출부(46)의 내측면을 가압시켜 평탄한 관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심압봉(120)은 이송수단(130)에 의해 외측으로 빠져나오면서, 상기 이송다이(140)의 축관부(144) 내측에 구비된 유입부(44) 및 배출부(46)의 내측면을 상기 심압봉(120)의 평탄부(124)가 가압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유입부(44)와 배출부(46)의 내측면은, 상기 이송다이(140)의 축관부(144)와 심압봉(120)의 평탄부(124) 사이의 간격만큼 평탄한 두께를 유지하면서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100)은, 고정다이(110)에 고정된 부분이 큰 직경을 유지함에 따라 머플러 몸체(42)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다이(140)에 의해 큰 직경이 작은 직경으로 축소된다. 또한, 상기 삼압봉(120)의 평탄부(124)에 의해 평탄한 직경의 작은 직경을 가지는 유입부(44)와 배출부(46)가 상기 머플러 몸체(42)에 일체로 형성된다.
절삭단계(S4)는, 상기 연신단계(S3)를 통해 머플러 몸체(42)의 양단 각각에 형성된 유입부(44)와 배출부(46)를 설치하고자 하는 냉매파이프(4)의 한 구역의 길이에 맞춰 절삭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제1실시 예에 의하면, 큰 직경의 관체를 축관시켜 머플러 몸체(42)의 양단 각각에 유입부(44)와 배출부(46)가 일체로 형성된 머플러모듈(40)을 제조함으로써, 부품수를 절감하고 작업공수를 줄이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냉매파이프(4)와 머플러(5)를 연결하기 위한 용접공정을 생략하고 머플러모듈(40)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실시 예>
제2실시 예에 따른 머플러모듈(40)은, 유입부(44)와 배출부(46)와 동일한 직경의 관체 일부를 확관시켜, 머플러 몸체(42)를 형성한다.
제2실시 예에 따른 머플러모듈(40)의 제조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단계(S10)는, 유입부(44)와 배출부(46)와 동일한 직경을 가진 피가공물(200)의 외주연 일측을 고정지그(210)로 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정지그(210)는, 내측에 확관시키고자 하는 직경을 가지는 확관부(212)가 구비되고, 상기 확관부(212)의 양단에 외부와 연통되는 삽입공(214)이 구비된다.
기밀단계(S20)는, 상기 고정단계(S10)를 통해 고정지그(210)로 피가공물(200)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피가공물(200)의 어느 일단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기밀수단(220)을 구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밀수단(220)은, 상기 피가공물(200)에 압력을 가했을 때, 압력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가압단계(S30)는, 상기 기밀단계(S20)를 통해 피가공물(200)의 일단에 기밀수단(220)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피가공물(200)의 타단에서 가압수단(230)을 통해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피가공물(200)이 상기 고정지그(210)의 확관부(212)로 확관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압수단(230)은, 물이나 공기 또는 유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압력을 제공하여 피가공물을 확관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고정지그(210)로 고정되고 일단이 기밀수단(220)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는 피가공물(200)의 타단에서 가압수단(230)을 통해 압력을 제공하면, 상기 피가공물(200)은 팽창력에 의해 상기 고정지그(210)의 확관부(212)의 크기만큼 확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200)의 확관부분은 머플러 몸체(42)가 되고, 확관되지 않은 부분은 유입부(44)와 배출부(46)가 된다.
절삭단계(S40)는, 상기 유입부(44)와 배출부(46)를 설치하고자 하는 냉매파이프(4)의 한 구역의 길이에 맞춰 절삭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제2실시 예에 의하면, 작은 직경을 가진 피가공물(200)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피가공물(200)의 일부를 확관시킴으로써, 확관에 의해 형성된 머플러 몸체(42)의 양단 각각에 유입구(44)와 배출부(46)가 일체로 형성된 머플러모듈(40)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및 그 머플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 냉매파이프 40: 머플러모듈(Muffler Module)
42: 머플러 몸체 43: 흠음실
44: 유입부 46: 배출부
100, 200: 피가공물 110: 고정다이
120: 심압봉 130: 이송수단
140: 이송다이 210: 고정지그
220: 기밀수단 230: 가압수단

Claims (6)

  1. 기화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가스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고온, 고압의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교축작용에 의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증기로 변화시키는 팽창밸브와, 저온,저압의 냉매가 주변의 공기로부터 증발에 필요한 증발잠열을 흡수하도록 열교환시키는 증발기 및 이들 각각의 장치를 연결하는 냉매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파이프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냉매에 포함된 소음과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에 있어서,
    머플러 몸체(42)와 동일한 직경의 피가공물(100)의 외주연 일측을 고정다이(110)로 고정하고, 상기 피가공물(100)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심압봉(120)을 삽입하는 고정단계(S1)와;
    상기 고정단계(S1)를 통해 고정다이(110)로 피가공물(100)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피가공물(100)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이송다이(140)를 진입시켜 상기 피가공물(100)을 축관시키는 가압단계(S2);
    상기 가압단계(S2)를 통해 이송다이(140)에 의해 피가공물(100)을 축관한 상태에서, 상기 피가공물(100)의 내측에 구비된 심압봉(120)을 이송수단(130)에 의해 외부로 빼내면서 상기 심압봉(120)이 축관된 피가공물(100)의 내측면을 평탄하도록 가압시켜, 머플러 몸체(42)의 양단 각각에 유입부(44)와 배출부(46)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연신단계(S3); 및
    상기 연신단계(S3)를 통해 머플러 몸체(42)의 양단 각각에 구비된 유입부(44)와 배출부(46)를 설치하고자 하는 냉매파이프(4) 중 어느 한 구역의 크기에 맞게 절삭하여, 머플러 몸체(42)의 양단 각각에 유입부(44)와 배출부(46)가 일체로 형성되는 머플러모듈(40)을 제조하는 절삭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압봉(120)은, 일정길이를 가지는 축(122)과;
    상기 축(122)의 끝단에 구비되어 피가공물(100)의 축관된 내측면을 평탄하도록 가압하는 평탄부(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다이(140)는, 끝단에서 내측으로 구비되어 큰 직경을 작은 직경으로 축관시키도록 안내하는 축관안내부(142)와;
    상기 축관안내부(142)의 끝단에서 외부로 연통되도록 구비된 축관부(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4. 기화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가스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고온, 고압의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교축작용에 의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증기로 변화시키는 팽창밸브와, 저온,저압의 냉매가 주변의 공기로부터 증발에 필요한 증발잠열을 흡수하도록 열교환시키는 증발기 및 이들 각각의 장치를 연결하는 냉매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파이프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냉매에 포함된 소음과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입부(44)와 배출부(46)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피가공물(200)의 외주연 일측에 고정지그(210)로 고정하는 고정단계(S10)와;
    상기 고정단계(S10)를 통해 고정지그(210)로 고정된 피가공물(200)의 어느 일단에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해 기밀수단(220)을 구비하는 기밀단계(S20);
    상기 기밀단계(S20)를 통해 일측에 기밀수단(220)이 구비된 피가공물(200)의 타측에서 가압수단(230)을 통해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고정지그(210)로 고정된 피가공물(100)의 부분을 확관시켜 머플러 몸체(42)를 형성하는 가압단계(S30); 및
    상기 가압단계(S30)를 통해 유입부(44)와 배출부(46)와 동일한 직경의 피가공물(200)을 확관시켜 일측에 머플러 몸체(42)가 형성된 상태에서, 냉매파이프(4) 중 어느 한 구역의 크기에 맞게 상기 유입부(44)와 배출부(46)를 절삭하여, 머플러 몸체(42)의 양단 각각에 유입부(44)와 배출부(46)가 일체로 형성되는 머플러모듈(40)을 제조하는 절삭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210)는, 내측에 머플러 몸체(42)와 동일한 크기로 구비된 확관부(212)와;
    상기 확관부(212)의 양단에서 외부로 연통되어 피가공물(200)이 삽입되는 삽입공(2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KR1020130027197A 2013-03-14 2013-03-14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및 그 머플러 KR20140112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197A KR20140112751A (ko) 2013-03-14 2013-03-14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및 그 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197A KR20140112751A (ko) 2013-03-14 2013-03-14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및 그 머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751A true KR20140112751A (ko) 2014-09-24

Family

ID=5175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197A KR20140112751A (ko) 2013-03-14 2013-03-14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및 그 머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27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6400A (zh) * 2015-07-31 2015-1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09974282A (zh) * 2019-04-08 2019-07-05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加湿器的消声器、空调加湿器和空调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6400A (zh) * 2015-07-31 2015-1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09974282A (zh) * 2019-04-08 2019-07-05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加湿器的消声器、空调加湿器和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9774B2 (en) Check valve,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heck valve
CN113167516B (zh) 内部换热器及具有内部换热器的制冷循环装置
JP2001235080A (ja) 二重管用継手
US20190345937A1 (en) Refrigerant pipe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EP4130533A1 (en) Check valve unit,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heck valve unit
US20160054037A1 (en) Refrigeration Device Comprising an Evaporator
RU2656202C2 (ru) Демпф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140112751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제조방법 및 그 머플러
JP2007327706A (ja) 溝付き管、二重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95132A (ja) 二重管の製造方法
US20080202622A1 (en) Refrigerant pipe for refrigeration cy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10034847A (ko) 차량 공조장치용 머플러 및 그 제조방법
JP2014055748A (ja) 内部熱交換器とその製造方法
KR100542494B1 (ko) 에어컨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와 그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CN104471247A (zh) 安装有排放脉动降低部件的封闭式压缩机
KR20120007799A (ko) 이중관의 연결구조
WO2015004156A1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exchanger
JP2007225117A (ja) 二重管構造
KR100855707B1 (ko)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398090B1 (ko) 다단 배관 인발 장치, 다단 배관 제조 방법
KR101976037B1 (ko) 관 연결구조
KR10195617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머플러
KR100825263B1 (ko) 에어컨 컴프레서용 머플러의 제조공정
KR20030041700A (ko) 냉장고의 증발기와 모세관 연결장치
KR20090071730A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용 인입측 냉매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