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239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7239A KR20210037239A KR1020190119610A KR20190119610A KR20210037239A KR 20210037239 A KR20210037239 A KR 20210037239A KR 1020190119610 A KR1020190119610 A KR 1020190119610A KR 20190119610 A KR20190119610 A KR 20190119610A KR 20210037239 A KR20210037239 A KR 202100372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light source
- unit
- vehicle lamp
- source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31 signaling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빔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점등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입사되는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1 렌즈부를 통과한 광을 출사시켜 적어도 하나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메인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는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1 광원부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브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는 제2 광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입사되는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1 렌즈부를 통과한 광을 출사시켜 적어도 하나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메인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는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1 광원부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브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는 제2 광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빔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점등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각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 중에서 헤드 램프는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 등과 같이 어두운 장소를 주행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여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헤드 램프는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와 차량 전방의 원거리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형성하고자 하는 빔 패턴에 대응되는 램프가 점등될 수 있다.
이때, 로우 빔 패턴과 하이 빔 패턴이 모두 형성되는 경우에는 헤드 램프가 전체적으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는 반면, 로우 빔 패턴만 형성되는 경우에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가 소등되어 헤드 램프의 일부에서만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자연스러운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외관 디자인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램프 중 일부 램프가 소등되는 경우라도 복수의 램프에서 전체적으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여 외관 디자인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도 점등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입사되는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1 렌즈부를 통과한 광을 출사시켜 적어도 하나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메인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는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1 광원부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브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는 제2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메인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광원부는, 상기 복수의 메인 광원 중 적어도 하나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은, 상기 복수의 메인 광원 중 좌우 방향으로 중앙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광원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부는, 상기 복수의 메인 광원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입사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광 가이드를 가지는 광 가이드부; 및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에 의해 안내된 광이 상기 제2 렌즈부로 진행되도록 하는 광 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투과부는, 입사면이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의 출사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투과부는, 입사면에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산란되도록 하는 복수의 광학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학 패턴 각각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학 패턴 각각은,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이 상기 발광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학 패턴 각각의 입사면은,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상기 복수의 광학 패턴 각각의 전방에 위치하는 초점을 지나도록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렌즈부의 출사면은,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부는, 상기 제2 광원부보다 높은 밝기의 광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부는, 상기 제1 광원부의 소등 시 점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도 점등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외관 디자인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램프 중 일부가 소등되는 경우에도 복수의 램프 전체적으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자연스러운 점등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 및 제1 렌즈부가 도시된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조립체가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조립체에 의해 형성되는 점등 이미지가 도시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 및 제1 렌즈부가 도시된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조립체가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조립체에 의해 형성되는 점등 이미지가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부와 발광부가 도시된 후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발광부(110), 제1 렌즈부(120) 및 제2 렌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00)는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과 같이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차량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는 헤드 램프 뿐만 아니라,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그 램프, 주간 주행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00)가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차량 전방의 원거리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고,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등과 같은 전방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거나 조사되는 광의 광량을 감소시켜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도록 암영대(Shadow area)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는 차량 전방의 근거리 영역에 대한 넓은 범위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와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하이 빔 패턴 형성 시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와 함께 점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는 둘 이상의 용도로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용도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광량, 경로, 색상 등과 같은 광의 속성등이 달라질 수 있다.
발광부(110)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의 용도에 적합한 광량이나 색상을 가지는 광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발광부(110)는 제1 광원부(111) 및 제2 광원부(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광원부(111) 및 제2 광원부(11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원부(111)는 메인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는 복수의 메인 광원(111a)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 빔 패턴은 하이 빔 패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광원부(111)가 복수의 메인 광원(111a)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광원부(111)는 메인 빔 패턴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메인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메인 광원(111a)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메인 광원(111a)은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메인 광원(111a)은 메인 빔 패턴에서 전방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암영대가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소등되거나 광량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메인 광원(111a)으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LD(Laser Diode)나 벌브(Bulb)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광원부(112)는 제1 광원부(111)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여 서브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112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브 빔 패턴은 메인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는 제1 광원부(111)가 소등되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로부터 광이 조사되도록 하여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가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와 함께 설치되는 경우, 제1 광원부(111)가 소등된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에서 광이 조사되지 않아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에 의한 점등 이미지만이 형성되어 전체적인 외관 디자인이 저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광원부(111)가 소등되는 경우 제2 광원부(112)로부터 광이 발생되어 일종의 서브 로우 빔 패턴에 대응되는 점등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와 더불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에 의한 점등 이미지가 함께 형성되어 보다 자연스러운 점등 이미지의 형성이 가능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외관 디자인의 저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 광원부(112)는 보다 자연스러운 점등 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점등 이미지의 형성은 가능하되 빔 패턴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제1 광원부(1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광량의 광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광원부(112)는 단일의 서브 광원(112a)을 포함하며, 복수의 메인 광원(111a) 중 좌우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메인 광원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광원부(112)에 포함되는 서브 광원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 광원부(11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설치 높이 등에 따라 제1 광원부(111)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승용차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2 광원부(112)가 제1 광원부(111)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승용차에 비하여 설치 높이가 높은 상용차의 경우에는 제2 광원부(112)가 제1 광원부(11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주변 차량이 운전자나 보행자의 시점을 기준으로 제2 광원부(112)에 의해 형성되는 점등 이미지의 시인성을 고려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주변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의 시점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가 승용차에 설치되는 경우와 상용차에 설치되는 경우는 그 설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주변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가 제2 광원부(112)로부터 발생되는 광에 의한 점등 이미지를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제1 광원부(111)를 기준으로 제2 광원부(11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렌즈부(120)는 광 가이드부(121) 및 광 투과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광 가이드부(121)는 제1 광원부(111)의 복수의 메인 광원(111a)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광 가이드(12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광 가이드(121a)의 개수나 위치 등은 복수의 메인 광원(111a)의 개수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광 가이드(121a) 각각은 전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입사면이 복수의 메인 광원(111a) 각각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복수의 메인 광원(111a)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전방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복수의 광 가이드(121a)의 출사면은 광 투과부(122)의 입사면(122a)에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광 가이드(121a)에 의해 안내되는 광이 광 투과부(122)의 출사면(122b)을 통해 출사되어 제2 렌즈부(130)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광 투과부(122)의 입사면(122a)에는 복수의 광학 패턴(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광학 패턴(123)은 제2 광원부(112)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산란되어 제2 렌즈부(130)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제1 광원부(111)의 소등 시에도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에 의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광학 패턴(123)은 발광부(110)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복수의 광학 패턴(123) 각각으로 입사되는 광이 복수의 광학 패턴(123) 각각의 전방에 형성되는 초점을 지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광이 더 퍼지도록 하여 산란 효과가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광학 패턴(123)의 곡률이 0.2R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산란율에 따라 복수의 광학 패턴(123)의 곡률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학 패턴(123) 각각은 사각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광원부(112)로부터 발생되는 손실 없이 복수의 광학 패턴(123)으로 입사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광학 패턴(123) 사이에 이격되는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광학 패턴(123) 사이에 틈이 존재하고, 제2 광원부(112)로부터 발생되는 광 중 일부가 복수의 광학 패턴(123) 사이에 틈으로 입사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광학 패턴(123)에 의한 산란 효과를 얻기 어려운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광학 패턴(123)이 사각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제2 광원부(112)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손실 없이 복수의 광학 패턴(123)으로 입사되어 산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복수의 광학 패턴(123)이 사각 형상을 가지는 것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광원부(112)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충분한 산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복수의 광학 패턴(123)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 렌즈부(130)는 제1 렌즈부(120)의 전방에 위치하여 광 투과부(122)의 출사면(122b)을 통해 출사되어 입사면(131)으로 입사되는 광을 출사면(132)을 통해 출사시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렌즈부(130)는 출사면(132)이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 광원부(112)가 제1 광원부(111)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2 광원부(112)가 제1 광원부(111)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상측을 향하여 광이 조사될 수 있기 때문에 상용차에 비하여 승용차에서 제2 광원부(112)가 제1 광원부(111)의 하측에 위치하여 제2 광원부(112)로부터 발생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점등 이미지가 주변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 등에게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로서, 도 5는 제1 광원부(111)가 점등된 경우의 일 예이고, 도 6은 제1 광원부(111)가 소등되고, 제2 광원부(112)가 점등된 경우의 일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빔 패턴의 형성 시 제1 광원부(111)에 포함되는 복수의 메인 광원(111a)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광이 발생되고, 복수의 메인 광원(111a)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되는 광(L1)은 복수의 광 가이드(121a) 중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 가이드를 통해 광 투과부(122)로 전달되어 출사되고, 광 투과부(122)의 출사면(122b)을 통해 출사되는 광은 제2 렌즈부(130)를 거쳐 메인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브 빔 패턴 형성 시 제1 광원부(111)는 소등되고, 제2 광원부(112)로부터 광이 발생되고, 제2 광원부(112)로부터 발생되는 광(L2)은 광 투과부(122)의 입사면(122a)에 형성된 복수의 광학 패턴(123)에 의해 산란되어 제2 렌즈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광학 패턴(123)은 발광부(110)를 향하여 볼록한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광학 패턴(123)으로 입사되는 광은 복수의 광학 패턴(123) 각각의 전방에 위치하는 초점을 지나게 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광이 산란되도록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는 메인 빔 패턴으로서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이 발생되는 제1 광원부(111)가 소등되는 경우 제2 광원부(112)가 점등되어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와 함께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게 되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와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조립체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조립체(1)는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램프 유닛(100)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메인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100)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의 차량용 램프(100)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램프 유닛(100)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발광부(110), 제1 렌즈부(120) 및 제2 렌즈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빔 패턴 형성 시 제1 광원부(111)로부터 광이 발생되고, 서브 빔 패턴 형성 시 제1 광원부(111)는 소등되고, 제2 광원부(112)로부터 광이 발생될 수 있다.
제2 램프 유닛(200)은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램프 유닛(200)이 제1 램프 유닛(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조립체(1)의 레이 아웃이나 설계 상의 이유 등에 따라 제2 램프 유닛(200)은 제1 램프 유닛(100)의 하측이나 측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2 램프 유닛(200)은 광원(210), 광원(21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220), 리플렉터(220)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렌즈(230), 및 렌즈(230)로 진행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소정의 컷 오프 라인을 가지는 로우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쉴드(24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조립체(1)에서 요구되는 로우 빔 패턴의 배광 성능이 만족된다면 제2 램프 유닛(2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추가, 삭제 및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조립체(1)는 제1 램프 유닛(100)의 제1 광원부(111)에서 광이 발생되어 하이 빔 패턴이 형성되고, 제2 램프 유닛(200)에 의해 로우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 전체적으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는 반면, 제1 램프 유닛(100)에 의해 하이 빔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램프 유닛(100)에 의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지 않아 외관 디자인 저하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광원부(112)를 점등시켜 제2 램프 유닛(200)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 빔 패턴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제1 램프 유닛(100)에 의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여 외관 디자인 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즉, 제1 램프 유닛(100)이 소등되고, 제2 램프 유닛(200)이 점등되는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제2 램프 유닛(200)에 의한 점등 이미지(I2)만 형성되기 때문에 외관 디자인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램프 유닛(100)에 의해 하이 빔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라도 제2 광원부(112)를 점등시켜 제1 램프 유닛(100)에 의한 점등 이미지(I1)가 제2 램프 유닛(200)에 의한 점등 이미지(I2)와 함께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외관 디자인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발광부
111: 제1 광원부
111a: 메인 광원
112: 제2 광원부
112a: 서브 광원
120: 제1 렌즈부
121: 광 가이드부
121a: 광 가이드
122: 광 투과부
122a: 입사면
122b: 출사면
123: 광학 패턴
130: 제2 렌즈부
131: 입사면
132: 출사면
111: 제1 광원부
111a: 메인 광원
112: 제2 광원부
112a: 서브 광원
120: 제1 렌즈부
121: 광 가이드부
121a: 광 가이드
122: 광 투과부
122a: 입사면
122b: 출사면
123: 광학 패턴
130: 제2 렌즈부
131: 입사면
132: 출사면
Claims (12)
-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입사되는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1 렌즈부를 통과한 광을 출사시켜 적어도 하나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메인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는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1 광원부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브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발생되는 제2 광원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메인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광원부는,
상기 복수의 메인 광원 중 적어도 하나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광원은,
상기 복수의 메인 광원 중 좌우 방향으로 중앙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광원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부는,
상기 복수의 메인 광원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입사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광 가이드를 가지는 광 가이드부; 및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에 의해 안내된 광이 상기 제2 렌즈부로 진행되도록 하는 광 투과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부는,
입사면이 상기 복수의 광 가이드의 출사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부는,
입사면에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산란되도록 하는 복수의 광학 패턴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학 패턴 각각은,
사각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학 패턴 각각은,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이 상기 발광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학 패턴 각각의 입사면은,
상기 제2 광원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상기 복수의 광학 패턴 각각의 전방에 위치하는 초점을 지나도록 곡면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렌즈부의 출사면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는,
상기 제2 광원부보다 높은 밝기의 광이 발생되는 차량용 램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부는,
상기 제1 광원부의 소등 시 점등되는 차량용 램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9610A KR20210037239A (ko) | 2019-09-27 | 2019-09-27 | 차량용 램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9610A KR20210037239A (ko) | 2019-09-27 | 2019-09-27 | 차량용 램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7239A true KR20210037239A (ko) | 2021-04-06 |
Family
ID=7547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9610A KR20210037239A (ko) | 2019-09-27 | 2019-09-27 | 차량용 램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37239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6698B1 (ko) | 2001-12-10 | 2008-01-21 | 젠텍스 코포레이션 | 조명, 전조등, 제어가능한 전조등, 및 차량용 외부등을 제어하는 장치 및 전방 조명 제어 방법 |
-
2019
- 2019-09-27 KR KR1020190119610A patent/KR2021003723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6698B1 (ko) | 2001-12-10 | 2008-01-21 | 젠텍스 코포레이션 | 조명, 전조등, 제어가능한 전조등, 및 차량용 외부등을 제어하는 장치 및 전방 조명 제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17541B1 (ko) | 차량용 램프 | |
KR102470446B1 (ko) | 차량용 램프 | |
KR20190012436A (ko) | 차량용 램프 | |
KR20220011393A (ko) | 차량용 램프 | |
KR102463275B1 (ko) | 차량용 램프 | |
KR20210107344A (ko) | 차량용 램프 | |
KR20230121318A (ko) | 차량용 램프 | |
KR20150131787A (ko) | 차량용 램프 | |
KR102405441B1 (ko) | 차량용 램프 | |
KR20190081309A (ko) | 차량용 램프 | |
KR20210064667A (ko) | 차량용 램프 | |
KR102555372B1 (ko) | 차량용 램프 | |
KR102688710B1 (ko) | 차량용 램프 | |
KR20210037239A (ko) | 차량용 램프 | |
KR102673137B1 (ko) | 차량용 램프 | |
KR102446512B1 (ko) | 차량용 램프 | |
KR20200058127A (ko) | 차량용 램프 | |
KR20210126920A (ko) | 차량용 램프 | |
KR102688695B1 (ko) | 차량용 램프 | |
KR102250659B1 (ko) | 차량용 광학 렌즈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용 램프 | |
KR20190033346A (ko) | 차량용 램프 | |
KR20240093078A (ko) | 차량용 램프 | |
KR102714196B1 (ko) | 차량용 램프 | |
KR20240100650A (ko) | 차량용 램프 | |
KR102435180B1 (ko) | 차량용 램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