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145A - 물체접근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물체접근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145A
KR20210034145A KR1020190115310A KR20190115310A KR20210034145A KR 20210034145 A KR20210034145 A KR 20210034145A KR 1020190115310 A KR1020190115310 A KR 1020190115310A KR 20190115310 A KR20190115310 A KR 20190115310A KR 20210034145 A KR20210034145 A KR 20210034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band
shield electrode
object approach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0583B1 (ko
Inventor
김기현
이규남
최도명
Original Assignee
황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5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5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1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접근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장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실드전극; 실드전극의 상측에 위치하며 실드전극을 통해 형성되는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전도성 있는 플레이트로 된 감지플레이트; 실드전극의 하측에 결합되어 실드전극을 지지하는 베이스; 및 베이스의 일부 부분에 결합되며, 감지플레이트가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거리를 확대시켜주는 감지거리확대밴드;를 포함하므로 웨더스트립에 장착되어 사물이나 신체 부분이 접근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물체접근감지장치{Object Approach De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체 또는 도어프레임에 마련된 웨더스트립에 장착되는 물체접근감지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가 닫힐 때 손이나 손가락 등 신체가 접근하는 것을 미리 감지하여 자동차의 도어가 닫히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물체접근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웨더스트립은 자동차의 도어를 닫을 때 외부로부터 물이나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도어와 차체 사이를 밀폐시켜주기 위하여 도어나 차체에 장착된다.
이러한 웨더스트립은 도어를 여닫을 때의 충격이나 운행 중에 도어가 진동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트렁크 룸의 밀폐를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웨더스트립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28257호(이하 선행기술 1 이라 함) 등이 있다. 선생기술 1과 같은 웨더스트립에서는 웨더스트립의 결합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과 같은 웨더스트립에서는 차량의 도어가 닫힐 때 사물이나 사람의 손과 같은 신체부분이 문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감지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처럼 사물 또는 사람의 손과 같은 신체부분이 웨더스트립에 근접해 있을 때 감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웨더스트립을 모두 교체하기에는 비용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비경제적이거나 비합리적이기 쉽다. 따라서, 종래에 차량에 장착된 웨더스트립을 굳이 탈거하여 교체하지 않고도 사물이나 신체의 일부분이 근접되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2825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웨더스트립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자동차의 도어가 닫힐 때 사물이나 신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을 감축시킬 수 있는 물체접근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는 전자기장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실드전극; 상기 실드전극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실드전극을 통해 형성되는 상기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전도성 있는 플레이트로 된 감지플레이트; 상기 실드전극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실드전극을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부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감지플레이트가 상기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거리를 확대시켜주는 감지거리확대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감지거리확대밴드 사이에 감지홀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감지거리확대밴드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감지플레이트의 감지민감도를 증대시켜주는 전도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거리확대밴드는,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카본블랙 고분자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거리확대밴드, 상기 전도밴드 또는 상기 감지플레이트는 상측으로 볼록한 아치(arch) 형태를 갖춘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플레이트는 상기 전도밴드 내에 내재 또는 매립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전도밴드는 전도성 고분자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는 내충격성과 유연성이 있는 고분자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를 이루는 상기 고분자중합체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웨더스트립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높으며, 물체접근감지장치에 감지거리확대밴드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감지플레이트가 사물 또는 신체 일부분의 접근에 따른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영역 또는 감지거리가 증대된다. 따라서, 차체 또는 도어프레임에 사물 또는 신체의 접근을 좀 더 빨리 감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을 더욱 감축시킬 수 있으며 안전성을 증진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웨더스트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가 장착된 웨더스트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가 장착된 웨더스트립의 단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가 장착된 웨더스트립이 도어프레임의 일부 부분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에서 카본블랙의 함유비율에 따른 감지거리확대밴드의 감지가능거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웨더스트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바람직한 형태의 웨더스트립은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밀착부(100)와 장착부(200)을 포함한다. 밀착부(100)의 내측에는 완충홀(15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밀착부(100)은 장착부(200)의 지지를 받는다. 장착부(200)는 2개의 사이드월(220, 230) 및 월서포터(210)을 포함하며, 도어프레임의 일부부분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홈(250)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웨더스트립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참고로 미언급된 도1의 도면부호에 관련해서는 뒤에서 참고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300)은 실드전극(330), 감지플레이트(320), 베이스(360) 및 감지거리확대밴드(310)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도밴드(340)를 더 포함한다.
물체접근감지장치(300)의 실드전극(330)은 전기장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마련된다. 이러한 실드전극(330)은 전도성 있는 평판형태인 평판플레이트(pl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드전극(330)은 베이스(360)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실드전극(330)은 베이스(360)의 지지를 받는다.
실드전극(330)은 센서모듈(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센서모듈(미도시)은, 감지플레이트(320)으로부터 사물 또는 신체의 접근시 전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것으로서 감지플레이트(320)과 실드전극(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실드전극(330)은 센서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며, 사물 또는 신체가 물체접근감지장치(300)에 접근함에 따라 변화되는 전자기장을 감지플레이트(320)이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플레이트(320)는 외부로부터 신체의 접근함에 따라 실드전극(330)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장이 변화하게 되는 것을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플레이트(320)은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실드전극(330)의 상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실드전극(330)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감지플레이트(320)는 전도성이 있는 플레이트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도 바람직하다. 감지플레이트(320)는 평판의 형태도 바람직하지만,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곡면 또는 아치의 형태를 갖춘 커브드플레이트(curved plate) 형태인 것도 바람직하다.
감지플레이트(3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센서모듈(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사물 또는 신체의 접근에 따라 실드전극(330)을 통해 형성된 전자기장이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센서모듈로 전달하게 된다.
곡면 또는 아치의 형태를 갖춘 감지플레이트(320)은 전도밴드(340) 내에 내재 또는 매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플레이트(320)의 너비는 실드전극(330)의 너비에 비하여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밴드(340)는 감지플레이트(320)이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민감도를 증대시켜준다. 이러한 전도밴드(34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감지거리확대밴드(310)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그리고,전도밴드(340)는 하측인 실드전극(330)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부분이 마련되어 있다. 감지홀(350)에 있는 전도밴드(340)의 가운데 일부 부분이 실드전극(330)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면, 외부에서 사물이나 신체부분이 접촉되어 감지거리확대밴드(310)와 전도밴드(340)가 눌리게 될 때 전도밴드(340)가 실드전극(330)에 접촉된다.
전도성 있는 전도밴드(340)가 실드전극(330)에 접촉됨에 따라 전기적신호가 감지플레이트(320)을 통해 센서모듈 측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비접촉식 감지는 물론이고, 이와 같이 전도밴드(340)와 실드전극(330)의 접촉에 따른 감지 또한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도밴드(340)는 전도성 있는 고분자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단면으로 볼 때, 전도밴드(340)의 너비는 실드전극(330)의 너비에 비하여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전도밴드(340)의 너비와 실드전극(330)의 너비에 동등한 크기로 도시되었다.
감지거리확대밴드(310)는 베이스(360)의 일부 부분에 결합된다. 아울러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360)와 감지거리확대밴드(310) 사이에는 감지홀(350)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감지홀(350)이 감지플레이트(320) 또는 실드전극(330)의 길이방향으로 감지홀(3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거리확대밴드(310)는 감지플레이트(320)가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거리를 확대시켜준다.
감지거리확대밴드(310)는 단면의 형태가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아치(arch) 형태를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전도밴드(340) 또한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 볼록한 아치의 형태를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감지거리확대밴드(310)는 사물이나 신체의 접근을 감지하고자 하는 공간영역측인 외측으로 완만한 곡면의 형태를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감지거리확대밴드(310)는 실드전극(330)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장의 영역을 확대시켜준다. 즉, 전자기장의 영역을 확대시켜서 감지플레이트(320)이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를 증대시켜준다는 것이다.
이러한 감지거리확대밴드(310)는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카본블랙고분자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감지거리확대밴드(310)가 카본블랙고분자중합체로 이루어지되, 카본블랙의 함유율이 3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카본블랙을 함유하고 있는 감지거리확대밴드(310)에 의해 감지플레이트(320)이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영역 또는 감지거리가 증대된다.
베이스(360)는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감지거리확대밴드(310)의 일부분과 결합되어 감지거리확대밴드(310)을 지지한다. 이러한 베이스(360)는 내층격성과 유연성이 있는 고분자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360)을 이루는 고분자중합체의 바람직한 예로서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을 들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물체접근감지장치(300)이 도 3 내지 도 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웨더스트립의 장착부(200)의 사이드월(230)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가 장착된 웨더스트립을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가 장착된 웨더스트립이 도어프레임의 일부 부분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난 단면도이다.
참고적으로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출원인이 제시하는 웨더스트립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웨더스트립의 장착부(200)에서, 2개의 사이드월(220, 230) 각각의 상측단이 월서포터(210)에 결합되어 있다. 사이드월(220, 230)과 월서포터(210)에 의해 장착홈(2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월서포터(210)는 사이드월(220, 230)을 지지한다.
장착부(200)의 장착홈(250)에 차체 또는 도어프레임의 일부 부분(20)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 웨더스트립이 차체 또는 도어프레임의 일부 부분(20)에 장착될 수 있다.
사이드월(220, 230)의 내측면에는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정착블레이드(240)가 하나 또는 다수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착블레이드(240)는 장착홈(250)으로 끼워진 차체 또는 도어프레임의 일부 부분(20)이 장착홈(25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한다.
정착블레이드(240)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장착홈(250)의 내측에서 상향으로 형성되면 차체 또는 도어프레임의 일부 부분(20)이 장착홈(250)에 끼워질 때는 상대적으로 쉽게 끼워질 수 있으나 반대로 장착홈(25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은 억제되므로 바람직하다.
인서트코어(26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단면이 U자와 같은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2개의 사이드월(220, 230) 및 월서포터(210)의 형태를 보강하여 준다.
즉 인서트코어(260)는 사이드월(220, 230) 및 월서포터(210)의 변형에 대한 대응력을 보강하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코어(260)는 사이드월(220, 230) 및 월서포터(210)에 내재 또는 매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서트코어(260)가 마련되어 있으면 사이드월(220, 230)이 장착홈(250)에 끼워진 차체 또는 도어프레임의 일부 부분(20)을 눌러잡는 힘이 보강된다. 따라서, 웨더스트립이 차체 또는 도어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탈거 또는 분리되는 것이 더욱 억제되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서트코어(260)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이드월(220, 230)과 월서포터(210)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분자중합체를 소재하여 이루어진 것도 바람직하다. EPDM은 천연고무와 SBR 중간 정도의 물성으로 갖추고 있으며, 내열성, 내오존성, 내약품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사이드월(230)의 끝단 일부 부분(235)은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장착홈(250) 측으로 꺾인 형태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처럼 사이드월(230)의 끝단 일부 부분(235)이 장착홈(250) 측으로 꺾여 있으면 장착홈(250) 내측으로 이물질이 끼어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장착홈(250) 내에 삽입된 도어프레임의 일부 부분(20)이 장착홈(250)에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는데에도 도움이 되므로 바람직하다.
웨더스트립의 밀착부(100)는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장착부(2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차체와 도어프레임 사이가 밀봉될 수 있도록 밀착된다. 즉 차체에 도어프레임이 닫힌 상태가 될 때 차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밀봉시켜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밀착부(100)는 차체에 도어프레임이 닫힌 상태가 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흡수 내지 완화시켜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밀착부(100)가 변형되면서 외력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거나 차체 또는 도어프레임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밀착부(100)의 내측 또는 밀착부(100)와 장착부(200) 사이에 완충홀(1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착부(100)는 탄력성 있는 스폰지고무(sponge rub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에서 카본블랙의 함유비율에 따른 감지거리확대밴드의 감지가능거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서 세로축은 감지거리확대밴드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나타낸다. 카본블랙을 30% 포함하는 감지거리확대밴드는 감지가능한 거리가 30mm 로 나타났으며, 감지거리확대밴드가 카본블랙을 40%의 비율로 포함하는 경우 감지가능한 거리는 60mm 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는 사람의 손과 같은 신체 일부분이 가까이 근접하는 경우에도 미리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는 웨더스트립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종래에 신체나 사물의 근접여부를 감지하지 못하던 웨더스트립도 신체나 사물의 근접을 감지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체접근감지장치는 사물이나 손과 같은 신체부위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영역 또는 감지거리가 증대된다. 따라서, 신체의 접근을 좀 더 빨리 감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을 억제시킴으로써 안전성을 증진시켜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밀착부 150 : 완충홀
200 : 정착부
210 : 월서포터 220, 230 : 사이드월
240 : 정착블레이드 250 : 장착홈
260 : 인서트코어
300 : 물체접근감지장치
310 : 감지거리확대밴드 320 : 감지플레이트
330 : 실드전극 340 : 전도밴드
350 : 감지홀 360 : 베이스

Claims (9)

  1. 전자기장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실드전극;
    상기 실드전극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실드전극을 통해 형성되는 상기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전도성 있는 플레이트로 된 감지플레이트;
    상기 실드전극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실드전극을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부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감지플레이트가 상기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거리를 확대시켜주는 감지거리확대밴드;를 포함하는 물체접근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감지거리확대밴드 사이에 감지홀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감지거리확대밴드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감지플레이트의 감지민감도를 증대시켜주는 전도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접근감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거리확대밴드는,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카본블랙 고분자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접근감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거리확대밴드, 상기 전도밴드 또는 상기 감지플레이트는 상측으로 볼록한 아치(arch)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접근감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플레이트는 상기 전도밴드 내에 내재 또는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접근감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밴드는 하측 일부분이 상기 실드전극 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접근감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밴드는 전도성 있는 고분자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접근감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내충격성과 유연성이 있는 고분자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접근감지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이루는 상기 고분자중합체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접근감지장치.
KR1020190115310A 2019-09-19 2019-09-19 물체접근감지장치 KR102240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310A KR102240583B1 (ko) 2019-09-19 2019-09-19 물체접근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310A KR102240583B1 (ko) 2019-09-19 2019-09-19 물체접근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145A true KR20210034145A (ko) 2021-03-30
KR102240583B1 KR102240583B1 (ko) 2021-04-19

Family

ID=7526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310A KR102240583B1 (ko) 2019-09-19 2019-09-19 물체접근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5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4008A (ja) * 2008-03-31 2009-10-22 Omron Corp センサヘッド
JP2011054289A (ja) * 2009-08-31 2011-03-17 Toyoda Gosei Co Ltd 長尺センサ
KR20160028257A (ko) 2014-09-03 2016-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웨더스트립 구조
JP2016097809A (ja) * 2014-11-21 2016-05-30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センサー付きプロテクター
KR102009857B1 (ko) * 2017-11-06 2019-08-12 황성공업 주식회사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4008A (ja) * 2008-03-31 2009-10-22 Omron Corp センサヘッド
JP2011054289A (ja) * 2009-08-31 2011-03-17 Toyoda Gosei Co Ltd 長尺センサ
KR20160028257A (ko) 2014-09-03 2016-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웨더스트립 구조
JP2016097809A (ja) * 2014-11-21 2016-05-30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センサー付きプロテクター
KR102009857B1 (ko) * 2017-11-06 2019-08-12 황성공업 주식회사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583B1 (ko) 202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20234B (zh) 带有传感器的防护装置
JP6427398B2 (ja) センサー付きプロテクター
US20200223295A1 (en) Coupling structure of touch sensor
CN108569123B (zh) 玻璃滑槽
CN214355805U (zh) 带有传感器的防护装置
CN111717008B (zh) 带有触控传感器的滑门的密封构造
US11788338B2 (en) Pinch detection switch and pinch detection method
JP2021062665A (ja) センサー付きプロテクター
KR101459435B1 (ko) 자동차용 도어 웨더스트립
JP2020082829A (ja) タッチセンサーの取付構造及び製造方法
US10648216B2 (en) Touch sensor unit
US20220325570A1 (en) Protector with sensor
KR102240583B1 (ko) 물체접근감지장치
KR102240581B1 (ko) 물체접근감지장치
EP3533964B1 (en) Pinching detection switch
US6238769B1 (en) Window molding for a vehicle
JP5158038B2 (ja) 長尺センサ
US9643478B2 (en) Vehicle press door structure and door glass run
CN107074082B (zh) 嵌条
JP2007093227A (ja) 挟み込み検知装置
KR20210067154A (ko) 물체접근감지장치
JP5913494B2 (ja) 接触センサ
US11693142B2 (en) Water intrusion detector for a touch sensor device
JP2004322984A (ja) ドリップ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2007083927A (ja) スライドドア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