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857B1 -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 Google Patents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857B1
KR102009857B1 KR1020170146545A KR20170146545A KR102009857B1 KR 102009857 B1 KR102009857 B1 KR 102009857B1 KR 1020170146545 A KR1020170146545 A KR 1020170146545A KR 20170146545 A KR20170146545 A KR 20170146545A KR 102009857 B1 KR102009857 B1 KR 102009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electrode
space
strip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179A (ko
Inventor
김기현
신후상
Original Assignee
황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6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8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승하차 시 구동되는 전동 스텝에 장착 설치되어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를 구현한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에 관한 것으로, 물체의 접근에 따라 정전용량값이 가변하며 이에 대응하는 가변신호를 생성시키는 스트립 전극; 전동 스텝의 스텝 본체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 전극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가변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 모듈; 및 전동 스텝의 스텝 본체 외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 전극을 그 형태에 따라 체결 형태를 달리하여 상부에 형성되는 길이 방향의 공간에 장착 설치하는 스트립 바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Strip-type Non-contact Sensor for Electric Step}
본 발명은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를 구현한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승용차의 경우에는 지상고가 낮기 때문에 승객의 승하차 시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승합차나 중소형 버스 또는 다목적 차량 등과 같이 지상고가 상대적으로 높은 차량의 경우에는 일반인은 물론 어린이나 노약자 등이 승하차하는 데 많은 무리가 따르고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중소형 버스 등과 같이 지상고가 높은 차량에는 사이드실과 노면 사이의 중간 높이의 위치에서 차체를 따라 길게 연장된 스텝이 갖추어져 있으며, 최근에는 외관이나 편의, 법규 등을 위한 전동 스텝이 많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 스텝은, 접촉식 감지 센서를 통해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스텝의 구동 시 스텝에 장애물이 접촉한 후에야 장애물이 있음을 확인하는 식으로 구동되어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노약자들의 경우 해당 스텝에 부딪혀 찰과상을 당하거나 걸려 넘어지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329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1809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비접촉 스트립 전극의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 센서를 제작할 수 있는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는, 물체의 접근에 따라 정전용량값이 가변하며 이에 대응하는 가변신호를 생성시키는 스트립 전극; 전동 스텝의 스텝 본체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 전극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가변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 모듈; 및 전동 스텝의 스텝 본체 외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 전극을 그 형태에 따라 체결 형태를 달리하여 상부에 형성되는 길이 방향의 공간에 장착 설치하는 스트립 바디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립 바디는, 바디 본체부; 상기 바디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전동 스텝의 스텝 본체 외측에 형성되는 체결홈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바디 본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스트립 전극을 길이 방향으로 삽입시켜 수납하는 수납 공간부; 상기 스트립 전극의 형태에 따라 체결 형태를 달리하여 상기 수납 공간부에 상기 스트립 전극을 체결하는 체결 클립부; 및 상기 바디 본체부 양측의 개방된 공간을 덮은 상태로 전동 스텝의 스텝 본체의 양측에 삽입 체결되는 두 개의 덮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 공간부는, 아치형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클립부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곡선형 날개; 및 상기 곡선형 날개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전극을 지탱하는 지탱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클립부는, 상기 수납 공간부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며, 중간의 빈 공간에 상기 스트립 전극을 삽입시킨 후 상기 지탱 날개를 이용해 움직이지 않도록 지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클립부는, 상기 지탱 날개를 상기 스트립 전극 방향으로 눌러 주기 위해 상기 곡선형 날개와 상기 지탱 날개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곡선형 날개와 상기 지탱 날개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며 형성되는 두 개의 지지 바아; 및 상기 지지 바아의 사이에 탄성력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지지 바아의 사이에 장착 설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클립부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면형 바아; 및 상기 평면형 바아를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수납 공간부의 양측 아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평면형 바아의 양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지지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클립부는, 상기 평면형 바아와 상기 수납 공간부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스트립 전극을 삽입시켜 장착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클립부는, 상기 평면형 바아를 지탱하기 위해 상기 평면형 바아의 하부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클립부는, 상기 수납 공간부의 아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아치형 바아; 및 상기 스트립 전극을 상기 수납 공간부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상기 아치형 바아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극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클립부는, 상기 아치형 바아를 지탱하기 위해 상기 아치형 바아의 하부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장애물을 감지하는 스트립 전극의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전동 스텝에 장착 설치될 수 있는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를 제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장애물과의 접촉이 없는 경우에도 장애물의 존재를 미리 확인하고 전동 스텝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스텝과의 접촉으로 인한 찰과상 또는 걸려 넘어지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스트립 바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체결 클립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체결 클립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체결 클립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는, 스트립 전극(100), 제어 모듈(200) 및 스트립 바디(300)를 포함한다.
스트립 전극(100)은, 물체의 접근에 따라 정전용량 값이 가변하며 이에 대응하는 가변신호를 생성시켜 제어 모듈(20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립 전극(10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피복전선과 같은 형태(도 5 또는 도 7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스트립 전극(100)과 같이 금속사(絲)가 편조된 메탈 메쉬(metal mesh) 등과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스트립 바디(300)의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매설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전동 스텝의 스텝 본체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스트립 전극(100)에 연결 설치되어 스트립 전극(100)으로부터 전달되는 가변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스트립 바디(300)는, 전동 스텝의 스텝 본체 외측에 장착 설치되며, 스트립 전극(100)을 그 형태에 따라 체결 형태를 달리하여 상부에 형성되는 길이 방향의 공간에 장착 설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a)와 같이 압전 센서 등의 접촉식 센서를 차용한 기존의 전동 스텝의 경우 스텝의 구동 시 스텝에 장애물이 접촉한 후에야 장애물이 있음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구동되어 어린이 또는 노약자와 같이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 해당 스텝에 부딪혀 찰과상을 당하거나 걸려 넘어질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도 2(b)와 같이 본 발명과 같은 비접촉식 센서가 적용될 경우 장애물과의 접촉이 없는 경우에도 장애물의 존재를 확인하고 전동 스텝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스텝과의 접촉으로 인한 찰과상 또는 걸려 넘어지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스트립 바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트립 바디(300)는, 바디 본체부(310), 체결부(320), 수납 공간부(330), 체결 클립부(340) 및 두 개의 덮개부(350)를 포함한다.
바디 본체부(310)는, 상부에 아치형 공간으로 형성되는 수납 공간부(330)를 형성하고, 하부에 체결부(320)를 형성하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스텝의 스텝 본체 외측에 장착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 본체부(310)는, 스트립 전극(100) 또는 제어 모듈(200)의 오작동 등으로 인해 전동 스텝의 앞 쪽에 탑승객이 있는 경우에도 전동 스텝이 구동되어 전동 스텝의 스텝 본체가 탑승객을 타격하여 찰과상 등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드러운 재질(예를 들어, 우레탄 고무 등)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체결부(320)는, 바디 본체부(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전동 스텝의 스텝 본체 외측에 형성되는 체결홈에 삽입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3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외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날개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이는 스텝 본체 외측에 형성되는 체결 수단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스텝 본체의 외측에 형성되는 체결 수단이 본 실시예에 의한 형태 이외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그 형상 또한 변화될 수 있다.
수납 공간부(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본체부(310)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스트립 전극(100)을 길이 방향으로 삽입시켜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납 공간부(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치형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납 공간부(330)의 형태는, 바디 본체부(310)의 상부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스트립 전극(100)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면 되는 바 그 형태가 아치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체결 클립부(340)는, 스트립 전극(100)의 형태에 따라 체결 형태를 달리하여 수납 공간부(330)에 스트립 전극(100)을 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립 전극(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피복전선과 같은 형태(도 5 또는 도 7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금속사(絲)가 편조된 메탈 메쉬(metal mesh)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 클립부(340)는, 스트립 전극(100)의 형태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구조를 달리 형성함으로써 스트립 전극(100)을 효율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 클립부(340)는, 곡선형 날개(341) 및 지탱 날개(342)를 포함할 수 있다(도 5를 참조).
곡선형 날개(341)는, 수납 공간부(330)의 아치 형태에 대응하여 곡선 형태로 형성되며, 다른 일측에는 지탱 날개(342)가 형성된다.
지탱 날개(342)는, 곡선형 날개(341)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스트립 전극(100)을 지탱한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 클립부(340)는, 스트립 전극(100)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탱 날개(342)의 자체적인 탄성력을 이용하여 스트립 전극(100)을 중간 부분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 클립부(340)는, 수납 공간부(330)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며, 중간의 빈 공간에 스트립 전극(100)을 삽입시킨 후 지탱 날개(342)를 이용해 움직이지 않도록 지탱할 수 있다.
덮개부(35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본체부(310) 양측의 개방된 공간을 덮은 상태로 전동 스텝의 스텝 본체의 양측에 삽입 체결됨으로써, 본 발명이 스텝 본체에 안정적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도 5는 도 3에 체결 클립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체결 클립부(340)는, 곡선형 날개(341), 지탱 날개(342) 및 탄성부(343)를 포함한다. 여기서, 곡선형 날개(341) 및 지탱 날개(342)는,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탄성부(343)는, 지탱 날개(342)를 스트립 전극(100) 방향으로 눌러 주기 위해 곡선형 날개(341)와 지탱 날개(342)의 사이 공간에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부(343)는, 두 개의 지지 바아(3431) 및 탄성체(3432)를 포함한다.
지지 바아(3431)는, 곡선형 날개(341)와 지탱 날개(342)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며 형성되며,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체(3432)에 의해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형성한다.
이때, 지지 바아(3431) 사이의 간격은, 탄성부(343)가 삽입되는 곡선형 날개(341)와 지탱 날개(342)의 사이 공간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탄성체(3432)는, 지지 바아(3431)의 사이에 탄성력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 바아(3431)의 사이에 장착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체(3432)는, 탄성력을 형성하기 위한 탄성 수단(예를 들어, 스프링 또는 고무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3에 체결 클립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체결 클립부(340)는, 평면형 바아(344), 두 개의 지지 날개(345) 및 탄성부(343)를 포함한다.
평면형 바아(344)는, 평평하게 형성되며, 양측에 각각 하측 방향으로 지지 날개(345)가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평면형 바아(344)와 수납 공간부(330) 사이에 평평한 형태의 수납 공간을 형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면형 바아(34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 형태로 형성되는 수납 공간부(330)의 상부 공간과의 사이에 상술한 메탈 메쉬 형태의 스트립 전극(100)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5 또는 도 7에 의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공간(도 5의 경우) 또는 반원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공간(도 7의 경우)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경우에는 단면이 납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스트립 전극(100)의 형태에 대응하여 그에 알맞은 형태를 가지는 실시예를 이용하여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를 제작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 날개(345)는, 평면형 바아(344)를 들어올리기 위해 수납 공간부(330)의 양측 아치 형태에 대응하여 평면형 바아(344)의 양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평면형 바아(344)는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에도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형성함을 확인할 수 있는데,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립 전극(100)를 수납하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별도의 수납에 사용되지 아니하는 바, 장기간 방치할 시 평면형 바아(344)가 하측 방향으로 주저앉아 상부 공간에 수납된 스트립 전극(100)의 체결이 느슨하게 되어 장애물 센싱에 오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평면형 바아(344)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후술하는 탄성부(343)를 삽입함으로써 탄성부(343)가 하측 방향으로 주저앉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343)는, 그 구조를 도 5에 도시된 탄성부(343)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탄성부(343)는, 평면형 바아(344)를 지탱하기 위해 평면형 바아(344)의 하부 공간에 삽입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343)는, 도 5의 실시예와는 달리 삽입되는 평면형 바아(344)의 하부 공간에 대응하여 지지 바아(3431) 사이의 간격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체결 클립부(3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평면형 바아(344)와 수납 공간부(330)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스트립 전극(100)을 삽입시켜 장착 설치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체결 클립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체결 클립부(340)는, 아치형 바아(346), 전극 삽입홈(347) 및 탄성부(343)를 포함한다.
아치형 바아(346)는, 수납 공간부(330)의 아치 형태에 대응하여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스트립 전극(100)를 삽입하기 위한 전극 삽입홈(347)을 형성한다. 이때, 스트립 전극(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에 의해 쌓인 일반적인 전선 형태로 형성될 경우이다.
전극 삽입홈(347)은, 단면이 반원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스트립 전극(100)을 수납 공간부(330)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아치형 바아(346)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아치형 바아(346)는, 상부에 전극 삽입홈(347)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이외에 하부에도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립 전극(100)를 수납하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별도의 수납에 사용되지 아니하는 바, 장기간 방치할 시 아치형 바아(346)가 하측 방향으로 주저앉아 상부 공간에 수납된 스트립 전극(100)의 체결이 느슨하게 되어 장애물 센싱에 오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아치형 바아(346)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후술하는 탄성부(343)를 삽입함으로써 탄성부(343)가 하측 방향으로 주저앉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343)는, 그 구조를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탄성부(343)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탄성부(343)는, 아치형 바아(346)를 지탱하기 위해 아치형 바아(346)의 하부 공간에 삽입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비접촉 스트립 전극의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 센서를 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전동 스텝에 적용할 경우, 장애물을 감지하는 스트립 전극의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전동 스텝에 장착 설치되는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를 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과의 접촉이 없는 경우에도 장애물의 존재를 미리 확인하고 전동 스텝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스텝과의 접촉으로 인한 찰과상 또는 걸려 넘어지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는, 전동 스텝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비접촉식 센서가 적용될 수 있는 도어의 자동 개폐 장치, 자동차 창문 개폐 장치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100: 스트립 전극
200: 제어 모듈
300: 스트립 바디
310: 바디 본체부
320: 체결부
330: 수납 공간부
340: 체결 클립부
341: 곡선형 날개
342: 지탱 날개
343: 탄성부
3431: 지지 바아
3432: 탄성체
344: 평면형 바아
345: 지지 날개
346: 아치형 바아
347: 전극 삽입홈
350: 덮개부

Claims (12)

  1. 물체의 접근에 따라 정전용량값이 가변하며 이에 대응하는 가변신호를 생성시키는 스트립 전극;
    전동 스텝의 스텝 본체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 전극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 전극으로부터 전달되는 가변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 모듈; 및
    전동 스텝의 스텝 본체 외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 전극을 그 형태에 따라 체결 형태를 달리하여 상부에 형성되는 길이 방향의 공간에 장착 설치하는 스트립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스트립 바디는, 바디 본체부; 상기 바디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전동 스텝의 스텝 본체 외측에 형성되는 체결홈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바디 본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스트립 전극을 길이 방향으로 삽입시켜 수납하는 수납 공간부; 상기 스트립 전극의 형태에 따라 체결 형태를 달리하여 상기 수납 공간부에 상기 스트립 전극을 체결하는 체결 클립부; 및 상기 바디 본체부 양측의 개방된 공간을 덮은 상태로 전동 스텝의 스텝 본체의 양측에 삽입 체결되는 두 개의 덮개부를 포함하는,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부는,
    아치형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클립부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곡선형 날개; 및
    상기 곡선형 날개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 전극을 지탱하는 지탱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클립부는,
    상기 수납 공간부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며, 중간의 빈 공간에 상기 스트립 전극을 삽입시킨 후 상기 지탱 날개를 이용해 움직이지 않도록 지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클립부는,
    상기 지탱 날개를 상기 스트립 전극 방향으로 눌러 주기 위해 상기 곡선형 날개와 상기 지탱 날개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곡선형 날개와 상기 지탱 날개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며 형성되는 두 개의 지지 바아; 및
    상기 지지 바아의 사이에 탄성력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지지 바아의 사이에 장착 설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클립부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면형 바아; 및
    상기 평면형 바아를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수납 공간부의 양측 아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평면형 바아의 양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지지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클립부는,
    상기 평면형 바아와 상기 수납 공간부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스트립 전극을 삽입시켜 장착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클립부는,
    상기 평면형 바아를 지탱하기 위해 상기 평면형 바아의 하부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클립부는,
    상기 수납 공간부의 아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아치형 바아; 및
    상기 스트립 전극을 상기 수납 공간부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상기 아치형 바아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극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클립부는,
    상기 아치형 바아를 지탱하기 위해 상기 아치형 바아의 하부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KR1020170146545A 2017-11-06 2017-11-06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KR102009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545A KR102009857B1 (ko) 2017-11-06 2017-11-06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545A KR102009857B1 (ko) 2017-11-06 2017-11-06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179A KR20190051179A (ko) 2019-05-15
KR102009857B1 true KR102009857B1 (ko) 2019-08-12

Family

ID=6657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545A KR102009857B1 (ko) 2017-11-06 2017-11-06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8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145A (ko) * 2019-09-19 2021-03-30 황성공업 주식회사 물체접근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096B1 (ko) 2008-06-23 2011-02-25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통신 모듈
KR20130006783U (ko) * 2012-05-16 2013-11-26 윤삼걸 감지센서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KR101373292B1 (ko) 2012-05-31 2014-03-11 조승원 차량의 장애물 감지용 센서스트립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145A (ko) * 2019-09-19 2021-03-30 황성공업 주식회사 물체접근감지장치
KR102240583B1 (ko) 2019-09-19 2021-04-19 황성공업 주식회사 물체접근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179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7795B1 (en) Vehicle storage structure
CN105620235B (zh) 带有传感器的防护装置
KR101114174B1 (ko) 배수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시트쿠션
US8052212B2 (en) Seat foam with sensor mat
US20070063490A1 (en) Mounting structure for curtain airbag
US7159925B2 (en) Sun visor for vehicle
KR200266242Y1 (ko) 자동차의 도어구조
KR100378543B1 (ko) 자동차 시트벨트용 버클장치의 회동수단
KR102009857B1 (ko) 전동 스텝용 스트립형 비접촉 센서
KR102009858B1 (ko) 비접촉식 전동 스텝 장치
CN106604850A (zh) 一种汽车方向盘
US11518312B2 (en) Step device for vehicle
JP2007069854A (ja) シートスライドレール用モール
US20210070225A1 (en) Step device for vehicle
US9701259B2 (en) Hinge arm fitting feature
JP5862065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US8398144B2 (en) Longitudinal adjustment device
JP5235346B2 (ja) 車両のヘッドレスト構造
US11433818B2 (en) Step device for vehicle
JP2017537840A (ja) 自動車のグローブボックス
JP2006290199A (ja) ベルトモール
US11731561B2 (en) Step device for vehicle
JP2009262824A (ja) 車両後部構造
KR100829731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테이블
KR102554920B1 (ko) 차량용 로어암의 볼조인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