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469A - 결속기 - Google Patents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469A
KR20210033469A KR1020217001340A KR20217001340A KR20210033469A KR 20210033469 A KR20210033469 A KR 20210033469A KR 1020217001340 A KR1020217001340 A KR 1020217001340A KR 20217001340 A KR20217001340 A KR 20217001340A KR 20210033469 A KR20210033469 A KR 20210033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d
wire
unit
binding machin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059B1 (ko
Inventor
다케시 모리지리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04G21/123Wire twis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28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twisting
    • B65B13/285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28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10Bundling rods, sticks, or like elongat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1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roduct to be packag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6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철근 결속기(1A)는, 컬링된 와이어(W)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70)와, 보유 지지부(70)에 의해 선단측이 보유 지지된 와이어(W)의 기단측을 송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와이어 이송부(3A)와, 와이어(W)를 비트는 결속부(7A)와, 와이어 이송부(3A) 및 결속부(7A)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제1 신호를 검지하였을 때 와이어 이송부(3A)를 제어하여 와이어(W)를 송출하고, 제2 신호를 검지하였을 때 결속부(7A)를 제어하여 와이어(W)를 비튼다.

Description

결속기
본 개시는, 철근 등의 결속 대상물을 와이어 등의 선재로 결속하는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트리거 스위치의 조작 하나로 철근의 결속을 가능하게 하는 철근 결속기라고 칭하는 결속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런 종류의 철근 결속기는, 와이어가 감긴 와이어 릴을 수납하는 수납실과, 와이어 릴에 감긴 와이어를 보내는 이송 수단과, 이송 수단에 의해 보내진 와이어에 컬링성을 부여하여 철근의 주위에 와이어를 권회하는 가이드부와, 철근 주위에 권회된 와이어를 파지하여 비트는 와이어 비틀기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가이드부의 하방에는, 가이드부에 대향하도록 하여 하부 가이드가 마련된다. 하부 가이드는, 가이드부로부터의 와이어를 받아 와이어 비틀기 장치로 유도한다. 가이드부와 하부 가이드는, 선단 부분이 개구된 측면으로 보아 C자형을 이루고 있어, 철근을 결속하기 위해서는, 상기 개구, 즉 가이드부와 하부 가이드 사이에 철근을 삽입한다.
일본 특허 제5126101호 공보
철근 결속기를 사용하여 철근을 결속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부와 하부 가이드 사이에 결속 대상이 되는 철근을 삽입해야만 한다. 이 때문에, 결속할 수 있는 철근의 수나 굵기가, 가이드부와 하부 가이드 사이의 치수의 제약을 받는다. 예를 들어, 5가닥 이상의 철근을 결속하려고 해도, 그것이 가이드부와 하부 가이드의 사이에 들어가지 않으면, 철근 결속기에 의한 결속은 불가능하다. 많은 철근을 결속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부와 하부 가이드 사이의 치수를 크게 하면 되지만, 그렇게 하면, 장치가 대형화되고, 또한 중량 밸런스 등도 무너져서 조작성에 지장을 초래한다. 이 문제는, 결속하려고 하는 철근의 수나 굵기가 커지면 커질수록 현저해진다.
또한, 결속하려고 하는 철근의 수가 많다는 등의 이유로, 철근 결속기에 의한 결속이 곤란한 경우, 작업자가 자신의 손으로 결속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동에 의한 결속은 시간이 걸리는 데다가 작업자의 작업 부담이 크다.
본 개시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다양한 크기의 결속 대상물이라도, 결속하는 것이 가능한 결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관한 결속기는, 컬링된 선재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상기 보유 지지부에 의해 상기 선단측이 보유 지지된 상기 선재의 기단측을 송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이송부와, 상기 선재를 비트는 비틀기부와, 상기 이송부 및 상기 비틀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를 검지하였을 때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재를 송출하고, 제2 신호를 검지하였을 때 상기 비틀기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재를 비튼다.
상기 결속기에 의하면, 컬링된 선재의 선단측과 기단측을 각각 보유 지지부와 이송부에 의해 보유 지지함으로써, 보유 지지부로부터 이송부 사이의 선재는 원환형의 와이어 루프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 와이어 루프 속(내측)에 결속 대상물을 삽입하여, 비틀기부에 의해 선재를 비틀면 결속 대상물을 결속할 수 있게 된다.
와이어 루프의 크기는, 이송부에 의한 선재의 이송량을 제어부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 루프의 크기를 결속 대상물의 크기에 맞추도록 하여 조정하면, 다양한 크기의 결속 대상물을 결속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 관한 결속기의 다른 양태는, 선단측이 개방된 선재의 기단측을 송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송출된 상기 선재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상기 보유 지지부에 의해 상기 선단측이 보유 지지된 상기 선재를 비트는 비틀기부와, 상기 이송부 및 상기 비틀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3 신호를 검지하였을 때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재를 송출하고, 제4 신호를 검지하였을 때 상기 보유 지지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재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하고, 제5 신호를 검지하였을 때 상기 비틀기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재를 비튼다.
상기 결속기에 의하면, 선단측이 개방된 선재를 결속 대상물의 둘레에 감고, 선재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부에 의해 보유 지지시킨 후, 선재를 비틀기부에 의해 비틈으로써 결속 대상물을 결속할 수 있게 된다.
선단측이 개방된 선재의 기단측은, 이송부에 의해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선재의 송출량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 선재의 송출량을 제어해주면, 즉 결속 대상물을 감을 정도로 선재를 송출해 주면, 다양한 크기의 결속 대상물을 결속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 관한 결속기의 다른 양태는, 본체부와, 컬링된 선재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상기 보유 지지부에 의해 상기 선단측이 보유 지지된 상기 선재의 기단측을 송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이송부와, 상기 컬링된 선재를 비트는 비틀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유 지지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닫힌 환형 선재를 상기 본체부의 선단측에 형성하고, 상기 이송부에서 상기 선재의 상기 기단측을 송출함으로써 상기 환형 선재를 확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속기에 의하면, 선재의 송출량을 조정함으로써, 루프형이 된 환형 선재 루프 직경을, 결속 대상물의 크기(직경)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결속 대상물을 결속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선재가 송출하는 양을 제어함으로써, 컬링된 선재의 컬 직경이나 선단측이 개방된 선재의 인출량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결속 대상물이라도, 결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보유 지지부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제1 실시 형태의 보유 지지부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b는 제1 실시 형태의 보유 지지부의 요부 확대도이며, 와이어가 끼움 지지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철근 결속기의 제어 기능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 제어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제어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은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철근 결속기의 제어 기능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1A)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철근 결속기(1A)는, 본체부(10A)와, 본체부(10A)로부터 돌출되는 핸들부(11A)와, 본체부(10A)의 선단측에 마련되어, 와이어(W)에 컬링성을 부여하여 와이어(W)를 컬링시키는 컬 가이드(5A)를 구비한다. 핸들부(11A)에는 트리거 스위치(12A)가 마련된다. 여기서, 「와이어(W)에 컬링성을 부여한다」 또는, 「와이어(W)를 컬링시킨다」라 함은, 와이어(W)를 원호형 또는 만곡형(단, 반드시 완만한 원호 또는 만곡은 아니어도 되고, 약간 뾰족하게 굴곡되어 있는 것도 포함함)으로 구부리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컬링된 와이어(W)」라 함은, 그렇게 하여 구부러진 와이어(W)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체부(10A)에 대해 핸들부(11A)가 마련되는 측을 아래, 그 반대측을 위라 하고, 본체부(10A)에 대해 컬 가이드(5A)가 마련되는 측을 앞, 그 반대측을 뒤라 한다.
본체부(10A)에는, 와이어(W)가 감긴 와이어 릴(20)을 수용하는 릴 수용부(2A)가 장착된다. 본체부(10A)의 내부에는, 릴 수용부(2A)에 수용된 와이어 릴(20)로부터 와이어(W)를 인출하여 이송하는 와이어 이송부(이송부)(3A)와, 컬 가이드(5A)에 의해 컬링된 와이어(W)를 절단하는 절단부(6A)와, 절단부(6A)에 의해 절단된 와이어(W)를 보유 지지하여 비트는 결속부(비틀기부)(7A)와, 와이어 이송부(3A)나 결속부(7A)를 제어하는 제어부(14A)가 마련된다.
와이어 릴(20)은, 와이어(W)가 감기는 통형의 허브부(20a)와, 허브부(20a)의 축 방향 양단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플랜지(20b)를 구비한다. 플랜지(20b)는, 허브부(20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허브부(20a)의 축 방향 양단측보다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릴 수용부(2A)는, 핸들부(11A)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본체부(10A)의 하방에 마련된다. 릴 수용부(2A)는, 와이어 릴(20)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획정하는 벽부(도시하지 않음)와, 벽부로부터 릴 수용부(2A)의 내부로 돌출되는 릴 지지축(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와이어 릴(20)은, 릴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와이어 이송부(3A)에 의해 와이어(W)가 이송되면, 이것에 맞추어 회전한다.
와이어 이송부(3A)는, 릴 수용부(2A)의 상방에 위치하고, 와이어(W)를 이송하기 위한 한 쌍의 이송 기어(30L, 30R)와, 한 쌍의 이송 기어(30L, 30R) 중 한쪽(본 예에서는 제1 이송 기어(30L))을 구동하는 구동부(33)와, 다른 쪽 기어(본 예에서는 제2 이송 기어(30R)를 제1 이송 기어(30L)에 대해 분리 접촉시키는 변위부(34)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이송 기어(30L, 30R)는 모두 평 기어이며, 와이어(W)의 이송 경로를 사이에 두고 외주면끼리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와이어(W)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제1 이송 기어(30L)와 제2 이송 기어(30R) 사이에 와이어(W)를 세팅하고, 변위부(34)에 의해 제2 이송 기어(30R)를 제1 이송 기어(30L)에 접촉시켜 와이어(W)를 끼움 지지(보유 지지)한 후, 구동부(33)에 의해 제1 이송 기어(30L)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1 이송 기어(30L)와 제2 이송 기어(30R)는, 와이어(W)를 적절하게 이송할 수 있는 것이면, 반드시 평 기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33)는, 이송 모터(33a)와, 이송 모터(33a)의 출력축에 접속되어, 이송 모터(33a)의 구동력을 제1 이송 기어(30L)에 전달하는 기어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이송 모터(33a)의 출력축의 회전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제1 이송 기어(30L)와 제2 이송 기어(30R)의 회전 방향이 전환되고, 와이어(W)의 이송 방향의 정역이 전환된다. 본 예에서는, 이송 모터(33a)의 출력축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W)가 이송되고,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W)가 되끌린다.
컬 가이드(5A)는, 본체부(10A)의 선단측에 마련되고, 상하 한 쌍의 가이드부, 즉 제1 가이드부(50) 및 제2 가이드부(51)에 의해 구성된다. 제1 가이드부(50)는, 본체부(10A)의 결속부(7A)에 대해 상측에 마련되고, 와이어(W)에 컬링성을 부여한다. 또한, 제2 가이드부(51)는, 본체부(10A)의 결속부(7A)에 대해 하측에 마련되고, 제1 가이드부(50)에 의해 컬링성이 부여된 와이어(W)를 받아 결속부(7A)로 유도한다. 컬 가이드(5A)는, 제1 가이드부(50)와 제2 가이드부(51)에 의해, 선단측이 개구된 측면으로 보아 C자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철근 S를 결속하기 위해서는, 상기 개구, 즉 제1 가이드부(50)와 제2 가이드부(51) 사이에 철근 S를 삽입한다.
제1 가이드부(50)는, 와이어(W)가 통과하는 와이어(W)의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가이드 홈(52)을 구비한다. 가이드 홈(52)은, 와이어(W)의 진행 방향을 따라 만곡(원호)형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홈(52)에는, 와이어(W)에 맞닿아, 와이어(W)의 진행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 핀(53, 53b)이 마련된다. 가이드 핀(53)은, 가이드 홈(52)의 입구(와이어(W)의 도입구) 근방에 마련되고, 하측(컬링된 와이어(W)의 내측)으로부터 와이어(W)에 맞닿는다. 가이드 핀(53b)은, 가이드 홈(52)의 출구 근방에 마련되고, 상측(컬링된 와이어(W)의 외측)으로부터 와이어(W)에 맞닿는다. 와이어(W)는, 제1 가이드부(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핀(53), 가이드 홈(52) 및 가이드 핀(53b)에 맞닿는다. 와이어(W)는, 가이드 핀(53), 가이드 홈(52) 및 가이드 핀(53b)에 의해 진행 방향이 규제되면서 제1 가이드부(50)를 통과하는 결과, 컬형으로 컬링성이 부여된다.
제2 가이드부(51)는, 제1 가이드부(50)로부터의 와이어(W)를 받아 결속부(7A)로 유도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한다.
절단부(6A)는, 와이어 이송부(3A)와 컬 가이드(5A) 사이에 마련되고, 와이어(W)가 통과 가능한 관통 구멍이 형성된 고정날(60)과, 고정날(60)의 외주면을 미끄럼 이동하는 가동날(61)을 구비한다. 절단부(6A)로 와이어(W)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와이어(W)가 고정날(60)의 관통 구멍을 관통한 상태에서, 가동날(61)을 고정날(60)의 외주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시킨다. 또한, 가동날(61)의 구동에는 결속부(7A)의 비틀기 모터(80)가 이용된다. 비틀기 모터(80)의 구동력이 링크(62) 등을 통하여 가동날(61)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비틀기 모터(80)의 구동에 의해, 가동날(61)이 고정날(60)의 외주면을 미끄럼 이동한다.
결속부(7A)는, 비틀기 모터(80)와, 비틀기 모터(80)의 감속 및 토크의 증폭을 행하는 감속 기구(81)와, 감속 기구(81)에 접속되고, 비틀기 모터(8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82)과, 회전축(82)의 회전 동작으로 변위되는 가동 부재(83)와, 가동 부재(83)의 선단측으로 돌출되어, 와이어(W)를 보유 지지하여 비트는 보유 지지부(70)를 구비한다.
회전축(82)의 외주면과 가동 부재(83)의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가 형성되며, 회전축(82)의 나사가 가동 부재(83)의 나사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가동 부재(83)는, 회전이 규제된 상태에서 회전축(82)이 회전하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의 규제가 해제되면, 회전축(82)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보유 지지부(70)는, 와이어(W)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갈고리부(후술하는 제1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L), 제2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R) 및 고정 보유 지지 부재(70C))를 갖는다. 보유 지지부(70)는, 가동 부재(83)의 전후 방향의 이동에 맞추어 개폐되고, 가동 부재(83)의 회전 동작에 맞추어 회전한다.
도 3은, 보유 지지부(70)의 측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보유 지지부(70)의 요부 확대도이다.
보유 지지부(70)는, 고정 보유 지지 부재(70C)와, 제1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L)와, 제2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R)를 구비한다. 제1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L)와 제2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R)는, 고정 보유 지지 부재(70C)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L) 및 제2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R)는, 가동 부재(83)의 전후 방향의 이동에 맞추어, 고정 보유 지지 부재(70C)에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거나 한다.
제1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L)나 제2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R)가 고정 보유 지지 부재(70C)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에는, 제1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L)와 고정 보유 지지 부재(70C)의 사이 및 제2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R)와 고정 보유 지지 부재(70C)의 사이는, 각각 와이어(W)가 지나는 이송 경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와이어 이송부(3A)에 의해 보내져 온 와이어(W)는, 먼저 제2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R)와 고정 보유 지지 부재(70C)의 사이를 통과하여, 컬 가이드(5A)에서 컬링된 후, 제1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L)와 고정 보유 지지 부재(70C)의 사이를 통과한다. 이 상태에서, 제1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L)를 고정 보유 지지 부재(70C)에 접근시킴으로써, 와이어(W)는 제1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L)와 고정 보유 지지 부재(70C)에 의해 보유 지지(파지)된다.
제2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R)도 제1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L)와 마찬가지로, 고정 보유 지지 부재(70C)에 접근하도록 구성되지만, 제2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R)는 고정 보유 지지 부재(70C)에 가장 접근한 경우에도, 와이어(W)를 파지하는 일은 없다. 즉, 제2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R)가 고정 보유 지지 부재(70C)에 가장 접근한 경우에도, 와이어(W)는 제2 가동 보유 지지 부재(70R)와 고정 보유 지지 부재(70C)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원호형으로 컬링성이 부여된 와이어, 즉 와이어 루프의 선단측(선단부뿐만 아니라 선단부 근방도 포함함)을 제1 가동 보유 지지 부재와 고정 보유 지지 부재(70C)의 사이에서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와이어 루프의 기단측(본 예의 경우, 와이어 루프의 와이어(W)가 교차하는 위치보다 상류측이며, 와이어 이송부(3A)의 위치에 존재하는 와이어 부위를 의미함)을 보내거나, 또는 되끌거나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철근 결속기(1A)의 제어 기능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철근 결속기(1A)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40), 메모리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어부(14A)를 구비한다. 제어부(14A)는, ROM 등의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철근 결속기(1A)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A)에는, 메인 스위치(16A), 트리거 스위치(12A), 이송 모터(33a) 및 비틀기 모터(80)가 각각 접속된다. 제어부(14A)는, 메인 스위치(16A)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철근 결속기(1A)의 전원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한다.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로부터의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이송 모터(33a) 또는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1A)에 있어서의 제어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철근 결속기(1A)는,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 6에 도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도 7 내지 도 12는, 철근 결속기(1A)의 동작 설명도이다.
스텝 S10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작업자(조작자)에 의해 트리거 스위치(제1 조작부)(12A)가 온(누르기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되면, 트리거 스위치(12A)로부터 그것에 대응한 신호가 출력된다. 제어부(14A)는, 그 신호를 검지하면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되었다고 판단한다.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될 때까지 대기하고,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되면 스텝 S110으로 진행한다. 또한,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될 때까지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컬 가이드(5A)에는 아직 와이어(W)가 이송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초기 상태). 또한, 설명의 편의상, 소정 시간 내에 트리거 스위치(12A)가 한 번만 온된 경우(온/오프의 경우뿐만 아니라, 계속해서 온되는 경우도 포함함(계속해서 온되는 경우를 「트리거 스위치(12A)의 길게 누르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를 「트리거 스위치(12A)의 한 번 누르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스텝 S11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이송 모터(33a)를 구동하여 와이어(W)를 정방향으로 보낸다. 정방향으로 보내진 와이어(W)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컬 가이드(5A)에서 원환형 와이어 루프로 형성된다. 이 때 제어부(14A)는, 비틀기 모터(80)를 구동하여 와이어 루프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부(70)에 보유 지지시킨다. 즉, 제어부(14A)는, 스텝 S110에 있어서, 와이어 루프의 형성과 와이어(W)의 선단측의 보유 지지를 행한다.
스텝 S12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작업자에 의해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제1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되면, 트리거 스위치(12A)로부터 그것에 대응한 신호(제1 신호)가 출력된다. 제어부(14A)는, 제1 신호를 검지하면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되었다고 판단한다.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될 때까지 대기하고,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되면, 즉 트리거 스위치(12A)로부터의 제1 신호를 검지하면 스텝 S13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이송 모터(33a)를 구동하여 와이어(W)를 정방향으로 보낸다. 이 때 와이어 루프의 선단측은 보유 지지부(70)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W)(와이어 루프의 기단측)를 정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면, 와이어 루프는 커진다(와이어 루프의 직경이 확대된다)(도 9 참조).
스텝 S14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작업자에 의해 트리거 스위치(12A)가 오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4A)는, 제1 신호를 검지하지 않게 되었을 때, 트리거 스위치(12A)가 오프라고 판단한다.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가 오프되지 않는 한, 즉 트리거 스위치(12A)가 계속해서 온되어 있는 한(길게 누르기 상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W)를 계속해서 보낸다(스텝 S130). 와이어(W)를 계속해서 보냄으로써 와이어 루프도 그것에 맞추어 계속 확대된다. 이와 같이, 트리거 스위치(12A)의 온 시간(길게 누르기)에 따라 와이어 루프의 크기도 변화(확대)되므로, 작업자는 트리거 스위치(12A)의 온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와이어 루프의 크기(직경)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가 오프되면 스텝 S15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5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의 오프에 수반하여, 이송 모터(33a)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와이어(W)의 이송 동작도 정지된다.
스텝 S16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작업자에 의해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될 때까지 대기하고,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되면 스텝 S17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0에 있어서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되었다고 판단하면, 다음으로 스텝 S17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가 복수회, 본 예의 경우, 두 번 눌렸는지(두 번 누르기(제2 조작)) 여부를 판단한다. 「트리거 스위치(12A)의 (두 번 누르기」란, 소정 시간 내에 트리거 스위치(12A)가 두 번 눌리는 것, 즉 소정 시간 내에 온, 오프, 온의 조작이 행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트리거 스위치(12A)가 두 번 눌리면, 트리거 스위치(12A)로부터는 그에 대응한 신호(제2 신호)가 출력된다. 제어부(14A)는, 제2 신호를 검지하면 트리거 스위치(12A)가 두 번 눌렸다고 판단한다.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가 두 번 눌리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즉 트리거 스위치(12A)의 조작이 한 번 누르기인 경우(이 경우, 제어부(14A)는 제1 신호를 검지함), 스텝 S130으로 되돌아가, 다시 와이어(W)를 보낸다. 트리거 스위치(12A)를 오프함으로써(스텝 S140), 와이어 루프의 확대(확경)는 일단 멈추지만(스텝 S150), 다시 트리거 스위치(12A)가 한 번 눌림으로써(스텝 S170), 와이어 루프는 다시 확대된다(스텝 S130). 한편, 제어부(14A)는, 제2 신호를 검지하여 트리거 스위치(12A)가 두 번 눌렸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180으로 진행된다.
스텝 S18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결속 동작, 즉 와이어(W)의 되끌기, 와이어(W)의 절단, 와이어(W)의 비틀기 동작을 차례로 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와이어(W)를 되끌거나 비틀기 동작 등을 행하기 전에, 작업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 루프의 내측에 결속 대상물인 복수의 철근 S를 삽입한다. 그리고 철근 S를 삽입 후, 트리거 스위치(12A)를 두 번 눌러서(스텝 S170), 제어부(14A)는, 이송 모터(33a),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함으로써, 와이어(W)의 되끌기, 비틀기 동작 등의 스텝 S180의 처리를 실행한다. 와이어(W)의 되끌기에 의해, 와이어(W)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철근의 주위에 밀착된다. 그 후, 절단된 와이어(W)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W)의 비틀기 동작에 의해, 철근을 결속한다.
여기서, 와이어(W)의 되끌기는 필수적인 처리가 아니며, 와이어(W)를 되끌지 않고, 와이어(W)의 절단 및 비틀기 동작을 행해도 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제1 조작이나 제2 조작을, 모두 공통의 트리거 스위치(제1 조작부)(12A)로 행하였지만, 이들 조작은 반드시 공통된 트리거 스위치(12A)로 행할 필요는 없다. 즉, 각각의 조작을 별개의 스위치로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트리거 스위치(12A)와는 별도로, 제2 조작이 되었을 때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제2 조작부)를 마련해도 된다.
본 예에서는, 트리거 스위치(12A)를 계속 누르는 한, 와이어 루프도 계속 확대되지만, 와이어 루프의 확대량에 제한을 두어도 된다. 즉, 트리거 스위치(12A)를 계속 누른 경우에도, 와이어(W)의 이송량이 소정량에 달하였을 때 또는 와이어 루프가 소정의 크기가 되었을 때, 이송 모터(33a)에 의한 와이어(W)의 이송, 즉 와이어 루프의 확대를 정지시켜도 된다. 또한, 와이어(W)의 이송량 또는 와이어 루프의 크기를 미리 다이얼이나 스위치 등으로 임의로(다단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본 예에서는, 제1 조작을 트리거 스위치(12A)의 한 번 누르기, 제2 조작을 트리거 스위치의 두 번 누르기로 하였지만, 예를 들어 제1 조작을 두 번 누르기, 제2 조작을 세 번 누르기로 하는 식으로, 제1 조작 및 제2 조작 모두 복수회 누르기로 해도 된다.
본 예에서는, 제1 조작을 트리거 스위치(12A)의 한 번 누르기, 제2 조작을 트리거 스위치(12A)의 두 번 누르기로 하였지만, 예를 들어 제1 조작도 제2 조작도 트리거 스위치(12A)의 한 번 누르기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조작을 검출하게 되면 와이어(W)가 이송됨으로써, 다이얼이나 스위치 등으로 설정한 소정의 크기의 와이어 루프를 형성하고, 그 후, 제2 조작이 행해지면, 결속 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본 예에서는, 전원 투입 후, 트리거 스위치(12A)를 온함으로써 와이어 루프를 형성하도록 하였지만, 전원 투입 후, 트리거 스위치(12A)를 온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와이어 루프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나아가, 전회 작업 종료시에, 와이어 루프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차회 작업시(전원 투입시)에는 이미 와이어 루프가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1A)에서는, 컬링된 와이어(W)의 선단측과 기단측을 각각 보유 지지하여 닫힌 상태의 와이어 루프를 먼저 형성하고, 이 상태로부터 와이어 루프의 기단측을 보냄으로써, 와이어 루프를 확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1B)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와이어 루프를 형성하지 않고, 와이어(W)의 선단측을 개방 상태로 하고 있다. 즉, 와이어 루프를 확대시키는 것이 아니라, 선단측이 개방된 와이어(W)를 본체부(10A)의 전방으로부터 연신하(인출하)도록 하고 있다. 작업자는, 후술하는 소정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W)를 원하는 길이까지 연신하면, 와이어(W)를 철근의 주위에 감고, 와이어(W)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부(70)에 보유 지지시킨다. 그리고 와이어(W)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부(70)에 보유 지지시킨 후, 결속 동작(와이어(W)의 되끌기, 와이어(W)의 절단, 와이어(W)의 비틀기 동작)을 행한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1B)의 제어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철근 결속기(1B)는,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 13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7은, 철근 결속기(1B)의 동작 설명도이다.
스텝 S30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작업자에 의해 트리거 스위치(제3 조작부)(12A)가 온(제3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되면, 트리거 스위치(12A)로부터 그것에 대응한 신호(제3 신호)가 출력된다. 제어부(14A)는, 제3 신호를 검지하면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되었다고 판단한다.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될 때까지 대기하고, 제3 신호를 검지하여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3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1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이송 모터(33a)를 구동하여 제1 이송 기어(30L) 및 제2 이송 기어(30R)를 정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W)를 정방향으로 보낸다. 이 때, 와이어(W)의 선단측은 전혀 보유 지지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와이어(W)를 보내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W)가 제1 가이드부(50)로부터 연신된다.
스텝 S32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작업자에 의해 트리거 스위치(12A)가 오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가 오프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즉 트리거 스위치(12A)가 계속해서 온되어 있는 동안(트리거 스위치(12A)의 길게 누르기 상태), 와이어(W)를 계속 이송한다(스텝 S310). 와이어(W)를 계속 이송함으로써, 와이어(W)는 제1 가이드부로부터 계속 신장된다(도 15 참조). 한편,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가 오프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33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3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의 오프에 수반하여, 이송 모터(33a)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와이어(W)의 이송 동작도 정지된다. 와이어(W)의 이송 동작이 종료된 단계에서, 작업자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측이 개방된 와이어(W)를 결속 대상물인 복수의 철근 S의 둘레에 감는다.
스텝 S34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작업자에 의해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될 때까지 대기하고,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되면 스텝 S35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5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가 복수회, 본 예의 경우, 두 번 누르기(제4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의 두 번 누르기에 대응한 신호(제4 신호)를 검지하면, 트리거 스위치(12A)가 두 번 눌렸다고 판단한다.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가 두 번 눌리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즉 트리거 스위치(12A)의 조작이 한 번 눌린(제3 조작) 경우, 스텝 S310으로 되돌아가, 다시 와이어(W)를 이송한다. 한편, 제어부(14A)는, 제4 신호를 검지하여 트리거 스위치(12A)가 두 번 눌렸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36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6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비틀기 모터(80)를 구동함으로써 와이어(W)의 선단부를 보유 지지부(70)에 의해 보유 지지시킨다(도 17 참조). 여기서, 와이어(W)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시키기 위해서는, 미리 작업자가 와이어(W)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부(70)에 세팅할 필요가 있다. 작업자는 와이어(W)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부(70)에 세팅한 후, 트리거 스위치(12A)를 두 번 누른다.
스텝 S37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작업자에 의해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제5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4A)는, 트리거 스위치(12A)의 온에 대응한 신호(제5 신호)를 검지하면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되었다고 판단한다. 제어부(14A)는, 작업자에 의해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될 때까지 대기하고, 트리거 스위치(12A)가 온되면 스텝 S38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80에 있어서, 제어부(14A)는, 결속 동작, 즉 와이어(W)의 되끌기, 와이어(W)의 절단, 와이어(W)의 비틀기 동작을 순서대로 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여기서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예에 있어서도 와이어(W)의 되끌기가 반드시 필수적인 처리는 아님은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또한, 제3 조작, 제4 조작 및 제5 조작은, 반드시 공통된 트리거 스위치(제3 조작부)(12A)로 행할 필요는 없으며, 각각 별도의 스위치로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트리거 스위치(12A)와는 별도로, 제4 조작이 되었을 때 제4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제4 조작부), 제5 조작이 되었을 때 제5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제5 조작부)를 마련해도 된다.
본 예에서는, 제3 조작을 트리거 스위치(12A)의 한 번 누르기, 제4 조작을 트리거 스위치(12A)의 두 번 누르기로 하고, 제5 조작을 트리거 스위치(12A)의 한 번 누르기로 하였지만, 예를 들어 제3 조작을 두 번 누르기, 제4 조작을 세 번 누르기, 제5 조작을 네 번 누르기로 하는 식으로, 제3 조작, 제4 조작 및 제5 조작 모두 복수회 누르기로 해도 된다.
본 예에서는, 트리거 스위치(12A)를 계속 누르는 한, 와이어(W)가 계속 신장되었지만, 와이어(W)의 신장량에 제한을 두어도 된다. 즉, 트리거 스위치(12A)를 계속 눌러도, 와이어(W)가 소정의 길이가 되면, 그 이상 신장되는 것을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W)의 신장량(이송량)이 소정량에 달하였을 때, 이송 모터(33a)를 정지시켜 와이어(W)의 이송을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와이어(W)의 신장량(이송량)을 다이얼이나 스위치 등으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본 예에서는, 와이어(W)에 컬링성을 부여하기 위한 컬 가이드를 구비하였지만, 본 예의 경우, 반드시 와이어(W)에 컬링성을 부여하지는 않아도 되기 때문에, 컬 가이드(5A)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트리거 스위치(12A)의 온 시간(길게 누르기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와이어 루프의 크기나 와이어(W)의 연신량(인출량)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루프의 크기나 와이어(W)의 연신량을 철근 S의 수나 굵기에 대응시킴으로써, 이제까지의 철근 결속기로는 결속할 수 없었던 수나 크기의 철근이라도 결속할 수 있게 된다. 즉, 트리거 스위치(12A)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 루프의 크기나 와이어(W)의 신장량을 무단계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결속 대상물이라도 결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닫힌 원환형 와이어 루프에 철근 S를 삽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철근 S를 결속하기 위해서는, 와이어 루프를 철근 S의 단부까지 가지고 가서, 와이어 루프의 환을 철근 S의 단부로부터 삽입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와이어(W)의 선단측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닫혀 있지 않기 때문에), 와이어(W)를 철근 S의 단부까지 갖고 갈 필요는 없어, 결속하고 싶은 장소에서 와이어(W)를 직접 철근 S에 감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경을 가한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 루프 또는 와이어(W)의 선단측을 결속부(7A)의 보유 지지부(70)에 보유 지지시키도록 하였지만, 보유 지지부(70)를 결속부(7A)에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결속부(7A)와는 별도로 마련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보유 지지부(70)를 결속부(7A)와는 다른 본체부(10A)나 컬 가이드(5A)에 마련해도 된다.
또한, 하나의 철근 결속기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의 양쪽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를 실행하는 모드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를 실행하는 모드를 마련하고, 이들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결속 대상물로서 철근 S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결속 대상물은 철근 S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결속 대상물로서, 파이프 등의 긴 물체여도 되고, 그 재질도 철제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제 등이어도 된다. 또한, 결속 대상물은 공업용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과수나 야채 등의 가지나 덩굴, 목제의 지주 등이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결속 대상물을 결속하는 선재로서 와이어(W)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선재는 와이어(W)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컬 가이드(5A)에 의해 와이어 루프를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소성 변형 가능한 선재가 필요해지지만,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소성 변형하지 않는 예를 들어 수지제의 테이프, 끈 등을 서로 꼰 로프 등의 유연 부재로 구성된 선재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W)의 결속 동작을 트리거 스위치(12A)의 조작에 기초하여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루프의 내측에 결속 대상물인 철근 S를 삽입한 후, 트리거 스위치(12A)를 두 번 누름으로써, 결속 동작, 즉 와이어(W)의 되끌기, 와이어(W)의 절단, 와이어(W)의 비틀기 동작을 행하였다. 이에 반하여, 예를 들어 와이어 루프의 내측에 철근 S가 삽입된 것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철근 S를 검출하면 트리거 스위치(12A)의 조작을 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결속 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철근 결속기(1A)에는 결속 대상물(철근 S 등)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17A)가 본체부(10A) 또는 컬 가이드(5A)에 마련되고,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출부(17A)는, 제어부(14A)에 접속된다. 검출부(17A)는, 와이어 루프의 내측에 결속 대상물(철근 S 등)을 검출하면, 제2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제2 신호를 검지한 제어부(14A)는, 이송 모터(33a) 및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결속 동작을 실행시킨다(도 6의 스텝 S180).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와이어(W)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도 13의 스텝 S360)한 후, 트리거 스위치(12A)의 조작에 의해 결속 동작을 행하는(도 13의 스텝 S370, 380) 것이 아니라, 와이어(W)의 보유 지지 후, 트리거 스위치(12A)를 조작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결속 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검출부(17A)는, 본체부(10A) 또는 컬 가이드(5A)에 마련되어, 제어부(14A)에 접속된다. 검출부(17A)는, 선단측이 보유 지지된 와이어(W)의 내측에 결속 대상물을 검출하면, 제5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제5 신호를 검지한 제어부(14A)는, 이송 모터(33a) 및 비틀기 모터(80)를 제어하여 결속 동작을 실행시킨다(도 13의 스텝 S380).
또한, 검출부(17A)에 의한 검출 방법은 특정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 등에 결속 대상물이 접촉한 것을 검출하는 접촉식 센서, 투광된 광이나 발신된 초음파의 반사광이나 반사파 등으로부터 결속 대상물을 검출하는 비접촉식 센서, 카메라로 찍은 영상을 화상 처리함으로써 결속 대상물을 검출하는 화상 센서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출원은, 2018년 7월 18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35390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1A: 철근 결속기(결속기)
3A: 와이어 이송부(이송부)
7A: 결속부(비틀기부)
10A: 본체부
12A: 트리거 스위치(제1 조작부, 제3 조작부)
14A: 제어부
17A: 검출부
70: 보유 지지부
W: 와이어

Claims (19)

  1. 컬링된 선재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상기 보유 지지부에 의해 상기 선단측이 보유 지지된 상기 선재의 기단측을 송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이송부와,
    상기 선재를 비트는 비틀기부와,
    상기 이송부 및 상기 비틀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신호를 검지하였을 때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재를 송출하고, 제2 신호를 검지하였을 때 상기 비틀기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재를 비트는,
    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제1 조작이 되었을 때 상기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조작부를 구비하는,
    결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부는, 조작자에 의해, 제2 조작이 되었을 때 상기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결속기.
  4. 제1항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제2 조작이 되었을 때 상기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조작부를 구비하는,
    결속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선단측이 보유 지지된 상기 선재의 상기 기단측을 되끌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를 검지하였을 때,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재를 되끈 후, 상기 비틀기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재를 비트는,
    결속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부는 트리거 스위치이며,
    상기 제1 조작 또는 상기 제2 조작의 어느 하나가 한 번 누르기 조작이며, 다른 쪽이 복수회 누르기 조작인, 결속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된 선재의 내측에 결속 대상물이 위치하였을 때, 상기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는,
    결속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를 검지하여 상기 선재를 송출하는 경우이며, 상기 선재의 송출량이 소정량에 달하였을 때, 상기 선재의 상기 송출을 정지하는,
    결속기.
  9. 선단측이 개방된 선재의 기단측을 송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송출된 상기 선재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상기 보유 지지부에 의해 상기 선단측이 보유 지지된 상기 선재를 비트는 비틀기부와,
    상기 이송부 및 상기 비틀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3 신호를 검지하였을 때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재를 송출하고, 제4 신호를 검지하였을 때 상기 보유 지지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재의 상기 선단측을 보유 지지하고, 제5 신호를 검지하였을 때 상기 비틀기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재를 비트는
    결속기.
  10. 제9항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제3 조작이 되었을 때 상기 제3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조작부를 구비하는,
    결속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작부는, 조작자에 의해, 제4 조작이 되었을 때 상기 제4 신호를 출력하는,
    결속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작부는, 조작자에 의해, 제5 조작이 되었을 때 상기 제5 신호를 출력하는,
    결속기.
  13. 제9항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제4 조작이 되었을 때 상기 제4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조작부를 구비하는,
    결속기.
  14. 제9항에 있어서, 조작자에 의해, 제5 조작이 되었을 때 상기 제5 신호를 출력하는 제5 조작부를 구비하는,
    결속기.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선단측이 보유 지지된 선재의 상기 기단측을 되끌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5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재를 되끈 후, 상기 비틀기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재를 비트는,
    결속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작부는 트리거 스위치이며,
    상기 제3 조작, 상기 제4 조작 및 상기 제5 조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한번 누르기 조작이며, 나머지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복수회 누르기 조작인,
    결속기.
  17.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측이 보유 지지된 선재의 내측에 결속 대상물이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제5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는,
    결속기.
  18. 제9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를 검지하여 상기 선재를 송출하는 경우이며, 상기 선재의 송출량이 소정량에 달하였을 때, 상기 선재의 상기 송출을 정지하는,
    결속기.
  19. 본체부와,
    컬링된 선재의 선단측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상기 보유 지지부에 의해 상기 선단측이 보유 지지된 상기 선재의 기단측을 송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이송부와,
    상기 컬링된 선재를 비트는 비틀기부
    를 구비하고,
    상기 보유 지지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닫힌 환형 선재를 상기 본체부의 선단측에 형성하고,
    상기 이송부에서 상기 선재의 상기 기단측을 송출함으로써 상기 환형 선재를 확경하는 것이 가능한,
    결속기.
KR1020217001340A 2018-07-18 2019-07-18 결속기 KR102662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35390A JP7275486B2 (ja) 2018-07-18 2018-07-18 結束機
JPJP-P-2018-135390 2018-07-18
PCT/JP2019/028362 WO2020017612A1 (ja) 2018-07-18 2019-07-18 結束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469A true KR20210033469A (ko) 2021-03-26
KR102662059B1 KR102662059B1 (ko) 2024-05-03

Family

ID=69164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340A KR102662059B1 (ko) 2018-07-18 2019-07-18 결속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269184A1 (ko)
EP (1) EP3825241A4 (ko)
JP (1) JP7275486B2 (ko)
KR (1) KR102662059B1 (ko)
CN (1) CN112424071B (ko)
AU (1) AU2019305369A1 (ko)
TW (1) TWI789541B (ko)
WO (1) WO20200176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1203A3 (fr) * 2018-12-27 2020-07-03 Michelin & Cie Installation de fabrication de tringles pour pneumatiques comprenant un poste de sertissage pourvu d’un sous-ensemble de preparation automatique de manchons de sertissage
JP7469971B2 (ja) 2020-06-30 2024-04-17 株式会社マキタ 鉄筋結束機
CN114872952B (zh) * 2022-05-09 2024-02-23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扎带枪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6101U (ko) 1974-08-20 1976-02-26
JPH09156608A (ja) * 1995-12-06 1997-06-17 Bentatsuku:Kk 結束機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4142782A (ja) * 2002-10-24 2004-05-20 Max Co Ltd 鉄筋結束機
KR100423385B1 (ko) * 1995-02-17 2004-07-19 니혼 오토매틱머신 카부시기가이샤 물품의결속방법및결속장치
KR20170131236A (ko) * 2016-05-19 2017-11-29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케이블 타이 인장 및 절단 도구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6101B2 (ko) 1973-04-26 1976-08-04
JP3050516B2 (ja) * 1995-12-14 2000-06-12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におけるワイヤの捨て打ち防止機構
JP3582411B2 (ja) * 1999-07-23 2004-10-27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AU2002323936B2 (en) * 2001-07-25 2008-02-21 Max Co., Ltd Reinforcing steel bar tying machine
JP5028935B2 (ja) * 2006-09-29 2012-09-19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及び巻付け具
LT3483360T (lt) * 2008-05-19 2022-10-25 Max Co., Ltd. Armatūros strypų rišimo mašinos vielos ritės stabdžių sistema
US8968887B2 (en) 2010-04-28 2015-03-0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Triphenylene-benzofuran/benzothiophene/benzoselenophene compounds with substituents joining to form fused rings
JP6724918B2 (ja) * 2015-07-22 2020-07-15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6674265B2 (ja) * 2016-01-28 2020-04-01 株式会社マキタ 鉄筋結束機
JP6887760B2 (ja) * 2016-05-20 2021-06-16 株式会社マキタ 鉄筋結束機
JP6972551B2 (ja) * 2016-12-29 2021-11-24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CN107161375B (zh) * 2017-06-13 2019-11-22 台州市新大陆电子科技有限公司 钢筋捆扎机捆扎圈数的控制方法及钢筋捆扎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6101U (ko) 1974-08-20 1976-02-26
KR100423385B1 (ko) * 1995-02-17 2004-07-19 니혼 오토매틱머신 카부시기가이샤 물품의결속방법및결속장치
JPH09156608A (ja) * 1995-12-06 1997-06-17 Bentatsuku:Kk 結束機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4142782A (ja) * 2002-10-24 2004-05-20 Max Co Ltd 鉄筋結束機
KR20170131236A (ko) * 2016-05-19 2017-11-29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케이블 타이 인장 및 절단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5241A1 (en) 2021-05-26
AU2019305369A1 (en) 2021-02-04
US20210269184A1 (en) 2021-09-02
JP2020011754A (ja) 2020-01-23
TW202012250A (zh) 2020-04-01
CN112424071B (zh) 2023-06-06
WO2020017612A1 (ja) 2020-01-23
JP7275486B2 (ja) 2023-05-18
EP3825241A4 (en) 2022-04-20
CN112424071A (zh) 2021-02-26
KR102662059B1 (ko) 2024-05-03
TWI789541B (zh)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1036B2 (ja) 結束機
KR102662059B1 (ko) 결속기
CN108454928B (zh) 捆扎机
KR20220120717A (ko) 결속기
WO1996025330A1 (fr) Procede et appareil pour lier un article
TWI700218B (zh) 捆束機
CN108327969B (zh) 捆扎机
EP4074923B1 (en) Binding machine
EP3945180A1 (en) Binding machine
JP7259425B2 (ja) 結束機
JP7283142B2 (ja) 結束機
US20240208683A1 (en) Binding machine
JPH0776328A (ja) 物品の結束方法及び結束装置
KR20240032649A (ko) 결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