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502A -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 - Google Patents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502A
KR20210028502A KR1020190109682A KR20190109682A KR20210028502A KR 20210028502 A KR20210028502 A KR 20210028502A KR 1020190109682 A KR1020190109682 A KR 1020190109682A KR 20190109682 A KR20190109682 A KR 20190109682A KR 20210028502 A KR20210028502 A KR 20210028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length
polishing
speed centrifugal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474B1 (ko
Inventor
이재서
이종봉
Original Assignee
(주) 디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씨엠 filed Critical (주) 디씨엠
Priority to KR1020190109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4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28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rotary barrels
    • B24B31/022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rotary barrels the workpieces being fitted on a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12Accessories; Protective equipment or safety devices; Installations for exhaustion of dust or for sound absorption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covered by group B24B3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방향을 따른 폭의 길이 A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른 길이 B보다 짧게 형성되는 배럴을 포함하는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DEVELOPMENT FOR LARGE-CAPACITY HIGH-SPEED CENTRIFUGAL POLISHING MACHINE THAT MAXIMAZES POLISH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에 관한 것이다.
피가공물의 버(burr) 제거, 라운딩 가공, 광택 마무리 연마 등을 행하는 배럴 연마기로서, 원심 배럴 연마기가 알려져 있다. 원심 배럴 연마기는 공전축을 중심으로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공전 원반(터릿(Turret))에, 그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마조(배럴조)가 자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구조이다. 배럴조에 피가공물과 연마석, 컴파운드, 물을 배럴조 내에 삽입하고, 이것을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부품과 연마석이 서로 부딪히면서 강력한 절삭력이 생기거나 또는 광택을 내게 하는 방식의 연마기이다.
1회의 운전(연마 사이클)으로 연마할 수 있는 피가공물의 양은, 배럴조의 치수에 의존한다. 종래의 배럴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길고 직경이 좁은 형태로 형성된다. 일 예로, 폭은 770m이고 직경이 418m 의 크기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경우, 배럴조의 깊이가 깊지 않고 폭이 넓기 때문에 피가공물과 연마석의 마찰력이 크지 않아, 많은 양의 피가공물의 연마하기 위해서는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연마가 종료된 후, 피가공물과 연마석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직접 배럴조의 뚜껑을 오픈하고, 배럴조의 하부에 수거통을 직접 이동시키는 등의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6941호(2001.06.25.)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용량의 배럴조를 통해 연마 시간을 단축시킬 수있는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연마가 종료된 피가공물과 연마석을 배출하는 과정을 자동화 할 수 있는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방향을 따른 폭의 길이 A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른 길이 B보다 짧게 형성되는 배럴을 포함하는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길이 A와 상기 길이 B의 비율은 1:1.1이상 및 1:1.5이하인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럴의 깊이에 해당하는 길이는 상기 길이 B보다 기 설정된 길이만큼 작거나, 상기 길이 B와 동일한 길이인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럴이 설치되는 터릿; 및 상기 배럴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구동장치; 및 상기 메인구동장치에서 전달되는 회전수를 감소시켜 상기 터릿에 전달하여, 상기 배럴이 회전하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기어;를 포함하는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럴이 180rpm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릿의 직경은 17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럴은 기 설정된 함량 이상의 망간을 포함하는 고망간강(higher manganese steel)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럴조에서 낙하하는 물체 및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럴조에서 하측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물체 및 액체를 외부로 가이드하는 호퍼; 및 상기 호퍼 하측에서부터 외부까지 설치되어, 수거조를 상기 호퍼 하측에서부터 외부까지 왕복 이동 시키는 컨베이어벨트; 를 포함하는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대용량의 배럴조를 통해 연마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연마가 종료된 피가공물과 연마석을 배출하는 과정을 자동화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심 연마기의 배럴을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의 제1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의 제2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배럴의 측면도
도 12는 도 9의 배럴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 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1)는 하우징(10), 배럴(20), 터릿(30), 중심기어(40), 덮개 개방부(50), 구동부(60), 배출부(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배럴(20), 구동부(60) 등의 구성들을 지지하는 동시에 감싸도록 형성되어, 전체 외형을 이룰 수 있다. 하우징(10)은 프레임부(11), 플레이트(12), 배럴개방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부(11)가 배럴(20) 등의 구성들의 외측에서 틀을 이룰 수 있다. 지면과 수직인 수직 프레임부(11a)가 복수개 설치되고, 수직 프레임부(11a)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 프레임부(11b)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즉, 수평 프레임부(11b)의 양 단 각각이 서로 이격된 수직 프레임부(11a)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 프레임부(11a)와 수평인 프레임부(11b)가 서로 연결되어 지지력 및 고정력이 증가할 수 있다.
플레이트(12)는 프레임부(11)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플레이트(12)는 프레임부(11)에 고정되어 내부에 배치된 구성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12)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특정 구성들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배럴개방부(13)는 하우징(10)에서 배럴(20)이 배치된 부분을 개방 또는 차폐할 수 있다. 배럴개방부(13)는 양 측에 배치된 터릿(30) 사이에 고정된 배럴(20)을 외부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이때, 배럴개방부(13)는 배럴(20)의 폭(제1 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배럴개방부(13)는 커버(131), 가이드체인(132), 샤프트(133), 커버이동기어(134) 및 동력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31)는 배럴개방부(13)의 외측에서 터릿(3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131)는 터릿(30)의 곡률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체인(132)은 배럴개방부(13)가 터릿(30)의 둘레를 따라 회전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체인(132)은 커버(131)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체인(132)은 배럴개방부(13)의 길이 방향을 따라(즉, 배럴개방부(13)의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샤프트(133)는 하우징(10)의 상부에서 가이드체인(132)과 소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샤프트(133)에는 커버이동기어(134)가 설치되고, 커버이동기어(134)는 가이드체인(132)과 맞물릴 수 있다. 동력부(135)와 연결되어, 동력부(135)에 의해 커버이동기어(134)가 회전하고, 커버이동기어(134)가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체인(132)이 이동되어, 커버(131)가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력부(135)의 작동, 배럴개방부(13)의 회전은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어부(80)는 동력부(135)의 작동의 on/off를 제어하여, 배럴개방부(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배럴(20)은 배럴조(21), 덮개(22) 및 배럴기어(23)를 포함할 수 있다.
배럴조(21)는 내부에 피가공물과, 콤파운드, 연마석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배럴조(21)가 피가공물과, 콤파운드, 연마석이 수용하고, 덮개(22)가 배럴조(21)의 개방부(212)를 차폐한 상태에서, 배럴(20)이 회전함에 따라 피가공물과 연마석이 마찰되며, 피가공물의 버를 제거 및 표면 가공을 할 수 있다.
덮개(22)는 배럴조(21)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212)를 개방 또는 차폐할 수 있다. 덮개(22)는 후술할 덮개 개방부(50)에 의해 승하강 될 수 있다.
배럴기어(23)는 터릿(30)에 설치된 중심기어(40)와 연결될 수 있다. 중심기어(40)가 구동부(6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에 따라, 배럴기어(23)가 회전하게 되어, 배럴(20)이 터릿(30)의 회전에 따라 회전 할 수 있다.
터릿(30)에는 복수의 배럴기어(23)와 중심기어(4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배럴(20)은 터릿(3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4개의 배럴(20)이 터릿(30)에 설치될 수 있다.
덮개 개방부(50)는 배럴(20)의 덮개(22)를 개방할 수 있다. 덮개 개방부(50)는 연마과정이 종료된 후, 피가공물과 연마석 등을 배출할 때 작동될 수 있다. 덮개 개방부(5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의 도 12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부(60)는 메인구동장치(61), 감속기어(62), 제1 아이들기어(63), 제2 아이들기어(64), 제1 타이밍벨트(65), 제2 타이밍벨트(66), 제1 구동벨트(67), 제2 구동벨트(68) 및 연결벨트(69)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는 메인구동장치(61)의 동력을 전달하여, 배럴(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메인구동장치(60)는 중심기어(40)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구동장치(61)는 크기가 큰 복수의 배럴(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가질 수 있는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감속기어(62)는 메인구동장치(61)와 터릿(30)을 연결시킬 수 있다. 감속기어(62)는 메인구동장치(61)에서 출력되는 회전 수를 줄여서 터릿(3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배럴(20)을 180rpm 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아이들기어(63)와 제2 아이들기어(64)는 중간기어(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아이들기어(63)와 제2 아이들기어(64)는 배럴(20)에서 연마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배럴(20)이 축회전 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며 터릿(30)이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제1 아이들기어(63)와 제2 아이들기어(64)는 연마 작업이 종료된 후 배럴조(21) 내부의 피가공물과 연마석 등을 배출할 때 배럴조(21)가 축 회전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1 타이밍벨트(65)는 제1 배럴(20a)의 배럴기어(23a)와 제2 배럴(20b)의 배럴기어(23b)와 중심기어(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타이밍벨트(65)는 중심기어(40)의 회전력을 제1 배럴(20a)의 배럴기어(23a)와 제2 배럴(20b)의 배럴기어(23b)에 전달하여, 중심기어(40)의 회전에 따라 제1 배럴(20a)과 제2 배럴(20b)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타이밍벨트(66)는 제3 배럴(20c)의 배럴기어(23c)와 제4 배럴(20d)의 배럴기어(23d)와 중심기어(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타이밍벨트(66)는 중심기어(40)의 회전력을 제3 배럴(20c)의 배럴기어(23c)와 제4 배럴(20d)의 배럴기어(23d)에 전달하여, 중심기어(40)의 회전에 따라 제3 배럴(20c)과 제4 배럴(20d)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구동벨트(67)는 중심기어(40)와 감속기어(62)에 연결되고, 제2 구동벨트(68)는 감속기어(62)와 메인구동장치(6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구동장치(61)에서 전달하는 힘을 감속기어(62)를 거쳐 중심기어(40)로 전달할 수 있다. 고하중의 배럴(20)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고하중의 배럴(20)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럴(20)과 구동부(60) 사이에 감속기어(62)를 배치시킨 것이다.
배출부(70)는 호퍼(71), 컨베이어벨트(72) 및 수거조(73)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71)는 터릿(30)의 하부에 위치되어, 배럴조(21)에서 낙하하는 피가공물, 콤파운드, 연마석이 배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컨베이어벨트(72)는 외부에서부터 호퍼(71)의 하측까지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컨베이어벨트(72)는 수거조(73)을 호퍼(71)의 하측에서부터 외부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럴조(21) 내부의 피가공물, 콤파운드, 연마석을 배출할 경우, 피가공물, 콤파운드, 연마석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수거조(73)을 컨베이어벨트(72)를 이용하여 호퍼(71)의 하측에 배치시킬 수 있다. 수거조(73)이 호퍼(71)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배럴조(21)의 피가공물, 콤파운드, 연마석이 낙하되면, 수거조(73)에 피가공물, 콤파운드, 연마석이 수용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다시 컨베이어벨트(72)에 의해 수거조(73)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피가공물, 콤파운드, 연마석을 배출하는 과정을 자동화 할 수 있다.
컨베이어벨트(72)의 이동은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0)가 컨베이어벨트(72)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여, 수거조(73)을 외부에서 호퍼(71)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수거조(73)을 호퍼(71) 하측에서부터 외부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80)는 배럴개방부(13), 배럴(20), 메인구동장치(61), 컨베이어벨트(7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이동장치(12)의 동력부(135)의 on/off 작동을 제어하여, 배럴개방부(13)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배럴개방부(13)가 회전함에 따라 배럴(20)이 작업자에게 오픈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메인구동장치(61)의 회전을 제어하여, 배럴(2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0)는 메인구동장치(61)의 작동을 제어하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구동장치(61)가 정회전 방향으로 중심기어(40)를 회전시킴에 따라, 배럴기어(23)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배럴(20)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메인구동장치(61)가 역회전 방향으로 중심기어(40)를 회전시킬 경우, 배럴기어(23)가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배럴(20)이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컨베이어벨트(72)의 작동 및 작동 방향을 제어하여, 수거조(73)를 진입 및 배출시킬 수 있다. 제어부(80)가 컨베이어벨트(72)를 호퍼(71) 측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할 경우, 수거조(73)가 호퍼(71) 하측으로 진입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80)가 컨베이어벨트(72)를 호퍼(71) 하측에서 외부측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할 경우, 수거조(73)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1)는 자동화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의 제1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의 제2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배럴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배럴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배럴(20)은 배럴조(21), 덮개(22) 및 배럴기어(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배럴조(21)는 피가공물, 콤파운드, 연마석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배럴조(21)는 제1 방향을 따라 절단된 단면의 폭의 길이 A가 제2 방향을 따라 절단된 단면에서 가장 긴 폭의 길이 B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B는 직경일 수 있다. 또한, 배럴조(21)의 깊이는 직경과 대응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배럴조(21)의 깊이 C는 길이 B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A는 464m이고, 길이 B는 584m이고, 길이 C는 580m일 수 있다. 길이 A와 길이 B의 비율은 1:1.1이상 및 1:1.5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26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배럴조(21)의 크기를 살펴보면, 본원발명의 길이 A에 대응되는 길이 x는 770m이고, 본원발명의 길이 B에 대응되는 길이 y의 길이는 418m이다. 또한, 본원발명의 깊이 C에 대응되는 길이 z는 410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배럴조(21)는 제1 방향을 따른 폭은 종래의 배럴조(21)의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본원발명의 배럴조(21)는 제2 방향에 따른 직경에 대응되는 길이는 종래의 배럴조(21)의 직경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폭이 좁고 내부의 깊이가 깊은 본원발명의 배럴조(21)는 피가공물과 연마석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폭은 좁고 깊이가 깊은 배럴조(21)가 회전할 경우, 배럴조(21) 내부의 물체와 액체들의 낙하거리가 커지게 된다. 낙하거리가 커지게 됨으로써 움직임이 커지게 되어, 내부의 내용물들 간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피가공물의 연마를 보다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배럴조(21)에서 특정 피가공물을 연마시키기 위해서는 3시간의 작업 시간이 필요한 반면, 본원발명과 같이 폭이 좁고 낙하거리를 증가시키며 전체 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동일한 특정 피가공물을 연마시키기 위한 작업 시간이 1시간으로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배럴조(21)의 전체 체적이 증가함으로써, 구동부(60)의 모터 사양을 높일 수 있어, 180rpm의 회전속도로 배럴조(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메인구동장치(61)과 터릿(30)을 감속기어(62)를 통해 2단으로 연결함으로써, 힘이 분산되고 이로 인해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빠른 속도로 배럴(20)을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배럴(20) 회전속도보다 빠른 180rpm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메인구동장치와 터릿을 1단으로 바로 연결하기 때문에 소음 발생이 크고, 이로 인해 동일한 용량(60리터)의 배럴(20)을 120rpm으로 회전시킬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럴(20)은 기 설정된 함량 이상의 망간을 포함하는 고망간강(higher manganese stee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배럴(20)은 탄소 0.31중량%, 규소 0.42중량%, 망간 1.23중량%, 인 0.015중량%, 황 0.021중량% 및 잔량의 주강(casting stee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20)은 고망간강을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 이상으로 두껍게 제작하기 때문에 별도의 고무(R) 코팅을 하지 않아도 된다. 일 예로, 도 1과 같이 종래에 고무(R) 코팅을 이용하는 경우, 철판 6mm의 외부에 6mm의 고무(R) 코팅이 되어 배럴(20)이 형성되었다. 반면에, 본원발명은 고망간강 30mm로 형성되어, 강도를 증가시키고 소음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배럴조(21)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1 돌출부(211), 제2 돌출부(212) 및 제3 돌출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211)는 개방부가 형성된 상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써, 측면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11)는 덮개(22)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써, 배럴조(21) 상부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살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돌출부(212)는 굴곡지는 부분 또는 각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배럴조(21)의 각지는 부분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살 역할을 할 수 있다.
제3 돌출부(213)는 외측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돌출부(213)는 배럴조(21)의 측면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살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덮개(22)는 배럴조(21)의 상면과 맞닿아, 배럴조(21)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S)를 차폐할 수 있다. 덮개(22)는 양 측에서 돌출형성되는 체결돌기(221)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돌기(221)는 배럴조(21)에 형성된 체결홀(210)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덮개(22)와 배럴조(21)를 체결 또는 분리 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덮개 개방부(50)는 와이어(51), 고리부(52) 및 도르래(53)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 개방부(50)는 하우징(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131)가 개방되어, 배럴(20)이 외부에 노출되면 작동될 수 있다.
도르래(53)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51)가 풀리게되고, 이에 고리부(52)가 배럴(20)의 덮개(22)까지 하강하게 된다. 고리부(52)가 덮개(22)에 형성된 홀에 걸리게 되면, 도르래(53)가 다시 작동되어 와이어(51)가 권취될 수 있다. 이때, 체결돌기(221)는 배럴조(21)에 형성된 체결홀(210)에서 이탈된 상태이다.
도르래(53)가 와이어(51)를 권취하게되면 고리부(52)에 걸린 덮개(22)가 상승하게 되어 배럴조(21)의 개방부(S)가 개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터릿(30)이 회전하면서 배럴조(21)가 축회전하게 되어, 개방부(S)가 하측 방향을 바라보도록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배럴조(21) 내부의 내용물들이 호퍼(71)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
10: 하우징 11: 프레임부
12: 플레이트 13: 배럴개방부
20: 배럴 21: 배럴조
22: 덮개 23: 배럴기어
30: 터릿 40: 중심기어
60: 구동부 70: 배출부
80: 제어부

Claims (8)

  1. 제1 방향을 따른 폭의 길이 A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른 길이 B보다 짧게 형성되는 배럴을 포함하는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이 A와 상기 길이 B의 비율은 1:1.1이상 및 1:1.5이하인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럴의 깊이에 해당하는 길이는 상기 길이 B보다 기 설정된 길이만큼 작거나, 상기 길이 B와 동일한 길이인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럴이 설치되는 터릿; 및
    상기 배럴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구동장치; 및
    상기 메인구동장치에서 전달되는 회전수를 감소시켜 상기 터릿에 전달하여, 상기 배럴이 회전하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기어;를 포함하는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럴이 180rpm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터릿의 직경은 17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럴은 기 설정된 함량 이상의 망간을 포함하는 고망간강(higher manganese steel)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럴조에서 낙하하는 물체 및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럴조에서 하측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물체 및 액체를 외부로 가이드하는 호퍼; 및
    상기 호퍼 하측에서부터 외부까지 설치되어, 수거조를 상기 호퍼 하측에서부터 외부까지 왕복 이동 시키는 컨베이어벨트;
    를 포함하는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
KR1020190109682A 2019-09-04 2019-09-04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 KR102245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682A KR102245474B1 (ko) 2019-09-04 2019-09-04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682A KR102245474B1 (ko) 2019-09-04 2019-09-04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502A true KR20210028502A (ko) 2021-03-12
KR102245474B1 KR102245474B1 (ko) 2021-04-29

Family

ID=7517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682A KR102245474B1 (ko) 2019-09-04 2019-09-04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4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902B1 (ko) * 2020-05-06 2021-09-24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배럴연마장치
CN113523964A (zh) * 2021-07-22 2021-10-22 江苏双菊风机有限公司 一种离心风机外壳精加工装置及精加工工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907B2 (ja) * 1978-06-16 1984-12-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軽量板状合成材料の製造方法
KR860003080A (ko) * 1984-10-16 1986-05-19 히사미네 고바야시 다기능 배럴 연마기
JPH01177968A (ja) * 1987-12-28 1989-07-14 Tipton Mfg Corp 全自動多機能バレル研磨機
JPH10202501A (ja) * 1997-01-17 1998-08-04 Kawauchi Saiseki Kk 石類の研磨装置
KR200236941Y1 (ko) 2000-02-25 2001-09-13 이규열 헤드레스트 지지로드의 배럴 연마용 지그
KR200288581Y1 (ko) * 2002-05-21 2002-09-10 김젬마 원심 연마기
KR20130061025A (ko) * 2010-09-22 2013-06-10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원심 배럴 연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343322A (zh) * 2012-04-25 2013-11-01 Sintokogio Ltd 離心桶研磨機及研磨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907B2 (ja) * 1978-06-16 1984-12-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軽量板状合成材料の製造方法
KR860003080A (ko) * 1984-10-16 1986-05-19 히사미네 고바야시 다기능 배럴 연마기
JPH01177968A (ja) * 1987-12-28 1989-07-14 Tipton Mfg Corp 全自動多機能バレル研磨機
JPH10202501A (ja) * 1997-01-17 1998-08-04 Kawauchi Saiseki Kk 石類の研磨装置
KR200236941Y1 (ko) 2000-02-25 2001-09-13 이규열 헤드레스트 지지로드의 배럴 연마용 지그
KR200288581Y1 (ko) * 2002-05-21 2002-09-10 김젬마 원심 연마기
KR20130061025A (ko) * 2010-09-22 2013-06-10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원심 배럴 연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902B1 (ko) * 2020-05-06 2021-09-24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배럴연마장치
CN113523964A (zh) * 2021-07-22 2021-10-22 江苏双菊风机有限公司 一种离心风机外壳精加工装置及精加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474B1 (ko)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474B1 (ko)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
KR880002340B1 (ko) 다기능 배럴 연마기
EP3395501B1 (en) Vibrating barrel polishing method and vibrating barrel polishing system
KR100856008B1 (ko) 배럴 및 이를 갖춘 연마기
US4408417A (en) Fully automatic barrel finishing machine
CN210060747U (zh) 一种中心力加载自动磨抛机
CN208697078U (zh) 一种旋转式塑胶外壳加工用磨床
KR960004344B1 (ko) 연마 가공 장치
KR200495429Y1 (ko) 연마장치용 배럴
US4363194A (en) Vertical self-separating centrifugal finis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media return
JP7061289B2 (ja) バレル研磨方法
KR102100434B1 (ko) 원심 분리형 절삭유 여과 장치
CN109514394A (zh) 一种方便更换磨料的水循环旋流光饰机
CN105922115A (zh) 一种自动上料微型抛光设备
CN102615583A (zh) 研磨装置
CN201291418Y (zh) 一种行星式光饰机
JPH0543458B2 (ko)
JPH05228826A (ja) 二重構造バレル槽
KR200463067Y1 (ko) 저속 배럴 연마기
JPS6110925Y2 (ko)
CN217394646U (zh) 一种汽车座椅冲压件加工用螺旋震动研磨机
CN209737266U (zh) 一种小直径弯管抛光机
KR200314800Y1 (ko) 원심 연마기의 배럴
JP2022144898A (ja) 遠心バレル研磨方法
CN214869689U (zh) 一种新型软磁铁氧体去毛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