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599A -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599A
KR20210027599A KR1020190106275A KR20190106275A KR20210027599A KR 20210027599 A KR20210027599 A KR 20210027599A KR 1020190106275 A KR1020190106275 A KR 1020190106275A KR 20190106275 A KR20190106275 A KR 20190106275A KR 20210027599 A KR20210027599 A KR 20210027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module
vehicle
airbag
motor
seat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래
박동호
조영근
김형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6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7599A/ko
Publication of KR2021002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5Pelv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시트백의 측면에 설치되고, 전개 시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하는 에어백 모듈; 및 차량 시트백의 측면에 내장되어 에어백 모듈과 연결되고, 차량 시트백의 리클라이닝과 연동하여 에어백 모듈을 차량 시트백 측면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가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차량 측면 에어백의 위치를 가변 시켜 탑승자의 측면 추돌 상해를 저감할 수 있는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측면 충돌 발생시 도어에 위치한 측면충돌센서(SIS:Side Impact Sensor) 및 기타 센서들을 통해 충격량을 감지하고 시트백의 측면에 마운팅된 측면 에어백을 전개 시켜 탑승자의 가슴과 골반 측면을 보호한다.
종래의 차량 측면 에어백은 시트백이 정상적인 범위 내지 일반적인 범위에서 리클라이닝 각도를 유지하고 있을 경우에는 예정된 위치에 탑승자의 가슴과 골반이 위치되기 때문에 측면 에어백의 전개 시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가 증가하여 탑승자이 완전히 눕는 릴렉스 자세에서의 측면 충돌 시 종합상해 가능성은 정상자세 대비 4배 이상 증가한다. 상해 분석 결과 릴렉스 자세에서 에어백의 보호 영역이 정상 착좌 자세와 달라지기 때문에 상해가 악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릴렉스 자세에서 종래의 차량 측면 에어백이 골반 영역을 보호할 수 없는 곳에 위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충격이 골반 영역을 제외한 상체 영역에만 집중되므로 효과적으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없게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릴렉스 자세에서도 측면 충돌 시에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9-0061793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에 따라 측면 에어백의 위치를 가변 시켜 차량의 측면 충돌 상해를 저감할 수 있는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에 따른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는 차량 시트백의 측면에 설치되고, 전개 시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하는 에어백 모듈; 및 차량 시트백의 측면에 내장되어 에어백 모듈과 연결되고, 차량 시트백의 리클라이닝과 연동하여 에어백 모듈을 차량 시트백 측면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에어백 모듈은, 탑승자의 상체 영역을 보호하는 상부 챔버, 탑승자의 골반 영역을 보호하는 하부 챔버, 및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에 가스를 주입해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는 에어백 모듈이 슬라이딩되는 장착면이 구비되고, 장착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에어백 모듈은 장착면에서 가이드홀을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에어백 모듈에는 장착면을 향해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는 장착면의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장착면에는 가이드홀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이 마련되고, 에어백 모듈은 레일에 연결됨으로써 에어백 모듈의 슬라이딩이 보조될 수 있다.
이동부는 모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에어백 모듈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 및 차량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모터에 결합되며, 모터의 회전운동을 에어백 모듈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리드스크류기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는 차량 시트백의 리크라이닝 각도가 증가하는 경우 에어백 모듈이 시트백에제어부는 차량 시트백의 리크라이닝 각도가 감소하는 경우 에어백 모듈이 시트백에서 상방으로 슬라이되도록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부는 차량 시트백 리클라이닝 기구의 회전축과 에어백 모듈의 사이를 연결하여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에어백 모듈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에는 스퍼기어와 웜 및 웜기어가 포함되고, 차량 시트백 리클라이닝 기구의 회전축에 스퍼기어가 결합되며, 스퍼기어에 웜과 웜기어가 연결되고, 웜과 일체인 리드스크류기어가 에어백 모듈에 연결되어, 시트백 리크라이닝 각도 변화에 따라 에어백 모듈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연결부에는 랙-피니언 구조가 포함되고, 차량 시트백 리클라이닝 기구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스퍼기어에 웜기어링크가 연결되고 웜기어링크에 연결된 랙-피니언 구조가 에어백 모듈에 연결되어, 시트백 리크라이닝 각도 변화에 따라 에어백 모듈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에 따라 차량 측면 에어백의 위치를 변경시켜 다양한 리클라이닝 각도에서도 측면 충돌시에 탑승자의 상체와 골반 영역을 모두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의 전동제어방식의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의 수동제어방식의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의 전동제어방식의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의 수동제어방식의 구성도이다.
도 1은 에어백 모듈(100)이 상승되어 있는 구조이고 도 2 내지 도 4는 탑승자가 완전히 눕는 릴렉스 자세에서의 에어백 모듈(100)이 하강 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발명에 따른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는 차량 시트백의 측면에 설치되고, 전개 시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하는 에어백 모듈(100); 및 차량 시트백에 측면에 내장되며, 에어백 모듈(100)과 연결되고, 차량 시트백의 리클라이닝과 연동하여 에어백 모듈(100)을 차량 시트백 측면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이동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100)은, 탑승자의 상체 영역을 보호하는 상부 챔버, 탑승자의 골반 영역을 보호하는 하부 챔버, 및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에 가스를 주입해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200)는 차량 시트백의 측면 프레임에 마련되고, 에어백 모듈(100)은 브라켓을 통해 시트백의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고 이동부(200)와 연결되어, 에어백 모듈(100)이 이동부(200)의 조작에 의해 시트백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200)는 에어백 모듈(100)이 슬라이딩되는 장착면이 구비되고, 장착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홀(210)이 형성되며, 에어백 모듈(100)은 장착면에서 가이드홀(210)을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이 가이드될 수 있다. 장착면은 시트백 프레임의 측면이 해당될 수도 있고, 앞서 설명한 별도의 브라켓일 수도 있다. 에어백 모듈(100)은 이러한 장착면에 장착되어 측면 충돌 시 전개됨으로써 탑승자의 측면 상해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에어백 모듈(100)이 고정된 위치에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에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가 가변되고, 가변된 위치에서 전개되기 때문에 최적의 위치에서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백 모듈(100)에는 장착면을 향해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는 장착면의 가이드홀(210)에 삽입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즉, 시트백 프레임이나 별도의 브라켓에 가이드홀(210)을 형성하고, 돌출부를 통해 가이드홀(210)을 따라 에어백 모듈(100)이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에어백 모듈(100)은 정해진 루트로 정확하게 이동이 가능하며, 돌출부가 가이드홀(210)에 걸려 있기 때문에 차량의 급격한 움직임 또는 충돌시에도 에어백 모듈이 시트백 프레임에서 이탈되지 않고 장착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착면에는 가이드홀(210)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220)이 마련되고, 에어백 모듈(100)은 레일(220)에 부가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에어백 모듈(100)의 슬라이딩이 보조될 수 있다. 에어백 모듈(100)은 가이드홀(210)에 삽입된 돌출부에 의한 1점 이동에서 장착면에 마련된 레일(220)에 연결되어 2점 이동으로 위치가 이동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제 차량의 시트에 적용하였을 경우, 측면 에어백 모듈(100)은 이동부(200)에 의해 위치가 80mm 이상 가변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를 통해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닝 각도가 증가하여 릴렉스 자세인 경우에도 차량 측면 에어백이 탑승자의 골반 영역을 보호하여 측면 충돌 상해 저감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부(200)는 모터(230), 모터(23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에어백 모듈(100)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240) 및 차량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에 따라 모터(23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차량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받아 모터(230)를 제어할 수 있다. 모터(230)와 구동부(240)는 시트백의 측면에 장착되며, 모터(230)의 회전은 구동부(240)를 통해 에어백 모듈(100)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도 2의 구동부(240)의 구조는 도 3의 리드스크류기어링크(253)와 동력원은 다르고 작동하는 방식은 같은 구조이다.
구동부(240)는 모터(230)에 결합되며, 모터(230)의 회전운동을 에어백 모듈(10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리드스크류기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에어백 모듈(100)과 구동부(240)의 리드스크류기어의 볼트 부분이 결합되는 부분은 도시하지 않으나 구동부(240)의 구성에는 포함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240)에 포함된 리드스크류기어의 너트 부분에 에어백 모듈(100)이 결합되고, 모터(230)와 결합된 리드스크류기어의 볼트 부분은 고정 회전을 통해 리드스크류기어의 너트 부분에 결합된 에어백 모듈(100)을 가이드홀(210)과 레일(220)의 가이드를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차량 시트백의 리크라이닝 각도가 증가하는 경우 에어백 모듈(100)이 시트백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모터(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차량 시트백의 리크라이닝 각도가 감소하는 경우 에어백 모듈(100)이 시트백에서 상방으로 슬라이되도록 모터(2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모터(230)의 회전수와 구동부(240)의 리드스크류기어의 기어 크기를 조절하여 에어백 모듈(100)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는 차량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가 일정 각도보다 증가되어 에어백 모듈(100)이 전개되었을 시 탑승자의 골반 영역을 보호하지 못하는 위치로 될 때부터 모터(230) 구동을 제어하여 모터(230)와 연결된 구동부(240)를 통해 에어백 모듈(100)을 하방으로 슬라이딩시켜 탑승자의 골반 영역과 상체 영역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에어백 모듈(100)이 전개되었을 때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는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 이하의 각도 일 때는 모터(230) 구동을 제어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는 탑승자가 완전히 눕는 릴렉스 자세에서 정상 착좌 자세로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가 감소했을 시 모터(230)를 제어하여 모터(230)와 연결된 구동부(240)를 통해 에어백 모듈(100)이 상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 릴렉스 자세에서 정상 착좌 자세로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가 변경될 시에도 에어백 모듈(100)이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에 따라 에어백 모듈(100)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어느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에서도 탑승객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예로, 시트의 경우 정상 착좌 상태일 때 시트백 리클라이닝 각도가 215도이고 릴렉스 자세일 때 255도일 수 있으며, 모터(230)의 경우 모터(230) 1회전시에 1mm 이동하는 리드스크류기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시트백 리클라이닝 각도가 0.5도 증가할 경우에는 모터(230)를 1바퀴 정회전시켜 리드스크류를 1mm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에어백 모듈(100)을 1mm 하강시키는 것이다. 반대로, 시트백 리클라이닝 각도가 0.5도 감소할 경우에는 모터(230)를 1바퀴 역회전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모터(230) 구동을 통해 시트백의 각도에 따른 에어백 모듈(100)의 슬라이딩 거리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동부(200)는 차량 시트백 리클라이닝 기구의 회전축과 에어백 모듈(100)의 사이를 연결하여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에어백 모듈(10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3을 더 참조하면, 연결부(250)에는 차량 시트백 리클라이닝 기구의 회전축에 결합된 스퍼기어(251)에 웜과 웜기어(252)를 연결하고 웜과 일체인 리드스크류기어링크(253)를 연결하여 시트백 리크라이닝 각도 변화에 따라 에어백 모듈(100)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스퍼기어(251)와 연결된 웜기어(252)는 Mutilated gear로 시트백이 정상 착좌 자세 보다 앞으로 이동하는 경우 기어 연결해제를 통해 에어백 모듈(100)의 기존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를 조절 시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회전축에 결합된 스퍼기어(251)가 회전하고 스퍼기어(251)와 연결된 웜기어(252)가 웜을 회전시켜 웜과 일체인 리드스크류기어링크(253)가 구동되어 리드스크류기어링크(253)의 볼트 부분에 결합되어 에어백 모듈(100)은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에 따라 기어를 통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연결부(250)에는 랙-피니언(255,255') 구조가 포함되고, 차량 시트백 리클라이닝 기구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스퍼기어(251)에 웜기어링크(254)가 연결되고 웜기어링크(254)에 연결된 랙-피니언(255,255') 구조가 에어백 모듈(100)에 연결되어 시트백 리크라이닝 각도 변화에 따라 에어백 모듈(100)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웜기어링크(254)는 링크의 양쪽이 웜과 웜기어(252)로 형성되어 스퍼기어(251)와 랙-피니언(255,255') 구조를 연결시킬 수 있다.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가 변경될 시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기구의 회전축에 결합된 스퍼기어(251)가 회전하고, 스퍼기어(251)와 연결된 웜기어링크(254)가 구동되고 웜기어링크(254)가 피니언(255)을 회전시켜 피니언(255)이 에어백 모듈(100)과 결합된 랙(255')을 수직운동으로 변환하여 에어백 모듈(100)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가 정상 착좌 자세의 각도 보다 앞으로 이동해 있는 경우에는 웜기어링크(254)의 연결이 해제되어 에어백 모듈(100)이 기존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기구의 회전축에 결합된 기어를 연결해 에어백 모듈(100)을 슬라이딩 시키면 모터(230) 구동 제어보다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에어백 모듈 200 : 이동부
210 : 가이드홀 220 : 레일
230 : 모터 240 : 구동부
250 : 연결부 251 : 스퍼기어
252 : 웜기어 253 : 리드스크류기어링크
254 : 웜기어링크 255 : 피니언
255' : 랙

Claims (12)

  1. 차량 시트백의 측면에 설치되고, 전개 시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하는 에어백 모듈; 및
    차량 시트백의 측면에 내장되어 에어백 모듈과 연결되고, 차량 시트백의 리클라이닝과 연동하여 에어백 모듈을 차량 시트백 측면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 모듈은, 탑승자의 상체 영역을 보호하는 상부 챔버, 탑승자의 골반 영역을 보호하는 하부 챔버 및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에 가스를 주입해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부에는 에어백 모듈이 슬라이딩되는 장착면이 구비되고, 장착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에어백 모듈은 장착면에서 가이드홀을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에어백 모듈에는 장착면을 향해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는 장착면의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장착면에는 가이드홀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이 마련되고, 에어백 모듈은 레일에 연결됨으로써 에어백 모듈의 슬라이딩이 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부는 모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에어백 모듈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 및 차량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각도에 따라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구동부는 모터에 결합되며, 모터의 회전운동을 에어백 모듈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리드스크류기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제어부는 차량 시트백의 리크라이닝 각도가 증가하는 경우 에어백 모듈이 시트백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제어부는 차량 시트백의 리크라이닝 각도가 감소하는 경우 에어백 모듈이 시트백에서 상방으로 슬라이되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부는 차량 시트백 리클라이닝 기구의 회전축과 에어백 모듈의 사이를 연결하여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에어백 모듈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연결부에는 스퍼기어와 웜 및 웜기어가 포함되고, 차량 시트백 리클라이닝 기구의 회전축에 스퍼기어가 결합되며, 스퍼기어에 웜과 웜기어가 연결되고, 웜과 일체인 리드스크류기어가 에어백 모듈에 연결되어, 시트백 리크라이닝 각도 변화에 따라 에어백 모듈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연결부에는 랙-피니언 구조가 포함되고, 차량 시트백 리클라이닝 기구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스퍼기어에 웜기어링크가 연결되고 웜기어링크에 연결된 랙-피니언 구조가 에어백 모듈에 연결되어 시트백 리크라이닝 각도 변화에 따라 에어백 모듈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KR1020190106275A 2019-08-29 2019-08-29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KR20210027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275A KR20210027599A (ko) 2019-08-29 2019-08-29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275A KR20210027599A (ko) 2019-08-29 2019-08-29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599A true KR20210027599A (ko) 2021-03-11

Family

ID=75143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275A KR20210027599A (ko) 2019-08-29 2019-08-29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75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0820B1 (en) * 2020-11-30 2022-03-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with adaptive positioning for reclining sea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793A (ko)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793A (ko)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0820B1 (en) * 2020-11-30 2022-03-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with adaptive positioning for reclining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9944B2 (en) Airbag apparatus
US11597343B2 (en) Vehicle airbag system
US11584326B2 (en) Roof airbag system and vehicle
US7648200B2 (en) Headrest device
US6585073B2 (en) Device for steering a motor vehicle
CN112721849A (zh) 顶部气囊集成系统和控制系统
KR20210027599A (ko)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WO2005073033A1 (de) Fahrzeugführerrückhaltesystem in einem kraftfahrzeug
KR20090025600A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102496790B1 (ko) 차량용 시트와 연동하는 크래쉬 패드 제어 장치, 및 차량용 크래쉬 패드 제어 방법
KR20060094128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WO2023232041A1 (en) Method for occupant protection and occupant protection system
EP2364888B1 (en) Seatbelt device
JPH0238164A (ja) 車両用エアバッグ制御装置
KR20140052440A (ko) 차량 충돌시 능동형 탑승자 보호 안전장치
JP2009083556A (ja)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装置
JP4413654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KR100551540B1 (ko)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
US20010048220A1 (en) Device for steering a motor vehicle
JP3135604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US11186205B2 (en) Motor vehicle seat
KR20220049882A (ko)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461319B1 (ko) 자동차의 측면충격 보호용 시트
WO2007059875A3 (de) Neigungsverstellbarer kraftfahrzeugsitz
KR20020055976A (ko) 자동차용 시트백 자동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