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540B1 -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540B1
KR100551540B1 KR1020040063223A KR20040063223A KR100551540B1 KR 100551540 B1 KR100551540 B1 KR 100551540B1 KR 1020040063223 A KR1020040063223 A KR 1020040063223A KR 20040063223 A KR20040063223 A KR 20040063223A KR 100551540 B1 KR100551540 B1 KR 100551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assenger
vehicle
cross bar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3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4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마련된 유브래킷의 카울크로스바 지지 위치를 탑승객의 착좌상태에 따라 가변시켜 니볼스터패널의 양단 지지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니볼스터패널(600) 전방측에 위치하며, 카울크로스바(700)의 외주연에 안내되어 소정 거리 유동 가능하게 지지된 두 개 이상의 유브래킷(100)과; 상기 유브래킷(100)을 각각 독립적으로 유동시키는 구동부(200)와; 상기 유브래킷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검출수단(300)과; 탑승객의 착좌상태를 검출하는 승객감지수단(400)과; 상기 승객감지수단(400)과 구동부(200) 및 변위검출수단(300)에 연결되어, 상기 승객감지수단(400)에서 검출한 탑승객의 착좌상태에 따라 변위검출수단(300)과 구동부(200)를 통하여 유브래킷(100)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되어, 차량의 전방 충돌사고시 탑승객의 무릎 부위와 충돌하는 니볼스터패널의 굽힘 강성을 제어할 수 있어 탑승객의 무릎 부위 상해치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유브래킷, 구동부, 랙, 피니언, 전동기, 변위검출수단, 고정단자, 유동단자, 승객감지수단, 제어부, 니볼스터패널, 카울크로스바

Description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 {Apparatus for varying a position of U-bracket for vehicles}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유브래킷과 니볼스터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에 대한 구동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에 대한 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에 대한 변위검출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브래킷 200 : 구동부
210 : 랙 220 : 피니언
230 : 전동기 300 : 변위검출수단
310 : 고정단자 320 : 유동단자
400 : 승객감지수단 500 : 제어부
600 : 니볼스터패널 700 : 카울크로스바
본 발명은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마련된 유브래킷의 카울크로스바 지지 위치를 탑승객의 착좌상태에 따라 가변시켜 니볼스터패널의 양단 지지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써, 차량의 전방 충돌사고시 탑승객의 무릎 부위와 충돌하는 니볼스터패널의 굽힘 강성을 제어할 수 있어 탑승객의 무릎 부위 상해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유브래킷과 니볼스터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측 대시패널 저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 충돌시 운전자의 무릎부위와 충돌하면서 충돌부위에 대한 상해치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니볼스터패널(600) 및 이를 지지하기 위한 유브래킷(100 ; U-bracket)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니볼스터패널(600)을 지지하는 통상 두 개의 유브래킷(100)이 차량의 카울크로스바(70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전방 충돌시 운전자가 전방으로 전도되면서 무릎부위가 직접 차체에 부딪히지 않고 상기 니볼스터패널(600)에 충돌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무릎부위 상해치를 저감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일반적인 차량의 니볼스터패널은 니볼스터패널을 카울크로스바에 지지시키는 유브래킷이 소정 간격으로 카울크로스바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어, 탑승객의 착좌상태에 무관하게 니볼스터패널이 균일한 굽힘 강성을 갖기 때문에 탑승객의 착좌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굽힘 강성이 조절되지 않아 탑승객의 무릎부위 상해치가 증대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마련된 유브래킷의 카울크로스바 지지 위치를 탑승객의 착좌상태에 따라 가변시켜 니볼스터패널의 양단 지지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차량의 전방 충돌사고시 탑승객의 무릎 부위와 충돌하는 니볼스터패널의 굽힘 강성을 제어할 수 있어 탑승객의 무릎 부위 상해치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니볼스터패널 전방측에 위치하며, 카울크로스바의 외주연에 안내되어 소정 거리 유동 가능하게 지지된 두 개 이상의 유브래킷과; 상기 유브래킷을 각각 독립적으로 유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유브래킷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검출수단과; 탑승객의 착좌상태를 검출하는 승객감지수단과; 상기 승객감지수단과 구동부 및 변위검출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객감지수단에서 검출한 탑 승객의 착좌상태에 따라 변위검출수단과 구동부를 통하여 유브래킷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에 대한 구동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에 대한 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에 대한 변위검출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니볼스터패널(600) 전방측에 위치하며, 카울크로스바(700)의 외주연에 안내되어 소정 거리 유동 가능하게 지지된 두 개 이상의 유브래킷(100)과; 상기 유브래킷(100)을 각각 독립적으로 유동시키는 구동부(200)와; 상기 유브래킷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검출수단(300)과; 탑승객의 착좌상태를 검출하는 승객감지수단(400)과; 상기 승객감지수단(400)과 구동부(200) 및 변위검출수단(300)에 연결되어, 상기 승객감지수단(400)에서 검출한 탑승객의 착좌상태에 따라 변위검출수단(300)과 구동부(200)를 통하여 유브래킷(100)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카울크로스바(700)에 좌우 유동 가능하게 지지된 두 개의 유브래킷(100)과, 상기 유브래킷(100)을 각각 유동시키는 구동부(200)와, 유동하는 상기 유브래킷(100)의 좌우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검출수단(300)과, 탑승객의 착좌상태를 검출하는 승객감지수단(400)과, 그리고 상기 구동부(200) 및 변위검출수단(300)을 통하여 유브래킷(100)의 좌우 유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브래킷(100)은 카울크로스바(700)의 외주연 상에서 좌우로 소정 간격 유동 가능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볼스터패널(600)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200)는 유브래킷(100)을 카울크로스바(700) 상에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0)에 대한 적절한 실시예로는 카울크로스바(700)의 내주연에 마련된 랙(210)과; 상기 유브래킷(100)에 지지되어 상기 카울크로스바(70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랙(210)과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220)과; 상기 피니언(220)에 출력축이 연결된 전동기(2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00)의 랙(210)을 상기 카울크로스바(700) 내부에 하측을 향하여 마련하고, 상기 랙(210)에 맞물리는 피니언(220)을 전동기(230)의 출력축에 연결하여, 상기 전동기(230)를 유브래킷(1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200)는 카울크로스바(700)의 일측을 관통하여 그 내측으로 연장된 상기 유브래킷(100)에 고정되고, 상기 유브래킷(100)의 관통부위가 좌우 유동 가능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울크로스바(700) 일측에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200)의 전동기(23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전동기(230)의 출력축에 연결된 피니언(220)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피니언(220)은 카울크로스바(700)에 고정된 랙(210)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구동부(200)에 의하여 유브래킷(100)이 카울크로스바(700) 상에서 좌우 유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카울크로스바(700) 상에서 좌우 유동하는 유브래킷(100)의 좌우 변위를 검출하기 위하여 변위검출수단(300)을 상기 구동부(200) 근처인 카울크로스바(700) 내측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위검출수단(300)은 도 3 및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울크로스바(700)의 내주연에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단자(310)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유브래킷(100)의 좌우 유동에 따라 상기 고정단자(310)와 접속 및 단락 되는 유동단자(320)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단자(310)와 유동단자(320)의 접속 및 단락에 따라 상기 제어부(500)에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적절하다.
즉, 상기 유브래킷(100)이 구동부(200)에 의하여 카울크로스바(700) 상에서 좌우 유동함에 따라 상기 유브래킷(100)에 마련된 변위검출수단(300)의 유동단자 (320)가 일체로 좌우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단자(320)는 카울크로스바(700)의 내주연에 등간격으로 마련된 고정단자(310)와 접속 및 단락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고정단자(310)와 유동단자(320)의 접속 및 단락 여부가 전기적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에 송출됨으로써, 제어부(500)는 유브래킷(100)의 좌우 유동 변위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객감지수단(400)은 시트의 전후위치 및 시트백의 리클라이닝각, 그리고 탑승객의 체중을 검출하여 검출한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상기 제어부(500)에 송출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500)는 승객감지수단(400)에서 받은 탑승객의 착좌상태에 따라 차량의 충돌사고시 탑승객이 전방으로 전도되면서 무릎부위가 니볼스터패널(600)에 충돌할 경우, 탑승객의 무릎부위 상해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상기 니볼스터패널(600)의 지지 간격을 산출한 후, 상기 구동부(200) 및 변위검출수단(300)을 통하여 유브래킷(100) 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능동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는 승객감지수단(400)에서 검출된 탑승객의 착좌상태, 즉 시트의 전후 위치, 시트백의 리클라이닝각, 그리고 탑승객의 체중에 따라 제어부(500)가 구동부(200) 및 변위검출수단(300)을 통하여 니볼스터패널(600)을 지지하는 유브래킷(100)의 간격을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음으로써, 차량의 전방 충돌사고 발생시 상기 니볼스터패널(600)의 변형이 적절하게 발생하면서 탑승객의 무릎부위 충격량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음으로써, 탑승객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에 마련된 유브래킷의 카울크로스바 지지 위치를 탑승객의 착좌상태에 따라 가변시켜 니볼스터패널의 양단 지지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차량의 전방 충돌사고시 탑승객의 무릎 부위와 충돌하는 니볼스터패널의 굽힘 강성을 제어할 수 있어 탑승객의 무릎 부위 상해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차량의 니볼스터패널 전방측에 위치하며, 카울크로스바의 외주연에 안내되어 소정 거리 유동 가능하게 지지된 두 개 이상의 유브래킷과;
    상기 유브래킷을 각각 독립적으로 유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유브래킷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검출수단과;
    탑승객의 착좌상태를 검출하는 승객감지수단과;
    상기 승객감지수단과 구동부 및 변위검출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객감지수단에서 검출한 탑승객의 착좌상태에 따라 변위검출수단과 구동부를 통하여 유브래킷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카울크로스바의 내주연에 마련된 랙과;
    상기 유브래킷에 지지되어 상기 카울크로스바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랙과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출력축이 연결된 전동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검출수단은 카울크로스바의 내주연에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단자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유브래킷의 좌우 유동에 따라 상기 고정단자와 접속 및 단락 되는 유동단자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단자와 유동단자의 접속 및 단락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감지수단은 시트의 전후위치 및 시트백의 리클라이닝각, 그리고 탑승객의 체중을 검출하여 검출한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상기 제어부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
KR1020040063223A 2004-08-11 2004-08-11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 KR100551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223A KR100551540B1 (ko) 2004-08-11 2004-08-11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223A KR100551540B1 (ko) 2004-08-11 2004-08-11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1540B1 true KR100551540B1 (ko) 2006-02-13

Family

ID=3717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223A KR100551540B1 (ko) 2004-08-11 2004-08-11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54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3667B2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7648200B2 (en) Headrest device
US11807138B2 (en) Seat rail module for a vehicle seat for vehicle seat deceleration in the event of a crash
US7902781B2 (en) Adjustment device for a motor vehicle seat
CN103358947A (zh) 车辆
US10926684B2 (en) Four-way electric power actuation head restraint with automated deployment
KR20090025600A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20060094128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0551540B1 (ko) 차량의 유브래킷 위치 가변장치
KR101875430B1 (ko) 안티 서브마린 기능을 갖는 다이브 시트
JP2883805B2 (ja) 車両用シートの安全装置
JPH0238164A (ja) 車両用エアバッグ制御装置
KR20210027599A (ko) 차량 측면 에어백 장치
KR20140052440A (ko) 차량 충돌시 능동형 탑승자 보호 안전장치
CN111376802A (zh) 主动式防下潜装置和具有主动式防下潜装置的车辆座椅
KR20110013744A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JP2018150005A (ja) 車両用テーブル装置
KR100537312B1 (ko) 자동차용 무릎 보호 장치
JP3135604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20020055976A (ko) 자동차용 시트백 자동 조절 장치
KR100537311B1 (ko) 자동차의 무릎보호장치
KR890004574Y1 (ko) 자동차 완충장치
KR20060005427A (ko)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KR20040099782A (ko) 목 보호용 차량 시트
JP2008074204A (ja) 車両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