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658A - 가요성 전도체 필름용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가요성 전도체 필름용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658A
KR20210025658A KR1020217003396A KR20217003396A KR20210025658A KR 20210025658 A KR20210025658 A KR 20210025658A KR 1020217003396 A KR1020217003396 A KR 1020217003396A KR 20217003396 A KR20217003396 A KR 20217003396A KR 20210025658 A KR20210025658 A KR 20210025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housing
blades
blad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란드 모딩거
파비안 크리스트만
Original Assignee
에르니 프로덕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니 프로덕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에르니 프로덕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10025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7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with contacts having at least a slotted plate for penetration of cable insulation, e.g.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for round conductor flat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8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comprising deformable por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필름 절연 전도체를 가지는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용 플러그 커넥터(1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촉 요소(105)가 배치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촉 요소(105)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된 블레이드(blade)(110, 115)가 전기적 접촉을 생성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필름 절연 전도체를 관통 및 고정하는, 커플링 영역을 가지되,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두 개의 하우징 부분(100, 200)을 포함하며, 제1 하우징 부분(100)은, 상기 블레이드(110, 115) 및 이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촉 요소(105)를 지지하고, 제2 하우징 부분(200)은, 상기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을 수용 및 지지하며, 상기 블레이드(110, 115)에 대해 조정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수용부(210)(상기 블레이드 수용부의 경계면(211, 212)은 상기 두 개의 하우징 부분(100, 200)이 상기 필름 절연 전도체의 방향으로 서로 맞물릴 때, 상기 블레이드(110, 115)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구부러지도록 형성됨)를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110, 115)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가요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0)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가요성 전도체 필름용 플러그 커넥터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에 따른 유형의 필름 절연 전도체를 가지는 가요성 전도체 필름용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필름 절연 전도체를 가지는 가요성 전도체 필름은 모든 방식의 통신 및 소비자 전자 시스템 분야뿐만 아니라 차량 구성에도 사용된다. 특히, 전도체 필름은, 제한된 공간 조건에서 가능한 한 적은 무게의 매우 유연한 전도체 구조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가요성 전도체 필름은 복수의 개별 전도체 트랙의 정렬된 병렬 가이드를 가능하게 하는데, 더욱 크게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제한된 구성 공간에만 배치된 부품들이 서로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차량 구조에서, 이러한 전도체 필름은 예를 들어 진동과 같은 더 큰 기계적 영향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서, 개별 필름 절연 전도체의 접촉은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차량 구조에서, 이러한 접촉은 외부의 기계적 영향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온도 영향 및 환경 영향을 견딜 수 있으며 안전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DE 10 2006 017 019 A1은 가요성 인쇄 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FPC)의 접촉을 위한 플러그를 개시한다. 플러그에는, 가요성 인쇄 회로의 전도체를 관통하고 고정하는 블레이드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된 플러그 접촉 요소가 있다.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두 개의 하우징 부분을 가지며, 제1 하우징 부분은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촉 요소를 지지한다. 여기에서, 제2 하우징 부분이 장착되는 동안, 가요성 인쇄 회로는 두 개의 하우징 부분 중 하나에 위치되고 고정되어야 한다. 장착 시, 세 부분의 위치는 서로에 대하여 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장착은, 특히 자동화 생산과 관련하여 매우 어렵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필름 절연 전도체를 가지는 가요성 전도체 필름의 접촉은 FR 2 956 780 에 드러나 있다. 여기에서, 개별 필름 절연 전도체는 블레이드와 같은 지점에 의해 관통되고, 전도체 트랙을 관통한 후, 상기 지점은 대응하는 전도체 트랙과 접촉함과 동시에 가요성 전도체 필름을 클램핑 및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부러진다. 이는 압착(crimping) 기술을 이용해 발생한다. 블레이드는 차례대로, 플러그 커넥터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되며,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가 각각의 필름 절연 전도체에 배정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수 개의 블레이드를 통해 접촉된다. 연속적 및 자동으로도 가능한 필름 절연 전도체의 접촉 이후에는,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된 플러그 커넥터를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에 장착해야 하므로, 접촉과 관계없이 추가 장착 단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방식으로는 플러그 커넥터의 장착이 어려워지고, 이는 자동 장착과 관련하여 단점이 된다.
필름 절연 전도체를 가지는 가요성 전도체 필름용 플러그 연결은 DE 199 53 646 B4에 드러난 것으로, 각각 전도체 필름 단부 영역 상에 위치하고 필름 절연 전도체의 전기적 접촉을 목적으로 서로에게 플러깅될 수 있는 플러그 및 카운터 플러그를 가진다. 이를 위해, 플러그 및 카운터 플러그는 각각 베이스 바디 및, 고정 기구를 통해 상기 베이스 바디와 접촉할 수 있는 커버를 가진다. 각각의 경우에, 베이스 바디와 커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접촉 요소가 위치하고, 상기 관통 접촉 요소에는 관통체를 갖는 전기 전도성 물질로 만들어진 베이스 플레이트가 위치한다. 관통체는 베이스 플레이트 물질로 형성된 삼각 성형체로,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위로 솟는 삼각점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삼각점 반대편에 있는 삼각 베이스를 가지며, 그 주위에는 각 성형체가 구부러진 삼각 베이스가 있다. 복수의 관통체가 베이스 플레이트 내에 위치하며, 이의 삼각 베이스 각각은, 관통체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 대해 ±60 ° 각도에서 일렬로 각각 번갈아 배열되는 방식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축과 각을 형성한다. 전도체 필름 단부 영역의 필름 절연 전도체는, 커버를 베이스 바디와 접촉시키기 전에 관통 접촉 요소 상에 배치될 수 있되, 관통 접촉 요소는 베이스 바디에 대해 커버를 각각 눌러 전기적 접촉을 고정할 목적으로, 필름 절연 전도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한다. 또한, 이러한 플러그 연결을 사용하면, 한편으로는 가요성 전도체 필름의 개별 필름 절연 전도체를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접촉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방식으로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된 필름 절연 전도체를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에 접촉시키는, 수 개의 독립적인 장착 단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 자동 생산도 쉽게 이루어질 수 없다.
자동 생산에 사용할 수 있는, 필름 절연 전도체를 가지는 가요성 전도체 필름용 일반 플러그 커넥터는 DE 10 2015 100 401 A1에 드러나 있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촉 요소가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촉 요소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된 블레이드가 전기적 접촉을 생성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필름 절연 전도체를 관통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링 영역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두 개의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며, 제1 하우징 부분은 블레이드 및 이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촉 요소를 지지하고, 제2 하우징 부분은 가요성 전도체 필름을 수용하고 지지하며, 블레이드에 대하여 조정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리세스(recess)를 가지고, 그 경계면에는, 두 하우징 부분이 서로 장착되는 동안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 부분이 필름 절연 전도체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방식으로 블레이드 수용부가 형성된다. 블레이드는 견고하고 거대하게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전도체가 50 ~ 200 μm 두께의 구리 압연으로 생산되는 필름 용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구리 전도체는 냉간 변형(cold deformation)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단단하며 안정적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전도체 플레이트가 광 화학적으로 구조된 필름 기술도 있으며, 여기에서 구리는 도체 트랙을 위해 전기적으로 증착된다. 이러한 구리는 갈바닉 증착(galvanic deposition)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무르다. 여기에서, 전도체 트랙 또는 레이어의 두께는 12 ~ 70 μm 범위 내에서만 달라진다. 이러한 기술로, 2-레이어 시스템도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체 트랙과 차폐 레이어를 모두 형성할 수 있다.
DE 10 2015 100401 A1에 드러난 플러그 커넥터가 이러한 가요성 전도체 필름의 접촉에 사용되는 경우, 이론적으로는, 매우 얇은 전도체 트랙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 전도체 트랙의 중단을 유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자동 생산에서 사용 가능한 필름 절연 전도체 트랙의 간단한 접촉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특히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에 플러그 커넥터를 동시 장착할 때, 가요성 전도체 필름 내에서 서로 나란히 배열된 수 개의 필름 절연 전도체 트랙의 동시 접촉도 가능하게 하며, 특히 기계적 부하에도 견딜 수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차량 제작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플러그 접촉의 매우 효과적이고 전기적으로 우수한 기밀(gas-tight) 접촉 역시 가능하게 하는, 가요성 전도체 트랙용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대조적으로,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전도체 트랙용 플러그 커넥터는, 가요성 전도체 트랙이 가지는 매우 얇은 필름 절연 전도체가 갈바닉 증착의 일부로서 생성되어, 자동으로 빠르고 안전하게 접촉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를 위해,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 부분이 가요성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요성 형성의 결과로 필름 절연 전도체를 파괴하는 절단 공정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출원인에 의한 광범위한 실험이 이를 입증하였다.
여기에서 "가요성" 블레이드는, 블레이드가 필름 절연 전도체를 관통할 때 약간 구부러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가요성은 필름 절연 전도체의 두께에 따라 조정된다. 필름 절연 전도체가 얇을수록, 블레이드는 가요성이 더욱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요성 전도체 트랙용 플러그 커넥터는, 특히 자동 생산에서 사용 가능한 필름 절연 전도체 트랙의 간단한 접촉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특히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에 플러그 커넥터를 동시 장착할 때, 가요성 전도체 필름 내에서 서로 나란히 배열된 수 개의 필름 절연 전도체 트랙의 동시 접촉도 가능하게 하며, 특히 기계적 부하에도 견딜 수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차량 제작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플러그 접촉의 매우 효과적이고 전기적으로 우수한 기밀(gas-tight) 접촉 역시 가능하게 한다.
이처럼 우수한 기밀 접촉은 필름 절연 전도체의 방향으로 블레이드를 구부림으로써 이루어진다. 블레이드를 구부리면, 접촉면에 압력이 가해지고 전기 접촉면이 커진다. 이로 인하여 기밀 접촉이 이루어진다. 동시에, 블레이드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일정한 장력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된 블레이드에 의한 전기적 접촉은, 두 개의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을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장착과 동시에 유익한 방식으로 생성된다.
종속항에서 수행된 조치의 결과로, 독립항에 명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유익한 개발 및 개선이 가능하다.
이론적으로는, 블레이드는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매우 유익한 일 양태에 따르면, 블레이드 각각이 예를 들어 블레이드 에지를 함께 압박하여 탄성 변형을 가능하도록 하는 빈 공간을 가짐으로써, 가요성 형성이 이루어진다.
차례로, 이러한 빈 공간은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빈 공간의 윤곽이 블레이드 모양에 대해 조정되어 있는 경우 특히 유익하다. 이러한 경우, 빈 공간은 블레이드 에지를 따르며, 블레이드 에지는 실질적으로 그물망 형상을 가지게 된다. 빈 공간이 클수록 그물망이 더 얇아지고, 블레이드 에지가 더 잘 변형될 수 있으며, 즉, 가요성이 더욱 커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형성된 블레이드 에지 각각이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고, 이는 두 개의 하우징 부분이 필름 절연 전도체의 방향으로 서로 맞물릴 때 구부러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전도체 필름에 대해 조정된 수용 공간을 가지는 제2 하우징 부분이 제공되며, 상기 수용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벽 내에 전도체 필름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평평한 가요성 전도체 필름은 제2 하우징 부분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이에 대하여 조정된 수용 공간 내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개구부와 수용 공간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 전도체 필름이 블레이드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놓이도록 제2 하우징 부분 내에 배치된다. 이는 가요성 전도체 필름을 제2 하우징 부분에 삽입함으로써, 제2 하우징 부분 내에 가요성 전도체 필름의 장착 사전 배치(pre-positioning)를 가능하게끔 하는데, 이는 필름 절연 전도체의 즉각적이고 자동화된 접촉이 가능하도록, 가요성 전도체 필름이 시작 위치의 제2 하우징 부분에 이미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블레이드 수용부가 곡선 경계면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게 제공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들 경계면은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글라이딩 표면으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글라이딩 표면을 형성하는 경계면은, 두 개의 블레이드가 경계면을 따라 글라이딩할 때 서로에 대해 구부러지는 방식으로, 깔때기 방식으로 진행된다는 점이 매우 유리하게 제공된다. 블레이드에 대하여 조정된 블레이드 수용부의 이러한 형성은,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을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에 장착할 때, 필름 절연 전도체와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촉부의 최적의 기밀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러한 장착은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유리한 양태에 따르면, 블레이드는,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을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 위에 장착할 때 필름 절연 전도체가 수 개의 지점에서 절단되는 방식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제공된다.
여기서, 매우 유리한 실시예는, 상이한 길이를 가지는 블레이드를 제공하며, 각각의 경우에서 하나의 짧은 쪽의 가요성 블레이드는 각각 두 개의 긴 쪽의 블레이드(상기 두 개의 긴 쪽의 블레이드는 서로 떨어져 있고, 길이가 매우 길어 각각의 블레이드 수용부의 경계면과 인접함)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론적으로는, 하나의 짧은 부분 및 두 개의 긴 부분의, 3 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블레이드 수신기는, 양호하고 안전한 접촉, 특히 필름 절연 전도체와 플러그 접점의 기밀 접촉을 이루기 위해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 부분은, 필름 절연 전도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수 개의 블레이드 수용부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면의 안정성 및 그에 따른 접촉의 안전성이 증가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접촉의 유동성 또한 증가한다. 필름 절연 전도체의 평면 확장으로, 일렬의 블레이드는 전도체 트랙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서로 약간 오프셋(offset)되어 배열될 수도 있다.
플러그 커넥터 내에 장착된 상태의 가요성 전도체 필름의 변형을 완화시키기 위해, 장착 상태인 두 하우징 부분 내의 가요성 전도체 필름을, 필름 절연 전도체 사이 영역의 다른 하나에 클램핑하는 클램핑 요소가, 제1 및/또는 제2 하우징 부분에 위치한다.
이론적으로는, 이러한 클램핑 요소는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클램핑 요소가 각각 가요성 전도체 필름의 전도체 트랙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클램핑 요소는 블레이드 가로행에 각각 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우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클램핑 요소는 제1 하우징 부분에 배치되고, 제1 클램핑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제2 클램핑 요소는 제2 하우징 부분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요성 전도체 필름의 클램핑은, 제1 하우징 부분에 제2 하우징 부분을 장착하는 동안 일정 부분 자동으로 생성된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클램핑 요소는 매우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클램핑 요소는 둥근 클램핑 톱니 표면을 갖는 클램핑 톱니이고, 제2 클램핑 요소는 제2 하우징 부분 내에 배치된 클램핑 톱니에 대해 조정된 개구부이다. 이러한 클램핑 요소 형성의 결과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 내에서, 생산이 용이하며 그에 따라 가요성 전도체 필름 변형을 완화시킬 수 있는, 특히 효과적인 클램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클램핑 톱니는 두 개의 하우징 부분이 서로 장착 상태일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가요성 전도체 필름의 변형된 부분이, 개구부 영역에서 제2 하우징 부분의 개구부 내로 약간 돌출되는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게 제공된다.
매우 유리한 실시예는, 제2 하우징 부분이 제1 하우징 부분과 래치(latch)될 수 있다는 것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며 아래의 설명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시된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하우징 부분을 장착하기 전 가요성 전도체 필름용 플러그 커넥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두 개의 하우징 부분을 장착한 후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등각 부분 파단도로,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가요성 전도체 필름을 장착하는 연속적인 단계 및 부분 단면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전체 플러그 커넥터를 등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전체가 (10)으로 표기된 플러그 커넥터에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 하우징이 있다.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100)에서, 플러그 접촉부는 본질적으로 알려진 방식으로 스프링 접촉부(105)의 형태로 배치된다. 블레이드(110, 115)는 플러그 접촉부(105)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110, 115)는 일렬로 배열되며, 각각의 경우 하나의 짧은 쪽의 블레이드(115)는 각각 두 개의 긴 쪽의 블레이드(110)로 둘러싸여 있다. 짧은 쪽의 블레이드(115)는 개구부(116)를 가지며, 이를 통해 블레이드(115)는 가요성을 가지게 되고,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200)은 별도의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200)은,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100)의 대응하는 개구부에 삽입되어 이에 고정되고 래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200)은 측벽(220) 상에 개구부(222)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개구부(232)는 또한 대향하는 측벽(230)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는 제2 플러그 커넥터 내부로부터, 더욱 정확하게는, 내부에 배치되고 전도체 필름(300)에 대해 조정된 수용 공간(240)으로부터 접근 가능하다. 따라서, 두 개구부(222, 232)는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 내에 배치된 수용 공간(240)에서 끝나고 전도체 필름(300)에 대해 조정되며, 수용 공간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전도체 필름의 외부 치수에 대응한다. 특히,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개구부(222)는 전도체 필름 내로 도입되며, 전도체 필름(300)이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200)에 도입되는 것이 더욱 쉬워지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200)에는 두 개의 블레이드 수용부(210)가 위치하며, 이를 블레이드 수용 공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 수용부(210)는 깔때기 모양으로 만곡된 경계면(211, 212)을 가지며, 이는 짧은 쪽의 블레이드(115)를 둘러싸는 두 개의 긴 쪽의 블레이드(110)의 간격에 대해 조정되는 방식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따라서, 짧은 쪽의 블레이드(115)를 각각 둘러싸는 두 개의 긴 쪽의 블레이드(110)는 블레이드 수용부(210)에 어느 정도 맞물리며, 여기에서 긴 쪽의 블레이드(110)는 경계면(211 또는 212)과 인접한다.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100)에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200)을 최종 장착하는 것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장착은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방향으로 눌린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2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블레이드(110, 115)는 전도체 필름의 필름 절연 전도체 트랙을 통해 절단되어, 전도체 필름과 플러그 접촉부(105)와 접촉한다. 맞물릴 때, 짧은 쪽의 블레이드(115)를 둘러싸는 두 개의 외부의 긴 쪽의 블레이드(110)는 블레이드 수용부(210)의 두 개의 경계면(211, 212)상에서 글라이딩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구부러져 있다. 제2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200)이 제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부분(100)에 고정되는 최종 장착 상태에서, 내부의 짧은 측 블레이드(115)를 둘러싸는 외부 블레이드(110)는 서로에 대해 구부러진다. 이러한 구부러짐으로 인해, 두 개의 외부 블레이드(110)는 전도체 필름 방향으로 절단되어 접촉면을 확대할 뿐만 아니라, 접촉 안전성과 유동 능력을 증가시키고, 프리텐션(pretension)을 받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접촉면에 압력이 가해져, 기밀 접촉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접촉은 외부 영향, 특히 기계적 부하에 저항하는 전기적 접촉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강조하면, 자동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짧은 쪽의 내부 블레이드(115)는 각각 빈 공간(116)을 가지며, 이는 블레이드 에지가 함께 눌러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빈 공간(116)은 블레이드 벽(117)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두께를 가지도록 블레이드의 윤곽에 대해 실질적으로 조정된다. 이러한 빈 공간(116)으로 인해, 블레이드(115)의 가요성 형성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요성은 블레이드(115)가 압력 하에서 탄성적으로 항복, 즉, 빈 공간(116)의 내부 방향으로 눌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블레이드(115)의 가요성 또는 가단성으로 인해, 특히, 구리의 갈바닉 증착(galvanic deposition)에 의해 생성되고 전도체 트랙 또는 레이어의 두께가 12 ~ 70 마이크로미터 범위인 매우 얇은 필름 전도체의 경우, 최적의 접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면, 2-레이어 시스템의 접촉도 가능하며, 여기서 레이어는 전도체 트랙 또는 차폐 레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매우 얇은 구리 필름을 가지는 탄성 블레이드(115)로 인해, 비가요성 블레이드보다 실질적으로 더 나은 접촉이 이루어진다.
도 3, 4, 5, 7에서,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 장착의 상이한 단계가 등각 부분 파단도로 도시된다. 도 9는 완전히 장착된, 즉, 전도체 필름(300)의 필름 절연 전도체(310)의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고 전도체를 고정함으로써 하우징 부분(200)을 하우징 부분(100)에 고정하고, 전술한 방식으로 전도체 필름(300)을 고정한 이후의, 플러그 커넥터 내의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을 도시한다.
제1 하우징 부분(100) 및 이에 체결된 제2 하우징 부분(200)으로부터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의 변형 완화 및 안정된 고정을 이루기 위해, 체결 요소는 제1 하우징 부분에 둥근 클램핑 톱니 표면(415)을 가지는 클램핑 톱니(410) 형태로 위치한다. 이러한 클램핑 톱니(410)는,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을 클램핑하기 위해 필름 절연 전도체(310) 사이의 중간 공간에 각각 위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절연 전도체(310)는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에 나란히 배치된다. 각각의 경우, 블레이드(110, 115)는 필름 절연 전도체(310)와 접촉하고 클램핑하기 위해 각 필름 절연 전도체(310)에 배정된다. 여기서, 각각의 경우, 클램핑 톱니(410)는 블레이드(110, 115)의 각 가로행에 배정된다. 따라서, 클램핑 톱니(410)는, 예를 들어, 필름 절연 전도체(310)가 배치되지 않은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의 영역의 블레이드(110, 115) 사이에 놓인다. 도 3에서, 각각의 경우의 4 행의 블레이드(110, 115) 및 클램핑 톱니 가로행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은 또한 일렬로 배열되고, 블레이드(110, 115)의 가로행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클램핑 톱니(410)에 각각 배정된 개구부(510)는 제2 하우징 부분(200)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는 클램핑 톱니가 이들 개구부(510)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클램핑 톱니(410)에 대해 조정된다.
먼저, 전도체 필름(300)은 전술한 방식으로 수용 공간(240)에 도입되어 제2 하우징 부분(200)에 장착된다. 이는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후, 제2 하우징 부분(200)이 제1 하우징 부분(100)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전기적 접촉은 필름 절연 전도체 트랙(310)을 관통한 후 필름 절연 전도체(310)의 방향, 즉 전도체 방향 내로 구부러지는, 블레이드(110, 115)에 의해 전술된 방식으로 생성된다.
이 단계는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도 5에서 VI로 표시 된 컷아웃(cut-out)의 확대를 도시한다. 특히, 이 확대된 컷아웃에서, 클램핑 톱니(410)의 클램핑 톱니 표면(415)이 지붕 방식으로 위쪽으로 테이퍼링되어 형성되는 방법이 도시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둥근 클램핑 톱니 또는 다른 방식으로 위쪽으로 테이퍼링되는 클램핑 톱니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링은,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의 최적의 클램핑을 제공한다. 이러한 클램핑은 도 7 및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서 VIII로 표시된 컷아웃의 확대를 도시한다.
도 7은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을 가지는, 완전히 장착된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등각 도면은 영역(415)이 위쪽으로 테이퍼링되는 클램핑 톱니(410)가 전도체 필름(300)을 국소적으로 변형시키는 방법을 보여주며, 변형된 영역(333)은 제2 하우징 부분(200) 내에 위치하는 개구부(510) 내로 약간 돌출된다. 이를 위해, 클램핑 톱니(410)는, 두 개의 하우징 부분이 서로 장착 상태일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 사이에 배치된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의 변형된 영역(333)이, 도 7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 부분(200)에 배치된 상기 개구부(510) 내로 약간 돌출되는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높이를 가진다. 이러한 종류의 클램핑이 전체 전도체 필름(300)에 걸쳐 규칙적으로 분포되어 발생하며, 이에 의해 변형이 완화됨으로써, 전도체 필름(300)의 매우 안정적인 체결이 이루어진다.
플러그 커넥터가 최종적으로 완전한 상태, 즉 부분적으로 절단된 영역이 없는 상태로 장착되는 모습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클램핑 톱니(410)에 의한 블레이드(110) 및 가요성 블레이드(115)와 클램핑의 접촉 상호 작용은, 간단한 장착으로, 플러그 커넥터 내 가요성 전도체 필름의 매우 우수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있고 안정적인 고정 및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8)

  1. 필름 절연 전도체를 가지는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용 플러그 커넥터(1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촉 요소(105)가 배치된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촉 요소(105)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된 블레이드(blade)(110, 115)가 전기적 접촉을 생성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필름 절연 전도체를 관통 및 고정하는, 커플링 영역을 가지되,
    상기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은,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두 개의 하우징 부분(100, 200)을 포함하며, 제1 하우징 부분(100)은, 상기 블레이드(110, 115) 및 이에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접촉 요소(105)를 지지하고, 제2 하우징 부분(200)은, 상기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을 수용 및 지지하며, 상기 블레이드(110, 115)에 대해 조정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수용부(210) -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의 경계면(211, 212)은 상기 두 개의 하우징 부분(100, 200)이 상기 필름 절연 전도체의 방향으로 서로 맞물릴 때, 상기 블레이드(110, 115)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구부러지도록 형성됨 - 를 가지고, 상기 블레이드(115)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블레이드 에지(edge)의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빈 공간(11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빈 공간은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형상에 대해 조정된 윤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빈 공간(116)을 가지는 블레이드(115) 각각은, 상기 두 개의 하우징 부분(100, 200)이 상기 필름 절연 전도체(310)의 방향으로 함께 맞물릴 때 구부러지는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분(200)은 상기 전도체 필름(300)에 대해 조정된 수용 공간(240)을 가지되,
    상기 전도체 필름(300)을 수용하기 위하여, 두 개의 정렬된 개구부(222, 232)가 두 개의 대향하는 하우징 벽(220, 230)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정렬된 개구부(222, 232)는, 상기 수용 공간(240) 내에 배치된 상기 전도체 필름(300)이 상기 블레이드(110, 115)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놓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210)의 상기 경계면(211, 212)이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210)의 상기 경계면(211, 212)이, 상기 블레이드(110)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해 글라이딩 표면(gliding surface)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210)의 상기 경계면(211, 212)은, 두 개의 블레이드(110)가 상기 경계면(211, 212)을 따라 글라이딩할 때 서로에 대해 구부러지는 방식으로, 깔때기 방식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10, 115)는, 상기 제1 하우징 부분(100) 상에 상기 제2 하우징 부분(200)을 장착할 때 상기 필름 절연 전도체가 수 개의 지점에서 절단되는 방식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10, 115)는 상이한 길이를 가지되,
    각각의 경우에서, 상기 빈 공간(116)을 가지는 하나의 짧은 쪽의 블레이드(115)는 두 개의 긴 쪽의 블레이드(110) - 상기 두 개의 긴 쪽의 블레이드는 서로 떨어져 있고, 길이가 매우 길어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210)의 상기 경계면(211, 212)과 인접함 - 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분(200)은, 상기 필름 절연 전도체(310)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 수용부(21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상기 제2 하우징 부분(100, 200) 내에 클램핑 요소(410, 510) - 상기 클램핑 요소는, 상기 장착 상태인 상기 두 개의 하우징 부분(100, 200) 내의 상기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을, 상기 필름 절연 전도체(310) 사이 영역의 다른 하나에 클램핑함 - 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요소(410, 510)는 상기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의 전도체 트랙(3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요소(410, 510)는 상기 블레이드(110, 115)의 가로행에 각각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0).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클램핑 요소(410)는 상기 제1 하우징 부분(100)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클램핑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제2 클램핑 요소(510)는 상기 제2 하우징 부분(200)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0).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핑 요소는, 상기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램핑 톱니(clamping teeth) 표면(415)을 가지는 클램핑 톱니(410)이고, 상기 제2 클램핑 요소는 상기 클램핑 톱니에 대해 조정된 개구부(510)이며 상기 제2 하우징 부분(200)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0).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톱니(410)는, 두 개의 상기 하우징 부분(100, 200)이 서로 상기 장착 상태일 때,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상기 가요성 전도체 필름(300)의 변형된 영역(333)이, 상기 제2 하우징 부분(200)에 배치된 상기 개구부(510) 내로 약간 돌출되는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0).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분(200)은, 상기 장착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부분(100)과 래치(latch)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10).
KR1020217003396A 2018-07-05 2019-06-18 가요성 전도체 필름용 플러그 커넥터 KR202100256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16356.8A DE102018116356B3 (de) 2018-07-05 2018-07-05 Steckverbinder für flexible Leiterfolien
DE102018116356.8 2018-07-05
PCT/DE2019/100560 WO2020007401A1 (de) 2018-07-05 2019-06-18 Steckverbinder für flexible leiterfoli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658A true KR20210025658A (ko) 2021-03-09

Family

ID=6729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396A KR20210025658A (ko) 2018-07-05 2019-06-18 가요성 전도체 필름용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2003048B2 (ko)
EP (1) EP3818596B1 (ko)
JP (1) JP2021529424A (ko)
KR (1) KR20210025658A (ko)
CN (1) CN112368891B (ko)
CA (1) CA3104394A1 (ko)
DE (1) DE102018116356B3 (ko)
IL (1) IL279534A (ko)
MX (1) MX2021000062A (ko)
SG (1) SG11202013211YA (ko)
TW (1) TWI714155B (ko)
WO (1) WO2020007401A1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4917A (en) 1974-04-30 1975-12-09 Elco Corp Flat cable 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US4964811A (en) 1988-08-25 1990-10-23 Amp Incorporated Electrical junction connector having wire-receiving slots
JPH02120760U (ko) * 1989-03-17 1990-09-28
US5122079A (en) 1991-04-23 1992-06-16 Amp Incorporated Multiple conductor cable connector with towers
DE69609526T2 (de) * 1995-01-23 2001-04-19 Whitaker Corp Elektrische verbinderanordnung
DE19953646B4 (de) 1999-11-08 2005-12-2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teckverbindung für folienisolierte Leiter
JP2002223513A (ja) 2001-01-24 2002-08-09 Yazaki Corp フラット電線の端末処理構造
JP3923318B2 (ja) 2002-01-21 2007-05-3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と配線回路体との接続部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と配線回路体との接続方法
DE10250927B3 (de) * 2002-10-31 2004-08-12 Fci Steckverbinder zum Verbinden zweier Leiter
DE20217460U1 (de) 2002-11-11 2004-03-25 Ghw Grote & Hartmann Gmbh Elektrisches Kontaktelement
JP2006310007A (ja) 2005-04-27 2006-11-09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の組立方法、ワイヤ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
EP2111673B1 (en) 2007-02-02 2014-11-19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Connection device
US7530830B1 (en) 2007-07-19 2009-05-12 Sunpower Corporation Misalignment tolerant connector
FR2956780B1 (fr) 2010-02-24 2018-11-23 Nicomatic Sa Ensemble de contacts electriques a sertir, procede de conditionnement, procede de sertissage et pince de sertissage correspondants
CN202601898U (zh) 2012-05-08 2012-12-12 深圳立讯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线缆连接器
JP6074711B2 (ja) * 2013-09-10 2017-0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ケーブル保持部材、電気的接続装置、コネクタ装置
DE102015100401B4 (de) * 2014-11-27 2016-12-15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verbinder für flexible Leiterfolien
DE102014118687B3 (de) 2014-12-15 2016-06-16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verbinder
TWM506404U (zh) 2015-05-27 2015-08-01 Surtec Ind Inc 訊號連接器
EP3293827B1 (en) 2016-09-07 2023-10-04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device and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a cable with a jacket and a conductor with such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04394A1 (en) 2020-01-09
CN112368891B (zh) 2022-03-01
EP3818596B1 (de) 2023-08-23
IL279534A (en) 2021-01-31
US20210344128A1 (en) 2021-11-04
WO2020007401A1 (de) 2020-01-09
TWI714155B (zh) 2020-12-21
TW202007017A (zh) 2020-02-01
CN112368891A (zh) 2021-02-12
EP3818596A1 (de) 2021-05-12
DE102018116356B3 (de) 2019-12-05
SG11202013211YA (en) 2021-01-28
MX2021000062A (es) 2021-03-25
US12003048B2 (en) 2024-06-04
JP2021529424A (ja)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677B1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101913550B1 (ko) 단자 설치부
US7887350B2 (en) Floating connector with a fixture to limit vertical movement of the connector
US7114988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a flat cable and for securely retaining the same
US7601029B2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kit and shielded cable harness
US9401550B2 (en) Connector
US7134903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US10236604B2 (en) Plug connector for flexible conductor films
EP1744405A2 (en) Electric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048234A (ko)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커넥터 및 커넥터에 케이블을연결하는 방법
EP1930983A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521386B1 (ko) 케이블 접속 방법
DE102006013780B4 (de) Anschlussstück zur Oberflächenmontage
KR20210025658A (ko) 가요성 전도체 필름용 플러그 커넥터
JP2011060426A (ja) コネクタ
KR101032933B1 (ko) 억지 끼워맞춤용 컨택트 및 이것을 이용한 억지 끼워맞춤커넥터
JP3852920B2 (ja) ピアシング端子の接続構造
JP2007234491A (ja) コネクタ
EP1006614A2 (en) Pressure-contact terminal and electric connection box containing pressure-contact terminals
JP7330051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11381009B2 (en) Contact and connector
CN112868141B (zh) 连接器
JPH0222507B2 (ko)
EP3182518B1 (en) Electrical connector
WO2023057984A1 (en) Connector shield with integrated ground piercing cont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