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8234A -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커넥터 및 커넥터에 케이블을연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커넥터 및 커넥터에 케이블을연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8234A
KR20070048234A KR1020077005186A KR20077005186A KR20070048234A KR 20070048234 A KR20070048234 A KR 20070048234A KR 1020077005186 A KR1020077005186 A KR 1020077005186A KR 20077005186 A KR20077005186 A KR 20077005186A KR 20070048234 A KR20070048234 A KR 20070048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protrusion
opening
coaxial
ground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끼 마쯔오까
다꾸로 미야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70048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4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for shielded flat cable
    • H01R12/598Each conductor being individually surrounded by shield, e.g. multiple coaxial cables in fla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7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with contacts having at least a slotted plate for penetration of cable insulation, e.g.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for round conductor flat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문제] 땝납을 사용하지 않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케이블 코어 와이어의 직경 감소 및 인접하는 케이블 사이의 감소된 간격을 유지한 채로 견고한 접지 기능 및 견고한 케이블 유지 기능을 발휘한다. [해결 수단]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은 전도성의 제1 부재(12) 및 전도성의 제2 부재(14)를 포함한다. 제1 부재는 동축 케이블(16)의 제1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24)의 외부 컨덕터(20)와 접촉하는 제1 돌출부(28)를 포함하고, 제2 부재는 제1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의 노출된 길이부 및 제1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2 개구(32)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부재는 동축 케이블의 제2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의 외부 컨덕터와 접촉하는 제2 돌출부(34)를 포함한다. 제1 부재는 제2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의 노출된 길이부 및 제2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1 개구를 포함한다. 각각의 동축 케이블의 노출된 길이부는 한편에서 제1 돌출부와 제2 개구 사이 및 다른 한편에선 제1 개구와 제2 돌출부 사이에서 제1 및 제2 돌출부를 따라 적절하게 절곡되면서 마찰력에 의해 고정식으로 유지된다.
땝납, 동축 케이블, 제1 돌출부, 제2 돌출부, 제1 개구, 제2 개구

Description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커넥터 및 커넥터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 {COAXIAL CABLE GROUNDING STRUCTURE,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CABLE IN SAID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를 접지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가지는 커넥터 및 이러한 커넥터 내로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코어 와이어(신호 라인)를 둘러싸는 절연부의 전체 외주연에 걸쳐 형성되는 편조식 또는 박막식 외부 컨덕터(차폐층) 및 그 결과 특성인 외부 노이즈의 영향에 대한 저항성에 기인하여, 동축 케이블은 주로 통신 설비, 정보 설비, 의학 설비 및 계측 기구와 같은 다양한 전기 및 전자 장치의 고주파 회로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적용예를 찾을 수 있다. 동축 케이블을 장치에 연결하는데 있어서,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는 장치의 접지 섹션에 견고하게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가지는 종래의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외부 컨덕터가 땝납에 의해 접지 섹션에 연결되는 구성을 채용한다(특허 참조 문헌1). 특허 참조 문헌1에서 기술된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에 있어서, 각각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는 국부적으로 노출되고, 그 노출된 길이부는 전도성의 제1 부재(또는 접지 스트립)와 전도성의 제2 부재[또는 유니포머(uniformer)] 사이에서 유지된다. 동시에, 노출된 길이부는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 사이에 공급되는 땝납에 의해 둘러싸이는 외부 컨덕터의 전체 주연부에 걸쳐서 전도성 부재에 땝납된다.
반면에, 땝납을 사용하지 않는 다양한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이 제안되어 왔다. 특허 참조 문헌2는, 예를 들면 커넥터의 절연체 상에 장착되는 금속 케이스가 금속 케이스 상에 형성되는 스프링 판 섹션을 통해 각각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와 가압 접촉하여 유지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특허 참조 문헌3은 커넥터의 절연체 상에 장착되는 차폐 판이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의 외경보다 좁은 슬릿을 구비하여 형성되고, 슬릿의 에지부가 동축 케이블의 외피 내부로 절삭 삽입되면서 외부 컨덕터가 압력 하에서 슬릿 내부로 끼워 맞춤됨으로써 전기 연결을 고정하는 소위 절연 변위식의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개시한다.
전술된 종래의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모두는 동축 케이블 상에 가해지는 부적절한 인장 및 절곡에 대해 동축 케이블을 적절한 위치에 고정식으로 유지시키는 케이블 유지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케이블 유지 기능에 기인하여, 인장 또는 절곡과 같은 외부력이 동축 케이블 상에 가해지는 경우 발생할 수도 있는 커넥터와 같은 회로 구성 부품 내에 부설되는 단자와 동축 케이블의 코어 와이어 사이의 연결 섹션에 대한 손상은 케이블 외피를 연결 섹션 근처에 유지시킴으로써 방지된다.
[특허 참고 문헌1] 일본 특허 공개 제2825492호
[특허 참고 문헌2] 일본 무심사 특허 공개 제2001-85122호
[특허 참고 문헌3] 일본 무심사 특허 공개 제2003-331941호
최근 몇 년에 걸쳐, 커넥터와 같은 회로 구성 부품용 신호 라인의 고밀도 연결에 대한 강한 요구가 있어왔으며,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케이블 코어 와이어는 그 치수가 감소되어 왔으며 단자는 더 좁은 피치로 배열되게 되었다. 따라서,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에 있어서도, 고밀도 연결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케이블 코어 와이어가 그 직경에 있어 감소되고 단자가 인접하는 케이블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도록 더 작은 피치로 배열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전술된 종래의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몇몇 문제점에 직면하게 됨이 발견되어 왔다. 특허 참조 문헌1에 기술된 땝납 형태의 접지 구조물은, 예를 들면 복수의 동축 케이블이 한 쌍의 전도성 부재 사이에서 집합적으로 접지되는 경우, 용융된 땝납은 인접하는 동축 케이블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었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의 피접지 영역으로부터 개별 동축 케이블의 외피를 따라 전도성 부재 밖으로 쉽게 흘러나오게 된다. 그 결과, 피접지 영역 내에서의 외부 컨덕터와 전도성 부재 사이의 기계 및 전기적 연결은 불안정하게 된다. 또한, 일단 부분적으로 흘러나온 땝납이 굳어지면, 커넥터 외측의 동축 케이블은, 예를 들면 원하는 바와 같이 쉽게 절곡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반면에, 특허 참조 문헌2에 기술된 스프링 판 형태의 접지 구조물에 있어서는 전술된 문제는 땝납을 제거함으로써 극복된다. 그러나, 커넥터에 연결되는 동축 케이블 코어 수의 증가로 인해, 스프링 판의 압력은 증가되고, 그 결과로서 과도한 압력이 커넥터 금속 케이스의 변위를 야기하기 쉽다. 이는 한편으론 금속 케이스와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 사이의 기계 및 전기적 연결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다른 한편으론 각각의 케이블이 커넥터로부터 쉽게 벗어나게 만든다. 또한, 특허 참조 문헌3에 기술된 절연 변위식 접지 구조물은 땝납을 사용하지 않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동축 케이블의 코어 와이어의 크기 및 인접하는 동축 케이블의 간격의 감소로 인해 차폐 판 내에 절연 변위용 슬릿을 형성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게 된다. 차폐 판이 작은 피치로 이러한 얇은 슬릿을 구비하면서 형성되는 경우, 케이블을 유지하는 차폐 판의 기능이 훼손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론 각각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가 견고하게 접지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론 땝납의 사용 없이 신호 라인의 고밀도 연결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케이블 코어 와이어의 직경, 단자 배열 피치 및 인접하는 케이블 사이의 간격의 감소를 유지하면서 충분한 케이블 유지 기능이 발휘될 수 있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 주파수 회로 구성용으로 적절하게 사용되는 전술된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가지는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축 케이블을 이러한 커넥터에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앞선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제1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전도성의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 상에 고정식으로 배열되는 전도성의 제2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동축 케이블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사이에서 유지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에 개별적으로 전기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제공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상기 동축 케이블 각각이 상기 외부 컨덕터가 국부적으로 노출된 상태인 노출된 길이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제1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를 지지하고 상기 노출된 길이부의 외부 컨덕터와 접촉하게 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돌출부 상에서 지지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 및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가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개구 사이에서, 상기 제1 돌출부를 따라 절곡되면서 마찰력에 의해 고정식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2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제공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를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돌출부 상에서 개별적으로 지지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 및 상기 제1 돌출부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제2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3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제공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개구가 상기 제2 개구 내에 수용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의 상기 외부 컨덕터와 국부 접촉하게 되는 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4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청구항 제3항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제공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돌출하는 융기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된 길이부의 상기 외부 컨덕터를 상기 제2 개구의 상기 에지부 상에서 국부적으로 가압하도록 노출된 길이부가 상기 융기부 영역을 따라 절곡되어 있는 상태로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5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제공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개구가 상기 제2 개구 내에 수용되는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와 국부 마찰식 결합을 하게 되는 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6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제공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제2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2 개구에 인접하여 배열되고 상기 노출된 길이부의 상기 외부 컨덕터와 접촉하게 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2 돌출부 상에서 지지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 및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돌출부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제1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가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상기 제2 돌출부를 따라 절곡되고 마찰력에 의해 고정식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7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청구항 제6항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제공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를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2 돌출부 상에서 개별적으로 지지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제1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8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청구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제공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개구가 상기 제1 개구 내에 수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의 상기 외부 컨덕터와 국부 접촉하게 되는 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9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청구항 제8항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제공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돌출하는 융기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된 길이부의 상기 외부 컨덕터를 상기 제1 개구의 상기 에지부 상에서 국부적으로 가압하도록 노출된 길이부가 상기 융기부 영역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10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청구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제공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개구가 상기 제1 개구 내에 수용되는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돌출부와 국부 마찰식 결합을 하게 되는 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11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청구항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제공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개구가 서로에 대해 교대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개구가 서로에 대해 교대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개구의 교대 배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12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1항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제공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의 형상 및 치수가 상기 제1 돌출부 양측면에 배열된 한 쌍의 제1 개구의 형상, 치수 및 피치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돌출부의 형상 및 치수가 상기 제2 돌출부의 양 측면에 배열되는 한 쌍의 제2 개구의 형상, 치수 및 피치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2 개구 내에 가압-끼워 맞춤되고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1 개구 내에 가압-끼워 맞춤되는 경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13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전도성의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 상에 고정식으로 배열되는 전도성의 제2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동축 케이블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서 유지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에 개별적으로 전기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제공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동축 케이블을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돌출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지지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 및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개구의 에지부가 상기 제1 돌출부를 따라 절곡된 형태로 상기 동축 케이블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돌출부와 함께 상기 제2 개구 내에 개별적으로 수용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피 내부로 개별적으로 절삭 삽입되어, 압력하에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외부 컨덕터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14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제공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서 유지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외부 컨덕터와 접촉하는 패킹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15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제공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개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개구 사이에서 고정식으로 유지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피를 개별적으로 압력 하에서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중 하나 이상의 부재 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유지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16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5항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제공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상기 복수의 유지 요소가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개구 사이에서 고정식으로 유지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외피 내부로 개별적으로 절삭 삽입되어, 압력하에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17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청구항 제18항에 기술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7항에 따른 커넥터를 제공하며, 상기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 대응하는 배열로 상기 동축 케이블 및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조립되는 차폐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 부재에는 상기 제1 부재를 카운터파트 커넥터의 접지 전위에 전기 접속하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의 상기 제1 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19항에 기술된 발명은 청구항 제18항에 따른 커넥터에서 동축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커넥터의 상기 단자 각각이 상기 동축 케이블 각각의 코어 컨덕터에 연결 가능한 절연 변위 형태의 컨덕터 연결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이 상기 동축 케이블을 상기 제1 돌출부 상에 놓기 위해 상기 동축 케이블을 상기 본체 및 상기 차폐 부재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1 부재 상에 고정하도록,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을 상기 제2 개구 내에 수용하는 단계와, 상기 단자를 가압력 하에서 상기 동축 케이블이 위치되는 상기 본체에 부착하고, 상기 동축 케이블 각각을 절연 변위 방식으로 상기 단자 각각의 상기 컨덕터 연결 섹션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1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축 케이블의 제1 그룹의 외부 컨덕터는 땝납 없이 고정식으로 제1 및 제2 부재에 집합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동축 케이블이 배열되는 간격이 감소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다른 경우에 발생할 수도 있는 용융된 땝납이 개별 동축 케이블의 외피를 따라 제1 및 제2 부재 밖으로 흘러나오는 불편함이 제거된다. 또한, 다른 경우 땝납의 사용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는 환경에 대한 악영향도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컨덕터와 제1 및 제2 부재는 제1 부재의 제1 돌출부가 제2 부재의 제2 개구에 의해 수용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연결되어서, 동축 케이블의 제1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가 케이블에 평행한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제1 및 제2 부재 사이에서 마찰력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종래의 스프링 판 형태의 접지 구조물과는 달리, 동축 케이블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스프링력에 하에서의 제1 및 제2 부재의 변형을 야기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연결로 인해, 종래의 절연 변위 형태의 접지 구조물과는 달리, 동축 케이블의 코어 와이어의 치수 또는 인접하는 동축 케이블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는 경우에도 대응하는 치수인 제1 돌출부 및 제2 개구가 제1 및 제2 부재의 강도를 감소시키지 않고 제1 및 제2 부재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가 케이블 코어 와이어의 직경 감소 또는 단자가 배열되는 피치에 있어서의 감소를 유지한 채로 충분한 케이블 유지 기능을 발휘하면서 견고하게 접지될 수 있으므로, 신호 라인의 고밀도 연결에 대한 요구 조건을 만족시킨다.
청구항 제2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축 케이블의 제1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가 제1 및 제2 부재 사이에서 하나씩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각각의 노출된 길이부 및 대응하는 제1 돌출부는 서로에 대해 더 안정된 접촉을 유지한다. 따라서, 각각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는 강한 케이블 유지 기능을 발휘하면서, 동시에 더 견고하게 접지될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는 복수의 지점에서 제1 및 제2 부재에 기계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 결과로서, 각각의 동축 케이블은 더 견고하게 접지될 수 있다.
청구항 제4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돌출부의 융기부 영역은 웨지형 방식으로 작용하여 동축 케이블의 접지에 대한 안정성 및 기계적인 유지 강도를 더 향상시킨다.
청구항 제5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땝납 또는 용접과 같은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신속하면서도 확실하게 서로에 대해 고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청구항 제6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축 케이블의 제1 그룹과 다른 동축 케이블의 제2 그룹의 외부 컨덕터는 땝납 없이 제1 및 제2 부재에 집합적으로 고정되어 연결된다. 또한, 외부 컨덕터와 제1 및 제2 부재는 제2 부재의 제2 돌출부가 제1 부재의 제1 개구 내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서로에게 연결되어서, 동축 케이블의 제2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는 케이블에 평행한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제1 및 제2 부재 사이에서 마찰력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종래의 스프링 판 형태 및 절연 변위 형태의 접지 구조물과 관련된 문제점은 극복될 수 있다.
청구항 제7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축 케이블의 제2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는 제1 및 제2 부재 사이에서 하나씩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각각의 노출된 길이부 및 대응하는 제1 돌출부는 더 안정적인 형식으로 서로에 대해 접촉을 유지한다. 그 결과로서,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는 더 강한 케이블 유지 기능을 발휘하면서, 동시에 더 안정적으로 접지될 수 있다.
청구항 제8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는 복수의 지점에서 제1 및 제2 부재에 기계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 결과로서, 각각의 동축 케이블은 더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접지될 수 있다.
청구항 제9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돌출부의 융기부 영역은 동축 케이블의 접지에 대한 기계적인 유지 강도 및 안정을 더 향상시킨다.
청구항 제10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부재는 땝납 또는 용접과 같은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신속하면서도 확실하게 서로에게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청구항 제11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축 케이블의 제1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 및 동축 케이블의 제2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는 다르게 절곡되면서 서로에 대해 교대식으로 배열되고, 제1 및 제2 부재 사이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케이블 유지 기능은 개별 마찰력의 협력에 의해 더욱 향상된다.
청구항 제12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하에서 개별 제1 돌출부가 대응하는 제2 개구에 끼워 맞춤되고 개별 제2 돌출부가 대응하는 제1 개구에 끼워 맞춤되어서, 프레스 성형 공정으로 제1 및 제2 개구를 적절하게 형성하는 것만으로 제1 및 제2 부재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구성을 용이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제13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개구 내에 절연 변위 형태의 컨덕터 연결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청구항 제1항에 기술된 본 발명의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얻어내는 것이 가능하며, 동축 케이블의 단자 마무리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제14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킹 재료는 제1 및 제2 부재와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 사이의 전기 접속을 보조하거나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의 산화를 방지하는 것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청구항 제15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동축 케이블에 대한 케이블 유지 기능(또는 인장 감면 효과)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제16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축 케이블의 접지에 있어서, 향상된 전기 및 기계적인 안정성을 가지는 다중 지점 연결 구조물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제17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된 작동 효과를 발휘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고주파 회로의 구성에 적절하게 적용 가능한 높은 신뢰성의 커넥터가 제공된다.
청구항 제18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의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카운터파트 커넥터의 접지 전위에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제19항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축 케이블을 안정된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는 커넥터에 쉽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2는 조립되기 바로 직전의 도1의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3은 조립된 이후의 도1의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4는 도3의 선 IV-IV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5는 도4의 선 V-V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6는 도4의 선 VI-V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7은 도1의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내의 제1 및 제2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8은 도7의 제1 및 제2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10은 동축 케이블과 함께 도9의 커넥터의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은 도9의 커넥터 내에 조립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12a 및 도12b는 도10의 부품의 단면도이고, 도12a는 도5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도12b는 도6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13은 조립된 상태인 도9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4는 도9의 커넥터에 연결 가능한 기판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5는 도14의 커넥터 및 도9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6a 및 도16b는 도1의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16a는 도5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도16b는 도6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18은 도1 또는 도17의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9는 도18의 변형예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20은 도18의 변형예의 작동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21은 도18의 변형예의 작동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된다. 모든 도 면에 있어서, 유사 또는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각각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2는 조립되기 직전의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3은 조립된 이후의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4 내지 도6은 조립된 이후의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은 제1 부재 상에 고정식으로 배열될 수 있는 전도성의 제1 부재(12) 및 전도성의 제2 부재(1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부재(12, 14)는 모두 강성을 가지는 금속과 같은 양호한 전기 컨덕터의 박판형 부재이고, 판형 금속 재료를 소정 형상으로 펀칭 및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복수의 동축 케이블(16)은 제1 및 제2 부재(12, 14) 사이에 유지된다. 각각의 동축 케이블(16)은 코어 와이어(도시 생략)를 둘러싸는 절연부(18), 절연부(18)의 전체 외주연부에 걸친 편조식 또는 박막식 외부 컨덕터(20) 및 전체 외부 컨덕터(20)를 덮는 수지로 제조된 외피(22)를 포함한다.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은 이후 설명될 조립된 상태(도3)에 있어서 임의의 땝납의 사용 없이 각각의 동축 케이블(16)의 외부 컨덕터(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부재(12) 및 제2 부재(14)를 포함한다. 적절하게 조립된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은 직접 또는 커넥터와 같은 회로 구성 부품에 일체식으로 형성되어 통신 설비, 정보 설비, 의학 설비 및 계측 기구와 같은 다양한 전기 및 전자 장치의 접지 섹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지되어야 하는 각각의 동축 케이블(16)은 단자 단부 근처에서 소정 길이에 걸쳐 외피(22)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외부 커넥터(20)의 국부적으로 노출된 길이부(24)를 가진다. 동축 케이블(16)의 단자 단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22)가 단자 단부의 소정 길이에 걸쳐 제거되는 방식으로 처리된다. 동시에, 외부 커넥터(20)는 절연부(18)를 노출시키도록 말려 올려진다. 또한, 절연부(18) 근처에서, 노출된 길이부(24)는 외부 커넥터(20)를 유지하기 위해 짧은 나머지 외피(22a)를 통해 형성된다.
제1 부재(12)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편평 판형 베이스(26) 및 베이스(26)의 일 표면(26a)으로부터 돌출하는 언덕 형상으로 베이스와 합체하여 베이스 사이에 배열되는 복수의 제1 돌출부(28)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28)는 동축 케이블(16)의 제1 그룹(또는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대체 동축 케이블의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24)를 지지하고 노출된 길이부(24)의 외부 컨덕터(20)와 전도성 접촉을 이룬다. 또한, 제2 부재(14)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편평 판형 베이스(30) 및 베이스(30)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개구(32)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2 개구(32)는 제1 돌출부(28) 상에서 지지되는 동축 케이블(16)의 제1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24) 및 제1 부재(12)의 제1 돌출부(28)를 수용할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을 가진다.
제2 부재(14)는 또한 제2 개구(32)에 인접하여 한 쌍의 베이스(30)와 합체되고 베이스(30)의 일 표면(30a)으로부터 언덕 형상으로 베이스(30) 사이에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34)를 포함한다. 제2 돌출부(3)는 동축 케이블(16)의 제2 그룹 (또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그룹을 대체하는 동축 케이블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24)를 지지하고, 노출된 길이부(24)의 외부 커넥터(20)와 전도성 접촉을 이룬다. 또한 제1 부재(12)는 제1 돌출부(28)와 인접하여 한 쌍의 베이스(26)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개구(36)를 포함한다. 제1 개구(36)는 제2 돌출부(34) 상에서 지지되는 동축 케이블(16)의 제2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24) 및 제2 부재(14)의 제2 돌출부(34)를 수용할 수 있는 치수 및 형상을 가진다.
제1 부재(12) 및 제2 부재(14)는 동축 케이블(16)의 제1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24)가 제1 돌출부(28) 및 제2 개구(32)와 적절한 위치로 설정되고 동축 케이블(16)의 제2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24)가 제1 개구(36) 및 제2 돌출부(34)와 적절한 위치에 설정되는 방식으로 동축 케이블(16)을 유지시키면서 서로에 고정식으로 결합된다(도2 및 도3 참조). 공정에 있어서, 제1 부재(12)의 한 쌍의 베이스(26) 및 제2 부재(14)의 한 쌍의 베이스(30)는 표면(26a, 30a)이 서로 대향 되는 관계인 상태로 배열된다. 또한, 제1 부재(12)의 제1 돌출부(28) 및 제2 부재(14)의 제2 돌출부(34)는 보완 형식으로 개별적으로 제2 부재(14)의 제2 개구(32) 및 제1 부재(12)의 제1 개구(36) 내부에 끼워 맞춤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은 조립된다.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16)의 제1 그룹의 각각의 노출된 길이부(24)는 각각 제1 부재(12)의 제1 돌출부(28)와 제2 부재(14)의 제2 개구(32) 사이에서 제1 돌출부(28)를 따라 적절하게 절곡되면서 주로 마찰력하에서 제1 및 제2 부재(12, 14) 사이에서 고정식으로 유지된다(도4 및 도5 참조). 또한, 동축 케이 블(16)의 제2 그룹의 각각의 노출된 길이부는 각각 제1 부재(12)의 제1 개구(36)와 제2 부재(14)의 제2 돌출부(34) 사이에서 제2 돌출부(34)를 따라 적절하게 절곡되면서 주로 마찰력하에서 제1 및 제2 부재(12, 14) 사이에서 고정식으로 유지된다(도4 및 도6 참조). 이러한 연결에 있어서, 각각의 케이블(16)의 노출된 길이부(24)의 절곡 방향은 동축 케이블(16)의 나란한 배열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더 구체적으로, 전술된 상태에 있어서, 제1 부재(12)의 제1 돌출부(28)는 제2 부재(14)의 제2 개구(32)를 통해 돌출하는 융기부 영역(28a)을 포함하여서, 노출된 길이부가 융기부 영역(28a)을 따라 절곡되고 융기부 영역(28a)에서 대응하는 동축 케이블(16)의 외부 컨덕터(20)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동축 케이블(16)의 제1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24)를 지지한다. 또한, 제2 부재(14)의 제2 돌출부(34)는 제1 부재(12)의 제1 개구(36)를 통해 돌출하는 융기부 영역(34a)을 포함하여서, 노출된 길이부가 융기부 영역(34a)을 따라 절곡되고 융기부 영역(34a)에서 대응하는 동축 케이블(16)의 외부 컨덕터(20)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동축 케이블(16)의 제2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24)를 지지한다. 제1 돌출부(28) 및 제2 돌출부(34)의 동축 케이블(16)의 외부 커넥터(20)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은 동축 케이블(16)의 노출된 길이부(24)를 제1 및 제2 부재(12, 14) 사이에 유지시키는 마찰력에 기여한다. 또한 동축 케이블(16)의 외피[22, 나머지 외피부(22a) 포함]는 제1 부재(12)의 베이스(26)와 제2 부재(14)의 베이스(30) 사이에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축 케이블(16)의 외부 커넥터(20)는 제1 부재(12) 및 제2 부재(14)에 안정된 형 태로 기계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술된 구성을 가지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에 의하면, 동축 케이블(16)의 외부 커넥터(20)는 땝납의 사용없이 제1 및 제2 부재(12, 14)에 고정되어 집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동축 케이블(16)이 인접하여 배열되는 피치가 감소되는 경우에도, 다른 경우 발생할 수도 있는 각각의 동축 케이블(16)의 외피(22)를 따라 제1 및 제2 부재(12, 14) 외부로 흘러나오는 용융된 땝납의 불편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땝납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환경 영향도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커넥터(20)는 제1 부재(12)의 제1 돌출부(28)가 제2 부재(14)의 제2 개구(32)에 의해 수용되고 제2 부재(14)의 제2 돌출부(34)가 제1 부재(12)의 제1 개구(36)에 의해 수용되는 방식으로 제1 및 제2 부재(12, 14)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축 케이블(16)의 노출된 길이부(24)는 케이블에 평행한 방향에 대해 전체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제1 및 제2 부재(12, 14) 사이에서 마찰력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스프링 판 형태인 종래의 접지 구조물과는 달리, 증가된 개수의 동축 케이블(16)이 스프링력 하에서 제1 및 제2 부재(12, 14)를 변형할 수도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러한 연결 형태에 있어서, 절연 변위 형태인 종래의 접지 구조물과는 달리, 각각의 동축 케이블(16)의 코어 와이어의 치수 또는 인접하는 동축 케이블(16)의 간격이 감소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대응하는 치수를 가지는 제1 돌출부(28), 제1 개구(36), 제2 돌출부(34) 및 제2 개구(32)는 힘의 악영향 없이 제1 및 제2 부재(12, 14) 상에 형성 될 수 있다. 따라서,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16)의 외부 컨덕터(20)는 신호 라인의 고밀도 연결 요구를 만족하는 방식으로 케이블 코어 와이어의 직경 및 단자가 배열되는 피치의 감소를 유지한 채로 충분한 케이블 유지 기능을 발휘하면서 견고하게 접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부재(12)는 동축 케이블(16)의 제1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2)를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1 돌출부(28)를 포함하고, 제2 부재(14)는 제1 돌출부(28)에 의해 개별적으로 지지되는 동축 케이블(16)의 제1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24) 및 제1 돌출부(28)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제2 개구(32)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부재(14)는 동축 케이블(16)의 제2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2)를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2 돌출부(34)를 포함하고, 제1 부재(12)는 제1 돌출부(34)에 의해 개별적으로 지지되는 동축 케이블(16)의 제2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24) 및 복수의 제2 돌출부(34)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제1 개구(36)를 포함한다. 제1 부재(12)의 제1 돌출부(28) 및 제1 개구(36)는 서로 교대식으로 하나씩 배열된다. 유사하게 제2 부재(14)의 제2 돌출부(34) 및 제2 개구(32)는 제1 돌출부(28) 및 제1 개구(36)의 교대 배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서로 교대식으로 하나씩 배열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동축 케이블(16)의 노출된 길이부(24)는 제1 및 제2 부재(12, 14) 사이에서 하나씩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각각의 노출된 길이부(24)는 더 안정적인 형태로 대응하는 제1 및 제2 부재(12, 14)와 접촉하여 유지된다. 그 결과로서, 동축 케이블(16)의 외부 컨덕터(20)는 더 높은 안정성으로 접 지될 수 있고, 동시에 강한 케이블 유지 기능을 발휘하는 것도 가능하게 만든다. 이러한 다르게 절곡된 동축 케이블(16)의 교대식 배열로 인해, 각각의 코어 와이어의 외경은 0.09 mm 이하(즉, 미국 와이어 게이지에 따르면 AWG 40 이상)로 감소될 수 있고 중심선 사이의 간격은 0.3 mm 이하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고밀도 케이블 배열에 적용 가능한 제1 및 제2 부재(12, 14)는 현재 적용 가능한 프레스 성형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전술된 구성에 있어서, 평면도인 도7에 있어서, 제1 부재(12)의 각각의 제1 돌출부(28)의 형상 및 치수는 제1 돌출부(28)의 양 측면 상에 배열되는 한 쌍의 제1 개구(36)의 형상, 치수 및 피치에 의해 한정된다. 유사하게, 제2 부재(14)의 각각의 제2 돌출부(34)의 형상 및 치수는 제2 돌출부(34)의 양 측면 상에 배열되는 한 쌍의 제2 개구(32)의 형상, 치수 및 피치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압력 하에서 개별 제1 돌출부(28)가 대응하는 제2 개구(32) 내에 끼워 맞춤되고 개별 제2 돌출부(34)가 대응하는 제1 개구(36) 내에 끼워 맞춤되어, 단순히 프레스 성형 공정으로 제1 및 제2 개구(36, 32)를 적절하게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부재(12, 14)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구성을 쉽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전술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복수의 동축 케이블(16)이 단 한 개의 제1 돌출부(28)를 가지는 제1 부재(12) 및 단 한 개의 제2 개구(32)를 가지는 제2 부재(14)에 의해 유지되는 구성도 채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한편으로는 하나 이상의 동축 케이블(16)을 유지하는 제1 돌출부(28)와 제2 개구(32) 및 다른 한편으로는 하나 이 상의 동축 케이블(16)을 유지하는 제2 돌출부(34)와 제1 개구(36)가 제1 및 제2 부재(12, 14) 상에 적절한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2 부재(14)의 제2 개구(32)는 제2 개구(32) 내에 수용되는 동축 케이블(16)의 제1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24)의 외부 컨덕터(20)와 국부 접촉하는 에지부(32a)를 포함한다. 유사한 형식으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1 부재(12)의 제1 개구(36)는 제1 개구(36) 내에 수용되는 동축 케이블(16)의 제2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24)의 외부 컨덕터(20)와 국부 접촉하는 에지부(36a)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각각의 동축 케이블(16)의 외부 컨덕터(20)는 복수의 지점에서 제1 및 제2 부재(12, 14)에 기계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 결과, 각각의 동축 케이블(16)은 더 안정적인 형식으로 접지된다.
특히,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부재(12)의 제1 돌출부(28)는 노출된 길이부가 용기부 영역(28a)을 따라 절곡된 상태에서 동축 케이블(16)의 제1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24)를 지지하여서, 노출된 길이부(24)의 외부 컨덕터(20)를 제1 돌출부(28)에 의해 제2 부재(14)의 제2 개구(32)의 에지부(32a) 상으로 국부적으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사하게, 제2 부재(14)의 제2 돌출부(34)는 노출된 길이부가 용기부 영역(34a)을 따라 절곡된 상태에서 동축 케이블(16)의 제2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24)를 지지하여서, 노출된 길이부(24)의 외부 컨덕터(20)를 제2 돌출부(34)에 의해 제1 부재(12)의 제1 개구(36)의 에지부(36a) 상으로 국부적으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에지부(36a, 32a)는 제1 또는 제2 개구(36, 32)의 평행 배열을 따라 연장하는 중심선(C)에 대해 대칭인 위치에서, 단일 제1 또는 제2 개구(36, 32) 당 4개의 지점에서 개별적으로 고정된다(도8 참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각각의 동축 케이블(16)의 외부 컨덕터(20)는 4개의 지점에서 제2 부재(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다중 지점 연결은 각각의 동축 케이블(16)에 대한 케이블 유지 기능(또는 인장 감면 효과)을 더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2 부재(14)의 제2 개구(32) 각각은 제2 개구(32) 내에 수용되는 제1 부재(12)의 제1 돌출부(28)와 국부적인 마찰 접촉을 하는 에지부(32b)를 포함한다. 유사한 형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 부재(12)의 제1 개구(36) 각각은 제1 개구(36) 내에 수용되는 제2 부재(14)의 제2 돌출부(34)와 국부적인 마찰 접촉을 하는 에지부(36b)를 포함한다. 에지부(36b, 32b)는 제1 또는 제2 개구(36, 32)의 평행한 배열을 따라 연장하는 중심선(C)에 대해 대칭인 위치에서, 단일 제1 또는 제2 개구(36, 32) 당 4 개의 지점에서 개별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부재(12) 및 제2 부재(14)는 땝납 또는 용접과 같은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서로에 대해 신속하면서도 확실하게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은 커넥터와 같은 임의의 다양한 회로 구성 부품에 부설될 수 있다. 이후, 도9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전술된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40)의 구성이 설명된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4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10은 커넥터(40)의 하부 구성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11, 도12a 및 도12b는 커넥터(40)의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13은 조립된 형태인 커넥터(40)의 사시도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40)는 복수의 단자(42), 단자(42)를 지지하는 전기적인 절연 본체(44) 및 본체(44) 상에 배열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을 포함한다. 단자(4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부분적으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두 가지 형태의 단자(42A, 42B)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자(42A, 42B)는 동축 케이블(16)의 코어 와이어(도시 생략)에 연결되는 절연 변위 형태의 컨덕터 연결 섹션(46) 및 커넥터(40)에 연결될 수 있는 다른 커넥터(본 적용예에서 카운터 커넥터로 칭함)의 대응하는 단자(도시 생략)와 전도성 접촉하는 접촉 섹션(48)을 포함한다.
본체(44)는 서로 고정식으로 조합되는, 이격되어 평행한 배열인 복수의 단자(42)를 지지하는 제1 절연 부재(50) 및 평행한 배열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6)을 지지하는 제2 절연 부재(52)를 포함한다. 제1 절연 부재(50)는 소정 위치에서 단자(42)를 개별적으로 수용하고 지지하는 복수의 단자 배열 홈(54) 및 카운터 커넥터의 대응하는 단자에 대해 적절한 위치로 각각의 단자(42)의 접촉 섹션(48)을 설정하고 카운터 커넥터와 끼워 맞춤하는 끼워 맞춤부(56)를 포함한다. 반면에, 제2 절연 부재(52)는 동축 케이블(16)을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와이어 보유 홈(58)을 포함한다.
본체(44)의 제2 절연 부재(52)는 그 안에 부설되는 금속 차폐 부재(60)를 가진다. 차폐 부재(60)는 평면도에 있어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며 제2 절연 부 재(52)에 일체형으로 부설되는 베이스부(62) 및 베이스부(62)의 대향하는 종방향 단부의 일 표면 상에 절곡된 형태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단부 판부(64)를 포함한다. 차폐 부재(60)의 일 베이스부(62) 상에서,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의 제1 부재(12)는 제2 절연 부재(52)로부터 멀어지도록 일 종방향 측면 에지를 따라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부재(12)는 차폐 부재(60)의 베이스부(62)의 연장부로서 일체식으로 형성되고, 그로부터 180도 뒤로 절첩된 형태로 베이스부(62)에 대해 고정식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제1 부재(12)의 제1 개구(36) 및 제1 돌출부(28)는 제2 절연 부재(52)의 와이어 보유 홈(58)의 종방향으로 정렬된다. 또한, 각각의 단부 판부에는 그 외측면 상에 국부적으로 3개의 고정 리세스(66)가 제공된다.
복수의 동축 케이블(16)을 커넥터(60)에 연결하기 이전의 사전 작업으로서, 편평화된 다중 코어식 동축 케이블(16)의 단부 부분은 전술된 바와 같이 단자로서 처리되어 그 극단부에 절연 피노출부(18a) 및 노출된 길이부를 형성한다. 단자로서 처리된 동축 케이블(16)의 절연 피노출부(18a)는 제1 절연 부재(50) 상에 조립되기 이전에 제2 절연 부재(52)의 와이어 보유 홈(58) 내로 삽입된다. 동시에, 동축 케이블(16)의 노출된 길이부(24)는 제1 부재(12)의 제1 개구(36) 및 제1 돌출부(28)를 따라 개별적으로 배열된다(도10 참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의 제2 부재(14)는 전술된 단계를 따라 제1 부재(12)에 고정식으로 연결되어서, 동축 케이블(16)의 노출된 길이부(24)는 제1 부재(12)와 제2 부재(14) 사이에서 유지된다(도11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동축 케 이블(16)의 극단부에 있는 절연 피노출부(18a)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에 의해 커넥터 본체(44)의 제2 절연 부재(52)의 와이어 보유 홈(58) 내에서 고정식으로 유지된다. 동시에, 각각의 노출된 길이부(24)의 외부 커넥터(20)는 통상의 차폐 부재(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도12a 및 도12b 참조).
동축 케이블(16)을 고정식으로 지지하는 제2 절연 부재(52)는 본체(44)를 형성하도록 적절한 위치에서 절연 부재(50)와 조합을 이룬다. 이러한 적절한 위치에 서, 제1 절연 부재(50) 및 제2 절연 부재(52)를 서로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제2 절연 부재(52)의 차폐 부재(60)의 대향하는 종방향 단부 판부(64)는 제1 절연 부재(50)의 대향하는 종방향 단부면을 따라 절곡 및 절첩되어 결합을 이룬다(도13 참조). 이러한 연결에 있어서, 차폐 부재(60)의 단부 판부(64)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의 제1 부재(14)를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카운터파트 커넥터의 접지 전위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로서 기능 한다. 이어서, 복수의 단자(42A, 42B)는 동축 케이블(16)이 제1 절연 부재(50)와 제2 절연 부재(52) 사이에서 고정식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본체(44) 상에서 제1 절연 부재(50)의 대응하는 단자 배열 홈(54) 내에 끼워진다. 이어서, 각각의 단자(42A, 42B)의 커넥터 연결 섹션(46)은 제2 절연 부재(52)의 와이어 보유 홈(58) 내에 유지되는 동축 케이블(16)의 절연 피노출부(18a)의 절연부(18, 도12a 및 도12b 참조)로 절결 삽입하여 절연 변위 방식으로 코어 와이어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축 케이블(16)이 절연 변위에 의해 대응하는 단자(42A, 42B)에 견고하게 연결됨으로써, 커넥터(40)의 조립을 완성한다.
완전히 조립된 상태인 동축 케이블(16) 상에 가해질 수도 있는 인장 또는 절곡력과 같은 외부력은 차폐 부재(60) 내에 부설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에 의해 수용되고, 따라서 각각의 단자(42)의 컨덕터 연결 섹션(46)과 대응하는 동축 케이블(16) 사이의 연결 섹션은 실질적으로 외부력의 영향 없이 유지된다. 공정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의 제2 부재(14)는 차폐 부재(60)와 제1 절연 부재(50) 사이에서 유지되어 본체(44)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동축 케이블(16)에 가해지는 외부력에 대항하여, 적절한 와이어 연결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접지 기능 및 케이블 유지 기능을 더 향상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의 제2 부재(14)는 한 쌍의 베이스(30)의 종방향 대향 단부에 형성되는 연장부(30b, 도9 참조) 상에 용접 또는 땝납에 의해 차폐 부재(60) 상에 고정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커넥터(40)가 앞선 설명한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을 포함하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을 가지며, 고주파수 회로를 구성하는데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40)의 조립을 완성하면, 제2 절연 부재(52) 내에 부설된 차폐 부재(60)는 본체(44)의 외부면의 대부분에 걸쳐 연장된다. 따라서, 각각의 동축 케이블(16)의 외부 컨덕터(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차폐 부재(60)가 카운터파트 커넥터의 접지 전위에 연결되는 경우, 예를 들면 커넥터(40) 및 카운터파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고속 전달 특성은 커넥터 시스템의 신호 전달 경로를 위해 높은 레벨의 차폐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앞선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50)에 있어서, 높은 안정성 및 신뢰성을 가지는 절연 변위 형태의 와이어 연결 구조물을 채용함으로써, 단자(42)가 배열되는 피치의 감소 및 동축 케이블(16)의 코어 와이어 직경의 감소를 유지한 채로 고밀도 연결 구조물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40) 내에서 고밀도 연결에 대응하는 작은 피치 비열을 획득하기 위해서, 단자(42)의 절연 변위 형태의 컨덕터 연결 섹션(46)은 다른 길이를 가지는 두 개의 다른 형태의 단자(42A, 42B)를 사용하여 스태거드(staggered) 형식으로 배열된다. 그 결과로서, 커넥터(40)용으로 구현 가능한 고밀도 연결 구조물은 콤팩트하게 되어서, 동축 케이블(16)의 코어 와이어 외경은 0.09 mm 이하[즉, 미국 와이어 게이지(AWG) 40 이상)가 되고 단자(42)가 배열되는 피치는 0.3 mm 이하가 된다. 고밀도 연결에 적용 가능한 각각의 단자(42)의 컨덕터 연결 섹션(46)은 현재 적용 가능한 프레스 성형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구현 가능한 커넥터(40)의 외경은 예를 들면 깊이에 있어 3 내지 5 mm 그리고 높이에 있어 1 내지 2 mm가 될 수 있다.
부수적으로, 커넥터(40)와 쌍을 이루는 카운터파트 커넥터는 회로 보드 상에 장착되는 기판 커넥터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이러한 적용예에 한정되지 않지만, 연결 적용예에 적합한 임의의 다양한 커넥터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도14는 커넥터(40)의 카운터파트 커넥터로서 구성된 기판 커넥터(70)를 도시한다. 기판 커넥터(70)는 각각 커넥터(40) 상에 제공되는 각각의 단자(42)의 수형 접촉 섹션(48)과 전도성 접촉을 하게 되는 암형 접촉 섹션(72)을 가지는 복수의 단자(74), 개별 접촉 섹션(72)이 노출된 상태로 단자(74)를 지지하는 전기 절연 본 체(76) 및 커넥터(40) 상에 제공되는 차폐 부재(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단자(74)로부터 절연되면서 본체(76) 상에서 지지되는 한 쌍의 접지 부재(78)를 포함한다. 본체(76)에는 단자(74)의 접촉 섹션(72)이 커넥터(40)의 대응 단자(42)에 개별적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커넥터(40)의 본체(44)의 끼워 맞춤부(56)와 상호 보완식으로 끼워 맞춤되도록 구성되는 암형 끼워 맞춤부(80)가 제공된다.
단자(74)는 서로 동일한 치수 및 형상을 가지고 소정 거리에서 나란한 배열로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본체(76)의 끼워 맞춤부(80) 상에서 지지된다. 각각의 단자(74)는 본체(76)의 끼워 맞춤부(80) 내부로 끼워 맞춤되고 중간 위치에 놓여지는 부착부(82), 끼워 맞춤부(80)의 표면 상에서 노출되도록 부착부(82)로부터 연장하고 일단부에 놓여지는 접촉 센션(72) 및 본체(76)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부착부(82)로부터 대향 측면 상으로 접촉 섹션(72)으로 연장하는 타단부에 놓여지는 인입부(84)를 일체식으로 포함한다. 각각의 단자(74)의 인입부(84)는 기판 커넥터(70)가 장착되고, 그 도시가 생략된,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되는 컨덕터 패드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접지 부재(78)는 U자형 섹션을 가지고 본체(76)의 종방향 대향 단부 벽(76a)의 각각에 끼워 맞춤되는 베이스부(86) 및 베이스부(86)의 일 에지로부부터 외향으로 연장하고 베이스부(86)의 표면에 일반적으로 직각이 되도록 형성되는 단자부(88)를 포함한다. 접지 부재(78)는 단자부(88)가 본체(76)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형식으로 단부 벽(76a)에 부착된다. 접지 부재(78)의 베이스부(86)에는 끼워 맞춤부(80)에 대면하는 측면에서 본체(76)의 단부 벽(76a) 상의 소정 위치에 국부적으로 형성되는 3 개의 돌기부(90)가 제공된다.
앞선 구성을 가지는 기판 커넥터(70)는 커넥터(40)의 끼워 맞춤부(56)가 컨넥터(70)의 끼워 맞춤부(80)에 상호 보완식으로 끼워 맞춤되는 경우 상호 적절한 위치 관계로 커넥터(40)에 연결된다. 이러한 적절한 연결 상태에 있어서, 대응하는 단자(42, 74)는 구조적으로 암수 상호 관계를 가지는 개별 접촉부(48, 72)에서 2 지점 접촉을 유지하면서 서로에게 연결된다. 또한, 이러한 적절한 연결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40)의 제2 절연 부재(52)에 조립되는 차폐 부재(60)는 각각의 단부 판부(64, 또는 연결부) 상에 제공되는 3 개의 고정 리세스(66)가 기판 커넥터(70)의 각각의 접지 부재(78) 상에 제공되는 3 개의 돌기부(90)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한 쌍의 접지 부재(78)에 연결된다. 차폐 부재(60)의 고정 리세스(66)와 접지 부재(78)의 돌기부(90) 사이의 상호 끼워 맞춤은 커넥터(40)와 기판 커넥터(70) 사이의 적절한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래치 구조물로서 기능한다. 또한, 기판 커넥터(70)의 접지 부재(78)가 그 단자부(88)에서 기판 커넥터(70)가 장착되는, 그 도시가 생략된, 회로 기판의 접지 컨덕터에 연결되는 경우, 접지 전위가 커넥터(40)의 차폐 부재(60)에 주어지게 된다. 그 결과로서, 높은 레벨의 차폐 구조물은 커넥터(40) 및 기판 커넥터(70, 도15 참조)로 구성되는 커넥터 시스템에서 신호 전달 루트에 대해 설치될 수 있고, 커넥터 시스템의 고속 전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앞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16a 및 도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은 동축 케이블(16)의 외부 컨덕터(20)와 접촉하기 위해, 패킹 재 료(100)가 동축 케이블(16)과 함께 제1 부재(12) 및 제2 부재(14)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패킹 재료(100)는 금속 섬유, 전도성 고무 및 전도성 그리스 등과 같은 전도성 재료와 비금속 산화 방지 성분 및 밀봉제 등과 같은 비전도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패킹 재료(100)는 제1 및 제2 부재(12, 14)와 동축 케이블(16)의 외부 컨덕터(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보조하도록 작용한다. 반면에, 비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패킹 재료(100)는 동축 케이블(16)의 외부 컨덕터(20)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은 노출된 길이부(24, 도1 참조)를 가지는 동축 케이블(16)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도 양호한 접지 성능 및 케이블 유지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은 동축 케이블의 구성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대응하는 구성은 공통된 도면 부호로 칭해지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에 있어서, 외피(22)를 가지는 동축 케이블(16)의 일부분은 제1 부재(12)의 제1 돌출부(28)와 제2 부재(14)의 제2 개구(32) 사이 및 제1 부재(12)의 제1 구멍(36)과 제2 부재(14)의 제2 돌출부(34)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유지된다. 여기서, 제1 부재(12) 및 제2 부재(14)가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제2 개구(32)의 에지부(32a, 도8 참조)는 제1 돌출부(28)와 함께 제2 개구 내에 수용되는 각각의 동축 케이블(16)의 외피(22) 내로 끼워지고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20, 도1 참조)와 압력 하에서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되고, 유사하게 각각의 제1 개구(36)의 에지부(36a, 도8 참조)는 제2 돌출부(34)와 함께 제1 개구 내에 수용되는 각각의 동축 케이블(16)의 외피 내로 끼워지고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20, 도1 참조)와 압력 하에서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즉, 커넥터(40)의 단자(42)의 절연 변위 형태 컨덕터 연결 구조물과 유사한 컨덕터 연결 기능이 제1 및 제2 부재(12, 14)의 제1 및 제2 개구(36, 32)에 부여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6)이 제1 및 제2 부재(12, 14)의 제1 및 제2 돌출부(28, 34)를 따라 절곡되고 각각의 외부 컨덕터(20)가 4 개의 지점에서 제2 부재(14)에 연결되면서 견고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복수의 동축 케이블(16)의 외부 컨덕터(20)를 제1 및 제2 부재(12, 14)에 땝납을 사용하지 않고 기계 및 전기적으로 안정된 형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절연 변위 형태의 컨덕터 연결 구조물의 제공은 장점으로서 동축 케이블(16)의 단자 마무리 처리 작동을 단순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제1 부재(12)의 제1 돌출부(28)를 따라 배열되는 동축 케이블(16)의 일부분은 전술된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비교하여 외피(22)의 두께에 대응하는 양만큼 제2 부재(14)의 베이스(30)로부터 외향으로 더 돌출한다. 따라서, 앞서 기술된 커넥터(40) 및 카운터파트 커넥터를 포함하는 더 얇은 커넥터 시스템을 추구하는 경향에 비추어, 동축 케이블(16)의 이러한 돌출부가 제1 및 제2 부재(12, 14)의 절연 변위 연결 영역에 있어서 외피(22)를 국부적으로 제거하는 장 점을 가진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 모두에 있어서, 복수의 유지 요소는 제1 돌출부(28) 및 제2 개구(32)로부터 분리된 위치에서 개별적으로 동축 케이블(16)의 외피를 압력하에서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부재(12, 14)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들 들면,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34)와 동일 측면 상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갈고리형 유지 요소(102)가 소정의 동일 간격으로 제2 개구(32) 및 제2 돌출부(34)로부터 분리된 측면 에지를 따라 제2 부재(12)의 한 쌍의 베이스(30) 각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유지 요소(102)는 외피(22)를 가지는 일 동축 케이블(16)의 일부분이 이웃하는 유지 요소(102) 사이에서 압력 하에서 고정식으로 유지될 수 있는 형상, 치수 및 간격으로 구성된다.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이 적절하게 조립된 경우(도3 또는 도17 참조), 복수의 유지 요소(102)는 제1 부재(12)의 제1 돌출부(28)와 제2 부재(14)의 제2 개구(32) 사이 및 제1 부재(12)의 제1 개구(36)와 제2 부재(14)의 제2 돌출부(34) 사이의 마찰 또는 절연 변위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되는(도20 참조) 동축 케이블(16)의 외피(22)를 압력 하에서 개별적으로 더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개별 동축 케이블(16) 상의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의 케이블 유지 기능(또는 인장 감면 효과)는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유지 요소(102)를 제2 개구(32) 상에 제공함으로써, 제1 돌출부(28)와 제2 개구(32)의 협력 및 제1 개구(36)와 제2 돌출부(34)의 협력에 의한 케이블 유지 기능은 더욱 향 상되어서, 단자가 동축 케이블(16)의 코어 와이어 및 커넥터와 같은 회로 구성에 합체되는 연결 지점에서 각각의 동축 케이블(16) 상에 가해지는 인장 및 절곡력과 같은 외부력의 영향은 신뢰성 있고 안정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에 있어서, 제1 부재(12)의 제1 개구(36)의 에지부(36a) 및 제2 부재(14)의 제2 개구(32)의 에지부(32a)가 동축 케이블(16)의 외피 내로 끼워져서 외부 컨덕터(도1 참조)와 절연 변위 방식으로 전도성 접촉하게 되는 경우, 이러한 절연 변위 이전에 복수의 유지 요소가 개별 동축 케이블(16)의 외피(22)를 압력하에서 유지하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동축 케이블(16)은 절연 변위 영역에서 두 개의 종방향 측면 모두에서 대응하는 유지 요소(102)에 의해 기계식으로 유지되고, 따라서 동축 케이블(16)의 절연 변위 영역은 절연 변위 동안 요구되는 인장 하에서 유지되게 되어, 절연 변위 작동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제1 및 제2 실시예 모두에 있어서, 복수의 유지 요소(102)가 제1 돌출부(28)와 제2 개구(32) 사이 및 제1 개구(36)와 제2 돌출부(34) 사이에서 견고하게 유지되는 동축 케이블(16) 각각의 외피 내부로 개별적으로 절삭 삽입되어 동축 케이블(16)의 외부 컨덕터(20)와 압력 하에서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전술된 바와 같은 증가된 개수의 전도성 접촉 지점을 가지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10)의 다중 지점 연결 구조물은 전기 및 기계적으로 더 안정될 수 있다.

Claims (19)

  1. 전도성의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 상에 고정식으로 배열되는 전도성의 제2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동축 케이블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사이에서 유지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에 개별적으로 전기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 각각은 상기 외부 컨덕터가 국부적으로 노출된 상태인 노출된 길이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제1 그룹의 노출된 길이부를 지지하고 상기 노출된 길이부의 외부 컨덕터와 접촉하게 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돌출부 상에서 지지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 및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경우,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개구 사이에서, 상기 제1 돌출부를 따라 절곡되면서 마찰력에 의해 고정식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를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돌출부 상에서 개별적으로 지지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 및 상기 제1 돌출부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제2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2 개구 내에 수용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의 상기 외부 컨덕터와 국부 접촉하게 되는 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돌출하는 융기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된 길이부의 상기 외부 컨덕터를 상기 제2 개구의 상기 에지부 상에서 국부적으로 가압하도록, 노출된 길이부가 상기 융기부 영역을 따라 절곡되어 있는 상태로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2 개구 내에 수용되는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와 국부 마찰식 결합을 하게 되는 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 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제2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2 개구에 인접하여 배열되고 상기 노출된 길이부의 상기 외부 컨덕터와 접촉하게 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2 돌출부 상에서 지지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 및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돌출부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제1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서, 상기 제2 돌출부를 따라 절곡되면서 마찰력에 의해 고정식으로 유지되고 상기 제2 돌출부를 따라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를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2 돌출부 상에서 개별적으로 지지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제1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개 구 내에 수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의 상기 외부 컨덕터와 국부 접촉하게 되는 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돌출하는 융기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된 길이부의 상기 외부 컨덕터를 상기 제1 개구의 상기 에지부 상에서 국부적으로 가압하도록 노출된 길이부가 상기 융기부 영역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동축 케이블의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노출된 길이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개구 내에 수용되는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돌출부와 국부 마찰식 결합을 하게 되는 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개구는 서로에 대해 교대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개구는 서로에 대해 교대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개구의 교대 배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의 형상 및 치수는 상기 제1 돌출부 양측면에 배열되는 한 쌍의 제1 개구의 형상, 치수 및 피치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돌출부의 형상 및 치수는 상기 제2 돌출부의 양 측면에 배열되는 한 쌍의 제2 개구의 형상, 치수 및 피치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2 개구 내에 가압-끼워 맞춤되고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1 개구 내에 가압-끼워 맞춤되는 경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13. 전도성의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 상에 고정식으로 배열되는 전도성의 제2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동축 케이블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서 유지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컨덕터에 개별적으로 전기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이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동축 케이블을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돌출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지지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 및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돌출부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개구의 에지부는 상기 제1 돌출부를 따라 절곡된 형태로 상기 동축 케이블 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돌출부와 함께 상기 제2 개구 내에 개별적으로 수용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피 내부로 개별적으로 절삭 삽입되어, 압력하에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외부 컨덕터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서 유지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외부 컨덕터와 접촉하는 패킹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개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개구 사이에서 고정식으로 유지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피를 개별적으로 압력 하에서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중 하나 이상의 부재 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유지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지 요소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개구 사이에서 고정식으로 유지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외피 내부로 개별적으로 절삭 삽입되어, 압력하에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상기 외부 컨덕터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 대응하는 배열로 상기 동축 케이블 및 상기 단자를 지지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조립되는 차폐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 부재에는 상기 제1 부재를 카운터파트 커넥터의 접지 전위에 전기 접속하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의 상기 제1 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9. 제18항에 따른 커넥터에 동축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이며,
    상기 커넥터의 상기 단자 각각은 상기 동축 케이블 각각의 코어 컨덕터에 연결 가능한 절연 변위 형태의 컨덕터 연결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동축 케이블을 상기 제1 돌출부 상에 놓기 위해 상기 동축 케이블을 상기 본체 및 상기 차폐 부재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1 부재 상에 고정하도록,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을 상기 제2 개구 내에 수용하는 단계와,
    상기 단자를 가압력 하에서 상기 동축 케이블이 위치되는 상기 본체에 부착하고, 상기 동축 케이블 각각을 절연 변위 방식으로 상기 단자 각각의 상기 컨덕터 연결 섹션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에 동축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
KR1020077005186A 2004-08-06 2005-07-29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커넥터 및 커넥터에 케이블을연결하는 방법 KR200700482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31261A JP2006049211A (ja) 2004-08-06 2004-08-06 同軸ケーブル接地構造並びにコネクタ及びその結線方法
JPJP-P-2004-00231261 2004-08-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234A true KR20070048234A (ko) 2007-05-08

Family

ID=3516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186A KR20070048234A (ko) 2004-08-06 2005-07-29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커넥터 및 커넥터에 케이블을연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014789A1 (ko)
EP (1) EP1794844A1 (ko)
JP (1) JP2006049211A (ko)
KR (1) KR20070048234A (ko)
CN (1) CN101027820A (ko)
BR (1) BRPI0514130A (ko)
TW (1) TW200618401A (ko)
WO (1) WO20060173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4265B2 (ja) 2007-07-26 2009-11-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DE102008010352A1 (de) * 2008-02-13 2009-08-20 Newfrey Llc, Newark Halteanordnung für Kabelschuhe
JP5820580B2 (ja) 2010-12-02 2015-11-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の端末の接続構造
US8292655B1 (en) * 2011-04-01 2012-10-23 Intel Corporation Innovative cable termination scheme
JP6939625B2 (ja) * 2018-02-15 2021-09-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
JP6954170B2 (ja) * 2018-02-15 2021-10-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
US10958016B2 (en) * 2018-07-25 2021-03-23 Amphenol Assembletech (Xiamen) Co., Ltd. Ultra high speed signal cable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CN109411918A (zh) * 2018-07-25 2019-03-01 安费诺电子装配(厦门)有限公司 一种无地线超高速信号线缆连接器及其组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6764A (en) * 1978-10-05 1982-04-27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terminating high density cable
EP0043183B1 (en) * 1980-05-29 1985-04-17 Fujitsu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JPS60112078U (ja) * 1983-12-29 1985-07-29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タ
US4632486A (en) * 1985-05-29 1986-12-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sulation displacement coaxial cable termination and method
US5006286A (en) * 1986-03-31 1991-04-09 Amp Incorporated Polymeric electrical inter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4781620A (en) * 1987-02-18 1988-11-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at ribbon coaxial cable connector system
US4875877A (en) * 1988-09-12 1989-10-24 Amp Incorporated Discrete cable assembly
US5281762A (en) * 1992-06-19 1994-01-25 The Whitaker Corporation Multi-conductor cable grounding connection and method therefor
US5450664A (en) * 1993-11-18 1995-09-19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mid-cable termination
JP3131155B2 (ja) * 1996-07-10 2001-01-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859871B2 (ja) * 1998-06-25 2006-12-20 エフシーアイジャパ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6168458B1 (en) * 1998-09-30 2001-01-02 Steelcase Inc. Communications cabling system
JP3265424B2 (ja) * 1999-03-29 2002-03-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その結線方法
GB2350939B (en) * 1999-06-07 2001-05-02 All Best Electronics Co Ltd A connector
JP3489053B2 (ja) * 2000-08-28 2004-01-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
US6419502B1 (en) * 2001-03-14 2002-07-1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ontact arrangement
US6648697B2 (en) * 2002-04-16 2003-11-18 All Best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DE10250929B4 (de) * 2002-10-31 2005-03-10 Framatome Connectors Int Steckverbinderanordnung zur Verbindung zweier Flachbandleiter
US7201606B2 (en) * 2003-05-30 2007-04-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ir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or
US6905366B2 (en) * 2003-10-31 2005-06-14 All Best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JP2005141930A (ja) * 2003-11-04 2005-06-02 Molex Inc ケーブルコネクタ
US6830478B1 (en) * 2003-12-10 2004-12-1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icro coaxial connector assembly with latching means
JP4124760B2 (ja) * 2003-12-22 2008-07-2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保持具
JP4036378B2 (ja) * 2004-06-07 2008-01-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6884107B1 (en) * 2004-07-21 2005-04-26 L & K Precision Technology Co., Ltd. Connector
JP2006244732A (ja) * 2005-02-28 2006-09-14 Molex Inc ケーブル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49211A (ja) 2006-02-16
US20080014789A1 (en) 2008-01-17
WO2006017380A1 (en) 2006-02-16
BRPI0514130A (pt) 2008-05-27
TW200618401A (en) 2006-06-01
EP1794844A1 (en) 2007-06-13
CN101027820A (zh)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2300B2 (en) Cable with a meandering portion and a ground portion sandwiched between retaining elements
US6102747A (en) Modular connectors
KR100390311B1 (ko) 전송 특성이 향상된 차폐 케이블 커넥터
US735429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377803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US8052464B2 (en) Connector
TWI320249B (en) Connector with ground connection improved in protection against a noise trouble
KR100480884B1 (ko) 커넥터
KR20070048234A (ko)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커넥터 및 커넥터에 케이블을연결하는 방법
CN112072401B (zh) 端子结构和电连接器
JPH06325829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5785534A (en) Electrical connector
EP0112144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able
KR20100068002A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20060057990A (ko) 다극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CN107534226B (zh) 绝缘位移连接器
TWI491127B (zh) The connector and the body used by the connector
US7854626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small diameter shielded cable
JP2001015187A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EP0951092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JP2007042633A (ja) 同軸ケーブル接地構造並びにコネクタ及びその結線方法
JP2717373B2 (ja) Fpc用コネクタ
JP2009117104A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11003393A (ja) コネクタ装置
KR101541019B1 (ko) 땜납 습윤성을 제어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및, 콘택트의 도금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