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677B1 -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3677B1 KR100633677B1 KR1020050033128A KR20050033128A KR100633677B1 KR 100633677 B1 KR100633677 B1 KR 100633677B1 KR 1020050033128 A KR1020050033128 A KR 1020050033128A KR 20050033128 A KR20050033128 A KR 20050033128A KR 100633677 B1 KR100633677 B1 KR 1006336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eptacle
- coaxial cable
- connector
- receptacle fitting
- fitt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the spring member surrounding the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중에서, 특히, 저배(低背) 소형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해서, 리셉터클과의 끼워맞춤의 반복에 의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끼워맞춤 유지력이 저하되어서, 의외의 탈락 등에 의한 좋지 않은 상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동축케이블(C)의 중심 도체(c1)가 접속되는 콘택트(1)와, 콘택트(1)를 내장하는 절연보디(2)와, 절연보디(2)의 외부쪽에 동심원상에 동축케이블(C)의 바깥둘레 도체(c3)가 접속되는 복수의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을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통형상의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를 구비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외부쪽에 배치해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를 부분적으로 이중 스프링(12A, 12B) 구조로 하는 탄성 스프링(11, 11)을 구비하고, 특히,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서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인출되는 동축케이블(C)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부분을 이중 스프링(12A, 12B) 구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평면도
도 2는 커넥터의 끼워맞춤 아닌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커넥터의 끼워맞춤 아닌 상태의 단면 측면도
도 4는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의 단면 측면도
도 5는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의 단면 정면도
도 6은 외부 도체 셀의 외관 사시도
도 7은 외부 도체 셀의 단면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리셉터클
P: 동축케이블용 커넥터(플러그)
C: 동축케이블 c1: 중심 도체
c3: 바깥둘레 도체 1: 콘택트
2: 절연보디 3: 외부 도체 셀
4: 리셉터클 끼워맞춤부
4b: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이중 스프링의 내부쪽의 탄성 스프링)
5: 케이블가이드부
11: 탄성 스프링(이중 스프링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
12A, 12B: 이중 스프링
본 발명은, 각종 전자기기의 기판과 동축케이블과의 접속에 이용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중에서, 특히, 휴대전화 등의 통신기기나 전기측정기 등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동축케이블의 단부에 장착하여, 기판 위에 실장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리셉터클과 끼워맞춤시키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소형 전자기기의 박형ㆍ경량화 및 고밀도화에 대응하여, 리셉터클과의 끼워맞춤 높이를 낮게 억제하고, 리셉터클의 실장면적도 작아지는 저배 소형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플러그)가 있다. 이 커넥터는, 예를 들면, 동축케이블의 인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리셉터클과 끼워맞춤하는 L형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로서 공지되어 있으며(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동축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접속되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중심부에 내장하는 대략 원통형의 절연보디와, 상기 절연보디를 수용해서 동축케이블을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인출하는 대략 원통형의 리셉터클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동축케이블의 바깥둘레 도체와 접속되는 외부 도체 셀 로 구성되고, 리셉터클 끼워맞춤부를 리셉터클의 원통형의 외부 도체의 외부쪽에 끼워맞춤함으로서, 동축케이블의 중심 도체와 바깥둘레 도체를 커넥터의 콘택트와 외부 도체 셀을 개재해서, 리셉터클의 콘택트와 외부 도체에 각각 도통시킨다.
리셉터클 끼워맞춤부는, 절연보디의 외부쪽으로 동심원상에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을 배치해서 이루어지고, 각 탄성 스프링의 선단부에 리셉터클의 외부 도체의 바깥둘레지름보다 내부쪽으로 내뻗는 접점부가 형성되며, 리셉터클과의 끼워맞춤 시, 각 탄성 스프링에 의해서 접점부를 리셉터클의 외부 도체 바깥둘레면에 가압 부착하고, 리셉터클에 대해서 플러그를 끼워맞춤 유지하여, 전기적 도통을 유지한다.
외부 도체 셀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케이블 인출부와 반대쪽으로부터 뻗어 나와서 이 바닥면에 절곡되는 덮개부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에서 덮개부를 개재해서 케이블 인출방향으로 뻗어 나와서 동축케이블에 코킹되는 압착플랜지부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에서 케이블 인출방향으로 직접 뻗어 나와서 동축케이블의 바깥둘레 도체와 접촉한 상태에서 압착플랜지부의 내부쪽에 코킹되는 한쌍의 케이블가이드부를 가지고, 절연보디를 개재해서 콘택트가 중심위치에 배치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를, 케이블 인출방향과 리셉터클에 대한 삽발 (揷拔)방향이 직각이 되도록, 동축케이블의 단부에 코킹 고정한다.
조립 전의 외부 도체 셀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리셉터클 삽입구가 하향으로 되는 자세에서, 그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둘레벽 바닥 가장자리에서 상향으로 일련의 덮개부와 압착플랜지부가 뻗어 나오는 한편, 케이블가이드부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덮개부 연접부분(절곡부)과 반대쪽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뻗어 나온 반전개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전개상태에 있어서의 외부 도체 셀의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에 바닥쪽에서 절연보디를 삽입하고, 동축케이블의 중심 도체에 납땜 고정된 콘택트를 절연보디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용한 상태에서, 절연보디의 바닥면을 덮개부로 덮어 가리도록, 일련의 덮개부와 압착플랜지부를 절곡하고,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에서 압착플랜지부와 케이블가이드부를 케이블 인출방향으로 뻗어 나오게 한 후, 동축케이블의 바깥둘레 도체에 케이블가이드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 외부쪽에서 압착플랜지부를 코킹함으로서, 커넥터를 조립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특개2003-331997호 공보
저배 소형의 L형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는, 리셉터클 끼워맞춤부를 쥔 적정상태에서 리셉터클에서 뽑아서 제거하는 경우에는 문제 없지만, 저배 소형이기 때문에, 동축케이블을 인장해서 뽑혀지는 경우가 많아서, 이 경우, 커넥터는 마개 따개와 같이 「지레」의 원리에 의해 용이하게 빠지지만, 그 때에 응력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구조적으로 강도가 약한 부분에 집중되기 때문에,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소성변형이나 코킹부의 헐거움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삽발을 반복하면, 커넥터의 끼워맞춤 유지력은 현저하게 저하되어서 의외의 탈락이나 진동 등에 의해 순단(瞬斷)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 저배 소형이 됨에 따라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스프링 설계가 곤란하게 되고 필요한 초기 유지력도 확보하기 어렵다고 하 는 현상도 있으며, 커넥터의 끼워맞춤 유지력의 저하가 문제로 된다.
그런데,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중에서, 특히, 저배 소형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해서, 리셉터클과의 끼워맞춤의 반복에 의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끼워맞춤 유지력이 저하되어서, 의외의 탈락 등에 의한 좋지 않은 상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본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접속되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내장하는 절연보디와, 상기 절연보디의 외부쪽에 동심원상에 상기 동축케이블의 바깥둘레 도체가 접속되는 복수의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을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통형상의 리셉터클 끼워맞춤부를 구비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외부쪽에 배치해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를 부분적으로 이중 스프링 구조로 하는 탄성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에서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인출되는 동축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 부분을 이중 스프링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 스프링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외부쪽에 배치되기 전에, 가동부분 선단부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바깥둘레지름보다 내부쪽이 되도록, 원호형상 또는 접선방향의 직선형상으로 구부림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 스프링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은, 구부림가공에 의해 리셉터클 끼워맞 춤부의 외부쪽에 위치하는 외부 도체 셀의 일부를 이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평면도, 도 2는 커넥터의 끼워맞춤 아닌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커넥터의 끼워맞춤 아닌 상태의 단면 측면도, 도 4는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의 단면 측면도, 도 5는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의 단면 정면도, 도 6은 외부 도체 셀의 외관 사시도, 도 7은 외부 도체 셀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면 중 (S)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리셉터클을 표시하고, (P)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플러그)를 표시한다. 리셉터클(S)은, 직사각형 판형상의 수지제 절연보디(100)와, 절연보디(100)의 상부면 대략 중심부에서 직각으로 세워 올리는 축형상의 금속제(도전성) 콘택트(110)와, 콘택트(110)의 주위에 고리형상 공간(120)을 사이에 두고 동심형상으로 절연보디(100)의 상부면에서 직각으로 세워 올리는 원통형상의 금속제(도전성) 외부 도체(130)로 구성되고, 콘택트(110)의 기단(基端)부에 는, 하부면을 절연보디(100)의 바닥면에 평평하게 노출시키고, 또한 선단부를 절연보디(100)의 한 측면 가장자리 중앙부에서 돌출시키는 기판접촉부(110a)를 가지고, 외부 도체(130)의 기단부에는, 하부면을 절연보디(100)의 바닥면에 평평하게 노출시키고, 또한 선단부를 콘택트(110)의 접촉부(110a)를 돌출시킨 절연보디(100)의 한 측면 가장자리에 인접해서 대향하는 두 측면 가장자리 중앙부에서 돌출시키는 한쌍의 기판접촉부(130a, 130a)를 가지며,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의 소형 전자기기의 기판(도시하지 않음) 위에 각 기판접촉부(110a, 130a, 130a)를 각각 납땜 고정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면실장되고, 기판 위에 커넥터(P)의 코드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도면 중 (C)는 동축케이블을 표시하고, 중심 도체(c1)를 가지며, 그 바깥둘레에 내부절연피복층(c2)을 형성하는 동시에, 내부절연피복층(c2)의 바깥둘레에 중공(中空)원통 도체, 즉 바깥둘레 도체(c3)를 가지고, 그 바깥둘레를 외부절연피복층인 케이블 표면의 외피(c4)로 피복하고 있다. 후술하는 커넥터(P)를 장착하는 동축케이블(C)의 단부는, 중심 도체(c1), 이어서 바깥둘레 도체(c2)를 각각 소정 길이 노출시키도록, 껍질을 벗기는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커넥터(플러그)(P)는, 동축케이블(C)의 중심 도체(c1)가 납땜 접속되는 구리합금 등 금속제(도전성)의 콘택트(1)와, 콘택트(1)를 포위하도록 이것을 중심부에 내장하고, 또한 바깥둘레면에서 반지름방향으로 동축케이블(C)을 인출하는 계단식의 대략 원통형의 수지제 절연보디(2)와, 구리합금 등 얇은 금속판제(도전성)의 외부 도체 셀(3)로 구성되어 있다.
콘택트(1)는, 선단부에 동축케이블(C)의 중심 도체(c1)가 납땜 접속되는 결선부(1a)와, 결선부(1a)의 타단부 양쪽 가장자리에서 대향형상으로 세워 올려서 리셉터클(S)의 콘택트(11O)를 사이에 끼어 넣어서 접촉시키는 판 스프링 편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접촉부(1b, 1b)를 가지고 있다.
절연보디(2)는, 콘택트(1)를 수용하는 대략 L형의 중공부(2a)를 가지고, 절연보디(2)의 중심부에 이 축심을 따라서 형성되는 세로방향의 중공부(2a)의 단부를, 절연보디(2)의 단부(段部)(2b)에서 선단부쪽의 소경부(2c)의 선단부면(2d)의 중심부에 개구하고, 리셉터클(S)의 콘택트(110)를 소경부(2c)의 선단부면(2d)의 중심부에서 세로방향의 중공부(2a)에 꽂음으로써, 이 세로방향의 중공부(2a)의 양쪽에 배치된 콘택트(1)의 한쌍의 접촉부(1b, 1b)와 접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절연보디(2)의 중심부에서 반지름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방향의 중공부(2a)의 단부를, 절연보디(2)의 단부(2b)에서 기단부쪽의 대경부(2e)의 바깥둘레면에 개구하고, 이 가로방향의 중공부(2a)에 배치된 콘택트(1)의 결선부(1a)의 선단부에 동축케이블(C)의 중심 도체(c1)를 납땜 접속함으로써, 동축케이블(C)을 절연보디(2)의 바깥둘레면에서 반지름방향으로 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부 도체 셀(3)은, 평평한 바탕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고, 그것을 구부림가공한 것으로, 대략 원통형의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와, 좌우 한쌍의 케이블가이드부(5, 5)와, 덮개부(6), 압착플랜지부(7)를 가지고 있다.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와 케이블가이드부(5, 5)는, 띠형상 판편의 중앙부에서 한 쪽의 기부(基部)와 다른 쪽의 기부를 대략 반원형상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대향시키고, 나머지의 단부를 만곡부의 단부로부터 한 방향(반지름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뻗어 나오게 해서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대향시키고, 대향하는 대략 반원형의 만곡부에 의해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일부가 중단된 C형상의 원통벽을 형성하는 동시에, 대향하는 직선부(평행부)에 의해서 좌우 한쌍의 케이블가이드부(5, 5)를 형성하고 있 다. 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 절연보디(2)가 동심 위치에 수용되고, 절연보디(2)의 바깥둘레면에서 반지름방향으로 인출하는 동축케이블(C)을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원통벽이 중단된 부분에서 좌우의 케이블가이드부(5, 5)의 사이를 통과해서 반지름방향으로 인출하는 동시에, 좌우의 케이블가이드부(5, 5)에 의해서 동축케이블(C)의 외피(c4)를 벗긴 부분을 사이에 두고 바깥둘레 도체(c3)와 접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6)는,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리셉터클 삽입구와 반대쪽의 바닥면 개구를 덮어 가리는 다각형의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쪽에 압착플랜지부(7)와의 폭이 좁은 연설부(6a)를 가지고 있다. 압착플랜지부(7)는, 덮개부(6)에서 연설부(6a)를 경유해서 연속되는 평평한 베이스부(7a)와, 베이스부(7a)의 기단부쪽 양쪽 가장자리에서 선단부로 감에 따라서 상대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형상으로 세워 올리는 좌우 한쌍의 기부 코킹 편(7b, 7b)과, 베이스부(7a)의 선단부쪽 양쪽 가장자리에서 선단부로 감에 따라서 상대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형상으로 세워 올리는 좌우 한쌍의 단부 코킹 편(7c, 7c)을 가지고, 덮개부(6)의 한 쪽에 일련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압착플랜지부(7)와 반대쪽의 덮개부(6)의 다른 쪽에는,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와의 연설부이며 나중에 절곡되는 폭이 좁은 절곡예정부(6b)를 가지고, 절곡예정부(6b)를 개재해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원통벽의 중단된 부분과 반대쪽(케이블 인출부와 반대쪽)의 원통벽 바닥 가장자리에 일련의 덮개부(6)와 압착플랜지부(7)를 절곡 자재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이 일련의 덮개부(6)와 압착플랜지부(7)는, 도 7의 2점 사슬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절곡예정부(6b)가 신장 되어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바닥면 및 좌우의 케이블가이드부(5,5)의 바닥면과 직각을 이루는 조립 전의 반전개상태에서, 도 7의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절곡예정부(6b)에서 절곡되어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바닥면 및 좌우의 케이블가이드부(5,5)의 바닥면을 따르는 조립상태로 절곡된다. 이 절곡에 의해서, 덮개부(6)는,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바닥면 개구에 붙은 상태로 형성되어서 이 바닥면 개구를 덮어 가리게 되고, 압착플랜지부(7)는, 덮개부(6)를 개재해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서 케이블 인출방향으로 뻗어 나오고, 압착플랜지부(7)의 기부의 베이스부(7a) 및 기부 코킹 편(7b, 7b)이, 동축케이블(C)을 사이에 통과해서 바깥둘레 도체(c3)와 접촉시키는 좌우의 케이블가이드부(5, 5)를 둘러쌓아, 동축케이블(C)에 코킹함으로써 압착하게 되고, 압착플랜지부(7)의 단부의 베이스부(7a) 및 좌우의 단부 코킹 편(7c, 7c)이, 좌우의 케이블가이드부(5, 5)의 사이로부터 인출되는 동축케이블(C)의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부분을 둘러쌓아, 동축케이블(C)에 코킹함으로써 압착하게 된다.
또, 외부 도체 셀 (3)은, 절곡예정부(6b)에서 한 쪽의 외부 도체 셀(3)의 기부에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를, 그 단부에 좌우의 케이블가이드부(5,5)를 형성하고, 절곡예정부(6b)에서 다른 쪽의 외부 도체 셀(3)의 기부에 덮개부(6)를, 그 단부에 압착플랜지부(7)를 형성하고 있으며, 압착플랜지부(7)를 형성하는 쪽의 절곡예정부(6b)에서 한 쪽의 외부 도체 셀(3)에,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를 형성하는 쪽의 절곡예정부(6b)에서 다른 쪽의 외부 도체 셀(3)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관통구멍(확인창)(8, 8)을 구비하는 동시에,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를 형성하는 쪽의 절곡예정부(6b)에서 한 쪽의 외부 도체 셀(3)에 돌기(9, 9)를 구비하고, 외부 도체 셀(3)을 절곡예정부(6b)에서 코킹상태로 절곡했을 때, 돌기(9, 9)가 끼워맞춤하는 위치에 관통구멍(8, 8)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기(9, 9)는, 압착플랜지부(7)의 베이스부(7a)와 접합하는 좌우의 케이블가이드부(5, 5)의 선단부의 바닥면에서 각각 돌출 형성하는 동시에, 그 돌출 길이를 압착플랜지부(7)의 베이스부(7a)의 두께(관통구멍(8)의 깊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9, 9)에 대응해서 관통구멍(8, 8)은, 압착플랜지부(7)의 베이스부(7a)의 기부에 좌우로 2개 배열해서 구비하고 있다.
외부 도체 셀(3)의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는, 이것에 수용되는 절연보디(2)의, 소경부(2c)와 대향하는 선단부를,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로 대략 등분할되기 때문에 리셉터클 삽입구쪽 단부에서 소정 깊이 베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슬릿(4a, 4a)을 가지고, 2개의 슬릿(4a, 4a)에 의해서 3개로 대략 등분할된 원통벽의 분할부분을 지름방향으로 탄성변위 자재로 이루어져서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4b)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3개의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4b)의 선단부에, 리셉터클(S)의 외부 도체(130)의 바깥둘레지름보다 내부쪽으로 내뻗는 접촉부(4c)를 형성하고, 절연보디(2)의 소경부(2c)의 외부쪽에 동심원상에 3개의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4b)을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절연보디(2)는, 단부(2b)에서 기단부쪽의 대경부(2e)의 외부지름이, 리셉터클(S)의 외부 도체(130)의 외부지름보다 큰 지름이고, 또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분할되어 있지 않은 바닥부쪽의 내부지름과 대략 동일지름으로 형성되고, 또 단부(2b)에서 선단부쪽의 소경부(2c)의 외부지름이, 이 외부쪽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각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4b)의 접촉부(4c)의 내부지름보다 소정 치수 작고, 또한 리셉터클(S)의 외부 도체(130)의 내부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 절연보디(2)를 이 대경부(2e)의 외부지름을 이용해서 동심 위치에 수용 지지하고, 절연보디(2)의 소경부(2c)와 이 외부쪽에 동심원상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각 탄성 스프링(4b, 4b, 4b)과의 사이에, 리셉터클(S)의 외부 도체(130)를 끼워넣기 위한 고리형상 공간(10)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절연보디(2)의 높이는, 이 바닥면이 덮개부(6)에 맞닿은 상태에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 수용되었을 때, 각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4b)의 선단부보다도 리셉터클(S)의 중심 콘택트(110)를 꽂는 절연보디(2)의 소경부(2c)의 선단부면(2d)이 꽂는 방향으로 소정 치수만큼 돌출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P)에는, 외부 도체 셀(3)의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외부쪽에 배치해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를 부분적으로 이중 스프링(12A, 12B) 구조로 하는 탄성 스프링(11)을 구비하고 있다.
이중 스프링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11)은, 덮개부(6)의 좌우쪽 가장자리에서 접어 세워서 형성되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를 케이블 인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위치결정벽(6c, 6c)으로부터 케이블 인출방향을 향해 일체 뻗어 나오는 캔틸레버(cantilever)의 판 스프링(11a, 11a)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판 스프링(11a, 11a)을 선단부로 감에 따라서 리셉터클 끼워 맞춤부(4)에 접근하고, 또한 판 스프링(11a, 11a)의 가동부분 선단부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 있어서의 좌우의 케이블가이드(5, 5)의 뻗어 나온 부분 근방의 바깥둘레면에 맞닿도록, 판 스프링(11a, 11a)을 원호형상 또는 접선방향의 직선형상으로 구부림가공해서, 이중 스프링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11)을 형성하고,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서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인출되는 동축케이블(C)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2개의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부분을, 그 2개의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부분의 외부쪽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탄성 스프링(11, 11)에 의해, 이중 스프링(12A, 12B)의 구조로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이중 스프링(12A, 12B)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11, 11)은, 내부쪽의 탄성 스프링, 즉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4b)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구부림가공에 의해 이중 스프링(12A, 12B)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11, 11)으로 되는 판 스프링(11a,11a)은, 도 6 및 도 7의 2점 사슬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 셀(3)의 절곡예정부(6b)가 신장되어서 덮개부(6)와 압착플랜지부(7)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바닥면 및 좌우의 케이블가이드부(5, 5)의 바닥면과 직각을 이루는 조립 전의 반전개상태에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외부쪽에 배치되기 전에, 가동부분 선단부를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바깥둘레지름보다 내부쪽이 되도록, 화살표 f방향으로, 원호형상 또는 접선방향의 직선형상으로 구부림가공하고, 도 7의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 셀(3)이 절곡예정부(6b)에서 덮개부(6)와 압착플랜지부(7)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바닥면 및 좌 우의 케이블가이드부(5, 5)의 바닥면을 따르는 조립상태로 절곡되어지고, 이중 스프링(12A, 12B)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11, 11)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외부쪽에 배치될 때의 초기변위에 의해 이중 스프링(12A, 12B) 자체에 하중을 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커넥터(P)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반전개상태의 외부 도체 셀(3)을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리셉터클 삽입구가 하향으로 되는 자세로 배치하고, 그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 바닥쪽에서 절연보디(2)를 삽입하고, 동축케이블(C) 중심 도체(c1)가 납땜 접속된 콘택트(1)를 절연보디(2)의 중공부(2a)에 수용되고, 절연보디(2)의 바깥둘레면에서 반지름방향으로 인출되는 동축케이블(C)을,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원통벽이 중단되는 부분에서 좌우의 케이블가이드부(5, 5)의 사이를 통과해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인출하고, 좌우의 케이블가이드부(5, 5)에 의해서 동축케이블(C)의 외피(c4)를 벗긴 부분을 좌우 외부쪽에서 사이에 두고 바깥둘레 도체(c3)와 접촉상태로 한다.
다음에, 일련의 덮개부(6)와 압착플랜지부(7)를 절곡예정부(6b)에서, 도 7에 2점 사슬선으로 표시하는 수직 자세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는 수평 자세로 절곡하고, 덮개부(6)에 의해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바닥면 개구를 덮어 가리고, 압착플랜지부(7)의 기부의 베이스부(7a) 및 좌우의 기부 코킹 편(7b, 7b)에 의해서, 동축케이블(C)을 사이에 통과해서 바깥둘레 도체(c3)와 접촉상태의 좌우의 케이블가이드부(5, 5)를 둘러쌓고, 압착플랜지부(7)의 단부의 베이스부(7a) 및 좌우의 단부 코킹 편(7c, 7c)에 의해서, 좌우의 케이블가이드부(5, 5)의 사이에서 인출되는 동 축케이블(C)의 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부분을 둘러싼다. ·
그리고, 상기의 외부 도체 셀(3)의 절곡에 의해, 좌우의 케이블가이드부(5, 5)의 선단부에 구비된 좌우의 돌기(9, 9)가, 압착플랜지부(7)의 베이스부(7a)의 기부에 좌우로 2개 배열해서 구비된 좌우의 관통구멍(8, 8)에 각각 끼워맞춤된다.
또, 덮개부(6)의 좌우쪽 가장자리에 꺽어 세워 형성된 좌우의 위치결정벽(6c, 6c)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좌우 외부쪽에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를 케이블 인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이 위치결정벽(6c, 6c)에서 케이블 인출방법으로 일체 뻗어 나오고, 사전에, 가동부분 선단부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바깥둘레지름보다 내부쪽이 되도록, 원호형상 또는 접선방향의 직선형상으로 구부림가공된 좌우의 탄성 스프링(11, 11)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서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인출되는 동축케이블(C)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2개의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부분의 외부쪽으로 이동하고, 그 2개의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부분이, 그 부분의 외부쪽에 각각 배치된 2개의 탄성 스프링(11, 11)에 의해, 이중 스프링(12A, 12B) 구조로 되고, 그 때에 좌우의 탄성 스프링(11, 11)의 가동부분 선단부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 있어서의 좌우의 케이블가이드(5, 5)의 뻗어 나온 부분 근방의 바깥둘레면에 가압 부착되고, 이 때의 초기변위에 의해 이중 스프링(12A, 12B) 자체에 하중이 더해져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탄성력이 증가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외부 도체 셀(3)의 절곡에 의해서, 절연보디(2)가 수용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 및 좌우의 케이블가이드부(5, 5)를 형성하는 쪽의 절곡부 (6b)에서 한 쪽의 외부 도체 셀(3)의 상부쪽에, 덮개부(6)와 압착플랜지부(7)를 형성한 쪽의 절곡부(6b)에서 한 쪽의 외부 도체 셀(3)이 중첩되고, 하부쪽의 외부 도체 셀(3)이 상부쪽의 외부 도체 셀(3)에 의해서 덮어 가려져서, 하부쪽의 외부 도체 셀(3)의 상태, 즉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 상태(리셉터클 끼워맞춤부(4)가 소정의 위치에 자리잡아서, 들뜸이나 편심, 변형 등 이상의 유무)를 확인할 수 없었던 것이, 관통구멍(8, 8)에 의해서, 부가해서 관통구멍(8, 8)과 돌기(9, 9)의 끼워맞춤에 의해서 정확하고 정밀도 좋게, 또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확인은, 좌우의 관통구멍(8, 8)에 대한 돌기(9, 9)의 각각의 끼워맞춤 위치나 끼워맞춤 깊이 등, 돌기(9,9)의 끼워맞춤 상태를 관찰하고, 또 좌우의 돌기(9,9)의 끼워맞춤 상태를 비교해서 그 차이를 관찰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의 확인을 실시하여,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가 소정의 위치에 자리잡고, 들뜸이나 편심, 변형 등 이상이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리셉터클(S)과의 정상적인 끼워맞춤을 실시할 수 없는 불량품으로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적당한 조치를 실시해서 정상적으로 하거나, 혹은, 철거한다. 그리고, 이상이 확인되지 않는 정상적인 것에 대해서, 압착플랜지부(7)의 기부와 단부를 동축케이블(C)에 코킹해서 소성변형시키는 압착공정을 실행하여, 도 1 내지 도 5에 표시하는 조립상태로 커넥터(P)를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의 압착공정에서, 관통구멍(8, 8)과 돌기(9, 9)의 끼워맞춤에 의해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 및 좌우의 케이블가이드부(5, 5)를 형성하는 쪽의 절곡부(6b)에서 한 쪽의 외부 도체 셀(3)을, 덮개부(6)와 압착플랜지부(7)을 형성한 쪽의 절곡부(6b)에서 한 쪽의 외부 도체 셀(3)에 위치결정하는 기능을 발휘하고, 코킹 시에,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가 케이블 인출방향이나 그 반대방향, 케이블 인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어긋나거나 편심, 변형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조립 후의 커넥터(2)는, 동축케이블(C) 중심 도체(c1)가 접속되는 콘택트(1)와, 콘택트(1)를 중심부에 내장하는 대략 원통형의 절연보디(4)와, 동축케이블(C)의 바깥둘레 도체(c3)가 접속되는 금속판제의 외부 도체 셀(3)을 구비하고, 외부 도체 셀(3)은, 상기 절연보디의 외부쪽에 고리형상 공간(1O)을 사이에 두고 동심원상에 복수의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4b)을 배치해서 이루어지고, 절연보디(2)를 수용해서 동축케이블(C)을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인출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케이블 인출부와 반대쪽으로부터 뻗어 나와서 이 바닥면에 절곡되는 덮개부(6)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로부터 덮개부(6)를 개재해서 케이블 인출방향으로 뻗어 나와서 동축케이블(C)에 코킹되는 압착플랜지부(7)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서 케이블 인출방향으로 직접 뻗어 나와서 동축케이블(C)의 바깥둘레 도체(c3)와 접촉한 상태에서 압착플랜지부(7)의 내부쪽에 코킹되는 좌우 한쌍의 케이블가이드부(5, 5)를 구비하고, 절연보디(2)를 개재해서 콘택트(1)가 중심 위치에 장착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를, 케이블 인출방향과 리셉터클(S)에 대한 삽발방향이 직각이 되도록, 동축케이블(C)의 단부에 코킹 고정된 L형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로 된다.
상기의 구성에 부가해서, 압착플랜지부(7)를 형성하는 쪽의 절곡부(6b)에서 한 쪽의 외부 도체 셀(3)에 다른 쪽의 외부 도체 셀(3)의 상태를 확인하는 관통구멍(확인창)(8,8)을 구비하고 있으며, 압착(코킹)공정을 실시할 때의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를 형성하는 쪽의 절곡부(6b)에서 한 쪽의 외부 도체 셀(3)의 상태, 즉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 상태를 관통구멍(8, 8)에서 확인하고,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한 다음 그 공정을 실행하여, 외부 도체 셀(3)이 절곡불량 등에 의한 불량품의 발생을 거의 없게 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관통구멍(8, 8)을 구비하고 있으며,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그 정밀도를 높이고 있다. 또,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를 형성하는 쪽의 절곡부(6b)에서 한 쪽의 외부 도체 셀(3)에 돌기(9, 9)를 구비하고, 외부 도체 셀(3)을 코킹 상태로 절곡했을 때, 돌기(9, 9)와 관통구멍(8, 8)이 끼워맞춤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며, 돌기(9, 9)가 인디케이터의 역할을 완수하여, 관통구멍(8, 8)에 대한 돌기(9, 9)의 끼워맞춤 위치나 끼워맞춤 깊이 등, 돌기(9, 9)의 끼워맞춤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정밀도 좋게, 또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돌기(9, 9)가 관통구멍(8, 8)에 끼워맞춤한 상태, 즉 이들 돌기(9, 9)와 관통구멍(8, 8)에 의해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를 형성하는 쪽의 절곡부(6b)에서 한 쪽의 외부 도체 셀(3)을, 압착플랜지부(7)을 형성하는 쪽의 절곡부(6b)에서 다른 쪽의 외부 도체 셀(3)에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압착플랜지부(7)를 동축케이블(C)에 코킹, 이 코킹 시에,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가 케이블 인출방향이나 그 반대방향, 케이블 인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어긋나거나, 편심, 변형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또, 관통구멍(8, 8)을 압착플랜지부(7)에 구 비하고, 돌기(9, 9)를 케이블가이드부(5, 5)에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며, 외부 도체 셀(3)의 절곡부(6b)로부터 떨어져서(멀리)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 상태가 현저히 나타나는 위치에서, 그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 상태를 확인하고, 그 확인을 한층 더 정확하고 정밀도 좋게,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관통구멍(8, 8)과 돌기(9, 9)가 외부 도체 셀(3)의 절곡부(6b)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끼워맞춤하고, 또 그 끼워맞춤에 의해서 압착플랜지부(7)에 걸어맞춤된 상태의 케이블가이드부(5, 5)를, 그 압착플랜지부(7)의 내부쪽에 코킹하고,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위치어긋남이나 편심,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좌우 한쌍의 케이블가이드부(5, 5)의 선단부쪽에 각각 돌기(9, 9)를 구비하고, 관통구멍(8, 8)은 각 돌기(9, 9)에 대응해서 압착플랜지부(7)에 좌우로 2개 배열해서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며, 상기의 구성에 의한 모든 작용을 얻고 있다. 또한 왼쪽과 오른쪽의 돌기(9, 9)의 끼워맞춤 상태를 비교해서 그 차이를 관찰함으로써,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상태 확인을 한층 더 정확하고 정밀도 좋게,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 시의 위치어긋남이나 편심, 변형을 억제할 수 있었던 외부 도체 셀(3)의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를 리셉터클(S)과 끼워맞춤시키는 것이고, 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는, 중심부에 콘택트(1)를 내장한 계단식의 대략 원통형상의 절연보디(2)를 동심 위치에 수용하고 있으며, 절연보디(2)의 외부쪽에 고리형상 공간(1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는, 슬릿(4a, 4a) 부착이며, 절연보디(2)의 외부쪽에는, 슬릿(4a, 4a)에 의해서 복수로 분 할되어서 지름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으로 이루어진 분할원통벽, 즉 복수의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4b)이 고리형상 공간(10)을 사이에 두고 동심원형상으로 배치되고, 또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서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인출되는 동축케이블(C)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2개의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부분이 그 외부쪽에 각각 배치된 2개의 탄성 스프링(11, 11)에 의해, 이중 스프링(12A, 12B)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4b)의 선단부보다도 절연보디(2)의 선단부면(2d)이 리셉터클(S)에 대한 꽂는 방향으로 소정 치수만큼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P)의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축심과 리셉터클(S)의 외부 도체(130)의 축심을 맞춰서, 서로의 코드구멍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커넥터(P)의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를 리셉터클(S)의 외부 도체(130)의 외부쪽에 끼워맞춤함으로서, 도 4,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고리형상 공간(10)에 리셉터클(S)의 외부 도체(130)를 끼워 넣고, 커넥터(P)와 리셉터클(S)의 외부 도체(3, 130)끼리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이것과 동시에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절연보디(2)의 소경부(2c)가 리셉터클(S)의 고리형상 공간(120)에 끼워 넣고, 또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절연보디(2)의 선단부면(2d)에서 이 중심부에 리셉터클(S)의 콘택트(110)가 꽂혀지고, 커넥터(P)와 리셉터클(S)의 콘택트(1, 110)끼리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P)의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를 리셉터클(S)의 외부 도체(130)의 외부쪽에 끼워맞춤함으로서, 동축케이블(C)의 중심 도체(c1)와 바깥둘레 도체(c3)를 커넥터(P)의 콘택트(1)와 외부 도체 셀(3)을 개재해서, 리셉터클(S)의 콘택트(110)와 외부 도체(130)에 각각 도통시킨다. 끼워맞춤 이후는, 부분적으로 이중 스프링(12A, 12B) 구조를 취하는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탄성 스프링(4b, 12A(4b와 11), 12B(4b와 11))의 탄성에 의해서, 이 가동 선단부의 접촉부(4c)가 리셉터클(S)의 외부 도체(130)의 바깥둘레면에 가압 부착되고, 끼워맞춤을 유지하여, 전기적 도통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커넥터(P)와 리셉터클(S)의 끼워맞춤이, 커넥터(P)의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축심과 리셉터클(S)의 외부 도체(130)의 축심이 조금 어긋난 불안정한 상태에서 실시되었을 경우, 커넥터(P)의 각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4b)의 선단부보다도 절연보디(2)의 선단부면(2d)이 리셉터클(S)에 대한 코드방향으로 소정 치수만큼 돌출되어 있음으로서, 커넥터(P)의 절연보디(2)의 선단부면(2d)이 리셉터클(S)의 외부 도체(130)와 간섭하여, 커넥터(P)는 그 이상 무리하게 리셉터클(S)에 꽂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커넥터(P)와 리셉터클(S)의 끼워맞춤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실시되어도, 커넥터(P)의 절연보디(2)의 선단부면(2e)보다도 후퇴되어 있는 홑겹 구조 및 이중 구조의 각 탄성 스프링(4b, 12A(4b와 11), 12B(4b와 11))은, 리셉터클(S)의 외부 도체(130)와 간섭하지 않게 되어, 이 각 홑겹 구조 및 이중 구조의 각 탄성 스프링(4b, 12A(4b와 11), 12B(4b와 11))이 변형하는 것은 아니고, 이 변형에 의한 커넥터(P)와 리셉터클(S)과의 끼워맞춤 유지력의 저하에 의해, 커넥터(P)가 리셉터클(S)로부터 부주의하게 빗나가 버린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S)에 대해서도, 외부 도체(130)의 선단부보다도 콘택트(110) 의 선단부를 상기 커넥터(P)에 대한 꽂는 방향으로 소정 치수만큼 돌출시키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커넥터(P)와 리셉터클(S)의 끼워맞춤 시, 커넥터(P)의 콘택트(1)의 한쌍의 접촉부(1b, 1b)의 사이에 삽입하는 리셉터클(S)의 콘택트(110)의 삽입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접촉불량 등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커넥터(P)의 리셉터클(S)로부터의 뽑아서 제거함이, 동축케이블(C)을 인장함에 따라서 실시되었을 경우, 커넥터(P)의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는 「지레」의 원리에 의해 용이하게 리셉터클(S)로부터 빠져 버리고, 그 때,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각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4b)에 대해서 화살표 X1, X2, X3방향으로 하중이 더해지고, 또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 있어서의 케이블 인출방향과 반대쪽, 즉 지레의 지점쪽의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부분에 큰 하중이 더해져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 있어서의 케이블 인출쪽, 즉 지점보다 먼,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인출되는 동축케이블(C)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2개의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부분의 변위량이 커지고, 도 1의 2점 사슬선으로 둘러싼 A부와 B부, 즉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서 동축케이블(C)을 인출부분이고, 또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 있어서의 좌우의 케이블가이드(5, 5)의 뻗어 나온 부분인,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중단된 부분에서, 구조적으로 강도가 약한 부분에 최고의 응력이 걸리고, 그 A부와 B부가 화살표 a방향과 화살표 b방향으로 확대하고자 하지만,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가 부분적으로 이중 스프링(12A, 12B) 구조를 취하고, 또한 A부와 B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에서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인출되는 동축케이블(C)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4b, 4b) 부분을 이중 스프링(12A, 12B) 구조로 하고 있음으로서, 그 A부와 B부의 탄성력이 증가하고, 응력이 분산되어서, A부와 B부의 변위량이 떨어지고, A부와 B부가 변형하기 어려워지게 되기 때문에, 리셉터클(S)에 대한 커넥터(P)의 반복 삽발에 의한 끼워맞춤 유지력의 저하를 가장 효과적으로 저감시킬수 있는 동시에, 초기 유지력도 업할 수 있어서, 끼워맞춤ㆍ접촉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중에서, 특히, 저배 소형의 L형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해서, 리셉터클(S)과의 끼워맞춤의 반복에 의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끼워맞춤 유지력이 저하하여, 의외의 탈락 등에 의한 좋지 않은 상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중 스프링(12A, 12B)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11, 11)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외부쪽에 배치되기 전에, 가동부분 선단부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바깥둘레지름보다 내부쪽이 되도록, 원호형상 또는 접선방향의 직선형상으로 구부림가공함으로서, 이중 스프링(12A, 12B)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11, 11)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외부쪽에 배치되었을 때의 초기변위에 의해 이중 스프링(12A, 12B) 자체에 하중이 더해지고, 리셉터클(S)과의 끼워맞춤 시의 동축케이블(C) 인장 전단계에서 이미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탄성력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변위 도중에 이중 스프링(12A, 12B)으로 되는 구조에 비해서 변형에 강하고, 반복 삽발에 대한 특성의 변화도 적어서, 커넥터(P)의 반복 삽발에 의한 끼워맞춤 유지력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또 이중 스프링(12A, 12B)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11, 11)은, 구부림가공에 의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4)의 외부쪽에 위치하 는 외부 도체 셀(3)의 일부를 이용해서 형성되고 있으며, 외부 도체 셀(3)과 일체형으로 되어서, 부품점수나 조립공정수를 증가하는 일없이, 반복 삽발에 의한 끼워맞춤 유지력의 저하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동축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접속되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내장하는 절연보디와, 상기 절연보디의 외부쪽으로 동심원상에 상기 동축케이블의 바깥둘레 도체가 접속되는 복수의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을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통형상의 리셉터클 끼워맞춤부를 구비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을 인장해서 리셉터클로부터 뽑아서 제거하는 경우에는,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케이블 인출부분(도 1의 A부와 B부)에 최고의 응력이 걸리고, 그 부분을 외부쪽(도 1의 화살표 a방향과 화살표 b방향)으로 확대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리셉터클 끼워맞춤부가 부분적으로 이중 스프링 구조를 취하여, 그 탄성력이 증가하고, 응력을 분산시켜서, 동일부분의 변위량을 떨어뜨려 변형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력이 증가되어 변형하기 어려워지면, 반복 삽발에 의한 끼워맞춤 유지력의 저하가 저감될 수 있는 동시에, 초기 유지력도 업할 수 있어서, 끼워맞춤ㆍ접촉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이 결과,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중에서, 특히, 저배 소형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해서, 리셉터클과의 끼워맞춤의 반복에 의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끼워맞춤 유지력이 저하되어서, 의외의 탈락 등에 의한 좋지 않은 상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셉터클 끼워맞춤부는 케이블 인출부분(도 1의 A부와 B부)이 가장 강도적으 로 약하기 때문에,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에서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인출되는 동축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부분을 이중 스프링 구조로 함으로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가장 강도적으로 약한 부분을 보강할 수 있고, 반복 삽발에 의한 끼워맞춤 유지력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중 스프링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외부쪽에 배치되기 전에, 가동부분 선단부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바깥둘레지름보다 내부쪽이 되도록, 원호형상 또는 접선방향의 직선형상으로 구부림가공함으로서, 이중 스프링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외부쪽에 배치되었을 때의 초기변위에 의해 이중 스프링 자체에 하중이 더해지고, 리셉터클과의 끼워맞춤 시의 동축케이블 인장 전단계에서 이미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탄성력이 증가되어 있기 때문에, 변위 도중에 이중 스프링으로 되는 구조에 비해서 변형에 강하고, 반복 삽발에 대한 특성의 변화도 적어서, 반복 삽발에 의한 끼워맞춤 유지력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중 스프링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의 구부림가공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외부쪽에 배치된 후에도 실시되어서, 이 경우에는, 가동부분 선단부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바깥둘레면에 맞닿도록, 원호형상 또는 접선방향의 직선형상으로 구부림가공된다. 이와 같이, 이중 스프링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을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외부쪽에 배치된 다음에 구부림가공하는 편이, 커넥터의 조립은 실시하기 쉬워진다.
이중 스프링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은, 구부림가공에 의해 리셉터클 끼워맞 춤부의 외부쪽에 위치하는 외부 도체 셀의 일부를 이용해서 형성함으로서, 외부 도체 셀과 일체형으로 되고, 부품점수나 조립공정수를 증가하는 일없이, 반복 삽발에 의한 끼워맞춤 유지력의 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중 스프링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은, 외부 도체 셀 일체형과는 별도로, 금속제의 금속판 또는 와이어포밍에 의한 U자형상 스프링으로 구성하거나, 절연보디와 일체성형에 의해 보디원통형과 동심상에 형성된 수지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Claims (5)
- 동축케이블의 중심 도체가 접속되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내장하는 절연보디와, 상기 절연보디의 외부쪽에 동심원상에 상기 동축케이블의 바깥둘레 도체가 접속되는 복수의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을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통형상의 리셉터클 끼워맞춤부를 구비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외부쪽에 배치해서 리셉터클 끼워맞춤부를 부분적으로 이중 스프링 구조로 하는 탄성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 제1 항에 있어서,리셉터클 끼워맞춤부에서 반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인출되는 동축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원호형상 탄성 스프링 부분을 이중 스프링 구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이중 스프링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외부쪽에 배치되기 전에, 가동부분 선단부가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바깥둘레지름보다 내부쪽이 되도록, 원호형상 또는 접선방향의 직선형상으로 구부림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이중 스프링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은, 구부림가공에 의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외부쪽에 위치하는 외부 도체 셀의 일부를 이용해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 제 3항에 있어서,이중 스프링의 외부쪽의 탄성 스프링은, 구부림가공에 의해 리셉터클 끼워맞춤부의 외부쪽에 위치하는 외부 도체 셀의 일부를 이용해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125118 | 2004-04-21 | ||
JP2004125118A JP4241488B2 (ja) | 2004-04-21 | 2004-04-21 |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7341A KR20060047341A (ko) | 2006-05-18 |
KR100633677B1 true KR100633677B1 (ko) | 2006-10-12 |
Family
ID=3493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3128A KR100633677B1 (ko) | 2004-04-21 | 2005-04-21 |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186142B2 (ko) |
EP (1) | EP1589620A1 (ko) |
JP (1) | JP4241488B2 (ko) |
KR (1) | KR100633677B1 (ko) |
CN (1) | CN100456571C (ko) |
TW (1) | TWI27815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1189A (ko) * | 2004-07-29 | 2006-02-03 | (주)기가레인 | 동축 코넥터와 이 동축 코넥터를 구성하는 핀, 유전체,본체 및 이 부품들을 사용하여 동축 코넥터를 조립하는방법 |
TWM292798U (en) * | 2005-12-30 | 2006-06-21 | T Conn Prec Corp | Metal enclosure structure of antenna connector |
US7581958B2 (en) * | 2006-02-03 | 2009-09-01 |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 High voltage heater termination |
TWM307242U (en) * | 2006-07-14 | 2007-03-01 | Insert Entpr Co Ltd | Improved structure of microwave connector for RF communication |
US7351067B2 (en) * | 2006-08-09 | 2008-04-01 | Speed Tech Corp. | Coaxial cable connecting apparatus |
KR101031118B1 (ko) | 2007-06-01 | 2011-04-27 |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 동축 커넥터 |
CN102017331B (zh) * | 2008-04-23 | 2014-02-12 | 株式会社村田制作所 | 同轴连接器用插座 |
US7909645B2 (en) * | 2008-06-24 | 2011-03-22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Coaxial cable connector housing |
JP5295665B2 (ja) * | 2008-07-09 | 2013-09-18 | 恬▲ばい▼ 陳 | 同軸ケーブルのコネクタ |
US7950959B2 (en) * | 2008-07-15 | 2011-05-31 | Chen Ten May | Coaxial connector |
JP4730415B2 (ja) * | 2008-09-10 | 2011-07-20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L型同軸コネクタ |
JP5336963B2 (ja) | 2009-07-22 | 2013-11-0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8317540B2 (en) * | 2010-10-13 | 2012-11-27 | Shih-Chieh Chen | Coaxial connector with shielding shell |
JP5152301B2 (ja) * | 2010-11-15 | 2013-02-27 | Smk株式会社 | L型同軸コネクタ |
DE202012000487U1 (de) * | 2012-01-19 | 2012-02-27 |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 Verbindungselement |
US8804177B2 (en) * | 2012-12-12 | 2014-08-12 | Ricoh Company, Ltd | Validation of branching print workflows |
WO2016163140A1 (ja) * | 2015-04-10 | 2016-10-13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同軸コネクタ |
TWI680617B (zh) * | 2017-05-29 | 2019-12-21 |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 L型同軸連接器以及附有同軸電纜之l型同軸連接器 |
CN108075338B (zh) * | 2018-01-08 | 2024-05-14 | 中航富士达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可旋转定位的射频同轴旋转连接器 |
KR102519636B1 (ko) * | 2018-02-28 | 2023-04-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N110061395B (zh) * | 2019-04-29 | 2023-12-05 | 江苏正恺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稳固安装结构的连接装置 |
JP7366717B2 (ja) * | 2019-12-03 | 2023-10-23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組立体 |
CN112490739A (zh) * | 2020-12-09 | 2021-03-12 | 常州同惠电子股份有限公司 | 用于耐压仪低压端测试的锁紧机构 |
JP7392688B2 (ja) * | 2021-06-25 | 2023-12-06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コネクタセット |
CN115173120A (zh) * | 2022-06-24 | 2022-10-11 | 北京航天光华电子技术有限公司 | 一种可重复利用快速连接的总线线缆连接器及使用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74217A (en) | 1995-05-25 | 2000-06-13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Coaxial connector receptacle |
US6305980B2 (en) | 1999-03-18 | 2001-10-23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Cable end connector having accurately positioned connection terminal therein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62480A (en) | 1994-06-28 | 1997-09-02 | Smk Co., Ltd. | Surface mount type coaxial connector connecting coaxial cable to substrate |
JP3186021B2 (ja) * | 1995-02-15 | 2001-07-11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
US5772470A (en) * | 1996-06-03 | 1998-06-30 | Smk Corporation | Coaxial connector |
JP2002331997A (ja) | 2001-03-09 | 2002-11-19 | Nitsupatsu Moosu Kk | 船外機用操舵装置 |
US6712645B1 (en) * | 2003-04-22 | 2004-03-30 | Input Output Precise Corporation | Cable fixture of coaxial connector |
US6971913B1 (en) * | 2004-07-01 | 2005-12-06 | Speed Tech Corp. | Micro coaxial connector |
-
2004
- 2004-04-21 JP JP2004125118A patent/JP424148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03-15 TW TW094107907A patent/TWI278154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4-19 US US11/108,701 patent/US718614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4-20 EP EP05103169A patent/EP1589620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5-04-21 CN CNB2005100656967A patent/CN10045657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4-21 KR KR1020050033128A patent/KR10063367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74217A (en) | 1995-05-25 | 2000-06-13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Coaxial connector receptacle |
US6305980B2 (en) | 1999-03-18 | 2001-10-23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Cable end connector having accurately positioned connection terminal therei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278154B (en) | 2007-04-01 |
CN1691434A (zh) | 2005-11-02 |
TW200541176A (en) | 2005-12-16 |
EP1589620A1 (en) | 2005-10-26 |
CN100456571C (zh) | 2009-01-28 |
US20050239328A1 (en) | 2005-10-27 |
KR20060047341A (ko) | 2006-05-18 |
JP4241488B2 (ja) | 2009-03-18 |
US7186142B2 (en) | 2007-03-06 |
JP2005310515A (ja) | 2005-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33677B1 (ko) |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 |
JP4139782B2 (ja) |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 |
KR101181608B1 (ko) | 커넥터 및 케이블 리테이너 | |
JP5763007B2 (ja) | 電気コネクタ | |
JP5615319B2 (ja) | 電気コネクタ | |
JP5152301B2 (ja) | L型同軸コネクタ | |
US9236696B2 (en) | Coaxial connector | |
US7252545B2 (en) | Connector suitable for connection of a coaxial cable | |
CN107534226B (zh) | 绝缘位移连接器 | |
TWI539699B (zh) | Coaxial connector | |
JP2009037748A (ja) |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 |
JP6191422B2 (ja) | コネクタ付き同軸ケーブル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付き同軸ケーブル | |
US20200343669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07234491A (ja) | コネクタ | |
CN212062743U (zh) | 连接器端子 | |
KR102338051B1 (ko) | 동축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을 구비한 동축 커넥터 | |
CN112368891B (zh) | 用于柔性导电膜的插头连接器件 | |
JP4083103B2 (ja) |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 |
JP5961466B2 (ja) |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 | |
JP2000350336A (ja) | 圧接端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