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644A - 카메라 악세사리 및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악세사리 및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644A
KR20210025644A KR1020217003179A KR20217003179A KR20210025644A KR 20210025644 A KR20210025644 A KR 20210025644A KR 1020217003179 A KR1020217003179 A KR 1020217003179A KR 20217003179 A KR20217003179 A KR 20217003179A KR 20210025644 A KR20210025644 A KR 20210025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accessory
grip
battery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스케 나카가와
유타카 코지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5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02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04N5/2251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7Details of energy supply or mana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과제] 카메라의 저면에 부착된 채, 카메라에 대한 전지의 삽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카메라 악세사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카메라 악세사리(200)는, 카메라(100)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카메라 악세사리는, 악세사리 본체(201)와, 악세사리 본체를 카메라의 저면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 부재(202)와, 악세사리 본체가 카메라의 저면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에 대한 전지의 삽발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201a)와, 악세사리 본체에, 개구부를 여는 개위치와 개구부를 닫는 폐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부착된 악세사리 덮개부재(20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악세사리 및 카메라
본 발명은, 카메라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카메라 악세사리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의 소형화에 따르고, 손이 큰 유저에 대하여, 카메라의 홀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촬상 악세사리로서 카메라에 부착할 수 있는 보조 그립이 제공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는, 카메라의 그립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보조 그립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를 홀드한 유저의 손의 소지나 약지가 닿는 부위를 확보해서 홀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카메라의 저면에, 카메라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연장하도록 부착할 수 있는 보조 그립(이하, 연장 그립이라고 한다)도 제공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2002-328424호 공보
그러나, 카메라에 대하여 그 저면측에서 전지를 삽발하려고 할 때에 카메라에 연장 그립이 부착되어 있으면, 우선 연장 그립을 카메라로부터 떼고, 그 후에 카메라의 저면의 덮개부재를 열 필요가 있어, 유저에 있어서 번거롭다.
본 발명은, 카메라의 저면에 부착된 채, 카메라에 대한 전지의 삽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악세사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으로서의 카메라 악세사리는, 카메라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해당 카메라 악세사리는, 악세사리 본체와, 악세사리 본체를 카메라의 저면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 부재와, 악세사리 본체가 카메라의 저면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에 대한 전지의 삽발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와, 악세사리 본체에, 개구부를 여는 개(open)위치와 개구부를 닫는 폐(closed)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부착된 악세사리 덮개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카메라 악세사리가 부착된 카메라도,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악세사리를 카메라의 저면에 부착한 채로도, 악세사리 덮개부재를 여는 것으로, 카메라에 대한 전지의 삽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1]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연장 그립의 분해 사시도.
[도2] 실시 예의 연장 그립의 정면 사시도, 배면 사시도 및 하면도.
[도3] 실시 예의 연장 그립이 부착된 카메라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4] 카메라로부터의 카메라 덮개부재의 분리를 도시한 도면.
[도5] 실시 예의 연장 그립과 카메라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6] 실시 예에 있어서의 그립 덮개부재의 록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 그립 덮개부재의 손잡이 부재를 일으켜 세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 그립 덮개부재의 록 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 개위치에 있는 그립 덮개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10] 그립 덮개부재의 회전 록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11] 폐위치에 있는 그립 덮개부재와 전지 장전 검출 스위치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12] 개위치에 있는 그립 덮개부재와 전지 장전 검출 스위치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13] 폐위치에 있는 그립 덮개부재에 의한 전지 보유부재의 보유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4] 개위치에 있는 그립 덮개부재에 의한 전지 보유부재의 보유 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5] 실시 예의 연장 그립에 설치된 볼록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도3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카메라 악세사리로서의 연장 그립(2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장 그립(200)은, 후술하는 카메라(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교환식 촬상 장치로서의 카메라 본체)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1은, 연장 그립(200)을 분해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2(a)는 정면측 경사로부터 본 연장 그립(200)을 도시하고, 도2(b)는 배면측 경사로부터 본 연장 그립(200)을 도시하고 있다. 도2(c)는, 저면측에서 본 연장 그립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3(a), (b)는 각각, 연장 그립(200)이 부착된 카메라(100)를 정면측 경사 및 배면측 경사로부터 보아서 도시하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y방향 및 -y방향은 각각 상측 및 하측을 나타내고, +z방향 및 -z방향은 각각 피사체측(전면측) 및 배면측을 나타낸다.또한, +x방향 및 -x방향은 각각,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우측 및 좌측을 나타낸다.
연장 그립(200)은, 악세사리 본체로서의 그립 케이스(201), 체결 부재(202) 및 악세사리 덮개부재로서의 그립 덮개부재(203)를 포함한다.
그립 케이스(201)에는, 케이스 커버(210), 판금부품(211), 위치결정 핀(212) 및 러버 부품(213, 214)이 부착되어 있다. 판금부재(211)는, 그립 케이스(201)의 상면에 부착되어서 그립 케이스(201)의 강도를 확고히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판금부품(211)은, 그립 케이스(201)의 최상면이 되는 케이스 커버(210)와 함께 나사에 의해 +y방향으로 함께 체결되어, 그립 케이스(201)와 케이스 커버(210)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위치결정 핀(212)은, 연장 그립(200)(그립 케이스(201))과 카메라(100)와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부품이며, 그립 케이스(201)와 케이스 커버(210)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그립 케이스(201) 및 케이스 커버(210)는 수지(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형성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단,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부터의 깎아 내기에 의해 제작되어도 좋다. 판금부품(211) 및 위치결정 핀(212)은, SUS등의 금속의 프레스 가공이나 절삭가공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러버 부품(213, 214)은, 연장 그립(200)이 부착된 카메라(100)를 유저가 손으로 파지(홀드)할 때에, 손의 일부가 닿는 개소에 도시되지 않은 양면 테이프 등을 사용해서 접착되어 있다. 러버 부품(213, 214)은 쿠션성을 갖고, 카메라(100)를 홀드 했을 때의 감촉을 양호하게 하고 있다.
도3(a)에 있어서, 카메라(100)는 그의 전면우측에 카메라 그립부(101)를 갖고, 연장 그립(200)은, 카메라 그립부(10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그립 연장부(204)를 갖는다. 그립 연장부(204)는, 연장 그립(200)이 부착된 카메라(100)를 유저가 손으로 홀드할 때에, 손의 일부(주로 약지나 소지)가 닿는 부위가 된다. 다시 말해, 카메라(100)에 연장 그립(200)이 부착되는 것으로, 카메라 그립부(101)의 -y방향으로 그립 연장부(204)가 가해지는 결과, 유저가 손으로 홀드 가능한 그립부가 연장된다.
체결 부재(202)는, 제1의 체결부(220), 제2의 체결부(221), 체결 베이스 부재(222) 및 캡(223)으로 구성되어, 그립 케이스(201)에 ±y방향으로 연장되는 축회전으로 회전가능하게 보유된다. 체결 부재(202)는, 연장 그립(200)(그립 케이스(201))을 카메라(100)에 부착하기 위한 부품이다.
제1의 체결부(220)와 제2의 체결부(221)는 각각, 1개의 금속부품의 외주와 내주에 동축에 설치된 숫나사와 암나사다. 제1의 체결부(220)는, 카메라(100)의 저면에 설치된 삼각용 암나사부(삼각용 체결부: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에 단단히 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 그립(200)이 카메라(100)의 저면에 부착된다. 또한, 제2의 체결부(221)에는, 도시되지 않은 삼각의 자리(seat)면(삼각 자리)에 설치된 숫나사부를 단단히 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 그립(200)과 이것이 부착된 카메라(100)가 삼각에 고정된다.
제1의 체결부(220)를 갖는 체결 부재(202)에 제2의 체결부(221)도 설치함으로써, 삼각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달리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제1의 체결부(220)와 제2의 체결부(221)가 설치된 금속부품의 외주부에는 체결 베이스 부재(222)가 2색 성형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체결 베이스 부재(222)에는, 이것을 덮도록 외관부품으로서의 캡(223)이 나사에 의해 +y방향으로부터 부착된다.
또, 제1의 체결부(220), 제2의 체결부(221), 체결 베이스 부재(222) 및 캡(223)은, 금속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어도 좋다. 체결 부재(202)는, 카메라(100)의 정면 및 배면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회전 조작이 가능하다.
그립 덮개부재(203)는, 덮개 베이스 부재(230), 덮개 커버(231), 덮개부착축(238), 개방(opening) 스프링(239), 방적부재(240) 및 덮개 록부(205)를 갖는다. 그립 덮개부재(203)는 ±z방향으로 연장되는 덮개부착축(238)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그립 케이스(201)에 형성된 개구부(201a)를 여는 개위치와 개구부(201a)를 닫는 폐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이동 가능)하게 그립 케이스(201)에 부착된다. 개구부(201a)는, 연장 그립(200)이 카메라(100)의 저면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100)의 저면에 설치된 개구(삽발구)를 통해서 카메라(100)내의 전지실에 대하여 전지나 미디어를 삽발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덮개 베이스 부재(230)는, 덮개 베이스 부재(230)에 설치된 구멍부와 그립 케이스(201)에 설치된 구멍부에, 덮개부착축(238)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그립 케이스(20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덮개 베이스 부재(230)의 상면(내면)에는, 이것을 덮도록 덮개 커버(231)가 나사에 의해 부착된다. 덮개 커버(231)의 외면에는, 가압부(접촉부)(232)와 스토퍼부(2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립 덮개부재(203)가 폐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가압부(232)는, 카메라(100)에 설치된 전원검출 부재(108)에 접촉하여 이것을 가압한다. 또한, 스토퍼부(233)는, 카메라(100)의 전지실에 수납된 전지를 보유하도록 전지실내에 설치된 전지 보유부재(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를 건다. 덮개 베이스 부재(230) 및 덮개 커버(231)는 수지(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성형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 케이스(201)에 있어서의 개구부(201a)를 둘러싸는 프레임부의 안 그립 연장부(204)와는 반대측의 배면부(201b)는, 전면부 및 측면부로부터도 +y방향으로 잘린 형상을 갖는다. 이하, 이 부분을 노치(notch)부(201b)라고도 말한다. 한편, 덮개 베이스 부재(230)의 배면부(230a)는, 전면부 및 측면부으로부터도 +y방향으로 돌출한 형상을 갖는다. 이하, 이 부분을 돌출부(230a)라고도 말한다. 돌출부(230a)는, 그 형상이 노치부(201b)의 형상에 맞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립 덮개부재(203)가 폐위치로 닫은 상태에서는,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치부(201b)와 돌출부(230a)의 끝끼리가 대향해서 이것들의 경계인 경계선(300)이 형성된다. 그립 케이스(201)에 노치부(201b)를 설치한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덮개 록부(205)는, 회전 록 부재(234), 받침대(235), 손잡이 부재(236) 및 손잡이 축(237)으로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 부재(236)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축(237)을 받침대(235)와의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받침대(235)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회전 록 부재(234)는, 받침대(235)와의 사이에 덮개 베이스(230)부재를 끼우도록 배치되어, 나사에 의해 +y방향으로부터 받침대(235)에 결합된다. 회전 록 부재(234)는, 받침대(235)에 부착된 손잡이 부재(236)가 ±y방향으로 연장되는 축회전으로 회전 조작됨으로써, 록 위치와 록 해제 위치에 회전가능하다. 그립 덮개부재(203)가 폐위치에 닫힌 상태에 있어서, 록 위치에 있는 회전 록 부재(234)는 그립 케이스(201)에 형성된 록 걸림 구멍부(216)에 걸어맞춘다. 이에 따라, 그립 덮개부재(203)가 폐위치에 걸린다. 또한, 회전 록 부재(234)는, 록 해제 위치에서는 록 걸림 구멍부(216)로부터 벗어난다. 이에 따라, 그립 덮개부재(203)가 폐위치로부터 개위치로 회전가능해진다.
개방 스프링(239)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며, 코일부가 덮개부착축(238)의 외주에 배치되고, 2개의 팔부 중 한쪽은 그립 케이스(201)에 접촉하고, 다른쪽은 덮개 베이스 부재(230)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록 부재(234)가 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그립 덮개부재(203)는 개방 스프링(239)의 부세력(biasing force)에 의해 그립 케이스(201)에 대하여 개위치를 향해서 회전된다.
회전 록 부재(234), 받침대(235) 및 손잡이 부재(236)는, 수지(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아세탈 등)의 형성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착축(238)은, SUS등의 금속의 프레스 가공 또는 절삭가공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방적부재(240)는, 우레탄 발포체 등의 완충재이며, 도시되지 않은 양면 테이프 등으로 덮개 베이스 부재(230)에 접착되어 있다. 방적부재(240)는, 그립 덮개부재(203)가 폐위치에 있을 때에 그립 케이스(201)와 덮개 베이스 부재(230)와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부서지는 것으로, 그것들의 사이를 밀폐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 본체(100)내에 수납되는 전지 및 미디어의 주변의 방적성능을 향상시킨다.
다음에, 도4 및 도5를 사용하여, 연장 그립(200)을 카메라(100)에 부착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4(a)는, 저면측에서 본 카메라(100)의 덮개부재(이하, 카메라 덮개부재라고 한다)(110)가 개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연장 그립(200)의 개구부(201a)의 뒤에는, 카메라(100)의 저면의 삽발구(130)를 통하여, 카메라(100)내의 전지실 및 미디어 슬롯의 각각에 삽입된 전지(104)와 미디어(105)가 보이고 있다. 미디어(105)는, 카메라(100)에 의한 촬상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도4(b)는, 카메라 덮개부재(110)를 카메라(100)로부터 분리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도4(c)는, 카메라 덮개부재(110)가 분리된 카메라(100)를 도시하고 있다. 도5(a), (b)는 각각, 정면측 경사 및 배면측 경사로부터 본 카메라(100)와 연장 그립(200)을 도시하고 있다.
그립 케이스(201)를 카메라(100)의 저면에 부착할 때는, 우선, 카메라 덮개부재(110)를 카메라(100)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카메라 덮개부재(110)가 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유저가 분리 레버(111)를 +z방향으로 당기는 조작을 행하는 것으로(도4(a)), 카메라 덮개부재(110)를 카메라(100)에 부착하고 있었던 도시되지 않은 축부재가 카메라 덮개부재(110)내로 퇴피한다(도4(b)). 이에 따라, 카메라 덮개부재(110)를 카메라(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도4(c)).
카메라(100)의 저면에는, 전술한 삼각용 암 나사부(113)와 그립 위치결정 구멍부(112)가 설치되어 있다. 삼각용 암 나사부(113)에는, 삼각자리에 설치된 숫나사부나 연장 그립(200)의 제1의 체결부(221)를 단단히 조일 수 있다. 그립 위치결정 구멍부(112)에는, 카메라(100)의 저면에 부착된 연장 그립(200)의 회전 위치결정 핀(212)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연장 그립(200)의 카메라 본체(100)에 대한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유저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100)에 대하여 그 저면측 (-y방향)으로부터 연장 그립(200)을 가깝게 하고, 위치결정 핀(212)을 그립 위치결정 구멍(112)에 삽입한다. 그 후, 체결 부재(202)를 체결 방향으로 회전 조작해서 제1의 체결부(220)를 삼각용 암나사부(113)에 단단히 조인다. 이에 따라, 연장 그립(200)이 카메라(100)의 저면에 부착된다.
다음에, 도6∼도10을 사용하여, 연장 그립(200)에 있어서의 그립 덮개부재(203)의 개폐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6(a)는, 도1에 도시한 회전 록 부재(234)이 록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카메라(100)에 부착된 연장 그립(200)의 저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6(b)는, 도6(a)에 있어서의 AA-AA단면을 도시함과 아울러, 해당 단면의 BB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7(a), (b)는 각각, 손잡이 부재(236)를 기립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연장 그립(200)과 카메라(100)의 측면 및 연장 그립(200)의 저면을 도시한다.
도8(a)는, 회전 록 부재(234)가 록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카메라(100)에 부착된 연장 그립(200)의 저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8(b)는, 도8(a)에 있어서의 CC-CC단면을 도시함과 아울러, 해당 단면의 DD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9(a)는, 그립 덮개부재(203)가 개위치에 있을 때의 연장 그립(200) 및 카메라(100)를 도시하고 있다. 도9(b)는, 도9(a)의 상태로부터 전지(104) 및 미디어(105)를 추출하기 위해서 그것들의 걸림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10(a), (b)는 각각, 저면측 및 측면측에서 본 덮개 커버 부재(231)와 덮개 록부(205)(회전 록 부재(234), 받침대(235) 및 손잡이 부재(236))를 도시하고 있다.
도6(a), (b)에 있어서, 회전 록 부재(234)는 록 위치에 있고, 그립 케이스(201)에 형성되어 있는 록 걸림 구멍부(216)에 걸어맞추고 있다. 이 때문에, 그립 덮개부재(203)는 폐위치에 걸려져 있다. 손잡이 부재(236)는, 손잡이 축(237)를 중심으로 해서 덮개 베이스 부재(230)에 대하여 격납되는 격납위치(도6(a), (b))와 기립한 기립 위치(도7(a), (b))와의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유저가 기립 위치에 있는 손잡이 부재(236)를 도7(b)에 도시하는 R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회전 록 부재(234)가, 받침대(235)와 덮개 베이스 부재(230)에 대하여 도8(a), (b)에 도시하는 록 해제 위치까지 회전한다.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 해제 위치에 있는 회전 록 부재(234)는 록부 걸림 구멍부(216)로부터 퇴피하고, 이에 따라 그립 덮개부재(203)의 폐위치에서의 걸림이 해제된다. 폐위치에서의 걸림이 해제된 그립 덮개부재(203)는, 도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 스프링(239)의 부세력에 의해 개위치까지 회전된다.
도9(a)의 상태에 있어서, 유저의 손가락이 카메라(100)내의 전지실 및 미디어 슬롯내에 각각 수납된 전지(104) 및 미디어(105)에 액세스해서 이것들을 삽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지실에 수납된 전지(104)는, +z방향으로 스프링 부세되어서 전지보유 위치에 위치하는 전지 보유부재(106)에 의해 전지실내에 보유되어 있다. 유저는 손가락으로 전지 보유부재(106)를 -z방향으로 눌러서 보유 해제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으로 전지(104)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슬롯내에 수납된 미디어(105)는, 유저가 손가락으로 미디어(105)를 미디어 슬롯의 뒤의 방향으로 눌러 넣는 것으로, 미디어 슬롯내에서의 보유가 해제되어, 추출가능해진다. 도9(b)는, 전지(104) 및 미디어(105)의 보유가 해제되어, 이것들이 전지실 및 미디어 슬롯내의 스프링에 의해 전지실 및 미디어 슬롯으로부터 약간 돌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립 케이스(201)에 노치부(201b)가 설치되어 있어, 노치부(201b)의 끝으로부터 전지(104) 및 미디어(105)까지의 거리가 짧아져 있다. 이 때문에, 개구부(201a)를 통해서 유저의 손가락이 전지(104) 및 미디어(105)에 닿기 쉬워, 전지(104) 및 미디어(105)를 삽발하기 쉬워진다.
도10(a), (b)에서는, 덮개 베이스 부재(23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덮개 커버(231)의 하면에는, 회전 록 부재(234) 및 받침대(235)의 회전 중심주변에 원호형으로 연장되어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볼록부(250)가 설치되어 있다. 도10(a)에는, 회전 록 부재(234)가 록 위치에 있고, 그립 덮개부재(203)는 폐위치에 걸려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10(b)는, 회전 록 부재(234)이 록 해제 위치에 있고, 그립 덮개부재(203)가 개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볼록부(250)는, 회전 록 부재(234)의 록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를 향해서 서서히 그 높이가 증가하고, 록 해제 위치에서는 △H의 높이를 갖는다. 록 해제 위치에 있는 회전 록 부재(234)와 4와 볼록부(250)와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있고, 해당 마찰력에 의해 회전 록 부재(234)가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로 록 위치를 향해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도11∼도14를 사용하여, 케이스 커버(210)의 가압부(232)와 스토퍼부(23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1(a)는, 그립 덮개부재(203)가 폐위치에 있는 상태의 연장 그립(200)와 이것이 부착된 카메라(100)의 배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11(b)는, 도11(a)에 도시한 카메라(100)(및 연장 그립(200))의 상면을 나타내고, 도11(c)는 도11(b)에 있어서의 EE-EE단면을 도시함과 아울러 해당 단면에 있어서의 FF부를 확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12(a)는, 그립 덮개부재(203)가 폐위치로부터 조금 열린 상태의 연장 그립(200)과 이것이 부착된 카메라(100)의 배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12(b)는, 도12(a)에 도시한 카메라(100)(및 연장 그립(200))의 상면을 도시하고, 도12(c)는 도12(b)에 있어서의 GG-GG단면을 도시함과 아울러 해당 단면에 있어서의 HH부를 확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100)의 내부에는, 전기 회로기판(107)이 배치되어 있다. 전기 회로기판(107)에 있어서의 전지실의 근방에는, 전지 장전 검출 스위치(전지 장전 검출 부재)(10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지 장전 검출 스위치(108)는, 레버부(108a)를 갖고,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100)에 카메라 덮개부재(110)가 부착되어 있을 때는 해당 카메라 덮개부재(110)에 설치된 가압부에 의해 레버부(108a)가 눌리는 것으로 ON이 된다. 전지 장전 검출 스위치(108)가 ON이 되면, 전기 회로기판(107)에 실장된 CPU나 MPU등의 카메라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는 카메라(100)에 전지가 장전(전지실에 수납되어서 덮개부재가 닫힌 것)을 검출하고, 전지로부터 카메라(100)내의 각 부에의 전원공급을 개시시킨다.
도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덮개부재(110)가 분리된 카메라(100)에 연장 그립(200)이 부착된 상태에서는, 폐위치에 닫은 그립 덮개부재(203)의 덮개 커버(231)에 설치된 가압부(232)가 전지 장전 검출 스위치(108)의 레버부(108a)를 누른다. 이에 따라, 전지 장전 검출 스위치(108)에 의한 전지 장전 검출이 ON이 된다.
또, 도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 덮개부재(203)가 폐위치로부터 열리면, 가압부(232)가 전지 장전 검출 스위치(108)의 레버부(108a)로부터 떨어지므로, 전지 장전 검출 스위치(108)에 의한 전지 장전 검출은 OFF가 된다.
이와 같이, 그립 덮개부재(203)는, 카메라 덮개부재(110)가 갖는 가압부를 대신하는 가압부(232)를 갖고, 전지 장전 검출 스위치(108)에 의한 전지 장전 검출을 ON/OFF시킬 수 있다.
또, 폐위치에 있는 그립 덮개부재(203)가 외력에 의해 더욱 폐방향(+y방향)으로 눌리면, 가압부(232)가 전지 장전 검출 스위치(108)의 레버부(108a)를 너무 가압하여서, 전지 장전 검출 스위치(108)가 고장날 우려가 있다. 한편, 그립 덮개부재(203)가 폐위치에 있는 데도 상관없이 가압부(232)가 충분히 레버부(108a)를 누르지 않고 있으면, 전지 장전 검출 스위치(108)에 의한 전지 장전 검출이 정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부(232)의 ±y방향의 위치를, 카메라 덮개부재(110)의 가압부와 같아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도13(a)는, 그립 덮개부재(203)가 폐위치에 있는 상태의 연장 그립(200) 및 (이것이 부착된 카메라(100))의 저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13(b)는, 도13(a)에 있어서의 JJ-JJ단면을 도시함과 아울러 해당 단면에 있어서의 KK부를 확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14(a)는, 그립 덮개부재(203)가 개위치에 있는 상태의 연장 그립(200) 및 (이것이 부착된 카메라(100))의 저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14(b)는, 도14(a)에 있어서의 LL-LL단면을 도시함과 아울러 해당 단면에 있어서의 MM부를 확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100)의 전지실에 설치된 전지 보유부재(106)는, 전지보유 위치에 있어서 전지실내에 수납된 전지(104)의 단부면에 걸어맞추어서 전지(104)를 전지실내에 보유하고 있다. 폐위치에 있는 그립 덮개부재(203)의 덮개 커버(231)에 설치된 스토퍼부(233)는, 전지 보유부재(106)의 -z측의 면에 접촉함으로써 전지 보유부재(106) -z방향(보유 해제 위치)으로의 이동, 즉 전지(104)의 보유의 해제를 제한한다. 이에 따라, 연장 그립(200)이 부착된 카메라(10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전지 보유부재(106)가 전지보유 위치로부터 보유 해제 위치로 변위해서 전지(104)가 전지실내로부터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도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 덮개부재(203)가 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스토퍼부(233)는 전지 보유부재(106)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전지 보유부재(106)는 전지보유 위치로부터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유저가 손가락으로 전지 보유부재(106)를 -z방향으로 눌러서 보유 해제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으로 전지(104)의 보유가 해제되어, 전지(104)를 카메라(10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장 그립(200)은, 카메라 덮개부재(110)와 마찬가지로 전지 장전 검출 스위치(108)를 ON하는 기능과 전지 보유부재(106)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과를 갖는 그립 덮개부재(20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압부(232) 및 스토퍼부(233)는, 덮개 커버(231)는 아니고, 덮개 베이스 부재(230)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장 그립(200)은, 그립 연장부(204)를 갖는 것으로, 손이 큰 유저에 대한 카메라(100)의 홀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연장 그립(200)은, 카메라 덮개부재(110)와 같은 기능을 갖는 그립 덮개부재(203)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연장 그립(200)이 카메라(100)에 부착된 상태인채로 유저에게 전지(104)나 미디어(105)를 용이하게 삽발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15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의 연장 그립(200)에 낙하 충격 대책용으로 설치된 볼록부(21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5(a)는, 연장 그립(200)이 부착된 카메라(100)의 배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15(b)는, 도15(a)에 있어서의 NN-NN단면을 도시함과 아울러, 해당 단면에 있어서의 PP를 확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15(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 케이스(201)의 배면부에는, 거기로부터 후방(+z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볼록부(돌기부)(215)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215)는, 그립 케이스(201)와 그립 덮개부재(203)와의 사이의 경계선(300)의 근방에서, 카메라(100)의 배면측의 외장부재(120)의 저면측의 단부인 하단부의 외면에 대향(또는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15(a)에 있어서, 실선으로 둘러싸서 도시하는 카메라(100)의 배면 그립부(102)는, 카메라(100)를 유저가 손으로 홀드 할 때에, 손의 일부가 닿는 영역이다. 카메라(100)에 있어서의 배면 그립부(102)의 양측에는, 유저가 카메라(100)에 대하여 동작의 지시를 주기 위한 스위치나 다이얼 등의 카메라 조작 부재(103)가 설치되어 있다.
연장 그립(200)이 부착된 카메라(100)가 -y방향으로 낙하해서 연장 그립(200)이 지면이나 밑바닥에 충돌했을 때에, 그 충격에 의해 그립 케이스(201)와 덮개부재(203)가 휘어, 연장 그립(200)이 카메라(100)의 외장부재의 내측에 잠입할 우려가 있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그립 덮개부재(203)와 그립 케이스(201)와의 사이의 경계선(300)이 연장 그립(200)의 저면이 아니고 배면에 설치되어 있으면, 그립 덮개부재(203)가 카메라(100)의 내부에 잠입할 우려가 있다. 그립 덮개부재(203)가 카메라(100)의 내부에 잠입하면, 그립 덮개부재(203)에 설치된 가압부(232)와 전지 장전 검출 스위치(108)의 레버부(108a)의 z방향으로서의 위치가 역전한다. 그리고, 그립 덮개부재(203)의 휨이 되돌아올 때에, 가압부(232)가 레버부(108a)를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 그립(200)에 이것을 카메라(100)의 내부에 잡입시키는 충격이나 외력이 가해지면, 그립 케이스(201)의 볼록부(215)가 카메라(100)의 외장부재(120)의 하단부의 외면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연장 그립(200)의 카메라(100)의 내부에의 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100)의 배면 그립부(102)은, ±y방향으로 연장되는 G1선과 카메라 조작 부재(103)의 사이에 있어서 ±y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되는 G2선과에 따른 영역에 설정되어 있다. 볼록부(215)는, G1선상이나 G2선상이 아닌 위치이며 카메라 조작 부재(103)와 겹치지 않는, 결국은 카메라(100)를 홀드한 유저의 손에 의한 카메라 조작 부재(103)의 조작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 카메라(100)에는,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y방향으로 연장되는 개폐축 주변에서 회전하여 개폐가능한 배리앵글 모니터(가동 배면 모니터)(109)가 설치되어 있다. 배리앵글 모니터(109)는, 연 상태에서 ±x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주변에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볼록부(215)는, 배리앵글 모니터(109)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도록,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닫은 상태의 배리앵글 모니터(109)의 개폐축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보다 외측(+x방향), 바꿔 말하면 배리앵글 모니터(109)의 가동역외에 설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장 그립(200)은,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라도 카메라(100)에 손상을 주지 않는 구성을 갖는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 예는 대표적인 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시에는, 각 실시 예에 대하여 갖는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카메라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카메라 악세사리이며,
    악세사리 본체와,
    상기 악세사리 본체를 상기 저면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 부재와,
    상기 악세사리 본체가 상기 저면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대한 전지의 삽발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와,
    상기 악세사리 본체에, 상기 개구부를 여는 개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닫는 폐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부착된 악세사리 덮개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악세사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상기 저면에는 상기 전지를 삽발하기 위한 삽발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악세사리 본체는, 상기 삽발구를 개폐하는 카메라 덮개부재가 분리된 상기 카메라에 대하여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악세사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악세사리 본체를 삼각으로 고정하기 위한 삼각용 체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악세사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사리 본체는, 상기 저면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피사체측에 설치된 카메라 그립부로부터 연장되는 그립 연장부를 갖고,
    상기 악세사리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그립 연장부와는 반대측의 배면부에, 상기 악세사리 덮개부재와의 경계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악세사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해당 카메라에의 상기 전지의 장전을 검출하기 위해서 설치된 전지 장전 검출 부재를 갖고,
    상기 악세사리 덮개부재는, 상기 폐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지 장전 검출 부재에 상기 전지의 장전을 검출시키도록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악세사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해당 카메라에 삽입된 상기 전지를 보유하는 보유 위치와 해당 보유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에 이동가능한 전지 보유부재를 갖고,
    상기 악세사리 덮개부재는, 상기 폐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지 보유부재의 상기 보유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에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악세사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카메라에 대한 미디어의 삽발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악세사리.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사리 본체의 상기 배면부에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볼록부는, 상기 카메라의 외장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저면측의 단부의 외면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악세사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카메라에 있어서 가동 배면 모니터의 가동역외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악세사리.
  10. 전지의 삽발이 가능한 삽발구를 저면에 갖는 카메라이며,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메라 악세사리가 상기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KR1020217003179A 2018-08-09 2019-07-09 카메라 악세사리 및 카메라 KR202100256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50913A JP2020027145A (ja) 2018-08-09 2018-08-09 カメラアクセサリおよびカメラ
JPJP-P-2018-150913 2018-08-09
PCT/JP2019/027156 WO2020031591A1 (ja) 2018-08-09 2019-07-09 カメラアクセサリおよびカメ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644A true KR20210025644A (ko) 2021-03-09

Family

ID=69413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179A KR20210025644A (ko) 2018-08-09 2019-07-09 카메라 악세사리 및 카메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13429B2 (ko)
JP (1) JP2020027145A (ko)
KR (1) KR20210025644A (ko)
CN (1) CN112543889B (ko)
DE (1) DE112019003982T5 (ko)
GB (2) GB2600662A (ko)
WO (1) WO202003159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424A (ja) 2001-04-27 2002-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7336A (ja) * 1982-12-10 1984-06-21 Minolta Camera Co Ltd 機械装置の外装部
JPS611267U (ja) * 1984-06-09 1986-01-0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池室付アクセサリ−
JPS60121430A (ja) * 1984-07-25 1985-06-28 Canon Inc カメラの電源受給構造
JPS63128328A (ja) * 1986-11-19 1988-05-31 Canon Inc カメラ
JP2001075157A (ja) 1999-09-01 2001-03-23 Asahi Optical Co Ltd バッテリーケース
JP2001075166A (ja) * 1999-09-01 2001-03-23 Asahi Optical Co Ltd リモコン装置付きカメラ
JP2001188295A (ja) 1999-12-28 2001-07-10 Konica Corp カメラ
JP2001242592A (ja) * 2000-02-25 2001-09-07 Konica Corp 写真感光材料用包装材料、それを用いたロール状感光材料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42597A (ja) * 2000-02-29 2001-09-07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2072346A (ja) 2000-08-23 2002-03-12 Canon Inc カメラ用付属品
US7343092B2 (en) 2004-06-17 2008-03-11 Olympus Corporation Attachment structure of adapter
JP2007195016A (ja) * 2006-01-20 2007-08-02 Pentax Corp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カメラグリップ
JP4499047B2 (ja) * 2006-02-21 2010-07-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蓋の開閉機構
JP2007234978A (ja) * 2006-03-02 2007-09-13 Fujifilm Corp 携帯型電子機器
JP2012185250A (ja) * 2011-03-04 2012-09-27 Canon Inc カメラ用外部電源装置
KR200468631Y1 (ko) * 2012-02-10 2013-08-27 김두호 카메라용 속사케이스
KR200470120Y1 (ko) * 2012-08-14 2013-11-29 김두호 카메라용 속사케이스
CN204044483U (zh) * 2014-09-11 2014-12-24 王明丰 相机套结构
JP2018107552A (ja) 2016-12-26 2018-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
CN207539555U (zh) * 2017-11-20 2018-06-26 广东百诺影像科技工业有限公司 一种快速可开合的多功能快装板
JP7224814B2 (ja) * 2018-09-04 202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ダプタ、グリップ、カメラ本体、アクセサリおよび光学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424A (ja) 2001-04-27 2002-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65307A1 (en) 2021-06-03
US11513429B2 (en) 2022-11-29
CN112543889B (zh) 2022-07-12
GB2600662A (en) 2022-05-04
JP2020027145A (ja) 2020-02-20
GB2590318A (en) 2021-06-23
GB2590318B (en) 2022-04-06
GB202202225D0 (en) 2022-04-06
CN112543889A (zh) 2021-03-23
DE112019003982T5 (de) 2021-04-22
GB202101974D0 (en) 2021-03-31
WO2020031591A1 (ja)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167B1 (ko) 리드 개방 및 폐쇄 장치
US20100265388A1 (en) Lid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EP1557384A2 (en) A printable media cassette
JP2003142841A (ja) 電池蓋構造および記録媒体蓋構造
US858202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 storage case and lid which is openable/closable and lockable with storage case
US20080012962A1 (en) Imaging apparatus
JPWO2007013672A1 (ja) 電子機器及びそれに用いる筐体
US7796186B2 (en) Imaging apparatus
US8041408B2 (en) Battery fasten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210025644A (ko) 카메라 악세사리 및 카메라
JP4137707B2 (ja) 蓋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7059143B2 (ja) アクセサリおよび撮像装置
JP2003152351A (ja) 収納装置
JP7171963B2 (ja) カメラアクセサリ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4501765B2 (ja) 可動式収納ポケット
JP4125424B2 (ja) アウターハンドル装置
JP7336328B2 (ja) 電子機器
KR200490321Y1 (ko) 자동차의 휴대용 리모트컨트롤 키
JP2021173818A (ja) 縦位置グリップ装置
JP2500124Y2 (ja) 開閉蓋の取付け構造
KR100454479B1 (ko) 캠코더의 손잡이장치
JP2020094380A (ja) キー装置
JPH10307666A (ja) ペン入力型情報機器
JPH021691A (ja) ビデオカメラ
JP2004253601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