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201A - 차량 궤도 슈 패드 - Google Patents

차량 궤도 슈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201A
KR20210024201A KR1020217004978A KR20217004978A KR20210024201A KR 20210024201 A KR20210024201 A KR 20210024201A KR 1020217004978 A KR1020217004978 A KR 1020217004978A KR 20217004978 A KR20217004978 A KR 20217004978A KR 20210024201 A KR20210024201 A KR 20210024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pad
grouser
bolt
slot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7991B1 (ko
Inventor
우 영 지
데니스 현석 지
Original Assignee
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024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6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 B62D55/28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6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 B62D55/275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with street plate, i.e. means to prevent tread from cutting into roa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일부 예에서, 차량 궤도의 그라우저를 위한 슈 패드가, 슈 패드를 그라우저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브라켓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브라켓의 제1 아암이 슬롯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브라켓의 제2 아암은 슈 패드를 그라우저에 부착하기 위해 차량 궤도의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슈 패드 및 브라켓은 볼트의 도움으로 그라우저에 대해서 유지될 수 있고, 그러한 볼트는 그라우저를 통해서 연장되지 않을 수 있고, 그 대신, 단순히 그라우저의 외측부 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슈 패드는, 하나 이상의 홀이 그라우저 내에 존재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그라우저에 부착될 수 있는 한편, 슈 패드가 덮도록 구성되는 그라우저와 비교적 타이트한 끼워맞춤을 여전히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궤도 슈 패드
본 개시 내용은 차량용 궤도, 그리고 보다 특히, 차량 궤도용 슈 패드에 관한 것이다.
많은 오프-로드 차량, 예를 들어, 토공 차량(예를 들어, 굴삭기, 스키드 스티어 궤도 로더(skid steer track loader) 또는 다중-지형 궤도 로더) 및 농업용 차량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구동 스프로킷을 포함할 수 있는, 구동 시스템에 커플링된 차량 궤도를 포함한다. 차량 궤도는, 원형 횡단면을 갖는 전통적인 바퀴가 적절하게 파지(grip)하지 못할 수 있는 표면 상에서 견인력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궤도를 갖는 차량은, 둘 이상의 원형 바퀴를 갖는 차량보다 큰 표면적을 가교 연결(bridge)할 수 있고, 이는, 원형 바퀴를 갖는 차량이 일반적으로 횡단하지 못할 수 있는 표면, 예를 들어 불규칙하거나 무른 표면(예를 들어, 자갈 또는 진흙)을 차량 궤도를 갖는 차량이 횡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개시 내용은, 차량 궤도의 그라우저(grouser)를 위한 슈 패드와 관련된, 그리고 하나 이상의 슈 패드를 포함하는 차량 궤도와 관련된 장치, 조립체,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일부 예에서, 슈 패드는, 슈 패드를 그라우저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브라켓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브라켓의 제1 아암이 슬롯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브라켓의 제2 아암은 차량 궤도의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과 접촉되어 슈 패드를 그라우저에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슈 패드 및 브라켓은 볼트의 도움으로 그라우저에 대해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 패드는 제1 볼트 개구를 형성할 수 있고, 브라켓의 제1 아암은, 제1 아암이 슈 패드의 슬롯 내로 삽입될 때, 제1 볼트 개구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제2 볼트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볼트가 제1 및 제2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될 수 있고 그라우저에 접촉되어 슈 패드를 그라우저에 대해서 고정할 수 있다. 볼트가 그라우저를 통해서 연장되지 않고, 그 대신, 단순히 그라우저의 외측부 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슈 패드는, 하나 이상의 홀이 그라우저 내에 존재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그라우저에 부착될 수 있는 한편, 슈 패드가 덮도록 구성되는 그라우저와 비교적 타이트한 끼워맞춤(tight fit)을 여전히 제공한다.
문구 1: 일부 예에서, 조립체는 외측부 측면 및 내측부 측면을 형성하는 그라우저; 그라우저의 외측부 측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슈 패드로서, 슈 패드의 연부는 슬롯 및 슬롯과 연통되는 제1 볼트 개구를 형성하는, 슈 패드; 및 슈 패드의 슬롯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1 아암 및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2 아암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제1 아암은, 제1 아암이 슬롯 내로 삽입될 때,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제2 볼트 개구를 형성한다.
문구 2: 문구 1의 조립체의 일부 예에서, 그라우저의 외측부 측면은 제1 외측부 측면을 포함하고,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은 제1 내측부 측면을 포함하고 슈 패드는 제2 외측부 측면 및 제2 내측부 측면을 더 형성하며, 제2 외측부 측면은 지면 표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제2 내측부 측면은 그라우저의 제1 외측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문구 3: 문구 2의 조립체의 일부 예에서, 슈 패드는 제1 연부 및 제1 연부에 대향되는 제2 연부를 더 형성하고, 제1 축이 제1 연부와 제2 연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제1 축을 따라서 제1 연부로부터 측정된 슬롯 폭의 폭이 약 40 mm 내지 약 115 mm이다.
문구 4: 문구 3의 조립체의 일부 예에서, 슬롯의 길이가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슬롯의 길이는 약 50 mm 내지 약 150 mm이다.
문구 5: 문구 2 내지 문구 4 중 어느 하나의 문구의 조립체의 일부 예에서, 제3 축이 슈 패드의 제2 외측부 측면과 제2 내측부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슬롯은 제3 축을 따라서 제2 외측부 측면으로부터 약 10 mm 내지 약 50 mm에 위치된다.
문구 6: 문구 2 내지 문구 5 중 어느 하나의 문구의 조립체의 일부 예에서, 조립체는, 슈 패드를 그라우저에 고정하기 위해서,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 및 브라켓의 제2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구성된 볼트를 더 포함한다.
문구 7: 문구 6의 조립체의 일부 예에서, 제3 축이 슈 패드의 제2 외측부 측면과 제2 내측부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1 볼트 개구가 제3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볼트의 헤드는, 슈 패드를 그라우저에 고정하기 위해서 볼트가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 및 브라켓의 제2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될 때, 슈 패드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문구 8: 문구 6 또는 문구 7의 조립체의 일부 예에서, 볼트는 나사산형 볼트를 포함하고, 슈 패드는 나사산형 볼트와 나사산형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나사산형 삽입체를 더 포함하고, 나사산형 삽입체는 슈 패드 내에 배치되고 슬롯과 연통된다.
문구 9: 문구 6 내지 문구 8 중 어느 하나의 문구의 조립체의 일부 예에서, 볼트는, 슈 패드를 그라우저에 고정하기 위해서 볼트가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 및 브라켓의 제2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될 때, 그라우저의 외측부 측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선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선단부 부분은 그라우저를 통해서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문구 10: 문구 6 내지 문구 9 중 어느 하나의 문구의 조립체의 일부 예에서, 슈 패드의 연부가 제1 연부를 포함하고, 슬롯은 제1 슬롯을 포함하며, 브라켓은 제1 브라켓을 포함하고, 볼트는 제1 볼트를 포함한다. 슈 패드의 제1 연부에 대향되는 제2 연부는 제2 슬롯 및 제2 슬롯과 연통되는 제3 볼트 개구를 형성하고, 조립체는, 슈 패드의 제2 슬롯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3 아암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제4 아암이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제3 아암은, 제3 아암이 제2 슬롯 내로 삽입될 때, 슈 패드의 제3 볼트 개구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제4 볼트 개구를 형성한다. 조립체는, 슈 패드의 제2 연부를 그라우저에 고정하기 위해서, 슈 패드의 제3 볼트 개구 및 브라켓의 제4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구성된 제2 볼트를 더 포함한다.
문구 11: 일부 예에서, 무한 궤도는, 무한 궤도를 형성하기 위해서 함께 커플링된 복수의 그라우저로서, 복수의 그라우저의 각각의 그라우저가 외측부 측면 및 내측부 측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그라우저; 및 복수의 슈 패드로서, 복수의 슈 패드의 각각의 슈 패드가 슬롯 및 슬롯과 연통되는 제1 볼트 개구를 형성하는, 복수의 슈 패드를 포함한다. 각각의 슈 패드는, 슈 패드의 슬롯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제1 아암 및 각각의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제2 아암을 포함하는 각각의 브라켓에 의해서 복수의 그라우저의 각각의 그라우저에 고정된다. 제1 아암은, 제1 아암이 슬롯 내로 삽입될 때, 각각의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제2 볼트 개구를 형성한다.
문구 12: 문구 11의 무한 궤도의 일부 예에서, 각각의 그라우저의 외측부 측면은 제1 외측부 측면을 포함하고, 각각의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은 제1 내측부 측면을 포함하고, 각각의 슈 패드는 제2 외측부 측면 및 제2 내측부 측면을 더 형성하며, 제2 외측부 측면은 지면 표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제2 내측부 측면은 각각의 그라우저의 제1 외측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문구 13: 문구 11 또는 문구 12의 무한 궤도의 일부 예에서, 각각의 슈 패드는 제1 연부 및 제1 연부에 대향되는 제2 연부를 더 형성하고, 제1 축이 제1 연부와 제2 연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1 축을 따라 제1 연부로부터 측정된 슬롯의 폭이 약 40 mm 내지 약 115 mm이다.
문구 14: 문구 13의 무한 궤도의 일부 예에서, 슬롯의 길이가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슬롯의 길이는 약 50 mm 내지 약 150 mm이다.
문구 15: 문구 12 내지 문구 14 중 어느 하나의 문구의 무한 궤도의 일부 예에서, 제3 축이 각각의 슈 패드의 제2 외측부 측면과 제2 내측부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슬롯은 제3 축을 따라서 제2 외측부 측면으로부터 약 10 mm 내지 약 50 mm에 위치된다.
문구 16: 문구 15의 무한 궤도의 일부 예에서, 각각의 슈 패드는, 각각의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 및 브라켓의 제2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구성된 볼트에 의해서, 복수의 그라우저의 각각의 그라우저에 고정된다. 제1 볼트 개구는 제3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볼트의 헤드는, 볼트가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 및 브라켓의 제2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될 때, 슈 패드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문구 17: 문구 16의 무한 궤도의 일부 예에서, 볼트는 나사산형 볼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슈 패드는 나사산형 볼트와 나사산형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나사산형 삽입체를 포함하고, 나사산형 삽입체는 슈 패드 내에 배치되고 슬롯과 연통된다.
문구 18: 문구 16 또는 문구 17의 무한 궤도의 일부 예에서, 볼트는, 각각의 슈 패드를 각각의 그라우저에 고정하기 위해서 볼트가 각각의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 및 브라켓의 제2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될 때, 각각의 그라우저의 외측부 측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선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선단부 부분은 각각의 그라우저를 통해서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문구 19: 일부 예에서, 방법이 슈 패드를 그라우저의 외측부 측면 상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그라우저가 외측부 측면 및 내측부 측면을 형성하고, 슈 패드는 슬롯 및 슬롯과 연통되는 제1 볼트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 및 브라켓을 슈 패드 및 그라우저에 부착하는 단계로서, 브라켓은 슈 패드의 슬롯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1 아암 및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2 아암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아암은, 제1 아암이 슬롯 내로 삽입될 때,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제2 볼트 개구를 형성한다.
문구 20: 문구 19의 방법의 일부 예에서, 방법은, 슈 패드를 그라우저에 고정하기 위해서, 볼트를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 및 브라켓의 제2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개시 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이 첨부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 기술된다. 개시 내용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장점이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그리고 청구항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복수의 그라우저 및 복수의 슈 패드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차량 궤도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차량 궤도의 그라우저에 부착된 슈 패드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예시적인 조립체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2a 및 도 2b의 조립체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조립체의 폭을 따라서 취한 그리고 그라우저에 부착된 슈 패드를 도시하는, 도 2a 내지 도 3의 예시적인 조립체를 도시하는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예시적인 조립체의 일부의 확대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슈 패드를 그라우저에 부착하는 예시적인 기술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개시 내용은, 그라우저를 위한 슈 패드와 관련된, 그리고 하나 이상의 슈 패드를 포함하는 차량 궤도와 관련된 장치, 조립체,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일부 예에서, 차량 궤도는, 금속 그라우저들과 같은, 복수의 상호 연결된 그라우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우저들이 기계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폐쇄된 궤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우저들 사이의 조인트는 그라우저들이 인접 그라우저에 대해서 이동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차량 궤도가 회전됨에 따라 인접 그라우저들 사이의 각도가 변경되게 할 수 있다. 이는, 차량 궤도가 가요성을 가지게 할 수 있고 타원형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차량 궤도의 그라우저는, 차량 궤도의 견인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지면 표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그라우저의 이러한 돌출부 또는 다른 부분은 지면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고, 금속 차량 궤도에 장착된 차량에게 비교적 거친 승차감(ride), 또는 기타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그러한 예에서, 하나 이상의 슈 패드가 차량 궤도의 하나 이상의 그라우저의 지면 접촉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지면 표면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금속 차량 궤도 상에 장착된 차량에게 더 부드러운 승차감, 또는 기타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슈 패드는 그라우저에 볼트 체결될 수 있거나, 그라우저에 클립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장착 슈 패드(bolt-on shoe pad)는 그라우저를 통해서 볼트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그러한 예에서, 슈 패드는 그라우저에 의해서 형성된 상응하는 복수의 개구(예를 들어, 관통-홀)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우저의 제조자가 그러한 슈 패드와 함께 사용되도록 그라우저를 설계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자에 의해서 형성된 원래의 그라우저는 슈 패드 부착 볼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응하는 복수의 개구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볼트-장착 슈 패드가 복수의 볼트를 통해서 부착될 수 있도록, 그라우저를 수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이는 시간 소모적이고 비용을 부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애프터-마켓(after-market)에서의 슈 패드(예를 들어, 그라우저 또는 그라우저를 포함하는 차량 궤도의 제조 후에 그라우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슈 패드)와 같은, 일부 볼트-장착 슈 패드는 다양한 유형의 그라우저와 함께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고 및/또는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는데, 이는 볼트-장착 슈 패드가 특정 개구 배열을 형성하는 특정 유형의 그라우저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클립-장착 슈 패드는 억지 끼워맞춤을 통해서 그라우저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 패드는, 슈 패드를 그라우저에 부착하기 위해서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클립 또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장착 슈 패드는, 슈 패드를 그라우저에 고정하기 위해서 볼트 또는 다른 연결 메커니즘을 이용하지 않고, 억지 끼워맞춤을 통해서만 그라우저에 부착될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하면, 슈 패드와 그라우저 사이의 억지 끼워맞춤이 감소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클립-장착 슈 패드가 그라우저로부터 느슨해질 수 있고, 이는 차량 궤도의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예를 들어, 차량 궤도의 안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클립-장착 슈 패드와 그라우저 사이의 억지 끼워맞춤의 감소는, 예를 들어 슈 패드의 지면 표면이 마모되기 전에, 슈 패드를 조기에 교체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볼트-장착 또는 클립-장착 슈 패드와 대조적으로, 본원에서 설명되는 슈 패드는, 그라우저 자체의 볼트 개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그라우저에 확실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며, 이는 슈 패드가 다양한 유형의 그라우저 상으로 개장(retrofit)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그라우저와 결합되나 그라우저를 통해서 연장되지 않는 볼트를 사용하여, 슈 패드를 그라우저에 대해서 고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이는, 비교적 거친 표면 조건 상에서의 차량 궤도의 이용을 통해서도, 시간에 걸쳐 슈 패드와 그라우저 사이에서 비교적 타이트한 끼워맞춤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각각의 슈 패드는 그라우저의 외측부 측면(예를 들어, 지면 접촉 표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슈 패드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그라우저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하나 이상의 볼트를 또한 이용하여 슈 패드를 그라우저에 고정할 수 있다. 브라켓은 슈 패드 내로 삽입되도록 그리고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볼트는 슈 패드의 볼트 개구 및 브라켓의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볼트는, 금속 그라우저를 통해서 연장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금속 그라우저 자체 내의 볼트 개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금속 그라우저의 외측부 측면과 접촉되고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원에서 설명된 슈 패드는, 그라우저 내의 볼트 개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그라우저에 확실하게 부착될 수 있고 시간에 걸쳐 확실한 부착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그러한 슈 패드는, 볼트-장착 또는 클립-장착 슈 패드에 비해서, 많은 상이한 유형의 그라우저 상에서 개장될 수 있고, 더 긴 유효 수명을 가질 수 있으며, 제조에 비용이 덜 들 수 있고, 제조에 시간이 덜 소모될 수 있고, 또는 기타 등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본원에서 설명된 슈 패드는 슬롯 및 슬롯과 연통되는 제1 볼트 개구를 형성한다. 슈 패드는 그라우저의 외측부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브라켓의 제1 아암은 슈 패드의 슬롯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브라켓의 제2 아암은, 슈 패드를 그라우저에 부착하기 위해서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의 제1 아암은, 제1 아암이 슈 패드의 슬롯 내로 삽입될 때, 제1 볼트 개구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제2 볼트 개구를 형성할 수 있고, 볼트는, 슈 패드를 그라우저에 고정하기 위해서, (그라우저의 두께를 통해서 연장되지 않고) 그라우저의 표면과 결합되도록 제1 및 제2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원에서 설명된 슈 패드는, 하나 이상의 미리 형성된 홀이 그라우저 내에 존재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그라우저에 부착될 수 있는 한편, 그라우저와 비교적 타이트한 끼워맞춤을 여전히 제공한다. 일부 예에서, 차량 궤도를 형성하는 복수의 상호 연결된 그라우저의 각각의 그라우저가 각각의 슈 패드로 덮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차량 궤도 상에 장착된 차량에 더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고, 지면 표면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기타 등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복수의 그라우저(12) 및 복수의 슈 패드(14)(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복수의 슈 패드(14) 중 하나의 슈 패드만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차량 궤도(10)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차량 궤도(10)는, 예를 들어, 무한 궤도 본체를 형성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구동 스프로킷 바퀴(미도시)에 의해서 구동되도록 구성된 연속 궤도를 달리 형성할 수 있다. 구동 스프로킷 바퀴는, 예를 들어, 차량의 구동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구동 시스템은 또한 하나 이상의 다른 구동 스프로킷 바퀴, 예를 들어 제1 구동 스프로킷 바퀴로부터의 차량 궤도(10)의 대향 단부 상에 배치되는 구동 스프로킷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구동 모터에 의해서 작동되는 구동 스프로킷 바퀴는 차량 궤도(10)와 결합되고 차량 궤도(10)를 회전시킨다. 차량 궤도(10)가 회전되고 지면 표면과 결합됨에 따라, 차량 궤도(10)가 장착된 차량은, 차량 궤도(10)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다른 예에서, 다른 구동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차량 궤도(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차량 궤도(10)는, 비제한적으로, 토공 차량(예를 들어, 스키드 스티어 로더) 또는 농업용 차량(예를 들어, 트랙터)과 같은, 산업용 차량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그라우저(12)의 내측부 측면(13A) 및 외측부 측면(13B)을 보여주기 위해서, 차량 궤도(10)의 일부가 절취되었다. 그라우저(12)의 외측부 측면(13B)은 내측부 측면(13A)에 대향되는 그라우저(12)의 측면 상에 위치된다. 내측부 측면(13A)은 차량 궤도(10)의 내부 원주를 형성하고 차량 궤도(10)를 차량의 구동 시스템에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내측부 측면(13A)은, 구동 스프로킷 바퀴와 차량 궤도(10)의 정렬 및 결합을 돕는 안내 러그의 2개의 행(two rows of guide lugs)(18A 및 18B)(집합적으로, "안내 러그(18)")을 포함한다. 특히, 안내 러그(18)는, 구동 스프로킷 바퀴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안내 채널(20)을 형성한다. 각각의 행의 안내 러그(18)는 대향 행 내의 상응 안내 러그(18)와 길이방향으로(또는 연속적인 차량 궤도의 경우에 원주방향으로) 정렬된다(예를 들어, 하나의 안내 러그(18A)가 대향 안내 러그(18B)와 정렬된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안내 러그(18)는, 2개의 안내 러그(18)가 그라우저(12)의 내측부 측면(13A)을 따라서 동일한 길이방향 위치를 가지지 않도록, 대향 행 내의 상응 안내 러그(18)와 길이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또는 대향 행의 안내 러그(18)와 교번적이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경우에, 그라우저(12)의 내측부 측면(13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치되는 대신, 그라우저(12)의 연부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안내 러그(1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우저(12)의 내측부 측면(13A)은 또한, 차량 궤도(10)가 구동 스프로킷 바퀴 상에 장착될 때 구동 스프로킷 바퀴의 구동 스프로킷 치형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리브(rib)(16)를 형성한다. 구동 스프로킷 바퀴가 회전됨에 따라, 구동 스프로킷 치형부는 리브들(16) 사이에 형성된 개구와 결합되고, 이는 차량 궤도(10)를 회전시킨다. 차량 궤도(10)의 회전의 결과로서, 차량 궤도(10)(그리고 차량 궤도(10)가 장착된 임의의 차량)가 제1 방향(예를 들어, 전방)으로 이동된다. 구동 스프로킷 바퀴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차량 궤도(10)는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예를 들어, 후방)으로 이동된다.
복수의 그라우저(12)의 외측부 측면(13B)은 차량 궤도(10) 또는 복수의 그라우저(12)의 외부 원주(또는 비-원형 차량 궤도(10)의 경우에 둘레)를 형성하고, 차량 궤도(10)가 차량에 장착될 때, 외측부 표면(예를 들어, 지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외측부 측면(13B)은 차량 궤도(10) 및/또는 복수의 그라우저(12)의 지면 접촉 표면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그라우저(12)가 외측부 표면과 결합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그리고 지면 표면과의 견인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외측부 측면(13B)은 복수의 견인 러그(22)를 포함한다. 복수의 견인 러그(22)가 복수의 그라우저(12)의 공통 표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지면 접촉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그라우저(12)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복수의 그라우저(12)는 금속 또는 합금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그라우저(12)의 각각은, 예를 들어 저탄소강(예를 들어, C1022 강과 같은, 예를 들어 약 0.3 중량% 이하의 탄소) 또는 중탄소강(예를 들어, C1045 강과 같은, 예를 들어 약 0.5 중량% 이하의 탄소)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우저들(12)이 체인 링크 또는 임의의 적합한 연결 메커니즘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차량 궤도(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와 같은 일부 예에서, 연결 메커니즘(예를 들어, 체인 링크)은 안내 러그(18), 리브(16), 및/또는 안내 채널(20)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 메커니즘은 복수의 그라우저(12)의 각각의 그라우저가 인접 그라우저에 대해서 이동(예를 들어, 피벗)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그라우저(12) 중의 그라우저가 인접 그라우저에 대해서 피벗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인접 그라우저들 사이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고, 이는 차량 궤도(10)가 가요성을 가질 수 있게 하고 타원형 형상(예를 들어, 연속적인 차량 궤도(10)의 경우)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예에서, 복수의 그라우저(12)가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연결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고, 및/또는 안내 러그(18), 리브(16), 및/또는 안내 채널(20)이 그라우저(12)의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구조물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차량 궤도(예를 들어, 복수의 그라우저(12)를 포함하고 어떠한 슈 패드도 포함하지 않는 차량 궤도)가 비교적 거친 승차감을 갖는 차량 궤도에 장착된 차량을 제공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잔디와 같은, 지면 표면을 의도하지 않게 손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궤도(10)가 금속으로 제조된 복수의 그라우저(12)로 형성되는 일부 경우에, 복수의 그라우저(12)는 일부 지면 표면보다 더 경질일 수 있고, 이는 복수의 그라우저(12)가 의도하지 않게 지면 표면을 변형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금속으로 제조된 복수의 그라우저(12)는 지면 표면과의 접촉 시에 지면 표면의 충격을 흡수하지 않을 수 있고 및/또는 휘어지지 않을 수 있고, 이는 지면 표면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손상, 비교적 거친 승차감, 또는 그 둘 모두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에서, 견인 러그(22)는 불연속적인 지면 접촉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견인 러그들(22)이 차량 궤도(10)의 외측부 측면을 따라서 분포될 수 있고, 이는 차량 궤도(10)의 지면 접촉 표면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불연속적인 지면 접촉 표면으로 인해서, 차량 궤도(10)에 장착된 차량의 승차감이 비교적 거칠 수 있는데(예를 들어, 덜컹거릴 수 있는데), 이는, 차량 궤도(10)가 회전될 때 지면 표면과 접촉되는, 견인 러그(22)와, 견인 러그들(22) 간의 복수의 그라우저(12)의 부분 사이의 전환 때문이다. 따라서, 일부 경우에, 복수의 슈 패드(14)가 복수의 그라우저(12)에 부착되어 외측부 측면(13B)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견인 러그(22)의 지면 접촉 표면)를 덮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차량 궤도(10)에 장착된 차량에 더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고 및/또는 지면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복수의 그라우저(12) 중의 각각의 그라우저가 복수의 슈 패드(14) 중의 각각의 슈 패드에 의해서 덮일 수 있다.
복수의 슈 패드(14)는, 그라우저(12)보다 연성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궤도(10)의 복수의 슈 패드(14)가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중합체로 형성되거나 달리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복수의 슈 패드(14)는 폴리우레탄 또는 탄성중합체, 예를 들어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다른 탄성중합체 재료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합성 고무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및 폴리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복수의 슈 패드(14)는 또한 희망 재료 특성을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다른 작용제 및 활성화제, 예를 들어 강화제, 가황 촉진제, 오존 분해 방지제, 항산화제, 가황제, 지연제, 고무 유연제, 점착제, 또는 기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슈 패드(14)의 정확한 조성은, 차량 궤도(10)가 사용되도록 의도된 특정 적용예를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복수의 슈 패드(14)는 유형 A 쇼어 경도계 눈금(예를 들어, ASTM D2240 유형 A 눈금)으로 약 53 내지 약 87의 범위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슈 패드(14)는 유형 A 쇼어 경도계 눈금으로 약 79 내지 약 87의 범위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복수의 슈 패드(14)는 다른 경도를 갖는 탄성중합체 또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복수의 슈 패드(14)는 또한 비교적 큰 연신율 및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그라우저(12)에 부착된 복수의 슈 패드(14)를 포함하는 차량 궤도(10)는, 그라우저(12)만을 포함하는 차량 궤도에 비해서, 더 양호한 차량 조작성, 더 양호한 승차감 품질, 및/또는 증가된 견인력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2a는 도 1의 차량 궤도(10)의 그라우저(12A)에 부착된 슈 패드(14A)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조립체(30)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예시적인 조립체(30)의 상면도이다. 조립체(30)는 도 1의 차량 궤도(10)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우저(12A)는 복수의 그라우저(12) 중의 그라우저의 하나의 예일 수 있고, 슈 패드(14A)는 복수의 슈 패드(14) 중의 슈 패드의 하나의 예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복수의 그라우저 중의 각각의 그라우저가 그라우저(12A)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슈 패드(14) 중의 각각의 슈 패드가 슈 패드(14A)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도면에 관한 설명이 특정 그라우저(12A) 및 특정 슈 패드(14A)를 설명하나, 이러한 설명이 차량 궤도(10)의 복수의 그라우저(12) 중의 다른 그라우저 및/또는 복수의 슈 패드(14) 중의 다른 슈 패드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a 및 도 2b의 예에서, 단일 슈 패드(14A)가 단일 그라우저(12A)를 덮고 있다. 일부 그러한 예에서, 슈 패드(14A)는, 슈 패드(14A) 대 그라우저(12A)의 다른 비율보다, 차량 궤도의 이동을 덜 방해할 수 있다(예를 들어, 1:1의 슈 패드 대 그라우저의 비율을 포함하는 차량 궤도(10)는, 슈 패드(14A)가 없는 그라우저(12A)를 포함하는 차량 궤도와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하나 초과의 슈 패드(14A)가 단일 그라우저(12A)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단일 슈 패드(14A)가 하나 초과의 그라우저(12A)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우저(12A)는 견인 러그(22A 및 22B)(집합적으로, "견인 러그(22)")를 형성한다. 일부 예에서, 슈 패드(14A)의 일부는, 슈 패드(14A)가 그라우저(12A)에 부착될 때, 견인 러그들(22) 사이에 배치되도록 및/또는 견인 러그(22)를 덮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견인 러그(22) 대신, 슈 패드(14A)가 조립체(30)의 지면 접촉 표면을 형성하고, 이는, 그라우저(12A)를 덮는 슈 패드(14A)를 포함하지 않는 차량 궤도에 비해서, 조립체(30)를 포함하는 차량 궤도(10)에 장착된 차량에 더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고 및/또는 차량 궤도가 지면 표면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 2a 및 도 2b의 예에서, 슈 패드(14A)의 하단 부분(44)은 견인 러그들(22A 및 22B) 사이에 위치된다. 일부 예에서, 슈 패드(14A)는 견인 러그들(22A 및 22B) 사이에서 비교적 타이트한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경우에, 슈 패드(14A)의 형상(또는 하단 부분(44)과 같은 슈 패드(14A)의 일부의 형상)은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표면(13B)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슈 패드(14A)는 견인 러그들(22) 사이에서 활주 또는 달리 이동되지 못할 수 있고, 이는 슈 패드(14A)가 그라우저(12A)에 비교적 타이트하게 고정되어 유지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슈 패드(14A)는 하나 이상의 견인 러그(22)를 덮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턱부(ledge)(36A, 36B)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턱부(36A)는 견인 러그(22A)의 외측부 측면을 덮도록 구성되고, 턱부(36B)는 견인 러그(22B)의 외측부 측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턱부(36A, 36B)는 견인 러그(22)의 외측부 표면이 지면 표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견인 러그(22)를 덮는 하나 이상의 턱부(36A, 36B)를 포함하는 슈 패드(14A)를 갖는 조립체(30)를 포함하는 차량 궤도(10)의 회전 시에, 견인 러그(22)는 노출될 가능성이 적을 수 있고 및/또는 지면 표면에 접촉될 가능성이 적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슈 패드(14A)는 견인 러그(22)를 덮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턱부(36A, 36B)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슈 패드(14A)는 여전히 차량 궤도(10)를 위한 주요 지면 접촉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 패드(14A)는, 그라우저(12A)에 부착될 때, (예를 들어,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으로부터 슈 패드(14A)의 상단 표면(32)까지 도 2a에 도시된 z-축을 따라 측정될 때) 견인 러그(22)보다 더 길 수 있다(단지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직교하는 x-y-z 축들이 도 2a 내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슈 패드(14A)는 (예를 들어, z-축을 따라서 측정되는 바와 같은) 제1 높이를 형성할 수 있고, 그라우저(12A)(예를 들어, 견인 러그(22)를 포함하는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는, 제1 높이보다 낮은, (예를 들어, 외측부 측면(13B)으로부터 견인 러그(22)의 지면 접촉 표면까지 z-축을 따라서 측정되는 바와 같은) 제2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견인 러그(22)는 슈 패드(14A)만큼 멀리 연장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슈 패드(14A)는, 차량 궤도(10)가 지면 표면 상에서 회전될 때 견인 러그(22) 전에 또는 견인 러그 대신, 지면 표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슈 패드(14A)는 비교적 평면형인 상단 표면(32), 테이퍼링된(tapered) 측면 표면(34A, 34B), 및/또는 테이퍼링된 연부(46A, 46B)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적 평면형인 상단 표면(32)을 포함하는 슈 패드(14A)는 슈 패드(14A)의 비교적 안정적인 지면 접촉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큰 평면형 상단 표면(32)은, 작은 평면형 상단 표면 및/또는 비-평면형 상단 표면에 비해서, 차량을 위한 보다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큰 평면형 상단 표면(32)이, 슈 패드(14A) 및 그라우저(12A)를 포함하는 차량 궤도(10)에 장착된 차량을 위한 더 큰 지면 접촉 표면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예에서, 상단 표면(32)은 (예를 들어, x-y 평면 내에서 평면적이지 않고, x-y-평면에 대해서) 곡선형일 수 있다. 일부 그러한 예에서, 곡선형 상단 표면(32)은 비교적 점진적으로 곡선화될 수 있고, 이는, 급격하게 곡선화된 상단 표면에 비해서, 더 큰 지면 접촉 표면을 형성할 수 있고 및/또는 차량 궤도(10)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테이퍼링된 측면 표면(34A, 34B)은 측면 표면(37A, 37B)의 각각과 상단 표면(32) 사이의 점진적인 각도 전환을 제공하고, 이는 슈 패드(14A)가 조립체(30)를 포함하는 차량에 더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슈 패드(14A)를 포함하는 차량 궤도(10)의 회전 시에, 테이퍼링된 측면 표면(34A, 34B)은, 슈 패드(14A)가, 상단 표면(32) 및 측면 표면(37A, 37B)과 같은, 슈 패드(14A)의 급격하게 접촉되는 상이한 표면들보다, 지면 표면을 따라 더 부드럽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테이퍼링된 측면(34A)은 차량 궤도(10)의 회전 시에 지면 표면과 먼저 접촉할 수 있고, 제1 테이퍼링된 측면 표면(34A)은, 차량 궤도(10)가 회전될 때, 상단 표면(32)과 측면 표면(37A) 사이의 단차형 또는 급격한 표면에 비해서, 지면 표면과 점진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테이퍼링된 측면 표면(34B)은 측면 표면(37B)으로부터 평면형 상단 표면(32)까지 부드러운 전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테이퍼링된 연부(46A, 46B)는 차량 궤도(10) 및/또는 슈 패드(14A) 상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그러한 예에서, 테이퍼링된 연부(46A, 46B)는, 차량 궤도(10)가 회전될 때, 슈 패드(14A) 및/또는 차량 궤도(10) 상의 모서리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슈 패드(14A)는, 차량 궤도(10)의 회전 시에, 차량 궤도(10)의 회전으로 인해서 슈 패드(14A)가 굽혀지거나 달리 변형되지 않고, 테이퍼링된 연부(46A, 46B)와 점진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테이퍼링된 연부(46A, 46B)는 차량 궤도(10) 및/또는 슈 패드(14A) 상의 응력을 다른 방식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테이퍼링된 연부(46A, 46B)를 포함하는 슈 패드(14A)는, 차량 궤도(10)가 위에서 이동하는 지면 표면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적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슈 패드(14A)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상단 표면(32), 테이퍼링된 측면 표면(34A, 34B), 및/또는 테이퍼링된 연부(46A, 46B)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슈 패드(14A)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차량 궤도(10)의 적용예, 차량 궤도(10)의 희망하는 성능 특성, 차량 궤도가 장착되는 차량의 유형, 또는 기타를 기초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슈 패드(14A)는 특정 필요성에 맞춰 적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에서, 슈 패드(14A) 또는 복수의 슈 패드(14)가 트레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 패드(14A)는 상단 표면(32)으로부터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견인 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그러한 예에서, 트레드 패턴은, 슈 패드(14A) 또는 복수의 슈 패드(14)가 지면 표면을 적절히 파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의 예에서, 슈 패드(14A)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40A, 40B)을 이용하여 그라우저(12A)에 부착된다. 비록 2개의 브라켓(40A, 40B)이 도면에 도시되었지만, 다른 예에서, 슈 패드(14A)는 단지 하나의 브라켓(40A 또는 40B) 또는 2개 초과의 브라켓(예를 들어, 슈 패드(14A)의 대향 단부들 상의 다수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그라우저에 부착될 수 있다. 다수 브라켓이 슈 패드(14A)의 동일 단부 상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각각의 브라켓은 슈 패드(14A)에 의해서 형성된 동일한 슬롯의 상이한 부분들 내에, 또는 슈 패드(14A)에 의해서 형성된 별도의 슬롯들 내에 각각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슈 패드(14A)의 각각의 볼트 개구(38A 내지 38D)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볼트(42A 내지 42D)가 또한 슈 패드(14A)를 그라우저(12A)에 대해서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브라켓(40A, 40B),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볼트(42A 내지 42D),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볼트 개구(38A 내지 38D), 및 그라우저(12A)에 대한 슈 패드(14A)의 부착의 예에 관한 상세 내용을 도 3 내지 도 4b와 관련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도 2a 및 도 2b의 조립체(30)의 일부의 예시적인 분해도이다. 슈 패드(14A)는 제1 연부(43A) 및 제1 연부(43A)에 대향되는 제2 연부(43B)를 형성한다. 일부 예에서, 슈 패드(14A)가 그라우저(12A)에 부착될 때, 제1 연부(43A)는 제1 그라우저 연부(47A)와 정렬 또는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고, 제2 연부(43A)는 제2 그라우저 연부(47B)와 정렬 또는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연부(43A)로부터 제2 연부(43B)까지 연장되는 슈 패드(14A)의 폭은 제1 그라우저 연부(47A)로부터 제2 그라우저 연부(47B)까지 연장되는 그라우저(12A)의 폭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그러한 폭들은 y-축을 따라서 측정된다. 다시, 차량 궤도(10)의 이동 시에 그라우저(12A)가 지면 표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슈 패드(14A)가 지면 접촉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상황에서, 그라우저(12A)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슈 패드(14A)가, 그라우저(12A)보다 좁거나 넓은 슈 패드보다 더 안정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우저(12A)보다 좁은(즉, 작은 폭의) 슈 패드는, 차량 궤도가 불균일한 지면 접촉 표면을 형성하게 초래할 수 있고, 이는 비교적 불안정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슈 패드에 의해서 덮이지 않은 그라우저(12A)의 부분이 지면 표면과 접촉될 수 있고, 이는 차량 궤도(10) 지면 접촉 표면의 연속성을 중단시킬 수 있고 차량 궤도(10)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그라우저(12A)보다 넓은 슈 패드(예를 들어, 그라우저(12A)의 폭을 지나서 연장되는 슈 패드의 부분)는 그라우저(12A) 주위에서 굽혀질 수 있고, 이는, 그라우저(12A)를 포함하는 차량이, 지면 표면을 따라서 이동될 때, 불안정해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우저 주위에서 굽혀질 수 있는 부분은 차량 궤도(10)의 그라우저 또는 다른 구조물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을 수 있고, 이는, 차량 궤도(10)가 장착되는 차량의 안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예에서, 슈 패드(14A)는, 그라우저(12A)의 대향 연부(43A, 43B)의 각각에 배치된 2개의 브라켓(40A, 40B)을 이용하여 그라우저(12A)에 부착된다. 브라켓(40A)과 슈 패드(14A)의 결합을 위해서, 슈 패드(14A)는 제1 연부(43A) 상에서 제1 슬롯(52A)을 형성하고, 슬롯(52A)은 브라켓(40A)의 제1 아암(54A)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 슬롯(52A)은 제1 브라켓(40A)의 제1 아암(54A)을 수용하기 위한 (예를 들어, y-축을 따라 제1 연부(43A)로부터 측정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슬롯(52A) 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제1 브라켓(40A)이 슈 패드(14A)의 제1 연부(43A)와 접경되도록, 제1 슬롯(52A)이 충분히 넓을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슬롯(52A)의 폭은 약 40 mm 내지 약 130 mm, 예를 들어 약 49.2 mm 내지 약 95.8 mm 또는 약 45 mm 내지 약 130 mm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슬롯(52A)이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제1 슬롯(52A)은 슈 패드(14A)의 전체 폭을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4a에 도시된) 제1 슬롯(52A) 및 제2 슬롯(52B)은, 슈 패드(14A)의 대향 단부들 상에서, 제1 브라켓(40A) 및 제2 브라켓(40B)을 각각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형 개구를 형성하는 하나의 연속적인 슬롯일 수 있다.
제1 슬롯(52A)의 폭과 유사하게, 제1 슬롯(52A)은 제1 브라켓(40A)의 제1 아암(54A)을 수용하기 위한 (예를 들어, x-축을 따라서 측정된 바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x-축 방향은, 슈 패드(14A) 및 그라우저(12A)를 포함하는 차량 궤도(10)의 실질적인 길이방향(또는 원주방향)으로 위치된다. 일부 예에서, 제1 슬롯(52A)의 길이는 약 50 mm 내지 약 150 mm, 예를 들어 약 70 mm 내지 약 120 mm 또는 약 51 mm 내지 약 105 mm이다. 일부 예에서, 제1 슬롯(52A)의 길이는 (예를 들어, x-축을 따른 제1 측면 표면(37A)으로부터 제2 측면 표면(37B)까지의) 슈 패드(14A)의 길이의 약 67%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슬롯(52A)이 다른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제1 슬롯(52A)의 길이는 복수의 그라우저(12)의 연결 메커니즘의 피치(예를 들어, 복수의 그라우저(12)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인접 체인 링크들의 중심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넓은 피치는 슬롯 길이가 더 넓어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인 링크 피치가 약 135 mm인 차량 궤도(10)는, 길이가 약 94 mm인 제1 슬롯(52A)을 갖는 슈 패드(14A)를 포함할 수 있고, 체인 링크 피치가 약 171 mm인 차량 궤도(10)는, 길이가 약 109 mm인 제1 슬롯(52A)을 갖는 슈 패드(14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체인 링크 피치가 135 mm 또는 171 mm인 차량 궤도가 다른 길이의 제1 슬롯을 포함하는 슈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롯(52A)은 슈 패드(14A)를 따라서 임의의 적합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제1 슬롯(52A)은 슈 패드(14A)의 제1 연부(43A)의 길이를 따라서 중심에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제1 브라켓(40A)이 슈 패드(14A)의 길이를 따라서 중심에 배치되게 할 수 있고, 슈 패드(14A)를 그라우저(12A)에 고정하기 위해서 균일 분포 고정력을 인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에서, 제1 슬롯(52A)의 길이는 슈 패드(14A)의 길이의 대부분(예를 들어, 슈 패드(14A)의 길이의 51% 내지 약 90%)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그러한 예에서, 슈 패드(14A)는, 제1 슬롯(52A)의 길이가 슈 패드(14A)의 길이의 대부분보다 짧은 예에서보다, 더 확실하게 그라우저(12A)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 패드(14A)의 더 긴 부분과 결합되는 제1 슬롯(52A) 내에 삽입된 제1 브라켓(40A)으로 인해서, 슈 패드(14A)가 그라우저(12A)에 더 확실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슈 패드(14A)는 시간 경과에 따라 그라우저(12A)로부터 탈착되거나 그에 대해서 달리 이동할 가능성이 적을 수 있다.
슈 패드(14A)는, 지면 접촉 표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외측부 측면 및 그라우저(12A)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내측부 측면을 형성한다. 일부 예에서, 상단 표면(32) 및/또는 테이퍼링된 측면 표면(34A, 34B)은 슈 패드(14A)의 외측부 측면을 형성하고, 하단 부분(44A, 44B) 및/또는 채널(45)은 슈 패드(14A)의 내측부 측면을 형성한다. 제1 슬롯(52A)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z-축 방향을 따라 슈 패드(14A)의 외측부 측면으로부터 측정되는 바와 같은) 외측부 측면으로부터 임의의 적합한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슬롯(52A)은 슈 패드(14A)의 외측부 표면과 내측부 표면 사이에서 대략적으로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중심에 배치되거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의 1 또는 2 센티미터 이내와 같이, 제조 공차에 의해서 허용되는 범위까지 거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슬롯(52A)은 (예를 들어, z-축을 따라 측정된) 외측부 표면으로부터 약 10 mm 내지 약 50 mm, 예를 들어 (예를 들어, z-축을 따라) 외측부 표면으로부터 약 21 mm 내지 약 29 mm 또는 외측부 표면으로부터 약 26 mm 내지 약 29 mm일 수 있다. 그러한 둘 모두의 예에서, 제1 브라켓(40A)과 슈 패드(14A) 사이의 충분한 접촉 면적을 제공하도록, 그에 따라 슈 패드(14A)에 대한 브라켓(40A)의 안정적인 배치가 되게 하는 제1 브라켓(40A)과 슈 패드(14A) 사이의 끼워맞춤을 촉진하도록, 제1 슬롯(52A)이 슈 패드(14A)의 외측부 표면에 대해서 배치된다. 안정적인 브라켓(40A) 위치는, 차량 궤도(10)의 사용 중에 브라켓(40A)이 슈 패드(14A)에 대해서 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제1 슬롯(52A)의 폭 및 길이와 유사하게, 슈 패드(14A)의 외측부 측면으로부터의 거리는 제1 브라켓(40A)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슬롯(52A)에 대한 개구부가 제1 테이퍼링된 연부(46A) 아래에서 슈 패드(14A)의 제1 연부(43A)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이는, 브라켓(40A)의 제1 아암(54A)이 슬롯(52A) 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브라켓(40A)이 인터페이싱하는 슈 패드(14A)의 제1 연부(43A)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브라켓(40A)이 슬롯(52A) 내로 삽입될 때 브라켓(40A)이 인터페이싱하는 슈 패드(14A)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은, 슈 패드(14A)에 대한 브라켓(40A)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슈 패드(14A)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우저(12A)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 패드(14A)가 그라우저(12A)에 부착될 때, 슈 패드(14A)의 내측부 측면은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과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슈 패드(14A)의 외측부 측면은 지면 표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예에서, 그라우저(12A)는 견인 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우저(12A)는 외측부 측면(13B) 상에서 3개의 견인 러그(22A 내지 22C)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그라우저(12A)는, 예를 들어 하나의 견인 러그, 2개의 견인 러그, 또는 4개 이상의 견인 러그와 같은, 임의의 수의 견인 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슈 패드(14A)는 그라우저(12A)의 견인 러그, 예를 들어 견인 러그(22A 내지 22C)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러한 덮인 견인 러그는, 슈 패드(14A)가 그라우저(12A)에 부착될 때, 지면 표면과 접촉되지 않는다. 도 3의 예에서, 턱부(36A 및 36B)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 러그(22A 및 22B)를 덮도록 구성되고, 채널(45)을 견인 러그(22C)를 덮도록 구성된다.
도 2a 및 도 2b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일부 예에서, 슈 패드(14A)의 하단 부분(44)은 견인 러그(22A 및 22B)와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 패드(14A)는 또한 견인 러그(22C)와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 슈 패드(14A)는 임의의 수의 견인 러그와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경우에, 슈 패드(14A)는, 모든 또는 임의의 견인 러그와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 대신, 슈 패드(14A)는 견인 러그들 사이에 끼워맞춤되도록 또는 견인 러그 주위에 달리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슈 패드(14A)의 하단 부분(44)은, 예를 들어 견인 러그(22A 내지 22C)와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하기 위해서, 견인 러그들(22A 및 22C) 사이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제1 하단 부분(44A), 견인 러그들(22B 및 22C) 사이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제2 하단 부분(44B)을 포함한다. 하단 부분(44)은 또한, 슈 패드(14A)가 그라우저(12A)에 부착될 때, 견인 러그(22C)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채널(45)을 형성한다. 일부 예에서, 슈 패드(14A)가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과 교합될 수 있도록, 제1 하단 부분(44A), 제2 하단 부분(44B), 또는 채널(45)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이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의 형상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45)의 형상은 견인 러그(22C)의 형상에 상응할 수 있다. 다시, 슈 패드(14A)는 그라우저(12A) 상의 의도된 위치에서 유지될, 그라우저(12A)에 확실하게 부착되어 유지될, 그라우저(12A)에 용이하게 설치될, 또는 그 임의 조합이 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슈 패드(14A)는 제1 브라켓(40A)을 이용하여 그라우저(12A)에 고정된다. 제1 브라켓(40A)은 제1 아암(54A) 및 제2 아암(56A)을 포함한다. 제1 아암(54A)은 슈 패드(14A)의 제1 슬롯(52A)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도 3의 예에서, 제1 아암(54A)은 볼트 개구(60A 및 60B)를 형성한다. 다른 예에서, 제1 아암(54A)이 단일 볼트 개구(60A 또는 60B)를 형성할 수 있거나, 제1 아암(54A)이 2개 초과의 볼트 개구(60A, 60B)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암들(54A, 56A) 사이의 슈 패드(14A)의 부분이 슈 패드(14A)의 제1 연부(43A)와 접촉되도록, 제1 아암(54A)에 의해서 형성되는 볼트 개구(60A, 60B)는, 제1 아암(54A)이 제1 슬롯(52A) 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슈 패드(14A)에 의해서 형성된 볼트 개구(38A, 38B)와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아암(54A)은, 슈 패드(14A)에 의해서 형성된 슬롯(52A)과 연통되는 볼트 개구(38A, 38B)의 수와 적어도 동일한 볼트 개구(60A 및 60B)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암(54A)은 2개의 볼트 개구(60A 및 60B), 또는 2개 초과의 볼트 개구(60A 및 60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슈 패드(14A)를 그라우저(12A)에 고정하기 위해서, 볼트(42A, 42B) 또는 다른 연결 메커니즘이 슈 패드(14A)의 볼트 개구(38A, 38B) 및 제1 브라켓(40A)의 제1 아암(54A)의 상응 볼트 개구(60A 및 60B)를 통해서 삽입될 수 있다.
제1 브라켓(40A)의 제2 아암(56A)은, 제1 아암(54A)이 슬롯(52A) 내에 삽입될 때, 그라우저(12A)의 내측부 측면(13A)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브라켓(40A)은 (예를 들어, 슈 패드(14A)의 제1 슬롯(52A)을 통해서) 외측부 측면(13B)으로부터 내측부 측면(13A)까지 그라우저(12A)를 둘러싸고, 그에 따라, 그라우저(12A) 자체가 (예를 들어, 통과 삽입되는 볼트(42A 내지 42D)를 위한) 어떠한 개구도 포함할 필요가 없이, 슈 패드(14A)를 그라우저(12A)에 부착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브라켓(40A)이 그라우저(12A) 주위를 둘러싸고 그라우저(12A) 및 슈 패드(14A)를 함께 유지하는 방식으로 인해서, 제1 브라켓(40A)은 시간에 걸쳐 그리고 차량 궤도(10)의 이용 중에 슈 패드(14A)가 그라우저(12A)에 타이트하게 고정되어 유지되게 할 수 있고, 이는 슈 패드(14A)가, 일부 다른 유형의 슈 패드(예를 들어, 볼트-장착 및/또는 클립-장착 패드)보다, 더 긴 유효 수명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브라켓(40A)이 슈 패드(14A) 및/또는 그라우저(12A)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슈 패드(14A)는 다른 슈 패드로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제1 브라켓(40A)의 (예를 들어, 제1 연부(43A)로부터 제2 연부(43B)까지 연장되는, y-축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바와 같은) 폭, (예를 들어, x-축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바와 같은) 길이, 및 (예를 들어, 제1 아암(54A)으로부터 제2 아암(56A)까지 z-축 방향으로 측정되는 바와 같은) 높이는, 제1 슬롯(52A)의 크기 또는 위치와 같은 슈 패드(14A)의 구성, 그라우저(12A)의 구성, 차량 궤도(10)의 의도된 용도, 또는 기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브라켓(40A)은 특정 필요에 맞춰 임의의 적합한 형상, 크기, 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브라켓(40A)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브라켓(40A)은 금속 또는 합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40A)은 강, 저탄소강, 중탄소강, 또는 기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브라켓(40A)은 그라우저(12A)와 동일한 금속 또는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하나 이상의 볼트(42A 내지 42D)를 이용하여, 브라켓(40A, 40B)을 슈 패드(14A) 및 그라우저(12A)에 대한 제 위치에서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슈 패드(14A)는 각각의 볼트(42A 내지 42D)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볼트 개구(38A 내지 38D)를 형성할 수 있다. 브라켓(40A, 40B)이 각각의 슬롯(52A, 52B) 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볼트 개구(38A 내지 38D) 내에 삽입된 볼트(42A 내지 42D)가 브라켓(40A, 40B)의 제1 아암(54A, 54B)과 각각 결합되도록, 볼트 개구(38A 내지 38D)가 슬롯(52A, 52B)과 연통될 수 있고, 이는 각각의 브라켓(40A, 40B)의 제1 및 제2 아암(54A, 54B, 56A, 56B)을 압축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슈 패드(14A)는 제1 슬롯(52A)과 연통되는 2개의 볼트 개구(38A, 38B)를 형성한다. 다른 예에서, 슈 패드(14A)는 제1 슬롯(52A)과 연통되는 하나의 볼트 개구 또는 2개 초과의 볼트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볼트 개구(38A, 38B)는 슈 패드(14A)의 외측부 측면으로부터 제1 슬롯(52A)까지 또는 제1 슬롯(52A)을 지나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볼트 개구(38A, 38B)가 상단 표면(32)으로부터 제1 슬롯(52A)까지 연장될 수 있거나, 볼트 개구(38A, 38B)가 상단 표면(32)으로부터 제1 슬롯(52A)을 지나서 (예를 들어, 슈 패드(14A)의 하단 부분(44)에 가까이 또는 그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브라켓(40A)을 슈 패드(14A) 및 그라우저(12A)에 대한 제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해서, 볼트 개구(38A, 38B)는, 볼트(42A, 42B) 또는 다른 부착 메커니즘이 슈 패드(14A)에 의해서 형성된 볼트 개구(38A, 38B) 및 제1 브라켓(40A)의 제1 아암(54A) 상의 볼트 개구(60A, 60B)를 통해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볼트(42A 내지 42D)에 대한 부가적인 상세 내용을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1 브라켓(40A)이 볼트(42A, 42B)를 이용하여 슈 패드(14A) 및 그라우저(12A)에 고정되는 예에서, 볼트(42A, 42B)는 나사산형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그러한 예에서, 슈 패드(14A)는 볼트(42A, 42B)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산형 삽입체(58A, 58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산형 삽입체(58A, 58B)는 나사산형 볼트(42A, 42B)와 함께 나사산형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별도의 나사산형 삽입체(58A, 58B)를 포함하는 대신, 슈 패드(14A) 자체가 볼트(42A, 42B)와 나사산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에 대한 부가적인 상세 내용을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설명할 것이다.
비록 도 3이 제1 슬롯(52A), 제1 브라켓(40A), 제1 연부(43A), 제1 볼트 개구(38A, 38B), 제2 볼트 개구(60A 및 60B), 볼트(42A, 42B), 및 나사산형 삽입체(58A, 58B)(예를 들어, 슈 패드(14A) 및 그라우저(12A)의 조립체(30)의 하나의 절반체)와 관련하여 주로 설명되지만, 슈 패드(14A) 및 그라우저(12A)를 포함하는 조립체가, 제1 절반체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제2 절반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 패드(14A)는 제2 슬롯(52B) 및 제1 볼트 개구(38C, 38D)를 형성할 수 있고, 조립체(30)는 제2 볼트 개구(60C, 60D)를 형성하는 제2 브라켓(40B), 볼트(42C, 42D), 및 나사산형 삽입체(58C, 58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제1 슬롯(52A), 제1 볼트 개구(38A, 38B), 제2 볼트 개구(60A 및 60B), 제1 브라켓(40A), 볼트(42A, 42B), 및 나사산형 삽입체(58A, 58B)의 각각에 대해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슬롯(52A), 제1 브라켓(40A), 제1 연부(43A), 제1 볼트 개구(38A, 38B), 제2 볼트 개구(60A 및 60B), 볼트(42A, 42B), 및 나사산형 삽입체(58A, 58B), 그리고 제2 슬롯(52A), 제2 브라켓(40B), 제1 볼트 개구(38C, 38D), 제2 볼트 개구(60C, 60D), 볼트(42C, 42D), 및 나사산형 삽입체(58C, 58D) 모두를 포함하는 조립체는, 제1 슬롯(52A), 제1 브라켓(40A), 제1 연부(43A), 제1 볼트 개구(38A, 38B), 제2 볼트 개구(60A 및 60B), 볼트(42A, 42B), 및 나사산형 삽입체(58A, 58B), 또는 제2 슬롯(52B), 제2 브라켓(40B), 제1 볼트 개구(38C, 38D), 제2 볼트 개구(60C, 60D), 볼트(42C, 42D), 및 나사산형 삽입체(58C, 58D) 만을 포함하는 조립체에 비해서, 슈 패드(14A)가 그라우저(12A)에 더 확실하게 부착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브라켓(40A, 40B)에 의해서 그라우저(12A)에 모두가 부착되는 슈 패드(14A)의 2개의, 대향되는 연부들(43A, 43B)은, 브라켓(40A 또는 40B)으로 그라우저(12A)에 부착되는 하나의 연부(43A 또는 43B)만을 포함하는 조립체(30)에 비해서, 그라우저(12A) 상의 의도된 위치에서 유지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조립체는 제1 슬롯(52A), 제2 슬롯(52B), 제1 브라켓(40A), 제2 브라켓(40B), 제1 볼트 개구(38A 내지 38D), 제2 볼트 개구(60A 내지 60D), 볼트(42A 내지 42D), 및/또는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의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그라우저(12A)에 부착된 슈 패드(14A)의 도 2a 내지 도 3의 예시적인 조립체(30)를 도시하는 개략적 횡단면도로서, 그러한 횡단면은 조립체(30)의 폭을 따라서(예를 들어, y-축을 따라서) 취해지고 그라우저(12A)에 부착된 슈 패드(14A)를 보여준다. 도 4b는 도 4a의 예시적인 조립체(30)의 일부의 확대된 횡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40A) 및 제2 브라켓(40B)의 제1 아암(54A, 54B)의 각각이 슈 패드(14A)의 각각의 슬롯(52A, 52B) 내로 삽입되고, 제1 브라켓(40A) 및 제2 브라켓(40B)의 제2 아암(56A, 56B)의 각각이 그라우저(12A)의 내측부 측면(13A)과 접촉된다. 제1 및 제2 브라켓(40A, 40B)을 슈 패드(14A) 및 그라우저(12A)에 대한 제 위치에서 유지하는데 및/또는 슈 패드(14A)를 그라우저(12A)에 고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볼트(42A 내지 42D)가 슈 패드(14A)의 각각의 제1 볼트 개구(38A 내지 38D) 및 브라켓(40A, 40B)의 각각의 제2 볼트 개구(60A 내지 60D)를 통해서 삽입된다.
일부 예에서, 볼트(42A 내지 42D)는, 볼트(42A 내지 42D)가 슈 패드(14A)의 각각의 제1 볼트 개구(38A 내지 38D) 및 브라켓(40A, 40B)의 각각의 제2 볼트 개구(60A 내지 60D)를 통해서 삽입될 때,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볼트(42A 내지 42D)는, 제1 볼트 개구(38A 내지 38D) 및 제2 볼트 개구(60A 내지 60D)를 통해서 삽입될 때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과 각각 결합되는, 예를 들어 볼트(42C, 42B)의 선단부 부분(62A, 62B)으로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단부 부분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볼트(42A 내지 42D)는, 도 4a에 도시된 예에서, 그라우저(12A)의 두께 또는 그라우저(12A)의 미리 형성된 볼트 개구를 통해서 연장되지 않는다. 그 대신, 예를 들어, 볼트(42A 내지 42D)의 선단부 부분, 예를 들어 선단부 부분(62A, 62B)은, 통과 연장되지 않고,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 "내로 파고 들어갈(dig into)"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볼트(42A 내지 42D)는, 그라우저(12A) 내의 볼트 개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브라켓(40A, 40B)을 슈 패드(14A) 및 그라우저(12A)에 대한 제 위치에서 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볼트(42A 내지 42D)의 선단부 부분은, 예를 들어, 비교적 날카롭거나 무딜 수 있으나, 그 둘 모두의 예에서,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에 대해서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외측부 측면(13B)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볼트(42A 내지 42D)는 각각의 브라켓(40A, 40B)의 제1 아암(54A, 54B) 및 제2 아암(56A, 56B)을 서로를 향해서 압축할 수 있고, 이는 브라켓(40A, 40B)이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또한 슈 패드(14A)를 그라우저(12A) 상에서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42B)는 화살표(A)의 방향으로 제1 아암(54A)을 누르고, 그 후에 제1 아암(54A)은 화살표(B) 방향으로 볼트(42B)의 헤드(64A)를 누를 수 있다. 화살표(A 및 B) 방향을 따른 그러한 힘은, 브라켓(40A)의 제2 아암(56A)이 화살표(C)의 방향으로 그라우저(12A)의 내측부 측면(13A)을 누르게 할 수 있다. 다시, 제1 아암(54A) 및 제2 아암(56A)이 서로를 향해서 압축될 수 있고, 슈 패드(14A)는, 그라우저(12A)가 볼트(42A 내지 42D)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포함할 것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클립-장착 슈 패드와 같은 일부 다른 슈 패드에 비해서, 더 긴 기간 동안 그라우저(12A)에 확실하게 부착되어 유지될 수 있다.
볼트(42A 내지 42D)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볼트(42A 내지 42D)는, 예를 들어 강, 고-합금 강, 또는 기타와 같은, 금속 또는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볼트(42A 내지 42D)는 등급 8 합금 강(예를 들어, AISI 4140) 또는 분류 12.9 강(예를 들어, ASTM F568M)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42A 내지 42D)는 또한 특정 필요에 맞춰진 임의의 적합한 크기(예를 들어, 직경 및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볼트(42A 내지 42D)는 (예를 들어, z-축을 따라 볼트(42A 내지 42D)의 헤드(64A, 64B)로부터 선단부 부분(62A, 62B)까지 측정되는 바와 같은) 약 20 mm 내지 약 50 mm, 예를 들어 약 25 mm 내지 약 39 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볼트(42A 내지 42D)의 높이는 슈 패드(14A)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볼트(42A 내지 42D)의 헤드(64A, 64B)는 슈 패드(14A) 내에(예를 들어, 제1 볼트 개구(38A 내지 38D) 내에) 있을 수 있고, 볼트(42A 내지 42D)가 제1 볼트 개구(38A 내지 38D) 및 제2 볼트 개구(60A 내지 60D)를 통해서 삽입될 때, 슈 패드(14A)의 상단 표면(32)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볼트(42A 내지 42D)는 느슨해질, 지면 표면과 접촉될, 손상될, 또는 기타의 가능성이 적을 수 있다. 또한, 제1 아암(54A, 54B) 및 제2 아암(56A, 56B)이 볼트(42A 내지 42D)의 높이에 따라 서로를 향해서 압축될 수 있고, 이는 브라켓(40A, 40B)을 슈 패드(14A) 및 그라우저(12A)에 대한 제 위치에서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볼트(42A 내지 42D)가 선단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42B, 42C)의 선단부 부분(62A, 62B)의 각각이 도 4a에 도시되어 있고, 볼트(42B)의 선단부 부분(62A)이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선단부 부분(62A, 62B)의 구성은 볼트(42A 내지 42D)의 선단부 부분을 나타낸다. 선단부 부분(62A, 62B)은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선단부 부분(62A, 62B)은 0 mm 초과 내지 약 5mm, 예를 들어 약 0.10 mm 내지 약 3 mm, 약 0.10 mm 내지 약 1.5 mm, 또는 약 1.3 mm 내지 약 2.0 mm의 높이(HT)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선단부 부분(62A, 62B)의 약 1.5 mm 이하가 외측부 측면(13B) 내로 파고 들어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b의 예에서, 선단부 부분(62A)의 전체 높이(HT)가 금속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과 결합된다(예를 들어, 파고 들어 간다). 다른 예에서, 전체 높이(HT) 미만의 부분이 외측부 측면(13B)과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선단부 부분(62A)의 전체 높이(HT)가 금속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과 결합되지 않는다(예를 들어, 파고 들어가지 않는다). 일부 예에서,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과 결합되는 선단부 부분(62A)의 양은 그라우저(12A)를 형성하는 재료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볼트(42A, 42B)는 선단부 부분(62A, 62B)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비교적 편평한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그러한 예에서, 편평한 단부는 금속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과 결합되도록(예를 들어,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선단부 부분(62A, 62B) 또는 편평한 단부가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과 결합될 때, 볼트(42A 내지 42D)는 제1 아암(54A, 54B) 및 제2 아암(56A, 56B)을 서로를 향해서 압축할 수 있고, 이는 브라켓(40A, 40B)을 슈 패드(14A) 및 그라우저(12A)에 대한 제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측부 측면(13B)과 결합된 선단부 부분(62A, 62B) 또는 편평한 단부는 (예를 들어, x- 또는 y-축의 방향으로) 외측부 측면(13B)을 가로질러 이동될 가능성이 낮을 수 있고, 이는 브라켓(40A, 40B)을 제 위치에서 유지하는데 더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볼트(42A 내지 42D)는 나사산형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그러한 예에서, 조립체(30)는, 볼트(42A 내지 42D)와 나사산형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42A 내지 42D) 또는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 중 하나가 암놈형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고, 볼트(42A 내지 42D) 또는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 중 다른 하나가 숫놈형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42B)는 숫놈형 나사산(66)을 포함하고, 나사산형 삽입체(58B)는 숫놈형 나사산(66)과 나사산형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암놈형 나사산(68)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볼트(42A 내지 42D) 및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 사이의 나사산형 연결은 볼트(42A 내지 42D) 및/또는 브라켓(40A, 40B)이 시간에 걸쳐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이는 그라우저(12A)에 부착된 슈 패드(14A)의 유효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는 금속 또는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그러한 예에서,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는 강, 등급 8 합금 강, 중탄소강, 또는 기타를 포함할 수 있다. 등급 8 합금 강의 예는, 예를 들어, AISI 4140와 같은 중탄소강(예를 들어, 약 0.31 중량% 내지 약 0.60 중량% 탄소)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등급 8 합금 강은 약 1034 메가파스칼(MPa)(약 150,000의 평방 인치당 파운드(psi)) 초과의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는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가 슈 패드(14A) 내에 내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가 슈 패드(14A)의 제조 중에 슈 패드(14A) 내에 내재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는 다른 방식으로 슈 패드(14A) 내에 배치되거나 그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슈 패드(14A)는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의 희망 위치에 상응하는 개구와 함께 형성될 수 있고,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는 그러한 개구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찰 끼워맞춤, 접착제, 또는 기타를 통해서, 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에서, 슈 패드(14A) 자체는,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를 포함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부가적으로, 볼트(42A 내지 42D)와 나사산형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슈 패드(14A)는, 볼트(42A 내지 42D)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산 이외의 메커니즘을 포함하거나 형성할 수 있다.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는, 슈 패드(14A) 내에 배치될 때, 슬롯(52A, 52B) 및 제1 볼트 개구(38A 내지 38D)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볼트(42A 내지 42D)가 슈 패드(14A)의 제1 볼트 개구(38A 내지 38D) 및 브라켓(40A, 40B)의 제2 볼트 개구(60A 내지 60D)를 통해서 삽입될 때, 볼트(42A 내지 42D)가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 내로 삽입되어 나사산형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는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에 근접한 개방 단부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볼트(42A 내지 42D)가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를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볼트(42A 내지 42D)의 선단부 부분(62A, 62B)이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선단부 부분(62A, 62B)은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나사산형 삽입체(58A 내지 58D)는, 볼트(42A 내지 42D)를 수용하기 위해서 그리고 볼트(42A 내지 42D)가 그라우저(12A)와 결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양 단부에서 개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슈 패드(14A)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볼트 개구(72)와 같은, 부가적인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한 연결 볼트 개구(72)는, 연결 메커니즘(예를 들어, 체인 링크)을 그라우저(12A)에 부착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볼트의 헤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연결 볼트 개구(72)와 같은 부가적인 개구를 포함하는 슈 패드(14A)는, 볼트 또는 차량 궤도(10)의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서 슈 패드(14A)가 외측부 측면(13B)으로부터 이격되는 대신, 슈 패드가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 상에서 동일 높이가 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슈 패드(14A)는, 연결 메커니즘(예를 들어, 체인 링크)을 그라우저(12A)에 부착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볼트의 헤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연결 볼트 개구(72)에 부가적으로 또는 그 대안으로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슈 패드를 그라우저에 부착하는 예시적인 기술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의 기술은 도 2a 내지 도 4b의 조립체(30)에 대해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하나 이상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4b에 대해서 설명된 슈 패드(14A) 및/또는 그라우저(12A) 이외의) 다른 슈 패드를 다른 그라우저에 부착하기 위해서 도 5의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의 기술은 슈 패드(14A)를 그라우저(12A) 상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70). 예를 들어, 슈 패드(14A)는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슈 패드(14A)의 하단 부분(44)이 그라우저(12A)의 견인 러그들(22A 내지 22C) 사이의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더 느슨하게, 예를 들어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하지 않고, 견인 러그(22A 내지 22C)와 교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라우저(12A) 상에 배치된 슈 패드(14A)는 슈 패드(14A) 및 그라우저(12A)를 포함하는 차량 궤도(10)의 지면 접촉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예에서, 도 5의 기술은 복수의 슈 패드(14)를 복수의 그라우저(12)에 배치하는 것(예를 들어, 차량 궤도(10)의 복수의 슈 패드(14) 및 복수의 그라우저(12))을 포함할 수 있다.
슈 패드(14A)가 그라우저(12A) 상에 배치된 후에, 제1 브라켓(40A)이 슈 패드(14A) 및 그라우저(12A)에 부착될 수 있다(72). 예를 들어, 브라켓(40A)의 제1 아암(54A)이 슈 패드(14A)의 제1 슬롯(52A)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제2 아암(56A)이 그라우저(12A)의 내측부 측면(13A)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브라켓(40A)을 슈 패드(14A) 및 그라우저(12A)에 부착하는 것은, 제1 및 제2 볼트 개구(38A, 38B, 60A, 및 60B)가 연통되도록, 슈 패드(14A)의 제1 볼트 개구(38A, 38B)를 제1 아암(54A)의 제2 볼트 개구(60A, 60B)와 정렬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볼트(42A, 42B)는 슈 패드(14A)의 각각의 제1 볼트 개구(38A, 38B) 및 브라켓(40A)의 각각의 제2 볼트 개구(38A, 38B)를 통해서 삽입될 수 있다(74). 다시, 슈 패드(14A)는 그라우저(12A)에 고정될 수 있고, 브라켓(40A)은 슈 패드(14A) 및 그라우저(12A), 또는 기타에 대한 의도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볼트(42A, 42B)는 나사산형 삽입체(58A, 58B)에 나사산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그러한 예에서, 볼트(42A, 42B)는 약 130 뉴턴-미터(Nm)(예를 들어, 약 100 ft-lb) 초과의 토크를 이용하여 나사산형 삽입체(58A, 58B)에 나사산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는 약 150 Nm(예를 들어, 약 110 ft-lb) 초과 또는 약 163 Nm(예를 들어, 약 120 ft-lb) 초과의 토크를 이용하여 나사산형 삽입체(58A, 58B)에 나사산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에서, 볼트(42A, 42B)는 그라우저(12A)의 외측부 측면(13B)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그러한 경우에, 선단부 부분(62A, 62B)의 적어도 일부가 외측부 측면(13B)과 결합되도록, 볼트(42A, 42B)가 (예를 들어, 나사산형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서) 회전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2 브라켓(40B)이 또한 슈 패드(14A) 및 그라우저(12A)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브라켓(40B)이 슈 패드(14A) 및 그라우저(12A)에 부착되는 예에서, 볼트(42C, 42D)는, 유사하게, 슈 패드(14A)의 각각의 제1 볼트 개구(38C, 38D) 및 브라켓(40B)의 각각의 제2 볼트 개구(60C, 60D)를 통해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차량 궤도(10)의) 복수의 슈 패드(14)가 복수의 그라우저(12)에 부착되는 예에서, 복수의 브라켓, 그리고 선택적으로 복수의 볼트가 차량 궤도(10)의 각각의 복수의 슈 패드(14) 및 각각의 복수의 그라우저(12)에 부착될 수 있다.
여러 가지 예가 설명되었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예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조립체이며:
    외측부 측면 및 내측부 측면을 형성하는 그라우저;
    상기 그라우저의 외측부 측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슈 패드로서, 상기 슈 패드의 연부는 슬롯 및 상기 슬롯과 연통되는 제1 볼트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슈 패드는 상기 볼트 개구 내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은 볼트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슈 패드; 및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슈 패드의 슬롯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1 아암으로서, 상기 제1 아암은, 상기 제1 아암이 상기 볼트를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슬롯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제2 볼트 개구를 형성하는, 제1 아암, 및
    상기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2 아암을 포함하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저의 외측부 측면은 제1 외측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은 제1 내측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부 측면은 제1 견인 러그 및 제2 견인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슈 패드는 제1 견인 러그와 제2 견인 러그 사이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슈 패드는 제2 외측부 측면 및 제2 내측부 측면을 더 형성하며, 상기 제2 외측부 측면은 지면 표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내측부 측면은 상기 그라우저의 제1 외측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슈 패드는 제1 연부 및 상기 제1 연부에 대향되는 제2 연부를 더 형성하고, 제1 축이 상기 제1 연부와 상기 제2 연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축을 따라서 상기 제1 연부로부터 측정된 슬롯의 폭이 약 40 mm 내지 약 130 mm인,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길이가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슬롯의 길이는 약 50 mm 내지 약 150 mm인, 조립체.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축이 상기 슈 패드의 제2 외측부 측면과 제2 내측부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제3 축을 따라서 상기 제2 외측부 측면으로부터 약 10 mm 내지 약 50 mm에 위치되는, 조립체.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슈 패드를 상기 그라우저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 및 상기 브라켓의 제2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제3 축이 상기 슈 패드의 제2 외측부 측면과 제2 내측부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볼트 개구가 상기 제3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볼트의 헤드는, 상기 슈 패드를 상기 그라우저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볼트가 상기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 및 상기 브라켓의 제2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될 때, 상기 슈 패드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나사산형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슈 패드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나사산형 삽입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형 삽입체는 상기 나사산형 볼트와 나사산형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나사산형 삽입체는 상기 슈 패드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슬롯과 연통되는, 조립체.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슈 패드를 상기 그라우저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볼트가 상기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 및 상기 브라켓의 제2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될 때, 상기 그라우저의 외측부 측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선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 부분은 상기 그라우저를 통해서 상기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까지 연장되지 않는, 조립체.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슈 패드의 연부가 제1 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제1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제1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는 제1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슈 패드의 제1 연부에 대향되는 제2 연부가 제2 슬롯 및 상기 제2 슬롯과 연통되는 제3 볼트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조립체는:
    제2 브라켓으로서:
    상기 슈 패드의 제2 슬롯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3 아암으로서, 상기 제3 아암은, 상기 제3 아암이 상기 제2 슬롯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슈 패드의 제3 볼트 개구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제4 볼트 개구를 형성하는, 제3 아암, 및
    상기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4 아암을 포함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슈 패드의 제2 연부를 상기 그라우저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슈 패드의 제3 볼트 개구 및 상기 브라켓의 제4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구성된 제2 볼트를 더 포함하는, 조립체.
  11. 무한 궤도이며:
    무한 궤도를 형성하기 위해서 함께 커플링되는 복수의 그라우저로서, 상기 복수의 그라우저의 각각의 그라우저가 외측부 측면 및 내측부 측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그라우저; 및
    복수의 슈 패드로서, 상기 복수의 슈 패드의 각각의 슈 패드는 슬롯 및 상기 슬롯과 연통되는 제1 볼트 개구를 형성하고, 각각의 슈 패드는 각각의 제1 볼트 개구 내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은 볼트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슈 패드는, 각각의 브라켓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그라우저의 각각의 그라우저에 고정되는, 복수의 슈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브라켓은:
    상기 슈 패드의 슬롯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1 아암으로서, 상기 제1 아암은, 상기 제1 아암이 상기 볼트를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슬롯 내로 삽입될 때, 상기 각각의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제2 볼트 개구를 형성하는, 제1 아암, 및
    상기 각각의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2 아암을 포함하는, 무한 궤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그라우저의 외측부 측면은 제1 외측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은 제1 내측부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부 측면은 제1 견인 러그 및 제2 견인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슈 패드의 슈 패드는 각각의 그라우저의 제1 견인 러그와 제2 견인 러그 사이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슈 패드는 제2 외측부 측면 및 제2 내측부 측면을 더 형성하며, 상기 제2 외측부 측면은 지면 표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내측부 측면은 상기 각각의 그라우저의 제1 외측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무한 궤도.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슈 패드는 제1 연부 및 상기 제1 연부에 대향되는 제2 연부를 더 형성하고, 제1 축이 상기 제1 연부와 상기 제2 연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축을 따라서 상기 제1 연부로부터 측정된 상기 슬롯 폭의 폭이 약 40 mm 내지 약 130 mm인, 무한 궤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길이가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슬롯의 길이는 약 50 mm 내지 약 150 mm인, 무한 궤도.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축이 상기 각각의 슈 패드의 제2 외측부 측면과 제2 내측부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제3 축을 따라서 상기 제2 외측부 측면으로부터 약 10 mm 내지 약 50 mm에 위치되는, 무한 궤도.
  16.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슈 패드는, 상기 각각의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 및 상기 브라켓의 제2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구성된 상기 볼트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그라우저의 각각의 그라우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볼트 개구는 상기 제3 축을 따라서 연장되고, 볼트의 헤드는, 상기 볼트가 상기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 및 상기 브라켓의 제2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될 때, 상기 슈 패드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무한 궤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나사산형 볼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슈 패드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나사산형 삽입체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형 삽입체는 상기 나사산형 볼트와 나사산형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나사산형 삽입체는 상기 슈 패드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슬롯과 연통되는, 무한 궤도.
  18. 제16항 또는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각각의 슈 패드를 상기 각각의 그라우저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볼트가 상기 각각의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 및 상기 브라켓의 제2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될 때, 각각의 그라우저의 외측부 측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선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 부분은 상기 각각의 그라우저를 통해서 상기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까지 연장되지 않는, 무한 궤도.
  19. 방법이며:
    슈 패드를 그라우저의 외측부 측면 상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그라우저는 외측부 측면 및 내측부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슈 패드는 슬롯 및 상기 슬롯과 연통되는 제1 볼트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슈 패드는 볼트 개구 내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은 볼트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단계; 및
    브라켓을 상기 슈 패드 및 상기 그라우저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슈 패드의 슬롯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1 아암으로서, 상기 제1 아암은, 상기 제1 아암이 상기 볼트를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슬롯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제2 볼트 개구를 형성하는, 제1 아암, 및
    상기 그라우저의 내측부 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2 아암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슈 패드를 상기 그라우저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볼트를 상기 슈 패드의 제1 볼트 개구 및 상기 브라켓의 제2 볼트 개구를 통해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볼트를 상기 슈 패드의 볼트 개구 내의 나사산형과 나사산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슈 패드에 대해 상기 볼트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17004978A 2018-07-24 2019-07-22 차량 궤도 슈 패드 KR102427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43,307 US11136078B2 (en) 2018-07-24 2018-07-24 Vehicle track shoe pad
US16/043,307 2018-07-24
PCT/US2019/042758 WO2020023344A1 (en) 2018-07-24 2019-07-22 Vehicle track shoe p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201A true KR20210024201A (ko) 2021-03-04
KR102427991B1 KR102427991B1 (ko) 2022-08-03

Family

ID=6917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978A KR102427991B1 (ko) 2018-07-24 2019-07-22 차량 궤도 슈 패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36078B2 (ko)
EP (1) EP3826907A4 (ko)
JP (1) JP7185778B2 (ko)
KR (1) KR102427991B1 (ko)
CN (1) CN112492880A (ko)
WO (1) WO2020023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6485A (zh) * 2019-06-22 2019-10-22 徐州市耐力高分子科技有限公司 一种稳固且便于更换的履带靴
US11912355B2 (en) * 2019-12-23 2024-02-27 Quanta Associates, L.P. Track cleat for endless track vehicle
CN112829841A (zh) * 2020-12-28 2021-05-25 江阴市顺阳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分散受力的履带垫板
US20220266932A1 (en) * 2021-02-22 2022-08-25 Edgar Michael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Managing Vehicle Track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1447A (ja) * 1992-12-25 1994-07-12 Suzuki Shoji:Kk 履帯用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5388900A (en) * 1992-07-15 1995-02-14 Kabushiki Kaisha Suzuki Shoji Crawler pad
JPH09301233A (ja) * 1996-05-20 1997-11-25 Yutani Heavy Ind Ltd 鉄クローラのゴムパッド取付構造
JP2000085641A (ja) * 1998-09-16 2000-03-28 Kubota Corp クローラ走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2570A (en) 1975-04-17 1976-08-03 Caterpillar Tractor Co. Wear-resistant composite track shoe
US4109971A (en) 1976-10-12 1978-08-29 Black Chester A Detachable road protecting devices for tracked vehicles
US4448459A (en) 1982-04-13 1984-05-15 Caterpillar Tractor Co. Roadable track shoe with sealed grouser
JPH0610088U (ja) * 1992-07-15 1994-02-08 株式会社鈴機商事 履帯用パッド
JPH07291159A (ja) * 1994-03-02 1995-11-07 Jonan Drive Center:Kk 装軌式車両の履帯用ゴムパッド
JPH0985641A (ja) * 1995-09-27 1997-03-31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Oリング取外し治具
US5741052A (en) 1996-06-19 1998-04-21 Fikse; Tyman H. Tractor endless tread
JP3017182B1 (ja) 1998-09-29 2000-03-06 富太郎 服部 履帯用パッド
US6517173B1 (en) 1999-12-14 2003-02-11 Jack Oberlander Endless track system
JP4680348B2 (ja) 2000-05-15 2011-05-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履帯シュー
JP2002085641A (ja) * 2000-09-20 2002-03-26 Konami Parlor Entertainment Kk 遊技機
US6464309B2 (en) 2000-12-22 2002-10-15 Richardson J. Doyle Low ground pressure tire chains for skid-steer loaders and other construction machinery
JP4366694B2 (ja) 2004-02-17 2009-11-18 良洙 文 鉄履帯用被覆型のゴムパット
US20060119175A1 (en) 2004-12-07 2006-06-08 Enrique Garza Undercarriage system of multiple endless chain links of a tracked wheel type
KR100734440B1 (ko) 2005-12-13 2007-07-03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
JP2007290568A (ja) 2006-04-25 2007-11-08 Komatsu Ltd 履帯アッセンブリ
US7900962B2 (en) 2006-11-27 2011-03-08 Andry Lagsdin Stabilizer pad for vehicles
KR20090006617U (ko) * 2007-12-26 2009-07-01 임채붕 경사 안착부를 형성한 패드와 경사 밀착부를 형성한 후크로구성한 굴착기의 하부트랙 슈
US7673951B2 (en) * 2008-04-23 2010-03-09 Everpads Co., Ltd. Track shoe for caterpillar vehicle
US20110148187A1 (en) 2009-12-18 2011-06-23 Scott Francis Lyons Replaceable Track Pad and Mounting Plate
CN202054071U (zh) 2011-05-07 2011-11-30 周鹏 单端卡装式履带靴及履带板
KR20140074334A (ko) * 2011-10-12 2014-06-17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크롤러 타입 굴삭기의 하부 트랙
ZA201303709B (en) 2012-05-25 2014-04-30 Joy Mm Delaware Inc Crawler track
US20160297487A1 (en) 2015-04-13 2016-10-13 Caterpillar Inc. Boltless Track Sho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8900A (en) * 1992-07-15 1995-02-14 Kabushiki Kaisha Suzuki Shoji Crawler pad
JPH06191447A (ja) * 1992-12-25 1994-07-12 Suzuki Shoji:Kk 履帯用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301233A (ja) * 1996-05-20 1997-11-25 Yutani Heavy Ind Ltd 鉄クローラのゴムパッド取付構造
JP2000085641A (ja) * 1998-09-16 2000-03-28 Kubota Corp クローラ走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31210A (ja) 2021-11-18
JP7185778B2 (ja) 2022-12-07
EP3826907A4 (en) 2022-04-20
WO2020023344A1 (en) 2020-01-30
EP3826907A1 (en) 2021-06-02
CN112492880A (zh) 2021-03-12
KR102427991B1 (ko) 2022-08-03
US20200031410A1 (en) 2020-01-30
US11136078B2 (en)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991B1 (ko) 차량 궤도 슈 패드
US7533945B2 (en) Tread pattern for endless track
US11027788B2 (en) Endless track for propelling a vehicle, with lug replacement capability
EP1398252B1 (en) Detachable crawler
US9855985B2 (en) Endless track tread pattern
AU2012245024B2 (en) Segmented track and track segment therefor
US4840438A (en) Pin and bushing assembly for shoe assembly of track laying vehicle
US7156473B2 (en) Elastic track shoe
US4765694A (en) Replaceable road pad for track shoe of track laying vehicle
CA2263010C (en) Rubber pads
US4700992A (en) Endless track and components thereof for track laying vehicle
US6450593B2 (en) Elastic crawler shoe for discharging snow
ES2551242T3 (es) Orejetas para orugas continuas de caucho para vehículos de orugas
US4765695A (en) Center guide for shoe assembly of track laying vehicle
JPH09301233A (ja) 鉄クローラのゴムパッド取付構造
US11702158B2 (en) Track shoe and track assembly for tracked vehicles
CN212500717U (zh) 一种用于履带式车辆的橡胶垫
US11572115B2 (en) Tread pattern
JP2595443Y2 (ja) 無限軌道帯用履板
JPS5936547Y2 (ja) 無限軌道帯構成ユニット
JP3537936B2 (ja) ホイ−ル装着用ゴムクロ−ラ
JPH10157662A (ja) クローラ構成部品
JP2003095157A (ja) 弾性体履板
AU8331087A (en) Endless track and components thereof for track lay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