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440B1 -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440B1
KR100734440B1 KR1020050122416A KR20050122416A KR100734440B1 KR 100734440 B1 KR100734440 B1 KR 100734440B1 KR 1020050122416 A KR1020050122416 A KR 1020050122416A KR 20050122416 A KR20050122416 A KR 20050122416A KR 100734440 B1 KR100734440 B1 KR 100734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pper roller
lower frame
caterpilla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2707A (ko
Inventor
박경현
이진우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50122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440B1/ko
Priority to US11/510,776 priority patent/US7571783B2/en
Priority to DE602006004425T priority patent/DE602006004425D1/de
Priority to EP06019636A priority patent/EP1798138B1/en
Priority to JP2006263997A priority patent/JP4481286B2/ja
Priority to CNA200610141513XA priority patent/CN1982142A/zh
Publication of KR20070062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4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rollers
    • B62D55/15Mounting devices, e.g. bushings, axles, bearings, sea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4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96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with noise reducing means
    • B62D55/0966Low noise rollers, e.g. with antivibration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롤러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여 무한궤도에 발생하는 진동을 줄일 수 있는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는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무한궤도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롤러의 장착구조이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장착부와, 장착부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결합되어 무한궤도를 지지하는 상부롤러를 포함한다.
무한궤도, Endless Track, 상부롤러, 트랙링크

Description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 {Mounting Structure of Carrier Roller for Endless Track}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한궤도형 건설중장비의 하부주행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한궤도 21,41 : 장공 32 : 나사면
2 : 하부프레임 22 : 장착용 날개부 33 : 고정핀
5 : 트랙슈 25,45 : 장력 조절홈 34 : 고정너트
10 : 장착부 26,46 : 상부롤러 고정볼트 40 : 브라켓
11,42 : 볼트 23 : 지지블록 24,44 : 상부롤러 지지공
20 : 지지부 30 : 상부롤러
본 발명은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롤러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여 무한궤도에 발생하는 진동을 줄일 수 있는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한궤도형 건설중장비의 하부주행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무한궤도형 건설중장비에는 지면과 접하여 회전함으로써 장비를 전진시키는 무한궤도(endless-track;1)가 사용된다. 무한궤도(1)는 트랙슈가 체인모양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무한궤도형 건설중장비의 주행장치는 무한궤도(1)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스프로켓(Sprocket;6)과, 자유로이 회전하며 무한궤도(1)를 지지하도록 전방에 설치되는 아이들러(Idler;7)와, 스프로켓(6)과 아이들러(7) 사이에 설치되어 자유롭게 회전하며 장비의 중량을 지면에 고르게 분산시키는 하부롤러(Track Roller;8)와, 무한궤도(1)의 상측이 처지지 않도록 무한궤도(1)의 무게를 지지하는 상부롤러(Carrier Roller;4)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무한궤도는 트랙 핀(Track Pin), 트랙 부싱(Track Bushing) 및 트랙 링크 (Track Link) 등의 구성요소가 체인 모양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일정한 장력을 계속 유지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사용되면 이를 구성하는 각 부분에 마모가 발생한다.
무한궤도(1)의 설계에 있어서, 상부롤러(4)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부롤러(4)와 스프로켓(6) 사이의 거리가 트랙 링크 피치(Pitch)의 정수배가 되지 않도록 고려하여 정해진다. 그러나 무한궤도(1)가 장기간 사용된다면 트랙 링크, 트랙 부싱, 트랙 핀 등의 구성 요소에 마모가 발생하여 트랙 링크의 피치도 증가한다. 이로 인하여 무한궤도(1)의 트랙 바운싱(Track Bouncing) 현상이 심해질 수 있다. 여기에서 트랙 바운싱 현상은 무한궤도(1)가 진동으로 인해 심하게 떨리는 현상을 말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부롤러(4)는 브라켓(3)에 의하여 하부프레임(2)에 고정된다. 브라켓(3)은 용접에 의해 하부프레임(2)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부롤러(4)는 한번 설치되면 하부프레임(2) 및 무한궤도(1)에 대하여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없다. 따라서 무한궤도(1)를 오랜 기간동안 사용함으로써 구성 요소가 마모되어 트랙 링크 피치가 증가하더라도 이에 맞추어 상부롤러(4)의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장비의 노화에 대응한 적절한 보수를 실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장비를 제작할 때에도 상부롤러(4)를 지지하는 브라켓(3)을 용접에 의 해 하부프레임(2) 상에 일단 고정한 이후에는 트랙 링크 피치를 고려하여 상부롤러(4)와 스프로켓(6) 사이의 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없으므로 무한궤도(1)의 정밀한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한궤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프레임 및 무한궤도에 대한 상부롤러의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트랙 링크 피치를 고려한 상부롤러 설치 위치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한궤도의 각 구성 요소에 마모가 발생함으로써 트랙 링크의 피치가 변화하여도 상부롤러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무한궤도에 발생하는 진동을 줄이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 상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무한궤도를 지지하는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는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무한궤도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롤러의 장착구조로서,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장착부와, 장착부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결합되어 무 한궤도를 지지하는 상부롤러를 포함한다.
지지부에는 장공이 형성되며, 장공을 관통하여 장착부에 형성된 볼트공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지지부가 장착부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에는 장공이 형성되며, 외측에 나사면이 형성되어 장공을 관통하여 장공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핀이 장착부에 설치되어, 고정핀에 결합되는 고정너트에 의해 지지부가 장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착부는 용접에 의하여 하부프레임에 설치되거나, 볼트고정에 의하여 하부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는 무한궤도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롤러의 장착구조로서, 설치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결합되어 무한궤도를 지지하는 상부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브라켓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장공을 관통하여 하부프레임의 볼트공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브라켓이 하부프레임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 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한궤도 상부롤러 장착구조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는 상부롤러는 무한궤도의 상측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무한궤도(1)는 다수의 트랙슈(5)와 트랙링크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하부프레임(2)에 설치되며, 지면과 접하여 회전함으로써 장비를 전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한궤도(1)는 스프로켓과 맞물리며 자유로이 회전하는 아이들러에 의해 지지되어 스프로켓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하부롤러는 스프로켓과 아이들러 사이에 설치되어 자유롭게 회전하며 장비의 중량을 지면에 고르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고, 상부롤러(30)는 무한궤도(1)의 상측이 처지지 않도록 무한궤도(1)의 무게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에서 스프로켓과 하부롤러와 아이들러 등의 구성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일반적인 무한궤도 구성에 해당하므로 도 1에 도시되는 구성과 동일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부롤러 장착구조는 장착부(10)와 지지부(20)와 상부롤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장착부(10)는 하부프레임(2)에 설치되며, 지지부(20)는 장착부(10)에 결합되고, 상부롤러(30)는 지지부(2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장착부(10)는 용접에 의해 하부프레임(2)의 상측에 고정되어 지지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장착부(10)가 하부프레임(2)에 고정되는 구성을 변형하여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즉 하부프레임(2) 상측에 고정용 볼트공을 형성하고, 장착부(10)에는 이에 대응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이 관통공을 관통하여 고정용 볼트공에 결합되는 고정용 볼트에 의해 장착부(10)를 하부프레임(2)에 고정할 수 있다.
지지부(20)는 장착부(10)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장착부(10)에 결합되며 상부롤러(30)의 후방을 지지한다.
지지부(20)에는 그 하부의 양측에 장착용 날개부(22)가 형성되며, 이 장착용 날개부(22)의 하측면이 장착부(10)의 상측에 접한 상태로 지지부(20)가 장착부(10)에 결합된다. 장착용 날개부(22)에는 무한궤도(1)의 회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공(2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장착용 날개부(22)에 무한궤도(1)의 회전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21)을 설치하는 이유는 지지부(20)를 장착부(10)에 결합할 때에 장착부(10)에 대하여 설치되는 지지부(2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함이다.
지지부(20)는 상술한 장착용 날개부(22)에서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블록(23)과 지지블록(23)에 형성되는 상부롤러 지지공(24)을 더 포함한다. 상부롤러 지지공(24)은 상부롤러(3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부롤러(30)를 지지하는 부분이며, 상부롤러 지지공(24)의 일측에는 지지부(20)의 외측면에까지 연장되며 개방되는 장력 조절홈(25)이 연결된다. 또한 지지블록(23)에는 상부롤러 고정볼트(26)가 장력 조절홈(25)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상부롤러 고정볼트(26)가 지지블록(23)에 결합되면 장력 조절홈(25)은 상부롤러 고정볼트(26)에 의해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그 간격이 줄어들며, 이로 인해 상부롤러 지지공(24)이 상부롤러(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0)는 장공(21)을 관통하여 장착부(10)의 볼트공(미도시)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11)에 의해 장착부(1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지지부 (20)는 장착부(10)에 대하여 그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하부프레임(2)에 대한 상부롤러(30)의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장착부(10)에 설치되는 고정핀(33)에 의하여 지지부(20)가 장착부(10)에 결합되는 점이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지지부(20)에 형성되는 장공(21)은 지지부(20)가 장착부(10)에 결합될 때 장착부(10)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장착부(10)에 대한 지지부(20)의 결합은 고정핀(33)과 고정너트(34)에 의해 이루어진다. 고정핀(33)은 장착부(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지지부(20)의 장공(21)을 관통하여 장공(21)의 상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또한 고정핀(33)의 외측면에는 나사면(32)이 형성되어, 고정너트(34)가 고정핀(33)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20)를 장착부(10)에 결합할 때에는 지지부(20)의 장공(21)을 장착부(10)의 고정핀(33)에 끼워 지지부(20)를 장착부(10)의 상측에 올려 놓고 고정너트(34)를 장공(21)의 상측으로 돌출된 고정핀(33)의 상단에 나사 결합하여 조이면 지지부(20)가 장착부(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고정핀(33)과 나사 결합된 고정너트(34)를 단단히 조이기 전에 무한궤도(1)의 전체 설계를 고려하여 장착부(10)에 대한 지지부(2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부롤러(30)의 정확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지지부(20)에 형성되는 상부롤러 지지공(24)과 장력 조절홈(25) 및 상부롤러 고정볼트(26) 등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상부롤러(30)가 하부프레임(2)에 직접 설치되는 브라켓(40)에 의하여 하부프레임(2)에 장착되는 점이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다른 부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는 하부프레임(2)에 설치되는 브라켓(40)과, 브라켓(40)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롤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브라켓(40)은 하부프레임(2)에 대한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브라켓(40)에는 무한궤도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공(41)이 설치된다. 하부프레임(2)의 브라켓(40)과 접하는 부분의 장공(4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볼트공(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볼트(42)가 장공(41)을 관통하여 볼트공(미도시)에 결합됨으로써 브라켓(40)이 하부프레임(2)에 설치된다.
브라켓(40)을 하부프레임(2)에 설치할 때에는 하부프레임(2)의 볼트공(미도시) 위치에 장공(41)을 일치시킨 후에 볼트(42)를 장공(41)에 관통시켜 볼트공(미도시)에 나사 결합시킨다. 볼트(42)를 완전히 조이기 이전에 하부프레임(2)에 대한 브라켓(4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상부롤러(30)의 설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브라켓(4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롤러 지지공(44)과 장력 조절홈(45) 및 상부롤러 고정볼트(46) 등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초기 장비를 제작할 때에 지지부(20)나 브라켓(40)을 미세 조정하여 무한궤도(1)와 스프로켓에 대한 상부롤러(30)의 설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장비를 오랜 시간 동안 운행한 후에도 볼트(11,42)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상부롤러(30)의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에 따르면, 무한궤도의 각 구성 요소에 마모가 발생하여도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롤러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므로 무한궤도에 발생하는 진동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무한궤도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롤러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2)에 설치되는 장착부(10);
    상기 장착부(10)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20); 및
    상기 지지부(20)에 결합되어 무한궤도(1)를 지지하는 상부롤러(3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0)에 장공(21)이 형성되며, 장공(21)을 관통하여 장착부(10)에 형성된 볼트공에 결합되는 볼트(11)에 의해 지지부(20)가 장착부(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
  3.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무한궤도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롤러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2)에 설치되는 장착부(10);
    상기 장착부(10)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20); 및
    상기 지지부(20)에 결합되어 무한궤도(1)를 지지하는 상부롤러(3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0)에는 장공(21)이 형성되며, 외측에 나사면(32)이 형성되어 장공(21)을 관통하여 장공(2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핀(33)이 장착부(10)에 설치되어, 고정핀(33)에 결합되는 고정너트(34)에 의해 지지부(20)가 장착부(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
  4.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무한궤도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롤러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2)에 설치되는 장착부(10);
    상기 장착부(10)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20); 및
    상기 지지부(20)에 결합되어 무한궤도(1)를 지지하는 상부롤러(3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10)는 용접에 의하여 하부프레임(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
  5.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무한궤도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롤러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2)에 설치되는 장착부(10);
    상기 장착부(10)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20); 및
    상기 지지부(20)에 결합되어 무한궤도(1)를 지지하는 상부롤러(3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10)는 볼트고정에 의하여 하부프레임(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
  6. 삭제
  7. 무한궤도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롤러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설치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부프레임(2)에 설치되는 브라켓(40); 및
    상기 브라켓(40)에 결합되어 무한궤도(1)를 지지하는 상부롤러(30)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40)에 장공(41)이 형성되어, 장공(41)을 관통하여 하부프레임(2)의 볼트공에 결합되는 볼트(42)에 의해 브라켓(40)이 하부프레임(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
KR1020050122416A 2005-12-13 2005-12-13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 KR100734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416A KR100734440B1 (ko) 2005-12-13 2005-12-13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
US11/510,776 US7571783B2 (en) 2005-12-13 2006-08-25 Mounting structure of an endless track carrier roller
DE602006004425T DE602006004425D1 (de) 2005-12-13 2006-09-20 Montageanordnung für eine Raupenkettentragerolle
EP06019636A EP1798138B1 (en) 2005-12-13 2006-09-20 Mounting structure of an endless track carrier roller
JP2006263997A JP4481286B2 (ja) 2005-12-13 2006-09-28 無限軌道上部ローラの装着構造
CNA200610141513XA CN1982142A (zh) 2005-12-13 2006-09-28 环形履带链轨托轮的安装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416A KR100734440B1 (ko) 2005-12-13 2005-12-13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707A KR20070062707A (ko) 2007-06-18
KR100734440B1 true KR100734440B1 (ko) 2007-07-03

Family

ID=3766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416A KR100734440B1 (ko) 2005-12-13 2005-12-13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71783B2 (ko)
EP (1) EP1798138B1 (ko)
JP (1) JP4481286B2 (ko)
KR (1) KR100734440B1 (ko)
CN (1) CN1982142A (ko)
DE (1) DE60200600442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924B1 (ko) 2007-12-28 2009-10-22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039633B1 (ko) * 2011-03-28 2011-06-08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수평 구동형 도어개폐장치
PL2789528T3 (pl) 2013-04-12 2017-04-28 Joseph Vögele AG Układarka z podwoziem gąsienicowym
US11136078B2 (en) 2018-07-24 2021-10-05 Jees LLC Vehicle track shoe pad
CN115027586B (zh) * 2022-06-23 2023-07-07 湖南三特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防尘防堵塞的履带设备托链轮
US20240059362A1 (en) * 2022-08-18 2024-02-22 Howe & Howe Inc. Adjustable modular supporting of wheels of tracked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6476A (ja) * 1989-04-28 1990-11-26 Komatsu Ltd ゴムおよび鉄クローラ兼用ローラガード
JPH0976954A (ja) * 1995-09-14 1997-03-25 Komatsu Ltd 装軌式車両の上転輪構造
JPH09193856A (ja) * 1996-01-23 1997-07-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装軌式車両の走行装置
JPH10157659A (ja) * 1996-11-27 1998-06-16 Caterpillar Inc トラックアセンブリ及び該トラックアセンブリの遊動輪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9160A (en) * 1937-11-18 1940-02-06 Int Harvester Co Track roller arrangement
JPH09104372A (ja) 1995-10-12 1997-04-22 Yutani Heavy Ind Ltd クローラ式走行体の上部転輪取付構造
US7255184B2 (en) 2004-01-02 2007-08-14 Loegering Mfg, Inc. Track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6476A (ja) * 1989-04-28 1990-11-26 Komatsu Ltd ゴムおよび鉄クローラ兼用ローラガード
JPH0976954A (ja) * 1995-09-14 1997-03-25 Komatsu Ltd 装軌式車両の上転輪構造
JPH09193856A (ja) * 1996-01-23 1997-07-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装軌式車両の走行装置
JPH10157659A (ja) * 1996-11-27 1998-06-16 Caterpillar Inc トラックアセンブリ及び該トラックアセンブリの遊動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31460A1 (en) 2007-06-14
EP1798138B1 (en) 2008-12-24
JP4481286B2 (ja) 2010-06-16
JP2007161230A (ja) 2007-06-28
EP1798138A1 (en) 2007-06-20
DE602006004425D1 (de) 2009-02-05
KR20070062707A (ko) 2007-06-18
CN1982142A (zh) 2007-06-20
US7571783B2 (en) 200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440B1 (ko) 무한궤도 상부롤러의 장착구조
US4241956A (en) Track assembly for crawler-type vehicles
KR101032524B1 (ko) 무한궤도식 중장비의 트랙체인용 나사형 트랙 마스터 장치
US4036069A (en) Motorcycle chain guide and tensioner
KR101128375B1 (ko) 컨베이어벨트의 클리닝 장치
CN214985719U (zh) 履带托轮安装结构、行走装置和工程机械
US10562575B2 (en) Drive assembly clearing member
CN107097863B (zh) 用于履带式车辆的履带的耐磨垫、履带和建筑机械
CN210510180U (zh) 一种可调节的链条张紧装置
US3851931A (en) Reversible endless track for vehicles
KR102200876B1 (ko) 무한궤도용 패드
JP2000064351A (ja) 建設機械のタンク固定構造
JP2008143310A (ja) ゴムクロ−ラ走行装置
US4509934A (en) External transfer case chain slack adjustment structure
JPH0442259Y2 (ko)
US20050067897A1 (en) Vehicle track chain and link therefor
CN219312903U (zh) 一种履带运输车的摇摆车架结构
CA2959887C (en) Drive assembly clearing member
KR101321649B1 (ko) Ctba 타입 현가장치의 리어 토우 조정장치
CN109501878B (zh) 组合式履带板、履带总成、履带式行走装置和工程机械
KR101220688B1 (ko) 무한궤도용 슈어셈블리
KR200291480Y1 (ko) 크롤라 굴삭기의 하부롤러 충격감쇄구조
KR101957592B1 (ko) 트랙슈 장치
JPH08119165A (ja) 履帯用パッド
JPH03273979A (ja) 無限軌道帯用接地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