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710A - 유도 가열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710A
KR20210021710A KR1020190100961A KR20190100961A KR20210021710A KR 20210021710 A KR20210021710 A KR 20210021710A KR 1020190100961 A KR1020190100961 A KR 1020190100961A KR 20190100961 A KR20190100961 A KR 20190100961A KR 20210021710 A KR20210021710 A KR 20210021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urvature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aratus
heating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욱
강정혜
김영태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0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1710A/ko
Priority to PCT/KR2020/010878 priority patent/WO2021034042A1/ko
Publication of KR20210021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710A/ko
Priority to US17/675,867 priority patent/US2022017479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74Non-metallic plates, e.g. vitroceramic, ceramic or glassceramic hobs, also including power or control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아 심미감이 향상된 글라스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장치를 개시한다. 유도 가열 조리장치는, 상면에 조리 용기가 배치되도록 마련되고,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글라스 및 상기 글라스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조리 용기를 유도 가열하도록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작동 코일; 을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의 측면은, 상기 글라스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곡률을 갖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곡률과 다른 제2곡률을 갖는 제2면과, 상기 제2면으로부터 상기 글라스의 하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곡률 및 상기 제2곡률과 다른 제3곡률을 갖는 제3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 가열 조리장치{INDUCTION HEATING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도 가열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에서의 충격 강도가 향상된 글라스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유도 가열 조리장치는 유도 가열의 원리를 이용하여 식품을 가열 조리하는 조리기기이다.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조리 용기가 올려 놓이는 글라스와, 글라스의 아래에 마련되고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유도 코일부를 구비한다.
유도 코일부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이 발생되면 조리 용기에 2차 전류가 유도되고, 조리 용기 자체의 저항 성분에 의해 줄 열(Joule heat)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 용기가 가열되고 조리 용기에 담긴 식품이 조리되게 된다.
이러한 유도 가열 조리장치는 가스나 기름 등의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그 연소열을 통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스 레인지나 등유 풍로 등에 비하여 급속 가열이 가능하고, 유해 가스의 발생이 없으며, 화재 발생의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조리 용기가 올려지는 글라스의 테두리에는 금속 재질의 프레임이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은 조리 용기가 글라스의 측면과 직접 부딪혀 글라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이 글라스의 상면 테두리를 커버하는 경우,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처럼 보일 수 있다.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베젤리스(bezelless) 디자인을 선호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들은 유도 가열 조리장치에서 글라스의 테두리에 프레임이 보이지 않는 것을 선호한다.
따라서, 유도 가열 조리장치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레임을 제거하고자 하나, 프레임을 제거하면, 조리 용기가 글라스의 측면과 부딪혀 글라스가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글라스의 테두리를 커버하는 프레임을 제거하여 심미감이 향상된 유도 가열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측면에서의 충격 강도가 향상된 글라스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글라스의 측면을 커버하는 프레임을 제거하여 생산 비용이 절감되고 상품성이 향상된 유도 가열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유도 가열 조리장치는, 상면에 조리 용기가 배치되도록 마련되고,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글라스 및 상기 글라스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조리 용기를 유도 가열하도록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작동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의 측면은, 상기 글라스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곡률을 갖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곡률과 다른 제2곡률을 갖는 제2면과, 상기 제2면으로부터 상기 글라스의 하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곡률 및 상기 제2곡률과 다른 제3곡률을 갖는 제3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2면의 곡률 반경 및 상기 제3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면의 높이는, 상기 제2면의 높이 및 상기 제3면의 높이의 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의 높이는, 상기 제1면의 높이와, 상기 제2면의 높이 및 상기 제3면의 높이의 합일 수 있다.
상기 제1면의 곡률 반경은, 3.5 mm 내지 5 mm 일 수 있다.
상기 제2면의 곡률 반경은, 2.0 mm 일 수 있다.
상기 제3면의 곡률 반경은, 0.5 mm 일 수 있다.
상기 글라스의 높이가 4 mm 일 때, 상기 제1면의 높이는 3.5 mm 일 수 있다.
상기 제1면의 Rz 조도는, 0.5 μm 일 수 있다.
상기 글라스의 상면은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의 곡률 반경은 12 mm 이상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글라스의 테두리를 커버하는 프레임을 제거하여 심미감이 향상된 유도 가열 조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측면에서의 충격 강도가 향상된 글라스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글라스의 측면을 커버하는 프레임을 제거하여 생산 비용이 절감되고 상품성이 향상된 유도 가열 조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장치가 조리대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장치에서, 글라스를 따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글라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장치에서, 제1면에서의 곡률 반경과 그에 따른 글라스 측면의 충격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장치에서, 제1면에서의 곡률 반경과 그에 따른 글라스 측면의 충격 강도를 나타낸 표이다.
도 7은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유도 가열 조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위에 위치하고 가열 영역 가이드(heating area guide, 120a, 120b, 120c)를 포함하며 조리 용기(1)를 지지하는 내열성 재질의 글라스(120)와, 조리 용기(1)를 유도 가열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작동 코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도 가열 조리장치(100)는 반사판(투영판 또는 스크린과 같은 결상판, 이하에서는 반사판이라 칭함, 145)과, 반사판(145)에 조리 정보(또는, 동작 상태 정보를 포함, 146)를 출력하는 프로젝션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용기(1)에 담긴 음식 재료는 작동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유도 가열되어 조리될 수 있다. 조리 용기(1)의 온도, 조리 경과 시간 및/또는 날짜/시간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장치(100)의 조리 정보(146)는 프로젝션 유닛(140)에서부터 광 축 방향으로 이격된 반사판(145)으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글라스(120)를 통해 반사판(145)에서부터 반사되는 유도 가열 조리장치(100)의 조리 정보(146)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판(145)에서부터 반사되는 유도 가열 조리장치(100)의 조리 정보의 표시는 조리 정보만 표시, 조리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의 일부 표시, 및 조리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글라스(120) 터치(또는 호버링을 포함하는 비접촉)에 대응되는 유도 가열 조리장치(100)의 조작 패널(148)을 이용하여 유도 가열 조리장치(100)의 동작 및/또는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글라스(120)의 아래에 위치하는 유도 가열 조리장치(100)의 조작 패널(148)을 이용하여 유도 가열 조리장치(100)의 동작 및/또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유도 가열 조리장치(100)는 본체(110) 및 글라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복수의 작동 코일(미도시)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본체(110)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다. 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에는 내열성 재질의 글라스(120)가 위치할 수 있다. 글라스(120)는 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글라스(120)는 내열성 투명 유리 또는 내열성 투명 강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120)의 면적은 본체(110)의 개방된 일 면의 면적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라스(120)의 면적은 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의 면적의 150% 보다 작을 수 있다.
글라스(120)는 검은 색 또는 다른 색상으로 도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라스(120)의 일 면이 검은 색 또는 다른 색상으로 도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라스(120)의 하면이 검은 색 또는 다른 색상으로 도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글라스(120)는 그 일 면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구분된 각 영역은 다양한 색상으로 도장될 수 있다.
글라스(120)의 바닥면이 검은 색 또는 다른 색상으로 도장되는 경우, 사용자는 반사판(145)에서부터 반사되는 유도 가열 조리장치(100)의 조리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글라스(120)의 도장에 의해 유도 가열 조리장치(100)의 본체(110)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요소가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글라스(120)는 일부만 검은 색으로 도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장치가 조리대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장치(100)는 조리대(10)에 설치될 수 있다. 조리대(10)는 조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공간으로서, 조리대(10)의 측방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수대(1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조리대(10)에 설치될 수 있다.
조리대(10)에는 유도 가열 조리장치(100)의 본체(110)가 삽입되는 홈(groove)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홈은 조리대(10)의 상면(11) 일부가 조리대(10)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본체(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본체(110) 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고, 글라스(120)가 홈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글라스(120)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글라스(120)가 홈 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은, 글라스(120)와 홈 사이에 마련되는 틈을 통해 조리 시 발생하는 음식물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글라스(120)는 조리대(10)의 상면(11) 위에 안착될 수 있다. 글라스(120)의 하면(125, 도 4 참조)은 조리대(10)의 상면(11)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글라스(120)가 조리대(10)의 상면(11)에 안착되도록 배치되면, 글라스(120)의 측면이 조리대(10)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글라스(120)의 측면이 조리대(1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구조가 아닌 경우, 글라스(120)의 측면은 조리대(10)의 상면(11)보다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배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리 용기(1)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조리 용기(1)와 글라스(120)의 측면이 접촉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글라스(120)의 측면 테두리에는 금속 재질의 프레임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조리 용기(1)가 글라스(120)의 측면과 직접 부딪힐 수 있다. 글라스(120)의 측면의 충격 강도가 너무 약하면, 사용자가 조리 용기(1)를 옮기는 과정에서 조리 용기(1)와 글라스(120)의 측면이 부딪혔을 때, 글라스(120)가 파손될 수 있다. 글라스(120)는 교체가 용이하지 않고, 교체 비용이 고가이므로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글라스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고, 글라스의 측면의 충격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조리 용기가 글라스 측면에 직접 부딪히더라도 글라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도 가열 조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장치에서, 글라스를 따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장치에서, 글라스(120)는 두께가 얇은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 글라스(1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내열성 재질의 유리로 마련될 수 있다.
글라스(120)는 가로 방향(도 1의 x축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도 1의 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글라스(120)는 가로 방향의 길이와 세로 방향의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태로 마련되거나 가로 방향의 길이보다 세로 방향의 길이가 길게 마련될 수도 있다.
글라스(120)는 모서리(126, 도 7 참조)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글라스(120)의 네 모서리는 각각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글라스(120)의 모서리(126)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글라스(120)의 모서리(126)로 인해 부상을 입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장치는 글라스(120)의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종래에는 글라스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재질의 프레임이 글라스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마련되었다. 프레임은 조리 용기가 글라스와 직접 부딪힘으로써 글라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프레임은 글라스의 측면뿐만 아니라 글라스의 상면 테두리를 감싸도록 마련되었다. 다만, 이러한 프레임이 글라스의 통일감 있는 디자인을 해친다는 의견이 있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장치(100)는 글라스(120)의 통일감 있는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 글라스(120)의 측면 및 상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글라스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120)의 측면은 제1곡률을 갖는 제1면(121)과, 제2곡률을 갖는 제2면(122) 및 제3곡률을 갖는 제3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곡률을 갖는다는 것은 곡률 반경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것과 같은 의미로 쓰일 수 있다.
제1면(121)은 글라스(120)의 상면(124)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면(121)의 일 단은 글라스의 상면(124)과 연결되고, 제1면(121)의 타 단은 제2면(122)과 연결될 수 있다.
제2면(122)의 일 단은 제1면(121)과 연결되고, 제2면(122)의 타 단은 제3면(123)과 연결될 수 있다.
제3면(123)의 일 단은 제2면(122)과 연결되고, 제3면(123)의 타 단은 글라스의 하면(125)과 연결될 수 있다.
제1면(121)은 r1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원호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면(122)은 r2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원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면(123)은 r3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원호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r1 내지 r3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r1 > r2 > r3
이하에서, 글라스(120)의 상하 방향(도 1의 z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글라스(120)의 높이(h)라 한다. 구체적으로, 글라스(120)의 상면(124)과 하면(125) 사이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를 글라스(120)의 높이(h)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면(121)은 제1높이(h1)를 가지고, 제2면(122)은 제2높이(h2)를 가지며, 제3면(123)은 제3높이(h3)를 가질 수 있다. 제1높이(h1) 내지 제3높이(h3)의 합은 글라스(120)의 높이(h)와 같다. 따라서, h1 내지 h3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h = h1 + h2 + h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높이(h1)는 제2높이(h2)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높이(h1)는 제3높이(h3)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제1높이(h1)는 제2높이(h2)와 제3높이(h3)의 합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h1 내지 h3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h1 > h2 + h3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높이(h2)와 제3높이(h3)는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h2와 h3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h2 = h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120)의 높이(h)는 4.0 mm 일 수 있다. 제1면(121)의 제1높이(h1)는 3.5 mm 일 수 있다. 또한, 제2면(122)의 제2높이(h2) 및 제3면(123)의 제3높이(h3)는 각각 0.5 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글라스(120)의 측면은 상기한 제1면(121) 내지 제3면(123)으로 구성됨으로써, 조리 용기(1)가 글라스(120)의 측면에 부딪히더라도 조리 용기(1)가 자연스럽게 글라스(120)의 측면을 따라 글라스(120)의 상면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글라스(120)의 측면의 충격 강도가 향상됨으로써 조리 용기(1)가 글라스(120)의 측면에 직접 부딪히더라도 글라스(12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장치에서, 제1면에서의 곡률 반경과 그에 따른 글라스 측면의 충격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장치에서, 제1면에서의 곡률 반경과 그에 따른 글라스 측면의 충격 강도를 나타낸 표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장치에서, 글라스(120)의 제1면(121)의 곡률 반경(r1)의 변화에 따른 글라스(120) 측면의 충격 강도의 변화를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및 도 6은 제1면(121)의 곡률 반경(r1)의 변화에 따른 제1면(121)의 충격 강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제1면(121)에서의 충격 강도를 나타낸 이유는, 조리 용기(1)가 글라스(120)의 측면과 부딪힐 때, 제1면(121)과 접촉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조리 용기(1)를 측방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조리 용기(1)와 글라스(120)의 측면이 부딪힘이 발생할 때, 조리 용기(1)와 제1면(121)이 부딪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제1면(121)의 충격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제1면(121)의 충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1면(121)의 곡률 반경(r1)의 크기는 3.5 mm 내지 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r1이 3 mm 일 때의 충격 강도가 1.51 J 인 반면, r1이 3.5 mm 일 때의 충격 강도가 2.44 J 로 충격 강도가 가파르게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r1이 5.5 mm 일 때의 충격 강도가 마찬가지로 1.51 J 인 반면, r1이 5 mm 일 때의 충격 강도가 2.44 J 로 충격 강도가 가파르게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r1이 3.5 mm 내지 5 mm 일 때는 충격 강도가 2.44 J 로 일정함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r1은 3.5 mm 내지 5 mm 일 때 충격 강도가 최대이며, 임계적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120)의 제1면(121)의 Rz 조도는 0.5 μm 일 수 있다. 이는, 제1면(121)에서의 충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실험 자료에 의하면, 제1면(121)의 Rz 조도가 0.5 μm 일 때, 제1면(121)에서의 충격 강도는 3.15 J로 향상된다. 반면, 제1면(121)의 Rz 조도가 1.0 μm 일 때, 제1면(121)의 충격 강도는 2.44 J 이다. 따라서, Rz 조도가 변화함으로써 제1면(121)의 충격 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Rz 조도가 0.5 μm 일 때, 제1면(121)의 충격 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면(121)의 Rz 조도는 0.5 μ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1은 3.5 mm 일 수 있다. 또한, r2는 2.0 mm 일 수 있고, r3 는 0.5 mm 일 수 있다. 또한, 제1면(121)에서의 Rz 조도는 0.5 μm 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120)는 측면에서의 충격 강도가 3.15 J 일 수 있다. 또한, 3.15 J 의 충격이 146회 가해지더라도 글라스(120)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120)를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글라스(120)의 모서리(126)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라스(120)의 모서리(126)는 r4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r4는 12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r4가 12 mm 미만인 경우, 글라스 모서리에서의 충격 강도는 0.19 J 로 상대적으로 낮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충격이 가해졌을 때 곧바로 글라스(120)의 모서리가 파손되었다.
반면, r4가 12 mm 이상인 경우, 글라스 모서리에서의 충격 강도는 0.45 J 로 향상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충격이 20회 이상 가해지더라도 글라스(120)의 모서리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글라스(120)의 모서리(126)에서의 곡률 반경 r4는 12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조리 용기
100 : 유도 가열 조리장치
110 : 본체
120 : 글라스
121 : 제1면
122 : 제2면
123 : 제3면
124 : 글라스 상면
125 : 글라스 하면
126 : 글라스 모서리
130 : 작동 코일
140 : 프로젝션 유닛
145 : 반사판

Claims (11)

  1. 상면에 조리 용기가 배치되도록 마련되고,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글라스; 및
    상기 글라스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조리 용기를 유도 가열하도록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작동 코일; 을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의 측면은,
    상기 글라스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곡률을 갖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곡률과 다른 제2곡률을 갖는 제2면과,
    상기 제2면으로부터 상기 글라스의 하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곡률 및 상기 제2곡률과 다른 제3곡률을 갖는 제3면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2면의 곡률 반경 및 상기 제3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유도 가열 조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의 높이는,
    상기 제2면의 높이 및 상기 제3면의 높이의 합보다 크게 형성되는 유도 가열 조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의 높이는,
    상기 제1면의 높이와, 상기 제2면의 높이 및 상기 제3면의 높이의 합인 유도 가열 조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의 곡률 반경은, 3.5 mm 내지 5 mm 인 유도 가열 조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의 곡률 반경은, 2.0 mm 인 유도 가열 조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면의 곡률 반경은, 0.5 mm 인 유도 가열 조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의 높이가 4 mm 일 때,
    상기 제1면의 높이는 3.5 mm 인 유도 가열 조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의 Rz 조도는, 0.5 μm인 유도 가열 조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의 상면은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의 곡률 반경은 12 mm 이상인 유도 가열 조리장치.
  11. 조리대의 상면에 형성되는 홈(groove)에 본체가 삽입되고, 글라스의 측면이 상기 조리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유도 가열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의 측면은,
    상기 글라스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곡률을 갖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곡률과 다른 제2곡률을 갖는 제2면과,
    상기 제2면으로부터 상기 글라스의 하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곡률 및 상기 제2곡률과 다른 제3곡률을 갖는 제3면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장치.
KR1020190100961A 2019-08-19 2019-08-19 유도 가열 조리장치 KR20210021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961A KR20210021710A (ko) 2019-08-19 2019-08-19 유도 가열 조리장치
PCT/KR2020/010878 WO2021034042A1 (ko) 2019-08-19 2020-08-14 유도 가열 조리장치
US17/675,867 US20220174793A1 (en) 2019-08-19 2022-02-18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961A KR20210021710A (ko) 2019-08-19 2019-08-19 유도 가열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710A true KR20210021710A (ko) 2021-03-02

Family

ID=7466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961A KR20210021710A (ko) 2019-08-19 2019-08-19 유도 가열 조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74793A1 (ko)
KR (1) KR20210021710A (ko)
WO (1) WO202103404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1131A (ja) * 2005-09-14 2007-03-29 Kyocera Corp 単結晶ウエハ及びそれを用いたエピタキシャル成長用基板
US8721392B2 (en) * 2011-06-28 2014-05-13 Corning Incorporated Glass edge finishing method
KR101960847B1 (ko) * 2012-12-12 2019-03-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E102016107535A1 (de) * 2016-04-22 2017-10-26 Schott Ag Flachglasprodukt mit erhöhter Kantenfestigkei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2305835B1 (ko) * 2016-11-21 2021-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 장치 및 유도 가열 조리 장치의 조리 정보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34042A1 (ko) 2021-02-25
US20220174793A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8614B2 (ja) 誘導加熱調理機器
EP2876976B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20130011485A (ko) 오븐 도어
KR102305835B1 (ko) 유도 가열 조리 장치 및 유도 가열 조리 장치의 조리 정보 표시방법
KR102270491B1 (ko) 유도 가열 조리기기
JP5372855B2 (ja) 加熱調理器
KR20210021710A (ko) 유도 가열 조리장치
JP5523232B2 (ja) 加熱調理器
JP5002496B2 (ja) 加熱調理器
KR100415627B1 (ko) 빌트인 곤로
EP3522680B1 (en) User interface for a domestic appliance
KR200392946Y1 (ko) 전기 레인지의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고정구조
CN102859283A (zh) 用于煤气灶台的热防护机构和煤气灶台
JP6246040B2 (ja) 加熱調理器
JP2844976B2 (ja) 電気加熱調理器
JP5228573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6723106B2 (ja) 加熱調理器
JP2020148397A (ja) ガスこんろ及び天板
KR101291442B1 (ko) 가스 조리기기
JP7391068B2 (ja) 加熱調理器
JP722902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693756B2 (ja) 加熱調理器
KR20220135136A (ko) 조리기기
JP6342736B2 (ja) コンロ
JP2022128837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