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136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5136A KR20220135136A KR1020210065680A KR20210065680A KR20220135136A KR 20220135136 A KR20220135136 A KR 20220135136A KR 1020210065680 A KR1020210065680 A KR 1020210065680A KR 20210065680 A KR20210065680 A KR 20210065680A KR 20220135136 A KR20220135136 A KR 202201351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ass
- coupling
- coupling member
- bracket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496 glass fo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0 keros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개시된 글라스 구조에 의해 복수의 글라스의 부분 교체가 가능한 조리기기를 개시한다.
조리기기는, 히터를 구비한 본체와, 히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면에 조리 용기가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1글라스와, 제1글라스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제2글라스와,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장치를 포함하고, 결합장치는, 제1글라스 및 제2글라스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제1글라스의 하부에 고정되고, 제2글라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결합부재와, 제2글라스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1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조리기기는, 히터를 구비한 본체와, 히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면에 조리 용기가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1글라스와, 제1글라스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제2글라스와,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장치를 포함하고, 결합장치는, 제1글라스 및 제2글라스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제1글라스의 하부에 고정되고, 제2글라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결합부재와, 제2글라스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1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글라스 구조에 의해 복수의 글라스의 부분 교체가 가능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열원으로서 인덕션 장치(유도가열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도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조리기기로서 유도 가열 조리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유도 가열의 원리를 이용하여 조리 용기를 가열 조리하는 조리기기다.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조리 용기가 올려 놓이는 글라스와, 글라스의 아래에 마련되고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유도 가열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유도 가열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이 발생되면 조리 용기에 2차 전류가 유도되고, 조리 용기 자체의 전기적 저항 성분에 의해 줄 열(Joule heat)이 발생하게 된다. 줄 열에 의하여 조리 용기가 가열되고 조리 용기에 담긴 조리물이 가열되게 된다.
이러한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가스나 기름 등의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그 연소열을 통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스 레인지나 등유 풍로 등에 비하여 급속 가열이 가능하고, 유해 가스의 발생이 없으며, 화재 발생의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글라스에는 조리 용기가 올려지는 조리 영역이 마련될 뿐만 아니라, 각종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어 영역이 마련되기도 한다.
다만, 하나의 글라스에 조리 용기가 올려지는 조리 영역과, 각종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제어 영역이 구비되면서, 각 영역이 물리적으로 구분되지 않아 사용자가 실수로 고온의 조리 영역을 터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소재의 하나의 글라스로 구성되어 다채로운 디자인 구현이 어렵고, 단일화된 한 개 색상의 제품만 제작이 가능해 제한적인 디자인만 구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품의 부분 교체가 불가능하며, 교체 시 제품 상부 전체를 다 분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교체 가능한 복수의 글라스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개선된 글라스 구조에 의해 복수의 글라스의 부분 교체가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조작부의 부분 교체를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다양한 소재의 글라스를 적용 가능하고, 부분 교체가 가능한 구조에 의해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히터를 구비한 본체; 상기 히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면에 조리 용기가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1글라스; 상기 제1글라스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제2글라스; 상기 제1글라스와 상기 제2글라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1글라스 및 상기 제2글라스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글라스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글라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글라스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고정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1글라스 및 상기 제2글라스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글라스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브라켓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브라켓의 타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브라켓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지지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2글라스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브라켓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브라켓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1접촉부의 사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오버플로우 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오버플로우 방지부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접촉부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은, 상기 제1고정부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부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제2고정홀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글라스의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제1결합부재의 상기 제1접착부에 지지된다.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1글라스 및 제2글라스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글라스 및 상기 제2글라스의 수직면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글라스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재와 고정되도록 상기 제1부분의 하부에 돌출되는 제3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3부분이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결합홀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2부분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히터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을 형성하는 글라스;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는, 상기 히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면에 조리 용기가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1글라스와, 상기 제1글라스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글라스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제2글라스와, 상기 제1글라스 및 상기 제2글라스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글라스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글라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글라스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고정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1글라스 및 상기 제2글라스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글라스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브라켓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브라켓의 타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브라켓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지지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2글라스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브라켓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2브라켓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개선된 글라스 구조에 의해 복수의 글라스의 부분 교체가 가능하여 글라스의 교체 및 A/S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작부의 부분 교체를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소재의 글라스를 적용 가능하고, 부분 교체가 가능한 구조에 의해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의 제1글라스와 제1결합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글라스와 제1결합부재의 저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글라스와 제2결합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에 의한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 은 도 10 의 A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가 장착된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가 장착된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의 제1글라스와 제1결합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글라스와 제1결합부재의 저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글라스와 제2결합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에 의한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 은 도 10 의 A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가 장착된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가 장착된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는 본체(10)와, 히터(이하, 유도가열코일(11)), 회로기판(12), 및 코일 안착판(15), 본체(10)의 위에 위치되는 글라스 어셈블리(이하, '글라스' 라 함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조리기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유도가열코일(11)은 본체(10) 내부에 수용되고, 조리 용기(2)를 유도 가열하도록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유도가열코일(11)은 전선(11a)을 통해 본체(10) 내부에 마련된 메인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기판(12)은 제2글라스(1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12)은 디스플레이부(13) 및 터치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제2영역(102)에 형성되는 표시부(102a)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에서는 유도가열코일(11)에 의해 조리 용기(2)가 가열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102a)를 통해 조리 용기(2)의 가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터치부(14)는 제2영역(102)에 형성되는 입력부(102b)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부(14)는 입력부(102b)로부터 터치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부(14)는 정전식 터치 방식으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터치부(14)는 감압식 터치 방식으로도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02b)를 통해 유도가열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고, 조리 용기(2)가 가열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코일 안착판(15)에는 유도가열코일(11)이 안착될 수 있다. 코일 안착판(15)에는 유도가열코일(11)을 안착시키기 위한 코일 안착홀(15a)이 마련될 수 있다. 코일 안착홀(15a)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는 글라스(100)가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프레임(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16)은 상부에 글라스(100)가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프레임(16)은 코일 안착판(15)의 사방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16)은 글라스(100)가 본체(10)에 안착 및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프레임(16)은 본체(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전면부(16a)와 본체(10)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면부(16c)와, 전면부(16a)와 후면부(16c) 사이를 연결하고 본체(10)의 양측방에 형성되는 측면부(1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16)에는 후술하는 글라스(100)의 제2프레임(130)과 체결을 위한 체결홀(18)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16)에 형성되는 체결홀(18)은 제1체결홀(18a)이라 한다. 제1체결홀(18a)은 제1프레임(16)의 전면부(16a)와 후면부(16c), 그리고 측면부(16b)에 각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16)의 전면부(16a)와 후면부(16c)는 제1방향(X)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방향은 X방향 및 -X방향이 될 수 있다. 제1프레임(16)의 측면부(16b)는 제2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방향(Y)은 Y방향 및 -Y방향이 될 수 있다. 제1프레임(16)은 본체(10)의 외곽 테두리에 제1방향(X)과 제2방향(Y)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후술하는 결합장치(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10)가 결합되기 위한 관통홀(220)이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제1프레임(16)에는 고정부재(210)가 결합장치(200)와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되는 관통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16)의 전면부(16a)에는 고정부재(210)가 관통 결합되기 위한 관통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20)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글라스(100)는 제1영역(101)을 형성하는 제1글라스(110)와, 제2영역(102)을 형성하는 제2글라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글라스(110)는 가열 영역 가이드(heating area guide, 101a, 101b, 101c)를 포함하며 조리 용기(2)를 지지할 수 있다. 제1영역(101)에는 조리 용기(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글라스(120) 제2영역(102)을 포함하고, 제2영역(102)은 표시부(102a)와 입력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02a)는 조리기기(1)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2영역(102)에 형성되고, 입력부(102b)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도록 제2영역(102)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결합장치(20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는 결합장치(20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장치(2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글라스(110)는 제1영역(101)을 형성하고, 제1영역(101)에는 조리 용기(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글라스(110)에 배치된 조리 용기(2)는 유도가열코일(15)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유도 가열될 수 있다.
제2글라스(120)는 제1영역(101)과 분리된 제2영역(102)을 형성하고, 제2영역(102)에는 표시부(102a)를 통해 조리 용기(2)의 온도, 조리 경과 시간 및/또는 날짜/시간을 포함하는 조리기기(1)의 조리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102)에는 조리기기(1)를 온/오프 시키거나 조리 용기(2)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102b)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102b)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제2글라스(120)는 강화글라스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글라스(120)는 내열글라스가 될 수 있다.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글라스(110)는 광이 투과되지 않는 성질을 가질 수 있고, 제2글라스(120)는 터치를 통해 하측에 마련되는 회로기판(12)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터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글라스(110)는 상면(110a)과 하면(110b), 그리고 측면(11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글라스(110)는 제1색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글라스(110)는 빛이 투과되지 않을 수 있다.
제2글라스(120)는 상면(120a)과 하면(120b), 측면(120c), 그리고 도장면(12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글라스(120)는 제2색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도장면(120d)은 제2색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색과 제2색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디자인의 조리 기기(1)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색과 제2색은 동일할 수도 있다.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는 결합장치(200)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글라스(120)는 결합장치(200)에 의해 제1글라스(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글라스(120)는 제1글라스(11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제2글라스(120)는 제1글라스(110)와 결합 시 제1글라스(110)의 일측을 커버할 수 있다.
결합장치(200)는 제1글라스(110) 및 제2글라스(12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결합부재(300)와, 제1결합부재(300)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2글라스(120)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2결합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는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재(4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400)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400)는 서로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는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400)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결합부재(400)는 제1결합부재(3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글라스(120)는 제2결합부재(400)가 제1결합부재(300)로부터 분리 될 때 제1글라스(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글라스(120)가 형성되는 제2영역(102) 즉,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되는 입력부(102b)와 표시부(102a)의 색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102)에 위치하는 회로기판(12) 등의 수리 및 고장 시 제2영역(102)에 해당하는 제2글라스(120)의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여 A/S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의 제1글라스와 제1결합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글라스와 제1결합부재의 저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제2글라스와 제2결합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100)는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를 포함한다.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는 결합장치(200)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장치(200)는 제1결합부재(300)와, 제1결합부재(3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장치(200)는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400)를 본체(10)와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는 일측은 제1글라스(110)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타측은 제2글라스(12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는 제1글라스(110)의 하면(110b)에 고정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는 제1글라스(110)에 내열 실리콘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의 적어도 일부는 제1글라스(11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의 적어도 일부는 제1글라스(110)에 내열 실리콘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제1글라스(110)는 제2프레임(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글라스(110)는 본체(10)의 제1프레임(16)에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글라스(110)의 하면(110b)에는 제1프레임(16)에 대응되는 제2프레임(130)이 마련될 수 있다.
제2프레임(130)은 본체(10)의 제1프레임(16)과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프레임(130)은 제1글라스(110)가 본체(10)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프레임(130)은 제1글라스(110) 하면(110b)의 외곽에 마련될 수 있다. 제2프레임(130)은 제1글라스(110)의 하면(110b)에 고정될 수 있다. 제2프레임(130)은 제1글라스(110)의 하면(110b) 외곽에 내열 실리콘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제2프레임(130)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프레임(130)은 제1글라스(110)의 양측과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레임(130)은 제1프레임(16)의 측면부(16b)와 후면부(16c)에 각각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프레임(130)의 측면부(16b)는 제1글라스(110)의 제1방향(X)으로 배치되고, 후면부(16c)는 제1글라스(110)의 제2방향(Y)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레임(130)에는 본체(10)의 제1프레임(16)과 체결을 위한 체결홀(1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프레임(130)에 형성되는 체결홀(18)은 제2체결홀(18b)이라 한다. 제2체결홀(18b)은 제1체결홀(18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홀(18b)은 제2프레임(130)의 양측과 후방에 각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글라스(110)의 하부에 고정된 제2프레임(130)과 본체(10)의 제1프레임(16)의 결합에 의해 본체(10)의 상부에 제1글라스(110)가 안착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는 제1글라스(110) 및 제2글라스(12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는 제1글라스(110) 및 제2글라스(12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브라켓(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라켓(31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310)은 대략 제2글라스(120)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310)은 제2글라스(12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브라켓(310)은 그 중심에 본체(10)의 회로기판(12)이 설치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1설치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설치구(312)는 제1브라켓(310)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310)은 제2결합부재(400)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착면(3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착면(311)은 제1브라켓(310)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설치구(312)는 안착면(311)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설치구는 회로기판에 대응되도록 T 자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브라켓 및 제1브라켓에 형성되는 제1설치구의 형상은 제2영역을 형성하는 회로기판의 크기 및 형상의 의해 변경 가능하다.
제1결합부재(300)는 제1글라스(110)와의 고정을 위해 마련되는 제1접촉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촉부(320)는 제1브라켓(31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접촉부(320)는 제1브라켓(310)의 일측에 제2방향(Y)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접촉부(320)는 제1글라스(110)의 전방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접촉부(320)는 제1글라스(110) 하면(110b)의 전단 아래 배치되어 제1글라스(110)와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제1접촉부(320)는 제1글라스(110)의 하면(110b) 전단에 접착될 수 있다. 제1접촉부(320)는 제1글라스(110)와 내열 실리콘을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는 제2결합부재(4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결합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340)는 제1브라켓(310)에 마련될 수 있다. 제1결합부(340)는 제1브라켓(3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지지홀(341)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홀(341)은 제1방향(X)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홀(341)은 후술하는 제2결합부재(400)의 지지돌기(441)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의 제1결합부(340)는 제1접촉부(320)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의 지지홀(341)은 제1접촉부(320)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의 제1결합부(340)는 제2결합부재(400)의 제2결합부(440)가 삽입되어 소정 길이만큼 이동되어 제2글라스(120)가 제1글라스(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결합부(440)의 길이(l1) 만큼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참고)
제1결합부재(300)는 제1브라켓(310)의 타측 단부에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1고정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330)는 제1브라켓(31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의 제1고정부(330)에는 관통홀(220)에 대응되는 제1고정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330)에는 고정부재(21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홀(23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는 제1브라켓(310)과 제1접촉부(320) 사이에 형성되는 오버플로우 방지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 방지부(350)는 제1브라켓(310)의 적어도 일부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방지부(350)는 제1결합부(340) 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방지부(350)는 제1브라켓(310)과 제1접촉부(320) 사이에 위치되고, 제1브라켓(310)과 제1접촉부(320)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방지부(350)는 제1브라켓(310) 및/또는 제1접촉부(320)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방지부(350)는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제2글라스(12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장치(200)는 제1결합부재(3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재(400)는 제2글라스(12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브라켓(410)을 포함한다. 제2브라켓(410)은 제2글라스(120)의 하면(120b)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제2브라켓(41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브라켓(410)은 제2글라스(120)의 하면(120b)에 부착되도록 마련되고, 제2글라스(12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브라켓(410)은 제2글라스(12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브라켓(410)의 적어도 일부는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2설치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브라켓(410)은 그 중심에 본체(10)의 회로기판(12)이 설치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2설치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설치구(412)는 제1브라켓(310)의 제1설치구(3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설치구(412)는 제1브라켓(310)의 제1설치구(312)와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브라켓(410)은 제2글라스(120)와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브라켓(410)은 제2글라스(120)의 하면(120b)에 접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브라켓(410)은 그 상면이 제2글라스(120)의 하면(120b)과 내열 실리콘을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제2결합부재(400)는 제1결합부재(3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결합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440)는 제2브라켓(410)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결합부(440)는 제2브라켓(410)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돌기(44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441)는 제2방향(Y)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441)는 제1결합부재(300)의 지지홀(34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제2결합부재(400)의 지지돌기(441)는 제2브라켓(410)으로부터 제1길이(l1)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재(400)의 지지돌기(441)는 제2글라스(120)로부터 소정 간격(d1)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441)는 제2글라스(120)의 하면(120c)으로부터 소정 간격(d1)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441)는 제1브라켓(310)의 지지홀(341)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 참고)
제2결합부재(400)는 제2브라켓(410)의 타측 단부에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고정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부(430)는 제2브라켓(41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재(400)의 제2고정부(430)에는 본체(10)의 관통홀(220)에 대응되는 제2고정홀(2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부(430)에는 고정부재(21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고정홀(232)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장치(200)는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400) 중 적어도 하나를 본체(10)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10)는 스크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10)는 본체(10)의 제1프레임(16) 전면부(16a)에 형성된 관통홀(220)을 통해 제1결합부재(300)의 제1고정홀(231) 및/또는 제2결합부재(400)의 제2관통홀(220)에 결합되어,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400)를 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결합부재(300)의 제1결합부(340)는 제1접촉부(320)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의 지지홀(341)은 제1접촉부(320)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의 제1결합부(340)는 제2결합부재(400)의 제2결합부(440)가 삽입되어 소정 길이만큼 이동되어 제2글라스(120)가 제1글라스(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결합부(440)의 길이(l1) 만큼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참고)
글라스(100)는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500)는 제1결합부재(3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결합부재(300)는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재(5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결합부재(300)에는 실링부재(5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36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의 제1접촉부(320)에는 실링부재(5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36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360)은 제1접촉부(320)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360)은 제1결합부재(300)의 제1결합부(340) 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500)는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의 사이를 실링 할 수 있도록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500)는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50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500)는 제1글라스(110) 및 제2글라스(120) 사이에 위치되는 제1부분(510)과, 제1부분(510)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글라스(120)의 하면(120c)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부분(520)과, 제1부분(51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3부분(53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재(500)의 제1부분(510)은 제1글라스(110)의 측면(110c)과 제2글라스(120)의 측면(120c) 사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부분(510)은 제1글라스(110) 및 제2글라스(120)의 수직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부분(510)은 제1글라스(110)의 측면(110c)과 마주하는 제2글라스(120)의 측면(120c) 사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부분(510)은 별도의 접착제를 통해 제1글라스(110)의 측면(110c) 또는 제2글라스(120)의 측면(120c)에 부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500)의 제2부분(520)은 제1부분(51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글라스(120)의 하면(120c)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부분(520)은 제1부분(510)으로부터 제1방향(X)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부분(520)은 제2글라스(120)의 하면(120c)과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500)의 제2부분(520)은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이 제2글라스(120)의 하부에 위치한 회로 기판(12)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500)의 제3부분(530)은 제1부분(510)의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부분(530)은 실링부재(500)를 제1결합부재(300)에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부분(530)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부분(530)은 제1결합부재(300)의 결합홀(36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3부분은 4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3부분의 개수 및 형상은 변경 가능하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에 의한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 은 도 10 의 A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가 장착된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는 결합장치(20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장치(200)는 제1글라스(110) 및 제2글라스(12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결합부재(300)와 제2글라스(12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결합부재(400)와,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400)를 본체(10)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글라스(110)에 고정된 제1결합부재(300)는 제1브라켓(310)에 연장 형성된 제1접촉부(320)를 통해 제1글라스(110)의 하면(110c)에 접착되어 본체(10)에 안착될 수 있다.
본체(10)의 제1프레임(16)의 전면부(16a)에 형성된 관통홀(220)은 제1결합부재(300)의 제1고정부(330)에 형성된 제1고정홀(231)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제1결합부재(300)의 제1브라켓(310)에 형성된 제1설치구(312)는 본체(10)에 장착된 회로 기판(12)에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제1브라켓(310) 보다 하측에 위치된 회로 기판(12)이 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결합부재(300)가 제1글라스(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결합부재(300)의 결합홀(360)에 실링부재(500)의 제3부분(530)을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본체(10)의 제1프레임(16)에 제1결합부재(300)가 고정된 상태의 제1글라스(110)가 안착되고, 제1결합부재(300)에 실링부재(5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2글라스(120)는 제1글라스(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의 제1결합부(340)는 결합홀(360)에 장착된 실링부재(500)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제2글라스(120)의 하면(120c)에는 제2결합부재(400)가 부착된 상태로 마련된다. 제2결합부재(400)의 제2브라켓(410)은 일측에 형성된 제2결합부(440)를 제1결합부재(300)의 제1결합부(340)에 결합하여 제2결합부재(400)를 제1결합부재(300)에 결합할 수 있다.
제2글라스(120)의 하면(120c)에 고정된 제2브라켓(410)의 지지돌기(441)를 제1결합부재(300)의 지지홀(341)에 삽입하고 제2글라스(120)를 하측으로 회전 이동시켜 결합할 수 있다.
제2결합부재(400)의 제2브라켓(410)에 형성된 제2설치구(412)는 본체(10)에 장착된 회로 기판(12)에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제2브라켓(410) 보다 하측에 위치된 회로 기판(12)이 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결합부재(300)의 제1브라켓(310)에는 제1결합부(340)와 실링부재(500)가 장착되기 위한 결합홀(360)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결합홀(360)과 제1결합부(340)의 위치 보다 높게 형성되는 오버플로우 방지부(350)가 형성되어,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이 회로 기판(12)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결합부재(400)의 제2고정부(430)에 형성된 제2고정홀(232)은 본체(10)의 관통홀(220)과 제1결합부재(300)의 제1고정부(330)에 형성된 제1고정홀(231)에 대응될 수 있다.
본체(10)의 관통홀(220)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결합부재(300)의 제1고정홀(231)과 제2결합부재(400)의 제2고정홀(232)을 고정부재(210)가 관통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제1결합부재(300)와 제2결합부재(400)의 결합으로 제2글라스(120)는 제1글라스(110)에 동일한 선상에서 결합될 수 있다.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 사이에 위치되는 실링부재(500)는 제1부분(510)이 제1글라스(110)의 측면(100b)과 제2글라스(120)의 측면(120b)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되어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500)의 제2부분(520)은 제2글라스(120) 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이 제2글라스(12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의 사이 즉, 실링부재(500)의 제1부분(510)의 상부에 추가로 실링부재를 도포하여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 사이로 먼지 또는 액체/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가 장착된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결합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의 사이를 실링하도록 실링부재(500A)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재(500A)는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의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500A)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500A)는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결합장치(200)에 장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500A)는 제1글라스(110)의 하면(110b)에 고정되는 제1결합부재(300)에 장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500A)는 제1글라스(110) 및 제2글라스(120) 사이에 위치되는 제1부분(510A)과, 제1부분(510A)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글라스(120)의 하면(120c)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부분(520A)과, 제1부분(510A)의 하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3부분(53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510A)은 제1글라스(110)의 측면(110b)과 제2글라스(120)의 측면(120b) 사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부분(510A)은 제1글라스(110) 및 제2글라스(120)의 수직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부분(510A)은 제1글라스(110)의 측면(110b)과 마주하는 제2글라스(120)의 측면(120b) 사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부분(510A)은 별도의 접착제를 통해 제1글라스(110)의 측면(110b) 또는 제2글라스(120)의 측면(120b)에 부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500A)의 제3부분(530A)은 제1부분(510A)의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부분(530A)은 실링부재(500A)를 제1결합부재(300)에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부분(530A)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부분(530A)은 제1결합부재(300)의 결합홀(36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재(500A)의 제2부분(520A)은 제1부분(510A)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글라스(120)의 하면(120c)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부분(520A)은 제1부분(510A)으로부터 제1방향(X)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부분(520A)은 제2글라스(120)의 하면(120c)과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부분(520A)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54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540A)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540A)는 후방에서 유입되는 이물이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540A)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어 제1부분(510A)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500A)의 제2부분(520A)은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이 제2글라스(120)의 하부에 위치한 회로 기판(12)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500A)의 제2부분(520A)에 형성되는 돌기부(540A)는 제1글라스(110)와 제2글라스(120)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이 제2글라스(120)의 하부에 위치한 회로 기판(12)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링부재의 제2부분에 형성되는 돌기부는 4 개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기부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돌기부의 형상 및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조리기기
10 : 본체
12 : 회로 기판 14 : 터치부
16 : 제1프레임 18 : 체결홀
110 : 제1글라스 120 : 제2글라스
200 : 결합장치 210 : 고정부재
220 : 관통홀 300 : 제1결합부재
310 : 제1브라켓 320 : 제1접촉부
330 : 제1고정부 340 : 제1결합부
341 : 지지홀 400 : 제2결합부재
410 : 제2브라켓 430 : 제2고정부
440 : 제2결합부 441 : 지지돌기
500,500A : 실링부재 510, 510A : 제1부분
520, 520A :제2부분 530, 530A : 제3부분
540A : 돌기부
12 : 회로 기판 14 : 터치부
16 : 제1프레임 18 : 체결홀
110 : 제1글라스 120 : 제2글라스
200 : 결합장치 210 : 고정부재
220 : 관통홀 300 : 제1결합부재
310 : 제1브라켓 320 : 제1접촉부
330 : 제1고정부 340 : 제1결합부
341 : 지지홀 400 : 제2결합부재
410 : 제2브라켓 430 : 제2고정부
440 : 제2결합부 441 : 지지돌기
500,500A : 실링부재 510, 510A : 제1부분
520, 520A :제2부분 530, 530A : 제3부분
540A : 돌기부
Claims (20)
- 히터를 구비한 본체;
상기 히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면에 조리 용기가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1글라스;
상기 제1글라스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제2글라스;
상기 제1글라스와 상기 제2글라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1글라스 및 상기 제2글라스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글라스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글라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글라스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고정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1글라스 및 상기 제2글라스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글라스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브라켓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브라켓의 타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브라켓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지지홀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2글라스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브라켓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브라켓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1접촉부의 사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오버플로우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방지부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접촉부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상기 제1고정부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부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제2고정홀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글라스의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제1결합부재의 상기 제1접착부에 지지되는 조리기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1글라스 및 제2글라스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글라스 및 상기 제2글라스의 수직면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글라스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재와 고정되도록 상기 제1부분의 하부에 돌출되는 제3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3부분이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결합홀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2부분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 히터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을 형성하는 글라스;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는,
상기 히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면에 조리 용기가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제1글라스와,
상기 제1글라스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글라스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제2글라스와,
상기 제1글라스 및 상기 제2글라스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글라스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글라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글라스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고정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제1글라스 및 상기 제2글라스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글라스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브라켓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브라켓의 타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브라켓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지지홀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2글라스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브라켓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2브라켓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2/003885 WO2022211339A1 (ko) | 2021-03-29 | 2022-03-22 | 조리기기 |
EP22781459.7A EP4284118A4 (en) | 2021-03-29 | 2022-03-22 | COOKING APPLI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10040732 | 2021-03-29 | ||
KR1020210040732 | 2021-03-2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5136A true KR20220135136A (ko) | 2022-10-06 |
Family
ID=8359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5680A KR20220135136A (ko) | 2021-03-29 | 2021-05-21 | 조리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35136A (ko) |
-
2021
- 2021-05-21 KR KR1020210065680A patent/KR20220135136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84242B2 (ja) | 加熱調理器 | |
JP2008089229A (ja) | ガス調理器 | |
JP4389878B2 (ja) | 加熱調理器 | |
KR20220135136A (ko) | 조리기기 | |
KR102407943B1 (ko) | 유도 가열 조리기 및 그 표시 제어방법 | |
US20210071872A1 (en) | Cooking apparatus | |
CN107923628B (zh) | 组合式炊具 | |
EP4284118A1 (en) | Cooking appliance | |
JP2003133042A (ja) | 加熱調理器 | |
KR101864489B1 (ko) | 조작유닛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 |
KR100415627B1 (ko) | 빌트인 곤로 | |
KR101764429B1 (ko) | 조리기기 | |
JP5228573B2 (ja) | 誘導加熱調理器 | |
JP4251174B2 (ja) | 加熱調理器 | |
KR101930065B1 (ko) | 조작유닛의 냉각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 |
KR102481609B1 (ko) | 조작유닛의 냉각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 |
JP4679652B2 (ja) | 加熱調理器 | |
JP2004039356A (ja) | 電磁誘導加熱コンロ | |
JP4869025B2 (ja) | 加熱調理器 | |
KR100880479B1 (ko) | 오븐도어 | |
JP2005055044A (ja) | 加熱調理器 | |
JP7294064B2 (ja) | 加熱調理器 | |
JP2000000162A (ja) | 炊飯器 | |
JP4650217B2 (ja) | ガス調理器 | |
KR20190074505A (ko) | Pcb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한 조리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