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065B1 - 조작유닛의 냉각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조작유닛의 냉각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065B1
KR101930065B1 KR1020160125001A KR20160125001A KR101930065B1 KR 101930065 B1 KR101930065 B1 KR 101930065B1 KR 1020160125001 A KR1020160125001 A KR 1020160125001A KR 20160125001 A KR20160125001 A KR 20160125001A KR 101930065 B1 KR101930065 B1 KR 101930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operation unit
case
fan
uni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033A (ko
Inventor
하연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5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065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033A/ko
Priority to KR1020180159501A priority patent/KR102481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stoves or ranges, e.g. each having a different kind of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63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il coo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전방에 위치하고 조리기기의 열원에 가깝게 배치되어 냉각이 필요한 조작유닛을 냉각하기 위한 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50); 상기 케이스(5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면을 구비하는 상판부(2);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제1공간에 수용되며 상판부에 안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1조리가열부(8);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1공간과 이웃하는 제2공간에 수용되며 상판부에 안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2조리가열부(9);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조작유닛 조립체(6); 및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6)와 인접하며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는 제1팬(96);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팬(96)에 의해 케이스 내부의 제2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6)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제1공간으로 유동하는 복합식 조리기기이다.

Description

조작유닛의 냉각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A HOME APPLIANCE AND A CONTROL UNIT COOLING SYSTEM INSTALLED THEREIN}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기기의 전방에 위치하고 조리기기의 열원에 가깝게 배치되어 냉각이 필요한 조작유닛을 냉각하기 위한 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조리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전기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조리기기로는 유도가열 조리기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유도 가열 조리기는 워킹 코일(working coil) 또는 가열 코일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강력한 자력선이 조리용기를 통과할 때 와류전류(Eddy current)가 흘러 용기 자체가 가열되는 방식으로 조리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 조리 장치이다.
이러한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기본적인 가열원리를 살펴보면, 가열 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자성체인 조리 용기 자체 유도(induction) 가열에 의해 발열됨으로써 용기에 담긴 음식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가스의 연소가 필요 없어 연소 배기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용기 자체에 즉각적으로 열이 발생함으로 열의 복사나 전도를 통한 전달 과정이 최소화되어 빠른 속도로 조리물을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다수의 가열 코일을 동시에 구동할 때 전력이 다량으로 소모됨에 따르는 전력 사용 비용 증가 문제와, 가열 코일을 제어하는 회로의 발열 문제 등으로 인해 화력에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가스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조리기기로는 가스 레인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 레인지는 버너가 제품의 외부로 노출되어 화염이 직접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하는 오픈 플레임 타입과, 버너가 제품의 내부에 구비되며, 연소열을 이용하여 복사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복사체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복사파를 이용하여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하는 라디언트 타입으로 나뉘어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9449호에는 케이스의 상면을 세라믹 플레이트가 차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세라믹 플레이트 하방의 케이스 내부 공간에는 가스의 공급에 의해 점화되는 버너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으며, 조작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가스 밸브를 개폐하여 화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열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라디언트 타입과 같이 가스를 사용하는 기술은, 연료의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조리에 사용하므로, 열에너지를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기보다 저가인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연료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열의 전달 경로가 유도가열 방식보다 길기 때문에, 유도 가열 조리기기보다는 조리물을 신속하게 가열하지 못한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가스 등의 연료를 연소하기 때문에 반드시 연소 배기 가스가 발생한다.
유도 가열 방식과 연료 연소 방식의 조리기기는 어느 한 방식의 장점이 다른 방식의 단점을 보완해준다는 면에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유도 가열 방식이나 라디언트 타입의 연료 연소 방식의 조리기기는 모두, 세라믹글라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탑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탑플레이트에는 조리용기나 음식물이 올려진다. 그리고 세련된 외관을 위해,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면 전방부에, 상기 조리기기를 조작하고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을 표시하는 조작부와 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조작부와 표시부는 세라믹글라스 하부에 설치한 PCB에 마련된다. 또한 조작부와 표시부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하고 현재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리를 위한 화구보다 더 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다른 열원을 이용하는 복합식 조리기기의 경우, 서로 다른 열원을 운용하기 위한 구성이 하나의 조리기기 내부에 모두 배치되다 보니, 하나의 열원 방식을 이용하는 조리기기와 대비하여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이 턱 없이 부족하다. 따라서 조작부와 표시부는 조리기기의 최전방에 밀착되는 위치로 설치되어야 할 필요성이 크다. 그런데, 가스 연소 방식을 사용하여 고온의 배기가스가 후방으로 배출되어야 하는 냉각 구조를 적용한 조리기기의 케이스 내부에서, 최전방에 위치한 전장품을 냉각하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서로 다른 열원을 사용하는 복합식 조리기기의 경우, 서로 다른 열원의 발열 방식과 패턴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를 냉각하기 위한 구조 역시 차별을 둘 수밖에 없고, 냉각의 효율성을 위해 독립 냉각을 구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서로 다른 가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부는 공간 절약의 차원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두 가열부의 설치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공통 부품을 적용하는 경우, 서로 다른 가열 방식의 가열부 중 어느 한 쪽만 사용하더라도 해당 부품(전원부)은 항상 작동한다. 따라서 전원부가 설치되지 않은 공간에 있는 가열부만 작동할 때에도, 작동하지 않는 가열부가 배치된 공간에 설치된 전원부를 냉각하기 위해서는 작동하지 않는 가열부의 냉각 구조도 가동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냉각 구조는 독립 냉각을 구현한 취지를 몰각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각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조리기기의 최전방에 설치된 표시입력기판을 원활하게 냉각할 수 있는 조리기기의 냉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식 조리기기에서, 뜨거운 열원에 가깝게 배치된 표시입력기판이 열원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냉각구조를 가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식 조리기기에서 어떠한 가열방식의 가열부가 작동하던 상관 없이 항상 냉각이 이루어져야 하는 전장품에 대해, 그 냉각을 위한 별도의 팬이 없어도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50); 상기 케이스(5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면을 구비하는 상판부(2);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제1공간에 수용되며 상판부에 안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1조리가열부(8);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1공간과 이웃하는 제2공간에 수용되며 상판부에 안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2조리가열부(9);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연통하는 공간부(55); 및 상기 공간부(55)와 인접하며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는 제1팬(96);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팬(96)에 의해 케이스 내부의 제2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공간부를 통해 상기 제1공간으로 유동하는 복합식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1팬의 작동만으로 제2공간, 공간부 및 제1공간에 냉각을 위한 공기 유동을 모두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제2조리가열부(9)는 상기 제1조리가열부와 다른 종류의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조리가열부(8)는 유도가열 방식의 열원이 사용되고, 상기 제2조리가열부(9)는 가스 연소 방식의 열원이 사용될 수 있다. 제2공간에 설치된 가스 연소 방식의 열원이 발열량이 더 큰 점을 감안하여 제1팬 역시 높은 용량의 팬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고용량의 팬으로 제1공간과 공간부까지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은 베리어(7)에 의해 공간적으로 구획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두 공간을 격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공간의 냉각 구조를 독립적으로 설계하고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공간부(55)는 조작유닛 수용부이며,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에는 조작유닛 조립체(6)가 수용될 수 있다. 조작유닛 조립체는 두 가열부(8, 9) 중 어느 것이 작동 중이든 간 항상 작동해야 하는 구조이면서, 조작의 편의성 등을 이유로 주로 조리기기의 전방에 설치되고, 사람이 조작하는 부위가 뜨거워지면 사용자 품질 감성이 떨어지므로 과열되지 않도록 항상 관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를 공간부에 설치하면 제1 및 제2공간 사이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어떠한 가열부(8, 9)를 가동하든 관계 없이 공간부에 항상 공기가 유동하도록 하면, 조작유닛 조립체는 상시 냉각이 가능하다.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는 전후방향 폭 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세장형 조립체이며, 상기 케이스(5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는 2 이상의 가열 방식에 사용되는 부속품과 전장품이 모두 수용되는 케이스(50)의 협소한 내부 공간에 설치되기 위한 구조이다.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6)의 양측 중앙부에는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를 상방으로 탄성 가세하는 탄성체(70)가 마련되어 있어서 조작유닛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는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자투리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케이스 내부의 협소한 공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두 공간을 드나드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조작유닛 조립체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팬(96)과 마주하는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 부분에는 개방구가 마련되어 제1팬의 공기가 조작유닛 조립체에 원활히 유입됨으로써, 조작유닛 조립체 및 그 부근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개방구와 연통되는 조작유닛 조립체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공간으로 연통하게 되면, 제2공간의 냉각을 위한 제1팬의 유동이 제1공간으로도 유입되도록 하여, 제1공간의 냉각 구조가 가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1공간에 배치된 피냉각부품에 대한 냉각이 어느 정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공간에는 상기 공간부(55)와 인접하며 설치되는 제3팬(85)을 포함하고, 상기 제3팬(85)의 공기 토출 방향은 상기 공간부(55)에서 멀어지는 방향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간부(55)의 공기가 제1공간으로 유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6)는, 상기 상판부의 저면과 마주하는 제1기판(60)이 고정되는 기판홀더(61)와, 상기 기판홀더(61)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기판홀더(6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판고정부(625)가 구비된 홀더지지브래킷(6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고정부(625)에는 제2기판(601)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조작유닛 조립체(6)를 2층의 구조로 하고 여기에 각각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설치하여 이들을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들의 냉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조는 제1기판을 디스플레이 및 입력 기판으로 활용하기에 유리하다. 아울러 제1기판 하부에 제2기판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어, 제2기판이 제1기판을 제어하도록 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제2기판이 제1공간과 제2공간을 걸쳐 있어, 제1공간의 제1조리가열부(8)와 제2공간의 제2조리가열부(9)를 제어하도록 하기에 유리하다.
상기 제1공간에는, 상기 제1조리가열부(8) 및 상기 제2조리가열부(9)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동 중일 때 작동하는 피냉각부품(88)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1팬(96)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2공간을 유동하며 상기 제2조리가열부(9)를 냉각하고 케이스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서, 제1조리가열부(8)가 작동 중일 때에는 제1공간의 냉각 구조에 의해, 제2조리가열부(9)만 작동 중일 때에는 제2공간의 냉각 구조에 의해 피냉각부품(88)의 냉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50); 상기 케이스(5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면을 구비하는 상판부(2);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제1공간에 수용되며 상판부에 안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1조리가열부(8);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1공간과 이웃하는 제2공간에 수용되며 상판부에 안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2조리가열부(9);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조작유닛 조립체(6); 및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6)와 인접하며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는 제1팬(96);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팬(96)에 의해 케이스 내부의 제2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6)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제1공간으로 유동하는 복합식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6)는 케이스의 전방에 마련되고, 상기 제1팬은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6)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후방에는 개방구가 마련된 형태일 수 있다. 이는 조작유닛 조립체(6)의 조작이 편리한 위치이면서, 상대적으로 여유 공간이 있는 곳에 조작유닛 조립체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조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제1팬으로 조작유닛 조립체와 제2공간의 제2조리가열부(9)를 모두 원활하게 냉각할 수 있는 구조이면서, 제2조리가열부(9)와 조작유닛 조립체를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하여 제2조리가열부의 열이 조작유닛 조립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각각 조작유닛 조립체와 제2조리가열부를 개별적으로 냉각하도록 할 수 있어, 하나의 팬으로 서로 다른 특성의 피냉각부품(6, 94)을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6)는, 상기 상판부의 저면과 마주하는 제1기판(60)이 고정되는 기판홀더(61)와, 상기 기판홀더(61)의 전면부와 양측면을 하방에서 지지하며 상기 기판홀더(61)의 하부에 연결된 홀더지지브래킷(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기판홀더를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후방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는 형태이다.
특히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는 전후방향 폭 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세장형 조립체일 경우, 상기 기판홀더(61)의 후면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안착레그(613)를 마련하면, 기판홀더(61)의 후면부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기판홀더를 더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협소한 공간에 최소한의 냉각 구성만으로도 다양한 피냉각부품을 원활하게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냉각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조리기기의 최전방에 설치된 표시입력기판을 원활하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뜨거운 열원에 가깝게 배치된 조작유닛 조립체가 뜨거운 열원으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식 조리기기에서 어떠한 가열방식의 가열부가 작동하던 상관 없이 항상 냉각이 이루어져야 하는 전장품, 가령 전원기판이나 조작유닛에 대해, 가장 간단한 구조로도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일실시예로서 조리기기의 케이스와 상판 부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의 케이스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조리기기의 케이스 부분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리기기의 케이스 부분에서 가열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조리기기의 유도가열부가 설치된 공간에서 중간판과 워킹코일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조리기기 내에 설치된 조작유닛 조립체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작유닛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의 후방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조작유닛 조립체의 후방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케이스에 조작유닛 조립체와 탑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단면도,
도 10은 케이스와 상판부 사이에 조작유닛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가 잘 도시될 수 있도록 케이스와 상판부를 측면에서 절개하여 그 내부를 측면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그리고
도 11은 가전기기를 전후 방향으로 절개하여 조작유닛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조리기기의 외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케이스와 상판 부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조작유닛의 표시입력기판이 생략된 구조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판부(2)와 본체부(3)로 구분될 수 있다. 본체부(3)는 판상의 스틸 소재로 이루어진 케이스(50)의 내부에 조리기기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구성들이 수용되어 이루어진다. 케이스(50)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저면부(51)의 네 모서리 단부에서 측면부(52), 정면부(53) 및 배면부(54)가 상향 절곡되어 상면이 오픈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50)의 개방된 상면에는 상기 상판부(2)가 덮여져 고정된다. 상판부(2)의 넓이는 저면부(51)의 넓이보다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1)는 싱크대의 상판에 마련되되, 상기 저면부(51)보다는 넓고 상판부(2)보다는 작은 크기의 개구에 얹어질 수 있다. 즉 저면부(51)보다 측방으로 더 외향 돌출되어 있는 상판부(2)의 저면이 상기 싱크대의 상판 개구 가장자리 상에 얹어지는 형태로 주방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2)는 상기 조리기기(1)가 싱크대의 상판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싱크대의 개구를 차폐하며 상면으로 노출되어 조리기기(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2)는 조리를 위한 용기와 식품이 올려 질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하는 탑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
또한 탑플레이트(20)의 후방에는 상기 본체부(3)의 내부 구성들을 냉각한 후 배출되는 공기나, 상기 본체부(3) 내에서 연소된 혼합기의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벤트부재(30)가 마련된다.
또한 상판부(2)는 상기 탑플레이트(20)와 벤트부재(30)를 고정하며 이들의 외측 테두리를 구성하는 상판프레임(10)을 포함한다.
[상판부의 구성]
상판부(2)는 전체적인 상판부의 외측 테두리를 구성하는 상판프레임(10)과, 상기 상판프레임(10) 내측에 체결되는 탑플레이트(20)와, 상기 탑플레이트(20)의 후단부와 상기 상판프레임(10)의 후면부 사이에 마련되는 벤트부재(30)를 포함한다.
상판프레임(10)은 상면부(11)와 측면부(12)가 절곡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들 중 상면부(11)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되고, 측면부(12)는 상기 상면부(11)의 외측 단부에서 하향 절곡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판프레임(10) 내에는 상기 탑플레이트(20)와 벤트부재(30)가 끼워져 고정되는데, 상기 탑플레이트(20)는 상판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고, 벤트부재(30)는 상기 상판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된다. 다만 이들의 설치 위치나 관계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다른 변형 예가 적용될 수 있다.
탑플레이트(20)는 세라믹 글라스로 구성될 수 있고, 두께가 있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탑플레이트(20)의 전방부에는 케이스의 조작유닛 수용부(55)에 수용된 조작유닛의 상면과 대응하는 조작 부위(4)를 식별할 수 있도록 조작부 표시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 표시는 탑플레이트의 상면에 인쇄되거나, 필름 형태로 부착되거나, 상기 조작유닛이 노출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세라믹 글라스 부위가 투명 또는 반투명 형태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작 전에는 외부로 표시가 되지 않지만 사용자가 근처를 터치하였을 때 세라믹 글라스의 저면으로부터 백라이트가 점등되어 조작부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의 조작부 표시부위 저면은 조작유닛의 상면과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유닛 및 이와 밀착되는 탑플레이트 부분은 후술할 본체부(3)의 제1팬(96)의 공기 유동에 의해 냉각되어, 사용자가 탑플레이트(20)의 조작 영역을 터치하였을 때 뜨겁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플레이트(20)가 상기 케이스(50) 상에 고정되었을 때, 후술할 본체부(3)의 버너(901, 902)와 워킹코일(82)과 대응하는 탑플레이트(20) 위치에는, 해당 위치가 가열부 위치임을 표시하는 표식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표식은 버너의 가열부인지, 인버터 가열부인지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탑플레이트(20)의 상면 가장자리 중 전방 쪽 가장자리와 두 측방 쪽 가장자리는 상기 상판프레임(10)의 상면부(11) 저면과 밀착 고정되고, 상기 탑플레이트(20)의 좌우측 및 전방측 측면은 상기 상판프레임(10)의 좌우측 및 전방측 측면부(12)의 내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들의 고정 방식은, 가령 탑플레이트(20)와 상판프레임(10) 사이에는 내열 실리콘 접착부재가 주입되어 이들을 상호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판프레임(10)의 내측 후방에는 좌우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벤트부재(30)가 설치된다. 벤트부재(30) 상판부(2)의 상방으로 약간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벤트부재(30)의 상부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트랙형 장공 형태의 배기공이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배기공은 피어싱 공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이때 피어싱 금형을 상부에서 하향하도록 작업하여 배기공의 내주면의 버(burr)가 하향하도록 함으로써 외관 품질을 높이고 날카로운 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판부(2)의 저면에는 상기 케이스(50)의 측면부(52), 정면부(53) 및 배면부(54)와 대응하는 형태의 연결브래킷(40; 도 10 및 도 11 참조)이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을 상기 케이스의 측면부, 정면부 및 배면부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상판부를 케이스에 고정할 수 있다.
[본체부 내부의 구성]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의 케이스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후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리기기의 케이스 부분에서 가열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조리기기의 유도가열부가 설치된 공간에서 중간판과 워킹코일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내지 도 5 에는 조작유닛의 표시입력기판이 생략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의 본체부(3)의 하우징으로서 기능을 하는 케이스(50)의 내부에는 가스연소가열부(9)와 유도가열부(8)가 내장된다. 케이스(50)의 공간은 칸막이 기능을 하는 베리어(7)에 의해 가스연소가열부(9)를 위한 공간과 유도가열부(8)를 위한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베리어(7)는 이 두 공간을 공간적으로 격리한다.
실시예에서 베리어(7)의 좌측에 위치하는 가스연소가열부(9)는, 공급되는 혼합가스의 연소가 일어나는 복수의 버너(901, 902)와, 상기 버너를 고정하며 수용하는 인슐레이터(94)를 포함한다. 버너 2개, 즉 제1버너(901)와 제2버너(902)는 상기 인슐레이터(94)에 수용되어 모듈화되어 있다. 그리고 모듈화된 인슐레이터(94)는 상기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케이스(50)의 좌측 공간에 수용된다.
제1버너(901)는 조리기기의 전방 좌측에 위치하며, 제2버너(902)는 후방 중앙에 위치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버너의 개수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너의 위치는 버너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배기덕트(91)의 구조와 배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버너(901)와 제2버너(902)에는 가스가 공급된다. 가스는 케이스 우측 후단부에 마련된 레귤레이터(93)를 통해 감압되어 조리기기로 공급된다. 레귤레이터(93)를 통과한 가스는 배관을 따라 이동하여 케이스 좌측 후단부에 마련된 밸브 조립체(92)에 유입된다.
밸브 조립체(92)에서는 전체적인 버너(901, 902)에 대한 공급 여부가 제어된다. 즉 밸브 조립체(92)가 닫히면 조리기기(1) 내로 가스가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리고 밸브 조립체(92)는 각 버너(901, 902)에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 여부와 공급량도 제어한다. 즉 밸브 조립체(92)에 유입된 가스는 분기되어 각 버너(901, 902)로 독립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조립체(92)에서 공급된 가스는 노즐(95)을 통해 각 버너(901, 902)로 유입된다. 각 버너로 노즐을 통해 가스가 주입될 때 압력이 있는 가스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1차 공기가 혼합되며 상기 버너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가스의 혼합기는 버너 내에서 연소된다.
이처럼 상기 제1버너(901)와 제2버너(902)는 각각 독립적으로 가스를 연소시키고, 가스의 연소열은 버너의 적열플레이트(911, 912)를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적열플레이트(911, 912)는 고온으로 가열되면 상방을 향해 복사 열전달을 하게 된다.
제1버너(901)와 제2버너(902)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는 인슐레이터(94)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배기덕트(91)를 따라 유동하여 배기덕트(91)의 단부에 개방된 토출구(910)를 통해 상향 배출된다.
상기 배기덕트(91)는 연소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규정하고 있으므로, 고온의 연소 배기가스와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상당히 고온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처럼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상기 적열 플레이트 외의 다른 구성을 지나치게 승온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가스연소가열부(9) 쪽 공간에 이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50)의 저면부(51)에 박스팬 형태의 제1팬(96)을 설치할 수 있다. 제1팬은 가장 발열이 많은 가스연소가열부(9)의 냉각을 위한 구성으로서, 후술할 제2팬(97)이나 제3팬(85)보다 더 큰 팬을 사용할 수 있다. 박스팬은 가장 단순한 구조이면서 차지하는 체적에 대비하여 흡입할 수 있는 공기의 양이 많아 흡입 효율이 좋다.
제1팬은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가스연소가열부(9)의 설치 공간에 마련되고, 케이스의 중앙부에서 약간 전방에 위치한다. 또한 제1팬은 후술할 조작유닛의 바로 후방에 배치된다.
제1팬(96)은 케이스(50)의 외측 하부 공간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기를 상기 케이스(50) 내의 가스연소가열부(9) 설치 공간 쪽으로 공급한다. 제1팬은 박스 팬으로서, 하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부로 토출한다. 상부로 토출된 공기는 모든 방향으로 골고루 분산되어 유동하게 된다.
공급된 공기의 일부는, 앞서 설명한 노즐 쪽에서 가스와 혼합기를 만들기 위한 1차 공기로 공급된다. 나머지 공기의 대부분은 상기 인슐레이터(94)와 그 후방으로 연장된 배기덕트(91)의 외면과 접촉하여 인슐레이터와 배기덕트를 냉각하며 케이스 후방에 마련된 토출구(910)를 통해 상향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1팬(96)을 통해 공급된 공기 중 나머지 공기의 일부는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55)에 수용되는 조작유닛과 접촉하며 이를 냉각한다. 조작유닛을 냉각한 공기는 다시 케이스의 후방에 마련된 벤트부재(30) 쪽으로 이동하여 케이스 외부로 상향 배출된다.
서로 다른 가열방식을 가지는 유도가열부(8)와 가스연소가열부(9)는 모두 가열 열원에 필요한 전장품과 부품에 차이가 있고, 이들이 모두 케이스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케이스 내부 공간은 매우 협소할 수밖에 없으며, 조작유닛을 설치할 만한 공간적 여유가 별로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의 전방에 전후 방향으로의 폭은 좁고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는 길게 형성된 세장형(細長型)의 조작유닛을 설치하는 것을 고려한다.
그러나 세장형의 조작유닛을 적용하더라도, 케이스의 공간 여유가 없기 때문에 가스연소가열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또한 세장형의 조작 유닛은, 좌우로 긴 형태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열원을 가지는 복합식 조리기기의 좌우 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 부분에 설치할 경우, 그 길이방향의 일부는 가스연소가열부와 인접하게 되고, 나머지 일부는 유도가열부(8)와 인접하게 된다.
상기 제1팬(96)이 조작유닛을 냉각하는 것은 굉장히 의미가 있다. 즉 제1팬(96)은 가장 발열량이 많은 가스연소가열부(9)가 작동할 때 함께 작동함으로써, 가스연소가열부(9)의 냉각을 하게 된다. 여기서 제1팬(96)은 인슐레이터(94)와 조작유닛 사이에 위치하며 인슐레이터(94)와도 인접하고 조작유닛에도 인접하므로, 가스연소가열부(9)가 작동되는 경우 제1팬(96)에서 토출된 공기가 인슐레이터(94)를 냉각함은 물론, 상기 가스연소가열부(9)에 의해 열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조작유닛을 함께 냉각하게 된다. 반대로, 가스연소가열부(9)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제1팬(96)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는데, 가스연소가열부(9)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작유닛이 가스연소가열부에 의해 열적으로 영향을 받을 우려가 없으므로, 제1팬이 작동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케이스의 전방에 좌우로 긴 장방형으로 마련된 조작유닛 수용부(55)에는, 홀더지지브래킷(62)이 탄성체(70)를 매개로 케이스의 저면부(51)에 고정된다. 탄성체(70)는 가늘고 긴 형태의 홀더지지브래킷(6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길이방향 양단부에 마련된다.
홀더지지브래킷(62) 상부에는 기판홀더(61)가 고정되고, 기판홀더(61)의 상부에는 도 1내지 도 3에서는 미도시한 표시입력기판(60)이 설치된다. 또한 홀더지지브래킷(62)의 상부면으로서 상기 기판홀더(61)의 하부에는 표시입력기판의 표시 내용을 제어하고 입력된 명령에 따라 각 가열부(8, 9)를 제어하는 작동기판(601)이 설치된다.
조작유닛의 표시입력기판은 조리기기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조작 방식은 터치 외에도 다양한 다른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의 좌측 후방부에는, 상기 밸브 조립체(92)를 별도로 냉각하기 위한 제2팬(97)이 설치된다. 제2팬(97) 역시 박스 팬이 사용될 수 있다. 제2팬(97)에 의해 케이스 외측 공간의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케이스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벤트부재(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밸브 조립체(92)에는 가스의 분배와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밸브가 구비되는데, 이를 제어하기 위한 내부 구성이 열에 민감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밸브조립체(92)의 냉각을 위한 별도의 제2팬(97)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밸브조립체(92)를 상기 인슐레이터(94)와는 별도로 냉각하는 구조를 예시한다. 따라서 케이스(50)에서 상기 밸브조립체(92)가 마련된 위치의 후방부에는, 별도의 덕트 구성 없이 상기 벤트부재(30)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밸브조립체(92)가 별도의 공간에 있다면, 제1팬(96)보다는 소형인 제2팬(97)만으로도 밸브조립체(92)를 냉각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밸브조립체(92)와, 연소 가열 방식의 가열장치가 내장된 인슐레이터(94)는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좌측 공간에 함께 배치된다. 따라서 연소 가열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이 밸브조립체(92)로 전달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밸브조립체(92)와 인슐레이터(94) 사이에 제2베리어(7-1)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제2베리어를 설치하게 되면, 밸브조립체(92)가 설치된 공간이 인슐레이터 설치 공간과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소 가열 방식의 가열장치에서 발생한 열이 대류나 복사 등을 통해 제2베리어가 설치된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밸브조립체(92)의 냉각을 제2팬(97)으로 독립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에서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우측 공간에는 유도가열부(8)가 마련된다. 유도가열부(8)는 상기 우측 공간의 전방에 마련되는 중간판(81) 상에 설치된 워킹코일(82)과, 상기 케이스(50)의 저면부(51) 상에 설치되되 상기 중간판(81)의 하부에 마련된 수용부(57) 공간에 마련되는 제어기판 PCB(87)와, 상기 케이스의 우측 공간의 후방부에 마련된 수용부(56)의 저면부(51) 부분에 마련되는 전원기판인 노이즈필터PCB(8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도가열부(8)는 상기 워킹코일(82)의 전방에서 상기 중간판(81) 상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할 수 있는 표시부(83)를 더 포함한다. 표시부(83)는 상기 워킹코일(82)이 작동할 때 상기 워킹코일이 작동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노이즈필터PCB(88)는 전원기판으로서, 상기 워킹코일에 공급하고자 하는 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밸브 조립체(92)와 제어기판(87), 그리고 표시입력기판(60) 및 작동기판(601)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어PCB(87)는 상기 워킹코일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PCB에는 워킹코일을 제어하는 고발열칩의 일종인 IGBT(872)가 실장되는데, 이 칩은 온도 관리가 필요한 칩으로서,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과승되면 워킹코일을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케이스(50)의 우측 전방에는 제3팬(85)이 설치된다. 상기 제3팬(85)은 케이스(50)의 외부 공간의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후방으로 토출하는 시로코 팬일 수 있다.
시로코 팬을 통해 베리어(7)의 우측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먼저 IGBT 칩(872) 및 이를 냉각하기 위해 부착된 히트싱크(871)와 접촉하며 이들을 냉각하고, 그 중 일부는 중간판(81)에 설치된 워킹코일(82)을 냉각하며, 또한 상기 수용부(56)에 설치되어 있는 노이즈필터PCB(88) 부분을 냉각하며 케이스 후단부에 도달하여 상향 배출된다.
제3팬(85)은 후방으로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히트싱크(871)를 집중적으로 냉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도가열부는 자체적으로는 가스 연소 방식보다 그리 발열량이 높지 않기 때문에, 조작유닛에 열적으로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제3팬(85)에서 토출된 공기가 굳이 조작유닛에 도달하도록 하기보다는, 온도 관리가 절실한 IGBT(872)의 냉각에 집중시키는 것이 냉각 효율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 또한 제3팬(85)이 후방으로 강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면, 제3팬보다 전방에 있는 공기도 이러한 기류의 영향을 받아 후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IGBT를 냉각한 뜨거운 공기가 전방으로 역류할 우려가 없다.
베리어(7, 7-1)는 서로 다른 가열 방식을 적용하고 있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냉각이 필요한 공간들을 서로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베리어는 케이스(50)의 저면부(51)에서 상향 연장된 판재 형태이며, 필요에 따라 측면부(52), 배면부(54) 등에도 고정되어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다.
[조작유닛 조립체의 구조]
이하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적용되는 조작유닛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조리기기 내에 설치된 조작유닛 조립체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작유닛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의 후방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조작유닛 조립체의 후방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케이스에 조작유닛 조립체와 탑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단면도, 도 10은 케이스와 상판부 사이에 조작유닛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가 잘 도시될 수 있도록 케이스와 상판부를 측면에서 절개하여 그 내부를 측면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그리고 도 11은 가전기기를 전후 방향으로 절개하여 조작유닛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탑플레이트(20) 저면에 밀착되는 표시입력기판(6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사용자에게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된다. 상기 감지부와 디스플레이부는 PCB에 실장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내부적으로 설치공간의 여유가 부족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표시입력기판(60)은 실질적으로 좌우로 긴 장방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표시입력기판은 본체부(3) 내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탑플레이트 전방부 저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표시입력기판의 디스플레이와 입력 감지는 작동기판(601)에 의해 제어된다.
표시입력기판(60)과 작동기판(601)은 홀더(61, 62)에 의해 고정된다. 홀더(61, 62)는 상기 표시입력기판(60)을 고정하며 표시입력기판의 저면을 골고루 지지하는 기판홀더(61)와, 상기 기판홀더(6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기판(601)을 고정하고 탄성체(7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홀더지지브래킷(62)을 포함한다. 표시입력기판(60)은 상판부 저면에 밀착되어야 하므로 상부의 홀더(61)에 고정되는 반면, 작동기판(601)은 컴팩트한 구성 배치를 위해 하부의 홀더(62)에 고정된다.
기판홀더(61)는 상기 표시입력기판(60)의 적어도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여 주는 상부 구조부를 가진다. 이러한 상부구조부는 상기 표시입력기판의 저면 가장자리와, 상기 표시입력기판의 측면을 지지하는 형태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판홀더(61)는 상기 상부 구조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의 하부 구조부를 가진다. 하부구조부는, 상기 상부구조부의 표시입력기판 측면을 지지하는 부재가 하향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구조부의 하단부는 기판홀더(6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지지브래킷(62)의 상부에 의해 지지된다.
이들의 착탈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기판홀더(61)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후크 형태의 제1체결부재(611)가 기판홀더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 마련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방에 위치하는 기판홀더의 하단부에는 내면 쪽에 제1체결부재(611)가 마련되고, 측방에 위치하는 기판홀더의 하단부에는 외면 쪽에 제1체결부재(611)가 마련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홀더지지브래킷(62)의 상단부 부근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611)가 끼워진 후 후크 형상에 걸려 다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홀 형태의 제2체결부재(621)가 마련된다. 상기 제1체결부재(611)의 설치위치와 마찬가지로, 제2체결부재는, 홀더지지브래킷(62)의 전방 상단부 내면과, 홀더지지브래킷의 측방 상단부 외면 쪽에 마련된다.
또한 기판홀더(61)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홀더지지브래킷(62)의 상단부에는 상기 기판홀더(61)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면적을 더 넓혀주는 지지대(622)가 구비된다. 지지대는 홀더지지브래킷(62)의 상단부에서 내향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기판홀더(61)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대(622)의 상면과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의 안착홈(612)을 더 마련하여, 기판홀더(61)이 홀더지지브래킷(62)에 의해 더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체결부재(611, 621)와 지지대(622), 안착홈(612) 등의 구성에 의해 기판홀더(61)는 홀더지지브래킷(62) 상에 착탈 가능하면서도, 유동 없이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홀더지지브래킷(62)의 하부에는 작동기판(601)을 설치할 수 있는 기판 고정부(625)가 마련된다. 기판 고정부(625)에 고정되는 작동기판(601)은 상기 표시입력기판(60)의 표시 사항을 제어하고, 상기 표시입력기판(6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토대로 유도가열부(8)와 가스연소가열부(9)의 작동을 제어한다.
기판홀더(61)와 홀더지지브래킷(62)은 모두 긴 장방형의 형태를 가지며, 각각 제1기판(60)과 제2기판(601)이 설치된다. 또한 이들(61, 62)은 직사각형의 전방과 양측에 해당하는 테두리 부분이 서로 고정된다. 기판홀더(61)와 홀더지지브래킷(62)의 후면은 서로 체결되지 않고, 기판홀더(61)와 기판고정부(625) 사이에 마련된 개방구를 구비한다.
상기 홀더지지브래킷(62)의 양측면에는 탄성체결합부(623)가 구비된다. 탄성체결합부(623)는 홀더지지브래킷(62)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케이스 내에서 조작유닛 수용부(55)의 후방으로는 가열부가 설치되어 공간이 부족하고, 상기 표시입력기판이 좌우로 긴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전방으로도 공간이 부족하다. 아울러 표시입력기판이 좌우로 긴 장방형이기 때문에, 이러한 표시입력기판의 좌우에 판스프링과 같이 일방향(상하방향)으로는 탄성 변형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다른 방향(전후 좌우 방향)으로는 상당한 견고함을 유지하는 탄성체를 설치하면, 전후 좌우로는 유동이 적고 상하로는 탄성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간단한 탄성 지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기판(60)과 기판홀더(61)를 홀더지지브래킷(62)의 길이보다 조금 작게 마련하여, 탄성체결합부(623)가 기판(60)과 기판홀더(61)의 양측 단부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면, 표시입력기판(60)과 기판홀더(61)를 홀더지지브래킷(62)에 설치한 상태에서도 홀더지지브래킷(62)에 탄성체를 쉽게 체결할 수 있다.
탄성체체결부는 탄성체(70)에 접하는 측면과 바닥면을 구비하며, 바닥면에는 스크류 체결용 구멍이 마련되어 있어 탄성체(70)를 스크류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기 탄성체(70)의 폭방향 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탄성체(70)를 수용하는 수용가이드(624)가 하향 연장된 형태로 마련되어 있어서, 탄성체에 대해 조작유닛이 전후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홀더(61)와 홀더지지브래킷(62)이 분리된 형태로 제작되므로, 각각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이는 사출 성형 시 취출 또는 금형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제조 상의 편의성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아울러 제1기판(60)이 설치되는 기판홀더(61)와 제2기판(601)이 설치되는 홀더지지브래킷(62)을 분리 결합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제1기판(60)과 이것이 고정되는 기판홀더(61), 그리고 제2기판(601)과 이것이 고정되는 홀더지지브래킷(62)을 각각 다른 종류(세탁기, 식기세척기 등)나 다른 규격(소형 조리기기, 대형 조리기기 등)의 기기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모듈화할 수 있다. 가령 기판(60, 601)의 규격이 동일하기만 하면, 다른 기판을 사용하더라도 기판홀더(61)와 홀더지지브래킷(62)과 탄성체(70)를 공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홀더(61)의 후방에는 대략 중앙부에서 하향 연장된 형태의 안착레그(613)가 마련된다. 안착레그(613)는 케이스(50)에 설치된 조작유닛 안착대(551)와 함께, 케이스(50)에 대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설치 위치를 정확히 규제하고, 탄성체에 의해서 상하 유동할 수 있는 조작유닛 조립체의 상항 방향 유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가 하강할 수 있는 하한을 규제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레그(613)는, 상기 조작유닛 안착대(551)와 함께, 서로 고정되지 않는 기판홀더(61)와 홀더지지브래킷(62)의 후방 구조에 대해 기판홀더(61)의 후방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여 준다.
조작유닛 조립체의 조립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케이스(50)의 저면부(51)에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탄성체(70)의 하단부를 고정한 다음, 상판부를 케이스 상부에 고정하여 상판부 저면에 조작유닛 조립체가 눌려 탄성체가 눌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판부(2)의 저면에 설치된 연결브래킷(40)을 케이스(50)의 측벽에 고정시킨다(도 10, 도 11 참조). 그러면 탑플레이트 상부에 조리물 등이 놓여져 탑플레이트가 다소 변형되더라도, 표시입력기판(60)은 탄성체(70)의 탄성에 의해 상방 가압되어 탑플레이트의 저면에 지속적으로 밀착한다.
조작유닛 조립체가 상판부에 의해 밑으로 눌려 이동할 때, 상기 조작유닛 안착대(551)에 안착레그(613)가 안착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안내된다. 또한 이동이 안내되면서 조작유닛 조립체는 여전히 정렬을 유지하므로, 탑플레이트가 상하로 유동하더라도 조작유닛 조립체가 이와 정렬된 위치에서 상하로 함께 움직이게 된다.
조리기기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도 9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유닛 조립체의 하단부와 케이스 저면부(51) 사이에 어느 정도 갭이 있기 때문에, 탑플레이트가 하중을 받거나 충격을 받더라도 탄성체가 이를 흡수함으로써 표시입력기판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조작유닛 조립체와 냉각 구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유닛 조립체는 후방이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조작유닛 조립체의 기판홀더(61)와 기판고정부(625) 사이의 공간은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렇게 개방된 조작유닛 조립체의 공간 중 일부는 제1팬(96)에 인접하며 상기 가스연소가열부(9)를 향해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유도가열부(8)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즉 조작유닛 조립체는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케이스(50)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조작유닛 조립체의 전면은 케이스의 정면부(53)와 밀착되어 있고, 상기 베리어(7)의 전방 단부는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후면에 인접한다. 따라서 조작유닛 조립체가 차지하는 영역에는 베리어(7)가 설치되지 않은 대신, 조작유닛의 내부 공간이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가스연소가열부(9)의 공간과 유도가열부(8)의 공간을 연통하게 된다.
제1팬(96)이 작동하면, 가스연소가열부(9)를 향해 개방된 조작유닛 조립체의 내부 공간을 향해 공기 일부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조작유닛 조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분배되어 유동한다. 그리고 분배 유동된 공기 중 일측으로 유동한 공기는 다시 가스연소가열부(9)로 되돌아 나오고, 타측으로 유동한 공기는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된 가스연소가열부(9)와 유도가열부(8)의 경계를 통과한 후 유도가열부(8) 쪽으로 나오게 된다.
가스연소가열부(9) 쪽으로 되돌아 나온 공기는 케이스(50)의 후방으로 이동하며, 인슐레이터(94)의 외면에 접하거나 버너(901, 902)의 1차 또는 2차 공기로 공급된다. 그리고 인슐레이터(94)를 냉각하거나, 연료와 함께 연소된 후 케이스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향 토출된다.
그리고 유도가열부(8) 쪽으로 나온 공기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전원을 제어하는 노이즈필터 PCB를 접하며 케이스(50)의 후방에서 상향 토출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조리기기의 냉각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유도가열부(8)만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면, 유도가열부(8)가 작동하면 제3팬(85)이 작동하고, 워킹코일(82)을 제어하는 고발열칩에 발열이 일어나며, 상판부 상에 올려진 상태에서 가열된 조리물로부터 케이스 내부의 워킹코일(82)로 열이 전달된다. 제3팬(85)은 케이스 외부, 즉 하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후방으로 토출하고, 후방으로 토출된 공기는 고발열칩(872)과 히트싱크(871)를 접하며 이들을 냉각한 후 후방으로 토출된다.
또한 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중간판(81)에 마련된 통기공(미도시)을 통해 중간판 상부의 공간으로 이동한 후 후방으로 이동한다. 중간판 상부로 이동한 공기는 조리물로부터 전달된 열을 냉각하며 후방으로 이동하여 케이스 외부로 배출된다.
유도가열부(8)만 작동하는 경우 제3팬(85)의 공기는 후방으로 집중적으로 토출되므로, 제3팬의 후방의 유속은 빨라지게 되고 그만큼 압력이 줄어든다. 이에 따라 제3팬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가지게 되고, 케이스 내에서 제3팬의 전방에 위치하는 공기도 후방으로 이동하는 기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조작유닛 조립체의 내부공간에 있던 공기도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가스연소가열부(9)의 제1팬(96) 쪽이나 기타 외부와 연통된 케이스 부분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다시 조작유닛 조립체의 내부 공간을 채우게 된다.
즉 제3팬(85)만 작동하더라도 가스연소가열부(9) 쪽 공간에서 공기가 유동하여 조작유닛 조립체의 내부 공간을 거쳐 유도가열부(8) 쪽으로 이동하는 기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조리물의 열 일부가 조작유닛 조립체에 전달된다 하더라도 이에 대한 냉각에 문제가 없다.
다음으로 가스연소가열부(9)만 작동하는 경우, 제1팬(96)과 제2팬(97)이 작동하게 된다. 제2팬(97)은 베리어(7-1)에 의해 구분된 공간으로 케이스 하부 공간에 있던 공기를 유입시킨다. 제2팬(97)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밸브조립체(92)를 냉각한 후 케이스 외부로 배출된다.
제1팬(96)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일부는 점화가 일어난 버너(901 및/또는 902) 쪽으로 공급되어 가스와 연소하는데 사용되며, 연소된 가스는 배기덕트(91)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한 후 토출구(910)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제1팬(96)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 공급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인슐레이터(94)의 외면과 접하며 인슐레이터(94)를 냉각하고 후방으로 이동하여 토출구(9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팬(96)은 인슐레이터(94)와 조작유닛 사이에 위치하며 인슐레이터(94)와도 인접하고 조작유닛에도 인접하므로, 위와 같이 제1팬으로부터 이미 인슐레이터(버너) 쪽으로 공급된 공기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조작유닛 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후방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됨이 자명하다.
그리고 또한 제1팬(96)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 공급된 공기의 또 다른 일부는 조작유닛 조립체의 후방의 개방부위를 통해 조작유닛 조립체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좌우로 분배되어 유동한다. 일측으로 이동한 공기는 조작유닛 조립체를 냉각시키며 다시 가스연소가열부(9) 쪽으로 이동하여 인슐레이터를 냉각하거나 가스 연소에 공급되어 연소된 후 후방으로 배출된다. 타측으로 이동한 공기는 조작유닛 조립체를 냉각시키며 베리어(7)에 의해 구획되는 케이스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유도가열부(8)가 설치된 공간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케이스 후방으로 유동하며 전원기판(88)을 냉각한 후 케이스 후단부에서 케이스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유도가열부(8)가 작동하지 않아 제3팬(85)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제1팬(96)에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일부 유도가열부(8) 쪽으로 유동하여 전원기판(88)을 냉각시키게 된다. 전원기판(88)은 가스연소가열부(9)만 작동하는 경우에도 발열이 일어나는데, 전원기판(88)의 설치 위치는 유도가열부(8) 쪽 공간이다. 따라서 베리어(7)에 의해 가스연소가열부(9)와 유도가열부(8)가 케이스 정면부(53)까지 구획하고 있다면, 가스연소가열부(9)만 작동하더라도 유도가열부(8) 쪽의 제3팬(85)을 가동시켜야 전원기판(88)을 냉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냉각 구조에 의하면, 조작유닛 조립체의 내부 공간이 가스연소가열부(9)와 유도가열부(8)의 공간을 연결시켜주는 통로가 된다. 그리고 제1팬(96)은 조작유닛 조립체의 개방된 후면의 바로 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스연소가열부(9)만 작동할 때, 가스연소가열부(9)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1팬(96)의 작동 만으로도, 일부 공기가 조작유닛 조립체를 거치며 유도가열부(8)에 유입되어 전원기판(88)을 냉각하고 후방으로 배출된다. 즉 제3팬(85)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전원기판(88)에 대한 냉각이 가능하다.
한편, 가스연소가열부(9)와 유도가열부(8)가 모두 작동하는 경우에는 제1 내지 제3팬이 모두 작동하고, 그에 따른 공기의 유동과 냉각 원리는 앞서 설명한 두 가지 경우, 즉 유도가열부(8)만 작동하는 경우와 가스연소가열부(9)만 작동하는 경우의 냉각 원리가 모두 적용된다고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조리기기
2: 상판부
3: 본체부
4: 조작 부위
6: 조작유닛 조립체
7, 7-1: 베리어
8: 유도가열부
9: 가스연소가열부
10: 상판프레임
20: 탑플레이트(세라믹글라스)
30: 벤트부재
40: 연결브래킷
50: 케이스
55: 조작유닛 수용부
551: 조작유닛 안착대
56: 노이즈필터PCB 수용부
57: 제어PCB 수용부
60: 표시입력기판(제1기판)
601: 작동기판(제2기판)
61: 기판홀더
611: 제1체결부재(후크)
612: 안착홈
613: 안착레그
62: 홀더지지브래킷
621: 제2체결부재(홀)
622: 지지대
623: 탄성체결합부
624: 수용가이드
625: 기판고정부
70: 탄성체
81: 중간판
82: 워킹코일
83: 표시부
85: 제3팬
87: 제어기판(PCB)
871: 히트싱크
872: 고발열칩(제어칩)
88: 전원기판(노이즈필터PCB)
881: 노이즈필터
901, 902: 제1버너, 제2버너
911, 912: 적열플레이트
91: 배기덕트
910: 토출구
92: 밸브 조립체
93: 레귤레이터
94: 인슐레이터
95: 노즐
96: 제1팬
97: 제2팬

Claims (19)

  1.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면을 구비하는 상판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제1공간에 수용되며 상판부에 안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1조리가열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1공간과 이웃하는 제2공간에 수용되며 상판부에 안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2조리가열부;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을 공간적으로 구획하는 베리어;
    베리어에 의해 구획되지 아니하여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연통하는 공간에 마련되는 조작유닛 수용부;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에 수용되는 조작유닛 조립체;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와 인접하며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는 제1팬;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에 조작유닛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를 통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이 연통하고, 상기 연통 부위는 상기 제1팬과 마주하여 개방되어서,
    상기 제1팬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 유동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의 연통 부위를 유동하며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를 냉각하는 복합식 조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리가열부는 상기 제1조리가열부와 다른 종류의 열원을 포함하는 복합식 조리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리가열부는 유도가열 방식의 열원이 사용되고, 상기 제2조리가열부는 가스 연소 방식의 열원이 사용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팬은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와 상기 제2조리가열부 사이에 설치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팬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의 일부는 상기 제2조리가열부로 이동하고, 나머지는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로 유동하여 상기 제1공간으로 이동하는 복합식 조리기기.
  6.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면을 구비하는 상판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제1공간에 수용되며 상판부에 안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1조리가열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1공간과 구획되며 이웃하는 제2공간에 수용되며 상판부에 안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2조리가열부;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이 연통하는 조작유닛 수용부;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에 수용되는 조작유닛 조립체; 및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와 인접하여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는 제1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팬은, 상기 제2조리가열부 및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와 모두 인접하며 상기 제2조리가열부와 조작유닛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제1팬에 의해 케이스 내부의 제2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2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2조리가열부를 냉각하고 나머지는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에 유입되어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를 냉각하며,
    상기 제2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와 상기 제1공간을 거치지 않고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에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를 통해 상기 제1공간으로 유동한 후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는 전후방향 폭 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세장형 조립체이며,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양측 중앙부에는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를 상방으로 탄성 가세하는 탄성체가 마련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는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10. 삭제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에는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와 인접하며 설치되는 제3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3팬의 공기 토출 방향은 상기 조작유닛 수용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복합식 조리기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는,
    상기 상판부의 저면과 마주하는 제1기판이 고정되는 기판홀더와,
    상기 기판홀더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기판홀더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판고정부가 구비된 홀더지지브래킷을 포함하는 복합식 조리기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기판고정부에는 제2기판이 설치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14.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에는, 상기 제1조리가열부 및 상기 제2조리가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동 중일 때 작동하는 피냉각부품이 설치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15. 삭제
  16.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면을 구비하는 상판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제1공간에 수용되며 상판부에 안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1조리가열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1공간과 이웃하는 제2공간에 수용되며 상판부에 안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제2조리가열부;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조작유닛 조립체; 및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와 인접하며 상기 제2공간에 설치되는 제1팬;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팬에 의해 케이스 내부의 제2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제1공간으로 유동하고,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는 케이스의 전방에 마련되고,
    상기 제1팬은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의 후방에는 개방구가 마련된 복합식 조리기기.
  17. 삭제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는,
    상기 상판부의 저면과 마주하는 제1기판이 고정되는 기판홀더와,
    상기 기판홀더의 전면부와 양측면을 하방에서 지지하며 상기 기판홀더의 하부에 연결된 홀더지지브래킷을 포함하는 복합식 조리기기.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는, 상기 상판부의 저면과 마주하는 제1기판이 고정되는 기판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유닛 조립체는 전후방향 폭 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세장형 조립체이며,
    상기 기판홀더의 후면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안착레그가 마련된 복합식 조리기기.
KR1020160125001A 2016-09-28 2016-09-28 조작유닛의 냉각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1930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01A KR101930065B1 (ko) 2016-09-28 2016-09-28 조작유닛의 냉각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20180159501A KR102481609B1 (ko) 2016-09-28 2018-12-11 조작유닛의 냉각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01A KR101930065B1 (ko) 2016-09-28 2016-09-28 조작유닛의 냉각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501A Division KR102481609B1 (ko) 2016-09-28 2018-12-11 조작유닛의 냉각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033A KR20180035033A (ko) 2018-04-05
KR101930065B1 true KR101930065B1 (ko) 2018-12-17

Family

ID=6197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001A KR101930065B1 (ko) 2016-09-28 2016-09-28 조작유닛의 냉각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0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6519A1 (en) * 2021-05-06 2022-11-09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displa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41644Y (zh) * 2007-09-29 2008-10-29 胡述斌 一种电磁炉与燃气灶组合的燃气调节器结构
JP2010287576A (ja) * 2010-07-12 2010-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41644Y (zh) * 2007-09-29 2008-10-29 胡述斌 一种电磁炉与燃气灶组合的燃气调节器结构
JP2010287576A (ja) * 2010-07-12 2010-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6519A1 (en) * 2021-05-06 2022-11-09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display
US11619393B2 (en) 2021-05-06 2023-04-04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display for cooking appliance
US11852355B2 (en) 2021-05-06 2023-12-26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display for cook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033A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862B1 (ko) 벤트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1931412B1 (ko) 유도가열부를 포함하는 복합식 조리기기
KR20080024027A (ko) 조리기기
US10969109B2 (en) Combination type cooker
KR101864489B1 (ko) 조작유닛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1930065B1 (ko) 조작유닛의 냉각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0862112B1 (ko) 조리기기
KR101851865B1 (ko) 복합식 조리기기
KR101931413B1 (ko) 워킹코일 냉각구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80024029A (ko) 조리기기
KR102481609B1 (ko) 조작유닛의 냉각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1935486B1 (ko) 조리기기
KR101864488B1 (ko) 가이드 덕트가 통합된 팬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2481604B1 (ko) 복합식 조리기기
KR101864495B1 (ko) 안정적인 상하이동이 가능한 조작유닛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1870526B1 (ko) 복합식 조리기기
KR101939440B1 (ko) 복합식 조리기기
KR101867176B1 (ko) 조리기기
KR101851863B1 (ko) 패킹부재가 설치된 복합식 조리기기
KR101867177B1 (ko) 복합식 조리기기
KR20080043293A (ko) 조리기기
KR20080043291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