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440B1 - 복합식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복합식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440B1
KR101939440B1 KR1020160125010A KR20160125010A KR101939440B1 KR 101939440 B1 KR101939440 B1 KR 101939440B1 KR 1020160125010 A KR1020160125010 A KR 1020160125010A KR 20160125010 A KR20160125010 A KR 20160125010A KR 101939440 B1 KR101939440 B1 KR 101939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as
heating
region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038A (ko
Inventor
하연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5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44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stoves or ranges, e.g. each having a different kind of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6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without any visible flame
    • F24C3/06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복합식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된 소정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상부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면을 구비하는 상판부와; 제1영역에 위치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며, 케이스 내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하여 발생하는 열로 상판부 상부를 가열하는 가스연소가열부와; 제2영역에 위치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며, 가스연소가열부와 다른 방식으로 상판부 상부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와; 제2영역에 위치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며,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처리부와; 제1영역에 위치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며, 가스연소가열부에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조립체; 및 전원처리부와 밸브 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을 포함하고, 가스연소가열부는, 케이스의 측벽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케이스의 측벽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배선은, 전원처리부로부터 제1영역을 통과하여 밸브 조립체와 연결되게 배치되되, 제1영역을 통과하는 구간에서 이격공간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복합식 조리기기{COMBINATION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복합식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를 연소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스연소가열부와 전기를 이용하는 제2가열부가 복합적으로 구비된 복합식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조리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전기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조리기기로는 유도가열 조리기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유도 가열 조리기는 워킹 코일(Working coil) 또는 가열 코일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강력한 자력선이 조리용기를 통과할 때 와류전류(Eddy current)가 흘러 용기 자체가 가열되는 방식으로 조리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 조리 장치이다.
이러한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기본적인 가열원리를 살펴보면, 가열 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자성체인 조리 용기 자체 유도(Induction) 가열에 의해 발열됨으로써 용기에 담긴 음식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가스의 연소가 필요 없어 연소 혼합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용기 자체에 즉각적으로 열이 발생함으로 열의 복사나 전도를 통한 전달 과정이 최소화되어 빠른 속도로 조리물을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다수의 가열 코일을 동시에 구동할 때 전력이 다량으로 소모됨에 따르는 연료 비용 증가 문제와, 가열 코일을 제어하는 회로의 발열 문제 등으로 인해 화력에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외에도 전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방식도 적요될 수 있는데, 이 역시 전력이 다량으로 소모되는 면이 있어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다소 불리하다.
한편 가스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조리기기로는 가스 레인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 레인지는 버너가 제품의 외부로 노출되어 화염이 직접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하는 오픈 플레임 타입과, 버너가 제품의 내부에 구비되며, 연소열을 이용하여 복사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복사체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복사파를 이용하여 조리물 도는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하는 라디언트 타입으로 나뉘어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9449호에는 케이스의 상면을 세라믹 플레이트가 차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세라믹 플레이트 하방의 케이스 내부 공간에는 가스의 공급에 의해 점화되는 버너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으며, 조작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가스 밸브를 개폐하여 화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열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라디언트 타입과 같이 가스를 사용하는 기술은, 연료의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조리에 사용하므로, 열에너지를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기보다 저가인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연료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열의 전달 경로가 유도가열 방식보다 길기 때문에, 유도 가열 조리기기와 대비하였을 때 조리물을 빠르게 가열하지 못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가스와 같은 연료를 연소하기 때문에 반드시 연소 배기가스가 발생한다. 그리고 연소시 발생하는 열의 양이 상당하기 때문에, 가스연소 방식의 조리기기는 조리에 사용되는 열 외의 나머지 열이 해당 발열부 주변의 온도를 높이므로, 가스연소 방식의 조리기기의 구조 설계시에는 이러한 열의 차단과 냉각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
유도 가열 방식과 연료 연소 방식의 조리기기는 어느 한 방식의 장점이 다른 방식의 단점을 보완해준다는 면에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서로 다른 가열 방식, 그리고 서로 다른 냉각 방식을 가지는 두 조리기기를 복합적으로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작하려다 보면, 기존에는 겪지 못했던 다양한 문제점을 접하게 된다.
가령, 서로 다른 가열 방식마다 그 가열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부품이나 구조물들이 다른데, 하나의 케이스에 2 이상의 서로 다른 가열 방식을 가지는 가열부를 설치하게 되면, 그만큼 많은 관련 부품을 케이스 내의 한정된 공간 내에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이들을 좁은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설계가 요구된다. 아울러 조립공정과 애프터서비스 등의 작업을 고려할 때 조립 분해 과정이 복잡해서는 아니 되므로, 각 구성 부품들 간의 연결 구조도 간결해야 한다.
또한 가스 연소 가열부에 공급되는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가스밸브가 전자식 제어 밸브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가스밸브를 제어하는 전자식 제어부와 연결된 배선이 가스 연소 가열부 주변의 고온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배선의 파손이 발생되어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스연소 가열 방식과 전기 가열 방식을 함께 구비하는 복합식 조리기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두 가열방식으로 작동하는 가열부의 각종 부품들을 좁은 공간 내에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복합식 조리기기 내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부품을 연결하는 배선을 고온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복합식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조리기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된 소정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면을 구비하는 상판부와;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하여 발생하는 열로 상기 상판부 상부를 가열하는 가스연소가열부와;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연소가열부와 다른 방식으로 상기 상판부 상부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와;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처리부와;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연소가열부에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조립체; 및 상기 전원처리부와 상기 밸브 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연소가열부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벽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배선은, 상기 전원처리부로부터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밸브 조립체와 연결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구간에서 상기 이격공간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배선은,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구간에서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선은, 상기 케이스의 측벽 내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에는, 상기 밸브 조립체와 상기 가스연소가열부 사이를 연결하는 개별가스배관이 설치되고, 상기 배선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별가스배관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별가스배관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측벽 내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영역에서 상기 밸브 조립체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밸브 조립체가 마련되는 영역을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상기 냉각팬에 의해 냉각되는 영역에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구분되고, 상기 전원처리부는,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케이스의 후방을 통해 인입되는 전원선과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방부에는, 상기 전원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작유닛이 마련되고,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제1영역에서 상기 케이스의 후방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배선은, 상기 조작유닛과 상기 밸브 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설치되되,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위치한 측벽과 상기 케이스의 측방에 위치한 측벽 및 상기 가스연소가열부로 둘러싸인 상기 이격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 조립체에 소정 압력의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공급부에서 연장된 가스배관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스연소가열부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와의 사이에 소정 간격의 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배선은,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구간에서 상기 유로공간을 통과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선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선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스연소가열부는, 상기 제1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가스의 연소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방출하는 적열플레이트, 및 연소된 배기가스가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 형성된 토출구 측으로 배출되는 경로를 규정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덕트는, 좌우방향 폭이 상기 적열플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며,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과 상기 배기덕트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선은, 상기 토출구 또는 배기덕트의 하부를 통과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식 조리기기에 따르면, 서로 다른 가열방식의 복수 개의 가열부가 설치됨으로 인해 비좁은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각 구성 부품들을 공간 활용도가 높도록 컴팩트하게 배치함으로써, 기기 전체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좁은 공간에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배치하고 연결한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 공정과 애프터서비스 등의 작업을 최대한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선이 가스연소가열부 주변 열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난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주변 부품들로부터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각 부품을 연결하는 배선을 고온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식 조리기기의 케이스와 상판 부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식 조리기기의 케이스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복합식 조리기기에서 가스연소가열부 및 제2가열부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유도가열부에 설치되는 중간판과 그 상부에 고정된 워킹코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복합식 조리기기에서 제2가열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복합식 조리기기의 외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조리기기의 케이스와 상판 부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전자부품인 노이즈필터PCB(88; 도 3 참조)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식 조리기기(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판부(2)와 본체부(3)로 구분될 수 있다. 본체부(3)는, 판상의 스틸 소재로 이루어진 케이스(50)의 내부에 복합식 조리기기(1)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구성들이 수용되어 이루어진다. 케이스(50)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저면부(51)의 네 모서리 단부에서 측면부(52), 정면부(53) 및 배면부(54)가 상향 절곡되어 상면이 오픈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50)의 개방된 상면에는, 상판부(2)가 덮여 고정된다. 상판부(2)의 넓이는, 저면부(51)의 넓이보다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복합식 조리기기(1)는, 싱크대의 상판에 마련되되, 상기 저면부(51)보다는 넓고 상판부(2)보다는 작은 크기의 개구에 얹어질 수 있다. 즉 저면부(51)보다 측방으로 더 외향 돌출되어 있는 상판부(2)의 저면이 상기 싱크대의 상판 개구 가장자리 상에 얹어지는 형태로 주방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2)는, 복합식 조리기기(1)가 싱크대의 상판에 장착된 상태에서, 싱크대의 개구를 차폐하며 상면으로 노출됨으로써 복합식 조리기기(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판부(2)는, 조리를 위한 용기와 식품이 올려 질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하는 탑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
또한 탑플레이트(20)의 후방에는, 본체부(3)의 내부 구성들을 냉각한 후 배출되는 공기나, 상기 본체부(3) 내에서 연소된 혼합가스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벤트부재(30)가 마련된다.
또한 상판부(2)는, 상기 탑플레이트와 벤트부재(30)를 고정하며 이들의 외측 테두리를 구성하는 상판프레임(10)을 포함한다.
[상판부의 구성]
상판부(2)는, 전체적인 상판부의 외측 테두리를 구성하는 상판프레임(10)과, 상기 상판프레임(10) 내측에 체결되는 탑플레이트(20)와, 상기 탑플레이트(20)의 후단부와 상기 상판프레임(10)의 후면부 사이에 마련되는 벤트부재(30)를 포함한다.
상판프레임(10)은, 상면부(11)와 측면부(12)가 절곡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들 중 상면부(11)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되고, 측면부(12)는 상기 상면부(11)의 외측 단부에서 하향 절곡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판프레임(10) 내에는 상기 탑플레이트(20)와 벤트부재(30)가 끼워져 고정되는데, 상기 탑플레이트(20)는 상판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고, 벤트부재(30)는 상기 상판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된다.
탑플레이트(20)는, 세라믹 글라스로 구성될 수 있고, 두께가 있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탑플레이트(20)의 전방부에는 상술한 케이스(50)의 전방부에 마련된 조작유닛(6)의 조작 부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조작부 표시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 표시는, 탑플레이트(20)의 상면에 인쇄되거나, 필름 형태로 부착되거나, 상기 조작유닛(6)이 노출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세라믹 글라스 부위가 투명 또는 반투명 형태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작 전에는 외부로 표시가 되지 않지만, 사용자가 근처를 터치하였을 때 세라믹 글라스의 저면으로부터 백라이트가 점등되어 조작부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20)의 조작부 표시부위 저면은, 조작유닛(6)의 상면과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유닛(6) 및 이와 밀착되는 탑플레이트(20) 부분은, 후술할 본체부(3)의 제1팬(96)의 공기 유동에 의해 냉각되어, 사용자가 탑플레이트(20)의 조작 영역을 터치하였을 때 뜨겁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플레이트(20)가 케이스(50) 상에 고정되었을 때, 후술할 본체부(3)의 버너(901,902)와 워킹코일(82)과 대응하는 탑플레이트(20) 위치에는, 해당 위치가 가열부 위치임을 표시하는 표식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표식은 버너의 가열부인지, 인버터 가열부인지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탑플레이트(20)의 상면 가장자리 중, 전방 쪽 가장자리와 두 측방 쪽 가장자리는 상기 상판프레임(10)의 상면부(11) 저면과 밀착 고정되고, 상기 탑플레이트(20)의 좌우측 및 전방측 측면은 상기 상판프레임(10)의 좌우측 및 전방측 측면부(12)의 내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들의 고정 방식은, 가령 탑플레이트(20)와 상판프레임(10) 사이에는 내열 실리콘 접착부재가 주입되어 이들을 상호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판프레임(10)의 내측 후방에는, 좌우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벤트부재(30)가 설치된다. 벤트부재(30)는 상판부(2)의 상방으로 약간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벤트부재(30)의 상부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트랙형 장공 형태의 배기공이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배기공은 피어싱 공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이때 피어싱 금형을 상부에서 하향하도록 작업하여 배기공의 내주면의 버(bur)가 하향하도록 함으로써 외관 품질을 높이고 날카로운 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판부(2)의 저면에는, 상기 케이스(50)의 측면부(52), 정면부(53) 및 배면부(54)와 대응하는 형태의 연결브래킷(미도시)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브래킷을 상기 케이스(50)의 측면부(52), 정면부(53) 및 배면부(54)에 고정함으로써, 상판부(2)를 케이스(50)에 고정할 수 있다.
[본체부 내부의 구성]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식 조리기기의 케이스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복합식 조리기기에서 가스연소가열부 및 제2가열부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복합식 조리기기(1)의 본체부(3)의 하우징으로서 기능을 하는 케이스(50)의 내부에는 케이스(50) 내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하여 발생하는 열로 상판부(2) 상부를 가열하는 가스연소가열부(9), 및 이와 다른 가열방식으로 상판부(2) 상부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 가령 유도가열부(8)가 내장된다. 케이스(50)의 수용공간은, 칸막이 기능을 하는 베리어(7)에 의해 가스연소가열부(9)를 위한 공간인 제1영역과 유도가열부(8)를 위한 공간인 제2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베리어(7)는 이 두 영역을 공간적으로 구획 격리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리어(7)의 밸브 조립체, 즉 제1영역에 위치하는 가스연소가열부(9)는, 공급되는 혼합가스의 연소가 일어나는 복수 개의 버너(901,902)와, 상기 버너(901,902)를 고정하며 수용하는 인슐레이터(94)를 포함한다. 즉 제1버너(901)와 제2버너(902)는, 상기 인슐레이터(94)에 수용되어 모듈화되어 있다. 그리고 모듈화된 인슐레이터(94)는, 상기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케이스(50)의 밸브 조립체 공간, 즉 제1영역에 수용된다.
제1버너(901)는 복합식 조리기기(1)의 전방 밸브 조립체에 위치하며, 제2버너(902)는 후방 중앙에 위치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조리기기(1)의 버너의 개수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가스연소가열부(9), 좀 더 구체적으로 제1버너(901)는, 케이스(50)의 측벽, 즉 케이스(50)의 측면부(52) 및 정면부(53)와의 사이에 소정 간격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케이스(50)의 측면부(52) 및 정면부(53)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버너(901)와 제2버너(902)에는, 가스가 공급된다. 가스는 케이스(50) 우측 후단부에 마련된 가스공급부(93)를 통해 복합식 조리기기(1) 내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스공급부(93)는 외부의 가스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가스를 버너(901,902)의 연소에 적합한 수준으로 감압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다른 예로서, 가스공급부(93)는, 복합식 조리기기(1) 내로의 가스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거버너 밸브(Governor valve)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레귤레이터와 거버너 밸브가 함께 마련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스공급부(93)를 통과한 가스는, 가스배관(41)을 따라 이동하여 케이스 좌측 후방부에 마련된 밸브 조립체(92)에 유입된다. 밸브 조립체(92)에 유입된 가스는, 분기되어 개별가스배관(42)을 통해 각 버너(901,902)로 독립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조립체(92)에서 공급된 가스는, 노즐(95)을 통해 각 버너(901,902)로 유입된다. 각 버너(901,902)의 노즐(95)을 통해 버너(901,902)에 가스가 주입될 때, 압력이 있는 가스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1차 공기가 가스와 혼합되며 버너(901,902) 내부로 함께 유입된다. 그리고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가스의 혼합가스는, 버너(901,902) 내에서 연소된다.
이처럼 상기 제1버너(901)와 제2버너(902)는, 각각 독립적으로 가스를 연소시키고, 가스의 연소열은 버너(901,902)의 적열플레이트(911,912)를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적열플레이트(911,912)는 고온으로 가열되면 상방을 향해 복사 열전달을 하게 된다.
제1버너(901)와 제2버너(902)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는, 인슐레이터(94)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배기덕트(91)를 따라 유동하여 배기덕트(91)의 단부에 개방된 토출구(910)를 통해 상향 배출된다.
이처럼 가스 연소열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된 버너(901,902)의 적열플레이트(911,912)와 버너(901,902)에서 연소된 고온의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배기덕트(91)를 포함하는 영역이 가스 연소로 발생하는 열로 고온이 되는 고온부, 즉 가스연소가열부(9)의 고온부가 된다.
상기 배기덕트(91)는, 연소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규정하고 있으므로, 고온의 연소 배기가스와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상당히 고온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처럼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상기 적열플레이트(911,912) 외의 다른 구성을 지나치게 승온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가스연소가열부(9) 쪽 공간에, 이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서는 상기 케이스(50)의 저면부(51)에 흡입 용량이 큰 박스팬 형태의 제1팬(96)이 설치된다.
한편, 각 버너(901,902)에 구비되는 적열플레이트(911,912)와 배기덕트(91)의 형상을 살펴보면, 적열플레이트(911,912)는 원형 형상으로 마련되고, 배기덕트(91)는 적열플레이트(911,912)로부터 토출구(910)를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가스연소가열부(9)에서 적열플레이트(911,912)의 사이즈는 버너(901,902)의 발열량을 좌우하는 요소 중 하나이므로, 가스연소가열부(9)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 적열플레이트(911,912)의 사이즈를 축소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더욱이 적열플레이트(911,912)가 원형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적열플레이트(911,912)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태로 적열플레이트(911,912)의 사이즈를 축소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적열플레이트(911,912)에 비해 형상 설계 자유도가 높은 배기덕트(91)의 형상을 적절한 형태로 선택함으로써, 케이스(50) 내에서 가스연소가열부(9)가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르면, 배기덕트(91),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버너(901) 측에 설치되는 배기덕트(91)에는 그 좌우방향 폭이 적열플레이트(911)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구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배기덕트(91)의 형상으로 인해, 케이스(50)의 측면부(52)와 배기덕트(9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케이스(50)의 좌측 후방부에 형성된 공간은 밸브 조립체(92)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스연소가열부(9)는 케이스(50)의 저면부(51)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즉 가스연소가열부(9)는, 각 버너(901,902)를 수용하는 인슐레이터(94)와 케이스(50)의 저면부(51) 사이에 소정 간격의 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케이스(50)의 저면부(51)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1팬(96)은, 이와 같이 인슐레이터(94)와 케이스(50)의 저면부(51) 사이에 형성된 유로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1팬(96)은, 케이스(50)의 외측 하부 공간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기를 상기 케이스(50) 내의 가스연소가열부(9) 쪽으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케이스(50)의 외측 하부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인슐레이터(94)와 케이스(50)의 저면부(51) 사이의 유로공간을 통해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복합식 조리기기(1)의 내부로 공급되며, 이와 같이 공급된 공기의 일부는 앞서 설명한 버너(901,902)의 노즐(95) 쪽에서 가스와 혼합되어 혼합가스를 만들기 위한 1차 공기로 공급된다. 나머지 공기의 대부분은, 인슐레이터(94)와 그 후방으로 연장된 배기덕트(91)의 외면과 접촉하며 인슐레이터(94)와 배기덕트(91)를 냉각하며 케이스(50) 후방에 마련된 토출구(910)를 통해 상향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1팬(96)을 통해 공급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수용부(55)에 수용되는 조작유닛(6)과도 접촉하며 이를 냉각한 후, 상기 토출구(910)로 이동하여 상향 배출된다.
참고적으로, 조작유닛(6)은 복합식 조리기기(1)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조작 방식은 터치 외에도 다양한 다른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94)의 배기덕트(91)를 통해 유동되어 나오는 배기가스와, 상기 케이스(50) 내의 가스연소가열부(9) 쪽 공간을 냉각하며 나오는 공기는, 토출구(910) 부근에서 혼합되며 상향 배출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50)의 좌측 후방부에는, 제1영역에서 케이스(50)의 후방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밸브 조립체(92)를 별도로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인 제2팬(97)이 설치된다. 크기는 작지만, 제2팬(97) 역시 제1팬(96)과 마찬가지로 박스 팬이 사용될 수 있다. 제2팬(97)에 의해 케이스(50) 외측 공간의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케이스(50)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벤트부재(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밸브 조립체(92)에는 가스의 분배와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밸브가 구비되는데, 이를 제어하기 위한 내부 구성이 전자 제어방식으로서, 열에 민감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 조립체(92)의 냉각을 위한 별도의 제2팬(97)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밸브 조립체(92)를 인슐레이터(94)와는 별도로 냉각하는 구조를 예시한다.
밸브 조립체(92)가 별도의 공간에 있다면, 제1팬(96)보다는 소형인 제2팬(97)만으로도 밸브 조립체(92)를 냉각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밸브 조립체(92)와 연소 가열 방식의 가열장치가 내장된 인슐레이터(94)는,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좌측 공간, 즉 제1영역에 함께 배치된다. 따라서 연소 가열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이 밸브 조립체(92)로 전달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 조립체(92)와 인슐레이터(94) 사이에 제2베리어(7-1)가 더 설치되는 구조가 예시된다. 밸브 조립체(92)와 인슐레이터(94) 사이에 제2베리어(7-1)가 설치되면, 밸브 조립체(92)가 설치된 공간이 인슐레이터(94)가 설치된 공간과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소 가열 방식의 가열장치에서 발생한 열이 대류나 복사 등을 통해 제2베리어(7-1)가 설치된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고, 이로써 밸브 조립체(92)의 냉각이 제2팬(97)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50) 내에서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우측 공간, 즉 제2영역에는 유도가열 방식으로 상판부(2) 상부를 가열하는 유도가열부(8) 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처리부가 마련된다. 유도가열부(8)는 케이스(50)의 우측 공간의 전방부에 마련되는 중간판(81) 상에 설치된 워킹코일(82) 및 케이스(50)의 저면부(51) 상에 설치되되 상기 중간판(81)의 하부에 마련된 공간에 마련되는 코일제어PCB(87)를 포함하고, 전원처리부는 케이스(50)의 우측 공간의 후방부에 마련된 수용부(56)의 저면부(51) 부분에 마련되는 노이즈필터PCB(8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도가열부(8)는, 워킹코일(82)의 전방에 위치하되 중간판(81) 상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할 수 있는 표시부(83)를 더 포함한다. 표시부(83)는 상기 워킹코일(82)이 작동할 때 상기 워킹코일이 작동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준다.
노이즈필터PCB(88)는 워킹코일(82)에 공급하고자 하는 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고, 코일제어PCB(87)는 워킹코일(82)의 동작을 제어한다. 코일제어PCB(87)에는 고발열칩의 일종인 IGBT(872)가 실장되는데, 이 칩은 온도 관리가 필요한 칩으로서,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과승되면 워킹코일(82)을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케이스(50)의 우측 전방에는 제3팬(85)이 설치된다. 상기 제3팬(85)은, 케이스(50)의 외부 공간의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후방으로 토출하는 시로코 팬일 수 있다.
시로코 팬을 통해 베리어(7)의 우측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먼저 IGBT(872) 칩 및 이를 냉각하기 위해 부착된 히트싱크(871)와 접촉하며 이들을 냉각하고, 그중 일부는 중간판(81)에 설치된 워킹코일(82)을 냉각하며, 또한 수용부(56)에 설치되어 있는 노이즈필터PCB(88) 부분을 냉각하며 케이스(50) 후단부에 도달하여 상향 배출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56)의 후방에는, 상술하였던 가스공급부(93)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3팬(85)에 의해 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가스공급부(93)도 냉각한 후 케이스(50) 외부로 배출된다.
제3팬(85)은 금속재질의 중간판(81)의 하부에 설치되고, 중간판(81)의 하부에 제3팬(85)의 토출구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토출구는 케이스(50)의 후방을 항하고 있다. 금속재질의 중간판(81)은 워킹코일(82)에 의한 EMI가 다른 전자부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가스 밸브와 가스배관의 설치 구조]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식 조리기기(1)의 케이스(50) 내부에는, 가스연소가열부(9)에 대한 가스 공급을 조절하는 가스공급부(93)와, 공급받은 가스를 각 버너(901,902)에 분기하여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밸브 조립체(92)가 설치된다.
가스공급부(93)가 가스연소가열부(9)에 대한 가스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거버너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가스공급부(93)와 밸브 조립체(92)는 모두 전자 제어방식으로 밸브의 개폐와 개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거버너 밸브와 밸브 조립체(92)는, 모두 냉각을 통해 전자 제어부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복합식 조리기기(1)의 가열구 중 가스연소가열부(9)는, 케이스(50)의 후방 중앙부와 전방 좌측에 설치되고, 이와 다른 가열방식인 유도가열부(8)는 케이스(50)의 우측에 설치된다. 발열량이 가장 많은 가스연소가열부(9)의 열기가 유도가열부(8) 쪽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두 가열부(8,9)가 설치되는 공간 사이에 이들을 공간적으로 격리하는 베리어(7)가 설치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가스연소가열부(9)는 공기와 가스가 혼합되어야 하는 공간의 확보가 필요하고, 이들 혼합가스가 연소될 수 있는 연소 공간의 크기가 발열량에 따라 더 켜져야 하므로, 이들을 구성하는 부속품의 사이즈를 축소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또한 거버너 밸브와 밸브 조립체(92)는 온도에 민감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연소가열부(9)와 구획된 공간인 유도가열부(8)의 설치공간에 거버너 밸브가 설치된다. 거버너 밸브는 베리어(7)에 의해 공간적으로 격리 내지 구획된 유도가열부(8)의 설치공간, 즉 제1영역의 후방에 위치하여 가스연소가열부(9)가 작동 중일 때 발생하는 열의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가스공급부(93)의 거버너 밸브는, 전자식 제어 밸브로서 가스배관(41) 및 개별가스배관(42)과 연결됨은 물론 전원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거버너 밸브를 케이스(50)의 후방 단부에 설치하면, 통상 케이스(50)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는 가스유입관 부분 및 전원선(882) 유입부와 가깝게 배치할 수 있어 가스 배관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전원선의 배선도 간단해진다.
거버너 밸브에서 가스연소가열부(9)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배관(41)은, 베리어(7)를 관통하여 가스공급부(93)로부터 가스연소가열부(9)로 연장된다. 베리어(7)는, 케이스(50)의 저면부(51)에서 상향 연장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격판(71)을 포함한다. 상기 격판(71)은, 그 하단부에 절곡 형성된 고정면(73)을 케이스 저면부(51)에 고정함으로써 케이스에 고정된다. 격판(71)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절곡부(7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스 배관(41)이 관통해야 하는 위치의 격판(71)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트여진 형태의 가스배관 통과홈(74)이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공급부(93)를 케이스 후방 우측에 설치하고 가스배관(41)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베리어(7)를 고정하면, 조립 과정이 번잡해지지 않으면서 가스공급부(93)를 유도가열부(8) 설치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가스연소가열부(9)에 연장된 가스배관(41)은, 가스연소가열부(9)에 배치된 밸브 조립체(92)에 연결된다. 밸브 조립체(92)는, 제2베리어(7-1)에 의해 가스연소가열부(9)로부터 구획된 공간에 설치되어, 가스연소가열부(9)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받는 영향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즉 밸브 조립체(92)는, 제2베리어(7-1)에 의해 둘러싸인 케이스(50)의 좌측 후단부에 설치되며, 별도의 팬(97)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스배관(41)은, 제2베리어(7-1)를 관통하여 밸브 조립체(92)에 연결될 수 있다.
밸브 조립체(92)는, 각 버너(901,902)로 공급하는 가스를 분기하여, 개별가스배관(42)을 통해 공급한다. 즉 밸브 조립체(92)에서 분기되어 나오는 개별가스배관(42)은, 제2베리어(7-1)를 관통하여 각 버너(901,902)로 연결된다. 제2베리어(7-1)를 관통하는 가스배관(41)과 개별가스배관(42)은, 제2베리어(7-1)의 상단부에 마련된 홈에 얹어진 형태로 제2베리어(7-1)에 의해 위치 규제되고 지지되며, 제2베리어(7-1)를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배관(41,42)보다 상기 제2베리어(7-1)가 먼저 설치되면, 배관(41,42)을 설치할 때 제2베리어(7-1)에 마련된 홈에 의해 배관(41,42)을 쉽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유도가열부의 구조 및 그 냉각 구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유도가열부에 설치되는 중간판과 그 상부에 고정된 워킹코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복합식 조리기기에서 제2가열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유도가열부(8)의 전방에는 케이스(50)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스(50) 내부에서 후방을 향해 토출하는 제3팬(85)이 설치된다. 제3팬(85)의 토출구는, 케이스(50)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케이스(50)의 전방에 가깝게 배치되되 케이스(50)의 후방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그리고 제3팬(85)은, 케이스(50) 내부에서 유도가열부(8)의 각 부품을 냉각하고 그 후방에 있는 공기공급부(93)를 냉각하며, 데워진 공기는 케이스(50)의 후방에서 벤트부재(30)를 통해 상방 배출되어 상기 케이스(50) 외부로 배출된다.
제3팬(85)의 바로 후방에는, 고발열칩인 IGBT(872)와 여기 부착된 히트싱크(871)가 실장된 코일제어PCB(87)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제3팬(85)에서 토출된 공기에 의해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상기 코일제어PCB(87)는, 노이즈필터PCB(88)보다 제3팬(85)의 토출구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특히 고발열칩(872)과 히트싱크(871)가 제3팬(85)의 토출구 바로 후방에 위치하면, 이들에 대한 냉각이 확실히 이루어져 워킹코일(82)에 대한 제어가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코일제어PCB(87)의 상부에는 이와 일정 간격을 두고 중간판(81)이 설치되며, 중간판(81) 상에는 워킹코일(82)이 고정된다. 즉 워킹코일(82)이 고정되어 있는 중간판(81)이 코일제어PCB(87)의 상부에 설치된다.
워킹코일(82)은, 원형의 코일설치베이스(821)를 구비한다. 코일설치베이스(821)에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코일(822)이 설치될 수 있는 나선형의 홈이 마련되고, 이 나선형의 홈에 코일(822)이 수용되며 코일설치베이스(821) 상부에 촘촘하게 감겨져 고정된다. 코일(822)의 단부에는, 상기 코일(822)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제어PCB(87)와 연결되는 코일연결배선(823)이 구비된다.
워킹코일(82)은, 코일설치베이스(821)에 위치가 정렬되며 고정된다. 그리고 중간판(82)의 가장자리부분에는, 코일연결배선(823)이 통과되어 중간판(81) 하부로 이어지도록 하는 통로가 되는 연결배선 통과홀(812)이 마련된다. 중간판(81)을 케이스(50)에 설치하였을 때, 상기 연결배선 통과홀(812)이 중간판(81) 하부에 설치된 코일제어PCB(87)의 배선 연결 부위와 가깝게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배선을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워킹코일(82)이 원형인 반면 상기 중간판(81)은 대략적으로 정사각형 형태이며, 그 꼭지점 부근에는 상기 중간판(91)을 구조물(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815)이 마련된다. 가령 고정홀(815)의 하부에는 코일스프링이 개재되고, 고정홀(815)과 코일스프링을 관통하여 케이스 저면부(51) 쪽에 핀을 고정함으로써, 중간판이 상방으로 탄성 가세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팬(85)의 적어도 일부는 중간판(81)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3팬(85)의 토출구는 케이스(50) 후방을 향하되, 중간판(81)의 하부 영역에 존재할 수 있다. 공간적인 여유가 있다면 중간판(81)의 전방에 제3팬(85)의 토출구를 두어 토출구의 공기가 중간판(81)의 전방에서 이미 중간판(81) 상부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서로 다른 가열 방식의 가열부가 설치되고, 또한 전방에 조작유닛(6)이 설치됨으로 인해 공간적 제약이 있다.
이러한 점에 기인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3팬(85)의 적어도 일부가 중간판(81)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제3팬(85)의 토출구가 중간판(81)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에서 토출된 공기는, 중간판(81)의 하부를 유동하며 케이스(50)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중간판(81)의 소정 위치에 공기 유동홀(813)이 마련되면, 이러한 공간적 제약 조건 하에서도 중간판(81)의 상부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제어PCB(87)의 후방이면서 상기 중간판(81)의 후방인 영역에는, 노이즈필터PCB(88)가 설치된다. 노이즈필터PCB(88)에 실장된 노이즈필터(881)는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노이즈필터PCB(88)는 전원선(882)에 가깝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식 조리기기의 설치 환경에서 전원선(882)은 케이스(50)의 후방을 통해 인입되므로, 상기 노이즈필터PCB(88)를 케이스(50)의 후방에 배치하면, 전원선(882)과 연결되는 노이즈필터PCB(88)에 대한 전원 배선을 더 간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필터PCB(88)를 상기 중간판(81)의 후방에 두면, 고주파가 발생하는 노이즈필터(881)와 워킹코일(82)의 EMI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노이즈필터(881)는 IGBT(872)와 대비하여 냉각이 그리 많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이를 상기 IGBT(872)보다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각 피냉각부품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중간판(81)의 전방 모서리에는 표시부(83)의 설치부(814)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는 중간판(81)의 판재를 "ㄱ"자 형태로 상향 절곡한 형상이다.
한편 상기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유도가열부(8) 설치 위치, 즉 제2영역의 후단부로서, 상기 노이즈필터PCB(88)의 후방에는, 상술한 가스공급부(93)가 설치된다. 따라서 가스공급부(93)는 제3팬(85)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유도가열부(8)는 전장 부품을 어느 정도 집적화하고 촘촘히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도가열부(8)가 설치되는 제1영역은 가스연소가열부(9)가 설치되는 제2영역보다는 상대적으로 공간적 여유가 있다. 따라서 가스공급부(93)를 제2영역에 배치하면, 보다 컴팩트한 배치 설계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가스공급부(93)가 거버너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형태인 경우, 가스공급부(93)의 거버너 밸브를 가장 후단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코일제어PCB(87)와 노이즈필터PCB(88)를 인접하여 배치할 수 있어 이들 간의 배선 연결 구조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조립 과정을 통해 설치된 유도가열부(8) 설치 공간 내에서 제3팬(85)에 의한 공기 유동을 살펴본다. 제3팬(85)에서 후방을 향해 토출되는 공기는, 중간판(81)의 하부 공간에서 IGBT(872)와 히트싱크(871)에 접촉하며 이들을 냉각시키고, 후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공기 유동은 공기 유동홀(813)이 마련된 중간판(81)의 하부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공기 유동홀(813)이 마련된 중간판(81)의 하부 영역을 유동하던 공기는 공기 유동홀(813)을 통해 중간판(81)의 상부 영역으로 이동한다.
한편 중간판(81)의 상부로 이동하지 않고 후방으로 이동하던 대부분의 기류는 중간판(81) 후방 영역을 지나며 넓어지는 유동단면적으로 퍼지면서 지속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류로 인해 중간판 상부 후방에는 음압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중간판(81) 상부에 있던 공기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팬(85)의 토출구 전방에는, 토출구에서 후방으로 강하게 토출되는 공기 유동에 의해 음압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중간판(81) 전방에 있던 공기가 중간판(81) 상부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중간판(81)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는 워킹코일(82)을 냉각하고, 중간판(81) 하부로 이동하는 공기는 광원이 실장된 PCB를 구비하여 발열이 일어나는 표시부(83)를 냉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판(81) 영역을 지나 후방으로 이동한 공기는, 노이즈필터PCB(88)에 실장된 노이즈필터(881)를 냉각하며 더 후방으로 이동하고, 케이스(50) 후단부에 마련된 가스공급부(93)를 냉각한 후 벤트부재(30)를 통해 케이스(5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칩(872)과 워킹코일(82)의 온도 제어는 유도가열부(8)의 작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제3팬(85)을 통해 이들을 우선적으로 냉각하고, 이어서 거버너 밸브가 구비된 가스공급부(93)를 냉각함으로써, 하나의 팬으로 두 구성의 작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배선의 배치 구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50)의 내부에는 전원처리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노이즈필터PCB(88)를 각종 전기부품, 예를 들면 워킹코일(88), 코일제어PCB(87), 팬(85,96,97), 표시부(83), 조작유닛(6), 밸브 조립체(92)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각종 배선이 마련된다.
이 중 제1영역에 위치한 구성들, 즉 워킹코일(88), 코일제어PCB(87), 팬(85,96,97), 표시부(83), 그리고 조작유닛(6)와 같은 구성들은, 노이즈필터PCB(88)와 그들 구성 사이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들에 의해 노이즈필터PCB(88)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제2영역에 위치한 구성들, 즉 제2팬(97), 밸브 조립체(92)와 같은 구성들은 제1영역에 위치한 구성들에 비해 노이즈필터PCB(88)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하며, 이러한 구성들은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좌우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배치된 조작유닛(6)으로부터 인출되는 배선(60)에 의해 노이즈필터PCB(8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영역에 위치한 제2팬(97)과 밸브 조립체(92)와 같은 구성들을 노이즈필터PCB(88)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60)의 최단 경로는, 가스연소가열부(9)를 가로지르는 경로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배선(60)의 배치 경로를 가스연소가열부(9)의 고온부의 상부 또는 하부를 가로지르는 경로, 예를 들면 버너(901,902)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는 경로, 또는 케이스(50)의 후방에 마련된 토출구(910) 또는 배기덕트(91)의 상부 또는 하부를 통과하는 경로를 따라 구성하게 되면, 배선(60)이 가스연소가열부(9) 주변, 즉 가스연소가열부(9)의 고온부의 고온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게 되고, 이는 배선의 파손이 발생되는 원인이 된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선(60)이 가스연소가열부(9)가 설치된 제1영역을 통과하여 밸브 조립체(92)와 연결되게 배치되되, 제1영역을 통과하는 구간에서 이격공간, 즉 케이스(50)의 측면부(52) 및 정면부(53)가 이루는 측벽과 제1버너(901)로 둘러싸인 공간을 통과함으로써 가스연소가열부(9)의 고온부를 회피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스(50)의 전방에 위치한 조작유닛(6)으로부터 인출되는 배선(60)은, 케이스(50)의 정면부(53)에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연장되고, 케이스(50)의 정면부(53)와 측면부(52)가 만나는 케이스(50)의 전방 모서리 부분에서 그 연장 방향이 변화되며 케이스(50)의 측면부(52)에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는 형태로 밸브 조립체(92)를 향해 연장된다.
즉 상기 배선(60)은, 케이스(50)의 정면부(53)와 측면부(52)가 이루는 측벽 내측에 인접하도록 케이스(50) 저면부(51)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배선(60)은, 가스연소가열부(9)가 설치된 제1영역을 통과하는 구간에서 가스연소가열부(9) 하부의 유로공간이나 케이스(50)의 후방에 마련된 토출구(910) 또는 배기덕트(91)의 하부를 통과하지 않으면서 조작유닛(6)과 밸브 조립체(92)를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가스연소가열부(9) 주변 열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난 경로를 따라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배선(60)이 배치되는 가스연소가열부(9)와 케이스(50)의 측벽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벨브 조립체(92)에서 분기되는 개별가스배관(42) 중 적어도 일부분이 케이스(50)의 측벽 내측에 인접하도록 케이스(50)의 저면부(51)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배선(54)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와 같이 배치된 개별가스배관(42)에 인접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 조립체(92)와 제1버너(901) 사이를 연결하는 개별가스배관(42)의 일부분이 케이스(50)의 측면부(52) 및 정면부(53)가 이루는 측벽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배선(60)은, 케이스(50)의 측면부(52) 및 정면부(53)가 이루는 측벽에 인접되게 배치되되, 상기와 같이 케이스(50)의 측벽에 인접되게 배치된 개별가스배관(42)의 일부분에 인접되게 배치된다.
개별가스배관(42)은 그 내부에 흐르는 가스로 인해 그 주변에 비해 낮은 온도를 유지하므로, 배선(60)은 이러한 개별가스배관(42)에 인접되게 배치됨으로써 개별가스배관(42)에 의한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선(60)은, 케이스(50)의 측면부(52)가 이루는 측벽에 인접된 위치에서 케이스(50)의 측면부(52)를 따라 연장되어 밸브 조립체(92)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조립체(92)는 제2베리어(7-1)에 의해 가스연소가열부(9)로부터 구획된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가스연소가열부(9)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받는 영향으로부터 차단되는 한편, 제2팬(97)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영역에 위치한다. 그리고 배선(60)은, 밸브조립체(92)와 인슐레이터(94) 사이에 설치된 제2베리어(7-1)를 통과하여 제2팬(97) 및 밸브 조립체(92)와 연결됨으로써, 이들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배선(60)의 일부분, 즉 제2베리어(7-1)를 통과하여 제2팬(97) 및 밸브 조립체(92)와 연결된 부분은 제2베리어(7-1)에 의해 가스연소가열부(9)로부터 구획된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2팬(97) 및 밸브 조립체(92)와 연결되는 배선(60)의 일부분이 가스연소가열부(9)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받는 영향으로부터 차단되는 한편, 제2팬(97)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배선(60)은 제2베리어(7-1)에 의한 열 차단 효과 및 제2팬(97)에 의한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고, 특히 배선(60)과 제2팬(97) 및 밸브 조립체(92) 간의 접속 부분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어 전기 접속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단부재(6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열차단부재(65)는, 배선(60)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가스연소가열부(9)에서 배선(60) 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한다. 이러한 열차단부재(65)는, 유연한 단열 재질의 시트가 배선(60)의 외측에 감겨 고정되는 형태로 배선(6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배선(60)의 길이방향 전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배선(60)과 가스연소가열부(9) 간의 거리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까운 일부분에만 설치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열차단부재(65)는, 가스연소가열부(9)에서 배선(60) 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배선(6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조립 공정이나 애프터서비스 등의 작업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파손 위험으로부터 배선(60)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 복합식 조리기기
2 : 상판부
3 : 본체부
6 : 조작유닛
7 : 베리어
7-1 : 제2베리어
8 : 유도가열부
9 : 가스연소가열부
10 : 상판프레임
20 : 탑플레이트(세라믹글라스)
30 : 벤트부재
41 : 가스배관
42 : 개별가스배관
50 : 케이스
51 : 저면부
52 : 측면부
53 : 정면부
54 : 배면부
56 : 노이즈필터PCB 수용부
60 : 배선
66 : 열차단부재
71 : 격판
72 : 절곡부
73 : 고정면
74 : 가스배관 통과홈
81 : 중간판
812 : 연결배선 통과홀
813 : 공기 유동홀
814 : 표시부 설치부
815 : 고정홀
82 : 워킹코일
821 : 코일설치베이스
822 : 코일
823 : 코일연결배선
83 : 표시부
85 : 제3팬
87 : 코일제어PCB
871 : 히트싱크
872 : IGBT
88 : 노이즈필터PCB
881 : 노이즈필터
882 : 전원선
883 : 웨이퍼
884 : 커넥터
901 : 제1버너
902 : 제2버너
911,912 : 적열플레이트
91 : 배기덕트
910 : 토출구
92 : 밸브 조립체
93: 가스공급부
94 : 인슐레이터
95 : 노즐
96 : 제1팬
97 : 제2팬

Claims (12)

  1. 상부가 개방되고,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된 소정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면을 구비하는 상판부;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하여 발생하는 열로 상기 상판부 상부를 가열하는 가스연소가열부;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연소가열부와 다른 방식으로 상기 상판부 상부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처리부;
    상기 제1영역에서 상기 케이스의 후방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스연소가열부에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조립체;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밸브 조립체에 소정 압력의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 및
    상기 전원처리부와 상기 밸브 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연소가열부는, 가스 연소로 발생하는 열로 고온이 되는 고온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측벽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벽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배선은, 상기 전원처리부로부터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밸브 조립체와 연결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구간에서 상기 고온부를 회피하여 상기 이격공간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구간에서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상기 케이스의 측벽 내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에는, 상기 밸브 조립체와 상기 가스연소가열부 사이를 연결하는 개별가스배관이 설치되고,
    상기 배선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별가스배관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가스배관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측벽 내측에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게 배치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서 상기 밸브 조립체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밸브 조립체가 마련되는 영역을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상기 냉각팬에 의해 냉각되는 영역에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구분되고,
    상기 전원처리부는, 상기 제2영역에서 상기 케이스의 후방을 통해 인입되는 전원선과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방부에는, 상기 전원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작유닛이 마련되고,
    상기 배선은, 상기 조작유닛과 상기 밸브 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설치되되,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위치한 측벽과 상기 케이스의 측방에 위치한 측벽 및 상기 가스연소가열부로 둘러싸인 상기 이격공간에 배치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연소가열부는
    제1버너와 제2버너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버너와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버너는 상기 케이스의 후방 중앙에 배치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연소가열부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와의 사이에 소정 간격의 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배선은,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하는 구간에서 상기 유로공간을 통과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선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복합식 조리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연소가열부의 고온부는, 상기 제1영역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가스의 연소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방출하는 적열플레이트, 및 연소된 배기가스가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 형성된 토출구 측으로 배출되는 경로를 규정하며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덕트는, 좌우방향 폭이 상기 적열플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며,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과 상기 배기덕트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상기 토출구 또는 배기덕트의 하부를 통과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KR1020160125010A 2016-09-28 2016-09-28 복합식 조리기기 KR101939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10A KR101939440B1 (ko) 2016-09-28 2016-09-28 복합식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10A KR101939440B1 (ko) 2016-09-28 2016-09-28 복합식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038A KR20180035038A (ko) 2018-04-05
KR101939440B1 true KR101939440B1 (ko) 2019-01-16

Family

ID=6197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010A KR101939440B1 (ko) 2016-09-28 2016-09-28 복합식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4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877B1 (ko) * 2002-07-26 2004-07-0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의 냉각구조
KR100604135B1 (ko) 2003-08-08 2006-07-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렌지
KR100829628B1 (ko) * 2007-01-23 200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조리기기
CN201141644Y (zh) * 2007-09-29 2008-10-29 胡述斌 一种电磁炉与燃气灶组合的燃气调节器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771B1 (ko) * 2010-02-01 201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877B1 (ko) * 2002-07-26 2004-07-0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의 냉각구조
KR100604135B1 (ko) 2003-08-08 2006-07-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렌지
KR100829628B1 (ko) * 2007-01-23 200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조리기기
CN201141644Y (zh) * 2007-09-29 2008-10-29 胡述斌 一种电磁炉与燃气灶组合的燃气调节器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038A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412B1 (ko) 유도가열부를 포함하는 복합식 조리기기
EP3288338B1 (en) Cooktop having a vent
CN106500135B (zh) 燃气烹饪设备
US20190170358A1 (en) Combination type cooker
KR101935486B1 (ko) 조리기기
KR101931413B1 (ko) 워킹코일 냉각구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150137755A (ko) 조리기기
KR101878048B1 (ko) 쿡탑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851865B1 (ko) 복합식 조리기기
KR102481604B1 (ko) 복합식 조리기기
KR101713436B1 (ko) 가스 조리기기
KR101939440B1 (ko) 복합식 조리기기
KR101870526B1 (ko) 복합식 조리기기
KR101864489B1 (ko) 조작유닛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1705462B1 (ko) 가스 조리기기
KR101867176B1 (ko) 조리기기
KR101930065B1 (ko) 조작유닛의 냉각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1864488B1 (ko) 가이드 덕트가 통합된 팬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1867177B1 (ko) 복합식 조리기기
KR101732266B1 (ko) 가스 조리기기
KR101851863B1 (ko) 패킹부재가 설치된 복합식 조리기기
KR102481609B1 (ko) 조작유닛의 냉각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1864495B1 (ko) 안정적인 상하이동이 가능한 조작유닛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1735199B1 (ko) 가스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