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392A - 트레이로 구성된 관련 지원 요소들로부터, 병으로 된 제약 용기들을 추출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이로 구성된 관련 지원 요소들로부터, 병으로 된 제약 용기들을 추출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392A
KR20210021392A KR1020217001699A KR20217001699A KR20210021392A KR 20210021392 A KR20210021392 A KR 20210021392A KR 1020217001699 A KR1020217001699 A KR 1020217001699A KR 20217001699 A KR20217001699 A KR 20217001699A KR 20210021392 A KR20210021392 A KR 20210021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ction plate
operating position
bottles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리오 애나트리니
Original Assignee
마르체시니 그룹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르체시니 그룹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마르체시니 그룹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210021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03Filling medical containers such as ampoules, vials, syrin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5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027Packaging in aseptic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4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incorporating rotary and rectilinear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5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otary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44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트레이(V)에서 입구들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열된 트레이(V)로부터 병들(F)을 추출하기 위한 장치(100)가 다음을 포함한다: 레스트 스테이션(S)에서 트레이들을 정지시키기 위한 전진 라인(L); 핸들링 기구(M); 병들(F)의 픽업 및 이송 스테이션(1). 픽업 및 이송 스테이션(1)은 다음을 포함한다: 내부에 병들(F)을 수용하고 유지하기 위한 흡입 시트들(31)이 있는 흡입 플레이트(3); 폼 커플링에 의해 흡입 플레이트(3)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11) 및 하우징(11)에 흡입 플레이트(3)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19)을 갖는 프레임(10). 프레임(10)은 레스트 스테이션(S)에 근접한 제 1 작동 위치(P1), 및 핸들링 기구(M)에 근접한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할 수 있도록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파지 및 이동 수단(40)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것은 흡입 플레이트(3)를 픽업 및 이동시켜서 트레이(V) 위에 흡입 플레이트(3)를 포지셔닝함으로써 병들(F)이 흡입 플레이트(3)의 시트들(31)에 수용되도록 하고 흡입 플레이트(3)를 상승시킨다. 시트들(31)에서의 흡입에 의해 병들(F)을 유지한 다음, 제 1 작동 위치(P1)에 포지셔닝된 프레임(10)의 하우징(11)에 흡입 플레이트(3)를 포지셔닝한다. 따라서 프레임(10)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작동함으로써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되고, 이에 따라 관련 입구들이 위쪽을 향하게 되도록 병들(F)이 배열되어 핸들링 기구(M)가 이 병들(F)을 픽업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트레이로 구성된 관련 지원 요소들로부터, 병으로 된 제약 용기들을 추출하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은 병들인 관련 용기들에서의 제약 물질 또는 제품 패킹에 관한 특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충전 대상인 병들과 같은 제약 용기들은, 일반적으로 일련의 그룹으로 미리 배치되어 관련 지지 요소들에 삽입된 후에 멸균 패키지들 내부에 패킹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후에 이 멸균 패키지들은 제약 물질 또는 제품으로 용기를 채우고 나서 후속 폐쇄를 수행하기 위한 기계들을 사용하는 제약 생산자에게 공급된다.
본 발명은 특히 트레이로 구성되는 관련 지지 요소로들부터, 병들인 제약 용기들을 추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들로 구성되는 피충전 제약 용기들의 경우, 병들은 제약 물질 또는 제품을 삽입하기 위한 관련 입구들이 트레이의 바닥을 향하게 되는, 관련 트레이들의 내부에 여러 줄로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병들이 내부에 배열되는 트레이들은, 보호 필름에 의해 덮여진 다음 하나 이상의 케이스 내부에 멸균 상태로 패킹된다.
이러한 패킹 방식은 병들의 무결성을 보존하고, 외부 작용제에 의한 오염 가능성을 방지하는데 필요하다.
제약 생산자는 이러한 유형의 멸균 패키지들을 건네 받게 되며, 병들이 트레이에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케이스를 개방하고 밀봉 필름을 제거하여 팩들을 개봉해야 한다.
그 이후에 트레이들에서 병들을 추출하고 병들을 채우고 밀봉하기 위한 특수 작업 스테이션들로 이송하는 작업들은 무균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관련 트레이들에서 병들을 추출한 후 충전 스테이션으로 이송하는 작업들은 특별한 주의 및 신중을 기해야 하며, 가능한 한 회피를 행하고 최소한 피할 수 있도록 하는 비침습적 방식으로, 오염 원인에 노출될 수 있는 병들의 모든 상황이나 움직임을 수행해야 한다.
더욱이, 특정한 경우에는, 트레이들에서 추출되고 나서 충전 스테이션으로 이송되기 전에, 병들은 관련 입구들이 위쪽을 향하게 되도록 배열되도록 기울여져야 한다.
이러한 특별한 작업은 가능한 오염 원인에 병들을 노출시킴 없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수행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련 입구가 트레이들의 바닥을 향하게 되도록 병들이 배열된 트레이들로 구성된 관련 지지 요소들로부터 병들인 제약 용기들을 추출하는 장치를 설명하는 것이며, 병들이 오염 위험에 노출되지 않거나 최소한의 위험에만 노출되도록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입구들이 위쪽을 향하게 되도록 병을 기울이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트레이들로 구성된 관련 지지 요소들로부터 병들인 제약 용기들을 추출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장치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유리한 양태들은 청구항 1에 종속하는 다양한 청구항들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의 그 입구들이 트레이의 바닥을 향하게 병들이 배열된 트레이에 의해 구성된 관련 지지 요소들로부터, 병들인 제약 용기들을 추출하기 위한 장치의 바람직한,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은 실시예의 특징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다.
- 도 1은 작동하지 않는 위치에서, 그 입구들이 트레이들의 바닥을 향하는 관련 트레이들에 배열된 병들인 제약 용기들을 추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 도 2 내지 도 15는 충전 스테이션(본 발명의 목적이 아닌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으로 이송하기 전에, 관련 트레이들로부터 병들을 추출하고 병들을 기울여서 관련 입구들이 위쪽을 향하도록 병들을 배열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의 가능한 연속적인 작동 단계들을 개략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참조 번호(100)는 본 발명의 목적인, 트레이(V)로 구성되는 관련 지지 요소(E)로부터, 병들(F)인, 피충전 제약 용기들을 추출하는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낸다.
장치(100)는 병들(F)인, 피충전 제약 용기들의 추출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 병들(F)은 제약 물질 또는 제품의 삽입을 위한 관련 입구들이 트레이(V)의 바닥을 향하게 되는 트레이(V)에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트레이(V)에 의해 구성되는 이러한 타입의 지지 요소들(E)과, 관련 입구들이 트레이(V)의 바닥을 향하는 병들(F)의 배열을 사용하여, 관련 입구들이 위를 향하게 이들을 배열함으로써, 충전 및 폐쇄 스테이션들로 쉽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들을 기울일 수 있는 방식으로 병들을 핸들링하는 것에 의해 추출 작업들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병 기울임을 포함하는 이러한 작업들은, 병들을 가능한 가장 적은 수의 오염 원인에 노출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오염 원인에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는 방식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장치(100)는, 병들(F)이 내부에 있는 트레이들(V)을 전진시키고, 레스트 스테이션(rest station)(S)에서 트레이들을 정지시키기 위한 전진 라인(advancement line)(L); 핸들링 기구(M), 및 레스트 스테이션(S)의 전진 라인(L)에 의해 포지셔닝된 트레이(V)로부터 병들(F)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 및 이송 스테이션(1)을 포함한다.
특히, 픽업 및 이송 스테이션(1)은 복수의 시트(seat)들(31)의 관련 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 플레이트(3)를 포함하며, 시트들(31) 각각은 내부에 병(F) 본체의 바닥과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흡입 플레이트(3)에 있는 시트들(31)이 자세히 보이는 도 13 및 14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시트들(31)은 트레이들(V)에 존재하는 병들(F)의 배열에 대응하는 배열로 제 2 흡입 플레이트(3)의 면에 미리 배치되며, 각각의 시트들(31)은 흡입 작용을 발휘하기 위해, 흡입 소스(35)에 연결되도록 미리 배치되고 구성된다.
픽업 및 이송 스테이션(1)은 폼 커플링(form coupling)에 의해 제 2 흡입 플레이트(3)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과 치수를 갖는 스루-하우징(through-housing)(11)을 갖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10)을 더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전진 라인(L)의 레스트 스테이션(S) 근처의, 제 1 작동 위치(P1)(도 1 내지 도 6 및 도 15 참조), 및 핸들링 기구(M) 근처의 제 2 작동 위치(P2)(도 7 내지 도 14 참조)에 포지셔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작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미리 배치된다.
또한, 픽업 및 이송 스테이션(1)은 흡입 플레이트(3)를 픽업하고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미리 배치된, 흡입 플레이트(3)를 파지 및 이동하기 위한 파지 및 이동 수단(40)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전진 라인(L)의 레스트 스테이션(S)에 트레이(V)가 포지셔닝되고 프레임(10)이 제 1 작동 위치(P1)에 포지셔닝되는 경우(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시퀀스 참조), 파지 및 이동 수단들(40)이 흡입 플레이트(3)를 픽업 및 이동시킬 수 있게 작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흡입 플레이트(3)를 트레이(V) 위에 포지셔닝하고 흡입 플레이트(3)를 트레이(V)쪽으로 내려서 그 안에 있는 병들(F)이 흡입 플레이트(3)의 시트들(31)에 수용되어, 이러한 방식으로 병들(F)을 시트들(31)에서의 흡입에 의해 유지한 다음, 시트들(31)에서의 흡입에 의해 병들(F)이 유지된 상태로 흡입 플레이트(3)를 들어 올리고, 프레임(10)의 스루-하우징(11)에 흡입 플레이트(3)를 포지셔닝하며 이에 따라 시트들(31)에서의 흡입에 의해 유지된 병들(F)이, 그 입구들이 아래쪽을 향하게 되도록 돌려진다(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시퀀스 참조).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들(19)이 또한 존재하며, 이들은 일단 하우징(11)에 포지셔닝되고 나면 흡입 플레이트(3)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미리 배치된다.
픽업 및 이송 스테이션(1)은 또한 프레임(10)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파지 및 이동 수단들(40)이 하우징(11)에 흡입 플레이트(3)를 포지셔닝 및 해제하고 나서, 이들의 거리가 멀어지면(도 5 및 도 6 참조), 프레임(10)은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되는 방식으로 회전축(R1)(도 7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11)에 의해 지지된 흡입 플레이트(3)가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함으로써, 프레임(10)이 제 2 작동 위치(P2)에 있을 때(도 8 참조) 관련 입구들이 위쪽을 향하게 되도록 관련 시트들(31)에 보유된 병들(F)이 배열된다.
마지막으로, 핸들링 기구(M)는 병들(F)을 파지, 핸들링, 이동 및 해제하도록 미리 배치되고 구성되며, 이에 따라 프레임(10)이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되고 관련 하우징(11)이 흡입 플레이트(3)를 지지하고 관련 시트들(31) 내의 병들(F)이 위쪽을 향하는 관련 입구들을 가지는 경우(도 8에 도시된 상황), 핸들링 기구(M)가 작동됨으로써 병 그룹(F)을 파지하여 흡입 플레이트(3)의 시트들(31)로부터 병들(F)을 추출하고, 흡입 플레이트(3)의 시트들(31)로부터 모든 병들(F)을 제거할 때까지 위의 작업들을 반복할 수 있다(도 9 내지 도 13의 시퀀스 참조).
특히, 핸들링 기구(M)는 흡입 플레이트(3)의 시트들(31)에서 시시각각으로 병 그룹(F), 예를 들어 전체 열의 병들(F)을 픽업하고, 제약 제품 또는 물질로 충전을 수행하기 위해 미리 배치된 충전 스테이션(본 발명의 일부가 아니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항상 입구들이 위쪽을 향하도록 유지하면서 이 그룹들을 이동시키도록 미리 배치되고 구성된다.
병들의 본체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형상과 치수를 가지며, 트레이들의 내부에 있는 병들에 대응하는 배열로 배치되는 흡입 시트들(31)이 있는 흡입 플레이트(3)의 사용으로 인해, 장치(100)는 파지 및 이동 수단(40)에 의해 수행되는 흡입 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해 트레이들로부터 병들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폼 커플링에 의해, 병들(F)을 보유하는 관련 시트들(31)과 함께 흡입 플레이트(3)를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11)을 갖는 프레임(10)으로 인해, 장치는 단순히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프레임(10)을 회전하는 것만으로, 모든 병들을 동시에 기울이고, 이들을 관련 입구들이 위쪽을 향하게 되도록 배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의 하우징에 포지셔닝된 흡입 플레이트의 흡입 시트들에서, 흡입에 의해 유지되어 안정된 병들이 동시에 모두 기울여질 수 있으며, 단일의 병 또는 병 그룹을 기울이기 위해 픽업 및 이동해야 했고, 트레이를 완전히 비울 때까지 이러한 작업을 반복해야 했던 병 파지 및 이동 수단들 또는 기구들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 하우징, 그리고 트레이로부터 추출되는 모든 병들을 흡입에 의해 유지하는 흡입 시트들이 있는 흡입 플레이트의 조합 사용으로 인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간단한 프레임의 회전(및 이에 따른 관련 하우징에 포함된 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모든 병들의 기울임을 동시에 추출 및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레임(10)을 제 1 작동 위치(P1)에서 핸들링 기구(M) 근처의 제 2 작동 위치(P2)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핸들링 기구(M)의 근처의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된 프레임(10)의 하우징(11)으로 이동된 흡입 플레이트(3)의 시트들(31)에 포함된 모든 병들(F)은 관련 입구들이 위쪽을 향하게 되도록 배열되고, 이에 따라 빠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핸들링 기구(M)가 흡입 플레이트에서 병 그룹들을 픽업하여 충전 스테이션(미도시)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되며, 병들의 추가 배향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의 다른 유리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프레임(10)은 제 1 작동 위치(P1)에서 제 2 작동 위치(P2)로 이동하기 위해 미리 고정된 회전 방향을 갖는 곡선 궤적에 따라 회전축(R1)을 중심으로 작동됨으로써 프레임(10)(따라서 흡입에 의해 병들(F)을 유지하는 관련 시트들(31)이 있는 흡입 플레이트(3))이 먼저 전진 라인(L)에 대해 상승한 다음 하강하게 되고, 동시에 회전축(R1)에 대해 기울어짐으로써(도 7에 도시된 상황) 핸들링 기구(M)에 근접한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되도록 구성되고 미리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작동 위치(P2)에 있을 때 병들(F)은 입구들이 위쪽을 향하게 되도록 배열된다(도 8 참조).
또한, 프레임(10)은, 제 2 작동 위치(P2)에서 제 1 작동 위치(P1)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핸들링 기구(M)가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된 프레임(10)의 하우징(11)에 의해 지지된 흡입 플레이트(3)로부터 모든 병들(F)을 수집한 후, 프레임(10)이 곡선 궤적에 따른 미리 고정된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축(R1)을 중심으로 작동되어 프레임(10)(및 따라서 비어 있는 흡입 플레이트(3))이 먼저 하강한 다음 상승하고, 동시에 회전축(R1)에 대해 기울어짐으로써(도 14에 도시된 상황), 전진 라인(L)의 레스트 스테이션(S)에 근접한 제 1 작동 위치(P1)에 포지셔닝되도록(도 15 및 도 1 참조) 구성되고 미리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관련 하우징(11)에 유지되는 비워진 흡입 플레이트(3)를 가진 프레임(10)이 제 1 작동 위치(P1)로 되돌아가는 경우(도 15 및 도 1), 흡입 플레이트(3)의 시트들(31)이 아래쪽을 향하게 되며, 이에 따라 파지 및 이동 수단(40)이 흡입 플레이트(3)를 수집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도 2 참조), 결과적으로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19)에 의해 흡입 플레이트(3)가 해제되어, 흡입 플레이트(3)를 상승시켜서 흡입 플레이트(3)를, 전진 라인(L)에 의해 레스트 스테이션(S)에 포지셔닝된 충전될 병들(F)(도 3 참조)이 들어 있는 새 트레이(V) 위에 포지셔닝할 수 있다.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19)은 유리하게는 프레임(10)이 제 1 작동 위치(P1)에서 제 2 작동 위치(P2)로 이동하는 동안, 프레임(10)이 제 2 작동 위치(P2)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레임(10)이 제 2 작동 위치(P2)에서 제 1 작동 위치(P1)로 이동하는 동안, 프레임(10)의 하우징(11)에 흡입 플레이트(3)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파지 및 이동 수단(40)에 의해 흡입 플레이트(3)가 수집되고 파지 및 이동 수단(40)이 하우징(11)에서 흡입 플레이트(3)를 상승시키고 나면, 병들(F)이 비워진 흡입 플레이트(3)를 가진 프레임(10)이 제 1 작동 위치(P1)로 되돌아갈 때에 흡입 플레이트(3)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과 흡입 플레이트 사이의 커플링이 항상 보장되며, 파지 및 이동 수단(40)이 제 2 흡입 플레이트를 파지하고 제 2 프레임으로부터 그것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만, 제 2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19)이 제 2 흡입 플레이트(3)를 해제함으로써 파지 및 이동 수단(40)에 의한 상승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예를 들어 도 7 참조)에 따르면,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19)은 하우징(11)의 횡방향 에지(transversal edge)들에 근접한 프레임(10)에 존재하는 특수 니치(niche)들(191)에 미리 배치된 원통형 핀들(19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원통형 핀들(190)은 흡입 플레이트(3)가 하우징(11)에 포지셔닝될 때, 흡입 플레이트(3)의 횡방향 에지들에 있는 해당 구멍들 또는 슬롯들(도면들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푸셔 스프링(192)의 작용을 받아 하우징(11)쪽으로 눌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푸셔 스프링들(192)은 디스크(195)를 지탱하는 스핀들(194)에 의해 원통형 핀들(190)에 작용한다.
파지 및 이동 수단(40)은 디스크(195)를 내부에 수용하는 것과 같은 시트를 가지며 또한 푸셔 스프링들의 밀어냄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디스크(195)를 이동시키는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 포크 요소(fork element)들(196)로 구성된 푸셔 스프링들(192)의 비활성화 수단(196)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지 및 이동 수단(40)이 하강하여 프레임(10)의 하우징(11)에 있는 흡입 플레이트(3)를 픽업하는 경우(예를 들면, 도 5 참조), 포크 요소들(196)이 디스크(195)와 커플링되어 푸셔 스프링들이 원통형 핀들에 작용하는 추력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강제함으로써, 원통형 핀들이 프레임(10)의 횡방향 에지들에서 후퇴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흡입 플레이트(3)의 슬롯들 또는 구멍들에서 분리되어, 프레임(10)에서 디커플링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파지 및 이동 수단(40)은, 제 2 프레임(10)으로부터 제 2 흡입 플레이트(3)를 상승시킬 수 있다.
병들(F)이 트레이(V)로부터 픽업되고 난 후에 파지 및 이동 수단(40)이 프레임(10)의 하우징(11)에 흡입 플레이트(3)를 재포지셔닝할 경우 동일한 상황이 동일한 방식으로 반복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프레임(10)이 한 쌍의 암(15)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한 쌍의 암(15)은 관련 지지 요소들(1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한 쌍의 암(15)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지지 요소들(16)에 대해 회전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요소들(16)에 대한 한 쌍의 암(15)의 회전에 의해서, 프레임(10)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작동되어 제 1 작동 위치(P1)에서 제 2 작동 위치(P2)로 이동 및 기울어질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이지 않은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파지 및 이동 수단(40)이 흡입 컵 수단(41)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이 흡입 컵 수단(41)은 가동 암(43)에 의해 공간에 작동 가능하고 이동될 수 있는 지지 구조(42)에 의해 지지된다.
특히, 파지 및 이동 수단(40)은 병들이 수집되고 난 후 트레이로부터 프레임의 하우징으로 이동하는 동안 흡입 플레이트(3)를 최대한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제 2 흡입 플레이트(3)의 횡방향 에지들을 따라 존재하는 커플링 시트들(46)과 커플링되도록 예정된 후크 파지 수단(hook gripping means)(45)을 더 포함한다.
프레임(10)의 하우징(11)에서의 흡입 플레이트(3)의 포지셔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레임(10)의 하우징(11)에서 흡입 플레이트(3)를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한 센터링 수단(50)이 존재한다.
센터링 수단(50)은 흡입 플레이트(3)가 하강하여 프레임(10)의 하우징(11)에 포지셔닝될 경우에, 원통형 요소들(52)이 삽입되어 시트들(51)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들에, 관련 횡방향 에지들(또는 종방향 에지들)에서 흡입 플레이트(3)에 의해 지지되는 원통형 요소들(52)을 내부적으로 수용하도록 의도된 하우징(11)의 횡방향 에지들(또는 종방향 에지들)을 따라 구현되는 특수 시트들(5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보다 특별하게 유리한 것은 다음과 같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는 픽업 및 이송 스테이션(1)이 또한 제 2 흡입 플레이트(6) 및 제 2 프레임(20)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제 2 흡입 플레이트(6)는 그 각각이 병(F) 본체의 바닥 및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시트들(61)의 관련 면 상에 제공된다.
흡입 플레이트(3)의 시트들(31)과 마찬가지로, 제 2 흡입 플레이트(6)의 복수의 시트들(61)은 트레이들(V)에 존재하는 병들(F)의 배열에 상응하는 배열로 제 2 흡입 플레이트(6)의 면에 미리 배치되며, 각 시트들(61)은 흡입 작용을 발휘하도록 흡입 소스(65)에 연결되도록 미리 배치되고 구성된다.
또한, 제 2 프레임(20)은 폼 커플링에 의해서,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 및 치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루-하우징(21)을 갖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특히, 제 2 프레임(20)은 프레임(10)과 동시에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 및 배치되며, 이에 따라 프레임(10)이 제 1 작동 위치(P1)에 포지셔닝되는 경우, 제 2 프레임(20)이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프레임(10)이 제 1 작동 위치(P1)에 포지셔닝되는 경우, 제 2 프레임(20)은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된다.
제 2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29)이 또한 제공되어, 구성 및 미리 배치됨으로써 제 2 프레임(20)의 하우징(21)에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러한 두 개의 프레임 및 두 개의 흡입 플레이트가 있는 장치의 특정 셋업을 통해, 핸들링 기구는 제 2 작동 위치에 고정된 관련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흡입 플레이트를 비우고 피충전 병들을 충전 스테이션으로 이송시키는 한편, 다른 흡입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전진 라인에 의해 레스트 스테이션으로 가져온 다른 트레이에서 병들을 추출하고, 병들이 있는 다른 흡입 플레이트를 제 1 작동 위치에 고정된 다른 프레임의 하우징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실제에 있어서는, 이러한 장치의 세부 구성을 통해, 흡입 플레이트(3)가 병들(F)을 포함하는 관련 시트들(31)과 함께 포지셔닝되는 관련 하우징(11)에 의해서 프레임(10)이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되고 핸들링 기구(M)가 작동됨으로써 병들(F)을 수집하는 경우, 제 2 프레임(20)은, 관련 하우징(21)과 함께 제 2 흡입 플레이트(6)가 제 1 작동 위치(P1)에 포지셔닝된다(도 8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파지 및 이동 수단(40)은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수집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 2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29)에 의한 제 2 흡입 플레이트(6)의 해제로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상승 및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지 및 이동 수단(40)은 그동안 레스트 스테이션(S)에서 전진 라인(L)에 의해 포지셔닝되는, 피충전 병들(F)을 포함하는 다른 트레이(V) 위에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포지셔닝할 수 있으며,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트레이(V)쪽으로 하강시킴으로써 그 안에 있는 병들(F)이 제 2 흡입 플레이트(6)의 시트들(61)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병들(F)이 시트들(61)에서의 흡입에 의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파지 및 이동 수단(40)은 시트들(61)에서의 흡입에 의해 유지되는 병들(F)을 가진 제 2 흡입 플레이트를 상승시켜서, 제 2 프레임(20)의 스루-하우징(21)에 제 2 흡입 플레이트(3)를 포지셔닝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트들(61)에서의 흡입에 의해 유지되는 병들(F)을, 그 입구들이 아래쪽를 향하게 되도록 회전시킨다(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시퀀스).
대신에, 관련 하우징(11)에 의해 지지된 흡입 플레이트(3)에서 병들(F)이 비워지고 나서, 프레임(10)이 제 1 작동 위치(P1)에 새롭게 포지셔닝되도록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작동되는 경우, 제 2 프레임(20)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동시에 작동됨으로써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하우징(21)에 의해 지지된 제 2 흡입 플레이트(6)가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 2 프레임(20)이 제 2 작동 위치(P2)(도 14 및 도 15 참조)에 있을 때 관련 입구들이 위쪽을 향하도록 관련 시트들(61)에 보유된 병들(F)이 배열된다(도 14 및 도 15 참조).
따라서 핸들링 기구(M)는 제 2 흡입 플레이트(6)로부터 병 그룹들(F)을 추출하여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비우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20)은 또한 유리하게는 지지 요소들(16)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암(15)에 의해 지지되고, 한 쌍의 암(15)은 회전축(R1)을 중심으로 지지 요소들(16)에 대해 회전적으로 작동됨으로써 프레임(10)과 제 2 프레임(20)을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동시에 작동시켜서 프레임(10)을 제 1 작동 위치(P1)로부터 제 2 작동 위치(P2)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제 2 프레임(20)을 제 2 작동 위치(P2)로부터 제 1 작동 위치(P1)로 이동시키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특히, 제 2 프레임(20)은 프레임(10)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되어 미리 고정된 회전 방향의 곡선 궤적을 따라 제 1 작동 위치(P1)로부터 제 2 작동 위치(P2)로 이동됨으로써 먼저 상승한 다음 하강하고, 동시에 회전축(R1)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경우, 제 2 프레임(20)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되어 미리 고정된 회전 방향에서 곡선 궤적을 따라 제 2 작동 위치(P2)로부터 제 1 작동 위치(P1)로 이동됨으로써 제 2 흡입 플레이트(61)가 먼저 하강한 다음 상승되고, 동시에 회전축(R1)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방식으로(도 7 및 도 8 참조) 한 쌍의 암(15)에 의해 지지된다.
반대로, 프레임(10)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되어 미리 고정된 회전 방향에서 곡선 궤적을 따라 제 2 작동 위치(P2)로부터 제 1 작동 위치(P1)로 이동됨으로써 프레임(10)(및 따라서 병들이 비워진 흡입 플레이트(3))이 먼저 하강한 다음 상승하고, 동시에 회전축(R1)에 대하여 기울어져서, 전진 라인(L)의 레스트 스테이션(S)에 근접한 제 1 작동 위치(P1)에 포지셔닝되는 경우, 제 2 프레임(20)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되어 미리 고정된 회전 방향에서 곡선 궤적을 따라 제 1 작동 위치(P1)로부터 제 2 작동 위치(P2)로 이동됨으로써 제 2 프레임(20)(및 따라서 관련 흡입 시트들(61)에 유지된 병들(F)을 포함하는 제 2 흡입 플레이트(6))이 먼저 하강한 다음 상승하고, 동시에 회전축(R1)에 대하여 기울어지며, 이에 따라 그것이 제 2 작동 위치(P2)에 있는 경우, 그 입구들이 위쪽을 향하도록 병들(F)이 배열된다(도 14 및 도 15 참조).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19)과 같은 제 2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29)은 제 1 작동 위치(P1)로부터 제 2 작동 위치(P2)로 제 2 프레임(20)이 이동하는 중에, 및 제 2 프레임(20)이 제 2 작동 위치(P2)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는 제 2 작동 위치(P2)로부터 제 1 작동 위치(P1)로 제 2 프레임(20)이 이동하는 동안에, 제 2 프레임(20)의 하우징(21)에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제 2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29)은 병들(F)이 비워진 제 2 흡입 플레이트(6)와 함께 제 2 프레임(20)이 제 1 작동 위치(P1)로 되돌아갈 때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해제하도록 더 구성되며, 파지 및 이동 수단(40)은, 제 2 흡입 플레이트(6)가 수집되고 나면, 제 2 프레임(20)의 하우징(21)으로부터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상승시켜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2 프레임(20)과 제 2 흡입 플레이트(6) 사이의 커플링이 항상 보장되며, 파지 및 이동 수단(40)이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파지하고 그것을 제 2 프레임(20)으로부터 상승시켜야 하는 경우에만, 제 2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29)이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해제함으로써 파지 및 이동 수단(40)에 의한 상승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예를 들어, 도 14 참조)에서, 제 2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29)은 하우징(21)의 횡방향 에지들에 근접한 제 2 프레임(20)에 있는 특수 니치들(291)에 미리 배치된 원통형 핀들(29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원통형 핀들(290)이 하우징(21)을 향해 눌려있는 푸셔 스프링들(292)의 작용을 받음으로서, 제 2 흡입 플레이트(6)가 포지셔닝될 때, 제 2 흡입 플레이트(6)의 횡방향 에지들에 존재하는 대응하는 구멍들 또는 슬롯들(도면들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된다.
푸셔 스프링들(292)은 디스크(295)를 지탱하는 스핀들(294)에 의해 원통형 핀들(290)에 작용한다.
파지 및 이동 수단(4)의 전술한 포크 요소들(196)의 시트는 제 2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29)의 디스크(295)를 내부에 수용하며 또한 시트가 디스크(295)와 커플링되면 푸셔 스프링들(292)의 밀어냄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디스크(295)를 이동시키는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지 및 이동 수단(40)이 하강하여 제 2 프레임(20)의 하우징(21)에 존재하는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픽업할 때(예를 들어 도 12 참조), 포크 요소들(196)이 디스크(295)와 커플링되고 푸셔 스프링들(292)이 원통형 핀들(290)에 작용하는 추력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강제하여, 원통형 핀들(290)이 제 2 프레임(20)의 횡방향 에지들로부터 후퇴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프레임(20)으로부터 디커플링되는 제 2 흡입 플레이트(6)의 슬롯들 또는 구멍들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파지 및 이동 수단(40)은 제 2 프레임(20)으로부터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상승시킬 수 있다.
병들(F)이 트레이(V)로부터 픽업되고 난 후에 파지 및 이동 수단(40)이 제 2 프레임(20)의 하우징(21)에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포지셔닝할 때 동일한 상황이 동일하게 반복된다(도 12 참조).
제 2 흡입 플레이트(6)와, 제 2 흡입 플레이트(6)에 직접 작용하는 흡입 컵 수단(41)을 파지하기 위해, 파지 및 이동 수단(40)의 후크 파지 수단(45)이 제 2 흡입 플레이트(6)의 횡방향 에지들을 따라 존재하는 특수 커플링 시트들(47)과 커플링되도록 의도된다(예를 들면, 도 12 참조).
제 2 프레임(20)의 하우징(21)에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 2 센터링 수단(70)이 또한 존재한다(예를 들어 도 9, 10 및 12 참조).
제 2 센터링 수단(70)은 제 2 흡입 플레이트(6)가 하강하여 하우징(21)에 포지셔닝될 경우에, 원통형 요소들(72)이 삽입되어 시트들(71)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들에, 관련 횡방향 에지들(또는 종방향 에지들)에서 제 2 흡입 플레이트(6)에 의해 지지되는 원통형 요소들(72)을 내부적으로 수용하도록 의도된 제 2 프레임(20)의 하우징(21)의 횡방향 에지들(또는 종방향 에지들)을 따라 구현되는 특수 시트들(7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두 개의 프레임과 두 개의 흡입 판을 갖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장치의 기능의 가능한 작동 시퀀스이며, 이 두 개의 프레임 각각에는 폼 커플링에 의해, 해당 흡입 플레이트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 및 치수를 갖는 관련 하우징이 제공된다.
작동 시퀀스는 도 1에 도시된 시작 상황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는 전진 라인(L)이 전진하고, 레스트 스테이션(S)에서 정지되며, 피충전 병들(F)을 포함하는 트레이(V)는 관련 입구들이 트레이(V)의 바닥쪽을 향하게 되도록 배열된다.
업스트림에서, 전진 라인(L)에 포지셔닝되기 전에, 트레이들(V)이 팩들(케이싱들)에서 적절하게 추출되었으며 병들을 보호하기 위해 이들을 덮는 필름을 제거했다.
프레임(10)은 제 1 작동 위치(P1)에 있고 흡입 플레이트(3)는 프레임(10)의 하우징(11)에 포지셔닝되며,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19)은 흡입 플레이트(3) 및 프레임(10)에 커플링되어 구속한다.
제 2 프레임(20)은 제 2 작동 위치(P2)에 있고 제 2 흡입 플레이트(6)는 제 2 프레임(20)의 하우징(21)에 포지셔닝되며, 제 2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29)은 제 2 흡입 플레이트(6) 및 제 2 프레임(20)에 커플링되어 구속한다.
파지 및 이동 수단(40)은 프레임(10)(도 2)의 하우징(11)으로부터 제 2 흡입 플레이트(3)를 픽업하고, 그것을 레스트 스테이션(S)에서 트레이(V) 위에 이송하며 그것을 트레이(V)쪽을 하강시킴으로써 병들(F)이 흡입 플레이트(3)의 흡입 시트들(31)에 삽입되도록 하는 방식(도 3)으로 이동 및 작동된다.
파지 및 이동 수단(40)이 하강되어 프레임(10)(도 2)에서 제 2 흡입 플레이트(3)를 픽업하는 경우, 포크 요소들(196)이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19)의 디스크(195)와 커플링되고, 그들을 후퇴시킴으로써 원통형 핀들(190)이 후퇴하게 하여 흡입 플레이트(3)에서 분리 및 해제시킨다.
파지 및 이동 수단(40)은 트레이(V)에서 추출한 병들(F)(도 4)을 포함하는 흡입 플레이트(3)를 관련 시트(31)에서 상승시킨 다음 이송하고, 흡입 플레이트(3)를 제 1 작동 위치(P1)에 여전히 고정된 프레임(10)의 하우징(11)에서 새롭게 포지셔닝한 다음(도 5), 흡입 플레이트(3)를 해제하고 멀리 이동시킨다(도 6).
파지 및 이동 수단(40)이 하강하여 프레임(10)의 하우징(11)에서 병들(F)을 담고 있는 흡입 플레이트(3)를 재포지셔닝하는 경우, 포크 요소들(196)이 디스크(195)와 새롭게 커플링됨으로써 원통형 핀들(190)을 후퇴시키고 하우징(11)에 흡입 플레이트(3)를 포지셔닝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흡입 플레이트(3)가 제 1 작동 위치(P1)에 고정된 제 2 프레임(10)의 하우징(11)에 재포지셔닝된 상태에서, 병들(F)이 제 2 흡입 플레이트(3)의 시트들(31)에서 흡입에 의해 유지되며, 관련 입구들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흡입 플레이트(3)로부터 파지 및 이동 수단(40)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포크 요소들(196)이 디스크(195)로부터 분리되고 원통형 핀들(190)이 스프링들(192)에 의해 밀려남으로써 흡입 플레이트(3)의 횡방향 에지들에 있는 슬롯들/구멍들(첨부 도면들에서는 보이지 않음)에 삽입되어 커플링되고, 이에 따라 흡입 플레이트(3)를 프레임(10)에 차단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프레임(10)과 제 2 프레임(20)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됨으로써, 프레임(10)이 먼저 상승한 다음 하강하고, 제 2 프레임(20)이 먼저 하강한 다음 상승하며, 동시에 회전축(R1)에 대하여 기울여져서 각각 제 2 작동 위치(P2) 및 제 1 작동 위치(P1)에 포지셔닝된다(도 7 및 도 8을 참조하도록 하며, 이 도면들에서는 관련 시트들(31)에서 병들(F)을 지지하는 흡입 플레이트(3)가 있는 프레임(10)이 핸들링 기구(M)에 근접한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되고 제 2 흡입 플레이트(6) 및 관련 빈 시트들(61)이 있는 제 2 프레임(20)이 레스트 스테이션(S)에 근접한 제 1 작동 위치(P1)에 있게 된다).
따라서 흡입 플레이트(3)의 시트들(31)에 포함된 병들(F)은,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을 수행하여 프레임(10)이 회전축(R1)에 대해서도 기울어짐에 따라, 관련 입구들이 위쪽을 향하게 배열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프레임의 이러한 회전 및 이동을 수행하기 위해, 한 쌍의 암(15)이 회전 가능하게 구속되는 두 개의 지지 요소(16)에 대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된다.
그 동안 전진 라인(L)이, 충전되어 레스트 스테이션(S)에서 그 입구들이 트레이(V)의 바닥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병들(F)이 들어 있는 또 다른 트레이(V)를 전진시키게 된다(도 9).
이 시점에서, 핸들링 기구(M)가 제 2 작동 위치(P2)에 고정된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되는 흡입 플레이트(3)의 시트들(31)에서 병 그룹들(F)을 픽업하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파지 및 이동 수단(40)이 작동되어 제 1 작동 위치(P1)에 고정된 제 2 프레임(20)의 하우징(21)으로부터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픽업할 수 있으며(도 10), 그것을 레스트 스테이션(S)의 트레이(V) 위에 포지셔닝하고 트레이(V)쪽으로 하강시킴으로써 병들(F)이 제 2 흡입 플레이트(6)의 시트들(61)에서의 흡입에 의해 수용 및 유지되도록 한다(도 11).
따라서 파지 및 이동 수단(40)이 트레이(V)에서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픽업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흡입 플레이트(6)의 흡입 시트들(61)에 의해 수용 및 유지된 병(F)들이 트레이로부터 추출되고, 여전히 제 1 작동 위치(P1)에 고정된, 제 2 프레임(20)의 하우징(21)에 새로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포지셔닝하도록 작동됨으로써(도 12)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도 13).
따라서 제 2 흡입 플레이트(6)의 시트들(61)에서 흡입에 의해 유지되는 병들(F)은 관련 입구들이 아래쪽을 향하게 되도록 배열된다.
제 2 프레임(2)의 하우징(21)에서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상승 및 재포지셔닝하기 위해,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19)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29)이 포크 요소들(196)과 관련 디스크들(295)의 커플링 덕분에 작동 해제/작동된다.
흡입 플레이트(3)의 시트들(31)이 핸들링 기구(M)에 의해 완전히 비워지고 그 안에 있던 병들(F)이 모두 충전 스테이션으로 이송되고 나면, 프레임(10) 및 제 2 프레임(20)이 항상 동일한 미리 정해진 회전 방향에서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되고 회전축(R1)에 대해 기울어지며(한 쌍의 암(15)이 두 개의 지지 요소(16)에 대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됨)(도 14 참조), 이것은 비워진 플레이트(3)를 가진 프레임(10)이 제 1 작동 위치(P1)에 새롭게 포지셔닝되고 흡입에 의해 병들(F)을 유지하는 관련 흡입 시트들(61)을 구비한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가진 프레임(10)이 핸들링 기구(M)에 근접한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될 때까지 이루어진다(도 15 참조).
따라서 제 2 흡입 플레이트(6)의 시트들(61)에 포함된 병들(F)은 관련 입구들이 위쪽을 향하게 되도록 배열된다.
이 상황에 도달하면(도 15), 핸들링 기구(M)는 제 2 작동 위치(P2)에 고정된 제 2 프레임(20)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흡입 플레이트(6)의 시트들(61)에서 병 그룹들(F)을 픽업하기 시작하며, 파지 및 이동 수단(40)이 작동됨으로써 제 1 작동 위치(P1)에 고정된 프레임(10)의 하우징(11)에서 빈 흡입 플레이트(3)를 픽업할 수 있으며 또한 그 동안 레스트 스테이션(S)에 포지셔닝된, 피충전 병들(F)이 있는 새로운 트레이(V) 위에 흡입 플레이트(3)를 이송 및 재포지셔닝함으로써, 그 트레이로부터 병들을 픽업하고 위에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Claims (14)

  1. 트레이(tray)(V)에 의해 구성되는 관련 지지 요소들(E)로부터 병들(F)과 같은, 피충전 제약 용기들을 추출하기 위한 장치(100)로서, 상기 병들(F)은 제약 물질 또는 제품의 삽입을 위한 관련 입구들이 상기 트레이(V)의 바닥쪽을 향하게 되도록 상기 트레이(V)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100)는,
    내부에 상기 병들(F)이 있는 상기 트레이들(V)을 전진시키며, 또한 레스트 스테이션(rest station)(S)에서 상기 트레이들을 정지시키기 위한 전진 라인(L);
    핸들링 기구(handling organ)(M);
    상기 레스트 스테이션(S)에서 상기 전진 라인(L)에 의해 포지셔닝되는 상기 트레이(V)로부터 상기 병들(F)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 및 이송 스테이션(1)을 포함하며,
    상기 픽업 및 이송 스테이션(1)은 유리하게는,
    그 각각이 병(F) 본체의 바닥 및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시트들(31)의 관련 면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 플레이트(3) - 상기 복수의 시트들(31)은 상기 트레이들(V)에 존재하는 상기 병들(F)의 배열에 대응하는 배열로 상기 흡입 플레이트(3)의 상기 면 상에 미리 배치되고, 상기 시트들(31) 각각은 흡입 소스(35)에 연결됨으로써 흡입 작용을 발휘하도록 미리 배치되고 구성됨 -,
    폼 커플링(form coupling) 의해,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수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모양과 치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루-하우징(through-housing)(11)을 갖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10) -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됨으로써 상기 전진 라인(L)의 상기 레스트 스테이션(S)에 근접한 제 1 작동 위치(P1)에, 및 상기 핸들링 기구(M)에 근접한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 가능한 방식으로 미리 배치되고; 상기 흡입 플레이트(3)의 파지 및 이동 수단(40)은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픽업 및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미리 배치되고, 상기 파지 및 이동 수단(40)은 트레이(V)가 상기 전진 라인(L)의 상기 레스트 스테이션(S)에 포지셔닝되고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제 1 작동 위치(P1)에 포지셔닝되는 경우에 작동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수집 및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상기 트레이(V) 위에 포지셔닝하고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상기 트레이(V)쪽으로 하강시킴으로써 그 안에 존재하는 상기 병들(F)이 상기 흡입 플레이트(3)의 상기 시트들(31)에 수용하고, 이것은 상기 병들(F)이 상기 시트들(31)에서 흡입에 의해 유지된 다음 상기 시트들(31)에서 흡입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병들(F)을 가진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상승시키며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스루-하우징(11)에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포지셔닝하여 상기 시트들(31)에서 흡입에 의해 유지된 상기 병들(F)은 그 입구들이 아래쪽을 향하게 되도록 회전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 -,
    상기 하우징(11)에 포지셔닝되고 나면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미리 배치되는,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19)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파지 및 이동 수단(40)이 상기 하우징(11)에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포지셔닝 및 해제하고 나면, 상기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에 의해 지지된 상기 흡입 플레이트(3)가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을 수행하여 상기 관련 시트들(31)에 유지된 상기 병들(F)은,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제 2 작동 위치(P2)에 있을 때 상기 관련 입구들이 위쪽을 향하게 되도록 배열되는 방식으로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상기 핸들링 기구(M)는 상기 병들(F)을 파지, 핸들링, 이동 및 해제하도록 미리 배치되고 구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관련 시트들(31)에 상기 병들(F)을 갖는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지지하는 상기 관련 하우징(11)과 함께 상기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되었을 때, 상기 핸들링 기구(M)는 병 그룹(F)을 파지하여 상기 흡입 플레이트(3)의 상기 시트들(31)로부터 상기 병들(F)을 추출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 플레이트(3)의 상기 시트들(31)로부터 모든 병들(F)을 제거할 때까지 상기한 동작들을 반복하는, 장치(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제 1 작동 위치(P1)로부터 상기 제 2 작동 위치(P2)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미리 고정된 회전 방향을 갖는 곡선 궤적에 따라 회전축(R1)을 중심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10), 따라서 흡입에 의해 상기 병들(F)을 유지하는 상기 관련 시트들(31)을 가진 상기 흡입 플레이트(3)가 먼저 상기 전진 라인(L)에 대해 상승한 다음 하강하고, 동시에 회전축(R1)에 대하여 기울어짐으로써, 상기 핸들링 기구(M)에 근접한 상기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작동 위치(P2)에 있을 때, 상기 병들(F)은 그 입구들이 위쪽을 향하게 되도록 배열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미리 배치되는, 장치(1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제 2 작동 위치(P2)로부터 상기 제 1 작동 위치(P1)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핸들링 기구(M)가 상기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된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하우징(11)에 의해 지지된 상기 흡입 플레이트(3)로부터 모든 병들(F)을 수집한 후, 상기 프레임(10)이 곡선 궤적을 따른 상기 미리 고정된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축(R1)을 중심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10), 따라서 상기 비어있는 흡입 플레이트(3)가 먼저 하강한 다음 상승하고, 동시에 회전축(R1)에 대해 기울어짐으로써, 상기 전진 라인(L)의 상기 레스트 스테이션(S)에 근접한 상기 제 1 작동 위치(P1)에 포지셔닝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파지 및 이동 수단(40)은, 상기 관련 하우징(11)에 유지된 상기 비어있는 흡입 플레이트(3)를 가진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제 1 작동 위치(P1)로 되돌아갈 때,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수집하며 또한, 결과적으로 상기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19)에 의해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해제시켜서,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상승시키고 그동안 상기 전진 라인(L)에 의해 상기 레스트 스테이션(S)에 포지셔닝된 피충전 병들(F)을 포함하는 새로운 트레이(V) 위에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포지셔닝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미리 배치되는, 장치(1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19)은, 상기 제 1 작동 위치(P1)로부터 상기 제 2 작동 위치(P2)로의 상기 프레임(10)의 이동 중에,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제 2 작동 위치(P2)에 고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 2 작동 위치(P2)로부터 상기 제 1 작동 위치(P1)로의 상기 프레임(10)의 이동 중에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하우징(11)에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파지 및 이동 수단(40)에 의해 상기 흡입 플레이트(3)가 수집되고 상기 파지 및 이동 수단(40)이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상승시키고 나면, 상기 병들(F)이 비워진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가진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제 1 작동 위치(P1)로 되돌아갈 때에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해제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10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이 한 쌍의 암(1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암(15)은 관련 지지 요소들(1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암(15)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 요소들(16)에 대해 회전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 요소들(16)에 대한 상기 한 쌍의 암(15)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10)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제 1 작동 위치(P1)로부터 상기 제 2 작동 위치(P2)로 이동 및 기울어질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한, 장치(10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및 이동 수단(40)은 흡입 컵 수단(41)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컵 수단(41)은 가동 암(43)에 의해 공간에서 작동 가능하고 이동될 수 있는 지지 구조(42)에 의해 지지되는, 장치(10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및 이동 수단(40)은 상기 흡입 플레이트(3)의 횡방향 에지(transversal edge)들을 따라 존재하는 커플링 시트들(46)과 커플링되도록 예정된 후크 파지 수단(hook gripping means)(45)을 더 포함하는, 장치(100).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하우징(11)에 상기 흡입 플레이트(3)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센터링 수단(centring means)(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0).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및 이송 스테이션(1)은,
    그 각각이 병(F)의 본체의 바닥 및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시트들(61)의 관련 면 상에 제공되는 제 2 흡입 플레이트(6) - 상기 복수의 시트들(61)은 상기 트레이들(V)에 존재하는 상기 병들(F)의 배열에 대응하는 배열로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의 상기 면에 미리 배치되며, 상기 시트들(61) 각각은 흡입 작용을 발휘하도록 흡입 소스(65)에 연결되도록 미리 배치되고 구성됨 -;
    폼 커플링에 의해서,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수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형상 및 치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루-하우징(21)을 갖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제 2 프레임(20) - 상기 제 2 프레임(20)은 상기 프레임(10)과 동시에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제 1 작동 위치(P1)에 포지셔닝되는 경우, 제 2 프레임(20)이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되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며,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제 1 작동 위치(P1)에 포지셔닝되는 경우, 상기 제 2 프레임(20)은 상기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됨 -,
    상기 제 2 프레임(20)의 상기 하우징(21)에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미리 배치되는 제 2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29)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흡입 플레이트(3)가 상기 병들(F)을 포함하는 관련 시트들(31)과 함께 포지셔닝되는 상기 관련 하우징(11)을 가진 프레임(10)이 상기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셔닝되고 상기 핸들링 기구(M)가 작동됨으로써 상기 병들(F)을 수집하는 경우, 제 2 프레임(20)은, 상기 관련 하우징(21)과 함께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가 상기 제 1 작동 위치(P1)에 포지셔닝되고 이에 따라 상기 파지 및 이동 수단(40)은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수집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제 2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29)에 의한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의 해제로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상승 및 이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그동안 상기 레스트 스테이션(S)에서 상기 전진 라인(L)에 의해 포지셔닝되는, 피충전 병들(F)을 포함하는 다른 트레이(V) 위에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포지셔닝할 수 있고,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상기 트레이(V)쪽으로 하강시킴으로써 그 안에 있는 상기 병들(F)이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의 상기 시트들(61)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병들(F)이 상기 시트들(61)에서의 흡입에 의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그 후에 상기 시트들(61)에서의 흡입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병들(F)을 가진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를 상승시켜서, 상기 제 2 프레임(20)의 상기 스루-하우징(21)에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3)를 포지셔닝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시트들(61)에서의 흡입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병들(F)이, 그 입구들이 아래쪽를 향하게 되도록 회전되고;
    상기 관련 하우징(11)에 의해 지지된 상기 흡입 플레이트(3)에서 상기 병들(F)이 비워지고 나서,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제 1 작동 위치(P1)에 새롭게 포지셔닝되도록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작동되는 경우, 상기 제 2 프레임(20)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동시에 작동됨으로써 상기 제 2 작동 위치(P2)에 포지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관련 하우징(21)에 의해 지지된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가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제 2 프레임(20)이 상기 제 2 작동 위치(P2)에 있을 때 상기 관련 입구들이 위쪽을 향하도록 상기 관련 시트들(61)에 유지된 상기 병들(F)이 배열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핸들링 기구(M)가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비우게 될 때까지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로부터 병 그룹들(F)을 추출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장치(100).
  10. 제 9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20)은 또한 상기 지지 요소들(16)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한 쌍의 암(1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암(15)은 회전축(R1)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 요소들(16)에 대해 회전적으로 작동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제 2 프레임(20)을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동시에 작동시켜서 상기 프레임(10)을 상기 제 1 작동 위치(P1)로부터 T아기 제 2 작동 위치(P2)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제 2 프레임(20)을 상기 제 2 작동 위치(P2)로부터 상기 제 1 작동 위치(P1)로 이동시키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한, 장치(10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20)은 상기 프레임(10)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되어 상기 미리 고정된 회전 방향의 곡선 궤적을 따라 상기 제 1 작동 위치(P1)로부터 상기 제 2 작동 위치(P2)로 이동됨으로써 먼저 상승한 다음 하강하고, 동시에 회전축(R1)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제 2 프레임(20)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되어 상기 미리 고정된 회전 방향에서 곡선 궤적을 따라 상기 제 2 작동 위치(P2)로부터 상기 제 1 작동 위치(P1)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 2 프레임(20), 따라서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1)가 먼저 하강한 다음 상승되고, 동시에 회전축(R1)에 대하여 기울어지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며, 상기 프레임(10)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되어 상기 미리 고정된 회전 방향에서 곡선 궤적을 따라 상기 제 2 작동 위치(P2)로부터 상기 제 1 작동 위치(P1)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 및 따라서 상기 병들이 비워진 흡입 플레이트(3)가 먼저 하강한 다음 상승하고, 동시에 회전축(R1)에 대하여 기울어져서, 상기 전진 라인(L)의 상기 레스트 스테이션(S)에 근접한 상기 제 1 작동 위치(P1)에 포지셔닝되는 경우, 상기 제 2 프레임(20)이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되어 상기 미리 고정된 회전 방향에서 곡선 궤적을 따라 상기 제 1 작동 위치(P1)로부터 상기 제 2 작동 위치(P2)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 2 프레임(20), 및 따라서 상기 관련 흡입 시트들(61)에 유지된 상기 병들(F)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가 먼저 하강한 다음 상승하고, 동시에 회전축(R1)에 대하여 기울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작동 위치(P2)에 있는 경우, 그 입구들이 위쪽을 향하도록 상기 병들(F)이 배열되는 방식으로 상기 한 쌍의 암(15)에 의해 지지되는, 장치(100).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해제 가능한 커플링 수단(29)은 상기 제 1 작동 위치(P1)로부터 상기 제 2 작동 위치(P2)로의 상기 프레임(20)의 이동 중에, 및 상기 제 2 프레임(20)이 상기 제 2 작동 위치(P2)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작동 위치(P2)로부터 상기 제 1 작동 위치(P1)로의 제 2 프레임(20)의 이동 중에, 상기 제 2 프레임(20)의 상기 하우징(21)에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병들(F)이 비워진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가진 상기 제 2 프레임(20)이 상기 제 1 작동 위치(P1)로 되돌아갈 때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파지 및 이동 수단(40)은,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가 수집되고 나면, 상기 제 2 프레임(20)의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를 상승시켜야 하는, 장치(100).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및 이동 수단(40)의 상기 후크 파지 수단(45)은 또한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의 상기 횡방향 에지들을 따라 존재하는 커플링 시트들(47)과 커플링되도록 예정되는, 장치(100).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20)의 상기 하우징(21)에 상기 제 2 흡입 플레이트(6)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제 2 센터링 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0).
KR1020217001699A 2018-06-20 2019-06-07 트레이로 구성된 관련 지원 요소들로부터, 병으로 된 제약 용기들을 추출하기 위한 장치 KR202100213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8000006485 2018-06-20
IT102018000006485A IT201800006485A1 (it) 2018-06-20 2018-06-20 Apparecchiatura per estrarre contenitori farmaceutici, quali flaconi, da relativi elementi di supporto costituiti da un vassoio
PCT/IB2019/054755 WO2019243941A1 (en) 2018-06-20 2019-06-07 An apparatus for extracting pharmaceutical containers being bottles, from relative support elements constituted by a tr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392A true KR20210021392A (ko) 2021-02-25

Family

ID=6357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699A KR20210021392A (ko) 2018-06-20 2019-06-07 트레이로 구성된 관련 지원 요소들로부터, 병으로 된 제약 용기들을 추출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26490B2 (ko)
EP (1) EP3810516B1 (ko)
KR (1) KR20210021392A (ko)
CN (1) CN112313151B (ko)
ES (1) ES2914413T3 (ko)
IT (1) IT201800006485A1 (ko)
WO (1) WO20192439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71231A1 (en) * 2019-12-09 2021-06-10 Revessel Inc Robotic automated filling and capping system for vape oil cartridges
IT202000011485A1 (it) * 2020-05-19 2021-11-19 Ima Spa Metodo di movimentazione di contenitori in una linea di lavorazione di detti contenitori, e relativa linea di lavorazione.
CN112110194A (zh) * 2020-06-24 2020-12-22 重庆智领医创科技成果转化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医药理瓶装置
DE102020126552A1 (de) * 2020-10-09 2022-04-14 Syntegon Technology Gmbh Nestausheber und Sterilkammer
CN116119106B (zh) * 2023-04-04 2023-07-07 河北化工医药职业技术学院 一种硬盘底座自动装箱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9688A (en) * 1952-04-18 1956-06-12 Frank J Cozzoli Automatic filling and sealing machine for ampuls or other small containers
JPH07110654B2 (ja) * 1988-06-17 1995-11-29 麒麟麦酒株式会社 容器供給装置
DE9218611U1 (de) * 1992-02-19 1994-09-29 Kronseder Maschf Krones Vorrichtung zum Zu- oder Abführen von Gefäßen
US5471738A (en) * 1993-10-04 1995-12-05 Ford Motor Company Robotic system for inserting cylinder liners into internal combustion engine cylinder blocks
DE19513552A1 (de) * 1995-04-10 1996-10-17 Christian Metge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packen bzw. Auspacken von in Kisten ein- bzw. auszupackenden Behältern
DE29907459U1 (de) * 1999-04-27 1999-07-29 Norden Pac Dev Ab Verpackungsmaschine
ES2582205T3 (es) * 2008-07-25 2016-09-09 F. Hoffmann-La Roche Ag Método y sistema de laboratorio para manipular gradillas de tubos de muestra
CN202219980U (zh) * 2011-06-03 2012-05-16 上海派莎实业有限公司 旋转平移机构
ITBO20120594A1 (it) * 2012-10-31 2014-05-01 Ima Ind Srl Apparato e metodo per alimentare capsule vuote ad una macchina confezionatrice
PL3283141T3 (pl) * 2015-04-17 2019-10-31 Schott Kaisha Pvt Ltd Struktura nośna dla uszczelnionych wkładów, transportowy lub opakowaniowy pojemnik oraz proces
ES2750816T3 (es) * 2015-06-11 2020-03-27 Ima Spa Método y máquina de llenado y sellado de frascos, cartuchos, jeringas y similares
IT201600074164A1 (it) * 2016-07-15 2018-01-15 Nuova Ompi Srl Metodo di manipolazione di contenitori primari per uso farmaceutico trasportati lungo una linea automatica di trattamento operante in ambiente controllato
CN107867433A (zh) * 2017-10-19 2018-04-03 国网天津市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用于集中器宽带载波模块的自动分装方法
CN207389611U (zh) * 2017-10-30 2018-05-22 吉林修正健康股份有限公司 一种口服液生产线的空瓶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13151A (zh) 2021-02-02
CN112313151B (zh) 2022-03-15
US11926490B2 (en) 2024-03-12
WO2019243941A1 (en) 2019-12-26
EP3810516A1 (en) 2021-04-28
ES2914413T3 (es) 2022-06-10
EP3810516B1 (en) 2022-04-20
IT201800006485A1 (it) 2019-12-20
US20210253367A1 (en)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1392A (ko) 트레이로 구성된 관련 지원 요소들로부터, 병으로 된 제약 용기들을 추출하기 위한 장치
US8769913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ransferring fragile receptacles from a container to a packing machine
CN104816855B (zh) 用于从盘中取出容器的设备和方法
CN109311550B (zh) 用于沿在受控制的环境中操作的自动处理线运输的用于药物用途的主容器的处理方法
CN112368211B (zh) 一种从由药盆和蜂巢构成的相应支撑元件中取出药物容器的设备
CN104816847B (zh) 用于操作托盘的设备和方法
US20030031542A1 (en) Appatatus and method for handling pipetting tip magazines
MX2014008618A (es) Aparato y metodo para colocar una pala en un contenedor.
CN104816860B (zh) 用于准备从被托盘封闭的盘中取出容器的设备和方法
JPS6042127B2 (ja) 卵をコンベヤ−に移送する装置
KR20190027331A (ko) 삼각 샌드위치용 포장기 및 삼각 샌드위치의 포장 방법
US64014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filled fruit packing trays
JP4533491B2 (ja) 顕微鏡標本のカバーガラス貼着装置
JP4702030B2 (ja) シリンジのガスケット位置補正装置
JP3047041B1 (ja) キノコの自動収穫装置
TWM536223U (zh) 取瓶機
CN212267967U (zh) 一种医疗试剂盒包装机
TW200520697A (en) A device for the coring of lotus seeds
JPH09132208A (ja) 全形海苔の自動袋詰機
JP2017095109A (ja) 缶容器への充填物の自動充填装置
JPH0613046Y2 (ja) ホルダ付き容器の回転式処理装置
JPH0761422A (ja) 容器反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