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988A -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발액성 필름, 발액성 적층체, 포장재 및 용기 - Google Patents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발액성 필름, 발액성 적층체, 포장재 및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988A
KR20210019988A KR1020207028227A KR20207028227A KR20210019988A KR 20210019988 A KR20210019988 A KR 20210019988A KR 1020207028227 A KR1020207028227 A KR 1020207028227A KR 20207028227 A KR20207028227 A KR 20207028227A KR 20210019988 A KR20210019988 A KR 20210019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repellent
polyolefin
resin
repell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 나가이
료 다나카
겐타로 기무라
고스케 기노시타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2Applications of coated or impregnat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4Oxygen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A) 폴리올레핀 수지, (B) 실릴화 폴리올레핀, 그리고 (A)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용하는 부위 및 (B) 실릴화 폴리올레핀과 상용하는 부위를 갖는 (C) 상용화제를 포함하고,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가 (A) 폴리올레핀 수지와 비상용인,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Description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발액성 필름, 발액성 적층체, 포장재 및 용기
본 개시는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발액성 필름, 발액성 적층체, 포장재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품, 음료, 의약품, 화학품 등의 대부분의 상품에 대하여, 각각의 내용물에 따른 포장재가 개발되어 있다. 특히, 액체나 반고체, 겔상 물질 등의 내용물의 포장재로는, 내수성, 내유성, 가스 배리어성, 경량성, 플렉시블성, 의장성 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또, 액체나 반고체, 겔상 물질 등의 내용물의 포장재로는, 보다 고기능을 제공할 목적으로, 복수 종류의 플라스틱 기재를 적층한 플라스틱 적층체나, 종이, 금속박, 무기 재료 등과 플라스틱 기재의 복합 적층체, 나아가서는 플라스틱 기재에 기능성 조성물에 의한 처리를 실시한 복합체 등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고기능의 하나로서, 예를 들어 액체나 반고체, 겔상 물질 등의 내용물의 포장재 내면에 대한 부착, 즉 포장체 내부에 대한 잔존을 억제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요구르트, 젤리, 시럽 등의 용기의 덮개재, 죽, 스프, 카레, 파스타 소스 등의 레토르트 식품 포장재, 화학품이나 의약품 등의 액체, 반고체, 겔상 물질 등의 보존 용기용 필름 재료 등에는, 그 내면에 내용물이 부착되어, 내용물을 모두 다 사용하지 못하고 낭비가 발생하는 일이나, 내용물의 부착에 의해 오염이 일어나는 일, 내용물의 배출 작업에 수고가 드는 일을 억제할 수 있는 높은 발액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포장재의 내면에 실리콘 입자 등의 소수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실리콘 수지 조성물층을 형성한 발수성 포장재가 제안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구상 실리콘을 첨가한 수지층을 최내층으로 한 내용물 발수성·이형성을 갖는 포장재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32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337267호
포장재 내면의 수지층의 재료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히트 시일성, 내열성 및 내충격성 등의 기능을 부여하는 재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발액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폴리올레핀 수지에 상기 서술한 실리콘 입자를 첨가한 경우라도, 수지층 내에서의 실리콘 입자의 응집이나, 수지층으로부터의 실리콘 입자의 유리가 생기기 쉬워, 포장재 내면에 대한 내용물의 부착을 억제하는 효과가 반드시 충분하지는 않았다.
본 개시는,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용물의 부착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발액층을 형성 가능한 수지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발액성 필름, 발액성 적층체, 포장재 및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는, (A) 폴리올레핀 수지, (B) 실릴화 폴리올레핀, 그리고 상기 (A)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용하는 부위 및 상기 (B) 실릴화 폴리올레핀과 상용하는 부위를 갖는 (C) 상용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가 상기 (A) 폴리올레핀 수지와 비상용인,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A) 폴리올레핀 수지와, 폴리올레핀 부위가 (A) 폴리올레핀 수지와 비상용인 (B) 실릴화 폴리올레핀과, (C) 상용화제를 병용함으로써, 내용물의 부착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발액층을 형성할 수 있다.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은 발액층에 발액성을 부여하는 성분이지만, (A) 폴리올레핀 수지에 폴리올레핀 부위가 (A) 폴리올레핀 수지와 비상용인 (B) 실릴화 폴리올레핀만을 첨가한 경우에는, 형성되는 발액층에 있어서 (B) 실릴화 폴리올레핀끼리 응집해 버려, 분산성이 나쁘고 또한 발액층 표면에 잘 편재 (偏在) 되지 않아 충분한 발액성이 얻어지기 어렵다. 이것에 대하여, (C) 상용화제를 (B) 실릴화 폴리올레핀과 병용함으로써,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분산성이 향상됨과 함께,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가 (C) 상용화제를 통하여 (A)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용함으로써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실리콘 부위가 발액층 표면에 편재되기 쉬워져, 발액층에 효율적으로 발액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실리콘 입자를 사용한 경우보다 우수한 발액성을 갖는 발액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C) 상용화제는,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블록 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C) 상용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A) 폴리올레핀 수지 및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 중 일방에 폴리프로필렌, 타방에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발액층에 히트 시일성, 내열성 및 내충격성 등의 기능을 부여하거나, 레토르트 식품 포장재와 같은 중탕 등의 가열 처리가 실시되는 포장재 용도에 대한 적성을 부여하거나 하는 일이 용이해진다. 또, (A) 폴리올레핀 수지 및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 중 일방에 폴리프로필렌, 타방에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경우에, 상기 (C) 상용화제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발액층에 발액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함유량에 대한 상기 (C) 상용화제의 함유량의 질량비 ((C) 상용화제의 질량/(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질량) 는, 0.05 ∼ 20 이어도 된다. 이 함유량의 비가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형성되는 발액층은, 내용물의 부착을 보다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또, (A) 폴리올레핀 수지, 및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상기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가 상기 (A)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용하는,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A) 폴리올레핀 수지와, 폴리올레핀 부위가 (A)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용하는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을 병용함으로써, 형성되는 발액층에 있어서,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분산성이 향상됨과 함께,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가 (A)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용함으로써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실리콘 부위가 발액층 표면에 편재되기 쉬워져, 발액층에 효율적으로 발액성을 부여할 수 있어, 내용물의 발액층에 대한 부착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은, (D) 실리콘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D) 실리콘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형성되는 발액층에 있어서 표면의 Si 존재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럼으로써 발액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는 또, 상기 본 개시의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발액층을 구비하는 발액성 필름을 제공한다. 이러한 발액성 필름에 의하면, 상기 본 개시의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발액층을 구비함으로써, 발액층에 대한 내용물의 부착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발액성 필름에 의하면, 물이나 기름뿐만 아니라, 카레나 파스타 소스 등의 수중 유분산형 내용물에 대해서도 양호한 발액성을 발현할 수 있다.
상기 발액성 필름은, 상기 발액층의 일방의 주면 상에 형성된 1 층 이상의 수지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발액성 필름을 발액층 이외의 수지층을 구비한 다층 구조로 함으로써, 발액성에 더하여 추가적인 기능성 (내열성, 내충격성 등) 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발액층의 박막화가 가능해져, 비용 절감도 가능하다.
발액성 필름이 발액층 이외의 수지층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발액층 중의 상기 (A)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 T1 (℃) 과, 상기 1 층 이상의 수지층 중 상기 발액층과 접하는 수지층에 포함되는 수지의 융점 T2 (℃) 가, T1<T2 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결정화도의 관점에서, 발액층 중의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이 제 2 수지층으로 이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발액층 표면에 대한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편재화 또는 블리드 아웃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발액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본 개시는 또, 기재와, 그 기재 상에 형성된 상기 본 개시의 발액성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발액층이 적어도 일방의 최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발액성 적층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발액성 적층체에 의하면, 상기 본 개시의 발액성 필름을 구비함으로써, 발액층에 대한 내용물의 부착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 발액성 필름을 원하는 기능을 갖는 기재와 적층함으로써, 발액성 적층체에 기계 강도나 배리어성, 차광성 등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또, 상기 본 개시의 발액성 적층체를 사용하여 형성된 포장재를 제공한다. 이러한 포장재에 의하면, 상기 본 개시의 발액성 적층체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액층에 대한 내용물의 부착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포장재는, 80 ℃ 이상의 가열 처리를 실시하는 용도에 사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재에 의하면, 이와 같은 용도에 사용된 경우라도, 가열 처리 후에도 포장재 내면에 대한 내용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상기 본 개시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발액층을 적어도 내면에 갖는 용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용기에 의하면, 상기 본 개시의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발액층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발액층에 대한 내용물의 부착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내용물의 부착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발액층을 형성 가능한 수지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발액성 필름, 발액성 적층체, 포장재 및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액성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액성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은 발액성 적층체의 발액성의 평가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 는 발액성 적층체의 발액성의 평가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면의 치수 비율은 도시된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액성 적층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액성 적층체는, 기재와, 그 기재 상에 형성된 발액성 필름을 구비하고, 발액층이 적어도 일방의 최표면에 배치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도 1 및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액성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액성 적층체는, 도 1 에 나타내는 발액성 적층체 (1) 와 같이, 발액층 (11) 으로 이루어지는 발액성 필름 (10) 과 기재 (14) 가, 접착제 (13) 를 개재하여 적층된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액성 적층체는, 도 2 에 나타내는 발액성 적층체 (2) 와 같이, 발액층 (11) 및 제 2 수지층 (12) 으로 이루어지는 발액성 필름 (10) 과 기재 (14) 가, 접착제 (13) 를 개재하여 적층된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발액성 필름 (10) 이 제 2 수지층 (12) 을 구비하는 경우, 발액성 필름 (10) 은, 발액층 (11) 이 발액성 적층체 (2) 의 최표면이 되도록, 제 2 수지층 (12) 이 기재 (14) 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발액층 (11)>
발액층 (11) 은 발액성을 갖는 층이다. 발액층 (11) 은, 가열에 의해 히트 시일성을 발현할 수 있는 층이어도 된다. 여기서, 발액성이란, 발수성 및 발유성의 양 특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액체상, 반고체상, 혹은 겔상의 수성 또는 유성 재료에 대하여 발액하는 특성이다. 수성 또는 유성 재료로는, 물, 기름, 요구르트, 젤리, 푸딩, 시럽, 죽, 스프, 카레, 파스타 소스 등의 식품, 손세정제, 샴푸 등의 세제, 의약품, 화장품, 화학품 등을 들 수 있다. 또, 히트 시일성이란, 일례로서 100 ∼ 200 ℃, 0.1 ∼ 0.3 ㎫, 1 ∼ 3 초간의 조건에서 히트 시일이 가능한 성질을 말한다. 히트 시일의 조건은, 발액성 적층체의 히트 시일에 필요로 하는 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액층 (11) 의 두께는, 0.1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7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 5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 ∼ 30 ㎛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발액층 (11) 의 두께가 상기 하한치 이상임으로써 양호한 발액성 및 히트 시일성이 얻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두께가 상기 상한치 이하임으로써, 발액성 적층체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발액층 (11) 은,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올레핀 수지 (이하, 「(A) 성분」이라고도 한다), (B) 실릴화 폴리올레핀 (이하, 「(B) 성분」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상기 (A)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용하는 부위 및 상기 (B) 실릴화 폴리올레핀과 상용하는 부위를 갖는 (C) 상용화제 (이하, 「(C) 성분」이라고도 한다) 를 포함하고, 상기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가 상기 (A) 폴리올레핀 수지와 비상용인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올레핀 수지, 및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상기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가 상기 (A)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용하는 것이다.
즉,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은,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가 (A) 폴리올레핀 수지와 비상용인 경우, (C) 상용화제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가 (A)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용하는 경우, (C) 상용화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은, (D) 실리콘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A)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호모, 블록, 혹은 랜덤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α올레핀 성분으로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4-메틸-1-펜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이거나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 상기 이외에도,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노르보르넨 등의 고리형 폴리올레핀이어도 된다. 또,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시일성 및 강도 물성 (인장 강도, 충격 강도 등) 의 관점에서, 선상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고, 선상 폴리올레핀은 직사슬형이거나 분기형이어도 된다.
발액성 적층체를 레토르트 식품 포장재와 같은 중탕 등의 가열 처리가 실시되는 포장재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주머니 형상의 포장재가 중탕 등의 가열 처리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블록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를 들 수 있다. 여기서의 블록 폴리프로필렌이란, 후술하는 (C) 상용화제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와는 달리, 일반적으로 중합 단계의 호모 폴리프로필렌에 대하여 EPR (고무 성분) 및 폴리에틸렌을 분산시킨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또는 블록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함으로써, 저온·단시간에 의한 히트 시일을 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블록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함으로써,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되어, 열에 의한 주머니 형상의 포장재의 찢어짐을 방지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은, 최종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토르트 식품 포장재 용도이면,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은 130 ∼ 17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소정의 산으로 변성된 변성 폴리올레핀이어도 된다. 변성 폴리올레핀은, 예를 들어 불포화 카르복실산,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산 무수물,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성분으로, 폴리올레핀을 그래프트 변성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또,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수산기 변성 폴리올레핀이나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 등의 변성 폴리올레핀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서술한 폴리올레핀 수지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B) 실릴화 폴리올레핀)
실릴화 폴리올레핀은, 발액층 (11) 에 발액성을 부여하는 성분이다. 실릴화 폴리올레핀은, 폴리올레핀 유닛에 실리콘 부위를 갖게 한 것이다.
실릴화 폴리올레핀으로는, 예를 들어 PE-Si 그래프트 공중합체로서 도레이·다우코닝 주식회사 제조의 제품, PE-Si 블록 공중합체로서 미츠이 화학 파인 주식회사 제조의 익스포라, PP-Si 그래프트 공중합체로서 도레이·다우코닝 주식회사 제조의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실릴화 폴리올레핀으로는, 발액층 (11) 의 발액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그래프트 공중합체보다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는 블록 공중합체가, 발액층 (11) 표면에 편재화 또는 블리드 아웃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서술한 실릴화 폴리올레핀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릴화 폴리올레핀은, 그 폴리올레핀 부위가 (A)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용하는 것이어도 되고, 상용하지 않는 (비상용인) 것이어도 된다. 단, 폴리올레핀 부위가 (A) 폴리올레핀 수지와 비상용인 실릴화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는 경우, 이하의 (C) 상용화제와 병용하는 것을 필수로 한다. 또한, 폴리올레핀 부위가 (A) 폴리올레핀 수지와 비상용인 실릴화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는 경우, (C) 상용화제와의 병용이 필요해지기는 하지만, (A) 폴리올레핀 수지 및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재료 조합의 선택지가 증가하여, 목적·용도에 따른 설계가 가능함과 함께, 발액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쉬운 경향이 있다는 이점이 있다.
((C) 상용화제)
상용화제는, (B) 실릴화 폴리올레핀으로서 폴리올레핀 부위가 (A) 폴리올레핀 수지와 비상용인 실릴화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용화제는, (A)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용하는 부위 및 상기 (B) 실릴화 폴리올레핀과 상용하는 부위를 갖는 성분이다. 상용화제를 사용함으로써, 폴리올레핀 부위가 (A) 폴리올레핀 수지와 비상용인 (B) 실릴화 폴리올레핀과 (A) 폴리올레핀 수지의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용하는 부위로는, (A)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용 가능한 폴리올레핀 구조를 들 수 있고, (A) 폴리올레핀 수지와 동종의 폴리올레핀 구조를 갖는 부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A) 폴리올레핀 수지가 폴리에틸렌 수지인 경우, (C) 상용화제는 폴리에틸렌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A) 폴리올레핀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경우, (C) 상용화제는 폴리프로필렌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A) 폴리올레핀 수지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2 종 이상의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인 경우, (C) 상용화제는, 상기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올레핀 중 주성분이 되는 올레핀과 동종의 올레핀을 중합 또는 공중합시킨 구조를 적어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실릴화 폴리올레핀과 상용하는 부위로는,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와 상용 가능한 폴리올레핀 구조를 들 수 있고,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와 동종의 폴리올레핀 구조를 갖는 부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가 폴리에틸렌 구조를 갖는 경우, (C) 상용화제는 폴리에틸렌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가 폴리프로필렌 구조를 갖는 경우, (C) 상용화제는 폴리프로필렌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2 종 이상의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에 기초하는 구조를 갖는 경우, (C) 상용화제는, 상기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올레핀 중 주성분이 되는 올레핀과 동종의 올레핀을 중합 또는 공중합시킨 구조를 적어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상용화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폴리에틸렌 유닛과,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구성된 폴리프로필렌 유닛으로 구성되는 블록 공중합체, 혹은 폴리에틸렌 유닛과 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 유닛으로 구성되는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블록 공중합체는, 디블록 공중합체, 트리블록 공중합체, 멀티블록 공중합체의 어느 구조여도 상관없다. 이 경우, (A) 폴리올레핀 수지 혹은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가 폴리에틸렌이면, 당해 부위와 (C) 상용화제의 폴리에틸렌 부위 (폴리에틸렌 유닛) 가 상용하고, (A) 폴리올레핀 수지 혹은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가 폴리프로필렌이면, 당해 부위와 (C) 상용화제의 폴리프로필렌 부위 (폴리프로필렌 유닛) 혹은 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 부위 (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 유닛) 가 상용한다.
상기 서술한 상용화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D) 실리콘)
실리콘은, 발액층 (11) 의 발액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실리콘으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 실리콘 레진, 실리콘 올리고머, 실리콘 파우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보다 양호한 발액성이 얻어지기 쉬운 점에서, 실리콘 오일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오일로는, 디메틸 실리콘 오일, 메틸페닐 실리콘 오일, 메틸하이드로젠 실리콘 오일, 고리형 디메틸 실리콘 오일, 알킬 변성 실리콘 오일, 장사슬 알킬 변성 실리콘 오일, 고급 지방산 변성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 오일로는, 예를 들어 아사히 카세이 바커 실리콘 주식회사 제조의 제품,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제품, 모멘티브·퍼포먼스·마테리얼즈사 제조의 제품, 도레이·다우코닝 주식회사 제조의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 레진으로는,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제품, 아사히 카세이 바커 실리콘 주식회사 제조의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 올리고머로는,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제품, 도레이·다우코닝 주식회사 제조의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 파우더로는,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제품, 도레이·다우코닝 주식회사 제조의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리콘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A) 성분의 함유량은,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50.0 ∼ 99.9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 ∼ 99.0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0 ∼ 98.0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양호한 히트 시일성이 얻어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 한편, (A)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치 이하이면, 상대적으로 (B) 성분 및 (C) 성분의 함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발액성이 향상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B) 성분 및 (C) 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은,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 50.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45.0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 40.0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B) 성분 및 (C) 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발액성이 향상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한편, (B) 성분 및 (C) 성분의 합계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치 이하이면, 상대적으로 (A) 성분의 함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양호한 히트 시일성이 얻어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이 (C)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B) 성분의 함유량에 대한 (C) 성분의 함유량의 질량비 ((C) 성분의 질량/(B) 성분의 질량) 는, 0.01 ∼ 50 이어도 되고, 0.05 ∼ 3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 2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의 비가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발액층에 있어서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을 충분히 분산시킬 수 있어, 보다 양호한 발액성을 얻을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한편, 이 함유량의 비가 상기 상한치 이하이면, 과잉의 (C) 상용화제에 의해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이 피복되는 것을 막아, 보다 양호한 발액성을 얻을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 함유량의 비가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수록 (C) 상용화제를 첨가해도,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이 그 이상 분산되지 않는 상태가 되어, 발액성의 향상 효과를 볼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다.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이 (D)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전체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 20.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15.0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 10.0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D)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발액성이 향상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한편, (D)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치 이하이면, 상대적으로 (A) 성분의 함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양호한 히트 시일성이 얻어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 (D)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발액층으로부터의 (D) 성분의 유리가 생기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은, 발액성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의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밖의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난연제, 슬립제, 안티 블로킹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점착 부여제 등을 들 수 있다.
발액층 (11) 은, 상기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제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제 2 수지층 (12)>
제 2 수지층 (12) 은, 히트 시일성, 내열성 및 내충격성, 산소·수증기 배리어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발액층 (11) 과 기재 (14) 의 사이에 형성되는 층이다. 제 2 수지층 (12) 은, 히트 시일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수지층 (12) 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올레핀 수지, 에틸렌-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혹은 그 에스테르화물 또는 이온 가교물,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또는 그 비누화물, 폴리아세트산비닐 또는 그 비누화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ABS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락트산 수지, 푸란 수지, 및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2 수지층 (12) 에 사용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히트 시일성,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되기 쉬운 점에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발액층 (11) 에 사용되는 (A) 폴리올레핀 수지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수지층 (12) 이 발액층 (11) 과 접하고 있는 경우, 발액층 (11) 중의 (A)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 T1 (℃) 과, 제 2 수지층 (12)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T2 (℃) 는, T1<T2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결정화도의 관점에서, 발액층 (11) 중의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이 제 2 수지층 (12) 으로 이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발액층 (11) 표면에 대한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편재화 또는 블리드 아웃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발액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융점 T2 는, 융점 T1 보다 1 ℃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상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수지층 (12) 의 두께는, 본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상품의 최종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제 2 수지층 (12) 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2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15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 100 ㎛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발액성 필름 (10)>
상기 서술한 발액층 (11) 단층, 또는 발액층 (11) 및 제 2 수지층 (12) 의 2 층에 의해, 발액성을 갖는 발액성 필름 (10) 이 형성된다. 발액성 필름 (10) 은, 기재 (14) 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발액성 필름 (10) 은, 용도에 따라, 기재 (14) 와 적층하지 않고 발액성 필름 (10) 단독으로 사용해도 된다.
발액성 필름 (10) 은, 발액층 (11) 및 제 2 수지층 (12) 이외의 다른 수지층을 추가로 1 층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수지층의 조성은, 제 2 수지층 (12) 의 조성과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기재 (14)>
기재 (14) 는, 지지체가 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종이, 수지 필름, 금속박 등을 들 수 있다. 종이로는, 상질지, 특수 상질지, 코트지, 아트지, 캐스트 코트지, 모조지, 그라프트지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으로는,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등), 산 변성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 폴리아미드 (PA), 폴리염화비닐 (PVC),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로판 수지의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필름을 들 수 있다. 이 필름은 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비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금속박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 니켈박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14) 는, 재질이 상이한 복수의 기재를 적층한 것이어도 된다.
기재 (14)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통상 1 ∼ 500 ㎛ 이며, 바람직하게는 10 ∼ 100 ㎛ 이다.
기재 (14) 와 발액성 필름 (10) 의 첩합 (貼合) 방법으로는, 이하와 같은, 접착제에 의한 라미네이트 방법, 및 열처리에 의한 라미네이트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그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착제에 의한 라미네이트 방법)
접착제에 의한 라미네이트 방법으로는, 드라이 라미네이트, 웨트 라미네이트, 논솔벤트 라미네이트 등의 각종 공지된 라미네이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라미네이트 방법에 사용되는 접착제 (13) 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접착제 (13)>
접착제 (13) 는, 발액성 필름 (10) 과 기재 (14) 를 접착하는 것이다. 접착제 (13) 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아크릴폴리올, 카보네이트폴리올 등의 주제에 대하여, 2 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작용시킨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각종 폴리올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 (13) 에는 추가로, 접착 촉진을 목적으로 하여, 상기 서술한 폴리우레탄 수지에,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인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등을 배합해도 된다.
또, 접착제 (13) 에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상기 서술한 폴리우레탄 수지에, 그 밖의 각종 첨가제나 안정제를 배합해도 된다.
접착제 (13)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원하는 접착 강도, 추종성, 및 가공성 등을 얻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1 ∼ 10 ㎛ 가 바람직하고, 3 ∼ 7 ㎛ 가 보다 바람직하다.
(열처리에 의한 라미네이트 방법)
열처리에 의한 라미네이트 방법으로는, 크게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1) 접착성 수지를, 미리 제막한 발액성 필름 (10) 과 기재 (14) 의 사이에 압출하고,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2) 발액성 필름 (10) 을 구성하는 수지층과 접착성 수지를 공압출하고, 기재 (14) 와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3) 상기 (1) 혹은 (2) 의 방법으로 얻어진 라미네이트 기재를, 추가로 열 롤로 가열·가압함으로써 접착시키는 방법.
(4) 상기 (1) 혹은 (2) 의 방법으로 얻어진 라미네이트 기재를, 추가로 고온 분위기하에서 보관하거나, 혹은 고온 분위기하의 건조·베이킹로를 통과시키는 방법.
열처리에 의한 라미네이트 방법에서 사용되는 접착성 수지로는, 산 변성 폴리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방법에서는 압출 라미네이트에 의해 기재 (14) 와 발액성 필름 (10) 을 적층하고 있지만, 압출 라미네이트를 실시하지 않고,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코팅제 (용해형, 분산형) 를 미리 기재 (14) 상에 도공 형성한 후, 발액성 필름 (10) 을 열처리에 의해 적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기재 (14) 에는, 접착성 프라이머 (앵커 코트) 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재료로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알릴아민계, 폴리에틸렌이민계, 폴리부타디엔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소-아세트산비닐계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착성 프라이머에는, 필요에 따라, 접착제 (13) 로서 사용 가능한 상기 각종 경화제나 첨가제를 배합해도 된다.
[포장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재는, 상기 서술한 발액성 적층체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이다. 포장재로서 구체적으로는, 요구르트, 젤리, 시럽 등의 용기의 덮개재, 죽, 스프, 카레, 파스타 소스 등의 레토르트 식품 포장재 (레토르트 파우치) 등을 들 수 있다. 포장재의 내면 (내용물측) 에 발액층이 배치되도록 포장재를 형성함으로써, 액체나 반고체, 겔상 물질 등의 내용물의 포장재 내면에 대한 부착이나 잔존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레토르트 식품 포장재와 같은 주머니 형상의 포장재에 있어서는, 포장재의 최내층끼리 블로킹됨으로써 내용물이 잘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재에 의하면, 최내층인 발액층끼리 잘 블로킹되지 않고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포장재는, 80 ℃ 이상의 가열 처리를 실시하는 용도에 사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레토르트 식품 포장재와 같은 중탕 등의 가열 처리가 실시되는 포장재 용도에 사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포장재에 의하면, 이와 같은 용도에 이용된 경우라도, 가열 처리 후에도 포장재 내면에 대한 내용물의 부착이나 잔존을 억제할 수 있다.
[용기]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는, 상기 서술한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발액층을 적어도 내면 (내용물측) 에 갖는 용기이다. 용기로서 구체적으로는, 화학품이나 의약품 등의 액체, 반고체, 겔상 물질 등의 보존 용기, 손세정제나 샴푸 등을 수용하는 보틀 등을 들 수 있다. 용기의 내면 (내용물측) 에 발액층이 배치되도록 용기를 형성함으로써, 액체나 반고체, 겔상 물질 등의 내용물의 용기 내면에 대한 부착이나 잔존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개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제작>
(A) 성분인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상품명 「에볼류」, 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 제조) 과, (B) 성분인 실릴화 폴리에틸렌 (PE-Si 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도레이·다우코닝 주식회사 제조) 을 혼합하여,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각 성분의 함유량은, (A) 성분 및 (B) 성분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B) 성분이 5 질량%, 잔부가 (A) 성분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발액성 적층체의 제작>
3 층 공압출기를 사용하여,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고 제막하여, 두께 100 ㎛ 의 발액층으로 이루어지는 발액성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발액성 필름과, 기재인 두께 38 ㎛ 의 PET 필름 (상품명 「엔블렛」, 유니티카 주식회사 제조) 을,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하고, 50 ℃ 에서 5 일간 에이징하여, 발액성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2 ∼ 10]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A) 성분 및 (B) 성분의 종류, 그리고 (B) 성분의 함유량 ((A) 성분의 함유량은 그 잔부) 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발액성 필름 및 발액성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1]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제작>
(A) 성분인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상품명 「에볼류」, 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 제조) 과, (B) 성분인 실릴화 폴리에틸렌 (PE-Si-PE 의 트리블록 공중합체, 상품명 「익스포라」, 미츠이 화학 파인 주식회사 제조) 과, (D) 성분인 실리콘 오일 (디메틸 실리콘, 도레이·다우코닝 주식회사 제조) 을 혼합하여,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각 성분의 함유량은, (A) 성분, (B) 성분 및 (D) 성분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B) 성분이 5 질량%, (D) 성분이 5 질량%, 잔부가 (A) 성분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발액성 적층체의 제작>
상기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발액성 필름 및 발액성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2 ∼ 13]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A) 성분 및 (B) 성분의 종류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발액성 필름 및 발액성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4]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제작>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발액성 적층체의 제작>
(A) 성분인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상품명 「에볼류」, 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 제조) 을, 제 2 수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로 하였다. 3 층 공압출기를 사용하여,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과 제 2 수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공압출하고 제막하여, 두께 15 ㎛ 의 발액층과 두께 85 ㎛ 의 제 2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발액성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발액성 필름의 제 2 수지층과, 기재인 두께 38 ㎛ 의 PET 필름 (상품명 「엔블렛」, 유니티카 주식회사 제조) 을,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발액성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5]
제 2 수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A) 성분의 종류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 와 동일하게 하여,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제 2 수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발액성 필름 및 발액성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6]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제작>
(A) 성분인 랜덤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상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 제조) 과, (B) 성분인 실릴화 폴리에틸렌 (PE-Si-PE 의 트리블록 공중합체, 상품명 「익스포라」, 미츠이 화학 파인 주식회사 제조) 과, (C) 성분인 PP-PE 의 블록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각 성분의 함유량은,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B) 성분이 5 질량%, (C) 성분이 0.1 질량%, 잔부가 (A) 성분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발액성 적층체의 제작>
상기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고, 또한 제 2 수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A) 성분의 종류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 와 동일하게 하여, 발액성 필름 및 발액성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7 ∼ 56]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의 종류, 그리고 (B) 성분 및 (C) 성분의 함유량 ((A) 성분의 함유량은 그것들의 잔부) 과, 제 2 수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A) 성분의 종류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 과 동일하게 하여,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제 2 수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발액성 필름 및 발액성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예 25 에서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D) 성분을 추가로 첨가하였다.
[비교예 1]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B) 성분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 와 동일하게 하여,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제 2 수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발액성 필름 및 발액성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A) 성분의 종류와, 제 2 수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A) 성분의 종류를,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제 2 수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발액성 필름 및 발액성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 4]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A) 성분 및 (B) 성분의 종류, 그리고 (B) 성분의 함유량 ((A) 성분의 함유량은 그 잔부) 과, 제 2 수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A) 성분의 종류를,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 와 동일하게 하여,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제 2 수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발액성 필름 및 발액성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5]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B) 성분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4 와 동일하게 하여,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제 2 수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발액성 필름 및 발액성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표 1 및 표 2 중 각 성분의 자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표 1 및 표 2 중의 「-」은, 해당하는 성분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또, 표 1 및 표 2 에는, 발액층에 있어서의 (B) 성분의 함유량에 대한 (C) 성분의 함유량의 질량비 ((C) 성분의 질량/(B) 성분의 질량) 를 나타냈다. 또, 표 1 및 표 2 에는, 발액층에 사용한 (A) 성분인 수지의 융점 T1 (℃) 과, 제 2 수지층에 사용한 (A) 성분인 수지의 융점 T2 (℃) 의 대소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표 1 및 표 2 에는, 발액층 중의 (A) 성분과 (B) 성분 (폴리올레핀 부위) 의 상용성을 나타냈다.
[(A) 폴리올레핀 수지]
A1 :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상품명 「에볼류」, 융점 116 ℃, 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 제조
A2 : 랜덤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상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융점 134 ℃, 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 제조
A3 : 블록 폴리프로필렌, 상품명 「노바텍」, 융점 165 ∼ 166 ℃,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A4 :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상품명 「노바텍 LL」, 융점 122 ℃, 닛폰 폴리에틸렌 주식회사 제조
[(B) 실릴화 폴리올레핀]
B1 : PE-Si 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도레이·다우코닝 주식회사 제조
B2 : PE-Si-PE 의 트리블록 공중합체, 상품명 「익스포라」, 미츠이 화학 파인 주식회사 제조
B3 : PP-Si 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도레이·다우코닝 주식회사 제조
[(C) 상용화제]
C1 :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블록 공중합체
C2 : 에틸렌과 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
[(D) 실리콘]
D1 : 실리콘 오일 (디메틸 실리콘), 도레이·다우코닝 주식회사 제조
[발액성 평가]
<실시예 1 ∼ 6, 11, 14 ∼ 15, 34 ∼ 40 및 비교예 1 : 열처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발액성>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A) 성분으로서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을 사용한 실시예 1 ∼ 6, 11, 14 ∼ 15, 34 ∼ 40 및 비교예 1 에 대하여, 도 3 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열처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발액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우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발액성 적층체를 세로 210 ㎜ × 가로 300 ㎜ 로 컷한 샘플 (100) 을, 발액층이 내측이 되도록 세로 210 ㎜ × 가로 150 ㎜ 의 사이즈로 2 개로 절첩하고 (도 3 의 (a) 를 참조), 세로 방향 단부의 한 변과 가로 방향 단부의 한 변 (되접은 변과는 반대측 변) 을, 히트 실러로 190 ℃, 0.03 ㎫, 2 sec 의 조건으로 10 ㎜ 폭에 걸쳐 열봉함하여 시일부 (51) 를 형성하고, 세로 방향 단부의 한 변이 개구되어 있는 파우치를 제작하였다 (도 3 의 (b) 를 참조). 다음으로, 파우치의 개구부로부터 100 g 의 샐러드유 (52) (상품명 「닛신 사라다유」, 닛신 오일리오사 제조) 를 주액하였다 (도 3 의 (c) 를 참조). 그 후, 개구부를 히트 실러로 190 ℃, 0.03 ㎫, 2 sec 의 조건으로 10 ㎜ 폭에 걸쳐 열봉함하여 시일부 (51) 를 형성하고, 파우치를 밀폐하였다 (도 3 의 (d) 를 참조). 밀폐한 파우치의 되접은 변의 어느 모서리부에 대하여, 시일부 (51) 를 제외한 치수로 세로 3 ㎝ × 가로 3 ㎝ 의 삼각형이 되는 부분을 절단하여 주입구를 형성하였다 (도 3 의 (e) 를 참조). 주입구와 대각선상에 있는 모서리부 (53) 를 쥐고, 파우치를 거꾸로 하여 30 초간 유지하고, 용기 (56) 에 샐러드유 (52) 를 배출시켜, 저울 (57) 에 의해 배출량 (g) 을 칭량하였다 (도 3 의 (f) 를 참조). 칭량한 배출량으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잔액량 (%) 을 구하였다.
잔액량 (%) = {(100-배출량)/100} × 100
측정은 3 회 실시하고, 3 회의 평균 잔액량으로부터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발액성을 평가하였다. 평균 잔액량 (%) 및 발액성의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 에 나타낸다.
◎ : 평균 잔액량이 2.0 % 미만
○ : 평균 잔액량이 2.0 % 이상 2.5 % 미만
△ : 평균 잔액량이 2.5 % 이상 3.5 % 미만
× : 평균 잔액량이 3.5 % 이상
<실시예 7 ∼ 10, 12 ∼ 13, 16 ∼ 33, 41 ∼ 56 및 비교예 2 ∼ 5 : 중탕 처리 후 및 레토르트 처리 후의 발액성>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A) 성분으로서 랜덤 폴리프로필렌 (PP-PE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실시예 7 ∼ 10, 12 ∼ 13, 16 ∼ 33, 41 ∼ 56 및 비교예 2 ∼ 5 에 대하여, 도 4 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중탕 처리 후 및 레토르트 처리 후의 발액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우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발액성 적층체를 세로 210 ㎜ × 가로 150 ㎜ 로 컷한 샘플 (200) 을 2 장 준비하였다. 2 장의 샘플 (200) 을, 각각의 발액층이 내측이 되도록 포개어, 세로 방향 단부의 한 변과 가로 방향 양 단부의 두 변을, 히트 실러로 190 ℃, 0.03 ㎫, 2 sec 의 조건으로 10 ㎜ 폭에 걸쳐 열봉함하여 시일부 (51) 를 형성하고, 세로 방향 단부의 한 변이 개구되어 있는 파우치를 제작하였다 (도 4 의 (a) 를 참조). 다음으로, 파우치의 개구부로부터 100 g 의 수중 유분산형 액체 (54) (상품명 「본카레」, 오오츠카 식품사 제조) 를 주액하였다 (도 4 의 (b) 를 참조). 그 후, 개구부를 히트 실러로 190 ℃, 0.03 ㎫, 2 sec 의 조건으로 10 ㎜ 폭에 걸쳐 열봉함하여 시일부 (51) 를 형성하고, 파우치를 밀폐하였다 (도 4 의 (c) 를 참조).
중탕 처리의 경우에는, 밀폐한 파우치를 100 ℃ 에서 5 분간 중탕 처리하였다. 한편, 레토르트 처리의 경우에는, 밀폐한 파우치를 고온 고압 조리 살균 장치 (히타치 캐피탈 주식회사 제조) 에 투입 후, 고온의 수증기로 압력 0.2 ㎫ 의 조건하에서 121 ℃ 에서 30 분간, 레토르트 처리를 실시하고, 추가로 상기 중탕 처리를 실시하였다.
상기 처리 후 즉시, 밀폐한 파우치의 상부를 절단하여 주입구를 형성하였다 (도 4 의 (d) 를 참조). 이어서, 주입구와 반대측 시일부 (51) 를 쥐고, 파우치를 거꾸로 하여 30 초간 유지하고, 용기 (56) 에 수중 유분산형 액체 (54) 를 배출시켜, 저울 (57) 에 의해 배출량 (g) 을 칭량하였다 (도 4 의 (e) 를 참조). 칭량한 배출량으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잔액량 (%) 을 구하였다.
잔액량 (%) = {(100-배출량)/100} × 100
측정은 3 회 실시하고, 3 회의 평균 잔액량으로부터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발액성을 평가하였다. 평균 잔액량 (%) 및 발액성의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 에 나타낸다.
◎ : 평균 잔액량이 8.0 % 미만
○ : 평균 잔액량이 8.0 % 이상 10.0 % 미만
△ : 평균 잔액량이 10.0 % 이상 13.0 % 미만
× : 평균 잔액량이 13.0 % 이상
[외관 평가]
상기 발액성 평가에 있어서, 파우치 내로부터 액체를 배출했을 때의 액체의 배출 거동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외관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3 및 표 4 에 나타낸다.
○ : 액체를 튕겨내는 모습이 관찰되어, 발액성 적층체에 대한 부착이 적다.
△ : 액체를 튕겨내는 모습은 관찰되지만, 발액성 적층체에 부착되어 있다.
× : 액체를 튕겨내는 모습이 관찰되지 않는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3 및 표 4 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 56 의 발액성 적층체에 의하면, 비교예 1 ∼ 5 의 발액성 적층체와 비교하여, 발액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실시예 41 ∼ 56 의 발액성 적층체는, 발액층 중의 수지의 융점 T1 과 제 2 수지층 중의 수지의 융점 T2 가 T1<T2 의 관계를 만족하고, 특히 양호한 발액성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6 의 발액성 적층체는 (C) 성분/(B) 성분의 질량비가 0.02 로 낮고, 또 실시예 17 의 발액성 적층체는 (C) 성분/(B) 성분의 질량비가 25 로 높아, 이들은 (C) 성분/(B) 성분의 질량비가 0.05 ∼ 20 의 범위 내인 다른 실시예의 발액성 적층체와 비교하여 발액성이 약간 낮은 결과였다. 그러나, 실시예 16 및 17 의 발액성 적층체는, 비교예의 발액성 적층체와 비교하면, 발액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1, 2…발액성 적층체
11…발액층
12…제 2 수지층
13…접착제
14…기재
51…시일부
52…샐러드유
53…모서리부
54…수중 유분산형 액체
56…용기
57…저울
100, 200…발액성 적층체의 평가용 샘플

Claims (12)

  1. (A) 폴리올레핀 수지, (B) 실릴화 폴리올레핀, 그리고 상기 (A)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용하는 부위 및 상기 (B) 실릴화 폴리올레핀과 상용하는 부위를 갖는 (C) 상용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가 상기 (A) 폴리올레핀 수지와 비상용인,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상용화제가,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블록 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함유량에 대한 상기 (C) 상용화제의 함유량의 질량비 ((C) 상용화제의 질량/(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질량) 가 0.05 ∼ 20 인,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4. (A) 폴리올레핀 수지, 및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상기 (B) 실릴화 폴리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부위가 상기 (A)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용하는,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 실리콘을 추가로 포함하는,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발액층을 구비하는 발액성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액층의 일방의 주면 상에 형성된 1 층 이상의 수지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발액성 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액층 중의 상기 (A)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 T1 (℃) 과, 상기 1 층 이상의 수지층 중 상기 발액층과 접하는 수지층에 포함되는 수지의 융점 T2 (℃) 가, T1<T2 의 관계를 만족하는, 발액성 필름.
  9. 기재와, 그 기재 상에 형성된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액성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발액층이 적어도 일방의 최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발액성 적층체.
  10. 제 9 항에 기재된 발액성 적층체를 사용하여 형성된 포장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80 ℃ 이상의 가열 처리를 실시하는 용도에 사용되는, 포장재.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발액층을 적어도 내면에 갖는 용기.
KR1020207028227A 2018-06-14 2019-06-07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발액성 필름, 발액성 적층체, 포장재 및 용기 KR202100199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13861 2018-06-14
JPJP-P-2018-113861 2018-06-14
PCT/JP2019/022824 WO2019240056A1 (ja) 2018-06-14 2019-06-07 撥液層形成用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撥液性フィルム、撥液性積層体、包装材及び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988A true KR20210019988A (ko) 2021-02-23

Family

ID=68842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227A KR20210019988A (ko) 2018-06-14 2019-06-07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발액성 필름, 발액성 적층체, 포장재 및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115231A1 (ko)
EP (1) EP3816225A4 (ko)
JP (1) JP7383233B2 (ko)
KR (1) KR20210019988A (ko)
CN (1) CN112041387A (ko)
TW (1) TWI819003B (ko)
WO (1) WO20192400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4846A4 (en) * 2018-09-21 2022-06-01 Toppan Printing Co., Ltd. LIQUID-REPELLENT LAYER RESIN COMPOSITION AND LIQUID-REPELLENT FILM, LIQUID-REPELLENT LAMINATE, PACKAGING MATERIAL AND CONTAINER USING THE SAME
JP7331457B2 (ja) * 2019-05-22 2023-08-23 凸版印刷株式会社 撥液性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撥液性フィルム、撥液性積層体および包装材
JP7456143B2 (ja) * 2019-12-19 2024-03-27 Toppan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撥液層形成用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撥液性フィルム、撥液性積層体および包装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7267A (ja) 1995-06-07 1996-12-24 Dainippon Printing Co Ltd 内容物撥水性・離型性を有する包装材
JP2013023224A (ja) 2011-07-15 2013-02-04 Toppan Printing Co Ltd 撥水性包装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4443A (en) * 1995-04-14 2000-09-05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 Polyolefin blends compatibilized with a diblock copolymer
JP2010537036A (ja) * 2007-08-31 2010-12-02 ステフティング ダッチ ポリマー インスティテュート 相溶化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WO2012044732A1 (en) * 2010-09-30 2012-04-0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meric composition and sealant layer with same
JP2014177541A (ja) * 2013-03-14 2014-09-25 Mitsui Chemicals Inc 包装材および包装体
JP2014200949A (ja) * 2013-04-02 2014-10-27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拡張性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990131B2 (ja) * 2013-05-16 2016-09-07 三井化学株式会社 包装材用の積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材
JP2015024548A (ja) * 2013-07-25 2015-02-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撥水性フィルム
JP2015025051A (ja) * 2013-07-25 2015-02-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撥水性フィルム
JP2017030218A (ja) * 2015-07-31 2017-02-09 三井化学株式会社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794871B2 (ja) * 2016-03-25 2020-12-02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シリル化ポリプロピレンの製造方法、その製造方法から得られるシリル化ポリプロピレン、及びシリル化ポリプロピレンと熱可塑性樹脂とを含む樹脂組成物
US9797043B1 (en) * 2016-09-13 2017-10-24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Shielding coating for selective metallization
JP2018095799A (ja) * 2016-12-16 2018-06-21 三井化学株式会社 成形体
JP6829613B2 (ja) * 2017-01-30 2021-02-10 三井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7267A (ja) 1995-06-07 1996-12-24 Dainippon Printing Co Ltd 内容物撥水性・離型性を有する包装材
JP2013023224A (ja) 2011-07-15 2013-02-04 Toppan Printing Co Ltd 撥水性包装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19003B (zh) 2023-10-21
EP3816225A1 (en) 2021-05-05
JPWO2019240056A1 (ja) 2021-07-15
CN112041387A (zh) 2020-12-04
JP7383233B2 (ja) 2023-11-20
WO2019240056A1 (ja) 2019-12-19
EP3816225A4 (en) 2022-03-09
TW202003785A (zh) 2020-01-16
US20210115231A1 (en)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7129B2 (ja) 多層フイルム
KR20210019988A (ko)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발액성 필름, 발액성 적층체, 포장재 및 용기
EP1541335A3 (en) Frangible heat-sealable films for cook-in applications and packages made thereof
US8133560B2 (en) Multilayer heat sealant structures, packag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7115055B2 (ja) 撥液層形成用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撥液性フィルム、撥液性積層体、包装材及び容器
JP7139824B2 (ja) 撥液層形成用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撥液性フィルム、撥液性積層体、包装材及び容器
JP2016022613A (ja) バリア性積層体
CN114728733B (zh) 包装体的制造方法、包装材料用膜以及具备该包装材料用膜的层叠膜及包装材料
JP7225926B2 (ja) 撥液層形成用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撥液性フィルム、撥液性積層体、包装材及び容器
JP6870762B2 (ja) 積層体及びそれよりなる蓋材
JP7326814B2 (ja) 撥液性フィルム、撥液性積層体及び包装材
JP7331457B2 (ja) 撥液性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撥液性フィルム、撥液性積層体および包装材
WO2020059717A1 (ja) 撥液層形成用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撥液性フィルム、撥液性積層体、包装材及び容器
JP7456143B2 (ja) 撥液層形成用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撥液性フィルム、撥液性積層体および包装材
JP7326909B2 (ja) 撥液性積層体及び包装材
KR20210061993A (ko) 발액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발액성 필름, 발액성 적층체, 포장재 및 용기
JP7331473B2 (ja) シーラント層形成用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シーラント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2023168914A (ja) 付着性物質が付着される内容物用の包装袋及びそれを含む包装製品
TW202235337A (zh) 包裝材料用薄膜、具備其之包裝材料、包裝袋及包裝體
JP2022188380A (ja) 包装材用フィルム、これを備える包装材、包装袋及び包装体
JP2022034242A (ja) 包装体の製造方法、包装材用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備える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CN105599407A (zh) 包含共聚醚-酯共聚物的聚合物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