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138A - 이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이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8138A
KR20210018138A KR1020200098241A KR20200098241A KR20210018138A KR 20210018138 A KR20210018138 A KR 20210018138A KR 1020200098241 A KR1020200098241 A KR 1020200098241A KR 20200098241 A KR20200098241 A KR 20200098241A KR 20210018138 A KR20210018138 A KR 20210018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inner cap
region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1889B1 (ko
Inventor
김기표
김용환
조경식
박광수
이병국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ublication of KR20210018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토르트 공정 과정에서 효과적인 살균이 수행될 수 있으며, 용기 본체 내의 식품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고, 포장공간 비율에 관한 규정을 충족하기에 유리하고, 진공 성형이 가능하며, 강도가 확보되고 스택킹 문제점이 예방되는 이너 캡,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INNER CAP AND CONTAINER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이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토르트 공정 과정에서 효과적인 살균이 수행될 수 있으며, 용기 본체 내의 식품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고, 포장공간 비율에 관한 규정을 충족하기에 유리하고, 진공 성형이 가능하며, 강도가 확보되고 스택킹 문제점이 예방되는 이너 캡,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상의 내용물을 갖는 레토르트 식품을 취식할 때, 용기의 깊이가 충분하지 않음으로서, 취식 또는 운반 중 식품이 외부로 넘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용기의 깊이를 깊게 할 경우, 용기 내부의 식품과 용기 상부의 캡 사이에 공간이 크게 발생하여 레토르트 공정 과정에서 살균이 어려울 수 있으며, 포장공간 비율에 관한 규정 충족에도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현행법 상, 제품의 포장공간 비율에 관하여, 음식물 등의 경우 포장공간 대비 빈 공간의 용적이 10~35% 이하일 것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넘침 방지를 위해 용기의 깊이를 깊게 하고 빈 공간을 크게 할 경우 이러한 규정을 충족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즉석밥 제품과 연계하여, 국밥, 덮밥, 비빔밥 등 간편하게 식사를 대체할 수 있는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보통 내용물 각각을 별도로 포장하여 합친 종합제품의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소비자는 취식을 하기까지 각각의 포장재를 뜯어 혼합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고, 쓰고 남은 포장재들을 처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러한 포장재들은 각각 별도 포장되어 있으므로, 취식 과정에서 버려지는 포장재가 많기 때문에 비용, 및 환경 면에서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넘침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레토르트 공정에서 살균 효율이 확보되며, 포장공간 비율에 관한 규정도 충족시킬 수 있고, 포장재의 처리에도 유리한 이너 캡과 이를 포함한 용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진공 성형에 적합하면서도 레토르트 살균 공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두께의 시트를 사용하면서, 진공 성형에 의해 얇아진 부분이 레토르트 살균 과정에서 변형되지 않도록 보강을 달성하며, 스택킹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이너 캡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1994-293366호
본 발명은 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토르트 공정 과정에서 효과적인 살균이 수행될 수 있으며, 용기 본체 내의 식품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고, 포장공간 비율에 관한 규정을 충족하기에 유리한 이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 성형에 적합하면서도 레토르트 살균 공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두께의 시트를 사용하면서, 진공 성형에 의해 얇아진 부분이 레토르트 살균 과정에서 변형되지 않도록 보강을 달성하며, 스택킹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이너 캡을 제공하는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너 캡은,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상방향으로 오픈된 공간을 갖는 캡 트레이부, 및 상기 캡 트레이부의 상단부 주변을 구성하는 캡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캡 트레이부는, 상기 캡 플랜지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캡 플랜지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측면 영역, 및 상기 측면 영역과 연결되어 바닥면을 구성하며, 각각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스택킹 돌부가 구비되는 바닥 영역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측면 영역은,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영역과 상기 제1 부분 영역보다 작은 경사각을 갖고 바닥 영역의 둘레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1 부분 영역과 상기 바닥 영역을 연결하는 제2 부분 영역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부분 영역에는, 상기 측면 영역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리브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이너 캡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상기 이너 캡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선형 리브가 상기 바닥 영역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 개 배열된 구성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부분 영역은, 상기 캡 플랜지부의 두께 대비 40 ~ 80 % 의 두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스택킹 돌부는, 상기 바닥 영역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바닥 영역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링 형상을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스택킹 돌부를 연결하는 처짐 방지 리브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처짐 방지 리브는, 상기 스택킹 돌부의 외측단을 통과하는 제1 리브와, 상기 스택킹 돌부의 내측단을 통과하는 제2 리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처짐 방지 리브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반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 플랜지부는, EPL 재질을 포함하고 0.3 mm 내지 0.5 mm 의 두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 플랜지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이한 곡률을 갖는 정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는, 용기 본체; 및 이너 캡;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는, 제1 깊이를 갖고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상방향으로 오픈된 공간을 갖는 용기 보울부, 및 상기 용기 보울부의 상단부 주변을 구성하는 용기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캡은, 제2 깊이를 갖고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상방향으로 오픈된 공간을 갖는 캡 트레이부, 및 상기 캡 트레이부의 상단부 주변을 구성하는 캡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용기 본체 상에 상기 이너 캡이 안착되면, 상기 용기 본체의 용기 보울부 내의 공간의 상부 부분 내부에 상기 캡 트레이부가 위치하여, 상기 캡 트레이부가 상기 용기 보울부 내부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상기 용기 플랜지부 상에 상기 캡 플랜지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열융착하면 상기 용기 보울부 내부의 하부 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용기 플랜지부는, 상기 용기 보울부 외측에 위치하는 실링 돌출 영역과, 상기 실링 돌출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실링 돌출 영역보다 낮게 위치하는 플랜지 바디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플랜지부 상에 상기 캡 플랜지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열융착하면 상기 플랜지 바디 영역과 상기 캡 플랜지부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간격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 바디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 플랜지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윙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기 본체는 제1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이너 캡은 제2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시트는 상기 제2 시트에 대하여 2배 내지 4배의 두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시트는 0.9mm ~ 1.2mm 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시트는 0.3mm ~ 0.5mm 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이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의하면, 레토르트 공정 과정에서 효과적인 살균이 수행될 수 있으며, 용기 본체 내의 식품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고, 포장공간 비율에 관한 규정을 충족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의하면, 진공 성형에 적합하면서도 레토르트 살균 공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두께의 시트를 사용하면서, 진공 성형에 의해 얇아진 부분이 레토르트 살균 과정에서 변형되지 않도록 보강되고, 스택킹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용기 본체는 이너 캡이 적층된 형태로 생산, 유통 및 판매가 가능할 뿐 아니라, 이너캡이 적층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도 진공 또는 살균 조건의 공정에서 적합하여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어 제품 적용도가 높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용기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너 캡을 아래, 위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 캡의 측부를 부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용기 본체 상에 이너 캡이 안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의 (a) 및 (b) 는 각각 용기 본체와 이너 캡을 구성하는 시트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X-X 단면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너 캡의 각부의 두께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0 은 비교예에 의한 이너 캡의 구조를 위,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너 캡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너 캡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너 캡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너 캡의 단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 캡을 용기 본체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있어서, 이너 캡 상에 스푼 및 파우치가 놓인 상태에서 리드필름이 씰링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일 유통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용기 본체(1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너 캡(200)을 아래, 위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 캡(200)의 측부를 부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용기는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일 수 있으며, 이너 캡(200)은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에 사용되는 이너 캡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용기는, 식품이 투입되어 보관될 수 있는 용기 본체(100); 및 상기 용기 본체(100)를 덮는 이너 캡(200);을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리드필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용기 보울부(110), 및 용기 플랜지부(120)를 포함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높이(H1)가 이너 캡(200)의 높이(H2)보다 크고, 최하부의 내경(D2)이 이너 캡(200)의 최하부의 내경보다 작은, 용기 본체(100)를 제공한다. 이는 이너 캡(200)에의 적용이 우수할 뿐 아니라, 많은 양을 체적할 수 있고 취식 시 숟가락 또는 젓가락에 의한 내용물 이탈이 적어 이용자 편의성이 높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 본체(100)는 최상부의 내경(W1)을 기준으로 할 때 용기 본체(100)의 높이(H1)가 0.1, 0.12, 0.13, 0.14, 0.15, 0.18, 0.2 및 0.3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하한선 및 0.14. 0.2, 0.3, 0.35, 0.4, 0.45, 0.5, 0.55 및 0.6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상한선으로 이루어진 범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0.1내지 0.5, 0.13 내지 0.45 또는 0.13 내지 0.4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약 0.13 내지 약 0.44일 수 있으나 용기 본체(100)의 높이(H1)가 이너 캡(200)의 높이(H2)보다 크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 본체(100)는 최상부의 내경(W1)을 기준으로 할 때 최하부의 내경(W2)이 0.3, 0.35, 0.4, 0.45, 0.5, 0.55, 0.6, 0.65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하한선, 및 0.6, 0.65, 0.7, 0.75, 0.8, 0.85, 0.9, 0.9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상한선으로 이루어진 범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0.3 내지 0.95, 0.5 내지 0.9, 또는 0.6 내지 0.85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약 0.63 내지 0.88일 수 있으나, 용기 본체(100)의 최하부의 내경(D2)이 이너 캡(200)의 최하부의 내경(W3)보다 작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 보울부(110)는 소정의 면적 및 제1 깊이를 갖고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상방향으로 오픈된 공간을 갖는 보울(bowl)형태의 부분이다. 따라서, 용기 보울부(110) 내의 공간은 실질적으로 식품 투입 및 보관 공간을 구성한다.
용기 플랜지부(120)는 용기 보울부(110)의 상단부 외측 주변부를 구성한다. 용기 플랜지부(120)는 용기 보울부(110)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는 고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100) 상에 상기 이너 캡(200)이 안착되면, 용기 플랜지부(120)의 상부분은 후술하는 이너 캡(200)의 캡 플랜지부(220)의 하면에 밀착할 수 있으며, 열 융착면으로 기능할 수 있다.
용기 플랜지부(120)는, 구체적으로 실링 돌출 영역(122), 플랜지 바디 영역(126), 및 윙(128)을 포함하는 3 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구성에 대해서는 도 7 을 참조하여,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기 플랜지부(120)의 외측에는 용기 손잡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용기 손잡이(130)는 상기 용기 플랜지부(120)의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용기 본체(100)를 들고 옮길 때 양 손으로 그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분이다. 용기 손잡이(130)는, 상기 플랜지 바디 영역(126)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플랜지 바디 영역(126)과 같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너 캡(200)은 캡 트레이부(210), 및 캡 플랜지부(220)를 포함한다.
캡 트레이부(210)는 소정의 면적 및 제2 깊이를 갖고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상방향으로 오픈된 공간을 갖는 트레이(tray) 형태의 부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캡 트레이부(210)를 위에서 본 형상은 용기 보울부(110)를 위에서 본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캡 트레이부(210) 내의 공간은 각종 소스, 스푼 등의 보관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캡 트레이부(210)는 제1 부분 영역(212), 제2 부분 영역(214), 및 바닥 영역(2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부분 영역(212)과 제2 부분 영역(214)은 캡 트레이부(210)의 측면 영역(215)을 구성한다. 제1 부분 영역(212)은 캡 플랜지부(220)로부터 연장되며, 제2 부분 영역(214)은 제1 부분 영역(212)과 바닥 영역(216) 사이를 연결한다. 바닥 영역(216)은 캡 트레이부(210)의 바닥면을 구성한다.
제2 부분 영역(214)은 제1 부분 영역(212)에 비해서 큰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경사각이라 함은, 이너 캡(200)을 평면 바닥에 놓았을 때, 평면 바닥과 이루는 사이각의 크기이다. 예컨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바닥의 가상선(L1)과, 제1 부분 영역(212)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L2) 사이의 사이각을 θ1 이라고 하며, 평면 바닥의 가상선(L1)과, 제2 부분 영역(214)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L3) 사이의 사이각을 θ2 라고 하면, θ1 >θ2 일 수 있다.
캡 플랜지부(220)는 캡 트레이부(210)의 상단부 외측 주변부를 구성한다. 캡 플랜지부(220)는 캡 트레이부(210)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는 고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100) 상에 상기 이너 캡(200)이 안착되면, 캡 플랜지부(220)의 하면이 상기 용기 플랜지부(120)의 실링 돌출 영역(122)에 안착될 수 있다.
캡 플랜지부(220)의 외측에는 캡 손잡이(230)가 구비될 수 있다. 캡 손잡이(230)는 상기 캡 플랜지부(220)의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이너 캡(200)을 용기 본체(100)로부터 분리시킬 때, 또는 이너 캡(200)을 들고 옮길 때 그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용기 본체(100) 상에 이너 캡(200)이 안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용기 본체(100)와 이너 캡(200)에 의한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용기 본체(100) 상에 상기 이너 캡(200)이 안착되면, 상기 용기 플랜지부(120) 상에 상기 캡 플랜지부(220)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00)의 용기 보울부(110) 내의 공간의 상부 부분 내부에 상기 캡 트레이부(210)가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캡 트레이부(210)는 상기 용기 보울부(110) 내부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할 수 있다. 즉, 용기 보울부(110) 내부의 공간은, 캡 트레이부(210) 아래의 공간과 캡 트레이부(210) 위의 공간으로 구획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용기 플랜지부(120) 상에 상기 캡 플랜지부(220)가 안착된 상태에서 열융착하면, 상기 용기 보울부(110) 내부의, 캡 트레이부(210) 아래에 위치하는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여기서, 캡 트레이부(210)의 깊이는 제2 깊이 H2 을 가지며, 용기 보울부(110)의 깊이는 제1 깊이 H1 를 가지므로, 캡 트레이부(210) 아래에 위치하는 공간은 제1 깊이 H1 에서 제2 깊이 H2 를 뺀 만큼의 깊이를 갖게 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100) 내에 식품을 투입하고, 이너 캡(200)을 덮었을 때, 상기 식품 상에 인접한 위치에 이너 캡(200)(정확하게는 이너 캡(200)의 캡 트레이부(210)의 바닥면)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용기를 사용한 레토르트 식품 제조 공정에서는, 상기 용기 본체(100) 내에 식품을 투입하고, 이너 캡(200)을 상기 용기 본체(100) 상에 안착시킨 후, 용기 플랜지부(120)와 상기 캡 플랜지부(220)를 서로 열 융착시킬 수 있다. 이어서, 소정의 압력 및 열을 가하여 살균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캡 트레이부(210)를 갖는 이너 캡(200)이 구비됨에 따라서, 레토르트 식품 제조 공정에서, 살균 과정을 거칠 때, 고온 고압 분위기와 용기 본체(100) 내의 식품 사이의 거리가 짧아진다. 따라서, 식품의 효과적인 살균이 수행될 수 있다.
동시에, 용기 본체(100) 내부의 식품 상에 충분한 깊이의 공간이 확보되므로, 액상 위주의 식품을 충진하였을 때, 이송 간의 넘침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너 캡(200)을 용기 본체(100)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도, 식품의 넘침이 방지되고 안전한 취식을 할 수 있다.
만일, 본 발명과 달리 종래의 일반적인 용기 및 캡을 사용할 경우 발생 가능한 문제를 생각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식품의 넘침 방지를 위해서 용기의 깊이를 깊게 하고 캡을 덮었을 경우에는, 용기 본체 내의 식품 상에 빈 공간이 많이 발생하며, 캡과 용기 본체 내의 식품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레토르트 공정 과정에서 살균이 미흡하거나, 또는 고온 고압의 살균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고온 고압의 살균은 용기의 변형, 및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행법상의 포장공간 비율에 관한 규정을 충족하기에도 어려움이 있게 된다.
다른 예로, 레토르트 공정 과정에서 효과적인 살균을 수행하기 위해서, 용기의 깊이를 작게 하고, 식품과 캡 사이의 거리가 가깝게 위치하도록 할 경우에는, 용기 본체 상의 빈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워서 상기와 같은 식품의 넘침 방지 효과를 달성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용기는 용기 본체(100)의 깊이가 깊게 구성되어 식품의 넘침을 방지하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동시에, 용기 본체(100)를 덮는 이너 캡(200)이 소정의 깊이를 가짐으로써, 용기 본체(100) 내부의 식품과 인접한 위치에 이너 캡(200)이 위치하여, 레토르트 공정 분위기와 식품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레토르트 공정 과정에서 효과적인 살균이 수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용기는, 상기와 같은 이너 캡(200)을 구비함에 따라서, 현행법상의 포장공간 비율에 관한 규정의 충족에 유리할 수 있다. 즉, 용기 본체(100)의 깊이를 깊게 하여 식품의 넘침을 방지하면서, 용기 본체(100) 상에 이너 캡(200)을 덮었을 때, 이너 캡(200)에 의해서 용기 본체(100) 내부의 공간이 작아지게 되므로, 포장공간 비율에 관한 규정을 충족하기에 유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가질 수 있는 세부적인 실시 형태와, 그에 의한 효과에 대해서 각각 설명한다.
도 6 의 (a) 및 (b) 는 각각 용기 본체(100)와 이너 캡(200)을 구성하는 시트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용기 본체(100)는 소정의 두께의 제1 시트(A)로 구성되고, 상기 이너 캡(200)은 소정의 두께의 제2 시트(B)로 구성된다. 예컨대, 용기 본체(100)와 이너 캡(200)은 각각 소정의 두께의 시트가 열 성형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시트(A)는 상기 제2 시트(B)에 대하여 2배 내지 4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트(A)는 0.9mm ~ 1.2mm 의 두께를 가지며, 제2 시트(B)는 0.3mm ~ 0.5m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너 캡(200)의 두께가 용기 본체(100)에 비해서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용기 본체(100)에 쉽게 열 융착 가능하며, 또한, 열 융착 상태에서 용기 본체(100)로부터 쉽게 벗길 수 있는 이지 필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용기 본체(100) 및 이너 캡(200)을 구성하는 제1 시트(A) 및 제2 시트(B)는, 다층 레이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 레이어 구조는 산소 차단이 가능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용기는, 상온에서 식품 보관이 가능한 상온 용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 본체(100)는 PP 재질을 포함한 제1 층(A1)과 제5 층(A5), AD 재질을 포함한 제2 층(A2)과 제4 층(A4), 및 EVOH 를 포함한 제3 층(A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층 내지 제5 층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캡(200)은 상기 용기 본체(100)와 같이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PP, AD, EVOH, AD, PP 재질을 포함하는 제1 내지 제5 층(B1, B2, B3, B4, B5)을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제1 층(B1) 아래에 AD 를 포함하는 제6 층(B6), 및 상기 제6 층(B6) 아래에 EPL 재질을 포함하는 제7 층(B7)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캡 플랜지부(220)는 하면이 상기 용기 플랜지부(120)의 실링 돌출 영역(122)과 용이하게 열 융착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플랜지부(120)로부터 이지 필 가능할 수 있다.
도 1 및 2 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용기 보울부(110) 및 상기 캡 트레이부(210)는, 적어도 일 부분에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되 다른 부분과 상이한 곡률을 갖는 정렬부(arrangement part)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용기 보울부(110)에는 제1 정렬부(140)가 구비되며, 이너 캡(200)에는 제2 정렬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용기 보울부(110)와 캡 트레이부(210)가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질 때, 상기 정렬부는, 소정의 폭을 갖는 직선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렬부를 구비함에 따라서, 용기 본체(100) 상에 이너 캡(200)을 안착시켰을 때, 용기 손잡이(130) 상에 캡 손잡이(230)가 위치하도록 방향성을 부여하며, 용기 본체(100) 상에 이너 캡(200)을 안정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도 7 은 도 1 의 X-X 단면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 을 참조하여, 용기 본체(100)의 용기 플랜지부(120)가 가질 수 있는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기 플랜지부(120)는, 구체적으로 실링 돌출 영역(122), 플랜지 바디 영역(126), 및 윙(128)을 포함하는 3 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링 돌출 영역(122)은 용기 플랜지부(120)의 내측(즉, 용기 보울부(110)에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며, 플랜지 바디 영역(126)은 실링 돌출 영역(122)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윙(128)은 용기 플랜지부(120)의 최 외측을 구성한다.
이때, 실링 돌출 영역(122)은 플랜지 바디 영역(126) 및 윙(128)에 비해서 상방향으로 더 높게 솟아 있다. 즉, 실링 돌출 영역(122)은 플랜지 바디 영역(126) 및 윙(128)에 비해서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실링 돌출 영역(122)과 플랜지 바디 영역(126) 사이에는 계단식 단차 영역(124)이 형성될 수 있다.
윙(128)은 용기 플랜지부(120)의 최 외측을 구성하며, 경사지도록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용기 플랜지부(120)의 최 외측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여 손상 발생을 방지하며,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부상(용기 플랜지부(120)의 최 외측이 날카로울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부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용기 손잡이(130)는 플랜지 바디 영역(126)으로부터 연장되며, 플랜지 바디 영역(126)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용기 손잡이(130) 또한 실링 돌출 영역(122)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100) 상에 이너 캡(200)을 안착시킨 후, 용기 본체(100)의 용기 플랜지부(120)와 이너 캡(200)의 캡 플랜지부(220)가 서로 열 융착 되었을 때, 실링 돌출 영역(122)과 이너 캡(200)의 캡 플랜지부(220)가 서로 열 융착되며, 이너 캡(200)의 캡 플랜지부(220)와 플랜지 바디 영역(126)은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이너 캡(200)과 용기 플랜지부(120) 사이의 결합 면적이 과다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사용자가 이너 캡(200)과 용기 플랜지부(120) 사이를 뜯기 힘들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레토르트 살균 과정에서 견딜 수 있는 충분한 밀봉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링 돌출 영역(122)은 용기 손잡이(130)보다 내측에 위치하며, 용기 손잡이(130)와 실링 돌출 영역(122)이 서로 높이 차이를 가짐으로서, 이너 캡(200)의 캡 손잡이(230)가 용기 손잡이(130)와 서로 실링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따라서, 캡 손잡이(230)와 용기 손잡이(130) 사이에 간극이 유지되어, 사용자가 이너 캡(200)의 캡 손잡이(230)를 잡고 쉽게 이너 캡(200)을 벗길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용기 보울부(110)는, 다각 구조(150)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용기 보울부(110)는, 10 내지 30, 15 내지 25, 18 내지 22, 구체적으로 약 20 각 의 다각 구조(150)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용기 보울부(110)에 구비된 다각 구조(150)는 용기 보울부(110)의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레토르트 공정 과정에서 상기 용기 보울부(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압력이 발생할 경우에도 용기 보울부(110)가 변형되거나 및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너 캡(200)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너 캡(200)은 스택킹 돌부(250), 보강 리브(260), 및 처짐 방지 리브(270)를 가질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에 적용될 수 있는 제조 방법과, 그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는 효과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한다. 이어서, 그러한 문제점을 토대로 하여 비교예와 실시예를 각각 비교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용기 본체(100) 및 이너 캡(20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용기는, 진공 성형 방식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도 6 의 구조를 갖는 시트를 가열하여 변형되기 용이한 상태로 한 후, 진공 흡입(vacuum) 장치와 연결된 금형에 흡착시켜서 용기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 의 (a) 와 같이, 용기 형태의 함몰부를 갖는 하부 금형(P1)과, 상기 함몰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부 금형(P2) 사이에 시트(R)와 가열 장치(Q)를 배치한다. 시트(R)는 가열 장치(Q)에 의해서 가열되어 변형되기 용이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b), (c) 와 같이, 상부 금형(P2)을 하부 금형(P1)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시트(R)의 일 부분을 가압하며, 하부 금형(P1)과 연결된 진공 흡입 장치를 이용하여 화살표 V 와 같이 공기를 흡입하여 시트(R)가 하부 금형(P1)의 함몰부 내에 밀착되도록 한다. 성형이 완료되면 (d) 와 같이 하부 금형(P1)으로부터 시트(R)와 상부 금형(P2)을 이탈시킨다. 이에 따라서, 용기 본체(100), 및 이너 캡(200)이 제조된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해서 용기를 성형하는 경우,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사출방식에 비해서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공정에 의해서 용기를 성형하는 경우, 일정한 두께를 가진 시트(R)를 제한된 방향으로 연신시키게 된다. 특히, 연신 방향은 용기의 높이 방향이므로, 시트(R)가 연신될수록 측면 영역(215) 부분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용기는, 레토르트 공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가압 살균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측면 영역(215) 부분이 음압으로 인해서 뒤틀리거나 손상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만일, 시트(R)의 두께가 충분히 두꺼운 경우(예컨대, 0.7 mm 이상인 경우)에는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용기 성형 과정에서 제한된 방향으로 시트(R)가 연신되어도 측면 영역(215)이 여전히 두꺼운 두께를 가져서 음압에 대한 저항력이 크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이너 캡(200)의 경우에는, 용기 본체(100)에 대해서 직접 열융착이 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시트(R)를 이용한다. 따라서, 이너 캡(200)의 측면 영역(215)은 시트(R)의 원래 두께보다 더 얇아지게 되어 측면 영역(215)이 가압 살균 과정에서 손상되기 쉬울 수 있다. 즉, 측면 영역(215)을 구성하는 제1 부분 영역(212), 및 제2 부분 영역(214)는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가압 살균 과정에서 손상되기 쉬울 수 있다.
예컨대, 도 9 를 참조하여 이너 캡(200)의 각부의 두께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너 캡(200)은 크게 캡 트레이부(210), 및 캡 플랜지부(220)를 포함하며, 캡 트레이부(210)는 제1 부분 영역(212), 제2 부분 영역(214), 및 바닥 영역(2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부분 영역(214)과 바닥 영역(216)은 이너 캡(200)의 측면 영역(215)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캡 플랜지부(220)는 제1 두께(d1)를 가지고, 제1 부분 영역(212)은 제2 두께(d2)를 가지며, 제2 부분 영역(214)은 제3 두께(d3)를 가지고, 바닥 영역(216)은 제4 두께(d4)를 갖는다고 할 때, 상기 설명한 진공 성형 공정의 특성을 고려하면, 각 두께의 크기 관계는 d1≥d4>d2≥d3 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캡 플랜지부(220)는 특별히 연신된 적이 없으므로, 성형 전의 시트의 두께와 가장 유사하다. 따라서, 시트의 두께가 0.5T (0.5 mm)일 경우, 제1 두께(d1)의 크기는 0.3~0.5T (0.3 ~ 0.5 mm)일 수 있다.
아울러, 바닥 영역(216)도 특별히 수직방향으로 연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4 두께(d4)의 크기는, 상기 캡 플랜지부(220)의 두께(d1)와 유사하거나 그보다 약간 얇은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1 부분 영역(212)과 제2 부분 영역(214)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시트를 연신시킴으로서 형성된 부분이다. 따라서, 제1 부분 영역(212)의 두께와 제2 부분 영역(214)의 두께는 상기 캡 플랜지부(220)와 바닥 영역(216)의 두께 대비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시트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가장 멀리 위치한 제2 부분 영역(214)이 가장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부분 영역(214)의 두께는 캡 플랜지부(220)의 두께 대비 약 40 내지 80% 영역에 위치하며, 예를 들어 60% 내외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너 캡(200)은 용기 본체(100)와의 열 융착 조건 및 이지 필 조건에서 요구되는 얇은 두께 조건을 가져야 한다. 그와 동시에, 양산성을 고려한 진공 성형에 의해서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이너 캡(200)의 측면 영역(215)으로서, 제1 부분 영역(212) 및 제2 부분 영역(214))이 레토르트 살균과정에서 뒤틀리거나 파손되는 일이 없도록 보강을 달성하는 추가적인 보강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은 이너 캡(200)의 추가적인 보강 구조는, 크게 자동화 과정에서 복수의 이너 캡(200)들이 서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택킹 수단, 음압 현상을 방지하는 보강 수단, 및 바닥 영역(216)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 수단의 세가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스택킹 돌부(250), 보강 리브(260), 및 처짐 방지 리브(270)는 각각 상기 스택킹 수단, 보강 수단, 및 처짐 방지 수단이 각각 구체적으로 구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3 을 참조하여 비교예와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비교예 : 이너 캡(200)의 측면 영역(215)에 스택킹 단차가 형성된 경우, 도 10>
도 10 은 비교예에 의한 이너 캡(EX1)의 구조를 상하 방향(위, 또는 아래)에서 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비교예에 의한 이너 캡(EX1)은, 측면 영역(215)(제1 부분 영역(212), 및 제2 부분 영역(214)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스택킹 단차 구조(ST)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 측면 영역(215)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스택킹 단차 구조(ST)가 다른 이너 캡(200)의 바닥 영역(216) 또는 제2 부분 영역(214)과 맞물려서 이너 캡(200) 사이가 일정 간격을 갖도록 지지한다.
이와 같은 비교예에 의한 이너 캡(EX1) 구조는 기본적인 스택킹 기능은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설비에서의 테스트 결과, 측면 영역(215)(제1 부분 영역(212) 및 제2 부분 영역(214))이 레토르트 살균 과정에서 음압에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스택킹 기능도 함께 손상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것은,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부분인 측면 영역(215)이 음압으로 뒤틀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측면 영역(215)이 음압으로 뒤틀리면 스택킹 기능도 함께 상실되기 때문이다.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공 성형에 의한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용기를 제조할 때에 더욱 문제가 된다. 이때, 제1 부분 영역(212)과 제2 부분 영역(214)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시트를 연신시킴으로서 형성되므로, 특히 얇은 두께를 갖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갖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시트에서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으나, 본 발명에 의한 이너 캡(200)의 경우, 열 융착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시트(약 0.4T 내외)를 이용하기 때문에 특히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제1 실시예 : 이너 캡(200)의 바닥 영역(216)에 스택킹 돌부(250)가 형성된 경우, 도 11>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너 캡(200)의 구조를 위, 또는 아래에서 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단, 도 11 은 간략하게 개념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 영역(216)에 스택킹 돌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즉, 비교예와 비교하여 보면, 스택킹 수단이 형성된 위치가 측면 영역(215)에서 바닥 영역(216)으로 옮겨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스택킹 돌부(250)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소정의 입체 구조로 구성된다. 스택킹 돌부(250)는 임의의 수가 구비될 수 있고, 예컨대 3 개 내지 6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스택킹 돌부(250)의 배치 위치는 한정하지 아니하며, 임의일 수 있으나,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영역(216)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 결과, 바닥 영역(216)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스택킹 돌부(250)가 다른 이너 캡(200)의 바닥 영역(216)를 지지함으로서, 스택킹 기능이 달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택킹 돌부(250)는 이너 캡(200)의 제조 후 적층 및 운반, 사용 과정에서 이너 캡(200) 간의 적층 간격을 확보한다. 따라서, 이너 캡(200)의 적층 및 분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비교예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에서는 이너 캡(200)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달성하는 부분이 측면 영역(215)으로부터 바닥 영역(216)로 전이되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서, 바닥 영역(216)에 위치한 스택킹 돌부(250)는 측면 영역(215)(제1 부분 영역(212), 및 제2 부분 영역(214))이 음압으로 인해서 찌그러지거나 뒤틀리는 것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택킹 기능은 측면 영역(215)의 변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된다.
<제2 실시예 : 이너 캡(200)의 바닥 영역(216)에 스택킹 돌부(250)가 형성되며 제2 부분 영역(214)에 보강 리브(260)가 형성된 경우, 도 12>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너 캡(200)의 구조를 위, 또는 아래에서 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단, 도 12 는 간략하게 개념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택킹 돌부(250)가 바닥 영역(216)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부분 영역(214)에는 보강 리브(26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비교예와 비교하여 보면, 스택킹 수단이 형성된 위치가 측면 영역(215)에서 바닥 영역(216)으로 옮겨져 있으며, 제2 부분 영역(214)에는 보강 수단이 더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보강 리브(260)의 구체적인 형상은 한정하지 아니한다. 예컨대, 링 형태의 제2 부분 영역(214)를 따라서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돌출 영역 및 함몰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영역 및 함몰 영역은 각각 수직 방향으로 돌출 및 함몰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리브(260)의 구체적인 일 예로서, 도 13, 14 와 같은 형태의 보강 리브(26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보강 리브(260)는, 상기 이너 캡(200)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상기 이너 캡(200)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선형 리브(262)가 상기 바닥 영역(216)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 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그 결과, 앞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 영역(216)에 위치한 스택킹 돌부(250)는 측면 영역(215)이 음압으로 인해서 찌그러지거나 뒤틀리는 것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택킹 기능은 측면 영역(215)의 변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유지된다. 뿐만 아니라, 스택킹 수단이 바닥 영역(216)으로 옮겨짐에 따라서 제2 부분 영역(214)에 빈 영역이 생기게 되며, 보강 수단을 부여하는 데 상기 제2 부분 영역(214)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2 부분 영역(214)에 보강 리브(26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측면 영역(215)(제1 부분 영역(212) 및 제2 부분 영역(214))의 강도를 전체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레토르트 살균 과정에서 측면 영역(215)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부분 영역(214)은 타 부분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제2 부분 영역(214)에 형성된 보강 리브(260)는 이너 캡(200)의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 : 이너 캡(200)의 바닥 영역(216)에 스택킹 돌부(250), 및 처짐 방지 리브(270)가 형성되며 제2 부분 영역(214)에 보강 리브(260)가 형성되는 경우, 도 13, 14>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의 이너 캡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도 14 는 도 13 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택킹 수단이 바닥 영역(216)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부분 영역(214)에는 보강 수단인 보강 리브(260)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바닥 영역(216)에는 처짐 방지 리브(270)가 형성되어 있다. 즉, 비교예와 비교하여 보면, 스택킹 수단이 형성된 위치가 측면 영역(215)에서 바닥 영역(216)으로 옮겨져 있으며, 제2 부분 영역(214)에 보강 리브(260)가 더 구비되고, 바닥 영역(216)에 처짐 방지 리브(270)가 더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처짐 방지 리브(270)는, 소정의 내경을 갖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처짐 방지 리브(270)는 복수 개의 스택킹 돌부(250)를 연결하는 폐곡선 형태의 돌기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처짐 방지 리브(270)의 형성 위치는 스택킹 돌부(250)의 형성 위치와 겹쳐질 수 있다.
아울러, 처짐 방지 리브(270)는 동심원 구조의 제1 리브(272)와 제2 리브(2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리브(272)는 제2 리브(274)보다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1 리브(272)는 스택킹 돌부(250)의 외측단을 통과하고, 제2 리브(274)는 스택킹 돌부(250)의 내측단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브(272)와 제2 리브(274)는, 각각 상방향으로 볼록한 반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리브(272)와 제2 리브(274)는 아치(arch)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스택킹 돌부(250)를 바닥 영역(216)에 위치시킬 경우, 바닥 영역(216)이 스택킹에 의한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처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스택킹 돌부(250)들을 연결하는 폐곡선 형태의 추가적인 처짐 방지 리브(270)를 구비시킴으로서, 이와 같은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토르트 공정 이후에 이너 캡(200)의 모든 지점에서 발생하는 음압으로 인하여 이너 캡(200)의 바닥 영역(216)이 처지는 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 캡(200)을 용기 본체(100)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있어서, 이너 캡(200) 상에 스푼(S) 및 파우치(P)가 놓인 상태에서 리드필름(300)이 씰링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일 유통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사용할 때, 이너 캡(200)을 잡고 용기 본체(100)로부터 이너 캡(200)을 뜯어서 용기 본체(1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너 캡(200)은 용기 본체(100)로부터 이지 필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용기 본체(100)의 손잡이(130) 상부와 이너 캡(200)의 캡 손잡이(230)의 저면 사이에는 틈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더욱 쉽게 이너 캡(200)을 뜯을 수 있다.
아울러,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이너 캡(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캡 트레이부(210) 내의 공간을 덮고 상기 캡 플랜지부(220) 상에 밀착하는 리드필름(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드필름(300)에 의해서 상기 캡 트레이부(210) 내의 공간이 밀봉될 수 있으며, 캡 트레이부(210)의 공간 내부에 별첨 스프가 담긴 파우치(P), 스푼(S) 등이 보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되며, 별도의 포장 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포장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리드필름(300)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7 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리드필름(300)이 없는 상태에서, 용기 본체(100)와 이너 캡(200) 만이 결합된 형태로 유통되거나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번들로 포장하는 소정의 지함(P)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용기 본체
110: 용기 보울부
120: 용기 플랜지부
122: 실링 돌출 영역
124: 계단식 단차 영역
126: 플랜지 바디 영역
128: 윙
130: 용기 손잡이
140: 제1 정렬부
150: 다각 구조
200: 이너 캡
210: 캡 트레이부
212: 제1 부분 영역
214: 제2 부분 영역
215: 측면 영역
216: 바닥 영역
220: 캡 플랜지부
230: 캡 손잡이
240: 제2 정렬부
250: 스택킹 돌부
260: 보강 리브
262: 선형 리브
270: 처짐 방지 리브
272: 제1 리브
274: 제2 리브

Claims (14)

  1.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상방향으로 오픈된 공간을 갖는 캡 트레이부, 및
    상기 캡 트레이부의 상단부 주변을 구성하는 캡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 트레이부는,
    상기 캡 플랜지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캡 플랜지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측면 영역, 및
    상기 측면 영역과 연결되어 바닥면을 구성하며, 각각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스택킹 돌부가 구비되는 바닥 영역을 포함하는 이너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영역은,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영역과 상기 제1 부분 영역보다 작은 경사각을 갖고 바닥 영역의 둘레를 구성하도록 상기 제1 부분 영역과 상기 바닥 영역을 연결하는 제2 부분 영역을 포함하는 이너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영역에는,
    상기 측면 영역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리브가 구비되는 이너 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이너 캡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상기 이너 캡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선형 리브가 상기 바닥 영역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 개 배열된 것인 이너 캡.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 영역은,
    상기 캡 플랜지부의 두께 대비 40 ~ 80 % 의 두께를 갖는 이너 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스택킹 돌부는,
    상기 바닥 영역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바닥 영역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링 형상을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스택킹 돌부를 연결하는 처짐 방지 리브가 구비되는 이너 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 방지 리브는,
    상기 스택킹 돌부의 외측단을 통과하는 제1 리브와, 상기 스택킹 돌부의 내측단을 통과하는 제2 리브를 포함하는 이너 캡.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 방지 리브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반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돌출되는 이너 캡.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랜지부는,
    EPL 재질을 포함하고 0.3 mm 내지 0.5 mm 의 두께를 갖는 이너 캡.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랜지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이한 곡률을 갖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이너 캡.
  11.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 및
    이너 캡;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본체는,
    제1 깊이를 갖고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상방향으로 오픈된 공간을 갖는 용기 보울부, 및
    상기 용기 보울부의 상단부 주변을 구성하는 용기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캡은,
    제2 깊이를 갖고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상방향으로 오픈된 공간을 갖는 캡 트레이부, 및
    상기 캡 트레이부의 상단부 주변을 구성하는 캡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용기 본체 상에 상기 이너 캡이 안착되면,
    상기 용기 본체의 용기 보울부 내의 공간의 상부 부분 내부에 상기 캡 트레이부가 위치하여, 상기 캡 트레이부가 상기 용기 보울부 내부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상기 용기 플랜지부 상에 상기 캡 플랜지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열융착하면 상기 용기 보울부 내부의 하부 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용기 플랜지부는,
    상기 용기 보울부 외측에 위치하는 실링 돌출 영역과,
    상기 실링 돌출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실링 돌출 영역보다 낮게 위치하는 플랜지 바디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플랜지부 상에 상기 캡 플랜지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열융착하면 상기 플랜지 바디 영역과 상기 캡 플랜지부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간격을 갖는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 바디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 플랜지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윙을 포함하는 용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제1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이너 캡은 제2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시트는 상기 제2 시트에 대하여 2배 내지 4배의 두께를 갖는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는 0.9mm ~ 1.2mm 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시트는 0.3mm ~ 0.5mm 의 두께를 갖는 용기.
KR1020200098241A 2019-08-05 2020-08-05 이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102471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103 2019-08-05
KR20190095103 2019-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138A true KR20210018138A (ko) 2021-02-17
KR102471889B1 KR102471889B1 (ko) 2022-11-29

Family

ID=74503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241A KR102471889B1 (ko) 2019-08-05 2020-08-05 이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1889B1 (ko)
WO (1) WO20210252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97906A1 (en) * 2021-03-16 2022-09-22 Altria Client Services Llc Tray with base, dome and bri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3366A (ja) 1993-03-31 1994-10-21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JP2005193939A (ja) * 2004-01-06 2005-07-21 Seikoo:Kk プラスチック製小型トレー
JP2010120664A (ja) * 2008-11-18 2010-06-03 Yokohama Rubber Co Ltd:The 二液性シーリング材の樹脂製容器
JP2014196138A (ja) * 2013-03-29 2014-10-16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食品容器
JP3202018U (ja) * 2015-10-28 2016-01-14 株式会社タカハシ包装センター 食品収容容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391B2 (ja) * 1991-06-21 2000-01-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密封容器および蓋材
JP3202018B2 (ja) * 1991-12-17 2001-08-27 ギスト ブロカデス ナ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高濃度のアスタキサンチンと低濃度の3−ヒドロキシ−3’、4’−ジデヒドロ−β、Ψ−カロテン−4−オン(HDCO)を含むパフィア ロドツィマの新規株
JPH09221173A (ja) * 1996-02-16 1997-08-26 Showa Alum Corp 真空包装用容器
KR200385400Y1 (ko) * 2005-03-07 2005-05-27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밀폐 용기
JP5655488B2 (ja) * 2010-10-14 2015-01-21 凸版印刷株式会社 2段容器
KR101262214B1 (ko) * 2011-04-26 2013-05-28 에스알테크노팩 주식회사 직립 적층이 용이한 식품용 포장용기
KR200487577Y1 (ko) * 2018-01-17 2018-10-08 (주)포스텍 비주름형 일회용 용기
KR102049388B1 (ko) * 2019-01-25 2019-11-28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3366A (ja) 1993-03-31 1994-10-21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JP2005193939A (ja) * 2004-01-06 2005-07-21 Seikoo:Kk プラスチック製小型トレー
JP2010120664A (ja) * 2008-11-18 2010-06-03 Yokohama Rubber Co Ltd:The 二液性シーリング材の樹脂製容器
JP2014196138A (ja) * 2013-03-29 2014-10-16 日清食品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食品容器
JP3202018U (ja) * 2015-10-28 2016-01-14 株式会社タカハシ包装センター 食品収容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5275A1 (ko) 2021-02-11
KR102471889B1 (k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6328B1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multi-functional cap
US20060260971A1 (en) Stackable contai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tacking, and shipping the same
AU2001231101A1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multi-functional cap
JP5160617B2 (ja) 成形蓋と包装用容器
EP0068718A1 (en) Hermetically sealable containers and method of sealing
US11964805B2 (en) Container for retort food
CN104159830B (zh) 容器包装
KR20210018138A (ko) 이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200037282A (ko) 스파우트 캡, 스파우트 및 스파우트 부착 용기
JP5954953B2 (ja) 密封容器
JP2010510139A (ja) 軽量容器を備える梱包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JP6250375B2 (ja) カバーフィルム付き容器
EP1544129B1 (en) Thermoformed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20200092838A (ko)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JP4948093B2 (ja) 合成樹脂製カップ状容器
JP5423173B2 (ja) 包装体の製造方法
JP6887735B2 (ja) 蓋材付きカップ容器
JP4917856B2 (ja) 包装用容器
JP3178219U (ja) 包装用容器
JP7330908B2 (ja) 蓋材付き容器の製造方法
CN1767983A (zh) 内部安全的封壳
JPH01254540A (ja) 金属蓋付容器
JP2024056968A (ja) シュリンク包装体
JP6397689B2 (ja) ベビーフード用または高齢者食用の容器
JP5187100B2 (ja) 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