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8106A - 유체 분배 펌프를 위한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유체 분배 펌프를 위한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8106A
KR20210018106A KR1020200096646A KR20200096646A KR20210018106A KR 20210018106 A KR20210018106 A KR 20210018106A KR 1020200096646 A KR1020200096646 A KR 1020200096646A KR 20200096646 A KR20200096646 A KR 20200096646A KR 20210018106 A KR20210018106 A KR 20210018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ump
container
connection assembl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041B1 (ko
Inventor
아서 에이. 호바르트
Original Assignee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20210018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0Pump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7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being opened by deformation of a sealing element made of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e.g. flaps, skirts, duck-bil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89Dispens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05B11/1032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actuated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9Attachment arrangements comprising a deformable or resilient ferrule clamped or locked onto the neck of the container by displacing, e.g. sliding, a sleeve surrounding the ferru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B05B11/3032
    • B05B11/3049
    • B05B11/307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14Pumps characterised by muscle-pow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10Shaft sealings
    • F04D29/12Shaft sealings using sealing-rings
    • F04D29/126Shaft sealings using sealing-ring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유체를 용기로부터 분배하기 위한 유체 분배 펌프를 위한 연결 조립체가 개시된다. 연결 조립체는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 커넥터 및 제1 커넥터와 나사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용기의 목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부분을 함께 형성한다. 연결 조립체는 수용 부분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슬라이더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연결 조립체의 길이 방향 축을 따른 제2 커넥터에 대한 제1 커넥터의 이동은 연결 조립체의 반경 방향으로의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연결 조립체는 용기의 목부의 내부 표면과 결합하도록 슬라이더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 분배 펌프를 위한 연결 조립체{CONNECTING ASSEMBLY FOR FLUID DISPENSING PUMP}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본 출원에서 참조로서 포함된, 동시 계류중인 대리인 참조 번호 132073-D200와 관련된다.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유체를 분배하기 위해 용기 내에 제공된 유체 분배 펌프를 위한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종 물과 같은 유체를 용기 또는 배럴로부터 원하는 양만큼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분배기는 원하는 양의 유체를 분배하는 이러한 요건을 만족시킨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분배기는 유체를 분배하도록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원하는 양의 유체를 분배하는 기능 이외에, 이러한 분배기를 용기 상에 장착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추가로, 용기와 결합하는 분배기의 부분은 용기 표면에 대해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고, 용기로의 용이한 결합과 용기로부터의 용이한 분리를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 특허공보 US 9,033,682는 자동차의 유체를 펌핑하기 위한 수동 펌프를 개시하고 있다. 수동 펌프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그리고 축방향으로 장착된 작동체 및 스트로크 축을 둘러싸는 가요성 링 섹션을 갖는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스트로크 이동 중에, 작동체는 휴지 위치로부터 하우징 내로 그리고 작동 위치로 탄성 요소의 힘에 대항하여 멤브레인과 함께 가압되고, 탄성 요소에 의해 휴지 위치로 복귀된다. 이는 펌프 챔버의 체적이 변경될 수 있게 한다.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 2004/0169001는 개방된 제1 단부, 폐쇄된 제2 단부, 내부 벽 및 외부 벽을 갖는 쉘을 포함하고, 이 조합이 원추형 공간을 형성하는 병 마개를 개시한다. 또한, 병 마개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위치된 원추형 표면을 갖는 테이퍼(tapered) 형태의 코어를 포함한다. 테이퍼 형태의 코어는 쉘의 원추형 공간보다 크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유체를 용기로부터 분배하기 위한 유체 분배 펌프를 위한 연결 조립체가 개시된다. 유체 분배 펌프는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 형성된 유체 챔버를 포함한다. 유체 챔버는 용기 및 유체 챔버로부터 연장되는 분출부와 유체 연통한다. 유체 분배 펌프는 유체를 용기로부터 유체 챔버 내로 흡인하고, 그 후에 유체를 분출부를 통해 분배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유체 분배 펌프는 하우징을 용기의 목부와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연결 조립체는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 커넥터 및 제1 커넥터와 나사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용기의 목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부분을 함께 형성한다. 연결 조립체는 수용 부분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슬라이더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연결 조립체의 길이 방향 축을 따른 제2 커넥터에 대한 제1 커넥터의 이동은 연결 조립체의 반경 방향으로의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연결 조립체는 용기의 목부의 내부 표면과 결합하도록 슬라이더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커넥터는 원통형 부분과 원통형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 부분을 포함한다. 원통형 부분은 외부 표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고,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간편하게는, 원통형 부분 및 테이퍼 부분은 용기로부터 하우징으로 유체 유동을 가능하게 하고,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내에 형성된 유체 챔버로 유체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1 커넥터는 원통형 부분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핸드 그립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커넥터는 상부 부분 및 상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한다. 상부 부분은 내부 표면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제1 커넥터의 원통형 부분과 나사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간편하게는, 하부 부분 및 제1 커넥터의 테이퍼 부분은 수용 부분을 함께 형성한다. 또한, 제2 커넥터는 상부 부분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플랜지는 연결 조립체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절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슬라이더 각각은 아치형 벽 부분, 아치형 벽 부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아치형 리지(ridge) 부분, 및 아치형 벽 부분과 아치형 리지 부분을 연결하는 활주 부분을 포함한다. 활주 부분은 플랜지 내에 형성된 절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아치형 벽 부분은 아치형 벽 부분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구형 돌출부를 포함한다. 구형 돌출부는 제1 커넥터의 테이퍼 부분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또한, 아치형 벽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를 수용하기 위해 아치형 벽 부분의 외부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는 O-링이고, 슬라이더들을 제1 커넥터의 테이퍼 부분을 향해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목부를 갖는 용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가 제공된다. 펌프는 유체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유체를 분배하도록 유체 챔버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왕복 부재 및 하우징을 용기의 목부와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 조립체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연결 조립체는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 커넥터 및 제1 커넥터와 나사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용기의 목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부분을 함께 형성한다. 연결 조립체는 수용 부분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활주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펌프의 길이 방향 축을 따른 제2 커넥터에 대한 제1 커넥터의 이동은 용기의 목부의 내부 표면과 활주 장치를 결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커넥터는 원통형 부분과 원통형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 부분을 포함한다. 원통형 부분은 원통형 부분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나사산 및 원통형 부분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recess)를 포함한다. 오목부는 하우징의 하부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레그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커넥터는 원통형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 부분을 포함한다. 원통형 부분 및 테이퍼 부분은 용기로부터 유체 챔버로의 유체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커넥터는 원통형 부분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드 그립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커넥터는 상부 부분 및 상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한다. 상부 부분은 상부 부분의 내부 표면에 나사산을 구비하고, 제1 커넥터의 원통형 부분과 나사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제1 커넥터의 하부 및 테이퍼 부분은 함께 수용 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제2 커넥터는 상부 부분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다수의 절개부는 플랜지에 형성되고, 펌프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나아가, 플랜지는 각각의 절개부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벽 및 플랜지의 내부 모서리에, 2 개의 인접한 절개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활주 장치는 제1 커넥터의 테이퍼 부분과 제2 커넥터의 하부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각각의 슬라이더는 제2 커넥터의 플랜지, 구체적으로는 플랜지 내에 형성된 절개부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슬라이더는 아치형 벽 부분, 아치형 벽 부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아치형 리지 부분 및 아치형 벽 부분과 아치형 리지 부분을 연결하는 활주 부분을 포함한다. 활주 부분은 플랜지의 절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활주 부분이 절개부를 따라서 활주할 수 있도록, 활주 부분은 플랜지 내의 한 쌍의 벽에 의해서 형성된 폭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를 포함한다. 융기부 및 한 쌍의 벽은 절개부를 따른 슬라이더의 이동을 함께 안내한다.
유리하게는, 아치형 리지 부분은 단차 부분을 포함한다. 단차 부분 및 플랜지에 제공된 스토퍼는 함께, 슬라이더의 반경 방향 이동을 플랜지의 폭에 의해 형성된 거리 내로 제한하고, 그에 의해 슬라이더를 플랜지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한다.
유리하게는, 아치형 벽 부분은 아치형 벽 부분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구형 돌출부 및 아치형 벽 부분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한다. 구형 돌출부는 제1 커넥터의 테이퍼 부분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활주 장치는 제2 커넥터에 대한 제1 커넥터의 이동에 기초하여 연결 조립체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연결 조립체는 아치형 벽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홈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를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는 슬라이더를 제1 커넥터의 테이퍼 부분을 향해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O-링이다. 연결 조립체의 반경 방향으로의 슬라이더의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가 용기의 목부의 내부 표면과 결합하게 하고, 그에 의해 펌프를 용기에 결합시킨다.
이제, 본 개시 내용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이러한 양태 및 특징은 첨부 도면과 함께 본 개시 내용의 특정한 비제한적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검토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대안 및/또는 그 변형을 포함함)는 다음의 도면과 함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목부에 장착된 유체 분배 펌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유체 분배 펌프의 연결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조립체의 제1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조립체의 제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도 4a의 A-A' 단면을 따라 취한 제2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조립체의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의 플랜지와 슬라이더들 사이의 결합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b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들과 플랜지 사이의 결합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목부로부터 결합이 해제된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목부와 결합된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용기(104)의 목부(102)에 장착된 유체 분배 펌프(100)의 단면도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이후로, 본 개시 내용에서 유체 분배 펌프(100)는 일반적으로 그리고 대안적으로 펌프(100)로서 지칭된다. 용기(104)는 일반적으로 폐쇄된 하부 단부, 개방된 상부 단부, 및 목부(102)를 갖는 원통형 구성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펌프(100)는 하우징(106), 하우징(106) 내에 형성된 유체 챔버(108) 및 유체를 용기(104)로부터 유체 챔버(108) 내로 흡인하기 위한 수단(110)을 포함한다. 유체 챔버(108)는 용기(104) 및 분출부(112)와 유체 연통된다. 또한, 펌프(100)는 하우징(106)을 용기(104)의 목부(102)와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 조립체(114)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106)으로부터 연장되는 파이프(116)가 유체 챔버(108)와 용기(104) 사이의 유체 연통을 돕는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펌프(100)의 길이 방향 축 'L'을 따라 하우징(106)에 결합되는 캡(118)의 왕복 운동은 수단(110)이 유체를 파이프(116)를 통해 용기(104)로부터 유체 챔버(108) 내로 흡인하게 하고, 그 후에 분출부(112)를 통해 유체를 분배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출원에서 수단(110)은 캡(118)으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팅 로드(110-1), 커넥팅 로드(110-1) 주위에 배치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110-2), 하우징(106)과 커넥팅 로드(110-1) 사이에 연결된 실리콘 멤브레인(110-3), 하우징(106)의 하부 벽(122)에 제공된 밸브 밀봉부(110-4) 및 파이프(116)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실리콘 멤브레인(110-3)은 분출부(112)를 통해 유체를 분배하기 위해 유체 챔버(108) 내에 배치되는 왕복 부재로서 기능한다. 본 출원에서 펌프(100)는 기계식 수동 펌프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전기 펌프와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유형의 펌프가 본 개시 내용에 의해 포함된다. 이러한 대체적인 펌프에서, 수단(110)은 전기 액추에이터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연결 조립체(114)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 조립체(114)는 하우징(106)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 커넥터(202), 제1 커넥터(202)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2 커넥터(204), 하나 이상의 밀봉부(208)의 도움으로 제1 커넥터(202) 상에 배치되는 활주 장치(206)를 포함한다. 활주 장치(206)는 다수의 슬라이더(206-1, 206-2, 206-3)를 포함한다. 비록, 3 개의 슬라이더가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수의 슬라이더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20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명료한 설명을 위해 도 3은 도 1과 관련지어 설명된다. 제1 커넥터(202)는 외부 표면(306)에 나사산(304)이 형성되고 내부 표면(310)에 오목부(308)가 형성된 원통형 부분(302)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오목부'는 원통형 부분(302)의 내부 표면(310)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오목부(308)는 하우징(106)의 하부 벽(122)으로부터 연장되는 레그(120)(도 1 참조)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202)의 오목부(308)와 하우징(106)의 레그(120) 사이의 결합은 스냅 연결(snap connection)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우징(106)이 제1 커넥터(202)와 결합되면, 하우징(106)은 제1 커넥터(202)가 고정될 때 펌프(100)의 길이 방향 축 'L'에 대해 회전(도 1에서 원호 'R'로 표시)될 수 있다. 하우징(106)의 회전은 오목부(308)의 길이에 기초하여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표면(310)의 원주를 따라서 완전히 연장되는 오목부(308)는 펌프(100)의 길이 방향 축 'L'에 대한 하우징(106)의 완전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 부분적인 오목부 길이는 하우징(106)의 부분적인 회전만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06)과 제1 커넥터(202) 사이의 결합은 당업계에 공지된 유형의 푸시-끼워맞춤(push-fit)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실시예는 하우징(106)이 제1 커넥터(202)와 결합될 수 있도록 본 출원에 설명된 레그(120) 및 오목부(308)와 유사한 구조를 여전히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커넥터(202)로부터 하우징(106)을 분리하기 위한 구성들(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02)는 원통형 부분(302)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 부분(312)을 더 포함한다. 테이퍼 부분(312)은 원뿔대 구조로 구현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지금까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202)는 두 개의 개방 단부들을 갖는 중공 구조로서 구현되며, 여기서 하나의 개방 단부(314)는 테이퍼 부분(312)에 형성된다. 개방 단부(314)는 파이프(11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단부(314)의 주연부는 파이프(116)와 맞닿도록 치수가 설정되고, 구성된다. 이와 같이, 원통형 부분(302) 및 테이퍼 부분(312)은 용기(104)로부터 하우징(106)으로의 유체 유동, 구체적으로 하우징(106) 내의 유체 챔버(108)로의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1 커넥터(202)는 펌프(100)를 용기(104)에 설치하면서 사용자가 제1 커넥터(202)를 파지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핸드 그립(316)을 포함한다. 핸드 그립(316)(도 2에도 명확하게 도시됨)은 원통형 부분(302)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핸드 그립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2 커넥터(204)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의 A-A' 단면을 따라 취한 제2 커넥터(204)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명료한 설명을 위해 도 4a 및 도 4b는 서로 함께 설명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넥터(204)는 그 내부 표면(406)에 나사산(404)이 형성된 상부 부분(402)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204)의 나사산(404)은 후술되는 제1 커넥터(202)의 나사산(304)과 결합하도록 치수가 설정된다. 제2 커넥터(204)의 하부 부분(408)은 상부 부분(402)으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제2 커넥터(204)는 상부 부분(402)의 내부 표면(406)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410)를 포함한다. 플랜지(410)는 하부 부분(408)으로부터 상부 부분(402)을 분리하는 디스크형 구조로서 구현된다.
실시예에서, 다수의 절개부가 플랜지(410) 내에 형성되고, 연결 조립체(114)의 반경 방향 'D'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제2 커넥터(204)의 반경 방향 'D'으로 연장된다. 절개부는 쌍으로 형성되고, 절개부 쌍의 각각은 인접한 절개부 쌍으로부터 약 120 도 이격되어 위치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개부 쌍(412)은 제2 절개부 쌍(414)으로부터 한 쪽으로 약 120 도 이격되어 있고, 제3 절개부 쌍(416)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약 120 도 이격되어 있다. 플랜지(410)는 한 쌍의 절개부의 2 개의 인접한 절개부 사이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토퍼(418)는 플랜지(410)의 내부 모서리(420)에서 제1 절개부 쌍(412)의 제1 절개부(412-1)와 제2 절개부(412-2) 사이에 형성된다. 스토퍼(418)는 플랜지(410)의 상부 표면 'S1'으로부터 작은 연장부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2 커넥터(204)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플랜지(410)는 각각의 절개부의 양쪽 측면에 플랜지(410)의 하부 표면 'S2'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벽을 더 포함한다. 명료하고 간결한 설명을 위해, 한 쌍의 절개부 및 이에 대응하는 벽의 쌍들이 본 출원의 아래에서 참조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쌍의 벽(422)이 제1 절개부(412-1)의 양쪽 측면에서 연장되고, 제2 쌍의 벽(424)이 제2 절개부(412-2)의 양쪽 측면에서 연장된다.
도 5a 및 도 5b는 활주 장치(206)의 슬라이더(206-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슬라이더(206-1)는 아치형 벽 부분(502), 아치형 벽 부분(50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아치형 리지 부분(504)을 포함한다. 활주 부분(506)은 아치형 벽 부분(502)을 아치형 리지 부분(504)에 연결시킨다. 또한, 아치형 벽 부분(502)은 아치형 벽 부분의 내부 표면(510)으로부터 연장되는 구형 돌출부(508) 및 아치형 벽 부분의 외부 표면(514)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밀봉부(208)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512)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밀봉부(208)는 O-링일 수 있다.
아치형 벽 부분(502)의 내부 표면(510)으로부터의 돌출부는 원뿔대 표면(508A) 및 아치형 표면(508B)을 포함하는 구형 돌출부(508)로서 지칭되지만, 돌출부를 구성하기 위해 다른 형상 또는 형상들의 조합이 본 개시 내용에 의해 고려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또한, 실시예에서, 활주 부분(506)은 융기부(51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활주 부분(506)은 하나의 융기부(516)를 포함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부(516)는 아치형 벽 부분(502)의 외부 표면(514)에 대해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융기부(516)는 활주 부분(506) 대신에, 홈(512)과 간섭하지 않고 아치형 벽 부분(502)의 외부 표면(514)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의 활주 부분(506)이 아치형 벽 부분(502)을 아치형 리지 부분(504)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아치형 리지 부분(504)은 그 하부 표면 'B'에 위치된 단차 부분(518)를 포함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활주 장치(206)와 플랜지(410) 사이의 결합을 도시하기 위한 제2 커넥터(204)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활주 장치(206)는 3 개의 슬라이더(206-1, 206-2, 206-3)를 포함한다. 명확하고 간결한 설명을 위해, 하나의 슬라이더(206-1) 및 제1 절개부 쌍(412)에 대하여 결합이 설명된다. 슬라이더(206-1)는 활주 부분(506)이 제1 절개부(412-1) 및 제2 절개부(412-2)와 정렬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아치형 리지 부분(504)은 단차 부분(518)(도 5b 참조)이 반경 방향으로 스토퍼(418) 뒤에 놓이도록 플랜지(410) 상에 위치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06-1)는 반경 방향으로 제1 절개부 쌍(412)을 따라 변위되어 도시되어 있다. 본 출원에서 설명된 단차 부분(518)과 스토퍼(418)는 함께, 플랜지(410)의 폭 'WF'(도 4a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 의해 형성된 거리 내에서 슬라이더(206-1)의 반경 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다시 말해서, 제2 커넥터(204)의 내부 표면(406)과 스토퍼(418) 각각은 절개부(412)를 따른 슬라이더(206-1)의 반경 방향 이동에 대해서 최대 한계 및 최소 한계를 형성한다. 다른 2 개의 슬라이더는 유사한 방식으로 플랜지(410)와 결합된다. 또한, 밀봉부(208)가 모든 슬라이더의 홈(512)과 결합되고, 여기에서 밀봉부(208)의 장력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가 원형의 구성으로 놓이게끔 한다.
활주 장치(206)와 플랜지(410) 사이의 결합을 도시하기 위해, 제2 커넥터(204)의 저면도가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결합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슬라이더(206-1)의 융기부(516)가 반경 방향 'D'로 활주하여 도시되어 있다. 절개부(412)를 따라 활주 부분(506)이 활주하도록, 융기부(516)의 폭 'WR'(도 5b에 명확히 도시됨)은 제1 쌍의 벽(422)과 제2 쌍의 벽(424)에 의해 형성되는 폭 'Wwall'(도 4c에 명확하게 도시됨)보다 작게 치수가 설정된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융기부(516)의 폭은 융기부(516)가 각 쌍의 벽(422, 424)의 벽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치수가 설정된다. 따라서, 벽은 절개부(412)를 따른 융기부(516)의 활주 이동을 안내한다.
도 7a는 용기(104)의 목부(102)로부터 분리된 연결 조립체(114)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2 커넥터(204)는 제1 커넥터(202)와 나사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커넥터(204)의 상부 부분(402)의 나사산(404)은 제1 커넥터(202)의 원통형 부분(302)의 나사산(304)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커넥터(202) 및 제2 커넥터(204)는 용기(104)의 목부(10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부분(702)을 함께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 커넥터(204)의 하부 부분(408) 및 제1 커넥터(202)의 테이퍼 부분(312)은 수용 부분(702)을 함께 형성한다. 도 1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202)가 제2 커넥터(204)와 결합될 때, 제1 커넥터(202)의 테이퍼 부분(312)는 구형 돌출부(508)의 원뿔대 표면(508A)과 맞닿는다. 이와 같이, 활주 장치(206)의 슬라이더들은 제2 커넥터(204)의 테이퍼 부분(312)와 하부 부분(408)의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부(208)은 활주 장치(206)의 슬라이더를 테이퍼 부분(312)를 향해 편향시킨다.
도 7b는 용기(104)의 목부(102)와 결합된 연결 조립체(114)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1 커넥터(202)는 연결 조립체(114)의 길이 방향 축 'C'을 중심으로 또는 펌프(100)의 길이 방향 축 'L'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나사산(304 및 404)의 결합은 연결 조립체(114)의 길이 방향 축 'C'(도 2 에 도시됨)을 따라 제1 커넥터(202)의 선형 이동을 초래한다. 여기서, 연결 조립체(114)가 하우징(106)에 결합될 때 연결 조립체(114)의 길이 방향 축 'C'는 펌프(100)의 길이 방향 축 'L'과 일치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1 커넥터(202)의 선형 이동 중에, 테이퍼 부분(312)은 캠으로서 기능하고, 테이퍼 부분(312)과 접하는 구형 돌출부(508)는 캠 공이(cam follower)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제2 커넥터(204)에 대한 제1 커넥터(202)의 이동은 연결 조립체(114)의 반경 방향 'D'로 슬라이더들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제1 커넥터(202)와 제2 커넥터(204)의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산(304, 404)은 시각적으로 가려지고, 따라서 연결 조립체(114)로의 분진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02)는, 활주 장치(206) 특히 아치형 벽 부분(502) 및 밀봉부(208)가 용기(104)의 목부(102)의 내부 표면(704)과 결합할 때까지, 핸드 그립(316)의 도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의 연결 조립체(114)는 용기(104)로부터의 유체 분배를 위해 이용될 수 있고, 용기(104)의 목부(102)에 견고한 연결을 제공한다. 나사식 결합은 가역적이기 때문에, 연결 조립체(114)를 용기(104)로부터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해서 제1 커넥터(202)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목부(102)의 내부 표면(704)은 통상적으로 원형/튜브형이고, 그 직경은 슬라이더의 반경 방향 내부 위치에서 슬라이더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것이라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내부 표면(704)에 대한 밀봉부(208)의 결합은 내부 표면(704)의 원주 둘레에 걸쳐 연속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오히려 슬라이더 위치에 대응하는 3 곳의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는 연속적일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밀봉부(208)는 내부 표면(704) 내에 유체-밀봉부를 만들지는 않을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펌프(100)는 용기(104)에 완전히 고정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하고,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된 특정한 특징 및 조합은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 도달하기 위해서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202) 와 제2 커넥터(204) 사이의 결합은 압입-끼워맞춤(press-fit)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이는 여전히 활주 장치(206)의 반경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결합 수단에 의해, 커넥터(202 및 204)는 원형 단면을 가질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활주 장치(206)는 단일의 융기부(516)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플랜지(410)는 단일의 융기부(516)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단일의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활주 장치(206)는 본 개시 내용에 도시된 바와 같은 3 개의 슬라이더를 대신하여 이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2 개의 슬라이더가 사용되면, 2 개의 슬라이더 각각은 2 개의 융기부(516) 대신에 하나의 융기부(516)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출원에서 설명된 특징 및/또는 실시예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되어 추가 실시예를 초래할 수 있고, 본 출원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대한 작은 변형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 내용에 의해서 달성되는 이용성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실시예는 청구 범위 및 그 균등 범위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으로서, 본 개시 내용의 범주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용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유체 분배 펌프를 위한 연결 조립체이며, 유체 분배 펌프는 하우징, 용기 및 분출부와 유체 연통하는 하우징 내의 유체 챔버 및 유체를 용기로부터 유체 챔버 내로 흡인하고 그 후에 분출부로부터 유체를 분배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연결 조립체는 하우징을 용기의 목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연결 조립체는: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 커넥터;
    제1 커넥터와 나사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2 커넥터로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는 용기의 목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부분을 함께 형성하는 제2 커넥터;
    상기 수용 부분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슬라이더로서, 연결 조립체의 길이 방향 축을 따른 제2 커넥터에 대한 제1 커넥터의 이동이 연결 조립체의 반경 방향으로의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슬라이더; 및
    용기의 목부의 내부 표면과 결합하도록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를 포함하는, 연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는:
    외부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 부분;
    상기 원통형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 부분으로서, 상기 원통형 부분과 상기 테이퍼 부분은 용기로부터 하우징으로의 유체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테이퍼 부분; 및
    상기 원통형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드 그립을 포함하는, 연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제2 커넥터는:
    내부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 부분으로서, 제1 커넥터의 원통형 부분과 나사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상부 부분;
    상기 상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부분으로서, 제1 커넥터의 테이퍼 부분과 함께 수용 부분을 형성하는 하부 부분; 및
    상기 상부 부분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로서, 연결 조립체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절개부를 포함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연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의 각각은;
    아치형 벽 부분;
    상기 아치형 벽 부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아치형 리지 부분; 및
    상기 아치형 벽 부분과 상기 아치형 리지 부분을 연결하는 활주 부분으로서, 상기 절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활주 부분을 포함하는, 연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벽 부분은:
    상기 아치형 벽 부분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커넥터의 테이퍼 부분과 맞닿도록 구성되는 구형 돌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아치형 벽 부분의 외부 표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연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는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를 제1 커넥터의 테이퍼 부분을 향해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O-링인, 연결 조립체.
  7. 목부를 갖는 용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펌프이며, 펌프는:
    유체 챔버를 형성하는 하우징;
    유체를 분배하도록 유체 챔버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왕복 부재; 및
    하우징과 용기의 목부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결 조립체를 포함하고, 연결 조립체는: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 커넥터;
    제1 커넥터와 나사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2 커넥터로서, 제1 커넥터와 함께 용기의 목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부분을 형성하는 제2 커넥터; 및
    상기 수용 부분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활주 장치로서, 펌프의 길이 방향 축을 따른 제2 커넥터에 대한 제1 커넥터의 하향 이동은 상기 활주 장치를 용기의 목부의 내부 표면에 결합시키는 활주 장치를 포함하는, 펌프.
  8. 제7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는:
    외부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 표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원통형 부분으로서, 상기 오목부는 하우징의 하부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레그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 부분; 및
    상기 원통형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 부분으로서, 상기 원통형 부분과 함께 용기로부터 유체 챔버로의 유체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테이퍼 부분을 포함하는, 펌프.
  9. 제8항에 있어서, 제2 커넥터는:
    내부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 커넥터의 원통형 부분과 나사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상부 부분;
    상기 상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부분으로서, 제1 커넥터의 테이퍼 부분과 함께 수용 부분을 형성하는 하부 부분; 및
    상기 상부 부분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로서, 펌프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절개부를 포함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펌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장치는 제1 커넥터의 테이퍼 부분과 제2 커넥터의 하부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의 각각은 제2 커넥터의 플랜지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펌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의 각각은:
    아치형 벽 부분;
    상기 아치형 벽 부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아치형 리지 부분; 및
    상기 아치형 벽 부분과 상기 아치형 리지 부분을 연결하는 활주 부분으로서, 상기 플랜지의 절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활주 부분을 포함하는, 펌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복수의 절개부의 각각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벽; 및
    상기 플랜지의 내부 모서리에서, 상기 복수의 절개부의 두 개의 인접한 절개부 사이에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펌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를 따라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서, 활주 부분은 한 쌍의 벽에 의해 형성된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융기부를 포함하는, 펌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리지 부분은 단차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단차 부분 및 스토퍼는 함께 슬라이더의 반경 방향 이동을 플랜지의 폭에 의해 형성된 거리 내로 제한하는, 펌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벽 부분은:
    상기 아치형 벽 부분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커넥터의 테이퍼 부분과 맞닿도록 구성되는 구형 돌출부; 및
    상기 아치형 벽 부분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펌프.
  16. 제15항에 있어서, 용기의 목부의 내부 표면과 결합하도록, 연결 조립체는 상기 아치형 벽 부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펌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는 상기 복수의 슬라이더를 제1 커넥터의 테이퍼 부분을 향해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O-링인, 펌프.
  18. 제7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핸드 그립을 포함하는, 펌프.
KR1020200096646A 2019-08-07 2020-08-03 유체 분배 펌프를 위한 연결 조립체 KR102450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34,043 US10677256B1 (en) 2019-08-07 2019-08-07 Connecting assembly for fluid dispensing pump
US16/534,043 2019-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106A true KR20210018106A (ko) 2021-02-17
KR102450041B1 KR102450041B1 (ko) 2022-10-05

Family

ID=7097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646A KR102450041B1 (ko) 2019-08-07 2020-08-03 유체 분배 펌프를 위한 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677256B1 (ko)
EP (1) EP3772484A1 (ko)
KR (1) KR102450041B1 (ko)
CN (1) CN112340223B (ko)
AR (1) AR119491A1 (ko)
AU (1) AU2020205253A1 (ko)
BR (1) BR102020014742B1 (ko)
CA (1) CA3086564A1 (ko)
MX (1) MX20200082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4638B (zh) * 2017-02-07 2019-04-26 丁要武 按压泵
USD920385S1 (en) * 2019-08-07 2021-05-25 Dart Industries Inc. Water pum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0949A (en) * 1996-05-20 1998-04-21 Park; Kyoung-Seo Air pump for natural mineral water barrel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72968A (en) * 1919-08-18 1921-03-29 Lowy Ignatz Liquid-dispensing apparatus
US1929564A (en) * 1932-07-13 1933-10-10 Rolph William Mair Pump for delivering measured quantities of liquid
US3245569A (en) 1964-08-17 1966-04-12 Essich Helmut Bottle stopper arrangement
DE3207196A1 (de) 1982-02-27 1983-09-08 George Edgar Prof. 4000 Düsseldorf Callahan Spender zur abgabe fluessiger, pastoeser oder staubfoermiger fuellgueter
EP0194417B1 (de) * 1985-03-14 1989-10-04 MegaPlast Dosiersysteme GmbH & Co. Dosierpumpe mit Pumpenbalg an Flaschen oder dergleichen
GB8527775D0 (en) * 1985-11-11 1985-12-18 English Glass Co Ltd Dispenser pump
FR2593147B1 (fr) * 1986-01-17 1988-03-18 Aerosol Inventions Dev Conditionnement sterile de substances fluides liquides et semi-liquides.
US5109997A (en) 1991-06-21 1992-05-05 Phillips Edwin D Expandable stopper
DE69534444T2 (de) * 1994-11-17 2006-07-06 Yoshino Kogyosho Co., Ltd. Behälter mit einer blaseneinspritzpumpe
US5624059A (en) * 1995-04-05 1997-04-29 Axys Environmental Systems Ltd. Device for dispensing corrosive liquids accurately and without contamination
US6164498A (en) * 1999-09-01 2000-12-26 Mcneil-Ppc. Inc. Pump dispenser
JP4492831B2 (ja) * 2000-10-31 2010-06-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縦形ポンプ容器
US20030141272A1 (en) 2002-01-31 2003-07-31 De La Cruz Joseph Anthony Bottle stopper with expandable o-ring
FR2838786B1 (fr) * 2002-04-17 2005-11-04 Valois Sa Pomp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US7426999B2 (en) 2002-10-15 2008-09-23 Leendersten Howard V Bottle closure
US7584874B2 (en) * 2004-03-17 2009-09-08 Pepsico, Inc. Dispenser having a conical valve assembly
US7232046B1 (en) * 2004-05-17 2007-06-19 Len Stassi Pressurized dispenser for beverage bottle
US7892199B2 (en) * 2007-05-21 2011-02-22 Asante Solutions, Inc. Occlusion sensing for an infusion pump
DE102009048211A1 (de) 2009-10-05 2011-04-14 Mann+Hummel Gmbh Handpumpe zum Pumpen von Flüssigkeiten und Filtersystem für Flüssigkeiten mit einer Handpumpe
GB201110722D0 (en) * 2011-06-24 2011-08-10 Gizmo Packaging Ltd Container closure having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EP2692657B1 (en) 2012-08-03 2016-10-05 N.V. quiding Closure system for a bottle and method for closing a bottle provided with such system.
CN203064402U (zh) * 2013-01-31 2013-07-17 丁要武 按压式液体泵
CN105035505B (zh) * 2015-08-06 2017-09-29 浙江正庄实业有限公司 外置弹簧香水泵
CN207759352U (zh) 2017-12-28 2018-08-24 李春华 一种具有密封结构的药品储存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0949A (en) * 1996-05-20 1998-04-21 Park; Kyoung-Seo Air pump for natural mineral water barr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40223B (zh) 2022-10-14
BR102020014742A2 (pt) 2021-02-17
EP3772484A1 (en) 2021-02-10
KR102450041B1 (ko) 2022-10-05
CA3086564A1 (en) 2021-02-07
AR119491A1 (es) 2021-12-22
MX2020008245A (es) 2021-02-08
BR102020014742B1 (pt) 2022-09-27
AU2020205253A1 (en) 2021-02-25
US10677256B1 (en) 2020-06-09
CN112340223A (zh)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0286B2 (en) Atomizer and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10018106A (ko) 유체 분배 펌프를 위한 연결 조립체
EP3045402A1 (en) Lid with twistable spout unit and contain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JP7275160B2 (ja) 固定型弁軸ハウジングを備えた弁用のディスペンサ
CN103782073B (zh) 残余压力释放阀
US8839994B2 (en) Aerosol can spray nozzle extension tube adapter
US20170292626A1 (en) Valve device
KR100327289B1 (ko) 매체방출장치
WO2007127328A2 (en) Poppet valve
CN102803800A (zh) 用于流体压力装置的阀结构
US11312613B2 (en) Dispensing tap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CN101610970A (zh) 阀组件
JP2020083327A (ja) 吐出器
US11168796B2 (en) Sanitary switchable valve that can be remotely operated and associated sanitary assembly
US9861995B2 (en) Dispensing device having a retractable head
JP2019173516A (ja) 操作装置および水栓
JP6534803B2 (ja) 流体制御弁
US10751740B2 (en) Eco pump assembly
US20180135768A1 (en) Check valve
JP5297794B2 (ja) 吐出容器
FR2954293A1 (fr) Organ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JP5941851B2 (ja) 吐出容器
JP5557776B2 (ja) 吐出容器
US11116958B2 (en) Connector
WO2019187630A1 (ja) 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