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970A - 침입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침입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970A
KR20210017970A KR1020190154801A KR20190154801A KR20210017970A KR 20210017970 A KR20210017970 A KR 20210017970A KR 1020190154801 A KR1020190154801 A KR 1020190154801A KR 20190154801 A KR20190154801 A KR 20190154801A KR 20210017970 A KR20210017970 A KR 20210017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s
wasps
passage
prevention device
intrusion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사
토시히데 이치카와
슈헤이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케이아이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케이아이엔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케이아이엔피
Publication of KR20210017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말벌과 벌의 침입을 방지하는 침입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꿀벌과 벌의 벌통에 장착되는 침입 방지 장치로서, 유기 부재에 의해 경계가 표시되는 통로와, 상기 통로 내에 배치되는 휘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방지 장치.

Description

침입 방지 장치{INVASION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꿀벌과 벌의 벌통에 장착되는 침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꿀벌과에 속하는 벌(이하, '꿀벌과 벌'이라고 한다.)은 벌꿀을 제조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익충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8월에서 11월까지의 장기간에 걸쳐서 말벌과(Vespidae)에 속하는 벌(이하, '말벌과 벌'이라고 한다.)이 꿀벌과 벌의 유충이나 번데기를 먹이로 하기 위해서 벌집을 습격하고, 양봉업에 타격을 주는 것도 알려져 있다.
말벌과 벌은 사육하고 있는 꿀벌과 벌의 포식성 천적으로서 가장 중요하다. 비특허문헌 1에는 와카야마현 키비쪼 내의 양봉장에 말벌 포살기를 설치해서 10년간에 걸쳐서 실시된 조사 결과가 기재되어 있고, 매년 포살 개체 수가 가장 많았던 장수말벌은 포살 개체 총수에 88.2%를 차지하고 있었다. 나머지 11.8%의 포살 개체 중에는 장수말벌 이외의 4종의 말벌과 벌(노랑말벌, 좀말벌, 참말벌 및 꼬마장수말벌)이 포함되어 있었지만, 그 대부분(10.0%)은 노랑말벌이었다. 이렇게 장수말벌의 비래가 특히 많아, 사육하고 있는 꿀벌과 벌의 포식 피해의 대부분은 장수말벌에 의한 것이다.
또, 장수말벌에 의한 포식 피해가 특히 큰 원인은 양봉장으로의 비래 개체 수의 많음에만 의한 것은 아니다. 노랑말벌 등의 장수말벌 이외의 말벌과 벌은 벌통 주변을 날고 있는 꿀벌의 성충을 1마리씩 단독으로 포획하는 것만으로 피해는 경미하지만, 장수말벌은 집단으로 습격해서 벌통 입구를 물어뜯어 벌리고, 꿀벌과 벌의 성충을 물어 죽이면서 벌통 내로 침입해서 유충, 번데기를 전부 약탈하고, 벌집을 괴멸시켜 버린다. 이 때문에, 장수말벌이 생식하는 지역에서는 장수말벌을 적절하게 방제하지 않는 한 양봉을 실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말벌과 벌에 대한 대책으로서, 종래, 양봉장에서는 8월에서 11월까지의 장기간에 걸쳐서 비래하는 말벌 일벌의 포살을 계속하거나, 금속제나 골판지제의 방호 기구를 벌통에 장착하거나 하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말벌과 벌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는 감시의 틈을 타서 장수말벌을 비롯한 말벌과 벌이 벌통 내로 침입하게 되어, 피해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다.
말벌과 벌에 대한 대책에 들어가는 양봉가의 노동력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종래부터 여러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플래스틱 등의 투명판으로 제작된 상자에 철사 울타리나 통전 장치가 장착된 장치가 개시되고 있고, 감전이나 울타리에 의해 말벌과 벌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760320호
마츠우라 마코토ㆍ야마네 세이키 저서, 「말벌류의 비교 행동학」, 홋카이도 대학 도서 간행회, 1984년
상기한 바와 같이, 말벌과 벌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법이나 장치는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지만, 거듭되는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말벌과 벌의 침입을 방지하는 침입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유기 부재에 의해 경계가 표시되는 통로와, 상기 통로 내에 배치되는 휘산 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요지를 가진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 꿀벌과 벌의 벌통에 장착되는 침입 방지 장치로서, 유기 부재에 의해 경계가 표시되는 통로와, 상기 통로 내에 배치되는 휘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방지 장치.
[2] 상기 [1]에서, 상기 통로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칸막이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침입 방지 장치.
[3] 상기 [2]에서, 상기 휘산 부재는 상기 칸막이 부재보다 벌통측에 위치하는 침입 방지 장치.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서, 용액을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는 침입 방지 장치.
[5] 상기 [4]에서, 상기 용액은 말벌과 벌이 기피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침입 방지 장치.
[6] 상기 [4] 또는 [5]에서, 관을 통해서 상기 수용부에 접속된 용액 보충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침입 방지 장치.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휘산 부재의 벌집 구멍측에 휘산 억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침입 방지 장치.
본 발명의 침입 방지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꿀벌과 벌의 벌통으로 말벌과 벌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침입 방지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9월 06일의 말벌류의 비래ㆍ침입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9월 07일의 말벌류의 비래ㆍ침입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10월 12일의 말벌류의 비래ㆍ침입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꿀벌과 벌의 벌통에 장착되는 침입 방지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침입 방지 장치는 꿀벌과 벌의 벌통에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벌통으로의 말벌과 벌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꿀벌과 벌이란 양봉에 사용되는 벌이다. 예를 들면, 서양 꿀벌(Apis mellifera), 동양 꿀벌(Apis cerana), 일본 꿀벌(Apis cerana japonica), 자이언트 꿀벌(Apis dorsata), 히말라야 자이언트 꿀벌(Apis laboriosa), 보르네오 꿀벌(Apis koschevnikovi), 꼬마 꿀벌(Apis florea), 작은 검정 꿀벌(Apis andreniformis), 키나발루 산 꿀벌(Apis nuluensis), 아피스 니그로싱크타(Apis nigrocincta) 등을 들 수 있다.
말벌과 벌로서는 말벌아과(Vespinae) 및 쌍살벌아과(Polistinae)에 속하는 벌을 들 수 있다.
말벌아과에 속하는 벌로서는 예를 들면, 장수말벌(Vespa mandarinia), 노랑 말벌(Vespa simillima xanthoptera), 꼬마장수말벌(Vespa ducalis), 좀말벌(Vespa analis), 참말벌(Vespa crabro flavofasciata), 검정말벌(Vespa dybowskii), 땅벌(Vespula flaviceps), 흰줄땅벌(Vespula shidai), 기생땅벌(Vespula austriaca)등을 들 수 있다.
쌍살벌아과에 속하는 벌로서는 예를 들면, 왕바다리(Polistes rothneyi), 등검정 쌍살벌(Polistes jokahamae), 두눈박이 쌍살벌(Polistes chinensis), 꼬마 쌍살벌(Polistes japonicus japonicus), 어리별 쌍살벌(Polistes mandarinus), 별쌍살벌(Polistes snelleni), 야에야마 쌍살벌(Polistes rothneyiya yeyamae), 큰뱀허물쌍살벌(Parapolybia indica), 뱀허물쌍살벌(Parapolybia varia)등의 토착종을 제시할 수 있다. 이것들 토착종에 추가해서 주로 인도네시아에 분포되는 등검은 발벌(Vespa velutina)이나, 극히 최근, 대마도나 기타큐슈시에 침입한 등검은 발벌의 아종(Vespa velutina nigrithorax)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침입 방지 장치는 꿀벌과 벌의 벌통에 장착되는 장치이고, 유기 부재에 의해 경계가 표시되는 통로와, 상기 통로 내에 배치되는 휘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출입 방향이란 상기 통로의 출구측과 입구측을 연결하는 방향이고, 폭 방향이란 상기 출입 방향 및 높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기 유기 부재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나무, 플래스틱 등을 들 수 있고, 나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로는 튜브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사각 기둥상일 수도, 튜브상일 수도 있지만, 사각 기둥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로가 사각기둥상인 경우, 통상, 벌통의 벌집 문은 폭 방향으로 긴 형상의 구멍이기 때문에, 상기 통로는 출입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높이 방향보다 폭 방향으로 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말벌과 벌에 대한 물리적 장해물로서 상기 통로 내에 칸막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체가 비교적 작은 꿀벌과 벌은 상기 칸막이 부재에 의해 상기 통로 내의 이동을 방해 받지 않는 한편, 신체가 비교적 큰 말벌과 벌은 상기 칸막이 부재에서 상기 통로의 출구측(벌통측)으로 침입할 수 없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상기 통로의 높이 방향의 거의 중간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 부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칸막이 부재는 상기 통로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통로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치되어서 있을 수도 있다. 단, 상기 통로가 높이 방향보다 폭 방향으로 긴 사각기둥 형상일 때에는, 상기 통로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칸막이 부재를 설치했을 경우, 복수의 칸막이 부재를 설치하지 않으면 물리적 장해물로서의 효과가 발휘되지 않으므로, 상기 통로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칸막이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휘산 부재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고 있지 않고, 예를 들면, 직육면체상, 원주상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휘산 부재의 소재는 용액이 휘산하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종이,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통로 내에 휘산한 기체를 충만시키기 위해서 상기 휘산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통로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휘산 부재는 상기 칸막이 부재보다 벌통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이 불거나 해서 일시적으로 상기 통로 내에 휘산된 기체가 존재하지 않게 되는 상태가 발생했을 때라도 상기 휘산 부재보다 앞쪽에 상기 칸막이 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말벌과 벌이 용이하게 상기 휘산 부재에 가까이하지 않고, 말벌과 벌에 의해 상기 휘산 부재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휘산 부재의 출구측(벌통측)이나 폭 방향에 휘산 억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휘산 부재의 벌통측이나 폭 방향에 휘산 억제 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상기 휘산 부재로부터 용액이 휘산하는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통로의 앞쪽 끝부(상기 통로의 입구측(반대 벌통측)의 엣지부로부터 출입 방향의 중간 지점까지의 공간)에 상기 휘산 부재로부터 휘산된 기체가 충만되게 되고, 상기 통로의 뒤쪽 끝부(상기 통로의 출구측(벌통측)의 엣지부로부터 출입 방향의 중간 지점까지의 공간)에는 상기 휘산 부재로부터 휘산된 기체가 충만되어 있어도 충만하지 않고 있어도 좋다는 관점으로부터도 상기 휘산 부재의 벌통측이나 폭 방향에 휘산 억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말벌과 벌의 상기 통로로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침입 방지 장치에 상기 휘산 부재를 1개만 설치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상기 통로가 폭 방향으로 매우 긴 구조인 경우에는 상기 휘산 부재로부터 휘산한 기체가 상기 통로의 앞쪽 끝부 전체에 충만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휘산 부재를 복수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침입 방지 장치는 용액을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액은 말벌과 벌이 기피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술하는 기피제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에 상기 휘산 부재의 일부가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용액을 남기지 않고 상기 휘산 부재로 빨아올린다는 관점으로부터, 상기 휘산 부재의 하단은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 위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용액을 상기 휘산 부재로 빨아올리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휘산 부재의 아래 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휘산 부재로부터 장기간 용액을 휘산을 계속하도록 하기 위해서, 플라스틱관 등의 관을 통해서 상기 수용부에 접속된 용액 보충 장치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고, 용량이 큰 상기 수용부를 구비한 침입 방지 장치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용액 보충 장치로부터 상기 수용부에 안정되게 용액이 보충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용액 보충 장치는 상기 수용부보다도 위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침입 방지 장치 실시형태 일례를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형태에서 실시할 수 있다.
침입 방지 장치(1)는 목제 틀에 의해 경계가 표시되는 통로(2)와, 통로(2) 내에 배치되는 휘산 부재(3)를 구비한다. 상기 목제틀은 상면, 저면, 좌우의 양측면의 4개의 목제 부재로 구성되고 있어, 통로(2)의 전후 양단에 대해서는 개방상태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제틀은 높이 6cm, 폭 17.5cm, 깊이 12cm이다. 상기 목제틀의 후단은 개방상태로 하고 있지만, 침입 방지 장치(1)를 벌통의 벌집문에 장착하면 상기 목제틀의 후단은 벌통과 밀착한 상태가 되고, 통로(2)를 통과하지 않으면 외계로부터 벌집문에 도달할 수 없게 된다.
통로(2)를 구성하는 저면의 목제 부재의 아래 쪽으로는 직육면체상의 수용부(9)가 장착되어 있다. 수용부(9)는 플래스틱으로 형성된 용기로 높이 2.5mm, 깊이 5.5cm, 폭 11cm이고, 용량은 약 70ml이다. 또, 용량이 약 70ml인 수용부(9)에 기피제로서 벤질알코올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 약 1개월 반에 걸쳐서 벤질알코올이 휘산을 계속한다.
판상 경질의 종이로 이루어지는 직육면체상의 휘산 부재(3)는 통로(2)를 구성하는 저면의 목제 부재의 앞쪽 끝으로부터 약 5cm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휘산 부재(3)의 하단부는 수용부(9)의 저면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휘산 부재(3)의 상단부는 통로(2)를 구성하는 저면의 목제 부재보다도 위쪽에 위치한다. 수용부(9)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는 휘산 부재(3)에 모관현상으로 빨아 올려서 휘산 부재(3) 전체에 침윤하고, 휘산 부재(3)의 상단부로부터 휘산하고, 그 결과, 통로(2)는 휘산된 기체로 충만하게 된다.
통로(2) 내에는 높이 3mm, 깊이 2cm, 폭 10cm인 칸막이 부재(4)를 구비하고 있고, 칸막이 부재(4)는 휘산 부재(3)의 앞쪽에 설치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칸막이 부재(4)는 통로(2)를 구성하는 상면의 목제 부재와 저면의 목제 부재와의 거의 중간의 높이에 설치되어 있고, 통로(2)를 구성하는 저면의 목제 부재의 앞쪽 끝으로부터 3cm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신체가 비교적 작은 꿀벌과 벌은 칸막이 부재(4)를 통과할 수 있지만, 신체가 비교적 큰 말벌과 벌은 칸막이 부재(4)를 통과할 수 없다.
칸막이 부재(4)의 앞쪽에는 직경 5mm의 봉상 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통로(2)를 구성하는 저면의 목제 부재의 앞쪽 끝으로부터 1cm 뒤쪽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직경 5mm의 둥근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9)에도 통로(2)를 구성하는 저면의 목제 부재에 형성된 구멍에 대응하도록 직경 5mm의 둥근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봉상 부재(5)는 이것들의 구멍을 관통해서 직립하고 있다.
봉상 부재(5)는 탈착 가능하다. 봉상 부재(5)를 분리해서 플라스틱관을 통해서 용액 보충 장치(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봉상 부재(5)를 분리한 후, 플라스틱관의 한쪽 끝이 수용부(9) 내에 위치하도록, 통로(2)를 구성하는 저면의 목제 부재 및 수용부(9)에 형성된 직경 5mm의 둥근 구멍에 외경 5mm의 플라스틱관을 통과시킨 상태로 할 수 있다. 용액 보충 장치를 장착했을 경우, 수용부(9) 내의 용액이 휘산하고, 수용부(9) 내에 용액이 완전하게는 충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되면 플라스틱관의 다른쪽 끝에 장착된 용액 보충 장치로부터 수용부(9)에 용액이 자동적으로 보충된다.
휘산 부재(3)의 좌우로 사각판상의 휘산 억제 부재(6, 7)가 휘산 부재(3)의 뒤쪽에 사각판상의 휘산 억제 부재(8)가 설치되어 있다. 휘산 억제 부재(6, 7)는 통로(2)를 구성하는 저면의 앞쪽 끝으로부터 약 5cm 뒤쪽에 설치되어 있고, 휘산 억제 부재(8)는 통로(2)를 구성하는 저면의 앞쪽 끝으로부터 약 7cm 뒤쪽에 설치되어 있고, 휘산 부재(3)는 휘산 억제 부재(6∼8)로 뒤쪽과 좌우를 둘러싸여 있다.
<기피제>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기피제는 꿀벌과 벌을 방제 대상으로 하지 않고, 동시에 말벌과 벌을 방제 대상으로 하는는 기피제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공격성이 강하고 위험한 말벌아과 벌을 방제 대상으로 하는 기피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장수말벌을 방제 대상으로 하는 기피제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피제는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이하, 「화합물(I)」이라고 약기한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벌은 독침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상기 기피제의 방제 대상은 암벌인 일벌과, 일벌이 우화하기 전의 초여름에 벌집외 활동하는 적이 많은 여왕 벌이다.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치환기β를 가질 수 있는 C1- 4알킬기, 치환기β를 가질 수 있는 C2-4알케닐기, 또는, 치환기β를 가질 수 있는 C1-4알킬-카보닐기를 나타내고;
X는 치환기γ을 가질 수 있는 C1- 4알킬렌기, 또는, 치환기γ을 가질 수 있는 C2-4알케닐렌기를 나타내고;
α는 치환기δ를 가질 수 있는 C1- 4알킬기, 치환기δ를 가질 수 있는 C2- 4알케닐기, 치환기δ를 가질 수 있는 C1- 4알콕시기, 치환기δ를 가질 수 있는 C1- 4알킬-카보닐기, 치환기δ를 가질 수 있는 C1- 4알킬-카보닐옥시기, 할로게노기 및 수산기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치환기β, γ 및 δ는 독립하여, C1- 4알콕시기, C1- 4알킬-카보닐기, C1- 4알킬-카보닐옥시기, 할로게노기 및 수산기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
되는 1 이상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n은 0 이상, 5 이하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C1- 4알킬」 및 「C1- 4알킬기」는 탄소 수 1 이상, 4 이하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1가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말한다.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부틸, t-부틸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1- 3알킬기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C1- 2알킬기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이다.
「C2- 4알케닐기」는 탄소 수가 2 이상, 4 이하이고,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1가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말한다. 예를 들면, 에테닐(비닐), 1-프로페닐, 2-프로페닐(알릴), 이소프로페닐, 2-부테닐, 3-부테닐, 이소부테닐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테닐(비닐) 또는 2-프로페닐(알릴)이다.
「C1- 4알킬렌기」는 탄소 수 1 이상, 4 이하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2가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말한다. 예를 들면, 메틸렌, 메틸메틸렌, 디메틸 메틸렌, 에틸렌, 1-메틸에틸렌, 2-메틸에틸렌, 직쇄 프로필렌, 1-메틸프로필렌, 2-메틸프로필렌, 3-메틸프로필렌, 직쇄 부틸렌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직쇄 C1- 3알킬렌기 또는 직쇄부분이 직쇄 C1- 3알킬렌기인 분지쇄 C1- 4알킬렌기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직쇄 C1- 3알킬렌기 또는 직쇄부분이 직쇄 C1- 2알킬렌기이고, 측쇄 치환기로서 메틸기를 가지는 분지쇄 C1-3알킬렌기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렌이다.
「C2- 4알케닐렌기」는 탄소 수 2 이상, 4 이하이고,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가지는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2가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말한다. 예를 들면, 에테닐렌(비닐렌), 1-메틸에테닐렌, 2-메틸에테닐렌, 1-프로페닐렌, 2-프로페닐렌, 1-부테닐렌, 2-부테닐렌, 3-부테닐렌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2-3알케닐렌기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프로페닐렌 또는 2-프로페닐렌이다.
「C1- 4알콕시기」란 탄소 수 1 이상, 4 이하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지방족 탄화수소 옥시기를 말한다.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이소부톡시, t-부톡시, n-펜톡시, n-헥속사이드(hexoxide) 등이고, 바람직하게는 C1-2알콕시기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메톡시이다.
「할로게노기」로서는 플루오로기, 클로로기, 브로모기 및 요오드기를 들 수 있고, 클로로기, 브로모기 또는 요오드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I)에서의 페닐기는 1 이상, 5 이하의 치환기α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당해 치환기α의 수, 즉 n으로서는 3 이하 또는 2 이하의 정수가 바람직하고, 0 또는 1이 더 바람직하고, 0이 더욱 바람직하다. n이 2 이상의 정수일 경우, 복수의 치환기α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알킬기 등의 치환기인 치환기β, γ, δ의 수는 치환 가능인 한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 이상, 5 이하로 할 수 있고, 4 이하 또는 3 이하가 바람직하고, 1 또는 2가 더 바람직하고, 1이 더욱 바람직하다. 치환기 수가 2 이상일 경우, 복수의 치환기β, γ, δ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화합물(I)은 비교적 심플한 화학조성을 가지기 때문에, 시판하는 것이 있으면 그것을 이용할 수 있고, 혹은, 당업자라면 시판 화합물로부터 용이하게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합물(I)은 벤질알코올 등의 인간이나 꿀벌과 벌에 대하여 해가 없은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말벌과 벌의 기피제는 화합물(I)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말벌과 벌에 대한 기피작용을 나타내는 한, 화합물(I)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화합물(I)은 기본적으로 상온 상압에서 액상이고, 고농도일수록 효과는 높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화합물(I)을 그대로 말벌과 벌에 대한 기피제로 사용할 수 있다. 단, 화합물(I) 단독으로는 저온에서 고화하는 경우나, 점도가 높은 경우에는, 용매에 용해해서 용액으로 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매;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계 용매; 오레가노 오일, 님 오일, 타임오일, 클로브 오일, 신나몬 오일, 제라늄 오일, 페퍼민트 오일, 라벤더 오일, 애니스 오일, 라임 오일 등의 액상 천연유지를 들 수 있다.
또, 상기 기피제에는 방부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등, 일반적인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상기 기피제에서의 화합물(I)의 농도는 말벌과 벌에 대한 기피작용이 발휘되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농도가 1질량% 이상이라면, 말벌과 벌에 대한 기피작용이 더 확실하게 발휘된다. 당해 농도로서는 5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당해 농도의 상한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100질량%일 수도 있다.
상기 기피제는 말벌과 벌에 대하여 기피작용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촉각으로 냄새로서 감지한 상기 화합물(I)을 회피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되는 날개짓 행동에 이은 비상 도망, 혹은 즉석의 비상 도망을 발현한다. 한편, 상기 기피제는 꿀벌과 벌에 대하여는 무해한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 실시예 ]
이하, 실시예를 참조해서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물론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고, 전·후기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으로 변경을 첨가해서 실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그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여왕과 1군의 일벌을 포함하고, 건전한 상태에서 사육되어 온 서양 꿀벌의 벌통 12상자를 효고현 내의 양봉장으로부터 구입했다. 구입한 12상자의 벌통을 8월 8일에 시험 양봉장 내에 정치했다. 그리고 그 같은 날에 모든 벌통의 벌집문에 도 1의 침입 방지 장치를 장착했다. 다음에, 벤질알코올을 충전한 플라스틱 보틀 1개(용량 250ml)를 플라스틱관을 통해서 수용부(9)에 장착했다.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관의 한쪽 끝이 수용부(9) 내에 위치하도록, 통로(2)를 구성하는 저면의 목제 부재 및 수용부(9)에 형성된 직경 5mm의 둥근 구멍에 외경 5mm의 플라스틱관을 통과시킨 상태로 하고, 상기 플라스틱 보틀의 뚜껑 부분에 플라스틱관의 다른쪽 끝을 연결하고, 벤질알코올이 상기 플라스틱 보틀로부터 플라스틱관을 통해서 수용부(9)에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했다. 상기 플라스틱 보틀은 통로(2)의 상면을 구성하는 나무틀 위쪽, 또한 벌통의 전면에 거꾸로 매달은 상태에서 고정했다.
상술한 상태를 유지하면, 수용부(9) 내의 벤질알코올이 휘산해서 감소해도 상기 플라스틱 보틀로부터 벤질알코올이 자동적으로 계속해서 보충되기 때문에, 장수말벌의 일벌의 비래 습격 기간(8월 상순으로부터 11월 중순까지의 기간)을 통해서 벤질알코올의 보충은 불필요했다. 또, 침입 방지 장치의 장착 완료 후는 침입 방지 장치에서 통로의 벌통측과 반대 벌통측을 항상 개방상태로 해서 각 벌통 내에 있는 꿀벌의 일벌이 자유롭게 벌집 외 활동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말벌과 벌의 벌통으로의 비래·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침입 방지 장치 이외의 어떠한 수단도 행사하지 않았다.
벌통 정치의 다음날(8월 9부터 아침(9시경)과 저녁(17시경)에 꿀벌 일벌의 활동 상황, 말벌과 벌의 비래 상황, 및 비래한 말벌과 벌의 꿀벌 일벌에 대한 공격 상황을 감시했다. 토요일, 일요일을 제외해서 상기 감시를 11월 15일까지 계속한 결과, 벌통에의 비래 접근이나 벌통 또는 방호 장치로의 착지가 관찰된 것은 장수말벌의 일벌뿐이었고, 양봉장 내로의 장수말벌 일벌의 비래가 아침저녁에 이르고 있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양봉장 내에 비래한 장수말벌 일벌이 꿀벌 일벌을 대량 살륙해서 벌통 내까지 침입하고, 양육 중의 꿀벌의 유충이나 번데기를 약탈하는 상황이나 약탈의 흔적이 인정되는 상황은 11월 15일까지의 조사기간 동안에 한번도 확인되지 않고, 상기 조사기간 동안에 괴멸 상태가 이루어진 벌통도 없었다. 이 결과로, 상기의 침입 방지 장치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말벌과 벌에 대한 기피 및 방제의 효과가 3개월을 넘는 장기에 걸쳐서 지속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비래 습격기간 동안, 상기의 침입 방지 장치에 대한 유지 작업이나 관리 작업이 불필요한 것도 알았다.
9월 6일, 9월 7일, 및 10월 12일의 3일간은 각 일에 있어서, 6시부터 18시까지 1시간 간격으로 5분간의 조사를 13회 실시하고, 시험 양봉장 내로의 말벌류의 비래·침입 상황, 비래·침입한 말벌류의 착지 장소를 기록했다. 그 결과, 비래·침입이 확인된 것은 장수말벌 일벌뿐이었다. 또 장수말벌 일벌의 침입이 확인되지 않은 것은 합계 39회의 조사 중에서, 9월 6일 18시, 9월 7일 11시, 10월 12일 8시, 10월 12일 18시의 겨우 4회이었다. 9월 6일의 말벌류의 비래·침입 상황을 도 2에, 9월 7일의 말벌류의 비래·침입 상황을 도 3에, 10월 12일의 말벌류의 비래·침입 상황을 도 4에 나타냈다. 9월 6일 18시와 9월 7일 11시는 어느 것이나) 단시간의 강우 중이었기 때문에, 장수말벌 일벌의 침입이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10월 12일은 맑은 날이 계속되었지만, 종일 비래 침입 개체 수가 적었기 때문에, 8시와 18시에는 장수말벌 일벌의 침입이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통상의 감시일에 관찰되된 상기의 결과도 포함시키면, 시험 양봉장으로의 장수말벌 일벌의 비래 및 시험 양봉장 내로의 침입은 3개월을 넘는 시험 기간을 통해서 매일 이른 아침부터 저녁때까지 거의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른 아침부터 저녁때까지 1시간 간격으로 조사를 실시한 9월 6일, 9월 7일, 및 10월 12일의 조사 시간대에 시험 양봉장 내로 비래하고 있었던 장수말벌 일벌 중에서 전부 6마리의 장수말벌 일벌이 지면에 착지했지만, 그 이외의 장수말벌 일벌은 벌통 또는 침입 방지 장치에 착지했다. 시험 양봉장 내에 비래하고 있었던 장수말벌 일벌의 착지 부분에 대해서는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착지 개체 수가 특히 많았던 것은 침입 방지 장치이었지만, 표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어느 장수말벌 일벌도 침입 방지 장치의 외면에 착지한 것에 지나지 않고, 통로(2)의 내부에 침입한 개체는 전무했다. 중공 부분인 통로(2)에는 제1 단계의 목제 물리적 장해물로서, 장수말벌 일벌의 침입을 저지하게 설치된 칸막이 부재(4)가 설치되어 있고, 추가로, 제2 단계의 종이제 화학적 장해물로서 벤질알코올이 항상 휘발하는 휘산 부재(3)가 설치되고 있다. 5분이라는 짧은 조사 시간 동안에도 중공 부분인 통로(2)에 들어가려고 하는 장수말벌 일벌이 때때로 있었지만, 제1단계의 목제 물리적 장해물인 칸막이 부재(4)나 제2 단계의 종이제 화학적 장해물인 휘산 부재(3) 등의 장해물의 존재에 의해, 모두 두부를 통로(2)에 넣은 직후, 통로(2)에 들어가지는 않고 나가버렸다. 한편, 꿀벌 일벌에 대하여는 상기 장해물의 영향이 없고, 출소 시에도, 귀소 시에도 침입 방지 장치에 형성된 통로(2)를 통과해서 벌통과 외계를 왕복했다. 이러한 관찰 결과는, 통로(2) 내에 배치된 휘산 부재(3)로부터 휘발하는 벤질알코올이 꿀벌 일벌의 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장수말벌 일벌의 벌통으로의 침입을 강하게 저해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었다.
벌집 문에 침입 방지 장치를 장착한 12상자의 벌통에서는 장수말벌 일벌의 벌통 내 침입이 방지되었기 때문에, 벌집이 괴멸하는 경우는 없었다. 단, 매일, 이른 아침부터 저녁때까지 비래 침입해 오는 장수말벌 일벌에 의해 벌통 외로 나와 있은 꿀벌 일벌이 물려 살해당하는 피해는 발생하고 있었다. 통상이라면, 벌통에 비래한 장수말벌 일벌은 집단으로 대항하는 꿀벌 일벌을 물어 죽이면서 벌집 내로 침입해서 꿀벌의 유충 등을 약탈하는 한편, 포식 대상은 벌집 내의 꿀벌의 유충 등이기 때문에, 물어 죽인 꿀벌 일벌은 그 자리에 방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벌통에 비래한 장수말벌 일벌이 벌집 내로 침입할 수 없었을 경우(유충 등을 약탈할 수 없었을 경우), 물어 죽인 꿀벌 일벌을 그 자리에 방치하는 지의 여부를 조사했다.
9월 6일의 7시∼9시, 10월 12일의 13∼14시와 15∼16시에 시험 양봉장 내를 순회하면서 각 시험 벌통과 그 주변에서 발생하고 있었던 꿀벌 일벌이 물려 살해당한 피해에 관한 상황을 조사하고, 그 조사 결과를 표2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3
상기 조사의 결과, 물어 죽은 꿀벌 일벌을 그 자리에서 유기해버리는 경우와 미트볼로 해서 양봉장 외로 가지고 사라지는 경우가 확인되었다. 물어 죽인 꿀벌 일벌을 그 자리에서 유기한다고 하는 행동은 벌집 내에서 유충 등을 음식물로서 약탈하는 경우에 있어서, 방어하는 꿀벌 일벌을 살육하는 장수말벌 일벌 독자의 집단 포식 활동의 행동 패턴의 일부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 물어 죽인 꿀벌 일벌을 미트볼로 해서 양봉장 외로 가지고 사라진다고 하는 행동은 포획한 개개의 사냥감을 음식물로서 처리하기 위한 행동 패턴인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행동은 벌통을 갉아 먹을 만큼 강력한 큰 턱을 가지지 않는 노랑 말벌 등이 발현하는 행동과 동일한데, 장수말벌 독자적인 효율적인 약탈을 할 수 없는 상황하에서 발현된 대체 행동인 것으로 생각된다. 9월 6일과 10월 12일의 양일 모두에 이러한 대체 행동이 많았던 것은, 침입 방지 장치의 존재에 의해, 장수말벌이 독자적으로 발달시켜 온 효율적인 집단 포식 활동을 계속해서 저지당했기 때문에, 물어 죽인 꿀벌 일벌을 미트볼로 해서 양봉장 외로 가지고 사라지는 비효율적인 대체 행동에 의지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1: 침입 방지 장치
2: 통로
3: 휘산 부재
4: 칸막이 부재
5: 봉상 부재
6∼8: 휘산 억제 부재
9: 수용부

Claims (7)

  1. 꿀벌과 벌의 벌통에 장착되는 침입 방지 장치로서,
    유기 부재에 의해 경계가 표시되는 통로와, 상기 통로 내에 배치되는 휘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방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칸막이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침입 방지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휘산 부재는 상기 칸막이 부재보다 벌통측에 위치하는 침입 방지 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액을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는 침입 방지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말벌과 벌이 기피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침입 방지 장치.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관을 통해서 상기 수용부에 접속된 용액 보충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침입 방지 장치.
  7. 제1 항 내지 제6 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휘산 부재의 벌집 구멍측에 휘산 억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침입 방지 장치.
KR1020190154801A 2019-08-06 2019-11-27 침입 방지 장치 KR202100179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44253 2019-08-06
JP2019144253A JP7269632B2 (ja) 2019-08-06 2019-08-06 侵入防止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970A true KR20210017970A (ko) 2021-02-17

Family

ID=7436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801A KR20210017970A (ko) 2019-08-06 2019-11-27 침입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69632B2 (ko)
KR (1) KR20210017970A (ko)
CN (1) CN112335579B (ko)
TW (1) TWI826598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0320B2 (ja) 2003-12-01 2006-03-29 久志 冨士男 ミツバチ保護用スズメバチ遮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2621B1 (en) * 1995-03-07 2001-02-27 Gerald Sterling Fain Garden pest control device
JP3068995U (ja) * 1998-11-26 2000-05-26 リーボンギュン 害虫駆除装置
KR100388837B1 (ko) * 2001-03-22 2003-06-25 김대립 토종벌통 및 토종벌통을 이용한 침입 벌 퇴치 및 토종벌인공분봉방법
JP2002322004A (ja) * 2001-04-20 2002-11-08 Fumakilla Ltd スズメバチの駆除剤およびその駆除方法
JP4703913B2 (ja) * 2001-07-10 2011-06-15 昭彦 大槻 養蜂巣箱のスズメバチ撃退用電気ゲート
JP4213025B2 (ja) * 2003-12-03 2009-01-21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薬剤揮散具
US7325358B1 (en) * 2005-03-10 2008-02-05 Repelit Llc Weather protected deer and animal repellent container
JP2009131243A (ja) * 2007-10-29 2009-06-18 Earth Chem Corp Ltd 害虫防除装置
JP2012055231A (ja) * 2010-09-09 2012-03-22 Ip Service:Kk 日本みつばち専用の働きばち出入口兼備の女王ばち排出防止具
AU2011250709A1 (en) * 2010-11-30 2012-06-14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esticid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sts
JP2014050344A (ja) * 2012-09-06 2014-03-20 Noboru Dairakuin ミツバチ用飛翔害敵防御器
JP5832593B1 (ja) * 2014-06-05 2015-12-16 宗教法人立善寺 蜜蜂保護装置
JP3192877U (ja) * 2014-06-26 2014-09-04 株式会社 杉養蜂園 蜜蜂巣門構造
CN104430050B (zh) * 2014-12-25 2017-01-25 南京老山药业股份有限公司 城市实用简洁家用中蜂蜂箱
CN204482713U (zh) * 2015-01-28 2015-07-22 郭洁 一种组合式蜂箱巢门
JP6699002B2 (ja) * 2015-11-11 2020-05-27 国立大学法人高知大学 スズメバチ科ハチ忌避剤
JP6693653B2 (ja) * 2016-01-26 2020-05-13 株式会社はなはな 有害動物の忌避装置
JP3208543U (ja) * 2016-11-07 2017-01-26 清隆 鍋藤 ミツバチ保護具
CN206213000U (zh) * 2016-11-29 2017-06-06 贵州务川麻阳河蜂业开发有限公司 一种防胡蜂巢门器
CN206390013U (zh) * 2017-01-07 2017-08-11 罗平县腊峰蜂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为大棚中果蔬授粉的蜂箱
CN206390012U (zh) * 2017-01-07 2017-08-11 罗平县腊峰蜂业科技有限公司 一种能有效防范蜜蜂天敌的蜜蜂养殖装置
CN106900597B (zh) * 2017-03-08 2023-11-14 贺先作 一种立式双门中蜂箱及用其养殖中蜂的方法
CN106942091A (zh) * 2017-03-31 2017-07-14 重庆品有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养蜂装置以及养蜂系统
WO2018221833A1 (ko) * 2017-05-31 2018-12-06 김호겸 말벌 차단 장치
KR102053409B1 (ko) * 2018-01-16 2019-12-06 정혁 양봉용 벌통의 꿀벌 보호장치
CN208446368U (zh) * 2018-07-05 2019-02-01 城口县蕊尘蜂业有限责任公司 一种中蜂养殖蜂箱
JP3220502U (ja) * 2018-08-15 2019-03-14 章利 末吉 スズメバチ捕獲器
CN108925467A (zh) * 2018-09-06 2018-12-04 重庆市畜牧技术推广总站 一种蜂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0320B2 (ja) 2003-12-01 2006-03-29 久志 冨士男 ミツバチ保護用スズメバチ遮断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마츠우라 마코토ㆍ야마네 세이키 저서, 「말벌류의 비교 행동학」, 홋카이도 대학 도서 간행회, 1984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35579A (zh) 2021-02-09
JP7269632B2 (ja) 2023-05-09
CN112335579B (zh) 2023-06-16
TWI826598B (zh) 2023-12-21
JP2021023216A (ja) 2021-02-22
TW202112227A (zh)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od The small hive beetle, Aethina tumida: a review
Neumann et al. Social encapsulation of beetle parasites by Cape honeybee colonies (Apis mellifera capensis Esch.)
Gulati et al. Enemies of honeybees and their management–a review
KR102242296B1 (ko) 말벌과 벌 기피제
Jones et al. Seed predation in neotropical pre‐montane pastures: site, distance, and species effects
Steiner Mortality resulting from intraspecific fighting in some ground squirrel populations
Islam et al. Seasonal variations in hornet’s spp. and efficiency of different traps as a tool for control
Tsegaye et al. Evaluation of different non-chemical wax moth prevention methods in the backyards of rural beekeepers in the North West dry land areas of Ethiopia
Efstathion et al. A push‐pull integrated pest management scheme for preventing use of parrot nest boxes by invasive Africanized honey bees
KR20210017970A (ko) 침입 방지 장치
Smith et al. Gypsy moth handbook: Predators of the gypsy moth
Vijayakumar et al. Predation of stingless bees (Trigona iridipennis: Apidae, Meliponinae) by centipede (Scolopendra hardwicki: Chilopoda: Scolopendramorpha)
Abou-Shaara Evaluation of Non-Chemical Traps for Management of Wax Moth Populations within Honey Bee Colonies1
Solanki et al. Enemies of Honey bees and their Management
Crowder et al. Top-bar beekeeping: organic practices for honeybee health
Annand Investigations on small hive beetle biology to develop better control options
Sarwar Predations on honey bees (Arthropoda) by vertebrate pests (Chordata) and control of nuisance
Grüter et al. Enemies, dangers and colony defence
Srinivasan et al.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Apis florea
Gupta et al. Honeybee predators: Insects, reptiles and mammals
PL235761B1 (pl) Kompozycja eterycznego olejku konopnego do zastosowania do zapobiegania i zwalczania chorób pszczelich
JP2006290809A (ja) ミツバチに寄生するダニの駆除方法及び駆除剤
Robroek et al. The behaviour of the kleptoparasite, Pseudohypocera kerteszi (Diptera, Phoridae), in hives of stingless bees (Hymenoptera, Apidae) in Central America
Mabrouk et al. Controlling the greater and lesser wax moths using natural and chemical products
Sharma et al. New evidence of pseudo scorpion Ellingsenius indicus Chamberlin as predator of Indian honey bee Apis cerana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