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360A - 다리벨트 - Google Patents

다리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360A
KR20210017360A KR1020190096487A KR20190096487A KR20210017360A KR 20210017360 A KR20210017360 A KR 20210017360A KR 1020190096487 A KR1020190096487 A KR 1020190096487A KR 20190096487 A KR20190096487 A KR 20190096487A KR 20210017360 A KR20210017360 A KR 20210017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ing means
ring
bel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쉬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쉬즈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쉬즈원
Priority to KR1020190096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7360A/ko
Publication of KR20210017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3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착용 시 다리를 감으며 길이 방향 일측에 제1결합수단(150)이 형성된 벨트본체(110)와, 상기 벨트본체(11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고리(130)와, 상기 고리(130)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결합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140)는 고리(130)에 삽입된 플렉시블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결합본체(141)와, 상기 결합본체(141)에 구비되는 제2결합수단(146)과, 상기 결합본체(141)에 구비되는 유지결합수단(142)과, 상기 결합본체(141)에 구비되는 제3결합수단(144)을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수단(146)은 제1결합수단(1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리(130)를 통과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결합본체 부분인 결합본체내측부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유지결합수단(142)은 상기 결합본체내측부의 외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3결합수단(144)은 유지결합수단(14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리(130)를 통과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본체 부분인 결합본체외측부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고리(130)를 통과한 결합본체(141)의 양측 부분인 결합본체내측부와 결합본체외측부는 상기 제3결합수단(144)과 유지결합수단(142)에 결합되어 적층 결합되며, 상기 제3결합수단(144)은 제1결합수단(150)에도 착탈 가능한 다리벨트(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리벨트{A Leg Belt}
본 발명은 다리벨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리를 모은 상태에서 착용하여 앉은 자세를 편안하게 할 수 있으며 교정 목적으로 사용되는 착용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착용되는 다리벨트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앉아있는 상태에서 양측의 다리를 인체의 중심 부분에 모아 주지 못하는 경우는 자세가 흐트러지고, 집중력도 떨어지며 몸이 쉽게 피곤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앉은 자세에서 다리를 묶어 다리가 모여진 상태로 유지하는 목적으로 다리벨트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선천적으로나 후천적으로 휜 다리를 교정할 목적으로 또는 다리가 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다리를 모은 상태에서 다리를 묶는 다리벨트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리벨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착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리벨트(10)는 천이나 가죽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길이가 긴 벨트 형태의 벨트본체(11)와, 상기 벨트본체(11)의 일단에 구비된 고리(13)와, 상기 고리(13)가 부착된 반대쪽 단부에 구비되는 결합수단(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수단(15)으로 벨크로(Velcro)가 사용된다. 상기 결합수단(15)은 제1결합수단(15-1, 암벨크로)과 제2결합수단(15-3, 수벨크로)으로 이루어진다. 제2결합수단(15-3)은 까칠한 감촉의 수벨크로테잎이 벨트본체(11)의 단부의 외면에 박음질되어 형성되며, 제1결합수단(15-1)은 제2결합수단(15-3)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벨트본체(11)의 외면에 박음질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1결합수단(15-1)으로 암벨크로테잎을 별도로 박음질하지 않고 벨트본체(11)가 그 자체로 암벨크로로 작용하는 재질의 원단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 시에는 벨트본체(11)로 다리를 감은 후에 제2결합수단(15-3)이 구비된 벨트본체(11)의 결합단부(11-1)를 고리(13)에 통과시키고 반대 방향으로 당겨서 제2결합수단(15-3)이 내측을 향하게 하여 제2결합수단(15-3)을 제1결합수단(15-1)에 결합시킨다.
다리로부터 분리할 때는 결합단부(11-1)를 파지하고 제1결합수단(15-1)으로부터 제2결합수단(15-3)을 분리하는 방향으로 당겨 제1결합수단(15-1)과 제2결합수단(15-3)의 결합을 분리하고, 결합단부(11-1)를 고리(13)에서 뺀다.
도 1에 도시한 다리벨트(10)는 착용시 고리(13)에 결합단부(11-1)를 삽입 통과시키고 분리시에는 고리(13)로부터 결합단부(11-1)를 빼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 등록번호 제10-1207880호, 제10-1291372호에는 양단부에 플라스틱 버클을 부착시킨 다리벨트가 공지되어 있으나, 플라스틱 버클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부피가 커지고, 별도의 길이 조정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115707호에는 일측이 결합수단은 벨트본체의 내면에 수벨크로로 형성하고, 타측 결합수단은 벨트본체의 외면에 암벨크로로 형성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착용 후 결합된 결합수단인 벨크로가 외력에 의하여 쉽게 분리되는 염려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207880호 등록특허공보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291372호 등록특허공보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3-0115707호 공개특허공보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883057호 등록특허공보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20-1998-0006452호 공개실용신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플라스틱 버클을 사용하지 않고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며, 착용 후 결합수단이 분리되는 염려가 없으며, 고리에 넣고 빼는 동작 없이 착용이 가능하며, 착용 후 탄성을 주어 착용감을 개선한 다리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착용 시 다리를 감으며 길이 방향 일측에 제1결합수단이 형성된 벨트본체와, 상기 벨트본체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고리와, 상기 고리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고리에 삽입된 플렉시블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결합본체와, 상기 결합본체에 구비되는 제2결합수단과, 상기 결합본체에 구비되는 유지결합수단과, 상기 결합본체에 구비되는 제3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수단은 제1결합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리를 통과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결합본체 부분인 결합본체내측부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유지결합수단은 상기 결합본체내측부의 외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3결합수단은 유지결합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리를 통과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본체 부분인 결합본체외측부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고리를 통과한 결합본체의 양측 부분인 결합본체내측부와 결합본체외측부는 상기 제3결합수단과 유지결합수단에 결합되어 적층 결합되며, 상기 제3결합수단은 제1결합수단에도 착탈 가능한 다리벨트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3결합수단이 유지결합수단에 결합되어 결합본체내측부와 결합본체외측부가 적층된 상태에서 제2결합수단이 제1결합수단에 결합되어 폐회로를 이루어 다리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2결합수단이 제1결합수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3결합수단이 유지결합수단으로부터 분리되고 결합본체외측부가 당겨져 결합본체내측부의 단부를 지나 연장되며 제3결합수단이 제1결합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결합수단과 제3결합수단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1결합수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벨트본체는 제2결합수단과 제3결합수단에 착탈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제1결합수단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리벨트(100)에 의하면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여 착용 후 결합수단이 분리될 염려가 없으며, 고리에 넣고 빼는 동작 없이 착용이 가능하며 착용과 분리가 신속하고 편리하며, 두 번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착용 후 탄성에 의한 착용감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다리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다리벨트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리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리벨트에 구비되는 결합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리벨트의 착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다리벨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리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리벨트에 구비되는 결합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리벨트의 착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 다리벨트를 이루는 벨트본체의 길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설명하고, 착용시 신체를 향하는 쪽을 내측으로 그 반대쪽을 외측으로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리벨트(100)는 천이나 가죽과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착용 시 다리를 감으며 길이 방향 일측에 제1결합수단(150)이 형성된 벨트본체(110)와, 상기 벨트본체(11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고리(130)와, 상기 고리(130)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결합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본체(110)는 스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벨크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벨트본체(110) 자체가 제1결합수단(150)으로 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벨트본체(110)는 착용시 다리를 감는 구성으로 길이가 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수단(150)의 결합면은 외향한다. 상기 제1결합수단(150)은 암벨크로테잎이 벨트본체(110)의 외면에 박음질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결합수단(150)으로 형성되는 암벨크로테잎은 고리(130)가 구비된 타측의 반대쪽인 일측 단부에서 고리(130)를 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고리(130)는 폐회로를 이루는 사각형으로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도면부호 114는 고리(130)를 벨트본체(110)에 결합하는 고리결합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고리결합부재(114)는 다양한 방법으로 벨트본체(110)에 박음질되어 고리(130)가 벨트본체(110)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40)는 플렉시블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결합본체(141)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본체(141)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본체(141)는 폭보다 길이가 길고 얇은 두께를 가진다. 상기 결합본체(141)는 고리(130)를 통과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결합본체내측부와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본체외측부를 가진다.
상기 결합본체(141)에는 제2결합수단(146)과, 유지결합수단(142)과, 제3결합수단(144)이 구비된다.
상기 제2결합수단(146)은 고리(130)를 통과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결합본체 부분인 결합본체내측부의 내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2결합수단(146)은 결합본체(141)에 수벨크로테잎이 박음질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수단(146)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정사각형이나 모서리가 챔퍼(Chamfer)나 라운딩된 사각형 형태로 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결합수단(146)의 결합면은 내향한다. 상기 제2결합수단(146)은 제1결합수단(1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유지결합수단(142)은 제2결합수단(146)이 구비된 상기 결합본체내측부의 외면에 암벨크로테잎이 박음질되어 형성된다. 상기 유지결합수단(142)은 사각형이나 모서리가 챔퍼(Chamfer)나 라운딩된 사각형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지결합수단(142)의 결합면은 외향한다.
상기 제3결합수단(144)은 유지결합수단(14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벨크로로 형성된다. 상기 제3결합수단(144)은 고리(130)를 통과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본체 부분인 결합본체외측부의 내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3결합수단(144)의 결합면은 내향한다. 상기 제3결합수단(144)은 결합본체외측부의 내면에 수벨크로테잎이 박음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수단(146)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정사각형이나 모서리가 챔퍼(Chamfer)나 라운딩된 사각형 형태로 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고리(130)를 통과한 결합본체(141)의 양측 부분인 결합본체내측부와 결합본체외측부는 제3결합수단(144)과 유지결합수단(142)에 결합되어 적층 결합된다. 상기 제3결합수단(144)과 유지결합수단(142)은 결합본체(141)의 일면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리벨트(100)의 착용과 분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리벨트(100)를 이루는 벨트본체(110)로 다리에 감고, 길이 방향 일측의 제1결합수단(150)에 타측 단부의 고리(130)에 삽입되어 구비된 결합부재(140)의 제2결합수단(146)을 결합시켜 폐회로를 이루어 착용한다. 상기 결합본체내측부와 결합본체외측부가 적층된 상태에서 착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리벨트(100)는 허벅지, 무릎 또는 발목에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다리의 복수의 개소에 착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측 손으로 벨트본체(11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결합부재(140)를 파지하여 착용한다. 결합부재(140)를 잡아당겨 적당한 장력으로 조절하여 착용한다.
착용 후 상기 제2결합수단(142)이 제1결합수단(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3결합수단(144)을 유지결합수단(142)으로부터 분리하고 결합본체외측부를 당겨 결합본체내측부의 단부를 지나 연장되도록 하여(도 6에 "A"로 표시) 제3결합수단(144)을 제1결합수단(150)에 결합시켜 추가로 장력을 부여한다. 상기 제2결합수단(146)과 제3결합수단(144)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1결합수단(150)에 결합된다. 상기 제1결합수단(150)은 제2결합수단(146)과 제3결합수단(144)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결합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제2결합수단(146)이 제1결합수단(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본체외측부가 결합본체내측부를 덮어 내향 가압하면서 제3결합수단(144)이 제1결합수단(150)에 결합되어 착용되므로 착용 후 제2결합수단(146)이 제1결합수단(15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결합본체외측부와 결합본체내측부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제3결합수단(144)이 제1결합수단(15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신체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제3결합수단(144)과 제1결합수단(150)의 결합을분리하고, 제2결합수단(146)과 제1결합수단(150)을 분리함으로써 고리로부터 분리하는 절차 없이 간단하게 신체로부터 분리된다. 제3결합수단(144)은 다시 유지결합수단(142)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본체외측부의 단부에는 제3결합수단(144)과 제1결합수단(150)의 분리 시 결합본체외측부가 고리(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결합본체(141)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본체(141)는 파지하기 좋은 납작한 형태이며 고리(130)를 통과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제1결합수단(150)과 유지결합수단(142)은 암벨크로로 형성하고, 제2결합수단(146)과 제3결합수단(144)을 암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벨크로로 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결합수단(150)과 유지결합수단(142)은 수벨크로로 형성하고 제2결합수단(146)과 제3결합수단(144)을 수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벨크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00: 다리벨트 110: 벨트본체
130: 고리 140: 결합부재

Claims (4)

  1.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착용 시 다리를 감으며 길이 방향 일측에 제1결합수단(150)이 형성된 벨트본체(110)와, 상기 벨트본체(11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고리(130)와, 상기 고리(130)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결합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140)는 고리(130)에 삽입된 플렉시블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결합본체(141)와, 상기 결합본체(141)에 구비되는 제2결합수단(146)과, 상기 결합본체(141)에 구비되는 유지결합수단(142)과, 상기 결합본체(141)에 구비되는 제3결합수단(144)을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수단(146)은 제1결합수단(1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리(130)를 통과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결합본체 부분인 결합본체내측부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유지결합수단(142)은 상기 결합본체내측부의 외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3결합수단(144)은 유지결합수단(14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리(130)를 통과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본체 부분인 결합본체외측부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기 고리(130)를 통과한 결합본체(141)의 양측 부분인 결합본체내측부와 결합본체외측부는 상기 제3결합수단(144)과 유지결합수단(142)에 결합되어 적층 결합되며, 상기 제3결합수단(144)은 제1결합수단(150)에도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벨트(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수단(144)이 유지결합수단(142)에 결합되어 결합본체내측부와 결합본체외측부가 적층된 상태에서 제2결합수단(146)이 제1결합수단(150)에 결합되어 폐회로를 이루어 다리에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벨트(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수단(142)이 제1결합수단(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3결합수단(144)이 유지결합수단(142)으로부터 분리되고 결합본체외측부가 당겨져 결합본체내측부의 단부를 지나 연장되며 제3결합수단(144)이 제1결합수단(146)에 결합되어; 상기 제2결합수단(146)과 제3결합수단(144)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제1결합수단(15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벨트(15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본체(110)는 제2결합수단(146)과 제3결합수단(144)에 착탈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제1결합수단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벨트.
KR1020190096487A 2019-08-08 2019-08-08 다리벨트 KR202100173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487A KR20210017360A (ko) 2019-08-08 2019-08-08 다리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487A KR20210017360A (ko) 2019-08-08 2019-08-08 다리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360A true KR20210017360A (ko) 2021-02-17

Family

ID=7473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487A KR20210017360A (ko) 2019-08-08 2019-08-08 다리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7360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452U (ko) 1996-07-16 1998-04-30 장주열 다리 고정용 벨트
KR101207880B1 (ko) 2010-10-04 2012-12-04 권오태 휜 다리 교정용 벨트
KR101291372B1 (ko) 2011-08-03 2013-07-30 정연현 다리모음밴드
KR20130115707A (ko) 2012-04-13 2013-10-22 양혜지 광물질 또는 숯이 투입된 다리 밴드
KR101883057B1 (ko) 2016-08-05 2018-08-27 한유혜 안짱 다리 교정용 볼 및 안짱 다리 교정용 볼-밴드 세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452U (ko) 1996-07-16 1998-04-30 장주열 다리 고정용 벨트
KR101207880B1 (ko) 2010-10-04 2012-12-04 권오태 휜 다리 교정용 벨트
KR101291372B1 (ko) 2011-08-03 2013-07-30 정연현 다리모음밴드
KR20130115707A (ko) 2012-04-13 2013-10-22 양혜지 광물질 또는 숯이 투입된 다리 밴드
KR101883057B1 (ko) 2016-08-05 2018-08-27 한유혜 안짱 다리 교정용 볼 및 안짱 다리 교정용 볼-밴드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07558C (en) Corset
JP6083836B1 (ja) 顎固定用ベルト
KR20210017360A (ko) 다리벨트
US20230053358A1 (en) Trouser retaining strap
JP6296811B2 (ja) 腰用サポータ
JP2011115463A (ja) 就寝用衛生マスク
KR101751493B1 (ko) 복대 겸용 벨트
JP2010094328A (ja) 姿勢矯正装着具
JP3119508U (ja) 骨盤矯正エプロン
JP3375917B2 (ja) コルセットベルト
JP3210930U (ja) 簡易着用帯
KR200479899Y1 (ko)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
TWI384972B (zh) 人體背部姿勢導正輔助器
JP2003180406A (ja)
JP2536301Y2 (ja) 股関節部緊締用下半身下着
CN214016058U (zh) 一种尺寸可调节的隔离服
JP3072749U (ja) 障害者用スリッパ
JP3104738U (ja) お腹周りのサイズにあわせて、長さ調整のできる腹巻き
KR200448125Y1 (ko) 신축벨트
JP5917091B2 (ja) 骨盤矯正ベルト及び骨盤矯正ベルト用の着脱式把手
US20210393063A1 (en) Aid Device for Elastic Support Stockings
JP3070347U (ja) 膝救護バンド
JP2002345867A (ja) 下腹部用サポータ
JP2510632Y2 (ja) 介護用ベルト及び保護パッド
KR950007939Y1 (ko) 척추보호용 파워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