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6452U - 다리 고정용 벨트 - Google Patents

다리 고정용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6452U
KR980006452U KR2019960020983U KR19960020983U KR980006452U KR 980006452 U KR980006452 U KR 980006452U KR 2019960020983 U KR2019960020983 U KR 2019960020983U KR 19960020983 U KR19960020983 U KR 19960020983U KR 980006452 U KR980006452 U KR 9800064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legs
leg
fixing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주열
Original Assignee
장주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주열 filed Critical 장주열
Priority to KR2019960020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6452U/ko
Publication of KR9800064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452U/ko

Links

Landscapes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석시 의자에서 사람의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다리 고정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다리 고정용 벨트는,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착석면과 상기 착석면에 중심부분이 고정되고, 양다리를 모아서 감싼 상태에서 양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양단부를 가지는 벨트로 구성된다. 상기 벨트는 신축성 소재 또는 쿠션재로 만들어지고, 그 내측면에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 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이 부착된다.

Description

〔고안의 명칭〕
다리 고정용 벨트
[고안의 상세한 설명]
[고안의 목적]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다리 고정용 벨트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벨트의 단면도이다.
〔고안의 상세한 설명〕
본 고안은 다리 고정용 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에 앉는 자세에서 다리를 인체의 중심에 맞도록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리 고정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의자에 사람이 앉아 있을 경우 다리의 양쪽 무릅을 모아서 앉는 것이 인체의 바른 자세를 위해서는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의자에 앉는 경우 양쪽 무릅을 의도적으로 붙인 상태로 앉아 있는 것은 힘들다. 그리고 앉은 자세에서 무릅의 위치가 허리보다 높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허리에 무리가 덜 가는 편한 자세라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생용 의자의 경우에 있어서, 사람이 앉아있는 상태에서 양측의 다리를 인체의 중심부분에 모아 주지 못하는 경우에는, 자세가 흩어지고, 이렇게 되면, 집중력도 떨어지는 것도 물론이거니와 몸이 쉽게 피곤해 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의자에 앉은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면서 공부하는 학생과,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오랫동안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에게 있어서는 더욱 문제시 된다.
이렇게 앉아 있는 사람이 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인체의 상부가 쉽게 숙어지거나, 옆으로 기대는 자세를 취하게 되어 순간적으로는 편안함을 느낄 수도 있으나, 실제로 그러한 자세는 체력의 소모를 증가시켜, 피곤을 쉽게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사람이 의자에 앉아 있을 경우, 인체가 가장 편안하고, 바른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양쪽 다리를 모아 줄 수 있는 다리 고정용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다리 고정용 벨트는,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착석면과, 상기 착석면에 중심 부분이 고정되고, 양다리를 모아서 감싼 상태에서 양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양단부로 포함하는 벨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는 신축성 소재 또는 안락감을 주기 위한 쿠션성을 구비한 소재로 만들어지고, 벨트의 내측면에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 또는 원적이선을 발생시키는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이 부착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착석시 사람이 양다리를 모아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기 때문에, 체력소모를 방지하고 집중력을 높여주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라, 의자에 앉을 경우 사람의 다리를 모아서 고정해 주기 위한 고정벨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리 고정용 벨트(1)는, 그 중심부분(3)이 사람이 앉는 의자(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양측단부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5,7)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의자(2)는 사람이 앉을 수 있는 모든 의자를 총칭하는 개념이며, 예를 들면 학교에서 학생들이 앉는 의자는 물론이고, 극장용, 강당용, 교회용, 사무실용, 경기장의 관림석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의자를 포함하는 개념이고, 자동차의 의자등도 포함된다.
벨트(1)의 중심부분(3)은 의자의 중심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의자의 중심부분은, 사람이 바른 자세로 앉았을 경우, 양다리가 걸쳐지는 중심부분을 의미하는 것이고, 벨트(1)는 의자의 전방부분, 즉 사람의 다리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1)의 양단부에는, 앉아 있는 사람의 양다리를 상기 벨트의 중심부분(3)의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벨트(1)의 양단부가 양다리를 감싸서 붙인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5,7)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5,7)은 소위 매직테이프라고 불려지고 있는 대응하는 한쌍의 벨크로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수단은, 이와 같은 벨크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여러가지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허리용 벨트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한쌍의 대응하는 암수후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벨트(1)는 실질적으로 의자에 앉아 있는 경우, 양다리를 중심으로 모아서, 인체의 바른 자세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는 상기 벨트(1)의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벨트(1)를 단순한 띠형상의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벨트의 소재에 대해서 설명하면, 앉아 있는 사람의 양다리를 붙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벨트는, 실제적으로 양다리가 벌어지려고 하는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 신축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흔히 스판이라고 알려져 있는 재질은 이러한 신축성을 충분하게 부여하고 있어서 상기 벨트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억지로 다리가 고정된 느낌을 주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한 소재로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벨트의 재질이 상기와 같이 신축성을 가진 신축성을 가진 소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인 섬유재질, 예를 들면 나이론, 순면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가죽이나 인조가죽등을 사용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또한 일정한 탄성을 가지고 있는 합성 수지재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경기장과 같이 일정 시간만을 앉아 있을 경우에 일회용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일회용으로 만드는 경우에는 양다리의 고정에 필요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 종이를 사용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양다리를 모아서 고정시켜 주는 경우, 양다리가 고정되는 부분에 벨트의 압박에 의한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안락감을 줄 수 있는 소재로 만드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단면도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벨트(10)는, 중심부분에 스폰지 또는 솜과 같이 압박감을 덜 주는 쿠션재(13)와, 상기 쿠션재(13)을 감싸는 외장재(12)로 구성된다. 상기 외장재(12)는 일반적인 섬유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신축성 있는 스판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더욱 부가적인 기능을 가질수 있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리 고정용 벨트는, 양다리를 모아주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양다리를 모아 주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벨트는 양다리에서 중심부분의 무릅 부위를 감싸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무릅 부분의 관절에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실시예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사용되는 부분에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관절염등에 일정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치료효과를 겸할 수 있을 것이다.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1도에서 도면 부호 11,11'으로 표시된 부분에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석을 부착하는 것으로 충분하게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변형예로서 상온에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본 고안에 의한 벨트의 내측에 부착함으로써 원적외선의 방출하는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본 고안에 의한 벨트의 내측에 부착함으로써 원적외선의 방출에 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벨트의 내측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벨트 내면의 전체를 따라 균일하게 부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상기 자석(11,11')과 같이 일정부분에 집중적으로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부착하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벨트를 착용하는 부분, 즉 양다리의 무릎 근처의 일정 부분에는 실질적으로 약간은 압박되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의 통기성을 고려하여, 충분한 통기성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통기성이 떨어지는 재질로 만드는 경우에는 상기 벨트의 적정 부분에 다수개의 통기공을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충분한 통기성을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의한 벨트가 착용되면, 사용자 또는 주위 사람들은 이러한 벨트를 볼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벨트의 외면에는 일정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광고 문구를 인쇄하여 넣음으로서 소정의 광고효과도 누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것은, 특히 본 고안에 의한 다리 고정용 벨트를 기업의 홍보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부수적인 잇점을 누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는, 상기 벨트가 의자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되는 예를 통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렇게 의자에 고정되어 실시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자와는 별개로 성형하여 휴대하면서 의자에 앉게 되면 이를 착용함으로써 양다리를 모을 수 있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휴대용으로 상기 여러가지 변형예와 같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휴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면시에는 사용할 수 있다. 수면시에는 실질적으로 어떠한 자세를 가지고 자고 있는가를 모르는 상태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은 여러가지 수면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수면시에도 바로 누워서 양다리를 모은 상태로 자는 것이 숙면에 가장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벨트를, 수면시에도 양다리를 모은 상태의 바람직한 자세의 유지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벨트는, 의자에 앉은 상태로 오랜 시간 동안 일을 하는 사람에게 있어서는 가장 바른 착석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바른 자세는 착석 자세의 불안정으로 인한 불필요한 체력의 낭비를 없애고, 집중력을 향상 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석,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등과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6)

  1.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착석면과 상기 착석면에 중심 부분이 고정되고, 양다리를 모아서 감싼 상태에서 양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양단부로 구성되는 벨트로 구성되는 다리 고정용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신축성을 가지고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다리 고정용 벨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중심부분의 쿠션재와, 상기 쿠션재를 감싸는 외장재로 구성되는 다리 고정용 벨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다리에 접하는 벨트의 내측면에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이 부착된 다리 고정용 벨트.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다리에 접하는 벨트의 내측면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이 부착된 다리 고정용 벨트.
  6. 신축성 소재로 만들어지고, 양단부에는 다리를 감싸는 상태에서 서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다리 고정용 벨트.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0983U 1996-07-16 1996-07-16 다리 고정용 벨트 KR9800064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983U KR980006452U (ko) 1996-07-16 1996-07-16 다리 고정용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983U KR980006452U (ko) 1996-07-16 1996-07-16 다리 고정용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452U true KR980006452U (ko) 1998-04-30

Family

ID=5396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983U KR980006452U (ko) 1996-07-16 1996-07-16 다리 고정용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645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360A (ko) 2019-08-08 2021-02-17 주식회사 쉬즈원 다리벨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360A (ko) 2019-08-08 2021-02-17 주식회사 쉬즈원 다리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0706B1 (ko) 등받이가 내장된 상의
US4969216A (en) Padded underwear
US4394783A (en) Body cushion
US6607245B1 (en) Head restraint
US4190287A (en) Knee abductor and restrainer
KR200416722Y1 (ko) 밴드형 탈부착 의자 등받이
US20090104837A1 (en) Cushioning device
US4541425A (en) Head and torso restraint
KR980006452U (ko) 다리 고정용 벨트
US6694551B1 (en) Facial support device
KR900010588Y1 (ko) 의자용 등 받침구
GB2489245A (en) Cushion
KR200255644Y1 (ko)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좌판 겸용 방석
KR200435467Y1 (ko) 다리 받침대
GB2339141A (en) A pelvis support
US20050137509A1 (en) Back support
US20030214162A1 (en) Arm support cover
CN212213215U (zh) 可与椅子、凳子制作成为一个整体的坐面、坐垫
KR200322104Y1 (ko) 수유용 베개 및 쿠션 세트
KR200416227Y1 (ko) 전신베개
WO2002054914A1 (en) Seat and chair with a partial cushion
CN209436677U (zh) 一种新型禅修坐垫
KR200341953Y1 (ko) 자석을 내장한 등받이 부착 방석
KR200215804Y1 (ko) 다목적 건강 쿠션
KR100392725B1 (ko) 방석용 쿠션체, 폐자재를 이용한 쿠션체 제조방법 및 이것을 이용한 자세교정용 방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