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104Y1 - 수유용 베개 및 쿠션 세트 - Google Patents

수유용 베개 및 쿠션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104Y1
KR200322104Y1 KR20-2003-0010962U KR20030010962U KR200322104Y1 KR 200322104 Y1 KR200322104 Y1 KR 200322104Y1 KR 20030010962 U KR20030010962 U KR 20030010962U KR 200322104 Y1 KR200322104 Y1 KR 200322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nursing
bag
cushion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만
Original Assignee
정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만 filed Critical 정진만
Priority to KR20-2003-0010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1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1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47D13/083Baby feeding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유용 베개 및 쿠션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표면에 홈이 형성된 홈 베개(1)와, 상기 홈 베개(1)를 둘러싸는 베개 주머니(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개 주머니(2)의 넓은 면에는 팔끼움용 띠(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베개와;
탄성을 가지는 호형(弧形)의 내부몸체(11)와, 상기 내부몸체(11)를 둘러싸는 몸체 주머니(12)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 주머니(12)에는 멜로디장치(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 주머니(12)에는 상기 내부몸체(11)가 출입하는 입구(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쿠션;을 한 세트로 하여 아기에게 수유하므로,
수유자가 아기를 안정되게 안을 수 있고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아기와 엄마 모두에게 안락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유용 베개 및 쿠션 세트{A Pillow and Cushion Set for Lactation}
본 고안은 수유용 베개 및 쿠션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기와 엄마가 편안하게 우유나 모유를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수유용 베개 및 쿠션 세트에 관한 것이다.
아기에게 수유할 경우, 아기 엄마 또는 다른 수유자가 아기를 품에 안고 젖을 물리거나 젖병의 젖꼭지를 물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아기의 머리는 엄마의 팔꿈치 안에 위치하게 되고, 아기의 몸과 다리부분은 엄마의 허벅지 위에 걸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아기의 머리가 엄마의 팔꿈치 안에 놓이게 되면, 머리를 받치는 팔의 면적이 좁아서 아기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었다. 또한, 아기가 머리를 자주 움직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도 엄마가 팔을 움직여서 조정해야 하므로 엄마와 아기 모두에게 불편하였다. 그러다 보면, 서로간의 친밀성을 충분히 느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수유 도중에 아기 엄마가 힘이 들면, 아기를 바닥에 누이고, 통상적인 아기 베개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홈 베개(1)를 사용하여 머리를 고정한 후, 수유를 계속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는 아기가 엄마에 대한 친밀함을 느끼는데 한계가 있어,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수유 도중에 엄마와 아기가 모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친밀감을 느끼는데도 만족스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안의 목적은 수유시에 아기의 머리를 편안하게 고정하고, 아기와 엄마 모두에게 안락함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수유용 베개 및 쿠션 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아기용 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유용 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유용 베개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유용 쿠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유용 쿠션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유용 베개 및 쿠션 세트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 홈 베개
2... 베개 주머니
3... 베개 주머니 입구
4... 팔끼움용 띠
11... 내부몸체
12... 몸체 주머니
13... 멜로디장치
14... 몸체 주머니 입구
17... 고리
18... 연결끈
19... 클립
100... 수유용 베개
200... 수유용 쿠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수유용 베게는,
베개와, 베개를 둘러싸는 베개 주머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개 주머니의 넓은 면에는 팔끼움용 띠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개는, 상기 베개 주머니의 반대쪽 넓은 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홈 베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팔끼움용 띠는 상기 베개 주머니의 넓은 면의 횡방향으로 2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개 주머니는 상기 베개가 출입하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베개 주머니의 입구는 상기 팔끼움용 띠가 있는 쪽에 배치된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유용 쿠션은, 탄성을 가지는 호형(弧形)의 내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를 둘러싸는 몸체 주머니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 주머니에는 멜로디장치가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 주머니에는 상기 내부몸체가 출입하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몸체는 통상의 스폰지(Spong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멜로디장치는 상기 몸체 주머니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전술한 수유용 베개와, 수유용 쿠션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유용 베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유용 베개(100)는, 표면에 홈이 형성된 홈 베개(1)와, 상기 홈 베개(1)를 둘러싸는 베개 주머니(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개 주머니(2)의 넓은 2면중 한 면에는 팔끼움용 띠(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팔끼움용 띠(4)는 상기 베개 주머니(2)의 넓은 면의 횡방향으로 2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도 3에는, 상기 수유용 베개(100)를 착용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유자는 상기 팔끼움용 띠(4)를 통해 팔을 넣어 수유용 베개(100)를 착용하고, 팔끼움용 띠(4)의 반대편 넓은 면에 아기의 머리를 고정한 후, 수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유용 베개(100)는, 아기가 베고 자는 통상적인 용도의 베개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상기 베개 주머니(2)의 넓은 면에서, 상기 팔끼움용 띠(4)가 설치된 쪽에는 상기 홈 베개(1)가 출입하는 입구(3)가 형성되어 있어, 홈 베개(1)와 베개 주머니(2)를 별도로 세탁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입구(3)는 베개 주머니(2)의 테두리부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4에는, 상기 수유용 베개(100)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수유용 쿠션(2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수유용 쿠션(200)은, 탄성을 가지는 호형(弧形)의 내부몸체(11)와, 상기 내부몸체(11)를 감싸는 몸체 주머니(12)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몸체(11)는 통상의 스폰지(Sponge)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지만, 헝겊이나 좁쌀 등의 곡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몸체 주머니(12)에는 상기 내부몸체(11)가 출입하는 입구(1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부몸체(11)를 분리하여 세탁하기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상기 몸체 주머니(12)의 측면에는, 호형의 상기 내부몸체(11)에 대응하도록, 역시 호형으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호형의 수유용 쿠션(200)은, 사람의 몸통에 콤팩트하게 끼워지도록, 적절히 그 크기가 설정되면 된다.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유용 쿠션(200)을 착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유자가 소파나 방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수유용 쿠션(200)을 수유자의 몸통에 두르고, 아기를 안고 수유할 때, 팔꿈치 부분을 상기 수유용 쿠션(200)에 걸칠 수 있기 때문에, 수유자가 매우 편안하게 수유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쿠션(200) 자체가 매우 푹신하기 때문에, 팔꿈치 부분에 안긴 아기의 머리가 급작스럽게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수유시 외에는, 어른이 상기 수유용 쿠션(200)에 기대어 누울 수도 있다.
더욱이, 멜로디장치(13)가 연결끈(18)을 통해 상기 몸체 주머니(12)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어, 아기가 멜로디를 들으면서 우유나 젖을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매우 안정된 상태에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이 착탈이 자유로운 구조는, 연결끈(18)에 클립(19)을 설치하고, 몸체 주머니(12)에는 상기 클립(19)이 끼워지는 고리(17)가 설치되는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도 4 참조).
한편, 상기 수유용 베개와, 수유용 쿠션을 함께 사용하면, 아기와 수유자에게 모두 안락감과 편리함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수유자가 아기를 안정되게 안을 수 있고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므로, 아기와 엄마 모두에게 안락감을 느끼게 할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베개(1)와, 상기 베개(1)를 감싸는 베개 주머니(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개 주머니(2)의 한쪽 넓은 면에는 팔끼움용 띠(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1)는, 상기 베개 주머니(2)의 반대쪽 넓은 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홈 베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끼움용 띠(4)는 상기 베개 주머니(2)의 넓은 면의 횡방향으로 2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베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주머니(2)에는 상기 베개(1)가 출입하는 입구(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베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주머니(2)의 입구(3)는 상기 팔끼움용 띠(4)가 있는 쪽에 배치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베개.
  6. 탄성을 가지는 호형(弧形)의 내부몸체(11)와, 상기 내부몸체(11)를 감싸는 몸체 주머니(12)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 주머니(12)에는 멜로디장치(13)가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쿠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주머니(12)에는 상기 내부몸체(11)가 출입하는 입구(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쿠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11)는 통상의 스폰지(Spong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쿠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장치(13)는 상기 몸체 주머니(12)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쿠션.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유용 베개와, 제6항 또는 제9항에따른 수유용 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용 베개 및 쿠션 세트.
KR20-2003-0010962U 2003-04-10 2003-04-10 수유용 베개 및 쿠션 세트 KR200322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962U KR200322104Y1 (ko) 2003-04-10 2003-04-10 수유용 베개 및 쿠션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962U KR200322104Y1 (ko) 2003-04-10 2003-04-10 수유용 베개 및 쿠션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104Y1 true KR200322104Y1 (ko) 2003-07-31

Family

ID=4941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962U KR200322104Y1 (ko) 2003-04-10 2003-04-10 수유용 베개 및 쿠션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1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213Y1 (ko) 2008-09-30 2011-12-08 정희엽 베개를 겸하는 팔 보호 쿠션
KR101606378B1 (ko) * 2014-10-02 2016-03-25 손서원 영유아용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213Y1 (ko) 2008-09-30 2011-12-08 정희엽 베개를 겸하는 팔 보호 쿠션
KR101606378B1 (ko) * 2014-10-02 2016-03-25 손서원 영유아용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1833A (en) Support pillow with lumbar support for use in nursing and other applications
US5109557A (en) Nursing pillow
US5664828A (en) Support device for use in simultaneous nursing of twin infants
US6189169B1 (en) Adjustable wrap for pillow used for supporting baby when nursing
US7997465B2 (en) Baby swaddler
US20060179574A1 (en) Adjustable pillow for supporting an infant
KR102377913B1 (ko) 멀티 기능 아기띠 패키지
US5707031A (en) Arm support
JP2006520861A (ja) 乳児サポートラップシステム
CA2505699A1 (en) Convert-a-pillow
KR20200048690A (ko) 3d 에어 메쉬를 이용한 멀티기능 유아용품
KR20110006436U (ko) 수유쿠션 및 다용도베개 세트
KR200322104Y1 (ko) 수유용 베개 및 쿠션 세트
US4541425A (en) Head and torso restraint
KR200369588Y1 (ko) 다용도 쿠션
JP2008023061A (ja) 座位保持具
WO2000038611A2 (ko) Multi-function cushion
JP2008067767A (ja) いびき防止具
CN219515885U (zh) 智能孕妇枕
KR200274753Y1 (ko) 개량형 아기 포대기
KR20110008959U (ko) 수유쿠션
KR200375001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임산부용 더블베개.
KR200167674Y1 (ko) 유아용 포대기
JPH08322685A (ja) 子守帯
TWM581423U (zh) Nursing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