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983A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983A
KR20210016983A KR1020190095545A KR20190095545A KR20210016983A KR 20210016983 A KR20210016983 A KR 20210016983A KR 1020190095545 A KR1020190095545 A KR 1020190095545A KR 20190095545 A KR20190095545 A KR 20190095545A KR 20210016983 A KR20210016983 A KR 20210016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lay assembly
disposed
electronic device
hous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5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6983A/ko
Priority to PCT/KR2020/010418 priority patent/WO2021025494A1/ko
Priority to US16/971,173 priority patent/US20230095925A1/en
Publication of KR20210016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패널층, 적어도 일부가 요철을 포함하는 요철 구조물층,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 및 상기 요철 구조물층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요철의 골(valley)에 내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완충층, 및 상기 완충층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완충층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ssembly}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지향하기 위하여 다양한 양상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있다. 그 가운데, 디스플레이는 각종 기능 또는 서비스에 수반되는 정보 자원의 입력 및 출력을 명시적으로 제공하는 핵심 인터페이스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상응하여,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개량을 기반으로 보다 진보된 디스플레이가 제안되고 있으며, 그 일례로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 영역을 폴딩(folding)할 수 있는 특성의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를 들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세트 구조를 구현하거나, 전자 장치에 탑재된 기능의 운용을 지원하는 기능성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 또는 일부 레이어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디지털 펜 기반의 입력을 감지하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함께 폴딩됨으로써, 잦은 폴딩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식 구조물은 해당 구조물이 목적하는 기능의 구현과 관련하여 전극 패턴 또는 격자 구조(예: 복수의 오프닝(opening)에 의한 격자 구조, 복수의 레티스(lattice)에 의한 격자 구조, 또는 복수의 슬릿(slit)에 의한 격자 구조)의 요철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요철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레이어에 대한 형상 변형에 기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식 구조물의 요철에 접촉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 레이어는 상기 요철에 의해 가압되어 적어도 일부 영역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상기 형상 변형은 상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이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상이 하부의 요철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아 전자 장치의 외부에서 상기 요철과 유사한 패턴이 시인될 수 있고, 상기 패턴 시인으로 인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품질 저하가 발생되거나, 해상도가 저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 또는 일부 레이어들 사이에 배치된 구조물의 요철에 의한 품질 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구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패널층, 적어도 일부가 요철을 포함하는 요철 구조물층,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 및 상기 요철 구조물층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요철의 골(valley)에 내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완충층, 및 상기 완충층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완충층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의 일 영역과 연결되는 제1 하우징 구조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의 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의 타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의 힌지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에 대해 폴딩(folding) 및 언폴딩(un-folding) 운동하는 제2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가장 자리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는 측면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측면 부재와 인접하는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부재를 향하여 지정된 곡률로 제1 벤딩된 윈도우층, 상기 윈도우층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로 제2 벤딩된 디스플레이 패널층,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의 상기 제2 벤딩되는 영역의 종단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요철을 포함하는 배선층,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선층에 인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배선층에 인접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요철의 골(valley)에 내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완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철 구조에 대한 흡수 또는 완화를 지원할 수 있는 특성의 레이어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 레이어로 채택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품질 또는 해상도가 개선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a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상태의 전자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상태의 전자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 방향에서 바라본 제2 상태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d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제2 상태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이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일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완충층 및 디지타이저 간의 배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메탈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2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일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완충층 및 메탈 플레이트 간의 배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3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일 영역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4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일 영역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의 멀티 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c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3 상태인 경우 멀티 바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d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4 상태인 경우 멀티 바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5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일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적용될 수 있는 일 양상의 전자 장치를 설명한다.
도 1a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상태의 전자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상태의 전자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 방향에서 바라본 제2 상태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d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제2 상태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이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예: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도 1a, 도 1b, 도 1c, 도 1d, 도 2 또는 도 3의 100a)는 하우징(도 1a 또는 도 2의 110), 한 쌍의 커버(도 1b 또는 도 2의 121 및 123), 한 쌍의 힌지 플레이트(도 2 또는 도 3의 151 및 15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도 1a 또는 도 2의 200)(이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로 명명함), 및 힌지 모듈(도 2 또는 도 3의 3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a)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a)는 상기 하우징(110) 및 한 쌍의 커버(121 및 12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또는 하우징(110) 상에(on the housing)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각종 전자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은 후술되는 힌지 구조물(예: 한 쌍의 힌지 플레이트(151 및 153), 제1 힌지 구조물(도 2 또는 도 3의 161), 제2 힌지 구조물(도 2 또는 도 3의 163), 및 제3 힌지 구조물(도 2 또는 도 3의 165))을 기반으로 서로에 대해 회동 가능한 제1 하우징 구조물(도 1a, 도 1b, 도 1c, 도 1d, 도 2 또는 도 3의 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도 1a, 도 1b, 도 1c, 도 1d, 도 2 또는 도 3의 1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은 상호 대응 또는 대칭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 구조물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일 영역이 힌지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 구조물을 축으로 서로에 대해 폴딩(folding) 또는 언폴딩(unfolding)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이 서로에 대해 폴딩되는 경우,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적어도 일부와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적어도 일부는 대면하거나, 실질적으로 접할 수 있다. 또는,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이 서로에 대해 언폴딩되는 경우,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111)과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은 평행하거나, 상기 힌지 구조물이 지원하는 회동 범위 내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하 언급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a)의 제1 상태라 함은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이 서로에 대해 언폴딩된 상태(또는, 펼쳐진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a)의 제2 상태는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이 서로에 대해 폴딩된 상태(또는, 접힌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은 제1 면(도 2의 111a)(예: 전면), 상기 제1 면(111a)의 반대 면인 제2 면(도 2의 111b)(예: 후면), 및 상기 제1 면(111a)과 제2 면(111b)의 가장 자리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측면(도 2의 111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111c)은 예컨대,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이 상기 힌지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는 영역(도 2의 111d)에서는 배제될 수 있고, 제1 면(111a) 및 제2 면(111b)과 단차를 형성하도록 소정 길이로 신장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은 제3 면(도 2의 113a)(예: 전면), 상기 제3 면(113a)의 반대 면인 제4 면(도 2의 113b), 및 상기 제3 면(113a)과 제4 면(114b)의 가장 자리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 측면(도 2의 11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113c)은 예컨대,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이 상기 힌지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는 영역(도 2의 113d)에서는 배제될 수 있고, 제3 면(113a) 및 제4 면(113b)과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측면(111c)과 동일한 길이로 신장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이 힌지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어 하우징(110)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제1 면(111a), 제3 면(113a), 제1 측면(111c), 및 제2 측면(113c)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리세스(recess)와, 상기 제2 면(111b), 제4 면(113b), 제1 측면(111c), 및 제2 측면(113c)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 구조물(113)에는 전자 장치(100a)의 운용 환경에 대한 각종 정보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상기 제2 리세스에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생체(예: 홍채, 심박 및/또는 지문) 인식 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a)의 전면 일 영역을 점유하는 제2 하우징 구조물(113)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외부(예: 전자 장치(100a)의 전방)에 노출되기 위한 제1 센서 영역(도 1a의 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외부 노출을 위해,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은 제1 면(113a) 및 제2 면(113b)을 관통하는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오프닝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센서 영역(115)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오프닝과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오프닝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한 쌍의 커버(121 및 123)는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제2 면(111b)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제1 커버(12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제4 면(113b)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제2 커버(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121) 및 제2 커버(123)는 상호 대응 또는 대칭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가장 자리는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제1 측면(111c)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제2 측면(113c)에 의해 감싸져, 제1 커버(121) 및 제2 커버(123)는 전자 장치(100a)의 후면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커버(123)에는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113)(또는, 상기 제2 리세스)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외부(예: 전자 장치(100a)의 후방)에 노출되기 위한 제2 센서 영역(도 1b, 도 1c 또는 도 1d의 117)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센서 영역(117)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외부 노출과 관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오프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커버(121) 및 제2 커버(123)는 하우징(110)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121)는 제1 하우징 구조물(1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커버(123)는 제2 하우징 구조물(11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커버(121) 및 제2 커버(123)에 의해 마감되는 상기 제2 리세스에는 전자 장치(100a)의 운용과 관계되는 각종 전자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리세스 중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제2 면(111b)과 제1 커버(121) 사이에는 제1 인쇄회로기판(도 2의 143) 및 제1 배터리(도 2의 147)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제2 면(113b)과 제2 커버(123) 사이에는 제2 인쇄회로기판(도 2의 141) 및 제2 배터리(도 2의 145)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인쇄회로기판(143) 및 제2 인쇄회로기판(141)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으로 통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제2 면(111b)과 제1 커버(121) 사이 또는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제2 면(113b)과 제2 커버(1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배터리(147) 및 제2 배터리(145)는 하나의 배터리로 통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제2 면(111b)과 제1 커버(121) 사이 또는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제2 면(113b)과 제2 커버(1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인쇄회로기판(143) 및 제2 인쇄회로기판(141)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통신 회로, 안테나, 마이크, 스피커, 카메라,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제1 면(111a) 및 제1 측면(111c)과,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제3 면(113a) 및 제2 측면(111c)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110)의 제1 리세스에는 적어도 일부가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적어도 일부가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제1 면(111a)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제3 면(113a)과 대면 또는 접하도록 상기 제1 리세스에 수용될 수 있고, 가장 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제1 측면(111c)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제2 측면(113c)에 의해 감싸져 전자 장치(100a)의 전면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크기의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물(예: 한 쌍의 힌지 플레이트(151 및 153), 제1 힌지 구조물(161), 제2 힌지 구조물(163), 및 제3 힌지 구조물(165))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어 폴딩 및 언폴딩 가능한 제1 영역(도 2의 205)(예: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길이 방향 중심축 영역), 상기 제1 영역(205)을 기준하여 일측의 제2 영역(도 2의 201), 및 타측의 제3 영역(도 2의 20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제2 영역(201)은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제1 면(111a)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영역(203)은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제3 면(113a)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제2 영역(201) 및 제3 영역(203)은 지정된 점착 부재를 기반으로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제1 면(111a)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제3 면(113a) 각각에 점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제1 영역(205)은 상기 점착 부재를 통한 점착이 배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영역(205)은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에 의해 구속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a)의 제2 상태(예: 폴딩 상태 또는 접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제1 영역(205)과,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물 간에는 소정의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모듈(300)은 힌지 하우징(도 1d, 도 2 또는 도 3의 130)과, 상기 힌지 하우징(130)에 수용되는 제1 힌지 구조물(161), 제2 힌지 구조물(163), 제3 힌지 구조물(165), 및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구조물(도 2 또는 도 3의 171, 173, 175, 및/또는 17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 하우징(130)은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 사이에 배치되어, 전자 장치(100a)의 제1 상태(예: 언폴딩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 또는 제2 상태(예: 폴딩 상태 또는 접힌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차폐되거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a)가 제1 상태인 경우, 힌지 하우징(130)은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에 의해 가려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a)가 제2 상태인 경우, 힌지 하우징(130)은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하우징(130)은 내부가 빈 원 기둥(또는, 타원 기둥)을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또는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장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반원 기둥(또는, 반타원 기둥) 형상으로, 외부 표면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절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된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 하우징(130)의 내부 공간에는 제1 힌지 구조물(161), 제2 힌지 구조물(163), 제3 힌지 구조물(165), 및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구조물(171, 173, 175, 및/또는 177)이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힌지 구조물(161)은 힌지 하우징(130)의 내부 공간 중심 영역에, 제2 힌지 구조물(163) 및 제3 힌지 구조물(165) 각각은 힌지 하우징(130)의 내부 공간 양측 종단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구조물(171, 173, 175, 및/또는 177)은 제1 힌지 구조물(161)과 제2 힌지 구조물(163)의 사이 영역 및 제1 힌지 구조물(161)과 제3 힌지 구조물(165)의 사이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힌지 구조물(161), 제2 힌지 구조물(163), 제3 힌지 구조물(165), 및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구조물(171, 173, 175, 및/또는 177)은 상기 힌지 하우징(130)의 내부 공간에 고정된 상태에서, 한 쌍의 힌지 플레이트(151 및 153)와 연동하여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이 서로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하우징 구조물(111)에 인접하는 제1 힌지 구조물(161), 제2 힌지 구조물(163), 제3 힌지 구조물(165), 및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구조물(171, 173, 175, 및/또는 177) 각각의 일 영역들은 제1 힌지 플레이트(151)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151)의 타측 가장 자리 영역은 제2 하우징 구조물(113)과 인접하는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가장 자리 영역(111d)(예: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제2 면(111b) 가장 자리 영역)과 결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하우징 구조물(113)에 인접하는 제1 힌지 구조물(161), 제2 힌지 구조물(163), 제3 힌지 구조물(165), 및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구조물(171, 173, 175, 및/또는 177) 각각의 타 영역들은 제2 힌지 플레이트(153)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 힌지 플레이트(153)의 타측 가장 자리 영역은 제1 하우징 구조물(111)과 인접하는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가장 자리 영역(113d)(예: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제4 면(113b) 가장 자리 영역)과 결합될 수 있다.
상술에 따르면, 제1 힌지 플레이트(151)를 통하여 제1 힌지 구조물(161), 제2 힌지 구조물(163), 제3 힌지 구조물(165), 및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구조물(171, 173, 175, 및/또는 177) 각각의 일 영역들과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이 연결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153)를 통하여 제1 힌지 구조물(161), 제2 힌지 구조물(163), 제3 힌지 구조물(165), 및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구조물(171, 173, 175, 및/또는 177) 각각의 타 영역들과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a)에 상태 변경을 위한 압력(예: 사용자 신체에 의한 압력)이 작용하면, 제1 힌지 플레이트(151) 및 제2 힌지 플레이트(153)가 서로에 대해 회동할 수 있고, 상기 제1 힌지 플레이트(151) 및 제2 힌지 플레이트(153)와 결합된 제1 힌지 구조물(161), 제2 힌지 구조물(163), 및 제3 힌지 구조물(165)이 힌지 운동하여,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이 서로에 대해 폴딩 또는 언폴딩 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구조물(171, 173, 175, 및/또는 177)은 기계식 장치로서, 일시적으로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서로에 대한 폴딩 또는 언폴딩 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구조물(171, 173, 175, 및/또는 177)은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서로에 대한 폴딩 또는 언폴딩 운동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a)에 작용하는 압력이 지정된 세기 이하인 경우, 상기 폴딩 또는 언폴딩 운동 동작을 일시적으로 억제시키고, 전자 장치(100a)에 작용하는 압력이 지정된 세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폴딩 또는 언폴딩 운동 동작이 지속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4a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일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완충층 및 디지타이저 간의 배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일 방향 단면은 도시된 A-A' 구간에 대한 단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앞선 도면들을 통하여 언급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 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예: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도 4a의 100a)의 제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도 4a의 200a)는 예컨대, 제1 하우징 구조물(도 4a의 111)의 제1 면(도 4a의 111a) 및 제2 하우징 구조물(도 4a의 113)의 제3 면(도 4a의 113a) 상에서(또는, 제1 하우징 구조물(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이 형성하는 제1 리세스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면(111a) 및 제3 면(113a)과 대면 또는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는 지정된 점착 부재(도 4a의 P5)(예: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 반응 점착제, 광 반응 점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면(111a) 및 제3 면(113a)에 점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는 지정된 순차에 따라 적층되는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예: 전자 장치(100a)의 전방)에 노출되는 윈도우층(도 4a의 210a)(예: 폴리머층 또는 UTG층(ultra-thin glass))과 상기 윈도우층(210a)의 제1 방향(① 방향) 하부에 배치되는 요철 구조물층(도 4a 또는 도 4b의 260a)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층(210a) 및 요철 구조물층(260a) 사이에 제1 방향(① 방향)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층(도 4a의 230a), 지지층(도 4a의 240a), 및 완충층(도 4a 또는 도 4b의 250a)(예: 쿠션층 또는 스폰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는 윈도우층(210a)과 디스플레이 패널층(230a)의 사이 및 디스플레이 패널층(230a)과 지지층(240a)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층(도 4a의 22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광층(220a)은 예컨대, 광의 전기장 방향을 일정하게 고정시키거나 규칙적으로 변화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고, 윈도우층(210a)으로 입사되는 광 중 지정된 위상 축으로 진동하는 광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거나, 입사된 광의 위상을 지연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는 요철 구조물층(260a)의 일 면(예: 제1 방향(① 방향)을 향하는 요철 구조물층(260a)의 배면)에 배치되는 금속층(도 4a의 270a)(예: 금속 분말(magnetic metal powder)을 포함하는 금속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층(270a)은 예컨대, 어두운 색상(예: 블랙)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층(230a)의 off 동작 시 기본 배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층(230a)의 off 동작 시, 상기 금속층(270a)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어두운 색상(예: 블랙)의 화면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윈도우층(210a)과 적어도 하나의 편광층(220a), 디스플레이 패널층(230a)과 지지층(240a), 지지층(240a)과 완충층(250a), 및 완충층(250a)과 요철 구조물층(260a)은 각각 지정된 점착 부재(P1, P2, P3, 및 P4)(예: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 반응 점착제, 광 반응 점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의 일면 및 타면에 점착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고, 상술한 층들 이외의 다른 층들 간에도 상기 점착 부재를 통한 결합이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의 일부 층들은 상기 점착 부재에 의한 결합 없이, 제조 공정에서 하나의 일체화된 층으로 제작 또는 사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요철 구조물층(260a)은 상기 윈도우층(210a)에 접촉 또는 인접하는 디지털 펜에 의한 입력을 전자기 유도 방식에 기반하여 감지할 수 있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펜을 인식하기 위한 기술로서 정전 용량 방식이 적용 될 수도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경우, 디스플레이에 전류를 흘려 보내고, 전도체(예: 디지털 펜)의 접촉 또는 인접에 의한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전도체를 인식할 수 있다. 디지털 펜은 예컨대, 전자기 공명 방식을 이용한 EMR(electro magnetic resonance) 방식의 디지털 펜과 능동 정전기 방식을 이용한 AES(active electrostatic solution) 디지털 펜으로 분류 될 수 있다. EMR(전자기 공명) 방식의 디지털 펜의 경우, 디스플레이 내부에 디지타이저 라는 별도의 패널이 배치되고, 디지털 펜 내부의 전류가 흐르는 코일과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디지털 펜의 위치를 전자 장치가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타이저에서 자기장을 생성하고, 디지털 펜으로 보내면 디지털 펜이 자기장을 감지하고, 디지털 펜에 전송된 에너지를 디지털 펜 내부의 회로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로 전달하여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능동 정전기 방식의 디지털 펜의 경우, 별도의 디지타이저가 없이 디지털 펜 자체에 전자기 발생 장치를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디지타이저는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전극 패턴(도 4b의 261), 제2 전극 패턴(도 4b의 263), 및 상기 제1 전극 패턴(261)과 제2 전극 패턴(263) 사이에 배치되는 유전체(도 4b의 26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극 패턴(261)은 복수의 전극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지정된 이격 간격을 형성하는 전극 배열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전극 패턴(263)은 복수의 전극이 상기 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지정된 이격 간격을 형성하는 전극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면, 제1 전극 패턴(261)이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 패턴은 상기 복수의 전극 간의 이격 간격에 따른 유전층(265)과의 단차에 의해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요철 구조물층(260a)의 상부(예: 제1 방향(①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부)에 배치되는 완충층(250a)은 상기 요철 구조물층(260a)에 형성된 요철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 또는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b에 도시된 B-B' 구간에 대한 완충층(250a) 및 요철 구조물층(260a)의 적층 단면을 살펴보면, 완충층(250a)의 배면(예: 요철 구조물층(260a)과 대면 또는 접하는 일 면)은 상기 요철 구조물층(260a)이 포함하는 요철의 골(도 4b의 267)(valley)(또는, 제1 전극 패턴(261)이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 간의 이격 간격)에 적어도 일부가 내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도 4b의 25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251)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요철의 골(267)에 내입됨으로서, 요철의 마루(도 4b의 269)(ridge)가 완충층(250a)을 가압하여 상기 완충층(250a)의 형상이 변형되는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완충층(250a)의 형상 변형이 상부 층들로 전이되어 외부에서 상기 요철과 유사한 패턴이 시인되는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완충층(250a)은 상기 요철의 골(267)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251)의 유연한 내입과 관련하여, 지정된 밀도 특성을 갖는 소재를 적어도 일부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층(250a)의 적어도 일부는 약 0.85 g/cm3 이하의 밀도를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소재 또는 약 0.7 g/cm3 이하의 밀도를 갖는 아크릴(acryl) 소재를 포함하거나,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소재 및 아크릴 소재의 혼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완충층(250a)의 상부(예: 제1 방향(①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층(240a)은 상기 완충층(250a)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층(240a)은 완충층(250a)의 적어도 일부(예: 지지층(240a)과 대면 또는 접하는 일 면)가 외부 압력(예: 전자 장치(100a)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 또는 요철의 마루(269)에 의한 압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완충층(250a)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층(240a)의 적어도 일부는 완충층(250a)에 상대적으로 큰 강성 또는 높은 밀도를 갖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지지층(240a)은 UTG(ultra-thin glass)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층(240a)은 약 50 GPa 내지 103 GPa 범위 내의 탄성 계수 특성을 갖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5a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메탈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2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일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c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완충층 및 메탈 플레이트 간의 배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일 방향 단면은 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된 A-A' 구간에 대한 단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앞선 도면들을 통하여 언급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 또는 도 4a의 제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 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2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또는, 층)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고, 중복되는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예: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도 5a 또는 도 5b의 100a)는 제1 하우징 구조물(도 5a 또는 도 5b의 11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도 5a 또는 도 5b의 113) 상에 점착 배치되는 메탈 플레이트(도 5a 또는 도 5b의 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탈 플레이트(180)는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제1 면(도 5a 또는 도 5b의 111a)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제3 면(도 5a 또는 도 5b의 113a) 상에, 상기 제1 면(111a) 및 제3 면(113a)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 또는 접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탈 플레이트(180)는 지정된 점착 부재(도 5b의 P5)를 기반으로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제1 면(111a)에 점착되는 제1 플레이트(도 5a 또는 도 5b의 181),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제3 면(113a)에 점착되는 제2 플레이트(도 5a 또는 도 5b의 183), 및 상기 제1 플레이트(181)와 제2 플레이트(183)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영역(도 5a, 도 5b 또는 도 5c의 18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메탈 플레이트(180)의 상부(예: 제1 방향(①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부)에는 제2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도 5b의 200b)가 점착 부재(도 5b의 P4)를 통해 상기 제1 플레이트(181), 플렉시블 영역(185), 및 제2 플레이트(183)와 점착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플렉시블 영역(185)은 제2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와 함께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메탈 플레이트(180)는 상기 플렉시블 영역(185)을 기반으로 제2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와 함께 폴딩 또는 언폴딩 운동함으로써, 제2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의 폴딩 또는 언폴딩 운동 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의 길이 방향 중심축 영역(예: 도 2의 205))에 작용하는 스트레스를 저감시키고, 상기 중심축 영역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는, 메탈 플레이트(180)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폐하여 제2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의 기능이 오동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메탈 플레이트(180)의 제1 플레이트(181) 및 제2 플레이트(183)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전자 장치(100a)의 경량화를 지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4 오프닝(도 5a 또는 도 5b의 187 및/또는 189)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탈 플레이트(180)의 플렉시블 영역(185)은 상호 이격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는 복수의 제5 오프닝(도 5a 또는 도 5c의 185a)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5 오프닝(185a)은 플렉시블 영역(185)을 프레스 가공 또는 레이저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5 오프닝(185a)은 장공의 타원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플렉시블 영역(185)의 길이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폭 방향을 따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영역(185)에는 복수의 제5 오프닝(185a)에 의한 격자 구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플렉시블 영역(185)은 복수의 제5 오프닝(185a)에 의한 격자 구조를 통하여 발현되는 탄성력을 기반으로 적어도 일부가 유연하게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플렉시블 영역(185)은 상기 복수의 제5 오프닝(185a) 이외에, 복수의 레티스(lattice) 및 상기 복수의 레티스에 의한 격자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플렉시블 영역(185)은 상기 복수의 제5 오프닝(185a) 또는 복수의 레티스 이외에, 복수의 슬릿(slit) 및 상기 복수의 슬릿에 의한 격자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5 오프닝(185a)(또는 복수의 레티스, 또는 복수의 슬릿)에 의한 격자 구조(또는, 메탈 플레이트(180)의 플렉시블 영역(185))는 상기 메탈 플레이트(180)의 제1 방향(① 방향) 하부에 배치된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제1 면(111a)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제3 면(113a) 사이의 공간과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1 하우징 구조물(111)의 제1 면(111a) 및 제2 하우징 구조물(113)의 제3 면(113a) 사이의 공간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5 오프닝(185a)에 의한 격자 구조(또는 복수의 레티스에 의한 격자 구조, 또는 복수의 슬릿에 의한 격자 구조)는 플렉시블 영역(185) 상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탈 플레이트(180) 상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는 윈도우층(도 5b의 210b)(예: 폴리머층 또는 UTG층(ultra-thin glass))과 상기 윈도우층(210b)의 제1 방향(① 방향) 하부에 배치되는 완충층(도 5b 또는 도 5c의 250b)(예: 쿠션층 또는 스폰지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윈도우층(210b)과 완충층(250b)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층(도 5b의 230b) 및 지지층(도 5b의 240b)(예: 약 50 GPa 내지 103 GPa 범위 내의 탄성 계수 특성을 갖는 소재)이 제1 방향(① 방향)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더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윈도우층(210b)과 디스플레이 패널층(230b)의 사이 및 디스플레이 패널층(230b)과 지지층(240b)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층(도 5b의 220b)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탈 플레이트(180)는 완충층(250d)의 제1 방향(① 방향) 하부에 배치되는 요철 구조물층으로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의 일부 구성요소(또는, 일부 층)로 포함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C-C' 구간에 대한 완충층(250b) 및 메탈 플레이트(180)의 플렉시블 영역(185)에 대한 적층 단면을 살펴보면, 완충층(250b)의 배면(예: 메탈 플레이트(180)와 대면 또는 접하는 일 면)은 플렉시블 영역(185)이 포함하는 요철(예: 복수의 오프닝(185a)에 의한 격자 구조, 복수의 레티스에 의한 격자 구조, 또는 복수의 슬릿에 의한 격자 구조)의 골(valley)(예: 복수의 제5 오프닝(185a), 복수의 레티스 사이의 이격 간격, 또는 복수의 슬릿)에 적어도 일부가 내입되는 복수의 돌기(도 5c의 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돌기(252)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요철의 골에 내입됨으로서, 완충층(250b)의 형상 변형 및 상기 완충층(250b)의 형상 변형으로부터 기인되는 상기 요철과 유사한 패턴이 전자 장치(100a)의 외부로부터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완충층(250b)은 상기 요철의 골에 대한 복수의 돌기(252)의 유연한 내입을 위해, 적어도 일부가 약 0.85 g/cm3 또는 약 0.7 g/cm3 이하의 밀도를 갖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층(250b)은 전 영역이 상기한 밀도 특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완충층(250b)은 메탈 플레이트(180)의 요철(또는 격자 구조, 또는 플렉시블 영역(185))과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한 밀도 특성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고, 이외의 다른 영역은 다른 밀도 특성(예: 약 0.85 g/cm3 또는 약 0.7 g/cm3 초과의 밀도)을 갖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적용될 수 있는 다른 양상의 전자 장치를 설명한다.
도 6a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예: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도 6a 또는 도 6b의 100b)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도 6a 또는 도 6b의 200), 제1 지지 부재(도 6b의 411)를 포함하는 측면 부재(도 6b의 410), 인쇄회로기판(도 6b의 420), 배터리(도 6b의 430), 제2 지지 부재(도 6b의 440), 안테나(도 6b의 450), 및 커버(도 6b의 4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b)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부재(411)는 측면 부재(410)와 연결(또는, 결합)될 수 있거나, 상기 측면 부재(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측면 부재(410)는 제1 지지 부재(411)와 단차를 형성하도록 가장 자리 영역이 신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부재(411)와 측면 부재(410)의 연결(또는, 결합)은 전자 장치(100b)의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제1 지지 부재(411)와 측면 부재(410)가 연결(또는,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460)가 측면 부재(410)의 적어도 일 영역과 결합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b)의 하우징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부재(411)와 측면 부재(410)의 연결(또는,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캐비티(예: 제1 지지 부재(411)의 일 면과 신장된 측면 부재(410)의 가장 자리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캐비티)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411), 측면 부재(410), 및 커버(46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캐비티(예: 제1 지지 부재(411)의 타 면, 신장된 측면 부재(410)의 가장 자리 영역 및 커버(46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캐비티)에는 인쇄회로기판(420), 배터리(430), 제2 지지 부재(440), 및 안테나(4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부재(440)는 예컨대, 인쇄회로기판(420), 배터리(430), 및 안테나(45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거나,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윈도우층(도 6b의 210) 및 디스플레이 패널(도 6b의 23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기능적 또는 구조적 개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전자 장치(100b)의 전면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가장 자리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측면 부재(410)를 향해 심리스하게 벤딩(bending)되어 지정된 곡률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3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일 영역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4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일 영역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또는 제4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앞선 도면들을 통하여 언급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 도 4a의 제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 또는 도 5b의 제2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 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3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또는 제4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또는, 층)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고, 중복되는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예: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b)의 제3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c)는 제1 지지 부재(411) 및 측면 부재(410)가 연결(또는 결합, 또는 일체화)된 상기 전자 장치(100b)의 하우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c)는 측면 부재(410)와 인접하는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부재(410)를 향하여(또는, 제1 방향(① 방향)을 향하여) 지정된 곡률로 벤딩된 윈도우층(210c)(예: 폴리머층 또는 UTG층(ultra-thin glass))과, 상기 윈도우층(210c)의 제1 방향(① 방향) 하부에 윈도우층(210c)의 벤딩 곡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곡률로 벤딩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층(230c), 지지층(240c)(예: 약 50 GPa 내지 103 GPa 범위 내의 탄성 계수 특성을 갖는 소재), 완충층(250c)(예: 쿠션층 또는 스폰지층), 및 요철 구조물층(260c)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3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c)는 윈도우층(210c)과 디스플레이 패널층(230c)의 사이 및 디스플레이 패널층(230c)과 지지층(240c)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층(22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3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c)는 상기 요철 구조물층(260c) 및 제1 지지 부재(411) 사이에 배치되어, 제3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c)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에 방출시키거나, 다른 구성요소에 전도시키는 방열층(28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층(280c)은 별도의 벤딩 없이 플랫(flat)한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열층(280c)의 적어도 일부는 방열 또는 열 전도 효율의 향상과 관련한 단면적 증가를 위해 다른 층들과 유사한 곡률로 벤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c)는 디스플레이 패널층(230c)과 지지층(240c) 사이에 배치되는 차광층(예: embo 패턴을 포함하는 블랙층,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광층은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층(230c)으로부터 방출된 광 또는 전자 장치(100b)의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적어도 일부가 불투명한 소재(예: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요철 구조물층(260c)은 디지타이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호 지정된 이격 간격을 갖는 복수의 전극(예: 도 4b의 제1 전극 패턴(261))과 유전층(예: 도 4b의 유전층(265)) 간의 단차에 의한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요철 구조물층(260c)의 상부(예: 제1 방향(①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부)에 배치되는 완충층(250c)은 요철 구조물층(260c)이 포함하는 요철의 골(valley)(예: 도 4b의 267, 또는 복수의 전극 간의 이격 간격)에 적어도 일부가 내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예: 도 4b의 251)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층(250c)은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기반으로 상기 요철에 의한 완충층(250c)의 형상 변형을 억제시킬 수 있고, 상기 요철과 유사한 패턴이 전자 장치(100b)의 외부에서 시인되는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예: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b)의 제4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d)는 제1 지지 부재(411) 및 측면 부재(410)가 연결(또는 결합, 또는 일체화)된 전자 장치(100b)의 하우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4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d)는 측면 부재(410)와 인접하는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부재(410)를 향하여(또는, 제1 방향(① 방향)을 향하여) 지정된 곡률로 벤딩된 윈도우층(210d)(예: 폴리머층 또는 UTG층(ultra-thin glass))과, 상기 윈도우층(210d)의 제1 방향(① 방향) 하부에 윈도우층(210d)의 벤딩 곡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곡률로 벤딩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층(230d), 지지층(240d)(예: 약 50 GPa 내지 103 GPa 범위 내의 탄성 계수 특성을 갖는 소재), 및 완충층(250d)(예: 쿠션층 또는 스폰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윈도우층(210d)과 디스플레이 패널층(230d)의 사이 및 디스플레이 패널층(230d)과 지지층(240d)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층(220d)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완충층(250d) 및 제1 지지 부재(411) 사이에는 플랫한 형상 또는 벤딩된 형상의 방열층(280d)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층(230d)과 지지층(240c)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230d)으로부터 방출된 광 또는 전자 장치(100b)의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차단하는 차광층(예: embo 패턴을 포함하는 블랙층, 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광층(220d) 및 지지층(240d)의 사이 중 벤딩된 디스플레이 패널층(230d)의 종단과 인접하는 영역에는 배선층(23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선층(231)은 예컨대, 인쇄회로기판 및 제4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d)의 구동과 관련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라인은 인쇄회로기판과 단차를 형성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 상에서 상기 단차에 따른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b)의 후면(예: 도 6b의 커버(46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배선층(231)은 요철의 마루(ridge)(예: 적어도 하나의 신호 라인)와 인접한 층 간의 접촉으로 인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라인이 손상(예: 크랙(crack) 및/또는 단선)될 수 있고, 이는 제4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d)의 기능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선층(231)과 접하도록 적층되는 완충층(250d)은 상기 전자 장치(100b)의 후면에서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흡수 또는 완화시켜 배선층(231)으로의 충격 전달을 억제시킬 수 있다.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양상의 전자 장치를 설명한다.
도 9a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구조물의 멀티 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c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3 상태인 경우 멀티 바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d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4 상태인 경우 멀티 바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도 9b, 도 9c, 및 도9d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예: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도 9a, 도 9c 또는 도 9d의 100c)는 제1 하우징 구조물(도 9a, 도 9b, 도 9c 또는 도 9d의 520), 제2 하우징 구조물(도 9a, 도 9b, 도 9c 또는 도 9d의 510), 힌지 모듈(도 9a, 도 9b, 도 9c 또는 도 9d의 530),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도 9a 또는 도 9c의 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a의 상태 501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 구조물(52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10)은 힌지 모듈(530)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힌지 모듈(530)은 제1 하우징 구조물(520)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10) 사이에 배치되어, 일 영역이 제1 하우징 구조물(520)의 일측 가장 자리와 결합되고, 타 영역이 제2 하우징 구조물(510)의 일측 가장 자리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하우징 구조물(520)이 포함하는 제1 상단 커버(도 9a의 521)와 제2 하우징 구조물(510)이 포함하는 제2 상단 커버(도 9a의 511)는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도 9a의 상태 503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 구조물(520)의 제1 상단 커버(521) 및 제2 하우징 구조물(530)의 제2 상단 커버(511)가 힌지 모듈(530)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상단 커버(521)의 전면, 힌지 모듈(530)의 전면, 및 제2 상단 커버(511)의 전면 상에, 상기 제1 상단 커버(521)의 전면, 힌지 모듈(530)의 전면, 및 제2 상단 커버(511)의 전면과 대면 또는 접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전자 장치(100c)가 언폴딩 상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100c)의 전면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제1 상단 커버(521)에 배치되는 제1 표시 영역, 제2 상단 커버(511)에 배치되는 제2 표시 영역, 및 힌지 모듈(530)에 배치되는 제3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 제2 표시 영역, 및 제3 표시 영역은 물리적 구분이 없는 하나의 표시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는 전자 장치(100c)가 파지 또는 거치되는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표시 영역이 전자 장치(100c)의 전면 화면이 되거나, 제2 표시 영역이 전자 장치(100c)의 전면 화면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c)가 제3 상태(예: 폴딩 상태 또는 접힌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3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자 장치(100c)의 측면에서 관측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c)가 제4 상태(예: 언폴딩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표시 영역, 제2 표시 영역, 및 제3 표시 영역은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a의 상태 505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 구조물(520)이 포함하는 제1 하단 커버(523)가 제1 상단 커버(521)의 후면 및 힌지 모듈(130)의 일부에 결합되고, 제2 하우징 구조물(510)이 포함하는 제2 하단 커버(513)가 제2 상단 커버(511)의 후면 및 힌지 모듈(130)의 다른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단 커버(523) 및 제2 하단 커버(513)는 전자 장치(100c)가 언폴딩 상태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100c)의 후면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모듈(530)은 힌지 축(도 9b 또는 도 9c의 534), 슬라이딩부(도 9b의 535), 및 멀티바(도 9b, 도 9c 또는 도 9d의 5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534)은 제1 하우징 구조물(520)과 슬라이딩부(535)를 힌지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520)을 기준하여 슬라이딩부(535)가 회동하도록, 제1 하우징 구조물(520) 및 슬라이딩부(535)의 힌지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535)의 일 영역은 제2 하우징 구조물(5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0c)가 폴딩 운동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535)의 일 영역은 제2 하우징 구조물(510)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c)가 언폴딩 운동하는 경우에는, 제2 하우징 구조물(510)의 내부에 인입되는 슬라이딩부(535)의 일 영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535)의 일 영역은 제2 하우징 구조물(510)의 내부로부터 소정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멀티바(533)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배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바(533)는 힌지 모듈(530)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제3 표시 영역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멀티바(533)는 외력에 의해 플릿한 형상으로 연속되어 나열되거나, 또는 지정된 범위 내의 각도로 만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멀티바(533)는 복수의 관절이 연속되어 연결된 형태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제3 표시 영역이 배치되는 안착부(도 9b, 도 9c 또는 도 9d의 537) 및 상기 안착부(537)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측면을 보호하고, 전자 장치(100c)의 상태 변경 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단차부(도 9a, 도 9b 또는 도 9c의 53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c)가 제3 상태(예: 폴딩 상태 또는 접힌 상태)인 경우, 멀티바(533)를 구성하는 복수의 관절은 반원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도 9c 참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관절 각각의 안착부(537)는 인접한 관절의 안착부(537)와 밀접하게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관절 각각의 단차부(536)는 인접한 관절의 단차부(536)와 이격되어 소정 폭의 제1 슬릿(도 9c의 536c)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c)가 제4 상태(예: 언폴딩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인 경우, 멀티바(533)를 구성하는 복수의 관절은 플릿한 형상(도 9d 참조)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관절 각각의 안착부(537)는 인접된 관절의 안착부(537)와 이격되어 소정 폭의 제2 슬릿(도 9d의 537c)을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관절 각각의 단차부(536)는 인접된 관절의 단차부(536)와 밀접하게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c)가 언폴딩 또는 펼쳐진 제4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가 배치되는 멀티바(533)의 안착부(537)에는 복수의 제2 슬릿(537c)에 의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5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일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상기 제5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일 방향 단면은 도 9a에 도시된 D-D' 구간에 대한 단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앞선 도면들을 통하여 언급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예: 도 2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 도 4a의 제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a), 도 5b의 제2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b), 도 7의 제3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c), 또는 도 8의 제4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d))와 유사하거나, 다른 실시 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5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또는, 층)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고, 중복되는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예: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9a의 전자 장치(100c))의 제5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e)는 제1 하우징 구조물(예: 도 9a의 제1 하우징 구조물(520))의 제1 상단 커버(예: 도 9a의 제1 상단 커버(521))의 전면, 힌지 모듈(예: 도 9a의 힌지 모듈(530))의 전면, 및 제2 하우징 구조물(예: 도 9a의 제2 하우징 구조물(510))의 제2 상단 커버(에: 도 9a의 제2 상단 커버(511))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e)는 상기 제1 상단 커버(521)의 전면, 힌지 모듈(530)의 전면, 및 제2 상단 커버(511)의 전면과 대면 또는 접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모듈(530)이 포함하는 멀티바(예: 도 9b의 멀티바(533))의 안착부(537)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5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e)는 윈도우층(210e)(예: 폴리머층 또는 UTG층(ultra-thin glass))과, 상기 윈도우층(210e)의 제1 방향(① 방향) 하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층(230e), 지지층(240e)(예: 약 50 GPa 내지 103 GPa 범위 내의 탄성 계수 특성을 갖는 소재), 및 완충층(250e)(예: 쿠션층 또는 스폰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윈도우층(210e)과 디스플레이 패널층(230e)의 사이 및 디스플레이 패널층(230e)과 지지층(240e)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층(220e)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완충층(250e)은 제1 방향(① 방향) 하부에 배치된 상기 안착부(537)의 요철(예: 복수의 제2 슬릿(537c)에 의한 요철)을 흡수 또는 완화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25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253)는, 전자 장치(100c)의 제4 상태(예: 언폴딩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요철의 골(예: 복수의 제2 슬릿(537c))에 내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c)가 제3 상태(예: 폴딩 상태 또는 접힌 상태)로 운동하는 경우, 상기 요철의 골에 내입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253)는 적어도 일부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요철의 골에 내입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253)는 제5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e)의 폴딩 운동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인장될 수 있고, 상기 인장에 의해 제5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e)가 언폴딩 상태일 경우에 비해 완충층(250e)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이 완만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e)가 폴딩 상태인 경우(또는, 전자 장치(100c)가 제3 상태인 경우), 완충층(250e)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253)는 상기 형상의 변형으로 인하여 요철의 골로부터 탈거되거나, 제5 디스플레이 어셈블리(200e)가 언폴딩 상태인 경우(또는, 전자 장치(100c)가 제4 상태인 경우)에 비하여 작은 체적으로 요철의 골에 내입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패널층, 적어도 일부가 요철을 포함하는 요철 구조물층,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 및 상기 요철 구조물층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요철의 골(valley)에 내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완충층, 및 상기 완충층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완충층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 구조물층은, 디지털 펜에 의한 입력을 감지하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지타이저는, 유전층 및 상기 유전층에 상호 지정된 이격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어 상기 유전층과 단차를 형성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은, 상기 복수의 전극 및 상기 유전층 간의 상기 단차에 기반한 복수의 전극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의 골은, 상기 복수의 전극 사이의 상기 이격 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 구조물층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강성을 보강하는 메탈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탈 플레이트는, 일 영역에 상호 이격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은, 상기 복수의 오프닝에 기반한 상기 메탈 플레이트의 격자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의 골은, 상기 복수의 오프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층은, 적어도 일부가 지정된 크기 이하의 밀도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층은, 제1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층은, 상기 제1 강도보다 높은 제2 강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층은, 적어도 일부에 UTG(ultra-thin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층은, 적어도 일부가 50 GPa 내지 103 GPa 범위 내의 탄성 계수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요철 구조물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금속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층은, 적어도 일부가 MMP(magnetic metal powd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의 상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과 상기 지지층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의 일 영역과 연결되는 제1 하우징 구조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의 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의 타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의 힌지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에 대해 폴딩(folding) 및 언폴딩(un-folding) 운동하는 제2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되는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패널층, 적어도 일부가 요철을 포함하는 요철 구조물층,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 및 상기 요철 구조물층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요철의 골(valley)에 내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완충층, 및 상기 완충층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완충층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 구조물층은, 디지털 펜에 의한 입력을 감지하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지타이저는, 유전층 및 상기 유전층에 상호 지정된 이격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어 상기 유전층과 단차를 형성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은, 상기 복수의 전극 및 상기 유전층 간의 상기 단차에 기반한 복수의 전극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의 골은, 상기 복수의 전극 사이의 상기 이격 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메탈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탈 플레이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에 대응하는 일 영역에 상호 이격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 구조물층은, 상기 메탈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은, 상기 복수의 오프닝에 기반한 상기 메탈 플레이트의 격자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의 골은, 상기 복수의 오프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층은, 제1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층은, 상기 제1 강도보다 높은 제2 강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의 상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과 상기 지지층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가장 자리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는 측면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측면 부재와 인접하는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부재를 향하여 지정된 곡률로 제1 벤딩된 윈도우층, 상기 윈도우층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로 제2 벤딩된 디스플레이 패널층,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의 상기 제2 벤딩되는 영역의 종단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요철을 포함하는 배선층,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선층에 인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배선층에 인접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요철의 골(valley)에 내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완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완충층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완충층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0)

  1.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층;
    적어도 일부가 요철을 포함하는 요철 구조물층;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 및 상기 요철 구조물층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요철의 골(valley)에 내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완충층; 및
    상기 완충층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완충층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층;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물층은, 디지털 펜에 의한 입력을 감지하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타이저는, 유전층 및 상기 유전층에 상호 지정된 이격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어 상기 유전층과 단차를 형성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복수의 전극 및 상기 유전층 간의 상기 단차에 기반한 복수의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요철의 골은, 상기 복수의 전극 사이의 상기 이격 간격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물층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강성을 보강하는 메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탈 플레이트는, 일 영역에 상호 이격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복수의 오프닝에 기반한 상기 메탈 플레이트의 격자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요철의 골은, 상기 복수의 오프닝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은, 적어도 일부가 지정된 크기 이하의 밀도 특성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은, 제1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층은, 상기 제1 강도보다 높은 제2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적어도 일부에 UTG(ultra-thin glass)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적어도 일부가 50 GPa 내지 103 GPa 범위 내의 탄성 계수 특성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물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금속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적어도 일부가 MMP(magnetic metal powder)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의 상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과 상기 지지층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12.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의 일 영역과 연결되는 제1 하우징 구조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의 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의 타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의 힌지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에 대해 폴딩(folding) 및 언폴딩(un-folding) 운동하는 제2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되는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패널층;
    적어도 일부가 요철을 포함하는 요철 구조물층;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 및 상기 요철 구조물층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요철의 골(valley)에 내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완충층; 및
    상기 완충층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완충층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물층은, 디지털 펜에 의한 입력을 감지하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타이저는, 유전층 및 상기 유전층에 상호 지정된 이격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어 상기 유전층과 단차를 형성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복수의 전극 및 상기 유전층 간의 상기 단차에 기반한 복수의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요철의 골은, 상기 복수의 전극 사이의 상기 이격 간격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메탈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탈 플레이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물에 대응하는 일 영역에 상호 이격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물층은, 상기 메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요철은, 상기 복수의 오프닝에 기반한 상기 메탈 플레이트의 격자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요철의 골은, 상기 복수의 오프닝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은, 제1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층은, 상기 제1 강도보다 높은 제2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 전자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의 상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과 상기 지지층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전자 장치에 있어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가장 자리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는 측면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측면 부재와 인접하는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부재를 향하여 지정된 곡률로 제1 벤딩된 윈도우층;
    상기 윈도우층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로 제2 벤딩된 디스플레이 패널층;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의 상기 제2 벤딩되는 영역의 종단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요철을 포함하는 배선층;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선층에 인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층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배선층에 인접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요철의 골(valley)에 내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완충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완충층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완충층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90095545A 2019-08-06 2019-08-06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6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545A KR20210016983A (ko) 2019-08-06 2019-08-06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20/010418 WO2021025494A1 (ko) 2019-08-06 2020-08-06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6/971,173 US20230095925A1 (en) 2019-08-06 2020-08-06 Flexible displa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545A KR20210016983A (ko) 2019-08-06 2019-08-06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983A true KR20210016983A (ko) 2021-02-17

Family

ID=7450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545A KR20210016983A (ko) 2019-08-06 2019-08-06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95925A1 (ko)
KR (1) KR20210016983A (ko)
WO (1) WO2021025494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6656A1 (ko) * 2021-03-05 2022-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유전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86637A1 (ko) * 2021-03-05 2022-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접힘 가능한 플렉서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65314A1 (ko) * 2021-06-14 2022-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WO2022265287A1 (ko) * 2021-06-14 2022-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WO2022269803A1 (ja) * 2021-06-23 2022-12-29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23008722A1 (ko) * 2021-07-30 2023-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18098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유전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91522A1 (ko) * 2022-03-30 2023-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699A (ko) * 2020-04-03 2021-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17473A (ko) * 2021-02-17 202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펜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8073B2 (ja) * 2013-03-18 2018-03-07 ソニー株式会社 センサ装置、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090713B1 (ko) * 2013-06-25 2020-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539196B1 (ko) * 2016-08-18 2023-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80079016A (ko) * 2016-12-30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392468B1 (ko) * 2017-06-30 2022-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6656A1 (ko) * 2021-03-05 2022-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유전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86637A1 (ko) * 2021-03-05 2022-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접힘 가능한 플렉서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65314A1 (ko) * 2021-06-14 2022-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WO2022265287A1 (ko) * 2021-06-14 2022-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11698704B2 (en) 2021-06-14 2023-07-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11860691B2 (en) 2021-06-14 2024-01-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2269803A1 (ja) * 2021-06-23 2022-12-29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23008722A1 (ko) * 2021-07-30 2023-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18098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유전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91522A1 (ko) * 2022-03-30 2023-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5494A1 (ko) 2021-02-11
US20230095925A1 (en)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6983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0099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KR20230028335A (ko) 디스플레이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EP3913459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ual display
EP4141613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US2022018317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20220015916A (ko)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20078197A (ko) 정전기를 그라운드에 연결시키는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2930A (ko)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439287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構造を含む電子装置
KR20230087430A (ko)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2007896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4267618B2 (ja) 電子機器
EP4361778A1 (en) Digitiz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102604357B1 (ko)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336307A1 (en) Hing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JP7365490B2 (ja) シーリング部材を含む電子装置
KR102652785B1 (ko)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290331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EP4239458A1 (en) Digitizer panel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gitizer panel
EP4346193A1 (en)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module
EP4261653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breakage prevention structure
KR20230170517A (ko)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138534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electrostatic induction structure
KR2024000822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