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785B1 -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785B1
KR102652785B1 KR1020210103956A KR20210103956A KR102652785B1 KR 102652785 B1 KR102652785 B1 KR 102652785B1 KR 1020210103956 A KR1020210103956 A KR 1020210103956A KR 20210103956 A KR20210103956 A KR 20210103956A KR 102652785 B1 KR102652785 B1 KR 102652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inge
rotation
plat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1934A (ko
Inventor
박대형
김재희
김종윤
이민성
정의현
정익수
한용화
현경훈
황승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3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785B1/ko
Priority to PCT/KR2022/010120 priority patent/WO2023013910A1/ko
Priority to CN202280054929.5A priority patent/CN117882026A/zh
Priority to EP22853289.1A priority patent/EP4318182A1/en
Priority to US17/817,847 priority patent/US20230044990A1/en
Publication of KR2023002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폴딩축에 대하여 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은, 로테이트 브라켓과, 상기 폴딩축에 대하여, 상기 로테이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된 제1로테이트와, 상기 폴딩축에 대하여, 상기 로테이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 연결된 제2로테이트와, 상기 제1로테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폴딩축의 일측에서, 상기 폴딩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샤프트의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암 및 상기 제2로테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폴딩축의 타측에서, 상기 폴딩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샤프트의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2암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과, 상기 제1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및 상기 힌지 모듈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아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암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된 제1플레이트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아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암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 결합된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암과 상기 제2암은, 상기 전자 장치가 펼침 상태일 때,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SUPPORTING STRUCTURE}
본 개시(disclosure)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각 제조사마다 기능적 격차가 현저히 줄어듦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점차 슬림화되어가고 있으며, 전자 장치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디자인적 측면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그 기능적 요소를 차별화시키기 위하여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획일적인 장방형 형상에서 벗어나, 점차 다양한 형상으로 변모되어 가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휴대가 편리하면서, 사용될 경우에는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는 변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일환으로 폴더블(foldable) 타입의 전자 장치가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개선된 지지 구조가 요구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1하우징, 힌지 장치를 통해 제1하우징과 폴딩 가능하게 연결된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힌지 장치에 포함된 힌지 모듈과 구조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접힘 상태 및/또는 펼침 상태 동안, 힌지 모듈의 지지를 받으면서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폴더블 전자 장치는 힌지 장치를 통해 제1하우징이 제2하우징에 대하여 0도 ~ 360도의 범위를 가지고 회전됨으로서 in-folding 방식 및/또는 out folding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는 180로 개방된 상태에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아래에서, 힌지 장치를 커버하고, 제1하우징과 연결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평편한 면을 제공하기 위한 한 쌍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플레이트들은 제1하우징과 연결되고, 힌지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 제1플레이트 및 제2하우징과 연결되고, 힌지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 제2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전자 장치가 동작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굴곡성 제공을 위해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한 쌍의 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된 디지타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타이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근접하거나 접촉된 전자 펜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펼침 상태일 때,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힌지 구조물들(예: 캠들, 스프링들 또는 스토퍼들)을 포함하는 힌지 모듈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힌지 모듈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지지 부분들이 부족하고, 이로 인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불안전하게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제공하고, 조작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성 저하는 디지타이저의 검출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된 힌지 모듈의 지지 영역을 증가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안정적인 지지를 유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된 힌지 모듈의 지지 영역을 증가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또는 디지타이저의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폴딩축에 대하여 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은, 로테이트 브라켓과, 상기 폴딩축에 대하여, 상기 로테이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된 제1로테이트와, 상기 폴딩축에 대하여, 상기 로테이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 연결된 제2로테이트와, 상기 제1로테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폴딩축의 일측에서, 상기 폴딩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샤프트의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암 및 상기 제2로테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폴딩축의 타측에서, 상기 폴딩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샤프트의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2암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과, 상기 제1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및 상기 힌지 모듈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아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암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된 제1플레이트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아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암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 결합된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암과 상기 제2암은, 상기 전자 장치가 펼침 상태일 때,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모듈은, 로테이트 브라켓과, 폴딩축을 기준으로, 상기 로테이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로테이트와, 상기 제1로테이트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폴딩축을 기준으로, 상기 로테이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로테이트와, 상기 제1로테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폴딩축의 일측에서, 상기 폴딩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샤프트의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캠 구조를 포함하는 제1암과, 상기 제2로테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폴딩축의 타측에서, 상기 폴딩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샤프트의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캠 구조를 포함하는 제2암 및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캠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캠 구조와 캠 결합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암, 상기 제2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캠 구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캠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은 그 상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평면형 지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펼침 상태에서,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된 힌지 모듈의 적어도 일부 구성 요소들의 지지 영역을 증가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또는 디지타이저의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unfolded stag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folded stat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라인 4b-4b를 따라 바라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6a의 6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를 커버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가 배치된 전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7a의 7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힌지 모듈의 지지 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암(arm)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에서 암들의 배치 구성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9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9b의 9c 영역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에서, 플레이트들과 암들의 두께 관계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에서, 힌지 하우징과,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중첩량에 따른 암들의 두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힌지 모듈의 지지 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샤프트 브라켓과, 제1지지 구조체 및 제2지지 구조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펼침 상태(unfolded stag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a의 전자 장치(200)의 접힘 상태(folded stat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는, 서로에 대하여 접힘 가능하도록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300))를 통해 폴딩축(A)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210, 220)(예: 폴더블 하우징), 한 쌍의 하우징(210, 220)을 통해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230)(예: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제2하우징(220)을 통해 배치된 제2디스플레이(400)(예: 서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300))의 적어도 일부(예: 도 3의 힌지 모듈(320, 320-1))는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배치되고, 펼침 상태에서, 접힘 가능한 부분을 커버하는 힌지 하우징(310)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제1디스플레이(230)가 배치된 면은 전자 장치(200)의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전면의 반대면은 전자 장치(200)의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은 전자 장치(200)의 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하우징(210, 220)은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300))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하우징(210, 220)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형태 및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은 폴딩축(A)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폴딩축(A)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은 폴딩축(A)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접힐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은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unfolded stage)인지, 접힘 상태(folded state)인지, 또는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210)은 전자 장치(200)의 펼침 상태에서,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300))에 연결되며, 전자 장치(2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면(211), 제1면(21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면(212), 및/또는 제1면(211)과 제2면(212) 사이의 제1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측면 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220)은 전자 장치(200)의 펼침 상태에서,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300))와 연결되며, 전자 장치(2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3면(221), 제3면(22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4면(222), 및/또는 제3면(221) 및 제4면(222) 사이의 제2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측면 부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면(211)은, 펼침 상태에서 제3면(22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접힘 상태에서 제3면(221)과 마주보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의 구조적 결합을 통해 제1디스플레이(23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리세스(20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201)는 제1디스플레이(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하우징(310)(예: 힌지 커버)은,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 사이에 배치되고, 힌지 하우징(310)에 배치된 힌지 모듈(예: 도 3의 힌지 모듈(320, 320-1))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하우징(310)은, 전자 장치(200)의 펼침 상태, 접힘 상태 또는 중간 상태에 따라,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힌지 하우징(310)의 적어도 일부는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에 의해 가려져 실질적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가 접힘 상태인 경우, 힌지 하우징(310)의 적어도 일부는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folded with a certain angle) 중간 상태인 경우, 힌지 하우징(310)은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 사이에서 전자 장치(200)의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힌지 하우징(310)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은 완전히 접힌 상태보다 적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하우징(310)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예: 도 1a의 상태) 인 경우,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은 약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제1디스플레이(230)의 제1영역(230a), 폴딩 영역(230c) 및 제2영역(230b)은 동일 평면을 이루며, 실질적으로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210)은 제2하우징(220)에 대하여 약 360도의 각도로 회동하여 제2면(212)과 제4면(222)이 마주보도록 반대로 접힐 수도 있다(out folding 방식).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가 접힘 상태(예: 도 1b의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210)의 제1면(211) 및 제2하우징(220)의 제3면(221)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디스플레이(230)의 제1영역(230a)과 제2영역(230b)은 폴딩 영역(230c)를 통해, 서로 좁은 각도(예: 0도 ~ 약 10도 범위)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딩 영역(230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가 중간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은 서로 소정의 각도(a certain angle)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디스플레이(230)의 제1영역(230a)과 제2영역(230b)은 접힘 상태보다 크고, 펼침 상태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폴딩 영역(230c)의 곡률은 접힘 상태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고, 펼침 상태보다 클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은,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300))를 통해,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 사이의 지정된 폴딩 각도에서 멈출 수 있는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free stop 기능). 어떤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은,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300))를 통해, 지정된 변곡 각도를 기준으로, 펼쳐지는 방향 또는 접히는 방향으로, 가압받으면서 동작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1하우징(210) 및/또는 제2하우징(22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230, 400), 입력 장치(215), 음향 출력 장치(227, 228), 센서 모듈(217a, 217b, 226), 카메라 모듈(216a, 216b, 225), 키 입력 장치(219), 인디케이터(미도시 됨) 또는 커넥터 포트(22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230, 400)는, 제1하우징(210)의 제1면(211)으로부터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300))를 통해 제2하우징(220)의 제3면(221)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230)(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제2하우징(220)의 내부 공간에서 제4면(222)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되는 제2디스플레이(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디스플레이(400)는 제1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에서 제2면(212)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230)는, 전자 장치(200)의 펼침 상태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2디스플레이(400)는, 전자 장치(200)의 접힘 상태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중간 상태의 경우,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의 폴딩 각도에 기반하여 제1디스플레이(230) 및/또는 제2디스플레이(400)를 사용 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230)는, 한 쌍의 하우징(210, 220)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디스플레이(230)는 한 쌍의 하우징(210, 220)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201)에 배치될 수 있으며, 펼침 상태에서, 전자 장치(200)의 전면의 실질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23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230)는 제1하우징(210)과 대면하는 제1영역(230a), 제2하우징(220)과 대면하는 제2영역(230b) 및 제1영역(230a)과 제2영역(230b)을 연결하고,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300))와 대면하는 폴딩 영역(230c)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230)의 영역 구분은 한 쌍의 하우징(210, 220) 및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300))에 의한 예시적인 물리적 구분일 뿐, 실질적으로 한 쌍의 하우징(210, 220) 및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300))를 통해 제1디스플레이(230)는 이음매 없는(seamless), 하나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영역(230a)과 제2영역(230b)은 폴딩 영역(230c)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거나, 부분적으로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1하우징(210)의 제2면(212)에 배치되는 제1후면 커버(240) 및 제2하우징(220)의 제4면(222)에 배치되는 제2후면 커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후면 커버(240)의 적어도 일부는 제1측면 부재(21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후면 커버(250)의 적어도 일부는 제2측면 부재(22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후면 커버(240) 및 제2후면 커버(250) 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플레이트(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 또는 불투명한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후면 커버(240)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과 같은, 불투명한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후면 커버(250)는, 예를 들어, 글래스 또는 폴리머와 같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플레이트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디스플레이(400)는, 제2하우징(220)의 내부 공간에서, 제2후면 커버(250)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215)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입력 장치(215)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마이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227, 228)는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227, 228)는, 제2하우징(220)의 제4면(222)을 통해 배치되는 통화용 리시버(227) 및 제2하우징(220)의 제2측면 부재(223)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배치되는 외부 스피커(228)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입력 장치 (215), 음향 출력 장치(227, 228) 및 커넥터(229)는 제1하우징(210) 및/또는 제2하우징(220)의 공간들에 배치되고, 제1하우징(210) 및/또는 제2하우징(22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하여 외부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210) 및/또는 제2하우징(220)에 형성된 홀들은 입력 장치(215) 및 음향 출력 장치(227, 228)을 위하여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음향 출력 장치(227, 228)는 제1하우징(210) 및/또는 제2하우징(220)에 형성된 홀이 배제된 채, 동작되는 스피커(예: 피에조 스피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16a, 216b, 225)은, 제1하우징(210)의 제1면(211)에 배치되는 제1카메라 모듈(216a), 제1하우징(210)의 제2면(212)에 배치되는 제2카메라 모듈(216b) 및/또는 제2하우징(220)의 제4면(222)에 배치되는 제3카메라 모듈(22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2카메라 모듈(216b) 근처에 배치되는 플래시(218)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래시(218)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들(216a, 216b, 225)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들(216a, 216b, 225)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은 2개 이상의 렌즈들(예: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제1하우징(210) 및/또는 제2하우징(220)의 어느 한 면에 함께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217a, 217b, 226)은, 전자 장치(2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217a, 217b, 226)은, 제1하우징(210)의 제1면(211)에 배치되는 제1센서 모듈(217a), 제1하우징(210)의 제2면(212)에 배치되는 제2센서 모듈(217b) 및/또는 제2하우징(220)의 제4면(222)에 배치되는 제3센서 모듈(226)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217a, 217b, 226)은 제스처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조도 센서, 초음파 센서, 홍채 인식 센서, 또는 거리 검출 센서(예: TOF(time of flight) 센서 또는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지문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지문 인식 센서는 제1하우징(210)의 제1측면 부재(213) 및/또는 제2하우징(220)의 제2측면 부재(223)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부재를 통해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입력 장치(219)는, 제1하우징(210)의 제1측면 부재(21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키 입력 장치(219)는 제2하우징(220)의 제2측면 부재(22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상기 키 입력 장치(219)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219)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230, 400)상에 소프트 키와 같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키 입력 장치(219)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230, 400)에 포함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포트(229)는,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 USB 커넥터 또는 IF 모듈(interface connector port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커넥터 포트(229)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함께 수행하거나, 오디오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커넥터 포트(예: 이어잭 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들(216a, 216b, 225)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216a, 225), 센서 모듈(217a, 217b, 226)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217a, 226) 및/또는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230, 400)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216a, 225),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217a, 226) 및/또는 인디케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210, 220)의 내부 공간에서, 디스플레이(230, 400)의 활성화 영역(display area) 아래에 배치되고, 커버 부재(예: 제1디스플레이(230)의 윈도우층(미도시 됨) 및/또는 제2후면 커버(250))까지 천공된 오프닝 또는 투명 영역을 통해 외부 환경과 접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30, 400)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216a, 225)이 대면하는 영역은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의 일부로서 일정 투과율을 갖는 투과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투과 영역은 약 5% ~ 약20% 범위의 투과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과 영역은 이미지 센서로 결상되어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광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216a, 225)의 유효 영역(예: 화각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30, 400)의 투과 영역은 주변 보다 픽셀의 밀도가 낮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은 상기 오프닝을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216a, 225)은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UDC, under display camer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일부 카메라 모듈 또는 센서 모듈(217a, 226)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230, 400)(예: 디스플레이 패널) 아래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216a, 225) 및/또는 센서 모듈(217a, 226)과 대면하는 영역은, UDC(under display camera) 구조로써, 천공된 오프닝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제1디스플레이(230), 제2디스플레이(400), 힌지 장치(300), 지지부재 어셈블리(260),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270), 제1하우징(210), 제2하우징(220), 제1후면 커버(240) 및/또는 제2후면 커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스플레이(230)는 디스플레이 패널(231)(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231)이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232) 또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231)은 디스플레이(230)의 제1영역(예: 도 1a의 제1영역(230a))과 대응하는 제1패널 영역(231a), 제1패널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디스플레이(230)의 제2영역(예: 도 1a의 제2영역(230b))과 대응하는 제2패널 영역(231b) 및 제1패널 영역(231a)과 제2패널 영역(231b)를 연결하고, 디스플레이(230)의 폴딩 영역(예: 도 1a의 폴딩 영역(230c))과 대응하는 제3영역(231c))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232)는 디스플레이 패널(231)과 지지부재 어셈블리(260) 사이에 배치된 도전성 플레이트(예: Cu 시트 또는 SUS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232)는 실질적으로 제1디스플레이(230)와 동일한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디스플레이(230)의 폴딩 영역(예: 도 1a의 폴딩 영역(230c))과 대면하는 영역이 굽힘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232)는 디스플레이 패널(231)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층(예: 그라파이트 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232)는 디스플레이 패널(2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디스플레이(400)는 제2하우징(220)과 제2후면 커버(25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디스플레이(400)는 제2하우징(220)과 제2후면 커버(250) 사이의 공간에서, 제2후면 커버(250)의 실질적으로 전체 면적으로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 어셈블리(260)는 제1지지 부재(261)(예: 제1지지 플레이트) 및 제2지지 부재(262)(예: 제2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 부재(261)는 힌지 장치(300)를 통해 제2지지 부재(262)와 접힘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1지지 부재(261)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힌지 장치(300)를 가로질러, 제2지지 부재(262)의 일부까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263)(예: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 어셈블리(260)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232)와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2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 부재(261)는 제1디스플레이(230)의 제1영역(예: 도 1a의 제1영역(230a))과 제1인쇄 회로 기판(2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지지 부재(262)는 제1디스플레이(230)의 제2영역(예: 도 1a의 제2영역(230b))과 제2인쇄 회로 기판(2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263) 및/또는 힌지 장치(300)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부재 어셈블리(260)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지지 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263)는 제1지지 부재(261)와 제2지지 부재(262)를 가로지르는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263)는 폴딩 영역(230c)의 폴딩 축(예: y축 또는 도 1a의 폴딩 축(A))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270)은, 제1지지 부재(261)와 대면하도록 배치된 제1인쇄 회로 기판(271), 또는 제2지지 부재(262)와 대면하도록 배치된 제2인쇄 회로 기판(27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인쇄 회로 기판(271)과 제2인쇄 회로 기판(272)은 지지부재 어셈블리(260), 제1하우징(210), 제2하우징(220), 제1후면 커버(240) 및/또는 제2후면 커버(25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인쇄 회로 기판(271)과 제2인쇄 회로 기판(272)은 전자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전자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지지 부재(261)는 제1하우징(210)의 구성 요소로써, 제1측면 부재(213)로부터 제1하우징(210)이 형성하는 제1공간(예: 제1내부 공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지지 부재(262)는 제2하우징(220)의 구성 요소로써, 제2측면 부재(223)로부터 제2하우징(220)이 형성하는 제2공간(예: 제2내부 공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1하우징(210)의 제1공간에 배치된되는 제1인쇄 회로 기판(271), 제1지지 부재(261)의 제1스웰링 홀(2611)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배터리(291),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282)(예: 도 1a의 제1카메라 모듈(216a) 및/또는 제2카메라 모듈(216b))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281)(예: 도 1a의 제1센서 모듈(217a) 및/또는 제2센서 모듈(217b))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2하우징(220)의 제2공간에 배치된 제2인쇄 회로 기판(272), 또는 제2지지 부재(262)의 제2스웰링 홀(2621)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배터리(29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210)과 제1지지 부재(26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220)과 제2지지 부재(26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210)은 제1회전 지지면(21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하우징(220)은 제1회전 지지면(214)에 대응되는 제2회전 지지면(22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전 지지면(214)과 제2회전 지지면(224)은 힌지 하우징(310)의 곡형의 외면과 대응되는(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전 지지면(214)과 제2회전 지지면(224)은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힌지 하우징(310)를 가림으로써, 힌지 하우징(310)을 전자 장치(200)의 후면으로 노출시키지 않거나 일부만 노출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전 지지면(214)과 제2회전 지지면(224)은 전자 장치(200)가 접힘 상태인 경우, 힌지 하우징(310)의 곡형이 외면을 따라 회전하여 힌지 하우징(310)을 전자 장치(200)의 후면으로 적어도 일부 노출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장치(300)는 힌지 하우징(310), 힌지 하우징(310)의 수용부(예: 도 3의 수용부(310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320, 320-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모듈(320, 320-1)은 힌지 하우징(310)의 수용부(310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로테이트(예: 도 3의 로테이트들(322, 323, 322-1, 323-1)를 통해 제1지지 부재(261) 및 제2지지 부재(262)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는 제1측면 부재(213)를 포함하는 제1하우징(210), 제2측면 부재(223)를 포함하는 제2하우징(220),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을 서로에 대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장치(300), 제1하우징(210), 힌지 장치(300) 및 제2하우징(220)을 통해 지지 받도록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예: 도 1의 제1디스플레이(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제1하우징(210)과 결합되는 제1보호 프레임(235) 및 제2하우징(220)과 결합되는 제2보호 프레임(2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은 힌지 장치(300)를 통해, 폴딩축(A)을 기준으로 서로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장치(300)는 폴딩축(A)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예: y 축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수용부(3101)를 포함하는 힌지 하우징(310), 힌지 하우징(310)의 수용부(3101)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320, 320-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320, 320-1)은, 힌지 하우징(310)의 수용부(3101)에 고정되고, 전자 장치(200)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 제1힌지 모듈(320) 및 힌지 하우징(310)의 수용부(3101)에 고정되고, 전자 장치(200)의 하측 영역에 배치된 제2힌지 모듈(320-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힌지 모듈(320)과 제2힌지 모듈(320-1)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힌지 모듈(320)은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을 서로에 대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로테이트(322) 및 제2로테이트(3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힌지 모듈(320-1)은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을 서로에 대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로테이트(322-1) 및 제4로테이트(32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로테이트(322-1) 및 제4로테이트(323-1)는 제1로테이트(322) 및 제2로테이트(32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와 제1하우징(210) 사이에서, 힌지 장치(30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 제1플레이트(341)(예: 제1지지 플레이트 또는 제1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와 제2하우징(220) 사이에서, 힌지 장치(30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 제2플레이트(342)(예: 제2지지 플레이트 또는 제2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341)의 적어도 일부는 제1힌지 모듈(320) 및 제2힌지 모듈(320-1)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플레이트(342)의 적어도 일부는 제1힌지 모듈(320) 및 제2힌지 모듈(320-1)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341)의 적어도 일부는 제1하우징(210)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플레이트(342)의 적어도 일부는 제2하우징(220)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펼침 상태에서, 제1플레이트(341)와 제2플레이트(342)는 지정된 갭(예: 도 4b의 갭(g))을 가지며, 제1지지 부재(261) 및 제2지지 부재(26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됨으로써, 플레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지지면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320, 320-1))은 적어도 하나의 로테이트(322, 323, 322-1, 323-1)를 통해,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과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320, 320-1)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320, 320-1)은 그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및/또는 추가 지지 구조물을 포함함으로써, 힌지 모듈들(320, 320-1)과 대응하는 영역에서, 플레이트들(341, 342)을 지지하기 위한 확장된 지지 영역을 포함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 및/또는 디지타이저(예: 도 4a의 적어도 하나의 디지타이저(460))의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라인 4b-4b를 따라 바라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UB(unbreakable) type OLED 디스플레이(예: curved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를 참고하면, 도 3을 참고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윈도우층(410), 윈도우층(410) 아래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편광층(POL(polarizer))(420)(예: 편광 필름),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층(440), 지지 플레이트(45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지타이저(digitizer)(46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디지타이저(460)는 폴리머층(440)과 지지 플레이트(45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폴리머층(44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타이저(460) 아래에서, 제1하우징(예: 도 1a의 제1하우징(210))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제1보강 플레이트(미도시 됨) 및 제2하우징(예: 도 1a의 제2하우징(220))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제2보강 플레이트(미도시 됨)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층(410), 편광층(420),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층(440) 및 지지 플레이트(450)는 제1하우징(예: 도 1a의 제1하우징(210))의 제1면(예: 도 1a의 제1면(211))과 제2하우징(예: 도 1a의 제2하우징(220))의 제3면(예: 도 1a의 제3면(221))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디지타이저(460)는 지지 플레이트(450) 아래에서, 제1하우징(예: 도 1a의 제1하우징(210))과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제1디지타이저(461) 및 제2하우징(예: 도 1a의 제2하우징(220))과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제2디지타이저(46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지타이저(461) 및 제2디지타이저(462)는 분리되어 있으나, 단일화된 디지타이저로 인식되기 위하여,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기판(예: 도 2의 기판 어셈블리(2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지타이저(460)는 제1하우징(예: 도 1a의 제1하우징(210))의 제1면(예: 도 1a의 제1면(211))과 제2하우징(예: 도 1a의 제2하우징(220))의 제3면(예: 도 1a의 제3면(221))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굴곡 가능한 하나의 디지타이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층(410), 편광층(420),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층(440), 지지 플레이트(450) 및 디지타이저(460)는 점착제(P1, P2, P3)(또는 접착제)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점착제(P1, P2, P3)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반응 접착제, 일반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0)은 복수의 픽셀들 및 배선 구조(예: 전극 패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층(420)은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되고 일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편광층(42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터치 패널(미도시 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머층(440)은 디스플레이 패널(430) 아래에 배치됨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시인성 확보를 위한 어두운 배경을 제공하고, 완충 작용을 위한 완충 소재(예: 쿠션층)로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방수를 위하여, 폴리머층(440)은 제거되거나, 지지 플레이트(450)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45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에 굴곡성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450)는 아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타이저(460)의 검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 플레이트(45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을 지지하기 위한 리지드(rigid)한 특성을 갖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예: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또는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와 같은, 비금속 박판형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450)는 제1하우징(예: 도 1a의 제1하우징(210))과 대응되는 제1평면부(451), 제2하우징(예: 도 1a의 제2하우징(220))과 대응되는 제2평면부(452) 및 제1평면부(451)와 제2평면부(452)를 연결하는 밴딩부(453)(flexible portion 또는 bending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딩부(453)는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오프닝들을 통해 굴곡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딩부(453)는 복수의 오프닝들 중 적어도 일부 오프닝들의 크기, 형상 또는 배치 밀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굴곡 특성이 결정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450)는 SUS(steel use stainless)(예: STS(stainless steel)), Cu, Al 또는 금속 CLAD(예: SUS와 Al이 교번하여 배치된 적층 부재)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 플레이트(450)는, 그 아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타이저(460)의 검출 동작이 유도되도록, 전체 면적을 통해 형성되고, 전자기장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오프닝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450)는 전자 장치(예: 도 1a의 전자 장치(200))의 강성 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주변 노이즈를 차폐하며, 주변의 열 방출 부품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는 폴리머층(440)과 지지 플레이트(450) 사이, 또는 지지 플레이트(450) 아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부재(미도시 됨)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부재는 방열을 위한 그라파이트 시트, added 디스플레이, 포스터치 FPCB, 지문 센서 FPCB, 통신용 안테나 방사체 또는 도전/비도전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부재는 밴딩이 불가능할 경우, 제1하우징(예: 도 1a이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예: 도 1a의 제2하우징(220))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부재는 밴딩이 가능할 경우, 제1하우징(예: 도 1a의 제1하우징(210))으로부터 힌지 장치(예: 도 2의 힌지 장치(300))를 통해 제2하우징(예: 도 1a의 제2하우징(220))의 적어도 일부까지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제1하우징(210)에 대응하는 제1영역(h1)(예: 제1평면 영역)과 제2하우징(220)에 대응하는 제2영역(h2)(예: 제2평면 영역) 및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300))와 대응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힘 가능한 제3영역(h3)(예: 폴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지지 플레이트(450) 아래에서, 제1영역(h1) 및 제3영역(h3)의 일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제1디지타이저(461) 및 제2영역(h2) 및 제3영역(h3)의 일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제2디지타이저(46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지타이저(461)의 적어도 일부는 그 아래에 배치되고,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30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1플레이트(341)를 통해 지지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디지타이저(462)의 적어도 일부는 그 아래에 배치되고,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30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2플레이트(342)를 통해 지지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디지타이저(461) 및 제1플레이트(341)는, 펼침 상태에서, 제3영역(h3)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2디지타이저(462) 및 제2플레이트(342)와, 갭(g)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갭(g)은 제1하우징(210), 제1플레이트(341), 제2하우징(220) 및 제2플레이트(342)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지지 영역 확보를 위하여, 작을수록 유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300))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는, 펼침 상태에서, 힌지 하우징(예: 도 3의 힌지 하우징(310))의 수용부(예: 도 3의 수용부(3101))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는 힌지 모듈(예: 도 3의 힌지 모듈(300))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펼침 상태에서, 힌지 모듈(예: 도 3의 힌지 모듈(300))의 적어도 일부 구성 요소들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펼침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는 힌지 모듈(예: 도 3의 힌지 모듈(320, 320-1) 중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확장된 지지 구조에 의해 지지를 받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하, 힌지 모듈(320) 및 플레이트들(341, 34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의 제1힌지 모듈(320)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제2힌지 모듈(320-1) 역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200))는 제1하우징(예: 도 3의 제1하우징(210)), 제2하우징(예: 도 3의 제2하우징(220)) 및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을 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장치(예: 도 3의 힌지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장치(300)는 힌지 하우징(예: 도 3의 힌지 하우징(310)), 힌지 하우징(310)의 수용부(예: 도 3의 수용부(3101))에 고정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에 연결된 제1힌지 모듈(320)(이하, '힌지 모듈'이라 함)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모듈(320)은 힌지 하우징(예: 도 3의 힌지 하우징(310))의 수용부(예: 도 3의 수용부(3101))에 고정된 로테이트 브라켓(321), 폴딩축(A)에 대하여 로테이트 브라켓(32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로테이트(322), 폴딩축(A)에 대하여, 로테이트 브라켓(32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로테이트(323), 제1로테이트(322)와 결합되고, 폴딩축(A)의 일측에서, 폴딩축(A)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샤프트(HS1)를 통해, 제1회전축(X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암(arm)(324), 제2로테이트(323)와 결합되고, 폴딩축(A)의 타측에서, 폴딩축(A)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샤프트(HS2)를 통해, 제2회전축(X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2암(arm)(325),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배치된 복수의 힌지 캠들(327, 328, 329),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힌지 캠들(327, 328, 329)을 지정된 방향(①방향 또는 ②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스프링들(S), 복수의 힌지 캠들(327, 328, 329)과 복수의 스프링들(S)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로써,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에 관통되는 와셔 부재들(3331, 3341) 및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 구조로써 이링들(3332, 334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는 단부에 배치된 복수의 기어들을 포함하는 기어 조립체(326)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암(324)과 제2암(325)은 기어 조립체(326)를 통해, 폴딩축(A)에 대하여 동일한 회전량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샤프트(HS1)와 제2샤프트(HS2)는 로테이트 브라켓(321)에서, 폴딩축(A)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로테이트(322)및 제2로테이트(323)와 각각 연동되는 제1암(324) 및 제2암(325)을 따라 지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암(324)은 바디(3241), 바디(324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로테이트(322)와 결합된 로테이트 결합부(3242), 바디(324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제1캠 구조(3243), 바디(3241)의 타단에서, 제1캠 구조(3243)와 이격 공간(3245)을 갖도록 연장된 제2캠 구조(324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테이트 결합부(3242)는 결합핀(3246) 및 이링(E-ring)(3247)을 통해 제1로테이트(32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캠 구조(3243)와 제2캠 구조(3244)는 제1샤프트(HS1)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제1샤프트(HS1)에 대하여 아이들(idle) 회전(예: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캠 구조(3243) 및 제2 캠 구조(3244)는 제1샤프트(HS1)의 길이 방향(예: ① 방향 및/또는 ② 방향)을 따라 지정된 간격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예: 도 9a의 제1만곡부들(3253a)) 및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 사이에 배치된 캠 홈(예: 도 9a의 제1캠 홈들(3253b))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암(325)은, 제1암(32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 바디(3251), 로테이트 결합부(3252), 제1캠 구조(3253) 및 제1캠 구조와 이격 공간(3255)를 갖도록 배치된 제2캠 구조(32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핀(3256) 및 이링(E-ring)(3257)을 통해 제2로테이트(323)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암(325)은 제1캠 구조(3253) 및 제2캠 구조(3254)를 통해 제2샤프트(HS2)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힌지 캠들(327, 328, 329)은 제1샤프트(HS1)와 제2샤프트(HS2)가 동시에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에 순차적으로 관통된 제1힌지 캠(327), 제2힌지 캠(328) 및 제3힌지 캠(329)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캠들(327, 328, 329)은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에서, 길이 방향(예: ① 방향 또는 ②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아이들 회전이 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는 단면이 D 커팅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 캠들(327, 328, 329) 역시 이와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구를 포함함으로써,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에 대하여, 아이들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캠들(327, 328, 329)은 제1암(234) 및 제2암(325)의 제1캠 구조(3243, 3253) 및 제2캠 구조(3244, 3254)에 형성된 만곡부(예: 도 9a의 제1만곡부들(3253a) 및 캠 홈(예: 도 9a의 제1캠 홈들(3253b))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만곡부(예: 도 9c의 제2만곡부들(327a)) 및 캠 홈(예: 도 9c의 제2캠 홈들(327b))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힌지 캠(327)과 제2힌지 캠(328)은 제1암(324) 및 제2암(325)의 이격 공간(3245, 3255)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모듈(320)은 제1힌지 캠(327)과 제2힌지 캠(328) 사이에 배치된 제1샤프트 브라켓(33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샤프트 브라켓(331)은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고정되고, 고정부(331a)를 통해 힌지 하우징(예: 도 3의 힌지 하우징(310))에 체결 부재(예: 스크류)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모듈(320)은 제1샤프트 브라켓(331)과 제1힌지 캠(327)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들(S)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모듈(320)은 제1샤프트 브라켓(331)과 제2힌지 캠(328)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들(S)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들(S)은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힌지 캠(329)은 제1암(324) 및 제2암(325)의 외부에서, 제2캠 구조(3244, 3254)와 대면하도록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모듈(320)은 제3힌지 캠(329)과 대면하도록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배치된 제2샤프트 브라켓(33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모듈(320)은 제2샤프트 브라켓(332)과 제3힌지 캠(329)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들(S)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들(S)은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샤프트 브라켓(332)은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고정되고, 고정부(332a)를 통해 힌지 하우징(예: 도 3의 힌지 하우징(310))에 체결 부재(예: 스크류)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캠들(327, 328, 329), 스프링들(S) 및 샤프트 브라켓들(331, 332)은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결합된 와셔 부재들(3331, 3341)의 지지를 받을 수 있고,,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의 단부에 결합된 이링(E-ring)들(3332, 3342) 및/또는 C-ring을 통해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어 조립체(326)와, 제1암(324) 및 제2암(325) 사이에 배치된 스토퍼(32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결합된 복수의 힌지 캠들(327, 328, 329)은 제1암(324) 및 제2암(325)의 제1캠 구조(3243, 3253) 및 제2캠 구조(3244, 3254)와 타이트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힌지 캠(327)은, 이격 공간(3245, 3255)에서, 제1샤프트 브라켓(331)의 일측의 지지를 받는 스프링들(S)을 통해, 제1암(324) 및 제2암(325)의 제1캠 구조(3243, 3253) 방향(② 방향)으로 가압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힌지 캠(328)은, 이격 공간(3245, 3255)에서, 제1샤프트 브라켓(331)의 타측의 지지를 받으며, 스프링들(S)을 통해, 제1암(324) 및 제2암(325)의 제2캠 구조(3244, 3254) 방향(① 방향)으로 가압을 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힌지 캠(329)은, 제1암(324) 및 제2암(325)의 외측에서, 제2샤프트 브라켓(332)의 지지를 받는 스프링들(S)을 통해, 제2캠 구조(3244, 3254) 방향(② 방향)으로 가압을 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하우징(예: 도 3의 제1하우징(210))과 결합된 제1로테이트(322) 및 제2하우징(예: 도 3의 제2하우징(220))과 결합된 제2로테이트(323)가 폴딩축(A)에 대하여 회전될 경우, 제1암(324) 및 제2암(325)은 폴딩축(A)에 대하여 지정된 회전 각도를 가지고 이동하면서, 제1회전축(X1) 및 제2회전축(X2)에 대하여,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암(324) 및 제2암(325)에 형성된 제1캠 구조(3243, 3253) 및 제2캠 구조(3244, 3254)의 만곡부(예: 도 9a의 제1만곡부들(3253a))가, 힌지 캠들(327, 328, 329)의 만곡부(예: 도 9c의 제2만곡부들(327a))를 타고 넘는 방식으로 회전되고, 자체 회전이 불가능한 힌지 캠들(327, 328, 329)은 스프링의 탄성력(예: 복원력)을 보유하면서 밀림으로써, 전자 장치(200)는, 펼쳐지고, 접혀지는 동작에 따른 지정된 토크를 제공받거나(예: 프리 스탑 기능 포함) 및 지정된 각도(예: 변곡 각도) 이상 동작될 경우, 접혀지는 방향 또는 펼쳐지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는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200))는 제1하우징(예: 도 3의 제1하우징(210))과 결합되고, 힌지 모듈(32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하우징(예: 도 3의 제2하우징(220))과 결합되고, 힌지 모듈(32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 제2플레이트(3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의 배치를 통해, 힌지 하우징(예: 도 3의 힌지 하우징(310))의 수용부(예: 도 3의 수용부(3101))는 커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341)는, 제1로테이트(322)의 적어도 일부 및 힌지 모듈(320)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플레이트(342)는, 제2로테이트(323)의 적어도 일부 및 힌지 모듈(320)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레이트 형태의 제1로테이트(322) 및 제2로테이트(323)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는, 힌지 모듈(342)과 대응되는 영역(예: 도 6b의 토크 발생 영역(T))에서, 제1암(324) 및 제2암(325)의 제1, 2캠 구조들(3243, 3253, 3244, 3254), 힌지 캠들(327, 328, 329) 및/또는 샤프트 브라켓들(331, 332)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 구조 확보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제2힌지 모듈(예: 도 3의 제2힌지 모듈(320-1))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은 제1힌지 모듈(3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된 지지 구조를 통해,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6a의 6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의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 및 도 6b의 힌지 모듈(320)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5의 힌지 모듈(3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는 제1하우징(210), 제2하우징(220) 및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을 연결하는 힌지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장치(300)는 수용부(예: 도 3의 수용부(3101))를 포함하는 힌지 하우징(예: 도 3의 힌지 하우징(310)) 및 수용부(3101)에 배치된 한 쌍의 힌지 모듈들(320, 320-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힌지 모듈들(320, 320-1)은, 힌지 하우징(310)의 수용부(3101)에서, 전자 장치(200)의 상측에 배치된 제1힌지 모듈(320) 및 하측에 배치된 제2힌지 모듈(320-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힌지 모듈(320)과 제2힌지 모듈(320-1)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힌지 모듈(320)은 제1하우징(210)과 연결된 제1로테이트(322) 및 제2하우징(220)과 연결된 제2로테이트(3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힌지 모듈(320-1)은 제1하우징(210)과 연결된 제3로테이트(322-1) 및 제2하우징(220)과 연결된 제4로테이트(32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힌지 모듈(320)은 제1로테이트(322)와 연동되도록 배치된 제1암(324) 및 제2로테이트(323)와 연동되도록 배치된 제2암(325)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힌지 모듈(320-1)은 제3로테이트(322-1)와 연동되도록 배치된 제3암(324-1) 및 제4로테이트(323-1)와 연동되도록 배치된 제4암(325-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힌지 모듈(320)은 제1암(324) 및 제2암(325)의 회전에 의해, 토크(torque)가 발생되는 토크 발생 영역(T)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토크 발생 영역(T)은 제1암(324) 및 제2암(325)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제1회전축(X1) 및 제2회전축(X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힌지 캠들(327, 328, 329), 복수의 힌지 캠들(327, 328, 329)을 가압하는 복수의 스프링들(S) 및 복수의 힌지 캠들(327, 328, 329)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스프링들(S)을 지지하고, 힌지 하우징(310)에 힌지 모듈들(320, 320-1)을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브라켓(331, 33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힌지 모듈(320-1)의 구조 및 제2힌지 모듈(320-1)이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에 연결된 결합 구조는, 제1힌지 모듈(320)의 구조 및 제1힌지 모듈(320)이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에 연결된 결합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상태로 천이될 경우, 제1하우징(210)에 연결된 제1로테이트(322) 및 제3로테이트(322-1)와, 제2하우징(220)에 연결된 제2로테이트(323) 및 제4로테이트(323-1)는 폴딩축(A)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은 기어 조립체(326)를 통해, 폴딩축(A)을 기준으로 동일한 회전량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로테이트(322)와 연결된 제1암(324) 및 제3로테이트(322-1)와 연결된 제3암(324-1) 역시 제1회전축(X1)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제2로테이트(323)와 연결된 제2암(325) 및 제4로테이트(323-1)와 연결된 제4암(325-1) 역시 제2회전축(X2)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암(324)과 제2암(325)이 회전될 경우, 토크 발생 영역(T)에서, 제1캠 구조(3243, 3253) 및 제2캠 구조(3244, 3254)의 만곡부(예: 도 9a의 제1만곡부들(3253a))가, 힌지 캠들(327, 328, 329)의 만곡부(예: 도 9c의 제2만곡부들(327a))를 타고 넘는 방식으로 회전되고, 자체 회전이 불가능한 힌지 캠들(327, 328, 329)은 스프링(S)의 탄성력(예: 복원력)을 보유하면서 제1회전축(X1) 및 제2회전축(X2) 방향(① 방향 또는 ② 방향)으로 밀림으로써, 전자 장치(200)는, 펼쳐지고, 접혀지는 동작에 따른 토크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암(324) 및 제2암(325)은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에 대하여 아이들 회전될 수 있으며, 복수의 힌지 캠들(327, 328, 329)은 아이들 회전되지 못하고, 제1샤프트(HS1) 및 제2샤프트(HS2)의 길이 방향(① 방향 또는 ②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도 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를 커버하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가 배치된 전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7a의 7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의 전자 장치(200) 및 힌지 모듈(320)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6a 및 도 6b의 전자 장치(200) 및 힌지 모듈(3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는 제1하우징(210)의 적어도 일부 및 힌지 장치(300)를 커버하도록 배치된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하우징(220)의 적어도 일부 및 힌지 장치(300)를 커버하도록 배치된 제2플레이트(3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는 폴리머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341)는 제1로테이트(322)의 적어도 일부, 힌지 모듈(도 6b의 힌지 모듈(320))의 토크 발생 영역(예: 도 6b의 토크 발생 영역(T)) 및 힌지 하우징(예: 도 3의 힌지 하우징(310))의 수용부(예: 도 3의 수용부(3101))와 중첩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플레이트(342)는 제2로테이트(323)의 적어도 일부, 힌지 모듈(예: 도 6b의 힌지 모듈(320))의 토크 발생 영역(예: 도 6b의 토크 발생 영역(T)) 및 힌지 하우징(예: 도 3의 힌지 하우징(310))의 수용부(예: 도 3의 수용부(3101))와 중첩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341)와 제2플레이트(342)는, 전자 장치(200)의 펼침 상태에서,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제1로테이트(322) 및 제2로테이트(323)의 중첩되지 않은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3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의 지지 영역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는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에 체결 부재(예: 스크류)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는 제1로테이트(322)의 적어도 일부 및 제2로테이트(323)의 적어도 일부에 체결 부재(예: 스크류)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플레이트(341)의 적어도 일부는 제1로테이트(322)의 적어도 일부 및 힌지 모듈(320)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지지받도록 배치되고, 제2플레이트(342)의 적어도 일부는 제2로테이트(323)의 적어도 일부 및 힌지 모듈(320)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지지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힌지 모듈의 지지 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의 힌지 모듈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6b의 힌지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플레이트(341)는 제1로테이트(322)의 적어도 일부 영역 및 힌지 모듈(320)의 일부 영역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플레이트(342)는 제2로테이트(323)의 적어도 일부 영역 및 힌지 모듈(320)의 나머지 일부 영역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는 힌지 모듈(320)의 암들(324, 325), 암들(324, 325)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복수의 힌지 캠들(327, 328, 329) 및 힌지 캠들(327, 328, 329) 사이에 배치된 샤프트 브라켓들(331, 332)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341)와 제2플레이트(342)는 그 아래에 배치된 힌지 모듈(320)의 토크 발생 영역(T)에서, 지지받는 영역이 넓을수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3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힌지 모듈(320)은 토크 발생 영역(T)에서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를 지지하기 위한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한 변형된 지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모듈(320)은, 토크 발생 영역(T)에 배치되고,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200))의 폴딩 동작에 따라, 제1회전축(X1) 및 제2회전축(X2)에 대하여 함께 회전하는 회전 요소들 및 폴딩 동작에 따라 회전되지 않는 비회전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 요소들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200))의 폴딩 동작에 따라, 제1회전축(X1)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배치된 제1암(324) 및 제2암(325)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회전 요소들은 암들(324, 325)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제1회전축(X1) 및 제2회전축(X2)의 길이 방향(예: ① 방향 또는 ② 방향)으로만 이동되는 복수의 힌지 캠들(327, 328, 329) 및 힌지 캠들(327, 328, 329) 사이에 배치된 샤프트 브라켓들(331, 3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요소들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를 지지하기 위한 최대한 넓은 지지 면적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회전 요소들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의 배면을 지지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암(324)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일 때, 바디(3241), 결합부(3242)의 적어도 일부, 제1캠 구조(3243)의 적어도 일부 및 제2캠 구조(3244)의 적어도 일부가 제1플레이트(341)와 접촉됨으로써, 제1플레이트(341)를 지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암(324)의, 제1플레이트(341)와 접촉되는 영역은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암(325) 역시,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일 때, 바디(3251), 결합부(3252)의 적어도 일부, 제1캠 구조(3253)의 적어도 일부 및 제2캠 구조(3254)의 적어도 일부가 제2플레이트(342)와 접촉됨으로써, 제2플레이트(342)를 지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암(325)의, 제2플레이트(342)와 접촉되는 영역은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일 때, 제1샤프트 브라켓(331)의 적어도 일부 및 제2샤프트 브라켓(332)의 적어도 일부는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의 배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샤프트 브라켓(331) 및 제2샤프트 브라켓(332)의,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342)와 접촉되는 영역은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암(arm)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에서 암들의 배치 구성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9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9b의 9c 영역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제2암(325)의 제1캠 구조(3253)와 제1힌지 캠(327)의 연동 구조에 대하여 도시하고 기술하였으나, 제2암(325)의 제2캠 구조(3254) 및 제1암(324)의 캠 구조들(3243, 3244)과 힌지 캠들(327, 328, 329)의 연동 구조 역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고하면, 제2암(325)은 바디(3251), 바디(3251)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제2로테이트(3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3252), 바디(3251)의 타측으로 연장된 제1캠 구조(3253) 및 타측에서 제1캠 구조(3253)와 이격 공간(3255)을 갖도록 배치된 제2캠 구조(325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캠 구조(3253) 및 제2캠 구조(3254)는 제2샤프트(HS2)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캠 구조(3253)는, 이격 공간(3255)으로 지정된 간격을 갖도록 돌출된 제1만곡부들(3253a) 및 제1만곡부들(3253a) 사이에 배치된 제1캠 홈들(3253b)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만곡부들(3253a)과 제1캠 홈들(3253b)은 곡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힌지 캠(327) 역시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 제2만곡부들(327a) 및 제2만곡부들(327a) 사이에 배치된 제2캠 홈들(327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캠 구조(3253)와 제1힌지 캠(327)은 제2샤프트(HS2)가 관통되고, 제1만곡부들(3253a)과 제2만곡부들(327a)이 마주보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암(325)은 제2샤프트(HS2)에 대하여 아이들(idle) 회전(예: 자체 회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힌지 캠(327)은 제2샤프트(HS2)에 대하여, 제2회전축(X2) 방향(예: ① 방향 또는 ② 방향)으로만 이동되고 아이들 회전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힌지 캠(327)은 스프링(S)을 통해 제1캠 구조(3253) 방향(② 방향)으로 가압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암(325)이 제2회전축(X2)에 대하여 회전되면, 제2캠 홈들(327b)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착되어 있던 제1만곡부들(3253a)은 제2캠 홈들(327b)로부터 이탈되고, 제2만곡부들(327a)과 접촉됨으로써, 제1힌지 캠(327)을 제1캠 구조(3253)와 반대 방향(①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힌지 캠(327)은 스프링(S)을 통해 지지받으면서 후퇴되기 때문에 스프링(S)의 탄성력을 통해 토크가 발생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200))는, 펼침 상태에서, 제1만곡부들(3253a)이 제2만곡부들(327a)과 제2캠 홈들(327b)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200))가 지속적으로 펼쳐지려는 토크를 제공받을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200))는, 닫힘 상태에서, 제1만곡부들(3253a)이 제2만곡부들(327a)과 제2캠 홈들(327b)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200))가 지속적으로 닫히려는 토크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캠 구조(3253)는, 펼침 상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플레이트(예: 도 8의 제2플레이트(342))를 지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캠 구조(3253)는, 펼침 상태에서, 이격 공간(3255) 방향으로 돌출된 제1만곡부들(3253a) 중 어느 하나의 만곡부(3253a)가 제2플레이트(예: 도 8의 제2플레이트(342))와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캠 구조(3253)는 제2플레이트(예: 도 8의 제2플레이트(342))와 접촉되는 접촉 영역(3253c)이,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 영역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힌지 캠(327) 역시 제2플레이트(예: 도 8의 제2플레이트(342))와 접촉되는 접촉 영역(327c)이,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 영역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힌지 캠(예: 도 8의 제2힌지 캠(328)) 및 제3힌지 캠(예: 도 8의 제3힌지 캠(329))과 연동되는 제2캠 구조(3254), 제1힌지 캠(327)과 연동되는 제1암(324)의 제1캠 구조(3243), 및 제2힌지 캠(예: 도 8의 제2힌지 캠(328)) 및 제3힌지 캠(예: 도 8의 제3힌지 캠(329))과 연동되는 제1암(324)의 제2캠 구조(예: 도 8의 제2캠 구조(3244))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에서, 플레이트들과 암들의 두께 관계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에서, 힌지 하우징과,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중첩량에 따른 암들의 두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는 제1하우징(210), 제2하우징(220) 및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을 연결하는 힌지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장치(300)는 수용부(3101)를 포함하는 힌지 하우징(310) 및 수용부(310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320)(예: 도 3의 힌지 모듈들(320, 320-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320)은 제1하우징(210)에 연결된 제1로테이트(예: 도 8의 제1로테이트(322))와 연동되도록 결합된 제1암(324) 및 제2하우징(220)에 연결된 제2로테이트(예: 도 8의 제2로테이트(323))와 연동되도록 결합된 제2암(325)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제1하우징(210)에 연결되고, 제1암(324)의 적어도 일부(예: 도 8의 바디(3241))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하우징(220)에 연결되고, 제2암(325)의 적어도 일부(예: 도 8의 바디(3251))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2플레이트(3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암(324) 및 제2암(325)은, 전자 장치(200)가 펼침 상태일 때, 힌지 하우징(310)과 접촉됨으로써 펼침 각도(예: 180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힌지하우징(310)의 양측 단부는, 전자 장치(200)의 외부에서 바라볼 때, 미려한 외관 형성 및 힌지 장치 보호를 위하여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과 지정된 중첩량(D3)을 갖도록 중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341)는 그 상부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제1두께(D1)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두께(D1)가 결정된 상태에서, 제1플레이트(341)과 중첩된 제1암(324)의 제2두께(D2)는 얇아질 수 있으며, 이는 전자 장치(200)의 강성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작동 안정성이 감소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320)은 수용부(3101) 방향(③ 방향)으로 이동 배치되고,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과, 힌지 하우징(310)간의 중첩량(D3)을 증가시킴으로써, 힌지 하우징(310)의 단부는 지정된 길이(ΔD) 만큼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펼침 상태에서, 힌지 하우징(310)과 접촉되는 제1암(324)은 생략된 길이(ΔD) 만큼 두께(D2)가 증가됨으로써 전자 장치(200)의 강성 보강 및 작동 안정성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암(325)의 두께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증가될 수 있다.
도 1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힌지 모듈의 지지 영역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샤프트 브라켓과, 제1지지 구조체 및 제2지지 구조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의 힌지 모듈(320)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8의 힌지 모듈(3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하면, 힌지 모듈(320)은 그 상부에 배치된 제1플레이트(예: 도 8의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예: 도 8의 제2플레이트(342))를 지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지지 구조체들(3361, 3362, 3371, 337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구조체들(3361, 3362)은 제1샤프트 브라켓(335) 주변에 배치된 제1지지 구조체(3361) 및 제2지지 구조체(336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샤프트 브라켓(335)(예: 도 5의 제1샤프트 브라켓(331))은 힌지 하우징(예: 도 8의 힌지 하우징(310))에 고정되기 위한 하우징 고정부(3351) 및 하우징 고정부(335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고,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샤프트 고정부들(3352, 3353) 및 하우징 고정부(3351)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고,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2샤프트 고정부들(3354, 3355)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샤프트 고정부들(3352, 3353)은 제1샤프트(HS1)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제1샤프트(HS1)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샤프트 고정부들(3354, 3355)은 제2샤프트(HS2)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제2샤프트(HS2)와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 구조체(3361)는 한 쌍의 제1샤프트 고정부들(3352, 3353) 사이에서, 제1샤프트(HS1)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1플레이트(예: 도 8의 제1플레이트(341))의 배면과 접촉되기 위한 평면형 접촉 영역(3361a)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지지 구조체(3362)는 한 쌍의 제2샤프트 고정부들(3354, 3355) 사이에서, 제2샤프트(HS2)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2플레이트(예: 도 8의 제2플레이트(342))의 배면과 접촉되기 위한 평면형 접촉 영역(3362a)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구조체들(3371, 3372)은 제1샤프트(HS1)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제2샤프트 브라켓(332)과 와셔(3331) 사이에 배치된 제3지지 구조체(3371) 및 제2샤프트(HS2)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제2샤프트 브라켓(332)과 와셔(3341) 사이에 배치된 제4지지 구조체(337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지지 구조체(3371) 및 제4지지 구조체(3372)는, 제1지지 구조체(3361) 및 제2지지 구조체(336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 제1플레이트(예: 도 8의 제1플레이트(341)) 및 제2플레이트(예: 도 8의 제2플레이트(342))의 배면과 접촉되기 위한 평면형 접촉 영역들(3371a, 3372a)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200))는, 제1하우징(예: 도 3의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예: 도 3의 제2하우징(220))과,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폴딩축(예: 도 8의 폴딩축(A))에 대하여 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예: 도 8의 힌지 모듈(32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은, 로테이트 브라켓(예: 도 5의 로테이트 브라켓(321))과, 상기 폴딩축에 대하여, 상기 로테이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된 제1로테이트(예: 도 8의 제1로테이트(322))와, 상기 폴딩축에 대하여, 상기 로테이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 연결된 제2로테이트(예: 도 8의 제2로테이트(323))와, 상기 제1로테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폴딩축의 일측에서, 상기 폴딩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샤프트(예: 도 8의 제1샤프트(HS1))의 제1회전축(예: 도 8의 제1회전축(X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암(예: 도 8의 제1암(324)) 및 상기 제2로테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폴딩축의 타측에서, 상기 폴딩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샤프트(예: 도 8의 제2샤프트(HS2))의 제2회전축(예: 도 8의 제2회전축(X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2암(예: 도 8의 제2암(325))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과, 상기 제1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및 상기 힌지 모듈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3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30))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아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암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된 제1플레이트(예: 도 8의 제1플레이트(341))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아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암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 결합된 제2플레이트(예: 도 8의 제2플레이트(3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암과 상기 제2암은, 상기 전자 장치가 펼침 상태일 때,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영역(예: 도 9c의 지지 영역(3253c))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암은, 바디 및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샤프트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캠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 구조는 상기 제1샤프트에 아이들(idle)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 구조와 대면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 및 상기 힌지 캠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 구조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은, 상기 제1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 구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 방향으로 돌출된 제1만곡부들 및 상기 제1만곡부들 사이에 형성된 제1캠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 구조 방향으로 돌출된 제2만곡부들 및 상기 제2만곡부들 사이에 형성된 제2캠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암이 회전될 때, 상기 제1만곡부들이 상기 제2만곡부들과 맞물리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은 제1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만곡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는, 상기 펼침 상태일 때, 상기 제1암의 지지 영역에 포함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영역은 상기 제1플레이트의 배면과 접촉되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은, 상기 펼침 상태일 때, 상기 제1플레이트의 배면과 접촉되는 접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영역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모듈은 이격 배치된 복수의 힌지 캠들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캠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브라켓은 상기 제1샤프트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 브라켓은, 상기 펼침 상태일 때, 상기 제1플레이트의 배면과 접촉되는 접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영역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힌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브라켓이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힌지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힌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은 상기 수용부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로테이트 및 상기 제2로테이트는, 상기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암 및 상기 제2암은 상기 제1로테이트 및 상기 제2로테이트와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플레이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로테이트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로테이트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로테이트 및 상기 제2로테이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샤프트 및/또는 상기 제2샤프트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펼침 상태일 때, 상기 제1플레이트 및/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배면과 접촉되기 위한 평면형 접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되고, 전자 펜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디지타이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모듈(예: 도 8의 힌지 모듈(320))은, 로테이트 브라켓(예: 도 5의 로테이트 브라켓(321))과, 폴딩축을 기준으로, 상기 로테이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로테이트(예: 도 8의 제1로테이트(322))와, 상기 제1로테이트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폴딩축을 기준으로, 상기 로테이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로테이트(예: 도 8의 제2로테이트(323))와, 상기 제1로테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폴딩축의 일측에서, 상기 폴딩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샤프트(예: 도 8의 제1샤프트(HS1))의 제1회전축(예: 도 8의 제1회전축(X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캠 구조(예: 도 5의 캠 구조들(3243, 3244))를 포함하는 제1암(예: 도 8의 제1암(324))과 상기 제2로테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폴딩축의 타측에서, 상기 폴딩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샤프트(예: 도 8의 제2샤프트(HS2))의 제2회전축(예: 도 8의 제2회전축(X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캠 구조(예: 도 5의 캠 구조들(3253, 3254))을 포함하는 제2암(예: 도 8의 제2암(325)) 및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캠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캠 구조와 캠 결합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예: 도 5의 힌지 캠들(327, 328, 329))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암, 상기 제2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캠 구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캠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은 그 상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예: 도 5의 플레이트들(341, 342))를 지지하기 위한 평면형 지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전자 장치 210: 제1하우징
220: 제2하우징 23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300: 힌지 장치 310: 힌지 하우징
320, 320-1: 힌지 모듈 322, 323: 로테이트
324, 325: 암(arm) 341, 342: 플레이트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하우징;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폴딩축에 대하여 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로써,
    힌지 하우징;
    상기 힌지 하우징에 고정된 로테이트 브라켓;
    상기 폴딩축에 대하여, 상기 로테이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된 제1로테이트;
    상기 폴딩축에 대하여, 상기 로테이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 연결된 제2로테이트;
    상기 제1로테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폴딩축의 일측에서, 상기 폴딩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샤프트의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캠 구조를 포함하는 제1암; 및
    상기 제2로테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폴딩축의 타측에서, 상기 폴딩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샤프트의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캠 구조를 포함하는 제2암; 및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캠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캠 구조와 캠 결합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을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
    상기 제1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아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암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된 제1플레이트;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아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암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 결합된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펼침 상태일 때, 상기 제1암, 상기 제2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캠 구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캠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은 그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평면형 지지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캠 구조는 상기 제1샤프트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샤프트에 아이들(idle)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캠 구조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은, 상기 제1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된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캠 구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 방향으로 돌출된 제1만곡부들 및 상기 제1만곡부들 사이에 형성된 제1캠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캠 구조 방향으로 돌출된 제2만곡부들 및 상기 제2만곡부들 사이에 형성된 제2캠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암이 회전될 때, 상기 제1만곡부들이 상기 제2만곡부들과 맞물리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은 제1회전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만곡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는, 상기 펼침 상태일 때, 상기 제1암의 지지 영역에 포함되는 위치에 배치된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은 상기 제1플레이트의 배면과 접촉되는 평면으로 형성된 전자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은, 상기 펼침 상태일 때, 상기 제1플레이트의 배면과 접촉되는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은 평면으로 형성된 전자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은 이격 배치된 복수의 힌지 캠들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캠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브라켓은 상기 제1샤프트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 브라켓은, 상기 펼침 상태일 때, 상기 제1플레이트의 배면과 접촉되는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은 평면으로 형성된 전자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브라켓이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힌지 하우징에 고정된 전자 장치.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테이트 및 상기 제2로테이트는, 상기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전자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 및 상기 제2암은 상기 제1로테이트 및 상기 제2로테이트와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전자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로테이트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로테이트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전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로테이트 및 상기 제2로테이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전자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 및/또는 상기 제2샤프트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펼침 상태일 때, 상기 제1플레이트 및/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배면과 접촉되기 위한 평면형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되고, 전자 펜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디지타이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힌지 모듈에 있어서,
    로테이트 브라켓;
    폴딩축을 기준으로, 상기 로테이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로테이트;
    상기 제1로테이트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폴딩축을 기준으로, 상기 로테이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로테이트;
    상기 제1로테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폴딩축의 일측에서, 상기 폴딩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샤프트의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캠 구조를 포함하는 제1암;
    상기 제2로테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폴딩축의 타측에서, 상기 폴딩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샤프트의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캠 구조를 포함하는 제2암; 및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캠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캠 구조와 캠 결합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암, 상기 제2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캠 구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캠 구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 캠은 그 상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평면형 지지 영역을 포함하는 힌지 모듈.
KR1020210103956A 2021-08-06 2021-08-06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52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956A KR102652785B1 (ko) 2021-08-06 2021-08-06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22/010120 WO2023013910A1 (ko) 2021-08-06 2022-07-12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02280054929.5A CN117882026A (zh) 2021-08-06 2022-07-12 包括显示器支撑结构的电子装置
EP22853289.1A EP4318182A1 (en) 2021-08-06 2022-07-12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support structure
US17/817,847 US20230044990A1 (en) 2021-08-06 2022-08-05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suppor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956A KR102652785B1 (ko) 2021-08-06 2021-08-06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934A KR20230021934A (ko) 2023-02-14
KR102652785B1 true KR102652785B1 (ko) 2024-04-01

Family

ID=8515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956A KR102652785B1 (ko) 2021-08-06 2021-08-06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52785B1 (ko)
WO (1) WO202301391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81808A1 (en) * 2019-12-13 2021-06-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Hinge and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8721B2 (ja) * 2016-09-01 2021-03-03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多軸ヒンジ並びにこの多軸ヒンジを用いた電子機器
KR102296241B1 (ko) * 2019-07-17 2021-09-01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인폴딩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TWI709843B (zh) * 2019-09-19 2020-11-1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軟性顯示屏幕之折收轉軸結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81808A1 (en) * 2019-12-13 2021-06-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Hinge an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3910A1 (ko) 2023-02-09
KR20230021934A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3949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ual display
KR20210152910A (ko) 정전기 유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318182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support structure
JP7439287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構造を含む電子装置
KR102652785B1 (ko)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7796165A (zh) 具有防水结构的电子装置
US2023004419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gitizer
US2022013766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KR102604357B1 (ko)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283436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flexible display
US20230081984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EP4346193A1 (en)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module
US20240061472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20230079135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electrostatic induction structure
EP4083747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EP4192212A1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ealing member
KR20230040174A (ko)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CN117795937A (zh) 包括显示器支撑结构的电子设备
KR2024002398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81243A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50193A (ko)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23166A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0822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70517A (ko)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4138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