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907A -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907A
KR20210015907A KR1020207037364A KR20207037364A KR20210015907A KR 20210015907 A KR20210015907 A KR 20210015907A KR 1020207037364 A KR1020207037364 A KR 1020207037364A KR 20207037364 A KR20207037364 A KR 20207037364A KR 20210015907 A KR20210015907 A KR 20210015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ass
composition
oil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2929B1 (ko
Inventor
마사키 마츠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ublication of KR20210015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분을 비교적 다량으로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투명성 및 보존 안정성이 뛰어난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기 성분 A와, 하기 성분 B와, 하기 성분 C와, 하기 성분 D와, 하기 성분 E와, 하기 성분 F와, 하기 성분 G와, 하기 성분 H를 함유하고, 상기 성분 A에 대한 상기 성분 B의 질량비(B/A)가 5.5∼18.0인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성분 A: 인지질
성분 B: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50인 폴리옥시에틸렌 스테롤 에테르 및/또는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50인 폴리옥시에틸렌 스타놀 에테르
성분 C: 분기쇄를 갖는 탄소수 12∼24의 1가의 지방족 알코올
성분 D: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다가 알코올
성분 E: 물
성분 F: 스테롤
성분 G: 유분
성분 H: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5∼30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Description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분을 함유하는 수계(水系)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부의 수분의 증산을 막아, 각질을 유연하게 하는 등 에몰리언트 효과가 있어, 보습성에 기여하는 점에서, 유분을 수계 화장료에 배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수계 화장료에, 물에 난용성인 유분을 배합하기 위한 기술로서, 미셀에 의한 가용화(예를 들면, 특허문헌 1)나, 캐리어로서 리포솜(폐쇄 소포체)(예를 들면, 특허문헌 2)을 이용하는 기술 등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개평11-262653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5-286824호 공보
그러나, 에몰리언트 효과를 발휘할 정도의 양의 유분을 배합한 투명한 수계 화장료를 조제하는 것은 극히 곤란했다. 예를 들면,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미셀을 형성하는 경우, 미셀의 크기는 통상 10∼20nm 정도로 매우 작아서, 미셀 내에 유분을 도입할 스페이스가 충분하지 않아, 배합할 수 있는 유분의 양은 한정적이 된다. 이 때문에, 외관이 투명한 수계 화장료가 얻어지기는 하지만, 충분한 에몰리언트 효과가 얻어진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 리포솜에 의해 유분을 배합하는 기술에도 문제가 있다. 리포솜은 100nm 오더의 사이즈로, 미셀보다도 커서, 리포솜막 내에 유분을 보다 많이 배합할 수 있다. 그러나, 리포솜의 입경(粒徑)에 의존하여 투명성은 저하하고, 특히, 저(低)점도의 로션제형에 배합한 경우는, 보존 안정성이 뒤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분을 비교적 다량으로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투명성 및 보존 안정성이 뛰어난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인지질과, 특정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롤 에테르 및/또는 특정의 폴리옥시에틸렌 스타놀 에테르와, 특정의 지방족 알코올과, 특정의 다가 알코올과, 물과, 스테롤과, 유분과, 특정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함유하고, 인지질과, 특정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롤 에테르 및/또는 특정의 폴리옥시에틸렌 스타놀 에테르를 특정의 질량비로 하는 수계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의하면, 유분을 비교적 다량으로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투명성 및 보존 안정성이 뛰어난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들의 지견에 의거하여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성분 A와, 하기 성분 B와, 하기 성분 C와, 하기 성분 D와, 하기 성분 E와, 하기 성분 F와, 하기 성분 G와, 하기 성분 H를 함유하고, 상기 성분 A에 대한 상기 성분 B의 질량비(B/A)가 5.5∼18.0인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성분 A: 인지질
성분 B: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50인 폴리옥시에틸렌 스테롤 에테르 및/또는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50인 폴리옥시에틸렌 스타놀 에테르
성분 C: 분기쇄를 갖는 탄소수 12∼24의 1가의 지방족 알코올
성분 D: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다가 알코올
성분 E: 물
성분 F: 스테롤
성분 G: 유분
성분 H: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5∼30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상기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하기 성분 I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I: 글리세린 모노2-에틸헥실 에테르.
상기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하기 성분 J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J: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의하면, 유분을 비교적 다량으로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투명성 및 보존 안정성이 뛰어난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인지질;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50인 폴리옥시에틸렌 스테롤 에테르 및/또는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50인 폴리옥시에틸렌 스타놀 에테르; 분기쇄를 갖는 탄소수 12∼24의 1가의 지방족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다가 알코올; 물; 스테롤; 유분;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5∼30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인지질을 「성분 A」,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50인 폴리옥시에틸렌 스테롤 에테르 및/또는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50인 폴리옥시에틸렌 스타놀 에테르를 「성분 B」, 분기쇄를 갖는 탄소수 12∼24의 1가의 지방족 알코올을 「성분 C」,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성분 D」, 물을 「성분 E」, 스테롤을 「성분 F」, 유분을 「성분 G」,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5∼30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를 「성분 H」라고 각각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추가로, 글리세린 모노2-에틸헥실 에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추가로,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모노2-에틸헥실 에테르를 「성분 I」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을 「성분 J」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즉,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성분 A, 성분 B, 성분 C, 성분 D, 성분 E, 성분 F, 성분 G, 및 성분 H를 적어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추가로 성분 I 및/또는 성분 J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상기 성분 A∼J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 예를 들면, 성분 A, 성분 B, 성분 C, 성분 D, 성분 E, 성분 F, 성분 G, 성분 H, 성분 I, 성분 J, 및 다른 성분 등의 각 성분은, 각각,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성분 A]
성분 A는 「인지질」이다. 성분 A는 미셀의 한 형태인 바이셀 구조(인지질로 구성된 디스크상(狀)의 지질 이분자막)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바이셀 구조 내에 유분을 비교적 다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성분 A로는, 인산 잔기를 포함하는 복합 지질로서, 천연 인지질, 합성 인지질, 천연 유래의 인지질의 불포화 탄소쇄를 수소에 의해 포화로 한 수소 첨가 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인지질로는, 예를 들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리소포스파티딜콜린, 스핑고미엘린,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등의 천연 인지질; 디라우로일포스파티딜콜린,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팔미토일·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등의 합성 인지질; 수소 첨가 대두 레시틴, 수소 첨가 난황 레시틴, 수소 첨가 포스파티딜콜린, 수소 첨가 포스파티딜세린 등의 수소 첨가 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보존 안정성이 뛰어난 관점에서, 수소 첨가 인지질이 바람직하고, 수소 첨가 대두 레시틴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A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성분 A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수소 첨가 대두 레시틴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상품명 「COATSOME NC-21」, 상품명 「COATSOME NC-61」(이상,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NIKKOL 레시놀 S-10EX」, 상품명 「NIKKOL 레시놀 S-10E」, 상품명 「NIKKOL 레시놀 S-10M」(이상, 닛코 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베이시스 LS-60HR」(닛신 오일리오 그룹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A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총량 100 질량%에 대해, 0.00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상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0.005 질량% 이상이면, 바이셀 구조를 형성하여, 성분 F를 안정되게 분산시키고, 보존 안정성도 한층 더 뛰어나다. 상기 함유 비율의 상한은, 3.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3.0 질량% 이하이면, 과도한 점도 상승을 억제하여, 분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성분 A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모든 성분 A의 함유 비율의 합계이다.
[성분 B]
성분 B는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50인 폴리옥시에틸렌 스테롤 에테르 및/또는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50인 폴리옥시에틸렌 스타놀 에테르」이다. 즉, 성분 B는,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스테롤 에테르 및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스타놀 에테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다. 성분 B는 성분 A와의 친화성이 높아, 성분 A와 함께 이분자막을 형성한다. 또한, 이분자막의 곡률을 조정하고, 이것에 의해 바이셀 구조의 안정화에 기여한다고 추정된다. 성분 B로는, 산화 안정성이 뛰어난 관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 스타놀 에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 스테롤 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스타놀 에테르란, 스테롤 또는 스타놀에 옥시에틸렌을 부가시킨 것이다. 스테롤 또는 스타놀에 부가시키는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는 15∼50이며, 20∼30이 바람직하다.
성분 B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타놀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콜레스테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콜레스타놀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식물성의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타놀 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성분 B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성분 B로는, 시판품을 이용해도 된다. 성분 B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상품명 「NIKKOL BPS-20」, 상품명 「NIKKOL BPS-30」, 상품명 「NIKKOL BPSH-25」(이상, 닛코 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B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총량 100 질량%에 대해, 0.03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0.03 질량% 이상이면, 바이셀 구조의 안정화에 충분히 기여하여, 투명성 및 보존 안정성이 한층 더 뛰어나다. 상기 함유 비율의 상한은, 15.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하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15.0 질량% 이하이면, 과도한 점도 상승을 억제하여 분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성분 B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모든 성분 B의 함유 비율의 합계이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A에 대한 성분 B의 질량비(B/A)는, 5.5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또, 상기 질량비(B/A)는, 18.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이다. 상기 질량비(B/A)가, 상기 범위 내이면, 투명성 및 보존 안정성이 한층 더 뛰어나다.
[성분 C]
성분 C는 「분기쇄를 갖는 탄소수 12∼24의 1가의 지방족 알코올」이다. 성분 C를 사용함으로써 지질 이분자막을 유연하게 하여, 안정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성분 C로는, 예를 들면, 옥틸도데칸올, 데실테트라데칸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존 안정성 향상의 관점에서, 옥틸도데칸올, 데실테트라데칸올이 바람직하다. 성분 C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C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총량 100 질량%에 대해, 0.00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0.005 질량% 이상이면, 보존 안정성이 한층 더 뛰어나다. 상기 함유 비율의 상한은, 0.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질량% 이하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0.5 질량% 이하이면, 투명성을 한층 더 향상시킨다. 상기 성분 C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모든 성분 C의 함유 비율의 합계이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A에 대한 성분 C의 질량비(C/A)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이상이다. 상기 질량비(C/A)가, 0.05 이상이면 보존 안정성이 한층 더 뛰어나다. 상기 질량비(C/A)의 상한은,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상기 질량비(C/A)가, 1.0 이하이면, 투명성이 한층 더 뛰어나다.
[성분 D]
성분 D는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다가 알코올」이다. 성분 D는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다른 성분의 용매로서 기능한다. 특히, 성분 D의 특정 3성분을 이용함으로써, 다른 성분을 분산한 경우의 분산액의 점도 상승이 억제되어, 분산성이 향상된다. 성분 D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D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총량 100 질량%에 대해, 0.2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다. 상기 함유 비율의 상한은, 30.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 이하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이면, 투명성 및 보존 안정성이 한층 더 뛰어나다. 상기 성분 D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모든 성분 D의 함유 비율의 합계이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A에 대한 성분 D의 질량비(D/A)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8.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다. 상기 질량비(D/A)의 상한은, 60.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이다. 상기 질량비(D/A)가 상기 범위 내이면,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백탁 방지가 한층 더 뛰어나다.
[성분 E]
성분 E는 「물」이다. 물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촉촉함과 산뜻한 감을 부여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수계 로션 등의 피부 화장료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E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총량 100 질량%에 대해, 55.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5.0 질량% 이상이다. 상기 함유 비율은, 95.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5.0 질량% 이하이다. 상기 배합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이면, 수계 로션에 적용할 때의 간편성 및 산뜻한 사용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성분 F]
성분 F는 「스테롤」이다. 성분 F는, 이분자막의 곡률을 조정하고, 이것에 의해 바이셀 구조의 안정화에 기여한다고 추정된다. 또, 피부의 배리어 기능 향상 등을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도 배합된다.
성분 F로는, 예를 들면, 동물 스테롤, 식물 스테롤(피토스테롤)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스테롤로는, 예를 들면, 콜레스테롤, 콜레스타놀, 7-디히드로콜레스테롤 등을 들 수 있다. 또, 식물 스테롤로는, 예를 들면, 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푸코스테롤, 스피나스테롤, 브라시카스테롤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F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성분 F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성분 F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상품명 「콜레스테롤 JSQI」, 상품명 「니혼약쿄쿠호 콜레스테롤」(이상, 닛폰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피토스테롤」(에자이 푸드·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피토스테롤-SKP」(다마 세이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F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총량 100 질량%에 대해, 0.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상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0.01 질량% 이상이면, 피부에 배리어 기능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함유 비율의 상한은, 2.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질량% 이하이다. 상기 질량 비율이, 2.0 질량% 이하이면, 보존 안정성의 향상이 한층 더 뛰어나다. 상기 성분 F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모든 성분 F의 함유 비율의 합계이다.
[성분 G]
성분 G는 「유분」이다. 성분 G로는, 예를 들면, 식물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납(蠟), 고급 지방산, 성분 C 이외의 고급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G는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피부의 수분의 증산을 막고, 각질을 유연하게 하는 등의 에몰리언트 성분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성분 G에는, 성분 F에 해당하는 것은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성분 G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 식물유로는, 예를 들면, 마카데미아넛유, 유칼리유, 야자유, 아보카도유, 홍화유, 올리브유, 팜유, 팜핵유, 쿠쿠이넛유, 시어기름(시어 버터), 카카오 버터, 아몬드유, 해바라기유, 로즈힙유, 올리브 스쿠알란, 키위 프루트 시드유, 살구씨유, 참기름, 대두유, 호호바유, 피마자유, 헤이즐넛유, 메도우폼유, 박하유, 아르간 오일, 캐럿 오일, 라벤더유, 슈가 스쿠알란, 다마스크 장미꽃 납(Rosa Damascena Flower Wax), 센티폴리아 장미꽃 납(Rosa Centifolia Flower Wax), 자스민꽃 왁스, 동백유, 이들의 수소 첨가물(예를 들면, 수소 첨가 피마자유, 수소 첨가 호호바유, 수소 첨가 팜유, 수소 첨가 아보카도유, 수소 첨가 대두유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유로는, 예를 들면, 올레인산 에틸,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팔미틴산 세틸, 팔미틴산 2-에틸헥실,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린산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린산 프로필렌 글리콜, 2-에틸헥산산 세틸,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 글리세릴,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아디핀산 디이소프로필, 테트라옥탄산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린산 펜타에리트리트,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트리에틸헥산산 에리스리틸, 히드록시스테아린산 2-에틸헥실, 헥사(히드록시스테아린산/스테아린산/로진산) 디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히드록시스테아린산/이소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 헥사히드록시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 (에틸헥산산/스테아린산/아디핀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미리스틴산/스테아린산) 글리세릴, 헥사(베헨산/안식향산/에틸헥산산) 디펜타에리스리틸, 안식향산 알킬(C12-15)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유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메틸폴리실록산,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등의 디메틸 실리콘유;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등의 메틸페닐 실리콘유;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의 환상(環狀) 실리콘유; 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카르복시 변성 실리콘, 지방산 변성 실리콘, 알코올 변성 실리콘, 지방족 알코올 변성 실리콘, 에폭시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등의 변성 실리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디메티콘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유로는, 예를 들면, α-올레핀 올리고머, 바셀린, 이소파라핀, 경질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스쿠알란, 합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파라핀 등,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수소 첨가(테트라데세닐/메틸펜타데센), 이소도데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납(蠟)으로는, 예를 들면, 카르나우바납, 칸델릴라납, 밀랍, 미강(米糠)납, 셸락납, 경랍(鯨蠟), 라놀린, 해바라기 종자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면,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 C 이외의 고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성분 G로는, 고극성(高極性)의 유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고극성의 유분은, 스테롤 골격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G로서 고극성의 유분을 포함하면, 에몰리언트 효과가 더욱더 향상한다. 고극성의 유분은,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 고극성의 유분으로는, 식물 유래, 동물 유래, 및 광물 유래 중의 어느 것도 사용 가능하다. 극성 유지로는, 예를 들면, 수소 첨가 팜유, 수소 첨가 호호바유, 시어기름, (아디핀산·2-에틸헥산산·스테아린산) 글리세릴올리고에스테르, 마카데미아넛 지방산 피토스테릴, 트리카프릴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린산 글리세릴, 트리미리스틴산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린산 글리세릴, 올레인산 피토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 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 로진산 디펜타에리스리틸, 헥사히드록시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에몰리언트 효과를 더욱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올레인산 피토스테릴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G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총량 100 질량%에 대해, 0.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0.01 질량% 이상이면, 보습이나 각질 유연 등의 에몰리언트 효과를 한층 더 발휘한다. 상기 함유 비율은, 0.3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하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0.3 질량% 이하이면, 보존 안정성이 더욱더 뛰어나다. 상기 성분 G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모든 성분 G의 함유 비율의 합계이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A에 대한 성분 G의 질량비(G/A)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1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이다. 상기 질량비(G/A)는,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상기 질량비(G/A)가, 상기 범위 내이면 보존 안정성이 한층 더 뛰어나다.
[성분 H]
성분 H는,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5∼30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이다. 성분 H는,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이분자막의 곡률을 조정하고, 이것에 의해 바이셀 구조의 안정화에 기여한다고 추정된다. 특히, 성분 G를 안정적으로 막 중에 가두어, 보존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한다. 성분 H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성분 H의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는 5∼30이다. 평균 부가 몰수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성분 H의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상기의 바람직한 범위 내이면, 유분을 안정적으로 바이셀 중에 가두어, 보존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를 한층 더 발휘한다. 그중에서도, 성분 H로는,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20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가 가장 바람직하다.
성분 H의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치(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6.0∼11.0, 바람직하게는 6.5∼10.5이다. HLB치가 상기 범위인 성분 H를 사용하면, 보존 안정성에 기여한다. 성분 H의 HLB치가 친유성을 나타낼수록, 보다 양호한 보존 안정성을 발휘한다. 또한, 상기 HLB치는, 그리핀(Griffin)법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H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총량 100 질량%에 대해, 0.0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다. 상기 함유 비율은, 5.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이면 성분 G를 안정적으로 지질 이분자막 중에 가두는 효과가 한층 더 뛰어나다. 상기 성분 H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모든 성분 H의 함유 비율의 합계이다.
[성분 I]
성분 I는, 「글리세린 모노2-에틸헥실 에테르」(「옥톡시글리세린」이라고도 칭해진다.)이다. 성분 I를 함유하는 경우, 바이셀 구조의 지질 이분자막 내에 들어가기 때문에, 막 형상에 유연성이 부여된다고 추정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투명성과 보존 안정성이 더욱더 향상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이 성분 I를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I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총량 100 질량%에 대해, 0.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0.01 질량% 이상이면, 투명성과 보존 안정성이 한층 더 뛰어나다. 상기 함유 비율의 상한은, 2.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2.0 질량% 이하이면, 보다 저자극성의 제(劑)로 할 수 있다.
[성분 J]
성분 J는,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이다. 성분 J를 함유하는 경우, 바이셀 구조의 지질 이분자막 내에 들어가기 때문에, 막 형상에 유연성이 부여된다고 추정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투명성과 보존 안정성이 더욱더 향상한다.
성분 J로는, 예를 들면,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1,2-데칸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J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이 성분 J를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J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총량 100 질량%에 대해, 0.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상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0.01 질량% 이상이면, 투명성과 보존 안정성이 한층 더 뛰어나다. 상기 함유 비율의 상한은, 2.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질량% 이하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2.0 질량% 이하이면, 보다 저자극성의 제로 할 수 있다. 상기 성분 J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모든 성분 J의 함유 비율의 합계이다.
[기타 성분]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A∼J 이외의 기타 성분이 추가로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기타 성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성분 H 이외의 계면활성제(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 저급 알코올, 성분 C 이외의 고급 알코올, 성분 D 이외의 다가 알코올, 자외선 흡수제, 분체(粉體), 산화 방지제, 방부제, 향료, 착색제, 킬레이트제, 청량제, 증점제(增粘劑), 비타민류, 중화제, 아미노산, pH 조정제, 미백제, 항염증제, 소취제, 동식물 추출물, 금속 이온 봉쇄제 등의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타 성분은,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외관은, 심미성(審美性)의 관점에서, 투명한 상태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투명성이 높은 것은, 배합된 유분의 응집이나 크리밍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매우 안정된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투명성은 보존 안정성의 지표가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는, 성분 A(인지질)는 미셀의 한 형태인 바이셀 구조를 형성한다. 바이셀 구조란, 인지질로 구성된 디스크상(狀)의 지질 이분자막이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바이셀 구조는, 미셀과 리포솜의 중간인, 20∼50nm 정도의 입경을 갖는다. 상기 바이셀 구조는, 지질 이분자막 내에 유분을 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미셀보다도, 보다 많은 유분을 배합할 수 있다. 게다가, 리포솜 정도의 입경을 갖지 않기 때문에, 보존 안정성도 뛰어나다. 또, 상기 바이셀 구조이면, 투명성도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 상기의 이유에서,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인지질로 형성된 리포솜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pH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5℃에 있어서 5.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5℃에서의 점도가 0.5∼1000mPa·s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00mPa·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도 측정은 B형 점도계를 이용하고, 점도에 맞는 로터를 선택하여, 회전수 60r/min으로 실시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바이셀 구조의 평균 입자 지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nm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nm 이상이다. 상기 평균 입자 지름의 하한이, 20nm 이상인 것에 의해, 바이셀 구조 내에 성분 G를 도입할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입자 지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nm 이하이다. 상기 평균 입자 지름의 상한이 100nm 이하인 것에 의해, 보존 안정성과 투명성이 보다 뛰어난 것이 된다.
상기 평균 입자 지름(nm)의 측정은, 동적 광산란 광도계나 투과형 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조제하려면,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교반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피부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과 함께 혼합 등 함으로써, 화장수 등의 피부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피부 화장료의 제조에 이용하는 원료(소위, 중간 원료)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수계나 저점도의 분산매에도 안정되게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성분 G를 피부 화장료 중에 배합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그 자체로 피부 화장료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의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가 얻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를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100 질량% 중의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1∼10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0 질량%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또는 피부 화장료)의 제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화장수(로션), 크림, 젤, 유액, 에어로졸 스프레이, 내추럴 스프레이, 스틱, 파우더, 롤 온, 시트(페이퍼) 등의 여러 가지 제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화장수(로션), 크림, 젤, 유액이 바람직하고, 화장수(로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또는 피부 화장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보습 화장료, 미백 화장료, 여드름 케어용 화장료, 안티에이징 화장료(예를 들면, 주름 억제, 처짐 억제 등을 목적으로 함) 등의 스킨 케어 화장료; 두피 케어 화장료(예를 들면, 보습, 피지 억제 등을 목적으로 함); 데오도란트 화장료; 선블럭 화장료; 셰이빙 화장료; 보디용 세정료(예를 들면, 보디 샴푸, 고형 비누 등) 두피용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또는 피부 화장료)은, 스킨 케어 화장료, 두피 케어 화장료인 것이 바람직하고, 스킨 케어 화장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또는 피부 화장료)은, 예를 들면, 화장품, 의약부외품, 의약품, 잡화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또는 피부 화장료)을 적용하는 부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얼굴(예를 들면, 이마, 눈가, 눈꼬리, 뺨, 입가 등), 팔, 팔꿈치, 손등, 손끝, 다리, 무릎, 발뒤꿈치, 목, 겨드랑이, 등(背), 두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물(성분 E)을 매체로 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인지질(성분 A),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50인 폴리옥시에틸렌 스테롤 에테르 및/또는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50인 폴리옥시에틸렌 스타놀 에테르(성분 B), 분기쇄를 갖는 탄소수 12∼24의 1가의 지방족 알코올(성분 C),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다가 알코올(성분 D), 스테롤(성분 F), 유분(성분 G),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5∼30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성분 H)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바이셀 구조는, 성분 A를 중심으로 하여, 성분 B, 성분 C, 성분 F, 성분 G, 성분 H로 구성된다. 또 성분 D는, 제조 시에 있어서의 다른 성분의 용매로서 기능한다. 상기 각 성분의 역할은 완전하게는 해명되어 있지 않지만, 성분 B 및 성분 F, 성분 H가 지질 이분자막의 곡률을 조정하고, 성분 C가 지질 이분자막의 유연성에 기여하고 있다고 추정되는데, 바이셀 구조의 안정성이 특히 향상된다. 일반적으로, 성분 G를 배합하면, 바이셀 구조는 불안정화하는 경향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성분 H를 지질 이분자막의 구성 성분으로서 포함함으로써, 지질 이분자막 내에 성분 G를 안정적으로 배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바이셀 구조는, 미셀과 리포솜의 중간인, 20∼50nm 정도의 입경을 갖는다. 상기 바이셀 구조는, 지질 이분자막 내에 성분 G를 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미셀보다도, 보다 많은 성분 G를 배합할 수 있다. 게다가, 리포솜 정도의 입경을 갖지 않기 때문에, 보존 안정성도 뛰어나다. 또, 상기 입경의 범위이면, 투명성도 손상되는 일이 없다.
이상의 메커니즘에 의해,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에몰리언트 효과를 갖는 유분을 포함하는 수계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이면서, 투명성 및 보존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에 기재한 배합량은, 각 성분의 배합량(즉, 각 원료 중의 유효 성분의 배합량. 소위 순분(純分))이며,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로 표시한다.
실시예 1∼18, 비교예 1∼11
표에 기록한 각 성분을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상법(常法)에 의해 조제했다.
표에 기재한 주된 성분은, 이하와 같다.
수소 첨가 레시틴: 수소 첨가 대두 레시틴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타놀: 상품명 「NIKKOL BPSH-25」, 닛코 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POE-25 피토스타놀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 A: 상품명 「NIKKOL BPS-20」, 닛코 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POE-20 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 B: 상품명 「NIKKOL BPS-30」, 닛코 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POE-30 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 C: 상품명 「NIKKOL BPS-5」, 닛코 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POE-5 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 D: 상품명 「NIKKOL BPS-10」, 닛코 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POE-10 피토스테롤
스테롤: 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A: 상품명 「EMALEX HC-20」, 니혼 에멀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PEG-20 수소 첨가 피마자유, HLB: 9.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B: 상품명 「브라우논 RCW-40」, 아오키 유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PEG-40 수소 첨가 피마자유, HLB: 12.5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C: 상품명 「브라우논 RCW-50」, 아오키 유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PEG-50 수소 첨가 피마자유, HLB: 13.5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상품명 「MYS-40V」, 닛코 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스테아린산 PEG-40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대해서 이하와 같이 평가했다.
(1) 투명성
조제 직후의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대해서, 육안 관찰을 행하였다. 결과, 모든 실시예는 투명했다.
(2) 보존 안정성(5℃, 40℃)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50g을 스크류관에 넣고, 5℃ 또는 40℃의 항온기 내에서 14일간 보존했다. 보존 후의 각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스크류관의 외관을 육안로 관찰하고, 보존 안정성을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평가 결과는 표에 기재했다.
<보존 안정성의 평가 기준>
○(양호): 분리, 석출물 또는 침전물이 전혀 인지되지 않는다.
×(불량): 분리, 석출물 또는 침전물을 인지한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성분 A∼H를 함유하고, B/A치가 5.5∼18.0의 범위인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실시예)은, 모두 징명(澄明)한 외관을 보이고, 저온 보존(5℃), 고온 보존(40℃)하에서도, 분리, 석출물 또는 침전물이 전혀 인지되지 않았다. 즉,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투명성이 뛰어나고, 저온 및 고온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성분 A, B, F, H 중 어느 것을 결여하는 비교예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저온 보존(5℃), 고온 보존(40℃)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분리, 석출물 또는 침전물이 인지되었다. 바이셀의 이분자막의 주요 구성 성분인 성분 A, B, 또는 F를 결여하는 비교예 1∼3에서는, 바이셀 구조 자체가 구성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바이셀 구조의 안정화에 성분 H(특정의 옥시에틸렌의 부가 몰수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가 기여하는바, 이것을 결여하는 비교예 4∼10은 바이셀 구조가 안정화되지 않아, 붕괴한 것으로 추측된다. 또 비교예 11은, B/A치가 본 발명에 규정된 범위 외인바, 저온 및 고온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불량이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처방예를 나타낸다.
〔처방예 1: 로션〕
디프로필렌 글리콜               5.0 질량%
글리세린                   15.0 질량%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 글리세릴        3.0 질량%
스쿠알란                    1.0 질량%
세탄올                     0.5 질량%
폴리소르베이트 60               0.1 질량%
폴리소르베이트 65               0.1 질량%
디메티콘                   1.0 질량%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알킬(C10-30))크로스폴리머 0.2 질량%
카르보머                   0.07 질량%
1,3-부틸렌 글리콜             0.08 질량%
옥톡시글리세린                 0.2 질량%
페녹시 에탄올                 0.3 질량%
인산 세틸                     0.1 질량%
이성화당                     1.0 질량%
히알루론산나트륨                0.01 질량%
가수분해 히알루론산                0.01 질량%
아르기닌                     0.4 질량%
에데트산2나트륨                0.05 질량%
바이오사카라이드검-1               0.01 질량%
향료                       0.05 질량%
실시예 3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5.0 질량%
정제수                         잔부
합계                      100.0 질량%
〔처방예 2: 미용 유액〕
디프로필렌 글리콜                8.0 질량%
글리세린                     2.0 질량%
이소스테아린산 프로필렌 글리콜         0.5 질량%
수소 첨가 레시틴                 0.5 질량%
올레인산 피토스테릴               0.1 질량%
(에틸헥산산/스테아린산/아디핀산) 글리세릴     0.5 질량%
스테아린산 글리세릴                0.3 질량%
이노시톨                     0.4 질량%
옥타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1.0 질량%
옥테닐호박산 전분 알루미늄         0.2 질량%
디메티콘                     1.0 질량%
베헤닐 알코올                  1.0 질량%
베헨산 글리세릴                  1.0 질량%
폴리소르베이트 60                 0.7 질량%
미강 엑기스                    0.1 질량%
카프릴릴 글리콜                 0.3 질량%
카르보머                     0.25 질량%
옥톡시글리세린                 0.05 질량%
마카데미아넛 지방산 피토스테릴          0.2 질량%
수산화칼륨                   0.1 질량%
페녹시 에탄올                  0.1 질량%
실시예 4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10.0 질량%
정제수                         잔부
합계                      100.0 질량%
〔처방예 3: 시트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0.3 질량%
수산화 레시틴                   0.5 질량%
1,3-부틸렌 글리콜              5.0 질량%
글리세린                     5.0 질량%
말티톨                     0.3 질량%
소르비톨                     0.2 질량%
히드록시에틸우레아                1.0 질량%
페녹시 에탄올                 0.3 질량%
디프로필렌 글리콜                8.0 질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0            0.4 질량%
카르보머                     0.08 질량%
크산탄검                    0.1 질량%
에데트산2나트륨                0.08 질량%
가수분해 히알루론산                0.01 질량%
가수분해 콜라겐                 0.05 질량%
모란 엑기스                    0.3 질량%
무화과 엑기스                   0.1 질량%
로즈힙유                   0.05 질량%
옥톡시글리세린                0.05 질량%
수산화칼륨                   0.08 질량%
카프릴릴 글리콜                0.05 질량%
폴리쿼터늄-51               0.01 질량%
마카데미아넛 지방산 피토스테릴        0.01 질량%
(메타크릴산 글리세릴아미도에틸/메타크릴산 스테아릴)코폴리머 0.01 질량%
실시예 12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1.0 질량%
정제수                        잔부
합계                       100.0 질량%
<시트 기재>
부직포(합성 섬유 50%, 라이오셀 50%)     100.0 질량%
시트 기재 1.0 질량부에 대해, 화장료 조성물을 11.0 질량부 함침시켰다.
〔처방예 4: 젤 크림〕
사카로미세스/쌀 발효액            10.0 질량%
트리옥타노인                   3.0 질량%
디프로필렌 글리콜                8.0 질량%
글리세린                      5.0 질량%
스쿠알란                      5.0 질량%
히드록시스테아린산 수소 첨가 피마자유       0.5 질량%
이소스테아린산 프로필렌 글리콜         0.5 질량%
수소 첨가 레시틴                  0.5 질량%
올레인산 피토스테릴               0.1 질량%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베헤네스-25)코폴리머 0.8 질량%
스테아린산 글리세릴                0.3 질량%
이노시톨                     0.4 질량%
옥타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0.3 질량%
미강 엑기스                    0.2 질량%
디메티콘                      1.0 질량%
베헤닐 알코올                  1.0 질량%
베헨산 글리세릴                  0.3 질량%
폴리소르베이트 60                 0.7 질량%
미강 엑기스                    0.1 질량%
카프릴릴 글리콜                0.01 질량%
카르보머                     0.05 질량%
옥톡시글리세린                0.05 질량%
마카데미아넛 지방산 피토스테릴         0.2 질량%
수산화칼륨                   0.15 질량%
페녹시 에탄올                 0.1 질량%
실시예 13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20.0 질량%
정제수                         잔부
합계                       100.0 질량%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의하면, 유분을 비교적 다량으로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투명성 및 보존 안정성이 뛰어난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하기 성분 A와, 하기 성분 B와, 하기 성분 C와, 하기 성분 D와, 하기 성분 E와, 하기 성분 F와, 하기 성분 G와, 하기 성분 H를 함유하고, 상기 성분 A에 대한 상기 성분 B의 질량비(B/A)가 5.5∼18.0인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성분 A: 인지질
    성분 B: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50인 폴리옥시에틸렌 스테롤 에테르 또는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50인 폴리옥시에틸렌 스타놀 에테르, 또는 이 둘 다
    성분 C: 분기쇄를 갖는 탄소수 12∼24의 1가의 지방족 알코올
    성분 D: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다가 알코올
    성분 E: 물
    성분 F: 스테롤
    성분 G: 유분
    성분 H: 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5∼30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기 성분 I를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성분 I: 글리세린 모노2-에틸헥실 에테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기 성분 J를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성분 J: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
KR1020207037364A 2018-09-28 2019-09-20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KR102532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85189 2018-09-28
JPJP-P-2018-185189 2018-09-28
PCT/JP2019/036973 WO2020066895A1 (ja) 2018-09-28 2019-09-20 皮膚化粧料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907A true KR20210015907A (ko) 2021-02-10
KR102532929B1 KR102532929B1 (ko) 2023-05-16

Family

ID=69951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364A KR102532929B1 (ko) 2018-09-28 2019-09-20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82697B2 (ko)
KR (1) KR102532929B1 (ko)
CN (1) CN112351768A (ko)
WO (1) WO20200668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004B1 (ko) * 2023-03-28 2023-12-27 (주)삼경코스텍 난용성 유효 성분이 안정화 된 천연 유래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함유 바이셀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2880A1 (ja) * 2021-03-25 2022-09-29 株式会社カネカ 脂質二重膜ディス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6824A (ja) 1992-04-08 1993-11-02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リポソーム含有化粧料
JPH11262653A (ja) 1998-03-17 1999-09-28 Nof Corp 水中油型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10235491A (ja) * 2009-03-31 2010-10-21 Nof Corp 化粧料用リポソーム
JP2018516588A (ja) * 2015-06-11 2018-06-28 アーチャー−ダニエルズ−ミッドランド カンパニー レシチン組成物ならびにこのようなレシチン組成物を作製および使用する方法
KR20180101458A (ko) * 2016-09-28 2018-09-12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화장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6498B2 (ja) * 2000-07-10 2010-01-27 ライオン株式会社 皮膚化粧料
JP2003267830A (ja) * 2002-03-15 2003-09-25 Kose Corp 液状化粧料
BRPI0923281A2 (pt) * 2008-12-03 2020-11-03 Shiseido Company, Ltd. produto cosmetico à base de óleo em água e seu método de produção
JP5778908B2 (ja) * 2010-10-25 2015-09-16 株式会社ファンケル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5074637B2 (ja) * 2010-10-29 2012-11-14 株式会社コーセー ベシクル組成物、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JP6114086B2 (ja) * 2013-03-28 2017-04-12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
JP6588568B2 (ja) * 2015-11-26 2019-10-09 株式会社コーセー バイセル構造体を含有する組成物
JP6887841B2 (ja) * 2016-03-29 2021-06-16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6824A (ja) 1992-04-08 1993-11-02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リポソーム含有化粧料
JPH11262653A (ja) 1998-03-17 1999-09-28 Nof Corp 水中油型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10235491A (ja) * 2009-03-31 2010-10-21 Nof Corp 化粧料用リポソーム
JP2018516588A (ja) * 2015-06-11 2018-06-28 アーチャー−ダニエルズ−ミッドランド カンパニー レシチン組成物ならびにこのようなレシチン組成物を作製および使用する方法
KR20180101458A (ko) * 2016-09-28 2018-09-12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화장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004B1 (ko) * 2023-03-28 2023-12-27 (주)삼경코스텍 난용성 유효 성분이 안정화 된 천연 유래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함유 바이셀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929B1 (ko) 2023-05-16
JPWO2020066895A1 (ja) 2021-04-01
JP6982697B2 (ja) 2021-12-17
WO2020066895A1 (ja) 2020-04-02
CN112351768A (zh)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2245B2 (ja) 水中油型乳化白濁皮膚化粧料
US20080233060A1 (en) High SPF transparent or translucent, cytoprotective, biodegradable, UV radiation resistant compositions
KR20160117111A (ko)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32929B1 (ko)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JP5827079B2 (ja) 粉体含有皮膚外用剤
CN108697613B (zh) 化妆料用组合物
US20210220234A1 (en) Nano-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In Which High Content Oils Are Stabilized
JP2011213621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102343745B1 (ko)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JP6747763B2 (ja) 乳化化粧料
JP5869296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US20220117875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 cyclodextrin hav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JP2020147538A (ja) 乳液状皮膚化粧料
EP3582746B1 (en) Cosmetic lotion
JP2023152863A (ja) 皮膚化粧料用組成物
WO2015066877A1 (en) Composition comprising surfactants and hydrophilic active ingredients
KR102381622B1 (ko) 쌀겨왁스의 안정화 방법 및 고 함량의 쌀겨왁스를 안정화한 나노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7387500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10248170A (ja) 化粧料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JP2024061324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および乳化化粧料
JP6632210B2 (ja) マスキング組成物
JP2021161077A (ja) 水性化粧料
JP2020152689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23048399A (ja) 乳化組成物
JP2022151457A (ja) 皮膚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