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703A - 송기 모듈 및 관련 연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송기 모듈 및 관련 연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703A
KR20210015703A KR1020200095464A KR20200095464A KR20210015703A KR 20210015703 A KR20210015703 A KR 20210015703A KR 1020200095464 A KR1020200095464 A KR 1020200095464A KR 20200095464 A KR20200095464 A KR 20200095464A KR 20210015703 A KR20210015703 A KR 20210015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film
air
nozzle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메쯔
크리스토프 헤글라우어
Original Assignee
브뤼크너 마시넨바우 게엠바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뤼크너 마시넨바우 게엠바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브뤼크너 마시넨바우 게엠바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10015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29C55/165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0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885External treatment, e.g. by using air rings for cooling tubula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20Edge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29C2035/046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dri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29C2035/1658Cooling us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29C2035/1658Cooling using gas
    • B29C2035/1666Cooling using gas dri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개선된 송기 모듈은,
- 가스 유동 입구 측(61c)과 반대편의 가스 유동 출구 측(61d)을 구비하는 송기 출구 채널(61)이 제공되어 있고,
- 송기 출구 채널(61)이 종 방향으로 분리되어서 적어도 2개의 송기 채널 부분(61a, 61b)을 형성하여, 적어도 2개의 송기 채널 부분(61a, 61b)이 송기 출구 채널(61)의 종 방향 연장부를 가로지르며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조절됨으로써, 송기 출구 채널(61)의 폭(B) 및 이에 따라 유동 단면이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기 모듈 및 관련 연신 시스템{VENTILATION MODULE AND ASSOCIATED STRETCHING SYSTEM}
본 발명은 송기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용 연신 시스템용 송기 모듈 및 그러한 송기 모듈을 구비하는 연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플라스틱 필름 제조에 송기 모듈이 사용된다. 송기 모듈은 시트 재료 특히 연신되는 플라스틱 필름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송기 노즐은 종종 횡단 방향으로 즉 재료 웹이 배출되는 방향과 전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에 따라 재료 웹의 위 및/또는 아래에서 재료 웹의 종 방향을 가로지르게 연장한다. 이러한 송기 노즐들이 필름 연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경우, 필름 연신 시스템은 1축 종 방향, 1축 횡 방향 또는 순차적 또는 동시 종 방향 및 횡 방향 연신 시스템일 수 있다.
필름 연신 공정에서 유출의 균일함과 배출되는 공기 유동의 온도 분포의 균일함이 특히 중요하다. 이는, 공정 중에 플라스틱 필름을 고르지 않게 가열하면 두께 프로파일과 플라스틱 필름의 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라스틱 필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작은 고온 영역은 예를 들어 차가운 플라스틱 영역보다 더 연신되어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매우 얇은 플라스틱 필름 및 포일 제조에 있어서 균일한 송기가 특히 중요하다.
원칙적으로, 열전달이 최대로 잘 되도록 하기 위해, 송기 노즐들이 플라스틱 필름에 최대한 근접하게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운송 시스템에 의해 이러한 가능성이 제한되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2개의 폐쇄된 둘레 경로 상에서 안내되는 클립이 어느 정도의 전체 높이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소위 운송 시스템 채널에서 운송되기 때문이다. 채널 위로 클립이 필름-측, 슬롯-측 개구를 통해 돌출하여 연신되는 플라스틱 필름의 가장자리를 유지하여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플라스틱 필름이 운송된다.
다양한 송기 모듈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송기 모듈은 종종 송기 노즐로도 호칭된다. DE 196 23 471 C1호는 천공형 노즐 형태로 구성된 송기 노즐을 개시하고 있다. 많은 수량의 홀들이 열을 지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잡아당기는 방향과 그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 양쪽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이러한 홀에 공기가 침투하여, 멀티-챔버 시스템을 통해 플라스틱 필름 웹으로 공급된다.
이는, 이동하는 재료 웹의 전체 가공 폭에 걸쳐 공기가 매우 빠르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가공 폭에 걸쳐서 열전달이 매우 일정하다. 노즐 박스 자체에서의 공기 배출 온도는 가공 폭에 걸쳐 매우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리턴 흡입은 통상적으로 개별의 노즐 박스들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노즐과 플라스틱 필름 평면 사이의 거리가 크기 때문에, 특히 필름 평면 영역에서 공기 유동이 고르지 않게 되어 온도 분포를 매우 고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필름의 가장자리에서 즉 특히 플라스틱 필름의 가장자리에서 온도 분포에 대한 방해가 있을 수 있는데, 이는 필름 가장자리를 잡고 있는 차가운 클립이 가장자리 영역 내의 주위 공기를 냉각시키기 때문이다. 플라스틱 필름의 가공 폭이 특히 좁은 경우, 이는 필름 평면 영역에서 공기의 온도 분포를 매우 고르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동하는 재료 웹 특히 플라스틱 필름 형태의 재료 웹의 위와 아래에 공기 유동이 이동하는 재료 웹에 공급될 수 있는 텔레스코픽 노즐 및 특히 텔레스코픽 슬롯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 박스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불리한 조건들이 부분적으로 개선되었다. 즉, 슬롯 노즐은 재료 평면 방향이나 재료 평면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노즐 본체 또는 노즐 채널과 관련하여 어느 정도 그 연장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실제에서 특히 나타나는 다른 문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송기 노즐과 노즐 박스 부착물이 실제에 존재하는 다양한 가공 폭에 적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로, 플라스틱 필름은 다양한 가공 폭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클립을 지지하는 레일 시스템들 사이의 거리가 그에 따라 조절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조절 이동은 사용되는 노즐 박스 부착물 또는 송기 노즐에 의해 적당하게 재현될 수 없다. 좀 더 유연한 가공 폭이 필요하다는 것은, 관련 송기 노즐 내의 노즐 박스 부착물이 교체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적인 노즐 박스 부착물과 관련 송기 노즐로는 예를 들면 50㎜ 내지 250㎜ 또는 250㎜ 내지 1000㎜의 유연한 가공 폭이 달성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에서는, 전술한 모든 단점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큰 차이의 조절 범위가 반복해서 세팅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이 없는 특히 필요한 재료 웹의 다양한 폭과 관련하여 더 넓은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는, 관련 노즐을 구비하는 개선된 송기 모듈(ventilationn module)을 제공하는 것이다. "재료 웹 폭"(material web width)은 궁극적으로 가공 폭(working width) 또는 필름 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대응하는 용어들이 종종 동시에 사용된다. 개선된 송기 모듈은 재료 웹의 평면 내에서의 온도 분포를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되어 있는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송기 노즐 및 청구항 제15항에 기재되어 있는 특징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 연신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들이 종속 청구항에 규정되어 있다.
많은 놀라운 이점들이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의 맥락에서 실현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은, 다시 흡입할 필요가 있는 중간 노즐 영역을 제공할 필요 없이, 완전한 송기 존에 걸쳐 연장할 수 있다.
노즐 자체는 이동 가능한 클립 또는 운송 시스템 채널의 하우징을 지지하는 운송 시스템의 약간 위에 위치한다. 노즐 배출 개구는 재료 웹의 이동 방향으로 갭 없이 처리될 재료 웹 위 영역에서 폐쇄되어 있다.
공기 또는 가스 흡입 개구들은 재료 웹의 측면에서 맞물리는 클립들 사이의 영역에 위치한다. 적어도 하나의 노즐 흡입 개구는 이동하는 재료 웹 특히 이동하는 플라스틱 필름 웹에 너무 근접하여 재료 웹에 대한 실제 노즐 흡입 개구의 거리가 클립 또는 예를 들면 클립 레버 형태의 클립 파트의 가장 먼 지점으로부터 재료 웹의 평면까지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것은 냉각 클립 자체에 의한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난기류로 인한 온도의 왜곡 없이, 재료 웹에 공급된 가스 또는 공기 유동이 가열 또는 냉각되는 재료 웹의 원하는 그리고 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직접 방출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재료 웹의 폭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장점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관련 노즐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장점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영역에서 쉽게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폭 방향으로의 설정에 관계없이, 취입된 공기는 재료 웹 위의 일반적인 공간이 아니라 클립들 사이에서 목표된 방식으로 다시 흡입될 수 있다. 가열되거나 냉각된 신선한 공기는 또한 재료 웹의 방향으로 공급된다. 이것은 필름 주위로 흐르는 공기와 더 차가운 클립 또는 인접한 벽 사이의 온도 교환을 자동으로 방지한다.
요약하면, 특히 연속 물품 라인 또는 재료 웹을 갖는 오븐에 대해 슬롯 또는 천공된 노즐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 및 그에 따른 송기 모듈의 기능은 상응하는 물품 또는 특히 연신할 플라스틱 필름 형태의 재료 웹을 가열 및 냉각하고 및/또는 물품 라인 또는 재료 웹 영역에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여기서, 제품 라인 또는 재료 웹은 두께가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노즐 출구 방향은 물품 라인 또는 재료 웹에 직각 또는 비스듬히 향하고, 송기 노즐은 물품 라인 또는 재료 웹 위에 및/또는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음의 장점을 달성할 수 있다:
- 송기 노즐의 작업 폭을 예를 들어 50㎜ 내지 2000㎜ 사이에서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이는 변경 시에 작업 폭을 변경하지 않고도 높은 수준의 유연성을 제공함).
-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노즐은 공기 유동을 최적으로 만들고, 냉각된 클립 및/또는 경계 벽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한다.
-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배출되는 가스 또는 기류가 최적으로 복귀 흡입될 수 있다.
-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노즐에 의해, 재료 웹의 평면에서, 예를 들어 400℃까지 매우 우수한 온도 분포가 달성된다. 이는 무엇보다도 에지 영역에 적용된다(이는 동시 연신 시스템의 경우에 특히 중요한데, 에지가 또한 연신되어야하고, 종래 기술에서는 냉각 클립에 의해 냉각되어서 예를 들면 연신되는 플라스틱 필름의 에지 영역에 매우 불리한 효과를 주기 때문임).
-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은 작업 폭에 걸쳐 매우 양호한 공기 분포를 허용한다.
-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필요하지 않은 관통 홀의 덮개 위에 잘못된 공기 유동을 방지한다.
-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 웹이 연신되는 경우, 주로 보다 균일한 온도 제어 및 분포에 의해 특히 필름 에지와 필름 중앙 사이의 연신비의 차이가 줄어든다.
-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특히 플라스틱 필름의 경우, 특히 플라스틱 필름의 탄성계수, 수축 또는 파단 연신과 관련하여 전체 작업 폭에 걸쳐 보다 균일한 재료 웹 물성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노즐이 사용되는 연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내부 운송 및 안내 레일과 관련 운송부와 실제 클립 파트를 구비하며 레일 위에서 이동 가능한 클립을 구비하는 운송 시스템 채널의 상정 가능한 실시형태의 단면도로, 클립 파트는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운송 시스템 채널 하우징 내의 개구에 걸쳐 필름 측 위에 돌출하고 있다.
도 3은 송기 노즐이 사용되고 있는 연신 시스템의 일 섹션의 개략적인 공간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송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는 송기 노즐이 재료 웹 레벨보다 위에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노즐의 개략적인 단면도로, 이 시스템은 폭이 좁은 재료 웹과 관련하여 설정되어 있다.
도 5b는 도 5a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송기 노즐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이 광폭의 재료 웹과 관련하여 설정되어 있다.
도 5c는 필름 또는 필름 레벨의 상부 송기 모듈 및 하부 송기 모듈을 재현하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개략적이고 단순화된 단면도이다.
도 6a는 전체 시스템이 작거나 좁은 재료 웹 폭과 관련하여 설정되는 경우, 도 5a 및 도 5b에 비해 약간 변형된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약간 벗어난 도면으로, 재료 웹 폭이 큰 것과 관련하여 설정된 경우이다.
도 7은 도 6a 및 도 6b와 관련하여 설명된 송기 노즐의 개략적인 공간도이다.
도 8a는 하나는 필름 레벨 위에 그리고 하나는 필름 레벨 아래에 도시되어 있는 2개의 송기 노즐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이 좁은 필름 웹 폭으로 설정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노즐을 구비하는 연신 시스템의 일 섹션의 공간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송기 노즐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이 넓은 필름 웹 폭으로 조절된, 도 8a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연신 시스템의 구성(construction of a stretching system)
예시적인 연신 시스템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을 설명한다. 여기서 연신 시스템은 주로 동시 연신 시스템으로 설명되지만,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당 송기 모듈은 일반적으로 다른 이동하는 재료 웹과 함께 사용되거나 예를 들어 단축 종 방향 연신 시스템, 단축 횡 방향 연신 시스템 또는 재료 웹 특히 플라스틱 필름이 먼저 종 방향으로 연신되고 이어서 횡 방향으로 또는 이와 반대로 먼저 횡 방향으로 연신되고 이어서 종 방향으로 연신되는 순차적인 종 방향 및 횡 방향 연신 시스템일 수 있는 연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예시로서 설명된 동시 연신 시스템은 필름 평면에 수직으로 진행하는 대칭의 중심 평면(SE)에 대해 대칭인 2개의 대칭으로 설계된 구동 시스템을 갖는다. 도 1은 관련 원주 이동 경로와 함께 견인 방향(1)으로 대칭 평면(SE)에 대칭으로 배치 된 2개의 구동 시스템을 도시하며, 개방 트랙 또는 모션 트랙(2) 위에서 순환하는 2개의 구동 시스템 사이에서 처리되는 즉 연신되는 재료 웹(F), 특히 플라스틱 필름(F)의 형태의 재료 웹이 당김 방향(1)을 따라 이동하며, 이를 위해 필름 에지를 파지하고 연신 시스템을 통해 필름을 이동시키는 클립이 사용된다.
원칙적으로, 플라스틱 용융물은 노즐 또는 압출기 노즐로부터, 일반적으로 칠 롤(chill roll)이라고도 하는 냉각 롤러 상으로 분배된다. 필름이 냉각 롤을 떠나자마자, 소위 캐스트 필름이 형성되고, 이는 일반적으로 필름을 템퍼링하기 위해 오븐으로 유입된다. 그 후, 그것은 일반적으로 더 이상 "캐스트 필름(cast film)"으로 지칭되지 않고 단지 "필름(film)" 또는 "플라스틱 필름(plastic film)"으로 만 지칭된다. 전체 연신 공정의 말기에서 그리고 일반적으로 이완 단계가 수행된 후, 즉 필름이 완전히 연신되고 오븐에서 나와 권출기(winder)에 감길 때, "필름"이라는 용어가 종종 사용된다.
연신 대상 필름(F)은 입구 영역(ER)에서 신장 시스템 내로 연장되며, 여기서 2개의 재료 웹 에지 또는 필름 에지(5)는 폐쇄 경로(2)를 순환하는 클립(K)에 의해 파지되고, 클립은 예시로 도 2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클립(K)은 재료 웹 또는 필름(F)을 그 위에, 즉 소위 오퍼레이터 측(OS) 및 드라이브 측(DS) 위에서 파지 및 클램핑 하기 위해 2개의 재료 웹 에지(8)를 파지한다. 이어서 필름(F)은 예를 들어 후속 예열 영역(PH)에서 가열되고 이어서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동시에 연신되기 위해 연신 영역(R)으로 공급된다. 플라스틱 필름을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동시에 연신시키기 위해 클립은 구동 속도(v1)에 비해 인피드 영역에서 더 높은 연신 속도(v2)로 가속된다. 클립들은 발산 경로 부분들에서 서로 멀어지고, 여기서 두 개의 연속된 클립들 사이의 거리 x와 클립들 사이의 거리 y는, 클립들이 한편으로는 드라이브 측의 관련 트랙들 위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오퍼레이터 측의 관련 트랙들 위에서 이동함에 따라 증가한다. 즉 플라스틱 필름의 반대쪽 에지 사이의 거리 y가 증가한다. 가이드 트랙(2)의 코스는 원하는 사양과 최적의 사양에 따라 조인트(G)에 의해, 특히 연신 존의 영역에서 조정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은 오븐(O)을 통과할 수도 있다.
거리 x 및 y는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원하는 연신비(stretching ratio)와 관련하여 증가된다. 제2 단계의 끝에서, 필름은 속도 v1을 초과하는 속도 v2를 갖는다.
이어서, 제3 단계에서, 연신된 필름(F)은 일반적으로 필름이 이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열처리 구역(HT), 즉 소위 어닐링 구역(annealing zone)을 통과한다. 이를 위해 속도 v2가 감속되고 연속된 클립들 사이의 거리 x가 줄어든다. 동시에, 반대편 클립들로부터의 거리 y가 감소될 수 있다. 속도는 원하는 이완 정도까지 감소된다. 열처리 동안, 필름이 이완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완은 종 방향, 횡 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일어날 수 있다. 종 방향 및 횡 방향의 양 방향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동시 연신 후, 종 방향 또는 횡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이완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필름이 제어된 방식으로 수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완 정도는 필름의 길이 및/또는 폭의 각 경우에서, 보통 2%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이다.
연신 시스템의 출구 단부(AR)에서, 즉 소위 출구 영역(A)의 말단부에서, 필름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클립에서 제거되고, 그런 다음 동시 연신 시스템을 빠져나간다.
레일 시스템 및 관련 클립의 구성(construction of a rail system and the associated clips)
관련 클립 파트 및 운송 파트를 구비하는 선형 모터 구동 동시 연신 시스템의 단면도가 예시로 도시되어 있는 도 2를 참조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다른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다른 공지의 해결책이 참조된다.
도 2에서 클립 운송 유닛(T)을 볼 수 있고, 클립 운송 유닛은 소위 클립 파트(6) 및 소위 운송 파트(7)를 포함한다. 클립 파트(6)는 소위 브리지(8)를 통해 운송 파트(7)에 연결된다. 뷰에 따라, 클립 브리지(8)는 운송 파트 또는 클립 파트에 추가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클립 파트(6)는 클립 축(25b)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고 때로는 나이프 플랩(25c)이라고도 호칭되는 클립 레버(25c)를 포함한다. 필름 연신 시스템의 경우, 필름(F)은 파지 면(25d)과 클립 테이블(25e) 사이에 고정, 즉 클램핑 및 유지된다.
배(pear)-형 또는 U-형 폐쇄 파트(25g)는 클립 레버를 개폐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대응하는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함께 필름을 클램핑 또는 해제하기 위해 제공된다. 폐쇄 파트의 디자인에 따라, 개폐가 순전히 기계적으로 또는 자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응하는 리니어 모터 드라이브를 갖는 리니어 모터 구동 동시 연신 시스템의 실제 구조는 예를 들어 EP 0 455 632 B1호 또는 DE 44 36 676 C2호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취해질 수 있으며, 그 개시 내용은 전체가 참조된다. 도 2의 단면도는 가이드 및 장착 레일(15)을 도시한다.
설명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한 쌍의 롤러(505), 즉 오버 헤드 쌍의 롤러(505a)는 각 주행면 상에서 진행하고,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방을 향하는 주행면(15a)상에서 롤링된다. 관련 클립 파트를 구비하는 관련 운송 파트의 전체 중량이 이 롤러 쌍을 통해 흡수되고 지지된다.
하부 주행면(15b)에서 구르는 한 쌍의 롤러(505b)는 주행 안전성을 보장하는 역할만 한다.
마지막으로, 한 쌍의 롤러(505c)와 반대편의 한 쌍의 롤러(505d)가 클립 측에 제공되며, 이 롤러는 관련 수직 주행면(15c, 15d)에서 롤링된다. 이에 의해 운송 파트(7)가 안내 및 지지된다.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15)은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 되어 있고, 상부 및 하부 주행 휠(505d) 사이의 클립의 측면에 있는 간극(401)에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수평 지지부를 통해 거리를 유지하며, 가이드 레일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레일 장치 및 그 위에서 작동하는 롤러에 대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임에 주목해야 한다. 롤러의 레일 시스템과 지지 요소는 완전히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 대신에 슬라이딩 요소가 또한 사용될 수 있고,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 자체는 또한 완전히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대응하는 운송 파트는 클립 운송 파트(T)와 함께 이동 가능한 고정 1차 파트(502) 및 2차 파트(503)를 포함하는 선형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다시 말해서, 동시에 운송 레일(15)(예컨대 모노레일)로도 기능하는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클립들 즉 클립(6)이 1차 파트(502) 및 2차 파트(503)에 의해 운송 파트(7)와 함께 종 방향으로 이동된다.
언급된 1차 파트(502)는 가이드 및 지지 레일(15)에 평행하게 장착된다. 2차 파트(503)는 언급된 영구 자석(503a)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각의 유지 케이지(503b)에 고정되어 궁극적으로 클립 본체(6)에 고정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차 파트와 2차 파트(502, 503) 사이에(작은) 간격 갭(Sp)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1차 파트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파가 운송 파트의 영구 자석(503a)에 작용하여 운송 파트를 이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클립 운송 파트(T)가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기술된 롤러로부터 벗어나면, 원칙적으로 롤러 베어링 대신 적절한 슬라이딩 요소를 사용하는 슬라이딩 베어링이 제공될 수 있다. 롤러 베어링과 플레인 베어링이 결합된 시스템도 가능하다. 여기에서도 공지의 솔루션이 참조된다.
따라서, 필름은 예를 들어 이러한 선형 모터 구동 동시 연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연신된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선형 모터 드라이브로부터 벗어나서, 팬터그래프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동시 연신 시스템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지된 해결책이 참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동시 연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순수한 종 방향 또는 순수한 횡 방향 연신 시스템 또는 필름이 종 방향으로 먼저 연신되고 이어서 횡 방향으로 연신되거나, 횡 방향으로 먼저 연신되고 이어서 종 방향으로 연신되는 순차적인 연신 시스템에서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서, 도 1은 횡 방향 연신만 도시하고 있다. 완전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이 연신 시스템에서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필름이 연신되지 않고 평행하게 이동될 때, 특히 오븐을 통해 평행하게 통과될 때에도 언급된다.
이어서, 대응하는 연신 유닛의 섹션의 공간도를 도시하는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특히 플라스틱 필름이 대응하는 연신 유닛의 횡 방향으로 아직 신장되지 않았거나 횡 방향으로 아직 신장되지 않은 선행 부분을 공간적으로 도시한다. 따라서, 필름 또는 플라스틱 필름(F)은 여전히 비교적 좁은 폭을 갖는다.
도시된 연신 시스템의 섹션에서, 2개의 측면 운송 시스템 채널(35)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운송 파트(7)는 대응하는 가이드 및/또는 지지 레일(15)상에서 이동될 수 있고 도시된 구성에서 브리지 파트(B)를 통해 실제 클립 파트(6)를 지탱한다. 이와 관련하여, 관련 운송 파트를 구비하는 클립 파트(6)는 이하에서 간략하게 "이동식 클립(K)"이라고도 지칭될 것이다.
도 3에서, 운송 시스템 채널(35)은 하우징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를 위해, 2개의 운송 시스템 채널 하우징(35a)이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이동 재료 웹(F)의 좌우에 배열되어 있다. 도 3에 따르면, 운송 시스템 채널 하우징(35a)은 각각의 경우에 상부 사이드, 하부 사이드, 원격 외부 사이드 및 이동 재료 웹(F)과 대면하는 내부 사이드(35b)를 구비한다. 내부 사이드는 아래에서 운송 시스템 차폐 벽(35b)으로도 호칭된다.
관련된 운송 시스템 채널 하우징(35a)을 구비하는 대응하는 운송 시스템 채널(35)은 또한 도 2의 단면도에서 볼 수 있으며, 도 2에 따른 이 실시형태에서 당김 방향(1)으로 클립(K)의 전방 이동을 위한 가이드 및 운송 레일(15)만이 운송 채널 하우징(35a)에 수용되고, 케이블 덕트 및 단자 박스를 위한 공간은 단순화를 위해 생략되었다. 복귀 경로를 위한 레일 시스템은 이 채널 하우징 장치(35a) 외부의 별도의 채널에 제공되거나 수용된다.
필름 측면에서, 2개의 운송 시스템 채널(35) 각각은 기둥-형 개구(37)를 가지며, 이를 통해 브리지(B)로도 지칭되는 연결 파트(8)가 실제 클립 파트(6)와 운송 파트(7) 사이에서 필름 방향으로 돌출 및 튀어나와 있다. 도 3에서, 클립(K)은 필름(F)의 대향 에지(5)를 파지하고 시스템을 통해 당김 방향(1)으로 이동 또는 구동되는 폐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종래 송기 모듈의 구성(construction of a conventional ventilation module)
종래 기술에 따른 종래의 송기 장치가 도 4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2개의 측면 운송 시스템 채널(35)을 도시하며, 이는 운송 파트(7) 및 브리지를 통해 유지되며, 클립 테이블과 클립 레버의 하단부 사이에 필름(F)이 고정되는 클립 파트(6)를 구비하는 레일 시스템을 나타낸다.
2개의 측면 운송 시스템 채널(35) 및 송기 노즐(41)은 송기 공간(BE)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이한 필름 폭에 대해 상이하게 적합하게 하기 위해, 2개의 운송 시스템 채널(35)은 예를 들어 반대 방향으로 도시된 화살표(39)에 따라 더 멀리 이동되어야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필름 폭보다 더 넓은 필름이 가공될 수 있는데, 이는 각각의 측면 필름 에지를 파지하는 도 4에 도시된 클립들이 서로로부터 더 이격되어 광폭의 필름(F)을 클램핑할 수 있으며, 필름은 당김 방향(1)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다양한 폭 설정과 2개의 측면 운송 시스템 채널들(35) 및 관련 이동식 클립들(K) 사이의 측면 거리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송기 모듈을 제공하기 위해, 대응하는 송기 노즐(41)이 필름 위에 그리고 필름 아래에 배치된다. 즉 송기 노즐(41)이 운송 시스템 채널(35) 바로 위와 아래에, 이에 따라 운송 시스템 채널 하우징(35c 및 35d) 바로 위와 아래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처음에 설명된 바와 같이 많은 단점이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필름(F) 방향으로 화살표(141)에 따라 송기 노즐(41)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면, 그에 따라 온도-제어된 공기가 필름 표면에 부딪힐 뿐만 아니라 냉각기 클립(K) 특히 클립 파트(6)에 부딪치면서 온도-제어된 공기가 냉각되기 때문이다. 이는 기류의 불안정성을 초래하고, 무엇보다도 불균일한 온도 분포 및 필름의 불균일한 가열로 이어지고, 무엇보다도 차가운 클립이 에지(5) 영역 내의 주위 공기를 냉각시키기 때문에 필름 에지에서의 온도 분포의 교란을 초래한다. 또한 필름(F)이 이동되는 동일한 공간에서, 화살표(141)에 따라 온도-제어된 공기 유동뿐만 아니라 사실상 화살표(143)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도 흘러서, 각 송기 노즐들(41)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복귀 흡입 채널(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흐르기 때문에, 공기 불안정성이 발생된다.
다른 단점은, 유연하게 조정 가능한 필름 폭으로 인해, 필름 폭이 최대인 경우에도 전체 단면에 걸쳐 흐르도록 하기 위해, 노즐 박스가 실질적으로 더 넓어야한다는 것이다. 필름 폭이 더 작은 경우에, 이들 에어 제트(145)는 상부의 커버(35c) 및 하부의 커버(35d)에 부딪히고, 이에 따라 송기 공간(BE)의 방향으로 편향되어 필름(F)의 온도 및 공기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ventil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러한 단점들을 방지하기 위해,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개략적으로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솔루션이 제안된다.
도 5a 및 5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송기 모듈을 통한 2개의 단면도, 즉 서로 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2개의 평행 운송 시스템 채널(35)을 통한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시스템을 통과하여 연신되는 해당 필름(F)은 평행 운송 시스템 채널들 사이에서 진행한다. 따라서, 단면도는 2개의 가이드 및 운송 레일(15)을 횡단하는 특히 이들과 수직으로 도시되며, 이들 레일(15) 및 실제 운송 유닛(7)은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공지의 해결책의 이전 설명 및 예시를 참조한다. 운송 시스템 채널 하우징(35a)의 기둥-형 개구(37)와 운송 시스템 채널(35)을 넘어 브리지(B)로 지정된 연결 파트를 통해 서로를 향해 돌출하는 실제 클립 파트(6)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필름 평면(E)에 클램핑된 필름(F)을 보유하고 있다.
이 경우, 송기 및 복귀 장치만이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데, 즉 송기 모듈이 필름 평면(E) 즉 필름(F) 위쪽에 제공되어 있다. 이의 미러 이미지로, 대응 송기 및 복귀 장치는 일반적으로 필름(F) 아래에 추가로 제공된다.
도 5a에 따른 단면도에서, 관련 이동식 클립(K)을 구비하는 관련 운송 시스템 채널(35)은 예를 들어 필름 에지(5)에서 비교적 작은 필름 폭을 갖는 좁은 필름(F)을 유지하고, 당김 방향으로 스트레칭 시스템을 통과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5b는 도 5a의 대응하는 단면도를 도시하지만, 예를 들어 2개의 운송 시스템 채널(35)이 최대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서로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조정되는 설정에서, 그에 따라 또한 조정된 레일(15)과 클립들이 레일(15) 상에서 서로로부터 더 멀어지게 이동하여 필름 에지에서 더 폭이 넓은 필름(F)을 파지하여 당김 방향(1)으로 연신 시스템을 통과하게 잡아당긴다.
이들 상이한 설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모듈도 다르게 설정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5a에 따른 도면에서, 상부 송기 노즐(51)을 구비한 상부 송기 모듈이 도시되어 있다. 상부 송기 노즐은 예를 들어 도 5a의 우측에 적당한 송기 노즐 공급 개구(53)를 구비하고, 이에 따라 온도-제어된 또는 용도에 따라 일반적으로 냉각된 공기 또는 가스 유동, 일반적으로 주위 공기(그러나 다른 가스 또는 가스 매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다른 가스 매체와 혼합 될 수 있음)가 화살표(55)에 따라 공급될 수 있다.
송기 노즐(51)의 중앙 영역에서, 예를 들어 대응하는 공기 또는 가스 유동은 바람직하게는 필름(F)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출구 개구(59)를 갖는 중앙 부분(57)(송기 또는 송기 노즐 챔버(57)) 내로 취입될 수 있다.
이어서, 가스 또는 공기 유동은 유동 화살표(63)에 따라 후속 송기 채널 또는 송기 노즐 채널(61)(때로는 송기 출구 채널(61)로도 지칭됨)을 통해 필름(F)의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스 또는 공기 유동은 가스 유동 입구 측(61c)을 통해 송기 노즐 또는 송기 출구 채널(61)로 공급되고, 이어서 가스 유동은 송기 출구 채널을 통해 유동한 후에 형성된 가스 유동 출구 측(61d)을 통해 노즐 출구 개구(62)에서 필름(F)의 방향으로 계속 흐를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실제 노즐 출구 개구(62)는 클립(K)의 거리 범위, 즉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필름 평면(E)과 커버(35)에서 가장 먼 지점 사이의 거리 XX보다 작은 거리 X에 위치하고 있다. 도 5a에서, 필름 평면(E)과 그 필름 평면(E)에서 가장 먼 관련 커버(35c)의 부분 사이의 거리는 XX로 지시되어 있다.
그 결과로, 예를 들어 온도-제어된 공기가 특히 필름에 공급되는 온도-제어된 가스 유동과 온도 차이가 있는 클립 본체에 의해 냉각되지 않고 필름(F) 이에 따라 필름 평면(E) 바로 위로 유동한다.
필름에 공급된 가스 또는 공기 유동은 이어서 당김 방향으로, 특히 유출 화살표(67)의 방향으로 서로 따르는 2개의 클립 사이에서 측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되거나 가열되지 않은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공기로 구성된) 상응하는 가스 유동이 전술한 송기 공급 개구(53)를 통해 일 측의 또는 송기 모듈의 2개의 대향 측(즉 양측)의 소위 공기 유입 측으로부터 송기 모듈로 공급될 수 있으며, 그 곳으로부터 가스 또는 공기 유동이 전술한 노즐 챔버(57)로 고르게 유입된다. 노즐 챔버로부터, 가스 또는 공기 유동이 전체 노즐 폭 및 전장에 걸쳐 즉 소위 출구 개구(59)의 전체 가용 단면에 걸쳐 고르게 유동하여 실제 송기 출구 채널(61)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소위 출구 개구(59)는 송기 출구 채널(61)을 위한 노즐 입구 개구(59)를 형성한다. 송기 챔버(57)의 출구 개구(59)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슬롯 및/또는 홀을 갖도록 설계된다. 이어서, 가스 또는 공기 유동은 필름(F) 방향으로, 즉 클립(K) 또는 클립 파트(6)의 레벨에서 배출되기 위해, 언급된 송기 출구 채널(61)을 통해 노즐 출구 개구(62)로 계속해서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이 유출 이동은 필름(F) 방향과 필름 평면(E) 방향으로 클립 본체들 사이에서 다소 방해받지 않고 일어날 수 있다. 필름(F)에 의해 반사된 가스 또는 기류는 리턴 노즐 방향으로 필름 에지를 통해 클립들(이들은 이동 방향 즉 당김 방향으로 서로가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음) 사이에서 흡입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운송 시스템 채널(35)의 상부 또는 커버 측면(35c)(즉, 필름 평면(F)으로부터 가장 먼 측면)과 송기 노즐(51)의 재료 웹 또는 필름 측면(51a) 사이에 간격 공간(43)이 다시 제공되어, 화살표 표시(67)에 따른 유동 방향으로 재순환된 가스 유동은 그에 상응하는 복귀 흡입 채널(70) 내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간격 공간(43) 내로 적절하게 이동된다. 재순환된 공기 또는 가스 유동이 이들 복귀 흡입 채널(70)을 가로질러 이동하여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상부 복귀 흡입 노즐(71)이나 챔버의 상부 부분에 도달할 수 있다.
거기에서부터, 재순환된 가스 또는 기류는 화살표(72)에 따라 예를 들어 히터(73)(가스 스트림을 위해 온도 제어, 즉 가열이 제공되는 경우; 그렇지 않으면, 여기에 냉각 장치(73)가 제공됨)로 더 안내되어, 다시 가스 또는 기류가 적당한 온도로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적당한 송기 장치를 통해 예를 들면 다시 송기 노즐 공급 개구(53)로 공급되어서, 가스 유동이 전술한 다시 유동 방향(55)으로 송기 채널(51)로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송기 노즐은, 도 5c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름(F)의 하부 측의 운송 시스템 채널(35)과 관련하여 필름 평면(E)의 높이에 거울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필요한 경우에, 연신 시스템을 통해 광폭의 필름(F)을 운송하고 연신하기 위해, 운송 시스템 채널(35)과 이에 따른 관련 클립들(K)이 서로로부터 측 방향으로 더 멀리 세팅되어 있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는 도 5b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기 노즐의 본 발명에 따른 원리 및 기본 구조 또한 도 5b에 따른 이러한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다.
도 5b는 필름(F) 방향으로 돌출된 실제 송기 출구 채널(61)을 갖는 송기 노즐이 적어도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고, 예를 들어 당김 방향(1)에 대해 또는 재료 웹 또는 플라스틱 필름(F)에 대해, 관련 좌측 운송 시스템 채널(35)을 갖는 좌측 이동식 클립(K)의 좌측 클립(K)(또는 클립 파트(6))인 송기 채널 부분(61a)을 구비한다. 그 다음에 별도의 송기 채널 부분(61b)이, 도 5b에 따른 단면도를 참조하면, 재료 또는 필름 웹(F)으로부터 반대편 측면 즉 재료 또는 필름 웹(F)의 우측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우측에 있거나 우측 운송 시스템 채널(35)에서 이동할 수 있는 클립(K)에 할당된다. 이에 따라서, 원칙적으로, 송기 채널 간격(61a, 61b)은 바람직하게는 필름 평면과 당김 방향(1)과 수직으로 연장하는 평면 내에서 분할되며, 거울 이미지로 배치 및/또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송기 채널 반쪽(61a, 61b)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필름 평면(E)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의 2개의 송기 출구 채널 부분(61a, 61b)은 필름 평면(E)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각부(64)로 합쳐지며, 여기서 하나의 송기 출구 노즐 부분(61a)과 관련된 각부(64a) 및 대향하는 송기 출구 노즐 부분(61b)과 관련된 각부(64b)는 서로 멀어지게 연장한다. 이들 각부(64a, 64b)는 가스 및 공기 유동을 송기 챔버(57)로부터 송기 출구 노즐(61)로 측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개구(83)를 한정한다.
즉, 운송 시스템 채널들(35) 사이의 거리와 이에 따라 필름 에지를 향해 측면으로 연장되는 2개의 레일(15)과 그 위에서 이동되는 클립들(K)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때, 2개의 송기 채널 부분(61a, 61b)도 어느 정도(이들은 별도로 조정될 수 있음) 조정되어서, 송기 채널(61)의 횡 방향 또는 당김 방향(1)에 직교하는 수직 방향의 폭이 상당히 넓어지게 된다. 송기 채널 폭(B)은 너무 커서 그에 상응하는 측면 송기 채널 벽(62a 및 62b)(이하, 송기 채널 시트로도 지칭됨)은, 운송 시스템 채널(35)의 폭 조정과 함께, 필름(F)의 방향을 향하는 송기 채널 벽(62a, 62b)의 전방 단부(62c)는 도 5a의 단면도에 따른 관련 이동식 클립(K)을 구비하는 운송 시스템 채널(35)의 위치가 서로 가까워지게 설정된 것과 같이, 클립들(K) 또는 클립 파트(6)에 대해 동일한 상대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설정되거나 조정된다.
이는 도 5b에 따른 변형 예에서도, 종래 기술에서 불리한 것으로 설명된 것과 같이 공기 또는 가스 스트림이 이제 클립 본체에 의해 냉각되지 않고 필름 본체(F)의 어느 정도 전체 폭에 걸쳐서 필름(F)에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b에 따른 설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필름(F)에 공급되는 공기 또는 가스 유동은 다시 먼저 간격 공간(43) 및 복귀 흡입 채널(70)을 통해 화살표 표시(67 및 69)에 따라 이동식 클립들 사이에서 유동하여 복귀 흡입 노즐 또는 챔버(71)로 유동하고, 거기서, 필요하다면, 히터(73)를 거쳐 순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필름 및 관련 송기 노즐에 대한 폭 조정은 일차원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종래 기술에서는 불가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노즐 출구 개구(62)가 또한 도 5b에 따른 폭 조정으로도 필름 평면(E)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급되는 온도-제어된 가스 스트림은 필름(F)으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F)의 폭(FB)이 작거나 최소인 인접 클립들 사이의 좁은 거리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폭(FB)이 큰 필름의 인접 클립들 사이의 거리에 대한 특별한 비교 실시형태의 단면도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이전 실시형태와의 본질적인 차이점은, 도 6a 및 6b에 따른 변형 예에서, 각각의 운송 시스템 채널(35)에 할당되고 이에 따라 대향 클립들(K)에 할당되며, 궁극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필름-측 송기 채널 단부 또는 송기 채널 에지(62c) 근방에 또는 필름-측 송기 채널 단부 또는 송기 채널 에지(62c)에서 관련 송기 채널 부분들(61a, 61b)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또는 가이드 벽(77)이 제공되어 있다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이들 가이드 벽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77)는 필름 평면(E)에서 보았을 때, 그들의 고정 지점(62d)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송기 채널 부분(61a 및 61b)의 각각 대향하는 외부 측면에서 분기된 후, 간격 공간(43)과 필름(F)을 향해 예를 들어 운송 시스템 채널(35) 또는 운송 시스템 채널 하우징(35a)의 상부 측(35c)(상측(35c)) 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놓여 있는 복귀 채널 벽(79a)으로 합쳐진다. 그 결과, 시스템이 서로를 향하거나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노즐 출구 개구(62) 및 따라서 2개의 송기 채널 부분(61a, 61b)의 폭 설정(B)보다 크거나 작게 조정될 때, 서로로부터 멀어지거나 서로를 향하게 하는 이동은 화살표 표시(39)에 따라 각각 할당된 운송 시스템 채널(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귀 가스 또는 기류가 화살표 표시(67)에 따라 대응하는 복귀 경로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벽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77)에는 또한 통과 개구(81), 예를 들어 천공된 개구 또는 슬롯 개구가 제공된다. 도 6a 및 6b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이들 슬롯 또는 갭 개구(81)는 도면의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종 방향 슬롯으로서 제공되어, 이들 가이드 벽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77) 아래 영역(이동식 클립(K)이 위치하고 있는)에서 도시된 화살표 표시(67')에 따라 복귀된 가스 유동이 도 6b에 도시된 상부 송기 노즐 장치에서 가이드 플레이트 위의 공간으로 리턴 채널 내로 유동할 수 있다. 여러 번 언급한 바와 같이, 필름 밑면의 송기 노즐은 이에 맞추어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좁고 접힌 상태에서 실제 송기 노즐 또는 송기 출구 채널(61)을 공간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아래에서 도 7을 참조한다. 여기서 슬롯-형 통로 개구(81) 형태로 언급되어 있는 통로 개구(81)는 측벽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77)에 도시되어 있다.
상부 송기 노즐(51) 및 대응하는 하부 송기 노즐(51')을 구비한 완전한 송기 노즐의 대응하는 공간 표현이 이제 도 8a 및 도 8b에 기초하여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필름 평면(E)을 가로지르는 단면으로 이에 의해 필름(F)의 당김 방향(1)을 가로지르는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도 8a는 플라스틱 필름이 작은 폭(FB)을 갖는 배열, 즉 레일(15)을 순환하는 대응 측면 클립(K)이 서로를 향해 짧은 시간 간격으로 이동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8b에 따른 도면에서, 상부 및 하부 송기 노즐(51 및 51')을 갖는 대응하는 송기 노즐은, 필름 에지가 클램핑되어 있는 큰 폭(FB)의 특별하게 넓은 필름을 유지하고 이를 당김 방향으로 시스템을 통해 이동시키기 위해 최대 측면 간격 위치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관련된 원주 클립(K), 클립의 레일(15) 및 여기에서 운송 시스템 채널 하우징(35a)을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 채널(35)을 갖는 2개의 송기 채널 부분(61a 및 61b)은 최대 폭 거리 위치로 된다.
또한 이 도면으로부터, 언급된 가이드 벽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77)가 예를 들어, 통로 개구(81)가 슬롯 형인 경우, 즉 서로 평행하고, 필름 평면(E)에 평행한 경우, 하나가 다른 위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통로 개구(81)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다수의 가스 통로 개구를 갖는 영역에 걸쳐 분포 된 횡단하는 종 방향 슬롯 또는 홀 개구가 또한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서 실제 가스 공급 영역은 상부 노즐 박스(51)로부터 개방 가스 통로 벽(83)을 통해 실제 송기 채널(61) 내로 실제 송기 채널(61) 내인 것을 알 수 있다. 가스 통로 벽(83)은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59)의 배열, 즉 가스 또는 공기 흐름이 송기 챔버(57)로부터 실제 송기 출구 채널(61) 내로 유동할 수 있는 송기 출구 채널(61)을 위한 하나 이상의 노즐 출구 개구(59)의 배열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가스 통로 벽(83)에서 송기 출구 채널(61) 내로의 배출구 개구(59) 및 이에 따라 노즐 배출 개구(59)가 천공 그리드의 형태로, 즉 다수의 개별 구멍이 종 방향과 횡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 되어 배치되어 있는 형태로 또는 다수의 개별 구멍이 이 가스 통로 벽(83) 내에 종 방향과 횡 방향으로 도입되어 있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대응하는 공기 또는 가스 통로 개구(59)는 도 8b에 따른 송기 채널 부분(61a 및 61b)의 폭 거리가 최대로 조정되더라도 대응하는 가스 또는 공기 유동이 이 가스 통로 벽(83)을 통해 실제 송기 채널(61) 내로 조절된 폭과 길이에 걸쳐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는 화살표(141)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능하면 최대한 자유롭게 흐를 수 있는 영역에 분포되어 배치된다.
도 6a 및 6b 그리고 도 8a 및 도 8b에 따른 예시로부터, 2개의 송기 채널 부분(61a 및 61b)은 필름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측면에서 커버 벽 또는 커버 플레이트(91)로 합쳐지고, 이 커버 플레이트는 필름 평면(E)과 평행하게 진행하며, 바람직하게는 송기 노즐 또는 송기 챔버(51)의 하부 벽의 하부 위에 바로 인접하는 것을 알 수 있거나 적어도 이해할 수 있다(도 6b 및 8b에 따른 상부 송기 노즐에 기초하여). 도 6a 및 도 8a에 따라 전체 시스템이 작은 필름 폭으로 조정되면, 이들 커버 벽 또는 커버 플레이트(91)는 필름-측 경계 벽(51a)의 일부로서 천공된 가스 통로 벽(83)의 대부분을 덮어서, 가스 또는 공기 유동이 차폐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는 통로 개구(81)를 통해서만 실제 송기 채널(61)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송기 채널은 언급된 커버 벽 또는 커버 플레이트(91)에 의해 폐쇄되지 않는다.
전체 시스템이 도 6b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필름 폭(FB)으로 설정되면, 2개의 송기 채널 부분(61a 및 61b)이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될 뿐만 아니라(관련 운송 시스템 채널(35)과 함께), 관련된 커버 벽 또는 커버 플레이트(91)도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어서, 가스 통로 벽(83)의 더 큰 영역 또는 최대 영역이 해제된다. 즉, 공급된 가스 또는 공기 흐름이 바람직하게는 전체 폭(B)에 걸쳐서 상부 송기 챔버(57) 또는 노즐 박스(51)로부터 송기 채널(61) 내로 유동할 수 있다. 시스템이 넓은 플라스틱 필름의 송기를 위해, 즉 송기 채널 부분(61a 및 61b)이 떨어지게 이동되는 상태로 설정 되더라도, 노즐 출구 개구(62)는 여전히 필름(F) 및 필름 평면(E) 바로 근방에 배치되고, 가스 또는 공기 유동이 소용돌이 되지 않고, 출구 측에 위치하는 차가운 클립 본체에 의해 온도가 변화하지 않으면서, 대응하는 가스 또는 공기 유동이 송기 채널을 통해 실제 클립(K) 또는 클립 파트(6)를 다소 지나 필름(F)으로 계속해서 공급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이점이 실현된다. 좁은 플라스틱 필름이 송기 노즐로 적절히 온도 제어 또는 냉각되는 설정은, 상당히 넓은 플라스틱 필름이 그에 따라 처리되는 설정까지 전체 조정 범위에 걸쳐 방해받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 따른 이 예시로부터, 상기 언급된 복귀 흡입 채널(69)이 여러 번, 예를 들어 당김 방향(1)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복수의 관형 채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부 복귀 흡입 챔버(69)의 말단부에 이미 언급된 가열, 온도-제어 또는 필요에 따라 냉각 장치(73)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상응하여 재순환된 공기 또는 가스 유동은 하류 팬(75)을 통해 흡입되어 팬(75)의 출구 측을 통해 노즐 장치의 입구 개구(53)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Claims (16)

  1. - 가스 유동 입구 측(61c)과 반대편의 가스 유동 출구 측(61d)을 구비하는 송기 출구 채널(61)이 제공되어 있는, 특히 플라스틱 필름을 연신하기 위한 연신 시스템용 송기 모듈에 있어서,
    - 송기 출구 채널(61)이 종 방향으로 분리되어서 적어도 2개의 송기 채널 부분(61a, 61b)을 형성하여, 적어도 2개의 송기 채널 부분(61a, 61b)이 송기 출구 채널(61)의 종 방향 연장부를 가로지르며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조절됨으로써, 송기 출구 채널(61)의 폭(B) 및 이에 따라 유동 단면이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노즐 입구 개구(59) 측면 위 및/또는 노즐 출구 개구(62) 반대편 측면 상의 2개의 송기 출구 채널 부분(61a, 61b)이 바람직하게는 필름 평면(E)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각부(64)로 합쳐지고, 송기 출구 노즐 부분(61a)과 관련된 각부(64a) 및 반대편의 송기 출구 노즐 부분(61b)과 관련된 각부(64b)가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며, 이들 각부들(64a, 64b)이 송기 챔버(57)로부터 송기 출구 노즐(61)로 측 방향으로 가스 및 공기 유동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개구(83)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송기 채널 부분(61a, 61b)이, 각 경우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벽(77) 또는 하나의 가이드 플레이트(77)에 의해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각 외부 측면 위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a) 송기 출구 노즐 부분(61a, 61b)의 각각 마주보는 외부 측면 상의 가이드 벽(77)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77)는 필름 평면(E) 및/또는 노즐 출구 개구(62)로부터 발산하고, 필름 평면(E)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지지 부분으로 합쳐지며, 이 지지 부분은 필름 평면(E)에서 떨어져 있는 운송 시스템 채널(35), 운송 시스템 채널 하우징(35a) 또는 운송 시스템 차폐 벽(35b)의 단부 위에 지지되어 있으며, 및/또는
    b) 가이드 벽(77)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77)에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통로 개구(81)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통로 개구를 통해 가스 또는 공기 역류가 필름(F)을 향하는 측면으로부터 가이드 벽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77)와 떨어져 있는 측면 위의 이 적어도 하나의 통로 개구(81)를 통해 거기에 형성되어 있는 복귀 유동 채널로 유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기 모듈.
  5. 다음의 특징들을 구비하는, 관련 송기 모듈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필름을 연신하기 위한 연신 시스템.
    - 서로 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2개의 둘레 이동 경로 또는 트랙(2)이 제공되고,
    - 이동 경로 또는 트랙(2)의 적어도 일부가 운송 및/또는 가이드 레일(15)로 형성되고,
    - 클립들(K)이 이들 운송 및/또는 가이드 레일(15) 상에서 이동하되, 클립들은 운송 및/또는 가이드 레일(15) 상에서 운송 파트(7)에 의해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클립(K)은 필름-측 클립 파트(6)를 포함하고, 필름(F)의 당김 방향(1)에 대하여, 좌측의 이동식 클립(K)은 필름(F)의 좌측 필름 에지를 파지하고, 우측의 이동식 클립(K)은 필름(F)의 우측 필름 에지를 파지하여 연신 시스템을 통해 이동할 수 있고, 연신 시스템을 통해 규정된 필름 평면(E)에서 필름(F)을 운반하고,
    - 필름 평면(E) 위에 및/또는 이 필름 평면(E) 아래에 상부 및/또는 송기 노즐(51, 51')이 제공되고,
    - 송기 채널(61)이 종 방향으로 분리되어서 적어도 2개의 송기 채널 부분(61a, 61b)을 형성하여, 적어도 2개의 송기 채널 부분(61a, 61b)이 송기 출구 채널(61)의 종 방향 연장부를 가로지르며 그리고 필름 평면(E)에 평행하게 또는 필름 평면(E)과 평행하게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향해 또는 컴포넌트로부터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조절되고, 그 결과로 송기 출구 채널(61)의 폭(B) 및 이에 따라 유동 단면이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음.
  6. 제5항에 있어서,
    다음 특징들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시스템.
    - 각 경우에서, 상부 및/또는 하부 송기 노즐(51, 51')은 적어도 2-파트 송기 채널(61)을 포함하되, 하나의 송기 채널 부분(61a)은 당김 방향(1)으로 좌측 클립(K)에 할당되고, 좌측 운송 시스템 채널(35)에 할당되며, 반대편의 제2 송기 채널 부분(61b)은 필름(F)의 당김 방향(1)과 관련하여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클립(K) 및 우측 운송 시스템 채널(35)에 할당되며, 및
    - 2개의 송기 채널 부분들(61a, 61b)은 필름(F)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송기 챔버(57)와 관련하여,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직접 또는 간접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송기 챔버(57) 및/또는 관련 운송 시스템 채널(35)을 통해 유지되고 그리고 특히 이동 가능하게 유지됨.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a) 연신 시스템의 동일한 연신 부분에서 2개의 측 방향 운송 및/또는 가이드 레일(15)이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조정됨에 따라, 필름(F) 방향으로 배향되는 2개의 송기 채널 부분들(61a, 61b)은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로부터 동일한 정도로 멀어지게 조정될 수 있고, 및/또는
    b) 송기 채널 부분들(61a, 61b)은, 2개의 측 방향 운송 및/또는 가이드 레일(15)과 함께 및/또는 2개의 측 방향 운송 시스템 채널(35)과 함께,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조정될 수 있으며, 또는
    c) 송기 출구 채널(61)의 폭(B)이 2개의 대향 클립(K)의 최소 거리 또는 최소 거리로부터 30% 미만, 특히 25%, 20%, 15%, 10% 미만 특히 5% 미만만큼 벗어나도록, 송기 출구 채널(61)의 폭(B)이 당김 방향(1)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넓거나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시스템.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립(K)은 클립 파트(6)와 브리지(8)를 통해 클립 파트에 연결되어 있는 운송 파트(7)로 분할되어 있고, 운송 파트(7)는 운송 및/또는 가이드 레일(15) 상에서 이동할 수 있고, 클립 파트(6)와 운송 파트(7) 사이에는 높이(H)를 갖는 운송 시스템 차폐 벽(35b)이 제공되고, 송기 출구 채널(61)은 필름 평면(E) 방향으로 멀리 돌출하여서, 송기 출구 노즐 개구(62)는,
    a) 필름 평면(E)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운송 시스템 차폐 벽(35b)의 단부보다 필름 평면(E)에 더 근접하고, 및/또는
    b) 필름 평면(E)에 근접하여서 송기 출구 노즐 개구(62c)가 필름 평면(E)으로부터, 필름 평면(E)에서 가장 먼 클립 파트(6) 및/또는 관련 클립 레버(25c)와 필름 평면(E) 사이의 거리(XX)보다 더 작은 거리(X)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시스템.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송기 출구 채널 부분(61a, 61b)을 구비하며 필름(F) 방향으로 돌출하는 송기 출구 채널(61)이 운송 시스템 차폐 벽(35b)의 원위 단부보다 필름 평면(E)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송기 챔버(51)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시스템.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송 시스템 차폐 벽(35b)이 운송 시스템 채널(35) 및/또는 운송 시스템 채널 하우징(35a)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시스템.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당김 방향(1)으로 서로가 인접하게 놓인 2개의 클립(K) 사이에 형성되고, 운송 시스템 채널(35) 또는 필름 평면(E)으로부터 이격되어 종료되는 운송 시스템 채널 하우징(35a)과 더 멀리 있는 송기 챔버(57)의 경계 벽 사이의 간격 공간(43)에 의해 형성되는, 가스 복귀 유동 경로가 제공되고, 및/또는
    b) 가스 또는 기류를 위한 복귀 유동 경로가 복귀 채널(69)을 통해 복귀 챔버(71)로 이루어지고, 복귀 채널(69)은 공기 또는 가스 유동을 공급하기 위한 송기 챔버(57)를 통해 연장하는 채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시스템.
  12.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 평면(E) 반대편을 향하는 측면 위의 2개의 송기 출구 채널 부분(61a, 61b)은 필름 평면(E)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각부(64)로 합쳐지고, 하나의 송기 출구 채널 부분(61a)과 관련된 각부(64a) 및 반대편 송기 출구 채널 부분(61b)과 관련된 각부(64b)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며, 이들 각부(64a, 64b)는 송기 챔버(57)로부터 송기 출구 노즐(61)로 측 방향으로 가스 및 기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개구(83)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시스템.
  13.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기 챔버(57)와 송기 출구 노즐(61)의 노즐 입구 개구(59) 사이의 최대 공급 개구(83)는 2개의 송기 출구 노즐 부분(61a, 61b)이 최대로 조절될 수 있는 폭 범위(B)에 대응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그 폭 범위(B)로부터 30% 미만, 특히 25%, 20%, 15%, 10% 또는 5% 미만만큼 벗어나는 양에 대응되게 천공된 및/또는 슬롯형 그리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시스템.
  14. 제5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송기 출구 노즐 부분(61a, 61b)은, 각 경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벽(77) 또는 하나의 가이드 플레이트(77)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각 외각 측면 위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a) 송기 출구 노즐 부분(61a, 61b)의 각 대향하는 외각 측면 위의 가이드 벽(77)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77)는 필름 평면(E)으로부터 발산하고, 필름 평면(E)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지지 부분으로 합쳐지며, 상기 지지 부분은 필름 평면(E)으로부터 원격되어 있는 운송 시스템 채널(35), 운송 시스템 채널 하우징(35a) 또는 운송 시스템 차폐 벽(35b)의 단부 위에 지지되어 있고, 및/또는
    b) 가이드 벽(77)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77)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통로 개구(81)가 제공되어 있으며, 통로 개구를 통해 가스 또는 공기 역류가 필름(F)을 향하는 측면으로부터 가이드 벽(77)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77)로부터 원격되어 있는 측면 상의 이 적어도 하나의 통로 개구(81)를 통해 거기에 형성되어 있는 복귀 유동 채널로 유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시스템.
  16. 제5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팬 장치가 제공되어 있으며,
    a) 적어도 하나의 팬 장치(75)가 적어도 하나의 송기 챔버(57) 또는 송기 챔버 상류에 배치되어 있는 중간 챔버의 입력 측면 상에 제공되고, 팬 장치에 의해 송기 챔버(57)를 통해 제공되는 가스 또는 공기 유동이 송기 출구 채널(61)로 운송될 수 있으며, 및/또는
    b) 적어도 하나의 팬 장치(75)가 가스 또는 공기 유동 복귀 채널의 출구 단부에 배치되고, 팬 장치에 의해 순환된 가스 또는 공기 유동이 흡입되어 입구 측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송기 챔버(57) 중 하나의 챔버 내로 직접 또는 간접으로 취입되고, 및/또는
    c) 순환 회로 내에 바람직하게는 팬 장치(75)의 흡입 측면의 상류에서 가스 또는 공기 유동용 히터(73)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신 시스템.
KR1020200095464A 2019-08-01 2020-07-30 송기 모듈 및 관련 연신 시스템 KR202100157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20794.0A DE102019120794A1 (de) 2019-08-01 2019-08-01 Belüftungsmodul sowie zugehörige Reckanlage
DE102019120794.0 2019-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703A true KR20210015703A (ko) 2021-02-10

Family

ID=7145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464A KR20210015703A (ko) 2019-08-01 2020-07-30 송기 모듈 및 관련 연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59981B2 (ko)
EP (1) EP3795332A3 (ko)
JP (1) JP2021035767A (ko)
KR (1) KR20210015703A (ko)
CN (1) CN112297408B (ko)
DE (1) DE1020191207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283B1 (ko) * 2021-11-01 2022-05-19 주식회사 에스티영원 필름 연신장비의 열풍공급용 노즐장치 및 노즐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1632B (zh) * 2021-12-03 2022-10-28 连云港市金田高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双向拉伸聚丙烯复合薄膜的冷却装置及冷却方法
CN114368136B (zh) * 2021-12-31 2024-04-23 苏州富强科技有限公司 一种气道结构及烘箱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7682C (de) * 1951-12-06 1955-05-16 Julien Dungler Blasduese fuer Maschinen zur Behandlung von Gewebe, Papier od. dgl., wie Trockenrahmen od. dgl.
US4825111A (en) 1987-11-02 1989-04-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inear motor propulsion system
JP2983263B2 (ja) * 1990-08-23 1999-11-29 日本石油化学株式会社 熱風循環式延伸機
DE4436676C2 (de) 1994-10-13 1997-03-27 Brueckner Maschbau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ängs- und/oder quergereckten, insbesondere simultan biaxial gereckten Folienbahnen
DE19623471C1 (de) 1996-06-12 1998-02-05 Brueckner Maschbau Belüftungsdüse
JP2007320276A (ja) * 2006-06-05 2007-12-13 Toray Ind Inc テンターオーブン
DE102009060753A1 (de) * 2009-12-30 2011-07-07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83313 Belüftungsdüse sowie Kunststofffolienreckanlage mit zugehöriger Belüftungsdüse
JP5949548B2 (ja) * 2011-03-29 2016-07-06 東レ株式会社 テンターオーブンおよび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793914B2 (ja) * 2011-03-31 2015-10-14 東レ株式会社 幅可変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テンターオーブン
CN203718818U (zh) * 2014-01-21 2014-07-16 四川川锅锅炉有限责任公司 一种面积可调且可摆动的二次风喷嘴
WO2018180565A1 (ja) * 2017-03-28 2018-10-04 東レ株式会社 気流制御装置および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7801356B (zh) * 2017-10-27 2020-03-24 成都市宏山科技有限公司 风道可变式散热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283B1 (ko) * 2021-11-01 2022-05-19 주식회사 에스티영원 필름 연신장비의 열풍공급용 노즐장치 및 노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59981B2 (en) 2023-09-19
CN112297408A (zh) 2021-02-02
EP3795332A3 (de) 2021-04-14
EP3795332A2 (de) 2021-03-24
JP2021035767A (ja) 2021-03-04
US20210031411A1 (en) 2021-02-04
CN112297408B (zh) 2023-03-10
DE102019120794A1 (de)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5703A (ko) 송기 모듈 및 관련 연신 시스템
US10792844B2 (en) Airflow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ed film
JP6172911B2 (ja) 合成フィラメントを案内及び載置してフリースを形成する装置並びに方法
CN1844505B (zh) 熔融纺造和冷却多个单丝的方法和装置
JP5470472B2 (ja) 通気ノズル及び通気ノズルを設けた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延伸装置
CA2049575C (en) Stretching machine
CN111002569B (zh) 用于能穿过处理炉的柔性材料幅材的处理设备
JPH0577582B2 (ko)
JP2000511840A (ja) 送風ノズル
CN111448046B (zh) 膜制造装置
TWI601623B (zh) Tenter oven and thermoplastic resin film manufacturing method
KR102102274B1 (ko)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JP2528669Y2 (ja) テンタオーブン用プレナムダクト
JP2001091162A (ja) 熱処理装置
WO2004067265A1 (ja) テンタオーブン
CN217169361U (zh) 薄膜拉伸烘箱和组合式加热单元
JP6295760B2 (ja) テンターオーブンおよび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220323971A1 (en) Blowoff nozzle
RU27707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движущихся лент полотна
JP4022120B2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熱処理装置
JP2023130165A (ja) 加熱装置
JP2023175660A (ja) 薄膜延伸装置内の不均一空気温度と不斉空気流動を低減する延伸装置及びその方法
JPH0331544Y2 (ko)
JP2023130162A (ja) 加熱装置
JP2002317376A (ja) ウエブの乾燥または熱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