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274B1 -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 Google Patents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274B1
KR102102274B1 KR1020190171527A KR20190171527A KR102102274B1 KR 102102274 B1 KR102102274 B1 KR 102102274B1 KR 1020190171527 A KR1020190171527 A KR 1020190171527A KR 20190171527 A KR20190171527 A KR 20190171527A KR 102102274 B1 KR102102274 B1 KR 102102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uct
ducts
supply
inclined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1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05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 D06B19/0011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heated air

Abstract

본 발명은 대폭 시트를 건조하는 텐터기의 열풍공급구조를 개선하여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내부를 좌,우 양측으로 구획시키고 가이드공이 형성된 경사판을 배치하여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이 시트의 부위별로 균등한 바람 세기 및 풍량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시트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주름 발생 등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TENTER FOR SHARPLY SHEET}
본 발명은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폭 시트를 건조하는 텐터기의 열풍공급구조를 개선하여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내부를 좌,우 양측으로 구획시키도록 가이드공이 형성된 경사판을 배치하여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이 시트의 부위별로 균등한 바람 세기 및 풍량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시트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주름 발생 등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織物) 또는 편직물(編織物)등의 직물원단의 가공처리과정에는 염색 전 처리공정으로서 행하는 히트세팅(heat setting)공정, 염색후 처리공정으로서 행하는 건조(drying)공정 및 열처리에 의한 수축공정 등이 있으며,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로 텐터기(tenter machine)가 사용된다.
종래 텐터기는 상측 공간에 직물원단이 수평으로 통과하며 직물원단의 이송방향 상류측과 하류측 단부에 각각 직물원단 진입구와 직물원단 인출구가 구비된 챔버와; 상기 챔버의 하측 공간에 배치되는 열풍생성덕트와;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가열기와;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측에 상기 열풍생성덕트의 일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복수개의 열풍출구를 가지는 열풍공급덕트와;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열풍출구에 유입단이 장착되며 타단이 폐쇄되는 채널형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직물원단에 대향하는 면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노즐공이 형성된 상ㆍ하측 열풍분사노즐과;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 내의 공기를 상기 가열기와 열풍생성덕트를 통해 흡입하여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상기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송풍하여 열풍이 열풍분사노즐의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ㆍ하면에 분사되도록 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챔버는 직물원단의 처리에 이송속도와 처리조건에 대응하여 그 전체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챔버는 그 전체 길이를 등분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챔버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직물원단 진입구와 직물원단 인출구는 각각 상기 단위챔버 중 상ㆍ하류단에 설치되는 상ㆍ하류단 단위챔버에 구비된다.
종래의 텐터기에 의하여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및 수축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직물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상기 송풍기와 가열기를 가동시키면 송풍기에 의하여 챔버 내부의 공기가 가열기를 통해 열풍생성덕트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가열기와 접촉하면서 열교환에 의하여 가열되어 180℃ 내지 220℃ 정도의 열풍이 생성되며, 생성된 열풍은 송풍기에 의하여 열풍공급덕트를 통해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공급된다.
열풍분사노즐의 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열풍분사노즐의 노즐판에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공을 통해 직물원단의 상,하면에 분사되어 히트세팅공정, 건조공정 또는 수축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기존 텐터기의 열풍 공급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13898호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등록일자 : 2006.08.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시에 열풍을 분사하는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와, 상기 열풍분사덕트측으로 열풍을 안내하기 위해 일측에 연통 설치되어진 공기안내덕트와, 상기 공기안내덕트측으로 열풍을 강제 순환 공급시키는 순환팬과, 챔버내에서 회수된 공기를 상기 순환팬측으로 안내하는 덕트부재와, 상기 덕트부재를 통해 안내되어지는 공기를 재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텐터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덕트는 순환팬에 의해 강제 이송되어진 열풍을 각각 분기시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로 안내하기 위한 상부 분기덕트와 하부 분기덕트로 구비되어지되, 각각의 분기덕트는 중간 구획벽에 의해 상호 동일한 형상 및 길이의 안내유로를 이루도록 된 것이다.
기존 대폭 필름 시트용 텐터기는 필름을 종방향으로 인발하는 과정에서 기계방향(MD;Machine Direction)으로 인발하고, 필름의 양측단을 파지한 상태로 횡방향(TD;Transverse Direction)으로 인발하여 필름을 연신시키게 된다.
기존 필름 건조용 텐터기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1540호 "텐터 장치 및 필름 건조 방법"(등록일자 : 2008.09.26)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필름의 측 가장자리를 클립핑하는 클립 개시 위치와 필름의 클립핑을 퇴피하는 클립 퇴피 위치 사이에서 필름을 클립핑하고 필름을 반송하는 클립; 상기 필름을 향해 건조풍을 공급하여 필름을 반송하면서 필름을 건조시키는 건조풍 송풍기; 상기 필름의 클립핑시에 상기 클립의 주행 경로를 커버하는 클립 커버; 및 상기 클립 커버의 외부의 상기 건조풍이 상기 클립 커버의 내부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클립 커버의 내부로 신선풍을 공급하는 신선풍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기존 필름 텐터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특허공보 제92-5555호 "텐터 프레임내에서 플라스틱 필름을 인발하는 방법 및 장치"(공고일자 : 1992.07.06)에 개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 모터들을 이용하여 텐터 프레임내에서 플라스틱 필름을 인발하는 방법으로써; 상기 텐터 프레임의 필름 처리장소에서 대향 루우프들내의 능동 캐리지들을 그 캐리지들에 부착된 텐터 클립들과 함께 쌍 대칭으로 소정 속도를 추진하여 필름을 인발하는 단계 ; 캐리지 스택들을 형성하는 단계 ; 및 상기 텐터 프레임이 필름 처리장소로 들어가기 전에 캐리지 수집 장소들에서 상기 캐리지 스택;들을 추진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 텐터기 중 대폭 시트를 건조할 경우에는 좌,우측 공급덕트를 통해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측으로 공급되는 열풍의 세기(풍속) 및 온도의 좌,우 밸런스 편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대폭 시트에 건조 편차로 인해 주름이 쉽게 발생하게 되어 제품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1540호 "텐터 장치 및 필름 건조 방법"(등록일자 : 2008.09.26) 한국 특허공보 제92-5555호 "텐터 프레임내에서 플라스틱 필름을 인발하는 방법 및 장치"(공고일자 : 1992.07.06)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대폭 시트를 건조하는 텐터기의 열풍공급구조를 개선하여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내부를 좌,우 양측으로 구획시키도록 가이드공이 형성된 경사판을 배치하여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이 시트의 부위별로 균등한 바람 세기 및 풍량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시트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주름 발생 등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풍공급챔버와 열풍분사챔버가 상,하로 구분되고 상기 열풍분사챔버의 공기가 순환덕트를 통해 상측의 열풍공급챔버로 순환되는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로서, 상기 열풍공급챔버 내의 열풍을 좌,우 양측에서 상기 열풍분사챔버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 측으로 각각 공급하도록 연결된 좌,우측 공급덕트;를 구비하며,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로부터 공급된 열풍을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분사노즐측으로 유도하는 열풍유도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열풍유도수단은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와 연결된 상부 열풍분사덕트의 단부로부터 상부 열풍분사덕트의 폭방향 중간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며, 상기 상부 열풍분사덕트의 분사노즐측으로 열풍이 가이드되도록 천공된 복수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제1,2경사판과,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와 연결된 하부 열풍분사덕트의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열풍분사덕트의 폭방향 중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며, 상기 하부 열풍분사덕트의 분사노즐측으로 열풍이 가이드되도록 천공된 복수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제3,4경사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2,3,4경사판의 가이드공은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로부터 근접된 가이드공의 크기보다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폭방향 중간측으로 근접된 가이드공의 크기가 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3,4경사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이드공은 테두리 부위에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2경사판은 서로 마주하는 폭방향 중간측을 기준으로 중간측이 차폐되어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고 좌,우 양측이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4경사판은 서로 마주하는 폭방향 중간측을 기준으로 중간측이 차폐되어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고 좌,우 양측이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2,3,4경사판의 경사각은 3~50°의 각도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부 열풍분사덕트의 폭 중간 부위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구획시키고 폭 중간 부위측으로 갈수록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진 제1,2,3,4경사판을 구비함으로써, 제1,2,3,4경사판에 형성된 가이드공을 통해 분사노즐측으로 균등하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대폭 시트를 건조하는 텐터기에서 대폭 시트의 좌,우측 부위별 건조 효율이 달라서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 제1,2,3,4경사판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절곡부가 각각 형성됨에 따라, 가이드공을 통과하는 열풍을 분산노즐측으로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상부 열풍분사덕트의 개략적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하부 열풍분사덕트의 개략적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열풍유도수단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열풍유도수단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가이드공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텐터기용 열풍공급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열풍공급챔버(110)와 열풍분사챔버(120)가 상,하로 구분되고 상기 열풍분사챔버(120)의 공기가 순환덕트(150)를 통해 상측의 열풍공급챔버(110)로 순환되는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로서, 상기 열풍공급챔버(110) 내의 열풍을 좌,우 양측에서 상기 열풍분사챔버(120)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 측으로 각각 공급하도록 연결된 좌,우측 공급덕트(170);를 구비하며,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170)로부터 공급된 열풍을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의 분사노즐(15)측으로 유도하는 열풍유도수단(200);을 구비하되, 상기 열풍유도수단(200)은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170)와 연결된 상부 열풍분사덕트(10)의 단부로부터 상부 열풍분사덕트(10)의 폭방향 중간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며, 상기 상부 열풍분사덕트(10)의 분사노즐(15)측으로 열풍이 가이드되도록 천공된 복수의 가이드공(240)이 형성된 제1,2경사판(232,234)과,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170)와 연결된 하부 열풍분사덕트(20)의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열풍분사덕트(20)의 폭방향 중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며, 상기 하부 열풍분사덕트(20)의 분사노즐(15)측으로 열풍이 가이드되도록 천공된 복수의 가이드공(240)이 형성된 제3,4경사판(236,2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텐터기(100)는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의 사이를 필름 시트 또는 섬유 원단 소재가 통과하면서 열풍에 의해 건조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텐터기(100)는 상측에 열풍공급챔버(110)가 배치되고, 상기 열풍공급챔버(110)의 하측에 열풍분사챔버(120)가 서로 구획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열풍공급챔버(110)에는 순환덕트(150)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재(300)와, 가열된 공기를 좌,우측 공급덕트(170)측으로 송풍하는 송풍팬(410)과 송풍모터(415)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텐터기(100)는 상기 열풍분사챔버(120) 내의 공기가 순환덕트(150)를 통해 상측의 열풍공급챔버(110)로 공급되고, 상기 열풍공급챔버(110) 내의 공기가 좌,우측 공급덕트(170)를 통해 좌,우 양측에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의 내부로 공급되는 순환 구조를 갖는다.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는 분사노즐(15)이 서로 상반된 분사 방향으로 열풍이 분사되도록 배치되고, 이를 위해 분사노즐(15)들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배치된다.
상기 열풍유도수단(200)은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가 좌,우 양측으로 구분되도록 상부 열풍분사덕트(10)의 폭방향(도 1의 좌,우측 방향) 중간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제1,2경사판(232,234)과 하부 열풍분사덕트(20)의 폭방향 중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제3,4경사판(236,238)이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열풍분사덕트(10)는 폭방향 중간을 중심으로 좌측에 제1경사판(232)이 배치되고, 상기 폭방향 중간부위를 중심으로 우측에 제2경사판(234)이 배치된다.
상기 제1,2경사판(232,234)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공(240)이 형성되고, 좌,우측 공급덕트(170)로부터 송풍된 열풍이 가이드공(240)에 형성된 절곡부(245)에 부딪혀 공급방향이 하측으로 전환되어 분사노즐(15)측으로 공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열풍분사덕트(20)는 상기 하부 열풍분사덕트(20)의 폭 중간부위를 중심으로 좌측에 제3경사판(236)이 배치되고, 폭 중간부위를 중심으로 우측에 제4경사판(238)이 배치된다.
상기 제3,4경사판(236,238)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공(240)이 형성되고, 좌,우측 공급덕트(170)로부터 송풍된 열풍이 가이드공(240)에 형성된 절곡부(245)에 부딪혀 공급방향이 상측으로 전환되어 분사노즐(15)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1,2경사판(232,234)은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170)로부터 상기 상부 열풍분사덕트(10)의 폭방향 중간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제3,4경사판(236,238)은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170)로부터 상기 하부 열풍분사덕트(20)의 폭방향 중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제1,2경사판(232,234)은 서로 마주하는 폭방향 중간측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고, 상기 제3,4경사판(236,238)은 서로 마주하는 폭방향 중간측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의 경사각은 수평 상태의 평판에 대해 3~50°의 각도로 형성된다.
상기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의 경사각이 3°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170)를 통해 서로 마주하는 중간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열풍이 복수의 가이드공(240)측에 균일하게 분배되지 못하고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의 표면을 따라 중간측에 집중되어 상기 가이드공(240)을 통해 분사노즐(15)측으로 공급되는 열풍의 바람 세기 및 공급량이 불균등하게 공급될 우려가 있다.
상기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의 경사각이 50°의 각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대폭 시트용 텐터기(100)에는 적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170)를 통해 폭 중간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열풍이 상기 서로 마주하는 폭 중간측과 근접된 부위에 형성된 가이드공(240)과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170)와 근접된 부위에 형성된 가이드공(240)을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바람 세기 및 공급량이 불균등해질 우려가 있다.
상기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에는 좌,우측 공급덕트(17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을 분사노즐(15)측으로 각각 공급하도록 복수의 가이드공(240)이 서로 이격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공(240)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테두리 부위에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245)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45)는 가이드공(240)의 천공을 위해 절단된 부위가 랜싱(Lancing)가공에 의해 상기 가이드공(240)의 크기에 대응한 크기의 절곡부(245)가 분사노즐(15)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45)는 상기 열풍이 공급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240)을 통과하는 열풍이 수직방향의 분사노즐(15)측으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절곡부(245)는 상기 각각의 가이드공(240) 테두리 중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170)로부터 이격된 테두리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열풍공급챔버(110)와 열풍분사챔버(120)가 순환덕트(150)에 의해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열풍분사챔버(120) 내의 공기가 순환덕트(150)를 통해 열풍공급챔버(110)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열풍분사챔버(120) 내에 마련된 히터부재(300)에 의해 가열된 열풍 공기가 송풍팬(410)에 의해 송풍되어 좌,우측 공급덕트(170)를 통해 열풍분사챔버(120) 내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 측으로 공급하는 순환방식을 갖는다.
상기한 열풍분사챔버(120) 내에 상,하로 마련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 사이로 필름 시트나 섬유 원단이 통과하면서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의 분사노즐(15)로부터 분사된 열풍에 의해 건조된다.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는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170)가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의 좌,우 양측에 연결되고, 상부 열풍분사덕트(10)는 상부 열풍분사덕트(10)의 폭방향 중간측을 기준으로 상부측 좌,우 양측이 차폐되도록 구획되므로 열풍이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170)의 좌,우 양측을 통해 각각 별개로 공급되지만 가이드공(240)을 통과한 후의 열풍은 상부 열풍분사덕트(10)의 하부측에서 서로 균일하게 섞이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열풍분사덕트(20)는 포방향 중간측을 기준으로 하부의 좌,우 양측이 차폐되도록 구획되므로 열풍이 좌,우측 공급덕트(170)의 좌,우 양측을 통해 각각 별개로 공급되지만 가이드공(240)을 통과한 후의 열풍은 하부 열풍분사덕트(20)의 상측에서 서로 균일하게 섞이게 된다.
상기 상부 열풍분사덕트(10)는 폭방향 중간측을 중심으로 제1,2경사판(232,234)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열풍분사덕트(20)는 폭방향 중간측을 중심으로 제3,4경사판(236,238)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170)에서의 열풍이 폭방향 중간측을 향해 공급되는 과정에서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에 형성된 가이드공(240)을 통해 분사노즐(15)측으로 공급되고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열풍이 분사된다.
상기 상부 열풍분사덕트(10)는 좌,우측 공급덕트(170)에서 서로 마주하는 폭방향 중간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제1,2경사판(232,234)에 의해 열풍이 폭방향 중간측으로 유도되는 중에, 상기 제1,2경사판(232,234)에 형성된 가이드공(240)을 통해 하측의 분사노즐(15)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하부 열풍분사덕트(20)는 좌,우측 공급덕트(170)에서 서로 마주하는 폭방향 중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제3,4경사판(236,238)에 의해 열풍이 폭방향 중간측의 하부측으로 유도되는 중에, 상기 제3,4경사판(236,238)에 형성된 가이드공(240)을 통해 상측의 분사노즐(15)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는 상기 열풍공급챔버(110) 내에서 가열된 열풍이 좌,우측 공급덕트(170)를 통해 각각 좌,우 양측으로 구획된 공간으로 진입되고,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을 따라 상향 또는 하향 공급되는 중에 가이드공(240)을 통과한 공기가 절곡부(245)에 의해 수직 하방 또는 수직 상방으로 가이드된다.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는 좌,우측 공급덕트(170)와 근접된 곳에서 열풍의 바람 세기가 가장 센 반면에, 상향 경사진 제1,2경사판(232,234)과 하향 경사진 제3,4경사판(236,238)의 경사진 구조적 특성상 폭방향 중간부위에 가까워질수록 열풍의 공급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상기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의 가이드공(240)을 통과하는 열풍이 다수의 분사노즐(15)측에 균등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분사노즐(15)은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다수개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사노즐(15)과 대응되는 수직선상에 형성된 가이드공(240)을 통과한 열풍이 절곡부(245)에 의해 수직방향의 분사노즐(15)측에 가이드되어 균등한 양으로 분사됨에 따라 필름 시트나 섬유 원단의 부위별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열풍유도수단의 제2실시 예는 상기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의 가이드공(240)은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170)로부터 근접된 가이드공(240)의 크기(D1)보다 상기 폭방향 중간측으로 근접된 가이드공(240)의 크기(D1)가 작게 형성된다.(D1>D2)
이 경우에는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의 폭 길이에 따라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의 폭 길이가 가변되고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의 각도를 동일한 각도로 한정해야 할 경우에는, 각각의 분사노즐(15)측에 균일한 양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의 부위별 가이드공(240)의 크기를 가변 조절할 수도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 열풍유도수단의 제3실시 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공(240)들의 간격을 부위별로 차등지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의 폭 길이가 가변되는 반면에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의 각도가 한정될 경우, 각각의 분사노즐(15)측에 균일한 양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공(240)들의 간격을 부위별로 차등지게 형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부 열풍분사덕트(10)의 경우, 가이드공(240)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시키고(D1=D2) 폭방향 중간측에 근접된 가이드공(240)들 간격(L2)이 좌,우측 공급덕트(170)측과 근접된 가이드공(240)들의 간격(L1)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D1=D2, L1<L2)
앞서 설명한 가이드공(240)의 형태는 도 5의 평면에서 볼 때 수직방향 길이가 수평방향의 폭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반면에, 도 6은 본 발명 가이드공(240)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가이드공(240)의 형태가 수평방향의 폭방향 길이가 수직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의 폭방향 중간 부위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이 차폐되도록 구획시키고 상기 폭방향 중간측으로 갈수록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진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을 구비함으로써,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에 형성된 가이드공(240)을 통해 분사노즐측으로 균등하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대폭 시트를 건조하는 텐터기에서 대폭 시트의 좌,우측 부위별 건조 효율이 달라서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에 형성된 가이드공(240)에 절곡부가 각각 형성됨에 따라, 가이드공(240)을 통과하는 열풍을 분사노즐(15)측으로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20 : 상,하부 열풍분사덕트 15 : 분사노즐
100 : 텐터기 110 : 열풍공급챔버
120 : 열풍분사챔버 130 : 격벽
150 : 순환덕트 170 : 좌,우측 공급덕트
200 : 열풍유도수단 232,234,236,238 : 제1,2,3,4경사판
240 : 가이드공 245 : 절곡부
300 : 히터부재 410 : 송풍팬
415 : 송풍모터

Claims (4)

  1. 열풍공급챔버(110)와 열풍분사챔버(120)가 상,하로 구분되고 상기 열풍분사챔버(120)의 공기가 순환덕트(150)를 통해 상측의 열풍공급챔버(110)로 순환되는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로서,
    상기 열풍공급챔버(110) 내의 열풍을 좌,우 양측에서 상기 열풍분사챔버(120)의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 측으로 각각 공급하도록 연결된 좌,우측 공급덕트(170);를 구비하며,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170)로부터 공급된 열풍을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의 분사노즐(15)측으로 유도하는 열풍유도수단(200)을 구비하되,
    상기 열풍유도수단(200)은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170)와 연결된 상부 열풍분사덕트(10)의 단부로부터 상부 열풍분사덕트(10)의 폭방향 중간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며, 상기 상부 열풍분사덕트(10)의 분사노즐(15)측으로 열풍이 가이드되도록 천공된 복수의 가이드공(240)이 형성된 제1,2경사판(232,234)과,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170)와 연결된 하부 열풍분사덕트(20)의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열풍분사덕트(20)의 폭방향 중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며, 상기 하부 열풍분사덕트(20)의 분사노즐(15)측으로 열풍이 가이드되도록 천공된 복수의 가이드공(240)이 형성된 제3,4경사판(236,238)을 구비하고,
    상기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의 가이드공(240)은 상기 좌,우측 공급덕트(170)로부터 근접된 가이드공(240)의 크기(D1)보다 상기 상,하부 열풍분사덕트(10,20)의 폭방향 중간측으로 근접된 가이드공(240)의 크기(D2)가 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3,4경사판(232,234,236,23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이드공(240)은 테두리 부위에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24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경사판(232,234)은 서로 마주하는 폭방향 중간측을 기준으로 중간측이 차폐되어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고 좌,우 양측이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4경사판(236,238)은 서로 마주하는 폭방향 중간측을 기준으로 중간측이 차폐되어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고 좌,우 양측이 대칭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3,4경사판(232,234,236,238)의 경사각은 3~50°의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KR1020190171527A 2019-12-20 2019-12-20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KR102102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527A KR102102274B1 (ko) 2019-12-20 2019-12-20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527A KR102102274B1 (ko) 2019-12-20 2019-12-20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274B1 true KR102102274B1 (ko) 2020-04-20

Family

ID=7046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527A KR102102274B1 (ko) 2019-12-20 2019-12-20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2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7609A (zh) * 2021-12-31 2022-04-05 南通托尼卡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纸张热风循环烘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555A (ko) 1990-08-29 1992-03-28 정용문 자동 응답 전화기의 어학연습 기능의 구현방법
KR930019893A (ko) * 1992-03-26 1993-10-18 김원묵 텐터기 및 건조기의 노즐에 미치는 고온공기의 분사방향과 풍압조절방법 및 그 장치
KR100861540B1 (ko) 2004-09-27 2008-10-0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텐터 장치 및 필름 건조 방법
KR101229347B1 (ko) * 2012-09-05 2013-02-05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KR20150117979A (ko) * 2014-04-11 2015-10-21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가이드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555A (ko) 1990-08-29 1992-03-28 정용문 자동 응답 전화기의 어학연습 기능의 구현방법
KR930019893A (ko) * 1992-03-26 1993-10-18 김원묵 텐터기 및 건조기의 노즐에 미치는 고온공기의 분사방향과 풍압조절방법 및 그 장치
KR100861540B1 (ko) 2004-09-27 2008-10-0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텐터 장치 및 필름 건조 방법
KR101229347B1 (ko) * 2012-09-05 2013-02-05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KR20150117979A (ko) * 2014-04-11 2015-10-21 주식회사 아이에스더블유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가이드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7609A (zh) * 2021-12-31 2022-04-05 南通托尼卡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纸张热风循环烘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347B1 (ko) 텐터기의 열풍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텐터기의 열풍분사장치
JP2724773B2 (ja) 液状あるいはペースト状薬品を付加した材料ウエブを熱処理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08232163A (ja) 繊維品を乾燥及び収縮加工する方法と装置
US4227317A (en) Apparatus for the heat treatment of textiles
KR102102274B1 (ko) 텐터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US3906596A (en) Combined sieve drum and tentering apparatus
KR102111724B1 (ko) 필름 시트용 텐터기
US4137649A (en) Apparatus for the heat treatment of textiles
CZ2018543A3 (cs) Způsob zpracování textilu k jeho pigmentovému potisku a modulární zařízení k provedení tohoto způsobu
KR100272749B1 (ko) 직물 피륙용 송풍장치
KR101798930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공급장치
KR20210015703A (ko) 송기 모듈 및 관련 연신 시스템
US3371428A (en) Fabric drier
US4295284A (en) Dryer range
KR101519367B1 (ko) 텐터기용 공기분사덕트의 공기분사각도 조절장치
JP6920465B2 (ja) フィルム製造装置
CN113412405B (zh) 用于纺织幅材制品的干燥装置和干燥方法
CN110725090A (zh) 双层拉幅定型装置及系统
KR102017543B1 (ko) 직물, 셀룰로오스 및 다른 섬유 재료를 위한 유체 처리 유닛 그리고 또한 유체 처리 방법
JP2528669Y2 (ja) テンタオーブン用プレナムダクト
KR101362385B1 (ko) 상하부건조실의 열풍온도가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한 섬유가공기의 건조장치
CN211142511U (zh) 出气机构以及复式定型装置
US20070101623A1 (en) Triple pass tunnel finisher with an articulated spraying function
JPH0623912Y2 (ja) 布帛の移動式乾燥装置
EP3004768B1 (en) Method and device for air treatments of fab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