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130A - 로봇청소기 - Google Patents

로봇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130A
KR20210015130A KR1020190093492A KR20190093492A KR20210015130A KR 20210015130 A KR20210015130 A KR 20210015130A KR 1020190093492 A KR1020190093492 A KR 1020190093492A KR 20190093492 A KR20190093492 A KR 20190093492A KR 20210015130 A KR20210015130 A KR 20210015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bucket
housing
fixing memb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9273B1 (ko
Inventor
고무현
이동근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273B1/ko
Priority to US16/943,288 priority patent/US11712146B2/en
Priority to PCT/KR2020/010118 priority patent/WO2021020925A1/ko
Priority to EP20847216.7A priority patent/EP4005455A4/en
Priority to AU2020319798A priority patent/AU2020319798B2/en
Priority to CN202080059236.6A priority patent/CN114269215B/zh
Publication of KR20210015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130A/ko
Priority to KR1020210079321A priority patent/KR102343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282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6Propulsion of the whole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5Handles;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1Steering means; Means for avoiding obstacles; Details related to the place where the driver is accommod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Air Humidification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로봇청소기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물통, 외형을 형성하고, 후방으로 상기 물통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물통하우징을 포함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으로 상기 메인바디를 이동시키며, 피청소면을 걸레질하는 한 쌍의 회전맙, 상기 물통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과 연결될 때,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한 쌍의 회전맙 각각으로 공급하는 공급노즐부, 상기 물통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공급노즐부와 연결되어, 상기 물통과 상기 공급노즐부를 연통시키는 토출노즐부, 및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자력을 형성하여,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물통의 배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물통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토출노즐부의 둘레에서 배치되는 물통측 고정부재와, 상기 공급노즐부의 둘레에서 상기 물통측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바디측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측 고정부재와, 상기 바디측 고정부재는, 상기 공급노즐부와 상기 토출노즐부를 밀착시킨다.

Description

로봇청소기{Robot Cleaner}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통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바닥을 걸레질하는 회전맙을 포함하는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피청소면인 바닥면을 청소하기 위한 로봇청소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로봇청소기는, 피청소면을 이동하면서,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방식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피청소면을 접촉하여 이물질을 닦아내는 방식으로 피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다.
피청소면을 닦는 방식의 로봇청소기는, 피청소면에 대략 수직한 회전축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마찰에 의해, 이동하고, 회전마찰에 의해 피청소면을 닦아내는 방식으로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로봇청소기는, 내부에 물통이 장착되는 구조를 포함하고, 물통의 물을 회전으로 이동 및 걸레질하는 회전맙으로 공급하여 피청소면을 물걸레질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구조도 개시되고 있다.
다만, 물통이 로봇청소기에 고정되는 구조에서는, 물통의 물이 회전맙으로 공급되는 구조가 안정적일 수 있으나, 물통이 착탈되는 구조에서는, 물통이 장착된 상태에서, 물통에 물이 회전맙으로 공급될 때, 연결부위에서 물이 유출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공개특허 KR10-2019-0015940에서는, 물통이 착탈되는 로봇청소기의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물통이 장착구조물에 물을 공급하는 부분에서 별도의 고정 및 밀착수단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메인바디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일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통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로봇청소기에서, 장착되는 물통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로봇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물통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로봇청소기에서, 물통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로봇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로봇청소기에 장착된 물통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로봇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물통, 외형을 형성하고, 후방으로 상기 물통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물통하우징을 포함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으로 상기 메인바디를 이동시키며, 피청소면을 걸레질하는 한 쌍의 회전맙, 상기 물통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과 연결될 때,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한 쌍의 회전맙 각각으로 공급하는 공급노즐부, 상기 물통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공급노즐부와 연결되어, 상기 물통과 상기 공급노즐부를 연통시키는 토출노즐부, 및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자력을 형성하여,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물통의 배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물통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토출노즐부의 둘레에서 배치되는 물통측 고정부재와, 상기 공급노즐부의 둘레에서 상기 물통측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바디측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측 고정부재와, 상기 바디측 고정부재는, 상기 공급노즐부와 상기 토출노즐부를 밀착시켜, 물통하우징과 물통사이로 물이 유동하는 연결부분을 밀착시킨다.
상기 물통측 고정부재는, 상기 토출노즐부 둘레에 배치되는 링형상을 가지고, 상기 바디측 고정부재는, 상기 물통측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공급노즐부 둘레에 배치되어, 토출노즐부와 공급노즐부를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물통측 고정부재와, 상기 바디측 고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자력으로 상호간에 인력을 형성하는 자석을 사용하여, 상호간의 작용하는 인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노즐부는, 상기 물통의 중심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공급노즐부는, 상기 토출노즐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물통과 물통하우징을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에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물통측 고정부재는, 상기 토출노즐부의 둘레로 배치되는 제1물통측 고정부재와, 상기 물통의 중심에서 상기 제1물통측 고정부재와 반대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제2물통측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측 고정부재는, 상기 공급노즐부의 둘레로 배치되는 제1바디측 고정부재와, 상기 제2물통측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바디측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토출노즐부는, 전방으로 개구된 토출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물통의 전방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삽입노즐와, 상기 삽입노즐 후방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토출개구부를 개폐하는 토출개구부 밸브와, 상기 토출개구부 밸브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물통의 내측에서 상기 물통에 장착되는 노즐하우징을 포함하여, 공급노즐부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물통과 상기 노즐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토출개구부가 형성되는 주위로 배치되는 내측실러와, 상기 노즐하우징의 외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외측실러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내측실러와 상기 외측실러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부재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통측 고정부재는, 노즐부하우징과 물통사이에 배치되는 제1물통측 고정부재와, 상기 물통의 중심에서 상기 제1물통측 고정부재와 반대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제2물통측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에는 상기 제2물통측 고정부재를 상기 물통에 고정하는 고정부재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하우징과 상기 물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물통측 고정부재로 물유입을 방지하는 고정부재실러가 배치되어, 어, 제2물통측 고정부재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급노즐부는, 상기 물통하우징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노즐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물통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토출개구부 밸브를 가압하여, 토출개구부를 개방하는 누름노즐와, 상기 삽입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삽입노즐과 밀착되는 삽입부실러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실러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토출노즐부의 단부와 접촉하는 단부접촉면와, 상기 단부접촉면과 연결되고, 상기 누름노즐의 둘레면을 따라 연장되는 누름노즐접촉면와, 상기 누름노즐접촉면에서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착돌기를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돌기는, 상기 누름노즐접촉면의 단부에서 배치되는 제1밀착돌기와, 상기 제1밀착돌기와 상기 단부접촉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밀착돌기를 포함하여,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물통의 하부면에는,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물통을 인출하도록, 홈을 형성하는 손잡이부가 배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통을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하우징의 둘레면에서 이격배치된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물통의 배치를 고정하거나,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물통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물통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물통하우징의 둘레면의 외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물통의 측면에 형성되는 레버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물통의 전방면을 가압하는 레버와, 상기 메인바디의 둘레면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버튼을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에 힘이 가해질 때, 상기 레버는, 상기 물통의 전방면을 가압하여, 상기 물통을 인출가능하게 한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버튼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레버로 전달하는 프레스바와, 상기 레버의 기본배치를 유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버튼의 힘을 프레스바로 전달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탄성부재에 의해 기본배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고정부와, 상기 프레스바와 연결되는 프레스바연결부와, 상기 회전고정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물통하우징의 물통하우징 전방면을 향해 밴딩되며,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물통의 전방면을 가압하는 누름레버와, 상기 회전고정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물통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잠금레버홀을 향해 밴딩된 잠금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잠금장치의 기본배치에서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물통의 레버홈에 삽입되고, 상기 버튼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레버홈에서 인출되고, 상기누름레버는, 상기 물통을 물통하우징 후방으로 가압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통을 인출할 수 있고, 물통이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물통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물통은, 상기 레버홈이 형성되는 상기 물통의 일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서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돌출되는 힌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하우징에는, 상기 물통의 상기 힌지돌기가 삽입되는 힌지돌기홈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돌기가 물통을 고정하거나, 잠금장치로 물통이 인출될 때, 힌지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물통하우징은, 상기 잠금레버홀이 형성되는 상기 물통하우징의 일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 배치되고, 스토퍼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으로 돌출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에는,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상기 물통의 배치를 고정하는 스토퍼홈이 형성되어, 물통의 타측을 고정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로봇청소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물통과 물통하우징 각각에 물통측 고정부재와, 바디측 고정부재가 배치되어, 물통을 물통하우징에 안정적으로장차기킬 수 있다. 특히, 바디측 고정부재와 물통측 고정부재가 각각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 인력이 강하게 작용하므로, 물통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바디측 고정부재와 물통측 고정부재 각각은, 물이 유동하기 위한 공급노즐부와 토출노즐부의 둘레에 링형상으로 배치되어, 물이 유동하는 부분에서 중점적으로 밀착하여, 물의 유출이 방지되므로, 회전맙으로 물공급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고정부재가 배치되는 부분에서는, 실러를 배치하여, 자석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력의 효과를 장기간 보존하여, 사용수명을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넷째, 물통을 물통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부, 잠금장치 등의 구성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통을 인출할 수 있어, 물통의 이용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물통이 제거된 로봇청소기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을 좌우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토출노즐부를 상하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이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좌우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이 물통하우징의 장착공간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이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메인바디 내부에 배치되는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에 의해 물통하우징에 물통이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에 의해 물통하우징에서 물통이 외부로 인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힌지돌기와 물통하우징의 힌지돌기홈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통하우징의 스토퍼와, 물통의 스토퍼홈에 의해 물통이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의 구조에서 물통이 물통하우징에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로봇청소기와 물통을 설명함에 있어, 물통이 인출되는 방향을 후방, 후방에 반대방향을 전방, 회전맙이 배치되는 방향을 하측방향, 하측방향에 반대되는 반향을 상측방향으로 설명한다. 상기 전방, 후방,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에 수직한 양측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설명한다. 물통의 구성의 경우도, 물통이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의 방향으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로봇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구성>
먼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1)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바디(10), 메인바디(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회전으로 메인바디(10)를 이동시키고, 피청소면(바닥면)을 걸레질하는 한 쌍의 회전맙(12), 메인바디(10)에 장착되어, 한 쌍의 회전맙(12)으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통(200), 메인바디(10) 내측에 배치되고, 메인바디(10)에 장착되는 물통(200)에 저장된 물을 한 쌍의 회전맙(12) 각각으로 공급하는 물공급모듈을 포함한다.
로봇청소기(1)는, 메인바디(10)의 전방에 장착되어, 전방에 배치되는 장애물과 접촉하여, 장애물을 감지하거나, 장애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는 범퍼(14), 메인바디(10)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배치되는 센서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바디(10)는, 넓적한 원반형태를 가질 수 있다. 메인바디(10)의 내측공간에는, 물공급모듈(미도시), 한 쌍의 회전맙(1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거나, 물통(200)의 물이 한 쌍의 회전맙(12)으로 공급되는 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메인바디(10)의 내측공간에는,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고, 충전된 전력을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또는 한 쌍의 회전맙(12)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로 공급할 수 있다.
물공급모듈은, 메인바디(10)에 장착되는 물통(200)과 연결되는 공급노즐부(110), 공급노즐부(110)과 한 쌍의 회전맙(12) 각각을 연결하는 공급호스(미도시), 공급호스 상에 배치되어, 물통(200)에 저장된 물을 빨아들여, 한 쌍의 회전맙(12) 각각으로 보내는 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하우징>
이하에서는, 도 1b,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하우징을 설명한다.
메인바디(10)는, 후방으로, 물통(200)이 장착되는 장착공간(100s)을 형성하는 물통하우징(100)을 포함한다. 물통하우징(100)은, 메인바디(10)와 일체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물통하우징(100)은, 메인바디(10)와 별개의 구성으로 메인바디(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물통하우징(100)은, 물통(200)이 장착되도록, 물통(200)의 외형에 대응하는 장착공간(100s)을 형성한다.
물통하우징(100)은,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면접하거나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물통하우징 전방면(102), 물통(200)의 양측면에 대향하는 면을 형성하고,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될 때, 물통(200)을 가이드하는 물통하우징 양측면(104a, 104b),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물통(200)의 상부면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물통하우징 상부면(미도시), 및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물통(200)을 지지하는 물통하우징 하부면(106)을 포함한다. 물통하우징(100)은, 물통(200)이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후방면이 개방된다.
물통하우징 전방면(102), 물통하우징 양측면(104a, 104b), 물통하우징 상부면(미도시), 및 물통하우징 하부면(106)은,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되는 장착공간(100s)을 형성한다.
여기서,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란, 물통(200)의 전방면과, 물통하우징 전방면(102)이 접촉하거나,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로, 이하에서 설명할, 물통(200)에 배치되는 토출노즐부(230)과, 물통하우징(100)에 배치되는 공급노즐부(110)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물통하우징 전방면(102)에는,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물통(200)과 연결되는 공급노즐부(110)가 배치된다.
공급노즐부(110)는, 물통하우징 전방면(102)에서 전방으로 물통(200)의 토출노즐부(23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2s)을 형성하는 삽입부(112), 내부가 중공이고, 삽입부(112)의 중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노즐(120), 내부가 중공이고, 삽입부(112)의 중심에서 물통(200) 방향으로 연장되는 누름노즐(122), 삽입공간(112s)에 배치되어, 삽입공간(112s)으로 삽입되는 토출노즐부(230)과 밀착되는 삽입부실러(130)를 포함한다.
삽입부(112)는, 물통하우징 전방면(102)에서 전방방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삽입공간(112s)을 형성한다. 삽입부(112)는, 물통하우징 전방면(102)에서 전방방향으로 돌출되고, 원기둥 형상으로 내측에 삽입공간(112s)을 형성하는 삽입부 둘레면(114), 삽입부 둘레면(114)의 단부에 배치되는 삽입부 단부면(116)을 포함한다.
삽입공간(112s)은, 고리형을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112s)의 중심에는, 누름노즐(122)이 배치된다. 삽입공간(112s)에는 삽입부실러(130)가 배치된다. 삽입부실러(130)는,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물통(200)의 토출노즐부(230)과 밀착되어, 토출노즐부(23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삽입부실러(130)는, 누름노즐(122)의 둘레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삽입부실러(130)는, 삽입부 단부면(116)에 배치되어, 토출노즐부(230)의 삽입노즐(232)의 단부와 접촉하는 단부접촉면(132), 단부접촉면(132)과 연결되고, 누름노즐(122)의 둘레면을 따라 연장되는 누름노즐접촉면(134), 누름노즐접촉면(134)에서 삽입공간(112s)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착돌기(136a, 136b)를 포함한다.
밀착돌기(136a, 136b)는, 누름노즐접촉면(134)에서 호퍼형상으로 삽입부 단부면(116)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밀착돌기(136a, 136b)는, 누름노즐접촉면(134)의 단부에서 배치되는 제1밀착돌기(136a)와, 제1밀착돌기(136a)와 단부접촉면(132) 사이에 배치되는 제2밀착돌기(136b)를 포함한다.
연결노즐(120)은, 삽입부 단부면(116)에서 전방방향으로 돌출되고, 메인바디(10) 내부에 배치되는 공급호스(미도시)와 연결된다.
누름노즐(122)은, 삽입부 단부면(116)에서 후방방향으로 돌출되고,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토출개구부 밸브(234)의 일측을 가압한다. 누름노즐(122)과 연결노즐(120)은 서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분이 서로 연통된다.
누름노즐(122)은, 물통하우징 전방면(102)보다 후방으로 돌출된다. 누름노즐(122)의 단부에는, 누름노즐(122)이 형성하는 관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이격돌기(124)가 배치된다. 이격돌기(124)는, 누름노즐(122)이 형성하는 관부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배치된다. 따라서, 누름노즐(122)이 토출개구부 밸브(234)와 접촉하더라도, 누름노즐(122)이 막히지 않는다.
물통하우징(100)에는,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된 물통(200)의 배치를 고정하는 바디측 고정부재(140a, 140b)가 배치된다. 바디측 고정부재(140a, 140b)는 삽입부(112)의 둘레에 배치되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측 고정부재(140a, 140b)는 자력을 형성하는 영구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바디측 고정부재(140a, 140b)는, 강한 자력값을 나타내는 희토류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바디측 고정부재(140a, 140b)는, 삽입부(112)의 둘레로 배치되는 제1바디측 고정부재(140a)와, 제2물통측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바디측 고정부재(14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물통하우징 하부면(106)의 하측에는, 메인바디(10)의 후방을 지지하는 보조바퀴(18)가 배치될 수 있다.
<물통>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을 설명한다.
물통(200)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물통케이스(202), 물통케이스(202) 상측으로 형성되는 개구부(미도시)를 개폐하는 개구부커버(220),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공급노즐부(110)과 연결되는 토출노즐부(230),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물통측 고정부재(254a, 254b)를 포함한다.
물통케이스(202)는, 물통하우징(100)이 형성하는 장착공간(100s)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물통케이스(202)는, 물통하우징(100)이 형성하는 장착공간(100s)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물통케이스(202)는,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물통하우징 전방면(102)에 마주하는 케이스전방면(204), 물통하우징 양측면(104a, 104b)에 마주하는 케이스양측면(206), 물통하우징 상부면에 마주하는 케이스상부면(208), 물통하우징 하부면(106)에 마주하는 케이스하부면(210) 및 후방으로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스후방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물통케이스(202)의 상측에는, 물통케이스(202) 내측공간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개구된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고, 개구부에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구부커버(220)가 배치된다. 개구부는, 케이스상부면(208)에 형성되고, 개구부커버(220)는,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상부면(208)에 배치된다.
물통케이스(202)의 상측에는, 물통(200)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시키는 공기통로(222a)가 형성된다. 공기통로(222a)는 물통케이스(202) 상측에 장착되는 별도의 통로부재(222)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공기통로(222a)가 형성된 통로부재(222)가 케이스상부면(208)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통로(222a)는, 케이스상부면(208)에 형성된다. 케이스상부면(208)은,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물통하우징 상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물통(200) 내부의 물이 토출노즐부(230)를 통해 물통(200)외부로 빠져나가더라도, 공기통로(222a)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물통(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토출노즐부(230)는, 케이스전방면(204)에 배치된다. 토출노즐부(230)는 케이스전방면(204)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진 방향에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노즐부(230)는, 케이스전방면(204)에서 좌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연결호스고정부(262)는, 케이스하부면(210)에서 좌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따라서, 연결호스(미도시)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토출노즐부(230)는, 전방으로 개구된 토출개구부(232a)를 형성하고, 삽입공간(112s)으로 삽입되는 삽입노즐(232), 삽입노즐(232) 후방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토출개구부(232a)를 개폐하는 토출개구부 밸브(234), 토출개구부 밸브(234)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36), 물통케이스(202) 내측으로 장착되고, 토출개구부 밸브(234)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노즐하우징(240)을 포함한다.
삽입노즐(232)은,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물통(200)의 케이스전방면(204)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삽입노즐(232)은,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삽입노즐(232)은, 삽입공간(112s)으로 삽입된다. 삽입노즐(232)은,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누름노즐(122)과 삽입부 둘레면(114) 사이로 배치될 수 있다. 삽입노즐(232)은,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삽입부실러(130)에 밀착된다.
토출개구부 밸브(234)는, 노즐하우징(240)이 형성하는 내측공간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토출개구부 밸브(234)는,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누름노즐(122)에 가압되는 제1면(234a), 제1면(234a)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배치되고, 내측실러(250)와 접촉하여, 토출개구부 밸브(234)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는 제2면(234b), 제2면(234b)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노즐하우징(240)에 형성되는 밸브이동가이더(246)를 따라 토출개구부 밸브(234)를 이동시키는 가이드돌기(234c)를 포함한다.
제1면(234a)의 직경(234aD)은, 제2면(234b)의 직경(234bD)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면(234a)은, 제2면(234b)보다 전방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면(234a)의 직경(234aD)은, 내측실러(250)의 내둘레면의 직경(250D)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면(234b)의 직경(234bD)은, 내측실러(250)의 내둘레면의 직경(250D)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면(234b)은, 후방에 배치되는 탄성부재(236)와 접촉한다. 따라서, 토출개구부 밸브(234)에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토출개구부 밸브(234)는, 탄성부재(236)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다. 토출개구부 밸브(234)에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토출개구부 밸브(234)는, 탄성부재(236)에 탄성력으로 내측실러(250)에 접촉한다.
가이드돌기(234c)는, 제2면(234b)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토출개구부 밸브(234)는, 상하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돌기(234c)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돌기(234c) 사이에는, 밸브이동가이더(246)가 배치되는 가이드홈(234d)이 형성된다.
노즐하우징(240)은, 물통케이스(202)의 내측으로 장착된다. 노즐하우징(240)은, 별도의 체결부재(242)를 통해, 물통케이스(202)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노즐하우징(240)에는, 물통(200) 내부공간으로 돌출형성되는 내측노즐(244)이 형성된다. 내측노즐(244)은, 노즐하우징(240)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내측노즐(244)은 물통(200)의 케이스하부면(210)으로 연장되는 별도의 연결호스(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하부면(210)에는, 연결호스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연결호스 고정부(26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노즐하우징(240)에는, 노즐하우징(240)의 후방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토출개구부 밸브(23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밸브이동가이더(246)가 배치된다. 밸브이동가이더(246)는, 토출개구부 밸브(234)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34d)에 배치된다. 토출개구부 밸브(234)는, 밸브이동가이더(246)에 가이드홈(234d)이 삽입되므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노즐하우징(240)과 물통(200)의 내측면 사이에는, 복수의 실러(244, 250)가 배치된다. 노즐하우징(240)과, 물통(200)의 내측면 사이에는, 토출개구부(232a)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배치되는 내측실러(250)와, 노즐하우징(240)의 외측둘레면에 배치되는 외측실러(252)가 배치된다.
내측실러(250)는, 토출개구부(232a)가 형성된 물통케이스(202)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토출개구부 밸브(234)의 이동을 제한한다. 토출개구부 밸브(234)는,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되지 않을 때, 내측실러(250)에 밀착된다. 내측실러(250)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측실러(250)는 중심으로 토출개구부(232a)와 연통하는 실러개구부(250a)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실러(252)는, 내측실러(250)보다 큰 반경을 가지고, 외측실러(252)에 반경방향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외측실러(252)는 고리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측실러(250)와 외측실러(252) 사이에는, 물통측 고정부재(254a, 254b)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실러(250)와, 외측실러(252)는, 사이로 배치되는 물통측 고정부재(254a, 254b)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노즐하우징(240)과, 물통(200)의 내측면 사이에는, 자력을 형성하는 물통측 고정부재(254a, 254b)가 배치된다. 물통측 고정부재(254a, 254b)는, 외측실러(252)와 내측실러(250) 사이에 배치된다.
물통측 고정부재(254a, 254b)는, 케이스전방면(204)에 배치된다. 물통측 고정부재(254a, 254b)는,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바디측 고정부재(140a, 140b)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물통측 고정부재(254a, 254b)는 자력을 형성하는 영구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물통측 고정부재(254a, 254b)는, 강한 자력값을 나타내는 희토류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물통측 고정부재(254a, 254b)는, 토출노즐부(230)에 배치되는 제1물통측 고정부재(254a)와, 제1물통측 고정부재(254a)와 좌우방향으로 대칭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제2물통측 고정부재(254b)를 포함한다. 제1물통측 고정부재(254a)와 제2물통측 고정부재(254b)는 물통(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물통(200)에는, 제2물통측 고정부재(254b)를 물통(200)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하우징(256)이 배치된다. 제2고정부재하우징(256)과, 물통(200) 사이에는,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실러(258)가 배치된다.
제2물통측 고정부재(254b)는 제1물통측 고정부재(254a)와 동일한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재실러(258)는, 제2물통측 고정부재(254b)의 둘레면을 감싸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고정부재하우징(256)은, 별도의 체결부재(259)를 통해 물통(200)의 내측에 체결될 수 있다.
물통(200)은, 사용자가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된 물통(200)을 인출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형상을 가지고, 물통케이스(202) 일측에 배치되는 손잡이부(260)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손잡이부(260)는, 케이스하부면(210)에 배치된다.
<2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통(200)과 물통(200)이 장착되는 물통하우징(100)과 관련된 구성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2에서 설명되는 물통(200)과, 물통하우징(100)은,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되는 물통(200)과, 물통하우징(100)에 대체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서는, 도 1 내지 도 7에서 개시된 물통(200), 물통하우징(100)과 비교할 때, 차이점을 가지는 구성을 기준으로 물통(200)과 물통하우징(100)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물통(200)은, 케이스양측면(206a, 206b) 중 제1케이스측면(206a)에 이하에서 설명하는 레버(310)가 삽입되는 레버홈(270)이 형성된다. 물통(200)은, 케이스양측면 중 제2케이스측면(206b)에서 힌지돌기(272)가 돌출된다. 힌지돌기(272)는, 제2케이스측면(206b)에서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물통하우징(100)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잠금 레버(314)가 관통하는 잠금레버홀(154)이 형성된다. 잠금레버홀(154)은, 하우징양측면(104a, 104b) 중 하나의 측면인 하우징1측면(104a)에 형성된다. 잠금레버홀(154)은,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되는 물통(200)의 레버홈(27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물통하우징(100)이 장착될 때, 잠금레버(314)는, 잠금레버홀(154)을 통과하여, 물통(200)의 레버홈(270)에 삽입될 수 있다.
물통하우징(100)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누름레버(312)가 관통하는 누름레버홀(150)이 형성된다. 누름레버홀(150)은, 물통하우징 전방면(102)에 형성된다. 물통하우징(100)에는, 누름레버홀(150)의 일측에서 전방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누름레버(31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누름레버가이더(152)가 배치된다.
물통하우징(100)에는, 물통(200)의 힌지돌기(272)가 삽입되는 힌지돌기홈(156)이 형성된다. 힌지돌기홈(156)은, 물통하우징 양측면(104a, 104b) 중 나머지 하나의 측면인 하우징2측면(104b)에 형성된다. 힌지돌기홈(156)은, 힌지돌기(27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누름레버(312)에 의해 물통(200)의 일측이 후방으로 돌출되더라도, 힌지돌기(272) 및 힌지돌기홈(156)이 물통(200)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1)는,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물통(200)을 물통하우징(100)에 고정시키거나 고정해제시키는 잠금장치(300)를 포함한다. 잠금장치(300)는, 메인바디(10)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치에 따라,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되는 물통(200)의 배치를 고정시키거나,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된 물통(200)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잠금장치(300)는 하우징1측면(104a)의 외측에 형성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물통(200)의 레버홈(270)에 삽입되거나, 물통(200)의 케이스전방면(204)을 가압하는 레버(310), 메인바디(10)의 둘레면에 배치되고, 레버(310)와 연결되는 버튼(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버튼(330)과, 레버(310)가 연결된다는 의미는, 버튼(330)과 레버(310)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 외에도, 다른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잠금장치(300)는, 버튼(330)에 작용하는 힘을 레버(310)로 전달하는 프레스바(332)를 포함한다.
잠금장치(300)는, 레버(310)의 기본배치를 유지하는 탄성부재(334)를 포함한다. 여기서, 레버(310)의 기본배치란, 레버(310)에 버튼(330)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잠금장치(300)가 기본배치일 때, 잠금레버(314)가 잠금레버홀(154)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잠금장치(300)가 기본배치일 때, 누름레버(312)가 누름레버홀(150)을 관통하여, 물통하우징(100)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레버(310)는, 메인바디(10)의 내측에 형성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레버(310)는, 메인바디(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고정부(316), 프레스바(332)와 연결되는 프레스바연결부(318), 회전고정부(316)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물통하우징(100)의 물통하우징 전방면(102)을 향해 밴딩된 누름레버(312), 및 회전고정부(316)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물통하우징(100)의 하우징1측면(104a)을 향해 밴딩된 잠금레버(314)를 포함한다.
회전고정부(316)는, 메인바디(10)에서 돌출되는 축돌기(11)가 장착되는 구조로 내측에 축돌기(11)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다. 회전고정부(316)는, 물통하우징 전방면(102)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회전고정부(316)는, 하우징1측면(104a)에서 이격배치된다. 회전고정부(316)는, 누름레버홀(150)보다 잠금레버홀(15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프레스바연결부(318)는, 회전고정부(316)의 전방에 배치된다. 프레스바연결부(318)는, 누름레버(312)에 배치된다. 프레스바연결부(318)는, 누름레버(312)의 단부(3121)보다 회전고정부(316)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프레스바(332)의 작은 범위의 이동에도, 누름레버(312)의 단부(3121)가 큰 범위로 이동될 수 있다.
누름레버(312)는, 회전고정부(316)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연장레버(312a)와, 전방연장레버(312a)의 단부에서 밴딩되어, 곡면을 형성하는 누름밴딩레버(312b)를 포함한다.
누름레버(312)는, 버튼(330)이 가압될 때, 물통하우징(100)의 누름레버홀(150)을 관통하여, 물통(200)의 케이스전방면(204)을 가압한다. 누름레버(312)가 누름레버홀(150)을 관통하여, 장착공간(100s)으로 돌출될 때, 물통(200)이 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잠금레버(314)는, 회전고정부(316)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연장레버(314a)와, 후방연장레버(314a)의 단부에서 밴딩되어, 곡면을 형성하는 잠금밴딩레버(314b)를 포함한다.
잠금레버(314)가 회전고정부(316)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누름레버(312)가 회전고정부(316)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잠금밴딩레버(314b)가 형성하는 곡면의 곡률반경(314R)은, 누름밴딩레버(312b)가 형성하는 곡면의 곡률반경(312R)보다 작게 형성된다.
잠금레버(314)는, 잠금장치(300)의 기본배치에서, 물통하우징(100)에 형성된 잠금레버홀(154)를 관통하여, 물통(200)의 레버홈(270)에 삽입된다. 즉, 잠금레버(314)는, 물통(200)의 레버홈(270)에 삽입되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된 물통(200)의 배치를 고정한다.
레버(310)는, 누름레버(312)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탄성부재(334)와 연결되는 걸림레버(320)를 포함한다. 걸림레버(320)는 누름레버(312)의 일측에서 버튼(33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탄성부재(334)와 연결된다. 탄성부재(334)는, 걸림레버(320)와 연결되어, 누름레버(312)를 버튼(33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버튼(330)은, 메인바디(10)의 둘레면에 배치된다. 버튼(330)은, 후방단부(330b)가 메인바디(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330)을 가압할 때, 버튼(330)의 전방단부(330a)가 메인바디(10)의 내측으로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다.
버튼(330)은, 전방단부가 프레스바(332)와 연결된다. 버튼(330)은, 프레스바(332)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프레스바(332)는, 링크구조로 레버(310) 및 버튼(330)에 연결된다. 따라서, 프레스바(332)는, 일단부가 버튼(33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레버(3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자에 의해 버튼(330)이 가압될 때, 프레스바(332)가 레버(310)를 가압한다. 사용자가 버튼(330)을 가압할 때, 누름레버(312)의 일측이 회전고정부(316)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누름레버(312)의 단부가 물통하우징(100)의 누름레버홀(150)을 통과하여, 물통하우징(100)의 장착공간(100s)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물통(200)의 케이스전방면(204)을 누름레버(312)가 후방으로 가압하게되어,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 후방으로 인출된다.
사용자가 버튼(330)을 가압하지 않을 때, 탄성부재(334)가 누름레버(312)를 버튼(330)이 배치된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따라서, 잠금레버(314)가 잠금레버홀(154)을 관통하여, 물통하우징(100)의 장착공간(100s)으로 돌출된다.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물통(200)의 레버홈(270)으로 잠금레버(314)가 삽입되어,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3실시예>
도 13a 내지 도 1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통(200) 및 물통하우징(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3a 내지 도 13b에서 설명하는 구성은, 물통(200)의 케이스2측면(206b)과, 물통하우징(100)의 하우징2측면(104b)에서 배치되는 구성으로, 도 10 내지 도 11b에서 설명한 잠금장치(300)는 여전히 포함될 수 있다.
즉, 도 9, 도 12에서 설명된, 힌지돌기(272)와 힌지돌기홈(156)의 구성이, 도 13a 내지 도 13b에서 설명되는 스토퍼(160)와 스토퍼홈(280)으로 대체될 수 있다.
스토퍼(160)는, 물통하우징(100)의 하우징2측면(104b)에 배치된다. 스토퍼(160)는, 스토퍼 탄성부재(162)에 의해, 장착공간(100s)으로 돌출배치된다. 다만, 스토퍼(160)는, 외부의 압력이 있는 경우, 하우징2측면(104b)에 형성되는 스토퍼 가이드홈(164)으로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160)는, 장착공간(100s)으로 돌출될 때,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160a)과, 경사면(160a)의 전방단부에서 절곡되어, 스토퍼 가이드홈(164)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면(160b)을 포함한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스토퍼(160)의 경사면(160a)과, 걸림면(160b)이 장착공간(100s)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물통(200)이 장착공간(100s)으로 삽입될 때에는, 물통(200)이 경사면(160a)과 접촉하여, 스토퍼(160)가 스토퍼 가이드홈(164)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스토퍼(160)가 스토퍼홈(280)에 삽입되고, 걸림면(160b)이 물통(200)의 인출을 방지한다.
물통(200)에는,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스토퍼(160)가 삽입되어, 물통(200)의 배치를 고정하는 스토퍼홈(280)이 형성된다. 스토퍼홈(280)은, 스토퍼(160)의 경사면(160a)과 걸림면(160b)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60)는, 하우징2측면(206b)의 후방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경사면(160a)과 걸림면(160b)의 연결부위는 곡면을 형성하므로, 도 10 내지 도 11b에 따른 잠금장치(300)에 의해, 물통(200)의 일측이 후방으로 밀릴 때, 스토퍼(160)를 축으로 물통(200)이 회전하면서 인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로봇청소기 10 : 메인바디
12 : 회전맙 100 : 물통하우징
100s : 장착공간 102 : 물통하우징 전방면
104a, 104b : 물통하우징 양측면 110 : 공급노즐부
112 : 삽입부 120 : 연결노즐
122 : 누름노즐 130 : 삽입부실러
140a : 제1바디측 고정부재 140b : 제2바디측 고정부재
150 : 누름레버홀 154 : 잠금레버홀
156 : 힌지돌기홈 160 : 스토퍼
200 : 물통 202 : 물통케이스
204 : 케이스전방면 206a, 206b : 케이스양측면
220 : 개구부커버 222 : 통로부재
230 : 토출노즐부 232 : 삽입노즐
234 : 토출개구부 밸브 236 : 탄성부재
240 : 노즐하우징 244 : 내측노즐
250 : 내측실러 252 : 외측실러
254a : 제1물통측 고정부재 254b : 제2물통측 고정부재
270 : 레버홈 272 : 힌지돌기
280 : 스토퍼홈 300 : 잠금장치
310 : 레버 312 : 누름레버
314 : 잠금레버 316 : 회전고정부
318 : 프레스바연결부 320 : 걸림레버
330 : 버튼 332 : 프레스바
334 : 탄성부재

Claims (20)

  1.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물통;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물통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물통하우징을 포함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으로 상기 메인바디를 이동시키며, 피청소면을 걸레질하는 한 쌍의 회전맙;
    상기 물통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과 연결될 때,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한 쌍의 회전맙 각각으로 공급하는 공급노즐부;
    상기 물통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공급노즐부와 연결되어, 상기 물통과 상기 공급노즐부를 연통시키는 토출노즐부;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자력을 형성하여,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물통의 배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토출노즐부의 둘레에서 배치되는 물통측 고정부재와,
    상기 공급노즐부의 둘레에서 상기 물통측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바디측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측 고정부재와, 상기 바디측 고정부재는, 상기 공급노즐부와 상기 토출노즐부를 밀착시키는 로봇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측 고정부재는, 상기 토출노즐부 둘레에 배치되는 링형상을 가지고, 상기 바디측 고정부재는, 상기 물통측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공급노즐부의 둘레에 배치되는 로봇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측 고정부재와, 상기 바디측 고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자력으로 상호간에 인력을 형성하는 자석을 사용하는 로봇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노즐부는, 상기 물통의 중심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공급노즐부는, 상기 토출노즐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로봇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측 고정부재는, 상기 토출노즐부의 둘레로 배치되는 제1물통측 고정부재와, 상기 물통의 중심에서 상기 제1물통측 고정부재와 반대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제2물통측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측 고정부재는, 상기 공급노즐부의 둘레로 배치되는 제1바디측 고정부재와, 상기 제2물통측 고정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바디측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노즐부는,
    상기 물통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구된 토출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물통의 전방면에서 상기 물통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삽입노즐;
    상기 삽입노즐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개구부를 개폐하는 토출개구부 밸브;
    상기 토출개구부 밸브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물통의 내측에서 상기 물통에 장착되는 노즐하우징을 포함하는 로보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과 상기 노즐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토출개구부가 형성되는 주위로 배치되는 내측실러와, 상기 노즐하우징의 외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외측실러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내측실러와 상기 외측실러 사이에 배치되는 로봇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물통측 고정부재는, 노즐부하우징과 물통사이에 배치되는 제1물통측 고정부재와, 상기 물통의 중심에서 상기 제1물통측 고정부재와 반대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제2물통측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에는 상기 제2물통측 고정부재를 상기 물통에 고정하는 고정부재하우징이 배치되는 로봇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하우징과 상기 물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물통측 고정부재로 물유입을 방지하는 고정부재실러가 배치되는 로봇청소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노즐부는,
    상기 물통하우징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노즐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물통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토출개구부 밸브를 가압하여, 토출개구부를 개방하는 누름노즐; 및
    상기 삽입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삽입노즐과 밀착되는 삽입부실러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실러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토출노즐부의 단부와 접촉하는 단부접촉면;
    상기 단부접촉면과 연결되고, 상기 누름노즐의 둘레면을 따라 연장되는 누름노즐접촉면; 및
    상기 누름노즐접촉면에서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착돌기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돌기는,
    상기 누름노즐접촉면의 단부에서 배치되는 제1밀착돌기와,
    상기 제1밀착돌기와 상기 단부접촉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밀착돌기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하부면에는,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물통을 인출하도록, 홈을 형성하는 손잡이부가 배치되는 로봇청소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하우징의 둘레면에서 이격배치된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물통의 배치를 고정하거나,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물통을 상기 물통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물통하우징의 둘레면의 외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물통의 측면에 형성되는 레버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물통의 전방면을 가압하는 레버;
    상기 메인바디의 둘레면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버튼을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에 힘이 가해질 때, 상기 레버는, 상기 물통의 전방면을 가압하는, 로봇청소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버튼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레버로 전달하는 프레스바와,
    상기 레버의 기본배치를 유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고정부;
    상기 프레스바와 연결되는 프레스바연결부;
    상기 회전고정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물통하우징의 물통하우징 전방면을 향해 밴딩되며,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물통의 전방면을 가압하는 누름레버; 및
    상기 회전고정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물통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잠금레버홀을 향해 밴딩된 잠금레버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잠금장치의 기본배치에서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물통의 레버홈에 삽입되고,
    상기 버튼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레버홈에서 인출되고, 상기누름레버는, 상기 물통을 물통하우징 후방으로 가압하는 로봇청소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레버홈이 형성되는 상기 물통의 일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서 상기 물통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형상으로 돌출되는 힌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하우징에는, 상기 물통의 상기 힌지돌기가 삽입되는 힌지돌기홈이형성되는 로봇청소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하우징은, 상기 잠금레버홀이 형성되는 상기 물통하우징의 일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 배치되고, 스토퍼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으로 돌출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에는,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상기 물통의 배치를 고정하는 스토퍼홈이 형성되는 로봇청소기.
KR1020190093492A 2019-07-31 2019-07-31 로봇청소기 KR102269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492A KR102269273B1 (ko) 2019-07-31 2019-07-31 로봇청소기
US16/943,288 US11712146B2 (en) 2019-07-31 2020-07-30 Robot cleaner
PCT/KR2020/010118 WO2021020925A1 (ko) 2019-07-31 2020-07-31 로봇청소기
EP20847216.7A EP4005455A4 (en) 2019-07-31 2020-07-31 ROBOT CLEANER
AU2020319798A AU2020319798B2 (en) 2019-07-31 2020-07-31 Robot cleaner
CN202080059236.6A CN114269215B (zh) 2019-07-31 2020-07-31 机器人清洁器
KR1020210079321A KR102343263B1 (ko) 2019-07-31 2021-06-18 로봇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492A KR102269273B1 (ko) 2019-07-31 2019-07-31 로봇청소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321A Division KR102343263B1 (ko) 2019-07-31 2021-06-18 로봇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130A true KR20210015130A (ko) 2021-02-10
KR102269273B1 KR102269273B1 (ko) 2021-06-29

Family

ID=742289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492A KR102269273B1 (ko) 2019-07-31 2019-07-31 로봇청소기
KR1020210079321A KR102343263B1 (ko) 2019-07-31 2021-06-18 로봇청소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321A KR102343263B1 (ko) 2019-07-31 2021-06-18 로봇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12146B2 (ko)
EP (1) EP4005455A4 (ko)
KR (2) KR102269273B1 (ko)
CN (1) CN114269215B (ko)
AU (1) AU2020319798B2 (ko)
WO (1) WO20210209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3459A (zh) * 2019-03-29 2020-10-09 北京石头世纪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清洁系统、自主机器人和基站
USD995023S1 (en) * 2023-02-16 2023-08-08 Feng Ye Mop water tan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484B1 (ko) * 2005-05-04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먼지통 감지장치
KR100836680B1 (ko) * 2006-08-17 2008-06-10 웅진쿠첸 주식회사 스팀청소기의 물통 장착 감지구조
KR20090102296A (ko) * 2008-03-26 2009-09-30 한경희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
KR101329605B1 (ko) * 2011-11-25 2013-11-15 주식회사 리홈쿠첸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KR20190015940A (ko) * 2017-08-07 2019-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478B1 (ko) * 2005-08-10 201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착탈 감지 장치
KR100674564B1 (ko) 2005-09-08 2007-01-2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액체공급 스테이션을 구비한 이동로봇 시스템 및액체공급방법
KR101369220B1 (ko) 2007-05-15 201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겸용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KR101052118B1 (ko) 2008-12-26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US8741013B2 (en) * 2010-12-30 2014-06-03 Irobot Corporation Dust bin for a robotic vacuum
US9282867B2 (en) 2012-12-28 2016-03-15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coverage robot
KR102320199B1 (ko) 2015-04-13 2021-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로봇청소기
KR102278584B1 (ko) 2015-09-01 2021-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KR101903022B1 (ko) 2016-07-14 2018-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KR101892814B1 (ko) 2016-10-19 2018-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CN208598297U (zh) 2017-01-26 2019-03-15 深圳洛克时代科技有限公司 智能清洁设备
CN106901665A (zh) * 2017-04-17 2017-06-30 沈昱成 多功能模块化智能家居服务机器人
CN207734102U (zh) 2017-07-15 2018-08-17 新昌县七星街道启明图形设计工作室 一种具有拖地功能的吸尘器
KR102021828B1 (ko) 2017-08-07 2019-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US11219347B2 (en) 2017-12-22 2022-01-11 Bissell Inc. Robotic cleaner
GB2570776B (en) * 2017-12-22 2022-05-04 Bissell Inc Robotic cleaner with sweeper and rotating dusting pads
US10806314B2 (en) 2018-01-05 2020-10-20 Irobot Corporation Wet floorcare robot cleaner tank latch
CN208510944U (zh) 2018-02-28 2019-02-19 郑州邦浩电子科技有限公司 无线拖地机用水箱
CN208081173U (zh) 2018-03-08 2018-11-13 厦门安泰迪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自动供水拖地水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484B1 (ko) * 2005-05-04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먼지통 감지장치
KR100836680B1 (ko) * 2006-08-17 2008-06-10 웅진쿠첸 주식회사 스팀청소기의 물통 장착 감지구조
KR20090102296A (ko) * 2008-03-26 2009-09-30 한경희 스팀청소기용 물통탈착장치
KR101329605B1 (ko) * 2011-11-25 2013-11-15 주식회사 리홈쿠첸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KR20190015940A (ko) * 2017-08-07 2019-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30248A1 (en) 2021-02-04
KR20210079251A (ko) 2021-06-29
KR102269273B1 (ko) 2021-06-29
AU2020319798B2 (en) 2024-05-09
US11712146B2 (en) 2023-08-01
WO2021020925A1 (ko) 2021-02-04
KR102343263B1 (ko) 2021-12-23
CN114269215B (zh) 2023-07-14
AU2020319798A1 (en) 2022-03-24
CN114269215A (zh) 2022-04-01
EP4005455A1 (en) 2022-06-01
EP4005455A4 (en)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5129A (ko) 로봇청소기
KR102343263B1 (ko) 로봇청소기
US11412908B2 (en) Robot cleaner
KR102123247B1 (ko) 로봇 청소기
CN215227297U (zh) 清洁基站及清洁装置
AU2017347223A1 (en) Robot vacuum cleaner
GB2555449A (en) Cleaning appliance
JP7267446B2 (ja) 掃除機用貯水タンク及びそれを備える掃除機
GB2554690A (en) Cleaning appliance
JP4982263B2 (ja) ディスペンサ
KR20210015131A (ko) 로봇청소기
KR20210015127A (ko) 이동 로봇
RU2793117C1 (ru) Робот-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US9138769B2 (en) Hand-holdable painting apparatus
RU2791502C1 (ru) Робот-пылесос
AU2018100598A4 (en) A dental cleaning appliance
KR100849547B1 (ko) 청소기의 노즐
AU2018100597A4 (en) A dental cleaning appliance
GB2555614A (en) Cleaning appliance
JP5658302B2 (ja) 洗浄ノズル
JP5386992B2 (ja) 電気掃除機
GB2558869A (en) Cleaning appliance
JPH11216399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20100020643A (ko) 청소기
JPH06105762A (ja) 便座清浄液吐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