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814B1 - 로봇 청소기 - Google Patents

로봇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814B1
KR101892814B1 KR1020160135506A KR20160135506A KR101892814B1 KR 101892814 B1 KR101892814 B1 KR 101892814B1 KR 1020160135506 A KR1020160135506 A KR 1020160135506A KR 20160135506 A KR20160135506 A KR 20160135506A KR 101892814 B1 KR101892814 B1 KR 101892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air
hole
fill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923A (ko
Inventor
고무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5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814B1/ko
Priority to US16/343,045 priority patent/US11219344B2/en
Priority to EP17862944.0A priority patent/EP3530167B1/en
Priority to PCT/KR2017/011556 priority patent/WO2018074852A1/ko
Priority to AU2017347223A priority patent/AU2017347223B2/en
Priority to CN201780064435.4A priority patent/CN109843133B/zh
Publication of KR20180042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57Suction cleaners adapted for cleaning of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86Nozzles with cleaning cloths, e.g. using disposal fabrics for covering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4Floor-sweeping machine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02Shakers for dust-cloths or mops; Bump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8Nozzles combined with a different cleaning side, e.g. duplex nozzles or dual purpos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여과시켜 배출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물걸레가 장착되는 물통 유닛; 상기 물통 유닛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물걸레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채움공간; 상기 물통 유닛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채움공간의 물을 상기 물걸레로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 유닛; 상기 물통 유닛의 상면에 형성되며, 외기가 상기 채움공간으로 유입되는 에어홀이 형성되는 공기 유입부; 청소를 위한 상기 본체의 동작시 상기 에어홀을 개방하며, 상기 본체의 정지시 상기 에어홀을 차폐하는 공기 유입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봇 청소기 {Robot Cleaner}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란, 바닥면의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가전기기이다. 이와 같은 청소기 중 자동으로 청소가 이루어지는 청소기를 로봇 청소기라 칭한다. 로봇 청소기는, 충전지에 의하여 동작하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바닥면의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제거한다.
한편, 최근에는 이물질의 흡입뿐만 아니라, 바닥면의 걸레질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는 로봇 청소기가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걸레질을 위한 구성에 물의 공급이 이루어 지도록 하여 물이 마르지 않고 전체적인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로봇 청소기가 출시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4351호에는, 로봇몸체의 후방 측 하부에 물이 공급되게 구성된 걸레판이 구비되고, 걸레판의 하부에 물걸레가 구비되어 물걸레로 지속적인 물 공급이 가능한 로봇청소기가 개시된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에서는, 물걸레가 접하는 걸레판의 하면에 물의 공급을 위한 물공급부가 형성되나, 물통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홀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물공급부를 통해서 물이 물걸레로 공급될 때 물통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여, 물통 내부의 공기압이 낮아짐에 따라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종래기술에서 걸레판에 에어홀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물통 내부의 공기압이 높아짐에 따라 물의 공급은 원활해 질 수 있으나, 로봇청소기가 정지되어 청소를 실시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바닥이 젖게 되고 물이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걸레가 장착되고 물걸레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유닛이 구비됨에 있어서, 로봇 청소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물이 물걸레로 공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를 위한 로봇 청소기의 동작시 물통유닛 내부의 물이 물걸레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통 유닛에 물통 유닛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홀이 형성됨에 있어서, 에어홀이 이물 또는 스케일에 의해서 막히는 문제가 방지되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는,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여과시켜 배출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물걸레가 장착되는 물통 유닛; 상기 물통 유닛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물걸레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채움공간; 상기 물통 유닛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채움공간의 물을 상기 물걸레로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 유닛; 상기 물통 유닛의 상면에 형성되며, 외기가 상기 채움공간으로 유입되는 에어홀이 형성되는 공기 유입부; 청소를 위한 상기 본체의 동작시 상기 에어홀을 개방하며, 상기 본체의 정지시 상기 에어홀을 차폐하는 공기 유입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물통 유닛의 상면에서 상기 채움공간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홀은, 상기 함몰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채움공간의 바닥면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함몰부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함몰부 마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 마개에는 상기 함몰부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동작시 전원이 공급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 상기 함몰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홀을 차폐하되,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에어홀을 개방시키는 홀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물통 유닛의 장착을 감지하는 감지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물통 유닛이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전자석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홀 개폐부재는 상기 함몰부의 깊이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의 내부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 개폐부재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함몰부 하부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홀 개폐부재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의 내부에는, 상기 홀 개폐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다수개의 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리브는 상기 함몰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홀은 상기 다수개의 리브의 서로 이격된 사이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홀 개폐부재의 저면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재는, 상기 함몰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함몰부의 내부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구 형상의 홀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홀 개폐부재는, 상기 본체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홀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에어홀을 차폐하며, 상기 본체의 동작시 상기 본체의 가속력에 의한 관성에 의해서 상기 에어홀의 측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은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홀은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 중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가 정지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밸브 바디; 자기장에 의해서 상기 밸브 바디로 부터 인출되며, 인출시 상기 본체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함몰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는 가스켓이 구비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샤프트가 상기 함몰부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에 접하여 상기 에어홀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물통 유닛의 장착을 감지하는 감지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물통 유닛이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정지된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통 유닛의 상면에서 일측 단부에는, 상기 채움공간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물 주입구가 형성된 상기 물통 유닛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에서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물걸레가 장착되는 물통유닛에 물걸레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채움공간이 형성되며, 물통 유닛에는 채움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에어홀이 형성되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청소를 위한 본체의 동작시 에어홀을 개방하며, 본체의 정지시 에어홀을 차폐하는 공기 유입 조절부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청소를 위한 본체의 동작시에는 에어홀을 통해 채움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됨으로써 물걸레로 안정적인 물 공급이 가능하게 되며, 본체의 정지시에는 에어홀을 통한 외기의 유입이 차단됨으로써 물걸레로의 물이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가 정지된 상태에서 바닥이 젖게 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으며, 물이 불필요한 상황에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물의 사용시간을 대폭 늘릴 수 있다.
둘째, 공기 유입부가 물통 유닛의 상면에서 채움공간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며, 에어홀은 함몰부의 하단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채움공간에 물이 충분히 채워진 상태에서는 에어홀이 물에 의해서 막히게 되어 채움공간 내부의 공기압이 감소하였을 때 기압차에 의해서 외기가 에어홀을 통해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채움공간에 물이 적은 경우 에어홀이 물에 의해서 막히지 않고 개방된다. 따라서, 채움공간의 물의 양이 많을 때에는 채움공간 내부의 공기압이 낮게 조절되어 물걸레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안정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채움공간의 물의 양이 적을 때에는 채움공간으로 외기가 원활하게 유입됨으로써 물걸레로 물의 공급이 원활해져 잔수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셋째, 공기 유입부가 물통 유닛의 상면에 형성됨으로써, 채움공간 내부의 이물질 및 스케일에 의해서 공기 유입부가 막히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물통유닛의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본체에 물통 유닛의 장착을 감지하는 감지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공기 유입 조절부재가 전자석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도록 제공되는 경우, 전자석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공급되는 전원은 물통 유닛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만 공급된다. 따라서, 물통 유닛이 장착되어 물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전자석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물통 유닛의 상면에 채움공간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주입구가 형성됨에 있어서, 물 주입구는 물통 유닛의 상면 일측 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 유입부는 물 주입구가 형성된 물통 유닛의 상면 일측 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물 주입구가 상측에 위치되도록 물통 유닛을 기울여 물을 채울 때, 물이 최대로 채워질 때 까지 에어홀이 물에 잠기지 않게 되어, 에어홀을 통한 물의 누수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물통 유닛에 물을 안정적으로 채울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사용 만족감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물통유닛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물통유닛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유닛의 상측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란 물통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하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물통유닛을 6-6'를 기준으로 절개시킨 구조를 보인 절개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물통유닛을 7-7'을 기준으로 절개시킨 구조를 보인 절개도이다.
도 8은 도 2의 로봇 청소기를 8-8'을 기준으로 절개시켜 로봇 청소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에어홀이 차폐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로봇 청소기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에어홀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물통유닛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에어홀이 차폐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에어홀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물통유닛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에어홀이 차폐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에어홀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물통유닛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7는 도 16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에어홀이 차폐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에어홀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물통유닛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물통유닛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로봇 청소기(100)의 본체(110)는, 대략 상면, 저면 및 테두리면을 포함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본체(110)의 주행방향으로의 전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10)의 테두리면을 각각 상기 본체(110)의 전면 및 후면으로 칭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전면 및 후면 사이에 위치되는 본체(110)의 테두리면을 상기 본체(110)의 측면이라 칭한다.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는 노즐 개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 개구(111)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개구(111)는, 상기 본체(110)의 저면 전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테두리면 일측에는 배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12)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이물질이 여과된 상태로 상기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곳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구(112)는 상기 본체(110)의 후면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흡입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장치는, 상기 노즐 개구(111)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배출구(112)를 통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에는, 아지테이터(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지테이터(140)는, 상기 노즐 개구(111)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아지테이터(140)는 상기 노즐 개구(111)를 통하여 청소 대상물로 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에는, 로봇 청소기(100)의 이동을 위한 바퀴(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퀴(150)는 구동 바퀴(151)와 보조 바퀴(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바퀴(151)는, 상기 본체(110)의 주행을 위하여 구동모터로 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바퀴(152)는, 상기 본체(110)의 주행에 의하여 구름 운동하며, 상기 구동 바퀴(151)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110)를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는 한쌍의 가이드 리브(1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113)는, 후술할 물통유닛(20)을 상기 본체(110)에 탈착할 때 상기 물통유닛(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113)는,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 좌우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한쌍의 상기 가이드 리브(113)는, 상기 물통유닛(20)이 삽입이 용이하도록, 전단에 비하여 후단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통유닛(20)은 상기 한쌍의 가이드 리브(113)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상기 본체(110)에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는 상기 물통유닛(20)을 전방이동을 제한하는 제1고정부(115)와 제2고정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15)는, 상기 본체(110)의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ㅁㅈ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15)는, 상기 가이드 리브(113) 후단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10)의 후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15)는, 상기 본체(110)의 가로 방향 폭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115)에는, 상기 보조 바퀴(15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조 바퀴(152)는 상기 제1고정부(115) 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통유닛(20)을 상기 본체(110)에 슬라이딩시켜 장착할 때, 상기 물통유닛(20)과 접하여 상기 물통유닛(20)과 본체(110)의 마찰력을 줄이고 상기 물통유닛(20)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115)에는, 상기 물통유닛(20)이 상기 가이드 리브(113)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물통유닛(20)의 고정리브(228)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슬롯(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슬롯(116)은, 상기 물통유닛(20)의 상기 고정리브(228)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부(115)의 일측에서 함몰되어 형성되고 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고정부(117)는, 상기 본체(110)의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17)는, 상기 가이드 리브(113)의 전단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고정부(117)는, 좌우 양측으로 이격된 한쌍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 상기 한쌍의 가이드 리브(113)의 전단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17)에는, 상기 물통유닛(20)이 상기 가이드 리브(113)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물통유닛(20)의 걸림돌기(21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슬롯(1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슬롯(118)은, 상기 물통유닛(20)의 걸림돌기(212)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2고정부(117)의 일측에서 함몰되며 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228)와 걸림돌기(212)가 상기 제1고정부(115)와 제2고정부(117)에 삽입되면 상기 물통유닛(20)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물통유닛(20)의 정확한 장착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리브(228)와 걸림돌기(212)가 상기 제1고정부(115)와 제2고정부(117)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유닛(20)이 탈거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구속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130)는 상기 물통유닛(20)의 구속리브(227)이 삽입되어 걸림구속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130)는 상기 제1고정부(115)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가로 방향 폭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130)는, 상기 물통유닛(20)이 상기 가이드 리브(113)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상기 구속리브(227)가 삽입되어 걸림구속되는 입출개구(132)와, 상기 입출개구(132)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이동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개구(132)는,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리브(227)의 입출입이 안내되도록 후단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리브(227)는, 상기 물통유닛(20)의 일측에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물통유닛(20)의 전후방 이동시 탄성 변형에 의해서 상기 입출개구(132)에 선택적으로 걸림구속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131)는 내측에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속리브(227)가 상기 입출개구(132)의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는 상기 이동부재(131)는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리브(227)가 상기 입출개구(132)로 부터 이탈되었을 때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131)의 하단은 상기 입출개구(132)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물통유닛(20)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입출개구(132)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131)는 상기 감지 장치의 감지를 위한 버튼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입출개구(132)의 내측에는 상기 물통유닛(20)의 장착 감지를 위한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동부재(131)의 상하 이동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봇 청소기(100)는 상기 물통유닛(20)의 장착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작동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통유닛(20)은 상기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며, 물걸레가 설치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유닛(20)의 내부에는 물걸레로 공급되는 물이 채워지는 채움공간(도 6, 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유닛(20)은,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저면 일부 및 후면 일부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유닛(20)은, 상측부재(200)과 하측부재(300)의 결합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측부재(200)는 상기 물통유닛(20)의 상측 구조를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부재(200)는, 상기 하측부재(300)과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채움공간(50)을 형성하는 물통 형성부(210)와, 사용자가 상기 물통유닛(20)을 탈착하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부(220)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채움공간(50)이 형성되는 상기 물통유닛(20)의 영역은 물통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저면에는 함몰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측부재(300)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 저면의 함몰된 공간을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통 형성부(210)와 하측부재(300)의 사이에는 상기 채움공간(5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220)는 상기 상측부재(200)의 일부로 제공되지 않고, 상기 하측부재(300)의 일부분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물통부는 상기 상측부재(200)의 물통 형성부(210)와 하측부재(300)의 결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220)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하측부재(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부(220)가 상기 상측부재(200)의 일부로 제공되는 구조를 일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채움공간(50)은 상기 물통유닛(20)의 전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물통 형성부(210)는 상기 상측부재(210)의 전반부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220)는 상기 상측부재(210)의 후반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물통 형성부(210)에는 상기 걸림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212)는 상기 물통유닛(20)을 상기 본체(110)에 장착시 상기 제2고정슬롯(118)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돌기(212)는 상기 제2고정슬롯(118)에 삽입되어 상기 제2고정부(117)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걸림돌기(212)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전단 모서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220)는, 상기 물통유닛(20)을 상기 본체(110)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부분으로써,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후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220)는, 상기 물통유닛(20)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10)의 후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10)의 후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0)와 물통 형성부(210)의 사이에는, 제2개구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개구부(222)는 상기 조작부(2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개구부(222)에 의해서 상기 물통유닛(20)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부(115)와 상기 물통유닛(20)의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0)에는, 상기 고정리브(2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228)는 상기 물통유닛(20)을 상기 본체(110)에 장착시 상기 제1고정슬롯(116)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리브(228)는 상기 제1고정슬롯(116)에 삽입되어 상기 제1고정부(11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228)는 상기 제2개구부(222)의 후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조작부(22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0)에는, 상기 구속리브(2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리브(228)는, 상기 물통유닛(20)을 상기 본체(110)에 장착시 상기 구속부(130)에 구속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구속리브(228)는, 상기 조작부(220)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속리브(228)가 상기 고정리브(228)에 인접하는 상기 조작부(22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리브(228)의 탄성 변형을 위하여, 상기 구속리브(228)와 인접한 상기 조작부(220)의 일측에는 절개부(2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0)에는 제1개구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부(221)는 상기 물통유닛(20)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112)를 통한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개구부(221)는 상기 물통유닛(20)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112)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부(2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220)에는 파지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223)는, 상기 조작부(22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측부재(300)는 상기 채움공간(50)의 하방을 차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상측부재(200)과 결합되는 부분이 완전한 기밀상태가 되도록 상기 상측부재(200)과 결합되어, 상기 채움공간(50) 내부의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측부재(300)는, 상기 물통유닛(20)의 하면에서 물걸레에 의해서 감싸지는 영역의 대부분을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부재(300)는,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하면이 완전히 평평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걸레는 상기 물통유닛(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부재(300)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하측부재(300)에 지지되어 바닥에 밀착되어 바닥을 닦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측부재(300)에는 물걸레로 상기 채움공간(50) 내부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 유닛은, 상기 채움공간(50) 내부의 물을 흡수하여 물걸레로 전달하는 물 전달부재(70)와, 상기 물 전달부재(70)가 장착되며 상기 하측부재(300)에 장착되어 물의 공급 통로를 제공하는 차폐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60)는 상기 하측부재(300)에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하측부재(300)의 가로 방향 폭의 중심에서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하측부재(300)를 가로 방향으로 삼등분하는 한쌍의 선상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유닛의 상측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조작부(220)는, 상기 본체(110)의 후면을 감쌀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 형성부(210)와 조작부(220)의 사이에는, 상기 제2개구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리브(228)는 상기 제2개구부(222)의 후단에 해당되는 상기 조작부(220)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리브(227)는 상기 고정리브(228)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리브(228)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리브(227)는 상기 고정리브(228) 보다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리브(228)가 상기 제1고정부(115)에 삽입될 때, 상기 구속리브(227)는 상기 제1고정부(115)의 후방에 위치되는 상기 구속부(130)에 삽입되어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리브(227)의 좌우측에는 상기 구속리브(227)의 탄성 변형을 위한 절개부(229)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상면에는, 물걸레를 고정하기 위한 걸레 고정부재(4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걸레 고정부재(40)는 벨크로(Velcro)일 수 있으며, 상기 물걸레에는 상기 걸레 고정부재(40)에 고정되는 상대 벨크로(Velcro)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레 고정부재(40)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각각 좌우 양측단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걸레가 상기 물통 형성부(210)에 대응되는 상기 물통유닛(20)의 저면을 감싸도록 한 후, 물걸레의 양측을 상기 걸레 고정부재(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물걸레의 일측은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걸레 고정부재(40)에 고정되고, 물걸레의 타측은 상기 제2개구부(222)를 통과한 후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걸레 고정부재(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레 고정부재(40)가 구비되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걸레 고정부재(40)가 경사지게 구비됨으로써 물걸레의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물걸레가 상기 물통유닛(20)의 저면을 감싼 후 접히는 부분에는, 돌출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걸레는 다수의 돌기에 의해서 상기 물통유닛(2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고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상면에는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천공된 물 주입구(도4, 233)가 형성되는 물 주입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주입부(230)에는, 상기 물 주입구(233)를 개폐하는 마개(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 주입구(233)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상면에서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통유닛(20)에 물을 채울 때, 상기 물 주입구(233)가 형성된 일측 단부가 반대측 단부 보다 상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물통유닛(20)을 기울여 물을 안정적으로 채울 수 있다.
한편, 상기 물통 형성부(210)에는,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 유입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400)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상면에서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기 유입부(400)는 상기 물 주입구(233)가 형성된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통유닛(20)을 기울여 물을 채울 때, 물이 최대로 채워지기 전까지 상기 공기 유입부(400)에 물이 접촉되지 않게 되어 상기 공기 유입부(400)를 통해 물이 누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상면에는 함몰된 가이드홈(2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260)은 상기 물통유닛(20)을 상기 본체(110)에 슬라이딩 시켜 장착시킬 때, 상기 보조바퀴(152)가 삽입되어 상기 물통유닛(20)의 초기 장착위치가 정렬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홈(260)은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상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260)은 상기 물통유닛(20)이 상기 본체(110)에 정확한 위치로 장착될 때, 상기 보조바퀴(15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홈(260)은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상면에서 좌우폭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통유닛(20)을 상기 본체(110)에 장착시키기 위해서 상기 물통유닛(20)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보조바퀴(152)는 상기 가이드홈(260)의 전방으로 개구된 가이드 개구(262)를 통해서 상기 가이드홈(26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홈(26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통유닛(20)은 상기 보조 보조바퀴(152)와 가이드홈(260)에 의해서 초기 장착위치가 정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개구(262)는 후방의 영역보다 가로 방향 폭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갈수록 더 크게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통유닛(20)의 초기 장착시 상기 보조바퀴(152)는 보다 용이하게 상기 가이드홈(260)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되며, 상기 물통유닛(20)의 전체적인 장착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란 물통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를 하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상측부재(200)의 물 주입부(230)에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상면에서 함몰되어 단차진 마개 안착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 안착부(232)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주입구(2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개 안착부(232)는 상기 마개(30)가 상기 주입구(233)를 차폐한 상태에서 안착되는 부분으로써, 상기 마개(30)에 대응되는 형상 및 상기 마개(30)의 상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233)는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로 물을 주입하기 위한 통로로써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상면에 천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주입부(230)에는, 사용자가 상기 마개(30)의 일측을 들어올려 개방하기 위해서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마개 파지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개 파지홈(231)은 상기 마개 안착부(232)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마개 안착부(232) 보다 더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개(30)는, 상기 마개 안착부(232)에 안착되는 마개 바디(31)와, 마개 바디(32)의 일측에서 상기 마개 파지홈(231)을 향하여 돌출되는 마개 파지부(32)와, 상기 상측부재(200)의 일측에 고정되는 마개 고정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개 파지부(32)는 상기 마개 파지홈(231)의 상측 일부를 커버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마개 파지홈(231)에 손가락을 삽입한 후 상기 마개 파지부(32)를 들어올려 상기 마개(30)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개 고정부(33)는 상기 마개 바디(31)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개 안착부(232)의 일측에는 상기 마개 고정부(33)가 압입되어 고정되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 바디(31)의 하면에는 상기 주입구(23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실링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34)는 상기 마개(30)가 상기 주입구(233)를 차폐하였을 때, 상기 주입구(233)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주입구(233)의 내주면과 접하여 상기 주입구(233)가 기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유입부(400)는, 상기 채움공간(50)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동작 여부에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400)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상면에서 함몰되는 함몰부(410), 상기 함몰부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는 함몰부 마개(42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410)는 상기 채움공간(50)의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채움공간(50)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410)의 하단에는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홀(4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상면에서 상기 함몰부(410)의 둘레는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 마개(420)는 상기 함몰부(410) 둘레의 단차진 부분에 단부가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함몰부(410) 둘레의 단차진 부분은 상기 함몰부 마개(420)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 마개(420)의 상면과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 마개(420)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에 융착되어 결합되거나 접착재에 의해서 접착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함몰부 마개(420)에는, 상기 함몰부(4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 홀(4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 홀(421)은 상기 함몰부 마개(420)의 상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 마개(4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입 홀(421)은 외기가 상기 함몰부(41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함몰부(410)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는 상기 에어홀(416)을 개폐하는 공기 유입 조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11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에어홀(416)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재는, 상기 함몰부(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홀 개폐부재(450)와,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전자석(도 8, 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410)의 내부에는 홀 개폐부재(45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 개폐부재(450)는 상기 함몰부(410)의 내부에서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 마개(420)에 의해서 상기 함몰부(4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홀 개폐부재(450)는, 상기 물통유닛(20)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1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함몰부(41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어 상기 에어홀(416)을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홀 개폐부재(450)는, 영구자석 또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110)의 구동에 따라 동작되는 전자석(16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개폐부재(450)는 상기 전자석(160)의 동작에 따라 상기 함몰부(41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400) 및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재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측부재(300)는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측부재(300)에는, 상기 차폐부재(60)가 장착되는 차폐부재 장착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 장착부(320)는, 상기 차폐부재(60)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한쌍이 형성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차폐부재 장착부(320)는, 하측부재(300)의 가로 방향 폭의 중심에서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측부재(300)를 가로 방향으로 삼등분하는 한쌍의 선상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 장착부(320)는, 상기 차폐부재(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차폐부재(60)의 하면과 상기 하측부재(300)의 하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차폐부재 장착부(320)는, 상기 하측부재(300)의 하면에서 함몰되고 상기 하측부재(300)의 상면으로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폐부재 장착부(320)는 상기 차폐부재(60)의 상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부재(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재 장착부(320)의 함몰된 내측면에는 상기 채움공간(50) 내부의 물이 물걸레로 이동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공급 홀(3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 홀(330)은 상기 차폐부재 장착부(320)의 내측면에서 천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부재(60)는, 상기 차폐부재 장착부(3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폐부재 바디(61)와, 상기 차폐부재 바디(61)의 상면에서 도출되며 상기 공급 홀(330)에 삽입되는 삽입 장착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재(60)는, 우레탄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 바디(61)는, 상기 차폐부재 장착부(320)에 삽입되어 형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 장착부(62)는, 상기 공급 홀(3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장착부(62)는 상기 차폐부재 바디(61)가 상기 차폐부재 장착부(3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 홀(3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 장착부(62)는 상기 공급 홀(330)의 내면과 밀착되어 상기 공급 홀(330)의 내면과 상기 삽입 장착부(62)의 외면 사이가 기밀상태가 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그리고, 상기 차폐부재 바디(61)의 일측에는 상기 물 전달부재(70)가 장착되는 전달부재 장착부(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63)는 상기 물 전달부재(70)가 상기 차폐부재 바디(61)의 외측에서 상기 차폐부재 바디(61)를 관통하여 상기 채움공간(50) 내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63)는 상기 차폐부재 바디(6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부재 바디(6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63)는 상기 삽입 장착부(62)의 내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 장착부(62)는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63)의 외측영역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63)는, 상기 물 전달부재(7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된 위치에 한쌍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달부재 장착부(63)는 상기 물 전달부재(7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물 전달부재(70)와의 사이 틈새 사이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상기 물 전달부재(70)의 둘레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재(60)가 탄성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63)의 절개된 내측면은 상기 물 전달부재(70)의 둘레를 탄성 강바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전달부재(70)가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6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채움공간(50) 내부의 물은 상기 물 전달부재(70)를 통해서만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 전달부재(70)는, 물의 흡수하여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물 전달부재(70)는, 직물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전달부재(70)는, 양단이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63)로 삽입된 후, 삽입된 양단이 상기 채움공간(50)의 하면에 접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측부재(200)의 물통 형성부(210)의 하면에는, 상기 물 전달부재(70)의 단부를 상기 채움공간(50)의 하면으로 안내하는 전달부재 가이드(2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 가이드(280)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하면에서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6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부재 가이드(280)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달부재 가이드(280)는 상기 물 전달부재(70)의 양단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안내하는 제1가이드(281)와, 상기 물 전달부재(70)의 양단이 상기 채움공간(50)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제2가이드(2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281)는,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63)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281)는, 중심부분 최대로 돌출되고 중심부분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가이드(281)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하면에서 'V'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전달부재(70)는, 상기 제1가이드(281)의 양측 경사면을 따라서 양단부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가이드(282)는, 상기 제1가이드(281)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282)는 상기 제1가이드(281)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전달부재(70)는, 한쌍의 상기 제2가이드(282)의 경사면을 따라 양단부가 하방으로 안내되어 상기 채움공간(50)의 바닥면을 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281)와 한쌍의 제2가이드(282)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하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물 전달부재(70)의 양단부를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안내하고 하방으로 안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물 전달부재(70)는 양단부가 상기 제1가이드(281)와 제2가이드(282)의 경사면을 향하도록 정렬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차폐부재(60)와 상기 하측부재(300)의 하면에는 상기 차폐부재(60)를 회전시켜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표식이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달부재 가이드(280)는, 상기 제1가이드(281)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282)가 상기 제1가이드(281)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링과 같은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차폐부재(60)를 회전시켜 위치를 정렬하지 않더라도 상기 물 전달부재(70)가 상기 전달부재 가이드(280)에 안내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하측부재(300)에는, 상기 상측부재(200)과 하측부재(300)의 결합시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상기 채움공간(50)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40)는 상기 하측부재(3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40)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340)가 한쌍으로 제공되는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340)는, 상기 하측부재(300)를 좌우로 이등분 하였을 때, 좌측 영역의 중심 위치 및 우측 영역의 중심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부(340)는 상기 차폐부재 장착부(320)의 외측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하면에서 상기 지지부(34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지지부(340)의 상단이 삽입되는 지지부 결합부(29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결합부(290)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 상기 지지부(340)의 상단이 끼워지는 지지부 삽입부(29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40)의 상단은 상기 지지부 삽입부(29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 결합부(290)의 내측 상면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340)와 지지부 결합부(290)의 결합 구조에 의해서, 상기 채움공간(50)은 뒤틀림 및 변형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부재(200)과 하측부재(300)의 결합시 결합 위치가 정렬될 수도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지지부(340)가 상기 상측부재(200)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결합부(290)가 상기 하측부재(300)에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도 6은 도 1에서 물통유닛을 6-6'를 기준으로 절개시킨 구조를 보인 절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차폐부재(60)는 상기 차폐부재 장착부(3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차폐부재 장착부(320)와 형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재(60)의 하면은 상기 하측부재(300)의 하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 전달부재(70)는, 상기 차폐부재(60)의 하방에서 양단이 한쌍의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63)에 각각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전달부재(70)의 양단은,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에서 상기 제1가이드(281)에 의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안내되고, 상기 제2가이드(282)에 의해서 상기 채움공간(50)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물 전달부재(70)의 양단은, 상기 채움공간(50)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채움공간(50) 내부의 잔수까지도 흡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전달부재(70)의 일부는, 상기 차폐부재(6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물 전달부재(70)의 양단이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6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물 전달부재(70)의 일부는 한쌍의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63)의 이격된 사이 영역에 지지되어 상기 전달부재 장착부(63)의 하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전달부재(70)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은 물걸레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전달부재(70)는 상기 채움공간(50)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을 통해서 물을 흡입하고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통해서 물걸레로 물을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물 전달부재(70)는 물걸레와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물을 전달하게 되므로, 물걸레가 젖은 정도에 따른 물걸레의 흡수력의 변화에 따라서 공급하는 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물걸레로 안정적인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며 물걸레가 지나치게 젖게 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서 물통유닛을 7-7'을 기준으로 절개시킨 구조를 보인 절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측부재(200)의 물통 형성부(210)의 저면에는 상기 채움공간(50)이 되는 함몰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측부재(300)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 저면의 함몰된 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상측부재(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부재(200)에는 상기 하측부재(300)의 둘레 단부가 안착되는 하측부재 접합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부재 접합부(215)는 상기 상측부재(200)의 함몰된 공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측부재(300)의 둘레 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부재(300)는 상기 하측부재 접합부(215)에 안착된 상태에서 둘레면과 상면 가장자리가 상기 하측부재 접합부(215)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하측부재(300)이 상기 하측부재 접합부(215)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장착되었을 때, 상기 하측부재(300)의 상기 지지부(340)는 상기 상측부재(200)의 상기 지지부 결합부(290)에 끼워질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340)의 상단부는 상기 지지부 삽입부(291)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 삽입부(291)의 내측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340)는 상기 상측부재(200)를 지지하게 되어 상기 채움공간(50)의 변형을 방지하며 상기 하측부재(300)이 상기 하측부재 접합부(215)에 안착된 상태에서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측부재(200)과 하측부재(300)는, 상기 초음파 융착 또는 진동 융착 또는 열 융착 방법 중 하나에 의해서 융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측부재(300)와 상측부재(200)의 결합 전에, 상기 하측부재 접합부(215)의 상면 또는 상기 하측부재(300)의 둘레면에는 융착을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융착을 위한 돌기는 초음파 융착 또는 열 융착에 의해서 녹아 상기 하측부재(300)와 상측부재(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초음파 융착 방법은, 초음파를 상하로 발생시켜 2개의 부품을 마찰시켜 융착시키는 융착 방법이다. 그리고, 진동 융착 방법은, 부품을 좌우로 움직여 마찰을 발생시켜 융착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열 융착 방법은 상측 지그와 하측 지그 사이에 열판을 넣고 각각의 부품의 융착면에 열을 가하여 열로 부품을 녹여 붙이는 방식이다.
도 8은 도 2의 로봇 청소기를 8-8'을 기준으로 절개시켜 로봇 청소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에어홀이 차폐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로봇 청소기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에어홀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함몰부(410)는 상기 채움공간(50)의 바닥면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에어홀(416)이 형성된 상기 함몰부(410)의 하단은 상기 채움공간(50)의 바닥면과 인접되되 소정의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함몰부(410)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채움공간(50)에 물이 많을 경우에는 물에 의해서 상기 에어홀(416)이 막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채움공간(50) 내부의 공기압이 일정 이상 감소하였을 때 기압차에 의해서 외기가 상기 에어홀(416)을 통해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채움공간(50) 내부의 공기압이 조절되어 상기 물 전달부재(7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안정적으로 조절되어, 걸레가 지나치게 젖게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채움공간(50)에 물이 적을 경우에는 상기 에어홀(416)이 개방되어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로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채움공간(50)의 물의 양이 상기 함몰부(410)의 하단 보다 낮아지게 되면, 상기 상기 에어홀(416)은 물에 의해서 막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물의 양이 적음에 따른 수압이 낮은 상태에서도 물 전달부재(70)로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잔수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함몰부(410)는 상기 채움공간(5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하단은 상기 채움공간(50)의 하면과는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채움공간(50)에 유입되는 이물질과 물에 의해서 발생되는 스케일 등에 의해서 상기 에어홀(416)이 막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전자석(1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자석(160)은 상기 본체(110)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정지되고, 상기 본체(110)의 동작시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110)가 정지된 상태는, 상기 본체(110)가 완전히 오프된 상태 또는 상기 본체(110)가 충전대에 도킹된 상태 또는 오류 발생으로 본체(110)가 정지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전자석(160)은 상기 물통유닛(20)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유입부(40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석(16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홀 개폐부재(450)가 안정적으로 수직하게 승강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410)의 내부에는 상기 홀 개폐부재(450)가 상하 이동되며 공기의 이동 통로가 되는 공간(4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410)의 공간(415)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함몰부(410)의 공간(415) 상부는, 상기 홀 개폐부재(450)의 둘레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 개폐부재(450)가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함몰부(410)의 내측면과 상기 홀 개폐부재(450)의 사이에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410)의 공간(415) 하부는, 상기 홀 개폐부재(450)의 둘레와 접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 개폐부재(450)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함몰부(410)의 내측면과 상기 홀 개폐부재(450)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공기가 유동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함몰부 마개(420)에 형성된 상기 유입 홀(421)은 상기 함몰부(410)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가 상기 유입 홀(421)을 통해서 상기 함몰부(4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 개폐부재(450)가 금속소재로 형성되고, 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홀 개폐부재(450)는 쇠구슬일 수 있다.
물론, 상기 홀 개폐부재(450)는, 전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서 이동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홀(416)을 차폐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석(160)과 상기 공기 유입부(400)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110)에 상기 물통유닛(20)이 장착되면, 상기 본체(110)에 구비된 감지장치에서 상기 물통유닛(20)의 장착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봇 청소기(10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물통유닛(20)에 채워진 물을 이용한 물 청소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석(160)은, 상기 물통유닛(20)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만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160)은, 상기 바퀴(150)가 동작되어 상기 본체(110)가 청소를 위해 움직일 경우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1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석(160)은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개폐부재(450)는, 자중에 의해서 상기 함몰부(4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홀 개폐부재(450)의 외주면은 상기 함몰부(41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에어홀(416)로 외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 마개(420)에 형성된 유입홀(421)을 통해서 상기 공간(415)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홀(416)을 통해서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홀(416)을 통해서 상기 채움공간(5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채움공간(50) 내부의 공기압이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물 전달부재(70)를 통해서 걸레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채움공간(50)의 물이 상기 물 전달부재(70)에 흡수되어 걸레로 공급될 경우,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는 물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서 공기압이 감소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공기 유입부(400)를 통해서 외기가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 상기 채움공간(50) 내부는 공기압이 상승하게 되고 상기 물 전달부재(70)를 통해서 걸레로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공기 유입부(400)를 통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됨으로써, 상기 공기 유입부(400)를 통해서 외기가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채움공간(50) 내부의 공기압이 감소함에 따라서 상기 물 전달부재(70)로 물의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걸레로의 물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10)가 전원이 오프된 상태이거나 충전대에 장착되어 충전중인 상태 또는 에러가 발생되어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채움공간(50)의 물의 출수가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가 정지된 상태에서 물이 출수되어 바닥이 젖게 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의 물이 불필요한 상황에서 출수가 절약되므로 사용시간을 대폭늘릴 수 있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바퀴(150)가 동작되어 상기 본체(110)가 청소를 위해서 동작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자석(160)는 동작되어 자기력을 형성할 수 잇다. 그리고, 상기 홀 개폐부재(450)는, 상기 전자석(160)의 자기력에 의해서 상기 함몰부(41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폐부재(450)의 외주면은 상기 함몰부(410)의 내측면과 이격되며 상기 에어홀(416)로 외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 마개(420)에 형성된 유입홀(421)을 통해서 상기 공간(415)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홀(416)을 통해서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홀(416)을 통해서 상기 채움공간(50)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의 공기압이 상승되어 상기 물 전달부재(70)로 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본체(110)가 청소를 위해서 동작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채움공간(50)의 물이 상기 물 전달부재(70)를 통해서 걸레로 원활하게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원활한 물 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물통 유닛에 형성된 공기 유입부의 구조 및 공기 유입 조절부재의 구조는 상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체에 구비된 전자석의 자기력에 의해서 에어홀을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물통유닛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에어홀이 차폐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에어홀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공기 유입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공기 유입부의 구조와 공기 유입 조절부재를 제외한 상술된 다른 구성들은 동일하므로, 공기 유입부와 공기 유입 조절부재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동일한 도면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물통유닛(20)의 상기 물통 형성부(210)에는,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 유입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500)는 상기 물 주입구(233)가 형성된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500)는 상기 채움공간(50)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500)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상면에서 함몰되는 함몰부(510), 상기 함몰부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는 함몰부 마개(52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510)는 상기 채움공간(50)의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채움공간(50)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510)의 하단에는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홀(5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에어홀(516)이 형성된 상기 함몰부(510)의 하단은 상기 채움공간(50)의 바닥면과 인접되되 소정의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상면에서 상기 함몰부(510)의 둘레는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 마개(520)는 상기 함몰부(510) 둘레의 단차진 부분에 단부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 마개(520)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에 융착되어 결합되거나 접착재에 의해서 접착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함몰부 마개(520)에는, 상기 함몰부(5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 홀(5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 홀(521)은 상기 함몰부 마개(520)의 상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 마개(5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입 홀(521)은 외기가 상기 함몰부(51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함몰부(510)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는 상기 에어홀(516)을 개폐하는 공기 유입 조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11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에어홀(516)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재는, 상기 함몰부(5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홀 개폐부재(550)와,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전자석(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 개폐부재(550)는 상기 함몰부(510)의 내부에서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 마개(520)에 의해서 상기 함몰부(5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홀 개폐부재(550)는, 상기 물통유닛(20)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1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함몰부(51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어 상기 에어홀(516)을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홀 개폐부재(550)는, 영구자석 또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110)의 구동에 따라 동작되는 상기 전자석(16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개폐부재(550)는 상기 전자석의 동작에 따라 상기 함몰부(51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160)은 상기 물통유닛(20)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유입부(50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석(16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홀 개폐부재(550)가 안정적으로 수직하게 승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홀 개폐부재(55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개폐부재(550)의 하면에는 실링부재(5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55)는 상기 홀 개폐부재(550)가 상기 함몰부(510)의 하부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함몰부(510)의 바닥면과 접하여 상기 에어홀(516)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실링부재(555)는 소음 및 충격완화를 위하여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몰부(510)의 내부에는 상기 홀 개폐부재(550)가 상하 이동되며 공기의 이동 통로가 되는 공간(5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510)의 공간(515)은 상기 홀 개폐부재(55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개폐부재(550)가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홀 개폐부재(550)보다 상하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몰부(510)의 공간(515)을 통해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함몰부(510)의 내측면은 상기 홀 개폐부재(550)의 둘레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잇다. 즉, 상기 함몰부(515)의 내측면 둘레는 상기 홀 개폐부재(550)의 둘레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510)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리브(511)가 상하로 길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수개의 상기 리브(511)는 상기 함몰부(5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511)는 상기 홀 개폐부재(550)의 둘레면에 접하여 상기 홀 개폐부재(55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홀 개폐부재(550)의 측방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상기 리브(511)의 사이 공간을 통해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입홀(521)은 다수개의 상기 리브(511)의 사이 공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 개폐부재(550)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면이 상기 함몰부 마개(520)에 접하였을 때, 상기 유입홀(521)이 차폐되지 않고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석(160)과 상기 공기 유입부(500)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1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석(160)은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개폐부재(550)는, 자중에 의해서 상기 함몰부(5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홀 개폐부재(550)의 하면에 구비된 상기 실링부재(555)는 상기 함몰부(510)의 바닥면에 접하여 상기 에어홀(516)을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 마개(520)에 형성된 상기 유입홀(521)을 통해서 상기 공간(515)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홀(516)을 통해서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홀(516)을 통해서 상기 채움공간(5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채움공간(50) 내부의 공기압이 조절되어 상기 물 전달부재(70)를 통해서 걸레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10)가 청소를 위해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전자석(160)은 동작되어 자기력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개폐부재(550)는, 상기 전자석(160)의 자기력에 의해서 상기 함몰부(510)의 상부로 이동되며, 상기 에어홀(516)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 마개(520)에 형성된 상기 유입홀(521)을 통해서 상기 공간(515)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홀(516)을 통해서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홀(516)을 통해서 상기 채움공간(50)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의 공기압이 상승되어 상기 물 전달부재(70)로 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본체(110)에 전자석이 구비되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즉, 본 발명의 공기 유입부와 공기 유입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110)의 구동에 따라 물통유닛에 형성된 에어홀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110)에 전자석이 구비되지 않는 구조에서, 상기 본체(11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에어홀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공기 유입부와 공기 유입 조절부재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물통유닛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에어홀이 차폐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에어홀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공기 유입부와 공기 유입 조절부재를 제외한 다른 구성 및 특징들은 상술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물통유닛(20)의 상기 물통 형성부(210)에는,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 유입부(6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600)는 상기 물 주입구(233)가 형성된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600)는 상기 채움공간(50)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600)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상면에서 함몰되는 함몰부(610), 상기 함몰부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는 함몰부 마개(62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610)의 내부에는 홀 개폐부재(6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610)는 상기 채움공간(50)의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채움공간(50)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610)의 하단에는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홀(6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에어홀(616)이 형성된 상기 함몰부(610)의 하단은 상기 채움공간(50)의 바닥면과 인접되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상면에서 상기 함몰부(610)의 둘레는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 마개(620)는 상기 함몰부(610) 둘레의 단차진 부분에 단부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 마개(620)는, 상기 물통 형성부(610)에 융착되어 결합되거나 접착재에 의해서 접착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함몰부 마개(620)에는, 상기 함몰부(6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홀(6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621)은 상기 함몰부 마개(620)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 마개(62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함몰부 마개(620)의 상면을 관통하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함몰부 마개(6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입 홀(621)은 외기가 상기 함몰부(61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함몰부(610)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는 상기 에어홀(616)을 개폐하는 공기 유입 조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11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에어홀(616)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재는, 상기 함몰부(6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홀 개폐부재(6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 개폐부재(650)는 상기 함몰부(610)의 내부에서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 마개(620)에 의해서 상기 함몰부(6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홀 개폐부재(650)는, 상기 물통유닛(20)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1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함몰부(610)의 내부에서 유동되어 상기 에어홀(616)을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홀 개폐부재(650)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610)의 내부에는 공기의 이동 통로가 되며 상기 홀 개폐부재(650)가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6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615)은 상기 홀 개폐부재(650)의 직경 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공간(615)의 횡단면의 직경은 상기 홀 개폐부재(650)의 직경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함몰부(610)의 내측면은 상기 홀 개폐부재(650)와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615)의 바닥면은 외측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615)의 바닥면 중심에 상기 에어홀(61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홀(616)은 상기 공간(615)의 바닥면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채움공간(50)과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본체(11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홀 개폐부재(650)는 상기 공간(615)의 바닥면 경사에 의해서 상기 공간(615)의 바닥면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개폐부재(650)는 상기 에어홀(616)의 상방에서 상기 에어홀(616)을 차폐할 수 있다.
즉,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1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홀(616)은 상기 홀 개폐부재(650)에 의해서 차폐된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 마개(620)에 형성된 상기 유입홀(621)을 통해서 상기 공간(615)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홀(616)을 통해서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홀(616)을 통해서 상기 채움공간(5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채움공간(50) 내부의 공기압이 조절되어 상기 물 전달부재(70)를 통해서 걸레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10)가 청소를 위해서 가속되거나 이동 방향이 달라질 경우, 상기 홀 개폐부재(650)는 관성에 의하여 상기 공간(615)의 바닥면 중심에서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홀(616)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 마개(620)에 형성된 상기 유입홀(621)을 통해서 상기 공간(616)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홀(616)을 통해서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홀(616)을 통해서 상기 채움공간(50)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의 공기압이 상승되어 상기 물 전달부재(70)로 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110)에 전자석이 구비되지 않고, 상기 본체(11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에어홀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공기 유입부와 공기 유입 조절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물통유닛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7는 도 16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에어홀이 차폐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에어홀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공기 유입부와 공기 유입 조절부재를 제외한 다른 구성 및 특징들은 상술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물통유닛(20)의 상기 물통 형성부(210)에는,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 유입부(7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700)는 상기 물 주입구(233)가 형성된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700)는 상기 채움공간(50)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동작 여부에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700)는, 상기 물통 형성부(210)의 상면에서 함몰되는 함몰부(71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710)는 상기 채움공간(50)의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채움공간(50)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710)의 하단에는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홀(7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에어홀(716)이 형성된 상기 함몰부(710)의 하단은 상기 채움공간(50)의 바닥면과 인접되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는 상기 에어홀(716)을 개폐하는 공기 유입 조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11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에어홀(716)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70)일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0)는 상기 본체(110)의 동작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0)는, 상기 본체(11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서 자기장을 형성하는 밸브 바디(171)와, 상기 밸브 바디(171)의 내부로 인출입되는 샤프트(17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72)의 단부에는 가스켓(173)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172)는 상기 밸브 바디(171)에 전원이 공급될 경우 자기장에 의해서 상기 밸브 바디(171)로 부터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7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72)는 상기 밸브 바디(171)에 전원이 차단될 경우 상기 밸브 바디(171)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함몰부(710)의 내부에서 인출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0)는 상기 물통유닛(20)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유입부(70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샤프트(172)는 상기 공기 유입부(70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72)는 상하로 수직하게 동작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하면에서 상기 공기 유입부(70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샤프트(172)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72)는 상기 밸브 바디(171)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본체(110) 하면의 홀을 통해서 노출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된 상태일 수도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0)는, 상기 물통유닛(20)이 상기 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만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가 정지된 상태에서만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1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0)는 동작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샤프트(172)가 상기 함몰부(71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72)의 단부에 구비된 상기 가스켓(173)은 상기 함몰부(710)의 바닥면에 접하여 상기 에어홀(716)을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홀(716)을 통해서 상기 채움공간(5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채움공간(50) 내부의 공기압이 조절되어 상기 물 전달부재(70)를 통해서 걸레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가스켓(173)은 상기 함몰부(7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710)의 내측 둘레면 및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172)가 상기 함몰부(71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켓(173)은 상기 함몰부(71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에어홀(716)을 통해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173)은, 충격 완화 및 소음 감소를 위하여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10)가 청소를 위해서 동작되는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0)는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상기 샤프트(172)가 상기 함몰부(710)로 부터 인출되어, 상기 함몰부(710)의 개구된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710)이 개구된 상면을 통해서 외기가 상기 함몰부(7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홀(716)을 통해서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상기 에어홀(716)을 통해서 상기 채움공간(50)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채움공간(50)의 내부의 공기압이 상승되어 상기 물 전달부재(70)로 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17)

  1.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여과시켜 배출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물걸레가 장착되는 물통 유닛;
    상기 물통 유닛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물걸레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채움공간;
    상기 물통 유닛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채움공간의 물을 상기 물걸레로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 유닛;
    상기 물통 유닛의 상면에 형성되며, 외기가 상기 채움공간으로 유입되는 에어홀이 형성되는 공기 유입부;
    청소를 위한 상기 본체의 동작시 상기 에어홀을 개방하며, 상기 본체의 정지시 상기 에어홀을 차폐하는 공기 유입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물통 유닛의 상면에서 상기 채움공간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홀은, 상기 함몰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채움공간의 바닥면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함몰부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함몰부 마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 마개에는 상기 함몰부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동작시 전원이 공급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
    상기 함몰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홀을 차폐하되,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에어홀을 개방시키는 홀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물통 유닛의 장착을 감지하는 감지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물통 유닛이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전자석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 개폐부재는 상기 함몰부의 깊이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내부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 개폐부재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함몰부 하부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 개폐부재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의 내부에는, 상기 홀 개폐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다수개의 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리브는 상기 함몰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다수개의 리브의 서로 이격된 사이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홀 개폐부재의 저면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재는, 상기 함몰부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함몰부의 내부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구 형상의 홀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홀 개폐부재는,
    상기 본체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홀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에어홀을 차폐하며,
    상기 본체의 동작시 상기 본체의 가속력에 의한 관성에 의해서 상기 에어홀의 측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은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홀은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 중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조절부재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가 정지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밸브 바디;
    자기장에 의해서 상기 밸브 바디로 부터 인출되며, 인출시 상기 본체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함몰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는 가스켓이 구비되며,
    상기 가스켓은, 상기 샤프트가 상기 함몰부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에 접하여 상기 에어홀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물통 유닛의 장착을 감지하는 감지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물통 유닛이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정지된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유닛의 상면에서 일측 단부에는, 상기 채움공간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물 주입구가 형성된 상기 물통 유닛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KR1020160135506A 2016-10-19 2016-10-19 로봇 청소기 KR101892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506A KR101892814B1 (ko) 2016-10-19 2016-10-19 로봇 청소기
US16/343,045 US11219344B2 (en) 2016-10-19 2017-10-18 Robot vacuum cleaner
EP17862944.0A EP3530167B1 (en) 2016-10-19 2017-10-18 Robot vacuum cleaner
PCT/KR2017/011556 WO2018074852A1 (ko) 2016-10-19 2017-10-18 로봇 청소기
AU2017347223A AU2017347223B2 (en) 2016-10-19 2017-10-18 Robot vacuum cleaner
CN201780064435.4A CN109843133B (zh) 2016-10-19 2017-10-18 机器人吸尘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506A KR101892814B1 (ko) 2016-10-19 2016-10-19 로봇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923A KR20180042923A (ko) 2018-04-27
KR101892814B1 true KR101892814B1 (ko) 2018-08-28

Family

ID=6201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506A KR101892814B1 (ko) 2016-10-19 2016-10-19 로봇 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19344B2 (ko)
EP (1) EP3530167B1 (ko)
KR (1) KR101892814B1 (ko)
CN (1) CN109843133B (ko)
AU (1) AU2017347223B2 (ko)
WO (1) WO20180748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4548B (zh) * 2018-08-29 2023-09-05 珠海一微半导体股份有限公司 一种水箱结构和清洁机器人
CN109077669B (zh) * 2018-08-29 2023-10-24 珠海一微半导体股份有限公司 一种水箱和清洁机器人
CN110477811B (zh) * 2019-07-10 2022-02-15 深圳市伽利略机器人有限公司 一种加装式智能扫地机水箱附件
KR102269273B1 (ko) * 2019-07-31 202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
KR102286287B1 (ko) 2019-07-31 202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
KR102279788B1 (ko) 2019-07-31 202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
CN110547727A (zh) * 2019-08-14 2019-12-10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清洁机器人的流体施加方法及清洁机器人
CN110584549B (zh) * 2019-08-20 2021-05-28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清洁机器人及智能清洁系统
CN110448234A (zh) * 2019-09-05 2019-11-15 北京石头世纪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清洁设备
CN112515585A (zh) * 2020-09-11 2021-03-19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箱及清洁机器人
CN112353324B (zh) * 2020-11-06 2022-06-28 追觅创新科技(苏州)有限公司 用于扫地机器人的维护站
CN113243850A (zh) * 2021-02-10 2021-08-13 北京顺造科技有限公司 基站和表面清洁设备的通信方法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369B1 (ko) 1997-06-13 2000-01-15 윤덕하 흡입과 송풍을 겸비한 진공청소기
KR101046844B1 (ko) 2008-08-29 201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KR101352195B1 (ko) 2012-03-08 201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584B1 (ko) 1995-10-18 1999-04-15 김광호 전원전압 공급회로
KR19980016009U (ko) * 1996-09-13 1998-06-25 김광호 냉장고 압력평형장치
CN1287106C (zh) * 2002-04-12 2006-11-2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阀门装置
US8392021B2 (en) * 2005-02-18 2013-03-05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surface cleaning robot for wet cleaning
JP5096898B2 (ja) * 2007-12-12 2012-12-12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メカニカルバルブ
KR101052118B1 (ko) 2008-12-26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KR101014468B1 (ko) * 2008-07-21 2011-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KR20110105305A (ko) * 2010-03-18 2011-09-26 김정옥 청소기
US8898844B1 (en) * 2011-07-08 2014-12-02 Irobot Corporation Mopping assembly for a mobile robot
EP2730204B1 (en) * 2012-11-09 2016-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KR102123247B1 (ko) * 2012-11-09 202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TWI508692B (zh) * 2013-02-08 2015-11-21 Self-propelled trailing machine
KR101520043B1 (ko) * 2013-07-24 2015-05-14 에브리봇 주식회사 물걸레 로봇청소기 및 청소제어방법
US9265396B1 (en) * 2015-03-16 2016-02-23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floor cleaning with removable pad
CN204654821U (zh) * 2015-03-27 2015-09-23 宁波迷你博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湿拖吸尘器
CN204909318U (zh) * 2015-08-21 2015-12-30 深圳市智意科技有限公司 家用扫地机的清洁箱结构
CN204931580U (zh) * 2015-08-27 2016-01-06 科沃斯机器人有限公司 水箱及其清洁机器人
CN205306905U (zh) * 2015-10-16 2016-06-15 东莞缔奇智能股份有限公司 地面清洁机器人
CN205064303U (zh) * 2015-10-18 2016-03-02 何树香 一种水泵自动排气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369B1 (ko) 1997-06-13 2000-01-15 윤덕하 흡입과 송풍을 겸비한 진공청소기
KR101046844B1 (ko) 2008-08-29 201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KR101352195B1 (ko) 2012-03-08 201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47223A1 (en) 2019-05-16
US11219344B2 (en) 2022-01-11
AU2017347223B2 (en) 2020-10-29
US20200046185A1 (en) 2020-02-13
EP3530167A1 (en) 2019-08-28
KR20180042923A (ko) 2018-04-27
EP3530167A4 (en) 2020-07-01
CN109843133A (zh) 2019-06-04
EP3530167B1 (en) 2022-11-30
WO2018074852A1 (ko) 2018-04-26
CN109843133B (zh) 2024-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814B1 (ko) 로봇 청소기
CN211187044U (zh) 用于吸尘器的吸嘴
KR101671116B1 (ko)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US8898844B1 (en) Mopping assembly for a mobile robot
KR20190025971A (ko) 액체 수납 케이스 및 이것을 구비하는 지능 청소 장치
TWI286067B (en) Cleaning tool provided with liquid jetting device
KR101634905B1 (ko)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KR102016918B1 (ko) 물펌프 기능을 가지는 로봇청소기용 걸레판
CN213665090U (zh) 机器人清洁器
KR101903229B1 (ko) 로봇 청소기
KR102013830B1 (ko) 로봇 청소기
KR102286287B1 (ko) 로봇청소기
US11357381B2 (en) Nozzle for cleaner
JP6913903B2 (ja) 超音波洗浄装置
KR102269273B1 (ko) 로봇청소기
CN110123221A (zh) 下水器与湿式拖地装置以及干湿两用清洁头
CN108729146B (zh) 一种洗衣机投放装置及洗衣机
KR200439707Y1 (ko) 잉크젯 프린터 카트리지의 잉크 재충전용 홀더
CN116269060B (zh) 清洁装置和清洁组件
JP3337576B2 (ja) コードレススチームアイロン
CN216652196U (zh) 湿式表面清洁系统和接口底座
RU2791502C1 (ru) Робот-пылесос
JPH0234349A (ja) 液体噴射記録ヘッド
KR101185245B1 (ko) 연료공급장치의 보조펌프모듈
KR20210015131A (ko) 로봇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