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905B1 -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 Google Patents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905B1
KR101634905B1 KR1020150088461A KR20150088461A KR101634905B1 KR 101634905 B1 KR101634905 B1 KR 101634905B1 KR 1020150088461 A KR1020150088461 A KR 1020150088461A KR 20150088461 A KR20150088461 A KR 20150088461A KR 101634905 B1 KR101634905 B1 KR 101634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discharge hole
packing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유명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905B1/ko
Priority to PCT/KR2016/006582 priority patent/WO2016208943A1/ko
Priority to RU2018102110A priority patent/RU2675093C1/ru
Priority to TW105119437A priority patent/TWI61851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4Machines for treating carpets in position by liquid, foam, or vapour, e.g.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청소기는, 노즐 어셈블리; 상기 노즐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청소기 본체; 및 걸레가 부착되고, 상기 노즐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상기 걸레로 물을 공급하는 물 청소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물 청소기구는,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와, 상기 물 저장부에서 상기 걸레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물 배출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Cleaner and water cleaning devce}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1-0028651호(공개일 2001.04.06.)에는 물분사기를 갖는 물걸레 도구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경우, 소정부위에 물분사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물분사기를 구비한 물통, 상기 물통의 상부에 고정되어 선회가능한 통형의 자루 및 상기 자루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물분사기를 작동케 하는 작동노브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에 의하면, 사용자가 청소 과정에서 작동노브를 작동시키는 경우만 물분사기가 작동된다. 따라서, 청소 과정에서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작동노브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한 번의 작동노브 조작 시 분사되는 물의 양이 정해져 있으므로,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작동노브의 조작 회수를 증가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물 청소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청소기는, 노즐 어셈블리; 상기 노즐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청소기 본체; 및 걸레가 부착되고, 상기 노즐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상기 걸레로 물을 공급하는 물 청소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물 청소기구는,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와, 상기 물 저장부에서 상기 걸레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물 배출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 조절부는 상기 물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물 배출 조절부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서 상기 물 저장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 조절부를 일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물 저장부에서의 물 배출이 차단되고, 상기 물 배출 조절부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물 저장부에서 물 배출이 가능하되, 상기 배출 조절부의 타 방향 회전 각도에 따라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 조절부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물 저장부는,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과, 상기 패킹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 배출 조절부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패킹이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면, 상기 물 저장부의 내부 챔버와 상기 배출홀의 연통이 차단되고, 상기 패킹이 상기 접촉부와 이격되면, 상기 물 저장부의 내부 챔버와 상기 배출홀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배출홀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홈 또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 조절부는, 상기 물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제1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제1부재의 회전 시 상기 제1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에는 물이 통과하기 위한 물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부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 사이에는 물 유동을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에는 물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걸레가 부착되는 바디 플레이트의 일부와,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챔버 형성부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물 배출 조절부는 챔버 형성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물 청소기구는 상기 걸레가 부착되는 바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는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된 물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물 청소기구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물 배출부; 상기 물 배출부와 연통될 수 있며,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홀과 상기 물 배출부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배출홀과 상기 물 배출부를 연통시킬 수 있되 상기 배출홀과 상기 물 배출부가 연통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출홀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물 배출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물 배출 조절부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물 저장부는,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과, 상기 패킹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 배출 조절부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패킹이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면, 상기 물 저장부의 내부 챔버와 상기 배출홀의 연통이 차단되고, 상기 패킹이 상기 접촉부와 이격되면, 상기 물 저장부의 내부 챔버와 상기 배출홀이 연통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물 배출 조절부에 의해서 물 저장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양 만큼의 물이 상기 걸레로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물 배출 조절부는 회전 동작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쉽게 물 배출 조절부를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 배출 조절부를 이용하여 물 배출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걸레로 물 공급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걸레로의 물 공급을 중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 배출 조절부에 구비되는 패킹이 접촉하는 접촉부 보다 높은 위치에 가이드부가 배치됨에 따라서, 물이 패킹과 접촉부 사이 갭으로 급작스럽게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배출홀에 흡수부재가 구비됨에 따라서, 물이 배출홀을 통하여 바로 배출되지 않고, 흡수부재로 흡수된에 후에 걸레로 공급됨에 따라서, 걸레의 특정 부분으로 물이 급작스럽게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 청소기구가 노즐 어셈블리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 청소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노즐 어셈블리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 청소기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출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 청소기구에서 물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 배출 조절부에 의해서 물 청소기구에서의 물 배출이 차단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물 청소기구의 배출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물 청소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 청소기구가 노즐 어셈블리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는,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노즐 어셈블리(nozzle assembly: 20)와, 상기 노즐 어셈블리(20)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되는 청소기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20)에서 흡입된 먼지는 상기 청소기 본체(1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1)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에 연결되는 청소 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 유닛(30)은, 흡입모터(미도시)를 구비하는 바디부(32)와, 상기 바디부(3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집진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31)는 상기 청소기 본체(10)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3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10)에는 상기 공기 유입부(31a)와 연통되는 연통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12)는 상기 공기 유입부(31a)가 장착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진부(31)에는 상기 공기 유입부(31a)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서 작동하여 상기 공기 유입부(31a)를 개방시킬 수 있다. 반면, 상기 흡입모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공기 유입부(31a)를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모터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공기 유입부(31a)가 폐쇄되므로, 상기 집진부(31)에 저장된 먼지가 상기 공기 유입부(31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32)에는 상기 흡입모터를 지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배출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32)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청소 유닛(30)은 상기 흡입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 유닛(30)을 상기 청소기 본체(10)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청소 유닛(30)을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 유닛(30)을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흡입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11) 주변에는 조작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12)를 이용하여 상기 청소 유닛(30)에 구비되는 흡입모터의 작동명령을 입력하거나 흡입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20)는, 노즐 바디(nozzle body: 21)와, 상기 노즐 바디(21)에서 연장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는, 일 예로 상기 노즐 바디(21)의 후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20)에는, 걸레(50)가 부착될 수 있는 물 청소기구(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물 청소기구(40)는 상기 걸레(50)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물을 흡수한 걸레(50)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상기 걸레(50)는 부착수단(미도시) 일 예로 벨크로에 의해서 상기 물 청소기구(40)의 바닥에 부착될 수 있으나, 상기 걸레(50)를 상기 물 청소기구(40)에 부착시키기 위한 방법에는 제한이 없을 밝혀둔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물 청소기구(40)가 노즐 어셈블리(20)에 부착될 수 있는 한 상기 노즐 어셈블리의 구조 및 상기 청소 유닛(30)의 유무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또는, 상기 물 청소기구(40)가 청소기에 결합되어 사용되지 않고, 물 청소기구(40) 자체에 스틱이 연결되어 스틱을 이용하여 걸레가 결합된 물 청소기구(40)를 이동시키면서 바닥을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물 청소기구(40)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물 청소기구(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노즐 어셈블리(20)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 청소기구(40)의 일부는 상기 노즐 바디(21)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 바디(21)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 청소기구(40)의 다른 일부는 상기 연결부(22)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2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물 청소기구(40)의 또 다른 일부는 상기 노즐 바디(21) 및 상기 연결부(2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물 청소기구(40)가 상기 노즐 어셈블리(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물 청소기구(40)의 일부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20)의 외측에 위치됨에 따라서, 상기 걸레(50)가 부착될 수 있는 물 청소기구(40)의 면적이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걸레(50)와 바닥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한 번의 청소 시에 걸레(50)가 청소하는 면적이 증가되어 청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청소기구(40) 중에서 상기 노즐 어셈블리(20)의 외측에 배치되는 부분을 발로 밟은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1)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물 청소기구(40)가 상기 노즐 어셈블리(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물 청소기구(40)를 상기 청소기(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상기 물 청소기구(40)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물 청소기구(40)에 분리를 위한 별도의 구조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 청소기구(40)가 노즐 어셈블리(20)에 접촉한 상태에서 청소기와 바닥면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상기 청소기의 대기 상태에서 청소기가 바닥면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물 청소기구(40)는 상기 노즐 바디(21)와 상기 연결부(22) 중 하나 이상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22)에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20)의 용이한 이동을 위한 하나 이상의 후측 바퀴(2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 청소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노즐 어셈블리의 저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노즐 바디(21)는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바디(21)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20)의 이동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전측 바퀴(21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즐 어셈블리(20)는 다수의 바퀴(23, 2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바퀴(23, 214)는 상기 노즐 바디(21)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전측 바퀴(214)와, 상기 연결부(22)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후측 바퀴(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20)가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다수의 전측 바퀴(214)가 상기 노즐 바디(2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전측 바퀴(214)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 청소기구(40)가 상기 흡입구(212)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물 청소기구(40)는 상기 흡입구(212)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청소기구(40)와 상기 다수의 바퀴(23, 214)의 간섭이 방지되기 위하여, 상기 물 청소기구(40)는 상기 전측 바퀴(214)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후측 바퀴(23)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물 청소기구(40)가 상기 노즐 어셈블리(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물 청소기구(40)는 상기 전측 바퀴(214)와 상기 후측 바퀴(2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청소기구(40)는 상기 흡입구(212)와 상기 후측 바퀴(2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물 청소기구(40)는, 바디 플레이트(body plate: 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플레이트(410)의 하측에 상기 걸레(50)가 위치되어 상기 걸레(50)가 평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바디 플레이트(410)는 상기 연결부(2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물 청소기구(40)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20)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기구는 상기 노즐 바디(21)에 결합되기 위한 제1결합부(421, 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421, 422)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410)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물 청소기구(40)가 상기 노즐 바디(21)에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다수의 제1결합부(421, 422)가 상기 바디 플레이트(4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결합부(421, 422)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바디(21)는, 상기 제1결합부(421, 422)가 수용되는 수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20)는 상기 노즐 바디(21)의 바닥이 상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결합부(421, 422)가 상기 물 청소기구(40)에 구비되는 경우, 다수의 수용부(220)가 상기 노즐 바디(21)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다수의 수용부(220)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바디(21)는, 상기 제1결합부(421, 422)가 상기 수용부(2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421, 422)에 결합되는 후크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부재(230)는 상기 노즐 바디(2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후크 부재(2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220)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421, 422)가 상기 수용부(220)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 부재(230)는 상기 제1결합부(421, 422)에 의해서 탄성 변형된 후에 상기 제1결합부(421, 422)의 후크 수용부(미도시)와 정렬되면 상기 제1결합부(421, 422)의 후크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기구는 상기 연결부(22)에 결합되기 위한 제2결합부(430, 4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430, 431)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410)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물 청소기구(40)가 상기 노즐 바디(21)에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다수의 제2결합부(430, 431)가 상기 바디 플레이트(4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결합부(430, 431)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결합부(430, 431) 각각은 상기 연결부(22)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결합부(430, 431) 사이에 상기 연결부(22)가 위치되면, 상기 제2결합부(430, 431)의 걸림부가 상기 연결부(22)에 걸릴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결합부(430, 431)의 걸림부는 상기 연결부(22)의 상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의 양측에 상기 제2결합부(430, 431)가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노즐 어셈블리(2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노즐 어셈블리(20)가 물 청소기구(40)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결합부(430, 431)가 상기 연결부(22)의 양측에서 결합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노즐 어셈블리(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력이 상기 노즐 어셈블리(20)로 작용할 때에, 상기 물 청소기구(40)와 상기 노즐 어셈블리의 결합력(20)이 상기 물 청소기구(40)에 부착된 걸레(50)와 바닥면 간의 마찰력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노즐 어셈블리(20)가 상기 물 청소기구(40)와 분리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노즐 어셈블리(2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노즐 어셈블리(20)의 이동력이 상기 다수의 제2결합부(430, 431) 중 어느 하나에 작용하므로, 상기 물 청소기구(40)에 부착된 걸레(50)와 바닥면 간의 마찰력과 무관하게 상기 노즐 어셈블리(20)가 물 청소기구(40)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물 청소기구(40)는 상기 걸레(50)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440)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410)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챔버 형성부(441)와 상기 바디 플레이트(410)의 일부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 형성부(441)는 다수의 제2결합부(430, 431)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제2결합부(430, 431)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 청소기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물 저장부(440)는, 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442)와, 상기 주입구(442)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4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구(442)는 일 예로 상기 챔버 형성부(44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440)는,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물 배출 조절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는 상기 걸레(50)로 공급될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는, 상기 걸레(50)로의 물 배출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는, 상기 걸레(50)로 물이 배출되도록 하되, 배출되는 물의 양이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는 상기 물 저장부(4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는 상기 챔버 형성부(4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는 물 배출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부(460)는, 상기 물 저장부(4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부재(462)와, 상기 제1부재(462)에 체결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제2부재(4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462)는 상기 물 저장부(44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440)에는 상기 제1부재(462)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리브(4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462)의 외주면은 상기 체결리브(450)의 내주면에 일 예로 나사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리브(450)에 상기 제1부재(462)가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기 위하여 상기 체결리브(45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부재(46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리브(450)의 내주면 및 상기 제1부재(462)의 외주면 각각에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464)는 상기 제1부재(462)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리브(450)의 외측을 감쌀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부재(464)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464)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는 패킹(466)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물 저장부(440)는 상기 패킹(466)이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466)은 일 예로 상기 제1부재(462)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접촉부(412)는 일 예로 상기 바디 플레이트(4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가 물 배출을 차단시키는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패킹(466)이 상기 접촉부(412)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440)는 개구(4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411)에는물 배출을 위한 배출부(47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구(411)는 일 예로 상기 바디 플레이트(4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470)는 배출홀(47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412)는 상기 개구(411) 및 상기 배출홀(474)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킹(466)이 상기 접촉부(412)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출홀(474)과 상기 물 저장부(440) 내부 챔버의 연통이 차단되어, 상기 물 저장부(440)에 저장된 물이 상기 배출홀(474) 측으로 유동할 수 없다.
반면, 상기 패킹(466)이 상기 접촉부(412)에서 이격되면 상기 배출홀(474)과 상기 물 저장부(440)의 내부 챔버가 연통되어, 상기 물 저장부(440) 내의 물이 상기 패킹(466)과 상기 접촉부(412) 사이의 갭을 통하여 상기 배출홀(474) 측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촉부(412)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410)에서 함몰되는 홈이거나 돌출되는 돌기일 수 있다. 도 5에는 일 예로 상기 접촉부(412)가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접촉부(412)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패킹(466)도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440)는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13)는 일 예로 상기 바디 플레이트(4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일 예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462)가 나사 방식으로 상기 결합리브(450)에 결합되므로, 상기 제1부재(462)의 회전 시 상기 제1부재(462)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413)는 상기 제1부재(462)의 회전을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부재(46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13)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접촉부(412)의 돌출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킹(166)이 상기 가이드부(413)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부재(462)의 회전에 의해서 상하 이동되어 상기 접촉부(412)와 접촉되거나 상기 접촉부(412)에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13)는 상기 패킹(466)이 상기 접촉부(412)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물이 상기 패킹(466)과 접촉부(412) 사이 갭으로 급작스럽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물 저장부(440)의 수위가 상기 가이드부(413)의 높이 보다 높은 경우, 상기 물 저장부(440) 내의 물은 상기 가이드부(413)의 내주면과 상기 제1부재(462)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유동한 후에 상기 패킹(466)과 상기 접촉부(41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440)의 수위가 상기 가이드부(413)의 높이 보다 낮은 경우에, 물이 상기 패킹(466)과 상기 접촉부(41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413)에는 물 통과홀(414)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 통과홀(414)의 최저점은 상기 바디 플레이트(410)의 상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거나 상면과 유사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물 통과홀(414)이 상기 가이드부(413)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수의 물 통과홀(414)은 상기 가이드부(413)의 원주 방향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부(470)는 일 예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이 플레이트(410)의 개구(4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470)는 상기 개구(411)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47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결합부(472)에 배출홀(47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474)를 통하여 물이 급작스럽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홀(474)에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부재(476)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수부재(476)가 머금은 물이 걸레(50)로 공급될 수 있다.
만약, 흡수부재(476)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물이 배출홀(474)를 바로 통과하여 걸레(50)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물이 걸레(50)에서 전체적으로 퍼지기 전에 걸레(50)로 배출된 물이 걸레(50)와 접촉한 바닥면으로 낙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와 같이 흡수부재(476)가 상기 배출홀(476)에 위치되는 경우 흡수부재(476)에서 물이 걸레(50)로 공급되므로, 물이 걸레(50)로 공급되는 시간이 증가되어, 걸레(50)로 공급된 물이 걸레(50) 전체적으로 퍼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배출부(470)는 다수의 배출홀(47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흡수부재(476)는 다수의 배출홀(474)을 통과하면서 상기 배출부(470)에 감기는 실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배출부(470)에는 상기 배출홀(474)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 방사상으로 퍼지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460)에는 상기 패킹(466)이 상기 접촉부(412)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4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의 일 방향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2부재(464)가 상기 스토퍼(452)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는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패킹(466)이 상기 접촉부(412)에 접촉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물 배출 조절부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 청소기구에서 물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물 배출 조절부에 의해서 물 청소기구에서의 물 배출이 차단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물 저장부(440)에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의 제1방향으로의 회전 각도가 증가되면, 상기 패킹(466)이 상기 접촉부(412)와 이격되고, 이격된 후에는 상기 패킹(466)과 접촉부(412)의 이격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의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의 회전 각도가 증가되면, 상기 패킹(466)과 상기 접촉부(412)의 이격 거리가 감소될 수 있고, 일정 각도에서는 상기 패킹(466)이 상기 접촉부(412)에 접촉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패킹(466)과 접촉부(412)의 이격 거리가 증가될수록 상기 물 저장부(44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은 증가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를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의 제1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패킹(466)이 상기 접촉부(412)에서 이격되면, 상기 물 저장부(440) 내의 물은 상기 가이드부(413)의 물 통과홀(414)을 통과한 후에 상기 패킹(466)과 상기 접촉부(412) 사이를 지나 상기 배출홀(474)로 유동한다.
만약, 상기 물 저장부(440)의 수위가 상기 가이드부(413) 보다 높은 경우에는 물이 상기 가이드부(413)와 상기 제1부재(462) 사이를 유동한 후에 상기 패킹(466)과 상기 접촉부(412) 사이를 지난다.
상기 배출홀(474)로 유동한 물은 상기 흡수부재(476)에 흡수된 후에 상기 물 청소기구(40)에 결합된 걸레(50)로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배출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를 제2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물 저장부(440)에서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물 배출 조절부(460)의 회전이 정지될 때까지 물 배출 조절부(460)를 제2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킹(466)이 상기 접촉부(412)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배출홀(474)과 상기 물 저장부(440) 내부 공간의 연통이 차단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물 배출 조절부에 의해서 물 저장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양 만큼의 물이 상기 걸레로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물 배출 조절부는 회전 동작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쉽게 물 배출 조절부를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 배출 조절부를 이용하여 물 배출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걸레로 물 공급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걸레로의 물 공급을 중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410)에, 개구(411), 접촉부(412), 가이드부(413)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독립적인 저장 챔버를 형성하는 단일의 챔버 형성부에 개구(411), 접촉부(412), 가이드부(413)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410)는 상기 개구(411)와 연통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위의 실시 예에서는 접촉부에 패킹이 접촉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배출부가 생략되고, 개구가 배출홀 역할을 하면서 패킹이 개구의 테두리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물 청소기구의 배출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배출홀이 바디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바디 플레이트(410)에는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4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416)은 접촉부(411)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접촉부(411)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면서 배출홀(416)을 구비하는 부분을 배출부라 이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접촉부(411)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다수의 배출홀(416)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홀(416)에는 흡수부재(4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수부재(417)는 상기 다수의 배출홀(416)을 각각 관통하면서 상기 바디 플레이트(410)에 감기는 실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바디 플레이트(410)에는 상기 배출홀(416)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 방사상으로 퍼지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물 청소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 또는 제2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물 청소기구가 다수의 물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물 청소기구(50)는, 바디 플레이트(510)와, 다수의 물 저장부(520, 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물 저장부(520, 530)는, 제1저장부(520)와 제2저장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520)와 제2저장부(530)는 일 예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저장부(520)와 제2저장부(530) 사이에 상기 연결부(도 1의 22참조)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저장부(520, 530)에 상기 제2결합부(도 3의 421, 4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520)에는 물 배출 조절부(4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 조절부(460)의 기능, 구조 및 상기 제1저장부(520)와의 관계는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저장부(530)에는 물 주입을 위한 물 주입구(531)와, 상기 물 주입구(531)를 개폐하는 개폐부(5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520)와 상기 제2저장부(530)는 연결유로(550)에 의해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물 청소기구에서 상기 연결유로(550)의 최저점(552)의 높이(H1)는 상기 접촉부(412)의 최대높이(H2) 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로(550)의 최저점(552)의 높이(H1)는 물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부분인 배출홀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유로(550)의 최저점(552)은 상기 제1저장부(520)와 연결되는 지점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물 청소기구에서 상기 연결유로(550)의 최저점(552)의 높이(H1)는 상기 접촉부(412)의 최대높이(H2) 보다 높고, 물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부분인 배출홀 보다 높게 위치됨에 따라, 상기 제2저장부(530)의 물이 상기 제1저장부(520)로 원활히 유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물 청소기구가 다수의 물 저장부를 구비함에 따라서 물 저장용량이 증가되어 청소 가능한 시간이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물을 물 저장부에 채워야하는 빈도가 줄어들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청소기 10: 청소기 본체
20: 노즐 어셈블리 21: 노즐 바디
22: 연결부 30: 청소 유닛
40: 물 청소기구 440: 물 저장부
460: 물 배출 조절부 50: 걸레

Claims (14)

  1. 노즐 어셈블리;
    상기 노즐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청소기 본체; 및
    걸레가 부착되고, 상기 노즐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상기 걸레로 물을 공급하는 물 청소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물 청소기구는,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와, 상기 물 저장부에서 상기 걸레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물 배출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배출 조절부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물 저장부는,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과, 상기 패킹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 배출 조절부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패킹이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면, 상기 물 저장부의 내부 챔버와 상기 배출홀의 연통이 차단되고,
    상기 패킹이 상기 접촉부와 이격되면, 상기 물 저장부의 내부 챔버와 상기 배출홀이 연통되는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 조절부는 상기 물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물 배출 조절부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서 상기 물 저장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조절되는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 조절부를 일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물 저장부에서의 물 배출이 차단되고,
    상기 물 배출 조절부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물 저장부에서 물 배출이 가능하되, 상기 배출 조절부의 타 방향 회전 각도에 따라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조절되는 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배출홀이 구비되는 바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청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배출홀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홈 또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 조절부는, 상기 물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제1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리브를 포함하는 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제1부재의 회전 시 상기 제1부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물이 통과하기 위한 물 통과홀이 형성되는 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부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면 사이에는 물 유동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청소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에는 물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가 구비되는 청소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걸레가 부착되는 바디 플레이트의 일부와,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챔버 형성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청소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물 배출 조절부는 상기 챔버 형성부에 결합되는 청소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청소기구는 상기 걸레가 부착되는 바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는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된 물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는 청소기.
  14. 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물 배출부;
    상기 물 배출부와 연통될 수 있며,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홀과 상기 물 배출부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배출홀과 상기 물 배출부를 연통시킬 수 있되 상기 배출홀과 상기 물 배출부가 연통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출홀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물 배출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물 배출 조절부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물 저장부는,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과, 상기 패킹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 배출 조절부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패킹이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면, 상기 물 저장부의 내부 챔버와 상기 배출홀의 연통이 차단되고,
    상기 패킹이 상기 접촉부와 이격되면, 상기 물 저장부의 내부 챔버와 상기 배출홀이 연통되는 물 청소기구.
KR1020150088461A 2015-06-22 2015-06-22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KR101634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461A KR101634905B1 (ko) 2015-06-22 2015-06-22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PCT/KR2016/006582 WO2016208943A1 (ko) 2015-06-22 2016-06-21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RU2018102110A RU2675093C1 (ru) 2015-06-22 2016-06-21 Пылесос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ой
TW105119437A TWI618519B (zh) 2015-06-22 2016-06-21 清掃機及濕式清掃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461A KR101634905B1 (ko) 2015-06-22 2015-06-22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905B1 true KR101634905B1 (ko) 2016-06-29

Family

ID=5636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461A KR101634905B1 (ko) 2015-06-22 2015-06-22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634905B1 (ko)
RU (1) RU2675093C1 (ko)
TW (1) TWI618519B (ko)
WO (1) WO201620894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795A (ko) * 2016-08-31 2018-03-09 주식회사 파인로보틱스 물펌프 기능을 가지는 로봇청소기용 걸레판
KR20190022844A (ko) * 2017-01-26 2019-03-06 선전 록 타임즈 테크놀로지 컴퍼니.,리미티드. 지능 청소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2406B (zh) * 2018-04-09 2024-02-27 苏州亿倍智能清洁股份有限公司 扫地机用一体式尘水盒的渗水结构
CN115989982A (zh) * 2018-04-30 2023-04-21 Lg电子株式会社 清洁器的吸嘴
CN116211198A (zh) 2018-04-30 2023-06-06 Lg电子株式会社 清洁器的吸嘴
WO2019212177A1 (ko) 2018-04-30 2019-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CN116269038A (zh) 2018-04-30 2023-06-23 Lg电子株式会社 清洁器吸嘴
KR20190125912A (ko) * 2018-04-30 2019-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KR102625905B1 (ko) 2018-07-30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CN111759235B (zh) * 2020-06-12 2021-07-30 上海高仙自动化科技发展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智能机器人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221Y1 (ko) * 2006-05-04 2006-07-25 박정기 걸레청소도구
KR20130129060A (ko) * 2012-05-17 2013-11-27 코웨이 주식회사 미스트 분사를 위한 진동자를 포함하는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130Y1 (ko) * 2000-03-11 2000-08-16 김종욱 수도꼭지
KR100797467B1 (ko) * 2005-12-13 200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KR20080040387A (ko) * 2006-11-03 2008-05-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핸디청소기 일체형 진공청소기
KR101158605B1 (ko) * 2009-06-29 201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TWM414923U (en) * 2011-06-08 2011-11-01 Yuan-Hao Zheng Multiple-purpose cleaner structure
JP2013198699A (ja) * 2012-03-26 2013-10-03 Toshiba Corp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WO2014020573A2 (en) * 2012-08-02 2014-02-06 Talentone Hong Kong Ltd. Vacuum cleaners and wet dust filt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221Y1 (ko) * 2006-05-04 2006-07-25 박정기 걸레청소도구
KR20130129060A (ko) * 2012-05-17 2013-11-27 코웨이 주식회사 미스트 분사를 위한 진동자를 포함하는 청소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795A (ko) * 2016-08-31 2018-03-09 주식회사 파인로보틱스 물펌프 기능을 가지는 로봇청소기용 걸레판
KR102016918B1 (ko) * 2016-08-31 2019-10-22 주식회사 파인로보틱스 물펌프 기능을 가지는 로봇청소기용 걸레판
KR20190022844A (ko) * 2017-01-26 2019-03-06 선전 록 타임즈 테크놀로지 컴퍼니.,리미티드. 지능 청소 설비
KR20190025971A (ko) * 2017-01-26 2019-03-12 선전 록 타임즈 테크놀로지 컴퍼니.,리미티드. 액체 수납 케이스 및 이것을 구비하는 지능 청소 장치
KR102154455B1 (ko) 2017-01-26 2020-09-09 선전 록 타임즈 테크놀로지 컴퍼니.,리미티드. 액체 수납 케이스 및 이것을 구비하는 지능 청소 장치
KR102154454B1 (ko) 2017-01-26 2020-09-09 선전 록 타임즈 테크놀로지 컴퍼니.,리미티드. 지능 청소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8943A1 (ko) 2016-12-29
TW201707639A (zh) 2017-03-01
RU2675093C1 (ru) 2018-12-14
TWI618519B (zh)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905B1 (ko)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KR101671116B1 (ko)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KR101769232B1 (ko)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CN211187044U (zh) 用于吸尘器的吸嘴
CN112020320B (zh) 清洁器的吸嘴
CN114504270B (zh) 用于清洁器的吸嘴
KR102401781B1 (ko) 청소기
CN116269039A (zh) 清洁器吸嘴
CN115989981A (zh) 清洁器的吸嘴
EP3412187B1 (en) Cleaner
AU2023204193A1 (en) Nozzle for cleaner
KR20200073975A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EP3821779A1 (en) Vacuum cleaner nozzle
KR101761087B1 (ko)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