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131A - 로봇청소기 - Google Patents

로봇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131A
KR20210015131A KR1020190093493A KR20190093493A KR20210015131A KR 20210015131 A KR20210015131 A KR 20210015131A KR 1020190093493 A KR1020190093493 A KR 1020190093493A KR 20190093493 A KR20190093493 A KR 20190093493A KR 20210015131 A KR20210015131 A KR 20210015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lever
bucket
lock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8618B1 (ko
Inventor
고무현
이동근
김성준
신진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3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861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9349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861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8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8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5Handles;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로봇청소기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물통; 외형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상기 물통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물통하우징을 포함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으로 상기 메인바디를 이동시키며, 피청소면을 걸레질하는 한 쌍의 회전맙; 상기 물통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과 연결될 때,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한 쌍의 회전맙 각각으로 공급하는 공급노즐부; 상기 물통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공급노즐부와 연결되어, 상기 물통과 상기 공급노즐부를 연통시키는 토출노즐부; 및 상기 물통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물통의 배치를 고정하거나,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물통을 고정해제하는 잠금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토출노즐부를 상기 공급노즐부로 가압한다.

Description

로봇청소기{Robot Cleaner}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통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바닥을 걸레질하는 회전맙을 포함하는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피청소면인 바닥면을 청소하기 위한 로봇청소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로봇청소기는, 피청소면을 이동하면서,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방식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피청소면을 접촉하여 이물질을 닦아내는 방식으로 피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다.
피청소면을 닦는 방식의 로봇청소기는, 피청소면에 대략 수직한 회전축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마찰에 의해, 이동하고, 회전마찰에 의해 피청소면을 닦아내는 방식으로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로봇청소기는, 내부에 물통이 장착되는 구조를 포함하고, 물통의 물을 회전으로 이동 및 걸레질하는 회전맙으로 공급하여 피청소면을 물걸레질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구조도 개시되고 있다.
다만, 물통이 로봇청소기에 고정되는 구조에서는, 물통의 물이 회전맙으로 공급되는 구조가 안정적일 수 있으나, 물통이 착탈되는 구조에서는, 물통이 장착된 상태에서, 물통에 물이 회전맙으로 공급될 때, 연결부위에서 물이 유출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공개특허 KR10-2019-0015940에서는, 물통이 착탈되는 로봇청소기의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물통이 장착구조물에 물을 공급하는 부분에서 별도의 고정 및 밀착수단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메인바디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일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통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로봇청소기에서, 장착되는 물통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로봇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로봇청소기에 장착된 물통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로봇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물통, 외형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상기 물통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물통하우징을 포함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으로 상기 메인바디를 이동시키며, 피청소면을 걸레질하는 한 쌍의 회전맙, 상기 물통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과 연결될 때,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한 쌍의 회전맙 각각으로 공급하는 공급노즐부, 상기 물통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공급노즐부와 연결되어, 상기 물통과 상기 공급노즐부를 연통시키는 토출노즐부, 상기 물통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물통의 배치를 고정하거나,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물통을 고정해제하는 잠금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토출노즐부를 상기 공급노즐부로 가압하여, 물통을 물통하우징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물통하우징에는, 상기 잠금레버가 배치되는 상측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물통의 배치를 고정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물통이 물통하우징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물통의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레버와, 상기 수직레버의 상측단부에서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레버와, 상기 수평레버의 전방단부에서 배치되고, 상기 수평레버가 형성하는 상부면보다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물통하우징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수직레버와 상기 수평레버가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잠금레버가 회전하는 축을 형성하는 힌지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레버의 하단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수직레버의 내측을 파지하도록 손잡이홈이 형성된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사용자가 물통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물통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잠금레버에 일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레버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탄성부재는, 상기 물통하우징에 상기 물통이 장착될 때,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홈방향으로 가압하여, 물통이 안정적으로 물통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수평레버의 내측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레버탄성부재가 장착되는 탄성부재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가이더는, 상기 힌지돌기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탄성부재가이더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탄선부재의 작은 힘으로도, 걸림돌기를 이동이 용이하다.
상기 물통의 후방에는, 상기 잠금레버가 장착되고, 상기 잠금레버가의 일정범위 회동이 가능하도록 잠금레버장작홈을 형성하는 잠금레버장착부가 배치되고,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잠금레버장착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잠금레버 장착부는, 상기 물통의 상부면에서 하측으로 이격배치되는 장착부상부면, 상기 물통의 후방면에서 전방으로 이격배치되는 장착부후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상부면은, 상기 장착부후방면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여, 잠금레버의 이동으로 물통이나 물통하우징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레버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스토퍼와 접촉할 때, 상기 잠금레버의 후방단부는, 상기 물통하우징의 상부면과 이격되어, 잠금레버의 이동으로 물통이 인출될 때, 잠금레버와 물통하우징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제거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로봇청소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물통이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회전맙으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잠금레버를 당김으로써, 물통의 고정이 해제되고, 물통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물통을 인출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물통이 제거된 로봇청소기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물통에서 잠금레버가 제거된 상태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을 좌우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토출노즐부를 상하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이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좌우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이 물통하우징의 장착공간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과 잠금레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잠금레버에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과 잠금레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잠금레버에 후방으로 당겨지는 힘이 가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이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물통과 물통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이 물통하우징에 인출가능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물통과 물통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로봇청소기와 물통을 설명함에 있어, 물통이 인출되는 방향을 후방, 후방에 반대방향을 전방, 회전맙이 배치되는 방향을 하측방향, 하측방향에 반대되는 반향을 상측방향으로 설명한다. 상기 전방, 후방,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에 수직한 양측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설명한다. 물통의 구성의 경우도, 물통이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의 방향으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로봇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구성>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도 2,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로봇청소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1)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바디(10), 메인바디(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회전으로 메인바디(10)를 이동시키고, 피청소면(바닥면)을 걸레질하는 한 쌍의 회전맙(12), 메인바디(10)에 장착되어, 한 쌍의 회전맙(12)으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통(200), 메인바디(10) 내측에 배치되고, 메인바디(10)에 장착되는 물통(200)에 저장된 물을 한 쌍의 회전맙(12) 각각으로 공급하는 물공급모듈을 포함한다.
로봇청소기(1)는, 메인바디(10)의 전방에 장착되어, 전방에 배치되는 장애물과 접촉하여, 장애물을 감지하거나, 장애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는 범퍼(14), 메인바디(10)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배치되는 센서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바디(10)는, 넓적한 원반형태를 가질 수 있다. 메인바디(10)의 내측공간에는, 물공급모듈(미도시), 한 쌍의 회전맙(1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거나, 물통(200)의 물이 한 쌍의 회전맙(12)으로 공급되는 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메인바디(10)의 내측공간에는,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고, 충전된 전력을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또는 한 쌍의 회전맙(12)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로 공급할 수 있다.
물공급모듈은, 메인바디(10)에 장착되는 물통(200)과 연결되는 공급노즐부(110), 공급노즐부(110)과 한 쌍의 회전맙(12) 각각을 연결하는 공급호스(미도시), 공급호스 상에 배치되어, 물통(200)에 저장된 물을 빨아들여, 한 쌍의 회전맙(12) 각각으로 보내는 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하우징>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도 1b, 도 6 내지 도 7, 및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통하우징을 설명한다.
메인바디(10)는, 후방으로, 물통(200)이 장착되는 장착공간(100s)을 형성하는 물통하우징(100)을 포함한다. 물통하우징(100)은, 메인바디(10)와 일체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물통하우징(100)은, 메인바디(10)와 별개의 구성으로 메인바디(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물통하우징(100)은, 물통(200)이 장착되도록, 물통(200)의 외형에 대응하는 장착공간(100s)을 형성한다.
물통하우징(100)은,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면접하거나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물통하우징 전방면(102), 물통(200)의 양측면에 대향하는 면을 형성하고,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될 때, 물통(200)을 가이드하는 물통하우징 양측면(104a, 104b),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물통(200)의 상부면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물통하우징 상부면(108), 및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물통(200)을 지지하는 물통하우징 하부면(106)을 포함한다. 물통하우징(100)은, 물통(200)이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후방면이 개방된다.
물통하우징 전방면(102), 물통하우징 양측면(104a, 104b), 물통하우징 상부면(미도시), 및 물통하우징 하부면(106)은,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되는 장착공간(100s)을 형성한다.
여기서,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란, 물통(200)의 전방면과, 물통하우징 전방면(102)이 접촉하거나,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로, 이하에서 설명할, 물통(200)에 배치되는 토출노즐부(230)과, 물통하우징(100)에 배치되는 공급노즐부(110)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물통하우징 상부면(108)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잠금레버(300)의 걸림돌기(306)가 삽입되는 걸림홈(108a)이 형성된다.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물통하우징 상부면(108)은, 물통(200)의 케이스상부면(208)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물통하우징 상부면(108)은, 이하에서 설명할 잠금레버(300)의 수평레버(302)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물통하우징 하부면(106)은, 물통하우징 전방면(102)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반원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물통하우징 전방면(102)에는,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물통(200)과 연결되는 공급노즐부(110)가 배치된다.
공급노즐부(110)는, 물통하우징 전방면(102)에서 전방으로 물통(200)의 토출노즐부(23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2s)을 형성하는 삽입부(112), 내부가 중공이고, 삽입부(112)의 중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노즐(120), 내부가 중공이고, 삽입부(112)의 중심에서 물통(200) 방향으로 연장되는 누름노즐(122), 삽입공간(112s)에 배치되어, 삽입공간(112s)으로 삽입되는 토출노즐부(230)과 밀착되는 삽입부실러(130)를 포함한다.
삽입부(112)는, 물통하우징 전방면(102)에서 전방방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삽입공간(112s)을 형성한다. 삽입부(112)는, 물통하우징 전방면(102)에서 전방방향으로 돌출되고, 원기둥 형상으로 내측에 삽입공간(112s)을 형성하는 삽입부 둘레면(114), 삽입부 둘레면(114)의 단부에 배치되는 삽입부 단부면(116)을 포함한다.
삽입공간(112s)은, 고리형을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간(112s)의 중심에는, 누름노즐(122)이 배치된다. 삽입공간(112s)에는 삽입부실러(130)가 배치된다. 삽입부실러(130)는,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물통(200)의 토출노즐부(230)과 밀착되어, 토출노즐부(23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삽입부실러(130)는, 누름노즐(122)의 둘레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삽입부실러(130)는, 삽입부 단부면(116)에 배치되어, 토출노즐부(230)의 삽입노즐(232)의 단부와 접촉하는 단부접촉면(132), 단부접촉면(132)과 연결되고, 누름노즐(122)의 둘레면을 따라 연장되는 누름노즐접촉면(134), 누름노즐접촉면(134)에서 삽입공간(112s)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착돌기(136a, 136b)를 포함한다.
밀착돌기(136a, 136b)는, 누름노즐접촉면(134)에서 호퍼형상으로 삽입부 단부면(116)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밀착돌기(136a, 136b)는, 누름노즐접촉면(134)의 단부에서 배치되는 제1밀착돌기(136a)와, 제1밀착돌기(136a)와 단부접촉면(132) 사이에 배치되는 제2밀착돌기(136b)를 포함한다.
연결노즐(120)은, 삽입부 단부면(116)에서 전방방향으로 돌출되고, 메인바디(10) 내부에 배치되는 공급호스(미도시)와 연결된다.
누름노즐(122)은, 삽입부 단부면(116)에서 후방방향으로 돌출되고,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토출개구부 밸브(234)의 일측을 가압한다. 누름노즐(122)과 연결노즐(120)은 서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분이 서로 연통된다.
누름노즐(122)은, 물통하우징 전방면(102)보다 후방으로 돌출된다. 누름노즐(122)의 단부에는, 누름노즐(122)이 형성하는 관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이격돌기(124)가 배치된다. 이격돌기(124)는, 누름노즐(122)이 형성하는 관부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배치된다. 따라서, 누름노즐(122)이 토출개구부 밸브(234)와 접촉하더라도, 누름노즐(122)이 막히지 않는다.
<물통>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을 설명한다.
물통(200)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물통케이스(202), 물통케이스(202) 상측으로 형성되는 개구부(미도시)를 개폐하는 개구부커버(220),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공급노즐부(110)과 연결되는 토출노즐부(230)를 포함한다.
물통케이스(202)는, 물통하우징(100)이 형성하는 장착공간(100s)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물통케이스(202)는, 물통하우징(100)이 형성하는 장착공간(100s)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물통케이스(202)는,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물통하우징 전방면(102)에 마주하는 케이스전방면(204), 물통하우징 양측면(104a, 104b)에 마주하는 케이스양측면(206), 물통하우징 상부면에 마주하는 케이스상부면(208), 물통하우징 하부면(106)에 마주하는 케이스하부면(210) 및 후방으로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스후방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하부면(210)은,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물통하우징 하부면(106)과 접촉한다. 케이스하부면(210)는, 상기 물통하우징 하부면(106)과 접촉하는 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단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단부(211)는, 물통하우징 하부면(106)의 단부와 접촉하여,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으로 삽입되는 방향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물통케이스(202)는, 상부물통케이스(202a)와, 하부물통케이스(202b)로 구분될 수 있다. 물통케이스(202) 내부의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해, 상부물통케이스(202a)와, 하부물통케이스(202b)가 별개로 제작되고,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물통케이스(202)의 상측에는, 물통케이스(202) 내측공간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개구된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고, 개구부에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구부커버(220)가 배치된다. 개구부는, 케이스상부면(208)에 형성되고, 개구부커버(220)는,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상부면(208)에 배치된다.
물통케이스(202)의 상측에는, 물통(200)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시키는 공기통로(222a)가 형성된다. 공기통로(222a)는 물통케이스(202) 상측에 장착되는 별도의 통로부재(222)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공기통로(222a)가 형성된 통로부재(222)가 케이스상부면(208)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통로(222a)는, 케이스상부면(208)에 형성된다. 케이스상부면(208)은,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물통하우징 상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물통(200) 내부의 물이 토출노즐부(230)를 통해 물통(200)외부로 빠져나가더라도, 공기통로(222a)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물통(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물통(200)의 후방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잠금레버(300)가 장착되는 잠금레버장착부(270)가 배치된다. 잠금레버장착부(270)는, 잠금레버(300)가 장착되고, 잠금레버(300)의 일정범위 회동을 허용하는 잠금레버장착홈(270s)을 형성한다.
잠금레버장착부(270)는 케이스상부면(208)과 케이스후방면(212)에서 형성된다. 잠금레버장착부(270)는, 케이스상부면(208)에서 하측으로 이격배치되는 장착부상부면(272)과, 케이스후방면(212)에서 전방으로 이격배치되는 장착부후방면(274)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레버장착부(270)는, 장착부상부면(272) 및 장착부후방면(274)을 케이스상부면(208) 및 케이스후방면(212)과 연결하는 연결측면(276)을 포함한다. 연결측면(276)은,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일측에 잠금레버(300)의 힌지돌기(308)가 삽입되는 힌지돌기홈(278)이 형성된다. 힌지돌기홈(278)은, 연결측면(276)의 후방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장착부상부면(272)은, 장착부후방면(274)보다 후방으로 돌출된다. 장착부상부면(272)의 후방단부(108a1)는, 이하에서 설명할 잠금레버(300)의 수직레버(304)에 맞닿아, 잠금레버(300)의 회동범위를 제한한다.
잠금레버장착부(270)는, 장착부상부면(27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수평레버(302)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280)를 포함한다. 스토퍼(280)는, 장착부상부면(272)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스토퍼(280)는 수평레버(302)의 하측이동을 제한한다.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장착부상부면(272)의 상측에는 서로 이격배치된 한 쌍의 스토퍼(280)가 배치되고, 한 쌍의 스토퍼(280) 사이에 이하에서 설명할 레버탄성부재(314, 도 8a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토출노즐부(230)는, 케이스전방면(204)에 배치된다. 토출노즐부(230)는 케이스전방면(204)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진 방향에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노즐부(230)는, 케이스전방면(204)에서 좌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연결호스고정부(262)는, 케이스하부면(210)에서 좌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따라서, 연결호스(미도시)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토출노즐부(230)는, 전방으로 개구된 토출개구부(232a)를 형성하고, 삽입공간(112s)으로 삽입되는 삽입노즐(232), 삽입노즐(232) 후방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토출개구부(232a)를 개폐하는 토출개구부 밸브(234), 토출개구부 밸브(234)에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36), 물통케이스(202) 내측으로 장착되고, 토출개구부 밸브(234)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노즐하우징(240)을 포함한다.
삽입노즐(232)은,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물통(200)의 케이스전방면(204)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삽입노즐(232)은,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삽입노즐(232)은, 삽입공간(112s)으로 삽입된다. 삽입노즐(232)은,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누름노즐(122)과 삽입부 둘레면(114) 사이로 배치될 수 있다. 삽입노즐(232)은,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삽입부실러(130)에 밀착된다.
토출개구부 밸브(234)는, 노즐하우징(240)이 형성하는 내측공간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토출개구부 밸브(234)는,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누름노즐(122)에 가압되는 제1면(234a), 제1면(234a)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배치되고, 내측실러(250)와 접촉하여, 토출개구부 밸브(234)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는 제2면(234b), 제2면(234b)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노즐하우징(240)에 형성되는 밸브이동가이더(246)를 따라 토출개구부 밸브(234)를 이동시키는 가이드돌기(234c)를 포함한다.
제1면(234a)의 직경(234aD)은, 제2면(234b)의 직경(234bD)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면(234a)은, 제2면(234b)보다 전방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면(234a)의 직경(234aD)은, 내측실러(250)의 내둘레면의 직경(250D)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면(234b)의 직경(234bD)은, 내측실러(250)의 내둘레면의 직경(250D)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면(234b)은, 후방에 배치되는 탄성부재(236)와 접촉한다. 따라서, 토출개구부 밸브(234)에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토출개구부 밸브(234)는, 탄성부재(236)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다. 토출개구부 밸브(234)에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토출개구부 밸브(234)는, 탄성부재(236)에 탄성력으로 내측실러(250)에 접촉한다.
가이드돌기(234c)는, 제2면(234b)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토출개구부 밸브(234)는, 상하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돌기(234c)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돌기(234c) 사이에는, 밸브이동가이더(246)가 배치되는 가이드홈(234d)이 형성된다.
노즐하우징(240)은, 물통케이스(202)의 내측으로 장착된다. 노즐하우징(240)은, 별도의 체결부재(242)를 통해, 물통케이스(202)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노즐하우징(240)에는, 물통(200) 내부공간으로 돌출형성되는 내측노즐(244)이 형성된다. 내측노즐(244)은, 노즐하우징(240)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내측노즐(244)은 물통(200)의 케이스하부면(210)으로 연장되는 별도의 연결호스(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하부면(210)에는, 연결호스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연결호스 고정부(26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노즐하우징(240)에는, 노즐하우징(240)의 후방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토출개구부 밸브(23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밸브이동가이더(246)가 배치된다. 밸브이동가이더(246)는, 토출개구부 밸브(234)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34d)에 배치된다. 토출개구부 밸브(234)는, 밸브이동가이더(246)에 가이드홈(234d)이 삽입되므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노즐하우징(240)과 물통(200)의 내측면 사이에는, 복수의 실러(244, 250)가 배치된다. 노즐하우징(240)과, 물통(200)의 내측면 사이에는, 토출개구부(232a)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배치되는 내측실러(250)와, 노즐하우징(240)의 외측둘레면에 배치되는 외측실러(252)가 배치된다.
내측실러(250)는, 토출개구부(232a)가 형성된 물통케이스(202)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토출개구부 밸브(234)의 이동을 제한한다. 토출개구부 밸브(234)는,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되지 않을 때, 내측실러(250)에 밀착된다. 내측실러(250)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측실러(250)는 중심으로 토출개구부(232a)와 연통하는 실러개구부(250a)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실러(252)는, 내측실러(250)보다 큰 반경을 가지고, 외측실러(252)에 반경방향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외측실러(252)는 고리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잠금레버>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a, 도 8a 내지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잠금레버를 설명한다.
물통(200)에는,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물통(200)의 배치를 고정시키는 잠금레버(300)를 포함한다. 잠금레버(300)는, 물통(20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물통하우징(100)의 걸림홈(108a)에 삽입되는 걸림돌기(306)를 포함한다.
걸림돌기(306)는, 물통(200)의 케이스상부면(208)보다 상측으로 돌출배치된다. 걸림돌기(306)는, 전방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면(306a)을 포함한다. 따라서,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의 장착공간(100s)으로 삽입될 때, 걸림돌기(306)가 물통하우징(100)의 물통하우징 상부면(108)과 접촉하더라도, 접촉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측으로 이동하여, 물통(200)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통(200)에는, 물통(2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잠금레버(300)에 일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레버탄성부재(314)가 배치된다. 레버탄성부재(314)는, 물통(200)과 잠금레버(300) 사이에 배치되어, 잠금레버(300)의 걸림돌기(306)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레버탄성부재(314)는, 걸림돌기(306)가 걸림홈(108a)을 형성하는 후방단부로 밀착되게 한다. 레버탄성부재(314)에 의해 걸림돌기(306)가 걸림홈(108a)을 형성하는 후방단부(108a1)로 밀착되면, 상대적으로 물통(200)은, 물통하우징(100) 전방으로 밀착되게 된다.
잠금레버(300)는,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잠금레버(300)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돌기(308)를 포함한다. 힌지돌기(308)는, 잠금레버(300)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물통(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돌기홈(미도시)에 삽입된다. 잠금레버(300)는, 힌지돌기(308)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잠금레버(300)는, 측단면이 대략적인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힌지돌기(308)는,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잠금레버(300)는 물통(200)의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레버(304), 수직레버(304)의 상측단부에서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레버(302), 수평레버(302)의 전방단부에서 배치되고, 수평레버(302)가 형성하는 상부면보다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306), 및 수직레버(304)와 수평레버(302)가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양측으로 돌출되어 잠금레버(300)가 회전하는 축을 형성하는 힌지돌기(308)를 포함한다. 힌지돌기(308)는, 장착부상부면(272)의 상측에 배치된다.
수평레버(302)는,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물통하우징 상부면(108)과 이격배치된다.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수평레버(302)와 걸림돌기(306)의 하측면에는, 스토퍼(280)와 대응하는 부분에서, 스토퍼(280)와 접촉하는 스토퍼접촉면(318)을 형성한다.
스토퍼접촉면(318)은, 스토퍼(280)에 대응하는 수평레버(302)와 걸림돌기(306)의 하측에 형성되고, 잠금레버(300)의 일방향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수직레버(304)는, 물통(200)의 후방일측을 커버한다. 수직레버(304)는, 수평레버(302)의 후방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된다. 수직레버(304)의 하단부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손잡이홈(316)이 형성된다. 수직레버(304)는, 내측에서, 장착부상부면(272)의 후방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잠금레버(3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레버탄성부재(314)에 의해, 수평레버(302)가 상측으로 이동하며, 상대적으로 수직레버(304)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장착부상부면(272)과 접촉하여, 잠금레버(3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다만, 도 9a와 같이, 물통(200)이 물통하우징(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걸림돌기(306)가 물통하우징(100)의 걸림홈(108a)을 형성하는 후방단부(108a1)에 걸리므로, 수직레버(304)와 장착부상부면(272)의 단부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잠금레버(300)는 수평레버(302)와 수직레버(304)의 측면을 형성하고, 힌지돌기(308)가 배치되는 잠금레버리브(310)를 포함한다. 잠금레버리브(310)는, 수평레버(302)와 수직레버(304)의 양단부에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잠금레버(3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잠금레버(300)는, 수평레버(302)의 내측면으로 돌출되고, 레버탄성부재(314)가 장착되는 탄성부재가이더(312)를 포함한다. 탄성부재가이더(312)는, 힌지돌기(308)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다. 걸림돌기(306)는 힌지돌기(308)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다. 걸림돌기(306)는, 힌지돌기(308)를 기준으로 탄성부재가이더(312)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탄성부재가이더(312)에 장착된 레버탄성부재(314)가 수평레버(302)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면, 걸림돌기(306)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별도의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레버탄성부재(314)의 탄성력만이 잠금레버(300)에 작용되므로, 걸림돌기(306)가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로봇청소기 10 : 메인바디
12 : 회전맙 100 : 물통하우징
100s : 장착공간 102 : 물통하우징 전방면
104a, 104b : 물통하우징 양측면 108 : 물통하우징 상부면
108a : 걸림홈(108a) 110 : 공급노즐부
112 : 삽입부 120 : 연결노즐
122 : 누름노즐 130 : 삽입부실러
150 : 누름레버홀 154 : 잠금레버홀
156 : 힌지돌기홈 160 : 스토퍼
200 : 물통 202 : 물통케이스
204 : 케이스전방면 208 : 케이스상부면
220 : 개구부커버 222 : 통로부재
230 : 토출노즐부 232 : 삽입노즐
234 : 토출개구부 밸브 236 : 탄성부재
240 : 노즐하우징 244 : 내측노즐
250 : 내측실러 252 : 외측실러
270 : 잠금레버장착부 270s : 잠금레버장착홈
272 : 장착부상부면 274 : 장착부후방면
276 : 연결측면 278 : 힌지돌기홈
280 : 스토퍼 300 : 잠금레버
302 : 수평레버 304 : 수직레버
306 : 걸림돌기 308 : 힌지돌기
310 : 잠금레버리브 312 : 탄성부재가이드
314 : 레버탄성부재 316 : 손잡이부

Claims (10)

  1.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물통;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물통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물통하우징을 포함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으로 상기 메인바디를 이동시키며, 피청소면을 걸레질하는 한 쌍의 회전맙;
    상기 물통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과 연결될 때,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한 쌍의 회전맙 각각으로 공급하는 공급노즐부;
    상기 물통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공급노즐부와 연결되어, 상기 물통과 상기 공급노즐부를 연통시키는 토출노즐부;
    상기 물통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물통의 배치를 고정하거나,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물통을 고정해제하는 잠금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토출노즐부를 상기 공급노즐부로 가압하는 로봇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하우징에는, 상기 잠금레버가 배치되는 상측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된 상기 물통의 배치를 고정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물통의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레버;
    상기 수직레버의 상측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물통의 전방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레버;
    상기 수평레버의 전방단부에서 배치되고, 상기 수평레버가 형성하는 상부면보다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물통하우징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수직레버와 상기 수평레버가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잠금레버가 회전하는 축을 형성하는 힌지돌기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레버의 하단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수직레버의 내측을 파지하도록 손잡이홈이 형성된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물통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물통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 하측으로 이동하는 로봇청소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잠금레버에 일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레버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탄성부재는, 상기 물통하우징에 상기 물통이 장착될 때,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홈방향으로 가압하는 로봇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수평레버의 내측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레버탄성부재가 장착되는 탄성부재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가이더는, 상기 힌지돌기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탄성부재가이더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로봇청소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후방에는, 상기 잠금레버가 장착되고, 상기 잠금레버가의 일정범위 회동이 가능하도록 잠금레버장작홈을 형성하는 잠금레버장착부가 배치되고,
    상기 잠금레버는, 상기 잠금레버장착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로봇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 장착부는, 상기 물통의 상부면에서 하측으로 이격배치되는 장착부상부면, 상기 물통의 후방면에서 전방으로 이격배치되는 장착부후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상부면은, 상기 장착부후방면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는 로봇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스토퍼와 접촉할 때, 상기 잠금레버의 후방단부는, 상기 물통하우징의 상부면과 이격되는 로봇청소기.
KR1020190093493A 2019-07-31 로봇청소기 KR102678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493A KR102678618B1 (ko) 2019-07-31 로봇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493A KR102678618B1 (ko) 2019-07-31 로봇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131A true KR20210015131A (ko) 2021-02-10
KR102678618B1 KR102678618B1 (ko) 2024-06-25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788B1 (ko) 로봇청소기
US10433695B2 (en) Robot cleaner
KR102123247B1 (ko) 로봇 청소기
JP2019521810A (ja) 掃除機のノズル
KR102343263B1 (ko) 로봇청소기
KR102286287B1 (ko) 로봇청소기
EP3666150B1 (en) Robot cleaner
US10004371B2 (en) Cleaner
CN215227297U (zh) 清洁基站及清洁装置
KR20210015131A (ko) 로봇청소기
KR20210015127A (ko) 이동 로봇
KR102678618B1 (ko) 로봇청소기
KR20220112425A (ko) 청소기
RU2793117C1 (ru) Робот-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JP5449897B2 (ja) 洗濯機
WO2022034917A1 (ja) 噴射ノズル及びこの噴射ノズルを備えた噴射装置
JP2024006939A (ja) 取付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れが取り付けられている清掃セット
KR20190117454A (ko) 로봇청소기
JP2023093780A (ja) 湿式掃除機
JP5658302B2 (ja) 洗浄ノズル
KR20100020643A (ko) 청소기
JP2008194357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