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562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562A
KR20210014562A KR1020200042904A KR20200042904A KR20210014562A KR 20210014562 A KR20210014562 A KR 20210014562A KR 1020200042904 A KR1020200042904 A KR 1020200042904A KR 20200042904 A KR20200042904 A KR 20200042904A KR 20210014562 A KR20210014562 A KR 20210014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oor
chamber
clothing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섭
송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22506020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2543218A/ja
Priority to PCT/KR2020/008754 priority patent/WO2021020752A1/en
Priority to AU2020210192A priority patent/AU2020210192B2/en
Priority to CN202010738032.7A priority patent/CN112301689B/zh
Priority to EP20188350.1A priority patent/EP3771768B1/en
Priority to EP24151300.1A priority patent/EP4332295A3/en
Publication of KR20210014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562A/ko
Priority to AU2022202728A priority patent/AU202220272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7/00Details of ironing machines provided for in groups D06F61/00, D06F63/00, or D06F65/00
    • D06F67/005Stands or cabin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4Heating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supplying or removing steam or other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6Pressing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0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wherein one or more of the pressing elements is moved laterally between successive pressing operations
    • D06F71/12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wherein one or more of the pressing elements is moved laterally between successive pressing operations by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면 중 상기 제1챔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도어내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되는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히트펌프유닛;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유닛; 상기 도어내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패널 및 상기 제1패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의 배열이 변형가능한 패널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Clothes Treatment Apparatus}
본 개시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를 스팀에 노출시키면서 의류에 압축력(compression)이나 인장력(tension)을 가해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및 세탁소에서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하며, 의류에 생긴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를 말한다.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되는 것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모두 갖는 세탁/건조기, 그리고, 의류를 리프레시(refresh)하는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 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레셔는 의류를 쾌적하고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리프레셔는 의류를 건조시키고, 의류에 향기를 더하며,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의류에 생긴 주름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티머는 의류에 생긴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다리미와 달리, 스티머는 의류에 직접적으로(예를 들어, 의류를 단단한 물체 와 접촉하는 방식으로) 열을 가하지 않고 대류를 통해 의류에 열을 가함으로써 주름을 제거한다.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힘, 열 그리고, 스팀(혹은 수분)을 필요로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5890호에는 무빙행어를 이용하여 주름을 제거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무빙행어라 불리우는 의류지지부에 옷걸이를 거치시킨 후, 의류지지부를 수직왕복운동시켜 의류에 진동을 가하여 먼지를 제거하고, 스팀 및 열을 가하여 주름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의류의 자중(self-weight) 및 진동을 이용한 방법으로, 의류의 재질에 따라 주름의 제거성능이 다르고, 일반적인 스팀이나 열판을 이용하는 다리미(iron)에 비해 주름이 완전히 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공개공보 US005815961A 에는 의류를 팽창식 옷걸이에 거치 후 옷걸이의 내부로 증기 및 가열공기를 넣어 옷을 팽창시키면서 주름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팽창식 옷걸이 등 주름제거를 위해 필요한 장치가 차지하는 부피가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9718호에는 물리적인 압축력을 가해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의류를 가압하는 가압판 및 의류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고정판을 이용하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가압하는 구조물의 크기 및 복잡한 구조로 인해,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의류의 수가 제한되고,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가압할 수 있는 힘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2의류와 같은 하의만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한정된 공간에서 물리적인 힘을 증가시켜 주름을 제거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기존 하의의 주름만을 제거하는 것과 달리, 상의/하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압축력 뿐만 아니라 인장력을 가해, 하의 또는 상의의 소매부분을 다림질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단순히 물리적인 배열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의류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의 배열을 가질 수 있는 패널어셈블리(140)를 통해 제1의류(상의) 및 제2의류(하의)에 물리적인 힘(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가한 후, 가열공기 또는 스팀에 노출시켜 주름을 제거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구현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제1의류와 상기 제2의류를 동시에 거치한 후 가열공기 또는 스팀에 노출시켜 주름을 제거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구현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면 중 상기 제1챔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도어내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되는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히트펌프유닛;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유닛; 상기 도어내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패널 및 상기 제1패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의 배열을 변형가능한 패널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 사이가 예각을 이루는 삼각형 형태의 제1배열 또는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이 접히고 중첩된 형태의 제2배열로 선택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제1배열에서 상기 패널어셈블리에 거치되는 제1의류에 인장력을 가하거나, 상기 제2배열에서 상기 베이스판을 향해 회전하여 상기 패널어셈블리와 상기 베이스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2의류에 압축력을 가해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제1배열에서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 사이에 예각을 이루면서 상기 베이스판을 향해 회전하여 상기 도어내면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제2배열에서 상기 제2패널이 상기 제1패널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제1패널과 상기 베이스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의류는 상기 제2패널과 상기 베이스판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제1패널을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힌지; 및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을 회전결합시키는 제2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어셈블리를 상기 도어에 결합시키는 캐치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힌지는 상기 제2배열에서 상기 패널어셈블리를 상기 캐치어셈블리에 결합시키는 힌지인터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제2패널의 양 측면 모서리 중 상기 제2힌지에서 더 멀리 위치한 측면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열에서 상기 제2패널을 상기 캐치어셈블리에 결합시키는 보조인터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인터락은 상기 캐치어셈블리에 삽입되는 힌지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어셈블리가 상기 제2배열에서 상기 제1배열로 변형을 위해 상기 제2패널이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힌지돌출부는 상기 제1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힌지돌출부가 상기 제1의류가 거치되는 반대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평면으로 펼쳐진 형태의 배열인 제3배열로 더 변형가능하고, 상기 제1배열로 변형되기에 앞서서 상기 제3배열에서 상기 제1의류를 상기 패널어셈블리에 거치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제3배열에서 상기 제1의류를 거치한 후, 상기 베이스판에 지지된 상기 제2의류를 향해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판을 가압하여, 상기 제1의류와 상기 제2의류에서 동시에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의류를 거치하는 옷걸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은 상기 제1패널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옷걸이의 일부분인 제1부분옷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제2패널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옷걸이의 나머지부분인 제2부분옷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옷걸이와 상기 제2부분옷걸이는 각각 상기 패널어셈블리에 거치되는 상기 의류의 크기에 따라 조절가능한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어셈블리에 거치되는 의류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은 상기 도어의 너비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된 상부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클립은 상기 패널어셈블리에 거치되는 의류의 일부분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은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의 양 측면모서리 중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이 회전결합하는 일 측면모서리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각 패널의 타 측면모서리에 위치하여, 상기 패널어셈블리에 거치되는 의류의 일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클립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클립은 상기 하부클립을 열린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돌출된 형태의 범프아웃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클립은 상기 하부클립이 의류를 고정시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바이어싱(Biasing)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어싱 부재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클립은 상기 의류와 접촉하는 면에 상기 의류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의 재질은 고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의류나 상기 제2의류의 말단부분에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셔츠와 같은 제1의류의 경우, 상기 제1의류의 소매부분에 인장력을 가하고, 바지와 같은 제2의류의 경우 바지의 허리부분 끝단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패널어셈블리와 상기 베이스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가압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보조가압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의류의 주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가압판은 상기 제2의류의 솔기가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보조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패널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개구부;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이 접히고 중첩된 형태에서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패널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개구부;
상기 보조가압판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보조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이 접히고 중첨된 형태에서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패널어셈블리의 중앙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개구부도 상기 중앙개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1챔버 내부에서 스팀에 노출되는 경우, 스팀을 제1의류 및 제2의류에 용이하게 침투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제2패널에 회전결합하는 제3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패널과 상기 보조가압판은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제1패널, 상기 제2패널, 상기 제3패널 및 상기 보조가압판이 사다리꼴 형태의 제1배열로 배열되어 상기 제1의류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제2패널에 회전결합하는 제3패널; 및 상기 제3패널에 회전결합하는 제4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 상기 제2패널, 상기 제3패널 및 상기 제4패널이 W형태의 배열인 제1배열 또는 상기 제1패널, 상기 제2패널, 상기 제3패널 및 상기 제4패널 및 상기 베이스판이 오각형 형태의 제2배열로 선택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패널어셈블리에 거치되는 의류의 너비에 따라 배열을 달리하여 의류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베이스판에서 착탈가능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패널어셈블리를 분리해서 따로 보관하거나 상기 제1챔버 내부에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의 길이의 합은 상기 제1챔버 내부의 너비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이 변형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한편,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면 중 상기 제1챔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도어내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되는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히트펌프유닛;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유닛; 상기 도어내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패널어셈블리와 상기 패널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가압판; 및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패널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패널은 각 패널의 일 측면모서리가 이웃하는 패널의 일 측면모서리와 맞닿도록 배열되어, 이웃하는 패널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복수 개의 패널의 배열은 각 패널의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변형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는 한정된 공간에서 물리적인 힘을 증가시켜 주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는 기존 하의의 주름만을 제거하는 것과 달리, 상의/하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압축력 뿐만 아니라 인장력을 가해, 하의 또는 상의의 소매부분을 다림질 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단순히 물리적인 배열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의류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챔버에 구비되는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도어에 구비되는 패널어셈블리(bi-fold panel assembly)의 일 실시예로 의류를 거치하기에 앞서 접힌형태의 배열(folded configuration)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패널어셈블리에 제1의류를 거치한 후, 장력인가형태의 배열(tensioning configuration)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도어에 구비된 패널어셈블리의의 일 실시예로 제2의류를 가압하기 전 패널어셈블리가 개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패널어셈블리가 제2의류를 가압하기 위해 회전하여 도어상의 베이스판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와 도 5(b)는 각각 의류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 도어와 패널어셈블리가 결합된(닫힌) 상태와 의류를 거치하기 전 패널어셈블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형태로 펼쳐진 배열(open, substantially coplanar configuration)을 나타낸 것이다.
도 5(c)와 도5(d)는 패널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도 5(c)와 도 5(d)에 도시된 클립의 뒷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도 5(d)의 패널어셈블리에 구비된 클립들이 펼쳐진 상태에서 보여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c)는 도 5(b)의 펼쳐진 상태에서 보여지는 클립들 중 하나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6(d)는 미끄럼방지패드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해 클립 일부분의 뒷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와 도 7(b)는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패널어셈블리에 의류를 거치 후 인장력을 가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와 도 8(b)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에서 패널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별도로 분리하여 패널사이의 힌지연결부분을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9은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에서 가변옷걸이(adjustable clothes hanger)의 일 실시예를 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0(d)는 의류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에 구비되는 도어와 패널어셈블리를 시계열적으로 의류를 거치하고 인장력을 가하는 각 단계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11(a)와 도 11(b)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에서 패널어셈블리와 상기 패널어셈블리가 닫히고 도어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12(a)와 도12(b)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에서 인장력을 가하는 상태에 있는 패널어셈블리와 도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13(a), 도 13(b), 도 13(c) 및 도 13(d)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에서 의류를 패널어셈블리에 거치하기 전 패널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패널어셈블리에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 회전해서 열린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14(a)와 도 14(b)는 패널의 바깥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의류에 인장력을 가하기 위해 의류를 고정하는 클립들을 구비하고 있는 닫힌 상태의 패널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5(a)와 도 15(b)는 의류를 고정하기 위한 일부 클립들의 바이어싱 특징들을(biasing features)을 보여주기 위해 도 1의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에 구비된 패널어셈블리를 확대한 단면이다.
도 16는 패널어셈블리와 베이스판 사이에 제2의류(하의)를 가압하기 위한 보조가압판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a)와 도 17(b)는 보조가압판이 더 있는 경우의 패널어셈블리와 보조가압판을 이용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복수 개의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panel assembly)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일」 및 「동일하다」 등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주름이라 함은, 의류의 착용 후, 혹은 세탁이나 건조 후 생기는 구김(Wrinkles)을 뜻하는 것으로 처음부터 디자인이나 기능을 위해 들어간 주름(pleat)이 아니라, 사용에 의해 옷감이 구겨지거나, 세탁이나 건조시 생기는 의도치 않게 생기는 주름을 뜻한다. 따라서, 다림질 등의 방법을 이용해서 없애야 하는 구김을 뜻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000)의 내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챔버(기계실, 14)에는 가열공기 및 스팀을 발생하는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20)가 구비된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 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이 개구된 처리챔버(제1챔버, 12)를 형성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는 격벽판(11)에 의해 상측과 하측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제1챔버(12)는 캐비닛(10) 내부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격벽판은 제1챔버의 바닥면(11)을 뜻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1챔버(12), 상기 제1챔버(12)의 하부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제2챔버(14) 및 상기 캐비닛(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챔버는 격벽판없이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의와 같은 제1의류나 하의와 같은 제2의류를 상기 제1챔버(12)에 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챔버(14)의 내부에 위치한 가열공기 및 스팀을 발생하는 장치에서 발생한 가열공기 및/또는 스팀을 제1챔버(12)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의류는 제1챔버(12)에 수용될 수 있으며, 제1챔버(12)의 내부로 유입된 가열공기 및/또는 스팀에 노출되는 동안 인장력이나 압축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챔버(12)에 수용된 의류는 탈취, 리프레쉬, 살균 및 의류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000)의 일례를 보면, 행거지지바(13)가 제1챔버(12)의 상부에 배치되어, 옷걸이에 걸린 의류들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2)에서 행거지지바(13)의 운동은 구동부(미도시), 예컨대 모터, 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행거지지바(13)의 운동의 종류에는 의류가 가열공기 및/또는 스팀에 노출되는 동안 의류를 흔드는 진동 운동, 상하 운동 및 좌우 운동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제2챔버(14)의 내부에서 생성된 가열공기와 스팀의 유로를 형성하고, 가열공기 및/또는 스팀을 제1챔버(12)로 보내기 위해 공기공급포트와 스팀배출포트가 제1챔버의 바닥면(11)에 구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공기공급포트와 스팀배출포트가 다른 패널, 예컨대, 제1챔버의 바닥면(11)의 뒤에 구비되어 제1챔버의 바닥면(11)과 하나의 매끄러운 표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별도의 배출패널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챔버(14)의 바닥면과 제1챔버(14)의 후면이 결합하는 영역이 매끄러운 표면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하는 영역에 공기공급포트와 스팀배출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챔버(14)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챔버(14)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흡입하는 공기흡입포트가 상기 공기공급포트보다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히트펌프유닛(60)은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응축기에서 공기를 가열하고, 송풍유닛(52)을 통해 제1챔버(12)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대신, 히트펌프사이클을 역으로 사용하면, 히트펌프는 제1챔버(12)로 냉각되고 조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챔버(12)로 공급된 가열공기나 냉각공기는 행거지지바(13)에 지지된 옷걸이에 걸린 의류나 기타 섬유(fabric) 제품들을 처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모듈(70)은 제2챔버(14)의 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탱크모듈(70)은 스팀유닛(58, 도 2참조)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탱크(72)와 제1챔버(12)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집수하고 저장하기 위한 배수탱크(7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탱크모듈프레임(71)이 제1챔버의 바닥면(11)과 연통하는 인렛덕트(56, 도2참조) 앞에 설치될 수 있다. 탱크설치공간(73)은 탱크모듈프레임(71)과 도어(20)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탱크모듈프레임(71)은 외부와 제2챔버(14) 내부를 분리시킬 수 있다. 탱크서포트바(75)는 탱크설치공간(73)에 포함되어 탱크지지부(79)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며, 급수탱크(72)와 배수탱크(74)가 실수로 탱크설치공간(7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20)가 개폐시, 급수탱크(72)와 배수탱크(74)는 탱크서포트바(75)에 의해 탱크설치공간(7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급수탱크(72)와 배수탱크(74)는 사용자에 의해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탱크서포트바(75)는 도 1과 같이 급수탱크(72) 및 배수탱크(74)의 전면 하부에 매끄럽게 연결되도록 탱크모듈프레임(71)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급수탱크(72)의 전면 및 배수탱크(74)의 전면의 일부가 상기 탱크서포트바(75)상에 위에 위치하여 안착되고, 상기 탱크서포트바(7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탱크서포트바(75)는 탱크모듈프레임(71)의 전면에서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급수탱크(72)와 배수탱크(74)는 상기 돌출된 형태의 탱크서포트바(75)와 결합하여 지지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급수탱크(72)와 배수탱크(74)는 탱크모듈프레임(71)에서 각각 탈부착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급수탱크(72)와 배수탱크(74)가 하나로 결합되어 동시에 탈부착하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즉, 탱크모듈(70)이 동시에 탈부착될 수 있다.
도 1에는 급수탱크(72)와 배수탱크(74)의 배면이 각진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 배면 상측이 라운드진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대응하는 탱크모듈프레임(71)의 상부도 라운드 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급수탱크(72)와 배수탱크(74)와 전면 상부에 각각 손잡이부(78)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부(78)를 잡아당기는 경우, 급수탱크(72)의 전면 하부 말단 또는 배수탱크(74)의 전면 하부 말단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탈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탱크서포트바(75)와 결합되거나 지지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을 하여 급수탱크(72)나 배수탱크(74)를 설치 혹은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72)나 배수탱크(74)를 설치 혹은 분리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급수탱크(72)의 배면상측 또는 배수탱크의 배면상측(7201, 7401, 도 16 참조)은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어(20)는 상기 도어(20)를 닫는 경우, 상기 도어(20)의 후면 또는 상기 도어(20)에서 상기 제1챔버(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한 도어패널(22), 도어(20)와 도어패널(22)을 캐비닛(10)에 힌지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힌지유닛(24), 상기 도어패널(22)에 구비되어 캐비닛(10)의 가장자리와 밀착(tight contact)하여 상기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사이에 실링을 형성하기 위한 도어개스킷(26), 및 상기 도어(20)의 폐쇄시 상기 제1챔버(12)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1)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도어 패널(22)에 구비되는 도어라이너(82, 8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어(20)는 제1챔버(12)와 탱크설치공간(73)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도어가 캐비닛(10)에 설치되어, 별개의 각 도어가 제1챔버(12)와 탱크설치공간(73)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라이너(82, 84)는 도어(20)를 닫는 경우 제1챔버(12)를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부 라이너파트(82)와 하부 라이너파트(8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라이너는 상기 도어라이너의 표면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격벽판(11)의 일부분에 형성된 배수그릴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어가스켓(26)은 도어패널(22)을 둘러쌀수 있도록 도어패널(26)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20)와 캐비닛(10)사이의 실링은 도어가스켓(2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가스켓(26)은 또한, 개별적으로 제1챔버(12)와 탱크설치공간(73)을 실링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어(20)의 후면이랑 상기 도어(20)를 폐쇄시 상기 제1챔버(12)를 향하는 도어의 내면을 말한다.
사용자가 도어(20)를 폐쇄시에는 급수탱크(72)의 전면과 배수탱크(74)의 전면이 도어패널(22)을 마주보게 되고,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시에는 급수탱크(72)의 전면과 배수탱크(74)의 전면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급수탱크(72)및 배수탱크(74)가 각각의 전면에 윈도우를 포함하고 있어, 급수탱크(72) 및 배수탱크(74)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챔버(14)의 내부에는 제1챔버(12)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유닛(52), 상기 제1챔버(12)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유닛(58), 상기 제1챔버(12)의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기 위한 히트펌프유닛(60), 그리고, 송풍유닛(52), 스팀유닛(58), 및 히트펌프유닛(6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14)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54)은 상기 제1챔버(12)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상기 제2챔버(14)의 내부에 구비되는 히트펌프유닛(6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팀유닛(58)은 열을 발생시켜 급수탱크(72)로부터 공급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제1챔버(12)로 보낼 수 있다. 상기 제2챔버(14)에 구비되는 히트펌프유닛(60)은 압축기, 응축기(제2열교환기), 증발기(제1열교환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챔버(12)로 가열공기나 냉각공기를 생성한 후 배출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송풍유닛(52)은 송풍팬(54) 및 인렛덕트(56)를 포함할 수 있다. 인렛덕트(56)는 송풍팬(54)의 전방에 구비되고, 인렛덕트(56)의 전방에는 탱크모듈프레임(71)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탱크모듈프레임(71)은 탱크설치공간(73)과 제2챔버(14)를 분리시킬 수 있다. 탱크모듈프레임(71)에 안착되는 급수탱크(72)와 배수탱크(74)는 캐비닛(10)의 양측면중 일측면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급수탱크(72)는 탱크모듈프레임(71)에서 캐비닛(10)의 우측면이 캐비닛의 좌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배수탱크(74)는 이와 반대로 캐비닛(10)의 좌측면이 캐비닛(10)의 우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스팀유닛(58)도 급수탱크(72)의 위치관계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챔버(14)의 내부에서 캐비닛(10)의 우측면이 캐비닛(10)의 좌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급수탱크(72)의 후방에 스팀유닛(58)을 배치하여, 급수탱크(72)에서 스팀유닛(58)으로 물이 이동하는 연결유로를 단순화시키기 위함이다.
만약 급수탱크(72)가 캐비닛(10)의 우측면보다 캐비닛(10)의 좌측면에 가깝게 위치한다면, 이에 대응하여 스팀유닛의 위치도 캐비닛(10)의 우측면보다 캐비닛(10)의 좌측면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인렛덕트(56)는 제1챔버의 바닥면(11)과 연통하여 제1챔버(12)의 공기를 흡입하는 인렛덕트 입구(561)를 포함하고, 상기 인렛덕트 입구(561)부분은 경사진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제1챔버(12) 및 도어(20)에 생긴 응축수가 제1챔버의 바닥면(11)가 연통되는 인렛덕트 입구(561)를 지나 경사진 유로를 타고 인렛덕트 내측 하부에 구비된느 섬프(미도시)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송풍팬(54)의 전방에는 인렛덕트(56)가 위치하고, 송풍팬(54)의 후방에는 스팀유닛(58) 및 히트펌프유닛(60) 이 배치될 수 있다. 히트펌프유닛(60)은 서포터(6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65)는 상기 제2챔버의 바닥을 형성하는 지지베이스(15)위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터(65)는 상기 지지베이스와 상기 히트펌프유닛(60)사이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형성하고, 상기 서포터(65)의 내부공간에 스팀유닛(58)의 설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유닛(60)은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2열교환기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하우징(61), 상기 하우징에서 제습되고 가열되는 공기를 상기 제1챔버(12)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1챔버(12)에 구비되는 공기공급포트와 연통하는 공기배출구(6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65)의 외측에는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압축기(미도시) 및 팽창밸브(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0)는 다기능성 주름제거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가 닫힌 경우, 의류 혹은 기타 섬유(fabric) 제품을 가열공기, 스팀 및/또는 제습 냉각된 공기에 노출시키면서, 상기 주름제거모듈(100)이 가지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여러가지 형태의 배열 중 하나의 배열에서는 상기 주름제거모듈(100)은 의류 혹은 기타 섬유(fabric) 제품을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또는, 다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배열에서는 의류 혹은 기타 섬유(fabric) 제품에 인장력 혹은 스트레칭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제거모듈(100)은 의류나 기타 섬유(fabric) 제품에 형성된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챔버(1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일례를 참고하면, 상기 주름제거모듈(100)은 도어(20)의 후면, 즉 도어패널(22)에 설치되므로 도어가 닫히는 경우, 상기 주름제거모듈(100)은 상기 제1챔버(12) 내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주름제거모듈(100)은 도어(20)의 후면 또는 도어라이너(82, 84)를 따라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베이스판(110) 및 상기 베이스판(110) 또는 상기 도어(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도어(20) 또는 상기 베이스판(110)에 하나 이상의 힌지로 연결되는 패널어셈블리(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10)의 일부는 도어(20)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14)에서 상기 제1챔버(12)로 유입된 증기로 인해 도어(20)의 후면상에 형성된 응축수가 상기 도어라이너(82, 84)를 따라 상기 베이스판(110)과 상기 도어(20)사이의 형성된 간극을 통해 하부 라이너파트(84)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라이너(82, 84)와 이격되어 상기 도어라이너(82, 84)의 수분이 의류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판(110)은 탄성특성을 갖는 판 형태 또는 분절된 판(segmented plate)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10)은 도어(20)에 고정된 고정베이스부(112), 및 고정베이스부(112)로부터 연장되고 고정베이스부(112)보다 도어(20)로부터 더 이격되는 탄성베이스부(115, 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베이스부(112)는 도어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고정베이스부(112)를 상기 도어(20)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110)은 상기 고정베이스부(112)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고정베이스부(112)를 결합시키는 체결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서 후술할 가압단계에서 의류 또는 기타 섬유(fabric) 제품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베이스부(115, 116)는 탄성력을 갖는 플렉서블(flexible)하고 변형가능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베이스부(115, 116)는 상기 고정베이스부(112)로부터 상기 힌지유닛(24)이 위치한 방향(예컨대 상기 고정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탄성베이스부(115) 및 상기 고정베이스부(112)로부터 상기 제1탄성베이스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예컨대 상기 고정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탄성베이스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베이스부(115, 116)는 의류가 가압되는 동안, 상기 탄성베이스부(115, 116)가 의류와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의류를 지지한다. 상기 탄성베이스부(115, 116)는 상기 고정베이스부(112)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탄성베이스부(115) 및 상기 고정베이스부(112)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탄성베이스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베이스부(115) 및 상기 제2탄성베이스부(116)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탄성베이스부(115) 및 상기 제2탄성베이스부(116)는 상기 도어(20)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탄성베이스부(115) 및 상기 제2탄성베이스부(116)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된다면, 상기 제1탄성베이스부(115) 및 상기 제2탄성베이스부(116)는 원래의 상태 또는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패널어셈블리(140)는 하나 이상의 제1힌지(272, 도 4(a) 참조)에 의해 결합하는 근위 측면모서리(proximal side edge)를 따라 도어(20)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패널(전방패널, 202), 그리고, 상기 제1패널(202)의 양 측면모서리 중 상기 제1힌지(272)와 결합하지 않는 원위 측면모서리(distal side edge)를 따라 상기 제1패널(202)에 하나 이상의 제2힌지(232, 242, 도 8(a)참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패널(후방패널, 20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패널(204)이 하나 이상의 제1힌지(272)에 의해 상기 제1힌지와 결합하는 근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도어(20)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제1패널(202)은 상기 제2패널(204)의 원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하나 이상의 제2힌지(232, 24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202) 또는 상기 제2패널(204) 중 하나와 상기 도어(20) 사이의 회전가능한 결합(pivotal connection)과 양 패널사이의 회전가능한 결합은 패널어셈블리(140)가 다양한 주름제거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가지 형태로 재배열될 수 있게 해준다. 일 례로,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은 서로에 대해 회전을 하여 의류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서로 나란하게 중첩된 형태의 배열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회전을 하여 의류나 기타 섬유(fabric) 제품을 거치하고 고정하는데 적합한 동일한 평면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 다른 상태에서는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서로 회전을 하여 베이스판(110)과 함께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태의 배열을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삼각형 형태를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도어(20)가 개방되고,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이 실질적인 동일한 평면 형태로 펼쳐진 배열에서 의류 및 기타 섬유(fabric) 제품을 거치 및 고정한 후의 “인장력이 인가된 형태의 배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근위 측면모서리(proximal side edge)는 좌측 또는 우측모서리 중 임의의 체결부재 또는 연결부재에 의해 도어(20)나 베이스판(110), 또는 상기 도어(20)나 상기 베이스판(110)에 연결시키기 위한 이전 패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일측에 위치한 모서리를 뜻하고, 원위 측면모서리(distal side edge)는 상기 체결 또는 연결부재와 연결되지 않는 타측에 위치한 모서리를 뜻한다. 예컨대, 제1패널(202)의 근위 측면모서리란 제1힌지(272)가 결합되는 모서리를 뜻하고, 제1패널(202)의 원위 측면모서리는 상기 제1힌지(272)가 결합되지 않는 모서리, 즉 상기 근위 측면모서리와 나란하게 배열되나, 상기 제1힌지(272)에 대해 상기 근위 측면모서리 보다 더 먼 곳에 위치하는 모서리를 뜻한다. 상기 제1패널(20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패널(204)의 근위 측면모서리는 상기 제1패널(202)의 원위 측면모서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모서리 또는 상기 제1패널(20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힌지가 구비되는 모서리를 뜻하고, 제2패널(204)의 원위 측면모서리는 양 측면모서리중 근위 측면모서리가 아닌 모서리를 뜻한다. 만약 제2패널(204)과 연결되는 제3패널(206)이 더 구비된다면, 제3패널(206)의 근위 측면모서리는 상기 도어(20)나 상기 베이스판(110)에 연결시키기 위한 이전 패널인 상기 제2패널(204)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모서리를 뜻하고, 제3패널(206)의 양 측면 모서리 중 나머지 하나의 모서리가 제3패널(206)의 원위 측면모서리가 될 것이다.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 중 어느 하나 또는 양 패널 모두는 실질적으로 가압판(144) 과 평행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상기 가압판(144)을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연결판(142)과 평행하며 상부 및 하부 연결판(142)과 가압판(144) 사이에는 중앙개구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연결판(142)은 탄성재질로 만들어져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 하중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이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강성 재료로 구비될 수 있는 반면, 상기 베이스판(110)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 변형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탄성베이스부(115, 116)로 구비될 수 있다. 패널어셈블리(140)의 양 패널(202, 204)이 접히고 중첩된 형태의 배열에서 상기 베이스판(110)에 대해 회전을 하여 의류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에서 상기 제2패널(204)의 가압판(144)은 상기 베이스판(110)에 따라 거치된 의류 혹은 기타 섬유(fabric) 제품에 대해 압축력을 가하는 가압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어셈블리(140)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를 구성하는 적어도 일부 판과 부재들을 패널어셈블리(140)의 전체 길이와 너비를 가변시킬 수 있는 텔레스코핑(telescoping) 부재 및/또는 슬라이딩가능한 연장부를 구비하도록 설계하여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플렉서블한 재료로 만들어진 별도의 시트(sheet)가 상기 베이스판(110)에 설치되어 베이스판(110)과 패널어셈블리(14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플렉서블한 재료로 형성되는 상기 시트는,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를 상기 베이스판(110)에 대해 회전시켜 의류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판(110)에 의해 지지되는 의류 및 기타 섬유(fabric) 제품을 더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2힌지(232, 242)는 힌지인터락(interlock)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접히고 중첩된 형태의 배열을 갖는 패널어셈블리(140)가 상기 베이스판(110)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도어(20)에 구비되는 캐치어셈블리(248)와 결합하도록 제2힌지(232, 242)로부터 돌출된 힌지돌출부(2701)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어셈블리(140)를 포함하는 주름제거모듈(100)에 대해 도 3 내지 도 15을 통해 상세히 후술하였다. 도 3(a)는 도어(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접히고 중첩된 형태로 배열(제2배열)된 패널어셈블리(14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제1패널(202)와 제2패널(204, 도 3(a)는 부분적으로 가려져 있으며, 제1패널(202)과 도어(20)사이에 위치함)이 서로 중첩된 형태이며, 상기 패널어셈블리(140)가 베이스판(110)에 맞닿게 회전하여, 상기 제2패널(204)이 상기 베이스판(110)에 맞닿아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일부가 삼각형 형태의 배열(제1배열)인 “인장력이 인가되는 형태의 배열”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패널(202)이 회전하여 상기 제2패널(204)과 예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에 의류, 예컨대 제1의류(205), 가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에 거치되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다. 비록 제1의류(205)가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에 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타입의 의류 또는 섬유(fabric) 제품, 예컨대, 재킷, 스웨터, 조끼, 드레스 등, 도 상기 제1챔버(12)에서 인장력 및/또는 압축력을 가하고, 가열공기, 스팀 또는 냉각되고 제습된 공기에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110) 위에 또는 상기 패널어셈블리(140) 위에 거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의를 제1의류(205), 예컨대 셔츠,로 칭하며, 하의를 제2의류(105), 예컨대 바지,로 칭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면, 제1의류(205)에는 셔츠, 와이셔츠, 민소매셔츠 등 다양한 상의를 포함하며, 제2의류(105)에는 치마, 레깅스, 반바지, 바지등 다양한 하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일례의 경우, 제1패널(202)은 상기 제1패널(202)의 상부(212)에 구비되는 제1부분옷걸이(220)를 포함하고, 제2패널(204)은 상기 제2패널(204)의 상부(214)에 구비되는 제2부분옷걸이(2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패널(202)은 제2부분옷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패널(204)은 제1부분옷걸이(220)를 포함 할 수 있는데, 이는 다양한 접힘과 펼쳐짐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달리, 패널어셈블리(140)가 도어(20)의 좌측이 아닌 도어(20)의 우측에 근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제1패널(202)과 제1패널(2020)의 원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패널(204)이 도어(20)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패널어셈블리(140)가 상기 도어(20)에 구비된 베이스판(110)에 맞닿게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패널(204)이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도어(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패널(202)의 후면을 따라 접히고 중첩되게 회전할 수 있다.
제1패널(202)은 상기 제1패널(202)의 일 측면모서리를, 예컨대 상기 제1패널(202)의 근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장착되는 상부클립(252, 25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패널(204)은 상기 제2패널(202)의 일 측면모서리를 따라, 예컨대 상기 제2패널(204)의 원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장착되는 클립(256, 258)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들은 제1패널 및 제2패널의 인접한 장착면을 따라 거치되는 의류 또는 기타 섬유(fabric) 제품을 고정하고,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서로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인장력을 가하는 상태가 될 때, 의류 및 기타 섬유(fabric) 제품을 붙잡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의류 또는 기타 섬유(fabric) 제품의 일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립은 의류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방식의 구성들로, 예컨대, 자석판, 후크 앤 루프(hook-and-loop) 방식의 체결구, 후크 앤 파일(hook-and-pile) 방식의 체결구나 기타 터치식 체결구(touch fasteners) 등, 대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클립”이라는 명칭은 다양하게 개시된 주름제거모듈(100)의 실시예들에 의해 개시되는 인장 및 가압 단계에서 의류 또는 기타 섬유(fabric) 제품을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뜻하며, 앞서 언급한 방식의 구성이나 기타 다른 구조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도 5(c), 도 5(d)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패널(202)은 상기 제1패널(202)의 측면모서리를 따라 구비되는 추가적인 클립들, 예컨대 클립(253, 254 및 255)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패널(204)은 성기 제2패널(204)의 측면모서리를 따라 장착되는 추가적인 클립들, 예컨대 클립(257, 258 및 25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의 측면모서리를 따라 구비되는 클립은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상기 제2패널(204)에서 의류가 거치되는 각 장착면이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에 고정되는 의류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202)이 상기 제2패널(204)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인장력이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이자 반대 방향으로 가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서로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의류에 인장력이 인가된 형태의 배열이 될 수 있고, 상기 의류의 일부분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동안, 상기 의류의 일부분을 잡아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는 복수 개의 인장클립(262, 26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패널(204)과 상기 베이스판(110) 사이에 놓인 의류는 상기 패널어셈블리(140)가 상기 베이스판(110)을 누르게 되어 압축력(compression force)을 받으면서, 상기 인장클립(262, 264)에 의해 인장력을 받을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클립(262, 264)은 도어(20)의 하부에 제공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상기 도어(20), 상기 패널어셈블리(140), 또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b)는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으로 펼쳐진 형태의 배열(제3배열)에서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의 장착면에 제1의류(205)를 거치시키고, 상기 제1의류(205)의 오른소매를 상기 제1의류(205)의 좌측부에, 상기 제1의류(205)의 왼소매를 상기 제1의류(205)의 우측부에 교차시킨 후 상기 인장클립(262, 264)으로 양 소매의 단부를 각각 고정한 후,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을 회전시켜 인장력이 인가되는 형태의 배열(제1배열)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변형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부클립(252, 256)은 각 소매가 반대쪽 측면으로 교차되기 쉽게 하기 위해 제2힌지(232, 24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인장클립(262, 264)에 연결된 기저부(미도시)에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스프링에 연결되는 연장케이블을 이용하는 연장케이블 되감기 방식의 인장클립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20), 상기 패널어셈블리(140), 또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다른 위치에 기저부를 고정시킨 후 상기 케이블 되감기 방식의 인장클립을 이용하여 의류의 일부분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케이블 되감기 방식의 인장클립(262, 264)의 기저부(미도시)는 각각 제2패널(204)의 원위 측면모서리의 하부 및 제1패널(202)의 근위 측면모서리의 하부 방향을 따라 위치할 수 있다. 도 3(b)와 같은 형태의 배열에서, 각각의 인장클립(262, 264)은 인장클립이 고정하는 소매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한 방향으로 인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배열, 제2배열, 제3배열은 패널어셈블리(140)에 포함되는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이 이루는 형태에 따라 구분된다. 즉, 제1배열은 제1패널(202)과 제2패널(204)사이의 각이 예각을 이루어 삼각형 형태의 배열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이는 제1의류와 같은 제1의류(205)에 인장력을 가해 주름을 제거하거나, 제1의류(205)에 인장력을 가하면서 제2의류(105)에 압축력을 동시에 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열을 뜻한다. 제2배열은 제1패널(202)과 제2패널(204)이 접히거나 나란하게 중첩된 형태로 배열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제2배열을 갖는 패널어셈블리(140)는 제2의류와 같은 제2의류(105)를 베이스판(110)에 거치시킨 후 압축력을 가해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열이다. 제3배열은 제1패널(202)과 제2패널(204)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형태로 펼쳐진 형태의 배열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장력을 가하기 전 제1의류와 같은 제1의류(205)를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에 거치시키기 위한 배열이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은 하나의 평면과 같이 매끄럽고 연속적인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3배열은 제1배열과 제2배열의 중간 단계에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에 의류를 거치하기 위한 배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제2배열, 제1배열 및 제3배열중 하나의 배열형태를 언급하지 않고 단순히 배열 형태를 기술하여도 이에 대응되는 배열 중 하나에 해당하게 된다.
제1의류(205)의 측면 및 상기 측면에 위치하는 소매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 바로 아래(인체의 겨드랑이 부위에 대응되는 부위)에서 상기 제1의류(205)를 고정하는 상부클립(252, 256)은 경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모서리(2521, 2561)는 제2힌지(232, 24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수평선에 대해 약 30° (도) 내지 60° (도)의 각도)일 수 있고, 이는 제1의류(205)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각 소매를 반대편으로 교차시키는 것을 돕기 위함이다. 또한, 도 3(b)에서처럼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이 서로 회전하여 상기 제1패널(202)및 상기 제2패널(204)사이의 각이 약 60도를 이루며 인장력을 가하는 형태의 배열(제1배열)이 된 경우, 각 소매의 교차를 통해 나머지 제1의류 부분과 함께 제1의류(205)의 각 소매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또 다른 패널어셈블리(140)의 인장력 인가 기능을 구현을 위한 실시예는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이 이루는 각인 60° (도)를 포함하여 다른 각도를 이루게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각도는 도어(20)의 폭, 제1챔버(12)의 전면에 위치한 개구부의 폭 그리고,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에 거치되는 의류의 사이즈에 따라 달라진다.
도 4(a)는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이 접히고 중첩된 형태로 배열(제2배열)되어, 베이스판(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 패널어셈블리(140)와 제2의류, 예컨대 제2의류(105), 가 상기 베이스판(110) 위에 거치되어 있는 도어(20)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접히고 중첩된 형태의 배열로 되어, 상기 베이스판(110)을 향해 회전하여, 상기 제2의류(105)를 가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주름제거를 위해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를 이용하여 가압하기 위해 다른 의류들이나 섬유(fabric) 제품들, 예컨대 반제2의류, 스카프, 베게 덮개, 시트, 섬유(fabric)의 장식 패널, 바닥매트 등, 을 상기 베이스판(110)에 거치시킨 후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판(110)과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를 포함하는 도어(20)로 상기 캐비닛(10)을 닫아 상기 제1챔버(12)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가열공기, 스팀 또는 제습되고 냉각된 공기에 노출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패널어셈블리(140)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와 상기 베이스판(110)사이에 위치한 제2의류(105)와 같은 의류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는 상기 베이스판(110)에 접촉할 수 있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는 회전가능하게 도어(20)에 연결될 수 있거나, 상기 제1패널(202)의 근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1힌지(272)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1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제2패널(204)이 상기 제2패널(204)의 근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구비된 하나이상의 제1힌지에 의해 상기 도어(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베이스판(110)의 측면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패널(202)은 상기 제2패널(204)의 원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2힌지(232, 242)에 의해 상기 제2패널(20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패널(202) 또는 상기 제2패널(2040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20)의 좌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이 아니라, 상기 도어(20)의 우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접히고 중첩된 형태의 배열에서 상기 제1패널(202)이 상기 제2패널(204)에 대해 평면형태로 펼쳐진 형태의 배열로 변형하기위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0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형태로 매끄럽게 펼쳐진 형태의 배열로 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어떠한 실시예에서도, 상기 패널어셈블리(140)가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이 접히고 중첩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겹치게 되며, 상기 제2패널(204)과 상기 베이스판(110)사이에서 제2의류(105)와 같은 의류를 가압하는 가압단계동안 상기 제2패널(204)의 가압면이 상기 베이스판(110)에 근접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패널(204)의 가압면이란,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이 접힌형태로 배열된 경우, 제2의류(105)와 접촉하여 상기 제2의류(105)를 가압하는 면을 뜻하며,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형태로 펼쳐진 형태로 배열된 경우에는 상기 제2패널(204)에서 상기 제1챔버(12)를 향하는 면을 뜻한다. 즉, 상기 베이스판(110)을 향하는 면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면을 뜻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걸이(120)는 도어(20)의 도어패널(22)상에 위치한 베이스판(110)위에서 가압될 의류 또는 기타 섬유(fabric) 제품을 거치하기 위해 구비 될 수 있다. 상기 의류걸이 (120)는 다양한 유형의 의류, 예컨대, 제2의류 외에 스카프, 머플러, 베개덮개 및 바닥매트 등,을 거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을 가질수 있다. 제2의류(105)는 소매 끝동과 마찬가지로, 제2의류밑단을 단단히 고정하도록 구성된 의류걸이(120)에 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장클립(262, 264)은 상기 도어패널(2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의류걸이(120)에 의해 고정된 제2의류밑단의 반대부분, 예컨대 허리밴드 부분, 의 일부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인장클립(262, 264)은 무게를 가중시킬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바이어싱 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와 베이스판(110) 사이에서 상기 제2의류가 가압되고 상기 제1챔버(12)의 내부에서 가열공기, 스팀 및/또는 제습되고 냉각된 공기에 노출시켜 상기 제2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동안 상기 제2의류의 안쪽 솔기(inseam)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인장력을 인가하기 위함이다.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에 위치한 케이블 되감기 방식의 인장클립(262, 264)의 기저부(미도시)는 상기 베이스판(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는데, 상기 인장클립(262, 264)이 상기 제2의류(105)에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의 힘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도 3(b)를 통해 기술된 것처럼 제1의류의 소매에 인장력을 가하는 실시예의 경우, 하부에 위치한 케이블 되감기 방식의 인장클립(262, 264)의 기저부는 상기 도어(20)또는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장클립(262, 264)에 의해 가해지는 인장력의 방향이 하부측면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패널어셈블리(140)의 제2패널(204)과 베이스판(110) 사이에서 제2의류(105)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는 회전을 통해 가압위치로 회전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의류(105)는 상기 베이스판(110)에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베이스판(110)은 하나의 플렉서블하고 변형가능한 판으로 형성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판이나 분절된 판의 조립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의류(105)를 상기 베이스판(110)에 고정시킬 때 제2의류(105)의 밑단(hem)이 위치하는 베이스판(110)의 일부에 홈이 형성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의류(105)가 가압되는 동안, 베이스판(110)과 제2의류(105)의 봉제선 사이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베이스판(110)과 제2의류(105)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다. 상기 제2의류(105)를 가압하는 동안 상기 베이스판(110)이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판(110)은 상기 체결부(113, 도 1 참조)부근에서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되거나 비틀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제2패널(204)은 상기 베이스판(110)과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경우, 제2의류(105)가 상기 베이스판(110)과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제2패널(204)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가 상기 도어의 힌지유닛이 위치하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탄성베이스부(115)가 우선 가압되고 제2탄성베이스부(116)가 가압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베이스부(115, 116)은 기 설정된 각도만큼 체결부(113)부근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의류에 가해지는 압력은 제2의류 전체에 분산되어 균일하게 적용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인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는 제1의류(205)에 대해서 인장력을 가할 수 있고, 제2의류(105)에 대해서는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20)를 개방한 후,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형태로 펼쳐진 형태로 배열(제3배열)되게 회전시킨 후 상기 기 제1패널(202)및 상기 제2패널(204)에 제1의류(205)를 거치한 후, 다시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접히고 중첩된 형태로 배열하기 위해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를 서로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서로에 대해 회전을 하여 상기 제1의류(205)에 인장력을 가할 때, 상기 제1의류의 측면을 고정하는 클립들은 상기 각 클립의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 고정된 상기 제1의류(205)가 어느정도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므로,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완전히 접히고 중첩된 형태의 배열(제2배열)로 되어 있더라도, 상기 제1의류(205)에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제1의류(205)를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의 장착면을 따라 거치시키고 고정시킨 후, 양 패널을 완전히 접히고 중첩되는 형태의 배열(제2배열)을 갖기 위해, 제2힌지(232, 242)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는 제1의류(205)에 인장력을 가하면서 동시에 제2의류(105)에 압축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110)을 향해 회전할 수 있다.
도 5(a)는 상기 도어(20)에 구비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접힌형태로 배열(제2배열)되어 베이스판(110) 맞닿게 회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한 패널어셈블리(140)가 펼쳐진 형태로 배열되어 즉, 제1패널(202)과 제2패널(204)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형태로 펼쳐진 형태의 배열(제3배열)되어 제1의류(205)를 거치할 준비가 된 형태로 배열된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4(c)는 제1패널(202)과 제2패널(204)이 접히고 중첩된 형태의 배열로 된 패널어셈블리(140)가 도어에서 분리된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것보다 제1패널(202)의 근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구비된 더 많은 개수의 클립들(252, 253, 254, 255)을 도시하고 있다. 도 4(d)는 도 4(c)에서 도시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가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형태로 매끄럽게 펼쳐진 형태로 배열(제3배열)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제2패널(204)의 원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배열된 클립들(256, 257, 258 및 259)을 나타내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류나 기타 섬유(fabric) 제품의 다양한 사이즈를 수용하기 위해 도 4(d)의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은 복수 개의 텔레스코핑 부재(telescoping member)를 포함하여, 각 패널들이 다른 높이와 다른 너비로 확장 및 축소될 수 있게 서로 연결되고 맞물리게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는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의 측면에 각각 평행하게 중첩되어 구비된 후 필요시 상기 캐비닛(10)과 상기 도어(20)에서 허용되는 한도내에서 길이 또는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는 상기 도어(20) 및/또는 상기 베이스판(110)에서 분리될 수 있게 구비되어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만 또는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에 거치된 의류와 함께 미사용시 상기 도어(20) 및/또는 상기 베이스판(110)에서 분리한 후 캐비닛(10)의 행거지지바(13)에 거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패널(202)에 위치하는 상부클립(252)은 상기 제1패널(202)의 근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고 제1의류의 좌측면(제1의류가 거치되는 제1패널(202)의 측면을 바라보는 경우)과 상기 좌측면에 위치하는 소매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서 상기 제1의류를 고정하기 위해 위치 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패널(204)에 위치하는 상부클립(256)은 상기 제2패널의 원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고, 제1의류의 우측면과 상기 우측면에 위치하는 소매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서 상기 제1의류를 고정하기 위해 위치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클립(252, 256)은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상기 클립의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에는 간극이 있어, 상기 클립에 의해 지지될 제1의류의 부위를 상기 간극으로 끼워넣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클립(252, 256)은 각각 스프링과 같은 바이어싱 부재(biasing member)를 포함 할 수 있으며, 상부클립(252, 256)의 전방부를 바이어싱 부재의 일방향으로 만 작용하는 힘을 극복하고 각각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에서 인출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의류의 좌측면과 좌측 소매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 또는 제1의류의 우측면과 우측 소매가 연결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상부클립(252)과 제1패널(202) 사이 또는 다른 상부클립(256)과 제2패널(204) 사이에 의류의 일부분을 위치시킨 후, 인출된 클립으로 다시 해당 부분에 있는 의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140)가 접힌 형태의 배열(제2배열)로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상부클립(252)이 상기 제1패널(201)의 앞면보다 돌출되어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제1패널(202)은 상기 고정된 크기의 상부클립(252)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recess)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패널(204)도 상부클립(256)을 수용하기위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 상가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상의 상부클립(252, 256)의 함몰된 상태는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의 측면에서 바라보아 따라 동일한 높이의 패널면을 유지하여 제2의류와 같은 의류에 압축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접히고 중첩된 형태로 배열되어 회전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도 6(a)는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상부클립(252, 256)과 같은 클립의 후면을 도시한 것으로, 클립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강리브(251)를 나타내고 있다. 각 하부클립(253, 254, 255, 257, 258 및 259)도 각 하부클립을 강화하고 각각의 하부클립이 상기 제1패널(202)및 상기 제2패널(204)상에서 거치된 의류와의 접촉을 개선하기 위해 도 6(a)의 상부클립(252, 256)의 후면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리브(251)와 유사한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는 제1의류(205)를 거치하기 위해 패널어셈블리(140)가 펼쳐진 형태의 배열에서 상기 하부클립들(253, 254, 255, 257, 258 및 259)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c), 도 5(d)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널(202)은 하나 이상의 하부클립(253, 254 및 255)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패널(204)은 하부클립(257, 258 및 25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클립들(253, 254, 255, 257, 258 및 259)는 힌지 및 스프링 장착되어 제1의류(또는 다른 의류 또는 섬유(fabric) 제품)의 측면 부분과 결합하여 제1의류를 고정시키기 위해 힌지결합되고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으며, 주름제거를 보조하기 위해 제1의류에 인장력을 가하기 위해 패널들을 서로에 대해 회전시킬 때 제1의류를 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클립들(253, 254 및 255)은 제1의류의 좌측 하단 부근의 위치에서 제1의류를 고정하도록 배치 될 수 있다. 제1의류를 상기 도어의 너비방항 및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모두 지지하기 위해,
하부클립(253)은 제1의류의 왼소매와 제1의류의 몸통부의 좌측부분이 연결되는 부위의 아래에 위치하여 제1의류를 고정할 수 있고, 다른 하부클립(254)은 상기 하부클립(253)의 아래에 위치하여 제1의류를 고정할 수 있고, 또 다른 하부클립(255)은 제1의류의 왼쪽 하단 코너에서 제1의류를 고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하부클립들(257, 258, 및 259)은 제1의류의 우측 하단 부근의 위치에서 제1의류를 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의류를 수평방항 및 수직방향으로 모두 지지하기 위해, 하부클립(257)은 제1의류의 오른소매와 제1의류의 우측부분이 연결되는 부위의 아래에 위치하여 제1의류를 고정할 수 있고, 다른 하부클립(258)은 상기 하부클립(257)의 바로 아래에 위치에서 제1의류를 고정할 수 있고, 또다른 하부클립(259)은 제1의류의 오른쪽 하단 코너에서 제1의류를 고정할 수 있다. 하부클립들(253, 254, 255, 257, 258 및 259)은 스프링과 같은 바이어싱 부재(biasing member)를 포함 할 수 있으며, 일부 하부클립(254, 258)의 전방부는 바이어싱 부재의 편향된 힘을 극복하고 각각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에서 인출 할 수 있어, 상기 하부클럽(253, 254, 255)과 상기 제1패널(202) 사이, 그리고, 상기 하부클럽(256, 257, 258)들과 상기 제2패널(202)사이에 의류의 양 측면 부분이 삽입될 수 있고, 인출된 클립을 해제시 해당 부분에 있는 의류를 고정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각각의 클립들(253, 254, 255, 257, 258 및 259)은 각 클립의 전방부(238)가 각 클립의 후방부(236)에 대해 개방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해주는 범프아웃 잠금부(237, bump-out locking fea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프아웃 잠금부(237)은 돌출된 형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량의 힘을 가하여 상기 범프아웃 잠금부(237)를 넘어가면(또는 무력화시키면), 상기 전방부(238)와 상기 후방부(236)사이에 고정된 의류의 일부분을 상기 클립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거나 닫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범프아웃 잠금부를 기준으로 상기 범프아웃잠금부를 넘어가면, 스프링의 힘이 상기 클립을 폐쇄하는(제1의류를 고정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범프아웃잠금부(237)에 의해 상기 클립의 전방부(238)을 회전하여 열려 있는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방부(238)에 힘을 주어 상기 범프아웃잠금부(237)를 넘어가게 되면, 상기 스프링과 같은 바이어싱 부재에 의해 상기 전방부가 상기 클립(253, 254, 255, 257, 258 및 259)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어셈블리(140)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력이 인가되는 형태의 배열을 위해 회전하는 경우, 각 클립(252, 253, 254, 255, 256, 257, 258 및 259)은 제1의류가 클립에서 빠지거나 잘못 정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패드(231, 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231, 233)는 고무재질이나 다른 그리핑(gripping)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a)는 제1패널(202)의 제1부분옷걸이(220)와 제2패널(204)의 제2부분옷걸이(222)에 거치된 제1의류와 같은 제1의류(205)와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형태로 펼쳐진 형태의 배열(제3배열)로 된 패널어셈블리(140)가 도어(20)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7(b)는 제1의류가 거치된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패널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태의 배열(제1배열)을 이루어 인장력이 인가되는 형태의 배열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도 7(a)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형태로 펼쳐진 형태의 배열로부터 도 7(b)의 삼각형형태의 인장력이 인가되는 형태의 배열을 위해 서로에 대해 회전을 할 때, 도 7(b)의 화살표는 상기 제1패널(202)의 근위 측면모서리에 구비된 클립(252, 254) 및 제2패널(204)의 원위 측면모서리에 구비된 클립(252, 254)에 의해 상기 제1의류(205)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패널어셈블리(140)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을 회전결합하는 제2힌지(232, 242)를 분리하여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분리된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는 상기 제1패널(202)의 원위 측면모서리(213) 및 상기 제2패널(204)의 근위 측면모서리(215)를 따라 제2힌지 232, 242)에 의해 제1패널(202)이 제2패널(20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힌지(242)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간위치에 힌지인터락(2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패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중앙개구부(145)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인장력을 가하는 동안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의 장착면을 따라 거치되고 고정된 의류 또는 기타 섬유(fabric) 제품에 가열공기, 스팀 또는 제습되고 냉각된 공기가 도달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압축력을 가하는 동안에는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와 베이스판(110)사이에 위치하는 의류에 압축력을 가하면서 상기 캐비닛(10)의 도어(20)와 베이스판(110)에 거치되는 의류에 가열공기, 스팀 또는 제습되고 냉각된 공기가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0은 각도 및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옷걸이의 절반부분, 예컨대 제1부분옷걸이(220) 또는 제2부분옷걸이(222), 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부분옷걸이(220, 222)는 각각 대응되는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의 상부(212, 214, 도 3(a) 및 3(b) 참조)에 옷걸이힌지핀(221)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분옷걸이(220, 222)는 제1의류와 옷걸이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옷걸이패드(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패드(223)는 고무재질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부분옷걸이(220, 222) 각각은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에 거치되는 옷의 서로 다른 어깨의 프로파일(profile) 및 형상을 수용하기 위해 옷걸이의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분옷걸이(220, 222)는 상기 옷걸이힌지핀(221)을 중심으로 화살표와 같이 회전할 수 있으면, 상기 옷걸이패드(223)와 더불어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부분옷걸이(220, 222) 각각은 착탈식으로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유형, 모양, 직물 또는 크기의 의류를 수용하기 위해 다른 형태, 다른 크기 또는 다른 옷걸이 팔의 각도를 갖는 옷걸이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0(d)는 도어(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패널어셈블리(140)와 베이스판(110)을 포함하는 주름제거모듈(100)을 구비한 도어(2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1의류(205)와 같은 제1의류(205)를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의 일면에 거치하고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의류(205)가 거치되는 상기 제1패널(202)의 일면이 제2패널(20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패널(204)에 대해 상기 제1패널(202)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의류(205)가 제1챔버(12) 내부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인장력이 인가되는 형태로 배열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를 캐비닛 내부로 넣고 도어를 닫는 단계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제1의류에 인장력을 인가하기 위한 시계열적 단계에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형태로 펼쳐진 형태의 배열로 될 수 있고, 부분옷걸이(220, 222)는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 각각에 구비된 함몰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의류(205)는 상기 부분옷걸이(220, 222)에 거치되어 단추를 끼울 수 있다. 여러가지 클립(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2 및 264)은 제1의류의 측면 및 소매를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은 양 패널의 사이가 대략 60도의 각도 또는 전술한 다른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의류(205)가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상에 거치되고 고정된 후, 상기 제1패널(202)이 상기 제2패널(204)에 대해 회전하는 단계는 실질적으로 도어의 너비방향으로 그리고, 교차되어 경사진 소매의 방향으로 제1의류에 인장력을 가한다. 인장력은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을 결합시키는 제2힌지(232, 242)의 반지름 크기때문이다.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제1의류(205)가 거치된 패널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제2힌지(232, 242)의 반경은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의 외측모서리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킨다. 즉, 상기 제1패널의 너비, 상기 제2패널의 너비 및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이루는 각도의 보각(supplementary angle)에 따른 제2힌지의 호의 길이의 합은 상기 제1의류의 어깨너비(혹은 소매를 제외한 나머지 너비)보다 크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여러가지 클립(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2 및 264)은 상기 제1의류에 인장력을 가하는 시계열적 단계에서 상기 제1의류를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에 고정시켜 원치 않는 주름의 생성을 방지한다.
도 11(a)와 도 11(b)는 패널어셈블리(140)가 도어(20)에 닫히고 연장래치와 같은 잠금장치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20) 및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사시도 및 확대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a)와 도 12(b)는 인장력이 인가된 형태의 배열에서 상기 패널어셈블리의 사시도 및 확대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1(a)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은 제1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데 사용되지 않을 때, 예컨대 상기 패널어셈블리(140)가 제2패널(204)와 베이스판(1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제2의류(105)를 가압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나란하게 중첩된 형태의 배열을 유지 할 수 있다. 상기 힌지인터락(270)은 연장래치의 특징(extension latch feature)을 포함 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를 이용하여 제1의류에 인장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나, 도 4(a) 및 도 4(b)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제2의류(105)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도어(20)상의 캐치어셈블리(248)와 결합되는 힌지돌출부(2701)로, 상기 힌지돌출부(2701)가 상기 캐치어셈블리(248)가 결합하여 상기 패널어셈블리(140)가 베이스 판(110)에 대해 접힌 형태의 배열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패널(204)은 상기 제1패널(202)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제1패널(202)에 대해 맞닿아 나란하게 중첩된 형태의 배열(제2배열)에서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형태로 펼쳐진 형태의 배열(제3배열)로 변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은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의 장착면을 따라 의류 또는 기타 섬유(fabric) 제품을 거치하고 고정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형태로 펼쳐진 형태의 배열(제3배열)로 중심힌지(232, 242)를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할 수 있다. 의류 또는 기타 섬유(fabric) 제품의 거치 및 고정후,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은 장착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을 하여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2패널(204)의 원위 측면모서리에 위치하는 보조인터락(246)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에 인장력이 인가되는 형태의 배열로 변형되기 위해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캐치어셈블리(248)과 결합하기 위한 연장래치와 같은 잠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에 제1의류(205)나 기타 의류 혹은 기타 섬유(fabric) 제품을 거치시킨 후 가열공기, 스팀 및/또는 제습되고 냉각된 공기에 노출시켜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챔버(12) 내부에 위치시키는 경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인터락(246)과 상기 캐치어셈블리(248)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이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태로 인장력이 인가되는 형태의 배열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패널(204)이 상기 제1패널(202)에 대해 동일한 평면형로 펼쳐진 형태의 배열에서 도 12(b)에 도시된 양 패널이 약 60도의 예각을 이루어 인장력이 인가되는 형태의 배열로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힌지인터락(270)은 상기 제1회전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힌지인터락(270)의 힌지돌출부(2701)는 상기 제1패널(202)의 장착면과 상기 제2패널(205)의 장착에 거치되는 의류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도 13(a), 13(b), 13(c) 및 13(d)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1000)의 도어(20)에 구비된 패널어셈블리(140)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확대단면도로이다. 상기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에 의류를 거치하기 전과 의류를 거치하기 위해 바깥쪽으로 회전하여 펼쳐진 형태의 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모습을 보여준다.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분옷걸이(220)와 제2부분옷걸이(222)의 크기는 이상적인 사이즈와 상기 이상적인 사이즈에 해당하는 크기를 갖는 제1의류와 같은 제1의류(205)를 위한 최적의 고정 위치에 따라 기설정될 수 있다.
각 부분옷걸이(220, 222)는 미사용시, 제1패널(202)과 제2패널(204)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부분옷걸이(220, 222)의 형상에 대응하는 함몰부(207)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되어 있듯이, 각 부분옷걸이(220, 222)는 상기 제1패널(202)와 상기 제2패널(204)상에 각각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각 패널에서 빠져나오게 되며, 제1의류를 상기 부분옷걸이(220, 222) 에 거치할 수 있다. 각각의 부분옷걸이(220, 222) 및 힌지 구조의 두께는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바람직한 총 두께 및 상기 제1챔버(12)의 내부에서 처리되는 동안 제1의류를 지지하고 제1의류에 인장력을 가하기 위한 강도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4(a)는 제1패널(202), 제2패널(204)및 상기 제1패널(202) 과 제2패널(204)의 외측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인장력을 인가하기 위해 의류를 고정하는 상부클립(252, 256)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b)는 상기 제1패널(202)과 제2패널(204)이 접히고 중첩된 형태의 배열에 있는 패널어셈블리(140)에서의 상기 상부클립(252, 256)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4(a)와 도 14(b)에서 도시하고 있듯이, 상기 제1패널(202)과 제2패널(204)은 각 상기 상부클립(252, 256)을 수용하는 함몰부(미도시)를 각각 포함하고 있어, 상기 각 함몰부에 상기 상부클립(252, 256)을 수용하고, 상기 함몰부의 형태는 상기 상부클립(252, 256)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의 외측면 혹은 제1의류가 장착되는 장착면의 높이는 상부클립(252, 256)이 구비되어도 소정의 높이 이하로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패널(202)과 제2패널(204)의 가압면은 상기 소정의 높이 이하로 되어 상기 제2의류를 누르는 면은 돌출부가 없는 평면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의류를 가압하는 상기 제2패널(204)의 가압면은 상기 상부클립에 무관하게 제1배열상태에서 제2의류를 가압할 수 있는 평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5(a) 및 15(b)는 제2패널(204)이 제1패널(202)에 대해 접히고 중첩된 형태의 배열에서, 도 1의 의류처리장치의 도어(20)에 맞닿은 패널어셈블리의 일 부분을 확대한 단면이다. 도 15(a)는 도어(20)에 구비된 베이스판에 거치된 의류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제2패널(204)의 가압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닫힌 위치로 바이어스(biased)된 클립(257, 258)을 도시하고 있거나, 또는 패널어셈블리(14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제1패널(202)의 장착면에 동일한 높이로 구비되는 닫힌 위치로 바이어스된 클립(254, 255)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b)는 클립(254, 258)이 바이어스된 일실시예를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140) 및 상기 베이스판(110)의 너비는 상기 캐비닛(10)과 상기 제1챔버(12)의 내부 폭과 관계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캐비닛(10)을 개방할 때, 양 패널이 힌지(272, 232, 24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도어(20)에 대해 연장되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형태로 펼쳐진 형태의 배열(제3배열)이 될 때,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에 상기 제1챔버(12)의 너비보다 큰 의류를 거치할 수 있다. 의류가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에 장착되고 고정된 후에, 도 3(b), 도 7(b), 도 10(c), 도 10(d) 및 도 1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양 패널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도어(20) 및 베이스판(110)과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태로 배열되어 인장력이 인가되는 형태의 배열(제1배열)로 될 수 있다. 인장력이 인가되는 형태의 배열의 경우 상기 패널어셈블리(140)가 삼각형 형태의 배열을 이루며, 각 측면은 캐비닛의 전방에 구비된 개구부의 크기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크기의 차이는 의류가 패널어셈블리(140)에 거치되어 인장력이 인가되는 형태의 배열을 유지한 채 도어(20)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와 캐비닛(10)사이의 간극 정도이다.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로 접혀 인장력이 인가되는 형태의 배열을 갖는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를 구비한 도어(20)를 닫아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에 거치된 의류를 상기 제1챔버(12) 내부에서 가열공기, 스팀 및/또는 제습되고 냉각된 공기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 사이의 내각은 대략 60도이고, 상기 제1패널(202), 상기 제2패널(204) 및 상기 베이스판(110)은 삼각형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의 형태는 캐치어셈블리(248)와 결합하는 상기 제2패널(204)의 원위 측면모서리에 구비되는 보조인터락(246)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주름제거모듈(100) 및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대체가능한 기능을 구현하는 실시예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가 도 4(a), 도 4(b)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형태의 배열로 도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고,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제2패널(204)과 베이스판(110)사이에 위치한 제2의류와 같은 의류을 가압할 수 있게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배열을 갖는 주름제거모듈(100)의 기능은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와 베이스판(110)사이에 거치되는 의류나 기타 섬유(fabric) 제품을 가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제1패널(202)와 제2패널(204) 각각은 실질적으로 제1패널(202)와 제2패널(204)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가압판(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판(144)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부 및 하부 연결판(142)에 의해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 연결판(142)의 사이에 중앙개구부(145)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a), 도 4(a) 및 도 10(a)는 제1의류(205)에 인장력을 가하기 전, 제1패널(202)의 뒤에 제2패널(204)이 중첩되게 배치된 접힌 형태의 배열(제1배얼)을 갖는 패널어셈블리(140)가 도어(20)상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4(b), 도 13(a) 및 도 13(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형태이자 매끄러운 형태로 펼쳐져 제1의류(205)에 인장력을 가할 준비가 된 펼쳐진 형태의 배열(제3배열)을 갖는 패널어셈블리(140)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 도 10(b) 및 도 13(b)는 패널어셈블리(140)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형태의 배열로 변화시키기 전,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의 장착면 위에 거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고정된 제1의류(205)를 도시하고 있다. 도 7(b), 도 10(c) 및 도 10(d)는 제1패널(202)와 제2패널(204)의 장착면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패널(202)과 제2패널(204)이 서로에 대해 회전을 하여 양 패널이 대략 60도의 내각을 갖도록 바뀐 후, 인장력이 인가되는 상태에 놓인 제1의류(205)를 도시하고 있다.
도 3(b), 도 7(a), 도 7(b), 도 10(b) 내지 도 10(d)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이 펼쳐져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이고 매끄러운 형태의 배열일 때, 제1패널(202)의 제1부분옷걸이(220), 제2패널(204)의 제2부분옷걸이(222)에 제1의류(205)를 거치함으로써 제1의류가(205)가 패널어셈블리(140)에 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의 형태이자 매끄러운 형태”라는 것은, 정상적인 제조 및 조립 공차 내에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양 패널이 거의 동일평면으로 배향되어 하나의 패널의 장착면으로부터, 다른 패널의 같은 방향에 위치한 장착면까지 양 패널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해주는 제2힌지(232, 242)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고 연결된 장착면을 형성하는 것을 뜻한다. 제1의류(205) 또는 다른 의류를 부분옷걸이(220, 222)에 거치하는 동안 상기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의 일정량의 움직임 및 양 패널이 중심힌지(232, 24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일평면의 형태이자 매끄러운 형태로 배열되는 패널에는 어느정도의 편차가 예상되며 공차가 허용될 수 있다. 또한, 제1의류가 옷걸이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의류의 단추를 끼울 수 있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나 이상의 의류처리기능을 갖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름제거모듈(100)의 패널어셈블리(140) 및 이와 관련된 베이스판(110)의 다양한 실시예와 변형이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개시된 방법 및 장치는 개시된 패널의 특정 상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오히려, 기타 의류 또는 섬유(fabric) 제품을 가압하거나 인장하는 것이 적합하다면,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개시된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 이외의 추가 패널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힌지인터락(270), 보조인터락(246) 및 캐치어셈블리(248)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구성 될 수 있다. 인터락(270, 246) 및 캐치어셈블리(248)는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양 패널이 의류에 인장력을 가하거나 압축력을 가하는 동안 상기 도어에 결합하여 전술한 다양한 형태의 배열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6는 패널어셈블리(140)와 베이스판(110) 사이에 제2의류(하의)를 가압하기 위한 보조가압판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000)의 내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챔버(기계실, 14)에는 가열공기 및 스팀을 발생하는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10),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0),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12), 상기 제1챔버(12)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12)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14), 상기 제2챔버(14)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52),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되는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히트펌프유닛(60), 상기 제2챔버(14)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유닛(58),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110), 상기 도어(20) 또는 상기 베이스판(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패널(202) 및 상기 제1패널(20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패널(204)을 포함하여,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의 배열이 변형가능한 패널어셈블리(140) 및 상기 도어(20) 또는 상기 베이스판(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와 상기 베이스판(110)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가압판(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가압판(144)은 매끄러운 표면을 가져 상기 보조가압판(144) 및 상기 베이스판(11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보조가압판(144)이 상기 베이스판(110)에 거치되고 고정된 제2의류(105)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2의류(105)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에 의해 제1의류(205)에 의해 인장력을 가하는 동시에 상기 보조가압판(144)을 활용하여, 상기 제2패널(204)에 의해 가압할 때보다 보다 안정적으로 제2의류(105)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20)가 구비된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 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이 개구된 처리챔버(제1챔버, 1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1챔버(12), 상기 제1챔버(12)의 하부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제2챔버(14) 및 상기 캐비닛(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의와 같은 제1의류나 하의와 같은 제2의류를 상기 제1챔버(12)에 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챔버(14)의 내부에 위치한 가열공기 및 스팀을 발생하는 장치에서 발생한 가열공기 및/또는 스팀을 제1챔버(12)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의류는 제1챔버(12)에 수용될 수 있으며, 제1챔버(12)의 내부로 유입된 가열공기 및/또는 스팀에 노출되는 동안 인장력이나 압축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챔버(12)에 수용된 의류는 탈취, 리프레쉬, 살균 및 의류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000)의 일례를 보면, 행거지지바(13)가 제1챔버(12)의 상부에 배치되어, 옷걸이에 걸린 의류들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2)에서 행거지지바(13)의 운동은 구동부(미도시), 예컨대 모터, 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행거지지바(13)의 운동의 종류에는 의류가 가열공기 및/또는 스팀에 노출되는 동안 의류를 흔드는 진동 운동, 상하 운동 및 좌우 운동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제2챔버(14)의 내부에서 생성된 가열공기와 스팀의 유로를 형성하고, 가열공기 및/또는 스팀을 제1챔버(12)로 보내기 위해 공기공급포트(1411)와 스팀배출포트(1412)가 제1챔버의 바닥면(11)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에서는 공기공급포트(1411)와 스팀배출포트(1412)가 제1챔버의 바닥면(11)과 제1챔버의 후면이 만나는 영역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1)과 제1챔버의 후면이 만나는 영역은 하나의 매끄러고 경사진 표면을 이루고, 상기 경사진 표면에 공기공급포트(1411)와 스팀배출포트(141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챔버(14)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챔버(14)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흡입하는 공기흡입포트(1413)가 상기 공기공급포트(1412)보다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히트펌프유닛(60)은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응축기에서 공기를 가열하고, 송풍유닛(52)을 통해 제1챔버(12)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대신, 히트펌프사이클을 역으로 사용하면, 히트펌프는 제1챔버(12)로 냉각되고 조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챔버(12)로 공급된 가열공기나 냉각공기는 행거지지바(13)에 지지된 옷걸이에 걸린 의류나 기타 섬유(fabric) 제품들을 처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모듈(70)은 제2챔버(14)의 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탱크모듈(70)은 스팀유닛(58, 도 2참조)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탱크(72)와 제1챔버(12)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집수하고 저장하기 위한 배수탱크(7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탱크모듈프레임(71)이 제1챔버의 바닥면(11)과 연통하는 인렛덕트(56, 도2참조) 앞에 설치될 수 있다. 탱크설치공간(73)은 탱크모듈프레임(71)과 도어(20)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탱크모듈프레임(71)은 외부와 제2챔버(14) 내부를 분리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급수탱크(72)와 상기 배수탱크(74)가 설치되는 탱크설치공간(72)과 제2챔버를 분리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급수탱크(72)와 상기 배수탱크(74)는 상기 탱크모듈프레임(71)에서 각각 탈부착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급수탱크(72)와 상기 배수탱크(74)가 하나로 결합되어 동시에 탈부착하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즉, 탱크모듈(70)이 동시에 탈부착될 수 있다.
도 16에는 급수탱크(72)와 배수탱크(74)의 배면이 각진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 배면 상측이 라운드진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대응하는 탱크모듈프레임(71)의 상부도 라운드 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급수탱크(72)와 배수탱크(74)와 전면 상부에 각각 손잡이부(78)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부(78)를 잡아당기는 경우, 급수탱크(72)의 전면 하부 말단 또는 배수탱크(74)의 전면 하부 말단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탈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탱크서포트바(75)와 결합되거나 지지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을 하여 급수탱크(72)나 배수탱크(74)를 설치 혹은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72)나 배수탱크(74)를 설치 혹은 분리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급수탱크(72)의 배면상측 또는 배수탱크의 배면상측(7201, 7401)은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어(20)는 상기 도어(20)를 닫는 경우, 상기 도어(20)의 후면 또는 상기 도어(20)에서 상기 제1챔버(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한 도어패널(22), 도어(20)와 도어패널(22)을 캐비닛(10)에 힌지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힌지유닛(24), 상기 도어패널(22)에 구비되어 캐비닛(10)의 가장자리와 밀착(tight contact)하여 상기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사이에 실링을 형성하기 위한 도어개스킷(26), 및 상기 도어(20)의 폐쇄시 상기 제1챔버(12)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11)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도어 패널(22)에 구비되는 도어라이너(82, 8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어(20)는 제1챔버(12)와 탱크설치공간(73)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도어가 캐비닛(10)에 설치되어, 별개의 각 도어가 제1챔버(12)와 탱크설치공간(73)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라이너(82, 84)는 도어(20)를 닫는 경우 제1챔버(12)를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부 라이너파트(82)와 하부 라이너파트(8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라이너는 상기 도어라이너의 표면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격벽판(11)의 일부분에 형성된 배수그릴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어가스켓(26)은 도어패널(22)을 둘러쌀수 있도록 도어패널(26)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20)와 캐비닛(10)사이의 실링은 도어가스켓(2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가스켓(26)은 또한, 개별적으로 제1챔버(12)와 탱크설치공간(73)을 실링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어(20)의 후면이랑 상기 도어(20)를 폐쇄시 상기 제1챔버(12)를 향하는 도어의 내면을 말한다.
사용자가 도어(20)를 폐쇄시에는 급수탱크(72)의 전면과 배수탱크(74)의 전면이 도어패널(22)을 마주보게 되고,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시에는 급수탱크(72)의 전면과 배수탱크(74)의 전면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급수탱크(72)및 배수탱크(74)가 각각의 전면에 윈도우를 포함하고 있어, 급수탱크(72) 및 배수탱크(74)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6과 도 2를 참조하면, 송풍유닛(52)은 송풍팬(54) 및 인렛덕트(56)를 포함할 수 있다. 인렛덕트(56)는 송풍팬(54)의 전방에 구비되고, 인렛덕트(56)의 전방에는 탱크모듈프레임(71)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탱크모듈프레임(71)은 탱크설치공간(73)과 제2챔버(14)를 분리시킬 수 있다. 탱크모듈프레임(71)에 안착되는 급수탱크(72)와 배수탱크(74)는 캐비닛(10)의 양측면중 일측면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급수탱크(72)는 탱크모듈프레임(71)에서 캐비닛(10)의 우측면이 캐비닛의 좌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배수탱크(74)는 이와 반대로 캐비닛(10)의 좌측면이 캐비닛(10)의 우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스팀유닛(58)도 급수탱크(72)의 위치관계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챔버(14)의 내부에서 캐비닛(10)의 우측면이 캐비닛(10)의 좌측면보다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급수탱크(72)의 후방에 스팀유닛(58)을 배치하여, 급수탱크(72)에서 스팀유닛(58)으로 물이 이동하는 연결유로를 단순화시키기 위함이다.
만약 급수탱크(72)가 캐비닛(10)의 우측면보다 캐비닛(10)의 좌측면에 가깝게 위치한다면, 이에 대응하여 스팀유닛의 위치도 캐비닛(10)의 우측면보다 캐비닛(10)의 좌측면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인렛덕트(56)는 제1챔버의 바닥면(11)과 연통하여 제1챔버(12)의 공기를 흡입하는 인렛덕트 입구(561)를 포함하고, 상기 인렛덕트 입구(561)부분은 경사진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제1챔버(12) 및 도어(20)에 생긴 응축수가 제1챔버의 바닥면(11)가 연통되는 인렛덕트 입구(561)를 지나 경사진 유로를 타고 인렛덕트 내측 하부에 구비된느 섬프(미도시)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송풍팬(54)의 전방에는 인렛덕트(56)가 위치하고, 송풍팬(54)의 후방에는 스팀유닛(58) 및 히트펌프유닛(60) 이 배치될 수 있다. 히트펌프유닛(60)은 서포터(6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65)는 상기 제2챔버의 바닥을 형성하는 지지베이스(15)위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터(65)는 상기 지지베이스와 상기 히트펌프유닛(60)사이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형성하고, 상기 서포터(65)의 내부공간에 스팀유닛(58)의 설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유닛(60)은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2열교환기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하우징(61), 상기 하우징에서 제습되고 가열되는 공기를 상기 제1챔버(12)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1챔버(12)에 구비되는 공기공급포트와 연통하는 공기배출구(6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65)의 외측에는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압축기(미도시) 및 팽창밸브(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닫힌 경우, 의류 혹은 기타 섬유(fabric) 제품을 가열공기, 스팀 및/또는 제습 냉각된 공기에 노출시키면서, 패널어셈블리(140)는 전술한 배열 중 하나의 배열에서는 의류 혹은 기타 섬유(fabric) 제품을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또는, 다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배열에서는 의류 혹은 기타 섬유(fabric) 제품에 인장력 혹은 스트레칭을 가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일례를 참고하면, 상기 주름제거모듈(100)은 도어(20)의 후면, 즉, 도어내면 이나 도어패널(22)에 설치되므로 도어가 닫히는 경우, 상기 주름제거모듈(100)은 상기 제1챔버(12) 내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주름제거모듈(100)은 도어(20)의 후면 또는 도어라이너(82, 84)를 따라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의류를 지지하는 베이스판(110) 및 상기 베이스판(110), 상기 도어(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도어(20) 또는 상기 베이스판(110)에 하나 이상의 힌지로 연결되는 패널어셈블리(140),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110)과 상기 패널어셈블리(140)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가압판(14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의류(205)에 인장력을 가하는 삼각형 형태의 제1배열로 된 제1패널(202)과 제2패널(204)이 상기 보조가압판(144) 및/또는 상기 베이스판(110)과 결합하여, 상기 보조가압판(144)과 상기 베이스판(110)사이에 위치한 제2의류(105)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는 제1배열에서, 상기 도어와 결합시 보조가압판(144)을 가압하게 되므로 제2의류(105)도 동시에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이 접히고 중첩된 형태인 제2배열에서도 마찬가지로 제2의류(105)만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140) 제1패널(202) 및 상기 보조가압판(144)은 제1힌지(272)에 의해 상기 도어(20) 또는 상기 베이스판(110)의 측면에 회전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패널(204)은 상기 제2힌지(232, 242)에 의해 상기 제1패널에 회전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202)은 상기 제2의류(105)에 스팀을 침투시키기 위해 상기 제1패널(202)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개구부(1451)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패널(204)은 상기 제2의류(105)에 스팀을 침투시키기 위해 상기 제2패널(204)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개구부(14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가압판(144)은 상기 제2의류에 스침을 침투시키기 위해 상기 보조가압판(144)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보조개구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가 제1배열 즉, 삼각형 형태의 배열을 이룰 때, 상기 패널어셈블리(140)가 상기 도어(20)와 결합하더라도 상기 제1개구부(1451), 상기 제2개구부(1452), 및 상기 보조개구부(165)에 의해 상기 보조가압판(144)과 상기 베이스판(110)사이에서 가압되는 제2의류(105)에 스팀이 침투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140)가 제2배열 즉, 접히고 중첩된 형태의 배열을 이룰 때, 상기 패널어셈블리(140)가 상기 도어(20)와 결합시, 상기 제1개구부(1451) 및 상기 제2개구부(1452)는 중앙개구부(145)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개구부(165)는 상기 중앙개구부(145)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중앙개구부(145) 및 상기 보조개구부(165)를 통해 제2의류(105)에 스팀이 침투할 수 있다.
도 17(a)와 도 17(b)는 보조가압판(144)이 있는 경우, 각각 제2배열과 제1배열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어(20)에는 제2의류를 지지하는 베이스판(110)이 결합되어 있다.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베이스판(110)의 일부는 상기 도어(20)와 이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챔버(14)에서 상기 제1챔버(12)로 유입된 증기로 인해 도어(20)의 후면상에 형성된 응축수가 상기 도어라이너(82, 84)를 따라 상기 베이스판(110)과 상기 도어(20)사이의 형성된 간극을 통해 하부 라이너파트(84)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라이너(82, 84)와 이격되어 상기 도어라이너(82, 84)의 수분이 의류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의류를 항상 가압하기 함이다.
상기 베이스판(110)은 탄성특성을 갖는 판 형태 또는 분절된 판(segmented plate)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10)은 도어(20)에 고정된 고정베이스부(112), 및 고정베이스부(112)로부터 연장되고 고정베이스부(112)보다 도어(20)로부터 더 이격되는 탄성베이스부(115, 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베이스부(112)는 도어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고정베이스부(112)를 상기 도어(20)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110)은 상기 고정베이스부(112)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고정베이스부(112)를 결합시키는 체결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서 후술할 가압단계에서 의류 또는 기타 섬유(fabric) 제품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베이스부(115, 116)는 탄성력을 갖는 플렉서블(flexible)하고 변형가능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베이스부(115, 116)는 상기 고정베이스부(112)로부터 상기 힌지유닛(24)이 위치한 방향(예컨대 상기 고정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탄성베이스부(115) 및 상기 고정베이스부(112)로부터 상기 제1탄성베이스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예컨대 상기 고정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탄성베이스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베이스부(115, 116)는 의류가 가압되는 동안, 상기 탄성베이스부(115, 116)가 의류와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의류를 지지한다. 상기 탄성베이스부(115, 116)는 상기 고정베이스부(112)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탄성베이스부(115) 및 상기 고정베이스부(112)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탄성베이스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베이스부(115) 및 상기 제2탄성베이스부(116)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탄성베이스부(115) 및 상기 제2탄성베이스부(116)는 상기 도어(20)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탄성베이스부(115) 및 상기 제2탄성베이스부(116)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된다면, 상기 제1탄성베이스부(115) 및 상기 제2탄성베이스부(116)는 원래의 상태 또는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상기 보조가압판(144)은 상기 제2의류의 솔기가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20)의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보조홈(16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제2의류(105)가 가압되더라도 제2의류의 재봉선을 누르지 않은 채 제2의류를 가압할 수 있다.
도 17(a)에서 보듯이 제2패널(204)의 양측면모서리 중 제2힌지(232, 242)와 연결되지 않는 일 측면모서리에는 보조인터락(24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가압판(144)은 상기 제2패널과 결합되는 측면, 즉 상기 제1힌지(272)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측면부분에 상기 보조가압판(144)을 관통하는 보조홀(16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b)와 같이 제1배열에서 상기 보조인터락(246)이 상기 보조홀(169)에 삽입된 후,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캐치어셈블리(248)에 결합하여 제2배열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의류가 위치하는 B영역과 C영역에 인장력을 제2의류가 위치하는 A영역에 압축력을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A영역은 상기 보조가압판(144) 과 상기 베이스판(110) 사이에 있는 영역을 뜻하고, 상기 B영역과 상기 C영역은 상기 제2패널(204) 및 상기 제1패널(202)의 길이 그리고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이 예각(Θ)을 이룰 때, 상기 예각(Θ) 및 상기 중앙힌지의 반지름에 따른 호의 길이를 합한 영역이 된다. 상기 B영역과 상기 C영역의 길이의 합은 제1의류(205)의 몸통부의 너비보다 크므로 상기 제1의류(205)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도 17에서는 보조가압판(144)에 보조홀(169)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조인터락(246)이 상기 보조홀(169)에 삽입된 후, 상기 캐치어셈블리(248)에 결합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도16에서처럼 상기 보조가압판(144)에 고정부(159)를 구비하여, 상기 보조가압판(144)은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도어(20) 또는 상기 베이스판(110)에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조인터락(246)은 상기 보조가압판(144)과 무관하게 상기 도어(20)에 구비되는 캐치어셈블리(248)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8은 복수 개의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어셈블리(140)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각 패널의 배열형태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기 위해 각 패널의 회전결합을 위한 힌지는 간략히 나타내었고, 인터락 및 캐치어셈블리는 생략하였다.
도 18(a)를 참조하면,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는 상기 제2패널(204)에 회전결합하는 제3패널(20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패널(204)과 상기 보조가압판(144)은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제1패널(202), 상기 제2패널(204), 상기 제3패널(206) 및 상기 보조가압판(144)이 사다리꼴 형태의 제1배열로 배열되어 상기 제1의류(205)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 또는 상기 베이스판(110)의 측면에 회전결합하는 제1패널(202), 상기 제1패널(202)에 회전결합하는 제2패널(204) 및 상기 제2패널(204)에 회전결합하는 제3패널(206)이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제1의류(205)의 소매를 제외한 몸통부의 너비보다 더 길게되므로 상기 제1의류(205)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가압판(144)을 포함하므로, 상기 패널들(202, 204, 206)의 배열에 무관하게 제2의류(105)에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제1의류(205)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는 분리하여, 외부에 저장하거나 상기 제1챔버(12)의 내부에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는 제1패널을 제외한 나머지 패널, 즉, 상기 제2패널 및 상기 제3패널(206)만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를 분리하지 않는 대신, 상기 제1패널, 상기 제2패널, 상기 제3패널(206)을 접히고 중첩된 형태의 제2배열로 변형하여 공간을 덜 차지하게 할 수 있다.
도 18(b)를 참조하면,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는 상기 제2패널(204)에 회전결합하는 제3패널(206), 상기 제3패널(206)에 회전결합하는 제4패널(20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패널(204)과 상기 보조가압판(144)은 나란히 배열되어, 상기 제1패널(202), 상기 제2패널(204), 상기 제3패널(206) 및 상기 제4패널(208)이 알파벳 W형태의 배열인 제1배열을 이루어, 상기 제1의류(205)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 또는 상기 베이스판(110)의 측면에 회전결합하는 제1패널(202), 상기 제1패널(202)에 회전결합하는 제2패널(204), 상기 제2패널(204)에 회전결합하는 제3패널(206), 상기 제3패널(206)에 회전결합하는 제4패널(208)이 알파벳 W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제2패널(204)과 상기 제3패널(206)은 측면 일부만 제1의류에 접촉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제1의류는 상기 제1패널(202), 상기 제4패널(208), 상기 제2패널(204)고 상기 제3패널의 측면일부,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을 연결하는 힌지, 상기 제3패널(206)과 상기 제4패널(208)을 연결하는 힌지에 접촉하게 될 것이다. 어차피 상기 제1의류에 인장력을 인가할 수 있으면 되므로 상기 제2패널(204)및 상기 제3패널(206)이 의류와 접촉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제1패널(202), 상기 제2패널(204), 상기 제3패널(206) 및 상기 제4패널(208)이 알파벳 W형태를 갖게 되면, 상기 W형태에서 상기 보조가압판에서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을 연결하는 힌지 또는 상기 제3패널(206)과 상기 제4패널(208)을 연결하는 힌지까지의 거리인 B와,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을 연결하는 힌지 와 상기 제3패널(206)과 상기 제4패널(208)을 연결하는 힌지사이의 거리인 A를 조절할 수 있다. 즉, B가 늘어나면, A가 줄어들고, B가 줄어들면 A가 늘어나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제1의류(205)의 몸통부의 너비에 맞게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W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제1의류(205)의 몸통부가 W형태로도 조절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 18(c)와 같이 상기 제1패널(202), 상기 제2패널(204), 상기 제3패널(206) 및 상기 제4패널(208) 및 상기 베이스판(110)이 오각형 형태의 제2배열; 로 선택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에 거치되는 제1의류에 인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몸통부의 너비가 매우 큰 제1의류의 경우도 상기 오각형 형태의 제2배열을 이용하면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의류(205)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는 분리하여, 외부에 저장하거나 상기 제1챔버(12)의 내부에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패널(202)을 제외한 나머지 패널, 즉, 상기 제2패널, 상기 제3패널(206) 및 상기 제4패널(208)만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를 분리하지 않는 대신, 상기 제1패널, 상기 제2패널, 상기 제3패널(206) 및 상기 제4패널(208)을 접히고 중첩된 형태의 제2배열로 변형하여 공간을 덜 차지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패널, 및 상기 제1패널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의 양 측면모서리가 각각 인접하는 패널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어셈블리(140)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1패널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의 배열이 각 패널의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변형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개별적 상태에서 동시에 또는 이시에 한 벌 이상의 의류에서 주름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구현되고 다양하게 설명된 바와 같은 의류처리장치(1000)는 제1챔버(12)를 정의하는 캐비닛(10), 및 제1챔버(12) 내부로 스팀을 방출하는 캐비닛 내부에 포함된 스팀유닛(5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는 제1챔버(12)를 개폐하는 도어(20) 및 상기 도어(20)의 후면에 위치한 주름제거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름제거모듈(100)은 패널어셈블리(140) 및 베이스판(110)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제2배열에서 제2의류(105)에 압축력을 가하고 주름제거모듈(100)의 제1배열에서 제1의류(205)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제거모듈(100)은 양 벌의 의류를 캐비닛의 제1챔버(12)의 내부에서 가열공기 및/또는 스팀에 노출시키면서 양벌의 의류중 제2의류(105)에 압축력을 가하면서 동시에 제1의류(205)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구현되고 광범위하게 설명된 바와 같은 의류처리장치(1000)는 제1챔버(12)를 형성하는 캐비닛(10) 및 제1챔버(12)의 내부로 스팀을 방출하는 캐비닛(10) 내부에 포함된 스팀유닛(58)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000)의 주름제거모듈(100)은 복수 개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패널 중 제1패널은 상기 도어(2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복수 개의 패널 중 제2패널(204)은 제1패널(20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름제거모듈(100)은 의류처리장치(1000)의 도어에 근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패널(202), 및 상기 제1패널(202)의 원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되는 제2패널(204)을 갖는 패널어셈블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제1패널(202)은 캐비닛(10)의 도어(20)상에 고정된 베이스판(110)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는 패널일 수도 있고,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제2패널(204)은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이 접히고 중첩된 형태로 배열되어 회전시 상기 제1패널(202)과 베이스판(110) 사이에 위치하는 제2패널(204)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은 크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는데 이는 양 패널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가압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연장부 또는 텔레스코핑 부재가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텔레스코핑 부재 또는 슬라이딩 가능한 연장부는 상이한 크기의 의류를 수용하기 위해 패널어셈블리의 전체 길이 및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제1의류(205)는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 각각의 일측면 또는 장착면을 따라 지지될 수 있다. 각각의 패널은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로부터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의류(205)에 인장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제1의류(205)의 일부를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클립은 후방부(236)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후방부(236)를 향해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장착된 전방부(2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클립은 의류를 패널에 거치하는 동안 상기 전방부(238)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범프아웃 잠금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량의 힘을 가하여 돌출된 범프를 넘어갈 때, 범프아웃 잠금부(237)를 갖는 클립의 전방부는 해제되어 의류 일부를 고정하기 위해 후방부를 향해 회전하여 클립을 잠글 수 있다. 의류를 거치하기위해 고무와 같은 재료로 제조된 미끄럼방지패드는 클립의 전방부(238) 및 후방부(236)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내면에 장착 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000)는 도어(20)가 닫힌 경우 의류처리장치(1000)의 제1챔버(12)를 향하는 도어(20)의 내면상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베이스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는 도어(20)의 내면상에, 또는 일 실시예는 베이스판(110)의 모서리 부분에 직접 회전가능하게 지지 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는 상기 베이스판(110)과 접촉하도록 회전하여 패널어셈블리(140)와 베이스판(110) 사이에 위치한 제2의류(105)에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베이스판(110)은 도어(20)상의 고정된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고, 패널어셈블리(140)는 도어(20)상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패널(202) 및 상기 제1패널(202)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패널(2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패널(202)은 하나 이상의 힌지에 의해 상기 제1패널(202)의 근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도어(20)에 지지될 수 있고, 제2패널은 상기 제1패널(202)의 원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하나 이상의 제2힌지(232, 2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패널어셈블리(140)는 캐비닛(10)의 도어(20)로부터 분리가능하여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를 캐비닛(10)의 제1챔버(12) 내부에 구비되는 행거지지바에 걸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패널(204)만이 상기 제1패널(20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의류(205)는 제1패널 및 제2패널의 일면 또는 장착면을 따라 양 패널에 구비되는 각 부분옷걸이(220, 222)에 지지될 수 있다.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이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상기 제1의류(205)에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의류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의류(205)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1의류(205)는 캐비닛(10)의 폭보다 넓어 의류처리장치(1000)의 제1챔버(12)에 맞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0)의 캐비닛(10)은 한 쌍의 제2의류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넓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옷걸이에 매달려있을 때 제1의류의 단추를 채운 채 펼쳐서 배열 할 수 있을 만큼 넓지는 않을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도어(20)가 열린 경우,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거의 동일한 평면형태인 제3배열로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의 일면 또는 장착면을 따라 상기 제1의류(205)를 거치 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202)은 상기 제1패널(202)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길이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1부분옷걸이(2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패널(204)은 상기 제2패널(204) 상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길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2부분옷걸이(222)를 포함 할 수 있다. 제1의류와 같은 제1의류(205)는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의 일면 또는 장착면을 따라 제1부분옷걸이(220) 및 제2부분옷걸이(222)에 거치 될 수 있다. 제1의류의 경우, 상기 제1의류를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의 각기 제1부분옷걸이(220) 및 제2부분옷걸이(222)의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해 제1의류의 대칭중심축을 따라 배치되는 단추를 채울 수 있다.
제1패널(202)의 근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구비되는 클립은 제1의류의 측면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클립은 제1의류의 왼소매와 제1의류의 몸통부의 왼쪽 측면의 연결부위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추가 측면클립은 왼소매 아래에서 제1의류의 하부 좌측을 따라 고정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제2패널의 원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구비되는 클립은 제1의류의 반대쪽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클립은 제1의류의 오른소매와 제1의류의 몸통부의 오른쪽 측면의 연결부위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추가 측면 클립은 오른소매 아래에서 제1의류의 하부우측을 따라 고정시킬 수 있다.
일단 제1의류가 조절가능한 제1부분옷걸이(220) 및 제2부분옷걸이(222) 의해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의 일면 또는 장착면에 완전히 거치되고, 패널의 양 측면을 따라 클립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되면,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은 한쪽 또는 장착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제2힌지(232, 24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서로에 대해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 사이에 소정의 내각을 갖는 인장력이 인가되는 형태의 배열로 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이 회전하여 양 패널(202, 204)에 의해 형성되는 내각을 이루는 제2배열인 인장력이 인가되는 형태의 배열이 되면, 상기 도어(20)를 닫아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의 일면 또는 장착면을 따라 거치된 제1의류(205)를 제1챔버(12)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을 회전결합시키는 제2힌지(232, 242)의 반지름도 고려하는 회전단계에서, 상기 제1패널(202)의 근위 측면모서리부터 상기 제2패널의 원위 측면모서리까지의 거리가 점점 증가하게 되면, 양 패널에 제1의류를 거치하고 고정한 후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을 회전하는 단계는 결국 인장력을 제1의류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제1패널(202)은 하나 이상의 제1힌지(272)에 의해 상기 제1패널의 근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도어(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은 상기 제1패널(202)의 원위 측면모서리 및 상기 제2패널(204)의 근위 측면모서리를 따라 하나 이상의 제2힌지(232, 242)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패널(204)은 하나 이상의 제2힌지(232, 242)가 위치하는 일 측면모서리에 반대되는 타 측면모서리인 제2패널(204)의 원위 측면모서리에 보조인터락(246)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내각을 갖는 제1배열 즉, 인장력을 인가하는 형태의 배열을 갖는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을 유지하기 위해 보조인터락(246)은 도어에 구비되는 캐치어셈블리(248)와 결합하는 보조돌출부(246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2힌지(232, 242)의 중간부분은 사용되지 않거나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와 베이스판(110) 사이에 위치하는 제2의류(105)에 압축력을 가하는 동안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를 베이스판(110)과 접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캐치어셈블리(248)와 결합하는 힌지인터락(2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상의 클립은 상기 제1의류(205)의 일부를 고정하기 위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바이어스(biased)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 장착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클립은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의 일측을 따라 장착면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을 수 있다. 이렇게 위치하게 되면, 상기 베이스판(110)에 거치된 의류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패널어셈블리(140)가 상기 베이스판(110)과 접촉 할 때, 클립이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상기 제2패널(204)의 매끄러운 장착면을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클립은 도어의 너비방향에 경사지게 구비된 상부모서리(2521, 2561)를 각각 포함하는 고정된 상부클립(252, 256)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된 상부클립(252, 256)은 제1의류의 소매 부분과 제1의류의 몸통부의 각 측면의 연결부위에서 제1의류의 일부분과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프링 장착 클립은 제1의류의 소매 부분 아래에서 제1의류의 측면모서리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의류에서 주름을 제거하는 방법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는 제1챔버(12)를 형성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 내에 수용되어 스팀을 제1챔버(12)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스팀유닛(58), 상기 제1챔버(12)를 개폐하는 도어(20), 상기 도어(20)의 후면에 고정된 베이스판(110), 및 상기 도어(20)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악된 주름제거모듈(100)을 포함한다. 주름을 제거하는 방법은 주름제거모듈(100)의 제1배열에서 제1의류(205)에 인장력을 가하는 단계 및 주름제거모듈(100)의 제2배열에서 제2의류에 압축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주름제거모듈(100)은 상기 도어(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패널(202) 및 상기 제1패널(202)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패널(204)을 포함하는 패널어셈블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 각각은 상기 제1의류(205)의 각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주름을 제거하는 방법은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의 일 측면을 따라 제1의류(205)를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의류(205)는 의류의 어깨 부분과 결합하도록 조절가능한 좌측 및 제2부분옷걸이에 거치시켜 상기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의 일측을 따라 상기 도어의 높이방향으로 지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의류(205)는 상기 제1패널(202)의 근위 측면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1의류(205)의 일측면을 고정하는 제1클립과 제2패널(204)의 원위 측면모서리에 구비되어 제1의류의 반대측을 고정하는 제2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의 너비 방향으로 지지 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의 일 측면을 따라 제1의류(205)를 거치하고 고정시킨 후,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을 서로에 대해 일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을 함으로써, 상기 제1의류(205)에 실질적으로 상기 도어의 너비 방향으로 인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의류(205)가 소매를 갖는 제1의류인 경우, 상기 제1의류의 소매는 제1의류의 왼소매를 제1의류의 오른쪽으로 교차시키고 제1의류의 오른 소매를 제1의류의 왼쪽으로 교차하여 인장력을 인가 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소매의 경사방향으로 인장력을 인가할 수 있는 인장클립을 이용하여 왼소매와 오른소매의 끝단을 각각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면, 각각의 소매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인장클립은 케이블연장부를 통해 클립에 부착된 기저부에 내장된 내부 코일 스프링을 갖는 케이블 되감기가 가능한 인장클립으로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면 의류처리장치(1000)의 도어(20), 패널어셈블리(140) 또는 의류처리장치(1000)의 캐비닛(10) 내부의 다른 위치에 기저부를 고정함으로써 의류의 일부분을 클립으로 고정한 후 인가하는 인장력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제1의류(205)의 폭이 의류처리장치(1000)의 캐비닛(10)의 폭보다 넓은 경우, 제1의류에서 주름을 제거하는 방법은 상기 캐비닛(10)의 도어(20)를 개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형태로 펼쳐질 때까지 상기 제2패널(204)을 상기 제1패널(202)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을 펼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동일하게 펼쳐진 평면상태로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을 배열시킨 후, 사용자는 상기 제1의류(205)를 도어가 열려 있는 동안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의 일측을 따라 구비된 각 부분옷걸이(220, 222)에 거치시킬 수 있다.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패널을 사용하는 것은 단일패널의 폭보다 2배의 폭을 갖는 의류를 거치하는 것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및 제2부분옷걸이(222)에 제1의류(205)를 지지하고, 제1의류(205)의 대칭중심축을 따라 배열된 단추를 채운 후, 제1의류(205)의 측면 부분을 따라 배열된 클립으로 제1의류(205)의 측면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의류(205)가 패널어셈블리(140)에 거치되고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은 일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는 주름제거모듈(100)의 제1배열로 변형될 수 있고, 따라서, 도어를 닫는 경우 상기 제1패널(202) 및 제2패널(204)의 일 측면을 따라 거치된 제1의류(205)를 제1챔버(12)안에 넣을 수 있다.
두 벌의 의류에서 동시에 주름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의류(205)는 패널어셈블리(140)의 패널에 거치되고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1패널(202)과 상기 제2패널(204)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중첩될 때까지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의류(205)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제2패널(204)을 베이스판(110)과 맞닿게하여 상기 제2패널(204)과 베이스판(110) 사이에서 상기 제2의류(105)의 일부분을 가압시키기 위해 패널어셈블리(140)가 도어(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상기 제1패널(202) 및 상기 제2패널(204)이 패널어셈블리(140)에 거치된 의류없이 접히고 중첩된 형태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힌지인터락(270)은 도어상의 캐치어셈블리(248)와 결합하여 제2패널(204)과 베이스판(110) 사이에 위치한 제2의류(105)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패널어셈블리(140)가 상기 베이스판(110)을 누르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접힌 형태의 배열과 상기 제1의류(205)에 인장력이 인가되는 형태의 배열을 갖는 상기 패널어셈블리(140)는 상기 베이스판(110)과 상기 패널어셈블리(140)의 제2패널(204) 사이에 위치한 제2의류(105)에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이후 도어를 닫게 되면, 제1의류(205)와 제2의류(105)를 제1챔버(12) 내부에 수용되고, 주름제거를 위해 가열공기 및/또는 스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청구범위의 구성요소는 상기 청구범위에 사용된 언어에 기초하여 넓게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나 본 출원의 심사과정에서 기재된 실시예들로 한정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비배타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와 그 전체 균등범위에서 지지되는 진정한 범위와 기술적 사상의 관점에서 본 명세서와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1000: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100: 주름제거모듈
105: 제2의류(바지) 11: 격벽판 110: 베이스판
112: 고정베이스부 113: 체결부 115: 제1탄성베이스부
116: 제2탄성베이스부 12: 제1챔버 120: 의류걸이
13: 행거지지바 14: 제2챔버 140: 패널 어셈블리
144: 가압판 145: 중앙개구부 1451: 제1개구부
1452: 제2개구부 160: 보조가압판 165: 보조개구부
167: 보조홈 169: 보조홀 20: 도어
202: 제1패널 204: 제2패널 205: 제1의류(셔츠)
206: 제3패널 208: 제4패널 220: 제1부분옷걸이
222: 제2부분옷걸이 223: 옷걸이패드 231, 233: 미끄럼방지패드
232, 242: 제2힌지 237: 범프아웃 잠금부
246: 보조인터락 2461: 보조돌출부 248: 캐치어셈블리
252, 256: 상부 클립 253, 254, 255, 257, 258, 259: 하부 클립
262, 264: 인장클립 270: 힌지인터락 2701: 힌지돌출부
272: 제1힌지 52: 송풍유닛 54: 송풍팬
56: 인렛덕트 58: 스팀유닛 60: 히트펌프유닛
611: 공기배출구 65: 서포터 70: 탱크모듈
71: 탱크모듈프레임 72: 급수탱크 73: 탱크설치공간
74: 배수탱크 75: 탱크서프트바 76: 윈도우
78: 손잡이부 79: 탱크지지부

Claims (28)

  1.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면 중 상기 제1챔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도어내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되는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히트펌프유닛;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유닛;
    상기 도어내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패널 및 상기 제1패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의 배열을 변형가능한 패널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 사이가 예각을 이루는 삼각형 형태의 제1배열이나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이 접히고 중첩된 형태의 제2배열로 선택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제1배열에서 상기 패널어셈블리에 거치되는 제1의류에 인장력을 가하거나, 상기 제2배열에서 상기 베이스판을 향해 회전하여 상기 패널어셈블리와 상기 베이스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2의류에 압축력을 가해 주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제1배열에서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 사이에 예각을 이루면서 상기 베이스판을 향해 회전하여 상기 도어내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제2배열에서 상기 제2패널이 상기 제1패널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제1패널과 상기 베이스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의류는 상기 제2패널과 상기 베이스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제1패널을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힌지; 및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을 회전결합시키는 제2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어셈블리를 상기 도어에 결합시키는 캐치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힌지는
    상기 제2배열에서 상기 패널어셈블리를 상기 캐치어셈블리에 결합시키는 힌지인터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제2패널의 양 측면 모서리 중 상기 제2힌지에서 더 멀리 위치한 측면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열에서 상기 제2패널을 상기 캐치어셈블리에 결합시키는 보조인터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인터락은
    상기 캐치어셈블리에 삽입되는 힌지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어셈블리가 상기 제2배열에서 상기 제1배열로 변형을 위해 상기 제2패널이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힌지돌출부는 상기 제1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힌지돌출부가 상기 제1의류가 거치되는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평면으로 펼쳐진 형태의 배열인 제3배열로 더 변형가능하고,
    상기 제1배열로 변형되기에 앞서서 상기 제3배열에서 상기 제1의류를 상기 패널어셈블리에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제3배열에서 상기 제1의류를 거치한 후, 상기 베이스판에 지지된 상기 제2의류를 향해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판을 가압하여, 상기 제1의류와 상기 제2의류에서 동시에 주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의류를 거치하는 옷걸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은
    상기 제1패널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옷걸이의 일부분인 제1부분옷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제2패널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옷걸이의 나머지부분인 제2부분옷걸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옷걸이와 상기 제2부분옷걸이는 각각
    상기 패널어셈블리에 거치되는 상기 의류의 크기에 따라 조절가능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어셈블리에 거치되는 의류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도어의 너비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된 상부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 및 상기 제2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클립은
    상기 패널어셈블리에 거치되는 의류의 일부분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의 양 측면모서리 중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이 회전결합하는 일 측면모서리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각 패널의 타 측면모서리에 위치하고,
    상기 패널어셈블리에 거치되는 의류의 일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클립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클립은
    상기 하부클립을 열린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돌출된 형태의 범프아웃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클립은
    상기 하부클립이 의류를 고정시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바이어싱(Biasing)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클립은
    상기 의류와 접촉하는 면에 상기 의류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류나 상기 제2의류의 말단부분에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패널어셈블리와 상기 베이스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가압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보조가압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의류의 주름을 동시에 제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압판은 상기 제2의류의 솔기가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보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개구부;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이 접히고 중첩된 형태에서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패널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개구부;
    상기 보조가압판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보조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이 접히고 중첨된 형태에서 상기 제1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패널어셈블리의 중앙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개구부도 상기 중앙개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제2패널에 회전결합하는 제3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패널과 상기 보조가압판은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제1패널, 상기 제2패널, 상기 제3패널 및 상기 보조가압판이 사다리꼴 형태의 제1배열로 배열되어 상기 제1의류에 인장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제2패널에 회전결합하는 제3패널; 및
    상기 제3패널에 회전결합하는 제4패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패널, 상기 제2패널, 상기 제3패널 및 상기 제4패널이 W형태의 배열인 제1배열 이나, 상기 제1패널, 상기 제2패널, 상기 제3패널 및 상기 제4패널 및 상기 베이스판이 오각형 형태의 제2배열 로 선택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패널어셈블리에 거치되는 의류의 너비에 따라 배열을 달리하여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베이스판에서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의 길이의 합은 상기 제1챔버 내부의 너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8.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면 중 상기 제1챔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도어내면;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되는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히트펌프유닛;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유닛;
    상기 도어내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패널어셈블리와 상기 패널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가압판; 및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패널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패널은 각 패널의 일 측면모서리가 이웃하는 패널의 일 측면모서리와 맞닿도록 배열되어, 이웃하는 패널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어셈블리는
    상기 복수 개의 패널의 배열은 각 패널의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42904A 2019-07-30 2020-04-08 의류처리장치 KR20210014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06020A JP2022543218A (ja) 2019-07-30 2020-07-03 衣類処理装置
PCT/KR2020/008754 WO2021020752A1 (en) 2019-07-30 2020-07-03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U2020210192A AU2020210192B2 (en) 2019-07-30 2020-07-28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N202010738032.7A CN112301689B (zh) 2019-07-30 2020-07-28 衣物处理设备
EP20188350.1A EP3771768B1 (en) 2019-07-30 2020-07-29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24151300.1A EP4332295A3 (en) 2019-07-30 2020-07-29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U2022202728A AU2022202728B2 (en) 2019-07-30 2022-04-26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26,660 US11821137B2 (en) 2019-07-30 2019-07-30 Wrinkle removal module
US16/526,660 2019-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562A true KR20210014562A (ko) 2021-02-09

Family

ID=7425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904A KR20210014562A (ko) 2019-07-30 2020-04-0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21137B2 (ko)
EP (1) EP4332295A3 (ko)
JP (1) JP2022543218A (ko)
KR (1) KR20210014562A (ko)
AU (2) AU2020210192B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613A1 (ko) * 2021-11-02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30789A1 (en) * 2018-08-05 2021-07-29 Laundrysucks.Io Inc. Laundry apparatus
KR102636141B1 (ko) * 2019-02-28 2024-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US11091872B1 (en) * 2019-08-01 2021-08-17 Unwrinkly, Inc. Garment care device
CN114960144A (zh) * 2022-06-17 2022-08-30 皇庭雅居家具海安有限公司 一种家用衣物安全烘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6013B2 (ja) 1994-07-12 1998-04-02 富士車輌株式会社 アイロン仕上機
US5815961A (en) 1996-06-26 1998-10-06 Whirlpool Corporation Clothes treating cabinet with inflatable hanger
AU2002234830A1 (en) * 2002-03-01 2003-09-16 Ayla Cevik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utomatic ironing
US20050223502A1 (en) * 2004-04-09 2005-10-13 Kleker Richard G Apparatus for processing garments including a hanger mechanism
KR200419321Y1 (ko) 2006-03-17 2006-06-19 한경희 스팀 다리미
KR101366280B1 (ko) * 2007-08-03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276571B (zh) 2008-12-09 2015-10-28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KR101056610B1 (ko) 2009-04-22 2011-08-11 이상훈 다림질 보조기구
KR20120091799A (ko) 2011-02-10 2012-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US8893935B2 (en) 2012-09-24 2014-11-25 Eduardo Paez Garment frame apparatus and system
KR102083959B1 (ko) 2013-04-25 2020-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099175B1 (ko) 2013-07-17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50047766A (ko) 2013-10-25 2015-05-06 유병숙 상의 다림장치
EP3034684B1 (en) 2014-12-19 2017-10-04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369584B1 (ko) 2014-12-19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205242139U (zh) 2015-12-04 2016-05-18 冠志有限公司 一种熨衣板
KR102599102B1 (ko) * 2016-11-11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99103B1 (ko) * 2016-11-11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9194567A1 (ko) 2018-04-03 2019-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613A1 (ko) * 2021-11-02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43218A (ja) 2022-10-11
AU2022202728B2 (en) 2024-02-22
EP4332295A2 (en) 2024-03-06
US11821137B2 (en) 2023-11-21
EP4332295A3 (en) 2024-04-24
AU2020210192B2 (en) 2022-01-27
US20210032797A1 (en) 2021-02-04
AU2022202728A1 (en) 2022-05-19
AU2020210192A1 (en)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4562A (ko) 의류처리장치
JP6942761B2 (ja) 衣類処理装置
JP7123922B2 (ja) 衣類処理装置
KR102154529B1 (ko) 의류처리장치
CN111936690A (zh) 衣物处理装置
JP7256235B2 (ja) 衣類処理装置
US20230313441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12301689B (zh) 衣物处理设备
JP2023007259A (ja) 衣類処理装置
US11708661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7397167B2 (ja) 衣類処理装置
JP2023007252A (ja) 衣類処理装置
JP6928483B2 (ja) 衣類の仕上げ装置
KR2016007503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106870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