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321Y1 - 스팀 다리미 - Google Patents

스팀 다리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321Y1
KR200419321Y1 KR2020060007277U KR20060007277U KR200419321Y1 KR 200419321 Y1 KR200419321 Y1 KR 200419321Y1 KR 2020060007277 U KR2020060007277 U KR 2020060007277U KR 20060007277 U KR20060007277 U KR 20060007277U KR 200419321 Y1 KR200419321 Y1 KR 200419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ironing board
support
steam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2020060007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3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321Y1/ko
Priority to CNU2006201355806U priority patent/CN200964529Y/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2Externally-heated hand irons; 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means other than electricity, e.g. by solid fuel, by steam
    • D06F75/06Externally-heated hand irons; 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means other than electricity, e.g. by solid fuel, by steam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or liquid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leeves, trousers, or other tubular garments or tubular parts of garments
    • D06F71/29Trou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0Hand irons of special external shape or for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4Handles; Handle mount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6Cas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40Stands or supports attached to the ir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Ir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지나 웃옷과 같은 의복을 다림질하는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드의 길이방향과 직교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다리미판이 배치된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팀 다리미{garment steame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으로, 그립부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으로, 그립부재의 비사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1의 그립부재를 뒤로 돌려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행거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행거를 절첩한 상태의 측면 사시도.
도 5a는 도 5의 지지대가 절첩된 상태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집게가 집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그립부재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실시예의 다리미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다리미판을 배면에서 도시한 결합 및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실시예의 스팀노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측단면도.
도 14는 본 실시예의 플레이트를 제거한 스팀노즐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종래 스팀 다리미를 도시한 측면도.
도 16 및 도 17은 도 15의 행거가 펼친 및 접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8은 종래 스팀노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종래 플레이트를 제거한 스팀노즐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20 : 물통
30 : 액체히팅어셈블리 40 : 호스
140 : 착탈부재 150 : 행거
151 : 허브 152 : 거치대
154,254 : 리브 155,255 : 지지대
165,265 : 바지집게 166 : 제1홈(리브가이드홈)
167 : 제2홈(연장만곡편) 170 : 로드어셈블리
171 : 로드 173 : 록
180 : 스팀노즐 181 : 핸들부
182 : 스팀통로 183 : 깔때기형상부
186 : 노즐헤드부 187 : 플레이트
187a : 스팀분사공 189 : 케이스
220 : 위치결정부재 230 : 높이조절부재
240 : z축회전부재 241 : y축회전부재(외통)
250 : 그립부재 255 : 봉
270 : 다리미판 272 : 손잡이
본 고안은 바지나 웃옷과 같은 의복을 다림질하는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드의 길이방향과 직교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다리미판이 배치된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팀 다리미로서, 예컨대 미국특허공개번호 US2005/0132761 A1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 스팀 다리미(1)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히팅어셈블리를 갖는 베이스(10)와, 상기 액체히팅어셈블리와 연통하는 물통(20) 및 호스(40)와, 베이스(10)에 포개어 끼울 수 있게 연결되는 로드(51)와, 상기 로드(51)에 일체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행거(52)로 구성되어 있다.
행거(52)는 하나 이상의 옷걸이를 지지하는 옷걸이지지대(55)를 갖는 허브(54)와, 이 허브(54)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암(58)과, 이 암(58)의 선택적으로 위치 고정하는 잠금/해제버튼(59)과, 로드(51)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61)에 병합하여 암(58)의 선택 위치를 셋팅하는 2개의 지지대(6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호스(40)에는 스팀노즐(80)(종래기술 도 16 참조)이 부가되는데, 이 스팀노즐(80)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이 호스(40)와 연결되는 핸들부(81)와, 이 핸들부(81) 상단에 형성되는 노즐헤드부(86)로 구성되어 있다.
핸들부(81)에는 호스(40)와 연통하는 스팀통로(82)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헤드부(86)는 스팀분사공(87a)이 형성된 플레이트(87)와, 상기 스팀통로의 상단측(82)과 상기 플레이트(87) 사이를 감싸 내부에 스팀 챔버(86a)를 형성하는 케이스(89)와, 상기 플레이트(87)를 상기 케이스(86)에 결합하는 결합부(88a)(88b)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87)의 전면에는 다양한 종류의 액세서리, 예컨대 바지주름브러쉬, 먼지제거브러쉬 또는 모피 브러쉬 등이 필요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팀 다리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트러블이 있다.
첫째, 지지대(60)에는 바지를 집는 집게가 없기 때문에, 바지를 다릴 때 별도의 행거(집게가 있는 옷걸이 또는 바지걸이)를 옷걸이지지대(55)에 걸어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지지대(60)에 집게를 설치할 때, 손가락으로 잡는 부분의 무게가 많아 아래로 향하게 되기 때문에, 옷을 집을 때 집게를 돌려야 하는 불편이 있고, 지지대(60)는 합성수지제로 강성이 약해 취급상 손상될 우려가 크다.
둘째, 지지대(60)의 타단은 로드(51)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61)에 연결되어 있어, 다림질할 때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지지대의 거동으로 다림질을 방 해할 수 있다.
셋째, 설령 바지를 집게나 옷걸이대에 걸쳐놓아도 한 손으로 당긴 후 다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물론 당기지 않고 늘어트린 상태(중력)로 다려도 되지만 오랜 시간 다림질해야 하고 그 효과 또한 적고, 특히 바지주름 잡기가 쉽지 않다.
넷째, 바지나 윗옷 등을 다릴 때, 옷을 받치는 다리미판이 없어 다림질효과가 매우 적고,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해 오랜 시간 스팀을 가해야 하는데 이럴 경우 옷이 축축해진다.
다섯째, 스팀통로에서 나온 스팀이 플레이트에 부딪히는 경우 물로 변환되는데, 이 물은 플레이트를 타고 케이스의 하면을 통해 스팀통로로 유동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런데, 케이스의 하면과 스팀통로는 서로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스팀노즐을 잡고 다림질할 때 바로 스팀통로로 빠져나가지 못한 물이 넘쳐 스팀분사공(87a)을 나와 옷에 뭍는 경우가 있다.
이 넘치는 현상은, 스팀분사공(87a)이 케이스(86) 하측 가까이 또는 플레이트(87)의 중심 아래 가까이 배치된 경우에 그 정도가 심하다(도 18 참조). (이것은 둑이 낮아 물이 쉽게 넘치는 것과 유사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림질속도와 다림질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팀 다리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스팀 다리미는 액체히팅어셈블리; 상기 액체히팅어셈블리와 연통하는 호스; 로드; 상기 로드에 배치되는 행거; 상기 행거의 아래쪽 로드에 배치되는 다리미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팀노즐과 다리미판 사이에 옷을 놓고 다릴 수 있어, 다림질속도와 다림질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다리미판은 로드의 길이방향 및/또는 로드의 직교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면, 옷의 길이나 폭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미판의 배면에 손잡이가 더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의 일측은 힌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타측은 록킹 가능하게 연결되면, 다림질할 부위로 다리미판의 이동을 신속히 할 수 있고, 록킹시 손잡이에 의해 다리미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는, 상기 로드에 설치되는 허브와, 일단은 상기 허브의 양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암과, 일단은 상기 암 각각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로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집게와, 상기 지지대의 하면에 형성된 리브, 로 구성되고; 상기 다리미판의 하측 로드 상에 배치되는 그립부재와, 이 그립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그립부재는, 봉과, 상기 봉에 설치되는 집게와, 상기 봉을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로드와 크로스(x축) 또는 평행(y축)한 위치에 배치하는 z축회전부재 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으로, 그립부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으로, 그립부재의 비사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그립부재를 뒤로 돌려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팀 다리미는 베이스(10), 물통(20), 호스(40), 행거(150), 로드어셈블리(170)로 구성하여 있다. 또한, 스팀 다리미의 호스(40)에는 스팀노즐(180)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10)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하측부(12)와 상대적으로 높은 상측부(14)로 구성하여, 무게중심을 낮추어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하측부(12)와 상측부(14) 각각에는 액체히팅어셈블리(30)(종래기술 도 2 참조)가 장착되어 있다.
하측부(12)의 저면에는 복수의 캐스터(16)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하측부(12)에는 작동 버튼을 컨트롤할 수 있는 조작부(19)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부(14)에는 물통(20)을 수용하여 상기 액체히팅어셈블리(30)와 연결하는 제1커넥터(13)와, 액체히팅어셈블리(30)와 호스(40)를 연결하는 제2커넥터(15)와, 로드어셈블리(150)와 연결하는 제3커넥터(17)가 형성되어 있다.
호스(40)의 일단은 제2커넥터(15)에, 호스(40)의 타단은 스팀노즐(18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유연한 절연호스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어셈블리(170)는 일단이 베이스(10)에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포개질 수 있는 로드(171)와, 이 로드(171)가 원하는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고정 정지시키는 복수의 록(173)이 장착되어 있다.
행거(1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171)의 타단에 설치되는 허브(151)와, 상기 허브(151)의 양측에 일단이 결합되는 암(153)과, 일단은 암(153)의 타단에 타단은 로드(171) 상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대(155)로 구성하여 있다.
허브(151)에는 상기 스팀노즐(180)이 거치되는 거치대(152)가 전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153)의 일단은 상기 허브(151)에 힌지축(159)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어 좋다.
또한, 지지대(155)도 일단이 힌지축(156)에 의해 암(153)의 타단에 설치되고, 지지대(155)의 타단은 착탈부재(140)에 의해 허브(151) 상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착탈부재(140)는 지지대(155)의 타단에 설치되는 너트(141)와, 허브(151)의 하단에 연장된 연장부의 양측에 형성된 수나사부(143)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 물론, 착탈부재로는 압입하는 방식과, 압입한 후 돌려 끼워맞춤하는 방식 등 여러가지의 실시예로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 착탈부재(140)의 구성에 의하여, 의복을 다림질할 때에는 수나사부(143)에 체결하여 지지대(155)를 고정하여 암(153)의 절첩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옷을 다릴 수 있다.
또한, 암(153)에는, 도 5 및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55)를 록킹하는 록킹부(15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록킹부(158)로는 탄성변형 가능한 C형 또는 채널형과 같은 스냅링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155)를 록킹부(158)에 대고 누르면 록킹된 상태이기 때문에, 암(153)이 펼쳐진 경우에도 임의적으로 지지대(155)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55)가 록킹된 상태에서 암(153)을 접었을 때, 외관상 지지대(155)와 후술된 집게(165)가 감추어지도록, 암(153)은 하면에 개구가 형성된 개단면형상(단면채널형상 또는 단면아치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a 참조).
이때, 상기 록킹부 근방의 암(153)에는 관통공(15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대(155)가 암(153) 내부에 수용된 경우, 관통공(157)을 통해 지지대(155)를 밀어내어 록킹을 손쉽게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지지대(155)에는 집게(16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집게(165)는 또한 지지대(155)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집게(165)는 도 5b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제1클립편(163)과 제2클립편(164), 이들 클립편(163,164)을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161) 및 스프링(169)으로 구성되어 있다. 클립편(163)(164) 각각에는 가압편(163a)(164a), 그립편(163b)(164b), 이들을 연결하는 만곡편(163c)(164c)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만곡편(163c)(164c)은 지지대(155)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힌지축(161)은 암결합편(163d)과 수결합편(164d)을 연결한다. 스프링(169)은 비틀림코일 스프링으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
이 집게(165)의 구성에 의해, 셔츠나 와이셔츠 등의 윗옷을 다릴 때에는, 암(153)에 지지대(155)에 있는 집게(165) 또는 별도의 집게로 집어 고정시킨 후 스팀노즐(180)을 대면서 다림질하면 된다. 바지인 경우 집게(165)로 집은 후 다림질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행거(150)로 윗옷이나 바지를 다릴 수 있어, 별도의 바지걸이가 불필요하다.
집게(165)는 통상 손가락으로 누르는 부분의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지지대(155)에 설치하면, 이 부분이 회전하여 아래에 위치한다. 그래서 바지를 집을 때 집게(165)를 180도 돌리거나 집게(165)를 떼어낸 후 집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해소하기 위해, 지지대(155)의 하면에 리브(15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집게(165)의 그립편(163b)(164b)이, 또는 그립편(163b)(164b)과 만곡편(163c)(164c)의 경계부분이 리브(154)에 걸려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가압편(163a)(164a)이 위쪽이 있도록 하는 기능뿐 아니라, 힘을 많이 받는 지지대(155)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지지대(155)가 플라스틱의 재질이면서 직경이 작은 경우 리브(154)의 형성은 더욱 요구된다.
집게(165)의 헛도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면서 이탈도 방지할 수 있는 리브가이드홈(166)을 갖는 집게(165)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b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클립편(163)의 내측에는 상기 힌 지축(161)에 평행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은 제1홈(166)과 제2홈(167)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홈(166)은 리브(154)에 끼워지는 리브가이드홈(166)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리브가이드홈(166)에 의해, 집게(165)는 지지대(155)에 대해 헛돌거나 이탈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홈(167)은 리브가이드홈(166)에서 연장하는 연장만곡편(167)으로, 지지대(155)의 일부 외주면을 가이드하여, 집게(165)의 헛돌음과 이탈을 더욱더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특히 바지를 다릴 때,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그립부재(250)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그립부재(250)는 바지를 잡아 당겨주는 효과가 있어 다림질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그립부재(250)는 통상의 바지걸이와 유사한 형태인 봉(255)과 집게(265)로 구성되어 있다. 봉(255)에도 전술한 리브(25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리브(254)는, 강도 보강뿐 아니라, 봉(255)의 위치가 바뀌더라도 집게(265)의 임의적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지의 기장(길이)에 맞추는 높이를 갖도록 그립부재(250)에는 높이조절부재(2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조절부재(23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171)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231)와, 이 슬라이더(231)의 위치를 고정/해제하는 고정/해제레버(233)로 구성되어 있다. 레버(233)가 회전하여 슬라이더(231)의 슬롯(234)에 수용된 디스크(232)의 외주면이 로드(171)에 대해 가압하면 고정상태이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232)의 외주면 로드(171)에 대해 멀어지면 해제상태로 된다. 레버(233)는 힌지축(235)에 의해 슬라이더(231)에 체결된다.
또한, 그립부재(250)를 z축을 중심으로 높이조절부재(230)에 대해 회전하여, 로드(171)와 크로스(x축) 또는 평행(y축)한 위치에 배치하는 z축회전부재(24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171)와 봉(255)이 크로스인 경우 다림질을 하는 사용 상태이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행한 경우 다림질을 하지 않는 비사용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z축회전부재(240)의 구조를 도 7 및 도 8에 따라 설명하면, 슬라이더(231)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외통(241), 이 외통(241)에 대해 z축 방향으로 돌출한 지축(243), 봉(255)을 지지한 채 상기 지축(24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z축회전부(245), 상기 z축회전부(245)을 상기 외통(241)을 향해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247)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255)은 z축회전부(245)의 관통공(248)에 그 중심이 배치된 채 마개(249b)를 통해 체결된 스크루(249a)에 의해 고정된다.
스프링(247)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은 지축(243)에 체결된 스크루(246)의 머리부에, 타단은 z축회전부(245)의 걸림턱(245a)에 지지된 채 지축(243)을 감싸고 있다. 또한, 걸림턱(245a)의 선단에서 연장된 돌기(245b)는 지축(243)과 외주벽(242) 사이에 배치되어 z축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가이드된다.
또한, z축회전부(245)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면 90도 정확한 위치에 결정하도 록,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z축회전부(245)와 외통(241)에는 죠오 클러치 형태의 요철(241a)(241b)이 형성되어 있다.
요철(241a)(241b)이 형성되어 있어, 봉(255)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z축회전부(245)을 z축방향으로 당겨 요철(241a)(241b)을 해제한 후 돌려놓으면, 스프링(247)의 탄성에 의해 요철(241a)(241b)이 서로 맞물리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또한, 봉(255)을 로드(17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y축회전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봉(255)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뒤쪽으로 회전 배치하더라로 다림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y축회전부재(241)는 전술한 외통(241)이 슬라이더(2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외통(241)이 전후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슬라이더(231)의 외주면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외팔보(238)에 형성된 돌조(238a)와 이 돌조(238a)와 맞물리는 홈(330)이 외통(24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홈(330)이 돌조(238a)에 걸릴 때까지 외통(241)을 y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또한, 외통(241)이 슬라이더(231)에서 상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슬라이더(231)의 상측에는 돌출걸림테(236)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홈(237)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 외통(241)의 하측에는 관통공(311)이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고, 이 관통공(311)에 삽입되어 홈(237)에 끼워지는 걸림돌기(311)가 C형 링(300)에 형성되어 있다. 이 C형 링(300)은 관통공(311) 주위에 형성된 홈부(310)에 수용된다.
따라서, 외통(241)은 돌출걸림테(263)와 걸림돌기(311) 사이의 슬라이더(231)에 장착되고, 상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x-y축 평면상에서 볼 때, 봉(255)과 지지대(155)가 서로 평행한 위치에 있도록, 봉(255)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재(22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결정부재(220)는 슬라이더(231)의 내주면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221)와, 이 위치결정돌기(221)가 수용되는 위치결정홈(2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홈(223)은 로드(17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부재(220)에 의하여 슬라이더(231)가 로드(171)에 대해 임의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행거(150)와 평행한 위치를 유지할 뿐 아니라, 슬라이더(231)의 승강을 정확히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바지 등을 삐뜨러짐 없이 수직한 상태로 평평하게 당길 수 있어 다림질하기 편리하다.
한편, 가정에서 다림질할 때, 옷을 다리미판에 올려놓고 옷의 위치를 바꾸면서 다림질하면 훨씬 잘 다려진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다리미판(270)이 로드(171)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리미판(270)은 행거(150) 아래 또는 행거(150)와 그립부재(25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리미판(270)은 로드(171)를 따라(y축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291)에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더(291)는 전술한 슬라이더(231)와 마찬가지로 고정/해제레버를 두어 위치를 고정하여도 무방하지만, 로드(171)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되는 파이프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더(291)의 외주면에는 암결합편(293)이 형성되고, 다리미판(270)에는 암결합편(293)에 결합되는 수결합편(27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다리미판(270)은 슬라이더(291)에 지지되게 된다.
또한, 수결합편(273)에는 탄성체결돌기(274)가, 암결합편(293)에는 체결공(29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탄성체결돌기(274)가 체결공(294)에 결합되면, 다리미판(270)이 x축방향으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다리미판(270)을 로드(171)에 직교방향(즉 x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리미판(270)의 배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77)과, 이 가이드레일(277)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미끄럼대(27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미끄럼대(275)에는 수결합편(273)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미끄럼대(275)와 수결합편(273)이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미끄럼대(275)는 안장 형태로서, 양측이 가이드레일(277)의 측면을 감싸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리미판(270)이 x축과 y축을 따라 직선이동할 수 있어, 다리미판(270)의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하더라도, 옷을 다리는 범위가 넓고, 다림질할 위치로의 신속한 이동이 용이하다.
이러한 다리미판(270)의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을 보다 편리하게 하기 위해, 손잡이(272)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손잡이(272)는 측면이나 배면에 배치할 수 있는 데, 본 실시예와 같이 일측은 힌지(272a)로 타측은 록킹부(272b)를 구현하여 배면쪽에 손잡이(272)를 두는 것이 외관상 좋다.
또한, 록킹부(272b)는 미끄럼대(275)가 가이드레일(277)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또한, 호스(40)의 타단에는 거치대(152)에 거치되는 스팀노즐(180)이 설치되어 있다.
스팀노즐(180)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상 T자형을 이루는 노즐헤드부(186)와 핸들부(181)로 구성되어 있다.
핸들부(181)는 호스(40)와 연통하는 스팀통로(182)가 형성된 손잡이이다.
노즐헤드부(186)는 핸들부(181)의 상단에 형성되는 노즐분사작동부로서, 스팀분사공(187a)이 형성된 플레이트(187)와, 스팀통로(182)의 상단측과 플레이트(187) 사이를 감싸 내부에 스팀 챔버(185)를 형성하는 케이스(189)와, 플레이트(187)를 케이스(189)에 결합하는 결합부(188a,188b)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핸들부(181)는 플레이트(187)에 대해 하향 경사(α)지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팀통로(182)의 주변 케이스는 깔때기 형상부(183)로 이루어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설령 챔버(185)에서 물이 생기더라도, 깔때기 형상부(183)에 의해 고여있는 시간이 현저히 짧아 스팀통로(182)로 신속히 유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팀노즐(180)로 다림질할 때 물이 넘쳐 옷에 뭍을 우려를 현저히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스팀분사공(187a)은 케이스(189)의 상측 가까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플레이트(187)를 기준으로 하여 중심에서 위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둑을 높게 싸면, 물이 넘치기 어려운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스팀 다리미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고안의 스팀 다리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액체히팅어셈블리; 상기 액체히팅어셈블리와 연통하는 호스; 로드; 상기 로드에 배치되는 행거; 상기 로드에 배치되는 다리미판의 구성을 채택 결합함으로써, 다리미판에 옷을 대고 다릴 수 있어, 다림질속도와 다림질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다리미판은 상기 로드를 따라 또는/및 상기 로드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옷의 사이즈(길이나 폭)가 다른 경우에도 다리미판의 사이즈를 크게 할 필요없이 적용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다리미판의 배면에 손잡이가 더 형성되면, 다림질할 부위로 다리미판의 이동을 신속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일측은 힌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타측은 록킹 가 능하게 연결되면, 록킹시 손잡이가 다리미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행거는, 허브; 일단이 상기 허브의 양측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암; 일단은 상기 암에, 타단은 상기 허브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집게; 상기 지지대의 하면에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함으로써, 무게가 많이 나가는 손가락으로 가압하는 부분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리브가 방지하여, 집게를 돌리거나 하는 부가적 행위를 할 필요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고, 힘을 많이 받는 지지대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다리미판의 하측 로드 상에 배치되는 그립부재의 구성을 채택 결합함으로써, 행거에 지지된 옷의 하단을 그립부재가 잡아 당겨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림질하기 편리하고 다림질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구현함으로써, 옷의 길이가 달라도 쉽게 당길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의 리브에 집게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바지걸이용 행거를 사용하지 않고 그립부재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재의 봉을 상기 로드와 크로스(x축) 또는 평행(y축)한 위치에 배치하는 z축회전부재의 구성을 채택 결합함으로써, 그립부재의 비사용시 봉을 평행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Claims (5)

  1. 액체히팅어셈블리;
    상기 액체히팅어셈블리와 연통하는 호스;
    로드;
    상기 로드에 배치되는 행거;
    상기 행거의 아래쪽 로드에 배치되는 다리미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팀 다리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판은 상기 로드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판은 상기 로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미판의 배면에 손잡이가 더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의 일측은 힌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타측은 록킹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상기 로드에 설치되는 허브와, 일단은 상기 허브의 양측에 연결되는 복수의 암과, 일단은 상기 암 각각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로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집게와, 상기 지지대의 하면에 형성된 리브, 로 구성되고,
    상기 다리미판의 하측 로드 상에 배치되는 그립부재와, 이 그립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그립부재는, 봉과, 상기 봉에 설치되는 집게와, 상기 봉을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로드와 크로스(x축) 또는 평행(y축)한 위치에 배치하는 z축회전부재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KR2020060007277U 2006-03-17 2006-03-17 스팀 다리미 KR200419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277U KR200419321Y1 (ko) 2006-03-17 2006-03-17 스팀 다리미
CNU2006201355806U CN200964529Y (zh) 2006-03-17 2006-10-09 一种蒸汽熨烫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277U KR200419321Y1 (ko) 2006-03-17 2006-03-17 스팀 다리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773A Division KR100749920B1 (ko) 2006-03-17 2006-03-17 스팀 다리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321Y1 true KR200419321Y1 (ko) 2006-06-19

Family

ID=3886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277U KR200419321Y1 (ko) 2006-03-17 2006-03-17 스팀 다리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19321Y1 (ko)
CN (1) CN200964529Y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5441A (zh) * 2011-11-07 2012-06-20 佛山市顺德区盛熙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喷头
CN102926156A (zh) * 2012-11-21 2013-02-13 吴江征明纺织有限公司 一种快速定型挂烫器
CN108360237A (zh) * 2018-03-16 2018-08-03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挂烫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8083B (zh) * 2016-11-30 2019-03-12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熨烫架和挂烫机
US11821137B2 (en) 2019-07-30 2023-11-21 Lg Electronics Inc. Wrinkle removal module
WO2021020752A1 (en) * 2019-07-30 2021-02-04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5441A (zh) * 2011-11-07 2012-06-20 佛山市顺德区盛熙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喷头
CN102505441B (zh) * 2011-11-07 2013-10-30 佛山市顺德区盛熙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喷头
CN102926156A (zh) * 2012-11-21 2013-02-13 吴江征明纺织有限公司 一种快速定型挂烫器
CN108360237A (zh) * 2018-03-16 2018-08-03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挂烫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0964529Y (zh)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912B1 (ko) 행거 및 이를 채택한 스팀 다리미
KR200419321Y1 (ko) 스팀 다리미
WO2007108577A1 (en) Garment steamer
WO2007108606A1 (en) Hanger for garment steamer
KR200419320Y1 (ko) 집게, 행거 및 이를 채택한 스팀 다리미
KR100711752B1 (ko) 스팀 다리미
KR100749920B1 (ko) 스팀 다리미
KR200419322Y1 (ko) 스팀노즐 및 이를 채택한 스팀 다리미
KR100836851B1 (ko) 스탠딩 다리미
KR200419319Y1 (ko) 스팀 다리미용 행거
KR100677903B1 (ko) 스팀 다리미용 행거
KR101190146B1 (ko) 스탠드형 스팀다리미
KR200419318Y1 (ko) 스팀 다리미
JP5248688B1 (ja) 折畳み式ハンガー
KR100749921B1 (ko) 스팀노즐 및 이를 채택한 스팀 다리미
KR101056777B1 (ko) 스팀다리미용 의류 고정대
US9080281B2 (en) Fabric pin
JP5021990B2 (ja) 改良されたコードガイドデバイスを有するプレスアイロン
KR101673975B1 (ko)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행거
WO2007108578A1 (en) Garment steamer with tongs and hanger
CN100585057C (zh) 蒸汽熨烫机
KR102601735B1 (ko) 시스템 다리미
KR101179790B1 (ko) 옷걸이 보조구
KR101580101B1 (ko) 스팀다리미
CN217758040U (zh) 一种家用挂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