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342A -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342A
KR20210014342A KR1020190092263A KR20190092263A KR20210014342A KR 20210014342 A KR20210014342 A KR 20210014342A KR 1020190092263 A KR1020190092263 A KR 1020190092263A KR 20190092263 A KR20190092263 A KR 20190092263A KR 20210014342 A KR20210014342 A KR 20210014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etonation
unit
manufacturing process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5980B1 (ko
Inventor
최치영
Original Assignee
최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치영 filed Critical 최치영
Priority to KR1020190092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9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4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52Auxiliary operations prior to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49/4278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9/80Testing, e.g. for lea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용기 누유 검사 및 덧살제거 공정을 개선시킨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개별 단위로 처리하던 공정을 자동화 장치를 통해 성형공정, 덧살제거공정, 및 누유검사 공정이 연속적으로 순환하며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전 공정이 완료되면 컨베이어 이송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일괄생산 공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측에 소재주입구가 구비되어 소재주입구를 통해 압출소재를 주입하고 압출소재를 기준으로 양측에 구비된 금형을 이용하여 압출품을 절단한 다음, 용기의 마개 부위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성형하도록 하는 압출성형부; 압출성형부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용기를 이송받아 절단지그장치가 부착된 자동덧살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용기의 덧살을 제거하는 덧살제거부; 덧살제거부에 의해 덧살제거공정이 완료된 용기를 이송받아 용기의 마개 입구에 공기압을 가압하여 용기의 누유 여부를 검사하는 누유검사부를 포함하고, 덧살제거부는 상부 및 하부 양측면에 각각 칼날 형태의 지그가 구비되고, 이송된 용기를 양측 지그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양쪽 지그를 가압하여 용기의 상부 덧살과 하부덧살을 절단하도록 하고, 누유검사부는 누유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공기가압압력, 가압유지압력값의 구간을 미리 프로그램화하고 기 설정된 값에 해당되면 합격 용기로 판정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고, 미리 설정된 구간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 불량품으로 판정하며, 압출성형부, 덧살제거부, 누유검사부 간에는 상호 연동되고 컨베이어 방식을 통해 용기를 자동이송시켜 압출, 덧살제거, 누유검사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System for manufacturing process for improved lubricant vessel}
본 발명은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용기 누유 검사 및 덧살제거 공정을 개선시킨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개별 단위로 처리하던 공정을 자동화 장치를 통해 성형공정, 덧살제거공정, 및 누유검사 공정이 연속적으로 순환하며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전 공정이 완료되면 컨베이어 이송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일괄생산 공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윤활유 용기 제조공정은 성형공정, 덧살제거공정, 제품공냉공정 순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윤활유 용기 제조공정에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덧살제거공정의 경우, 전체 공정 중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병목공정으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생산량이 결정되어 작업소요시간이 과다하게 발생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덧살제거공정 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인해 용기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어 용기 누설 불량률이 발생될 우려가 높다.
또한, 누유검사 시, 제품의 파팅 라인에서의 간격으로 인한 미성형과 성형과정에서 불균일한 두께로 인해 발생되는 박막형태의 성형이 누유 발생의 원인이 되며, 기존의 누유검사는 작업자 육안 검사로 출하됨으로 윤활유가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과정에 용기누유로 인한 품질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제공품 이송 시, 제공품 이동은 작업자가 직접 이송해야 함으로써 수작업 이송에 따른 노동력 손실이 발생하고 다음 공정으로의 적기 공급이 불가능함으로 공정 유휴 손실이 발생된다.
또한, 기존의 공정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투입되는 작업시간과 품질이 결정되는 구조임으로 근본적으로 생산성과 품질 수준에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 KR 공개특허공보 제2013-0056024호(2013.5.29.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을 제공하여 용기 누유 품질 문제를 개선하고 기존에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행해진 용기 덧살 제거 공정, 누유 검사 공정을 포함하는 공정을 컨베이어 방식을 이용하여 일괄생산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공정의 작업시간을 줄이고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은 일측에 소재주입구가 구비되어 소재주입구를 통해 압출소재를 주입하고 압출소재를 기준으로 양측에 구비된 금형을 이용하여 압출품을 절단한 다음, 용기의 마개 부위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성형하도록 하는 압출성형부; 압출성형부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용기를 이송받아 절단지그장치가 부착된 자동덧살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용기의 덧살을 제거하는 덧살제거부; 덧살제거부에 의해 덧살제거공정이 완료된 용기를 이송받아 용기의 마개 입구에 공기압을 가압하여 용기의 누유 여부를 검사하는 누유검사부를 포함하고, 덧살제거부는 상부 및 하부 양측면에 각각 칼날 형태의 지그가 구비되고, 이송된 용기를 양측 지그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양쪽 지그를 가압하여 용기의 상부 덧살과 하부덧살을 절단하도록 하고, 누유검사부는 누유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공기가압압력, 가압유지압력값의 구간을 미리 프로그램화하고 기 설정된 값에 해당되면 합격 용기로 판정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고, 미리 설정된 구간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 불량품으로 판정하며, 압출성형부, 덧살제거부, 누유검사부 간에는 상호 연동되고 컨베이어 방식을 통해 용기를 자동이송시켜 압출, 덧살제거, 누유검사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누유검사부는 누설 검사가 이루어질 용기가 정위치에 세워졌는지 감지하는 위치센서, 용기가 정위치에 위치하면 용기의 마개 입구에 공기압을 가압하여 가압된 압력을 확인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센서모듈에 의해 센싱된 값을 토대로 용기의 누유여부를 판별하고 누설검사장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모듈,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된 용기 내에 부하된 압력값과 용기의 누유여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덧살제거부에 의해 덧살 제거 공정을 통과한 용기에 대하여 덧살의 발생유무를 확인하는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덧살이 제거되지 않은 부위를 판정하는 제1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고, 제1 제어모듈은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저장된 표준용기와 비교하여 덧살의 발생 유무를 평가하여 덧살이 제거되지 않은 부위를 덧살 발생품으로 판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행해진 용기 덧살 제거 공정을 자동화 공정으로 변경하고 누설 검사 장치를 구비하여 용기의 누유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각 공정 간에는 컨베이어 방식을 이용하여 용기를 자동이송시켜 공정의 작업시간을 줄이고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의 이송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의 압출성형부 및 덧살제거부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의 덧살제거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의 누유검사부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의 이송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의 압출성형부 및 덧살제거부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의 덧살제거부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의 누유검사부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100)은 종래의 용기 누유 검사 및 덧살제거 공정을 개선시켜 기존의 용기 누유 품질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종래에 개별 단위로 처리하던 공정을 자동화 장치를 통해 성형공정, 덧살제거공정, 및 누유검사 공정이 연속적으로 순환하며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전 공정이 완료되면 컨베이어 이송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일괄생산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압출성형부(10), 덧살제거부(20), 누유검사부(30) 간에는 상호 연동되고, 컨베이어 방식을 통해 용기를 자동이송시켜 압출, 덧살제거, 누유검사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는 압출형성부(10)에 의해 성형공정이 완료된 직후의 용기의 온도는 약 50~60℃ 로 고온이어서 외부 충격 시 용기에 변형이 올 가능성이 있으므로 용기의 변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송속도로 미리 설정되어 운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100)은 압출성형부(10), 덧살제거부(20), 및 누유검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출성형부(10)는 일측에 소재주입구(12)가 구비되어 소재주입구(12)를 통해 압출소재를 주입하고 압출소재를 기준으로 양측에 구비된 금형을 이용하여 압출품을 절단한 다음, 용기의 마개 부위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성형하도록 한다.
예컨대, 압출성형부(10)는 유압 방식의 실린더의 압력에 의해서 양쪽 금형을 가압하여 압출 소재를 성형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덧살제거부(20)는 압출성형부(10)에 의해 성형공정이 완료된 용기를 이송받아 덧살제거공정을 수행하되, 절단지그가 부착된 자동덧살제거장치(40)를 이용하여 미덧살발생부위를 제거한다.
덧살제거부(20)는 덧살 제거가 가능하며 칼날 형태로 형성된 절단지그가 구비가 구비되고, 이송된 용기를 기준으로 용기의 양측에 절단지그를 위치시키고 용기가 위치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덧살이 제거되도록 한다.
예컨대, 덧살제거부(20)는 공압 방식의 실린더가 구비되어 공압실린더에 의해 지그를 가압하도록 한다.
덧살제거부(20)는 압출성형부(10)에 의해 성형 공정이 완료된 용기를 이송받아 용기의 위치를 설정하고, 자동덧살제거장치(40)에 덧살제거부착핀(42)을 부착할 위치를 선정하여 덧살제거부착핀(42)을 부착하고, 덧살 제거 공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덧살제거부(20)에 의해 덧살 제거 공정을 통과한 용기에 대하여 덧살의 발생유무를 확인하는 카메라 모듈(22)과, 카메라 모듈(22)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덧살이 제거되지 않은 부위를 판정하는 제1 제어모듈(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모듈(24)은 카메라 모듈(22)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저장된 표준용기(정상품)과 비교하여 덧살의 발생 유무를 평가하여 덧살이 제거되지 않은 부위를 덧살 발생품으로 판별하도록 한다.
덧살이 제거되지 않은 덧살 발생품으로 판별된 용기는 컨베이어에 의해 재이송되어 덧살제거부(20)에 의해 덧살 제거 공정이 재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덧살 제거 공정이 통과한 시제품에 대하여 덧살의 발생유무를 재차 평가함으로써 덧살 발생품의 오차율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누유검사부(30)는 성형 공정 시 제품의 파팅 라인에서의 간격으로 인한 미성형과 성형과정에서 불균일한 두께로 인해 발생되는 박막 형태의 성형은 향후 윤활유를 용기에 투입한 후 누유 발생의 품질 문제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거하여 불량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누유검사부(30)는 누설 검사가 이루어질 용기가 정위치에 세워졌는지 감지하는 위치센서(32a), 용기가 정위치에 위치하면 용기의 마개 입구에 공기압을 가압하여 가압된 압력을 확인하는 압력센서(32b)를 포함하는 센서모듈(32), 센서모듈(32)에 의해 센싱된 값을 토대로 용기의 누유여부를 판별하고 누설검사장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모듈(34), 압력센서(32b)에 의해 감지된 용기 내에 부하된 압력값 및 용기 누유여부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모듈(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누유검사부(30)는 덧살제거부(20)에 의해 덧살제거공정이 완료된 용기를 전달받아 용기의 마개 입구에 공기압을 가압하여 가압된 압력이 기 설정된 상한치 및 하한치 구간에 해당되는 지 확인하여 용기의 누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누유검사부(30)는 덧살제거부(20)에 의해 덧살 제거 공정이 완료된 용기를 이송받아 누유검사장치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공기가압압력, 가압유지압력값의 구간에 해당되면 합격으로 판정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고, 미리 설정된 구간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 불량으로 판정하여 링크장치를 이용하여 불량품을 취출하도록 한다.
또한, 누유검사부(30)는 용기에 공기압을 인가하기 전,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장치의 밀봉방법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된다. 예컨대, 누유검사부(30)는 탄성이 있는 고무류 소재로 용기 투입구 부분에 가압하여 밀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누유검사부(30)는 컨베이어(70)에 안착된 용기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한 실린더(70)가 구비되고, 실린더(70)의 일측에 에어펌프(50)가 연결된다. 또한, 실린더(70)는 상하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고, 용기가 공기압을 주입하기 위해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실린더(70)가 하방으로 이송되어 용기에 공기압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용기 내에 부하되는 압력을 압력센서(32b)에 의하여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36)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100)은 시간당 압출성형부(10), 덧살제거부(20), 누유검사부(30)를 이송하며 생산된 제품의 생산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생산량 측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생산량 측정부(미도시)는 시간당 전체 공정을 거쳐 생산되는 정상품의 수를 산출하여 전체 생산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생산량 측정부(미도시)에 의해 산출된 전체 생산량은 관리자 단말을 통해 출력되어 관리자가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압출성형부 20 - 덧살제거부
22 - 카메라 모듈 24 - 제1 제어모듈
30 - 누유검사부 32a - 위치센서
32b - 압력센서 32 - 센서모듈
34 - 제2 제어모듈 36 - 디스플레이모듈
40 - 자동덧살제거장치 42 - 덧살제거부착핀

Claims (3)

  1. 일측에 소재주입구가 구비되어 소재주입구를 통해 압출소재를 주입하고 압출소재를 기준으로 양측에 구비된 금형을 이용하여 압출품을 절단한 다음, 용기의 마개 부위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성형하도록 하는 압출성형부;
    압출성형부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용기를 이송받아 절단지그장치가 부착된 자동덧살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용기의 덧살을 제거하는 덧살제거부;
    덧살제거부에 의해 덧살제거공정이 완료된 용기를 이송받아 용기의 마개 입구에 공기압을 가압하여 용기의 누유 여부를 검사하는 누유검사부
    를 포함하고,
    덧살제거부는
    상부 및 하부 양측면에 각각 칼날 형태의 지그가 구비되고, 이송된 용기를 양측 지그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양쪽 지그를 가압하여 용기의 상부 덧살과 하부덧살을 절단하도록 하고,
    누유검사부는
    누유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공기가압압력, 가압유지압력값의 구간을 미리 프로그램화하고 기 설정된 값에 해당되면 합격 용기로 판정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고, 미리 설정된 구간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 불량품으로 판정하며,
    압출성형부, 덧살제거부, 누유검사부 간에는 상호 연동되고 컨베이어 방식을 통해 용기를 자동이송시켜 압출, 덧살제거, 누유검사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누유검사부는
    누설 검사가 이루어질 용기가 정위치에 세워졌는지 감지하는 위치센서, 용기가 정위치에 위치하면 용기의 마개 입구에 공기압을 가압하여 가압된 압력을 확인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센서모듈에 의해 센싱된 값을 토대로 용기의 누유여부를 판별하고 누설검사장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모듈,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된 용기 내에 부하된 압력값과 용기의 누유여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을 포함하는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덧살제거부에 의해 덧살 제거 공정을 통과한 용기에 대하여 덧살의 발생유무를 확인하는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덧살이 제거되지 않은 부위를 판정하는 제1 제어모듈
    을 더 포함하고,
    제1 제어모듈은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저장된 표준용기와 비교하여 덧살의 발생 유무를 평가하여 덧살이 제거되지 않은 부위를 덧살 발생품으로 판정하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는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

KR1020190092263A 2019-07-30 2019-07-30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 KR102215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263A KR102215980B1 (ko) 2019-07-30 2019-07-30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263A KR102215980B1 (ko) 2019-07-30 2019-07-30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342A true KR20210014342A (ko) 2021-02-09
KR102215980B1 KR102215980B1 (ko) 2021-02-15

Family

ID=7455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263A KR102215980B1 (ko) 2019-07-30 2019-07-30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9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568A (ja) * 1994-08-15 1996-07-09 Toyo Seikan Kaisha Ltd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該ボトルを製造するための大気導入孔穿孔用ドリル、ピンチオフ開口部のヒートシール装置、並びに積層剥離ボトルに用いる注出ポンプ
JP3346759B2 (ja) * 2000-03-24 2002-11-18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医療用容器
KR101190432B1 (ko) * 2010-08-17 2012-10-11 이찬주 자동차 부품 버 제거 장치 및 버 제거 방법
JP5667179B2 (ja) * 2009-06-25 2015-02-12 ティーアイ オートモーティヴ テクノロジー センター 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TI Automotive Technology Center GmbH 容器の製造方法
JP2016078417A (ja) * 2014-10-22 2016-05-16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の製造方法
KR20190062451A (ko) * 2016-09-26 2019-06-05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에서 백을 형성 및/또는 시험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568A (ja) * 1994-08-15 1996-07-09 Toyo Seikan Kaisha Ltd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該ボトルを製造するための大気導入孔穿孔用ドリル、ピンチオフ開口部のヒートシール装置、並びに積層剥離ボトルに用いる注出ポンプ
JP3346759B2 (ja) * 2000-03-24 2002-11-18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医療用容器
JP5667179B2 (ja) * 2009-06-25 2015-02-12 ティーアイ オートモーティヴ テクノロジー センター 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TI Automotive Technology Center GmbH 容器の製造方法
KR101190432B1 (ko) * 2010-08-17 2012-10-11 이찬주 자동차 부품 버 제거 장치 및 버 제거 방법
JP2016078417A (ja) * 2014-10-22 2016-05-16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の製造方法
KR20190062451A (ko) * 2016-09-26 2019-06-05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컨테이너의 내부 공간에서 백을 형성 및/또는 시험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980B1 (ko) 202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179320A (zh) 一种结合视觉检测的注塑机工艺参数自动调节方法
JP6794484B2 (ja) 射出成形システムおよび射出成形方法
US20220203597A1 (en) Method for product guidance in a stretch blow molding and/or filling system, and stretch blow molding and/or filling system for bottles
US84536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tubes in a tube-filling machine
KR102215980B1 (ko) 개선된 윤활유 용기 제조 공정 시스템
JP6936874B2 (ja) 光学材料用モノマーの自動注入方法及び自動注入装置
KR102408752B1 (ko) 피팅류 리크테스트 장치
CN116550639B (zh) 一种焊接检测系统及检测工艺
KR101706377B1 (ko) 구상화 공정 감시 시스템
JP2021115705A (ja) 射出成形装置の検査方法、試験用型および検査システム
CN106017827A (zh) 一种气密性检测装置
CA2232404C (en) Method for quality control in core or shell shooters and a device for core or shell shooting
JP2012051297A (ja) タイヤ加硫用ブラダの交換時期判定方法及び交換時期判定装置
US6173757B1 (en) Method of quality control in the production of finished cast shells or core stackings
JP7416650B2 (ja) 成形品検査装置及び、射出成形システム
JP3176987B2 (ja) ゲートシール成形システムの管理装置
CN207104291U (zh) 一种自动安装密封圈的油箱盖组装系统
JPH03266622A (ja) 成形機の製品自動検査方法
KR102480471B1 (ko) 타이어 가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가류 방법
WO2023002946A1 (ja) 射出成形機の良否判定システム
EP2512766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flowable material into a mold
WO2024049180A1 (ko) 디지털 트윈을 이용한 설비 시운전 시스템, 설비 시운전 방법, 및 설비 시운전 제어 장치
CN115932229A (zh) 全自动在线检测型砂紧实率的系统
CN114616086A (zh) 塑料容器的检验方法和这种容器的制造机械
CN114734601B (zh) 一种注塑过程的制品瑕疵在线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