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292A - 스크롤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292A
KR20210012292A KR1020190089759A KR20190089759A KR20210012292A KR 20210012292 A KR20210012292 A KR 20210012292A KR 1020190089759 A KR1020190089759 A KR 1020190089759A KR 20190089759 A KR20190089759 A KR 20190089759A KR 20210012292 A KR20210012292 A KR 20210012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jection valve
refrigerant
inlet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재
서정기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9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292A/ko
Priority to DE112020003568.9T priority patent/DE112020003568T5/de
Priority to JP2021574324A priority patent/JP7391115B2/ja
Priority to US17/596,658 priority patent/US11953010B2/en
Priority to PCT/KR2020/008633 priority patent/WO2021015439A1/ko
Priority to CN202080043225.9A priority patent/CN113966439B/zh
Publication of KR2021001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53Details concerning the base
    • F04C18/0261Details of the ports, e.g. location, number, geome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04C29/042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by injecting a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50/00Geometry
    • F04C2250/10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250/102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of the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동되어 선회 운동되는 선회 스크롤; 상기 선회 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중간압의 냉매를 상기 압축실로 안내하는 주입 유로; 및 상기 주입 유로를 개폐하는 주입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는, 상기 중간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갖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주입 밸브; 및 상기 주입 밸브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압축실 측으로 안내하는 유출구를 갖는 밸브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압축실로부터 토출되는 냉매 토출량을 증가시켜, 압축기의 성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로 냉매를 압축할 수 있도록 한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A/C)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냉방시스템의 구성으로서 증발기로부터 인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시켜 응축기로 보내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있다.
압축기에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전달방식에 따라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샤프트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등이 있고,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 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스크롤 압축기는 다른 종류의 압축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비를 얻을 수 있으면서 냉매의 흡입, 압축, 토출 행정이 부드럽게 이어져 안정적인 토크를 얻을 수 있는 장점 때문에 공조장치 등에서 냉매압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에 구비되는 모터(200), 상기 모터(20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00), 상기 회전축(300)에 연동되어 선회 운동되는 선회 스크롤(400) 및 상기 선회 스크롤(400)과 함께 압축실(C)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50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는, 상기 모터(2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회전축(300)이 상기 모터(200)의 회전자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400)이 상기 회전축(300)에 연동되어 선회 운동되고, 이러한 선회 스크롤(400)의 선회 운동에 의해 냉매는 상기 압축실(C)로 흡입되고, 상기 압축실(C)에서 압축되며, 상기 압축실(C)로부터 토출되는 일련의 과정이 반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는, 상기 압축실(C)로부터 토출되는 냉매 토출량이 정해져 있어, 압축기의 성능 및 효율 향상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9448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압축실로부터 토출되는 냉매 토출량을 증가시켜, 압축기의 성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동되어 선회 운동되는 선회 스크롤; 상기 선회 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중간압의 냉매를 상기 압축실로 안내하는 주입 유로; 및 상기 주입 유로를 개폐하는 주입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는, 상기 중간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갖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주입 밸브; 및 상기 주입 밸브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압축실 측으로 안내하는 유출구를 갖는 밸브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한다.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상기 주입 밸브의 리테이너 역할을 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경사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압축실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토출실, 상기 토출실의 냉매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안내하는 토출포트,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중간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도입포트 및 상기 도입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도입실을 갖는 리어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도입실을 복개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도입실과 연통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도입실의 반대측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체결되고, 상기 주입 밸브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밸브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도입실에 대향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면; 및 상기 밸브 플레이트와 상기 주입 밸브에 대향되는 커버 플레이트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면과 상기 제3 환형벽 사이에는 제1 실링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 하면에는 상기 주입 밸브가 안착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 하면으로부터 음각진 주입 밸브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 밸브는,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를 지지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를 지지하는 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의 깊이는 상기 둘레부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면으로부터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까지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에는 상기 유입구의 주위를 둘러싸고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으로부터 음각진 제1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루브의 내주부는 상기 주입 밸브의 머리부의 외주부와 중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루브의 외주부는 상기 주입 밸브의 머리부와 비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에서 상기 주입 밸브의 다리부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으로부터 음각진 제2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루브의 일부는 상기 주입 밸브의 다리부와 중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루브의 일부는 상기 주입 밸브의 다리부와 비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대향되는 밸브 플레이트 상면;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향되는 밸브 플레이트 하면; 및 상기 밸브 플레이트 하면으로부터 상기 고정 스크롤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면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 하면과 상기 주입 밸브의 둘레부에 접촉되게 형성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면과 커버 플레이트 하면 사이에는 제2 실링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경사공간은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면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되고, 상기 주입 밸브가 상기 유입구를 개방할 때 상기 주입 밸브의 머리부와 다리부를 지지하는 리테이너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면에는 상기 경사공간과 상기 유출구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 하면으로부터 상기 고정 스크롤 측으로 돌출되며 사전에 결정된 제1 외경을 갖는 대경부; 및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고정 스크롤 측으로 더 돌출되며 상기 제1 외경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갖는 소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스크롤은, 상기 대경부에 대향되는 고정 경판 상면; 상기 고정 경판 상면의 배면을 이루는 고정 경판 하면; 상기 고정 경판 상면으로부터 상기 고정 경판 하면 측으로 음각지게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가 삽입되는 소경부 삽입홈; 및 상기 고정 경판 하면으로부터 상기 고정 경판 상면 측으로 음각지게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 삽입홈과 연통되는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경부 삽입홈의 내경은 상기 주입구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의 내경은 상기 주입구의 축방향 위치와 무관하게 사전에 결정된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경부의 선단면과 상기 고정 경판 상면 사이에 제3 실링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제3 실링부재가 상기 대경부의 선단면과 상기 고정 경판 상면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상기 대경부의 선단면과 상기 고정 경판 상면 사이 간극이 상기 제3 실링부재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경부의 선단면과 상기 소경부의 선단면 사이 거리는 상기 제3 실링부재의 두께보다는 크고 상기 제3 실링부재의 두께와 상기 소경부 삽입홈의 깊이의 합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제1 유입구; 및 상기 제1 유입구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제2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 밸브는, 상기 제1 유입구를 개폐하는 제1 머리부; 상기 제1 머리부를 지지하는 제1 다리부; 상기 제2 유입구를 개폐하는 제2 머리부; 상기 제2 머리부를 지지하는 제2 다리부; 및 상기 제1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를 지지하는 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공간은, 상기 제1 머리부의 리테이너 역할을 하며 상기 제1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제1 경사공간; 및 상기 제2 머리부의 리테이너 역할을 하며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제2 경사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실은, 상기 선회 스크롤의 선회 랩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 스크롤의 고정 랩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압축실; 및 상기 선회 랩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 랩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압축실;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제1 경사공간의 냉매를 상기 외측 압축실로 안내하는 제1 유출구; 및 상기 제2 경사공간의 냉매를 상기 내측 압축실로 안내하는 제2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입구는 각각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경사공간과 상기 제1 유출구를 연통시키는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경사공간과 상기 제2 유출구를 연통시키는 제2 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유로의 폭은 상기 제1 유출구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유로의 폭은 상기 제2 유출구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다리부와 상기 둘레부 사이 연결부위와 상기 제2 다리부와 상기 둘레부 사이 연결부위는 서로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동되어 선회 운동되는 선회 스크롤; 상기 선회 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중간압의 냉매를 상기 압축실로 안내하는 주입 유로; 및 상기 주입 유로를 개폐하는 주입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는, 상기 중간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갖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주입 밸브; 및 상기 주입 밸브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압축실 측으로 안내하는 유출구를 갖는 밸브 플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압축실로부터 토출되는 냉매 토출량을 증가시켜, 압축기의 성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스크롤 압축기에서 리어 하우징 측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스크롤 압축기에서 리어 하우징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의 배면도,
도 7은 도 6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리어 하우징에 수용되는 부품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부품들 중 주입 밸브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주입 밸브 조립체에서 커버 플레이트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주입 밸브 조립체에서 밸브 플레이트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9의 Ⅰ-Ⅰ선을 따라 절개한 사시도,
도 13은 도 8의 부품들 중 고정 스크롤 및 토출 밸브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배면도,
도 15는 도 13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3의 주입구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회전축의 회전각이 제1 각도일 때 고정 랩, 선회 랩 및 주입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도 13의 주입구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회전축의 회전각이 제2 각도일 때 고정 랩, 선회 랩 및 주입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도 13의 주입구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회전축의 회전각이 제3 각도일 때 고정 랩, 선회 랩 및 주입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도 13의 주입구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회전축의 회전각이 제4 각도일 때 고정 랩, 선회 랩 및 주입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도 13의 주입구의 개폐 시기를 도시한 도표,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에서 주입 밸브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주입 밸브와 밸브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23은 도 22의 Ⅲ-Ⅲ선 단면도,
도 24는 도 22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스크롤 압축기에서 리어 하우징 측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스크롤 압축기에서 리어 하우징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사시도로서 리어 하우징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리어 하우징에 수용되는 부품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부품들 중 주입 밸브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주입 밸브 조립체에서 커버 플레이트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주입 밸브 조립체에서 밸브 플레이트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9의 Ⅰ-Ⅰ선을 따라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8의 부품들 중 고정 스크롤 및 토출 밸브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배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6 내지 도 19는 도 13의 주입구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16은 회전축의 회전각이 제1 각도일 때 고정 랩, 선회 랩 및 주입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회전축의 회전각이 제2 각도일 때 고정 랩, 선회 랩 및 주입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회전축의 회전각이 제3 각도일 때 고정 랩, 선회 랩 및 주입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9는 회전축의 회전각이 제4 각도일 때 고정 랩, 선회 랩 및 주입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도 13의 주입구의 개폐 시기를 도시한 도표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에 구비되는 모터(200), 상기 모터(20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00), 상기 회전축(300)에 연동되어 선회 운동되는 선회 스크롤(400) 및 상기 선회 스크롤(400)과 함께 압축실(C)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5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스크롤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에서, 예를 들어 응축기의 하류)로부터 중간압의 냉매를 상기 압축실(C)로 안내하는 주입 유로 및 상기 주입 유로를 개폐하는 주입 밸브 조립체(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입 유로는 후술할 도입포트(133), 도입실(I), 유입구(712), 경사공간(734), 연결유로(738), 유출구(736) 및 주입구(514)를 포함하여 리어 하우징(130)으로부터 상기 고정 스크롤(500)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는 후술할 유입구(712), 경사공간(734), 연결유로(738) 및 유출구(736)를 포함하며 리어 하우징(130)과 상기 고정 스크롤(5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00)이 관통하는 센터 하우징(110), 상기 센터 하우징(110)과 함께 상기 모터(200)가 수용되는 모터 수용공간(S1)을 형성하는 프론트 하우징(120) 및 상기 센터 하우징(110)과 함께 상기 선회 스크롤(400)과 상기 고정 스크롤(500)이 수용되는 스크롤 수용공간(S2)을 형성하는 리어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터 하우징(110)은, 상기 모터 수용공간(S1)과 상기 스크롤 수용공간(S2)을 구획하며 상기 선회 스크롤(400) 및 사익 고정 스크롤(500)을 지지하는 센터 경판(112) 및 상기 센터 경판(112)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프론트 하우징(120) 측으로 돌출되는 센터 측판(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터 경판(112)은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센터 경판(112)의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부가 관통하는 축수공(112a) 및 상기 선회 스크롤(400)을 상기 고정 스크롤(500) 측으로 가압하는 배압실(112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부에는 상기 회전축(300)의 회전 운동을 상기 선회 스크롤(400)의 선회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편심 부시(310)가 형성되고, 상기 배압실(112b)은 상기 편심 부시(310)가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센터 경판(112)의 외주부에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모터 수용공간(S1)으로 유입되는 냉매를 상기 스크롤 수용공간(S2)으로 안내하는 흡입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하우징(120)은, 상기 센터 경판(112)에 대향되고 상기 회전축(30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프론트 경판(122) 및 상기 프론트 경판(122)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센터 측판(114)과 체결되며 상기 모터(200)를 지지하는 프론트 측판(1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터 경판(112), 상기 센터 측판(114), 상기 프론트 경판(122) 및 상기 프론트 측판(124)이 상기 모터 수용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측판(124)에는 외부로부터 흡입압의 냉매를 상기 모터 수용공간(S1)으로 안내하는 흡입포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하우징(130)은, 도 2, 도 3 및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실(C)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토출실(D), 상기 토출실(D)의 냉매를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안내하는 토출포트(131),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중간압의 냉매가 도입되는 도입포트(133) 및 상기 도입포트(133)를 통해 도입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도입실(I)을 포함하고, 상기 상기 도입실(I)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토출실(D)에 수용되고, 상기 토출포트(13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입실(I)에 수용되며, 상기 도입포트(13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토출실(D)에 수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 하우징(130)은, 상기 센터 경판(112)에 대향되는 리어 경판(132), 상기 리어 경판(132)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리어 하우징(130)의 원주 방향 상 최외곽측에 위치되는 제1 환형벽(134), 상기 리어 경판(132)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환형벽(134)에 수용되는 제2 환형벽(136) 및 상기 리어 경판(132)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환형벽(136)에 수용되는 제3 환형벽(1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환형벽(134)은 상기 센터 경판(112)의 외주부와 대략 동등 수준의 직경을 갖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센터 경판(112)의 외주부에 체결되며, 상기 스크롤 수용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환형벽(136)은 상기 제1 환형벽(134)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후술할 고정 경판(510)의 외주부에 접촉되며, 상기 토출실(D)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환형벽(136)은 후술할 고정 경판(510)에 접촉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리어 하우징(130)이 상기 센터 하우징(110)에 체결될 때 상기 고정 스크롤(500)을 상기 센터 하우징(110)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 스크롤(500)과 상기 센터 하우징(110) 사이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고정 스크롤(500)과 상기 센터 하우징(110) 사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환형벽(138)은 상기 제2 환형벽(136)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후술할 고정 경판(510)으로부터 이격되며, 후술할 커버 플레이트(710)에 의해 복개되어, 상기 도입실(I)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환형벽(138)은,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를 상기 제3 환형벽(138)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볼트(770)가 삽입되는 체결홈(138a) 및 후술할 커버 플레이트(710), 주입 밸브(720) 및 밸브 플레이트(730)를 사전에 결정된 위치로 정렬시키기 위한 위치결정핀(780)이 삽입되는 제1 위치결정홈(138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경판(132)에는 상기 토출포트(131)가 형성되는데, 상기 토출포트(131)는 상기 리어 경판(132)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리어 경판(132)의 외주부 일측으로 상기 리어 경판(132)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경판(132)에는 상기 토출실(D)의 냉매를 상기 토출포트(131)로 안내하는 토출포트 입구(131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포트(131)의 내부에는 냉매로부터 오일을 분리시키는 관형의 오일 세퍼레이터(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미도시)는 상기 토출포트 입구(131a)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미도시)의 외주면과 상기 토출포트(131)의 내주면 사이 공간을 따라 상기 리어 경판(132)의 중심 측으로 유동된 후 전향되어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미도시)의 내주부를 따라 상기 리어 경판(132)의 외주부 일측으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오일과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경판(132)에는 상기 도입포트(133)도 형성되는데, 상기 도입포트(133)는 상기 리어 경판(132)의 외주부 타측으로부터 상기 리어 경판(132)의 중심부로 상기 리어 경판(132)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도입실(I)과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환형벽(138)이 상기 제2 환형벽(136)에 수용되게 형성됨에 따라, 그리고 상기 제3 환형벽(138)이 후술할 고정 경판(510)과 이격되고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에 의해 복개됨에 따라, 상기 도입실(I)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토출실(D)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입실(I)의 측부가 상기 제3 환형벽(138)을 사이에 두고 상기 리어 하우징(130)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토출실(D)과 중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도입실(I)의 선단부가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리어 하우징(130)의 축 방향으로 상기 토출실(D)과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포트(131)가 상기 리어 경판(132)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리어 경판(132)의 외주부 일측으로 상기 리어 경판(132)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상기 토출포트(131)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입실(I)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포트(131)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토출포트(131)의 벽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리어 하우징(130)의 축 방향으로 상기 도입실(I)과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입포트(133)가 상기 리어 경판(132)의 외주부 타측으로부터 상기 리어 경판(132)의 중심부로 상기 리어 경판(132)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상기 도입포트(133)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토출실(D)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입포트(133)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입포트(133)의 벽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리어 하우징(130)의 축 방향으로 상기 토출실(D)과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포트(131)와 상기 도입포트(133)는 상기 토출포트(131)의 냉매와 상기 도입포트(133)의 냉매가 서로 크로스 플로우 방향으로 유동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리어 하우징(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토출포트(131)의 출구와 상기 도입포트(133)의 입구 사이 각도가 0도 이상 90도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측판(124)에 고정되는 고정자(210) 및 상기 고정자(210)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자(210)와의 상호 작용으로 회전되는 회전자(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자(220)에 체결되되 상기 회전자(22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300)의 일단부가 상기 센터 경판(112)의 축수공(112a)을 관통하고 상기 회전축(300)의 타단부가 상기 프론트 경판(122)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선회 스크롤(400)은, 도 2,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 경판(112)과 상기 고정 스크롤(500) 사이에 개재되고, 원판형의 선회 경판(410), 상기 선회 경판(410)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고정 스크롤(500) 측으로 돌출되는 선회 랩(420) 및 상기 선회 경판(410)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선회 랩(420)의 반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편심 부시(310)와 체결되는 보스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스크롤(500)은, 도 2 내지 도 4, 도 8, 도 13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의 고정 경판(510), 상기 고정 경판(510)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선회 랩(420)과 치합되는 고정 랩(520) 및 상기 고정 경판(510)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센터 경판(112)에 체결되는 고정 측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경판(510)은, 상기 압축실(C)의 냉매를 상기 토출실(D)로 토출하는 토출구(512) 및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상기 압축실(C)로 안내하는 주입구(5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512)는 냉매가 과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토출구(512)는 상기 고정 경판(510)과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 사이에 개재되는 토출 밸브(6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실(C)은, 상기 스크롤 수용공간(S2)의 반경방향 상 원심 측에 위치되고 냉매의 압력이 제1 압력 범위인 제1 압축실(C1), 상기 제1 압축실(C1)보다 상기 스크롤 수용공간(S2)의 반경방향 상 구심 측에 위치되고 냉매의 압력이 상기 제1 압력 범위보다 높은 제2 압력 범위인 제2 압축실(C2) 및 상기 제2 압축실(C2)보다 상기 스크롤 수용공간(S2)의 반경방향 상 구심 측에 위치되고 냉매의 압력이 상기 제2 압력 범위보다 높은 제3 압력 범위인 제3 압축실(C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축실(C1), 상기 제2 압축실(C2) 및 상기 제3 압축실(C3)은 각각 두 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압축실(C1)은, 상기 선회 랩(420)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 랩(520)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외측 압축실(C11) 및 상기 선회 랩(420)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 랩(520)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내측 압축실(C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압축실(C2)은, 상기 선회 랩(420)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 랩(520)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외측 압축실(C21) 및 상기 선회 랩(420)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 랩(520)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내측 압축실(C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압축실(C3)은, 상기 선회 랩(420)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 랩(520)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3 외측 압축실(C31) 및 상기 선회 랩(420)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 랩(520)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3 내측 압축실(C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구(512)는, 상기 제3 외측 압축실(C31)과 상기 제3 내측 압축실(C32)의 냉매를 토출하도록 상기 고정 경판(510)의 중심측에 형성되는 메인 토출구(512a), 상기 제2 외측 압축실(C21)의 냉매를 토출하도록 상기 메인 토출구(512a)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 경판(510)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제1 서브 토출구(512b), 상기 제2 내측 압축실(C22)의 냉매를 토출하도록 상기 메인 토출구(512a)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 경판(510)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토출구(512a)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서브 토출구(512b)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 서브 토출구(512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밸브(600)는, 상기 메인 토출구(512a)를 개폐하는 메인 개폐부(610), 상기 제1 서브 토출구(512b)를 개폐하는 제1 서브 개폐부(630), 상기 제2 서브 토출구(512c)를 개폐하는 제2 서브 개폐부(650), 상기 고정 경판(510)에 체결되는 체결부(670), 상기 메인 개폐부(610)로부터 상기 체결부(670)까지 연장되는 메인 지지부(620), 상기 제1 서브 개폐부(630)로부터 상기 체결부(670)까지 연장되는 제1 서브 지지부(640) 및 상기 제2 서브 개폐부(650)로부터 상기 체결부(670)까지 연장되는 제2 서브 지지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외측 압축실(C31)과 상기 제3 내측 압축실(C32)의 압력이 토출압 수준에 이르면 상기 메인 개폐부(610)가 상기 메인 토출구(512a)를 개방하는데, 상기 제2 외측 압축실(C21)의 압력이 상기 제2 압력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제1 서브 개폐부(630)가 상기 제1 서브 토출구(512b)를 개방하여 상기 제2 외측 압축실(C21)의 압력을 상기 제2 압력범위에 포함되는 수준으로 낮추고, 상기 제2 내측 압축실(C22)의 압력이 상기 제2 압력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제2 서브 개폐부(650)가 상기 제2 서브 토출구(512c)를 개방하여 상기 제2 내측 압축실(C22)의 압력을 상기 제2 압력범위에 포함되는 수준으로 낮추어, 상기 메인 토출구(512a)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이 토출압보다 과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과압축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서브 토출구(512b)와 상기 제2 서브 토출구(512c)는 상기 제2 외측 압축실(C21)과 상기 제2 내측 압축실(C22) 사이 압력 불균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외측 압축실(C21) 및 상기 제2 내측 압축실(C22)과 동시에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서브 토출구(512b)와 상기 제2 외측 압축실(C21) 사이 연통이 개시될 때 상기 제2 서브 토출구(512c)와 상기 제2 내측 압축실(C22) 사이 연통이 개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서브 토출구(512b)와 상기 제2 서브 토출구(512c)는 상기 제2 외측 압축실(C21) 및 상기 제2 내측 압축실(C22)과 동시에 차폐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서브 토출구(512b)와 상기 제2 외측 압축실(C21) 사이 연통이 종료될 때 상기 제2 서브 토출구(512c)와 상기 제2 내측 압축실(C22) 사이 연통이 종료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 밸브(600)는, 상기 토출 밸브(600)에 의한 원가 및 중량 상승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메인 개폐부(610), 상기 제1 서브 개폐부(630), 상기 제2 서브 개폐부(650), 상기 체결부(670), 상기 메인 지지부(620), 상기 제1 서브 지지부(640) 및 상기 제2 서브 지지부(66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670)의 원주방향 폭이 상기 제1 서브 개폐부(630)와 상기 제2 서브 개폐부(650) 사이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며, 하나의 체결부재(680)에 의해 상기 고정 경판(510)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 밸브(600)가 상기 하나의 체결부재(680)에 의해 상기 고정 경판(510)에 체결되더라도 충분한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상기 하나의 체결부재(680)는 상대적으로 두께와 높이가 큰 후술할 고정 랩 초입부(532) 측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밸브(6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부(670)의 폭이 좁게 형성되며 상기 하나의 체결부재(680)에 의해 상기 고정 경판(510)에 체결됨에 따라, 설계 자유도가 낮아 상기 제1 서브 지지부(640)와 상기 제2 서브 지지부(66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주입구(514)와 간섭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서브 지지부(640)와 상기 제2 서브 지지부(66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메인 지지부(620) 측으로 음각지게 형성되는 회피부(6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구(514)는 상기 압축실(C)로 주입되는 냉매의 유량 증가를 위해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514)는, 냉매가 상기 주입구(51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력 손실 및 유량 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주입구(514)는 단면 형상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주입구(514)의 내경은 상기 주입구(514)의 축방향 위치와 무관하게 사전에 결정된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514)는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상기 두 개 한 쌍의 제1 압축실(C1)에 모두 공급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주입구(514)는, 상기 제1 외측 압축실(C11)과 연통 가능한 제1 주입구(514a) 및 상기 제1 내측 압축실(C12)과 연통 가능한 제2 주입구(514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입구(514a)와 상기 제2 주입구(514b)는 상기 제1 서브 토출구(512b)와 상기 제2 서브 토출구(512c)를 잇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입구(514)는, 상기 제1 외측 압축실(C11)과 상기 제1 내측 압축실(C12) 사이 압력 불균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외측 압축실(C11) 및 상기 제1 내측 압축실(C12)과 동시에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주입구(514a)와 상기 제1 외측 압축실(C11) 사이 연통이 개시될 때 상기 제2 주입구(514b)와 상기 제1 내측 압축실(C12) 사이 연통이 개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입구(514)는 상기 제1 외측 압축실(C11) 및 상기 제1 내측 압축실(C12)과 동시에 차폐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주입구(514a)와 상기 제1 외측 압축실(C11) 사이 연통이 종료될 때 상기 제2 주입구(514b)와 상기 제1 내측 압축실(C12) 사이 연통이 종료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경판(510)은,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로부터 상기 제1 주입구(514a)와 상기 제2 주입구(514b)로 냉매가 유동될 때 냉매 누설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경부 삽입홈(5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경판(510)은, 후술할 제1 소경부(732ab)가 삽입되는 제1 소경부 삽입홈(516a) 및 후술할 제2 소경부(732bb)가 삽입되는 제2 소경부 삽입홈(516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경판(510)은,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에 대향되는 고정 경판 상면(510a) 및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의 배면을 이루며 상기 선회 스크롤(400)에 대향되는 고정 경판 하면(51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소경부 삽입홈(516a)은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으로부터 상기 고정 경판 하면(510b) 측으로 음각지게 형성되며 후술할 제1 소경부(732ab)가 삽입되고, 상기 제1 주입구(514a)는 상기 고정 경판 하면(510b)으로부터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 측으로 음각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소경부 삽입홈(516a)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소경부 삽입홈(516b)은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으로부터 상기 고정 경판 하면(510b) 측으로 음각지게 형성되며 후술할 제2 소경부(732bb)가 삽입되고, 상기 제2 주입구(514b)는 상기 고정 경판 하면(510b)으로부터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 측으로 음각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소경부 삽입홈(516b)과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제1 소경부(732ab)가 상기 제1 소경부 삽입홈(516a)에 삽입 가능하도록, 그리고 냉매가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로부터 상기 제1 주입구(514a)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압력 손실 및 유량 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1 소경부(732ab)의 내경(후술할 제1 유출구(736a)의 내경)은 상기 제1 주입구(514a)의 내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소경부 삽입홈(516a)의 내경은 후술할 제1 소경부(732ab)의 외경과 동등 수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후술할 제1 소경부(732ab)의 외경이 후술할 제1 소경부(732ab)의 내경보다 크므로, 상기 제1 소경부 삽입홈(516a)의 내경은 상기 제1 주입구(514a)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제2 소경부(732bb)가 상기 제2 소경부 삽입홈(516b)에 삽입 가능하도록, 그리고 냉매가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로부터 상기 제2 주입구(514b)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압력 손실 및 유량 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후술할 제2 소경부(732bb)의 내경(후술할 제2 유출구(736b)의 내경)은 상기 제2 주입구(514b)의 내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소경부 삽입홈(516b)의 내경은 후술할 제2 소경부(732bb)의 외경과 동등 수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후술할 제2 소경부(732bb)의 외경이 후술할 제2 소경부(732bb)의 내경보다 크므로, 상기 제2 소경부 삽입홈(516b)의 내경은 상기 제2 주입구(514b)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랩(520)은 상기 고정 스크롤(500)의 중심측으로부터 상기 고정 스크롤(500)의 외주부 측으로 예를 들어 대수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측판(530)은 상기 고정 경판(510)의 외주부를 따라 연장되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고정 랩(520)과 연결되는 고정 랩 초입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랩 초입부(532)는, 상기 압축실(C)의 냉매가 상기 고정 랩 초입부(532)를 통해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 랩 초입부(532)의 축방향 높이가 상기 고정 랩(520)의 축방향 높이와 동등 수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랩 초입부(532)는, 상기 고정 랩(520)의 지지 강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고정 랩 초입부(532)의 반경방향 두께가 상기 고정 랩(520)의 반경방향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스크롤(500)의 중량 및 원가 절감을 위해, 상기 고정 측판(530)은 상기 고정 랩 초입부(532)를 제외한 부위의 반경방향 두께가 상기 고정 랩 초입부(532)의 반경방향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는 상기 도입실(I)과 상기 주입구(514) 사이를 연통 및 차폐시키도록 상기 제3 환형벽(138)의 선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는, 도 2 내지 도 4 및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환형벽(138)의 선단면에 체결되어 상기 도입실(I)을 복개하는 커버 플레이트(710),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를 기준으로 상기 도입실(I)의 반대측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에 체결되는 밸브 플레이트(730)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와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 사이에 개재되는 주입 밸브(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는, 상기 도입실(I)과 상기 제3 환형벽(138)에 대향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면(710a),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와 상기 주입 밸브(720)에 대향되는 커버 플레이트 하면(710b)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의 중심부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 하면(710b)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되는 주입 밸브 안착홈(710c)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는, 상기 도입실(I)과 후술할 경사공간(734)을 연통시키는 유입구(712), 상기 체결홈(138a)과 연통되고 상기 체결볼트(770)에 의해 관통되는 제2 체결홀(714) 및 상기 제1 위치결정홈(138b)에 연통되고 상기 위치결정핀(780)에 의해 관통되는 제1 위치결정홀(7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712)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면(710a)으로부터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710c)까지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홀(714)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면(710a)으로부터 상기 커버 플레이트 하면(710b)까지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결정홀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의 반경방향 상 상기 유입구(712)와 상기 제2 체결홀(714)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면(710a)으로부터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710c)까지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 밸브(720)는, 상기 유입구(712)를 개폐하는 머리부(722), 상기 머리부(722)를 지지하는 다리부(724) 및 상기 다리부(724)를 지지하는 둘레부(7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722)는 외경이 상기 유입구(712)의 내경보다 큰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724)는 상기 머리부(722)로부터 상기 둘레부(726)의 일측까지 일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둘레부(726)는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710c)에 수용되면서 상기 머리부(722)와 상기 다리부(724)를 수용하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둘레부(726)는 상기 제1 위치결정홀(716)에 연통되고 상기 위치결정핀(780)에 의해 관통되는 제2 위치결정홀(726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입 밸브(720)는, 상기 주입 밸브(72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상기 둘레부(726)가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710c)과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 사이에서 압착됨으로써 고정되도록, 상기 둘레부(726)의 축방향 두께가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710c)의 축방향 깊이(더욱 정확히는, 주입 밸브 안착홈(710c)의 기저면과 후술할 밸브 플레이트 상면(730a) 사이 거리)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차에 의해 상기 둘레부(726)가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710c)과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 사이에서 압착되지 않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기 둘레부(726)의 축방향 두께가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710c)의 축방향 깊이보다 크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 및 상기 주입 밸브(720)에 대향되는 밸브 플레이트 상면(730a) 및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면(730a)의 배면을 이루면서 상기 고정 스크롤(500)에 대향되는 밸브 플레이트 하면(73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 하면(730b) 으로부터 상기 제1 주입구(514a)와 상기 제2 주입구(514b)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7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 하면(730b)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주입구(514a) 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732a) 및 상기 밸브 플레이트 하면(730b)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2 주입구(514b) 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732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는, 상기 주입 밸브(720)의 리테이너 역할을 하며 상기 유입구(712)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경사공간(734), 상기 제1 돌출부(732a)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주입구(514a)와 연통되는 제1 유출구(736a), 상기 제2 돌출부(732b)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주입구(514b)와 연통되는 제2 유출구(736b), 상기 경사공간(734)의 냉매를 상기 제1 유출구(736a)로 안내하는 제1 연결유로(738a), 상기 경사공간(734)의 냉매를 상기 제2 유출구(736b)로 안내하는 제2 연결유로(73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면(730a)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 하면(710b)과 상기 주입 밸브(720)의 둘레부(726)에 접촉되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공간(734)은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면(730a)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공간(734)은, 상기 주입 밸브(720)가 상기 유입구(712)를 개방할 때 상기 주입 밸브(720)의 머리부(722)와 다리부(724)를 지지하는 리테이너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출구(736a)는 상기 제1 돌출부(732a)의 선단면(더욱 정확히는, 후술할 제1 소경부(732ab)의 선단면)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출구(736b)는 상기 제2 돌출부(732b)의 선단면(더욱 정확히는, 후술할 제2 소경부(732bb)의 선단면)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유로(738a)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면(730a)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공간(734)의 일측과 상기 제1 유출구(736a)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유로(738b)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면(730a)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공간(734)의 타측과 상기 제2 유출구(736b)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플레이트 하면(730b)은, 상기 토출 밸브(600)가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과 상기 밸브 플레이트 하면(730b) 사이에 개재되도록, 그리고 상기 토출구(512)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상기 토출실(D)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732a)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 하면(730b)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주입구(514a) 측으로 돌출되는 제1 대경부(732aa) 및 상기 상기 제1 대경부(732aa)로부터 상기 제1 주입구(514a) 측으로 더 돌출되는 제1 소경부(732a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대경부(732aa)는, 상기 제1 대경부(732aa)가 상기 제1 소경부 삽입홈(516a)에 삽입되지 않도록, 그리고, 후술할 제3 실링부재(760)가 상기 제1 대경부(732aa)의 선단면과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 사이에서 압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대경부(732aa)의 외경이 상기 제1 소경부 삽입홈(516a)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소경부(732ab)는, 상기 제1 소경부(732ab)가 상기 제1 소경부 삽입홈(516a)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소경부(732ab)의 외경이 상기 제1 대경부(732aa)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제1 소경부 삽입홈(516a)의 내경과 동등 수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소경부(732ab)는, 상기 제1 소경부(732ab)의 선단면이 상기 제1 소경부 삽입홈(516a)의 기저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그리고 상기 제1 대경부(732aa)의 선단면과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 사이 간극이 후술할 제3 실링부재(760)의 변형 전 두께(고정 경판 상면(510a)과 제1 대경부(732aa)의 선단면 사이에 압착되기 전 두께)보다 작거나 같아져 후술할 제3 실링부재(760)가 상기 제1 대경부(732aa)의 선단면과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 사이에서 압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소경부(732ab)의 돌출길이(제1 대경부(732aa)의 선단면과 제1 소경부(732ab)의 선단면 사이 축방향 거리)가 후술할 제3 실링부재(760)의 변형 전 두께보다는 크고 후술할 제3 실링부재(760)의 변형 전 두께와 상기 제1 소경부 삽입홈(516a)의 축방향 깊이의 합보다는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차에 의해 후술할 제3 실링부재(760)가 상기 제1 대경부(732aa)의 선단면과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 사이에서 압착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제1 소경부(732ab)의 돌출길이가 후술할 제3 실링부재(760)의 변형 전 두께보다는 크고 후술할 제3 실링부재(760)의 변형 전 두께와 상기 제1 소경부 삽입홈(516a)의 축방향 깊이의 합보다는 작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732b)는 상기 제1 돌출부(732a)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돌출부(732b)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 하면(730b)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2 주입구(514b) 측으로 돌출되는 제2 대경부(732ba) 및 상기 상기 제2 대경부(732ba)로부터 상기 제2 주입구(514b) 측으로 더 돌출되는 제2 소경부(732b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대경부(732ba)는, 상기 제2 대경부(732ba)가 상기 제2 소경부 삽입홈(516b)에 삽입되지 않도록, 그리고, 후술할 제3 실링부재(760)가 상기 제2 대경부(732ba)의 선단면과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 사이에서 압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대경부(732ba)의 외경이 상기 제2 소경부 삽입홈(516b)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소경부(732bb)는, 상기 제2 소경부(732bb)가 상기 제2 소경부 삽입홈(516b)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소경부(732bb)의 외경이 상기 제2 대경부(732ba)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제2 소경부 삽입홈(516b)의 내경과 동등 수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소경부(732bb)는, 상기 제2 소경부(732bb)의 선단면이 상기 제2 소경부 삽입홈(516b)의 기저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그리고 상기 제2 대경부(732ba)의 선단면과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 사이 간극이 후술할 제3 실링부재(760)의 변형 전 두께(고정 경판 상면(510a)과 제2 대경부(732ba)의 선단면 사이에 압착되기 전 두께)보다 작거나 같아져 후술할 제3 실링부재(760)가 상기 제2 대경부(732ba)의 선단면과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 사이에서 압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소경부(732bb)의 돌출길이(제2 대경부(732ba)의 선단면과 제2 소경부(732bb)의 선단면 사이 축방향 거리)가 후술할 제3 실링부재(760)의 변형 전 두께보다는 크고 후술할 제3 실링부재(760)의 변형 전 두께와 상기 제2 소경부 삽입홈(516b)의 축방향 깊이의 합보다는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차에 의해 후술할 제3 실링부재(760)가 상기 제2 대경부(732ba)의 선단면과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 사이에서 압착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제2 소경부(732bb)의 돌출길이가 후술할 제3 실링부재(760)의 변형 전 두께보다는 크고 후술할 제3 실링부재(760)의 변형 전 두께와 상기 제2 소경부 삽입홈(516b)의 축방향 깊이의 합보다는 작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는, 상기 제2 체결홀(714)에 연통되도록,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770)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의 외주부에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면(730a)으로부터 상기 밸브 플레이트 하면(730b)까지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체결홀(739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는, 상기 제2 위치결정홀(726a)에 연통되도록,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핀(780)이 삽입되도록,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면(730a)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되는 제2 위치결정홈(739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는 상기 위치결정핀(780), 상기 제1 위치결정홀(716), 상기 제2 위치결정홀(726a), 상기 제1 위치결정홈(138b) 및 상기 제2 위치결정홈(739b)에 의해 정렬된 다음, 상기 체결볼트(770), 상기 제1 체결홀(739a), 상기 제2 체결홀(714) 및 상기 체결홈(138a)에 의해 상기 리어 하우징(130)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결정핀(780)의 일단부가 상기 제1 위치결정홀(716)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위치결정홈(138b)에 삽입되고, 상기 위치결정핀(780)의 타단부가 상기 제2 위치결정홀(726a)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위치결정홈(739b)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 상기 주입 밸브(720) 및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가 사전에 결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770)가 상기 제1 체결홀(739a)과 상기 제2 체결홀(714)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138a)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가 상기 리어 하우징(130)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가 상기 리어 하우징(130)에 체결될 때,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면(710a)과 상기 제3 환형벽(138) 사이에 제1 실링부재(740)가 개재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면(730a)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 하면(710b) 사이에 제2 실링부재(750)가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가 상기 고정 스크롤(500)과 체결될 때, 상기 대경부(732aa, 732ba)의 선단면과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 사이에 제3 실링부재(760)가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실링부재(7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실링부재(760)가 상기 대경부(732aa, 732ba)의 선단면과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상기 제3 실링부재(760)의 변형 전 두께가 상기 대경부(732aa, 732ba)의 선단면과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 사이 간극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718과 719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에 형성되는 제1 그루브(718)와 제2 그루브(719)이고, 미설명부호 518과 519는 상기 고정 경판(510)에 형성되는 제3 그루브(518)와 제4 그루브(519)이다.
상기 제1 그루브(718)는 상기 주입 밸브(720)의 머리부(722)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 사이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상기 주입 밸브(720)의 머리부(722)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 사이 충돌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리고 이물질을 포집 및 배출시켜 상기 주입 밸브(720)의 머리부(722)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710c)으로부터 음각지면서 상기 유입구(712)의 주위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그루브(718)의 내주부는 상기 주입 밸브(720)의 머리부(722)의 외주부와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루브(718)의 외주부는 상기 주입 밸브(720)의 머리부(722)와 축방향으로 비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그루브(718)의 내경은 상기 주입 밸브(720)의 머리부(72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루브(718)의 외경은 상기 주입 밸브(720)의 머리부(72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그루브(718)의 외경이 상기 주입 밸브(720)의 머리부(72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1 그루브(718)에 포집된 이물질이 상기 경사공간(734) 측으로 배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 그루브(719)는 이물질을 포집 및 배출시켜 상기 주입 밸브(720)의 다리부(724)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 밸브(720)의 다리부(724)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710c)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그루브(719)는 장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루브(719)의 중심부는 상기 주입 밸브(720)의 다리부(724)와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루브(719)의 양단부는 상기 주입 밸브(720)의 다리부(724)와 축방향으로 비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그루브(719)의 장축방향과 상기 주입 밸브(720)의 다리부(724)의 폭방향이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2 그루브(719)의 장축길이가 상기 주입 밸브(720)의 다리부(724)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그루브(719)의 장축길이가 상기 주입 밸브(720)의 다리부(724)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2 그루브(719)에 포집된 이물질이 상기 경사공간(734) 측으로 배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3 그루브(518)는 상기 제1 그루브(718)와 유사하게 상기 토출 밸브(600)의 메인 개폐부(610)와 상기 고정 경판(510) 사이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상기 토출 밸브(600)의 메인 개폐부(610)와 상기 고정 경판(510) 사이 충돌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리고 이물질을 포집 및 배출시켜 상기 토출 밸브(600)의 메인 개폐부(610)와 상기 고정 경판(510)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8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으로부터 음각지면서 상기 메인 토출구(512a)의 주위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그루브(518)의 내주부는 상기 토출 밸브(600)의 개폐부의 외주부와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그루브(518)의 외주부는 상기 토출 밸브(600)의 개폐부와 축방향으로 비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그루브(518)의 내경은 상기 토출 밸브(600)의 개폐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3 그루브(518)의 외경은 상기 토출 밸브(600)의 개폐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그루브(518)의 외경이 상기 토출 밸브(600)의 개폐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3 그루브(518)에 포집된 이물질이 상기 토출실(D) 측으로 배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4 그루브(519)는 상기 제2 그루브(719)와 유사하게 이물질을 포집 및 배출시켜 상기 토출 밸브(600)의 메인 지지부(620), 제1 서브 지지부(640) 및 제2 서브 지지부(660)(이하, 지지부)와 상기 고정 경판(510)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8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 밸브(600)의 지지부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 경판 상면(510a)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그루브(519)는 장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 그루브(519)의 중심부는 상기 토출 밸브(600)의 지지부와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4 그루브(519)의 양단부는 상기 토출 밸브(600)의 지지부와 축방향으로 비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 그루브(519)의 장축방향과 상기 토출 밸브(600)의 지지부의 폭방향이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4 그루브(519)의 장축길이가 상기 토출 밸브(600)의 지지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그루브(519)의 장축길이가 상기 토출 밸브(600)의 지지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4 그루브(519)에 포집된 이물질이 상기 토출실(D) 측으로 배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즉, 상기 모터(2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회전축(300)이 상기 회전자(2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회 스크롤(400)이 상기 편심 부시(310)를 통해 상기 회전축(30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선회 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실(C)은 중심측을 향해 지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체적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압의 냉매는 상기 흡입포트(미도시), 상기 모터 수용공간(S1), 상기 흡입유로(미도시) 및 상기 스크롤 수용공간(S2)을 통해 상기 압축실(C)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실(C)로 흡입된 냉매는 상기 압축실(C)의 이동경로를 따라 중심측으로 이동되면서 압축되어 상기 토출구(512)를 통해 상기 토출실(D)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실(D)로 토출된 토출압의 냉매는 상기 토출포트(131)를 통해 압축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는, 중간압의 냉매를 상기 압축실(C)로 안내하는 주입 유로(도입포트(133), 도입실(I), 주입 밸브 조립체(700), 주입구(514))를 포함하여, 흡입압의 냉매 뿐만 아니라 중간압의 냉매까지 압축하여 토출함에 따라, 흡입압의 냉매만을 흡입 및 압축하여 토출할 때보다 냉매 토출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압축기의 성능 및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별개의 하우징(100)을 따라 구비하지 않고, 상기 리어 하우징(130)이 상기 토출실(D) 및 상기 토출포트(131) 뿐만 아니라 상기 도입포트(133) 및 상기 도입실(I)까지 포함함에 따라, 즉, 상기 토출실(D), 상기 토출포트(131), 상기 도입포트(133) 및 상기 도입실(I)을 갖는 상기 리어 하우징(130)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누설 가능성이 감소되고, 크기, 원가 및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입실(I)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토출실(D)에 수용됨에 따라, 즉 상기 도입실(I)의 측부가 상기 제3 환형벽(138)을 사이에 두고 상기 토출실(D)과 중첩되고, 상기 도입실(I)의 선단부가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토출실(D)과 중첩됨에 따라, 상기 주입구(514)로 안내되는 냉매는 상기 제3 환형벽(138)과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를 통해 상기 토출실(D)의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입실(I)의 냉매 및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를 통과하는 냉매가 상기 토출실(D)의 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액냉매가 상기 주입구(514)를 통해 상기 압축실(C)로 주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포트(131)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입실(I)에 수용됨에 따라, 즉 상기 토출포트(131)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토출포트(131)의 벽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도입실(I)과 중첩됨에 따라, 상기 도입실(I)의 냉매는 상기 도입실(I)에 수용된 토출포트(131)의 벽부를 통해 상기 토출포트(131)의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입실(I)의 냉매가 상기 토출포트(131)의 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액냉매가 상기 주입구(514)를 통해 상기 압축실(C)로 주입되는 것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입포트(133)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토출실(D)에 수용됨에 따라, 즉 상기 도입포트(133)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입포트(133)의 벽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토출실(D)과 중첩됨에 따라, 상기 도입포트(133)의 냉매는 상기 토출실(D)에 수용된 도입포트(133)의 벽부를 통해 상기 토출실(D)의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입포트(133)의 냉매가 상기 토출실(D)의 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액냉매가 상기 주입구(514)를 통해 상기 압축실(C)로 주입되는 것이 더욱 더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포트(131)의 냉매와 상기 도입포트(133)의 냉매가 서로 크로스 플로우 방향으로 유동됨에 따라, 즉 상기 리어 하우징(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토출포트(131)의 출구와 상기 도입포트(133)의 입구 사이 각도가 0도 이상 90도 미만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도입포트(133)의 냉매는 상기 토출포트(131)의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입포트(133)의 냉매가 상기 토출포트(131)의 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액냉매가 상기 주입구(514)를 통해 상기 압축실(C)로 주입되는 것이 더욱 더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 상기 주입 밸브(720) 및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가 상기 주입 유로의 일부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주입 밸브(720)의 리테이너 역할까지 수행함에 따라, 즉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가 상기 경사공간(734)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의 부품수, 크기, 원가 및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 밸브(720)는 상기 주입 밸브(720)의 둘레부(726)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더욱 정확히는, 주입 밸브 안착홈(710c))와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 사이에서 압착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주입 밸브(720)를 상기 커버 플레이트(710)와 상기 밸브 플레이트(730)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삭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의 부품수, 크기, 원가 및 중량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는 상기 위치결정핀(780)에 의해 사전에 정렬된 후 상기 체결볼트(770)에 의해 한번에 상기 리어 하우징(130)에 체결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조립성 및 조립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514)는 상기 두 개 한 쌍의 압축실(C)과 동시에 연통되게 형성됨에 따라, 즉 상기 제1 주입구(514a)와 상기 제1 외측 압축실(C11) 사이 연통이 개시될 때 상기 제2 주입구(514b)와 상기 제1 내측 압축실(C12) 사이 연통이 개시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외측 압축실(C11)과 상기 제1 내측 압축실(C12) 사이 압력 불균형이 억제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400)의 이상 거동(예를 들어, 전복)이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상기 주입구(514)는 상기 두 개 한 쌍의 압축실(C)과 동시에 차폐되게 형성됨에 따라, 즉 상기 제1 주입구(514a)와 상기 제1 외측 압축실(C11) 사이 연통이 종료될 때 상기 제2 주입구(514b)와 상기 제1 내측 압축실(C12) 사이 연통이 종료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외측 압축실(C11)과 상기 제1 내측 압축실(C12) 사이 압력 불균형이 더욱 억제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400)의 이상 거동(예를 들어, 전복)이 더욱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입구(514)가 상기 두 개 한 쌍의 압축실(C)과 동시에 연통되는 시점 및 상기 주입구(514)는 상기 두 개 한 쌍의 압축실(C)과 동시에 차폐되는 시점은 스크롤의 압축기의 성능과 효율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700)는 상기 도입실(I)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상기 경사공간(734)에서 분기시켜 상기 제1 주입구(514a) 및 상기 제2 주입구(514b)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유입구(712), 상기 주입 밸브(720)의 머리부(722), 상기 주입 밸브(720)의 다리부(724) 및 상기 경사공간(734)은 각각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유로(738) 및 상기 유출구(736)는 각각 두 개로 형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주입구(514a)와 상기 제2 주입구(514b)로 분배되는 냉매의 유량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연결유로(738a)와 상기 제1 유출구(736a)가 상기 제2 연결유로(738b) 및 상기 제2 유출구(736b)와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경우, 유동 저항 차이에 의해 상기 제1 주입구(514a)와 상기 제2 주입구(514b)에 분배되는 냉매의 유량이 더욱 불균등해질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 밸브 조립체(700)는 도입실(I)의 일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제1 주입구(514a)로 안내하고, 이와 독립적으로 도입실(I)의 타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제2 주입구(514b)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구(712)는, 도입실(I)의 일측과 연통되는 제1 유입구(712a) 및 상기 제1 유입구(712a)와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입실(I)의 타측과 연통되는 제2 유입구(71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입구(712a)와 상기 제2 유입구(712b)는 밸브 리프팅 포스(valve lifting force) 및 냉매 유입 유량 최대화를 위해 각각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주입 밸브(720)는, 상기 제1 유입구(712a)를 개폐하는 제1 머리부(722a), 상기 제1 머리부(722a)를 지지하는 제1 다리부(724a), 상기 제2 유입구(712b)를 개폐하는 제2 머리부(722b), 상기 제2 머리부(722b)를 지지하는 제2 다리부(724b) 및 상기 제1 다리부(724a)와 상기 제2 다리부(724b)를 지지하는 둘레부(72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머리부(722a), 상기 제1 다리부(724a), 상기 제2 머리부(722b), 상기 제2 다리부(724b) 및 상기 둘레부(726)는 부품수, 크기, 원가 및 중량 감소를 위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다리부(724a)와 상기 제2 다리부(724b)는 서로 평행하면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다리부(724a)와 상기 둘레부(726) 사이 연결부위와 상기 제2 다리부(724b)와 상기 둘레부(726) 사이 연결부위가 서로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이 컴팩트화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다리부(724a)와 상기 제2 다리부(724b)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공간(734)은, 상기 제1 머리부(722a)의 리테이너 역할을 하며 상기 제1 유입구(712a)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제1 경사공간(734a) 및 상기 제2 머리부(722b)의 리테이너 역할을 하며 상기 제2 유입구(712b)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제2 경사공간(734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경사공간(734a)과 상기 제2 경사공간(734b)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 경사공간(734a)의 리테이너면과 상기 제2 경사공간(734b)의 리테이너면은 상기 제1 다리부(724a) 및 상기 제2 다리부(724b)에 대응되도록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유출구(736)는 상기 제1 주입구(514a)와 연통되는 제1 유출구(736a) 및 상기 제2 주입구(514b)와 연통되는 제2 유출구(736b)를 포함하고, 연결유로(738)는 상기 제1 경사공간(734a)과 상기 제1 유출구(736a)를 연통시키는 제1 연결유로(738a) 및 상기 제2 경사공간(734b)과 상기 제2 유출구(736b)를 연통시키는 제2 연결유로(738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로(738)와 상기 유출구(736)는, 냉매가 상기 연결유로(738)와 상기 유출구(736)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력 손실 및 유량 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연결유로(738a)의 폭이 상기 제1 유출구(736a)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유로(738b)의 폭이 상기 제2 유출구(736b)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도입실(I)의 냉매가 독립적으로 상기 제1 주입구(514a)와 상기 제2 주입구(514b)로 안내됨에 따라, 상기 제1 주입구(514a)와 상기 제2 주입구(514b)로 분배되는 냉매의 유량이 서로 균등해질 수 있다.
100: 하우징 110: 센터 하우징
120: 프론트 하우징 130: 리어 하우징
131: 토출포트 133: 도입포트
134: 제1 환형벽 136: 제2 환형벽
138: 제3 환형벽 200: 모터
300: 회전축 400: 선회 스크롤
420: 선회 랩 500: 고정 스크롤
510a: 고정 경판 상면 510b: 고정 경판 하면
514: 주입구 516: 소경부 삽입홈
520: 고정 랩 700: 주입 밸브 조립체
710: 커버 플레이트 710a: 커버 플레이트 상면
710b: 커버 플레이트 하면 710c: 주입 밸브 안착홈
712: 유입구 712a: 제1 유입구
712b: 제2 유입구 718: 제1 그루브
719: 제2 그루브 720: 주입 밸브
722: 머리부 722a: 제1 머리부
722b: 제2 머리부 724: 다리부
724a: 제1 다리부 724b: 제2 다리부
726: 둘레부 730: 밸브 플레이트
730a: 밸브 플레이트 상면 730b: 밸브 플레이트 하면
732: 돌출부 732aa: 제1 대경부
732ab: 제1 소경부 732ba: 제2 대경부
732bb: 제2 소경부 734: 경사공간
734a: 제1 경사공간 734b: 제2 경사공간
736: 유출구 736a: 제1 유출구
736b: 제2 유출구 738: 연결유로
738a: 제1 연결유로 738b: 제2 연결유로
740: 제1 실링부재 750: 제2 실링부재
760: 제3 실링부재 S1: 모터 수용공간
S2: 스크롤 수용공간

Claims (21)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동되어 선회 운동되는 선회 스크롤;
    상기 선회 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중간압의 냉매를 상기 압축실로 안내하는 주입 유로; 및
    상기 주입 유로를 개폐하는 주입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 밸브 조립체는, 상기 중간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갖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주입 밸브; 및 상기 주입 밸브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압축실 측으로 안내하는 유출구를 갖는 밸브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상기 주입 밸브의 리테이너 역할을 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경사공간을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압축실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토출실, 상기 토출실의 냉매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안내하는 토출포트,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중간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도입포트 및 상기 도입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도입실을 갖는 리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도입실을 복개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도입실과 연통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도입실의 반대측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체결되고,
    상기 주입 밸브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밸브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도입실에 대향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면; 및 상기 밸브 플레이트와 상기 주입 밸브에 대향되는 커버 플레이트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면과 상기 제3 환형벽 사이에는 제1 실링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 하면에는 상기 주입 밸브가 안착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 하면으로부터 음각진 주입 밸브 안착홈이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밸브는,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를 지지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를 지지하는 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의 깊이는 상기 둘레부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면으로부터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까지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에는 상기 유입구의 주위를 둘러싸고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으로부터 음각진 제1 그루브가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의 내주부는 상기 주입 밸브의 머리부의 외주부와 중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루브의 외주부는 상기 주입 밸브의 머리부와 비중첩되게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에서 상기 주입 밸브의 다리부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주입 밸브 안착홈으로부터 음각진 제2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루브의 일부는 상기 주입 밸브의 다리부와 중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루브의 일부는 상기 주입 밸브의 다리부와 비중첩되게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대향되는 밸브 플레이트 상면;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향되는 밸브 플레이트 하면; 및
    상기 밸브 플레이트 하면으로부터 상기 고정 스크롤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면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 하면과 상기 주입 밸브의 둘레부에 접촉되게 형성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면과 커버 플레이트 하면 사이에는 제2 실링부재가 개재되는 스크롤 압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공간은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면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되고, 상기 주입 밸브가 상기 유입구를 개방할 때 상기 주입 밸브의 머리부와 다리부를 지지하는 리테이너 면을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면에는 상기 경사공간과 상기 유출구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 하면으로부터 상기 고정 스크롤 측으로 돌출되며 사전에 결정된 제1 외경을 갖는 대경부; 및 상기 대경부로부터 상기 고정 스크롤 측으로 더 돌출되며 상기 제1 외경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갖는 소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스크롤은, 상기 대경부에 대향되는 고정 경판 상면; 상기 고정 경판 상면의 배면을 이루는 고정 경판 하면; 상기 고정 경판 상면으로부터 상기 고정 경판 하면 측으로 음각지게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가 삽입되는 소경부 삽입홈; 및 상기 고정 경판 하면으로부터 상기 고정 경판 상면 측으로 음각지게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 삽입홈과 연통되는 주입구;를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 삽입홈의 내경은 상기 주입구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의 내경은 상기 주입구의 축방향 위치와 무관하게 사전에 결정된 값으로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의 선단면과 상기 고정 경판 상면 사이에 제3 실링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제3 실링부재가 상기 대경부의 선단면과 상기 고정 경판 상면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상기 대경부의 선단면과 상기 고정 경판 상면 사이 간극이 상기 제3 실링부재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의 선단면과 상기 소경부의 선단면 사이 거리는 상기 제3 실링부재의 두께보다는 크고 상기 제3 실링부재의 두께와 상기 소경부 삽입홈의 깊이의 합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제1 유입구; 및 상기 제1 유입구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제2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 밸브는, 상기 제1 유입구를 개폐하는 제1 머리부; 상기 제1 머리부를 지지하는 제1 다리부; 상기 제2 유입구를 개폐하는 제2 머리부; 상기 제2 머리부를 지지하는 제2 다리부; 및 상기 제1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를 지지하는 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공간은, 상기 제1 머리부의 리테이너 역할을 하며 상기 제1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제1 경사공간; 및 상기 제2 머리부의 리테이너 역할을 하며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수용하는 제2 경사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실은, 상기 선회 스크롤의 선회 랩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 스크롤의 고정 랩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압축실; 및 상기 선회 랩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 랩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압축실;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제1 경사공간의 냉매를 상기 외측 압축실로 안내하는 제1 유출구; 및 상기 제2 경사공간의 냉매를 상기 내측 압축실로 안내하는 제2 유출구;를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입구는 각각 장공으로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경사공간과 상기 제1 유출구를 연통시키는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경사공간과 상기 제2 유출구를 연통시키는 제2 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유로의 폭은 상기 제1 유출구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유로의 폭은 상기 제2 유출구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다리부와 상기 둘레부 사이 연결부위와 상기 제2 다리부와 상기 둘레부 사이 연결부위는 서로 반대측에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KR1020190089759A 2019-07-24 2019-07-24 스크롤 압축기 KR20210012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759A KR20210012292A (ko) 2019-07-24 2019-07-24 스크롤 압축기
DE112020003568.9T DE112020003568T5 (de) 2019-07-24 2020-07-02 Scrollverdichter
JP2021574324A JP7391115B2 (ja) 2019-07-24 2020-07-02 スクロール圧縮機
US17/596,658 US11953010B2 (en) 2019-07-24 2020-07-02 Scroll compressor
PCT/KR2020/008633 WO2021015439A1 (ko) 2019-07-24 2020-07-02 스크롤 압축기
CN202080043225.9A CN113966439B (zh) 2019-07-24 2020-07-02 涡旋式压缩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759A KR20210012292A (ko) 2019-07-24 2019-07-24 스크롤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292A true KR20210012292A (ko) 2021-02-03

Family

ID=7419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759A KR20210012292A (ko) 2019-07-24 2019-07-24 스크롤 압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53010B2 (ko)
JP (1) JP7391115B2 (ko)
KR (1) KR20210012292A (ko)
CN (1) CN113966439B (ko)
DE (1) DE112020003568T5 (ko)
WO (1) WO20210154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2257A (zh) * 2021-02-19 2022-08-30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涡旋压缩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292A (ko) * 2019-07-24 2021-02-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483A (ko) 2017-02-15 2018-08-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889B1 (ko) * 2003-04-21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JP4131407B2 (ja) * 2004-02-03 2008-08-13 株式会社デンソー 補機駆動型エンジン始動装置
EP2461122B1 (en) * 2009-07-28 2018-12-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pump device, compressor with injection mechanis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croll compressor with injection mechanism
JP5615210B2 (ja) * 2011-03-08 2014-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及びそれ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CN104074752A (zh) * 2013-03-29 2014-10-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涡旋压缩机
KR101642178B1 (ko) 2013-07-02 2016-07-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JP6186973B2 (ja) * 2013-07-18 2017-08-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冷媒圧縮機
JP6187266B2 (ja) 2014-01-08 2017-08-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6187267B2 (ja) * 2014-01-08 2017-08-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6387613B2 (ja) 2014-01-08 2018-09-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2016142258A (ja) * 2015-02-05 2016-08-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1747175B1 (ko) * 2016-02-24 2017-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JP6710545B2 (ja) * 2016-03-04 2020-06-17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圧縮機
CN105952638A (zh) * 2016-06-21 2016-09-21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涡旋压缩机和空调器
CN109983230B (zh) * 2016-11-24 2021-09-1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具有注入功能的压缩机
JP2018123812A (ja) * 2017-02-03 2018-08-09 株式会社デンソー 圧縮機
KR20180093693A (ko) * 2017-02-14 2018-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JP6704501B2 (ja) * 2017-02-17 2020-06-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210012291A (ko) 2019-07-24 2021-02-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20210012292A (ko) * 2019-07-24 2021-02-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US11668304B2 (en) * 2020-02-27 2023-06-06 Gardner Denver, Inc. Low coefficient of expansion rotors for vacuum boost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483A (ko) 2017-02-15 2018-08-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2257A (zh) * 2021-02-19 2022-08-30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涡旋压缩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66439A (zh) 2022-01-21
JP2022536533A (ja) 2022-08-17
US20220299032A1 (en) 2022-09-22
JP7391115B2 (ja) 2023-12-04
CN113966439B (zh) 2023-09-15
WO2021015439A1 (ko) 2021-01-28
US11953010B2 (en) 2024-04-09
DE112020003568T5 (de)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18743A (ko) 스크롤 압축기
JP7366172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7425811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7391115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220118896A (ko) 스크롤 압축기
JP7219827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23514610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210118666A (ko) 스크롤 압축기
JP7437520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US11971030B2 (en) Scroll compressor
CN114174681B (zh) 涡旋式压缩机
CN114651130B (zh) 涡旋压缩机
KR20230149390A (ko) 스크롤 압축기
KR20210144464A (ko) 스크롤 압축기
CN117980604A (zh) 涡旋压缩机
KR20230098434A (ko) 스크롤 압축기
KR20210105539A (ko) 스크롤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