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986A -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986A
KR20210011986A KR1020207036636A KR20207036636A KR20210011986A KR 20210011986 A KR20210011986 A KR 20210011986A KR 1020207036636 A KR1020207036636 A KR 1020207036636A KR 20207036636 A KR20207036636 A KR 20207036636A KR 20210011986 A KR20210011986 A KR 20210011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kin
mass
composit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야 야마시나
아야노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ublication of KR20210011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9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후의 피부에, 건조한 감촉이 억제되면서 보송보송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는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성분 (A): 탈크 및/또는 실리카, 성분 (B): 옥테닐호박산 전분 알루미늄, 성분 (C): 에탄올, 그리고 성분 (D): 물을 함유하고, 상기 성분 (A)의 함유 비율이 0.5∼15.0 질량%, 상기 성분 (B)의 함유 비율이 0.5∼15.0 질량%, 상기 성분 (C)의 함유 비율이 20.0∼70.0 질량%, 상기 성분 (D)의 함유 비율이 10.0∼75.0 질량%인,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이다.

Description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시트 화장료는, 시트 기재(基材)에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켜 형성된다. 시트 화장료로는, 땀, 피지 더러움이나 오래된 각질 등의 더러움을 닦아내어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페이스용이나 보디용의 시트 화장료, 메이크 제거를 주목적으로 하는 클렌징 시트 등의 시트 화장료가 알려져 있다.
종래, 시트 기재에 함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분체를 배합하고, 사용 후의 피부에, 피부를 문지를 때에 피부의 마찰이 낮은 감촉(보송보송한 느낌)을 부여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인용문헌 1 및 2 등에는, 분체의 배합에 의한 하얗게 남는 것을 개선하고, 피부에 보송보송한 느낌을 부여하는 시트 화장료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2-201109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0-1424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시트 화장료에서는, 사용 후에 있어서 보송보송한 느낌을 부여하는 동시에, 피부가 건조한 것과 같은 감촉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다가 알코올 등의 보습제를 시트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건조한 감촉(건조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분체에 의한 보송보송한 느낌이 손상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건조한 감촉이 없이 보송보송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는 시트 화장료를 얻는 것은 곤란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후의 피부에, 건조한 감촉이 억제되면서 보송보송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는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성분 (A): 탈크 및/또는 실리카, 성분 (B): 옥테닐호박산 전분 알루미늄, 성분 (C): 에탄올, 그리고 성분 (D): 물을 함유하고, 성분 (A)의 함유 비율이 0.5∼15.0 질량%, 성분 (B)의 함유 비율이 0.5∼15.0 질량%, 성분 (C)의 함유 비율이 20.0∼70.0 질량%, 성분 (D)의 함유 비율이 10.0∼75.0 질량%인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사용 후의 피부에, 건조한 감촉이 억제되면서 보송보송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성분 (A), 하기 성분 (B), 하기 성분 (C), 및 하기 성분 (D)를 함유하고, 상기 성분 (A)의 함유 비율이 0.5∼15.0 질량%, 상기 성분 (B)의 함유 비율이 0.5∼15.0 질량%, 상기 성분 (C)의 함유 비율이 20.0∼70.0 질량%, 상기 성분 (D)의 함유 비율이 10.0∼75.0 질량%인,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성분 (A): 탈크 및/또는 실리카
성분 (B): 옥테닐호박산 전분 알루미늄
성분 (C): 에탄올
성분 (D): 물
상기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유지, 및 탄소수 12∼22의 지방족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유성 성분의 함유 비율이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시트 기재와, 상기 시트 기재에 함침된 상기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트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의하면, 보송보송한 느낌을 부여한다. 그러면서도, 사용 후의 피부에 피막이 형성된 것과 같은 감촉(피막감)을 부여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건조한 감촉(건조감)을 억제할 수 있어, 피부에 촉촉한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사용 후의 피부의 백탁을 억제할 수 있다.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탈크 및/또는 실리카, 옥테닐호박산 전분 알루미늄, 에탄올, 그리고 물을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탈크 및/또는 실리카를 「성분 (A)」, 옥테닐호박산 전분 알루미늄을 「성분 (B)」, 에탄올을 「성분 (C)」, 물을 「성분 (D)」라고 각각 칭하는 경우가 있다.
즉,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성분 (A), 성분 (B), 성분 (C), 및 성분 (D)를 적어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상기 성분 (A)∼(D)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 예를 들면, 성분 (A), 성분 (B), 성분 (C), 성분 (D), 및 다른 성분 등의 각 성분은, 각각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성분 (A)]
성분 (A)는, 탈크 및/또는 실리카이다. 즉, 성분 (A)는, 탈크 및 실리카의 한쪽 또는 양쪽이다. 성분 (A)를 이용함으로써, 입자가 피부 상(특히 피부 융기부(皮丘))으로 퍼져 마찰을 저감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는데,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사용 후의 피부에 보송보송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 성분 (A)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 탈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장료용 조성물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탈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탈크의 흡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8∼50ml/100g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탈크의 평균 입경 D5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25.0㎛가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화장료용 조성물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리카(무수 규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는, 소수(疏水)화 처리되어 있지 않은 무수 규산(친수성의 실리카)이어도 되고, 소수화 무수 규산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리카는, 아미노산, 에스테르, 또는 레시틴 등으로 표면 처리된 실리카여도 된다. 상기 실리카는, 피부에의 마찰 저항의 저감이 뛰어난 관점에서, 구상(球狀) 실리카가 바람직하고, 진(眞)구상 실리카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의 흡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300ml/100g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20ml/100g이다. 또, 상기 실리카의 평균 입경 D5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15㎛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성분 (A)의 흡유량은 JIS K5101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성분 (A)의 평균 입경 D50은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다.
성분 (A)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탈크의 시판품으로는, 상품명 「탈크 MS」(닛폰 탈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카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상품명 「SILICA PEARL P-4M」, 상품명 「SILICA PEARL 20CG」, 상품명 「HCS 160M5」, 상품명 「SILICA MICRO BEAD BA-1」(이상, 닛키 쇼쿠바이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A)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100 질량%에 대하여, 0.5∼15.0 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7∼14.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3.0 질량%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0.5 질량% 이상인 것에 의해, 피부에의 마찰 저항을 저감하여, 사용 후의 피부에 보송보송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함유량이 15.0 질량% 이하인 것에 의해, 백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성분 (A)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모든 성분 (A)의 함유 비율의 합계이다.
[성분 (B)]
성분 (B)는, 옥테닐호박산 전분 알루미늄이다. 상기 옥테닐호박산 전분 알루미늄은, 옥테닐호박산 전분 Al 또는 옥테닐호박산 옥수수 전분 알루미늄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있다. 성분 (B)를 이용함으로써, 사용 후의 피부에 있어서, 성분 (A)에 의한 보송보송한 느낌을 유지하면서, 피막감을 부여하고, 이것에 의해 건조감을 억제할 수 있다. 성분 (B)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성분 (B)는 분체로서 배합된다. 옥테닐호박산 전분 알루미늄은, 친수화·겔화(소위, α화나 호화(糊化))시키도록 비교적 고온으로 가온(加溫)함으로써, 옥테닐호박산 전분 알루미늄에서 유래하는 증점제로서, 분체상(狀)이 아니게 된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에서는, 성분 (B)는 예를 들면 50℃ 이하의 비교적 저온에서 배합됨으로써, 분체의 상태로 포함된다. 분체로서 성분 (B)를 배합함으로써, 사용 후의 피부에 있어서, 피막감을 유지하면서 건조감을 억제한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성분 (B)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성분 (B)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상품명 「DRY-FLO PURE」(Akzo Nobel Chemicals사 제조), 상품명 「오쿠티에」(니치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B)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100 질량%에 대하여, 0.5∼15.0 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1.0∼14.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3.0 질량%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0.5 질량% 이상인 것에 의해,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가능해져, 성분 (A)에 의한 보송보송한 느낌을 유지하면서, 피막감을 부여하고, 이것에 의해 건조감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함유량이 15.0 질량% 이하인 것에 의해, 백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성분 (B)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모든 성분 (B)의 함유 비율의 합계이다.
[성분 (C)]
성분 (C)는 에탄올이다. 성분 (C)를 이용함으로써,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 소수성인 성분 (B)를 분산시킬 수 있다. 또, 속건성(速乾性)이나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C)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100 질량%에 대하여, 20.0∼70.0 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2.0∼6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60.0 질량%이다. 상기 함유 비율이 20.0 질량% 미만이면, 성분 (B)가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에서 균일 분산할 수 없게 된다. 상기 함유량이 70.0 질량%를 넘으면, 건조감이 생기기 쉬워진다.
[성분 (D): 물]
성분 (D)는 물이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정제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의 성분 (D)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100 질량%에 대하여, 10.0∼75.0 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30.0∼70.0 질량%이다.
[그 외의 성분]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상기 성분 (A)∼(D) 이외의 성분(그 외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그 외의 성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화장품이나 의약부외품에 통상 이용되는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성분 (C) 이외의 저급 알코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 다가 알코올;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염 등의 항염증제; 멘톨 등의 청량제; 인산 및 그의 염류, 구연산 및 그의 염류, 유산(乳酸) 및 그의 염류,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pH 조정제; 향료;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금속 이온 봉쇄제; 성분 (A) 이외의 분체; 색소; 안료;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수렴제; 미백제; 동식물 추출물; 중화제; 살균제; 제한제; 소취제; 산; 알칼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유지, 및 탄소수 12∼22의 지방족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유성(油性) 성분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유성 성분의 함유 비율이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이다. 상기 유성 성분의 함유 비율이 1.0 질량% 이하이면, 유성 성분에서 유래하는 미끌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유로는, 예를 들면, α-올레핀 올리고머, 바셀린, 이소파라핀, 경질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스쿠알란, 합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파라핀 등,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수소 첨가(테트라데세닐/메틸펜타데센), 이소도데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유로는, 예를 들면, 올레인산 에틸,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팔미틴산 세틸, 팔미틴산 2-에틸헥실,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린산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린산 프로필렌 글리콜, 2-에틸헥산산 세틸,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 글리세릴,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아디핀산 디이소프로필, 테트라옥탄산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린산 펜타에리트리트,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트리에틸헥산산 에리스리틸, 히드록시스테아린산 2-에틸헥실, 헥사(히드록시스테아린산/스테아린산/로진산) 디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히드록시스테아린산/이소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스리틸, 헥사히드록시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 (에틸헥산산/스테아린산/아디핀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미리스틴산/스테아린산) 글리세릴, 헥사(베헨산/안식향산/에틸헥산산) 디펜타에리스리틸, 안식향산 알킬(C12-15)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유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메틸폴리실록산,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등의 디메틸 실리콘유;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등의 메틸페닐 실리콘유;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의 환상(環狀) 실리콘유; 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카르복시 변성 실리콘, 지방산 변성 실리콘, 알코올 변성 실리콘, 지방족 알코올 변성 실리콘, 에폭시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등의 변성 실리콘;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디메치콘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지로는, 마카데미안넛유, 유칼리유, 야자유, 아보카도유, 홍화유, 올리브유, 팜유, 팜핵유, 쿠쿠이넛유, 시어기름(시어 버터), 카카오 버터, 아몬드유, 해바라기유, 로즈힙유, 올리브 스쿠알란, 키위 프루트 시드유, 살구씨유, 참기름, 대두유, 호호바유, 피마자유, 헤이즐넛유, 메도우폼유, 박하유, 아르간 오일, 캐럿 오일, 라벤더유, 슈가 스쿠알란, 다마스크 장미꽃 납(Rosa Damascena Flower Wax), 센티폴리아 장미꽃 납(Rosa Centifolia Flower Wax), 자스민꽃 왁스, 동백유, 면실유, 콘유, 유채씨유, 미강(米糠)유, 케이폭유, 유지(乳脂), 라드(lard), 어유, 경유(鯨油), 이들의 수소 첨가물(예를 들면, 수소 첨가 피마자유, 수소 첨가 호호바유, 수소 첨가 팜유, 수소 첨가 아보카도유, 수소 첨가 대두유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2∼22의 지방족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올레일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보습감을 부여하는 등의 관점에서,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다가 알코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이소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1,2-부탄디올,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1,2-데칸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소르비톨, 말티톨, 트레할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100 질량%에 대하여, 보습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0.5∼2.0 질량%가 바람직하다. 단, 보송보송한 느낌을 부여하는 효과를 특히 뛰어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다가 알코올의 함유 비율이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성분을 혼합하고, 디스퍼 믹서, 패들 믹서 등의 공지의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교반하는 방법 등으로, 각 성분을 균일화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물[성분 (D)] 중에 탈크 및/또는 실리카[성분 (A)]를 배합함으로써, 사용 후의 피부에 보송보송한 느낌을 부여한다. 또, 옥테닐호박산 전분 알루미늄[성분 (B)]을 특정의 비율로 병용함으로써, 피막감을 부여하여, 건조감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 후의 피부의, 보송보송한 느낌과, 건조감의 억제에 의한 촉촉한 느낌이 양립할 수 있다. 이 효과의 메커니즘은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성분 (A)는 피부 상의 요철부의 볼록부(피부 융기부)로 퍼져 마찰을 저감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는데,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사용 후의 피부에 보송보송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성분 (A)는, 피부 상의 요철의 오목부(피부 고랑(皮溝))에 들어가기 어렵다. 이 때문에, 성분 (A)만으로는, 사용 후의 피부에 피막감을 부여할 수는 없다. 한편, 분체의 성분 (B)는 소수성이 높기 때문에 피부에의 친화성이 높은 것, 또 형상 등의 표면 성능에 기초하여, 피부 상의 요철의 오목부(피부 고랑)에 들어가기 쉽다. 이것에 의해, 성분 (A)와 성분 (B)를 병용함으로써, 분체가 피부 전체를 덮는 것이 가능해져, 뛰어난 피막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사용 후의 피부에 있어서 백탁도 억제된다. 또한, 에탄올[성분 (C)]을 특정의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소수성이 높아 분체로서 통상 수(水)매체에 배합되는 일이 없는 성분 (B)가 성분 (D) 중에서 분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속건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은, 피부(살갗)에 도포하기 위해 이용되는 화장료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부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얼굴(예를 들면, 이마, 눈가, 눈꼬리, 뺨, 입가 등)이나, 팔, 팔꿈치, 손등, 손끝, 다리, 무릎, 발뒤꿈치, 목, 겨드랑이, 등(背) 등을 들 수 있다.
[시트 화장료]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시트 기재에 함침함으로써 시트 화장료가 얻어진다. 즉, 상기 시트 화장료는, 시트 기재와, 상기 시트 기재에 함침된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시트 화장료를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는, 시트 기재 및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이외의 구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시트 기재는,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이 함침 가능한 시트상의 지지체이다. 상기 시트 기재로는, 직포,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 기재는, 적층체(즉, 적층 시트)여도 되고, 예를 들면, 직포의 적층체, 부직포의 적층체, 직포와 부직포의 적층체 등이어도 된다. 상기 시트 기재는, 사용감, 가공의 용이함 등의 관점에서, 부직포를 포함하는 시트 기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이다.
상기 부직포로는, 스펀본드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서멀본드 부직포, 니들펀치 부직포, 스티치본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직포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반천연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섬유로는, 면, 펄프, 실크, 셀룰로오스, 마, 린터, 케이폭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섬유로는, 나일론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 아크릴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천연 섬유로는,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섬유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또, 2종 이상의 상기 섬유로 이루어지는 혼방 섬유를 이용해도 된다.
상기 시트 기재는, 엠보싱 가공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엠보싱 가공 처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면(裏面)을 밀어 올려 띄우는(따라서 이면은 움푹 패인다) 방식이나, 표면에 특수한 잉크를 부착함으로써 볼록부를 형성하는(이면은 움푹 패이지 않는다)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트 기재의 단위중량(目付)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100g/㎡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80g/㎡이다. 단위중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피부를 닦을 때에, 시트 기재가 둥글게 말리지 않아 사용감이 뛰어나다. 또, 시트 화장료의 단위면적당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함침량이 많아진다. 이것에 의해, 실리카 등의 분체의 피부에의 부착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사용 후의 피부의 피막감 및 건조감의 없음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피부의 넓은 범위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효과가 얻어지며, 특히 보디용의 시트 화장료 등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사용성이 더욱더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 기재는, 직포나 부직포 등의 종류에 따라서, 공지 내지 관용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 시트 기재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시트 기재의 시판품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품명 「RH」, 상품명 「PLDF-40D」, 상품명 「AS-40」(이상, 다이와보 폴리텍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TCF404WJ」(후타무라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콧트에이스 A060S/A18」, 상품명 「콧트에이스 C030S/A18」(이상, 유니티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쿠라플렉스 JP2445B019」, 상품명 「쿠라플렉스 JP0509B056」, 상품명 「쿠라플렉스 JP4250H023」(이상, 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 제조), 상품명 「벰리제 JP254」, 상품명 「벰리제 RE75K」(이상,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산모아 SP8740」, 상품명 「산모아 SP8748」(이상, 산쇼 시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M1-30-2PE」(이노가미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에 있어서의, 상기 시트 기재에 대한 함침된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질량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시트 기재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0∼100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700 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의 형상은 시트상이다. 이것에 의해, 피부(살갗)를 닦는 사용 형태에서의 사용성이 뛰어나고, 휴대성도 뛰어나다. 시트의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사각형(예를 들면, 정방형, 장방형 등), 삼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반원형; 초승달형; 배럴형(樽形); 고형(鼓形); 캐릭터의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생산성, 사용성이나 패키징성(梱包性)의 관점에서는 사각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에는, 벤 자국부, 도려냄부, 요철부 등의 성형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의 시트의 편면의 표면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용성, 휴대성, 포장성 등의 관점에서, 100∼30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1000㎠이다.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는, 건조 방지, 외출 시의 휴대성, 사용 시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포장 용기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는 1장마다 개별 포장되어도 되고, 생산 코스트, 생산 효율 등의 관점에서, 복수장의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가 동일 포장 용기 내에 수납되어도 된다. 1개의 포장 용기에 수납되는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의 매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50장(/1 포장 용기)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는, 두번 접기, 세번 접기, 네번 접기 등으로 개켜 포장 용기에 수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 용기로는, 예를 들면, 봉투체(포장 봉투), 상자 모양 용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포장 용기는,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휘발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 용기의 재질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수지; 알루미늄 등의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포장 용기로는, 경량이며 뛰어난 휘발 방지 효과를 갖는 관점에서, 표면에 금속층이 적층 또는 증착된 수지제의 포장 용기(특히, 포장 봉투)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표면에 알루미늄 증착된 수지제의 포장 봉투이다.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는, 상기 시트 기재에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함침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시트 기재에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함침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개켜진 상태의 시트 기재에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주입하여 함침시키는 방법, 시트 기재에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스프레이하는 방법, 인쇄법을 이용하여 시트 기재에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함침시키는 방법,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중에 시트 기재를 담그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는, 피부(살갗)를 닦기 위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에 의해 닦아내는 부위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얼굴(예를 들면, 이마, 눈가, 눈꼬리, 뺨, 입가 등)이나, 팔, 팔꿈치, 손등, 손끝, 다리, 무릎, 발뒤꿈치, 목, 겨드랑이,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로는, 예를 들면, 시트 세안료(세안 시트), 보디용 닦아냄 시트, 웨트 티슈, 일회용 물수건, 엉덩이 닦기 시트, 메이크 제거 시트(클렌징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는, 사용 후의 피부에, 건조한 감촉이 억제되면서 피막이 형성된 것과 같은 감촉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디 닦아냄용으로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는, 예를 들면, 화장품, 의약부외품, 의약품, 잡화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의 사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부 상의 더러움, 오래된 각질이나 피지 등을 닦아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화장료는, 피부 상을 닦아 사용하는 것만으로, 더러움 등이 닦아내질 뿐만 아니라, 사용 후의 피부에, 건조한 감촉이 억제되면서 피막이 형성된 것과 같은 감촉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 상을 닦아 사용하는 닦아냄용 시트 화장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에 기재된 배합량은, 각 성분의 배합량(즉, 각 원료 중의 유효 성분의 배합량. 소위 순분(純分))이며,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로 나타낸다.
실시예 1∼8, 비교예 1∼5
표에 기록한 각 성분(성분 (A)∼(D))을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상법(常法)에 의해 조제했다. 또한, 상기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단위중량 40g/㎡의 스펀레이스 부직포에, 부직포 100 질량부에 대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290 질량부의 비율로 함침시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시트 화장료(시트 사이즈: 14cm×20cm, 장방형)를 제작했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시트 화장료에 대해서 이하와 같이 평가했다. 평가 결과는 표에 기재했다. 단, 비교예 5는 성분 (B)가 균일 분산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평가를 행하지 않았다.
(1) 보송보송한 느낌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시트 화장료 1장으로, 한쪽의 전완(前腕)의 내측을 20cm 폭으로 3회 왕복하도록 닦아내고, 10분 후의 닦아냄 부분에 대해서, 보송보송한 느낌(가루가 피부 상에 존재함으로써, 손바닥과의 마찰이 작아진 것과 같은 감촉)을 평가했다. 상기 평가는, 25℃, 습도 50% RH의 항온항습의 조건하에서 실시했다. 하기 평가 기준으로 판정하여, 결과를 표에 기재했다.
[보송보송한 느낌의 판정 기준]
 ◎(뛰어남): 보송보송한 느낌을 매우 느낀다.
 ○(양호): 보송보송한 느낌을 조금 느낀다.
 ×(불량): 보송보송한 느낌을 느끼지 않는다.
(2) 피막감
상기 보송보송한 느낌의 평가와 동시에, 피막감을 평가했다. 하기 평가 기준으로 판정하여, 결과를 표에 기재했다.
[피막감의 판정 기준]
 ◎(뛰어남): 피막감을 매우 느낀다.
 ○(양호): 피막감을 조금 느낀다.
 ×(불량): 피막감을 느끼지 않는다.
(3) 백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시트 화장료 1장으로, 한쪽의 전완의 내측을 20cm 폭으로 3회 왕복하도록 닦아내고, 10분 후의 닦아냄 부분에 대해서, 육안으로 백탁을 평가했다. 상기 평가는, 25℃, 습도 50% RH의 항온항습의 조건하에서 실시했다. 하기 평가 기준으로 판정하여, 결과를 표에 기재했다.
[백탁의 판정 기준]
 ◎(뛰어남): 도포 부분에 백탁이 없다.
 ○(양호): 도포 부분의 일부에 백탁이 있지만 사용 가능.
 ×(불량): 도포 부분의 전체에 백탁이 생긴다.
(4) 분산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제작할 때, 물과 에탄올을 혼합한 용액에 성분 (A) 및 성분 (B)를 투입하고, 10분간 교반했을 때의 분체의 분산성에 대해서 육안으로 평가했다. 하기 평가 기준으로 판정하여, 결과를 표에 기재했다.
[분산성의 판정 기준]
 ○(양호): 균일 분산된다.
 ×(불량): 균일 분산되지 않는다.
[표 1]
Figure pct00001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이용한 시트 화장료(실시예)는, 보송보송한 느낌을 갖고, 또한 피막감이 얻어져 건조감이 억제되었다. 또, 백탁도 억제되어 있었다. 이에 비하여, 성분 (A)의 함유 비율이 적은 경우(비교예 1), 보송보송한 느낌이 얻어지지 않았다. 성분 (A)의 함유 비율이 많은 경우(비교예 2), 도포 부분 전체에 백탁이 발생했다. 성분 (B)의 함유 비율이 적은 경우(비교예 3), 피막감이 얻어지지 않아 건조감을 억제할 수 없었다. 성분 (B)의 함유 비율이 많은 경우(비교예 4), 도포 부분 전체에 백탁이 발생했다. 성분 (C)의 함유 비율이 적은 경우(비교예 5), 분체가 균일 분산되지 않았다.
또한, 이하에,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의 처방예를 나타낸다.
(처방예 1) 보디 시트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탈크 5.0 질량% 옥테닐호박산 전분 알루미늄 10.0 질량% 에탄올 30.0 질량% PPG-6 데실테트라데세스-20 0.4 질량% 물 53.25 질량% 멘톨 0.7 질량% 향료 0.5 질량% 구연산 0.05 질량% 구연산 Na 0.1 질량% 합계 100.0 질량%
(*) 부직포 100 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290 질량부의 질량 비율로 함침.
(처방예 2) 데오도란트 워터
탈크 2.0 질량% 옥테닐호박산 전분 알루미늄 2.0 질량% 에탄올 50.0 질량% PPG-6 데실테트라데세스-20 0.4 질량% 물 45.1 질량% 멘톨 0.3 질량% 향료 0.2 질량% 합계 100.0 질량%

Claims (3)

  1. 하기 성분 (A), 하기 성분 (B), 하기 성분 (C), 및 하기 성분 (D)를 함유하고, 상기 성분 (A)의 함유 비율이 0.5∼15.0 질량%, 상기 성분 (B)의 함유 비율이 0.5∼15.0 질량%, 상기 성분 (C)의 함유 비율이 20.0∼70.0 질량%, 상기 성분 (D)의 함유 비율이 10.0∼75.0 질량%인,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성분 (A): 탈크, 실리카, 또는 탈크 및 실리카
    성분 (B): 옥테닐호박산 전분 알루미늄
    성분 (C): 에탄올
    성분 (D): 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유지, 및 탄소수 12∼22의 지방족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유성 성분의 함유 비율이 1.0 질량% 이하인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3. 시트 기재와, 상기 시트 기재에 함침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한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트 화장료.
KR1020207036636A 2018-09-21 2019-02-12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KR202100119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76765 2018-09-21
JP2018176765 2018-09-21
PCT/JP2019/004909 WO2020059167A1 (ja) 2018-09-21 2019-02-12 皮膚化粧料用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986A true KR20210011986A (ko) 2021-02-02

Family

ID=6988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636A KR20210011986A (ko) 2018-09-21 2019-02-12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39438B2 (ko)
KR (1) KR20210011986A (ko)
CN (1) CN112312878A (ko)
WO (1) WO20200591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583A (ko)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가나씨앤피 에스테르계 유지로 팔미트산 부틸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59149B (zh) * 2023-04-06 2023-08-01 广东一芙化妆品有限公司 具有装饰构件的抑菌防晒粉体固块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1424A (ja) 1998-04-17 2000-01-07 Kao Corp シ―ト状化粧料
JP2002201109A (ja) 2000-12-28 2002-07-16 Lion Corp シート状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8138A (ja) * 1996-12-02 1998-06-16 Kanebo Ltd エアゾール組成物
JP4920830B2 (ja) * 2001-05-14 2012-04-18 株式会社コーセー 油中水型化粧料
JP2005239633A (ja) * 2004-02-26 2005-09-08 T Hasegawa Co Ltd 化粧料組成物
JP6338936B2 (ja) * 2014-06-11 2018-06-06 株式会社マンダム 液状体臭抑制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1424A (ja) 1998-04-17 2000-01-07 Kao Corp シ―ト状化粧料
JP2002201109A (ja) 2000-12-28 2002-07-16 Lion Corp シート状化粧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583A (ko)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가나씨앤피 에스테르계 유지로 팔미트산 부틸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059167A1 (ja) 2021-04-08
CN112312878A (zh) 2021-02-02
JP7139438B2 (ja) 2022-09-20
WO2020059167A1 (ja)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45901T3 (es) Composiciones para limpiar la piel que se pueden aclarar o retirar.
JP2006517205A (ja) シート材およびワックス分散物を含む製品
US11833114B2 (en) Cleansing compositions
KR20210011986A (ko)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KR102532929B1 (ko) 피부 화장료용 조성물
AU2015261596A1 (en) Antiperspirant composition
JP2005538077A (ja) 塗薬用具および蝋質相を備えた乾燥性製品
CA2448964C (en) Sun protection product
JP2021080209A (ja) シート化粧料
JP4627179B2 (ja) シート状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7460289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7444586B2 (ja) シート化粧料
JP2017178787A (ja) 乳化化粧料及びシート化粧料
JP6804162B2 (ja) 皮膚外用剤
JP5848077B2 (ja) 油性睫用化粧料
KR20200132666A (ko) 유화 클렌징 화장료
WO2018222742A1 (en) Cold processable emulsion concentrates providing desirable sensory properties, end use formulations containing the emulsion concentrates and related methods
WO2023056278A1 (en) Facial and body sunscreen compositions
WO2021100666A1 (ja) 化粧料組成物
JP2022145011A (ja) シート化粧料
KR20230123008A (ko) 액체 화장료 조성물 및 시트형상 화장료
JPH08497A (ja) ハンドケアタオル